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602A -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 Google Patents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602A
KR20210050602A KR1020190133490A KR20190133490A KR20210050602A KR 20210050602 A KR20210050602 A KR 20210050602A KR 1020190133490 A KR1020190133490 A KR 1020190133490A KR 20190133490 A KR20190133490 A KR 20190133490A KR 20210050602 A KR20210050602 A KR 20210050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user
unit
treadmill
ga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2205B1 (en
Inventor
박하나
신영준
신형수
서병도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에스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에스연구소 filed Critical (주)에스앤에스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133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205B1/en
Publication of KR20210050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6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2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61B5/6807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5Sport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52Loa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1Interfaces to the user control is restricted to certain individu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strengthening functions, which is provided with a frame on the upper part of a treadmill and a harness to support the frame so that a user can correct the gait while walking on the treadmill with the harness on to improve gait functions while performing cognitive reinforcement training for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early dementia patients, those who have difficulty in walking due to brain lesion disorders such as stroke, Parkinson's disease, traumatic brain injury or the like and the elderly who have difficulty in walking due to aging.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eadmill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in the front, and having a belt of a rotating caterpillar whose one surface is used as a walking surface; a frame part installed on the treadmill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user who walks on the treadmill; a harness including a wire to which one e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and worn on the body of a user walking on the treadmill to support the user; and controlling unit including a sensor unit and a camera unit for detecting and photographing the user's body movement when the user wearing the harness walks on the treadmill, and analyzing information detected and photographed by the sensor unit and the camera unit to display the information in real time on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Description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본 발명은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드밀의 상부로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하네스가 지지되도록 구비하여 사용자가 하네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트레드밀을 보행하면서 보행자세를 교정하도록 하여 경도인지장애와 초기 치매 환자, 뇌졸중, 파킨슨, 외상성 뇌손상 등 뇌병변 장애로 보행이 불편한 자, 노화로 인한 보행이 힘든 고령자의 인지강화훈련과 동시에 보행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and more specifically, a frame is installed above the treadmill and a harness is supported on the frame, so that the user walks while walking the treadmill while wearing the harness. By correcting the posture,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early dementia, stroke, Parkinson, traumatic brain injury, etc. It relates to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오늘날 한국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 인구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치매 환자의 수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등에서는 치료시설과 요양시설을 확충하려고 하는 등, 노인 치매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은 편이다. Today, as Korea enters an aging society,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is also rapidly increas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local governments, etc., are trying to expand treatment facilities and nursing facilities, and there is a high social interest in the elderly dementia problem.

치매는 치료를 하는 것뿐만 아니라 예방하는 것 또한 중요하여 최근에는 치매를 예방하는 인지훈련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한 인지훈련 프로그램은 주의(attention), 집중(concentration), 시각적 진행(visual processing), 언어(language), 기억(memory), 추리(reasoning), 문제해결(problemsolving)과 같은 실행상의 기능 결함을 재훈련, 혹은 완화시키기 위한 인지적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Dementia is important not only to treat but also to prevent, and in recent years, interest in cognitive training to prevent dementia is increasing. Cognitive training programs for this purpose address functional deficiencies in execution such as attention, concentration, visual processing, language, memory, reasoning, and problemsolving. Retraining, or using cognitive strategies to mitigate.

그러나 종래의 인지훈련방법은 지루한 면이 있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실행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여기서 학계에서는 인지훈련이 신체운동과 연계되어 실행될 때 뇌 활성도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인지훈련을 신체운동과 연계하여 뇌 활성도를 높이고, 지루함을 없애 몰입도를 한층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인지훈련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gnitive training method is tedious and difficult for the user to continuously execute. Here, in academia, research results have been reported that brain activity increases when cognitive training is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physical exercise.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new cognitive training device that can increase brain activity by linking cognitive training with physical exercise and further increase immersion by eliminating boredom.

또한,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의 재활치료를 돕기 위한 하지재활 치료기에 대한 연구와 보급이 활발해지고 있다.In addition, research and dissemination of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s to help rehabilitation treatment of patients with disabilities are becoming active.

이러한 하지재활 치료기 중, 하지 재활 로봇 및 보행보조기기는 주로 보행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이 보다 안전하고 자유롭게 걸을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기로서, 타인에게 의지하지 않고 실내외에서 가고자 하는 곳으로 스스로 이동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어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으므로 현재도 많은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Among these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s,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robots and walking aids are mainly devices that assist people with gait disorders to walk more safely and freely, and help them move themselves to where they want to go indoors and outdoors without relying on others. Because i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 lo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s still underway.

그러나, 지금까지 제안되고 있는 하지재활 치료기는 치료 초기의 중증 치료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제품이 대부분이므로, 재활치료가 어느 정도 진행된 이후나 경증 치료 또는 일상보행 적응 등에는 적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most of the lower limb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s proposed so far are products focusing on severe treatment at the beginning of the treatme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suitable for mild treatment or adaptation to daily gait after some degree of rehabilitation treatment has progressed.

즉, 현재 보급되고 있는 대부분의 하지재활 치료기들은, 혼자서는 자발적 보행이 어려운 뇌손상 질환자와 노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고정형 하지재활 시스템과, 로봇의 도움을 받아 잔존 근육에 의한 보행이 가능한 뇌손상 질환자나 주위의 도움 없이 자발적 보행을 하려는 노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형 하지재활 시스템으로 구분되어 개발됨으로써, 하나의 하지재활 치료기를 이용하여 중증 치료와 경증 치료 및 일상보행 적응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인 치료 경과에 포괄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most of the currently popular lower limb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s are fixed-type lower limb rehabilitation systems for brain injury patients and the elderly who are difficult to walk on their own, and those with brain injuries who can walk by residual muscles with the help of robots. As a mobile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system for the elderly who wants to walk voluntarily without assistance from the surroundings, it is developed as a mobile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system.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apply.

종래 고정형 하지재활 시스템의 경우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고가의 대형 시스템으로서 주로 전문 재활 시설 등에 거치되며, 시스템 속에서 치료를 받는 재활 대상자와 로봇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관측하면서 물리치료사나 재활의의 감독하에 재활훈련을 시행하게 되므로, 재활 훈련을 시행하기 위한 장소와 시간의 제약을 많이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ixed lower limb rehabilitation system, it is an expensive large-scale system in the form of a box, which is mainly mounted in specialized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rehabilitation under the supervision of a physical therapist or rehabilitation doctor while precisely observing the movement of the rehabilitation target and robot receiving treatment in the system. Since training is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place and time for performing rehabilitation training.

또한, 하지재활을 위해서는 하지 근육을 고르게 발달시킬 수 있도록 올바른 보행자세로 걷는 연습을 수없이 반복해야 하는바, 이를 위해서는 질병이나 노환 등에 의해 약화된 근육에 일부러 힘을 가하며 그 부분의 근육에 의도적으로 자극을 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for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practice walking with a correct gait so that the lower extremity muscles can be evenly developed.To this end, force is deliberately applied to the muscles weakened by disease or old age, and intentionally stimulates the muscles of the part Need to be applied.

그에 따라, 전문 재활 시설에서는 물리치료사나 재활의의 감독하에 재활훈련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제한된 장소에서 제한된 시간 동안에만 재활훈련이 가능하게 되며, 물리치료사나 재활의의 감독이 없는 상태에서 스스로 하는 재활훈련의 경우 재활환자 스스로 약화된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독립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재활훈련이 올바른지 여부를 일일이 모니터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스스로 많은 노력을 기울여도 재활훈련의 효과를 충분히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in specialized rehabilitation facilities, rehabilitation training is performed under the supervision of a physical therapist or rehabilitation doctor. In this case, rehabilitation training is possible only for a limited time in a limited place. In the case of rehabilitation training, it is difficult to monitor how to reinforce weakened muscles by rehabilitation patients themselves and whether or not independently conducted rehabilitation training is correct.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obtain.

