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956A -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vehicle for changing lane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vehicle for changing l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956A
KR20210066956A KR1020190154989A KR20190154989A KR20210066956A KR 20210066956 A KR20210066956 A KR 20210066956A KR 1020190154989 A KR1020190154989 A KR 1020190154989A KR 20190154989 A KR20190154989 A KR 20190154989A KR 20210066956 A KR20210066956 A KR 20210066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plan
lane
node
vehicle
vehicl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9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5207B1 (en
Inventor
김윤정
민경원
이선영
손행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54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207B1/en
Publication of KR20210066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9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2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0Path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63Lane change; Overtaking manoeuv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3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bstacle or wall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50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10Longitudinal speed

Abstract

Provided are a vehicle control method, a vehicle control device, a recording medium, and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According to the vehicle control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entire path plan according to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generates node set data which is a group of nodes from a current position to a destination by using the entire path plan, and generates a local path plan with respect to whether a lane is changed by using vehicle posi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node set data and the current position, and controls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local path plan to generate the path plan having a lane change from the existing lane to the destination to allow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o smoothly drive by using a navigation device.

Description

차선 변경을 포함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차량 제어 장치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vehicle for changing lane}{Device and method to control vehicle for changing lane}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선변경을 포함한 자율주행 자동차의 경로 계획을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a vehicle control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e planning of an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a lane chang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최근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최적의 경로를 안내해주는 네비게이션 기술이 높은 수준으로 발달되고 있다. Recently, navigation technology that guides an optimal route between a departure point and a destination has been developed at a high level.

하지만, 자율주행과 관련된 네비게이션 기능은 아직 미비하며, 특히 자율주행의 차선변경을 포함한 네비게이션을 위한 벡터맵의 구성에 대한 표준이 부족한 상황이다. However, the navigation function related to autonomous driving is still insufficient,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lack of standards for the composition of vector maps for navigation including lane change in autonomous driving.

기존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 경로 계획은 목적지에 가기 위해 따라가야 하는 차선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 도로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자율주행차량이 다른 차량 또는 장애물 때문에 차선변경이 제때 이뤄지지 못했을 경우 목적지에 제대로 도착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Existing driving route planning for autonomous vehicles does not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on the lanes to follow to get to the destination, and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surrounding road conditions at all.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utonomous vehicle cannot properly arrive at its destination if the lane change is not made in time due to other vehicles or obstacles.

이에 따라, 자율주행차량의 목적지를 고려한 차선변경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find a way to provide a lane change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destin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라 전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전역 경로 계획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노드들의 집합인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하며, 노드세트 데이터와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여부에 대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지역 경로 계획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방법, 차량 제어 장치, 기록매체 및 자율 주행 차량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 global route plan according to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o use the global route plan to control nodes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by using the global route plan. A vehicle control method for generating a set of node set data, generating a local route plan for lane change or not using the node set data and vehicle lo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nd controll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local route plan, vehicle To provide a control device, a recording medium and an autonomous vehicl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a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에 의한 차량 제어 방법은,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라 전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는 단계; 전역 경로 계획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노드들의 집합인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노드세트 데이터와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여부에 대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는 단계; 및 지역 경로 계획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vehicle control method by a vehicle control device includes: generating a global route plan according to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generating node set data that is a set of nodes from a current location to a destination using a global route plan; generating a local route plan for whether to change a lane by using the node set data and vehicle lo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nd controll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local route plan.

그리고, 차량위치 데이터는, 현재 차선 아이디, 왼쪽 차선 아이디, 오른쪽 차선 아이디, 이전 차선 아이디, 다음 차선 아이디, 이전 노드 아이디, 현재 노드 아이디, 및 다음 노드 아이디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vehicle location data may include a current lane ID, a left lane ID, a right lane ID, a previous lane ID, a next lane ID, a previous node ID, a current node ID, and a next node ID.

또한, 지역 경로 계획 생성단계는, 다음 노드를 목적 노드로 설정하여, 목적 노드와 현재 차선을 비교하여 차선 변경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차선 변경이 필요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직진을 유지하는 것으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regional route plan generation step, the next node is set as the destination node, the destination node and the current lane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a lane change is necessary,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ane change is not necessary, the local route is maintained straight. You can also create route plans.

그리고, 왼쪽 차선의 장애물 존재 여부 및 오른쪽 차선의 장애물 존재 여부에 대한 장애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obstacle information on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a left lane and an obstacle in a right lane.

또한, 지역 경로 계획 생성단계는, 차선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경 대상 차선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직진을 유지하는 것으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local route plan generation step, if it is determined that a lane change is necessary, it is determined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the change target lan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a local route plan may be generated by maintaining straight. have.

그리고, 지역 경로 계획 생성단계는, 직진을 유지하면서 속도를 특정값만큼 감속하는 것으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할 수도 있다. Also,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local route plan, the local route plan may be generated by decelerating the speed by a specific value while maintaining the straight line.

또한, 지역 경로 계획 생성단계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경 대상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는 것으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할 수도 있다. Also,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local route pla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obstacle, the local route plan may be generated by changing the lane to the change target lane.

그리고, 전역 경로 계획 생성 단계는, 차선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고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직진을 유지하는 것으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한 상황에서, 목적 노드와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전역 경로 계획을 재생성할 수도 있다. And, in the global path plan generation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lane change is necessary and an obstacle exists and the local path plan is generated to keep going straight, if the distance to the destination nod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the global path plan can also be regenerated.

