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066A - Suture Training System - Google Patents

Suture Train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066A
KR20210063066A KR1020190151527A KR20190151527A KR20210063066A KR 20210063066 A KR20210063066 A KR 20210063066A KR 1020190151527 A KR1020190151527 A KR 1020190151527A KR 20190151527 A KR20190151527 A KR 20190151527A KR 20210063066 A KR20210063066 A KR 20210063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layer
electrode
driving layer
train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5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9467B1 (en
Inventor
안범모
최운재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51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467B1/en
Publication of KR20210063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0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4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uture training system. The sutur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rtificial skin including an incision site; a sealing position detection sensor which includes a first driving laye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hav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 first insulating lay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driving layer, a second driving laye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third electrode and a fourth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o be orthogonal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 sensing lay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made of a second insulating layer and a conductive material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driving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fifth electrode formed along the periphery, wherein the first driving layer, the first insulating layer, the second driving layer,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sensing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driving layer and the second driving layer; and a position calculating unit for detecting a potential in the sensing layer to be connected and calculating a sealing position of the sealing means according to the detected potential, wherein when the sealing mean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loses the incision of the artificial skin, as the sealing means passes through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the first driving layer and the second driving lay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sealing means.

Description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Suture Training System}Suture Training System {Suture Training System}

본 발명은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인의 봉합술기 수련을 위한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ture trai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ture training system for training medical personnel.

일반적으로 의료분야에서 봉합술은 기본적이면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외과 술기이다. 그러나 동일한 정도의 외상임에도 불구하고 의료인의 숙련도에 따라 상처의 예후를 달리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의료인이 환자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봉합술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훈련을 필요로 한다.In general, in the medical field, suture is the most basic and most used surgical technique. However, despite the same degree of trauma, a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prognosis of wounds varies according to the skill level of medical personnel, it requires a lot of training for medical personnel to provide sutures above a certain level to patients.

그러나 수련의들은 대부분 인공피부나, 동물 사체 등을 사용하여 단순히 반복하여 감각을 인지하는 과정을 통해 술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However, most of the trainees improve their skills through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senses by simply repeating them using artificial skin or animal carcasses.

이에 따른 훈련방법은 훈련 결과물의 평가를 위해 전문가들이 직접 눈으로 평가하고 피드백을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훈련을 위해 시간이 다수 소요되며, 개인 선호에 따라 평가방법이 달라지는 등 주관적인 평가에 의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Accordingly, the train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experts have to visually evaluate and provide feedback for the evaluation of the training results. That is, it takes a lot of time for training, and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it can be based on a subjective evaluation, such as the evaluation method varies according to individual preferences.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아래의 특허문헌과 같이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을 이용한 간접 체험을 제공하며 동시에 소정의 평가방법에 따른 피드백을 확인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가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supplement this, a simulator that provides an indirect experience using virtual reality as shown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and at the same time can check feedback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aluation method has been proposed.

그러나, 가상 현실을 이용한 시뮬레이터에 의해 제공되는 경험은 간접 경험일 뿐, 실제 피부조직에 의해 이루어지는 임상 경험과는 거리가 멀어 결과적으로 술기훈련에서 가장 중요한 감각적인 훈련이 배제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experience provided by the simulator using virtual reality is only an indirect experience, and it is far from the clinical experience made by the actual skin tissue.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st important sensory training is excluded from skill training.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수련의에게 실제 임상 경험과 가까운 감각훈련이 가능하면서도 객관적인 피드백을 즉각적으로 제공하여 줄 수 있는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ture training system that can immediately provide objective feedback while enabling sensory training close to actual clinical experience.

미국등록특허 공개공보 8834170 B2US Patent Publication No. 8834170 B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봉합술 트레이닝 과정에서 봉합 위치를 정확히 감지하여 봉합의 품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ture training system capable of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quality of suture by accurately detecting the suture position during the suture training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련의가 훈련과 동시에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는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suture training system in which a trainee can receive immediate feedback while train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봉합술기를 훈련하기 위한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으로서, 절개 부위를 포함하는 인공피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형성되는 제1구동층,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구동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절연층,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절연층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에 각각 직교하도록 그 양측에 제3전극 및 제4전극이 형성되는 제2구동층,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동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절연층 및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절연층의 일측에 배치되며 둘레를 따라 제5전극이 형성되는 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층, 상기 제1절연층, 상기 제2구동층, 상기 제2절연층 및 상기 감지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봉합위치 감지센서; 상기 제1구동층 및 상기 제2구동층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봉합 수단이 상기 인공피부의 절개 부위를 봉합하는 경우, 상기 봉합 수단이 상기 봉합위치 감지센서를 관통함에 따라 상기 봉합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1구동층 및 상기 제2구동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감지층에서 전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위에 따라 상기 봉합 수단의 봉합위치를 연산하는 위치 연산부;를 포함하는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ture training system for training a suture technique, comprising: artificial skin including an incision site; A first driving laye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hav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 first insulating lay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driving layer, and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first A second driving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third electrode and a fourth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respectively, and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on one side of the second driving layer a second insulating layer and a sensing laye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fifth electrode formed along the periphery, wherein the first driving layer,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a second driving layer,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sensing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driving layer and the second driving layer; and when the sealing mean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loses the incision of the artificial skin, the first driving layer and the second driving lay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sealing means as the sealing means passes through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A suture training system comprising a; a position calculating unit for detecting a potential in the sensing layer connected to

이때, 상기 위치 연산부는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 또는 상기 제3전극과 상기 제4전극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검출된 전위에 대한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의 비율로 상기 봉합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calculating unit is a ratio of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detected potential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r between the third electrode and the fourth electrode. position can be calculated.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제1구동층 및 상기 제2구동층에 전원을 교번하여 공급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o alternately supply power to the first driving layer and the second driving layer.

이때, 상기 위치 연산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교번에 따라 상기 제1구동층 및 상기 제2구동층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상기 전위를 검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sition calculating unit may detect the potential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first driving layer and the second driving layer according to the alternating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이때, 상기 스위칭부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witching unit may be switched at regular time intervals.