따라서, 물리치료사나 재활의의 감독하에 있지 않더라도 스스로 하는 재활훈련이 올바른지 여부를 재활환자가 실시간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하여 재활훈련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재활훈련 과정을 항상 시켜보지 않더라도 재활훈련 결과를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올바른 재활훈련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간편하게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재활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게 한 새로운 하지 재활 치료기에 대한 필요성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Therefore, even if they are not under the supervision of a physical therapist or rehabilitation doctor, the rehabilitation patient can directly check whether the rehabilitation training is correct in real time and correct the posture so that the effect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can be doubled and rehabilitation training. The need for a new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that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and easily monitor whether the correct rehabilitation training is performed simply by check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result is steadily increasing. I'm doing it.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963869호, 상하지 보행 재활 기기.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1963869, upper and lower extremity gait rehabilitation device.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790048호, 트레드밀 기반의 보행 재활 기기.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1790048, treadmill-based gait rehabilitation device.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327178호, 투-벨트 트레드밀 및 이를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1327178, a two-belt treadmill and a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드밀의 상부로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하네스가 지지되도록 구비하여 사용자가 하네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트레드밀을 보행하면서 보행자세를 교정하도록 하여 경도인지장애와 초기 치매 환자, 뇌졸중, 파킨슨, 외상성 뇌손상 등 뇌병변 장애로 보행이 불편한 자, 노화로 인한 보행이 힘든 고령자의 인지강화훈련과 동시에 보행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frame above the treadmill and provide a harness to support the frame so that the user walks the treadmill while wearing the harness. While correcting the gai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gait function as well as cognitive reinforcement training for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early dementia, those who are uncomfortable with walking due to brain lesion disorders such as stroke, Parkinson, and traumatic brain injury, and those who have difficulty walking due to aging It is to provide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트레드밀에서 보행하는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직접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여 스스로 보행자세를 교정할 수 있어 재활환자의 재활훈련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한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gait status of a user walking on a treadmill to be directly monitored in real time, so that the gait can be corrected on its own, thereby doubling the rehabilitation effect of rehabilitation patients. It is in providing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에 하네스에 진동기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하네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트레드밀을 보행할 때, 보행자세가 바르지 않으면 이를 착용자가 알 수 있도록 진동을 발생하여 줌으로 사용자는 스스로 보행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어 항상 바른 보행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walks the treadmill while wearing the harness by providing a vibrator in the harness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gait is not correct, a vibration is generated so that the wearer can know it, so that the user can correct the gait by himself. It is to provide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to maintain the correct gait at all tim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로서, 전방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일면이 보행면으로 이용되는 회전무한궤도의 벨트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상기 트레드밀에서 보행하는 사용자의 상부로 위치하도록 트레드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어느 일단이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트레드밀에서 보행하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를 지지하는 하네스; 및 상기 하네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트레드밀에서 보행할 때, 보행하는 사용자의 신체 운동을 감지 및 촬영하는 센서부 및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및 카메라부에서 감지 및 촬영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of the user, a display unit in front of the treadmill including a belt of a rotating infinite track is used as a walking surface; A frame portion installed on the treadmill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a user walking on the treadmill; A harness that includes a wire to which one end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and is worn on the body of a user walking in the treadmill to support the user; And a sensor unit and a camera unit for detecting and photographing a body movement of a walking user when the user wearing the harness walks on the treadmill, and analyzing the information detected and photographed by the sensor unit and the camera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in real time on the display unit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상기 트레드밀은: 상기 벨트 상에서 보행하는 사용자가 벨트의 후방으로 낙상되지 않도록 상기 벨트의 후방에 인접하여 돌출되도록 형성한 낙상방지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readmill: It is preferable that a user walking on the belt further includes a fall bump portion formed to protrude adjacent to the rear of the belt so that the user walking on the belt does not fall to the rear of the belt.

상기 하네스는: 상기 와이어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이 구비되며, 사용자의 등부위를 받혀주는 등받이판과, 상기 등받이판으로부터 분리 구성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받혀주는 허리판과, 상기 허리판을 등받이판에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력을 갖는 연결밴드와, 상기 등받이판의 상부 양측에서 상기 허리판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력을 갖는 어깨밴드와, 상기 허리판의 양측으로 허리를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는 탄성력을 갖는 허리밴드로 이루어지는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의 허리판에 고정 설치되며, 자세가 바르지 않으면 이를 착용자가 알 수 있도록 작동하는 진동기와, 상기 진동기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등받이판의 하부로 고정 설치되는 무탄력의 조작끈을 연결 설치하여 자세가 바르지 않으면 진동기를 작동하도록 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진동기자 조작되면, 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무선신호전송기로 이루어지는 자세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arness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the wire, a backrest plate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a waist plat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backrest plate to support the user's waist, and the waist plate A connection band having an elastic force installed to connect to the back plate, a shoulder band having elastic forc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waist plate from both upper sides of the back plate, and installed to wrap the waist on both sides of the waist plate. Wearing portion made of a waist band having an elastic force; And a vibrator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aist plate of the wearing part and operates so that the wearer can know when the posture is not correct, and a non-elastic operation string that is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vibrator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plate is connected and install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osture notification unit comprising a switch for operating the vibrator when the posture is not correct, and a wireless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vibrator when the vibrator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트레드밀의 양측에 각각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프레임들; 상기 트레드밀의 양측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트레드밀에서 보행하는 사용자가 양손을 잡을 수 있게 한 수평지지부들; 상기 트레드밀의 양측에 각각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들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에 설치되며, 하네스를 지지하는 와이어의 일단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하네스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ame portion: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installed so as to be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treadmill; Horizontal support portions connecting vertical frame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treadmill so that a user walking in the treadmill can hold both hands; An upper horizontal frame installed to connect tops of vertical frames installed to be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treadmill to each other; And a buffer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horizontal frame and configured to couple one end of the wire supporting the harness to provide a buffering force to the harness.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에는: 상기 트레드밀의 벨트 상에서 보행하는 사용자가 올바른 보행 동작을 통해 발을 위치시켜야 할 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다음에 이동해야 할 보행위치를 표시해주는 광을 조사하여 이미지를 형상화시키는 광조사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horizontal frame: irradiates light indicating the next gait value to be mov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walking on the treadmill's belt can guide the user where the foot should be positioned through the correct walking motion. It is preferable that a light irradiation unit for shaping the image is provided.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트레드밀의 전방에서 후방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C"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ame part: It is preferable to have a "C" shape formed to exten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treadmill.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레드밀의 벨트가 구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벨트의 저면 양측에 다수개 설치되며, 보행 중 사용자의 걸음에 따라 상기 벨트의 좌측과 우측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를 측정하는 하중감지센서들; 및 상기 하중감지센서들에서 측정되어 전송되는 하중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좌측 걸음과 우측 걸음을 구분하고, 각 걸음이 이루어지는 동안 발바닥에서 벨트로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를 토대로 보행 밸런스의 유지여부를 판단하여 보행정보를 생성하는 보행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행정보 생성부는: 보행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상기 하중감지센서에서 전송되는 각 하중감지센서의 고유코드와 하중 값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보행정보를 획득하는 보행정보 수신부; 보행정보 수신부에서 획득한 하중감지센서의 고유코드에 의해 좌측 보행과 우측 보행을 구분하고, 각 하중감지센서에서 전송된 하중 값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벨트에 가해진 하중이 균형 잡힌 보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보행 밸런스 판단부; 및 보행 밸런스 판단부에서 균형이 어느 정도 일측으로 치우처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 방향으로 더 가해진 하중만큼 치우처진 어느 한 쪽으로 발바닥 모양이 치우치게 표시되도록 그랙픽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함에 의해 자신의 보행 밸런스의 유지여부나 이탈여부를 사용자가 보행중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게 표풀시키는 보행 밸런스 표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 unit: A load detection sensor tha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belt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lt of the treadmill is driven, and measures changes in load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elt according to the user's steps while walking. field; And continuously receiving changes in the load measured and transmitted by the load detection sensors to distinguish left and right steps, and whether to maintain the walking balance based on the change in the load applied from the sole to the belt during each step. Including, the walk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determining and generating walking information; the walk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Each load transmitted from the load detection sensor so that the walking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A walk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unique code and the load value of the sensor to obtain walking information of the user; It distinguishes left and right walking by the unique code of the load detection sensor acquired from the walking information receiv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load applied to the belt by the user is balanced walking by the load value transmitted from each load detection sensor. A gait balance determination unit; And when the gait balanc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balance is skewed to one side to some extent, the shape of the sole of the foot is displayed in a biased manner by the amount of the additional load applied in that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walking balance display unit that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whether it is maintained or deviated in real time while walking.

