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504A - Method for launching target application on smart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launching target application on smart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504A
KR20210067504A KR1020190157202A KR20190157202A KR20210067504A KR 20210067504 A KR20210067504 A KR 20210067504A KR 1020190157202 A KR1020190157202 A KR 1020190157202A KR 20190157202 A KR20190157202 A KR 20190157202A KR 20210067504 A KR20210067504 A KR 20210067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application
vehicle
target appl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2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2158B1 (en
Inventor
김현민
Original Assignee
(주)텔레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텔레컨스 filed Critical (주)텔레컨스
Priority to KR102019015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158B1/en
Publication of KR20210067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5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1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68Immediately runnable code
    • G06F9/44584Portable applications, i.e. making applications self-contained, e.g. U3 stand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method for executing a target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p of detecting that a smart device mounted on a vehicle cradle starts charging;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rection in which a screen of the smart device faces is within a setting direction and a preset error range, which are preset directions, using a sensor mounted on the smart device when the smart device starts charging; and a step of selectively executing a target application that is an application pre-registered in the smart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having an effect of automatically executing a preset target application.

Description

스마트기기의 타겟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어플리케이션{METHOD FOR LAUNCHING TARGET APPLICATION ON SMART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Target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of smart device and application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METHOD FOR LAUNCHING TARGET APPLICATION ON SMART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에서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xecuting a target application on a smart device and an application for a smart device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2019년 현재 우리나라의 휴대전화 보급률은 100%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스마트폰 사용자가 약 95%를 차지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폰 보급률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미국과 호주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81%, 독일은 78%, 영국은 76%, 프랑스는 75%, 일본은 66%로 조사됐다.As of 2019, the penetration rate of mobile phones in Korea was 100%, and among them, smartphone users accounted for about 95%, representing the world's highest level of smartphone penetration. In addition, smartphone penetration rates in the US and Australia were 81%, Germany 78%, UK 76%, France 75%, and Japan 66%.

또한, 2018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는 2천3백만대에 이르러, 인구 2.234명당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리나라는 약 45%의 자동차 보급률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In addition, as of 2018, the cumulative number of registered automobiles in Korea reached 23 million, indicating that there is one automobile per 2.234 people of the population.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Korea has an automobile penetration rate of about 45%.

이런 가운데, 자동차 운전자가 자동차에서 내비게이션, 음악감상 등의 목적으로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하는 경우도 자연스레 늘어나고 있다. In the midst of this, the number of car drivers using smart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in their cars for navigation and listening to music is naturally increasing.

