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337A - Control system and control device for patrol and moving ou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ntrol system and control device for patrol and moving ou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337A
KR20210041337A KR1020190123913A KR20190123913A KR20210041337A KR 20210041337 A KR20210041337 A KR 20210041337A KR 1020190123913 A KR1020190123913 A KR 1020190123913A KR 20190123913 A KR20190123913 A KR 20190123913A KR 20210041337 A KR20210041337 A KR 20210041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patrol
dispatch
drone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봉주
노영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1337A/en
Publication of KR2021004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3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10Terrestrial scenes
    • G06V20/17Terrestrial scenes taken from planes or by drones
    • B64C2201/127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operation of a drone. A patrol dispatch control system comprises: multiple drones; a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performing patrol dispatch control of the multiple drones; and a remote operator device receiving and monitoring images acquired by the multiple drones from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may control to dispatch at least one drone among the multiple drones to a designated area as a primary drone, select at least one drone among the remaining drones other than the primary drone as a secondary drone when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is detected in the designated area, and dispatch the secondary drone to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n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obtained from the primary drone.

Description

순찰 출동 관제 시스템과 관제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Control system and control device for patrol and moving ou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Patrol dispatch control system, contro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ontrol system and control device for patrol and moving ou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순찰 출동 운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망(LTE/5G)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무인 비행기의 순찰 운용을 보다 효율적이며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순찰 출동 관제 시스템과 관제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rol dispatch operation, and more particularly, a patrol dispatch control system and control that enable more efficient and appropriate patrol oper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performing communication based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TE/5G). I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종래 순찰 출동 시스템의 경우, 순찰 경관이 자동차 또는 도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구역을 지정된 시간 동안 순찰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순찰 경관의 순찰 능력이나 집중도 유지 등에 따라 순찰 기능이 좌우되었다.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patrol dispatch system, a patrol officer patrols a designated area for a specified time using a car or on foot. 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the patrol function was influenced by maintenance of patrol ability or concentration of the patrol officer.

한편, 최근 들어, 순찰 출동에 드론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드론을 이용한 순찰 출동 기능은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예컨대, 기존 드론의 문제점 중 하나는 드론의 순찰 시간이 짧다는 문제가 있다. 기존 드론은 배터리의 한계로 인해 비행 시간이 20~30분 내외로 짧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수소 연료, 태양광 전지 등을 배터리에 적용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으나, 범용적으로 활용되기에는 아직 부족하다. Meanwhile, in recent years, drones are being used to dispatch patrols. However, the current patrol dispatch function using drones has various problems. For example, one of the problems with existing drones is that the drone's patrol time is short. Existing drones have a short flight time of around 20 to 30 minutes due to battery limitation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ly hydrogen fuel, solar cells, and the like to batteries, but they are still insufficient to be used universally.

드론의 운용 시간이 짧기 때문에, 순찰 출동 업무에 적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먼저, 출동 드론의 배터리가 기준 값 이하인 상황에서 복귀하게 되는데, 해당 출동 드론이 이상 발생을 감지한 영역에 대한 정보를 다음 드론에 적절히 전달하기 어려워, 드론 조정자들 간에 구두나 전화 상으로 이상 상태 발생에 대한 정보가 전달될 수 밖에 없다. 이때, 구두 또는 전화 상으로 전달되는 이상 상태 발생에 대한 정보는 각 드론 조정자들의 주관적인 입장이 고려되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 전달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출동 드론이 복귀한 이후에 이상 상태 발생 정보를 다음 드론 조정자에게 전달하기 때문에 정보 전달의 실시간 성이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Since the operation time of the drone is short, the following problems may occur when applied to patrol dispatch work. First, the mobilization drone will return from a situation where the battery is below the standard value, but it is difficult to properl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area where the mobilization drone has detected an abnormality to the next drone, and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verbally or over the phone between drone coordinators. The information about it is bound to be delivered. At this time, since the subjective position of each drone coordinator is considered for the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which is transmitted verbally or over the phon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transmit the information, and the abnormal condition occurre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next dron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real-time quality of information delivery because it is delivered to the coordinator.