또한, 현재 위치가 현재 노드를 지나간 위치인 경우, 차량위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다음 노드를 목적 노드로 설정할 수도 있다. Also, when the current location is a location past the current node, the vehicle location data may be updated, and the next updated node may be set as the target nod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에 의한 차량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라 전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는 단계; 전역 경로 계획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노드들의 집합인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노드세트 데이터와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여부에 대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는 단계; 및 지역 경로 계획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a vehicle control method by a vehicle control device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a global route plan according to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 generating node set data that is a set of nodes from a current location to a destination using a global route plan; generating a local route plan for whether to change a lane by using the node set data and vehicle lo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nd controll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local route plan;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a vehicle control method including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라 전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전역 경로 계획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노드들의 집합인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하며, 노드세트 데이터와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여부에 대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지역 경로 계획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and generating a global route plan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generating node set data that is a set of nodes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using the global route plan, and generating the node set data and the vehicl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local route plan for whether to change lanes by using the data and controll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local route pla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은, 현재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라 전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전역 경로 계획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노드들의 집합인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하며, 노드세트 데이터와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여부에 대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지역 경로 계획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nomous vehicle includ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for detec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 input unit for receiving destination information; and generating a global route plan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generating node set data that is a set of nodes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using the global route plan, and generating the node set data and the vehicl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nd a vehicle control device for generating a local route plan for whether to change a lane by using the data, and controll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local route pla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라 전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전역 경로 계획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노드들의 집합인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하며, 노드세트 데이터와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여부에 대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지역 경로 계획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방법, 차량 제어 장치, 기록매체 및 자율 주행 차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자율주행차량이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기존 차선에서 목적지까지 차선변경을 포함한 경로계획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global route plan is generated according to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and node set data that is a set of nodes from a current location to a destination is generated using the global route plan, and node set data and vehicle lo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to generate a local route plan for lane change and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method, vehicle control device, recording medium and autonomous driving vehicle for controll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local route plan. Thus, it is possible to create a route plan including a lane change from the existing lane to the destination so that the autonomous vehicle can drive smoothly using the navigation system.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 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위치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전반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색트리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역 경로 계획 및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a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explain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no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vehicle loca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operation of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search tree gene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process of generating a global route plan and node set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process of generating a local route pl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owever,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omitted. Also, it should be noted that throughout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for describing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o limit the components. not used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is logically or physically connected or can be connected.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other word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and may be in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ne or th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group”,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have.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Also, "a or an", "one", "the" and similar terms are otherwise indicated herein in the context of describing the invention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following claims). or may be used in a sense including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unless clearly contradicted by contex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율주행차량(10)은 라이다(20), 카메라(30), GPS(40), 입력부(50) 및 차량제어장치(100)를 포함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the autonomous vehicle 10 includes a lidar 20 , a camera 30 , a GPS 40 , an input unit 50 , and a vehicle control device 100 .

라이다(20)는 자율주행차량(10)의 주변에 배치된 사물들의 거리를 측정한다. The lidar 20 measures the distance of objects arranged around the autonomous vehicle 10 .

구체적으로, 라이다(Lidar)(20)는 레이저 펄스를 발사하고, 그 빛이 주위의 대상 물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받아 물체까지의 거리 등을 측정함으로써 주변의 모습을 정밀하게 그려내는 장치이다. 라이다(LIDAR)는 영어로 LIght Detection And Ranging의 약자로 풀이되기도 하지만 그 이름의 기원을 따지면 "light”와 "radar(radio detection and ranging)”를 혼합하여 만든 합성어이다. 즉 라이다라는 명칭은 전파 대신에 빛을 쓰는 레이다를 뜻하는 것으로, 라이다는 전통적인 레이다와 원리가 같으나 그 사용하는 전자기파의 파장이 다르므로 실제 이용 기술과 활용 범위는 다르다.Specifically, the lidar 20 is a device that precisely draws the surroundings by emitting a laser pulse,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urrounding target object, and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object. . LIDAR is sometimes interpreted as an abbreviation of LIght Detection And Ranging in English, but the origin of its name is a compound word created by mixing “light” and “radar (radio detection and ranging)”. In other words, the name lidar refers to a radar that uses light instead of radio waves. Although the principle of lidar is the same as that of a traditional radar, the wavelength of the electromagnetic wave used is different, so the actual application technology and range of application are different.

라이다(20)는 대상 물체까지의 거리 뿐 아니라 움직이는 속도와 방향, 온도, 주변의 대기 물질 분석 및 농도 측정 등에 쓰인다. 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 등을 사용하여 금속성인 아닌 바위나 구름, 빗방울, 에어로졸 등을 감지할 수 있어서 기상 관측에 이용되고, 지형을 정밀하게 그려내거나, 비행체의 착륙 유도나 자율 주행차의 주변 인식 장치로 사용되며, 또한 분자마다 잘 산란시키는 빛의 파장이 다른 현상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 섞여 있는 기체의 화학적 조성을 알아내는데 쓰이기도 한다.The lidar 20 is used for not only the distance to the target object, but also the moving speed and direction, temperature, and analysis and concentration of surrounding atmospheric substances. It can detect non-metallic rocks, clouds, raindrops, aerosols, etc. using ultraviolet, visible, and near-infrared rays, so it can be used for weather observation, to accurately draw terrain, to guide the landing of aircraft, or to recognize the surroundings of autonomous vehicles. It is used as a device and is also used to find ou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 gas mixed in the air by using the phenomenon that the wavelength of light that scatters well for each molecule is different.

최근 들어 라이다는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는 센서의 핵심 기술로 등장하였다. 라이다를 항공기에 장착하고 비행하면서 레이저 펄스를 지표면에 발사해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반사 지점의 공간 위치를 분석하여 지형을 측량하면, 구조물에 따라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이 다르므로 이로부터 광학영상으로는 얻기 어려운 3차원 모델을 얻을 수 있다. 지상 라이다는 여기에 GPS로 얻은 위치 좌표를 결합하여 정밀한 데이터를 얻기도 한다.In recent years, lidar has emerged as a core technology for sensors that acquire information necessary to implement 3D images. If the topography is surveyed by analyzing the spatial location of the reflection point by measuring the return time by firing a laser pulse to the ground while flying with the lidar mounted on the aircraft, the reflection and return tim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ructure, so the optical image is obtained from this. It is possible to obtain a 3D model that is difficult to obtain. Ground LiDAR can also combine this with GPS location coordinates to obtain precise data.

