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914A -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of vehicle - Google Patents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914A
KR20210051914A KR1020190137801A KR20190137801A KR20210051914A KR 20210051914 A KR20210051914 A KR 20210051914A KR 1020190137801 A KR1020190137801 A KR 1020190137801A KR 20190137801 A KR20190137801 A KR 20190137801A KR 20210051914 A KR20210051914 A KR 20210051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witch
vehicle
switch device
type power
pow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8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6019B1 (en
Inventor
김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9013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019B1/en
Publication of KR20210051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9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0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59Control circu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05Y2400/854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rphing-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of a vehicle which can move up and down inside an armrest to allow a window switch to appear or disappear in a morphing manner through a skin material of the armrest. Therefore, the power window switch device gives a new aesthetic feeling which did not exist before.

Description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of vehicle}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부가 사용시에만 암레스트의 표면에 출현하도록 된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window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an operation unit appears on the surface of an armrest only when it is used.

차량의 도어에는 실내 채광을 위해 윈도우가 마련되어 있으며, 윈도우를 차폐하는 윈도우글래스는 전동으로 작동되는 승강장치에 의해 개폐되고 있다.A window is provided on the door of the vehicle for indoor lighting, and the window glass that shields the window is opened and closed by an electric lifting device.

상기 전동 승강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가 구비되며, 통상 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된 암레스트의 상면에 설치된다.A power window switch device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lift device, and is usual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는 전후 한 쌍씩 총 4개의 윈도우글래스 개폐용 스위치(1,2,3,4)를 포함한다. 이들 스위치의 전방으로 원판형의 셀렉트스위치와 윈도우록스위치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power window switch device includes a total of four window glass opening and closing switches (1, 2, 3, 4) by a pair of front and rear. A disk-shaped select switch and a window lock switch may be further installed in front of these switches.

운전자는 네 스위치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밀거나 당겨(Push & Pull type)줌으로써 원하는 윈도우글래스를 개폐할 수 있다.The driver can open and close the desired window glass by selecting one of the four switches and pushing or pulling (Push & Pull type).

상기와 같이, 종래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는 각 윈도우글래스마다 전용 스위치(1,2,3,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스위치의 수가 많아, 장치의 외관 구성이 복잡하고, 스위치 장치 전체의 중량과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ower window switch device has a dedicated switch (1, 2, 3, 4) for each window glass, so the number of switches is large,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device is complicated, and the weight and size of the entire switch device There was a problem of increasing.

또한 직관적 조작이 가능하도록 4개의 스위치를 4개의 윈도우글래스 위치와 동일하게 전후 한 쌍씩 배열해야만 하므로 디자인 자유도가 매우 낮아 거의 대부분 차량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외관이 유사하였다. 이에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는 차량 실내의 주요 인테리어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심미감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four switches must be arranged in front and rear pairs in the same way as the four window glass positions to enable intuitive operation,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is very low, and most of the vehicle's power window switch devices have similar appearances. Accordingly, although the power window switch device is a major interior element in a vehicle interior, it does not give a special sense of aesthetic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8697호(2013.05.22.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68697 (registered on May 22, 201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관 구성이 단순해지고, 무게 및 크기가 감소되며, 탑승자에게 새로운 심미감을 줄 수 있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simplifying the exterior configuration, reducing weight and size, and giving a new aesthetic sense to the occupants. There is th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표면에 부착된 표피재와; 상기 표피재 하부의 암레스트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평판형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단부에 직립 설치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이드에 의해 상하 이동 경로가 안내되는 승강모듈과; 상기 승강모듈에 설치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센서와; 상기 터치센서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윈도우스위치; 및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모듈을 상승시켜 윈도우스위치가 표피재를 밀어 올리도록 함으로써 표피재에 윈도우스위치의 돌출 형상이 출현되도록 하거나, 상기 승강모듈을 하강시켜 윈도우스위치가 표피재의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표피재의 외부에서 윈도우스위치의 돌출 형상이 사라지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a skin material attached to the armrest surface of the door trim; A flat bas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rmrest under the skin material; A guide installed upright at the end of the base; An elevating modul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guide and guiding an up-and-down movement path by a guide; A capacitive touch sensor installed in the lifting module; A window switch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sensor, the upper surface is convex upward, an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nstalled on the base, by raising the lifting module so that the window switch pushes up the skin material so that the protruding shape of the window switch appears on the skin material, or by lowering the lifting module, the window switch is spaced downward from the skin material. It includes a; motor for the protruding shape of the window switch to disappear from the outside of the skin material by so that.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이송용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모듈의 바닥부 하면에 이송용 암나사가 형성된 리드너트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리드너트가 나사 결합된다.A transfer male screw is formed on a rotation shaft of the motor, a lead nut having a transfer female screw is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ifting module, and the rotation shaft and the lead nut are screwed.