이때, 상기 위치 연산부에서 산출된 적어도 2 이상의 위치를 연결하여 상기 봉합 수단에 의한 봉합 경로를 산출하는 봉합 경로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uturing path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suturing path by the suturing means by connecting at least two or more positions calculated by the position calculating unit.

이때, 상기 봉합 경로 산출부에서 산출된 봉합 경로와 기준 경로를 서로 비교하여 봉합술 트레이닝을 평가하는 봉합훈련 평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ture training evalu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turing training evaluation unit that compares the suturing path calculated by the suturing path calculation unit and the reference path with each other to evaluate suture training.

이때, 상기 봉합 경로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봉합 경로를 상기 인체모형의 봉합 부위에 중첩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that overlaps the suture path calculated by the suturing path calculation unit on the suture portion of the human body model and outputs it.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봉합 경로 산출부로부터 무선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may receive and output data from the suture path calculating un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개인용 통신단말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봉합 경로를 상기 인체모형의 봉합 부위에 중첩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may output the suture path by overlapping the suture portion of the human body model using a personal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은 봉합위치 감지센서를 인체모형에 내장하여 전원을 인가하고 봉합 수단에 의해 봉합된 위치의 전위를 검출하여 위치를 연산함으로써, 훈련자에게 보다 정밀한 봉합 위치(경로)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다.The sutur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re precise suture position ( route) can be provided quick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은 봉합위치 감지센서를 인공피부의 아래에 배치함으로써 실제 봉합 과정에서의 촉각적 감각을 현실감 있게 재현할 수 있다.The sutur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stically reproduce the tactile sensation in the actual suturing process by disposing the suture position sensor under the artificial sk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은 봉합술 트레이닝 과정에서 봉합 부위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므로 임상 경험이 부족한 연수생들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어 스스로 교육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sutur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antitatively evaluate the suture site during the suture train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to trainees lacking clinical experience, thereby improving the educational effect on their ow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은 개인용 통신단말기기를 통해 훈련 결과물에 대한 즉각적인 시각화가 가능하므로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효과적인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The sutur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immediate visualization of a training result through a personal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o that effective training can be performed without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이 인체모형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4는 도 1의 봉합위치 감지센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봉합위치 감지센서를 이용한 위치 검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봉합위치 감지센서의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8은 도 4의 봉합위치 감지센서에 전원을 인가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스위치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tur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tur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tur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human body model.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of Figure 1;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position detection using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of FIG. 4 .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utput of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in FIG.
FIG. 7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FIG. 6 .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applying power to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of FIG. 4 .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witch unit of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utur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100)은 전원공급부(110), 봉합위치 감지센서(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suture trai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0 , a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 and a control unit 130 .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봉합 과정을 트레이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이다. 여기서, 봉합 절차는 부상이나 수술 후에 찢어지거나 절개된 신체 조직을 꿰매어 붙이고 이를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의료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The suture training system 100 is a simulation system for training the suture process as shown in FIG. 2 . Here, the suturing procedure may refer to a medical practice used to sew and maintain torn or incised body tissue after injury or surgery.

이때,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100)은 외부에 노출되는 피부조직에 대한 봉합술을 일례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신체 내부의 장기에 대한 봉합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uturing training system 100 describes suturing for skin tissue exposed to the outside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also be applied to suturing of internal organs.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100)은 인간의 신체를 재현하는 인체모델(10)에 내장된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를 이용하여 봉합 수단(160) 예를 들면 바늘에 의한 봉합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시각화할 수 있다.2 and 3, the suturing training system 100 uses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built in the human body model 10 that reproduces the human body, the suturing means 160, for example, by using a needle. The suture position can be detected and visualized.

전원공급부(110)는 봉합위치 감지센서(120)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110)는 직류 전압원일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10 supplies power to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 Here, the power supply 110 may be a DC voltage source.

이때,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x축 및 y축 방향에 대하여 위치를 감지하는데, 이를 위해 전원공급부(110)는 x축 및 y축 방향에 대하여 교번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detects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as will be described later. For this purpose, the power supply unit 110 alternately supplies power with respect to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have.

전술한 바와 같이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는 봉합술 트레이닝을 위한 인체모형(10)에 내장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는 인체모형(10)의 인공피부(11)의 아래에 배치된다. 즉,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는 인체모형(10)에 내장되고 인공피부(11)에 의해 상면이 덮힐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is embedded in the manikin 10 for suture training. Referring to FIG. 3 ,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is disposed under the artificial skin 11 of the human body model 10 . That is,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may be embedded in the human body model 10 and the upper surface may be covered by the artificial skin 11 .

이때, 인공피부(11)는 일부에 상처를 모사한 절개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절이 없이 매끈한 인공피부(11)의 일부 영역에서 인공피부(11)가 양쪽으로 찢어지거나 또는 벌어진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rtificial skin 11 may be formed with an incision simulating a wound in part. That is, the artificial skin 11 may include a form in which the artificial skin 11 is torn on both sides in a partial area of the artificial skin 11 that is smooth without a break.

여기서, 봉합술 트레이닝 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봉합 수단(160)이 절개 부위와 인접한 인공피부(11)를 관통하는 경우, 아래에 배치된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도 함께 관통된다. 이때,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는 전원공급부(11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봉합 수단(160)의 봉합위치를 기준으로 이에 대응하는 전위가 분배될 수 있다. Here, when the suture means 160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penetrates the artificial skin 11 adjacent to the incision site during suturing training,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disposed below also penetrates. In this case, the sealing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may distribute a potential corresponding thereto based on the sealing position of the sealing means 160 by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는 전도성 물질 상에서 전류 흐름의 방향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전위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제1구동층(121), 제1절연층(122), 제2구동층(123), 제2절연층(124) 및 감지층(125)을 포함한다. 4, the sealing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principle of a potential that linearly decreas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current flow on the conductive material, the first driving layer 121, It includes a first insulating layer 122 , a second driving layer 123 , a second insulating layer 124 , and a sensing layer 125 .

여기서, 제1구동층(121), 제1절연층(122), 제2구동층(123), 제2절연층(124) 및 감지층(125)을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일례로, 감지층(125)을 기반으로 상측으로 순차로 적층될 수 있다.Here, the first driving layer 121 ,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2 ,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24 , and the sensing layer 125 are sequentially stacked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based on the sensing layer 125, it may b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upper side.