따라서, 자동차 운전자가 자동차에서 보다 편리하게 스마트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마트기기의 타겟어플리케이션을 간편하게 실행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allow a car driver to use a smart device more conveniently in a car, a method for conveniently executing a target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and an application for a smart device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are emerging.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한 후,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미리 설정된 타겟어플리케이션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스마트기기의 타겟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executing a target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that enables a preset target application to be automatically executed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after a user mounts the smart device on a vehicle cradle and a method thereof We want to provide an application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타겟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된 스마트기기에 충전이 시작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에 충전이 시작되면, 상기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인 설정방향과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스마트기기에 미리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인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detecting that charging is started in a smart device mounted on a vehicle cradle; When the charging of the smart device starts, using a sensor mounted on the smart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faces is within a preset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error range; and selectively executing a target application, which is an application pre-registered in the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방향이 복수개 존재할 때, 상기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설정방향 각각에 대응되어 등록된 상기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tting directions, the executing of the target application may execute the registered target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directions.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이 시작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의 이전에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화면의 방향이 조정된 후, 상기 스마트기기의 화면의 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방향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tt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after the smart device is mounted on the vehicle cradle and the direction of the screen is adjusted by the user before the step of detecting the start of the charging It may further include; registering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방향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위치와 상기 타겟어플리케이션을 더 등록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tep of registering the setting direction may further register the location of the smart device and the target applic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거치대가 설치된 차량, 상기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위치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설정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가 서버에게 제공되어 수집될 때,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기기가 사용되는 차량에 대한 정보인 차량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차량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위치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설정방향에 관한 정보인 추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use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vehicle in which the vehicle holder is installe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hicle holder and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is provided to and collected from the server, the vehicle in which the smart device is used from the user receiving vehicl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transmitting the vehicle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receiving, from the server,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about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vehicle cradle and a setting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recommended information to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겟어플리케이션은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음악 또는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일 수 있다.Preferably, the target application may be one of a navigation application, a music or video streaming application, a music playback application, and a video playback application.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은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된 스마트기기에 충전이 시작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스마트기기에 충전이 시작되면, 상기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인 설정방향과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스마트기기에 미리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인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mart de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at the charging starts in the smart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cradle; When the charging of the smart device is started, using a sensor mounted on the smart devic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faces is within a preset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error range; and an execution unit for selectively executing a target application, which is an application pre-registered in the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방향이 복수개 존재할 때, 상기 실행부는 상기 복수의 설정방향 각각에 대응되어 등록된 상기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plurality of setting directions exist, the execution unit may execute the registered target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directions.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화면의 방향이 조정된 후, 상기 스마트기기의 화면의 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방향을 등록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mar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the sett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after the smart device is mounted on the vehicle cradle and the direction of the screen is adjusted by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부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위치와 상기 타겟어플리케이션을 더 등록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egistration unit may further register the location of the smart device and the target applic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거치대가 설치된 차량, 상기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위치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설정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가 서버에게 제공되어 수집될 때,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기기가 사용되는 차량에 대한 정보인 차량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차량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위치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설정방향에 관한 정보인 추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use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vehicle in which the vehicle holder is installe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hicle holder and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is provided to and collected from the server, the vehicle in which the smart device is used from the user an input unit for receiving vehicle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vehicle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from the server,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about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hicle cradle and a setting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겟어플리케이션은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음악 또는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일 수 있다.Preferably, the target application may be one of a navigation application, a music or video streaming application, a music playback application, and a video playback appl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타겟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한 후,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미리 설정된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utomatically executing a preset target application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after the user mounts the smart device on the vehicle crad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타겟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스마트기기의 화면 방향, 스마트기기의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탑승자에게 다양한 종류의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executing a target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executes and provides various types of target applications to the occupants of the vehicle using information on the screen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the location of the smart device, etc. can have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타겟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타겟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차량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executing a target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executing a target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vehicle cradle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ption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ption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something to do.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기기 및 노트북PC 등에 해당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컴퓨팅 장치가 될 수 있다.The sma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a smartphone, a tablet, a wearable device, and a notebook P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 types of computing devices that can be mounted on a vehicle crad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타겟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executing a target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110에서는, 스마트기기가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된 스마트기기에 충전이 시작되는 것을 감지한다.In step S110, the smart device detects that charging is started in the smart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cradle.

예컨대, 스마트기기는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된 후, 스마트기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이 시작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스마트기기와 차량용 거치대는 장착된 직후 자기 유도방식(예, Qi)으로 무선 충전이 시작될 수 있다. 또한, 유선 충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마트기기에 전원선을 연결하여 유선 충전이 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기기는 차량용 거치대(510)에 장착된 이후, 무선으로 충전이 시작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the smart device is mounted on the vehicle cradle, it may detect that charging of the smart device is started by wire or wirelessly. In this case, wireless charging may be started in a magnetic induction method (eg, Qi) immediately after the smart device and the vehicle cradle supporting wireless charging are mounted. In addition, when using wired charging, the user may connect the power line to the smart device to start wired charging.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 after the smart device is mounted on the vehicle cradle 510 , charging may be started wirelessly.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기기가 차량용 거치대에 내장된 NFC 태그를 인식하여,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mart device may recognize the NFC tag embedded in the vehicle cradle to detect that it is mounted on the vehicle cradle.

