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633A -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633A
KR20210046633A KR1020210051666A KR20210051666A KR20210046633A KR 20210046633 A KR20210046633 A KR 20210046633A KR 1020210051666 A KR1020210051666 A KR 1020210051666A KR 20210051666 A KR20210051666 A KR 20210051666A KR 20210046633 A KR20210046633 A KR 20210046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content
trigger
output
conten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3661B1 (en
Inventor
윤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8566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45042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Priority to KR1020210051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661B1/en
Publication of KR20210046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6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6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apable of setting a trigger area and outputting additional content according to a response of an input touching a set trigger area,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touch screen displaying information and receiving a touch input; and a control unit outputting main content to the touch screen, setting a trigger area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pieces of additional content on the main content, outputting a list of the plurality of pieces of the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when an editing mode in which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is allowed ends and a viewer mode is executed, and controlling first addi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a selected item when any one of the list is selected.

Description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A terminal,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is recorded.

본 발명은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의 응답에 따라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apable of setting a trigger area and outputting additional content according to a response of an input touching the set trigger area,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기술 발전에 의해, PC를 벗어나 다양한 전자기기가 증가하였다. 일 예로, 핸드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을 주 입력원으로 삼는 터치 기반의 PC 도 등장하였다.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various electronic devices have increased beyond the PC. For example, not only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tablet PCs, but also touch-based PCs using touch input as the main input source have appeared.

새롭게 등장한 이들 단말기에서 역시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문서의 열람 및 편집 기능을 지원한다. 다만, 이들 단말기에서는, 기존 PC에서 이용되었던 워드 프로세서를 단순 포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These newly appeared terminals also support document viewing and editing functions for user convenience. However, in these terminals, the word processor used in the existing PC is simply ported and used.

이에, 기존 PC 뿐만 아니라, 새롭게 등장한 단말기에서도 효율적으로 문서의 열람 및 편집이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요구된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user interface capable of efficiently reading and editing documents not only in the existing PC but also in the newly appeared terminal.

본 개시는 주 컨텐트를 터치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outputting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touching the main content.

나아가, 본 개시는 추가 컨텐트를 출력을 트리거할 수 있는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in which a user can freely adjust an area capable of triggering output of additional content or an output area of additional content.

또한, 본 개시는 복수의 트리거 영역 간 우선 순위 또는 복수의 추가 컨텐트 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주 컨텐트에 출력할 컨텐트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adaptively determining a content to be output to a main content based on a priority between a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or a priority between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또한, 본 개시는 추가 컨텐트를 다른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at can use additional content to control the output of other additional content.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는,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주 컨텐트를 출력하고, 상기 주 컨텐트 상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와 연계되는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트리거 영역에 대한 설정이 허용되는 편집 모드가 종료되고 뷰어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의 응답으로, 상기 트리거 영역과 연계된 상기 복수의 추가 컨텐트의 목록을 출력하고, 상기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receiving a touch input, and outputting a main content to the touch screen, and setting a trigger area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on the main content, When the editing mode allowing setting of the trigger area is terminated and the viewer mode is executed,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a list of the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is output, and the When any one of the list is selecte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outpu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주 컨텐트 상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와 연계되는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에 대한 설정이 허용되는 편집 모드가 종료되고 뷰어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의 응답으로, 상기 트리거 영역과 연계된 상기 복수의 추가 컨텐트의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제1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omprises the steps of setting a trigger region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on a main content, and when the editing mode allowing the setting of the trigger region and the additional content is terminated and the viewer mode is executed. ,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outputting a list of the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and when any one of the list is selected, first addi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It may include the step of outputting.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추가 컨텐트 목록 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에 대응하는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n the additional content list is selected whil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being outpu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Can be terminated.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추가 컨텐트 목록 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 상이한 제2 추가 컨텐트에 대응하는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면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시작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n item corresponding to a second additional content different from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n the additional content list is selected whil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being output, the As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terminated, the output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started.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는 상기 편집 모드에서 설정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output through an output area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set in the editing mode.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 드래그 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위치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user input for touching and dragg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received,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or size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changed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Can be.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위치 또는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출력 영역의 위치 또는 크기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I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even if the location or size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changed, the location or size of the output area may not be changed.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추가 컨텐트 각각의 이용 기록을 기록한 로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may generate log data that records the usage recor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용 기록은 추가 컨텐트의 인용 횟수, 추가 컨텐트가 인용된 파일명 또는 추가 컨텐트가 인용된 페이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age recor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imes the additional content is cited, a file name in which the additional content is cited, or a page number in which the additional content is cited.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Features briefly summarized above with respect to the present disclosure are only exemplary aspect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below,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는 주 컨텐트를 터치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outputting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touching the main content.

나아가, 본 개시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트리거할 수 있는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disclosure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in which a user can freely adjust an area capable of triggering output of additional content or an output area of additional content.

또한, 본 개시는 복수의 트리거 영역 간 우선 순위 또는 복수의 추가 컨텐트 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주 컨텐트에 출력할 컨텐트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adaptively determining a content to be output to a main content based on a priority between a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or a priority between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또한, 본 개시는 추가 컨텐트를 다른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at can use additional conten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other additional content.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편집 모드 하에서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기초로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하나의 트리거 영역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서브 메뉴를 이용하여 트리거 오브젝트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하나의 추가 컨텐트에 대해 복수의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복수의 트리거 영역을 중첩하여 배치하였을 경우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주 컨텐트에 기 삽입된 추가 컨텐트를 새로운 추가 컨텐트를 위한 트리거 영역으로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뷰어 모드 하에서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트리거 영역이 시각적으로 식별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의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추가 컨텐트가 회전하여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복수 트리거 영역이 중첩된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 목록이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다른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위치 및 크기가 변경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컨텐트별 사용 내역이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in an edit mode.
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xample of selecting additional cont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trigger area based on a graphic objec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trigger area and an output area of additional cont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trigger area and an output area of additional conten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s are linked to one trigger area.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s are linked to a trigger object using a sub-menu.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for one additional content.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when a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are overlapped and arranged.
11 shows an example in which additional content previously inserted in the main content is set as a trigger area for new additional content.
12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in a viewer mode.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trigger area is visually identified and displayed.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uching a trigger area.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dditional content is rotated and output.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output of additional content is terminated.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when a user input for touching an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trigger areas are overlapped is received.
18 and 19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additional content list is outpu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uching a trigger area.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when a user input for touching a trigger area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is received.
21 shows an example in which other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uching the additional content.
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output position and size of additional content are changed.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utputting usage details for each content.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exemplary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rawings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t i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relationship, but also an indirect connection relationship in which an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It can also include.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ncludes" or "have"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unless otherwise noted. Accordingly,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in one embodiment is a first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It can also be called.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component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re intended to clearly describe each feature, and do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components are separated. That is,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into one hardware or software unit, or one component may be distributed to form a plurality of hardware or software units. Therefore, even if not stated otherwise, such integrated or distributed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components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do not necessarily mean essential components, and some may be optional components. Accordingly, an embodiment comprising a subset of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embodiments including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는 컨텐트 편집 툴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컨텐트 편집 툴은 주 컨텐트 내,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고, 트리거 영역과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주 컨텐트 편집이 완료된 이후 트리거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텐트 편집 툴 및 이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pplication including a content editing tool and a terminal capable of driving the application. The content editing tool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function of setting a trigger region in the main content and linking the trigger region with the additional content. When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trigger region is received after editing of the main content is completed,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trigger region may be output. Hereinafter, a content edit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rminal capable of driving an application support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랩톱(Laptop) 또는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이동형 단말기일 수도 있고, PC(Personal Computer) 또는 스마트 TV 등의 고정형 단말기일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되는 도면 및 실시예들에서는 단말기가 이동형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Personal Computer), a laptop (Laptop), o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or a fixed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or a smart TV. have.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in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부(110), 카메라(120), 마이크(130), 사용자 입력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음향 출력부(160), 메모리(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camera 120, a microphone 130, a user input unit 140, a display unit 150, an audio output unit 160, and a memory 170. And a controller 180.

통신부(110)는 단말기가 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110)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유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LTE, HSDPA 또는 CDMA 등 이동 통신 기지국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무선 인터넷 모듈은 Wireless LAN(Wi-Fi) 등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 방식은, LAN, USB, HDMI, RGB 또는 DVI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enables a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other terminals.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perform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method or a wired method. For example, in order to perform communication in a wireless manner,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less Internet module.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i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uch as LTE, HSDPA, or CDMA,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LAN (Wi-Fi) or the like. The wired method may include LAN, USB, HDMI, RGB or DVI.

카메라(120)는 영산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마이크(130)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The camera 120 receives a Youngsan signal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on the input image signal. The microphone 130 receives an audio signal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on the input audio signal.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단말기의 외부에 드러난 버튼 형태의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0)와 터치 입력부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 이와 같은 구조를 '터치스크린'이라 호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 구조에서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드래그 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터치 입력 수신이 가능하다. The user input unit 140 receives a user input. The user input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put unit in the form of a butt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and a touch input unit capable of receiving a touch input touching the display unit 150. The touch in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touch sensor. In this case, when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touch input unit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such a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such a touch scree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ceive various types of touch inputs such as selecting or dragging an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sing a pointer.

사용자 입력부(140)는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모션 센서는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카메라(1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The user input unit 140 may also include at least one motion sensor for receiving a gesture input. In this case, the motion sensor may include a gyro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analyze a user's movement through an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120 and determine whether a gesture input has been receiv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는 터치스크린을 통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동작하는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 터치 입력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을 단말기 외부에 노출된 버튼을 터치(또는 푸쉬)하는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 등에 의해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In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an example in which a terminal operates based on various user inputs through a touch screen will be described. However, in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implementing a function executed by a touch input by an input of touching (or pushing) a button exposed outside the terminal or a gesture input is also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부(150)는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0)는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기 실행 화면 상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등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display unit 150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0 plays a role of outputting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driven by a terminal, a user interface or a graphic user interface on the execution screen.

음향 출력부(160)는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ound output unit 160 serves to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70.

메모리(17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데이터 및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하드디스크, SSD (Solid State Disk), 플래시 메모리(170)(Flash Memory), 카드 타입의 저장 장치(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170) 등), 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ROM (Read 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를 통해 원격으로 액세스 할 수 있는 웹 스토리지 역시, 메모리(170)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The memory 170 stores data for application execution and data processed by the terminal. The memory 170 includes a hard disk, a solid state disk (SSD), a flash memory 170, a card-type storage device (for example, an SD or XD memory 170), a random access memory (RAM). ) Or ROM (Read Only Memory). Web storage that can be accessed remotel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also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memory 170.

제어부(18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단말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controller 180 may process signals, data, or information input or output through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execute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memory 170.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n operation/control device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 processing unit (GPU), a micro controller unit (MCU), or a micro processing unit (MPU).

단말기가 도 1에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구현 형태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일부가 불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을 기초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inal does not have to include all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nd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may not be include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form.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주 컨텐트는, 텍스트 기반 컨텐트이거나,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트일 수 있다. 일 예로, 주 컨텐트는, 프리젠테이션 문서(예를 들어, ppt(x)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스프레드 시트 문서(예를 들어, xls(x)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워드프로세싱 문서(예를 들어, doc(x), hwp, txt 또는 pdf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웹페이지(예를 들어, html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또는 전자책(예를 들어, epub 등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기반의 텍스트 기반 컨텐트이거나, 이미지(예를 들어, jpg, gif, tif 또는 bmp 등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또는 동영상(예를 들어, mpeg, avi, mp4, wmv 또는 mov 등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기반의 멀티미디어 컨텐드일 수 있다. The main conten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ext-based content or multimedia content such as an image or a video. For example, the main content is a presentation document (e.g., a file with an extension of ppt(x)), a spreadsheet document (e.g., a file with an extension of xls(x)), a word processing document (e.g. For example, a file with an extension of doc(x), hwp, txt or pdf), a web page (e.g., a file with an extension of html), or an e-book (e.g., a file with an extension such as epub) Based on text-based content, or an image (e.g., a file with an extension such as jpg, gif, tif or bmp) or a video (e.g., a file with an extension such as mpeg, avi, mp4, wmv or mov) It may be multimedia content based.

이하, 주 컨텐트에 트리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상태를 편집 모드라 정의하고, 트리거 영역 터치에 대한 응답으로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될 수 있는 상태를 뷰어 모드라 정의하기로 한다. 즉, 편집 모드는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에 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상태를 가리키고, 뷰어 모드는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와 관련한 설정을 변경할 수 없는 상태를 가리킬 수 있다.Hereinafter, a state in which a trigger region can be set in the main content is defined as an edit mode, and a state in which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trigger region is output in response to a trigger region touch is defined as a viewer mode. That is, the edit mode may indicate a state in which settings related to the trigger region and additional content can be changed, and the viewer mode may indicate a state in which settings related to the trigger region and additional content cannot be changed.

도 2는 편집 모드 하에서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in an edit mode.

주 컨텐트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선택된 주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210). 제어부(180)는 주 컨텐트의 종횡비를 유지하면서, 전체 화면으로 주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 컨텐트의 종횡비가 디스플레이부(150)의 종횡비와 상이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50)에는 여백이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기 정의된 단일 색상 또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선택된 색상으로 여백을 채울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주 컨텐트 경계 부분 픽셀의 값을 기초로 여백에 포함되는 픽셀의 픽셀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여백에 포함되는 픽셀의 픽셀값은 해당 픽셀과 동일한 x 좌표 또는 y 좌표를 갖는 주 컨텐트의 경계에 위치한 샘플의 샘플값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When the main content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the selected main content on the display unit 150 (S210).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the main content in full screen while maintaining the aspect ratio of the main content. Accordingly, when the aspect ratio of the main content is different from the aspect ratio of the display unit 150, a blank space may be generated in the display unit 150. The controller 180 may fill the blank space with a single predefined color or a color selected by user selection.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a pixel value of a pixel included in the margin based on a value of a pixel at the boundary of the main content. For example, a pixel value of a pixel included in the margin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a sample value of a sample located at a boundary of the main content having the same x-coordinate or y-coordinate as the corresponding pixel.

주 컨텐트가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main content includes a plurality of pages,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one page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주 컨텐트에 삽입할 추가 컨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S220). 주 컨텐트에 삽입될 수 있는 추가 컨텐트는, 텍스트 기반의 컨텐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음악 등의 컨텐트일 수 있다. 즉,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는 같은 타입일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타입일 수도 있다.Next, the controller 180 may select additional content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based on a user input (S220). Additional content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may be content such as text-based content, images, moving pictures, or music. That is, the main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may have the same type or different types.

도 3은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xample of selecting additional content.

주 컨텐트가 출력되는 동안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31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터치 입력은, 주 컨텐트의 임의 위치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 기 정의된 형태의 터치 입력 또는 컨텐트 선택 기능을 호출하는 메뉴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 등일 수 있다. 기 정의된 형태는 포인터의 개수,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이상인 것일 수 있다. When a predetermined user input is received while the main content is being output,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menu 310 for selecting additional content. Here, the predetermined touch input may be a touch input of touching an arbitrary location of the main content, a touch input of a predefined type, or a touch input of touching a menu calling a content selection function. The predefined form may be that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pointers, touch strength (touch pressure), touch time, and number of touch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일 예로, 주 컨텐트의 임의 위치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 지점에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310)를 출력할 수 있다. 추가 컨텐트의 선택은, i) 컨텐트 타입의 선택, 및 ii) 선택된 타입의 컨텐트 목록 출력 또는 선택된 타입의 컨텐트 생성 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a user input for touching an arbitrary location of the main content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menu 310 for selecting additional content at the user's touch input point,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Can be printed. The selection of additional content may proceed in the following order: i) selection of a content type, and ii) output of a list of content of a selected type or generation of a selected type of content.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메뉴(310)에 포함된 각 항목들은 컨텐트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메뉴(310)의 각 항목들은 순차적으로 이미지(311), 동영상(312), 웹(313), 마크(314), 음악(315), 텍스트(316) 및 슬라이드 파일 내 특정 페이지(317)를 선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each item included in the menu 310 shown in FIG. 3 may be for selecting a content type. Specifically, each item of the menu 310 illustrated in FIG. 3 is sequentially an image 311, a video 312, a web 313, a mark 314, music 315, text 316, and a slide file. It may be for selecting my specific page 317.