상기 가이드의 상부 내측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모듈의 하부 외측부에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상하 이동 경로가 안내된다.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inner portion of the guide, and an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lower outer portion of the lifting module, and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path.

상기 승강모듈의 바닥부 상면에 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LED가 설치된다.A circuit boar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lifting module, and an LED is installed on the circuit board.

상기 터치센서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touch senso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윈도우스위치로는 프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Prism may be applied as the window switch.

상기 터치센서의 상면은 윈도우스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광차폐재가 부착된다.A light shield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res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sensor except for the window switch.

상기 표피재는 윈도우스위치의 상승에 의해 가압 팽창되어 광투과성이 증대됨으로써 윈도우스위치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원활하게 통과시킨다.The skin material is pressed and expanded by the rise of the window switch to increase light transmittance, thereby allowing light emitted from the window switch to pass smoothly.

상기 터치센서로부터 사용자의 다양한 윈도우스위치 조작(접촉) 정보를 전달받고, 그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모터를 구동하여 승강모듈을 승하강시키며, 상기 LED의 발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더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receiving various window switch manipulation (contact) information from the touch sensor, driving the motor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raising and lowering the lift module, and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state of the LED.

상기 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되는 스피커와 진동모터를 더 구비하고, 진동모터는 상기 승강모듈에 설치되며, 제어유니트는 상기 윈도우스위치 조작 정보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신호음과 진동을 발생시킨다.A speaker and a vibration motor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re further provided, and the vibration motor is installed in the lifting module,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different types of beeps and vibrations according to the window switch operation informa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윈도우스위치가 하나의 드래그바 타입 스위치로 제공됨으로써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외관 구성이 매우 단순화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ndow switch is provided as a single drag bar type switch,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power window switch device is greatly simplified.

4개의 윈도우 스위치가 하나의 스위치로 통합됨으로써 내부 구성이 단순해지고, 장치의 무게 및 크기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As the four window switches are integrated into one switch, the internal configuration is simplified, and the weight and size of the device ar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스위치는 사용자가 사용할 때만 암레스트의 표면에 나타나는 모핑 타입 스위치로서, 윈도우스위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암레스트의 표면에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가 보이지 않게 됨으로써 매우 깔끔하다.In addition, the window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rphing type switch that appears on the surface of the armrest only when the user uses it. When the window switch is not used, the power window switch device is not visible on the surface of the armrest, so it is very neat.

또한, 사용시에는 드래그바 타입의 윈도우스위치가 암레스트의 표피 원단을 하부로부터 밀고 돌출되어 촉각적으로 윈도우스위치를 구별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In addition, when in use, a drag bar-type window switch pushes and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skin fabric of the armrest, so that the window switch can be distinguished tactilely, so it is convenient to use.

또한, 윈도우스위치에서 도어의 개폐량에 따라 발광이 이루어짐으로써 실제 윈도우글래스를 보지 않고도 윈도우글래스의 개폐량을 정확히 알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원하는대로 개폐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ndow switch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opening/closing amount of the door,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know the opening/closing amount of the window glass without looking at the actual window glass, and accordingly, the opening/closing amount can be easily adjusted as desir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가 설치된 암레스트의 사시도로서,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상태도.
도 3은 도 2의 대응도로서,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비사용 상태).
도 5는 도 4의 대응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사용 상태도.
1 is a plan view of a power window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mrest in which a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a state diagram when the power window switch device is not used.
3 is a corresponding diagram of FIG. 2, which is a state diagram of a power window switch device in us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n-use state).
Figure 5 is a corresponding diagram of Figure 4,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e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r precedent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는 운전석측 도어트림(5)에 구비된 암레스트(6)의 상면에 매립 설치된다.2 and 3, the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 6 provided in the door trim 5 on the driver's seat side.

도 2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비사용 상태이고, 도 3은 사용 상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2와 같이, 암레스트(6)의 상면에 보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시에는 윈도우스위치(10)가 외부에서 보이는 상태로 출현하게 된다. 이른바 모핑(Morphing)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이다.FIG. 2 is a non-use state of the power window switch device, and FIG. 3 is a use state, wherein the power window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visib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 6 as shown in FIG. 2 when not in use. And, when in use, the window switch 10 appears in a visible state from the outside. It works in a so-called Morphing method.

도 3에는 윈도우글래스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윈도우스위치(10)와, 윈도우글래스의 현재 조작 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 상태를 유지해주는 윈도우록스위치(11)만 표시되어 있으나, 개폐 조작하고자 하는 윈도우글래스를 선택하기 위한 셀렉트스위치(미도시) 역시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FIG. 3, only the window switch 10 that controls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window glass and the window lock switch 11 that maintains the locked state to maintain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window glass are shown, but the window glass to be opened and closed is show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select switch (not shown) for selection may also be provided to operate in the same manner.