이때,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는 비용이 저렴하고 박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는 테이프 또는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is case,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is inexpensive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That is, the sealing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may be formed of a tape or a thin film. However,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is not limited thereto.

일례로, 제1구동층(121), 제2구동층(123) 및 감지층(125)은 판상의 전도성 테이프 또는 절연성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절연층(122) 및 제2절연층(124)은 판상의 절연성 테이프 또는 절연성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driving layer 121 ,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 and the sensing layer 125 may be formed of a plate-shaped conductive tape or an insulating thin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2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24 may be formed of a plate-shaped insulating tape or an insulating thin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보다 상세하게, 제1구동층(121), 제2구동층(123) 및 감지층(125)은 천 테이프에 전도성 잉크를 고르게 도포하고 잉크가 굳기 전에 구리테이프(전극)를 양 끝단에 접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절연층(122) 및 제2절연층(124)는 플라스틱테이프나 Opsite 필름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driving layer 121 ,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and the sensing layer 125 are formed by evenly applying a conductive ink to a cloth tape and adhering a copper tape (electrode) to both ends before the ink hardens. can be formed. In additi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2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24 may be formed using a plastic tape or an Opsite film.

이에 의해,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는 인체모형(10)의 인공피부(11) 아래에 용이하게 내장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can be easily embedded under the artificial skin 11 of the human body model 10 .

더욱이,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는 봉합 수단(160)에 의해 인공피부(11)의 봉합시 추가적인 저항력을 발생하지 않고 용이하게 관통될 수 있으므로 봉합술의 현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suture position sensor 120 can be easily penetrated without generating additional resistance when the artificial skin 11 is sutured by the suturing means 160 , the reality of suturing can be improved.

나아가,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고 따라서 인공피부(11)와 함께 봉합되어 한 번 사용후 폐기하여도 경제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can be manufactured at a low cost, 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conomic burden even if it is sutured together with the artificial skin 11 and discarded after being used once.

제1구동층(121)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구동층(121)은 미리 정해진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구동층(121)은 전원공급부(110)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layer 121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Here, the first driving layer 121 may have a predetermined resistance value. Power may be applied to the first driving layer 121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

또한, 제1구동층(121)은 양측에 형성되는 제1전극(121a) 및 제2전극(121b)을 포함한다. 일례로, 제1구동층(121)은 y축 방향의 양측(도 4에서 전후 방향)에 제1전극(121a) 및 제2전극(121b)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layer 121 includes a first electrode 121a and a second electrode 121b formed on both sides. For example, in the first driving layer 121 , the first electrode 121a and the second electrode 121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y-axis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FIG. 4 ).

여기서, 제1전극(121a) 및 제2전극(121b)은 전원공급부(110)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전극(121a)은 전원공급부(110)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고 제2전극(121b)은 전원공급부(110)의 음극(접지)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Here, power may b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21a and the second electrode 121b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21a may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110 , and the second electrode 121b may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ground)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110 .

이때, 제1전극(121a) 및 제2전극(121b)은 일정한 폭으로 제1구동층(121)의 양측변 전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121a and the second electrode 121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driving layer 121 with a constant width, respectively.

제1절연층(122)은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절연층(122)은 제1구동층(12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절연층(122)은 제1구동층(121)의 하면에 접합될 수 있다.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2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lso,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2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driving layer 121 . For example,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2 may be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layer 121 .

제2구동층(123)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구동층(123)은 미리 정해진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구동층(123)은 제1절연층(12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2구동층(123)은 제1절연층(122)의 하면에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구동층(123)은 전원공급부(110)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Here,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may have a predetermined resistance value. In this case,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2 . For example,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may be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2 . Power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from the power supply 110 .

또한, 제2구동층(123)은 양측에 형성되는 제3전극(123a) 및 제4전극(123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3전극(123a) 및 제4전극(123b)은 제1전극(121a) 및 제2전극(121b)에 각각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일례로, 제2구동층(123)은 x축 방향의 양측(도 4에서 좌우 방향)에 제3전극(123a) 및 제4전극(123b)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includes a third electrode 123a and a fourth electrode 123b formed on both sides. Here, the third electrode 123a and the fourth electrode 123b are dispos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electrode 121a and the second electrode 121b, respectively. For example, in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 a third electrode 123a and a fourth electrode 123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x-axis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 4 ).

여기서, 제3전극(123a) 및 제4전극(123b)은 전원공급부(110)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일례로, 제3전극(123a)은 전원공급부(110)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고 제4전극(123b)은 전원공급부(110)의 음극(접지)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Here, power may b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23a and the fourth electrode 123b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 For example, the third electrode 123a may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110 , and the fourth electrode 123b may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ground)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110 .

이때, 제3전극(123a) 및 제4전극(123b)은 일정한 폭으로 제2구동층(123)의 양측변 전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hird electrode 123a and the fourth electrode 123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with a constant width, respectively.

제2절연층(124)은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절연층(124)은 제2구동층(12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2절연층(124)은 제2구동층(123)의 하면에 접합될 수 있다.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24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lso,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24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 For example,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24 may be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

감지층(125)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감지층(125)은 미리 정해진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감지층(125)은 제2절연층(124)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감지층(125)은 제2절연층(124)의 하면에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층(125)은 봉합 수단(160)의 봉합 위치에 대응하는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The sensing layer 125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Here, the sensing layer 125 may have a predetermined resistance value. In this case, the sensing layer 125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24 . For example, the sensing layer 125 may be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24 . The sensing layer 125 may detect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position of the sealing means 160 .

또한, 감지층(125)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5전극(125a)을 포함한다. 이때, 제5전극(125a)은 일정한 폭으로 감지층(125)의 4변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layer 125 includes a fifth electrode 125a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In this case, the fifth electrode 125a may be formed on all four sides of the sensing layer 125 with a constant width.

여기서, 제1구동층(121), 제2구동층(123) 및 감지층(125)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구동층(121), 제2구동층(123) 및 감지층(125)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제1구동층(121), 제2구동층(123) 및 감지층(125)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first driving layer 121 ,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 and the sensing layer 125 may have the same size. In this case, the first driving layer 121 ,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 and the sensing layer 125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the first driving layer 121 ,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 and the sensing layer 125 may have a square shape.