컨텐트 타입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타입에 대응하는 컨텐트들의 목록을 출력하거나, 선택된 타입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입력 창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컨텐트 목록을 출력할 것인지 또는 컨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인지 여부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를 디폴트로 실행할 수도 있다. When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content type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list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ype or execute an application/input window for generat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ype. In this case, whether to output a content list or to execute an application for generating content may be determined by a user input. Or you can run either of these by default.

일 예로, 상기 메뉴(310)의 통해 이미지 항목(311) 또는 동영상 항목(312)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70) 또는 클라우드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파일 목록을 출력하거나, 이미지 또는 동영상 파일 생성을 위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파일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거나, 카메라(120)를 통해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이 완료되면, 선택/생성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주 컨텐트에 삽입할 추가 컨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mage item 311 or the video item 312 is selected through the menu 310, the controller 180 outputs a list of image or video files stored in the memory 170 or the cloud, or You can run a camera application to create a file. When any one of the file list is selected or the image or video recording is completed through the camera 120, the selected/generated image or video may be determined as additional content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또는, 상기 메뉴(310)를 통해 웹 항목(313)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70) 또는 클라우드에 저장된 웹 페이지 목록, 즐겨찾기 목록 또는 자주가는 웹 페이지 목록을 출력하거나, 웹 페이지를 선택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웹 페이지의 IP 주소 또는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이 출력될 수 있다. 입력창을 통해서는 웹 페이지의 IP 주소 또는 URL 주소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따라, 웹 사이트 문서 또는, 웹 사이트의 IP(Internet Protocal) 주소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가 결정되면, 해당 웹 사이트를 주 컨텐트에 삽입할 추가 컨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web item 313 is selected through the menu 310, the controller 180 outputs a list of web pages, a list of favorites, or a list of web pages stored in the memory 170 or in the cloud, or a web page You can run a web browser application to select. Alternatively,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an IP address or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address of a web page may be displayed. The IP address or URL address of the web page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when a web site document or an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or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address of the web site is determined, the web site may be determined as additional content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또는, 상기 메뉴(310)를 통해 마크 항목(314)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주 컨텐트에 삽입할 수 있는 기 저장된 이미지 목록을 출력할 수 있다. 기 저장된 이미지는 아이콘, 이모지 또는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mark item 314 is selected through the menu 310,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list of pre-stored image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The pre-stored im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con, an emoji, or a figure.

또는, 상기 메뉴(310)를 통해 오디오 항목(315)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70) 또는 클라우드에 저장된 음악 파일 목록을 출력하거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파일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거나, 마이크(130)를 통해 녹음이 완료되면, 선택/생성된 데이터를 주 컨텐트에 삽입할 추가 컨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audio item 315 is selected through the menu 310,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list of music files stored in the memory 170 or the cloud, or execute a recording application to generate an audio file. . When any one of the file list is selected or recording is completed through the microphone 130, the selected/generated data may be determined as additional content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또는, 상기 메뉴(310)를 통해 텍스트 항목(316)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텍스트를 주 컨텐트에 삽입할 추가 컨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text item 316 is selected through the menu 310,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text.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text input through the input window as additional content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또는, 상기 메뉴(310)를 통해 슬라이드 항목(317)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슬라이드 파일 내 페이지 목록 또는 페이지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출력할 수 있다. 페이지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거나, 상기 입력창을 통해 페이지 번호가 입력되면, 해당 페이지가 추가 컨텐트로 결정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slide item 317 is selected through the menu 310,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page list or page number in the slide file. When any one of the page list is selected or a page number is input through the input window, the corresponding page may be determined as additional content.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편집 중인 문서와 상이한 문서를 추가 컨텐트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문서 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70) 또는 클라우드에 저장된 문서 파일 목록을 출력하거나, 문서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문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파일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거나, 문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문서가 생성되면, 선택/생성된 문서를 주 컨텐트에 삽입할 추가 컨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 document different from the document being edited may be set as the additional content. For example, when a document item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list of document files stored in the memory 170 or a cloud, or may execute a document creation application to generate a document file. When any one of the file list is selected or a document is generated through a document creation application, the selected/generated document may be determined as additional content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상술한 예에서는 컨텐트 타입을 선택한 이후, 선택된 타입의 컨텐트 목록 또는 선택된 타입의 컨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컨텐트 타입의 선택 과정 없이, 컨텐트 목록을 출력하거나, 컨텐트 생성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고, 또는 컨텐트 타입이 선택되면, 기 정의된 조건에 해당하는 컨텐트를 추가 컨텐트로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 정의된 조건에 해당하는 컨텐트는, 가장 최근 열람한 컨텐트, 가장 최근 수정한 컨텐트, 가장 최근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트, 소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열람 횟수가 가장 높은 컨텐트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지정된 컨텐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after selecting a content type, it is shown that an application for generating a content list of the selected type or a content of the selected type is executed, but this is only an embodiment for selecting additional cont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It is not. For example, without selecting a content type, a content list may be output, an application for content generation may be executed, or when a content type is selected,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edefined condition may be determined as additional content. Her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defined condition is the most recently viewed content, the most recently modified content, the most recently stored content in the terminal, the content with the highest number of views by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the content previously specified by the user. And the like.

또한, 도 3에서는 메뉴(310)에 포함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컨텐트 타입이 결정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도시된 것과 다른 방법으로 컨텐트 타입을 선택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일 예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형태에 따라, 컨텐트 타입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1 타입의 컨텐트가 선택된 것으로 결정하는 반면,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2 타입의 컨텐트가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형태 및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은, 포인터의 개수,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FIG. 3 illustrates that the content type is determined based on a user input touching any one of the items included in the menu 310,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the content type in a method different from that shown. will be. For example, the content typ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type. For example, when a first type of touch input is received,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ype of content is selected, whereas when a second type of touch input is receiv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econd type of content is selected. Here, the first type and the second type of touch input may be different i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pointers, touch strength (touch pressure), touch time, and number of touches.

추가 컨텐트가 선택되면, 주 컨텐트 내 추가 컨텐트와 연계되는 트리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S230). 구체적으로, 추가 컨텐트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주 컨텐트 내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하고,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트리거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트리거 오브젝트라 정의하기로 한다.When the additional content is selected, a trigger area associated with the additional content in the main content may be set (S230). Specifically, when additional content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graphic object for setting a trigger area in the main content, and adjust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trigger area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graphic objec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graphic object for setting a trigger area will be defined as a trigger object.

도 4는 트리거 오브젝트를 기초로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a trigger area based on a trigger object.

도 4의 왼쪽 도면은 편집 모드 하에서 주 컨텐트에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오른쪽 도면은 뷰어 모드에서 트리거 영역을 식별 표시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아울러, 도 4의 왼쪽 도면에서의 점선의 윤곽선은 이전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 크기를 나타내고, 도 4의 오른쪽 도면에서의 점선의 윤곽선은 트리거 영역을 나타낸다.The left drawing of FIG. 4 shows an example of setting a trigger area in the main content under the edit mode, and the right drawing of FIG. 4 shows an example of identifying and displaying the trigger area in the viewer mode. In addition, the outline of the dotted line in the left drawing of FIG. 4 indicates the location or size of the previous graphic object, and the outline of the dotted line in the right drawing of FIG. 4 indicates the trigger area.

추가 컨텐트가 결정되면, 제어부(180)는 도 4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420)을 설정하기 위한 트리거 오브젝트(41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트리거 오브젝트(410)는 추가 컨텐트를 대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컨텐트를 대표하는 이미지는 썸네일 또는 미리보기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로 이미지가 선택되었다면, 트리거 영역 설정을 위해 선택된 이미지의 썸네일이 트리거 오브젝트(410)로서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additional content is determined,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trigger object 410 for setting the trigger area 420 to be output,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A. The trigger object 410 may be an image representing additional content. Here, the image representing the additional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humbnail or a preview image. For example, if an image is selected as the additional content, a thumbnail of the image selected for setting a trigger area may be output as the trigger object 410.

설명한 예 이외에도, 트리거 오브젝트(410)는 추가 컨텐트의 타입에 대응하는 이미지일 수도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가 결정되면, 결정된 추가 컨텐트의 타입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트리거 오브젝트(410)로서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example described above, the trigger object 410 may b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additional content. For example, when additional content is determined,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additional content may be output as a trigger object 410.

또는, 기 정의/기 저장된 이미지 또는 다각형 이미지가 트리거 오브젝트(410)로서 출력될 수 있다.Alternatively, a predefined/pre-stored image or polygonal image may be output as the trigger object 410.

제어부(180)는 트리거 오브젝트(410)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따라 트리거 영역(420)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트리거 오브젝트(410)의 위치 및 크기는 트리거 영역(420)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set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trigger area 420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trigger object 410. That is,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trigger object 410 may correspond to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trigger area 420.

일 예로, 도 4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오브젝트(41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트리거 오브젝트(410)의 변경된 위치를 따라 트리거 영역(420)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의 (b)에서, 트리거 오브젝트(410)의 좌측 상단 좌표가 (x1, y1) 으로부터 (x2, y2) 로 변경되었다면, 트리거 영역(420)의 좌표도 (x1, y1) 으로부터 (x2, y2) 으로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example shown in (b) of FIG. 4, when the location of the trigger object 410 is changed, the location of the trigger area 420 may als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d location of the trigger object 410. have. For example, in (b) of FIG. 4, if the upper left coordinate of the trigger object 410 is changed from (x1, y1) to (x2, y2), the coordinate of the trigger area 420 is also from (x1, y1). It can be changed to (x2, y2).

또한, 도 4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오브젝트(410)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트리거 오브젝트(410)의 변경된 크기에 맞춰 트리거 영역(420)의 크기도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의 (c)에서, 트리거 오브젝트(410)의 너비 및 높이가 각각 △w, △h 만큼 증가하였다면, 트리거 영역(420)의 크기도 △w, △h 만큼 증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C, when the size of the trigger object 410 is changed, the size of the trigger area 420 may als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d size of the trigger object 410. . For example, in FIG. 4C, if the width and height of the trigger object 410 are increased by Δw and Δh, respectively, the size of the trigger area 420 may also increase by Δw and Δh.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에 따라,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S240, S250). 여기서, 출력 모드는, 뷰어 모드 하에서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을 때, 추가 컨텐트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할 것인지 또는 추가 컨텐트를 부분 화면으로 출력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the step of setting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S240, S250). Here, the output mode may indicate whether to output the additional content as a full screen or to output the additional content as a partial screen when a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is received under the viewer mode.

추가 컨텐트가 부분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설정된 경우,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트리거 오브젝트와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컨텐트 오브젝트라 정의하기로 한다.When the additional content is set to be output as a partial screen, a trigger object for setting a trigger area and a graphic object for setting an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simultaneously outp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graphic object for setting an output area of additional content will be defined as a content object.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또는 전체 화면 또는 부분 화면 중 어느 하나를 디폴트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메뉴를 출력하고,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determined by a user input, or either the full screen or the partial screen may be applied as a default. For example, when additional content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menu for determining an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and may select an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menu.

또는, 추가 컨텐트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 또는 부분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이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Alternatively, outputting the additional content in full screen or partial screen may be set as a default.

또는, 제어부(180)는 이전 추가 컨텐트가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되었는지 혹은 부분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된 추가 컨텐트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설정할 것인지 혹은 부분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o set to output the selected additional content in full screen or to output in a partial screen, depending on whether the previous additional content is set to be output in full screen or partial screen. Can be determined.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컨텐트가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가 부분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트리거 오브젝트에 대해 소정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전체 화면에서 부분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형태의 터치 입력은 그래픽 오브젝트를 단순 터치하는 것이거나,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횟수, 터치 강도(터치 압력) 또는 터치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전체 화면에서 부분 화면으로 변경하는 메뉴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기초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change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based on a user input. Specifically, when a predetermined user input is received while the additional content is set to be output on the full screen, the controller 180 may change the additional content to be output on the partial screen. 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type of touch input is received for the trigger object, the controller 180 may change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from the full screen to the partial screen. Here, the predetermined type of touch input may be a simple touch of a graphic object, or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ouches, a touch intensity (touch pressure), and a touch time for the graphic object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lternatively,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changed based on a touch input of touching a menu for changing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from the full screen to the partial screen.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으로 설정된 경우,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트리거 오브젝트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컨텐트 오브젝트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set to a partial screen, a trigger object for setting the trigger area and a content object for setting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simultaneously output.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전체 화면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트리거 오브젝트 또는 컨텐트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삭제하기 위한 소정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거나, 트리거 오브젝트와 컨텐트 오브젝트를 병합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부분 화면에서 전체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트리거 오브젝트 또는 컨텐트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삭제하기 위한 소정 형태의 터치 입력은 트리거 오브젝트 또는 컨텐트 오브젝트를 삭제하기 위한 버튼을 터치하는 것이거나, 트리거 오브젝트 또는 컨텐트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횟수, 터치 강도(터치 압력) 또는 터치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이상인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부분 화면에서 전체 화면으로 변경하는 메뉴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기초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whose output mode is a partial screen to full screen. 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type of touch input for deleting either a trigger object or a content object is received, or a user input for merging the trigger object and the content object is received,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changed from partial screen to full screen. You can change it. Here, the predetermined type of touch input for deleting either the trigger object or the content object is to touch a button for deleting the trigger object or the content object, or the number of touches to the trigger object or the content object, and the touch intensity (touch Pressure) or at least one of the touch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the like. Alternatively,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changed based on a touch input of touching a menu for changing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from a partial screen to a full screen.

또는, 컨텐트 오브젝트의 크기를 기초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컨텐트 오브젝트의 크기가 기 정의된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에서 전체 화면으로 변경될 수 있다. 반대로, 컨텐트 오브젝트의 크기가 기 정의된 문턱값 이하로 변경된 경우,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에서 부분 화면으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트 오브젝트의 크기는, 컨텐트 오브젝트의 너비 또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Alternatively,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of the content object.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content object exceeds a predefined threshold,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changed from a partial screen to a full screen. Conversely, when the size of the content object is changed to less than a predefined threshold,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changed from the full screen to the partial screen. Here, the size of the content object represents at least one of the width or height of the content object.

도 5는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trigger area and an output area of additional content.

도 5의 왼쪽 도면은 편집 모드 하에서 문서에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오른쪽 도면은 뷰어 모드에서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식별 표시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The left drawing of FIG. 5 shows an example of setting a trigger area and an output area of additional content in a document in the edit mode, and the right drawing of FIG. 5 shows an example of identifying and displaying the trigger area and the output area of additional content in the viewer mode. Is shown.

설명의 편의를 위해 최초 추가 컨텐트는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initial additional content is set to be displayed in full screen.

추가 컨텐트가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5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530)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510)를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additional content is set to be output on the full screen,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graphic object 510 for setting the trigger area 53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A. .

이후,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에서 부분 화면으로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그래픽 오브젝트(510)의 출력은 유지하면서, 새로운 그래픽 오브젝트(52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존 그래픽 오브젝트(510)는 트리거 영역(530)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540)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데 이용되고, 새로운 그래픽 오브젝트(520)는 다른 하나를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changed from the full screen to the partial scree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new graphic object 520 while maintaining the output of the graphic object 510. The existing graphic object 510 may be used to set either the trigger area 530 or the output area 540 of the additional content, and the new graphic object 520 may be used to set the other.