이때, 스마트기기는 무선 충전을 지원하여, 역시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차량용 거치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smart device supports wireless charging, and may receive power from a vehicle cradle that also supports wireless charging.

단계 S120에서는, 스마트기기가 스마트기기에 충전이 시작되면,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인 설정방향과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인지 판단한다.In step S120, when the smart device starts charging the smart device, using a sensor mounted on the smart devic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faces is within a preset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error range.

이때, 스마트기기는 충전이 시작되는 것을 감지하면, 탑재된 센서(예, 가속도센서 등)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과 미리 설정된 설정방향을 비교하여 오차 범위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는 차량의 진동 및 사용자의 스마트기기 조작 등으로 인하여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회 판단함으로써, 그 판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mart device detects that charging is started, it can determine whether it is within an error range by comparing the direction that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faces with a preset direction using a mounted sensor (eg, an acceleration sensor, etc.).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an error from occurring due to vibration of a vehicle or a user's manipulation of the smart device, the smart device may be determined multiple times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e determination.

예컨대, 설정방향은 사용자가 차량의 운전석에 앉았을 때, 스마트기기의 화면이 그 운전석에 앉은 사용자를 향하도록 설정된 방향일 수 있다. 하지만, 설정방향은 운전석에 앉은 사용자를 향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조수석에 탑승한 사용자를 향하도록 설정되거나, 차량의 뒷좌석에 탑승한 사용자를 향하도록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the setting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is set to face the user sitting in the driver's seat when the user sits i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However, the setting direction is not limited to face the user sitting in the driver's seat, and may be set to face the user riding in the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or set to face the user riding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또한, 차량용 거치대를 차량에 착탈하면서, 그 설치 위치나 방향에 변동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기기는 소정의 오차 범위를 두어 스마트기기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이 설정방향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오차 범위는 미리 정해진 범위이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가능한 범위일 수 있다.In addition, while attaching and detaching the vehicle cradle to the vehicle, since variations may occur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or direction, the smart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is facing coincides with the setting direction by setting a predetermined error range. In this case, the error range may be a predetermined range or a range settable by a user.

마지막으로 단계 S130에서는, 스마트기기가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마트기기에 미리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인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Finally, in step S130, the smart device selectively executes the target application, which is an application pre-registered in the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예컨대, 스마트기기는 그 오차 범위 이내에서 스마트기기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이 설정방향과 일치하면,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irection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faces within the error range matches the set direction, the smart device may automatically execute the target application to be used by the user.

반면에, 스마트기기는 스마트기기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이 설정방향이 그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 device may not execute the target application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faces is out of the error range.

이때, 타겟어플리케이션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종류 및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arget application may be one or more, and various types and numbers of applications may be designated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기기가 설정방향이 복수개 존재할 때, 그 복수의 설정방향 각각에 대응되어 등록된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mart device has a plurality of setting directions, it may execute a registered target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directions.

예컨대, 설정방향은 차량의 운전석에 앉은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 차량의 조수석 탑승자를 향하는 방향, 뒷좌석 탑승자를 향하는 방향 등으로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나아가, 차량의 운전석에 앉은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도 설정에 따라 복수의 방향이 존재할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setting directions may exist in a direction toward a user sitting i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 direction toward a passenger seat passenger of the vehicle, a direction toward a rear seat passenger, and the like. Furthermore, a plurality of directions may exist according to a direction toward the user sitting i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etting.