라이다(20)는 대체로 레이저, 스캐너, 수신기, 위치 확인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레이저는 용도에 따라 다른 파장을 갖는데, 대체로 600-1000nm 파장의 빛을 사용한다. 그러나 사람의 눈에 입히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 보다 긴 파장대의 빛을 사용하기도 한다. 스캐너는 주위를 재빠르게 훑어서 정보를 얻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형태의 거울들이 응용되고 있다. 수신기는 돌아오는 빛을 감지하는 부분으로, 수신기가 가지는 빛에 대한 민감도는 라이다의 성능을 좌우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근본적으로 수신기는 광자를 감지하여 이를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 확인 시스템은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수신기가 놓여 있는 위치 좌표와 방향을 확인하는 부분이다.The lidar 20 generally consists of a laser, a scanner, a receiver, and a positioning system. Lasers have different wavelength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and generally use light with a wavelength of 600-1000 nm. However, to reduce damage to the human eye, longer wavelength light is sometimes used. The scanner is the part that allows you to quickly scan your surroundings to get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various types of mirrors are being applied. The receiver is a part that detects the returning light, and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er to the light is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the performance of the lidar. Essentially, the receiver detects photons and amplifies them. The positioning system is a part that confirms the position coordinates and direction where the receiver is placed in order to implement a 3D image.

카메라(30)는 자율주행차량(10)의 주변에 대한 동영상을 촬영한다. The camera 30 shoots a video about the autonomous vehicle 10 .

이외에도, 자율주행차량(10)은 GPS가 포함되어 자신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tonomous vehicle 10 may include GPS to detect information about its current lo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40)는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으로, 현재위치 정보를 감지한다.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40 is a satellite navigation system that receives a signal from a GPS satellite and calculates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detec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입력부(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50)는 터치스크린이나 버튼이나 휠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The input unit 50 receives destination information through a user interface. The input unit 50 receives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hrough a user interface such as a touch screen or a button or wheel.

차량 제어 장치(100)는 자율주행차량(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차량 제어 장치(100)는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라 전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전역 경로 계획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노드들의 집합인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하며, 노드세트 데이터와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여부에 대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지역 경로 계획에 따라 주행하도록 자율주행차량(10)을 제어한다.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 Specifically,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generates a global route plan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node set data that is a set of nodes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using the global route plan, and the node set Using the data and vehicle lo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 local route plan for whether to change lanes is generated, and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controlled to drive according to the local route plan.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0)는 라이다(20)로부터 입력된 라이다 데이터와 카메라(30)로부터 입력된 동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율주행차량(10)의 주변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게 되며, 왼쪽 차선의 장애물 존재 여부 및 오른쪽 차선의 장애물 존재 여부에 대한 장애물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may detect whether there is an obstacle in the vicinity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by using the lidar data input from the lidar 20 and the video data input from the camera 30 . In this case, obstacle information on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the left lane and whether an obstacle in the right lane exists is generated.

여기에서, 전역 경로 계획은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낸다. 그리고, 노드세트 데이터는 전역 경로 계획에 포함되는 모든 노드들의 집합이다. 노드는 벡터맵에서 분기점들을 나타내고, 차선은 노드와 노드를 잇는 길의 차선을 나타내며 노드와 노드 사이의 실제 도로의 차선 개수만큼 존재한다. 그리고, 지역 경로 계획은 전역 경로 계획에 따라 노드와 노드 사이를 주행하기 위한 계획을 나타낸다. Here, the global route plan represents a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And, the node set data is a set of all nodes included in the global path plan. Nodes indicate junctions in the vector map, and lanes indicate lanes on the road connecting nodes and there are as many lanes as the actual number of lanes between nodes. And, the local route plan represents a plan for traveling between nodes according to the global route plan.

이와 같은 전역 경로 계획, 노드세트 데이터, 지역 경로 계획은 도로 정보 벡터맵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로 정보 벡터맵은 전국의 도로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나타내며, 구체적으로, 현재 위치의 도로가 직선 도로, 곡선 도로, 및 교차로 중 어떤 형태의 도로인지에 대한 정보와, 현재 위치의 도로가 고속도로, 국도, 일반도로 중 어떤 종류의 도로인지에 대한 정보와, 현재 위치의 도로가 어린이 보호구역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도로정보는 정밀 지도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으며, 벡터 데이터 형태로 구성된 백터맵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벡터맵은 벡터 데이터로 구성된 지도를 의미한다. Such global route planning, node set data, and local route planning may be implemented using a road information vector map. Here, the road information vector map represents data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on roads across the country, and specifically, information on which type of road the current location is of a straight road, a curved road, and an intersection, and the current Information on whether the road at the location is a highway, a national road, or a general road, a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road at the current location is a child protection zone is included. Specifically, the road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precision map data, and may be configured as a vector map in the form of vector data. A vector map refers to a map composed of vector data.

벡터 데이터의 주요 구성 요소는 점(노드)과 선(차선) 그리고 면(Polygon)이다. 각 요소는 지도를 표현(Rendering)할 때 사용된다. The main components of vector data are points (nodes), lines (lanes), and planes (polygons). Each element is used when rendering the map.

첫 번째로 점 데이터는 지도 상에서 주요 지점을 표현하는 텍스트나 아이콘 심볼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데 X축(위도)과 Y축(경도) 좌표를 가지고 있다. First, point data is used to express text or icon symbols representing main points on the map, and it has X-axis (latitude) and Y-axis (longitude) coordinates.

두 번째로 선 데이터는 지도 상에서 도로 중심선이나 철도, 지하철, 행정경계선, 국가경계선, 등고선 등을 표현할 때 사용하며 각 점들을 선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연속된 선형으로 표현한다(OpenGIS SimpleFeature에서는 LineString이란 용어를 사용). Second, line data is used to express road center lines, railroads, subways, administrative boundaries, national boundaries, contour lines, etc. on the map, and each point is connected with a line and expressed as a single continuous line (LineString in OpenGIS SimpleFeature) use).