또한, 기존 드론은 RF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드론 조정자의 가시권 내에서 GCS(Ground Control Station, 지상 통제국)을 이용하여 1:1 조정을 하며, 해당 드론이 획득한 영상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때문에, 여러 대의 드론에 대한 동시 통제 운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순찰 출동에서의 드론 운용은 이상 탐지에 대한 지능형 영상분석(AI)을 활용하지 못하고, 드론 조종자가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드론 조정자의 집중도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할 수 밖에 없어 정확한 이상 상태 발생을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since existing drones perform 1:1 adjustment using GCS (Ground Control Station, ground control station) within the range of sight of the drone operator based on the RF communication channel, and monitor the images acquired by the drone in real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and operate multiple drones simultaneously.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drone operation in patrol mobilization cannot utilize intelligent image analysis (AI) for anomaly detection, and the drone operator must continuously perform monitoring, it is inevitable to rely on the concentration of the drone coordinator or subjective judgment. There was a problem in which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the occurrence of an exact abnormal stat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드론과 드론 관제 시스템 및 지능형 영상분석(AI)를 활용하여 순찰 출동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순찰 출동 관제 시스템과 관제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trol dispatch control system, a control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that automatically provide patrol dispatch using a drone and a dron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telligent image analysis (AI). It is in the offering.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object,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순찰 출동 관제 시스템은 지정된 구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복수개의 드론, 상기 복수개의 드론의 순찰 출동 제어를 수행하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 상기 순찰 출동 관제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드론이 획득한 영상을 전달받아 모니터링하는 원격 운용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순찰 출동 관제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드론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상기 지정된 구역에 1차 드론으로 출동시키고, 상기 지정된 구역에서 이상 상태 발생이 검출되면, 상기 1차 드론을 제외한 나머지 드론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2차 드론으로 선택하고, 상기 1차 드론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상 상태가 발생한 지역으로 상기 2차 드론을 출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atrol dispatch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ncludes a plurality of drones capable of obtaining images for a designated area, a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that performs patrol dispatch control of the plurality of drones, and the patrol dispatch. A remote operator device receiving and monitoring the images acquired by the plurality of drones from a control device, wherein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dispatches at least one dr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to the designated area as a primary drone, When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is detected in the designated area, at least one of the drones other than the primary drone is selected as a secondary drone, an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bnormal condition occurrence area obtained from the primary dron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dispatch the second drone to an area where the abnormal condition occurs.

본 발명의 순찰 출동 관제 장치는 복수개의 드론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개의 드론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1차 드론으로 선택하여 지정된 구역에 순찰 출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1차 드론으로부터 획득한 영상 분석을 기반으로 상기 지정된 구역에서 이상 상태 발생이 검출되면, 상기 1차 드론을 제외한 나머지 드론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2차 드론으로 선택하고, 상기 1차 드론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상 상태가 발생한 지역으로 상기 2차 드론을 출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atrol dispatch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t least one drone among a plurality of drones, a processor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interface, and the processor includes at least one drone among the plurality of drones. When an abnormal condition is detected in the designated area based on the image analysis acquired from the primary drone by selecting it as the primary drone and controlling to dispatch to the designated area,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drones except the primary drone A drone of is selected as a secondary drone, and the second drone can be controlled to be dispatched to an area where the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bnormal condition occurring area acquired from the primary drone.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 상태 발생의 종류에 따라 상기 2차 드론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processor may adjust the number of the secondary drones according to the type of occurrence of the abnormal state.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 상태의 크기에 따라 상기 2차 드론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rocessor may adjust the number of the secondary dron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bnormal state.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 상태 발생에 따른 알람 메시지를 원격 운용자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 운용자 장치의 응답에 따라 상기 2차 드론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rocessor may transmit an alarm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 condition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and determine the number of the secondary drones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the remote operator device.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차 드론으로부터 획득된 영상 분석을 기반으로 출동 장치의 현장 출동 요청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on-site dispatch request of the dispatch device based on the image analysis obtained from the secondary drone.

특히,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 상태 발생 위치 정보 및 상기 2차 드론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상기 출동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ocessor may control to transmit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mage acquired from the secondary drone to the dispatch device.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1차 드론의 이상 상태에 관한 영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2차 드론의 이상 상태에 관한 영상의 해상도가 높도록 상기 2차 드론과 상기 이상 상태 발생 위치와의 거리를 줄이는 비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is a flight to reduc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ary drone and the location where the abnormal state occurs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image related to the abnormal state of the secondary drone is higher than the resolution of the image related to the abnormal state of the primary drone. Control can be performed.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1차 드론이 상기 이상 상태 발생 지역으로부터 복귀하기 전에 상기 2차 드론이 상기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2차 드론의 출동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calculates a time for the secondary drone to arrive at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region before the primary drone returns from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region, and based on the calculated time, the second drone You can decide when to go.

본 발명의 순찰 출동 관제 방법은 순찰 출동 관제 장치의 프로세서가, 복수개의 드론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1차 드론으로 선택하여 지정된 구역에 순찰 출동시키는 단계, 상기 1차 드론으로부터 획득한 영상 분석을 기반으로 상기 지정된 구역에서 이상 상태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상 상태 발생이 검출되면, 상기 1차 드론을 제외한 나머지 드론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2차 드론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1차 드론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상 상태가 발생한 지역으로 상기 2차 드론을 출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atrol dispatch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of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selects at least one drone among a plurality of drones as the primary drone and dispatches them to a designated area, based on image analysis obtained from the primary drone.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in the designated area, when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 condition is detected,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drones other than the primary drone as a secondary drone, obtained from the primary drone It may include the step of dispatching the second drone to the area where the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bnormal condition occurrence area.