상기와 같은 모핑 작동을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for the morph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는, 윈도우스위치(10), 베이스(20), 가이드(30), 승강모듈(40), 회로기판(50), LED(60), 터치센서(70), 광차폐재(80), 모터(90) 및 암레스트 표피재(7)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4, the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ow switch 10, the base 20, the guide 30, the lifting module 40, the circuit board 50, the LED ( 60), a touch sensor 70, a light shielding material 80, a motor 90 and an armrest skin material 7 are included.

상기 베이스(20)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서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바닥부를 형성하며, 다른 부품들이 설치될 장소를 제공한다.The base 20 has a substantially flat shape and forms the bottom of the power window switch device, and provides a place to install other components.

상기 가이드(30)는 승강모듈(40)의 설치 장소를 제공하고, 베이스(20)의 상부에 모터(90)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주며, 승강모듈(40)의 상하 이동 경로를 안내한다. The guide 30 provides an installation place for the lifting module 40, secures a space for installing the motor 90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20, and guides the vertical movement path of the lifting module 40. do.

가이드(30)는 베이스(20)의 단부에 직립 상태로 설치된 벽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이드(30)의 상부 내측부에 소정 깊이의 가이드홈(31)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홈(31)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모듈(40)의 하부 외측부는 가이드홈(3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삽입부(41)가 형성된다.The guide 30 may be a wall installed at the end of the base 20 in an upright state, and in this case, a guide groove 31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 the upper inner portion of the guide 30. In response to the guide groove 31, an insertion portion 41 having a size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1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portion of the lifting module 40.

상기 가이드(30)의 가이드홈(31)과 승강모듈(40)의 삽입부(41)는 모두 베이스(30)에 대해 수직인 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베이스(30)에 고정된 가이드(30)에 대해서 승강모듈(40)이 정확히 상하 방향으로 안정된 경로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guide groove 31 of the guide 30 and the insertion part 41 of the lifting module 40 are both formed in a linear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se 30, so that the guide 30 fixed to the base 30 ), the elevating module 40 can move in a stable path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가이드(30)로서, 상기와 같이 베이스(20)의 단부를 둘러싸는 벽체 형식의 구조물 대신에 널리 사용되는 리니어모션가이드(Linear motion guide)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통상 LM가이드라 약칭되는 리니어모션가이드는 레일과 그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무빙블록을 포함하는 것으로, 베이스(20)에 레일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무빙블록에 승강모듈(40)을 고정하면 승강모듈(40)의 상하 이동 경로를 정확히 안내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guide 30,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widely used linear motion guide may be used instead of a wall-type structure surrounding the end of the base 20 as described above. Linear motion guides, which are usually abbreviated as LM guides, include rails and moving blocks that move linearly along the rails, and when the rails are installed vertically on the base 20 and the lifting module 40 is fixed to the moving block, it is lifte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uide the vertical movement path of the module 40.

상기 승강모듈(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30)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 이동되는 것으로, 여기에 상기 회로기판(50), LED(60), 터치센서(70), 광차폐재(80), 윈도우스위치(10)가 설치된다.The lifting module 40 is moved up and down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30 a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circuit board 50, the LED 60, the touch sensor 70, the light shielding material 80, A window switch 10 is installed.

상기 회로기판(50)은 승강모듈(40)의 바닥부 상면에 설치된다. 회로기판(50)에는 상기 LED(60)가 설치되며, LED(60) 구동을 위한 전기회로가 구성되어 있다.The circuit board 5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lifting module 40. The LED 60 is installed on the circuit board 50, and an electric circuit for driving the LED 60 is configured.

상기 LED(60)는 R,G,B 기본 색상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조합한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회로기판(50)의 전기회로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된다.The LED 60 may emit light with R, G, B basic colors alone or a combination of them. It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through an electric circuit of the circuit board 50.

상기 터치센서(70)는 승강모듈(40)의 내부에서 상기 LED(60)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윈도우스위치(10)에 접촉하는 운전자의 손가락 이동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센서로서 대부분의 스마트폰에 채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구성의 터치센서이다.The touch sensor 70 is installed above the LED 60 inside the lifting module 40, and is a capacitive type touch sensor that senses the movement of the driver's finger in contact with the window switch 10. It is a touch sensor with a general configuration used in smartphones.

상기 터치센서(70)는 윈도우스위치(10)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 정보(드래그 거리, 접촉 시간, 접촉 위치 등)를 도시되지 않은 제어유니트로 전달한다. 제어유니트는 터치센서(70)로부터 전달된 손가락 접촉 정보에 따라 미리 짜여진 제어로직을 수행하여 LED(90) 점등 및 모터(90)의 작동을 제어한다.The touch sensor 70 transmits the user's finger contact information (drag distance, contact time, contact position, etc.) through the window switch 10 to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ighting of the LED 90 and the operation of the motor 90 by performing a pre-woven control logic according to the finger contac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ouch sensor 70.