마지막으로 면 데이터는 건물이나 공원, 단지, 강, 바다, 도로면 등을 표현할 때 사용하고 데이터 형식은 선 데이터와 유사하나 점 배열(Point Array)의 첫 번재 점과 마지막 점이 연결된 하나의 다각형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Finally, face data is used to express buildings, parks, complexes, rivers, seas, road surfaces, etc. The data type is similar to line data, but it is defined as a polygon with the first and last points of the Point Array connected. also do

도로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벡터 데이터로 구성되며, 정밀도로지도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정밀도로지도는 도로 및 주변시설에 대한 3차원 고정밀 벡터 데이터이며, 자율주행 등에 필요한 차선(규제선, 도로경계선, 정지선, 차로중심선), 도로시설(중앙분리대, 터널, 교량, 지하차도), 표지시설(교통안전표지, 노면표시, 신호기) 정보를 3차원으로 제작한 전자지도를 나타낸다. 정밀도로지도는 최첨단 측량기법과 데이터 구축 기술의 결합을 통해 제작되며, MMS(Mobile Mapping System)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도로 정보를 취득한 후 정밀도로지도를 제작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작된 정밀도로지도는 벡터데이터로 기하학적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벡터 파일, 기하학적(shx) 공간적(sbx,sbn) 인덱스 파일, 속성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파일, 투영, 좌표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파일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road information is composed of vector data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implemented using a map with precision. The precision road map is 3D high-precision vector data for roads and surrounding facilities, and includes lanes (regulatory lines, road boundary lines, stop lines, lane center lines), road facilities (median dividers, tunnels, bridges, underpasses), signs necessary for autonomous driving, etc. It represents an electronic map made in three dimensions of facility (traffic safety signs, road markings, signal flags) information. Maps with precision are produc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cutting-edge surveying techniques and data construction technology, and maps are produced with precision after acquiring various road information using MMS (Mobile Mapping System). With the precision produced in this way, the map is vector data containing geometric location information, geometric (shx) spatial (sbx, sbn) index file, database file containing attribute information, projection, and coordinate system information. It may also include a projection file that includes it.

벡터맵을 이용한 노드정보와 차량위치 데이터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노드 정보와 차량위치 데이터를 벡터맵을 이용하여 표시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Node information and vehicle location data using the vector ma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2 and 3 show that node information and vehicle location data are displayed using a vector map.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 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율주행차량(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노드 정보는 현재 차선 아이디(현재 dtlane), 다음 차선 아이디(다음 dtlane), 이전 노드 아이디(이전 jnode), 현재 노드 아이디(현재 jnode), 및 다음 노드 아이디(다음 jnode)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현재 노드 아이디는 자율주행차량(10)의 위치에서 바로 앞에 있는 노드의 아이디를 나타내고, 이전 노드 아이디는 자율주행차량(10)의 위치에서 바로 뒤에 있는 노드의 아이디를 나타내며, 다음 노드 아이디는 현재 노드 아이디의 바로 다음에 있는 노드의 아이디를 나타낸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no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 node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includes a current lane ID (current dtlane), a next lane ID (next dtlane), a previous node ID (previous jnode), and a current node ID ( current jnode), and the next node ID (next jnode). Here, the current node ID represents the ID of the node immediately preceding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 the previous node ID represents the ID of the node immediately behind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 and the next node ID indicates the ID of the node immediately following the current node ID.

이와 같이, 노드 정보는 자율주행차량(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노드를 특정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As such, the node information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to specify a node fo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위치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위치 데이터는 자율주행차량(10)의 현재 위치를 벡터맵 상에서 특정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들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위치 데이터는 현재 차선 아이디(현재 dtlane), 왼쪽 차선 아이디(왼쪽 dtlane), 오른쪽 차선 아이디(오른쪽 dtlane), 이전 차선 아이디(이전 dtlane), 다음 차선 아이디(다음 dtlane), 이전 노드 아이디(이전 jnode), 현재 노드 아이디(현재 jnode), 및 다음 노드 아이디(다음 jnode)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현재 차선 아이디는 자율주행차량(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차선의 아이디를 나타내고, 왼쪽 차선 아이디는 자율주행차량(10)의 위치에서 바로 왼쪽에 위치된 차선의 아이디를 나타내고, 오른쪽 차선 아이디는 자율주행차량(10)의 위치에서 바로 오른쪽에 위치된 차선의 아이디를 나타내고, 이전 차선 아이디는 자율주행차량(10)의 위치에서 이전 노드 뒤에 위치된 차선의 아이디를 나타내고, 다음 차선 아이디는 자율주행차량(10)의 위치에서 현재 노드와 다음 노드 사이에 위치된 차선의 아이디를 나타낸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vehicle loca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location data represents data necessary to specify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on the vector map. 3 , the vehicle location data includes a current lane ID (current dtlane), a left lane ID (left dtlane), a right lane ID (right dtlane), a previous lane ID (previous dtlane), and a next lane ID (next dtlane). ), previous node ID (previous jnode), current node ID (current jnode), and next node ID (next jnode). Here, the current lane ID indicates the ID of a lan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 the left lane ID indicates the ID of a lane located immediately to the left of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 and the right lane The ID indicates the ID of a lane located immediately to the right of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 the previous lane ID indicates the ID of a lane located behind the previous node in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 and the ID of the next lane is Indicates the ID of a lane located between the current node and the next node in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

이와 같이, 차량위치 데이터는 자율주행차량(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노드 및 차선을 특정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As such, the vehicle location data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to specify a node and a lane fo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20 .

통신부(110)는 자율주행차량(10)의 내부 센서나 모듈들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CAN(Controller Area Network)은 주로 차량 내부에서 사용되는 통신 규격으로 100개가 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로 사용된다. 또한, 통신부(110)는 자율주행차량(10)의 외부 장치들과도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외주 통신을 위해 외부의 서버 또는 다른 차량들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통신을 위해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근거리무선통신(NFC), 셀룰러, LTE(Long-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으로 통신을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from internal sensors or modules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CAN (Controller Area Network) is a communication standard mainly used inside a vehicle and is used as a network to control more than 100 ECUs (Electronic Control Units). Also,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 and may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or other vehicles for outsourced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perform communication in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Wi-Fi (WIFI),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ellular, and LTE (Long-Term Evolution) for external communication, and performs communication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f course you can.