이에 의해,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는 봉합 위치(또는 경로)를 2차원 좌표로 정확하고 정밀하게 검출 및 연산할 수 있고, 따라서 트레이닝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can accurately and precisely detect and calculate the suture position (or path) in two-dimensional coordinates, thus ensuring the reliability of the training resul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는 보호층(126,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층(126,127)은 제1절연층(122) 및 제2절연층(124)과 동일한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aling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protective layers (126, 127). Here, the protective layers 126 and 127 may be made of the same insulating material as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2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24 .

제1보호층(126)은 제1구동층(12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보호층(126)은 봉합위치 감지센서(120)의 상면에서 제1구동층(121)을 외부와 절연 및 보호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protective layer 126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riving layer 121 . That is,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6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to insulate and protect the first driving layer 121 from the outside.

제2보호층(127)은 감지층(125)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보호층(127)은 봉합위치 감지센서(120)의 하면에서 감지층(125)을 외부와 절연 및 보호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protective layer 127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nsing layer 125 . That is,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27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to insulate and protect the detection layer 125 from the outside.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봉합위치 감지센서(120)에 의한 봉합 위치의 연산 원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suture position by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도 6을 참조하면, 봉합 위치의 1차원 좌표에 대한 연산을 위해, 전원공급부(110)로부터 구동층으로 전원이 인가된다. 여기서, x축 방향에 대한 제2구동층(123)을 기초로 설명하지만, y축 방향에 대한 제1구동층(121)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Referring to FIG. 6 , power is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to the driving layer for the calculation of the on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suture position. Here, although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for the x-axis direction is described based on the description,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first driving layer 121 for the y-axis direction.

이때, 제2구동층(123)의 제3전극(123a)은 양극 배선(111)을 통하여 전원공급부(110)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고, 제4전극(123b)은 음극 배선(112)을 통하여 전원공급부(110)의 음극(접지) 단자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3전극(123a)의 전위는 전원공급부(110)의 인가 전압(VS)과 같고, 제4전극(123b)의 전위는 0V와 같다. At this time, the third electrode 123a of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110 through the positive wiring 111 , and the fourth electrode 123b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wiring 112 through the negative wiring 112 . It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ground)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110 . Here, the potential of the third electrode 123a is equal to the applied voltage V S of the power supply unit 110 , and the potential of the fourth electrode 123b is equal to 0V.

이때, 봉합 수단(160)이 제2구동층(123)의 특정 위치를 관통하면, 봉합 수단(160)의 관통 지점(P1)과 제4전극(123b) 사이에는 제2구동층(123)의 저항값 및 그 사이의 거리(L1)에 따른 제1저항(R1)이 형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봉합 지점(P1)과 제4전극(123b) 사이에는 제2구동층(123)의 저항값 및 그 사이의 거리(L2)에 따른 제2저항(R2)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when the sealing means 160 penetrates a specific position of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is between the penetrating point P 1 of the sealing means 160 and the fourth electrode 123b. The first resistor R 1 is formed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of and the distance L 1 therebetween. Similarly, a second resistance R 2 is formed between the sealing point P 1 and the fourth electrode 123b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and the distance L 2 therebetween. .

이와 같이, 제2구동층(123)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제3전극(123a)과 제4전극(123b) 사이에서 그 거리에 따라 일정한 저항값(R1, R2)으로 나타낼 수 있다. In this way,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can be represented by constant resistance values R 1 , R 2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23a and the fourth electrode 123b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have.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ρ는 제2구동층(123)의 비저항, L1은 제4전극(123b)과 봉합 지점(P1) 사이의 거리, A1은 제4전극(123b)과 봉합 지점(P1) 사이의 수직 단면적, L2는 제3전극(123a)과 봉합 지점(P1) 사이의 거리, A2는 제3전극(123a)과 봉합 지점(P1) 사이의 수직 단면적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A1와 A2는 동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A1와 A2가 서로 동일할 경우, 저항(R1, R2)은 길이(L1, L2)에 비례할 것이다.Here, ρ is the resistivity of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 L 1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ourth electrode 123b and the sealing point P 1 , A 1 is the fourth electrode 123b and the sealing point P 1 ) A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m, L 2 is a distance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23a and the sealing point P 1 , and A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23a and the sealing point P 1 . Howev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1 and A 2 may be the same. As such, when A 1 and A 2 are equal to each other, the resistances R 1 and R 2 will be proportional to the lengths L 1 and L 2 .

따라서 봉합 지점(P1)의 전위(Vp)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인가된 전압(VS)에 대한 전압 분배로 표현될 수 있다. Therefore, the potential (V p ) of the sealing point (P 1 ) can be expressed as a voltage division with respect to the applied voltage (V S ) as in Equation 1 below.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도 5의 위치별 전위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층(123)의 저항값에 의해, 봉합 지점(P1)에서의 전위는 봉합 지점(P1)과 제4전극(123b) 사이의 거리(L1)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Here, as shown in the potential graph for each position of FIG. 5 , the potential at the sealing point P 1 is determined by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at the sealing point P 1 and the fourth electrode 123b. ), it can be seen that it increases linearly with the distance (L 1 ) between them.

수학식 2에 수학식 1을 대입하여 L1에 대하여 정리하면 하기의 수학식 3과 같다. By substituting Equation 1 into Equation 2 to organize L 1 , it is as Equation 3 below.

[수학식 3][Equation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여기서, L은 제3전극(123a)과 제4전극(123b) 사이의 거리로서, L1+L2이다. Here, L is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23a and the fourth electrode 123b, and is L 1 +L 2 .

이와 같이, 봉합 지점(P1)에서의 전위를 검출하면, 제4전극(123b)으로부터의 거리(L1)를 산출할 수 있고 따라서 봉합 수단(160)의 봉합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potential at the sealing point P 1 is detected, the distance L 1 from the fourth electrode 123b can be calculated, and thus the sealing position of the sealing means 160 can be calculated.