일 예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인 경우, 그래픽 오브젝트(510)는 트리거 영역(530)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반면,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으로 변경된 경우, 그래픽 오브젝트(510)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540)을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으로 변경됨에 따라 새롭게 출력되는 그래픽 오브젝트(520)는 트리거 영역(530)을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a full screen, the graphic object 510 is used to set the trigger area 530, whereas when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changed to a partial screen, the graphic object 510 is It may be used to set the output area 540 of the additional content. As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changed to a partial screen, the graphic object 520 that is newly output may be used to set the trigger area 530.

또는, 이와 반대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으로 변경된 이후에도 기존 그래픽 오브젝트(510)를 트리거 영역(530)을 설정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새롭게 출력되는 그래픽 오브젝트(520)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540)을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Alternatively, on the contrary, even after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changed to a partial screen, the existing graphic object 510 may be used to set the trigger area 530. In this case, the newly output graphic object 520 may be used to set the output area 540 of the additional content.

본 실시예에서는 기존 그래픽 오브젝트(510)가 컨텐트 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되고, 새롭게 출력되는 그래픽 오브젝트(520)가 트리거 영역(530)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아울러, 트리거 영역(530)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그래픽 오브젝트(520)를 트리거 오브젝트라 호칭하고, 컨텐트 출력 영역(540)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그래픽 오브젝트(510)를 컨텐트 오브젝트라 호칭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existing graphic object 510 is used to set the content area, and the newly output graphic object 520 is used to set the trigger area 530. In addition, the graphic object 520 used to set the trigger area 530 will be referred to as a trigger object, and the graphic object 510 used to set the content output area 540 will be referred to as a content object.

트리거 오브젝트(520) 및 컨텐트 오브젝트(510)는 추가 컨텐트를 대표하는 이미지, 추가 컨텐트의 타입에 대응하는 이미지 또는 다각형 이미지 등일 수 있다. 이때, 제1 그래픽 오브젝트(520)와 제2 그래픽 오브젝트(510)는 상이한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rigger object 520 and the content object 510 may be an image representing additional content, an image corresponding to a type of additional content, or a polygonal imag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graphic object 520 and the second graphic object 510 are different images.

제어부(180)는 트리거 오브젝트(520)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기초로 트리거 영역(530)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설정하고, 컨텐트 오브젝트(510)의 위치 및 크기를 기초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540)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트리거 오브젝트(520)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됨에 따라, 트리거 영역(530)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될 수 있고, 컨텐트 오브젝트(510)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됨에 따라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540)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도 5의 (b) 및 (c)에 도시된 예에서도 트리거 오브젝트(520)의 위치 및 크기에 맞춰 트리거 영역(530)의 위치 및 크기가 결정되고, 컨텐트 오브젝트(510)의 위치 및 크기에 맞춰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540)이 위치 및 크기가 결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The controller 180 sets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trigger area 530 based on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trigger object 520, and outputs additional content based on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content object 510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region 540 may be set. For example, as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trigger object 520 is changed,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trigger area 530 may be changed, and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content object 510 is changed. Accordingly,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output area 540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changed. In the examples shown in (b) and (c) of FIG. 5,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trigger area 53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trigger object 520, and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content object 510 are determined. It is shown that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utput area 540 of the additional content are determined.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종횡비에 맞춰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종횡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에 맞춰 추가 컨텐트가 출력됨에 따라 발생하는 왜곡을 억제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종횡비가 추가 컨텐트의 종횡비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트 오브젝트의 너비가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종횡비에 따라 컨텐트 오브젝트의 높이도 함께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컨텐트 오브젝트의 높이가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종횡비에 따라 컨텐트 오브젝트의 너비도 함께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텐트 오브젝트의 너비 및 높이를 동시에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종횡비에 맞춰 컨텐트 오브젝트의 너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에 의해 획득되는 너비 변경값 또는 높이 변경값 중 디폴트로 설정된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컨텐트 오브젝트의 너비 및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고, 너비 변경값 및 높이 변경값 중 변화폭이 큰 것일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aspect ratio of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according to the aspect ratio of the additional content. That is, in order to suppress distortion that occurs when the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aspect ratio of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to be maintained equal to the aspect ratio of the additional content. Accordingly, when the width of the content object is changed,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height of the content object to be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aspect ratio of the additional content. Likewise, when the height of the content object is changed,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width of the content object to be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aspect ratio of the additional content. When a user input for simultaneously adjusting the width and height of the content object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may adjust the width and height of the content object according to the aspect ratio of the additional content. In this case, the width and height of the content object may be adjusted based on any one of a width change value or a height change value obtained by a user input as a default value, or a change width of the width change value and height change value may be large.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종횡비를 추가 컨텐트와 동일하게 설정할 것인지 여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다.Whether or not to set the aspect ratio of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equal to that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트리거 영역의 크기가 작다면, 뷰어 모드에서 사용자가 트리거 영역의 찾기 어려워지고,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크기가 작다면, 추가 컨텐트의 내용을 정확히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 및/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크기가 기 정의된 크기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트리거 오브젝트의 크기를 기 정의된 크기보다 작게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더라도, 제어부(180)는 트리거 오브젝트의 크기가 기 정의된 크기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컨텐트 오브젝트의 크기를 기 정의된 크기보다 작게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더라도, 제어부(180)는 컨텐트 오브젝트의 크기가 기 정의된 크기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the size of the trigger area is small,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user to find the trigger area in the viewer mode, and if the size of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small, it may be difficult to accurately check the content of the additional content. Accordingly, the controller 180 may prevent the size of the trigger area and/or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from becoming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fined size. As an example, even if a user input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trigger object for setting the trigger area to be smaller than the predefined size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size of the trigger object not to be smaller than the predefined size. Likewise, even if a user input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content object for setting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to be smaller than the predefined size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can control the size of the content object not to be smaller than the predefined size. have.

트리거 영역의 설정과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 설정은 상호 독립적일 수 있다. 즉,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트리거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것은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컨텐트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것과 독립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리거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변경하더라도, 컨텐트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and the setting of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mutually independent. That is, changing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trigger object used to set the trigger area may be independent from changing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content object used to set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Accordingly, even if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trigger object is changed,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content object may not be changed.

다른 예로, 트리거 영역의 설정과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 설정을 상호 종속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는 트리거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 변화에 종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고, 트리거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는 컨텐트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 변화에 종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트리거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경우,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컨텐트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도 변경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and the setting of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interdependently set. That is,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determined dependently on the location and/or size change of the trigger area, and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trigger area is dependent on the location and/or size change of the content area. Can be determined. Accordingly, when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trigger object used to set the trigger area is changed,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content object used to set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also be changed.

도 6은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trigger area and an output area of additional content.

도 6에서, 도면 부호 620의 그래픽 오브젝트는 트리거 오브젝트로서 기능하고, 도면 부호 610의 그래픽 오브젝트는 컨텐트 오브젝트로서 기능하는 것을 가정한다. In FIG. 6, it is assumed that the graphic object 620 functions as a trigger object, and the graphic object 610 functions as a content object.

컨텐트 출력 영역 및 트리거 영역이 상호 종속적으로 설정된 경우, 트리거 오브젝트 또는 컨텐트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것은 다른 하나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When the content output area and the trigger area are mutually dependently set, changing the position and/or size of either the trigger object or the content object may affect the other.

일 예로,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오브젝트(620)의 위치가 (△x, △y) 만큼 변경되는 경우, 컨텐트 오브젝트(610)의 위치도 (△x, △y) 만큼 변경될 수 있다. 트리거 오브젝트(620)의 위치가 (△x, △y) 만큼 변경됨에 따라 트리거 영역(630)의 위치도 (△x, △y)만큼 변경되고, 컨텐트 오브젝트(610)의 위치가 (△x, △y) 만큼 변경됨에 따라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640)의 위치도 (△x, △y)만큼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6A and 6B, when the location of the trigger object 620 is changed by (Δx, Δy), the location of the content object 610 is also ( It can be changed as much as △x, △y). As the position of the trigger object 620 is changed by (Δx, Δy), the position of the trigger area 630 is also changed by (Δx, Δy), and the position of the content object 610 is changed by (Δx, Δy). As it is changed by Δy), the position of the output area 640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also be changed by (Δx, Δy).

일 예로, 도 6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오브젝트(620)의 크기가 (△w, △h) 만큼 변경될 경우, 컨텐트 오브젝트(610)의 크기도 (△w, △h) 만큼 변경될 수 있다. 트리거 오브젝트(620)의 크기가 (△w, △h) 만큼 변경됨에 따라 트리거 영역(630)의 크기도 (△w, △h) 만큼 변경되고, 컨텐트 오브젝트(610)의 크기가 (△w, △h) 만큼 변경됨에 따라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640)의 크기도 (△w, △h)만큼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example shown in (c) of FIG. 6, when the size of the trigger object 620 is changed by (△w, △h), the size of the content object 610 is also (△w, △ h) can be changed. As the size of the trigger object 620 is changed by (△w, △h), the size of the trigger area 630 is also changed by (△w, △h), and the size of the content object 610 is changed by (△w, △h). As it is changed by Δh), the size of the output area 640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also be changed by (Δw, Δh).

트리거 영역(또는, 트리거 오브젝트)과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또는, 컨텐트 오브젝트)의 크기비를 고려하여, 트리거 영역(또는, 트리거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 변경에 의해 야기되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또는, 컨텐트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 변화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트리거 영역과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 사이의 크기비가 1:N인 경우, 트리거 영역의 크기가 (△w, △h)만큼 변경되는 것에 대응하여,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크기는 (N△w, N△h)만큼 변경될 수 있다.Output of additional content caused by changing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trigger area (or trigger object)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ratio of the trigger area (or trigger object) and the output area (or content object) of the additional conten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region (or content object). For example, when the size ratio between the trigger area and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1:N, in response to the size of the trigger area being changed by (△w, △h), the size of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N It can be changed by Δw, NΔh).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 출력 영역을 상호 독립적으로 설정할 것인지 또는 종속적으로 설정할 것인지 여부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 출력 영역이 상호 독립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동안에는, 트리거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컨텐트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는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 출력 영역이 상호 종속적이 되도록 설정을 변경한 경우에는, 트리거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 변화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트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Whether to set the trigger area and the additional content output area independently or dependently from each other may be determined by user setting. For example, while the trigger area and the additional content output area are se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even if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trigger object is changed,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content object may not be chang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tting is changed so that the trigger area and the additional content output area are mutually dependent,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content object may be changed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trigger object.

하나의 트리거 영역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를 연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를 선택한 뒤, 선택된 추가 컨텐트를 위한 트리거 영역을 설정할 때, 이미 타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트리거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하나의 트리거 영역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may be linked to one trigger area. For example, when setting a trigger region for the selected additional content after selecting the additional content, when a trigger region already associated with another additional content is selected,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may be associated with one trigger region.

도 7은 하나의 트리거 영역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s are linked to one trigger area.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주 컨텐트에는 이미 제1 추가 컨텐트(715) 및 제1 추가 컨텐트(715)와 연계된 제1 트리거 오브젝트(710)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A, the primary content already includes a first additional content 715 and a first trigger object 710 linked to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715 It is assumed to exist.

주 컨텐트에 삽입하고자 하는 제2 추가 컨텐트(725)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7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2 추가 컨텐트(725)와 연계할 제2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오브젝트(72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7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트리거 오브젝트(710)의 내측으로 제2 트리거 오브젝트(720)의 위치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7의 (d)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2 추가 컨텐트(725)를 위한 제2 트리거 영역을 제1 트리거 영역과 병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메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725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is selected,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b), the controller 180 is a second trigger area to be linked with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725 A second trigger object 720 for setting may be output. In this case, as in the example shown in (c) of FIG. 7, when a user input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trigger object 720 inside the first trigger object 710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As in the example shown in (d) of FIG. 7, a menu for determining whether to merge the second trigger region for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725 with the first trigger region may be output.

제2 트리거 영역을 제1 트리거 영역과 병합할 것으로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7의 (e)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2 트리거 오브젝트(720)의 출력을 멈추고, 제1 트리거 영역에 제2 추가 컨텐트(725)를 추가로 연계할 수 있다. 즉, 제1 트리거 영역과 제2 트리거 영역을 병합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2 추가 컨텐트를 위해 제2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종료할 수 있다. 제1 추가 컨텐트 및 제2 추가 컨텐트는 제1 트리거 오브젝트(710)에 의해 설정되는 제1 트리거 영역과 연계될 수 있다.When a user input for determining to merge the second trigger area with the first trigger area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outputs the second trigger object 72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e). After stopping,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725 may be additionally linked to the first trigger region. That is, when it is set to merge the first trigger region and the second trigger region, setting of the second trigger region for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terminated.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associated with a first trigger area set by the first trigger object 710.

반면, 제2 트리거 영역을 제1 트리거 영역과 병합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2 트리거 오브젝트(720)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기초로 제2 추가 컨텐트를 위한 제2 트리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user input for determining not to merge the second trigger region with the first trigger region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based on the position and/or size of the second trigger object 720. A second trigger area for can be set.

도 7에서는 제1 트리거 오브젝트의 내측으로 그래픽 오브젝트를 드래그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을 병합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가 출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주 컨텐트에 제2 추가 컨텐트를 삽입하기로 결정한 경우, 제2 트리거 오브젝트를 출력하기에 앞서, 제1 트리거 영역과 제2 트리거 영역을 병합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In FIG. 7, when a user input for dragging a graphic object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trigger object is received, a menu for selecting whether to merge the first trigger area and the second trigger area is output.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o insert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nto the main content, before outputting the second trigger object, a menu for selecting whether to merge the first trigger region and the second trigger region may be output. have.

또는,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와 제2 추가 컨텐트가 동종의 타입인지 여부에 따라, 제1 트리거 영역과 제2 트리거 영역의 병합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와 제2 추가 컨텐트가 동종의 타입인 경우에 한하여,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이 병합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반면, 제1 추가 컨텐트와 제2 추가 컨텐트가 이종 타입인 경우에는 제1 트리거 오브젝트 위로 제2 트리거 오브젝트를 드래그 이동하더라도,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이 병합되지 않을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trigger region and the second trigger region can be merged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are of the same type. For example, only whe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are of the same type, the first trigger region and the second trigger region may be set to be mergeab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are of different types, even if the second trigger object is dragged over the first trigger object, the first trigger area and the second trigger area may not be merged.

또는,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의 크기, 및/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트리거 영역과 제2 트리거 영역의 병합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트리거 영역과 제2 트리거 영역 사이의 크기차 또는 크기비가 기 정의된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트리거 영역 위로 제2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오브젝트를 드래그 이동하더라도,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이 병합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제1 추가 컨텐트 및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상이한 경우(예컨대, 제1 컨텐트의 출력 모드는 부분 화면이고,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는 전체 화면인 경우), 제1 트리거 오브젝트 위로 제2 트리거 오브젝트를 드래그 이동하더라도,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이 병합되지 않을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trigger region and the second trigger region can be merged based on the size of the trigger region and/or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or the size of the output region of the additional content. For example, if the size difference or the size ratio between the first trigger area and the second trigger area exceeds a predefined threshold, even if you drag and move the second trigger object for setting the second trigger area over the first trigger area , The first trigger region and the second trigger region may not be merged. Alternatively, when the output modes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are different (eg, when the output mode of the first content is a partial screen and the output mode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s a full screen), above the first trigger object Even if the second trigger object is dragged, the first trigger area and the second trigger area may not be merged.

