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265A - Shopping system and shopping method using virtual shelf - Google Patents

Shopping system and shopping method using virtual shel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265A
KR20210060265A KR1020190148119A KR20190148119A KR20210060265A KR 20210060265 A KR20210060265 A KR 20210060265A KR 1020190148119 A KR1020190148119 A KR 1020190148119A KR 20190148119 A KR20190148119 A KR 20190148119A KR 20210060265 A KR20210060265 A KR 20210060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user
product
shelf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1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춘근
김수아
조정현
이용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8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0265A/en
Publication of KR20210060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2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pping system and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The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ntrance through which a user enters; a user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user entering through the entrance; a signage devic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and displaying a virtual shelf including virtual products; a product storage unit for arranging a physical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product; a produc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packaging of the physical product selected and purchased by the user through the signage device; a produc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purchased product packaged in the product processing unit by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the virtual shelf and the arrangement of the virtual products displayed on the virtual shelf and processing payment for the product selected and purchased by the user through the signage device. Thereby, by combining the advantages of a virtual store and an offline store, it is possible to give an experience of viewing and purchasing a real product and provides a shopping environment convenient for the shopping flow of a shop's visitor.

Description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SHOPPING SYSTEM AND SHOPPING METHOD USING VIRTUAL SHELF}Shopping system and shopping method using virtual shelf {SHOPPING SYSTEM AND SHOPPING METHOD USING VIRTUAL SHELF}

본 발명은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프라인에 마련된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pping system and a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and more specifically, to a shopping system and a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provided offline.

최근 가상 스토어가 새롭게 출연하여 주목을 받고 있다. 가상 스토어는 지하철역 스크린 도어나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상품 이미지를 보고, 그 자리에서 해당 물건을 바로 구매 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스마트폰으로 해당 이미지 곁의 QR코드 등을 찍으면 자동으로 관련 모바일 페이지로 넘어간다. 결제를 하고 배송지 정보입력까지 할 수 있어 구매자는 직접 매장을 방문하지 않아도 된다. 인터넷 온라인 쇼핑몰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옮겨진 셈이다. 최근 대형 할인마트를 시작으로 온라인쇼핑몰, 아웃도어브랜드, 서점까지 가상스토어에 뛰어들고 있어 그 영역이 점차 확대되는 중이다.Recently, a virtual store has appeared and is attracting attention. The virtual store is a system that allows you to view images of products installed on screen doors or bus stops at subway stations, and purchase the products on the spot. If you take a QR code near the image with your smartphone, it will automatically go to the related mobile page. Buyers don't have to visit the store directly because they can pay and even enter shipping address information. Internet online shopping malls have been moved to smartphone applications. Recently, starting with large discount marts, online shopping malls, outdoor brands, and bookstores are entering virtual stores, and the area is gradually expanding.

하지만, 이러한 대부분의 가상스토어는 온라인을 통해 웹브라우저로 접속하거나, 기존의 샵을 대체하는 개념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쇼핑하는 경험을 줄 수 없어 현실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most of these virtual stores are accessed with a web browser through online or are set as a concept to replace existing shops, there is a problem that a sense of reality is deteriorated because they cannot provide an actual shopping experience.

[선행기술문헌][Prior technical literature]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62854(2013.06.13.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62854 (published on June 13, 20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프라인 상점에서 가상 선반을 통해 실제 물건을 보고 구매하는 경험을 주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점의 방문자들의 쇼핑 동선을 고려한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pping system and a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that gives an experience of viewing and purchasing a real product through a virtual shelf in an offline store. In addition,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pping system and a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that provides a convenient shopping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shopping movement of shop visito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쇼핑을 경험하는 사용자를 구분하여 맞춤형 가상 카트를 제공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트를 끌고 다니지 않고도 상품 구매 현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pping system and a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that provides a customized virtual cart by classifying users who experience shopping. In addition,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pping system and a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that can easily check the status of product purchases without dragging a car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여 가상 선반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한정된 공간에서도 다양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pping system and a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capable of generating and providing a virtual shelf customized to a user in response to a user's positional movement.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pping system and a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capable of selling various products even in a limited space.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장하는 입구, 상기 입구를 통해 입장하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인증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조합되어 형성되며, 가상 상품을 포함하는 가상 선반을 표시하는 사이니지장치, 상기 가상 상품에 대응하는 물리적인 상품이 마련된 물품저장부, 상기 사이니지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기 물리적인 상품의 패키징을 처리하는 물품처리부, 상기 물품처리부에서 패키징 처리된 구매상품을 상기 사용자가 수령하기 위한 물품수령부, 및 상기 가상 선반의 생성 및 상기 가상 선반에 진열되는 상기 가상 상품의 배치를 제어하고, 상기 사이니지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의 비용 결제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ation of an entrance to a user, a user authentication unit that authenticates a user entering through the entrance, and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A signage device that displays a virtual shelf including a virtual product, a product storage unit in which a physical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product is provided, and packaging of the physical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ignage device An articl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 article receiving unit for the user to receive the purchased product packaged in the article processing unit, and controlling the creation of the virtual shelf and the placement of the virtual product displayed on the virtual shelf, and between the And a control unit that processes payment for the product selected for purchase by the user through the nigi device.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조합되어 형성되고, 가상 상품을 포함하는 가상 선반을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사이니지장치, 상품의 이미지 및 상품정보가 저장된 상품 라이브러리, 상기 가상 선반의 배열 및 상기 가상 상품의 배치를 계획하는 상품배치계획부, 상기 상품배치계획부의 배치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 라이브러리에서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이니지장치에 상기 가상 상품이 진열된 상기 가상 선반을 생성하는 가상선반생성부,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부,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사이니지 장치의 위치에 상기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을 담는 가상 카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카트를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상카트생성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displaying images, and displays a virtual shelf including a virtual product as an image. In the product library based on a signage device for performing a signage, a product library in which images and product information of products are stored, an arrangement of the virtual shelves and a product arrangement planning unit for planning the arrangement of the virtual goods, and an arrangement plan of the product arrangement planning unit A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that extracts corresponding product information and generates the virtual shelf on which the virtual product is displayed on the signage device, a location tracking unit that tracks the user's location, and the signage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cation And a virtual cart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virtual cart containing a product selected for purchase by the user at a location of the device, and to move the virtual cart to a corresponding loc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location movement.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은, 판매할 상품의 이미지 및 상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 가상 선반에 포함될 가상 상품의 배치를 계획하고, 배치 계획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가상 상품을 포함하는 가상 선반을 영상으로 생성하여 사이니지 장치에 표시하고, 상점에 입장하는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카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대응하는 상기 사이니지 장치의 위치에 상기 가상 카트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카트를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 선반에서 구매 선택한 상기 가상 상품을 상기 가상 카트에 담기는 영상을 표시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shopp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s an image of a product to be sold and product information as a database, and arranges a virtual product to be included in the virtual shelf. According to the planning and arrangement plan, the corresponding product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and a virtual shelf including the virtual product is generated as an image and displayed on a signage device, recognizing a user entering a store, and responding to the user. Create a virtual cart, detect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display the virtual cart at a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signage device, and move and display the virtual cart to a corresponding loc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location movement, An image in which the virtual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to purchase from the virtual shelf is added to the virtual cart is display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들의 구매내역을 확인하고 상기 구매내역을 수정할 수 있는 구매확인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선택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의 개수, 구매총액, 및 총중량을 산출하는 구매산출부를 더 포함한다.A shopp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rchase confirmation unit for checking the purchase details of products selected by the user and correcting the purchase details, and for interfacing the user's input or selection. A user interface unit; And a purchas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number of products selected for purchase by the user, a total purchase amount, and a total weigh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가상 카트의 일부영역에 형성된 가상 태그에 상기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의 개수, 구매총액, 및 총중량 중 적어도 2개를 표시한다. A shopp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t least two of the number of products selected for purchase by the user, a total purchase amount, and a gross weight on a virtual tag formed in a partial area of the virtual cart.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가 서로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태그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상 카트의 부분이 서로 중첩을 허용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가상 카트의 위치를 조정하며, 일정영역 이내에 있는 상기 가상 카트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가상 태그에서 서로 중첩을 허용하지 않는 상기 일부가 달리 설정된다. In the shopp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cations of a plurality of users a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remaining virtual carts ex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virtual tag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users The positions of the virtual carts are adjusted so that portions are displayed to allow overlapping with each other, and the portions that do not allow overlapping with each other are set differently in the virtual tag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virtual carts within a predetermined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별로 상기 가상 카트를 별도로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성별 또는 연령대에 따라 맞춤형 가상 카트를 제공한다.In the shopp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cart is separately generated for each user, and a customized virtual cart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r's gender or age group.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구매내역,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가상 선반의 상품 배치를 계획하고, 상기 사용자 맞춤형 가상 선반의 상품 배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사이니지모듈에 상기 사용자 맞춤형 가상 선반을 생성하다. A shopp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lan a product arrangement of a user-customized virtual shelf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r's purchase history, gender, and age, and the user-customized virtual shelf The user-customized virtual shelf is created in the signag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cation based on the product arrangement of.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이니지장치에 마련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니지장치는 상점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플리킹 동작에 따라 대응하는 사이니지모듈의 상기 가상 선반에 진열된 가상 상품을 전환한다. In the shopp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unit includes a touch screen provided on the signage device, and the signage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entrance and the exit of the store, and the The virtual product displayed on the virtual shelf of the corresponding signage module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user's flicking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상기 가상 상품은 동일 카테고리별로 동일한 사이니지모듈 또는 동일 사이니지모듈의 동일영역에 진열되고, 사용자의 상기 터치스크린의 플리킹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선반을 동일 카테고리의 다른 가상 제품이 표시되도록 전환하거나, 다른 카테고리의 가상 제품이 표시되도록 전환한다. The virtual products are displayed in the same signage module for each category or in the same area of the same signage module, and the virtual shelf is switched to display other virtual products of the same category in response to a flicking operation of the user's touch screen. , Switch to display virtual products of different categorie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은 가상 상점과 오프라인 상점의 장점을 결합하여 실제 물건을 보고 구매하는 경험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은 상점의 방문자들의 쇼핑 동선이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a shopping system and a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xperience of viewing and purchasing a real product by combining the advantages of a virtual store and an offline store. In addition, a shopping system and a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hopping environment in which the shopping movement of visitors of a store is convenient.