이때, 스마트기기는 그 복수의 설정방향 각각에 개별적으로 등록된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기기는 설정방향이 차량의 운전석 탑승자를 향하는 방향인 경우에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설정방향이 차량의 뒷좌석 탑승자를 향하는 방향인 경우에는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또는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예, YouTube 등)을 실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mart device may execute the target application individually registe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directions. More specifically, the smart device executes the vehicle navigation application when the setting direction is toward the driver's seat occupant of the vehicle, and a video playback program or video streaming application (e.g., when the setting direction is toward the rear seat occupant of the vehicle) YouTube, etc.).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기기가 차량용 거치대의 설정위치 및 스마트기기의 설정방향에 관한 정보인 추천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mart device may provide the user with recommenda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the setting position of the vehicle cradle and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즉, 사용자가 차량을 새로 구매하였거나, 차량용 거치대를 새로 구매한 경우, 그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이 어떻게 차량용 거치대를 차량에 설치하고, 스마트기기를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할 수 있다.That is, when a user purchases a new vehicle or a vehicle cradle, the user may need information on how other users install the vehicle cradle in the vehicle and mount the smart device to the vehicle cradle. .

첫번째로, 스마트기기가 사용자로부터 스마트기기가 사용되는 차량에 대한 정보인 차량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First, the smart device may receive vehicl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in which the smart device is used, from the user.

예컨대, 스마트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모델명 및 연식에 관한 차량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는 차량의 모델과 연식에 따라, 실내 디자인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For example, the smart device may receive vehicle information regarding the model name and year of the vehicle from the user. This is because the interior desig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odel and year of the vehicle.

두번째로, 스마트기기가 차량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Second, the smart device may transmit vehicle information to the server.

즉, 스마트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차량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기기는 3G, LTE 또는 무선랜 등의 다양한 통신 수단을 이용해, 서버에 접속하여 차량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at is, the smart device may transmit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server. In this case, the smart device may connect to the server and transmit vehicle information using variou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3G, LTE, or wireless LAN.

마지막으로, 스마트기기가 서버로부터, 차량정보에 대응되는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위치 및 스마트기기의 설정방향에 관한 정보인 추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Finally, the smart device may receive from the server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abou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hicle cradle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and may provide it to the user.

즉, 스마트기기는 서버로부터 해당 차량정보에 포함된 차량과 동일한 환경(예, 모델명, 연식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의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위치 및 스마트기기의 설정방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그 추천정보를 스마트기기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smart device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vehicle cradle and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of other users who are using the same environment (eg, model name, year, etc.) as the vehicle includ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By displaying the recommended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예컨대, 다른 사용자들의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위치는 도 6을 참조하면, 운전석 좌측의 윈드쉴드(610), 운전석 우측의 윈드쉴드(620), 운전석 우측의 송풍구(630), 운전석 좌측의 송풍구(640)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종류 및 연식에 따라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 for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other users' vehicle cradles, the windshield 610 on the left side of the driver's seat, the windshield 620 on the right side of the driver's seat, the air outlet 630 on the right side of the driver's seat, the air outlet 640 on the left side of the driver's seat. etc. He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hicle cradl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and year of the vehicle.

이때, 서버는 동일한 차량 환경에서 사용 중인 다른 사용자들의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위치 및 스마트기기의 설정방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빈값, 평균값, 중간값 등으로 추천정보를 생성하여 스마트기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er uses information abou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vehicle cradle of other users and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being used in the same vehicle environment, and generates recommendation information using the mode, average value, median value, etc. and transmits it to the smart device. .

또한, 사용자는 추천정보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자신의 환경에 맞추어 일부 변경하여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위치 및 스마트기기의 설정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use the recommended information as it is, or change a part according to his or her environment to se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hicle cradle and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이를 위해, 스마트기기는 차량용 거치대가 설치된 차량,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위치 및 스마트기기의 설정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는 여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미리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mart device transmits use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vehicle in which the vehicle cradle is installe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vehicle cradle and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collects user information from several users in advance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can be kept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타겟어플리케이션은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음악 또는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target application may be one of a navigation application, a music or video streaming application, a music playback application, and a video playback application.

즉, 본 발명의 타겟어플리케이션은 차량용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거나, 그 목적에 따라 음악 또는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That is, the target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vehicle navigation application, or a music or video streaming application, a music playback application, and a video playback application depending on the purpose.