도 7에 도시된 예에 그치지 않고,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동시에 선택된 경우, 동시 선택된 추가 컨텐트들에 대한 통합된 트리거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주 컨텐트에 복수개의 추가 컨텐트가 동시에 삽입되는 경우, 복수개 추가 컨텐트에 대한 통합된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하나의 트리거 오브젝트를 출력하고, 상기 트리거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기초하여 복수개 추가 컨텐트에 대한 통합된 트리거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example shown in FIG. 7, when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is simultaneously selected, an integrated trigger area for the simultaneously selected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That is, when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s are simultaneously inserted in the main content, one trigger object for setting an integrated trigger area for the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s is output, and a plurality of them are added based on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trigger object. An integrated trigger area for content can be determined.

또는, 기 삽입된 트리거 오브젝트에 소정 형태의 터치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트리거 영역에 추가 연계할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서브 메뉴가 출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 형태의 터치 입력은, 트리거 오브젝트를 터치하는 것이거나, 트리거 오브젝트를 터치하는 포인터의 개수, 터치 강도 또는 터치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이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a predetermined type of touch input is input to the previously inserted trigger object, a submenu for selecting additional content to be additionally linked to a corresponding trigger area may be output. Here, the predetermined type of touch input may mean that a trigger object is touched, or that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pointers touching the trigger object, a touch intensity, or a touch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도 8은 서브 메뉴를 이용하여 트리거 오브젝트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s are linked to a trigger object using a sub-menu.

트리거 오브젝트(810)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8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오브젝트(810)에 관련한 서브 메뉴(82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a touch input touching the trigger object 810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sub-menu 820 related to the trigger object 810 to be output,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A. I can.

도 8의 (a)에 도시된 서브 메뉴(820)에서, 추가 항목(821)은 트리거 오브젝트(810)에 추가 컨텐트를 추가 연계하는 커맨드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삭제 항목(822)은 주 컨텐트 상에서 트리거 오브젝트(810)를 삭제하는 커맨드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sub-menu 820 shown in FIG. 8A, the additional item 821 is for executing a command for additionally linking the additional content to the trigger object 810. The delete item 822 is for executing a command to delete the trigger object 810 on the main content.

추가 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트리거 오브젝트(810)에 추가 연계하고자 하는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출력하거나,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트 목록 또는 추가 컨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입력창을 실행할 수 있다. 추가 컨텐트의 선택은 도 3을 기초로 설명한 실시예를 따를 수 있다. When an additional item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outputs a menu for selecting additional content to be additionally linked to the trigger object 810, or an application/input for generating a content list or additional content for selecting additional content. You can launch windows. The selection of additional content may follow the embodiment described based on FIG. 3.

하나의 트리거 오브젝트(810)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경우, 제어부(180)는 트리거 오브젝트(810) 상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었음을 식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트리거 오브젝트(810) 상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상기 트리거 오브젝트(810)와 연계된 추가 컨텐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815)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의 (b) 참조).When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is associated with one trigger object 810, the controller 180 may identify and display that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is associated with the trigger object 810. As an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is associated with the trigger object 810 or information 815 indicating the number of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object 810. I can. (See Fig. 8(b)).

또한, 트리거 오브젝트 주변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를 식별하기 위한 추가 컨텐트 목록을 출력할 수 있다. 추가 컨텐트 목록은 각 추가 컨텐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개수는 상기 트리거 오브젝트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각 추가 컨텐트를 대표하는 이미지 또는 각 추가 컨텐트의 타입을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Also, an additional content list for identifying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may be output around the trigger object. The additional content list may include an object corresponding to each additional content. Accordingly, the number of objects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trigger object. Here, the object may be an image representing each additional content or an image representing the type of each additional content.

복수 오브젝트들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또는, 복수 오브젝트들이 트리거 영역의 경계 근처에 복수 오브젝트들이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오브젝트는 트리거 영역의 제1 경계에 인접 배치되고, 제2 오브젝트는 트리거 영역의 제2 경계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objects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objects may be distributed and disposed near the boundary of the trigger area of the plurality of objects. For example, the first objec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border of the trigger area, and the second objec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border of the trigger area.

각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The position and/or size of each object may be adjusted by user input.

하나의 트리거 영역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 추가 컨텐트간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우선 순위는 뷰어 모드에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순서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s are linked to one trigger region, the controller 180 may set a priority among the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s. The priority may be used to determine an output order of additional content in the viewer mode.

우선 순위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주 컨텐트에 삽입된 순서, 추가 컨텐트들의 타입, 출력 모드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주 컨텐트에 삽입된 순서대로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먼저 주 컨텐트에 삽입된 추가 컨텐트는 차후에 주 컨텐트에 삽입된 추가 컨텐트에 비해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추가 컨텐트들의 타입을 고려하여, 제1 타입의 추가 컨텐트가 제2 타입의 추가 컨텐트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추가 컨텐트들 중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인 추가 컨텐트가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추가 컨텐트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하거나, 출력 영역의 크기가 큰 추가 컨텐트가 출력 영역의 크기가 작은 추가 컨텐트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복수 추가 컨텐트들이 동순위를 갖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The priority may be determined by user setting, or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an order of insertion into the main content, a type of additional content, an output mode, or a size.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priority of the additional content in the order of insertion into the main content. That is, the additional content first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may have a higher priority than the additional content later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Alternatively, in consideration of the types of additional contents, the first type of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to have a higher priority than the second type of additional content. Alternatively, among the additional contents, the additional content whose output mode is full screen is set to have a higher priority than the additional content whose output mode is partial screen. It can be set to have a higher priority. The determined priority may be changed by user setting.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s may be set to have the same rank.

하나의 추가 컨텐트를 복수의 트리거 영역에 연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에 대한 트리거 영역을 추가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복수의 트리거 영역 설정을 위한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One additional content may be linked to a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 for adding a trigger region for additional content is received, a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for setting a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may be output.

도 9는 하나의 추가 컨텐트에 대해 복수의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for one additional content.

주 컨텐트에 삽입할 추가 컨텐트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도 9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추가 컨텐트에 대한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트리거 오브젝트(이하, 제1 트리거 오브젝트라 함, 810)를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additional content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is selected,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9A, the controller 180 sets a trigger object for setting a trigger area for the additional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trigger object). Ham, 810) can be output.

이 상태에서, 트리거 영역을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9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추가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이하, 제2 트리거 오브젝트라 함, 820)를 더 출력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a user input for adding a trigger area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performs a graphic object for setting an additional trigger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trigger area),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9B. An object 820 may be further output.

제1 트리거 오브젝트(910)는 추가 컨텐트에 대한 제1 트리거 영역(915)을 설정하는데 사용되고, 제2 트리거 오브젝트(920)는 추가 컨텐트에 대한 제2 트리거 영역(915)을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오브젝트(910)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기초하여 제1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고, 제2 트리거 오브젝트(920)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기초하여 제2 트리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The first trigger object 910 may be used to set the first trigger area 915 for the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trigger object 920 may be used to set the second trigger area 915 for the additional content. That is, the controller 180 sets the first trigger area based on the position and/or size of the first trigger object 910, and the second trigger is based on the position and/or size of the second trigger object 920 You can set the area.

제1 트리거 영역의 설정과 및 제2 트리거 영역의 설정을 상호 종속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제1 트리거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화하는 경우, 제2 트리거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도 변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제1 트리거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제2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제2 트리거 오브젝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도 변경될 수 있다.The setting of the first trigger area and the setting of the second trigger area may be mutually dependently set. That is, when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first trigger area changes,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second trigger area may also be set to change. Accordingly, when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first trigger object used to set the first trigger area is changed,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second trigger object used to set the second trigger area may also be changed. have.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의 기능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고, 양자의 기능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이 모두 뷰어 모드에서 추가 컨텐트를 출력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중단하는 용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은 뷰어 모두에서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는 용도를 갖도록 설정하는 반면, 제2 트리거 영역은 뷰어 모드에서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중단하는 용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set the functions of the first trigger area and the second trigger area to be the same, or differently set the functions of the first trigger area and the second trigger area.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set both the first trigger region and the second trigger region to have a purpose of outputting additional content and stopping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in a viewer mode.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80 may set the first trigger region to have a purpose of outputting additional content from all viewers, while the second trigger region may set the second trigger region to have a purpose of stopping the output of additional content in the viewer mode.

또는,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및 출력 중단 용도를 갖도록 설정하는 반면, 다른 하나는 추가 컨텐트의 확대, 재생, 일시정지 등 제어 용도를 갖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t least one of the first trigger region and the second trigger region may be set to have a purpose of outputting and stopping the output of additional content, while the other may be set to have a control purpose such as enlargement, playback, or pause of the additional content.

주 컨텐트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삽입되는 경우, 복수의 트리거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사용자 설정에 기초하여 트리거 영역들의 중첩 배치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트리거 영역 간 중첩 배치가 허용되지 않는 경우, 새롭게 추가되는 트리거 영역은 기존 트리거 영역과의 중첩 부분만큼 작아지거나, 기존 트리거 영역과 중첩 배치되지 않도록 위치가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is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a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may exis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to allow the overlapping arrangement of trigger regions based on a user setting. When the overlapping arrangement between trigger regions is not allowed, the newly added trigger region may be as small as a portion overlapped with the existing trigger region, or the position may be automatically chang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existing trigger region.

도 10은 복수의 트리거 영역을 중첩하여 배치하였을 경우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when a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are overlapped and arranged.

트리거 영역들의 중첩 배치가 허용되는 경우, 도 10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트리거 영역(1015)을 설정하기 위한 제1 트리거 오브젝트(1010)와 제2 트리거 영역(1025)을 설정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오브젝트(1020)가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트리거 오브젝트(1010)와 제2 트리거 오브젝트(1020)가 중첩되는 영역은 제1 트리거 영역(1015)에 해당될 수도 있고, 제2 트리거 영역(1025)에도 해당될 수도 있다. 중첩 영역에 대해, 트리거 영역 간 우선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우선 순위는 뷰어 모드에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순서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When the overlapping arrangement of trigger areas is allowed,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A, the first trigger object 1010 and the second trigger area 1025 for setting the first trigger area 1015 The second trigger object 1020 for setting may be overlapped. In this case, an area where the first trigger object 1010 and the second trigger object 1020 overlap may correspond to the first trigger area 1015 or the second trigger area 1025. For the overlapping area, priority between trigger areas may be determined. The priority may be used to determine an output order of additional content in the viewer mode.

우선 순위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트리거 영역의 설정 순서, 트리거 영역의 크기, 각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들의 타입,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주 컨텐트에 삽입된 순서대로 트리거 영역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먼저 주 컨텐트에 추가된 트리거 영역은 차후에 주 컨텐트에 삽입된 트리거 영역에 비해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또는, 각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들의 타입을 고려하여, 제1 타입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트리거 영역이 제2 타입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트리거 영역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추가 컨텐트들 중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인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트리거 영역이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트리거 영역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하거나, 출력 영역의 크기가 큰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트리거 영역이 출력 영역의 크기가 작은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트리거 영역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복수 트리거 영역이 동순위를 갖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The priority may be determined by user setting, and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a setting order of a trigger region, a size of a trigger region, a type of additional contents linked to each trigger region, and an output mode or size of the additional content.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priority of the trigger region in the order in which the main content is inserted. That is, a trigger region added to the main content first may have a higher priority than a trigger region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later. Alternatively, in consideration of the types of additional contents associated with each trigger region, the trigger region to which the first type of additional content is associated may be set to have a higher priority than the trigger region to which the second type of additional content is associated. Alternatively, among the additional contents, the trigger area associated with the additional content whose output mode is full screen is set to have a higher priority than the trigger area associated with the additional content whose output mode is partial screen, or the additional content with a larger size of the output area The trigger area associated with the output area may be set to have a higher priority than the trigger area associated with the additional content having a small size of the output area. The determined priority may be changed by user setting. A plurality of trigger areas may be set to have the same priority.

반면, 트리거 영역들의 중첩 배치가 허용되지 않는 경우, 제1 트리거 영역(1015)을 설정하기 위한 제1 트리거 오브젝트(1010) 및 제2 트리거 영역(1025)을 설정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오브젝트(1020)가 중첩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10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트리거 오브젝트(1010) 위로 제2 트리거 오브젝트(1020)를 이동시킨 경우,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제1 트리거 오브젝트(1010)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으로 제2 트리거 오브젝트(10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overlapping arrangement of trigger areas is not allowed, a first trigger object 1010 for setting the first trigger area 1015 and a second trigger object 1020 for setting the second trigger area 1025 May not allow overlapping. For exampl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B, when the second trigger object 1020 is moved over the first trigger object 1010, the controller 180 automatically generates the first trigger object 1010. ) And the location of the second trigger object 1020 may be changed.

또는, 트리거 영역들의 중첩 배치가 허용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오브젝트(1010) 및 제2 트리거 오브젝트(1020)의 중첩 배치를 허용하되, 제1 트리거 영역(1015) 및 제2 트리거 영역(1025) 중 어느 하나가 제1 트리거 오브젝트(1010) 및 제2 트리거 오브젝트(1020)의 중첩분만큼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트리거 오브젝트(1010)와 제2 트리거 오브젝트(1020)의 중첩 영역은 제1 트리거 영역(1015)으로만 사용되거나, 제2 트리거 영역(1025)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트리거 오브젝트(1010) 위로 제2 트리거 오브젝트(1020)를 이동시킨 경우, 제어부(180)는 도 10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2 트리거 오브젝트(1020)에서 제1 트리거 오브젝트(1010)와 제2 트리거 오브젝트(1020)의 중첩분을 제거한 것을 제2 트리거 영역(1025)으로 설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if the overlapping arrangement of trigger regions is not allowed, the controller 180 allows the overlapping arrangement of the first trigger object 1010 and the second trigger object 1020, but the first trigger region 1015 and the second Any one of the trigger regions 1025 may be controlled to decrease by an overlap amount of the first trigger object 1010 and the second trigger object 1020. That is, the overlapping area of the first trigger object 1010 and the second trigger object 1020 may be used only as the first trigger area 1015 or only the second trigger area 1025. As an example, when the second trigger object 1020 is moved over the first trigger object 1010, the controller 180 moves from the second trigger object 102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C. An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rst trigger object 1010 and the second trigger object 1020 may be removed as the second trigger area 1025.

이미 주 컨텐트에 삽입된 추가 컨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새로운 추가 컨텐트를 위한 트리거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제1 추가 컨텐트와 상이한 제2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트리거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뷰어 모드에서 제1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트리거 영역은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시작 또는 종료하는 것에 이용되고, 제1 추가 컨텐트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시작 또는 종료하는 것에 이용될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additional content already inserted in the main content may be set as a trigger area for the new additional content. For example,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as a trigger area for outputting second additional content different from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That is, in the viewer mode, the trigger area to whic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linked is used to start or end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at least some areas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start or end the output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Can be used for things.

도 11은 주 컨텐트에 기 삽입된 추가 컨텐트를 새로운 추가 컨텐트를 위한 트리거 영역으로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11 shows an example in which additional content previously inserted in the main content is set as a trigger area for new additional content.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 컨텐트에 기 삽입된 추가 컨텐트를 제1 추가 컨텐트라 호칭하고, 제1 추가 컨텐트에 새롭게 연계되는 추가 컨텐트를 제2 추가 컨텐트라 호칭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additional content previously inserted in the main content will be referred to as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newly linked to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will be referred to as second additional content.

