KR20210069934A -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food history information - Google Patents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food history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934A
KR20210069934A KR1020190159784A KR20190159784A KR20210069934A KR 20210069934 A KR20210069934 A KR 20210069934A KR 1020190159784 A KR1020190159784 A KR 1020190159784A KR 20190159784 A KR20190159784 A KR 20190159784A KR 20210069934 A KR20210069934 A KR 20210069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information
service server
data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7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종대
Original Assignee
에디션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디션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디션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9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9934A/en
Publication of KR20210069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9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food history information. In order to manage all matters related to food history in an integrated and efficient way, the system for tracking food history information comprises: a provider terminal for having a unique identification ID, having communication function and data input/output function, generating food information to be supplie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food supplier,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service server and a public server; a user terminal for having a unique identification ID,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data input/output function,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 public server for storing foo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upplier terminal, storing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food distribution, and providing food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stored food information and history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 service server; and a service server for receiving food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public server and providing the food history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The provid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the public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data network.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detailed history of food, permission, standards and quality of food, etc. in real time with a user's mobile device in order to supply and receive correct school meal materials.

Description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food history information}Food history tracking system and method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food history information}

본 발명은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이력에 관한 모든 사항을 통합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history tracking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capable of managing all matters related to food history in an integrated and efficient manner.

최근 식품안전관리에 대한 국민들의 높은 관심과 이와 관련된 언론보도를 통하여 공급 유통 되는 식품의 안정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은 여전한 실정이다.Recently, the public's high interest in food safety management and consumers' concerns about the safety of food supplied and distributed through media reports related to it are still present.

특히 지난 2017년 7월 네덜란드에서 촉발된 살충제 오염 계란 유통문제는 전 세계를 강타하였고 국내에도 양계장 검사 결과 살충제 오염된 양계장 및 오염계란이 발견되어 많은 오염 계란이 파기되고, 양계장이 패쇄 되기에 이르렀다. 이의 여파로 인하여 닭고기의 섭취를 기피하거나 모든 식품유통이 위축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the distribution of pesticide-contaminated eggs, which was triggered in the Netherlands in July 2017, hit the world, and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of chicken farms in Korea, pesticide-contaminated chicken farms and contaminated eggs were found, resulting in the destruction of many contaminated eggs and the closing of the chicken farms. In the aftermath of this, they avoided eating chicken or reached a point where all food distribution was atrophied.

이에 따라서 학교 급식식품에 대한 식품오염 및 문제 역시 학부모들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Accordingly, food contamination and problems related to school lunches are also a concern of parents.

통계청자료에 따르면 2016년말 현재 전국 11,747개교에서 매일 593만명이 급식을 하며, 급식운영경비는 연간 5조 9,088억원으로 식품비가 약 3조원, 인건비가 약 2조 9000억원에 이르고 있다.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data, as of the end of 2016, 5.93 million people served meals every day at 11,747 schools across the country, and the cost of operating meals was 5,908.8 billion won a year, accounting for about 3 trillion won in food costs and 2.9 trillion won in labor costs.

국내 모든 학교에서 사용되는 급식용품은 각 지자체 또는 해당 교육청의 예산으로 구매하여 공급하고 있다. 식중독으로 인한 감염성 질병의 신속한 확산으로 병이 나면 학교 또는 급식지역의 모든 학교에 영향을 미치고, 그 여파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전체 학교 급식에도 영향을 주게 되어 급식이 중지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Food supplies used in all domestic schools are purchased and supplied with the budget of each local government or the relevant education office. Due to the rapid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due to food poisoning, when sick, it affects schools or all schools in the food service area.

지난 2018년 국회 국정감사 결과에 따르면 초중고 및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급식에 쓰이는 외국산 고기가 국산으로 둔갑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8년 한해 원산지 표시를 위반하여 납품한 사례가 35건에 달한다고 한다.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National Assembly audit in 2018, it was revealed that foreign meat used for lunch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as turned into domestically produced meat. It is said that there were 35 cases of delivery in violation of the country of origin indication in 2018 alone.

지난 2015년부터 2018년8월까지 원산지 표시 위반으로 전국에서 단속된 건수는 15,415건으로 지역별로는 경기도(2063),서울(1521),경북(1356),경남(1294),전남(1209),강원(1145)등이다From 2015 to August 2018, 15,415 cases were cracked down nationwide for violations of the labeling of origin. By region, Gyeonggi-do (2063), Seoul (1521), Gyeongbuk (1356), Gyeongnam (1294), Jeonnam (1209), and Gangwon ( 1145), etc.

이러한 원산지 표시위반행위는 결국 부적합식품, 불량식품의 공급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며, 가공품의 경우에도 대체품이나 비규격품을 납품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한 실정이다. Such violations of country of origin labeling are eventually becoming a problem due to the supply of non-conforming food and defective food, and even in the case of processed products, cases of supplying substitutes or non-standard products are not uncommon.

이러한 공급의 문제는 각 단위학교부터 지역 및 전국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전체 학교의 급식 중단은 물론 해당 제품의 불매와 발생 지역의 모든 생산물까지 불신에 이르게 되어 불매운동을 벌이는 등,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된다.This supply problem is a serious economic loss, such as when a problem arises from each unit school, regionally or nationwide, not only the school lunches are stopped, but also the boycott of the product and all the products in the region are distrusted and a boycott is launched. will wear

원산지 표시제도는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그리고 그 가공품에 대하여 원산지를 표기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알권리를 보장하고, 공정한 거래를 유도하기 위한 제도이다.The country of origin labeling system guarantees consumers the right to know and induces fair trade by indicating the origin of agricultural products, marine products, livestock products, and their processed products.