이때, 비록 차량의 운전석에 앉은 사용자에게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이나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은 적절치 않을 수 있지만, 뒷좌석이나 조수석에 탑승한 사용자에게는 아무런 문제없이 이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although it may not be appropriate to execute a video streaming application or a video playback application for a user sitting i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t may be used without any problem for a user sitting in the rear seat or the front passenger seat.

또한, 본 발명의 타겟어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용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음악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타겟어플리케이션으로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rget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or more, for example, a vehicle navigation application and a music streaming application may be simultaneously executed as the target applic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타겟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한 후,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미리 설정된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such,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utomatically executing a preset target application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after the user mounts the smart device on the vehicle cradle. there is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타겟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executing a target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210에서는, 스마트기기가 스마트기기가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화면의 방향이 조정된 후, 스마트기기의 화면의 방향에 대응되는 설정방향을 등록한다.In step S210, the smart device registers the sett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after the smart device is mounted on the vehicle cradle and the screen direction is adjusted by the user.

예컨대, 사용자가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된 스마트기기의 화면의 방향을 특정한 방향(예,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 등)을 향하도록 조정한 후, 스마트기기의 화면에 GUI형태로 제공되는 버튼을 눌러 현재의 스마트기기의 화면의 방향을 설정방향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스마트기기에서 설정방향을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실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the user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cradle to a specific direction (eg, driver's seat, front passenger's seat, rear seat, etc.) The orientation of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can be registered as the set orientation. To this end, the user may run the application for registering the setting direction in advance in the smart device.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기기가 스마트기기의 위치와 타겟어플리케이션을 더 등록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mart device may further register the location of the smart device and the target application.

즉, 스마트기기가 사용자에게 설정방향을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이와 함께 스마트기기의 위치와 타겟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타겟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ile the smart device provides an interface for registering the setting direction to the user, an interface for registering the location of the smart device and the target applicatio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this. In this case, the interface for registering the target application may register at least one target application.

이때, 스마트기기의 위치는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GPS등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동일한 스마트기기와 차량용 거치대를 이용하므로 장착 후 설정방향은 동일하지만, '집'에서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타겟어플리케이션 등록하고, '회사'에서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타겟어플리케이션으로 등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cation of the smart device may be obtained using GPS, etc. mounted on the smart device, and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For example, since the user uses the same smart device and the vehicle cradle, the setting direction after installation is the same, but in 'Home', the music playback application is registered as a target application, and in 'Company', the navigation application can be registered as the target application.

단계 S220에서는, 스마트기기가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된 스마트기기에 충전이 시작되는 것을 감지한다.In step S220, the smart device detects that charging is started in the smart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cradle.

단계 S230에서는, 스마트기기가 스마트기기에 충전이 시작되면,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인 설정방향과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인지 판단한다.In step S230, when the smart device starts charging the smart device, using a sensor mounted on the smart devic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faces is within a preset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error range.

마지막으로 단계 S240에서는, 스마트기기가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마트기기에 미리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인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Finally, in step S240, the smart device selectively executes the target application, which is an application pre-registered in the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300)은 감지부(310), 판단부(320) 및 실행부(33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등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n application 300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310 , a determining unit 320 , and an execution unit 330 . Optionally, it may further include a registration unit (not shown).

감지부(310)는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된 스마트기기에 충전이 시작되는 것을 감지한다.The sensing unit 310 detects that charging of the smart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cradle is started.

판단부(320)는 스마트기기에 충전이 시작되면,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인 설정방향과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인지 판단한다.When the charging of the smart device starts, the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whe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faces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and a preset direction using a sensor mounted on the smart device.

실행부(330)는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마트기기에 미리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인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The execution unit 330 selectively executes a target application, which is an application pre-registered in the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정방향이 복수개 존재할 때, 실행부(330)는 그 복수의 설정방향 각각에 대응되어 등록된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a plurality of setting directions exist, the execution unit 330 may execute a registered target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directions.