본 발명에 의한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은 쇼핑을 경험하는 사용자를 구분하여 맞춤형 가상 카트를 제공하여 무겁게 끌고 다닐 필요가 없으면서도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가상 카트를 이동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의 가상 카트를 통해 상품 구매 현황을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The shopping system and the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ustomized virtual cart by classifying a user who experiences shopping, and the virtual cart is mov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without the need for heavy dragging. It is convenient to check the status of product purchases through a virtual cart.

본 발명에 의한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은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여 가상 선반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생성하여 제공하여 원하는 상품의 구매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은 사용자의 플리킹 동작에 따라 가상 선반을 전환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도 다양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The shopping system and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purchase a desired product by creating and providing a virtual shelf customized to a user in response to a user's location movement. The shopping system and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l various products even in a limited space by switching the virtual shelf according to the user's flicking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을 구현하는 상점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 모듈이 입구에 마련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구에 마련된 물품수령부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구에 마련된 구매확인부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의 제어부의 상세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장치에 표시된 가상 선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장치에 표시된 가상 카트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카트생성부가 생성한 가상 카트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카트생성부가 생성한 복수의 가상 카트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방법의 제어흐름도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store implementing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user recogni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an entrance.
4 shows an example of a sig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 example of an article receiving unit provided at an ex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example of a purchase confirmation unit provided at an ex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of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an example of a virtual shelf displayed on a sig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n example of a virtual cart displayed on a sig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an example of a virtual cart generated by a virtual cart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lurality of virtual carts generated by a virtual cart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5 are control flow diagrams of a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을 구현하는 상점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tore implementing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shopping system using the virtual shelf of FIG.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을 구현하는 상점은사용자가 입장하는 입구(1), 가상 상품을 포함하는 가상 선반을 표시하는 사이니지장치(30), 및 사용자가 쇼핑 후에 나가는 출구(2)가 마련된다. 도 1에서는 상점 내부의 일면만 도시한 것으로, 다른 한쪽에도 사이니지장치(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구(1)를 통해 입장 한 후 좌우에 마련된 사이니지장치(30)를 돌면서 쇼핑을 하고 출구(2)를 통해서 나가는 일종의 로터리식 쇼핑 동선이 마련될 수 있다. 사이니지장치(30) 뒤쪽으로는 가상 상품에 대응하는 물리적인 상품이 마련된 물품저장부(40)와, 사이니지장치(30)를 통해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물리적인 상품의 패키징을 처리하는 물품처리부(41)가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store implementing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trance 1 to which a user enters, a signage device 30 displaying a virtual shelf including a virtual product. , And an exit 2 from which the user exits after shopping is provided. In FIG. 1, only one side inside the store is shown, and a signage device 30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after a user enters through the entrance 1, shopping while turning the signage devices 30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There may be a kind of rotary shopping flow that goes out through the exit (2). Behind the signage device 30, a product storage unit 40 in which a physical product corresponding to a virtual product is provided, and a product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packaging of the physical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ignage device 30 ( 41) can be provid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은 사용자인증부(11), 사이니지장치(30), 물품저장부(40), 물품처리부(41), 물품수령부(21),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2,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authentication unit 11, a signage device 30, an article storage unit 40, an article processing unit 41, and an article receipt. It includes a unit 21 and a control unit 70.

사용자인증부(11)는 상점을 방문하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인증부(11)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생체정보 인식모듈(11a), 및 사용자에게 부여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정보 인식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생체정보 인식모듈(11a) 또는 식별정보 인식모듈은 입구(1)에 마련되거나 상기 입구(1)를 향하여 마련되어 입구(1)로 들어오는 사용자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1 is for authenticating a user visiting a store, and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1 is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11a for recognizing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the user.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11a)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is provided at the entrance (1) or is provided toward the entrance (1) to the user entering the entrance (1). It can be installed for easy recognition.

사용자는 회원 가입 절차를 통해 상점의 회원으로 가입하고, 본인의 사용자 생체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생체정보로서 얼굴, 손, 홍채, 음성 등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회원가입을 완료한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식을 위한 식별정보, 예컨대, 회원번호, QR코드, NFC 태그, 바코드 등 스마트폰에 저장 가능한 형태의 식별 정보를 부여할 수도 있다. 사용자인증부(11)는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방문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거나 식별정보를 읽어 들여서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The user can sign up as a member of the store through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and register his/her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user may register a face, hand, iris, voice, etc. as user biometric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user recognition, such as a member number, QR code, NFC tag, barcode, etc., may be given to the user who has completed membership registration in a form that can be stored in a smartphone.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1 may store biometric information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reviously registered user and perform user authentication by recogniz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a visiting user or rea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mparing it with stored user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 모듈이 입구(1)에 마련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한 것이다. 입구(1)에 마련된 안면 인식 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입구(1)를 통과하면서 얼굴을 안면 인식 모듈쪽으로 이동하면 사용자 인증부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입구(1)에는 사용자 식별 태그 인식을 위한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본인의 식별 태그를 인식모듈에 가까이 가져가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user recogni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entrance 1. When the user passes the entrance 1 and moves the face toward the face recognition module through the face recognition module provided at the entrance 1,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recognizes the user's face and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The entrance 1 may be provided with a module for recognizing a user identification tag, and in this case, the user can perform user authentication by bringing his or her identification tag close to the recognition module.