국내의 식품의 표시가준과 표시방법은 아래와 같다. (자료출처: 올본친환경급식센타)The labeling standards and labeling methods of domestic foods are as follows. (Source: Allborn Eco-Friendly Food Service Center)

표시기준indication standard

1. 국산농산물 - [국산] 또는 생산한 지역 표기 [시·도명], [시·군명]1.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 [Domestic] or production region [City/Province name], [City/Gun name]

(예시) 감자(국산), 사과(충북), 쌀(이천), 고추(음성), 양파(무안)(Example) Potato (domestic), apple (Chungbuk), rice (Icheon), red pepper (Eumseong), onion (Muan)

2. 국산수산물 - [국산] 또는 [원양산]을 표기 -> 생산한 [시·군명], [연근해산], [해역명]2. Domestic seafood - Mark [Domestic] or [Wonyang] -> [City/Gun name], [Seasonal Sea], [Sea area name]

(예시) 갈치(국산), 김(완도), 꽃게(서해안), 옥돔(국산-제주근해)(Example) Cutlassfish (domestic), seaweed (Wando), blue crab (west coast), octopus (domestic-produced near Jeju)

※ 원양어업허가를 받은 어선이 어획한 수산물 : [원양산]으로 표시(해역명 또는 수역관할 국가명 함께 표시)(예시) 다랑어 : 원양산(태평양)※ Fishery products caught by fishing boats that have obtained a deep-sea fishing license: Marked as [Yeonyang Mountain] (indicate the name of the sea area or the country with jurisdiction over the water area) (Example) Bluefin tuna: Faryang Mountain (Pacific)

3. 농수산가공품 : 가공품에 사용된 원료의 원산지를 표시3. Processed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indicate the origin of raw materials used in processed products

1) 농산가공품 : 국산원료는 [국산] 또는 생산한 [시·도명], [시·군·구명]1) Agricultural products: Domestic raw materials are [domestic] or produced [city/province name], [city/gun/gu name]

(예시) 인절미(찹쌀 : 국산), 두부(콩 : 정읍) (Example) Injeolmi (glutinous rice: domestic), tofu (soybean: Jeongeup)

2) 수산가공품 : 원양산을 제외한 원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국산]2) Processed seafood products: [Domestic] when raw materials other than raw materials are used

(예시) 새우젓(새우 : 국산), 진미채(오징어 : 원양산-대서양) (Example) Salted Shrimp (Shrimp: Domestic), Jinmi Chae (Squid: Wonyang-Atlantic)

3) 수입농수산물 및 가공품3) Imported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and processed products

[국명] 또는 [국명산](Made in 국명 또는 Product of 국명) [Name of Country] or [Name of Country] (Made in Country or Product of Country)

(예시) 바나나(필리핀산), 농어(일본산), 족발(돈육: 중국산), 명란젓(명란: 러시아산) (Example) Banana (Philippines), Sea bass (Japanese), Pork feet (Pork: Made in China), Salted Mentaiko (Cod roe: Made in Russia)

표시방법Display method

1. 국산농산물1.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직접 포장하여 판매하는 농수산물 : 포장지에 표시산물(낱개포함)거래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directly packaged and sold: Trade in products marked on the packaging (included individually)

포장하지 않고 판매하는 농수산물 : 용기표시, 스티커, 푯말, 표지판, 라벨, 꼬리표 등 표시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sold without packaging: labeling of containers, stickers, signposts, signs, labels, tags, etc.

2. 수입 농수산물2. Imported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통관 후 재포장하여 거래하거나 산물거래 등으로 원산지를 다시 표시하여야 할 경우에는 국산 농수산물 표시규정에 따라 원산지 표시In the case of repackaging after customs clearance, or when it is necessary to re-label the country of origin due to product trade, etc., mark the country of origin in accordance with the labeling regulations for domestic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3. 농수산 가공품3.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사용된 당해 원료 중 배합비율이 50퍼센트 이상인 원료가 있는 경우에는 그 원료를, 배합비율이 50퍼센트 이상인 원료가 없는 경우에는 배합비율이 높은 순으로 2가지의 원료를 표시If there is a raw material with a blending ratio of 50% or more among the raw materials used, indicate the raw material; if there is no raw material with a blending ratio of 50% or more, indicate the two raw materials in the order of the highest blending ratio

(예시) ① 배추김치 : 배추85%, 갓 5%, 쪽파 4%, 생강 0.5% 등 ⇒ 배추(국산) (Example) ① Chinese cabbage kimchi: 85% Chinese cabbage, 5% fresh green onion, 4% green onion, 0.5% ginger, etc. ⇒ Chinese cabbage (domestic)

② 패류 : 홍합 35%, 바지락 30%, 미더덕 20% 등 ⇒ 홍합(중국산), 바지락(국산) ② Shellfish: mussels 35%, clams 30%, mussels 20%, etc. ⇒ mussels (China), clams (domestic)

특정원료의 명칭을 제품명으로 사용하는 경우로서 그 특정원료를 함께 대상으로 표시 In the case of using the name of a specific raw material as a product name, the specific raw material is also indicated as a target

(예시) 고추장 : 찹쌀45%, 콩15%, 고추10%...등 ⇒ 찹쌀(국산), 콩(미국산), 고추10%(국산)(Example) Gochujang: glutinous rice 45%, soybean 15%, red pepper 10%...etc. ⇒ glutinous rice (domestic), soybean (USA), red pepper 10% (domestic)

동일원료를 원산지가 다른 원료를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원산지별 혼합비율이 높은 순으로 원산지 및 혼합비율을 표시 When the same raw material is mixed with raw materials of different origins, the country of origin and blending ratio are indicated in the order of the highest blending ratio by country of origin.