제1 추가 컨텐트에 대한 트리거 영역(1130)을 설정하기 위한 제1 트리거 오브젝트(1110) 또는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140)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컨텐트 오브젝트(1120)에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에 연계하고자 하는 제2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입력은, 제1 트리거 오브젝트(1110) 또는 제1 컨텐트 오브젝트(1120)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는 것이거나, 제1 트리거 오브젝트(1120) 또는 제1 컨텐트 오브젝트(1120)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는 포인터의 개수, 터치 강도, 터치 횟수 또는 터치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이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메뉴는 도 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2 추가 컨텐트의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고,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트 목록일 수도 있다. A predetermined user input is input to the first trigger object 1110 for setting the trigger area 1130 for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or the first content object 1120 for setting the output area 1140 for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When received,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menu for outputting second additional content to be linked to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Here, the predetermined input is to touch at least one of the first trigger object 1110 or the first content object 1120, or at least one of the first trigger object 1120 or the first content object 1120 It may mean that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ouched pointers, the touch strength, the number of touches, and the touch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s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3, the menu may be for selecting a type of second additional content or a content list for selecting additional content.

또는,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컨텐트를 자동으로 제2 추가 컨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컨텐트는 제1 추가 컨텐트와 관련성이 높은 컨텐트, 가장 최근 단말기에 추가된 컨텐트, 가장 최근 실행된 컨텐트 또는 뷰어 모드에서 실행되었던 컨텐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추가 컨텐트와 관련성이 높은 컨텐트는, 제1 추가 컨텐트와 유사한 내용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인 경우, 제1 추가 컨텐트에 포함된 인물을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제1 추가 컨텐트와 동일한 날짜 또는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이 제1 추가 컨텐트와 관련성이 높은 컨텐트로 결정될 수 있다. Alternatively, content that satisfies a predefined condition may be automatically determined as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Here, the content that satisfies the predefined condition may include content that is highly related to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content that is most recently added to a terminal, content that is most recently executed, or content that has been executed in a viewer mode. Content having high relevance to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mean content including content similar to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an image or a video, an image or video of a person included i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 image or video taken on the same date or at the same place as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added first It may be determined as content that is highly relevant to the content.

또는,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와 관련성이 높은 컨텐트를 포함하는 컨텐트 목록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컨텐트 목록을 통해 컨텐트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트가 제2 추가 컨텐트로 결정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output of a content list including content having high relevance to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When a content is selected through the content list, the selected content may be determined as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상기 메뉴를 통해 제2 추가 컨텐트가 선택되면, 제2 추가 컨텐트에 대한 제2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오브젝트(1150)가 출력될 수 있다. 제2 트리거 오브젝트(1150)를 통해 제2 추가 컨텐트를 위한 제2 트리거 영역(1160)을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s selected through the menu, a second trigger object 1150 for setting a second trigger area for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output. A second trigger area 1160 for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through the second trigger object 1150.

제어부(180)는 제1 컨텐트 오브젝트(1120) 상에 제2 트리거 오브젝트(115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2 트리거 오브젝트(1150)의 위치 및/또는 크기는 제1 컨텐트 오브젝트(1120)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종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트리거 오브젝트(1150)의 크기를 제1 컨텐트 오브젝트(1120)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2 트리거 오브젝트(1150)는 제1 컨텐트 오브젝트(1120)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트리거 오브젝트(1150)의 제1 방향 경계가 제1 컨텐트 오브젝트(1120)의 제1 방향 경계에 접하는 경우, 제2 트리거 오브젝트(1150)를 터치한 포인터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제2 트리거 오브젝트(1150)는 더 이상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the second trigger object 1150 on the first content object 1120. In this case,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second trigger object 1150 may be determined dependently on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first content object 1120. For example, the size of the second trigger object 1150 may be set so as not to exceed the size of the first content object 1120. Alternatively, the second trigger object 1150 may be set so as not to depart from the first content object 1120. For example, when the first direction boundary of the second trigger object 1150 contacts the first direction boundary of the first content object 1120, even if the pointer touching the second trigger object 115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 The second trigger object 1150 may be set to no longer move in the first direction.

제1 컨텐트 오브젝트(1120) 상에 제2 트리거 오브젝트(1150)가 출력됨에 따라, 제1 추가 컨텐트 출력 영역(1140) 중 제2 트리거 오브젝트(1150)와 중첩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2 추가 컨텐트를 위한 제2 트리거 영역(116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트리거 영역(1130)는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제어 영역으로 설정되고, 제1 컨텐트 오브젝트(1120)와 제2 트리거 오브젝트(1150)가 중첩되는 제2 트리거 영역(1160)은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제어를 위한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As the second trigger object 1150 is output on the first content object 1120,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output area 1140 overlapping the second trigger object 1150 displays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t may be set as the second trigger area 1160 for. That is, the first trigger area 1130 is set as an output control area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trigger area 1160 in which the first content object 1120 and the second trigger object 1150 overlap is the second It may be set as an area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dditional content.

또는, 제1 추가 컨텐트 출력 영역(1140)의 전체 영역을 제2 추가 오브젝트를 위한 제2 트리거 영역(116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추가 컨텐트 출력 영역(1140)의 전체 영역이 제2 트리거 영역(1160)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2 트리거 영역 설정을 위한 제2 트리거 오브젝트(1150)의 출력을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컨텐트 오브젝트(1120)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따라 제2 트리거 영역(1160)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output area 1140 may be set as the second trigger area 1160 for the second additional object. When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output area 1140 is set as the second trigger area 1160, the output of the second trigger object 1150 for setting the second trigger area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second trigger area 116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first content object 1120.

제어부(180)는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에 따라,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180)을 설정하기 위한 제2 컨텐트 오브젝트(1170)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the second content object 1170 for setting the output area 1180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according to the output mode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또는,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에 기초하여, 제2 컨텐트 오브젝트(1170)의 출력 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인 경우에는 제2 컨텐트 오브젝트(1170)를 출력하지 않는 한편,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경우에는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180)을 설정하기 위한 제2 컨텐트 오브젝트(1170)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컨텐트 오브젝트(1170)의 위치 및 크기에 기초하여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180)을 결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ther to output the second content object 1170 may be selectively determined based on the output mode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output mode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s a full screen, the second content object 1170 is not output, while when the output mode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s a partial screen, the output area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 A second content object 1170 for setting 1180 may be output.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output area 1180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based on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second content object 1170.

이때,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180)의 위치 및/또는 크기는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140)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종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180)의 크기는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140)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140)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변경한 만큼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180)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output area 1180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determined dependently on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output area 1140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For example, the size of the output area 1180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so as not to exceed the size of the output area 1140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lternatively,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output area 1180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changed as the location and/or the size of the output area 1140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changed.

다른 예로,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180)을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140)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180)이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140)과 동일하게 설정된 경우,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180)을 설정하기 위한 제2 컨텐트 오브젝트(1170)의 출력을 생략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output area 1180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output area 1140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When the output area 1180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s set to be the same as the output area 1140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the output of the second content object 1170 for setting the output area 1180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Can be omitted.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제2 추가 컨텐트를 위한 트리거 영역으로 사용하는 것의 허용 여부는,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경우에 한하여,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제2 추가 컨텐트를 위한 트리거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반면,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인 경우,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제2 추가 컨텐트를 위한 트리거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Whether to allow at least a part of the output area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to be used as a trigger area for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utput mode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s an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allow setting at least a part of the output area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s a trigger area for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only when the output mode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a partial screen. . On the other hand, when the output mode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full screen, it may not be allowed to set at least a part of the output area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s a trigger area for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제2 추가 컨텐트의 타입은 제1 추가 컨텐트의 타입에 종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추가 컨텐트는 제1 추가 컨텐트와 동종 타입으로 한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추가 컨텐트가 이미지인 경우, 제1 추가 컨텐트에 연계될 수 있는 제2 추가 컨텐트는 이미지로 한정될 수 있다.The type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determined dependently on the type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For example,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limited to the same type as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ccordingly, whe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an image,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that can be linked to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limited to an image.

제1 컨텐트 출력 영역 상에 복수의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제1 컨텐트 오브젝트 상에, 제2 추가 컨텐트의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오브젝트 및 제3 추가 컨텐트의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제3 트리거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컨텐트 오브젝트 위 복수의 트리거 오브젝트들이 중첩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set a plurality of trigger areas on the first content output area. For example, on the first content object, a second trigger object for setting a trigger area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and a third trigger object for setting a trigger area of the third additional content may be output. It may not be allowed to overlap a plurality of trigger objects on the first content object.

또는, 제어부(180)는 제1 컨텐트 오브젝트 위 트리거 오브젝트의 수만큼 제1 컨텐트 오브젝트를 분할할 수 있다. 각각 트리거 오브젝트는 지정된 영역 내에서만 이동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트리거 오브젝트는 제1 컨텐트 오브젝트의 제1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정되고, 제3 트리거 오브젝트는 제1 컨텐트 오브젝트의 제2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 중 제1 영역 내 제2 트리거 영역이 존재하고,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 중 제2 영역 내 제3 트리거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추가 컨텐트들 각각의 우선 순위, 출력 모드, 출력 영역의 위치 또는 타입 등에 기초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80 may divide the first content object by the number of trigger objects above the first content object. Each trigger object may be set to be movable only within a designated area. For example, the second trigger object may be set to be freely movable within the first area of the first content object, and the third trigger object may be set to be freely moved within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content object. Accordingly, a second trigger region may exist in the first region among the output regions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a third trigger region may exist within the second region among the output regions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Alternatively, the positions and/or size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priority of each of the additional contents, the output mode, and the location or type of the output region.

컨텐트 오브젝트 위에 출력되는 트리거 오브젝트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를 연계할 수도 있다. 하나의 트리거 오브젝트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 추가 컨텐트간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우선 순위는 뷰어 모드에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순서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우선 순위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주 컨텐트에 삽입된 순서, 추가 컨텐트들의 타입, 출력 모드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주 컨텐트에 삽입된 순서대로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먼저 주 컨텐트에 삽입된 추가 컨텐트는 차후에 주 컨텐트에 삽입된 추가 컨텐트에 비해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추가 컨텐트들의 타입을 고려하여, 제1 타입의 추가 컨텐트가 제2 타입의 추가 컨텐트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추가 컨텐트들 중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인 추가 컨텐트가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추가 컨텐트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하거나, 출력 영역의 크기가 큰 추가 컨텐트가 출력 영역의 크기가 작은 추가 컨텐트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복수 추가 컨텐트들이 동순위를 갖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s may be linked to a trigger object that is output on the content object. When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s are associated with one trigger object, the controller 180 may set a priority among the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s. The priority may be used to determine an output order of additional content in the viewer mode. The priority may be determined by user setting, or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an order of insertion into the main content, a type of additional content, an output mode, or a size.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priority of the additional content in the order of insertion into the main content. That is, the additional content first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may have a higher priority than the additional content later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Alternatively, in consideration of the types of additional contents, the first type of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to have a higher priority than the second type of additional content. Alternatively, among the additional contents, the additional content whose output mode is full screen is set to have a higher priority than the additional content whose output mode is partial screen. It can be set to have a higher priority. The determined priority may be changed by user setting.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s may be set to have the same rank.

상술한 예에서는,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이 사각형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원으로 트리거 영역 및/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it has been exemplified that the trigger area and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are rectangula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trigger area and/or an output area of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with a polygon or circle other than a rectangle.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해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그래픽 오브젝트 등의 매개체 없이 트리거 영역 및/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포인트를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 이동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포인터의 이동 궤적을 대각선으로 하는 사각형태의 영역이 트리거 영역 및/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두개의 포인터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두 포인터를 두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태의 영역이 트리거 영역 및/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trigger area and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are set through a graphic objec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trigger area and/or an output area of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without a medium such as a graphic object. For example, when a touch input for dragging a poi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s received, a rectangular area having a movement trajectory of a pointer diagonally may be set as a trigger area and/or an output area of additional content. Alternatively, when a touch input in which two pointers touch the touch screen is received, a rectangular area having two pointers as two vertices may be set as a trigger area and/or an output area of additional content.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일련의 순서로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이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도 2에서는, 주 컨텐트에 삽입할 추가 컨텐트가 선택된 이후 트리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역순으로 구현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트리거 영역의 설정이 완료되면, 주 컨텐트에 삽입하고자 하는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가 출력되도록 본 발명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먼저 설정한 이후,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도록 본 발명을 구현할 수도 있다.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2, it is described that the trigger region and the output region of the additional content are set in a series of ord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For example, in FIG. 2, it is shown that a trigger region can be set after additional content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is selected, but an embodiment implemented in the reverse order may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i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so that a menu for selecting additional content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is displayed. As anothe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first set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and then set the trigger area.

또는, 트리거 영역의 설정과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설정이 병렬 처리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트리거 영역 설정을 위한 트리거 오브젝트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컨텐트 오브젝트를 동시 출력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and the setting of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processed in parallel. For example, a trigger object for setting a trigger area and a content object for setting an output area of additional content may be simultaneously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편집 모드 하에서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에 관한 레이아웃 설정을 저장하고, 저장된 레이아웃을 다른 페이지 또는 다른 주 컨텐트에 그대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주 컨텐트가 PPT 형식의 파일에서 PDF 형식의 파일로 변경되었다 하더라도, PPT 형식의 주 컨텐트 상에 설정되었던 레이아웃을 그대로 PDF 형식의 주 컨텐트 상에 적용할 수 있다. 주 컨텐트들의 크기가 다른 경우, 주 컨텐트 사이의 크기 비율에 맞춰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 출력 영역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In the edit mode, layout settings for the trigger area and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stored, and the stored layout may be applied to another page or other main content as it is. For example, even if the main content is changed from a PPT format file to a PDF format file, a layout set on the PPT format main content may be applied to the PDF format main content as it is. When the sizes of the main contents are different, the sizes of the trigger area and the additional content output area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ratio between the main contents.

다음으로, 뷰어 모드 하에서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the viewer mode will be described.

도 12는 뷰어 모드 하에서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2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in a viewer mode.

편집 모드가 종료되면, 제어부(180)는 단말기를 뷰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뷰어 모드에서는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에 관한 설정을 더 이상 변경할 수 없다.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에 관한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뷰어 모드를 종료하고, 다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야 한다.When the editing mode ends, the controller 180 may switch the terminal to the viewer mode. In the viewer mode, the settings for the trigger area and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cannot be changed any more. In order to change the settings of the trigger area and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the viewer mode must be terminated and the edit mode must be entered again.

단말기가 뷰어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80)는 최초 편집 모드에서 설정된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이 보이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단말기가 편집 모드에서 뷰어 모드로 전환되면, 편집 모드에서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의해 시각적으로 식별되었던 트리거 영역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이 더 이상 식별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편집 모드가 종료되고 뷰어 모드로 전환되면, 디스플레이부(160)에는 최초 주 컨텐트만이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is switched to the viewer mode, the controller 180 may set the trigger area set in the initial editing mode and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not to be visible. That is, when the terminal is switched from the edit mode to the viewer mode, in the edit mode, the trigger area that was visually identified by the graphic object and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no longer be identified and displayed. Accordingly, when the editing mode ends and the viewer mode is switched, only the first main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다만, 사용자가 트리거 영역의 위치를 오인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있어서, 트리거 영역의 위치가 식별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mis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trigger area,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location of the trigger area to be identified and displayed when a predetermined user input is received.

도 13은 트리거 영역이 시각적으로 식별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trigger area is visually identified and displayed.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 점선의 윤곽선은 트리거 영역을 나타낸다. 점선의 윤곽선은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가상의 선일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3, a dotted outline represents a trigger area. The dotted outline may be a virtual line that is not visible to the user.