사이니지장치(30)는 가상 상품을 포함하는 가상 선반을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사이니지모듈을 포함한다. 복수의 사이니지모듈은 사이니지모듈 간에 서로 조립 가능한 형태로 모듈화될 수 있으며, 상점의 사이즈와 설계에 따라서 가로, 세로, 높이에 대응하여 적절한 개수를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다. 사이니지모듈의 상하좌우 프레임에는 모듈 간에 간단히 조립이 될 수 있는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체결구조는 상하좌우 프레임에 안착되는 고정브라켓과, 이 고정브라켓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점의 설계에 따라서 복수의 사이니지모듈이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도 있다.The signage device 30 is for displaying a virtual shelf including a virtual product as an imag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ignage modules. A plurality of signage modules can be modularized in a form that can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between signage modules, and can be assembled by selecting an appropriat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width, length, and height according to the size and design of the store.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frames of the signage module may have a fastening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between modules. Here, the fastening structure may be composed of a fixing bracket that is seated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frames, and a fastening member that is fastened to the fixing bracket.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store, a plurality of signage modules may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respectively.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장치(3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3개의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을 포함한다.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4 shows an example of the signage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ncludes three signage modules 30a, 30b, and 30c. The signage modules 30a, 30b, and 30c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by arrang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The display panels used in the signage modules (30a, 30b, 30c)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a light emitting diode (LED) panel,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It can be implemented as such.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데이지 체인(Daisy Chain) 형태로, 예컨대, 서로 직렬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가상 선반(100a, 100b, 100c)을 구성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패널은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예컨대 가상 선반(100a, 100b, 100c)에 관한 영상을 처리하여 가상 선반(100a, 100b, 100c)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연결을 위한 입력포트, 출력포트,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입력포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영상처리를 위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4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하나의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을 구성하는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설정된 영역(1/4)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확대하여 처리한다. 또한,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은 사용자의 명령을 제공하는 원격제어장치(미도시)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isplay panels constituting the signage modules 30a, 30b, and 30c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daisy chain form, for example, to form virtual shelves 100a, 100b, and 100c. The plurality of display panels are configured to display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and 100c by processing an image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n image related to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and 100c. The signage module (30a, 30b, 30c) or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an input port for connection to each other, an output port, and an input port that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includes a processor and a memory for image processing. It is composed. When four display panels constitute one signage module (30a, 30b, 30c), each display module enlarges and processes an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set area (1/4). In addition, the signage modules 30a, 30b, and 30c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communication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not shown) that provides a user's command.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미도시), 디스플레이 모듈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및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을 구동하는 백라이트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은 냉음극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includes a display module, a display driver (not shown) that drives the display module, a backlight unit (not shown) that irradiates light to the display module, and a backlight driver (not shown) that drives the backlight unit (not shown). can do. The backlight unit (not shown) may be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a Light Emitting Diode (LED) lamp, or the like.

물품저장부(40)는 사이니지장치(30)에 진열된 가상 상품에 대응하는 물리적인 상품이 보관된 곳으로, 일종의 물품 창고를 의미할 수 있다. 물품처리부(41)는 사이니지장치(30)를 통해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가상 상품에 대응하는 물리적인 상품을 물품저장부(40)에서 가져와서 패키징을 처리한다. 물품처리부(41)는 사람이 아닌 로봇 팔시스템과 자동 이송 시스템에 의해 구축된 자동화된 기계 메커니즘으로 구현 가능하며, 물품처리부(41)는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상품에 대응하는 물리적인 상품을 물품저장부(40)에서 꺼내는 로봇 팔 시스템, 상품을 포장위치 또는 물품 수령 위치로 이동하는 자동 이송시스템, 물품을 자동으로 포장지에 담는 포장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article storage unit 40 is a place where physical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products displayed on the signage device 30 are stored, and may mean a kind of warehouse. The article processing unit 41 handles packaging by fetching a physical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ignage device 30 from the article storage unit 40. The article processing unit 41 can be implemented as an automated mechanical mechanism built by a robotic arm system and an automatic transfer system rather than a human, and the article processing unit 41 stores a physical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It can be implemented including a robot arm system taken out from 40, an automatic transfer system that moves the product to a packaging position or an article receiving position, and a packag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puts the product in the packaging paper.

물품수령부(21)는 물품처리부(41)에서 패키징 처리된 구매상품을 사용자에게 수령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출구(2) 또는 출구(2) 근처에 마련될 수 있다. The article receiving unit 21 is for enabling the user to receive the purchased product packaged by the article processing unit 41 and may be provided near the exit 2 or the exit 2.

도 5는 출구(2)에 마련된 물품수령부(21)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가 출구(2)를 통과하면서 물품을 수령할 수 있는 편리한 구조를 갖는다. 5 shows an example of the article receiving unit 21 provided at the exit 2, and has a convenient structure in which the user can receive the article while passing through the exit 2.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은 구매확인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매확인부(22)는 사용자가 사이니지장치(30)를 통해 구매 선택한 상품들의 구매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구매확인부(22)는 구매 내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매확인부(22)를 통해 사용자는 결제를 하기 전에 자신이 구매한 상품들이 맞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구매내역 중에서 구매 취소를 원하는 상품이 있는 경우 해당 상품들을 선택하여 구매내역을 수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hopping system using the virtual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urchase confirmation unit 22. The purchase confirmation unit 22 is for confirming purchase details of products selected by the user to purchase through the signage device 30, and the purchase confirmation unit 22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displaying purchase details. Through the purchase confirmation unit 22,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products he/she purchased are correct before making a payment, and if there is a product that he/she wants to cancel a purchase among the purchase details, he/she may select the corresponding products and modify the purchase details.

도 6은 출구(2)에 마련된 구매확인부(22)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가 출구(2)를 통과하기 전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구매내역을 확인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서 컨펌할 수 있는 편리한 구조를 갖는다. 구매확인부(22)를 통해 확인 버튼을 누르면 구매가 확정되고, 구매 상품의 패키징 및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구매 상품의 1차 패키징은 구매 확인 이전에 이루어지고, 구매 확인 후에 취소된 물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최종 패키징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6 shows an example of the purchase confirmation unit 22 provided at the exit 2, in which the user can check the purchase details through the display module before passing through the exit 2 and confirm by pressing the confirmation button. It has a convenient structure. When the confirmation button is pressed through the purchase confirmation unit 22, the purchase is confirmed, and packaging and payment of the purchased product may be made. In some cases, the first packaging of the purchased product may be performed before purchase confirmation, and final packaging may be performed by removing the canceled product after purchase confirma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은 위치추적부(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추적부(50)는 상점에 입장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것으로, 사람을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 또는 인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추적부(50)는 입구(1)에서부터 사이니지장치(30)의 상 하단 및 출구(2)까지 다수 지점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지점에서의 사용자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위치추적부(50)는 단순히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개개의 사용자를 식별하여 해당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점에 입장한 사용자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어느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도 파악할 수 있도록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개개인의 사용자 위치 식별은 상점의 입장에서부터 쇼핑 및 퇴장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움직임을 추적하거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면 식별을 통해 추적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2, the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tracking unit 50 and a user interface unit 60. The location tracking unit 50 is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a user who has entered the store, and may include a camera or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person. The location tracking unit 50 may b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from the entrance 1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ignage device 30 and the exit 2, and based on the user's recognition results at the plurality of points, the location of the user is determined. I can grasp it. The location tracking unit 50 may be implemented not simply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a person, but to identify an individual user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For example,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users who have entered a store,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user is in which location. Such individual user location identification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tracking a series of movements from entrance to shopping and exiting a store, or tracking through facial identification using a camera.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선택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것으로,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에 마련된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에 표시된 가상 선반(100a, 100b, 100c) 상에서 원하는 상품을 터치하거나 클릭하여 구매선택을 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가 터치스크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입력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user interface unit 60 serves to interface a user's input or selection, and may include a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signage modules 30a, 30b, and 30c. The user may select a purchase by touching or clicking a desired product on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and 100c displayed on the signage modules 30a, 30b, and 30c.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user interface unit 60 is not limited to the touch screen, and various input means may be applied.