(예시) 고춧가루 : 고추100%(국산 60%,중국산 40%) ⇒ 고추(국산 60%,중국산 40%)(Example) Red pepper powder: 100% red pepper (60% domestic, 40% Chinese) ⇒ Red pepper (60% domestic, 40% Chinese)

학교급식용으로 공급되는 모든 식품 및 부자재는 제품의 겉면에 제품이력 표시를 하고 있다. 특히 친환경 농산물품의 경우에는 모든 야채 및 과일 상품에도 반드시 인증번호 및 생산자를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All food and subsidiary materials supplied for school meals are marked with product history on the outside of the produc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t is stipulated that the certification number and producer must be marked on all vegetable and fruit products.

그러나 각 식품에 표시된 이력내용(인증번호, 이력번호, 인증 내용) 등을 확인하려면, 첨부된 도면 도 1과 같이 각 관련 기관의 앱을 휴대폰에 저장하거나, 웹사이트를 연결하여 바코드를 스캔하거나 또는 이력번호를 각각 입력하여야 한다.However, if you want to check the history (authentication number, history number, certification details) etc. displayed on each food, you can either save the app of each relevant institution to your mobile phone as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 FIG. 1, connect the website to scan the barcode, or Each history number must be entered.

즉, 축산물이력정보는 축산물 이력정보 시스템에서, 수산물이력조회는 수산물 이력정보 시스템에서, 농식품이력정보는 농산물 인증시스템, 그리고 식품안전정보는 식품안전나라(식약처)에서 각각 조회해야 한다.That is, livestock product history information should be inquired in the livestock product history information system, aquatic product history inquiry in the seafood history information system, agrifood history information in the agricultural product certification system, and food safety information in the Food Safety Administration (MFDS).

이를 위하여, 각각의 품목별로 4개의 앱을 모바일기기에 설치하여야 하며, 라벨에 있는 바코드 및 이력번호를 스캔하거나 입력하여 확인 하여야한다.For this, 4 apps for each item must be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 and the barcode and history number on the label must be scanned or entered to confirm.

그러나, 각 학교마다 납품된 식자재를 직접 일일이 이런 방법으로 확인한다는 것은 쉽지가 않다. 또한 계약 내용과 다른 대체품이나 비규격품을 수령하였을 경우, 공급업체에 유무선으로, 공급기관인 올본 친환경급식센타에 유무선으로 알리고 있다. However, it is not easy to directly check the food materials delivered to each school in this way. In addition, when an alternative or non-standard product is received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ntract, it notifies the supplier by wire or wireless and to the Allborn Eco-Friendly Food Center, which is the supplier, by wire or wireless.

학교급식 공급체계는 다음과 같은 흐름을 가진다The school meal supply system has the following flow

공급 위탁 단계가 학교와 올본 친환경급식센타에서 수행되고, 구매 위탁 단계가 학교와 한국농수산식품공사에서 수행되고, 물품 구매의뢰단계가 올본 친환경급색센타에서 eaT센타로 공급의뢰서 발송되어 수행되고, 식품 구매 단계가 esT센타에서 수행되고, 물품 수령 및 검수 단계가 올본 친환경급식센타에서 수행되고, 물품 공급 단계가 공급업체에서 수행되고, 물품 검수와 수령 단계가 각급 학교에서 수행된 뒤, 그 결과의 피드백이 전달된다. The supply consignment stage is carried out at the school and the Allborn Eco-Friendly Meal Center, the purchase consignment stage is performed at the school and the Korea Agro-Fisheries & Food Corporation, and the product purchase request stage is carried out by sending a supply request form from the Allborn Eco-Friendly Color Center to the eaT Center, and purchasing food. After the steps are carried out at the esT Center, the product receipt and inspection step is performed at the Allborn Eco-Friendly Food Service Center, the product supply step is performed at the supplier, and the product inspection and receipt step is performed at each school, the feedback of the result is provided. is transmitted

여기서, 공급 식품의 내용은 각 학교 급식 담당자(학교 영양사)가 올본급식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각 학교별로 지급된 PDA를 통하여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오로지 서울지역의 올본 친환경급식센타의 지원을 받는 초, 중고교의 경우에만 해당되며, 유치원 및 어린이집은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Here, the contents of the food supplied can be checked by the food service manager (school nutritionist) at each school in the Allbon meal system, and can be checked through the PDA provided to each school. However, this only applies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upported by the Allborn Eco-Friendly Food Center in Seoul, and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do not have a system installed.

다른 지역의 경우에는 인천시의 경우에는 인천시 교육청에서 식품공급업체와 위탁공급계약을 맺고 식품공급업체가 직접 각 학교로 급식을 공급하는 체계로 사후 관리부서가 없어서 대체품 및 부적합, 불량제품의 납품으로 학교 및 학부모의 불만이 자주 발생 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case of other areas, in the case of Incheon City, the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igned a consignment supply contract with a food supplier and the food supplier directly supplies meals to each school. and parental dissatisfaction.

또한 당초 계약한 제품 공급 계약서 및 제품의 품질내용 등을 위탁기관인 올본 친환경급식센타에서 보관 관리하여 실제 학교(사용자)에서는 제품 확인을 할 수는 있지만 계약 내용은 확인할 수 없으므로 공급업체가 주는 대로 받을 수 밖에 없는 형편이다In addition, the original contracted product supply contract and product quality are stored and managed by the Allborn Eco-Friendly Food Service Center, which is a consignment institution, so the actual school (user) can check the product, but the contract details cannot be confirmed, so the supplier cannot receive it. there is only one

문제된 제품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올본 친환경급식센타에 일일이 확인해야하는 실정이다In order to check the problematic products, it is necessary to check them one by one at the Allborn Eco-Friendly Food Center.