트리거 영역(1310)을 시각적으로 식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1310)이 시각적으로 식별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트리거 영역(1310)을 시각적으로 식별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버튼을 터치하는 것이거나, 기 정의된 형태의 터치 입력일 수 있다. 기 정의된 터치 입력은 주 컨텐트를 터치하는 포인터의 개수, 터치 강도,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이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When a user input for visually identifying and displaying the trigger area 1310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trigger area 1310 to be visually identified and displayed. Here, the user input may be a touch of a button requesting to visually identify and display the trigger area 1310, or may be a touch input in a predefined form. The predefined touch input may mean that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pointers touching the main content, the touch strength, the touch time, or the number of touche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일 예로, 주 컨텐트를 더블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13의 (a) 및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1310)의 위치에 트리거 영역(1310)이 식별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1310) 상에 트리거 영역(1310)을 식별하기 위한 오브젝트(132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1320)는 트리거 영역(1310)을 설정하는데 이용되었던 트리거 오브젝트, 기 저장된 아이콘 또는 트리거 영역의 윤곽을 나타내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when a user input for double-touching the main content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trigger area 1310 at the location of the trigger area 1310, as 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13A and 13B. )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n object 1320 for identifying the trigger area 1310 to be output on the trigger area 1310. The object 13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rigger object used to set the trigger area 1310, a pre-stored icon, or an image representing an outline of the trigger area.

이때, 트리거 영역을 식별하는 오브젝트(1320)가 주 컨텐트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상기 오브젝트(1320) 를 반투명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object 1320 identifying the trigger region from covering the main content, the controller 180 may set the object 1320 to a semi-transparent state.

제어부(180)는 상기 오브젝트(1320)가 소정 시간 동안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오브젝트(1320)가 깜빡이며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오브젝트(132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포인터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동안에는 상기 오브젝트(1320)를 출력하고, 포인터의 터치 입력이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오브젝트(1320)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오브젝트(1220)의 출력 중단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오브젝트(1220)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object 1320 to be out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control the object 1320 to blink and be output.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bject 1320 to be output while the user input is maintained. For example, while the pointer touches the touch screen, the object 1320 may be output, and when the touch input of the pointer is released, the output of the object 1320 may be stopped. Alternatively, when a user input requesting to stop outputting the object 1220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may stop outputting the object 1220.

주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고(S1210),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가 트리거 영역의 내측에 해당하는 경우(S1220),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에 따라,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부분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S1230, S1240, S1250). 여기서, 부분 화면은 편집 모드에서 설정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추가 컨텐트가 부분 화면으로 출력되는 경우, 추가 컨텐트는 주 컨텐트의 일부에 오버레이 출력될 수 있다.When a touch input touching the main content is received (S1210) and the location of the received touch input corresponds to the inside of the trigger area (S1220),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o output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I can.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the additional content as a full screen or a partial screen (S1230, S1240, and S1250). Here, the partial screen may correspond to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set in the edit mode. When the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on a partial screen,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overlaid on a part of the main content.

도 14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의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uching a trigger area.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 컨텐트 상에는 2개의 트리거 영역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라 가정하고, 각 트리거 영역의 위치 및 크기는 도 14의 (a)에 도시된 예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한다. 아울러, 제1 트리거 영역(1410)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는 제1 이미지(1415)이고, 제2 트리거 영역(1420)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는 제2 이미지(1425)인 것으로 가정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wo trigger regions are inserted on the main content, and it is assumed that the location and size of each trigger region follow the example shown in FIG. 14A.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first trigger area 1410 is a first image 1415 and the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second trigger area 1420 is a second image 1425.

주 컨텐트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고,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가 트리거 영역의 내측에 해당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입력의 위치가 제1 트리거 영역(1410)의 내측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1410)에 연계되어 있는 제1 이미지(1415)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트리거 영역(1410)에 연계되어 있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전체 화면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14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의 응답으로 제1 이미지(1415)가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a user input touching the main content is received, and the location of the received touch input corresponds to the inside of the trigger area, the controller 180 can control to output additional content related to the trigger area selected by the touch input. have. For example, when the location of the touch input is inside the first trigger area 1410,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first image 1415 linked to the first trigger area 1410 to be output. In this case, when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first trigger area 1410 is the full screen,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first image 1415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uching the first trigger area 1410.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full screen.

반면, 터치 입력의 위치가 제2 트리거 영역(1420)의 내측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2 트리거 영역(1420)에 연계되어 있는 제2 이미지(1425)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트리거 영역(1420)에 연계되어 있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2 트리거 영역(142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이미지(1425)가 부분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편집 모드에서 설정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통해 제2 이미지(1425)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cation of the touch input is inside the second trigger area 1420,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second image 1425 linked to the second trigger area 1420 to be output. In this case, when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second trigger area 1420 is a partial screen,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second image 1425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uching the second trigger area 1420. )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as a partial screen.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second image 1425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set in the edit mode.

트리거 영역에 연계되어 있는 추가 컨텐트가 동영상 또는 음악 등 재생에 의해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인 경우,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동영상 또는 음악 등 추가 컨텐트를 재생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전체 화면 또는 부분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동영상 또는 음악 등 추가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trigger area is a multimedia file that is output by playback such as video or music, the controller 180 is configured to play additional content such as video or music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You can control the multimedia player to be displayed in full screen or partial screen. The user can control the playback of additional content such as video or music through the multimedia player.

다만,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경우, 주 컨텐트의 내용을 가리게 되므로,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를 반투명 상태로 출력하거나, 추가 컨텐트가 출력된 이래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추가 컨텐트가 반투명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However, when the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since the content of the main content is hidden, the controller 180 outputs the additional content in a semi-transparent state, or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since the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the additional content is converted into a semi-transparent state. You can also control it to switch.

추가 컨텐트의 출력 모드가 부분 화면인 경우,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크기에 맞춰 추가 컨텐트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추가 컨텐트는 너비가 높이보다 큰 것인데 반해,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은 너비가 높이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면,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추가 컨텐트의 왜곡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너비 및 높이비와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너비 및 높이비를 고려하여, 추가 컨텐트를 회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의 너비가 높이보다 작은데 반해,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너비가 높이보다 큰 경우 및/또는 추가 컨텐트의 너비가 높이코다 큰데 반해,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너비가 높이보다 작은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를 회전하여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output mode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a partial screen, the controller 180 may set the size of the additional conten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In this case, while the width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greater than the height, if the width of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height, distortion of the additional content output through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occur.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controller 180 may rotate and output the additional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and height ratio of the additional content and the width and height ratio of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width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smaller than the height, the width of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greater than the height and/or the width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larger than the height, but the width of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smaller than the height. In this regard, the controller 180 may rotate and output the additional content.

도 15는 추가 컨텐트가 회전하여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dditional content is rotated and output.

도 15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1510)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1530)가 너비가 높이보다 큰 이미지이고,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은 너비가 높이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15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520)을 통해, 90도 회전된 추가 컨텐트(153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추가 컨텐트의 회전 방향(예컨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은 편집 모드 하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As in the example shown in (a) of FIG. 15, when the additional content 1530 linked to the trigger area 1510 is an image whose width is greater than the height, and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less than the height, the control uni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1510, 180 may output the additional content 1530 rotated by 90 degrees through the output area 1520 of the additional content. In this case, the rotation direction (eg,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s setting in the edit mode.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고, 터치 입력의 위치가 트리거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 내측인 경우,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S1260, S1270, S1280). 즉, 추가 컨텐트가 출력된 이후, 트리거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주 컨텐트 상에 오버레이 출력되던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additional content is being output, when a touch input is received and the location of the touch input is inside the trigger area or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the controller 180 may stop outputting the additional content (S1260, S1270). , S1280). That is, after the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when a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or the additional content is received,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that has been overlaid on the main content may be terminated.

도 16은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output of additional content is terminated.

도 16의 (a)는 트리거 영역(1610) 및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1620)을 나타낸 도면이다.16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igger area 1610 and an output area 1620 of additional content.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도중 터치 입력이 수신되고, 터치 위치가 트리거 영역(1610)의 내측인 경우, 제어부(180)는 도 16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주 컨텐트 상에 오버레이 출력되는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 When a touch input is received while the additional content is being output, and the touch position is inside the trigger area 1610, the controller 180 performs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6B. You can quit. Although not shown, when a touch input for touching the additional content that is overlaid on the main content is received,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terminated.

제어부(180)는 소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추가 컨텐트의 출력의 종료할 수도 있다.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ntroller 180 may terminate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일 예로,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가 출력된 이래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편집 모드에서 사용자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reset time has elapsed since the additional content was output, the controller 180 may terminate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Here, the preset time may be adjusted by a user setting in the edit mode.

일 예로,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고 있을 때, 제2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제2 트리거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first trigger area is being output, the controller 180 receives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second trigger area linked to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and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t is also possible to stop the output of and control to output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또는, 추가 컨텐트를 터치한 포인터를 튕기는(flicking)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a user input of flicking a pointer touching the additional content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may terminate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상술한 예에서는, 트리거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트리거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관련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여기서, 출력 관련 설정은, 추가 컨텐트의 크기 조절(예컨대, 확대/축소), 추가 컨텐트의 투명도 조절 또는 추가 컨텐트의 재생 제어(예컨대, 재생, 일시정지, 멈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terminat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or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but a response to the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or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output related sett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Here, the output-related setting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additional content (eg, expanding/reducing),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the additional content, or controlling the playback of the additional content (eg, playing, pausing, and stopping).

일 예로, 트리거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터치하는 제1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설정하는 한편, 트리거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터치하는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관련 설정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트리거 영역 또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터치하는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주 컨텐트 위 오버레이 출력되는 추가 컨텐트를 확대 또는 축소 표시하거나, 주 컨텐트 위 오버레이 출력되는 추가 컨텐트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형태 및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은, 포인터의 개수,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first type of touch input that touches the trigger area or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received,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set to end, while the second type of touching the trigger area or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When a touch input of is received, a setting related to output of additional content may be adjusted. For example, when a second type of touch input that touches the trigger area or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received, the additional content displayed over the main content is enlarged or reduced, or the transparency of the additional content displayed over the main content is displayed. Can be adjusted. Here, the first type and the second type of touch input may be different i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pointers, touch strength (touch pressure), touch time, and number of touches.

또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종료하는 한편,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관련 설정이 변경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주 컨텐트 위 오버레이 출력되는 추가 컨텐트를 확대 또는 축소 표시되거나, 주 컨텐트 위 오버레이 출력되는 추가 컨텐트의 투명도가 조절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terminat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and a setting related to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chang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uching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 touching the output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received, the additional content displayed over the main content may be enlarged or reduced, or the transparency of the additional content displayed over the main content may be adjusted.

하나의 추가 컨텐트에 복수의 트리거 영역이 연계되어 있을 경우, 복수의 트리거 영역 각각은 모두 추가 컨텐트의 출력 및 출력 종료를 제어하는 것에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추가 컨텐트에 두개의 트리거 영역이 연계되어 있을 경우, 제1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시작되거나 종료될 수도 있고, 제2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시작되거나 종료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are associated with one additional content, each of the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may all be used to control output and end of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For example, when two trigger regions are linked to one additional content,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started or terminated by a user input touching the first trigger region, or a user input touching the second trigger region.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started or ended accordingly.

또는, 하나의 추가 컨텐트에 복수의 트리거 영역에 연계되어 있을 경우, 복수의 트리거 영역 각각에 각기 다른 기능이 할당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추가 컨텐트에 두개의 트리거 영역이 연계되어 있을 경우, 추가 컨텐트의 출력 시작은 제1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수행되는 한편, 추가 컨텐트의 출력 종료는 것은 제2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수행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one additional content is linked to a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different functions may be set to be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For example, when two trigger regions are linked to one additional content,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performed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touching the first trigger area, while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terminated. This may be performed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touching the second trigger area.

또는, 복수의 트리거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시작 또는 종료하는데 이용하는 한편, 나머지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관련 설정을 변경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추가 컨텐트에 두개의 트리거 영역이 연계되어 있을 경우,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시작하거나 종료하기 위해서는 제1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어야 하는 한편, 추가 컨텐트의 출력 관련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제2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어야 할 수 있다.Alternatively,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may be used to start or end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while the other may be used to change a setting related to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For example, when two trigger regions are linked to one additional content, a user input touching the first trigger region must be received in order to start or end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while setting related to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In order to change, a user input touching the second trigger area may need to be received.

복수의 트리거 영역 간 중첩된 영역이 존재하고, 복수의 트리거 영역이 중첩된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 간의 우선순위 또는 터치 형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트리거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When there is an overlapped region between a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and a user input for touching an overlapped region of the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performs a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based on the priority or touch type between the trigger regions. You can choose any one of them.

도 17은 복수 트리거 영역이 중첩된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when a user input for touching an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trigger areas are overlapped is received.

도 17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트리거 영역(1710)과 제2 트리거 영역(1720)의 일부가 중첩된 상태이고, 제1 트리거 영역(1710) 및 제2 트리거 영역(1720)에는 각각 제1 추가 컨텐트(1715) 및 제2 추가 컨텐트(1725)가 연계된 상태라 가정한다.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7A, the first trigger area 1710 and the second trigger area 1720 are partially overlapped, and the first trigger area 1710 and the second trigger area ( In 1720,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1715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1725 are linked, respectively.

제1 트리거 영역(1710)과 제2 트리거 영역(1720)이 중첩되는 부분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1710) 및 제2 트리거 영역(1720)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트리거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트리거 영역(1710)의 우선 순위가 제2 트리거 영역(1720)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1710) 및 제2 트리거 영역(1720)이 중첩되는 부분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1 트리거 영역(1710)이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7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트리거 영역(1710)에 연계된 제1 추가 컨텐트(1715)가 출력될 수 있다. 제1 추가 컨텐트(1715)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트리거 영역(1710) 및 제2 트리거 영역(1720)이 중첩되는 부분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2 트리거 영역(1720)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제1 트리거 영역(1710)이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7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추가 컨텐트(1715)의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When a touch input that touches a portion where the first trigger area 1710 and the second trigger area 1720 overlap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performs The trigger area with the highest priority can be selected. For example, when the priority of the first trigger area 1710 is higher than the priority of the second trigger area 1720, the controller 180 overlaps the first trigger area 1710 and the second trigger area 172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trigger area 1710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that touches the portion that is being used. Accordingly,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7B,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1715 linked to the first trigger area 1710 may be outpu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1715 is being output, when a user input for touching a portion where the first trigger region 1710 and the second trigger region 1720 overlap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trigger area 1710 having a higher priority than the trigger area 1720 is selected. Accordingly,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7C,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1715 may be terminated.

트리거 영역 간 우선 순위는 편집 모드에서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편집 모드에서 트리거 영역이 설정된 순서, 각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들의 타입, 출력 모드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The priority between trigger areas may be determined by user setting in the edit mode. Alternatively,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rder in which the trigger regions are set in the edit mode, the type of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each trigger region, an output mode, or a size.

복수의 트리거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연계되어 있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시작 및/또는 종료되는 경우, 상기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트리거 영역의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순위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7에 도시된 예에서, 제1 트리거 영역(1710)에 연계된 제1 추가 컨텐트(1715)의 출력이 종료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트리거 영역(1710)의 우선 순위가 제2 트리거 영역(1720)의 우선 순위보다 낮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트리거 영역(1710) 및 제2 트리거 영역(1720)이 중첩되는 부분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2 트리거 영역(1720)이 선택된 것으로 결정하고, 도 17의 (d)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2 트리거 영역(1720)에 연계된 제2 추가 컨텐트(1725)의 출력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rigger areas starts and/or ends, the priority of the trigger area to which the additional content is linked may be changed to the lowest priority. As an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7, when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1715 linked to the first trigger area 1710 is terminated, the control unit sets the priority of the first trigger area 1710 to the second. It may be set to be lower than the priority of the trigger area 1720. Accordingly, when a user input for touching a portion where the first trigger area 1710 and the second trigger area 1720 overlap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second trigger area 1720 is selected, and As in the example shown in (d) of FIG. 17, the output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1725 linked to the second trigger area 1720 may be controlled to start.