즉, 위치 연산부(132)는 제3전극(123a)과 제4전극(123b) 사이의 거리(L)를 기초로 봉합 지점(P1)에서 검출된 전위(Vp)에 대한 전원공급부(110)에서 인가되는 전압(VS)의 비율로 봉합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That is, the position calculating unit 132 is a power supply unit 110 for the potential Vp detected at the sealing point P 1 based on the distance L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23a and the fourth electrode 123b. The sealing position can be calculated by the ratio of the voltage (V S ) applied in the .

한편, 봉합 지점(P1)에서의 전위는 감지층(125)을 통하여 검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봉합 수단(160)이 인공피부(11)를 관통하는 경우, 인공피부(11)와 함께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도 관통된다. Meanwhile, a potential at the sealing point P 1 may be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layer 125 . Here, when the suture means 160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penetrates the artificial skin 11 ,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also passes through the artificial skin 11 .

이때, 봉합 수단(160)이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를 관통함에 따라 봉합 수단(160)을 통하여 제2구동층(123)과 감지층(125)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t this time, as the sealing means 160 passes through the sealing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and the detection layer 125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sealing means 160 .

도 6을 참조하면, 제2구동층(123)과 감지층(125)의 출력 단자(SO) 사이에는 봉합 수단(160)에 의한 제3저항(R3)과 감지층(125)에 의한 제4저항(R4)이 추가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ure 6, according to the second drive layer 123 and sense layer 125, an output terminal a third resistor (R 3) and the sense layer 125 by, the sealing means 160 between the (S O) of A fourth resistor (R 4 ) is additionally formed.

즉, 제2구동층(123)의 봉합 지점(P1)과 감지층(125)의 봉합 지점(P2) 사이에는 봉합 수단(160)이 갖는 저항값에 의해 제3저항(R3)이 형성된다. 또한, 감지층(125)의 봉합 지점(P2)과 제5전극(125a) 사이에는 감지층(125)의 저항값에 의해 제4저항(R4)이 형성된다. That is, the second between the sealing point (P 2) of the closure point (P 1) and the sensing layer 125 of the driving layer 123, a third resistor (R 3) by a resistance value having a sealing means 160, is formed In addition, a fourth resistor R 4 is formed between the sealing point P 2 of the sensing layer 125 and the fifth electrode 125a by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nsing layer 125 .

이때, 감지층(125)은 그 출력 단자(SO)에 풀다운 저항(Rp)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풀다운 저항(Rp)의 저항값은 감지층(125)의 저항값 및 봉합 수단(160)의 저항값의 합보다 100배 이상 클 수 있다. 이에 의해, 출력 단자(SO)에서 검출된 전압이 랜덤하게 플로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nsing layer 125 can be provided with a pull-down resistor (R p) to the output terminal (S O). Her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pull-down resistor R p may be 100 times or more greater than the sum o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nsing layer 125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aling means 160 . As a result, the detected voltage at the output terminal (S O)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andomly floating.

도 7을 참조하면, 봉합 지점(P1)과 접지 사이에서 제1저항(R1)은 제3저항(R3), 제4저항(R4) 및 풀다운 저항(Rp)의 직렬 저항과 병렬로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7 , between the sealing point (P 1 ) and the ground, the first resistor (R 1 ) is the series resistance of the third resistor (R 3 ), the fourth resistor (R 4 ), and the pull-down resistor (R p ) and connected in parallel

여기서, 풀다운 저항(Rp)의 저항값은 봉합 수단(160)에 의한 저항값(R3) 및 감지층(125)에 의한 저항값(R4)의 합보다 매우 크기 때문에 대부분의 전압은 풀다운 저항(Rp)에 걸린다. Here, sinc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pull-down resistor R p is much greater than the sum of the resistance value R 3 by the sealing means 160 and the resistance value R 4 by the sensing layer 125 , most voltages are pulled down It is applied to the resistance (R p ).

또한, 제2구동층(123)의 제2저항(R2)에 흐르는 전류(I)는 대부분 제1저항(R1)로 흐른다. 즉, 제2구동층(123)의 제1저항(R1)에 흐르는 전류(I1)는 제3저항(R3), 제4저항(R4) 및 풀다운 저항(Rp)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I2)보다 매우 크다. In addition, most of the current I flowing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 2 of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flows into the first resistor R 1 . That is, the current I 1 flowing through the first resistor R 1 of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flows through the third resistor R 3 , the fourth resistor R 4 , and the pull-down resistor R p . It is much greater than the current I 2 .

이와 같이, 감지층(125)의 출력 단자(SO)에 구비된 풀다운 저항(Rp)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봉합 지점(P1)의 전위를 산출할 수 있다.Thus, by measuring the voltage across the pull-down resistor (R p) provided to the output terminal (S O) of the sense layer 125,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potential of the closure point (P 1).

한편, 봉합위치 감지센서(120)의 제1구동층(121) 및 제2구동층(123)을 이용하여 2차원 좌표로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해서, 제1구동층(121)과 제2구동층(123)에 전원이 교번하여 인가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etermine the position in two-dimensional coordinates using the first driving layer 121 and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of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the first driving layer 121 and the second driving layer Power is alternately applied to (123).

도 8을 참조하면,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100)은 전원공급부(110)의 출력 전원을 제1구동층(121) 및 제2구동층(123)에 교번하여 공급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부(SW)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suture training system 100 includes a switch unit SW that switches to alternately supply the output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10 to the first driving layer 121 and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 may include more.

즉, y축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제1구동층(121)과 x축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제2구동층(123)에 대하여 하나의 감지층(125)을 이용하기 때문에, 스위치부(SW)는 제1구동층(121)과 제2구동층(123)에 교번하여 전원을 인가한다. 따라서 제1구동층(121) 및 제2구동층(123)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That is, since one sensing layer 125 is used for the first driving layer 121 for detecting the y-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for detecting the x-axis direction, the switch unit SW alternately applies power to the first driving layer 121 and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 Accordingly, the first driving layer 121 and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may be selectively activated.