상기 하중감지센서는: 사용자의 좌측 보행시 발바닥을 통하여 벨트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를 좌측에서 감지하도록 벨트의 좌측 저부에 설치되는 좌측보행 하중감지센서; 및 사용자의 우측 보행시 발바닥을 통하여 벨트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를 우측에서 감지하도록 벨트의 우측 저부에 설치되는 우측보행 하중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보행 밸런스 판단부는: 좌측과 우측 중 하중 값이 크게 감지되는 쪽을 현재 보행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인식하여 판단 영역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좌측보행 하중감지센서 혹은 우측보행 하중감지센서에서 전송된 하중 값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균형 잡힌 보행 밸런스의 하중 값과 비교하여 균형 잡힌 보행인지, 그렇지 않으면 하중 값이 그보다 크거나 작아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처진 보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ad sensing sensor may include: a left walking load sensing sensor installed at the left bottom of the belt to detect a change in the load applied to the belt through the sole of the user's left foot when walking on the left side; And a right walking load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the right bottom of the belt to detect a change in the load applied to the belt through the sole of the user's right side when walking on the right side, wherein the walking balance determining unit: a load value among left and right sides Recognizes the larger detected side as the current gait area, specifies the judgment area, and balances the load value transmitted from the left walking load detection sensor or the right walking load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specified area in advance.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walking is balanced by comparing with the load value of the balanced walking balance. Otherwise,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walking is biased to either side because the load value is greater or less than that.

상기 제어부는: 재활훈련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등록하여 재활환자가 트레드밀 이용시 수행해야 할 목표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재활 프로그램 등록부; 보행 밸런스 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를 토대로 재활훈련 프로그램의 수행정도를 자동으로 평가하는 훈련성취 평가부; 및 훈련성취 평가부에서 평가된 결과치를 출력할 수 있는 훈련평가 기록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 unit includes: a rehabilitation program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a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in a memory to provide a target to be performed by a rehabilitation patient when using the treadmill; A training achievement evaluation unit that automatically evaluates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gait balance determination unit; And a training evaluation record output unit capable of outputting the result value evaluated by the training achievement evaluation unit.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는 사용자의 족저면에 구비되는 인솔(inso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솔은: 족저면의 움직임 가속도 및 트레드밀의 레일에 대한 족저면 각도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부; 전족부 및 후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족저면에 촉각 자극을 제공하는 자극발생부; 및 검출센서부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낙상 위험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족저면에 촉각 자극을 제공하도록 자극발생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센서는: 사용자의 보행 방향을 기준으로 레일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를 검출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보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레일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컨트롤부에 의해 족저면의 각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낙상 위험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사용자의 족저면에 촉각을 자극하도록 자극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further includes an insole provided on the user's plantar surface, wherein the insole includes: a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n acceleration of movement of the plantar surface and an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rail of the treadmill part; A stimulation generating unit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forefoot and the rear foot to provide a tactile stimulus to the user's plantar surfa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timulation generating unit to provide a tactile stimulus to the user’s plantar surfa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a fall of the user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unit, wherein the detection sensor includes: a walking direction of the user. As a reference, th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to the rail is detected, while at the same time, th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to the rail is detected based 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ser's walking direction, and th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to the rail exceeds a preset range by the control uni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stimulation generating unit to stimulate the sense of touch on the user's plantar surface by determining that there is a risk of falling.

상기 자극발생부는: 전족부, 후족부, 우측족부 및 좌측족부 영역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컨트롤부는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각도가 검지된 영역에 배치된 자극발생부를 제어하여 촉각 자극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imulation generating uni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tactile stimulus by controlling the stimulation generating unit disposed in the forefoot, rear foot, right foot, and left foot region,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unit is disposed in a region in which an angle exceeding a preset range is detected. Do.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의하면, 트레드밀의 상부로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하네스가 지지되도록 구비하여 사용자가 하네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트레드밀을 보행하면서 보행자세를 교정하도록 하여 경도인지장애와 초기 치매 환자, 뇌졸중, 파킨슨, 외상성 뇌손상 등 뇌병변 장애로 보행이 불편한 자, 노화로 인한 보행이 힘든 고령자의 인지강화훈련과 동시에 보행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is installed above the treadmill and a harness is supported on the frame so that the user walks the treadmill while wearing the harness to correct the gait. Therefor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gait function as well as cognitive reinforcement training for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early dementia, those who are uncomfortable with walking due to brain lesion disorders such as stroke, Parkinson, and traumatic brain injury, and those who have difficulty walking due to aging.

또한, 본 발명은 트레드밀에서 보행하는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직접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여 스스로 보행자세를 교정할 수 있어 재활환자의 재활훈련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monitor the gait status of a user walking on a treadmill in real time, thereby correcting the gait by himself, thereby doubling the rehabilitation effect of the rehabilitation patient.

또한, 본 발명은 하네스에 진동기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하네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트레드밀을 보행할 때, 보행자세가 바르지 않으면 이를 착용자가 알 수 있도록 진동을 발생하여 줌으로 사용자는 스스로 보행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어 항상 바른 보행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vibrator in the harness, when the user walks on the treadmill while wearing the harness, when the gait is not correct, the user can correct the gait by itself by generating vibration so that the wearer can know i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lways maintain the correct gait.

또한, 본 발명은 하지재활 보조수단에 의지하지 않는 일상보행 적응 재활훈련에도 적용될 수 있어, 재활훈련의 전 치료과정에 폭넓게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daily gait adaptive rehabilitation training that does not rely on the lower limb rehabilitation assistance means, and thus has an effect that can be widely used in the entire treatment process of rehabilitation train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프레임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프레임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하네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하네스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표시의 하네스에서 진동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에 발모양이 일측으로 치우쳐서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인솔의 실시예의 블럭도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인솔의 다른 실시예로서 진동부의 배치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지면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α,β)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지면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α,β,γ)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rame unit provided in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having an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rame unit provided in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harness provided in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having an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the harness shown in FIG. 3,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bration unit in the harness shown in FIG. 3,
6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provided in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hape of a foot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provided in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having an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insole provided in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having an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a vibration unit as another embodiment of an insole provided in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having an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the angles (α, β) of the planta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11 is a diagram showing the angles (α, β, γ) of the planta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프레임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프레임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하네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하네스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표시의 하네스에서 진동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에 발모양이 일측으로 치우처서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인솔의 실시예의 블럭도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인솔의 다른 실시예로서 진동부의 배치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지면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α,β)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지면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α,β,γ)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rame unit provided in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ame provided in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capability enhanc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nit,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harness provided in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the harness shown in FIG. 3, and FIG. 5 is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ibration unit in the harness of display 3, 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foot shape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provided in an improved gait rehabilitation device, and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insole provided in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a vibration unit as another embodiment of an insole provided in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 α,β), and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gles (α, β, γ) of the planta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와 관련되며, 트레드밀(100)과 프레임부(200), 하네스(300) 및 제어부(40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이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of the user, and comprises a treadmill 100, a frame part 200, a harness 300, and a control unit 400. It is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func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트레드밀(100)은 일면이 보행면으로 이용되는 회전무한궤도의 벨트(10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트레드밀(100)은 외부 동력에 의해 구동롤러가 회전하면서 그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102)가 일정한 속도로 움직여 그 상부에서 사용자가 걸을 수 있게 한 운동기구이다. As shown, the treadmill 100 provided in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belt 102 of a rotating infinite track used as a walking surface, the treadmill ( 100) is an exercise device in which the driving roller rotates by external power and the belt 102 connected thereto moves at a constant speed so that the user can walk from the top thereof.

다만, 상기 벨트(102) 위에서 빠른 속도로 걷거나 뛰며 운동할 수 있게 한 통상적인 트레드밀과는 달리, 혼자서는 보행할 수 없거나 불편한 재활환자의 재활훈련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고려할 때, 벨트의 구동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는 빨라지지 않으면서 긴급 제동이 가능하게 한 트레드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when considering that it is used for rehabilitation training of rehabilitation patients who cannot walk or run alone, unlike a conventional treadmill that allows walking or running at a high speed on the belt 102, the driving speed of the belt is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a treadmill that does not accelerate beyond a certain level and enables emergency braking.

이러한 트레드밀(100)의 전방에는 디스플레이부(1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트레드밀(100)의 벨트(102) 위에서 디스플레이부(110)를 보면서 걸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대형 모니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unit 11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treadmill 100, and the user can walk while looking at the display unit 110 on the belt 102 of the treadmill 100. The display unit 110 may be formed of a large monitor or the like.

또한, 상기 트레드밀(100)은 벨트(102) 상에서 보행하는 사용자가 벨트(102)의 후방으로 낙상되지 않도록 하고자 상기 벨트(102)의 후방에 인접하여 돌출되도록 낙상방지턱부(10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readmill 100 is to form a fall bump portion 104 so as to protrude adjacent to the rear of the belt 102 so that the user walking on the belt 102 does not fall to the rear of the belt 102. desirable.