상기 제어유니트로는, 상기 손가락 접촉 정보 즉, 윈도우스위치(10) 조작 신호에 따라 윈도우글래스 승강장치의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윈도우글래스의 개방량을 조절하는 제어유니트를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As the control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ning amount of the window glass by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of the window glass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nger contact information, that is, a manipulation signal of the window switch 10 may be used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또한 터치센서(70)는 LED(60)에서 발생한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touch sensor 7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60 can pass.

상기 터치센서(70)의 상면 중앙에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전후 방향(암레스트(6)의 길이 방향과 동일함)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 윈도우스위치(10)가 부착된다. 윈도우스위치(10)의 상면은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A window switch 10 formed long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power window switch device (same as the length direction of the armrest 6)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sensor 70.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switch 10 is formed in an upwardly convex curved surface.

상기 윈도우스위치(10)는 터치센서(7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에서 스크린의 최외곽 표면층과 같은 것이다.The window switch 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sensor 70 to contact the user's finger, and is the same as the outermost surface layer of the screen in a general touch screen including a touch sensor.

상기 윈도우스위치(10)로는 LED(60) 빛이 외부로 원활히 확산되도록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PC ; Polycarbonate) 재질의 프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As the window switch 10, a prism made of a transparent polycarbonate (PC) material may be used to smoothly diffuse the light of the LED 60 to the outside.

광차폐재(80)는 빛을 투과시키지 않는 원단으로서 터치센서(70)의 상면에 부착된다. 단, 윈도우스위치(10)는 광차폐재(80)에 형성된 홀을 통해 광차폐재(80) 상방으로 돌출된다.The light shielding material 80 is a fabric that does not transmit light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sensor 70. However, the window switch 10 protrudes upward from the light shielding material 80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light shielding material 80.

따라서 광차폐재(80)는 윈도우스위치(10)를 제외한 터치센서(70)의 상면을 덮어줌으로써 LED(60)의 빛이 윈도우스위치(10)를 통해서만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light shielding material 80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sensor 70 excluding the window switch 10 so that the light of the LED 60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only through the window switch 10.

상기 모터(90)는 회전축(91)이 상방으로 향하는 상태로 베이스(20)의 상면에 설치된다. 모터(90)의 회전축(91) 외주에는 이송용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일종의 리드스크류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승강모듈(40)의 바닥부 저면에는 상기 이송용 수나사에 대응하는 이송용 암나사가 형성된 리드너트(42)가 장착된다. 리드너트(42)의 길이는 윈도우스위치(10)가 암레스트 표피재(7)에 밀착되고 이를 밀어 올릴 수 있는 정도의 상승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상승거리보다 조금 길게 형성되면 충분하다.The motor 9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0 with the rotation shaft 91 facing upwar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on shaft 91 of the motor 90 is formed with a feed male screw. In other words, it is formed by a kind of lead screw. On the other hand, a lead nut 42 having a transfer female screw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male screw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lifting module 40. The length of the lead nut 42 is sufficient if the window switch 10 is formed slightly longer than the ascending distance so as to secure an ascending distance to which the window switch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rmrest skin 7 and pushes it up.

상기 모터(90)의 회전축(91)은 리드너트(42)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모터(90)가 작동되면 회전축(91)을 따라 리드너트(42)가 회전축(91)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모터(9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모터(90)의 작동은 사용자의 윈도우스위치(10) 터치 방식에 따라 제어된다. 예를 들면 설정시간동안 누름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연속으로 두드리는(더블 터치) 방식의 조작행위를 가함으로서 모터(9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작행위가 가해졌을 때 윈도우스위치(10)가 하강한 비상용 상태라면 윈도우스위치(1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반대로 윈도우스위치(10)가 상승한 사용 상태라면 윈도우스위치(10)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유니트(미도시)에 제어로직이 설정되어 있음은 물론이다.The rotation shaft 91 of the motor 90 is screwed to the lead nut 42. Accordingly, when the motor 90 is operated, the lead nut 42 may move along the rotation shaft 91 along the rotation shaft 91 and rise or fall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90. The operation of the motor 9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user's window switch 10 touch metho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motor 90 by maintaining a pressed state for a set time or by continuously tapping (double touch). In addition, whe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applied, if the window switch 10 is in an emergency state in which it is lowered, it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raising the window switch 10, and if the window switch 10 is in an elevated state, the window switch 10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ntrol logic is set in the control unit (not shown) to rotate in the downward direction.

상기 암레스트 표피재(7)는 도 2,3에서와 같이, 암레스트(6)의 표면을 덮어주는 표피재로서 신축성이 매우 우수하고 광투과성을 가지는 섬유 원단이나 가죽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암래스트 표피재(7)는 암레스트(6)에 매립 설치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상부를 덮어주도록 암레스트(6)의 상부 표면에 부착된다.The armrest skin material 7 is a skin material covering the surface of the armrest 6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may be made of fiber fabric or leather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light transmittance. The armrest skin 7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 6 so as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power window switch device embedded in the armrest 6.