더불어 다른 학교에서 식중독 사고가 발생 했더라도 어떤 문제인지를 즉시 알 수 없다. 취급 중에 변질 및 부패되어 식중독사고의 위험이 많은 축산물 및 수산물의 경우, 급식 후 발생되는 문제를 공유 할 수 있는 체계가 없으며, 식중독 사고 발생 시 해당 지역 보건소와 관련기관에만 통보를 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even if a food poisoning accident occurs at another school, it is not immediately known what kind of problem it is. In the case of livestock and aquatic products that deteriorate or decay during handling and are at high risk of food poisoning accidents, there is no system to share the problems that occur after meals, and only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 and related organizations are required to notify when food poisoning accidents occur.

뿐만 아니라 위의 각 문제점으로 지적한 내용에 대한 업무의 흐름이 각 담당자와 수평적, 횡적인 업무 채널이 없으며 직접 관련 되는 관계자 및 기관 등에게 수직적인 체계로 유무선 등을 연락하여야 하므로 내용의 사실 확인 등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re is no horizontal or lateral business channel with each person in charge in the flow of work for the contents pointed out by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necessary to contact directly related persons and institutions in a vertical system, such as wired and wireless, so it takes time to check the facts of the contents. This requires a lot.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99706호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99706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71468호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71468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올바른 학교 급식자재를 공급하고 납품받기 위하여 식품의 상세 이력내용, 인허가내용, 식품의 규격 및 품질 내용 등을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 실시간으로 확인 및 점검을 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upply and receive the correct school meal materials, the detailed history of food, permission and permission, and standards and quality of food are transferred to the user's mobile device. The purpose is to provide technology that can check and check in real ti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공급된 제품의 납품시 발견된 문제제품의 신고, 급식후 발생된 식중독 등에 대하여 교육청 및 지역보건소, 올본 친환경급식센타, 공급업체등에 통보하여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문제 발생 신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notify the education office, local public health center, Allbon eco-friendly food service center, suppliers, etc. about the report of problematic products found during delivery of the products supplied using the user's mobile device, food poisoning that occurred after meals, etc.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problems so tha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품 안전관리 정보 통합DB를 구축하여 구매 대행기관인 한국농수산식품공사와, 위해식품 정보를 알려주는 식약처, 농산물 인증기관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축산물이력관리기관인 국립축산물품질평가원, 수산물 이력관리기관인 해양수산부, 학교급식 주무기관인 서울시와 서울시 교육청, 문제발생내용과 식중독 발생 내용 등을 동시다발적으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문제 발생 신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stablish an integrated food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DB, a purchasing agency, the Korea Agro-Fisheries and Food Corporation,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which informs hazardous food information, the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an agricultural product certification agency, and the National Livestock Products Quality as a livestock product history management agency.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problems that can simultaneously and quickly deliver the details of the occurrence of problems and food poisoning to the Evaluation Institute,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 fishery history management agency,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hich are the main agencies in charge of school meals.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급될 식품의 모든 내용, 예를 들면 계약서, 제품의 내역, 제품의 사진, 인증서, 이력번호, 생산자 또는 공급자의 주소, 연락처, 고객관리실, 생산자 위치 등을 공급자의 모바일기기로 입력할 수 있게 구성된 식품이력추적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all the contents of the food to be supplied, for example, contract, product details, product photos, certificates, history numbers, producer or supplier addresses, contact information, customer care office, producer location, etc.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traceab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onfigured to be input by a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급될 식품의 물품공급계획서를 공유하여, 예를 들면 공급순서(공급차량의 납품순서), 학교명, 학교담당자, 공급수량 및 공급차량, 차량운전 담당자 성명, 연락처 등을 공유하여 실시간으로 알 수 있게 구성된 식품이력추적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are the supply plan of food to be supplied, for example, supply order (supply order of supply vehicle), school name, school administrator, supply quantity and supply vehicle, vehicle driver name, contact information, etc.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ood traceab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onfigured to share and know in real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급 제품에 바코드, QR코드, NFC, RFID 기술과 LoLa(저전력통신기술), IoT(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각종센서 특히 온습도 센서, 위치 확인 센서 등을 사용하여 공급되는 식품의 위치, 식품 또는 식품 운반 차량의 온습도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공급과정의 식품의 실시간 온, 습도 및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products using barcode, QR code, NFC, RFID technology, LoLa (low power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various sensors using IoT (Internet of Things), in particular, food supplied using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positioning sensors, etc.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the real-tim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food in the supply process and the location of the vehicle by providing the location of the food o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food or food transport vehicle in real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작성 또는 확인하는 모든 전송 내용들을 공급자, 납품업자, 올본 친환경급식센타, 농수산식품공사 및 식약처, 인증관련기관 뿐 아니라, 사용자가 근무하는 학교 학생들의 부모 또는 학교의 관계자 및 지역 교육지청에도 필요한 정보를 알리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식품 안전 정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all transmission contents written or confirmed by the user to the parents or school of the school students where the user works, as well as the suppliers, suppliers, Allborn Eco-Friendly Meals Center,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ertification-related organization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food safety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configured to inform or confirm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relevant persons 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라우드 시스템의 활용으로 시스템의 각종 사고 예를 들면 외부로 부터의 해킹, 전기 및 기타 장치의 고장으로 인한 시스템 중단, 인터넷 및 온라인의 접속중단, 정보제공의 오류 등으로 부터 보호하고 24시간 항상 실시간으로 모든 내용을 확인 및 점검을 할 수 있는 클라우드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various accidents of the system by utilizing the cloud system, such as hacking from the outside, system interruption due to breakdown of electricity and other devices, interruption of Internet and online access, errors in information provision, etc.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loud system and method that can protect and check and check all contents in real time 24/7.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든 구성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이미 구성된 시스템과 병행하여 운영함으로서 원래의 시스템 에러, 통신 중단, 전자, 전기, 기계적인 사고, 외부의 해킹으로부터 발생되는 문제점을 예방하고 24시간 운영되도록 하는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식품이력추적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problems arising from original system errors, communication interruptions, electronic, electrical, mechanical accidents, and external hacking by operating all configurations in parallel with the already configured system using block chain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food traceab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block chain technology to operate 24 hours a day.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은, 고유의 식별 ID를 갖고, 통신 기능과 데이터 입출력 기능을 가지며, 식품 공급자의 조작에 따라 공급될 식품 정보를 생성하고, 서비스 서버 및 공용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공급자 단말기; 고유의 식별 ID를 갖고, 통신 기능과 데이터 입출력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식품 정보를 저장하고, 식품의 유통에 따른 이력 정보를 저장하며, 서비스 서버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식품 정보 및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식품이력정보를 제공하는 공용 서버; 및 상기 공용 서버로부터 식품이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식품이력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공용 서버 및 서비스 서버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od history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nique identification ID,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data input/output function, and generates food information to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ood supplier, and , a service server and a provider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public server; a user terminal having a unique identification ID,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data input/output function,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 public server that stores foo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upplier terminal, stores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food, and provides food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stored food information and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 service server; and a service server that receives food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public server and provides the food history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provid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the public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are connected via a data network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식품 정보는 식품 또는 식품의 포장재에 부착되는 상품 표시 레벨과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oo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upplier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ynchronized with the product display level attached to the food or food packaging material.