이러한 낙상방지턱부(104)는 소정 곡면을 이루며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가 벨트 후방의 낙상방지턱부(104)에 발이 접촉하는 순간 이를 감지하여 후술하는 수평지지부를 잡음으로서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all bump part 104 is formed to protrude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curved surface, so that the moment the user touches the fall bump part 104 at the rear of the belt, the user detects it and noise the horizontal support part to be described later to prevent a fall.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프레임부(200)는 트레드밀(100)에서 보행하는 사용자의 상부로 위치하도록 트레드밀(100)에 설치된다. As shown, the frame part 200 provided in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readmill 100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user walking in the treadmill 100.

이러한 프레임부(200)는 하네스(30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프레임부(200)는 트레드밀(100)의 전방에서 후방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C"자형상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C"자형상을 이루는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하네스(300)를 지지하는 와이어(302)가 설치된다. This frame part 200 is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harness 300, the frame part 200 may be formed to form a "C" shape that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front to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treadmill 100. . At this time, a wire 302 supporting the harness 30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portion forming a "C" shape.

또한, 상기 프레임부(200)는 트레드밀(100)의 양측에 각각 세워지도록 다수개의 수직프레임(210)들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210)들을 연결하여 트레드밀(100)에서 보행하는 사용자가 양손을 잡을 수 있게 수평지지부(220)들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210)들의 상단은 상부수평프레임(230)으로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상부수평프레임(230)에 하네스(300)를 지지하는 와이어(302)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ame part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210 so as to be respectively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treadmill 100, and a user walking in the treadmill 100 by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s 210 Horizontal support portions 220 are formed to be gripped, and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frames 210 ar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upper horizontal frame 230 to support the harness 300 to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 302) can be installed.

이때, 상기 상부수평프레임(230)에는 완충부재(240)를 설치하여, 상기 완충부재(240)에 하네스(300)를 지지하는 와이어(302)의 일단을 설치함에 의해 상기 하네스(300)에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buffer member 240 is installed on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to provide a buffering force to the harness 300 by installing one end of the wire 302 supporting the harness 300 on the buffer member 240. Can be made to provide.

상기 완충부재(240)는 스프링 혹은 공압실린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완충부재(240)에 의해 하네스(3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벨트(102) 위에서 보행할 때 완충 작용을 하여 하지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buffer member 240 may be composed of a spring or a pneumatic cylinder, and the buffer member 240 acts as a buffer when a user wearing the harness 300 walks on the belt 102 and is unreasonable for the lower extremities. You can prevent it from going.

또한, 상기 상부수평프레임(230)에는 광조사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조사부(120)는 트레드밀(100)의 벨트(102) 상에서 보행하는 사용자가 올바른 보행 동작을 통해 발을 위치시켜야 할 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다음에 이동해야 할 보행위치를 표시해주도록 광을 조사하여 이미지를 형상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light irradiation unit 12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The light irradiation unit 120 is the gait value that the user needs to move next so that the user walking on the belt 102 of the treadmill 100 can guide the user where the foot should be placed through the correct walking motion. The image can be shaped by irradiating light to display it.

따라서, 트레드밀(100)의 벨트(102) 위에서 보행하는 사용자는 광조사부(120)에서 광이 조사되어 벨트(102)에 형성화 되는 이미지를 보면서 보행을 할 수 있어 바른 보행을 할 수 있음으로 보행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walking on the belt 102 of the treadmill 100 can walk while viewing the image formed on the belt 102 by the light irradiation from the light irradiation unit 120, so that the user can walk properly. It can maximize the effect of treat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하네스(300)는 트레드밀(100)에서 보행하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를 지지하는 사용자 고정장치이다. As shown, the harness 300 provided in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fixing device that is worn on the body of a user walking in the treadmill 100 to support the user.

이러한 하네스(300)는 상기 프레임부(200)의 상부에 어느 일단이 결합되는 와이어(302)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사용자가 상기 하네스(3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을 함으로서, 스스로 혼자 걷기 어려운 경도인지장애와 초기 치매 환자, 뇌졸중, 파킨슨, 외상성 뇌손상 등 뇌병변 장애로 보행이 불편한 자, 노화로 인한 보행이 힘든 고령자의 보행을 도울 수 있다. This harness 300 is supported by being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302 to which one end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ame part 200, and by walking while the user wears the harness 300, It can help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early dementia who are difficult to walk alone, those who are uncomfortable with walking due to brain lesion disorders such as stroke, Parkinson, and traumatic brain injury, and elderly people who have difficulty walking due to aging.

이때, 상기 와이어(302)는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인장강도를 지닌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wire 302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tensile strength sufficient to support the user's weight.

또한, 상기 하네스(300)는 착용부(310)와 자세알림부(32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착용부(310)는 하네스(300)를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고, 상기 자세알림부(320)는 사용자의 자세가 바르지 않을 경우 진동을 발행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하네스(3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자세가 바르지 않으면 이를 착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스스로 보행자세를 바로 잡도록 하여 항상 바른 보행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rness 3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wearing unit 310 and a posture notification unit 320. Here, the wearing unit 310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user to wear the harness 300, and the posture notification unit 320 is a configuration that issues a vibration and informs the user when the user's posture is incorrect, If the user wears the harness 300 and the gait is not correct, the wearer can know this so that the user can correct the gait by himself, thereby maintaining the correct gait at all times.

상기 착용부(310)는 등받이판(312)과 허리판(31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등받이판(312)과 허리판(313)은 탄성력을 갖는 연결밴드(314)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판(312)의 상부 양측에서 허리판(313)으로 연결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어깨밴드(3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허리판(313)의 양측으로는 허리를 감쌀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허리밴드(316)가 설치되어 있다.The wearing part 310 includes a back plate 312 and a waist plate 313, and the back plate 312 and the waist plate 3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band 314 having elasticity. And shoulder bands 315 having elasticity are install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waist plate 313 at both upper sides of the backrest plate 312, and both sides of the waist plate 313 have elasticity so that the waist can be wrapped. Waist band 316 is installed.

이때, 상기 등받이판(312)에는 프레임부(200)에 어느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302)의 다른 일단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공(3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공(311)에 와이어(302)를 결합하여 하네스(300)를 지지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backrest plate 312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311 for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wire 302 to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frame part 200. Accordingly, the wire 302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311 to support the harness 300.

이러한 착용부(310)는 상기 결합공(311)에 와이어(302)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어깨밴드(315)를 양어깨에 착용하고 상기 허리밴드(316)로 허리를 감싸도록 하여 착용하는 것으로, 상기 어깨밴드(315)와 허리밴드(316) 및 연결밴드(314)들의 신축성 있는 탄력에 의해 강하게 허리, 어깨, 척추 등을 조여주어 교정할 수 있는 역할도 할 수 있다.This wearing part 310 is worn by wearing the shoulder band 315 on both shoulders in a state in which the wire 302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311 and wrapping the waist with the waist band 316, The shoulder band 315, the waist band 316, and the connection band 314 may play a role of tightening and correcting the waist, shoulders, spine, etc.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ity.

또한, 상기 자세알림부(320)에는 허리판(313)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진동기(3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진동기(322)는 하네스(3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자세가 바르지 않으면 이를 착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하네스(3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자세가 바르지 않으면 진동이 발생되어 이를 착용자가 쉽게 알 수 있음으로 즉시 보행자세를 스스로 교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카메라부(404)에서 촬영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보행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ture notification unit 320 includes a vibrator 322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waist plate 313. The vibrator 322 is for allowing the wearer to know when the gait is not correct while wearing the harness 300. That is, if the gait is not correct while wearing the harness 300, vibration is generated and the wearer can easily recognize it, so that the gait can be immediately corrected by itself.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rrect the pedestrian posture while view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404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한편, 상기 자세알림부(320)에는 스위치(32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324)는 진동기(322)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그 돌출되는 부분에 구멍(32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324a)을 통해 등받이판(312)의 하부로 고정 설치된 조작끈(321)을 연결 설치한다. 상기 조작끈(321)은 탄력을 갖지 않는 무탄력의 밴드로서, 상기 연결밴드(31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끈(321)의 폭은 상기 연결밴드(314)의 폭 보다 좁게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이는 상기 연결밴드(314)는 탄력에 의해 용이하게 늘어날 수 있고, 또 상기 조작끈(321)은 무탄력에 의해 늘어나지 않고 잡아 용이하게 당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posture notification unit 320 is provided with a switch 324. The switch 324 is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vibrator 322, and a hole 324a is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An operation string 321 fixedly instal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plate 312 is connected and installed through the hole 324a. The operation strap 321 is a non-elastic band that does not have elasticity, and is installed to be located above the connection band 314.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operation strap 321 is preferably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band 314, which can be easily stretched by the elasticity of the connection band 314, and the operation strap 321 Is intended to be pulled easily without being stretched by inelastic force.