제어부(70)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것으로,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이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컴퓨터 등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제어부(70)는 가상 선반(100a, 100b, 100c)의 생성 및 가상 선반(100a, 100b, 100c)에 진열되는 가상 상품의 배치를 제어하고, 사이니지장치(30)를 통해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의 비용 결제를 처리한다. 제어부(70)는 사용자인증부(11), 사이니지장치(30), 물품저장부(40), 물품처리부(41), 및 물품수령부(21)와의 통신을 위한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70 is for overall control of the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nd includes a program code for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a memory (not shown) for storing the same, and a processor (not shown) for executing the same. It can be implemented, for example, can be implemented by a computer or the like.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creation of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and 100c and the arrangement of virtual products displayed on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100c, and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ignage device 30 Process the payment of expenses. The control unit 70 may include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mmunication with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1, the signage device 30, the article storage unit 40, the article processing unit 41, and the article receiving unit 21. have.

제어부(70)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의 제어부(70)의 상세블록도이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rol unit 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7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70 of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의 제어부(70)는 상품 라이브러리(71), 상품배치계획부(72), 가상선반생성부(73), 가상카트생성부(74), 구매산출부(75), 비용결제처리부(76) 및 회원정보DB(7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control unit 70 of the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roduct library 71, a product arrangement planning unit 72, a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73, and a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 74), a purchase calculation unit 75, a payment processing unit 76, and a member information DB 77.

상품 라이브러리(71)는 가상 선반을 통해 판매를 위해 배치된 가상 상품의 이미지 및 상품정보가 저장된 것으로, DB로 구축될 수 있다. 상품정보는 상품의 명칭, 카테고리, 가격, 중량, 판매량, 및 프로모션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duct library 71 stores images and product information of virtual products arranged for sale through a virtual shelf, and may be constructed as a DB.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product name, category, price, weight, sales volume, and promotion status.

상품배치계획부(72)는 가상 선반(100a, 100b, 100c)의 배열 및 가상 상품의 배치를 계획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가상 상품의 배치를 계획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구매분석을 통한 자동 플래노그램(Plan-O-Gram)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품배치계획부(72)는 상품의 구매내역, 광고 프로모션, 및 상품의 카테고리 등에 기초하여 가상 상품의 배치를 계획하거나, 사용자 구매내역, 성별, 연령대 등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으로 가상 선반(100a, 100b, 100c)의 상품 배치를 계획할 수도 있다. The product placement planning unit 72 is for planning the arrangement of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and 100c and the placement of virtual products, and through a software program that plans the placement of virtual products by user input, or through purchase analysis. It can also be implemented by an automatic planogram (Plan-O-Gram). The product placement planning unit 72 plans the placement of virtual products based on product purchase details, advertisement promotions, and product categories, or customized virtual shelves 100a, 100b, based on user purchase details, gender, age group, etc. It is also possible to plan the placement of products in 100c).

가상선반생성부(73)는 상품배치계획부(72)의 배치계획에 기초하여 상품 라이브러리(71)에서 대응하는 상품정보, 예컨대, 상품 이미지, 및 가격 정보 등을 추출하여 가상 선반(100a, 100b, 100c)을 영상으로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그래픽 생성 프로그램 및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The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73 extracts corresponding product information, for example, product image and price information, from the product library 71 based on the arrangement plan of the product arrangement planning unit 72, and extracts the virtual shelves 100a and 100b. , 100c) as an image, and can be implemented by a graphic generation program and a processor.

따라서, 가상 선반(100a, 100b, 100c)은 동일 카테고리별로 동일한 사이니지 모듈 또는 동일 사이니지 모듈의 동일영역에 가상상품이 진열되도록 생성될 수도 있고, 카테고리에 따라서 또는 카테고리와 무관하게 사용자 맞춤형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가상선반생성부(73)는 사용자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플리킹 동작에 따라, 대응하는 사이니지 모듈의 가상 선반(100a, 100b, 100c)이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and 100c may be created so that virtual goods are displayed in the same signage module for the same category or in the same area of the same signage module, or customized according to the category or irrespective of the category. It could be. The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73 may change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and 100c of a corresponding signage module according to a flicking operation on the user's touch scree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장치(30)에 표시된 가상 선반(100a, 100b, 100c)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8을 참조하면, 가상 선반(100a, 100b, 100c)은 음료, 사탕류, 및 도서 등 상품의 카테고리별로 별도의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에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플리킹 등의 터치 동작을 입력하면 가상선반생성부(73)는 가상 선반(100a, 100b, 100c)을 동일 카테고리의 다른 가상 제품이 표시되도록 전환하거나, 다른 카테고리의 가상 제품이 표시되도록 전환할 수 있다. FIG. 8 shows an example of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and 100c displayed on the signage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and 100c ) May be generated in separate signage modules 30a, 30b, 30c for each product category such as beverages, candy, and books. At this time, when the user inputs a touch operation such as flicking through the touch screen, the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73 switches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100c to display other virtual products of the same category, or You can switch to display virtual products.

도 8을 참조하면,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해 상품의 종류가 많은 경우, 하나의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에 모두 표시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하나의 사이니지 모듈에 대해 잘 팔리는 상품을 위주로 제1 가상선반을 계획하고, 그 다음 순으로 제2 가상 선반, 제3 가상 선반 등의 순서로 가상 선반(100a, 100b, 100c)을 계획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플리킹 입력에 따라서 제1 가상 선반에서 제2 가상 선반, 제3 가상 선반, 최후에는 다시 제1 가상 선반으로 전환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when there are many types of products for one category, since there is a limit to displaying all of them in one signage module 30a, 30b, 30c, products that sell well for one signage module You can plan the first virtual shelf based on, and then plan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100c in the order of a second virtual shelf, a third virtual shelf, etc., and then according to the user's flicking input.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first virtual shelf is converted to the second virtual shelf, the third virtual shelf, and finally the first virtual shelf.

또한, 사용자 맞춤형 가상 선반의 경우, 사용자 인식을 통해 사용자가 가운데 사이니지모듈(30b) 앞에 위치한 것을 인식한 경우, 해당 사이니지모듈(30b)의 가상 선반(100b)을 사탕류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구매횟수가 높거나 해당 성별이나 연령대에서 선호도가 높은 제품 위주의 제1 가상선반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사용자의 플리킹 동작에 대응하여 같은 카테고리에서 가상 선반(100b)을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사이니지모듈(30b)에 카테고리별로 사용자 맞춤형으로 가상 선반(100b)이 생성되어 표시되므로, 플리킹 동작을 통해 화면을 전환하면서 상품을 고르지 않아도 각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의 첫 화면에서 선호하는 상품을 고를 수 있어 편리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user-customized virtual shelf, when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us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middle signage module 30b, the number of purchases of the corresponding user from among candy items A first virtual shelf that focuses on products having a high or high preference in a corresponding gender or age group may be created and displayed, and the virtual shelf 100b in the same category may be switched in response to the user's flicking operation. In this case, since the virtual shelf 100b customized for each category is created and displayed on the signage module 30b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each signage module 30a without selecting a product while switching the screen through a flicking operation , 30b, 30c), you can choose your favorite product on the first screen, which is convenient.

다른 예로는 사용자의 플리킹 동작에 대응하여, 사용자 선호하는 다른 카테고리의 상품으로 가상 선반(100b)을 생성하여 전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하나의 사이니지모듈(30b)에서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모두 구매할 수 있어 편리하다. As another example, in response to the user's flicking operation, the virtual shelf 100b may be created and converted into a product of another category that the user prefers. In this case, it is convenient that the user can purchase all products of various categories desired by the user from one signage module 30b.

가상카트생성부(74)는 위치추적부(50)에 위해 파악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사이니지장치(30)의 위치에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을 담을 수 있는 가상 카트(110)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여 가상 카트(110)를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래픽 생성 프로그램 및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The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74 creates a virtual cart 110 capable of stor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at the location of the signage device 3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identified for the location tracking unit 50, and This is for moving the virtual cart 110 to a corresponding posi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position movement, and can be implemented by a graphic generating program and a processor.