이때, 위치 연산부(132)는 전원공급부(110)의 전원 교번에 따라 제1구동층(121) 및 제2구동층(123)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전위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위치 연산부(132)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중 하나의 방향에 대하여 봉합 지점(P1)의 전위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연산부(132)는 전원의 교번 인가에 의해 봉합 지점(P1)의 위치에 대한 x 및 y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osition calculating unit 132 may detect a potential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first driving layer 121 and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according to the alternating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10 . That is, the position calculating unit 132 may detect the potential of the suture point P 1 with respect to one of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Therefore, the position calculating unit 132 may calculate the x and y coordinates of the position of the suture point P1 by the alternating application of power.

일례로, 스위치부(SW)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witch unit SW may include a transistor.

도 9를 참조하면, 제1트랜지스터(S1a) 및 제2트랜지스터(S1b)는 제1구동층(121)의 제1전극(121a) 및 제2전극(121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트랜지스터(S2a) 및 제4트랜지스터(S2b)는 제2구동층(123)의 제3전극(123a) 및 제4전극(123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first transistor S 1a and the second transistor S 1b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21a and the second electrode 121b of the first driving layer 121 . In addition, the third transistor S 2a and the fourth transistor S 2b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123a and the fourth electrode 123b of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

이때, 제1구동층(121)에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S1a) 및 제2트랜지스터(S1b)는 제1신호(S1)에 의해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구동층(123)에 연결되는 제3트랜지스터(S2a) 및 제4트랜지스터(S2b)는 제2신호(S2)에 의해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transistor S 1a and the second transistor S 1b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layer 121 may be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the first signal S 1 . Similarly, the third transistor S 2a and the fourth transistor S 2b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layer 123 may be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the second signal S 2 .

여기서, 제2신호(S2)는 제1신호(S1)의 반전된 신호일 수 있다. 아울러, 제1신호(S1) 및 제2신호(S2)는 일정한 펄스 폭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트랜지스터(S1a) 내지 제4트랜지스터(S2b)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스위칭되며, 제1트랜지스터(S1a) 및 제2트랜지스터(S1b)와 제3트랜지스터(S2a) 및 제4트랜지스터(S2b)는 서로 다른 시간에 각각 턴온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신호(S1) 및 제2신호(S2)는 200㎐의 주파수의 구형파일 수 있다. 이때, 위치 연산부(132)는 100㎐의 주파수로 봉합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signal S 2 may be an inverted signal of the first signal S 1 . In addition, the first signal S 1 and the second signal S 2 may have a constant pulse width. As a result, the first transistor (S 1a ) to the fourth transistor (S 2b ) are switched at regular time intervals, and the first transistor (S 1a ) and the second transistor (S 1b ) and the third transistor (S 2a ) and The fourth transistor S 2b may be turned on at different times. For example, the first signal (S 1 ) and the second signal (S 2 ) may be a square wave having a frequency of 200 Hz. In this case, the position calculating unit 132 may detect the suture position at a frequency of 100 Hz.

즉, 제1트랜지스터(S1a) 및 제2트랜지스터(S1b)가 턴온되고, 제3트랜지스터(S2a) 및 제4트랜지스터(S2b)가 턴오프되면, 전원공급부(110)는 제1구동층(121)으로 전압(VS)을 인가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first transistor S 1a and the second transistor S 1b are turned on, and the third transistor S 2a and the fourth transistor S 2b are turned off, the power supply unit 110 first drives A voltage V S may be applied to the layer 121 .

이와 유사하게 제3트랜지스터(S2a) 및 제4트랜지스터(S2b)가 턴온되고, 제1트랜지스터(S1a) 및 제2트랜지스터(S1b)가 턴오프되면, 전원공급부(110)는 제2구동층(123)으로 전압(VS)을 인가할 수 있다. Similarly, when the third transistor (S 2a ) and the fourth transistor (S 2b ) are turned on, and the first transistor (S 1a ) and the second transistor (S 1b ) are turned off, the power supply unit 110 is the second A voltage V S may be applied to the driving layer 123 .

이에 의해, 하나의 감지층을 이용하면서도 봉합 위치를 2차원 좌표로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alculate the suture position in two-dimensional coordinates while using one sensing layer.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100)의 제어부(130)는 봉합 수단(160)이 인공피부(11)를 관통하는 경우, 해당 봉합위치를 연산하여 봉합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S. 1 and 2 , the controller 130 of the suture trai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suture position when the suturing means 160 penetrates the artificial skin 11 . Thus, the suture path can be calculated.

이때, 제어부(130)는 전원공급부(110)가 봉합위치 감지센서(120)의 방향에 대하여 교번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위치 연산부(132) 및 봉합 경로 산출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110 to supply power alternately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 Here, the control unit 130 may include a position calculating unit 132 and a suture path calculating unit 134 .

위치 연산부(132)는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로부터 봉합 수단(16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전위를 검출한다. 이때, 위치 연산부(132)는 전원공급부(110)에서 봉합위치 감지센서(120)로 인가하는 전압과 검출된 전위의 비에 따라 봉합 수단(16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봉합 수단(160)의 위치 산출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position calculating unit 132 detects a potenti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turing means 160 from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 At this time, the position calculating unit 132 may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sealing means 160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aling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to the detected potential. The calculation of the position of the suturing means 16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

봉합 경로 산출부(134)는 위치 연산부(132)에서 산출된 적어도 2 이상의 위치를 서로 연결하여 봉합 수단(160)에 의한 봉합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바늘과 같은 봉합 수단(160)이 인공피부(11)의 하면에서 상면방향으로 나오면서 관통하는 지점의 위치와 뒤이어서 인공피부(11)의 상면에서 하면방향으로 들어가면서 관통하는 지점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봉합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The suturing path calculating unit 134 may calculate a suturing path by the suturing unit 160 by connecting at least two or more positions calculated by the position calculating unit 132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needle-like suturing means 160 is sutured by connecting the position of the point where it penetrates while coming ou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artificial skin 11 in the upper surface direction, and the point at which it penetrates as it enter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artificial skin 11 to the lower surface. path can be calculated.