등록부(미도시)는 스마트기기가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화면의 방향이 조정된 후, 스마트기기의 화면의 방향에 대응되는 설정방향을 등록한다.The registration unit (not shown) registers a sett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after the smart device is mounted on the vehicle cradle and the direction of the screen is adjusted by the user.

다른 실시예에서는, 등록부(미도시)는 그 스마트기기의 위치와 타겟어플리케이션을 더 등록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registration unit (not shown) may further register the location and target application of the smart device.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타겟어플리케이션은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음악 또는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target application may be one of a navigation application, a music or video streaming application, a music playback application, and a video playback applica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300)은 감지부(310), 판단부(320), 실행부(330), 입력부(340), 전송부(350) 및 수신부(3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 the application 300 of the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310 , a determining unit 320 , an executing unit 330 , an input unit 340 , and a transmitting unit 350 . and a receiver 360 .

감지부(310)는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된 스마트기기에 충전이 시작되는 것을 감지한다.The sensing unit 310 detects that charging of the smart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cradle is started.

판단부(320)는 스마트기기에 충전이 시작되면,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인 설정방향과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인지 판단한다.When the charging of the smart device starts, the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whe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faces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and a preset direction using a sensor mounted on the smart device.

실행부(330)는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마트기기에 미리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인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The execution unit 330 selectively executes a target application, which is an application pre-registered in the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입력부(340)는 사용자로부터 스마트기기가 사용되는 차량에 대한 정보인 차량정보를 입력받는다.The input unit 340 receives vehicl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a vehicle in which the smart device is used, from the user.

전송부(350)는 차량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한다.The transmitter 350 transmits vehicle information to the server.

수신부(360)는 서버로부터, 차량정보에 대응되는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위치 및 스마트기기의 설정방향에 관한 정보인 추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receiving unit 360 receives, from the server, recommenda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vehicle cradle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and provides it to the user.

이때, 차량용 거치대가 설치된 차량,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위치 및 스마트기기의 설정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가 서버에게 제공되어 수집될 수 있다.In this case, use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vehicle in which the vehicle holder is installe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hicle holder and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may be provided to the server and collect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실행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된 스마트기기에 충전이 시작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에 충전이 시작되면, 상기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인 설정방향과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스마트기기에 미리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인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타겟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Detecting that charging is started in the smart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cradle;
When charging in the smart device is started, using a sensor mounted on the smart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faces is within a preset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error range;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selectively executing a target application that is an application pre-registered in the smart devic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of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방향이 복수개 존재할 때,
상기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설정방향 각각에 대응되어 등록된 상기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타겟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a plurality of the setting directions exist,
The step of executing the target application is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of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xecuting the registered target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이 시작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의 이전에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화면의 방향이 조정된 후, 상기 스마트기기의 화면의 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방향을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타겟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According to claim 1,
Before the step of detecting that the charging is started
registering the sett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after the smart device is mounted on the vehicle cradle and the screen direction is adjusted by the user;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of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방향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위치와 상기 타겟어플리케이션을 더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타겟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of registering the setting direction is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of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registering the location of the smart device and the target appl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거치대가 설치된 차량, 상기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위치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설정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가 서버에게 제공되어 수집될 때,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기기가 사용되는 차량에 대한 정보인 차량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차량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위치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설정방향에 관한 정보인 추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타겟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use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vehicle in which the vehicle holder is installe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hicle holder and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is provided to the server and collected,
receiving vehicl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a vehicle in which the smart device is used, from a user;
transmitting the vehicle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Receiving, from the server, recommenda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vehicle cradle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information and a setting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of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어플리케이션은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음악 또는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타겟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target application is
A method of executing a target application for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ne of a navigation application, a music or video streaming application, a music playback application, and a video playback application.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된 스마트기기에 충전이 시작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스마트기기에 충전이 시작되면, 상기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인 설정방향과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스마트기기에 미리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인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
a sensing unit that detects that charging of a smart device mounted on a vehicle cradle is started;
When the charging of the smart device starts, using a sensor mounted on the smart devic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faces is within a preset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error range; and
Execution unit that selectively executes a target application that is an application pre-registered in the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Smart device application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방향이 복수개 존재할 때,
상기 실행부는
상기 복수의 설정방향 각각에 대응되어 등록된 상기 타겟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a plurality of the setting directions exist,
the execution unit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xecuting the registered target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directio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화면의 방향이 조정된 후, 상기 스마트기기의 화면의 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방향을 등록하는 등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
8. The method of claim 7,
After the smart device is mounted on the vehicle cradle and the direction of the screen is adjusted by the user, a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the sett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위치와 상기 타겟어플리케이션을 더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egister is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registers the location of the smart device and the target applic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거치대가 설치된 차량, 상기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위치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설정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가 서버에게 제공되어 수집될 때,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기기가 사용되는 차량에 대한 정보인 차량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차량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위치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설정방향에 관한 정보인 추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use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vehicle in which the vehicle holder is installe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hicle holder and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is provided to the server and collecte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vehicl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a vehicle in which the smart device is used, from a user;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vehicle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from the server,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about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vehicle cradle and a setting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user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어플리케이션은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음악 또는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어플리케이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arget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ne of a navigation application, a music or video streaming application, a music playback application, and a video playback application.
KR1020190157202A 2019-11-29 2019-11-29 Method for launching target application on smart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KR1022621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202A KR102262158B1 (en) 2019-11-29 2019-11-29 Method for launching target application on smart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202A KR102262158B1 (en) 2019-11-29 2019-11-29 Method for launching target application on smart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504A true KR20210067504A (en) 2021-06-08
KR102262158B1 KR102262158B1 (en) 2021-06-09