가상 카트(110)는 사이니지장치(30) 이외에 입구(1)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모듈(12)에도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입구(1)를 통과하는 사용자가 인식되면 입구(1)의 측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모듈(12)에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카트(110)가 생성되어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해당 위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virtual cart 11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2 provided at the entrance 1 in addition to the signage device 30. Referring to FIG. 3, when a user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1 is recognized, a virtual cart 110 corresponding to the user is created in the display module 12 provided on the side of the entrance 1, and the correspond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Can be moved to.

이때, 가상카트생성부(74)는 사용자별로 가상 카트(110)를 별도로 생성하고, 사용자의 성별 또는 연령대에 따라 맞춤형 가상 카트(110)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여성, 남성, 남자 어린이, 여자 어린이인지 여부에 따라 카트를 맞춤형으로 부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가 비회원, 예컨대 자녀를 동반하여 방문한 경우, 동반한 비회원에 대해서도 별도의 가상 카트(110)를 생성하여 함께 쇼핑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한 사람의 회원 사용자에 대해 2개의 가상 카트(110)를 부여하고 2개의 가상 카트(110)를 통한 구매에 대해서 한꺼번에 결제할 수 있게 해준다. 회원과 함께 동반한 비회원은 입구(1)에 마련된 사용자 인식 모듈에서 얼굴이나 키 등을 인식하여 연령대, 성별 등을 판단하고, 대응하는 가상 카트(110)를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74 may separately generate the virtual cart 110 for each user, and may create a customized virtual cart 110 according to the user's gender or age group. For example, a cart may be customized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is a woman, a man, a boy, or a girl. In some cases, when a user who has joined as a member visits with a non-member, such as a child, a separate virtual cart 110 is created for the accompanying non-member so that they can shop together. In this case, two virtual carts 110 are assigned to one member user, and purchases through the two virtual carts 110 can be paid at once. A non-member accompanying the member may recognize a face or a height in a user recognition module provided at the entrance 1 to determine an age group, a gender, and the like, and create a corresponding virtual cart 11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장치(30)에 표시된 가상 카트(11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 앞에 가상 카트(110a, 110b)가 각각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상카트생성부(74)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가상 카트(110a, 110b)가 따라가면서 이동하도록 구현된다. 9 shows an example of the virtual cart 110 displayed on the signage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virtual carts 110a and 110b are respectively displayed in front of the user. The virtual cart generating unit 74 is implemented so that the virtual carts 110a and 110b follow and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가상선반생성부(73)는 사용자가 구매선택한 가상상품이 가상 카트(110)에 담기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가상선반생성부(73)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을 접촉하여 가상 상품을 구매 선택하면, 구매 선택한 가상 상품이 가상 카트(110)의 안으로 떨어지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처리한다. The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73 allows the virtual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to be purchased to be put in the virtual cart 110.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an area of the touch screen and selects to purchase a virtual product, the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73 processes an animation effect that the virtual product selected for purchase falls into the virtual cart 110.

구매산출부(75)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를 통해 구매 선택한 상품의 개수, 구매총액, 및 총중량을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 구매산출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The purchase calculation unit 75 is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products selected by the user to purchase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60, the total purchase amount, and the total weight, and can be implemented by purchase calculation software.

비용결제처리부(76)는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의 비용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결제수단으로 등록한 신용카드, 직불카드, 무통장거래, 휴대폰 등의 결제 수단에 대응하여 금융결제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결제를 수행한다. 사용자는 회원가입 시에 결제수단을 미리 등록할 수 있으며, 구매확인부(22)의 확인버튼의 클릭에 따라서 미리 등록한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처리부의 결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The payment processing unit 76 is for processing the payment for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and is linked with the financial settlement server in response to payment methods such as credit card, debit card, non-bankbook transaction, and mobile phone registered by the user as a payment method. Payment is made through The user may register a payment method in advance at the time of membership registration, and payment processing of the payment processing unit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previously registered payment method according to a click of the confirmation button of the purchase confirmation unit 22.

회원정보DB(77)는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된 것으로, 회원 이름, 나이, 성별, 주소(배송주소), 사용자 식별정보, 결제 수단 등이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는 회원정보DB(77)를 통해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며, 상품배치계획부(72) 및 가상카트생성부(74)는 각각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사용자 맞춤형 가상 선반(100a, 100b, 100c) 및 가상 카트(110)를 생성할 수 있다. The member information DB 77 stores information of a user who has joined as a member, and a member name, age, gender, address (delivery addres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yment method, and the like may be registered.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member information DB 77, and the product placement planning unit 72 and the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74 correspond to the identified users, respectively, and user-customized virtual shelves 100a, 100b, 100c) and a virtual cart 110 may be created.

가상카트생성부(74)는 가상 카트(110)의 일부영역에 형성된 가상 태그(111)에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의 개수, 구매총액, 및 총중량 중 적어도 2개가 표시되도록 가상 카트(110)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가상카트생성부(74)는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의 총중량이 일정 값 이상되는 경우, 가상 카트(110)의 일부영역에 배송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생성할 수 있다. The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74 creates the virtual cart 110 so that at least two of the number of products selected for purchase by the user, the total purchase amount, and the total weight are displayed on the virtual tag 111 formed in a partial area of the virtual cart 110 can do. In addition, when the total weight of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to purchas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virtual cart generating unit 74 may generate a message inviting delivery to a partial area of the virtual cart 110 to be display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카트생성부(74)가 생성한 가상 카트(11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가상 카트(110)는 가상 상품이 담기는 영역과, 가상 카트(110)에 담긴 구매정보를 나타내는 가상태그가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도 10의 (a)에서 점선 부분은 가상 태그(111) 부분으로 그 아래에 가상 태그(111)를 확대하여 표현하였다. 가상 태그(111)는 가상 카트(110)의 상단 가운데 표시될 수 있으며, 상품의 개수가 표시되는 A영역, 총중량이 표시되는 B영역, 구매총액이 표시되는 C영역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구매선택한 상품의 개수, 총 중량, 총구매액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구매에 참고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가상 태그(111)는 배송을 권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D영역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구매선택한 상품의 총중량이 5kg 이상인 경우 배송을 원하는 메시지를 가상 태그(111)에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구매확인부(22)에서 구매상품의 배송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10 shows an example of the virtual cart 110 generated by the virtual cart generating unit 7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A, the virtual cart 110 includes an area in which a virtual product is placed and an area in which a virtual tag indicating purchas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virtual cart 110 is displayed. In (a) of FIG. 10, the dotted line is the virtual tag 111, and the virtual tag 111 is enlarged below it. The virtual tag 111 may be displayed in the upper middle of the virtual cart 110 and includes an area A in which the number of products is displayed, an area B in which the total weight is displayed, and an area C in which the total purchase amount is displayed. Through this, the user can check the number, total weight, total purchase amount, etc. of the products selected for purchase in real time and refer to the purchase. Referring to (b) of FIG. 10, the virtual tag 111 further includes an area D in which a message recommending delivery is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total weight of the product selected for purchase is 5 kg or more, a message desired to be delivered may be displayed on the virtual tag 111, and the user may select whether to deliver the purchased product from the purchase confirmation unit 22.