암레스트 표피재(7)는 신축 정도에 따라 광투과성이 가변되는데, 전혀 늘어나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투과성이 미약하고(거의 없음), 늘어난 상태에서는 광투과성이 증가된다. 따라서 암레스트 표피재(7)의 하부에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윈도우스위치(10)가 위치한 상태(도 4)의 상태에서는 윈도우스위치(10)를 통해 방출되는 빛이 암레스트 표피재(7)를 잘 통과하지 못하여 외부에서 윈도우스위치(10)가 보이지 않고, 윈도우스위치(10)가 사용 위치로 상승한 상태(도 5)의 상태에서는 윈도우스위치(10)에 의해 암레스트 표피재(7)가 밀려 올라가 늘어나므로 광투과성이 향상되어 윈도우스위치(10)의 빛이 잘 통과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윈도우스위치(10)가 잘 보일 수 있게 된다.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armrest skin material 7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stretching, but the light transmittance is weak (almost none) when it is not stretched at all, and the light transmittance is increased when it is stretched.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window switch 1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lower part of the armrest skin material 7 (Fig. 4),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window switch 10 is transmitted to the armrest skin material 7 The window switch 10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because it does not pass well, and the armrest skin 7 is pushed by the window switch 10 in a state in which the window switch 10 is raised to the use position (Fig. 5). As it rises and increases, light transmittance is improved, so that light from the window switch 10 passes well, so that the window switch 10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한편, 상기 윈도우스위치(10)가 사용상태로 상승할 때 평면상태의 표피재(7)를 밀고 올라오는 돌출 높이는 약 3mm ~ 5mm 가 적당하다. 돌출되는 높이가 3mm 보다 낮으면 손가락 감각(촉각)을 통해 윈도우스위치(10)를 감지하는 인식력이 저하되고, 5mm 보다 높으면 돌출량이 과도하여 미감이 저하되고, 표피재(7)의 접착부가 분리되며, 표피재(7)의 내구 수명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ndow switch 10 is raised to the use state,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that pushes and rises the skin material 7 in a flat state is about 3mm to 5mm. If the protruding height is lower than 3mm, the recognition ability to detect the window switch 10 through finger sense (touch) decreases, and if it is higher than 5mm, the protrusion is excessive and the aesthetic sense is lowered, and the adhesive part of the skin material 7 is separated.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rable life of the skin material 7 is reduced.

또한 상기 표피재(7)의 적정 두께는 0.8mm ~ 1.2mm 인 것이 적당하다. 표피재(7) 두께가 0.8mm 미만이면 마모에 대한 내구성이 약해 내구 수명이 짧으며, 1.2mm 를 초과하면 윈도우스위치(10)에 의한 돌출시에도 돌출 형상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광투과성이 나빠 윈도우스위치(10)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잘 보이지 않게 되어 윈도우스위치(10) 및 윈도우 개방량을 표시하는 발광부의 길이를 제대로 식별할 수 없게 된다.In addition, it is appropriate that the appropriate thickness of the skin material 7 is 0.8mm to 1.2mm. If the thickness of the skin (7) is less than 0.8mm, the durability against abrasion is weak and the durability life is short.If it exceeds 1.2mm, the protruding shape is not clearly visible even when protruding by the window switch 10, as well as light transmittance. It is bad tha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window switch 10 is difficult to see, so that the length of the window switch 10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indicating the window opening amount cannot be properly identified.

한편, 상기 광차폐재(80)와 표피재(7)의 총 두께는 5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0mm보다 두꺼울 경우 손가락으로부터 터치센서(70)까지의 거리가 너무 멀어서 손가락의 정전용량 감지가 어렵기 때문에 터치센서(70)의 감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thickness of the light shielding material 80 and the skin material 7 is 50mm or less. When the thickness is thicker than 50 mm, since the distance from the finger to the touch sensor 70 is too far to detect the capacitance of the finger, the sensitivity of the touch sensor 70 is deteriorated.

또한, 상기 윈도우스위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프리즘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하면 윈도우스위치(10)를 통해 방출되는 빛의 조도가 향상되어 표시되는 발광부(막대 형상 발광부)의 시인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window switch 10 may use a prism made of a transparent polycarbonate material. In this way, the light emitting portion (rod shape) is displayed by improving the illuminance of light emitted through the window switch 10.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visibility of the light emitting unit).

또한, 상기 윈도우스위치(10)의 폭은 10mm ~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윈도우스위치(10)의 폭이 10mm 보다 작으면 손가락으로 드래그 하는 중 손가락이 윈도우스위치(10)를 벗어나는 등 조작이 용이하지 않고, 15mm 보다 넓으면 상방으로 돌출시 표피재(7)의 접착면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 표피재(7)가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window switch 10 is preferably 10mm ~ 15mm. If the width of the window switch 10 is less than 10 mm, it is not easy to operate, such as when the finger leaves the window switch 10 while dragging with a finger. If it is wider than 15 mm, it is not easy to operate. Excessive force is applied, causing a problem in which the skin material 7 is separated.