여기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및 공용 서버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및 공용 서버의 데이터 업데이트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통신부, 감지부, 데이터베이스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데이터 업데이트 내용을 상기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및 공용 서버가 업데이트하도록 업데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ervice serv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provid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server;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data of the provid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server is updated: a database unit for stor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the sensing unit, and the database unit, and generating an update signal so that the provid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server update the data update conten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s necessary, and transmitting the update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여기서, 제공된 식품에 이상이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식품에 대한 식품이력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상 발생 장소, 발생 일시, 피해인원 및 증상 정보를 포함하는 이상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수신된 이상정보 데이터를 상기 공급자 단말기와 공용 서버에 전달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rovided food, the user terminal requests and receives food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food from the service server, and abnormality information data including the place of occurrence, the date of occurrence, the number of victims and symptom information. I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dditionally performs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abnormal information data to the provider terminal and the public server.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이력 추적 방법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공용 서버 및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서 식품 공급자의 조작에 따라 공급될 식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공용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공용 서버로부터 식품 정보와 식품의 유통에 따른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베이스 생성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및 공용 서버의 데이터 업데이트 여부를 감지하고, 필요에 따라 감지된 데이터 업데이트 내용을 상기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및 공용 서버가 업데이트하도록 업데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ood history track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d history tracking system comprising a supplier terminal, a user terminal, a public server and a service server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data network, a database creation step in which the supplier terminal generates food information to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ood supplier and transmits it to the public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receives the food information and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food from the public server; a data providing step in which the service server provides the data generated in the database creation step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and database management for generating an update signal so that the service server detects whether the data of the provid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server are updated, and the provid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server update the detected data update content as necessary step; includes.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생성 단계는: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식품 정보는 식품 또는 식품의 포장재에 부착되는 상품 표시 레벨과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database creation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d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supplier terminal is synchronized with the product display level attached to the food or packaging material of the food.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단계는: 제공된 식품에 이상이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해당 식품에 대한 식품이력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상 발생 장소, 발생 일시, 피해인원 및 증상 정보를 포함하는 이상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수신된 이상정보 데이터를 상기 공급자 단말기와 공용 서버에 전달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database management step is: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rovided food, the user terminal requests and receives food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food from the service server, and the abnormal occurrence location, date and time of occurrence, number of victims and symptom information It generates and transmits the abnormal information data including the service server to the service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additionally performs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abnormal information data to the provider terminal and the public server.

본 발명에 따르면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및 기타 가공식품에 관한 모든 식품이력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check all food histories related to agricultural products, marine products, livestock products and other processed foods at o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식품에 이상이 존재할 경우, 편리하게 식중독발생신고서를 작성할 수 있고, 이를 전체 시스템에 제공하여 빠른 대응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food,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repare a food poisoning occurrence report, and to provide it to the entire system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quick respons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식품의 구별에 따라 다수의 앱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서비스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식품이력 추적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품이력 추적 방법의 흐름도이다.
1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apps are install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fo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of a food history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server in FIG. 2 .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food history tracking content provid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food history track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food history track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producing the product, and definitions of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Food history tracking system)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food history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2 to 4 .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서비스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식품이력 추적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food history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server in Figure 2, Figure 4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e traceability of food history provided accordingl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100)은 데이터 네트워크(101)를 통해 상호 연결된 공급자 단말기(110), 사용자 단말기(120), 공용 서버(130) 및 서비스 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food history track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vider terminal 110, a user terminal 120, a public server 130 and a service server interconnected through a data network 101 ( 150) is included.

데이터 네트워크(101)는 유선전화망, 이동통신망, 전력통신망, NFC, RFID, IOT와 같은 주지의 모든 데이터 통신망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을 의미하며, 단말기와 서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한다.The data network 101 refers to one or more combinations of all known data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a wired telephone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power communication network, NFC, RFID, and IOT, and relay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rver.

이때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전송됨으로써 시스템의 보안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data is encrypted and transmitted, so that the security of the system is maintained.

공급자 단말기(110)는 고유의 식별 ID를 갖고, 통신 기능과 데이터 입출력 기능을 가지며, 식품 공급자의 조작에 따라 공급될 식품 정보를 생성하고, 서비스 서버(150) 및 공용 서버(130)와 데이터 네트워크(101)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공급자 단말기(110)는 스마트폰, PDA, 노트북과 같은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supplier terminal 110 has a unique identification ID,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data input/output function, generates food information to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ood supplier, and a data network with the service server 150 and the public server 130 .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101. The provider terminal 110 may be 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PDA, a laptop computer.