통신부(110)는 라이다(20)에 의해 감지된 라이다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차량 운행 데이터는 차량의 현재 위치 데이터, 현재 속도 데이터 및 차량의 우회전 또는 좌회전 각도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GPS(4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입력부(50)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lidar data detected by the lidar 20 .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vehicle driving data and video data captured by the camera 30 . Here, the vehicle driving data includes current position data of the vehicle, current speed data, and right-turn or left-turn angle data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40 , or may receiv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input unit 50 .

제어부(120)는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라 전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전역 경로 계획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노드들의 집합인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하며, 노드세트 데이터와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여부에 대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지역 경로 계획에 따라 주행하도록 자율주행차량(10)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차량 제어 장치(100)의 동작들을 제어하게 된다.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generates a global route plan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uses the global route plan to be a node that is a set of nodes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Generates set data, generates a local route plan for whether to change lanes using the node set data and vehicle lo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nd controls the autonomous vehicle 10 to drive according to the local route pla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controls operations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illustrated in FIGS. 5 to 9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전반을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operation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100)는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고 탐색트리를 이용하여 전역 경로 계획을 생성한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0)는 전역 경로 계획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노드들의 집합인 노드세트 데이터(jnode_set)를 생성한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0)는 노드세트 데이터와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위치 데이터와 장애물 정보를 이용하며 차선 변경 여부에 대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지역 경로 계획의 계획된 경로에 따라 주행하도록 자율주행차량(10)을 제어한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0)는 경로 재탐색 요청을 통해 전역 경로 계획을 다시 생성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5 ,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receiv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a global route plan using a search tree. 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generates node set data jnode_set that is a set of nodes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by using the global route plan. The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uses the node set data, vehicle lo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nd obstacle information to generate a local route plan for whether to change lanes, and autonomously drives according to the planned route of the local route plan. The driving vehicle 10 is controlled. Als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may re-generate the global route plan through the route re-search reques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차량 제어 장치(100)는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라 전역 경로 계획을 생성한다(S210).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0)는 전역 경로 계획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노드들의 집합인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한다(S220). First,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generates a global route plan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S210). The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generates node set data that is a set of nodes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by using the global route plan ( S220 ).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0)는 노드세트 데이터와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여부에 대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한다(S230). Als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generates a local route plan for whether to change a lane by using the node set data and vehicle lo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 S230 ).

그 후에, 차량 제어 장치(100)는 지역 경로 계획의 계획된 경로에 따라 주행하도록 자율주행차량(10)을 제어한다(S240). Thereafter,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controls the autonomous vehicle 10 to travel according to the planned route of the local route plan ( S240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색트리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search tree gene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탐색트리는 전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기 위한 노드들을 탐색할 수 있는 트리로,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모든 경로에 포함된 노드들을 트리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 . 차량 제어 장치(100)는 벡터맵을 이용해 오프라인으로 탐색트리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earch tree is a tree in which nodes for generating a global route plan can be searched, and the nodes included in all routes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destination are expressed in a tree form.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may generate a search tree offline by using the vector map.

먼저, 차량 제어 장치(100)는 벡터맵을 차선정보와 노드정보로 구성한다(S310).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0)는 i가 전체 노드의 개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한다(S320). 여기에서 i는 i번째 노드를 나타내며 1부터 시작하여 전체노드의 개수까지 1씩 증가하는 값을 나타낸다. 그리고, 전체노드의 개수는 노드세트 데이터에 포함된 노드의 전체 개수를 나타내며, 즉 전역 경로 계획에 포함된 노드들의 전체 개수를 나타낸다. First,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configures a vector map with lane information and node information (S310). The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checks whether i is less than the total number of nodes (S320). Here, i represents the i-th node and represents a value that increases by 1 from 1 to the total number of nodes. And, the total number of nodes indicates the total number of nodes included in the node set data, that is, the total number of nodes included in the global path plan.

i가 전체 노드의 개수보다 작은 경우(S320-Y), 차량 제어 장치(100)는 i번째 노드의 다음 노드를 자녀 노드로 탐색트리에 추가한다(S330). When i is smaller than the total number of nodes (S320-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dds the next node of the i-th node as a child node to the search tree (S330).

그 후에, 차량 제어 장치(100)는 j가 i번째 노드의 다음 차선의 개수보다 개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한다(S340). 여기에서, j는 i번째 노드의 다음 차선들 중 j번째 차선을 나타내는 것으로, 차선의 개수까지 1씩 증가하는 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2의 경우 현재 노드의 다음차선이 2개가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 j는 2까지 증가하게 된다. Thereafter,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checks whether j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next lane of the i-th node ( S340 ). Here, j denotes a j-th lane among lanes next to the i-th node, and represents a value increasing by 1 until the number of lan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2, there are two lanes next to the current node, and in this case, j increases to 2.

만약, j가 i번째 노드의 다음 차선의 개수보다 개수보다 작은 경우(S340-Y), 차량 제어 장치(100)는 j번째 차선의 이웃 차선이 이웃 차선이 존재하면 그 이웃 차선의 다음 노드를 i번째 노드의 자녀 노드로 트리에 추가하게 된다(S350). If j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lanes next to the i-th node (S340-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sets the next node of the neighboring lane to the next node in the neighboring lane of the j-th lane. It is added to the tree as a child node of the th node (S350).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0)는 j값을 1만큼 증가시키고(S360), S340단계를 다시 수행하게 된다 .The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increases the j value by 1 (S360), and performs step S340 again.

만약, j가 i번째 노드의 다음 차선의 개수보다 개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S340-N), 차량 제어 장치(100)는 i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키고(S345), S320 단계를 다시 수행하게 된다. If j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number of the next lane of the i-th node (S340-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increases the value of i by 1 (S345) and performs step S320 again do.