이때,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100)은 저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봉합 경로 산출부(134)는 봉합 수단(160)에 대하여 검출된 위치를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봉합경로 산출부(134)는 저장된 봉합 위치들로부터 봉합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ture training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140 . That is, the suturing path calculating unit 134 may store the detect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turing unit 160 in the storage unit 140 . In addition, the suturing path calculating unit 134 may calculate a suturing path from the stored suture positions.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봉합 경로 산출부(134)는 인체모형(10)에 대응하는 영상에 산출된 봉합 경로를 중첩하여 후술될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so, referring to FIG. 2 , the suture path calculating unit 134 may control to display the calculated suture path on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human body model 10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즉, 봉합경로 산출부(134)는 도 3과 같이 훈련자가 봉합시 발생한 오류의 정도를 스스로 인지할 수 있도록 봉합 경로를 기준 경로와 함께 도시하여 그래픽으로 제공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 the suturing path calculating unit 134 may graphically provide the suturing path together with the reference path so that the trainee can recognize the degree of error occurring during sutur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봉합훈련 평가부(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suture training evaluation unit 136 .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130)는 훈련자에 의한 봉합 경로와 기준 경로를 서로 비교하여 오차 정도를 계산함으로써 훈련자에 의한 봉합품질을 정량화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controller 130 may quantify the suture quality by the trainee by comparing the suture path by the trainee with the reference path and calculating the degree of error.

일례로, 기준 경로가 X축 및 Y축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각도와 훈련자에 의한 봉합 경로가 X축 및 Y축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여 차이의 정도를 정량화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봉합 경로의 진행에 따라 각각의 봉합선이 평행한 정도 또는 봉합길이의 균일 정도를 정량화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degree of difference may be quantified by measuring the angle at which the reference path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X and Y axes and the angle at which the suture path by the traine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X and Y axes. As another example, the degree of parallelism of each suture line or the uniformity of the suture length may be quantifi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suture path.

또한 봉합훈련 평가부(136)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날짜별 봉합 경로를 서로 비교하여 훈련자의 기간별 훈련성과를 분석할 수도 있다. 한편, 각 훈련자별 훈련 성과물(봉합 경로)를 각각 별도로 인식하여 서로 비교할 수도 있다. 그러나, 봉합훈련 평가부(136)의 적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봉합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정량 지표가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uture training evaluation unit 136 may analyze the training performance of the trainee for each period by comparing the suture paths by da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recognize the training achievements (suture route) for each trainee separately and compare them with each other.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suture training evaluation unit 136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quantitative indicators capable of evaluating the suture quality may be adopted.

이와 같이 봉합훈련 평가부(136)를 통해 정량화된 훈련성과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도시됨으로써, 훈련자는 본인의 훈련 성과를 객관적으로 피드백 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ining performance quantified through the suture training evaluation unit 136 is shown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so that the trainee can objectively receive feedback on his/her own training perform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100)은 봉합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ture trai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150 for displaying a suturing path.

디스플레이부(150)는 봉합 경로 산출부(134)에 의해 산출된 봉합 경로를 인체모형(10)의 대응 위치에 중첩하여 도시하는 것 또는 전술한 훈련평가 결과를 도시하는 것과 같이 훈련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표시한다. 따라서 훈련자는 자율적으로 교육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0 superimposes the suture path calculated by the suturing path calculation unit 134 on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human body model 10, or displays the above-described training evaluation result, information necessary in the training process.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mage or text. Therefore, the trainee can autonomously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자는 봉합위치 감지센서(120)가 포함된 인체모형(10)을 통해 봉합술을 훈련하면서, 이와 인접한 곳에 디스플레이부(150)를 배치함으로써 훈련과 관련된 피드백을 즉시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trainee can immediately check the training-related feedback by placing the display unit 150 in the vicinity of the suture while training the suture through the manikin 10 including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 have.

한편, 디스플레이부(150)는 LCD 패널 또는 OLED 패널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패널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기능을 갖는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one of various types of panels such as an LCD panel or an OLED panel, and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panel having a touch function.

이때, 디스플레이부(150)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전술한 제어부(130)와 유선 케이블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130 by a wired cable for data transmission.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별도의 통신수단을 구비하여 제어부(130)와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0 by wireless communication by providing a separate communication means.

일례로 휴대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훈련자의 개인용 통신단말기기에 포함된 패널이 디스플레이부(150)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훈련자는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1)이 설치된 특정 장소 외에 개인의 주거시설과 같은 곳에서도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봉합술 트레이닝의 공간적 제약을 극복함으로써 자유롭게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 panel included in the trainee's personal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tablet PC, may be used as the display unit 150 . In this case, the trainee may perform training in a place such as a private residence in addition to a specific place where the suture training system 1 is installed. That is, by overcoming the spatial constraints of suture training, training can be performed free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ut thi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
110 : 전원공급부 111 : 양극 배선
112 : 음극 배선 120 : 봉합위치 감지센서
121 : 제1구동층 121a : 제1전극
121b: 제2전극 122 : 제1절연층
123 : 제2구동층 123a: 제3전극
123b : 제4전극 124 : 제2절연층
125 : 감지층 125a : 제5전극
126 : 제1보호층 127 : 제2보호층
130 : 제어부 132 : 위치 연산부
134 : 봉합 경로 산출부 136 : 봉합 훈련 평가부
140 : 저장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봉합 수단 SW : 스위치부
100: suture training system
110: power supply 111: anode wiring
112: cathode wiring 120: sealing position detection sensor
121: first driving layer 121a: first electrode
121b: second electrode 122: first insulating layer
123: second driving layer 123a: third electrode
123b: fourth electrode 124: second insulating layer
125: sensing layer 125a: fifth electrode
126: first protective layer 127: second protective layer
130: control unit 132: position calculation unit
134: suture path calculation unit 136: suture training evaluation unit
140: storage unit 150: display unit
160: sealing means SW: switch unit

Claims (10)