다른 예로, 제1 추가 컨텐트(1715)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트리거 영역(1710) 및 제2 트리거 영역(1720)이 중첩되는 부분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1715)의 출력을 종료하는 동시에 제2 추가 컨텐트(1725)의 출력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user input of touching a portion where the first trigger area 1710 and the second trigger area 1720 overlap whil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1715 is being output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1725 to start while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1715 is terminated.

도 17에 도시된 예에서는 복수 트리거 영역이 중첩되는 부분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트리거 영역 간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트리거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터치 입력의 형태에 따라 복수 트리거 영역 중 어느 하나 선택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이 중첩되는 부분에 제1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1 트리거 영역이 선택된 것으로 결정되는 반면,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2 트리거 영역이 선택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형태 및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은, 포인터의 개수,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것일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7, when a user input touching a portion where a plurality of trigger areas overlap is received, it is exemplified that one of the plurality of trigger areas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priority between the trigger areas. Accordingly, it may be set to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trigger areas. For example, when a first type of touch input is received in a portion where the first trigger area and the second trigger area overlap, the first trigger area is determined to be selected, whereas when a second type of touch input is received, the second typ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rigger area is selected. Here, the first type and the second type of touch input may be different i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pointers, touch strength (touch pressure), touch time, and number of touches.

다른 예로, 복수 트리거 영역이 중첩되는 부분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복수 트리거 영역이 동시에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이 중첩되는 부분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을 모두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시작 또는 종료됨과 동시에 제1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시작 또는 종료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a user input for touching a portion where a plurality of trigger areas overlap is receiv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lurality of trigger areas are simultaneously selected.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 for touching a portion where the first trigger region and the second trigger region overlap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may select both the first trigger region and the second trigger region. Accordingly,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first trigger area may start or end,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first trigger area may start or end.

하나의 트리거 영역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 목록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컨텐트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is linked to one trigger area,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list of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trigger area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When any one of the additional content list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selected additional content to be output.

도 18 및 도 19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 목록이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8 and 19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additional content list is outpu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uching a trigger area.

도 18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1810)에는 제1 추가 컨텐트(1815) 및 제2 추가 컨텐트(1825)가 연계된 상태라 가정한다.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8A,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1815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1825 are linked to the trigger area 1810.

트리거 영역(18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트리가 영역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들의 목록(1830)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목록(1830)은 각 추가 컨텐트의 대표 이미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표 이미지는 썸네일 또는 프리뷰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When a touch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1810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list 1830 of additional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tree area. The list 1830 may include a representative image of each additional content. Here, the representative im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humbnail or a preview image.

추가 컨텐트 목록(1830)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 목록(1830)에서 제1 추가 컨텐트 항목(1832)이 선택된 경우, 제1 추가 컨텐트(1815)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8의 (c) 참조)When any one item is selected from the additional content list 1830,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ddi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For example, whe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tem 1832 is selected from the additional content list 1830,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1815 may be output. (See Fig. 18(c))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가 출력 중인 상태에서 트리거 영역(18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 목록(1830)을 다시 출력할 수 있다. When a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1810 is received while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is being output,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the additional content list 1830 again.

재 출력된 추가 컨텐트 목록(1830)에서 이미 출력 상태인 추가 컨텐트 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 목록(1830)에서 제1 추가 컨텐트 항목(1832)이 선택된 경우, 제1 추가 컨텐트(1815)의 출력이 중단될 수 있다. (도 19의 (b) 참조)When an additional content item that is already in an output state is selected from the re-output additional content list 1830, the controller 180 may terminate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tem 1832 is selected from the additional content list 1830,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1815 may be stopped. (See Fig. 19(b))

재 출력된 추가 컨텐트 목록(1830)에서 이미 출력 상태인 추가 컨텐트와 상이한 추가 컨텐트 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추가 컨텐트를 추가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 목록(1830)에서 제2 추가 컨텐트 항목(1834)이 선택된 경우, 제2 추가 컨텐트(1825)가 추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9의 (c) 참조) When an additional content item different from the additional content that is already in the output state is selected from the re-output additional content list 1830, the controller 180 may additionally output the selected additional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tem 1834 is selected from the additional content list 1830,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1825 may be additionally output. (See Fig. 19(c))

다른 예로, 재 출력된 추가 컨텐트 목록(1830)에서 이미 출력 상태인 추가 컨텐트와 상이한 추가 컨텐트 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이미 출력 상태인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중단하면서, 선택된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동안 추가 컨텐트 목록(1830)에서 제2 추가 컨텐트 항목(1834)이 선택된 경우, 제1 추가 컨텐트(1815)의 출력을 종료하면서 제2 추가 컨텐트(1825)를 출력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n additional content item different from the additional content that is already in the output state is selected in the re-output additional content list 1830, the controller 180 stops outputting the additional content that is already in the output state and outputs the selected additional content can do. For example, when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tem 1834 is selected from the additional content list 1830 whil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being output,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1825 is displayed while terminating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1815. Can be printed.

다른 예로, 재 출력되는 추가 컨텐트 목록이 이미 출력 중인 추가 컨텐트 항목을 불포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 중인 상태에서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1 추가 컨텐트 항목이 제외된 추가 컨텐트 목록이 출력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list of additional content that is re-output may be set to not include an additional content item that is already being output. For example, when a touch input for touching a trigger area is received whil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being output, an additional content list exclud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tem may be output.

다른 예로, 하나의 트리거 영역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시작 또는 종료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is associated with one trigger area, the controller 180 may start or end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having a high priority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도 20은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when a user input for touching a trigger area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is received.

도 20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2010)에는 제1 추가 컨텐트(2015) 및 제2 추가 컨텐트(2025)가 연계된 상태라 가정한다.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0A,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015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025 are linked to the trigger area 2010.

트리거 영역(20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트리가 영역에 연계된 제1 추가 컨텐트(2015) 및 제2 추가 컨텐트(2025)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2015)의 우선 순위가 제2 추가 컨텐트(2025)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180)는 도 20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20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추가 컨텐트(2015)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추가 컨텐트(2015)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트리거 영역(20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20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추가 컨텐트(2015)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When a touch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2010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outputs the additional content with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015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025 linked to the tree area. It can be controlled as much as possible. As an example, when the priority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015 is higher than the priority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025,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trigger area ( 2010) may outpu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015 in response to a user input. When a touch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2010 is received whil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015 is being output, the controller 180 performs a first addition,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0C. The output of the content 2015 may be terminated.

추가 컨텐트 간 우선 순위는 편집 모드에서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편집 모드에서 추가 컨텐트가 주 컨텐트에 삽입된 순서, 추가 컨텐트의 타입, 출력 모드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Priority between additional content may be determined by user setting in the edit mode. Alternatively, in the edit mode,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an order in which the additional content is inserted into the main content, a type of the additional content, an output mode, or a size.

기 출력되던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는 가장 낮은 순위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0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추가 컨텐트(2015)의 출력이 종료되는 경우, 제1 추가 컨텐트(2015)의 우선 순위가 제2 추가 컨텐트(2025)의 우선 순위보다 낮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리거 영역(20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20의 (d)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2 추가 컨텐트(2025)의 출력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output of the previously displayed additional content is terminated, the priority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changed to the lowest priority. 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0, when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015 is terminated, the priority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015 is set to be lower than the priority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025. I can. Accordingly, when a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2010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utput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025 to start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0(d). can do.

다른 예로, 제1 추가 컨텐트(2015)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트리거 영역(20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2015)의 출력을 종료하는 동시에 제2 추가 컨텐트(2025)의 출력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2010 is received whil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015 is being output, the controller 180 ends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015 and simultaneously provides the 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2025 to be started.

다른 예로, 제1 추가 컨텐트(2015)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트리거 영역(20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2015)의 출력을 유지하면서, 제2 추가 컨텐트(2025)의 출력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트리거 영역(2010)에 연계된 모든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트리거 영역(20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2010)에 연계된 모든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2010 is received whil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015 is being output, the controller 180 maintains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015 and 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2025 to be started. When a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2010 is received while all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trigger area 2010 is being output, the controller 180 outputs all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trigger area 2010 Can be terminated.

복수의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는 동일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 및 제2 추가 컨텐트가 동순위인 경우,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시작 또는 종료하는 동시에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을 시작 또는 종료할 수 있다.The priority of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may be the same. For example, whe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have the same rank, the controller 180 starts or ends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adds a secon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Content output can be started or stopped.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추가 컨텐트 목록은 각 추가 컨텐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되는 오브젝트의 개수는 상기 트리거 오브젝트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각 추가 컨텐트를 대표하는 이미지 또는 각 추가 컨텐트의 타입을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additional content list may include an object corresponding to each additional content. The number of output objects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object. The object may be an image representing each additional content or an image representing the type of each additional content.

복수 오브젝트들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또는, 복수 오브젝트들이 트리거 영역의 경계 근처에 복수 오브젝트들이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오브젝트는 트리거 영역의 제1 경계에 인접 배치되고, 제2 오브젝트는 트리거 영역의 제2 경계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objects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objects may be distributed and disposed near the boundary of the trigger area of the plurality of objects. For example, the first objec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border of the trigger area, and the second objec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border of the trigger area.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횟수에 따라,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출력할 추가 컨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추가 컨텐트를 1회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1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고, 추가 컨텐트를 2회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2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트리거 영역을 N회 터치하는 터치 입력은 N번째 추가 컨텐트를 호출하는 것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추가 컨텐트들의 순서는 추가 컨텐트들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추가 컨텐트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트리거 영역으로 설정한 경우, 상기 트리거 영역은 주 컨텐트 상에 상기 추가 컨텐트가 출력 중인 상태에서만 활성화될 수 있다. 추가 컨텐트가 출력 중인 상태에서, 상기 추가 컨텐트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the trigger area is touched, additional content to be output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may be selected. For example, when a touch input for touching the additional content once is received,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output, and when a touch input for touching the additional content twice is receive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output. . That is, a touch input for touching the trigger area N times may function as calling the N-th additional content. In this case, the order of the additional contents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additional contents. When at least some areas of the additional content are set as a trigger area, the trigger area may be activated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additional content is being output on the main content. In a state in which additional content is being output, when a touch input for touching a trigger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outputs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trigger area in response to a user input. can do.

도 21은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다른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트리거 영역(1810)에 의해 출력이 시작 또는 종료되는 추가 컨텐트를 제1 추가 컨텐트라 호칭하고, 제1 추가 컨텐트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제2 트리거 영역에 의해 출력이 시작 또는 종료되는 추가 컨텐트를 제2 추가 컨텐트라 호칭하기로 한다.21 shows an example in which other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uching the additional cont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dditional content whose output starts or ends by the first trigger area 1810 is referred to as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is output by a second trigger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The additional content that starts or ends is referred to as second additional content.

제1 트리거 영역(21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21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트리거 영역(1810)에 연계되어 있는 제1 추가 컨텐트(212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a user input touching the first trigger area 2110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performs first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first trigger area 181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1(a). (2120) can be controlled to be output.

제1 추가 컨텐트(2120)가 출력된 경우, 제1 추가 컨텐트(2120) 상에 설정된 제2 트리거 영역(2130)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2 트리거 영역(213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2 트리거 영역(2130)(즉, 제1 추가 컨텐트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2 트리거 영역(2130)에 연계된 제2 추가 컨텐트(214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의 (b) 참조) 이때, 제2 추가 컨텐트(2140)는 편집 모드에서 설정된 제2 추가 컨텐트(2140)의 출력 모드에 따라 전체 화면 또는 부분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제2 추가 컨텐트(2140)가 부분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된 경우, 제2 추가 컨텐트(2140)의 출력 위치 및/또는 크기는 편집 모드에서 설정된 제2 추가 컨텐트(2140)의 출력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120 is output, the second trigger area 2130 set 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120 may be switched to an active state. When a touch input for touching the second trigger area 2130 (ie,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received while the second trigger area 2130 is activated, the controller 180 performs a second trigger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140 linked to the region 2130 may be controlled to be output. (See (b) of FIG. 21) In this case,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140 may be output as a full screen or a partial screen according to an output mode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140 set in the edit mode. When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140 is set to be output on a partial screen, the output position and/or size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140 is the position and/or the output area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140 set in the edit mode. Can be determined by size.

다른 예로, 제1 추가 컨텐트(2120)의 출력 영역과 동일하게 제2 추가 컨텐트(2140)의 출력 영역이 설정된 경우, 제1 추가 컨텐트(2120) 상에 제2 추가 컨텐트(2140)를 오버레이 출력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output area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140 is set to be the same as the output area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120,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140 is overlaid 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120. May be.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2120)에 대한 터치 입력의 형태에 따라, 제2 추가 컨텐트(2140)를 출력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2120) 상의 제2 트리거 영역(2130)에 제1 형태의 터치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추가 컨텐트(2140)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제1 추가 컨텐트(2120) 상의 제2 트리거 영역(2130)에 대해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추가 컨텐트(2120)의 출력을 종료하거나, 제1 추가 컨텐트(2120)에 대한 출력 관련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형태 및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은, 포인터의 개수,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것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to output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14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ouch input for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120. For example, when a first type of touch input is input to the second trigger area 2130 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120,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140 may be output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On the other hand, when a second type of touch input is input to the second trigger area 2130 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120,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120 is terminated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or An output-related setting for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120 may be changed. Here, the first type and the second type of touch input may be different i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pointers, touch strength (touch pressure), touch time, and number of touches.

제어부(180)는 제2 트리거 영역(2130) 또는 제2 추가 컨텐트(2140)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추가 컨텐트(2140)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stop outputting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140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uching the second trigger area 2130 or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140.

또는,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2120)의 출력을 중단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추가 컨텐트(2120) 및 제2 추가 컨텐트(2140)의 출력을 모두 중단할 수 있다. 제1 추가 컨텐트(1820)의 출력을 중단하는 사용자 입력은 제1 트리거 영역(2110) 또는 제1 추가 컨텐트(2120) 상의 제2 트리거 영역(2130)을 제외한 잔여 영역을 터치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80 may stop outputting bo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120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2140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stopping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120. The user input for stopping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18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ouching a remaining area other than the first trigger area 2110 or the second trigger area 2130 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2120. Can include.

제1 추가 컨텐트 상에 복수의 트리거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각 트리거 영역의 위치는 상이할 수 있다. 또는, 제1 추가 컨텐트의 전체 영역을 트리거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may be set 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n this case, the location of each trigger area may be different. Alternatively,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as the trigger area.

제1 추가 컨텐트 상에 복수 추가 컨텐트를 위한 트리거 영역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의 위치 또는 터치 입력의 형태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추가 컨텐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의 제1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2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는 한편, 제1 추가 컨텐트의 제2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3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1 추가 컨텐트에 대해 제1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한편, 제1 추가 컨텐트에 대해 제2 형태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3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When a trigger region for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is set 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additional content to be output according to a location of a touch input touch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or a shape of the touch input. For example, when a touch input for touching a first area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received, a second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while when a touch input for touching a second area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received, a thir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utput of additional content. Alternatively, when a first type of touch input is received for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s set to be output, while when a second type of touch input is received for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 third additional content Content can be set to be displayed.