가상카트생성부(74)는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가 서로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태그(111)의 적어도 일부는 반드시 표시되도록 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가상 카트(110)의 부분이 서로 중첩을 허용하여 표시되도록 가상 카트(110)의 위치를 조정한다. 여기서, 가상 태그(111)에서 서로 중첩을 허용하지 않고 반드시 표시하는 가상 태그(111)의 일부는 일정영역 이내에 있는 가상 카트(110)의 개수에 따라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When the locations of the plurality of users are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74 ensures that at least some of the virtual tags 111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users are always displayed, and the rest of the virtual cart 110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rt 110 is adjusted so that the portions are displayed to allow overlapping with each other. Here, some of the virtual tags 111 that are always displayed without allowing overlapping with each other in the virtual tags 111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rtual carts 110 within a predetermined area.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카트생성부(74)가 생성한 복수의 가상 카트(11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의 (a)는 하나의 사이니지모듈(30c) 앞에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일정 거리(예컨대, 카트의 측면 길이의 2배 거리) 이내에 2개의 가상 카트(110a, 110b)가 존재하는 경우로서, 가상 카트가 중첩되어 표시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가상 카트(110a, 110b)가 하나의 사이니지모듈(30c)에 2개 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 간의 거리가 매우 가까이 있다고 하더라도 가상 태그(111)가 표시되는 부분(E)는 온전히 표시되도록 중첩을 허용하지 않고 나머지 부분만 중첩 표시할 수 있다.1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lurality of virtual carts 110 generated by the virtual cart generating unit 7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a) is a case in which two virtual carts 110a and 110b exist within a certain distance (e.g., a distance twice the side length of the cart) corresponding to the user's position in front of one signage module 30c. As a result, virtual carts are inevitably overlapped and displayed. In this case, since only two virtual carts 110a and 110b exist in one signage module 30c,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actual users is very close, the portion E where the virtual tag 111 is displayed is completely Overlapping is not allowed to be displayed, and only the remaining parts can be overlaid.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연속한 2개의 사이니지모듈(30b, 30c) 앞에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일정 영역(예컨대, 카트의 측면 길이의 2배 거리, 또는 하나의 사이니지 모듈) 이내에 각각 3개, 총 6개의 가상 카트(110a~110f)가 존재하는 경우로서, 가상 카트가 중첩되어 표시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가상 태그(111)에서 상품의 개수가 표시되는 영역(F)은 온전히 표시되도록 중첩을 허용하지 않고, 가상 카트(110a~110f)의 나머지 부분만 중첩을 허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11, a certain area corresponding to the user's position in front of two consecutive signage modules 30b and 30c (for example, a distance twice the side length of the cart, or one signage module) In the case where there are three virtual carts 110a to 110f, respectively, and six virtual carts 110a to 110f in total, the virtual carts are overlapped and displayed. In this case, the area (F) in which the number of products is displayed in the virtual tag 111 may not be overlapped so that it is completely displayed, and only the rest of the virtual carts 110a to 110f may be displayed by allowing overlapp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방법의 제어흐름도이다. A shopping system and a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5. 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3 to 15 are control flow diagrams of a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은 가상 선반(100a, 100b, 100c)과 가상 카트(110)의 생성의 제어를 위한 것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은 사이니지장치(30), 위치추적부(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고, 제어부(70)는 상품 라이브러리(71), 상품배치계획부(72), 가상선반생성부(73), 가상카트생성부(74), 구매산출부(75), 및 회원정보DB(77)를 포함한다. 도 12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대응하는 설명부분으로 대체하기로 하고, 중복되지 않는 부분에 한해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The shopping system using the virtual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and 100c and the virtual cart 110. Referring to FIG. 12, a virtual shelf using a virtual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The shopping system includes a signage device 30, a location tracking unit 50, a user interface unit 60, and a control unit 70, and the control unit 70 includes a product library 71, a product placement planning unit 72 ), a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73, a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74, a purchase calculation unit 75, and a member information DB 77.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FIG. 12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replaced with a corresponding description par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refer to FIGS. 13 to 15 only for parts that do not overlap. It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상점에서 판매할 상품의 이미지 및 상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상품 라이브러리(71)에 저장한다(S10). 여기서, 상품 정보는 상품 명칭, 가격, 중량, 판매량, 선호 연령대, 프로모션 등 다양한 정보가 구축되고, 업데이트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first, images of products to be sold in a store and product information are constructed as a database and stored in the product library 71 (S10). Here, as for the product information, various information such as product name, price, weight, sales volume, preferred age range, promotion, etc. may be built and updated.

상품배치계획부(72)는 가상 선반(100a, 100b, 100c)에 포함되는 가상 상품의 배치를 계획한다(S11). 가상 상품의 배치는 상품의 카테고리별, 가격별, 판매량별, 프로모션별, 및 개인 맞춤형 등 다양한 기준에 의해 계획될 수 있다. The product placement planning unit 72 plans the placement of virtual products included in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and 100c (S11). The arrangement of virtual products may be planned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such as product category, price, sales volume, promotion, and personal customization.

가상선반생성부(73)는 상품배치계획부(72)의 배치 계획에 따라 가상 선반(100a, 100b, 100c)을 생성하여 사이니지장치(30)로 전송한다. 사이니지장치(30)는 가상선반생성부(73)로부터 입력된 가상 선반(100a, 100b, 100c)을 영상으로 표시한다(S12). The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73 generates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and 100c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lan of the product arrangement planning unit 72 and transmits the generated virtual shelves 100a, 100b, and 100c to the signage device 30. The signage device 30 displays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and 100c input from the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73 as an image (S12).

사용자 인증부를 통해 입구(1)를 통해 입장하는 사용자가 인식 및 인증되면(S13), 가상카트생성부(74)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카트(110)를 생성한다(S14). 그리고, 가상카트생성부(74)는 위치추적부(50)의 사용자의 위치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의 위치에 가상 카트(110)가 표시되도록 사이니지장치(30)에 가상 카트(110)에 관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S15).When a user entering through the entrance 1 through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is recognized and authenticated (S13), the virtual cart generating unit 74 creates a virtual cart 110 corresponding to the user (S14). And, the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74 is based on the position detection result of the user of the location tracking unit 50, so that the virtual cart 110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signage module (30a, 30b, 30c). An image signal for the virtual cart 110 is output to the nigi device 30 (S15).

위치추적부(5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이 감지되면, 가상카트생성부(74)는 대응하는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의 위치로 가상 카트(110)가 이동하여 표시되도록 사이니지장치(30)에 가상 카트(110)에 관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S16).When the movement of the user is detected through the location tracking unit 50, the virtual cart generating unit 74 moves and displays the virtual cart 110 to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signage module 30a, 30b, 30c. An image signal for the virtual cart 110 is output to the device 30 (S16).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를 통해 가상 상품의 구매를 선택하면(S17), 가상카트생성부(74)는 가상 카트(110)에 해당 상품이 담기도록 표시한다(S18).When the user selects a purchase of a virtual produc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60 (S17), the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74 displays the product to be put in the virtual cart 110 (S18).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트(110)의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구매산출부(75)는 사용자가 구매 선택하여 가상 카트(110)에 담긴 가상 상품의 개수, 총상품의 개수, 총중량, 및 총구매액을 산출한다(S20).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virtual car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4, the purchase calculation unit 75 calculates the number of virtual products, the total number of products, the total weight, and the total purchase amount in the virtual cart 110 by selecting a purchase by the user (S20).

그리고, 가상카트생성부(74)는 구매산출부(75)가 산출한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의 개수, 구매총액, 및 총중량 등을 가상 태그(111)에 표시한다(S21). In addition, the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74 displays the number of products selected for purchase by the user, the total purchase amount, and the total weight calculated by the purchase calculation unit 75 on the virtual tag 111 (S21).

만약, 위치추적부(50)의 위치추적결과에 기초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복수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가상 태그(111)의 일부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중첩 허용하여 표시되도록 한다(S23). 이를 통해 상품 구매정보가 표시된 가상 태그(111)의 일부부분은 반드시 표시되도록 하여 가상 카트(110)가 중첩되더라도 사용자가 필요한 구매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If a plurality of users exist within a certain distance based on the location tracking result of the location tracking unit 50,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a partial area of the virtual tag 111 are overlapped and displayed (S23). Through this, a part of the virtual tag 111 on which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is displayed is necessarily displayed, so that even if the virtual cart 110 overlaps, the user can check the necessary purchase informa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가상 선반의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부를 통해 입구(1)를 통해 입장하는 사용자가 인식되고 인증이 완료되면(S30), 가상카트생성부(74)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카트를 생성하는 한편, 상품배치계획부(72)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맞춤형 가상 선반(100a, 100b, 100c)의 상품 배치를 계획한다(S31).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user-customized virtual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5, when a user entering through the entrance 1 is recognized through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and authentication is completed (S30), the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74 generates a virtual cart corresponding to the user, while the product The arrangement planning unit 72 plans product arrangement of the customized virtual shelves 100a, 100b, and 100c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S31).