봉합술기를 훈련하기 위한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으로서,
절개 부위를 포함하는 인공피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형성되는 제1구동층,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구동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절연층,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절연층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에 각각 직교하도록 그 양측에 제3전극 및 제4전극이 형성되는 제2구동층,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동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절연층 및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절연층의 일측에 배치되며 둘레를 따라 제5전극이 형성되는 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층, 상기 제1절연층, 상기 제2구동층, 상기 제2절연층 및 상기 감지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봉합위치 감지센서;
상기 제1구동층 및 상기 제2구동층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봉합 수단이 상기 인공피부의 절개 부위를 봉합하는 경우, 상기 봉합 수단이 상기 봉합위치 감지센서를 관통함에 따라 상기 봉합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1구동층 및 상기 제2구동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감지층에서 전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위에 따라 상기 봉합 수단의 봉합위치를 연산하는 위치 연산부;를 포함하는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
A suture training system for training a suture technique, comprising:
artificial skin including an incision site;
A first driving laye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hav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 first insulating lay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driving layer, and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first A second driving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third electrode and a fourth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respectively, and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on one side of the second driving layer a second insulating layer and a sensing laye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fifth electrode formed along the periphery, wherein the first driving layer,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a second driving layer,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sensing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driving layer and the second driving layer; and
When the sealing mean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loses the incision of the artificial skin, as the sealing means passes through the suture position detection sensor, the first driving layer and the second driving lay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sealing means. A suture training system comprising a; a position calculating unit that detects a potential in the sensing layer to be connected and calculates a suture position of the suturing means according to the detected potent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연산부는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 또는 상기 제3전극과 상기 제4전극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검출된 전위에 대한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의 비율로 상기 봉합위치를 연산하는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osition calculating unit determines the sealing position at a ratio of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detected potential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r between the third electrode and the fourth electrode. Suture training system that calcul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제1구동층 및 상기 제2구동층에 전원을 교번하여 공급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uture train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power supply unit to alternately supply power to the first driving layer and the second driving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연산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교번에 따라 상기 제1구동층 및 상기 제2구동층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상기 전위를 검출하는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position calculation unit is a suture training system for detecting the electric potential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first driving layer and the second driving layer according to the alternating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스위칭되는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witching unit is a suture training system that is switched at regular time interv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연산부에서 산출된 적어도 2 이상의 위치를 연결하여 상기 봉합 수단에 의한 봉합 경로를 산출하는 봉합 경로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uture train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suturing path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suturing path by the suturing means by connecting at least two or more positions calculated by the position calculating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경로 산출부에서 산출된 봉합 경로와 기준 경로를 서로 비교하여 봉합술 트레이닝을 평가하는 봉합훈련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suture train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suturing training evaluation unit for evaluating suture training by comparing the suture path calculated by the suturing path calculation unit with the reference pat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경로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봉합 경로를 상기 인체모형의 봉합 부위에 중첩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suture train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suture path calculated by the suturing path calculation unit overlapping the suture portion of the human body mode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봉합 경로 산출부로부터 무선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play unit receives and outputs data by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suturing path calculation unit, suture training sys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개인용 통신단말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봉합 경로를 상기 인체모형의 봉합 부위에 중첩하여 출력하는, 봉합술 트레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display unit, using a personal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uperimposes the suture path on the suture portion of the human body model and outputs the superimposed suture training system.
KR1020190151527A 2019-11-22 2019-11-22 Suture Training System KR1022794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527A KR102279467B1 (en) 2019-11-22 2019-11-22 Suture Trai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527A KR102279467B1 (en) 2019-11-22 2019-11-22 Suture Train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066A true KR20210063066A (en) 2021-06-01
KR102279467B1 KR102279467B1 (en) 2021-07-20

Family

ID=76375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527A KR102279467B1 (en) 2019-11-22 2019-11-22 Suture Train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46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5487B2 (en) * 1994-03-01 2001-08-06 富士通株式会社 Coordinate detection device
KR101382515B1 (en) * 2006-09-29 2014-04-07 각코호진 와세다다이가쿠 Medical technique evaluation system, technique evaluation device, technique evaluation device program
US8834170B2 (en) 2006-11-06 2014-09-16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Devices and methods for utilizing mechanical surgical devices in a virtual environment
KR20140110998A (en) * 2012-02-15 2014-09-17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Touch panel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5487B2 (en) * 1994-03-01 2001-08-06 富士通株式会社 Coordinate detection device
KR101382515B1 (en) * 2006-09-29 2014-04-07 각코호진 와세다다이가쿠 Medical technique evaluation system, technique evaluation device, technique evaluation device program
US8834170B2 (en) 2006-11-06 2014-09-16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Devices and methods for utilizing mechanical surgical devices in a virtual environment
KR20140110998A (en) * 2012-02-15 2014-09-17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Touch panel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467B1 (en)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7936B2 (en) Hybrid physical-virtual reality simulation for clinical training capable of providing feedback to a physical anatomic model
Vaughan et al. A review of epidural simulators: where are we today?
US10037715B2 (en) Detecting insertion of needle into simulated vessel using a conductive fluid
US8162668B2 (en) Medical training simulator including contact-less sensors
US7857626B2 (en) Medical physiological simulator including a conductive elastomer layer
JP5083776B2 (en) Medical procedure evaluation system
US6773263B2 (en) Medical simulator
US20160133056A1 (en) Interactive mixed reality system and uses thereof
CA2870272A1 (en) Automated intelligent mentoring system (aims)
US10325522B2 (en) Medical training system and method of employing
Loukas et al. Deconstructing laparoscopic competence in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environment
CN211827846U (en) Medical simulation system
KR102052037B1 (en) Sensor for sensing incision position and system for training cricothyrotomy
WO201602882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 haptic medical simulation device
Kim et al. Virtual-reality-based laparoscopic surgical training: the role of simulation fidelity in haptic feedback
EP2325827A1 (en) Medical simulator with injection device
KR102279467B1 (en) Suture Training System
AU2020230230B2 (en) Laparoscopic simulator
Shakil et al. Simulation training in echocardiography: The evolution of metrics
Singapogu et al. A perspective on the role and utility of haptic feedback in laparoscopic skills training
Sujatta First of all: Do not harm! Use of simulation for the training of regional anaesthesia techniques: Which skills can be trained without the patient as substitute for a mannequin
Choi et al. A flexible sensor for suture training
Crossan et al. Multimodal feedback cues to aid veterinary training simulations
Kumar et al. A Mannequin-Based Training System With Integrated Sensors for Ophthalmic Sub-Tenon Anesthesia
Klein et al. L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