만약, i가 전체 노드의 개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S320-N), 차량 제어 장치(100)는 탐색트리 생성을 완료하게 된다. If i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number of nodes (S320-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completes creation of the search tre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차량 제어 장치(100)는 탐색트리를 생성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generates a search tre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역 경로 계획 및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process of generating a global route plan and node set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차량 제어 장치(100)는 최초 시작 또는 경로 재탐색 요청이 입력되면(S410), 현재 위치에 해당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탐색트리를 생성한다(S420). When a request for initial start or route re-search is input (S410),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generates vehicle lo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nd uses this to generate a search tree (S420).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0)는 탐색트리를 기초로 최단 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역 경로 계획을 생성한다(S430). The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generates a global route plan using the shortest route search algorithm based on the search tree (S430).

그 후에, 차량 제어 장치(100)는 전역 경로 계획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노드들의 집합인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S440). 구체적으로, 차량 제어 장치(100)는 전역 경로 계획에 포함되는 모든 노드들의 노드 정보를 모아서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Thereafter,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generates node set data that is a set of nodes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by using the global route plan ( S440 ). Specifically,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generates node set data by collecting node information of all nodes included in the global route plan.

이아 같은 과정을 통해, 차량 제어 장치(100)는 전역 경로 계획 및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generates the global route plan and node set data.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9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process of generating a local route pl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차량 제어 장치(100)는 i가 노드세트 데이터의 전체 노드의 개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한다(S510). 여기에서 i는 i번째 노드를 나타내며 1부터 시작하여 전체노드의 개수까지 1씩 증가하는 값을 나타낸다. 그리고, 전체노드의 개수는 노드세트 데이터에 포함된 노드의 전체 개수를 나타내며, 즉 전역 경로 계획에 포함된 노드들의 전체 개수를 나타낸다. First,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checks whether i is smaller than the total number of nodes in the node set data (S510). Here, i represents the i-th node and represents a value that increases by 1 from 1 to the total number of nodes. And, the total number of nodes indicates the total number of nodes included in the node set data, that is, the total number of nodes included in the global path plan.

i가 노드세트 데이터의 전체 노드의 개수보다 작은 경우(S510-Y), 차량 제어 장치(100)는 다음 노드를 목적 노드로 설정한다(S520). 여기에서 목적 노드는 지역 경로 계획에서 단기적으로 도착하고자 하는 노드를 나타낸다. When i is smaller than the total number of nodes in the node set data (S510-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sets the next node as the target node (S520). Here, the destination node represents a node to arrive at in the short term in the local route plan.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0)는 목적 노드와 현재 차선을 비교하여 차선 변경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S530). 구체적으로, 차량 제어 장치(100)는 목적 노드로 가기 위해 우회전 또는 좌회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차선 변경이 필요한 경우로 판단하며, 목적 노드가 직진 방향에 있는 경우에는 차선 변경이 필요없는 경우로 판단하게 된다. The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compares the target node with the current lane to determine whether a lane change is necessary ( S530 ). Specificall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determines that a lane change is necessary when a right turn or a left turn is required to go to the destination node, and when the destination node is in a straight-line direction, it is determined that a lane change is not necessary. .

차량 제어 장치(100)는 차선 변경이 필요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540-N), 직진을 유지하는 것으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한다(S545).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ane change is unnecessary (S540-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generates a local route plan by maintaining a straight line (S545).

반면, 차량 제어 장치(100)는 차선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S540-Y), 장애물 정보를 이용하여 자율주행차량(10)의 변경 대상 차선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50). 이를 위해, 차량 제어 장치(100)는 왼쪽 차선의 장애물 존재 여부 및 오른쪽 차선의 장애물 존재 여부에 대한 장애물 정보를 생성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lane change is necessary (S540-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the change target lane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using the obstacle information (S550). . To this end,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generates obstacle information on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a left lane and an obstacle in a right lane.

변경 대상 차선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550-Y), 차량 제어 장치(100)는 직진을 유지하는 것으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게 된다(S540). 이 경우, 차량 제어 장치(100)는 직진을 유지하면서 속도를 특정값만큼 감속하는 것으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는 변경 대상 차선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0)는 앞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속도를 특정값만큼 가속하는 것으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앞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속도를 특정값만큼 감속하는 것으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할 수도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obstacle in the change target lane (S550-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generates a local route plan by maintaining a straight line (S540). In this case,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may generate a local route plan by decelerating the speed by a specific value while maintaining the straight line. This is to avoid obstacles that exist in the lane to be changed. 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generates a local path plan by accelerating the speed by a specific value when there is no obstacle in front, and decelerates the speed by a specific value when there is an obstacle in front. can also create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0)는 차선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고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직진을 유지하는 것으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한 상황에서, 목적 노드와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S560-Y), 전역 경로 계획을 재생성하게 된다(S565). 목적 노드와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는 자율주행차량(10)이 차선을 변경하기에 충분한 거리가 확보되지 못한 상황이므로, 차량 제어 장치(100)는 자율주행차량(10)을 직진으로 유지하면 목적 노드로 가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므로 전역 경로 계획을 재생성하여 전체 주행 경로를 수정하게 되는 것이다. Then, in a situation where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that a lane change is necessary and an obstacle exists and generates a local route plan to keep going straight, when the distance to the target nod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S560- Y), the global route plan is regenerated (S565). If the distance to the target nod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since a sufficient distance for the autonomous vehicle 10 to change lanes is not secured,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maintains the autonomous vehicle 10 in a straight line. Since it is a situation in which it cannot go to the destination node, the entire driving path is modified by regenerating the global path plan.

반면, 변경 대상 차선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 제어 장치(100)는 변경 대상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는 것으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게 된다(S555).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obstacle in the change target lane,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generates a local route plan by changing the lane to the change target lane (S555).

그 후에, 차량 제어 장치(100)는 자율주행차량(10)의 현재 위치가 현재 노드를 지나간 위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70). Thereafter,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a location past the current node ( S570 ).