이때, 공급자 단말기(110)에서 생성되는 식품 정보는 식품 또는 식품의 포장재에 부착되는 상품 표시 레벨과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oo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upplier terminal 110 is preferably synchronized with the product display level attached to the food or food packaging material.

사용자 단말기(120)는 고유의 식별 ID를 갖고, 통신 기능과 데이터 입출력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서비스 서버(1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공급자 단말기(110)는 스마트폰, PDA, 노트북과 같은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 has a unique identification ID,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data input/output function, and transmits/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service server 15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e provider terminal 110 may be 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PDA, a laptop computer.

사용자 단말기(120)는 제공된 식품에 이상이 존재할 경우, 해당 식품에 대한 식품이력 정보를 서비스 서버(150)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상 발생 장소, 발생 일시, 피해인원 및 증상 정보를 포함하는 이상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50)로 송신한다. 이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150)는 수신된 이상정보 데이터를 공급자 단말기(120)와 공용 서버(130)에 전달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rovided food, the user terminal 120 requests and receives food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food from the service server 150, and abnormal information including the place of occurrence, the date of occurrence, the number of victims and symptom information. Data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150 . The service server 150 receiving this may additionally perform an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received abnormal information data to the provider terminal 120 and the public server 130 .

공용 서버(130)는 공급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식품 정보를 저장하고, 식품의 유통에 따른 이력 정보를 저장하며, 서비스 서버(1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식품 정보 및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식품이력정보를 제공한다. The public server 130 stores foo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upplier terminal 110 , stores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food, and food including food information and history information stored at the request of the service server 150 . Provides history information.

공용 서버(130)는 식품위생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부인증기관, 축산물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부인증기관, 수산물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부인증기관, 농산물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부인증기관, 농산물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부인증기관, 수입식품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정부인증기관, 급식과 관련된 기관(급식제공업체, 교육청, 시도청, 학교 등), 위생과 보건에 관련된 기관(소방서, 병원, 보건소, 식약처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기관들은 각국의 상황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The public server 130 is a government certification agency having a food hygiene database, a government certification agency having a livestock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a government certification agency having a seafood information database, a government certification agency having an agricultural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and a government certification agency having an agricultural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 government accreditation institutions with imported food databases, food service-related institutions (meal service providers, education offices, provincial and provincial offices, schools, etc.), and sanitation and health-related institutions (fire department, hospital, public health center,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etc.) Note that these institutions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each country.

더불어,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식품 정보는 식품 자체의 정보(예를 들면, 친환경인증정보, GAP인증, HACCP인증 정보, 생산자이름, 생산자주소, 연락처, 소속 작목반이름, 인증유효기간 등)를 의미하며, 이력 정보는 식품의 유통 중에 발생하는 정보(예를 들면, 식품의 이동 경로, 이동 중 보관 상황, 이동 방법, 이동 시간, 운송 수단 정보, 현재 위치 등)를 의미하며, 식품이력정보는 이들 모두에 관한 통합 정보를 의미함에 유의한다.In addition, food inform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food itself (eg, eco-friendly authentication information, GAP authentication, HACCP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ducer name, producer address, contact information, affiliated cropping group name, certification validity period, etc.) Meaning, history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that occurs during the distribution of food (for example, food movement route, storage status during movement, movement method, movement time, transportation means information, current location, etc.), and food history information is Note that we mean integrated information about all of them.

서비스 서버(150)는 공용 서버(130)로부터 식품이력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식품이력정보를 제공한다.The service server 150 receives the food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public server 130 and provides the food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필요에 따라, 서비스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기(120)에서 생성된 이상정보 데이터(이는 식품에 이상이 존재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120)에서 생성되어 제공된다)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150)는 수신된 이상정보 데이터를 공급자 단말기(120)와 공용 서버(130)에 전달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service server 150 receives the abnormal information data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120 (which is generated and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120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food). The service server 150 is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abnormal information data to the provider terminal 120 and the public server 130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첨부된 도면 도 3을 참조로 서비스 서버(15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서비스 서버(150)는 통신부(152), 감지부(154), 제어부(155) 및 데이터베이스부(156)를 포함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server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3 , the service server 15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52 , a detection unit 154 , a control unit 155 , and a database unit 156 . .

통신부(152)는 공급자 단말기(110), 사용자 단말기(120) 및 공용 서버(130)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52 performs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provider terminal 110 , the user terminal 120 , and the public server 130 .

감지부(154)는 공급자 단말기(110), 사용자 단말기(120) 및 공용 서버(130)의 데이터 업데이트 여부를 감지한다.The detection unit 154 detects whether data is updated in the provider terminal 110 , the user terminal 120 , and the public server 130 .

데이터베이스부(156)는 통신부(152)를 통해 송수신된 데이터를 저장, 가공, 제공한다.The database unit 156 stores, processes, and provides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2 .

제어부(155)는 서비스 서버(15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고, 필요에 따라 감지부(154)에서 감지된 데이터 업데이트 내용을 공급자 단말기(110), 사용자 단말기(120) 및 공용 서버(130)가 업데이트하도록 업데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52)에 전달한다.The control unit 155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service server 150, and if necessary, updates the data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54 to the provider terminal 110, the user terminal 120, and the public server ( 130 generates an update signal to update and transmits the update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152 .

(식품이력 추적 방법)(Food history tracking metho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이력 추적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food history trac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품이력 추적 방법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food history track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이력 추적 방법은, 전술된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공용 서버 및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에서 수행된다.5, the food history tracking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erformed in a food history tracking system including a supplier terminal, a user terminal, a public server, and a service server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data network described above.