이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Now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 도 4와 같은 비사용 상태에서 승강모듈(40)은 하강상태로서, 윈도우스위치(10)는 표피재(7)의 하방에 이격되어 있다. 표피재(7)는 늘어나지 않은 상태로서 빛을 투과시키지 않으며 아직 LED(6)도 점등되지 않은 상태이다.In the non-use state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lifting module 40 is in a descending state, and the window switch 10 is spaced below the skin 7. The skin 7 is not stretched and does not transmit light, and the LED 6 has not yet been lit.

상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표피재(7)를 통해 윈도우스위치(10)를 정해진 조작 방식(설정 시간 이상 터치 상태 유지, 더블 터치 등)으로 터치하게 되면 제어유니트(미도시)에 의해 LED(6)가 점등되고, 모터(90)가 승강모듈(40)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In the above state, when the user touches the window switch 10 through the skin 7 in a predetermined operation method (maintaining the touch state for more than a set time, double touch, etc.), the LED 6 is turned on by the control unit (not shown). It is lit, and the motor 9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raising the lifting module 40.

따라서 회전축(91)과 리드너트(42)의 작용에 나사 작용에 의해 리드너트(42)가 회전축(91)을 따라 상승함으로써 승강모듈(40)이 상방으로 상승한다.Accordingly, the lead nut 42 rises along the rotation shaft 91 by a screw action due to the action of the rotation shaft 91 and the lead nut 42, so that the lifting module 40 rises upward.

제어유니트에 기입력된 제어로직에 정해진 높이까지 상승되면 도 5와 같이 윈도우스위치(10)가 표피재(7)를 적당히 밀고 올라온 상태가 된다.When it rises to the height determined by the control logic previously input to the control unit, the window switch 10 properly pushes the skin 7 and rises as shown in FIG. 5.

따라서 외부에서 보면 표피재(7)가 윈도우스위치(10)의 막대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LED(60)의 빛이 터치센서(70), 윈도우스위치(10) 및 늘어난 표피재(7)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사용자 윈도우스위치(10)를 촉각적 및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from the outside, the skin material 7 protrudes in the shape of a rod of the window switch 10, and the light of the LED 60 passes through the touch sensor 70, the window switch 10, and the stretched skin material 7 It is relea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s window switch 10 can be easily identified tactilely and visually.

상기와 같은 사용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윈도우스위치(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드래그하여 윈도우글래스를 개폐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use state, the user can open and close the window glass by dragging the window switch 10 forward or backward with a finger.

한편, 윈도우글래스의 개방량(즉, 윈도우글래스 승강장치의 구동모터 작동량)에 따라 제어유니트는 상기 LED(60)의 점등 개수를 조절하여 윈도우스위치(10)에 표시되는 발광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light emitting unit displayed on the window switch 10 by adjusting the number of lights of the LED 60 according to the opening amount of the window glass (that is,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of the window glass lifting device). .

따라서 사용자는 윈도우스위치(10)에 표시되는 발광부의 길이를 보고 윈도우글래스의 개방 정도를 짐작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gues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glass by looking at the length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displayed on the window switch 10.

또한, 윈도우스위치(10)의 전방 단부를 설정된 조작 방식으로 터치하면 현재 윈도우글래스의 개방량(개방상태)에 상관없이 제어유니트는 윈도우글래스를 상승시키도록 모터를 제어하고, 마찬가지로 후방 단부를 설정된 조작 방식으로 터치하면 제어유니트는 윈도우글래스를 하강시키도록 모터를 제어한다. 따라서 현재의 윈도우글래스의 상태에 상관없이 사용자는 원하는대로 윈도우글래스의 개폐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front end of the window switch 10 is touched with the set operation metho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tor to raise the window glass, regardless of the current opening amount (open state) of the window glass, and similarly sets the rear end. When touched in a mann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tor to lower the window glass. Therefore, regardless of the current state of the window glass, the user can perform opening/closing control of the window glass as desir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는 스피커와 진동모터를 더 구비하여, 윈도우스위치(10) 조작 위치 및 방식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신호음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운전자는 청각 및 촉각에 의해서도 윈도우스위치(10) 조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피커는 차량에 기 구비된 스피커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진동모터는 상기 승강모듈(40)에 설치되어 윈도우스위치(10)를 터치하는 손가락을 통해 사용자가 스위치 조작(터치) 위치에서 직접적으로 진동감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and a vibration motor to generate different types of beeps and vibrations according to a posi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window switch 10. Accordingly, the driver can sense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ndow switch 10 by hearing and tactile sense. At this time, the speaker may be a speaker already provided in the vehicl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ibration motor is installed in the lifting module 40 so that the user feels the vibration directly at the switch manipulation (touch) position through a finger touching the window switch 10.