따라서, 사용자가 하네스(3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 중 등을 굽히게 되면, 상기 연결밴드(314)는 그 자체 탄력에 의해 늘어나게 되고 상기 조작끈(321)은 무탄력이므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끈(321)이 당겨지면서 스위치(324)를 당겨 접점부(325)가 접접되도록 하여 진동기(322)가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스위치(324)의 복원은 스프링(326)에 의해 복원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진동기의 작동에 의해 착용자는 스스로 즉시 보행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bends his back while walking while wearing the harness 300, the connection band 314 is stretched by its own elasticity, and the operation strap 321 is pulled because it is non-elastic. At this time, while the operation string 321 is pulled, the switch 324 is pulled so that the contact portion 325 is in contact, so that the vibrator 322 is operated. In addition, the restoration of the switch 324 is to be restored by the spring 326. In this way, by the operation of the vibrator, the wearer can immediately correct the gait by himself.

또한, 상기 진동기(322)는 작동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진동기(322)에는 타이머(327)가 내장되고, 타이머(327)는 상기 진동기(322)가 작동된 후 일정 시간 경과되면 자동으로 진동기(322)가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기(322)의 작동시간은 대략 3~6초 정도를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그 시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vibrator 322 to be automatically stopp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being operated. To this end, a timer 327 is built in the vibrator 322, and the timer 327 may automatically stop the vibrator 322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vibrator 322 is operated. At this time, the operating time of the vibrator 322 is preferably to be operated for about 3 to 6 seconds, and the time is not limited.

한편, 상기 진동기(322)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29)와 무선신호전송기(32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진동기자 작동되면, 전원을 공급하여 진동기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무선신호전송기(328)에서 이를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ibrator 322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battery 329 for supplying power and a wireless signal transmitter 328, and when the vibrator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power is supplied to operate the vibrator and at the same time.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328 may transmit this to the control unit.

따라서, 상기 하네스(300)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 중 몸을 앞으로 구부리게 되면 상기 연결밴드(314)는 그 자체 탄력에 의해 늘어나게 되고, 상기 조작끈(321)은 탄력이 없음으로서 당겨지게 된다. 이는 스위치(324)를 당겨 진동기(322)가 작동되도록 한다. 즉, 상기 스위치(324)가 '온'되면 전원이 타이머를 거쳐 진동기(322)가 작동되고, 무선신호전송기(328)에 의해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타이머(327)는 소정 시간(예컨대, 대략 3~6초 정도)이 경과되면 진동기(322)의 동작을 멈추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harness 300 is worn by the user and the body is bent forward while walking, the connection band 314 is stretched by its own elasticity, and the operation strap 321 is pulled because there is no elasticity. do. This pulls the switch 324 to cause the vibrator 322 to operate. That is, when the switch 324 is'on', the vibrator 322 is operated through a timer, and th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by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328. The timer 327 stops the operation of the vibrator 322 when a predetermined time (eg, about 3 to 6 seconds) has elaps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구비되는 제어부(400)는 상기 하네스(300)를 착용한 사용자가 트레드밀(100)의 벨트(102) 위에서 보행할 때, 보행하는 사용자의 신체 운동을 감지 및 촬영하는 센서부(402) 및 카메라부(404)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402) 및 카메라부(404)에서 감지 및 촬영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10)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한다. As shown, when a user wearing the harness 300 walks on the belt 102 of the treadmill 100, the control unit 400 provided in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unit 402 and a camera unit 404 are installed to detect and photograph the physical movement of the user who is walking, and the sensor unit 402 and the camera unit 404 analyze information detected and photographed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Control to display in real time on the display unit 110 so that it can be performed.

이러한 제어부(400)는 상기 트레드밀(100)의 벨트(102)가 구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벨트(102)의 저면 양측에 하중감지센서(410)들이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하중감지센서(410)들은 보행 중 사용자의 걸음에 따라 상기 벨트(102)의 좌측과 우측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를 측정한다. In this control unit 400, a plurality of load detection sensors 41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elt 102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lt 102 of the treadmill 100 is driven. The load detection sensors 410 measure changes in load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elt 102 according to the user's step while walking.

이때, 상기 하중감지센서(410)는 사용자의 좌측 보행시 발바닥을 통하여 벨트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를 좌측에서 감지하도록 벨트의 좌측 저부에 설치되는 좌측보행 하중감지센서와, 사용자의 우측 보행시 발바닥을 통하여 벨트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를 우측에서 감지하도록 벨트의 우측 저부에 설치되는 우측보행 하중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load sensing sensor 410 includes a left walking load sensing sensor installed at the left bottom of the belt to detect a change in the load applied to the belt through the sole of the user's left foot while walking, and the sole of the user's right walking.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a right walking load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the right bottom of the belt so as to detect a change in the load applied to the belt from the right side.

이러한 하중감지센서(410)들에서 측정되어 전송되는 하중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좌측 걸음과 우측 걸음을 구분하고, 각 걸음이 이루어지는 동안 발바닥에서 벨트로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를 토대로 보행 밸런스의 유지여부를 판단하여 보행정보를 생성하는 보행정보 생성부(4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y continuously receiving the change of the load measured and transmitted by these load detection sensors 410, separate the left and right steps, and maintain the walking balance based on the change in the load applied from the sole to the belt during each step.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walk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20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walking information is generated.

상기 보행정보 생성부(420)는 보행정보 수신부(422)와 보행 밸런스 판단부(424) 및 보행 밸런스 표출부(426)를 포함하며, 보행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한다. The walk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420 includes a walk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422, a walking balance determining unit 424, and a walking balance displaying unit 426, and displaying the walking information in real time on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To be able to do it.

상기 보행정보 수신부(422)는 하중감지센서(410)에서 전송되는 각 하중감지센서(410)의 고유코드와 하중 값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보행정보를 획득한다. The walk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422 acquires walking information of a user by receiving a unique code and a load value of each load sensing sensor 410 transmitted from the load sensing sensor 410.

상기 보행 밸런스 판단부(424)는 보행정보 수신부(422)에서 획득한 하중감지센서(410)의 고유코드에 의해 좌측 보행과 우측 보행을 구분하고, 각 하중감지센서(410)에서 전송된 하중 값은 보행하는 사용자에 의해 벨트에 가해진 하중이 균형 잡힌 보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 gait balance determination unit 424 separates the walking on the left and the walking on the right by the unique code of the load detection sensor 410 obtained from the walk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422, and the load value transmitted from each load detection sensor 410 Determines whether the load applied to the belt by the walking user is balanced walking.

즉, 상기 보행 밸런스 판단부(424)는 좌측과 우측 중 하중 값이 크게 감지되는 쪽을 현재 보행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인식하여 판단 영역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좌측보행 하중감지센서 혹은 우측보행 하중감지센서에서 전송된 하중 값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균형 잡힌 보행 밸런스의 하중 값과 비교하여 균형 잡힌 보행인지, 그렇지 않으면 하중 값이 그보다 크거나 작아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보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That is, the gait balance determination unit 424 recognizes the side of the left and the right where the load value is largely detected as the area where the current walking is performed, thereby specifying the judgment area, and a left gait load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specified area. Or, it compares the load value transmitted from the right walking load detection sensor with the load value of the balanced walking balance set in advance to determine whether the walking is balanced or whether the walking is biased to either side because the load value is greater or less than that. .

상기 보행 밸런스 표출부(426)는 보행 밸런스 판단부(424)에서 균형이 어느 정도 일측으로 치우처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 방향으로 더 가해진 하중만큼 치우처진 어느 한 쪽으로 발바닥 모양이 치우치게 표시되도록 그랙픽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1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보행 밸런스의 유지여부나 이탈여부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다. When the gait balance display unit 426 determines that the balance is skewed toward one side to some extent by the gait balance determination unit 424, a graphic process is performed so that the shape of the sole of the foot is displayed in a biased direction by the load applied further in that direction. Then, by transmitting and displaying the display unit 110, the user can recognize in real time whether his or her walking balance is maintained or not.

또한, 제어부(400)에는 재활훈련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등록하여 재활환자가 트레드밀 이용시 수행해야 할 목표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재활 프로그램 등록부(432)와, 보행 밸런스 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를 토대로 재활훈련 프로그램의 수행정도를 자동으로 평가하는 훈련성취 평가부(434)와, 훈련성취 평가부에서 평가된 결과치를 출력할 수 있는 훈련평가 기록 출력부(436)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재활환자가 스스로 재활프로그램의 수행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훈련평가 기록 출력부는 프린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has a rehabilitation program registration unit 432 that registers a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in a memory to provide a target to be performed by a rehabilitation patient when using a treadmill, and a rehabilitation training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gait balance determination unit. It includes a training achievement evaluation unit 434 that automatically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and a training evaluation record output unit 436 that can output the results evaluated by the training achievement evaluation unit. It can be made to be able to grasp the degree of execution of the program. Here, the training evaluation record output unit may be made of a printer or the lik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는 사용자의 족저면에 구비되는 인솔(insole)(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As shown,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having an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sole 500 provided on the user's plantar surface.