또는, 제어부(180)는 복수 추가 컨텐트 간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추가 컨텐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복수의 추가 컨텐트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가 제3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80 may select additional content to be output based on a priority among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For example, when a touch input for touch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n additional content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to be output. For example, when the priority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s higher than the priority of the third additional content,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output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touch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는 가장 낮은 순위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는 경우, 제2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는 제3 추가 컨텐트의 우선 순위보다 낮은 순위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재 수신되는 경우, 제2 추가 컨텐트가 아닌 제3 추가 컨텐트가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terminated, the priority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changed to the lowest priority. For example, when the output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s terminated, the priority of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changed to a priority lower than that of the third additional content. Accordingly, when a touch input for touch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re-received, the third additional content, not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output.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추가 컨텐트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의 출력 위치 및/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뷰어 모드 하에서도 출력 중인 추가 컨텐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additional content is being output, when a user input for the additional content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may change the output position and/or size of the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That is, even under the viewer mode,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additional content being output can be freely changed.

도 22는 추가 컨텐트의 출력 위치 및 크기가 변경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output position and size of additional content are changed.

도 22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추가 컨텐트(2210)의 가장자리를 터치한 포인터가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출력 중인 추가 컨텐트(2210)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As in the example shown in (a) of FIG. 22, when a user input of dragging a pointer touching the edge of the additional content 221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responds to the user input. ,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ize of the additional content 2210 being output.

또는, 도 19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추가 컨텐트(2210)를 터치한 포인터가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출력 중인 추가 컨텐트(221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n the example shown in (b) of FIG. 19, when a user input of dragging the pointer touching the additional content 221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responds to the user input. The location of the additional content 2210 being output may be changed.

추가 컨텐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된 상태에서,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80)는 본래 추가 컨텐트 출력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맞춰 추가 컨텐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사용자 입력은 추가 컨텐트의 출력 영역 또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것이거나 기 정의된 형태의 터치 입력일 수 있다. 기 정의된 형태는 포인터의 개수,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이상인 것일 수 있다.When a predetermined user input is received while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changed, the controller 180 may adjust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additional cont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original additional content output area. I can. Here, the predetermined user input may be to touch an output area or a trigger area of the additional content, or may be a touch input in a predefined form. The predefined form may be that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pointers, touch strength (touch pressure), touch time, and number of touch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추가 컨텐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추가 컨텐트 출력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는 편집 모드에서 설정된 것과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가 컨텐트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된 상태에서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된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고, 이후, 상기 트리거 영역을 재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본래의 추가 컨텐트 출력 영역에 맞춰 상기 추가 컨텐트가 출력될 수 있다.Even if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changed,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additional content output area may be maintained the same as that set in the edit mode. Accordingly, when a user input of touching the trigger area is received while the location and/or size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changed,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whose location and/or size is changed is terminated, and then, the trigger area is retouched. When a user input is received,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additional content output area.

또는, 추가 컨텐트의 변경된 위치 및/또는 변경된 크기에 따라, 추가 컨텐트 출력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단, 상기 변경 사항은, 이벤트 발생 전까지 유효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벤트는 뷰어 모드의 종료, 슬라이드 페이지의 변경 또는 파일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편집 모드에서의 설정에 따라 추가 컨텐트 출력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osition and/or size of the additional content output area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d position and/or the changed size of the additional content. However, the change can be maintained in effect until the event occurs. The e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nding a viewer mode, changing a slide page, or ending a file. The position and/or size of the additional content output area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tting in the edit mode.

편집 모드 하에서 편집이 완료된 컨텐트들은 단일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트리거 영역, 추가 컨텐트 출력 영역 및/또는 추가 컨텐트가 추가된 주 컨텐트를 기 정의된 파일 포맷으로 저장할 수 있다.Contents that have been edited in the edit mode may be saved as a single file. That is, the trigger area, the additional content output area, and/or the main content to which the additional content is added may be stored in a predefined file format.

제어부(180)는 주 컨텐트 및/또는 추가 컨텐트로의 사용 내역을 기록한 로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로그 데이터는 주 컨텐트로의 사용 여부, 주 컨텐트로의 사용 횟수, 주 컨텐트로 사용된 파일 정보, 추가 컨텐트로의 사용 여부, 추가 컨텐트로의 사용 횟수, 추가 컨텐트로 사용된 파일 정보 또는 추가 컨텐트로 삽입된 슬라이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로그 데이터를 참조하여, 컨텐트별 사용 내역을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generate log data that records the usage history of the main content and/or the additional content. Log data is used as main content, number of times used as main content, file information used as main content, whether used as additional content, number of times used as additional content, file information used as additional content, or additional conten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nserted slice information. The controller 180 may refer to log data and output usage details for each content.

도 23은 컨텐트별 사용 내역이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utputting usage details for each content.

제어부(180)는 주 컨텐트 및/또는 추가 컨텐트로 사용될 수 있는 컨텐트 목록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로그 데이터를 참조하여, 컨텐트 목록에 포함된 각 컨텐트의 사용 내역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컨텐트 목록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트에 대한 사용 내역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 내역은 선택된 컨텐트가 주 컨텐트 및/또는 추가 컨텐트로 이용된 횟수, 선택된 컨텐트가 사용된 파일명 또는 선택된 컨텐트가 사용된 슬라이드 번호(또는, 페이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content list that can be used as main content and/or additional content. The controller 180 may refer to log data to output a usage history of each content included in the content list. Alternatively, when any one is selected from the content list,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usage history for the selected content. The usage histor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imes the selected content is used as main content and/or additional content, a file name in which the selected content is used, or a slide number (or page number) in which the selected content is used.

파일명 또는 슬라이드 번호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파일 또는 해당 파일의 선택된 슬라이드 번호에 해당하는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When a user input of touching a file name or a slide number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corresponding file or a p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lid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file.

*제어부(180)는 컨텐트 사용 내역 출력 시, 선택된 컨텐트가 하나의 파일 또는 하나의 슬라이스에서 복수회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선택된 컨텐트가 하나의 파일 또는 하나의 슬라이스에 복수회 사용된 경우, 해당 파일 또는 해당 슬라이스 번호를 제1 서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파일 또는 슬라이스 번호는 제2 서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1 서식 및 제2 서식은 글자체, 굵기, 색상, 기울임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동일한 컨텐트가 복수회 인용된 파일 및/또는 슬라이스를 식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집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When outputting the content usage details,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whether the selected content has been used multiple times in one file or one slice. For example, when the selected content is used multiple times for one file or one slice, the corresponding file or the corresponding slice number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format. On the other hand, a file or slice number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above condition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format. The first format and the second format may be different in at least one of font, thickness, color, italicity, or size. By identifying and displaying files and/or slices in which the same content is cited multiple times, it is possible to minimize a user's editing error.

주 컨텐트에 추가하고자 하는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트 목록 출력 시, 제어부(180)는 각 컨텐트들의 사용 내역을 고려하여 컨텐트들을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 정렬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각 컨텐트들의 주 컨텐트 및/또는 추가 컨텐트로의 사용 횟수를 기준으로 컨텐트들을 오름 차순 정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 횟수를 기준으로 내림 차순 정렬하여 출력하되, 현재 편집 중인 주 컨텐트에 추가된 컨텐트들은 후순위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 내역을 기준으로 컨텐트들을 정렬 표시함으로써, 주 컨텐트에 기 삽입된 추가 컨텐트가 재 삽입되는 편집 오류를 차단할 수 있다.When outputting a content list for selecting additional content to be added to the main content, the controller 180 may sort the contents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in consideration of usage details of each content.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sort and output the contents in ascending order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at each content is used as main content and/or additional content. Alternatively, the output is sorted in descending order based on the number of uses, but contents added to the main content currently being edited may be output in a lower order. By arranging and displaying the contents based on the usage history, it is possible to block editing errors in which additional content previously inserted in the main content is reinserted.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exemplary method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expressed as a series of operations for clarity of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order in which steps are performed,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in a different order if necessary. In order to implemen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exemplary steps may include additional steps, other steps may be included excluding some steps, or may include additional other steps excluding some steps.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sted in all possible combinations, but are intended to describe representativ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matter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may be applied independently or may be applied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implementation by hardware, one or more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general purpose It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general processor), a controller, a microcontroller, a microprocessor, or the like.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software or machine-executable instructions (e.g., operating systems, applications, firmware, programs, etc.) that allow an operation according to a method of various embodiments to be executed on a device or a computer, and such software or It includes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which stores instructions and the like and is executable on a device or a computer.

110 : 통신부
120 : 카메라
130 : 마이크
140 : 사용자 입력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음향 출력부
170 : 메모리
180 : 제어부
110: communication department
120: camera
130: microphone
140: user input unit
150: display unit
160: sound output unit
170: memory
180: control unit

Claims (15)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주 컨텐트에 대한 편집 모드 및 뷰어 모드를 교차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 모드 하에서, 상기 주 컨텐트 상에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되는 제1 트리거 영역 및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에 대한 제1 출력 영역의 설정을 제어하고,
상기 뷰어 모드 하에서,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상기 제1 출력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뷰어 모드 하에서, 상기 출력된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 드래그 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출력된 제1 추가 컨텐트의 위치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receiving a touch input;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ross-executing the editing mode and the viewer mode for the main content,
The control unit, under the editing mode, controls setting of a first trigger area associated with a first additional content on the main content and a first output area for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n the viewer mode, when a touch input for touching the first trigger area on the main content is received, controlling to outpu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first trigger area to the first output area,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location or size of the outputted first additional content to chang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f touching and dragging the outputted first additional content under the viewer mo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 모드 하에서, 상기 주 컨텐트 상에 제2 추가 컨텐트와 연계되는 제2 트리거 영역 및 상기 제2 추가 컨텐트에 대한 제2 출력 영역의 추가 설정을 제어하고,
상기 뷰어 모드 하에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 및 상기 제2 트리거 영역 간 중첩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및 상기 제2 추가 컨텐트 중 우선순위가 높은 것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under the editing mode, controls an additional setting of a second trigger area associated with a second additional content on the main content and a second output area for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n the viewer mode, when a touch input for touching an overlapping region between the first trigger region and the second trigger region is received, controlling to output a higher priority amo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s performed. Characterized in, the terminal.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및 상기 제2 추가 컨텐트 중 우선순위가 높은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는 경우, 출력이 종료된 추가 컨텐트의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순위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when outputt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having a higher priority amo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s terminated, the priority of the additional content whose output is terminated is changed to the lowest priorit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 모드 하에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트리거 영역과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의 연계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가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추가 연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under the editing mod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associated with the first trigger area, when a command for linking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to the first trigger area is input,
And controlling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to be additionally linked to the first trigger area whil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first trigger area and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maintain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모드 하에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 또는 상기 제1 출력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기-정의된 크기보다 크기가 작아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Under the editing mode, at least one of the first trigger area and the first output area is not smaller in size than a pre-defined siz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뷰어 모드 하에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위치 또는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제1 출력 영역의 위치 또는 크기는 변경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Under the viewer mode, even if the location or size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changed, the location or size of the first output area does not chang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모드 하에서, 상기 제1 출력 영역의 종횡비는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종횡비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Under the editing mode, the aspect ratio of the first output area is maintained equal to the aspect ratio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편집 모드 하에서, 주 컨텐트 상에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되는 제1 트리거 영역 및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에 대한 제1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뷰어 모드 하에서,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상기 제1 출력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뷰어 모드 하에서, 상기 출력된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 드래그 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출력된 제1 추가 컨텐트의 위치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Setting a first trigger area associated wi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a first output area for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on the main content under the edit mode; And
In a viewer mode, when a touch input for touching the first trigger area on the main content is received, outputt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first trigger area to the first output area,
In the viewer mod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f touching and dragging the outputted first additional content, at least one of a location or size of the outputted first additional content is changed.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모드 하에서, 상기 주 컨텐트 상에 제2 추가 컨텐트와 연계되는 제2 트리거 영역 및 상기 제2 추가 컨텐트에 대한 제2 출력 영역을 추가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뷰어 모드 하에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 및 상기 제2 트리거 영역 간 중첩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및 상기 제2 추가 컨텐트 중 우선순위가 높은 것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dditionally setting a second trigger area associated with a second additional content and a second output area for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on the main content under the editing mode; And
In the viewer mode, when a touch input for touching an overlapping region between the first trigger region and the second trigger region is received, a higher priority amo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및 상기 제2 추가 컨텐트 중 우선순위가 높은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되는 경우, 출력이 종료된 추가 컨텐트의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순위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having a higher priority amo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s terminated, the priority of the additional content whose output is terminated is changed to the lowest priority.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모드 하에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연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트리거 영역과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의 연계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가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추가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editing mode, when a command for linking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to the first trigger area is input whil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linked to the first trigger area,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s further linked to the first trigger area whil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first trigger area and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maintained.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모드 하에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 또는 상기 제1 출력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기-정의된 크기보다 크기가 작아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editing mode, at least one of the first trigger area and the first output area is not smaller in size than a pre-defined siz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뷰어 모드 하에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위치 또는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제1 출력 영역의 위치 또는 크기는 변경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viewer mode, even if the location or size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changed, the location or size of the first output area does not chang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모드 하에서, 상기 제1 출력 영역의 종횡비는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종횡비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editing mode, the aspect ratio of the first output area is maintained equal to the aspect ratio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the terminal control method.
편집 모드 하에서, 주 컨텐트 상에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되는 제1 트리거 영역 및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에 대한 제1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뷰어 모드 하에서,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상기 제1 출력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뷰어 모드 하에서, 상기 출력된 제1 추가 컨텐트를 터치 드래그 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출력된 제1 추가 컨텐트의 위치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Setting a first trigger area associated wi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a first output area for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on the main content under the edit mode; And
In a viewer mode, when a touch input for touching the first trigger area on the main content is received, outputt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first trigger area to the first output area,
In the viewer mod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f touching and dragging the outputted first additional content, at least one of a location or size of the outputted first additional content is changed. Recorded media.
KR1020210051666A 2019-07-16 2021-04-21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KR1025536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666A KR102553661B1 (en) 2019-07-16 2021-04-21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65A KR102245042B1 (en) 2019-07-16 2019-07-16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KR1020210051666A KR102553661B1 (en) 2019-07-16 2021-04-21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665A Division KR102245042B1 (en) 2019-07-16 2019-07-16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633A true KR20210046633A (en) 2021-04-28
KR102553661B1 KR102553661B1 (en) 2023-07-11

Family

ID=8716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666A KR102553661B1 (en) 2019-07-16 2021-04-21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66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5301A1 (en) * 2010-01-27 2011-07-28 Mark Geller Providing sensory information based on detected events
KR20140099588A (en) * 2013-02-04 2014-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editing contents and display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20160016400A (en) * 2014-08-05 201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5301A1 (en) * 2010-01-27 2011-07-28 Mark Geller Providing sensory information based on detected events
KR20140099588A (en) * 2013-02-04 2014-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editing contents and display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20160016400A (en) * 2014-08-05 201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661B1 (en)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46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writing support in document editing
US9092121B2 (en) Copy and paste experience
KR101867644B1 (en)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JP5628300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graphic objects with desirable physical features for use in animation
JP55061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rtitioning a display surface into a plurality of virtual display areas
KR102118223B1 (en) Cross window animation
US20130346865A1 (en) Dynamic wallpaper of mobile systems
JP2017523515A (en) Change icon size
KR101932675B1 (en)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program written in a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2017517055A (en) Command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nd scaling selectable controls and commands
KR20140126327A (en) Thumbnail-image selection of applications
US20140223281A1 (en) Touch Input Visualizations
US11675483B2 (en) Client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moothly exchanging the display of images on a device
US11663393B2 (en) Combining and displaying multiple document areas
US20170277408A1 (en) Optimizing Window Resize Actions for Remoted Applications
US20230123119A1 (e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method is recorded
US20220121355A1 (en)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is recorded
KR102223554B1 (en)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CN109416638B (en) Customizable compact overlay window
KR102553661B1 (en)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US20150026552A1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data displaying method
KR102223553B1 (en)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US202201476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Documents from Video Content
KR102102889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30135845A (en)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