따라서, 운전자는 윈도우글래스의 개폐량과 윈도우스위치(10)의 발광 상태(발광부의 길이)를 직접 보는 것 이외에도, 동시에 청각 및 촉각적인 보조신호를 통해 윈도우글래스의 개폐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윈도우글래스의 개폐 상태를 보다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자신이 의도한 바대로 윈도우스위치(10)를 정확하게 조작했는지를 확실하게 알 수 있게 되어, 보다 용이하게 윈도우 개폐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the driver can determine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window glass through auditory and tactile auxiliary signals at the same time as well as directly seeing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window glass and the light emission state of the window switch 10 (length of the light emitting unit). It is possible to more intuitively and easily grasp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and it is possible to reliably know whether the window switch 10 is correctly operated as intended, so that the window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한편, 윈도우스위치(10)를 설정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차량의 엔진이 정지되고 도어잠금장치가 잠긴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유니트는 상기 모터(90)를 제어하여 승강모듈(40)을 하강시킨다. 승강모듈(40)이 하강하여 도 4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되면, 표피재(7)의 하방으로 윈도우스위치(10)가 이격되어 외부에서 볼 때 암레스트(6)의 상면에 윈도우스위치(10)의 돌출 형상이 보이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ndow switch 10 is not used for a set time or the set time elapses after the vehicle engine is stopped and the door locking device is lock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tor 90 to operate the lifting module 40. Descend. When the lifting module 40 descends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4, the window switch 1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kin 7 so that the window switch 1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 6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The protruding shape of is not visible.

이에 더해, LED(60)가 소등되고, 표피재(7)가 수축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윈도우스위치(10)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빛이 없어지므로 외부에서는 윈도우스위치(10)를 전혀 볼 수 없으며, 암레스트(6)의 상면은 단지 표피재(7)만이 보일 뿐이어서, 종래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가 없는 깔끔한 디자인의 암레스트(6)로부터 유발되는 새로운 심미감을 느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D 60 is turned off and the skin 7 is restored to a contracted state, the light emitted from the window switch 10 to the outside disappears, so that the window switch 10 cannot be seen at all from the out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rest 6 only shows the skin 7 so that a new aesthetic feeling can be felt from the armrest 6 of a neat design without a conventional power window switch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rovided fro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pertain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5 : 도어트림 6 : 암레스트
7 : 표피재 10 : 윈도우스위치
11 : 윈도우록스위치 20 : 베이스
30 : 가이드 31 : 가이드홈
40 : 승강모듈 41 : 삽입부
42 : 리드너트 50 : 회로기판
60 ; LED 70 : 터치센서
80 : 광차폐재 90 : 모터
91 : 회전축
5: door trim 6: armrest
7: skin 10: window switch
11: window lock switch 20: base
30: guide 31: guide groove
40: lifting module 41: insertion part
42: lead nut 50: circuit board
60; LED 70: touch sensor
80: light shielding material 90: motor
91: rotating shaft

Claims (10)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표면에 부착된 표피재와;
상기 표피재 하부의 암레스트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평판형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단부에 직립 설치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이드에 의해 상하 이동 경로가 안내되는 승강모듈과;
상기 승강모듈에 설치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센서와;
상기 터치센서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윈도우스위치; 및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모듈을 상승시켜 윈도우스위치가 표피재를 밀어 올리도록 함으로써 표피재에 윈도우스위치의 돌출 형상이 출현되도록 하거나, 상기 승강모듈을 하강시켜 윈도우스위치가 표피재의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표피재의 외부에서 윈도우스위치의 돌출 형상이 사라지도록 하는 모터;
를 포함하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A skin material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rmrest of the door trim;
A flat bas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rmrest under the skin material;
A guide installed upright at the end of the base;
An elevating modul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guide to guide an up-and-down movement path by a guide;
A capacitive touch sensor installed in the lifting module;
A window switch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sensor, the upper surface is convex upward, an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t is installed on the base and raises the lifting module so that the window switch pushes up the skin material so that the protruding shape of the window switch appears on the skin material, or the window switch is separa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kin material by lowering the lifting module. By doing so, a motor that causes the protruding shape of the window switch to disappear from the outside of the skin material;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of a vehicl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이송용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모듈의 바닥부 하면에 이송용 암나사가 형성된 리드너트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리드너트가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orphing type power window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transfer male screw is form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a lead nut having a transfer female screw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fting module, and the rotation shaft and the lead nut are screwed together. Switch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상부 내측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모듈의 하부 외측부에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상하 이동 경로가 안내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orphing type power window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inner part of the guide, an insertion part is formed in the lower outer part of the lifting module, and the inser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path. Switch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모듈의 바닥부 상면에 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LED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circuit board i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lift module, and an LED is installed on the circuit boar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touch sensor is a vehicle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스위치는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window switch is a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sm.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의 상면은 윈도우스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광차폐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a light shield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sensor except for the window switch.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표피재는 윈도우스위치의 상승에 의해 가압 팽창되어 광투과성이 증대됨으로써 윈도우스위치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원활하게 통과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skin material is a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by increasing the light transmittance by pressing and expanding by the rise of the window switch to smoothly pass light emitted from the window switc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로부터 사용자의 다양한 윈도우스위치 조작(접촉) 정보를 전달받고, 그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모터를 구동하여 승강모듈을 승하강시키며, 상기 LED의 발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receiving various window switch manipulation (contact)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touch sensor, driving the motor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to elevate and descend the elevating module, and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state of the LED. A vehicle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되는 스피커와 진동모터를 더 구비하고, 진동모터는 상기 승강모듈에 설치되며, 제어유니트는 상기 윈도우스위치 조작 정보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신호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 speaker and a vibration motor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re further provided, and the vibration motor is installed in the lifting module,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different types of beeps and vibrations according to the window switch operation information. Vehicle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KR1020190137801A 2019-10-31 2019-10-31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of vehicle KR1022760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801A KR102276019B1 (en) 2019-10-31 2019-10-31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801A KR102276019B1 (en) 2019-10-31 2019-10-31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914A true KR20210051914A (en) 2021-05-10
KR102276019B1 KR102276019B1 (en) 2021-07-13