상기 인솔(500)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신발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신발이나 슬리퍼와 인솔(500)이 일체화 된(고정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인솔(500)은 독립적인 제조품 뿐만 아니라 이를 포함하는 신발이나 슬리퍼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The insole 500 may be manufactured in a form inserted into a shoe worn by a user, but may be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the shoe or slippers and the insole 500 are integrated (fixed). Therefore, the insole 500 referred t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encompassing not only independent manufactured products, but also shoes or slippers including the same.

상기 인솔(500)은 족저면의 움직임 가속도 및 트레드밀의 레일에 대한 족저면 각도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부(51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sole 5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detection sensor unit 510 that detects the motion acceleration of the plantar surface and th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rail of the treadmill.

상기 검출센서부(510)는 족저면의 움직임 가속도 및 지면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를 검출한다. 이러한 검출센서부(51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 등의 센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검출센서부(510)는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및 3축 지자기 센서로 구성된 9축 센서일 수도 있다. The detection sensor unit 510 detects a motion acceleration of the plantar surface and an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detection sensor unit 510 may include a sensing module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In more detail, the detection sensor unit 510 may be a 9-axis sensor including a 3-axis acceleration sensor, a 3-axis gyro sensor, and a 3-axis geomagnetic sensor.

상기 검출센서부(510)는 도 10의 표시와 같이, 사용자의 보행 중 족저면의 움직임 가속도나 지면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α,β)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센서부(510)에서 측정되는 움직임 가속도 정보는 사용자의 보행 속도 등을 판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고, 지면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 정보는 사용자의 낙상 위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detection sensor unit 510 may detect the acceleration of movement of the plantar surface while the user is walking or the angles α and β of the planta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motion acceler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510 may be used as basic data for determining the user's walking speed, and the information on the angle of the plantar to the ground is the basic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at risk of falling. Can be used as.

도 11(a)의 표시와 같이, 검출센서부(510)는 입각기(stance phase)에서 뒤꿈치가 닿을 때의 지면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β)와 뒤꿈치가 들리고 발가락 부위(앞꿈치)로 지탱할 때의 지면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α)를 검출한다. 이때, 족저면의 각도(α,β)는 사용자의 보행 방향에 평행인 방향을 기준으로 측정된 값이다. As shown in FIG. 11(a), the detection sensor unit 510 is the angle β of the planta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when the heel touches in the stance phase and the heel is lifted and supported by the toe area (forebow). The angle (α) of the planta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t the time is detected. At this time, the angles (α, β) of the plantar surface are values measured based o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ser's walking direction.

이와 함께 검출센서부(510)는, 도 11(b)표시와 같이, 보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지면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γ)를 검출할 수도 있고, 이는 사용자의 좌우측 방향으로의 낙상 위험을 감지하기 위한 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unit 510 may detect an angle (γ) of the planta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based 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lk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11(b), which i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user. It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to detect the risk of falling.

또한, 상기 인솔(500)은 전족부 및 후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족저면에 촉각 자극을 제공하는 자극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ole 500 includes a stimulation generating unit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forefoot and the rear foot to provide a tactile stimulus to the user's plantar surface.

상기 자극발생부는 제1자극발생부(521)와 제2자극발생부(521)로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족저면에 촉각 자극을 제공한다. 촉각 자극은 진동 자극, 전기 자극 등 다양한 방식의 자극일 수 있고, 진동 자극이나 전기 자극의 패턴, 세기, 주기 등은 사용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stimulation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stimulation generating unit 521 and a second stimulation generating unit 521, and provide tactile stimulation to the plantar surface of the user. The tactile stimulation may be various types of stimulation such as vibration stimulation and electrical stimulation, and patterns, intensity, and periods of vibration stimul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may be variously set by the user.

즉, 족저면의 앞꿈치 부분인 전족부(前足部)에 구비하는 제1자극발생부(521)는 발가락이 존재하는 족저부 영역에 대하여 촉각 자극을 인가할 수 있고, 족저면의 뒤꿈치 부분인 후족부(後足部)에 구비된 제2자극발생부(522)는 뒤꿈치가 존재하는 족저부 영역에 대하여 촉각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stimulation generating portion 521 provided in the forefoot portion of the forefoot portion of the plantar surface can apply tactile stimulation to the plantar portion where the toe is present, and the rear foot portion that is the heel portion of the plantar surface The second stimulation generating unit 522 provided in the (後足部) may apply tactile stimulation to the plantar region where the heel is present.

또한, 상기 인솔(500)은 검출센서부(510)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낙상 위험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족저면에 촉각 자극을 제공하도록 제1,제2자극발생부(521.522)를 제어하는 컨트롤부(53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insole 500 determines that there is a risk of a fall of the user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unit 510, the first and second stimulation generating units 521.522 to provide tactile stimulation to the user's plantar surfac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o include a control unit 530 for controlling.

상기 컨트롤부(530)는 검출센서부(510)에서 센싱한 센싱 정보(족저면의 가속도, 지면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낙상 위험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족저면에 촉각 자극을 제공하도록 제1자극발생부(521) 또는 제2자극발생부(522)를 제어한다.If the control unit 530 determines that there is a risk of a fall of the user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acceleration of the plantar surfac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to the ground, etc.)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510, the user’s plantar surface is The first stimulation generating unit 521 or the second stimulation generating unit 522 is controlled to provide tactile stimulation.

구체적으로, 컨트롤부(530)는 벨트에 대한 족저면의 적정 각도를 기준으로, 검출센서부(510)에서 센싱한 족저면의 각도가 기설정된 적정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낙상 위험이 크다는 것으로 인지하여, 낙상 위험 신호를 생성한다. 벨트에 대한 족저면의 적정 각도란 사용자가 낙상 위험 없이 안정적으로 보행할 수 있는 각도로서, 사용자의 보행 방향을 기준으로 지면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α,β)(도 11(a)참조)나 사용자의 보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지면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γ)(도 11(b)참조)의 정적값을 의미한다.Specifically, when th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510 exceeds a predetermined appropriate angle based on the appropriat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belt, the control unit 530 indicates that the risk of a fall of the user is high. Is perceived as, and generates a fall risk signal. The proper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to the belt is the angle at which the user can walk stably without risk of falling, and th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to the ground based on the user's walking direction (α, β) (see Fig. 11(a)) B means a static value of the angle (γ) of the planta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see Fig. 11(b)) based 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ser's walking direction.

족저면의 적정 각도는 사용자마다 달리 설정될 수도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appropriat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user,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means (not shown) for storing it may be included.

또한, 검출센서부(510)는 사용자의 보행 방향을 기준으로 지면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를 검출(도 11(a)참조)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보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지면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도 11(b)참조)를 검출한다.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unit 510 detects th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based on the user's walking direction (see Fig. 11(a)) and at the same time, the plantar with respect to the ground based 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ser’s walking direction. The angle of the plane (see Fig. 11(b)) is detected.

따라서, 검출센서부(510)에서 센싱된 족저면의 각도는 보행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측정된 족저면의 각도(도 11(a)참조)일 수도 있고, 보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측정된 족저면의 각도(도 11(b)참조)일 수도 있다. 보행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측정된 족저면의 각도는 사용자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넘어질 위험에 있음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고, 보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측정된 족저면의 각도는 사용자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넘어질 위험에 있음을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510 may be th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measured based o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alking direction (see FIG. 11(a)), or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lking direction. It may be th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measured as a reference (see Fig. 11(b)). Th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measured based o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walking direction i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at the user is in danger of falling forward or backward, and th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measured based o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lking direction is It can b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at the user is in danger of falling to the left or right.

도 9의 표시와 같이, 전족부 및 후족부 영역에 배치된 제1 및 제2 자극발생부(521,522)에 더해 우측족부 및 좌측족부 영역에 배치된 제3 및 제4 자극발생부(523,524)를 더 포함하며, 컨트롤부(530)는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각도가 감지된 영역에 배치된 자극발생부를 제어하여 촉각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낙상될 위험이 있는지를 인식시킨다.As shown in FIG. 9, in addition to the first and second stimulation generating units 521 and 522 disposed in the forefoot and rear foot regions, third and fourth stimulation generating units 523 and 524 disposed in the right and left foot regions are further added. The control unit 530 provides a tactile stimulus by controlling a stimulus generating unit disposed in an area in which an angle exceeding a preset range is sensed, so that the user recognizes in which direction there is a risk of falling.