가상선반생성부(73) 및 가상카트생성부(74)는 각각 위치추적부(50)의 사용자의 위치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가상 선반(100a, 100b, 100c)과 가상 카트(110)를 생성하고, 대응하는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의 위치에 가상 선반(100a, 100b, 100c)과 가상 카트(110)가 표시되도록 사이니지장치(30)에 영상신호를 출력한다(S32).The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73 and the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74 each create a user-customized virtual shelf 100a, 100b, 100c and a virtual cart 110 based on the user's position detection result of the position tracking unit 50. And outputs an image signal to the signage device 30 so that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100c and the virtual cart 110 are displayed at the positions of the corresponding signage modules 30a, 30b, 30c (S32) ).

만약, 위치추적부(5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이 감지되면, 가상선반생성부(73) 및 가상카트생성부(74)는 각각 대응하는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의 위치에 사용자 맞춤형 가상 선반(100a, 100b, 100c)이 표시되고 가상 카트(110)가 이동하여 표시되도록 사이니지장치(30)에 가상 선반(100a, 100b, 100c) 및 가상 카트(110)에 관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S33).If the movement of the user is detected through the location tracking unit 50, the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73 and the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74 are respectively located at the positions of the corresponding signage modules 30a, 30b, and 30c. The image signals related to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100c and the virtual cart 110 are transmitted to the signage device 30 so that the customized virtual shelves 100a, 100b, 100c are displayed and the virtual cart 110 is moved and displayed. Output (S33).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를 통해 플리킹 동작을 입력하면(S34), 가상선반생성부(73)는 해당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에 표시된 가상 선반(100a, 100b, 100c)이 전환되도록 영상신호를 출력한다(S35). 만약, 사용자가 가상 상품의 구매를 선택하면(S36), 가상카트생성부(74)는 가상 카트(110)에 해당 상품이 담기도록 표시한다(S37).When the user inputs a flicking oper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60 (S34), the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73 displays the virtual shelves 100a, 100b, and 100c on the corresponding signage modules 30a, 30b, and 30c. The video signal is output so that the conversion is performed (S35). If the user selects a purchase of a virtual product (S36), the virtual cart generating unit 74 displays the corresponding product to be put in the virtual cart 110 (S37).

한편, 상점에 사용자가 없는 경우 제어부(70)는 전력소모를 절약하기 위해 사이니지장치(30)의 밝기를 어둡게 조정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가 위치한 곳의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의 전원은 온 시키거나 밝게 하고, 사용자가 위치하지 않은 사이니지모듈(30a, 30b, 30c)의 전원은 오프시키거나 어둡게할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there is no user in the store, the controller 70 may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signage device 30 to darken or turn off the power of the display module in order to save power consumption. In some cases, the power of the signage modules 30a, 30b, 30c where the user is located is turned on or brightened, and the power of the signage modules 30a, 30b, 30c not located in the user is turned off or darkened. You may.

한편, 본 발명의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방법은,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o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provided in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Examples of recording medi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nd also include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such as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the processor may be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Meanwhile,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 입구 2: 출구
11: 사용자인증부 11a: 생체정보 인식모듈
12: 디스플레이 모듈 21: 물품수령부
22: 구매확인부 30: 사이니지장치
30a, 30b, 30c: 사이니지모듈 40: 물품저장부
41: 물품처리부 50: 위치추적부
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70: 제어부
71: 상품 라이브러리 72: 상품배치계획부
73: 가상선반생성부 74: 가상카트생성부
75: 구매산출부 76: 비용결제처리부
77: 회원정보DB 100a, 100b, 100c: 가상 선반
110, 110a, 110b, 110c: 가상 카트 111: 가상 태그
1: inlet 2: outlet
11: user authentication unit 11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12: display module 21: goods receiving unit
22: purchase confirmation unit 30: signage device
30a, 30b, 30c: signage module 40: article storage unit
41: article handling unit 50: location tracking unit
60: user interface unit 70: control unit
71: product library 72: product placement planning unit
73: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74: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75: purchase calculation unit 76: payment processing unit
77: member information DB 100a, 100b, 100c: virtual shelf
110, 110a, 110b, 110c: virtual cart 111: virtual tag