만약, 자율주행차량(10)의 현재 위치가 현재 노드를 지나가기 전인 경우(S570-N), 차량 제어 장치(100)는 S530 단계를 다시 수행하게 된다. I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before passing the current node (S570-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performs step S530 again.

반면, 자율주행차량(10)의 현재 위치가 현재 노드를 지나간 위치인 경우(S570-Y), 차량 위치에 대한 업데이트가 필요한 상황이므로, 차량 제어 장치(100)는 i값을 1만큼 증가시켜 차량위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S575), S510 단계로 돌아가서 업데이트된 i가 노드세트 데이터의 전체 노드의 개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다시 확인한다(S510). 그리고, i가 노드세트 데이터의 전체 노드의 개수보다 작은 경우(S510-Y), 차량 제어 장치(100)는 업데이트된 다음 노드를 목적 노드로 설정하고(S520)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is a location that has passed the current node (S570-Y), the vehicle location needs to be updated, s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increases the i value by 1 to increase the vehicle location. The location data is updated (S575),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510 to check again whether the updated i is smaller than the total number of nodes in the node set data (S510). Then, when i is smaller than the total number of nodes in the node set data (S510-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sets the next updated node as the target node (S520) and repeats the subsequent steps.

반면, 업데이트된 i가 노드세트 데이터의 전체 노드의 개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S510-N), 차량 제어 장치(100)는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S515). On the other hand, if the updated i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number of nodes in the node set data (S510-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determines that it has arrived at the destination (S515).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차량 제어 장치(100)는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게 되며, 이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100)는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차선변경을 포함한 경로계획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generates a local route plan, and through this,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can generate a route plan including a lane chang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기능 및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function and method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he technical idea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mputer-readable programming language codes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ny data storage device readable by the computer and capable of storing data. For exampl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isk, hard disk drive, flash memory, solid state disk (SSD),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code or program stored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connected between computers.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Although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s describe exemplary device configurations, implementations of the functional operations and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types of digital electronic circuits, or include structures disclosed herein and structural equivalents thereof.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Accordingly,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modification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자율주행차량
20 : 라이다
30 : 카메라
40 : GPS
50 : 입력부
100 : 차량 제어 장치
110 : 통신부
120 : 제어부
10: autonomous vehicle
20 : Lidar
30 : camera
40: GPS
50: input unit
100: vehicle control unit
110: communication department
120: control unit

Claims (12)

차량 제어 장치에 의한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라 전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는 단계;
전역 경로 계획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노드들의 집합인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노드세트 데이터와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여부에 대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는 단계; 및
지역 경로 계획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A vehicle control method by a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ing:
generating a global route plan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generating node set data that is a set of nodes from a current location to a destination using a global route plan;
generating a local route plan for whether to change a lane by using the node set data and vehicle lo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nd
A vehicl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controll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local route plan.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위치 데이터는,
현재 차선 아이디, 왼쪽 차선 아이디, 오른쪽 차선 아이디, 이전 차선 아이디, 다음 차선 아이디, 이전 노드 아이디, 현재 노드 아이디, 및 다음 노드 아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vehicle location data,
A vehicl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current lane ID, a left lane ID, a right lane ID, a previous lane ID, a next lane ID, a previous node ID, a current node ID, and a next node ID.
청구항 2에 있어서,
지역 경로 계획 생성단계는,
다음 노드를 목적 노드로 설정하여, 목적 노드와 현재 차선을 비교하여 차선 변경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차선 변경이 필요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직진을 유지하는 것으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regional route plan creation stage is,
Setting the next node as the destination node, comparing the destination node with the current lane to determine whether a lane change is necessary,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ane change is not necessary, generating a local route plan by maintaining a straight line How to control the vehicle.
청구항 3에 있어서,
왼쪽 차선의 장애물 존재 여부 및 오른쪽 차선의 장애물 존재 여부에 대한 장애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obstacle information on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a left lane and an obstacle in a right lane.
청구항 4에 있어서,
지역 경로 계획 생성단계는,
차선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경 대상 차선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직진을 유지하는 것으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regional route plan creation stage is
A vehicl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lane change is necessary, it is determined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the change target lan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a local route plan is generated by maintaining a straight line.
청구항 5에 있어서,
지역 경로 계획 생성단계는,
직진을 유지하면서 속도를 특정값만큼 감속하는 것으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gional route plan creation stage is,
A vehicl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l route plan is generated by decelerating the speed by a specific value while maintaining the straight line.
청구항 5에 있어서,
지역 경로 계획 생성단계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경 대상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는 것으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gional route plan creation stage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obstacle, the vehicl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l route plan is generated by changing the lane to the change target lane.
청구항 5에 있어서,
전역 경로 계획 생성 단계는,
차선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고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직진을 유지하는 것으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한 상황에서, 목적 노드와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전역 경로 계획을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s to create a global route plan are:
Vehicl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global route plan is regenerated when the distance to the destination nod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in a situation where it is determined that a lane change is necessary and an obstacle exists, and a local route plan is generated by maintaining a straight line Way.
청구항 3에 있어서,
현재 위치가 현재 노드를 지나간 위치인 경우, 차량위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다음 노드를 목적 노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current location is a location past the current node, the vehicle location data is updated, and the updated next node is set as the target node.
차량 제어 장치에 의한 차량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라 전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는 단계;
전역 경로 계획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노드들의 집합인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노드세트 데이터와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여부에 대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는 단계; 및
지역 경로 계획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a vehicle control method by a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ing:
generating a global route plan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generating node set data that is a set of nodes from a current location to a destination using a global route plan;
generating a local route plan for whether to change a lane by using the node set data and vehicle lo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a vehicle control method comprising; controlling a vehicle according to a local route plan.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라 전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전역 경로 계획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노드들의 집합인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하며, 노드세트 데이터와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여부에 대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지역 경로 계획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and
A global route pla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node set data that is a set of nodes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is generated using the global route plan, and the node set data and vehicle lo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 vehicle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local route plan for whether to change a lane using the , and controll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local route plan.
현재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라 전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전역 경로 계획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노드들의 집합인 노드세트 데이터를 생성하며, 노드세트 데이터와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여부에 대한 지역 경로 계획을 생성하고, 지역 경로 계획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차량.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for detec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 input unit for receiving destination information; and
A global route pla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node set data that is a set of nodes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is generated using the global route plan, and the node set data and vehicle lo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vehicle control device that generates a local route plan for whether to change lanes by using the , and controls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local route plan.
KR1020190154989A 2019-11-28 2019-11-28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vehicle for changing lane KR1022852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989A KR102285207B1 (en) 2019-11-28 2019-11-28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vehicle for changing l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989A KR102285207B1 (en) 2019-11-28 2019-11-28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vehicle for changing l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956A true KR20210066956A (en) 2021-06-08
KR102285207B1 KR102285207B1 (en) 2021-08-04