예컨대, 지면에 대한 뒤꿈치의 각도(α)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후족부에 위치한 영역의 제2자극발생부(522)를 제어하여 진동 자극을 인가하고, 지면에 대한 앞꿈치의 각도(β)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전족부에 위치한 영역의 제1자극발생부(521)를 제어하여 진동 자극을 인가하며, 사용자의 보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지면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γ)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좌측족부에 위치한 제3자극발생부(523)나 우측족부에 위치한 제4자극발생부(524)를 제어하여 진동 자극을 인가함으로써, 낙상의 위험뿐만 아니라 낙상 방향까지 인식시킬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angle α of the heel relative to the ground exceeds a preset range, the second stimulation generating unit 522 in the area located in the rear foot is controlled to apply a vibration stimulus, and the angle β of the forefoot relative to the ground (β ) Exceeds a preset range, a vibration stimulus is applied by controlling the first stimulation generating unit 521 in the area located on the forefoot, and th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to the ground based 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ser's walking direction ( If γ) exceeds the preset range, by controlling the third stimulation generating unit 523 located on the left foot or the fourth stimulation generating unit 524 located on the right foot and applying vibration stimulation, not only the risk of falling but also falls You can even recognize the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302)로 지지되는 하네스(300)를 사용자가 착용하고 트레드밀(100) 위에서 보행할 때, 보행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잘못된 보행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wears the harness 300 supported by the wire 302 and walks on the treadmill 100, the walking information can be checked on the display unit 110 in real time to correct an incorrect pedestrian posture. have.

특히, 하네스(300)를 착용함에 의해 보행이 불편한 뇌병변 장애인 및 노인의 보행훈련을 도와줄 수 있고, 인지재활 소프트웨어를 활용함으로서 보행훈련과 인지 훈련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며, 일반인들도 보행 훈련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by wearing the harness 300, it is possible to help the walking training of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with brain lesions who are inconvenient to walk, and by using cognitive rehabilitation software, gait training and cognitive training can be implemente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The technical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100 - 트레드밀 102 - 벨트
110 - 디스플레이부 200 - 프레임부
300 - 하네스 400 - 제어부
100-treadmill 102-belt
110-Display unit 200-Frame unit
300-Harness 400-Control

Claims (11)

사용자의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 있어서,
전방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일면이 보행면으로 이용되는 회전무한궤도의 벨트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상기 트레드밀에서 보행하는 사용자의 상부로 위치하도록 트레드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어느 일단이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트레드밀에서 보행하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를 지지하는 하네스; 및
상기 하네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트레드밀에서 보행할 때, 보행하는 사용자의 신체 운동을 감지 및 촬영하는 센서부 및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및 카메라부에서 감지 및 촬영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
In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of the user,
A treadmill including a rotating endless orbit belt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and having one surface used as a walking surface;
A frame portion installed on the treadmill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a user walking on the treadmill;
A harness that includes a wire to which one end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and is worn on the body of a user walking in the treadmill to support the user; And
When the user wearing the harness walks on the treadmill, it includes a sensor unit and a camera unit that detects and photographs the body movement of the user who is walking, and analyzes the information detected and photographed by the sensor unit and the camera unit to allow the user to A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comprising a;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in real time on the display unit so as to be recogniz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밀은:
상기 벨트 상에서 보행하는 사용자가 벨트의 후방으로 낙상되지 않도록 상기 벨트의 후방에 인접하여 돌출되도록 형성한 낙상방지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readmill is:
A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all bump portion formed to protrude adjacent to the rear of the belt so that the user walking on the belt does not fall to the rear of the be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는:
상기 와이어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이 구비되며, 사용자의 등부위를 받혀주는 등받이판과, 상기 등받이판으로부터 분리 구성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받혀주는 허리판과, 상기 허리판을 등받이판에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력을 갖는 연결밴드와, 상기 등받이판의 상부 양측에서 상기 허리판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력을 갖는 어깨밴드와, 상기 허리판의 양측으로 허리를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는 탄성력을 갖는 허리밴드로 이루어지는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의 허리판에 고정 설치되며, 자세가 바르지 않으면 이를 착용자가 알 수 있도록 작동하는 진동기와, 상기 진동기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등받이판의 하부로 고정 설치되는 무탄력의 조작끈을 연결 설치하여 자세가 바르지 않으면 진동기를 작동하도록 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진동기가 조작되면, 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무선신호전송기로 이루어지는 자세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arness is: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the wire is provided, a backrest plate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a waist plat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backrest plate to support the user's waist, and the waist plate on the backrest plate. A connection band having elasticity installed to connect, a shoulder band having elasticity install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waist plate from both upper sides of the backrest plate, and a waist having elasticity installed so as to wrap the waist on both sides of the waist plate Wearing part made of a band; And
A vibrator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aist plate of the wearing part and operates so that the wearer can know when the posture is not correct, and a non-elastic operation string that is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vibrator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backrest plate is connected and installed And a posture notification unit comprising a switch for operating the vibrator when the posture is not correct, and a wireless signal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vibrator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vibrator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Gait rehabilitation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트레드밀의 양측에 각각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프레임들;
상기 트레드밀의 양측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트레드밀에서 보행하는 사용자가 양손을 잡을 수 있게 한 수평지지부;
상기 트레드밀의 양측에 각각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들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에 설치되며, 하네스를 지지하는 와이어의 일단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하네스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part: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installed to be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treadmill;
A horizontal support unit connecting vertical frame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readmill so that a user walking in the treadmill can hold both hands;
An upper horizontal frame installed to connect tops of vertical frames installed to be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treadmill to each other; And
And a buffer member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horizontal frame and provides a buffering force to the harness by allowing one end of the wire supporting the harness to be coupl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에는:
상기 트레드밀의 벨트 상에서 보행하는 사용자가 올바른 보행 동작을 통해 발을 위치시켜야 하는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다음에 이동해야 할 보행위치를 표시해주는 광을 조사하여 이미지를 형상화시키는 광조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upper horizontal frame:
A light irradiation unit that forms an image by irradiating light indicating the next gait value to be mov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walking on the belt of the treadmill can guide the user to the position where the foot should be positioned through the correct walking motion.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트레드밀의 전방에서 후방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C"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part: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having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 shape formed to extend from the front to the rear upper part of the treadmi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레드밀의 벨트가 구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벨트의 저면 양측에 다수개 설치되며, 보행 중 사용자의 걸음에 따라 상기 벨트의 좌측과 우측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를 측정하는 하중감지센서들; 및
상기 하중감지센서들에서 측정되어 전송되는 하중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좌측 걸음과 우측 걸음을 구분하고, 각 걸음이 이루어지는 동안 발바닥에서 벨트로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를 토대로 보행 밸런스의 유지여부를 판단하여 보행정보를 생성하는 보행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행정보 생성부는:
보행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부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상기 하중감지센서에서 전송되는 각 하중감지센서의 고유코드와 하중 값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보행정보를 획득하는 보행정보 수신부;
보행정보 수신부에서 획득한 하중감지센서의 고유코드에 의해 좌측 보행과 우측 보행을 구분하고, 각 하중감지센서에서 전송된 하중 값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벨트에 가해진 하중이 균형 잡힌 보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보행 밸런스 판단부; 및
보행 밸런스 판단부에서 균형이 어느 정도 일측으로 치우처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 방향으로 더 가해진 하중만큼 치우쳐진 어느 한 쪽으로 발바닥 모양이 치우치게 표시되도록 그랙픽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함에 의해 자신의 보행 밸런스의 유지여부나 이탈여부를 사용자가 보행중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게 표출시키는 보행 밸런스 표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 plurality of load sensing sensor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elt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lt of the treadmill is driven, and measuring changes in load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elt according to the user's step while walking; And
By continuously receiving the change in the load measured and transmitted by the load detection sensors, it distinguishes the left and right steps,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walking balance is maintained based on the change in the load applied from the sole to the belt during each step. Including; walk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walking information by,
The walk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 walk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unique code and load value of each load sensing sensor transmitted from the load sensing sensor so as to display the walking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in real tim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walking information;
It distinguishes left and right walking by the unique code of the load detection sensor acquired from the walking information receiv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load applied to the belt by the user is balanced walking by the load value transmitted from each load detection sensor. A gait balance determination unit; And
If the gait balanc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balance is skewed to one side to some extent, the shape of the sole of the foot is displayed in a biased manner by the amount of the additional load applied in that direction, and the shape of the sole is graphically processed and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to maintain the walking balance.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having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comprising: a gait balance display unit for expressing whether or not whether or not a user is walking in real time while walk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감지센서는:
사용자의 좌측 보행시 발바닥을 통하여 벨트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를 좌측에서 감지하도록 벨트의 좌측 저부에 설치되는 좌측보행 하중감지센서; 및
사용자의 우측 보행시 발바닥을 통하여 벨트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를 우측에서 감지하도록 벨트의 우측 저부에 설치되는 우측보행 하중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보행 밸런스 판단부는:
좌측과 우측 중 하중 값이 크게 감지되는 쪽을 현재 보행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인식하여 판단 영역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좌측보행 하중감지센서 혹은 우측보행 하중감지센서에서 전송된 하중 값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균형 잡힌 보행 밸런스의 하중 값과 비교하여 균형 잡힌 보행인지, 그렇지 않으면 하중 값이 그보다 크거나 작아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처진 보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load detection sensor is:
A left walking load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the left bottom of the belt to detect a change in the load applied to the belt from the left through the sole of the user's left walking; And
Including; a right walking load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the right bottom of the belt to detect a change in the load applied to the belt from the right through the sole of the user's right side when walking on the right side,
The gait balance determination unit:
Among the left and right, the side where the load value is detected is recognized as the area where the current walking is performed, and the judgment area is specified, and the load value transmitted from the left walking load detection sensor or the right walking load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specified area The 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function is improv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ared with the load value of the preset balanced walking balance to determine whether the walking is balanced or whether the walking is biased to either side because the load value is greater or less than that. Gait rehabilitation equipm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활훈련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등록하여 재활환자가 트레드밀 이용시 수행해야 할 목표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재활 프로그램 등록부;
보행 밸런스 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를 토대로 재활훈련 프로그램의 수행정도를 자동으로 평가하는 훈련성취 평가부; 및
훈련성취 평가부에서 평가된 결과치를 출력할 수 있는 훈련평가 기록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A rehabilitation program registration unit that registers a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in the memory so that a rehabilitation patient can provide a goal to be performed when using the treadmill;
A training achievement evaluation unit that automatically evaluates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gait balance determination unit; And
A training evaluation record output unit capable of outputting a result value evaluated by the training achievement evalu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에는 사용자의 족저면에 구비되는 인솔(inso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솔은:
족저면의 움직임 가속도 및 트레드밀의 레일에 대한 족저면 각도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부;
전족부 및 후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족저면에 촉각 자극을 제공하는 자극발생부; 및
검출센서부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낙상 위험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족저면에 촉각 자극을 제공하도록 자극발생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센서는:
사용자의 보행 방향을 기준으로 레일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를 검출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보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레일에 대한 족저면의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컨트롤부에 의해 족저면의 각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낙상 위험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사용자의 족저면에 촉각을 자극하도록 자극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enhancing function further includes an insole provided on the user's plantar surface,
The insole is:
A detection sensor unit that detects an acceleration of movement of the plantar surface and an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rail of the treadmill;
A stimulation generating unit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forefoot and the rear foot to provide tactile stimulation to the user's plantar surface;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timulation generating unit to provide a tactile stimulation to the user's plantar surfa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a fall of the user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unit,
The detection sensor is:
Th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to the rail is detected based on the user's walking direction, and the angle of the plantar surface to the rail is detected based 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ser's walking direction. A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exceeds a preset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falling, and the stimulation generating unit is controlled to stimulate a tactile sensation on a user's plantar surfa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발생부는:
전족부, 후족부, 우측족부 및 좌측족부 영역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컨트롤부는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각도가 검지된 영역에 배치된 자극발생부를 제어하여 촉각 자극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imulation generating unit:
Enhancement of cognitive ability, characterized by providing tactile stimuli by controlling the stimulus generating unit arranged in the forefoot, hindfoot, right foot, and left foot region,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unit is arranged in an area where an angle exceeding a preset range is detected. Gait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KR1020190133490A 2019-10-25 2019-10-25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KR1022822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490A KR102282205B1 (en) 2019-10-25 2019-10-25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490A KR102282205B1 (en) 2019-10-25 2019-10-25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602A true KR20210050602A (en) 2021-05-10
KR102282205B1 KR102282205B1 (en) 2021-07-29