데이터베이스 생성 단계(S100)는 공급자 단말기에서 식품 공급자의 조작에 따라 공급될 식품 정보를 생성하여 공용 서버로 송신하고, 서비스 서버가 공용 서버로부터 식품 정보와 식품의 유통에 따른 이력 정보를 수신한다.In the database creation step (S100), the supplier terminal generates food information to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ood supplier and transmits it to the public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receives food information and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food from the public server.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생성 단계(S100)는, 공급자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식품 정보가 식품 또는 식품의 포장재에 부착되는 표시 레벨과 동기화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atabase creation step ( S100 ) may include a process in which the foo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upplier terminal is synchronized with the display level attached to the food or food packaging material.

데이터 제공 단계(S200)는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생성 단계(S10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제공한다.In the data providing step (S200), the service server provides the data generated in the database creation step (S100)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데이터베이스 관리 단계(S300)는 서비스 서버가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단말기 및 공용 서버의 데이터 업데이트 여부를 감지하고, 필요에 따라 감지된 데이터 업데이트 내용을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및 공용 서버가 업데이트하도록 업데이트 신호를 생성한다.In the database management step (S300), the service server detects whether the data of the provid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server are updated, and generates an update signal so that the provid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server update the detected data update content as necessary. do.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관리 단계(S300)는, 제공된 식품에 이상이 존재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서 해당 식품에 대한 식품이력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상 발생 장소, 발생 일시, 피해인원 및 증상 정보를 포함하는 이상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고, 서비스 서버는 수신된 이상정보 데이터를 공급자 단말기와 공용 서버에 전달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n the database management step (S300),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rovided food, the user terminal requests and receives food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food from the service server, and the abnormality occurrence location, date and time of occurrence, number of victims and symptom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nd transmit the abnormal information data included therein to the service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additionally performs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abnormal information data to the provider terminal and the public server.

(적용예)(Application example)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의 적용예를 설명한다. 본 적용예에서 사용자는 학교의 영양사이고, 공급자 단말기(110)와 사용자 단말기(120)는 식품이력 추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인 것으로 가정한다.Hereinafter,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food history track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user is a nutritionist at a school, and the provider terminal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 are smartphones in which an app capable of performing a food history tracking method is installed.

공급자는 공급자 단말기(110)를 통해 공급할 식품 정보를 입력하고, 이는 데이터 네트워크(101)를 통해 공용 서버(130)에 전달된다. 공용 서버(130)는 서비스 서버(150)의 요청에 따라 이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입력되는 식품 정보는 예를 들면, 돈육일 경우, 도축 및 포장자, 포장일자, 유통기한, 중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 정보는 식품 자체 또는 그 포장재에 바코드나 QR코드의 정보와 동기화된다.The supplier inputs food information to be supplied through the supplier terminal 110 , which is transmitted to the public server 130 through the data network 101 . The public server 130 provides thi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ervice server 150 . In this case, the input food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slaughter and packer, packaging date, expiration date, and weight information in the case of pork. In addition, the above information is synchroniz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barcode or QR code on the food itself or its packaging.

공용 서버(130)는 식품 정보와 이의 유통에 따라 발생되는 이력 정보를 취합하여 식품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서비스 서버(150)에 제공한다.The public server 130 collects food information and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its distribution, generates and stores food history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service server 150 as necessary.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20)를 사용하여, 입고된 식품의 바코드나 QR코드 등을 통해 서비스 서버(150)에서 제공하는 식품이력 정보를 확인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 식자재로 이용한다.The user uses the user terminal 120 to check the food history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150 through the barcode or QR code of the received food, and if there is no abnormality, it is used as food material.

한편, 식자재로 이용된 식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예를 들면 피급식자에게 식중독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20)를 사용하여 이상이 의심되는 식품에 대한 식품이력 정보를 서비스 서버(150)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상 발생 장소, 발생 일시, 피해인원 및 증상 정보를 포함하는 이상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50)로 송신한다. 서비스 서버(150)는 수신된 이상정보 데이터를 공급자 단말기(110)와 공용 서버(130)에 전달한다. 이를 통해 식품의 이상에 따른 피해의 확산을 빠르게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대처와 원인 규명이 조속히 수행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food used as a food material (for example, when food poisoning occurs in the feeder), the user uses the user terminal 120 to transmit food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food suspected of being abnormal to the service server ( 150),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bnormal information data including abnormal occurrence location, occurrence date and time, number of victims and symptom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150 . The service server 150 transmits the received abnormal information data to the provider terminal 110 and the public server 130 .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quickly prevent the spread of damage caused by abnormalities in food, and countermeasures and identification of the cause can be carried out promptly.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chang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who have should understand.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ccordingly,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0: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 101: 데이터 네트워크
110: 공급자 단말기 120: 사용자 단말기
130: 공용 서버 150: 서비스 서버
152: 통신부 154: 감지부
155: 제어부 156: 데이터베이스부
100: food traceability system 101: data network
110: provider terminal 120: user terminal
130: public server 150: service server
152: communication unit 154: detection unit
155: control unit 156: database unit

Claims (7)