Family

ID=7639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202A KR102262158B1 (en) 2019-11-29 2019-11-29 Method for launching target application on smart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15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622A (en) * 2012-09-07 2014-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pplication for vehicle interworking mobile device
KR20150033355A (en) * 2013-09-24 2015-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04264B1 (en) * 2015-09-22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apparatus with automated alignment and method thereof
JP2017138843A (en) * 2016-02-04 2017-08-1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by the same, and computer-executable progr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622A (en) * 2012-09-07 2014-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pplication for vehicle interworking mobile device
KR20150033355A (en) * 2013-09-24 2015-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04264B1 (en) * 2015-09-22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apparatus with automated alignment and method thereof
JP2017138843A (en) * 2016-02-04 2017-08-1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by the same, and computer-executable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158B1 (en)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6093B2 (en) Connection management of smart devices with automobile head unit
US9508259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939133B1 (en) Detecting a user-to-wireless device association in a vehicle
US94516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in-vehicle communication with a portable device using NFC
CN106671914B (e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driving position of a driver
US201203031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user settings of vehicle components
AU20133613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n a smartphone is in a vehicle
US20140195125A1 (en) Motor vehicle
JP6061687B2 (en) In-vehicle device, program, and display method
US9241249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at an automotive head unit tha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outside a vehicle
US9495858B2 (en) Smart key reminder system for a vehicle
WO2016183825A1 (en) Method for positioning sounding location, and terminal device
US9439065B2 (en) Association of an identification stored in a mobile terminal with a location
US201602749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Available an Assistance Suggestion for a User of a Motor Vehicle
US20190285430A1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KR102262158B1 (en) Method for launching target application on smart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US89092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laimer presentation and confirmation
KR1015993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car driving associated information
US201501939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unapproved driving
JP2016203744A (en) Moving body environment setting device and moving body environment setting system
US10212265B2 (en) Process for wireless connection of mobile devices
WO2018223234A1 (en) Virtual instrument cluster system for a motorcycle
JP6350697B1 (en) In-vehicle device
CN110876074B (en)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of mobile device and apparatus therefor
KR20120094673A (en) Mobile terminal and car terminal and authenticode regist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