Family

ID=7591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490A KR102282205B1 (en) 2019-10-25 2019-10-25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2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049A (en) * 2021-11-01 2023-05-09 알바이오텍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of AR footstep guide and thereof system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907A (en) * 2006-05-29 2006-10-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Gait training system using motion analysis
KR100795195B1 (en) * 2006-09-20 2008-01-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A rehabilitation machine
KR20090008969U (en) * 2008-03-03 2009-09-08 이소승 Running Machine
KR101327178B1 (en) 2011-05-20 2013-11-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Two-belt treadmill and walking tran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578200B1 (en) * 2014-03-19 2015-12-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unctional game system for balance training and quantitative evaluation
KR101790048B1 (en) 2017-03-07 2017-10-26 김형식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based on treadmill
KR20180041880A (en) * 2016-10-17 2018-04-2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including virtual reality platform
KR101866217B1 (en) * 2017-07-28 2018-06-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 rail harness rehabilitation system using a smart insole
KR101958908B1 (en) * 2017-07-31 2019-03-1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 dynamic harness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based motion recognition
KR101963869B1 (en) 2018-02-05 2019-07-31 김형식 Upper and lower limbs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KR102014162B1 (en) * 2017-12-29 2019-08-26 (주)동아금속 Monitoring system of walking balance for lower limb rehabilitation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907A (en) * 2006-05-29 2006-10-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Gait training system using motion analysis
KR100795195B1 (en) * 2006-09-20 2008-01-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A rehabilitation machine
KR20090008969U (en) * 2008-03-03 2009-09-08 이소승 Running Machine
KR101327178B1 (en) 2011-05-20 2013-11-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Two-belt treadmill and walking tran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578200B1 (en) * 2014-03-19 2015-12-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unctional game system for balance training and quantitative evaluation
KR20180041880A (en) * 2016-10-17 2018-04-2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including virtual reality platform
KR101790048B1 (en) 2017-03-07 2017-10-26 김형식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based on treadmill
KR101866217B1 (en) * 2017-07-28 2018-06-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 rail harness rehabilitation system using a smart insole
KR101958908B1 (en) * 2017-07-31 2019-03-1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 dynamic harness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based motion recognition
KR102014162B1 (en) * 2017-12-29 2019-08-26 (주)동아금속 Monitoring system of walking balance for lower limb rehabilitation
KR101963869B1 (en) 2018-02-05 2019-07-31 김형식 Upper and lower limbs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049A (en) * 2021-11-01 2023-05-09 알바이오텍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of AR footstep guide and thereof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205B1 (en)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162B1 (en) Monitoring system of walking balance for lower limb rehabilitation
JP6175050B2 (en) Active robotic walking training system and method
JP6692018B2 (en) Walking training system and walking training device
Parvataneni et al. Kinematic, kinetic and metabolic parameters of treadmill versus overground walking in healthy older adults
CN108236560B (en) Electric walking aid for promoting gait movement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US11654035B2 (en) Gait disorder support apparatus and gait disorder support method
CA2525548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cutaneous sense stimulus
KR101064891B1 (en) Gait Training System of Hemiplegic Patients
US201200594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flex-based functional gait training
JP7255392B2 (en)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estimation device, learning device, method, program, and learned model
US20100222180A1 (en) Lower limb function training device
JP7136022B2 (en) Processing system, walking training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882083B1 (en) Gait training system utilizing tva sense
Yang et al.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during robotic-assisted gait in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s
JP7293915B2 (en) Learning device, walking training device, system, method, program, and trained model
JP6858400B2 (en) Walking training device, walking diagnostic device, weight unloading device, and walking diagnostic method
KR102282205B1 (en)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JP7243486B2 (en) Learning device, walking train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JP7200849B2 (en) LEARNING DEVICE, GAIT TRAINING SYSTEM, METHOD, PROGRAM AND LEARNED MODEL
JP7211280B2 (en) LEARNING DEVICE, GAIT TRAINING SYSTEM, METHOD, PROGRAM AND LEARNED MODEL
Kurz et al. Influence of lower body pressure support on the walking patterns of healthy children and adults
JP7326926B2 (en) LEARNING DEVICE,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METHOD, PROGRAM, AND LEARNED MODEL
Yu et al. Effects of tendon vibration during one-legged and two-legged stance in elderly individuals
KR102176050B1 (en) System for gait training
US20240075285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ing flexible circuitry for stimulating a body of a subject to cause a desired mov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