고유의 식별 ID를 갖고, 통신 기능과 데이터 입출력 기능을 가지며, 식품 공급자의 조작에 따라 공급될 식품 정보를 생성하고, 서비스 서버 및 공용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공급자 단말기;
고유의 식별 ID를 갖고, 통신 기능과 데이터 입출력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식품 정보를 저장하고, 식품의 유통에 따른 이력 정보를 저장하며, 서비스 서버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식품 정보 및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식품이력정보를 제공하는 공용 서버; 및
상기 공용 서버로부터 식품이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식품이력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공용 서버 및 서비스 서버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하는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
a provider terminal having a unique identification ID,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data input/output function, generating food information to be supplie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food supplier,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service server and a public server;
a user terminal having a unique identification ID,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data input/output function,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 public server that stores foo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vider terminal, stores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food, and provides food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stored food information and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 service server; and
and a service server that receives food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public server and provides the food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provid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the public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are mutually connected through a data network A food traceability system that communic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식품 정보는 식품 또는 식품의 포장재에 부착되는 상품 표시 레벨과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ood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supplier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synchronized with the product display level attached to the food or food packaging material, food history track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및 공용 서버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및 공용 서버의 데이터 업데이트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통신부, 감지부, 데이터베이스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데이터 업데이트 내용을 상기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및 공용 서버가 업데이트하도록 업데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ice server i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provid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server;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data of the provid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server is updated:
a database unit for stor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the sensing unit, and the database unit, and generating an update signal so that the provid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server update the data update conten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s necessary,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mmunication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od history track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제공된 식품에 이상이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식품에 대한 식품이력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상 발생 장소, 발생 일시, 피해인원 및 증상 정보를 포함하는 이상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수신된 이상정보 데이터를 상기 공급자 단말기와 공용 서버에 전달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rovided food, the user terminal requests and receives food history information for the food from the service server, and generates abnormal information data including the abnormality location, the date of occurrence, the number of victims and symptom information. send to the service server,
The service server, food history trac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performs 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abnormal information data to the provider terminal and the public server.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공용 서버 및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서 식품 공급자의 조작에 따라 공급될 식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공용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공용 서버로부터 식품 정보와 식품의 유통에 따른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베이스 생성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및 공용 서버의 데이터 업데이트 여부를 감지하고, 필요에 따라 감지된 데이터 업데이트 내용을 상기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및 공용 서버가 업데이트하도록 업데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이력 추적 방법.
In the food history tracking system comprising a supplier terminal, a user terminal, a public server and a service server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data network,
a database creation step of generating food information to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ood supplier in the supplier terminal,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public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receiving food information and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food from the public server;
a data providing step in which the service server provides the data generated in the database creation step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and
Database management step in which the service server detects whether data of the provid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server are updated, and generates an update signal so that the provid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server update the detected data update content as necessary ; Food history tracking method includ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생성 단계는: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식품 정보는 식품 또는 식품의 포장재에 부착되는 상품 표시 레벨과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이력 추적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atabase creation step includes:
Food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supplier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synchronized with the product display level attached to the food or food packaging material, food history tracking meth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단계는:
제공된 식품에 이상이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해당 식품에 대한 식품이력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상 발생 장소, 발생 일시, 피해인원 및 증상 정보를 포함하는 이상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수신된 이상정보 데이터를 상기 공급자 단말기와 공용 서버에 전달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이력 추적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atabase management steps include: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rovided food, the user terminal requests and receives food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food from the service server, and generates abnormal information data including abnormality occurrence location, occurrence date and time, number of victims and symptom information. send to the service server,
The service server, food history track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abnormal information data to the provider terminal and the public server.
KR1020190159784A 2019-12-04 2019-12-04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food history information KR202100699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84A KR20210069934A (en) 2019-12-04 2019-12-04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food history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84A KR20210069934A (en) 2019-12-04 2019-12-04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food history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934A true KR20210069934A (en) 2021-06-14

Family

ID=7641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784A KR20210069934A (en) 2019-12-04 2019-12-04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food history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993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821A (en) * 2021-11-10 2023-05-17 고기영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forgery of food monitoring data based on blockcha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706B1 (en) 2012-11-30 2015-03-18 대한민국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ood safety through online
KR101871468B1 (en) 2017-08-02 2018-06-26 조진한 Block-chain based total system for managing history of agricultural, marine and livestock produc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706B1 (en) 2012-11-30 2015-03-18 대한민국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ood safety through online
KR101871468B1 (en) 2017-08-02 2018-06-26 조진한 Block-chain based total system for managing history of agricultural, marine and livestock produ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821A (en) * 2021-11-10 2023-05-17 고기영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forgery of food monitoring data based on blockcha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51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d providing provenance of product
Kayikci et al. Food supply chain in the era of Industry 4.0: Blockchain technology implementation opportunities and impedi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 process, performance, and technology
US101764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d providing provenance of product using blockchain
Aung et al. Traceability in a food supply chain: Safety and quality perspectives
Kadir et al. Halal supply chain management streamlined practices: Issues and challenges
Blaha et al. Blockchain application in seafood value chains
Council Our organisation
Cuinas et al. Rfid-based traceability along the food-production chain [Wireless Corner]
Beyens et al. Institutional challenges and constraints for Ghana in exporting fishery products to the European Union
Charlebois et al. Food recalls and risk perception: An exploratory case of the XL foods and the biggest food recall in Canadian history
Hofherr et al. Regulatory frameworks for seafood authenticity and traceability
Patel et al. Blockchain technology in food safety and traceability concern to livestock products
KR20210069934A (en)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food history information
Tsoukas et al. Blockchain technology in food supply chain: A state of the art
Holley Smarter inspection will improve food safety in Canada
Gessner et al. One-up, one-back ERM in the food supply chain
US11861548B2 (en)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that practically applies networked computing technology and machine-readable indicia to support traceability of products from providers to clients
Lehr Communicating food safety, authenticity and consumer choice. Field experiences
KR20160120576A (en) System and method for lifecycle history management of products
Jackson New risks to the missing middle of global meat supply chains
WO2020184470A1 (en)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for goods and services
Zhang et al. Food safety and technological implications of food traceability systems
Daud et al. The Practice of Halal Certification: A Case of Malaysia's Halal Meat-Based Industry
Forbes et al. Breach with intent: a risk analysis of deliberate security breaches in the seafood supply chain
Leon et al. A perspective of food safety laws in Mex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