Family

ID=7591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801A KR102276019B1 (en) 2019-10-31 2019-10-31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01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5983A (en) * 2022-02-24 2022-05-2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Vehicle window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vehicle window master control switch and automobile
KR20230135458A (en) * 2022-03-16 2023-09-25 강성준 Hidden Switch Having A Flat Surface Continuous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US11993146B2 (en) 2021-08-31 2024-05-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Deformable user input system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697B1 (en) 2010-12-01 2013-05-2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ower Window Switch Module for Vehicle
KR20170029207A (en) * 2015-09-07 2017-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trol apparatus using touch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20170001051U (en) *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서연전자 An apparatus of switch for vehicles
KR20170074740A (en) * 2015-12-22 2017-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101836711B1 (en) * 2016-10-04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wer window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12317B1 (en) * 2017-11-23 2018-10-29 덕양산업 (주) Touch switch assembly for automotive doors
KR102009656B1 (en) * 2013-02-01 2019-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interface, electric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697B1 (en) 2010-12-01 2013-05-2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ower Window Switch Module for Vehicle
KR102009656B1 (en) * 2013-02-01 2019-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interface, electric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29207A (en) * 2015-09-07 2017-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trol apparatus using touch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20170001051U (en) *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서연전자 An apparatus of switch for vehicles
KR20170074740A (en) * 2015-12-22 2017-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101836711B1 (en) * 2016-10-04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wer window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12317B1 (en) * 2017-11-23 2018-10-29 덕양산업 (주) Touch switch assembly for automotive doo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3146B2 (en) 2021-08-31 2024-05-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Deformable user input systems
CN114525983A (en) * 2022-02-24 2022-05-2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Vehicle window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vehicle window master control switch and automobile
KR20230135458A (en) * 2022-03-16 2023-09-25 강성준 Hidden Switch Having A Flat Surface Continuous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019B1 (en)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01033B (en) Vehicle window display device
US7342485B2 (en) Motor vehicle roof with a control means for electrical motor vehicle components and process for operating electrical motor vehicle components
US9086733B2 (en) Illumination of input device
KR20210051914A (en)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of vehicle
US20180267637A1 (en) Finger-operated control bar, and use of the finger-operated control bar
KR20050089594A (en) A operating button
US11951920B2 (en) Operation device and vehicle door
CN209833325U (en) Sun visor for vehicle
CN110785310B (en) Motor vehicle operating device
US9229038B2 (en) Cabinet touch control
ES2440119A2 (en) Key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ctuation procedure of the keyboard
JP2016110775A (en) Switch device for vehicles
US20230136995A1 (en) Levitating user-interface gadget
JP6694666B2 (en) refrigerator
US10596906B2 (en) Finger strip and use of said finger strip
CN110341590B (en) Lighting device for illuminating an interior of a vehicle
US20200293145A1 (en) Touch module
CN109871063B (en) Track touch sensing module
KR102100983B1 (en) Power window switch device for vehicle
KR200457304Y1 (en) Switch apparatus for saving standby power
KR102276787B1 (en) Touch control input apparatus including touch panel
KR101883169B1 (en) 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ouch panel window of car
JP5958381B2 (en) Vehicle input device
CN209782556U (en) Touch control type lighting device for automobile and vehicle with same
US20220017023A1 (en) Roof console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