Claims (19)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장하는 입구;
상기 입구를 통해 입장하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인증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조합되어 형성되며, 가상 상품을 포함하는 가상 선반을 표시하는 사이니지장치;
상기 가상 상품에 대응하는 물리적인 상품이 마련된 물품저장부;
상기 사이니지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기 물리적인 상품의 패키징을 처리하는 물품처리부;
상기 물품처리부에서 패키징 처리된 구매상품을 상기 사용자가 수령하기 위한 물품수령부; 및
상기 가상 선반의 생성 및 상기 가상 선반에 진열되는 상기 가상 상품의 배치를 제어하고, 상기 사이니지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의 비용 결제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In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n entrance to which the user enters;
A user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a user entering through the entrance;
A signage devic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and displaying a virtual shelf including a virtual product;
An article storage unit in which a physical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product is provided;
An article processing unit processing the packaging of the physical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ignage device;
An article receiving unit for the user to receive the purchased product packaged by the article processing unit; And
A virtual shelf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the virtual shelf and the arrangement of the virtual products displayed on the virtual shelf, and processing payment for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ignage device. Used shopp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사이니지장치의 위치에 상기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을 담을 수 있는 가상 카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카트를 대응하는 상기 사이니지장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상카트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ocation tracking unit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virtual cart capable of storing the product selected for purchase by the user at a location of the signag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signag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art in response to the user's location movement.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comprising: a virtual cart generator for moving to a location of th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들의 구매내역을 확인하고 상기 구매내역을 수정할 수 있는 구매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품수령부와 상기 구매확인부는 상점의 출구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urchase confirmation unit capable of checking the purchase details of the products selected by the user and correcting the purchase details;
The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characterized in that the article receiving unit and the purchase confirmation unit are provided at an exit of a sto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상품의 이미지 및 상품정보가 저장된 상품 라이브러리;
상기 가상 선반의 배열 및 상기 가상 상품의 배치를 계획하는 상품배치계획부; 및
상기 상품배치계획부의 배치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 라이브러리에서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이니지장치에 상기 가상 상품이 진열된 상기 가상 선반을 생성하는 가상선반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A product library in which the image and product information of the virtual product are stored;
A product arrangement planning unit that plans the arrangement of the virtual shelves and the arrangement of the virtual products; And
And a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that extracts corresponding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product library based on the arrangement plan of the product arrangement planning unit and generates the virtual shelf on which the virtual product is displayed on the signage device. Shopping system 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증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생체정보 인식모듈, 및 사용자에게 부여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정보 인식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 인식모듈 또는 상기 식별정보 인식모듈은 상기 입구에 마련되거나 상기 입구를 향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the user;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is provided at the entrance or facing the entrance, wherein the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조합되어 형성되고, 가상 상품을 포함하는 가상 선반을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사이니지장치;
상품의 이미지 및 상품정보가 저장된 상품 라이브러리;
상기 가상 선반의 배열 및 상기 가상 상품의 배치를 계획하는 상품배치계획부;
상기 상품배치계획부의 배치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 라이브러리에서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이니지장치에 상기 가상 상품이 진열된 상기 가상 선반을 생성하는 가상선반생성부;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부;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사이니지장치의 위치에 상기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을 담는 가상 카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카트를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상카트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In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A signage device that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displaying images and displays a virtual shelf including a virtual product as an image;
A product library in which product images and product information are stored;
A product arrangement planning unit that plans the arrangement of the virtual shelves and the arrangement of the virtual products;
A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that extracts corresponding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product library based on the product arrangement plan unit arrangement plan and generates the virtual shelf on which the virtual product is displayed on the signage device;
A location tracking unit for tracking a user's location; And
A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that creates a virtual cart containing the product selected for purchase by the user at a location of the signag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moves the virtual cart to a corresponding loc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location movement.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comprising: a.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 또는 선택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의 개수, 구매총액, 및 총중량을 산출하는 구매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카트생성부는 상기 가상 카트의 일부영역에 형성된 가상 태그에 상기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의 개수, 구매총액, 및 총중량 중 적어도 2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6,
A user interface unit for interfacing a user's input or selec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purchas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products selected for purchase by the user, a total purchase amount, and a total weight;
The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displays at least two of the number of products selected for purchase by the user, a total purchase amount, and a total weight on a virtual tag formed in a partial area of the virtual ca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카트생성부는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가 서로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태그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상 카트의 부분이 서로 중첩을 허용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가상 카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locations of the plurality of users are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of the virtual cart allows portions of the virtual cart other than at least some of the virtual tag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users to overlap each other to be displayed.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characterized in that to adjust the posi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카트생성부는 일정영역 이내에 있는 상기 가상 카트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가상 태그에서 서로 중첩을 허용하지 않는 상기 일부가 달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is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wherein the portions of the virtual tags that do not allow overlapping with each other ar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virtual carts within a predetermined area.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카트생성부는 사용자별로 상기 가상 카트를 별도로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성별 또는 연령대에 따라 맞춤형 가상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6,
The virtual cart generation unit separately generates the virtual cart for each user, and provides a customized virtual cart according to the user's gender or age group.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배치계획부는 상기 사용자의 구매내역,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가상 선반의 상품 배치를 계획하고;
상기 가상선반생성부는 상기 상품배치계획부의 상기 사용자 맞춤형 가상 선반의 상품 배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사이니지모듈에 상기 사용자 맞춤형 가상 선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6,
The product placement planning unit plans the placement of products on a user-customized virtual shelf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r's purchase history, gender, and age;
The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generates the user-customized virtual shelf in a signag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cation based on the product placement of the user-customized virtual shelf of the product placement planning unit. .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이니지장치에 마련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니지장치는 상점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사이니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가상선반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플리킹 동작에 따라 대응하는 사이니지모듈의 상기 가상 선반에 진열된 가상 상품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6,
The user interface unit includes a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signage device;
The signage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signage modules provided between the entrance and the exit of the store;
The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converts virtual goods displayed on the virtual shelf of a corresponding signage module according to a flicking operation of the user on the touch scree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상품은 동일 카테고리별로 동일한 사이니지모듈 또는 동일 사이니지모듈의 동일영역에 진열되고,
상기 가상선반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터치스크린의 플리킹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선반을 동일 카테고리의 다른 가상 제품이 표시되도록 전환하거나, 다른 카테고리의 가상 제품이 표시되도록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The virtual goods are displayed in the same signage module for the same category or in the same area of the same signage module,
The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converts the virtual shelf to display other virtual products of the same category or to display virtual products of a different category in response to a flicking operation of the user's touch screen. Shopping system u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이니지장치에 마련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선반생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을 접촉하여 가상 상품의 구매를 선택하면, 상기 구매 선택한 상기 가상 상품이 상기 가상 카트의 안으로 떨어지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user interface unit includes a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signage device;
The virtual shelf generation unit is a shopping system using a virtual shelf,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and selects a purchase of a virtual product, the virtual product selected for purchase processes an animation effect that falls into the virtual cart. .
판매할 상품의 이미지 및 상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가상 선반에 포함될 가상 상품의 배치를 계획하는 단계;
배치 계획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가상 상품을 포함하는 가상 선반을 영상으로 생성하여 사이니지장치에 표시하는 단계;
상점에 입장하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카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대응하는 상기 사이니지장치의 위치에 상기 가상 카트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카트를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 선반에서 구매 선택한 상기 가상 상품을 상기 가상 카트에 담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방법.
Building an image of a product to be sold and product information into a database;
Planning an arrangement of virtual goods to be included in the virtual shelf;
Extracting corresponding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according to an arrangement plan, generating a virtual shelf including a virtual product as an image and displaying it on a signage device;
Recognizing a user entering the store;
Creating a virtual cart corresponding to the user;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displaying the virtual cart at a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signage device, and moving and displaying the virtual cart to a corresponding loc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location movement;
And displaying an image of putting the virtual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to purchase from the virtual shelf in the virtual car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에 담긴 상품의 개수, 총중량, 및 총구매액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카트의 일부영역에 형성된 가상 태그에 상기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의 개수, 구매총액, 및 총중량 중 적어도 2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Calculating the number, total weight, and total purchase amount of products in the cart; And
And displaying at least two of the number of products selected for purchase by the user, a total purchase amount, and a total weight on a virtual tag formed in a partial area of the virtual cart.
제16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가 서로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카트의 상기 가상 태그가 표시되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서로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복수의 가상 카트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When the locations of the plurality of users are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virtual car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users overlap each other so that the remaining areas except at least some of the areas in which the virtual tag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Shopping method using a virtual shelf,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adjust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ar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이니지장치에 대한 플리킹 동작에 따라 대응하는 사이니지모듈의 상기 가상 선반에 진열된 가상 상품을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And switching the virtual goods displayed on the virtual shelves of a corresponding signage module according to a flicking operation of the user on the signage devi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점에 입장하는 상기 사용자의 인식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구매내역,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가상 선반의 상품 배치를 계획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배치 계획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사이니지모듈에 상기 사용자 맞춤형 가상 선반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선반을 이용한 쇼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Planning a product arrangement on a user-customized virtual shelf based on at least one of a purchase history, a gender, and an age of the user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user entering the store; And
And generating and displaying the user-customized virtual shelf on a signag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roduct arrangement plan.
KR1020190148119A 2019-11-18 2019-11-18 Shopping system and shopping method using virtual shelf KR202100602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119A KR20210060265A (en) 2019-11-18 2019-11-18 Shopping system and shopping method using virtual shel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119A KR20210060265A (en) 2019-11-18 2019-11-18 Shopping system and shopping method using virtual shel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265A true KR20210060265A (en) 2021-05-26

Family

ID=76137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119A KR20210060265A (en) 2019-11-18 2019-11-18 Shopping system and shopping method using virtual shel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026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33157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retail customers a seamless, individualized discovery and shopping experience between online and physical retail locations
US11847689B2 (en) Dynamic customer checkout experience within an automated shopping environment
Roggeveen et al. Customer-interfacing retail technologies in 2020 & beyond: An integrative framework and research directions
US117560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f-checkout, scan portal, and pay station environments
US8751318B2 (en) Method for managing and/or controlling store and system for the same
US10977701B2 (en) Techniques for providing retail customers a seamless, individualized discovery and shopping experience between online and brick and mortar retail locations
JP67852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helf display units, as well as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ally presenting information to shelf display units.
US9472043B2 (en) Mobile device assisted retail system and process in a vending unit, retail display or automated retail store
US98367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opping goods, virtualizing a personalized storefront
US20140363059A1 (en) Retail customer service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US10417682B2 (en) Retail system
JP6412299B2 (en) Interactive retail system
WO2012132324A1 (en) Store system, control method therefor, and non-temporary computer-readable medium in which control program is stored
WO201413252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2031075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tores and system for the same
US20100265311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 smart fixture
US2011001027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f Service Transactions From Multiple Vendors
KR101781868B1 (en) A method of managing/controlling a store and a system therefor
US100896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f-checkout, scan portal, and pay station environments
CA2935031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retail customers a seamless, individualized discovery and shopping experience
CN105575005B (en) Optical disc automatic lending machine and its system, method
KR20210060265A (en) Shopping system and shopping method using virtual shelf
Pratas et al. Smart retailing technologies impact in brand leadership and market performance: A conceptual model
SATKHED Livello Grab n Go Store SmartBox24
CN116704667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dialogue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