Family

ID=7639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989A KR102285207B1 (en) 2019-11-28 2019-11-28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vehicle for changing l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207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3770A (en) * 2021-06-30 2021-10-08 上海西井信息科技有限公司 Path planning method and device in closed scen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4199227A (en) * 2021-12-03 2022-03-18 京东鲲鹏(江苏)科技有限公司 Navigation path planning method and device
CN114526752A (en) * 2022-03-07 2022-05-24 阿波罗智能技术(北京)有限公司 Path plann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4674333A (en) * 2022-03-22 2022-06-28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Naviga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medium for mobile device
WO2023028208A1 (en) * 2021-08-27 2023-03-02 Zoox, Inc. Techniques for detecting road blockages and generating alternative routes
WO2023232119A1 (en) * 2022-06-01 2023-12-07 驭势(上海)汽车科技有限公司 Vehicl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device, medium and vehicle
WO2023232118A1 (en) * 2022-06-01 2023-12-07 驭势(上海)汽车科技有限公司 Lane-level navigation plan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medium and vehicle
WO2024006637A1 (en) * 2022-06-30 2024-01-04 Zoox, Inc. System for generating scene context data using a reference graph
KR102631777B1 (en) * 2023-09-12 2024-02-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oute guidance method and route guidance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6413B2 (en) * 2005-05-17 2012-05-0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Vehicle traveling locus generation method and parking assist device using the same
JP2015075889A (en) * 2013-10-08 2015-04-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Driving support device
KR20170018564A (en) * 2015-08-10 2017-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utonomous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Lane Change and Timing thereof Based on Analysis for Shapes and Links of Forward Road
KR20190067574A (en) * 2017-12-07 201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ne change of vehicle
JP2019191722A (en) * 2018-04-20 2019-10-3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Lane change support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6413B2 (en) * 2005-05-17 2012-05-0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Vehicle traveling locus generation method and parking assist device using the same
JP2015075889A (en) * 2013-10-08 2015-04-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Driving support device
KR20170018564A (en) * 2015-08-10 2017-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utonomous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Lane Change and Timing thereof Based on Analysis for Shapes and Links of Forward Road
KR20190067574A (en) * 2017-12-07 201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ne change of vehicle
JP2019191722A (en) * 2018-04-20 2019-10-3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Lane change support devic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3770A (en) * 2021-06-30 2021-10-08 上海西井信息科技有限公司 Path planning method and device in closed scen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23028208A1 (en) * 2021-08-27 2023-03-02 Zoox, Inc. Techniques for detecting road blockages and generating alternative routes
CN114199227A (en) * 2021-12-03 2022-03-18 京东鲲鹏(江苏)科技有限公司 Navigation path planning method and device
CN114199227B (en) * 2021-12-03 2024-04-12 京东鲲鹏(江苏)科技有限公司 Navigation path planning method and device
CN114526752A (en) * 2022-03-07 2022-05-24 阿波罗智能技术(北京)有限公司 Path plann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4674333A (en) * 2022-03-22 2022-06-28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Naviga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medium for mobile device
CN114674333B (en) * 2022-03-22 2023-12-08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Naviga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medium of mobile device
WO2023232119A1 (en) * 2022-06-01 2023-12-07 驭势(上海)汽车科技有限公司 Vehicl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device, medium and vehicle
WO2023232118A1 (en) * 2022-06-01 2023-12-07 驭势(上海)汽车科技有限公司 Lane-level navigation plan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medium and vehicle
WO2024006637A1 (en) * 2022-06-30 2024-01-04 Zoox, Inc. System for generating scene context data using a reference graph
KR102631777B1 (en) * 2023-09-12 2024-02-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oute guidance method and route guidan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207B1 (en)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207B1 (en)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vehicle for changing lane
US10137896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utonomous driving vehicles using graph-based lane change guide
CN110873568B (en) High-precision map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equipment
US20200239023A1 (en) Operator assistance for autonomous vehicles
US10520319B2 (en) Data driven map updating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s
US116934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cenario tagger for autonomous vehicles
US10970542B2 (en) Scalable three dimensional object segmentation
US20180340781A1 (en) Automatic localization geometry detection
US10303181B1 (en) Self-driv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20200191601A1 (en) Updating map data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s based on sensor data
CN108427123A (en) LIDAR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LIDAR device
US11113971B2 (en) V2X communication-based vehicle lane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CN112639918A (en) Map system, vehicle-side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3196011A (en) Motion map construction and lane level route planning
CN112639919A (en) Vehicle-side device, server,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8171967B (en) Traffic control method and device
US11782439B2 (en) Determining routes for autonomous vehicles
US11859990B2 (en) Routing autonomous vehicles using temporal data
US11668573B2 (en) Map selection for vehicle pose system
US11754415B2 (en) Sensor localization from external source data
KR20200071792A (en) Autonomous Driving Method and System Using a Road View or a Aerial View from a Map Server
EP4177570A1 (en) Standard-definition to high-definition navigation route determination
CN113178091B (en) Safe driving area method, device and network equipment
KR102276597B1 (en)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vehicle for optimizing LIDAR data range by using vector map
KR20230073601A (en) Method of detection crosswalk using lidar sensor and crosswalk detection device perform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