여기서, 상기 2차 드론을 출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1차 드론이 복귀를 시작하기 전 상기 2차 드론이 상기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2차 드론을 출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dispatching the secondary drone includes calculating a time for the secondary drone to arrive at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before the primary drone starts to return, and the second based on the calculated time. It may include the step of dispatching the car drone.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드론 관제 운용자가 모니터링하고 있지 않아도, 지능형 영상분석 통해 자동으로 이상을 탐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utomatic detection of anomalies through intelligent image analysis even if the drone control operator is not monitoring.

또한, 본 발명은 드론 관제를 통해 선행 드론이 이상을 탐지한 위치를 후행 드론들에게 적절히 전달함으로써, 후행 드론들의 이상 탐지 위치로의 순찰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patrolling of the following drones to the anomaly detection location of the following drones in real time by appropriately transmitting the location at which the preceding drone has detected an anomaly to the following drones through drone control.

또한, 본 발명은 후행 드론을 군집 드론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상 상태 발생 영역에 대한 감시, 스피커 방송, 응급품 낙하 등 다양한 임무를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following drones to be operated as swarm drones, so that various missions such as monitoring for an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speaker broadcasting, and emergency equipment dropping can be efficiently distributed and supported.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상태 발생에 대한 대응을 위한 후행 드론을 통해 조기 모니터링, 대응 등 주요 시설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damage to major facilities, such as early monitoring and response, through a trailing drone for a response to an abnormal state occurrence.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effect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ffects may be directly or implicitly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찰 출동 운용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찰 출동 운용 시스템의 운용과 관련한 신호 흐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찰 출동 관제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운용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운용자 장치의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찰 출동 관제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찰 출동 관제 장치의 운용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atrol dispatch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ignal flow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atrol dispatch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mote opera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interface of a remote opera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operating a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operating a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In order to clarify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throughout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for describing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other elements, and to limit the elements. Not used.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element, and similarly, the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elem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other features or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preliminarily excluded.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group",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or an", "one", "the" and similar related words are differen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the context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following claims). Unless indicated or clearly contradicted by context, it may be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상술한 용어들 이외에,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terms, specific term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 of these specific terms may be changed in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mputer-readable media having or transferring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or data structures stored in the computer-readable media. Such computer-readable media may be any available media accessible by a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 system. By way of example, such computer readable media may be in the form of RAM, ROM, EPROM, CD-ROM or other optical disk storage, magnetic disk storage or other magnetic storage, or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or data structures.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physical storage media such as any other media that can be used to store or deliver certain program code means of the computer and can be accessed by a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 system.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찰 출동 운용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atrol dispatch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순찰 출동 운용 시스템(10)은 복수의 드론들(100, 500), 기지국(150),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 원격 운용자 장치(300) 및 출동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atrol dispatch oper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a base station 150, a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a remote operator device 300, and a dispatch Device 400 may be included.

상기 복수의 드론들(100, 500)은 LTE/5G 모뎀과 드론 카메라 및 비행 구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드론들(100, 500)은 출동 순서에 따라 1차 드론(100) 및 2차 드론(500)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드론들(100, 500)은 기지국(150)을 통해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로부터 순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순찰 정보는 상기 복수의 드론들(100, 500)이 순찰해야 하는 지역의 위치들, 위치 지역 위치들의 순찰 순서, 지역 위치들의 순찰 시간, 지역 위치들의 순찰 고도, 순찰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찰 정보는 상기 복수의 드론들(100, 500)의 성능(예: 비행 가능 시간, 비행 가능 속도, 비행 가능 고도 등)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may include an LTE/5G modem, a drone camera, and a flight driving module.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may be divided into a primary drone 100 and a secondary drone 500 according to an order of dispatch.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may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base station 150 and receive patrol information from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The patrol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locations of an area to be patrolled by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a patrol order of location area locations, patrol time of local locations, patrol altitude of local locations, and patrol speed. I can. The patrol information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eg, flight time, flight speed, flight altitude, etc.).

복수의 드론들(100, 500)은 모두 동일한 드론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드론들(100, 500)은 정책에 따라, 1차로 순찰하는 드론의 적어도 일부 구성이 2차 출동하는 드론의 적어도 일부 구성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1차로 순찰하는 드론의 적어도 일부 구성이 2차 출동하는 드론의 적어도 일부 구성보다 높은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1차 드론은 2차 드론보다 오랫동안 순찰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성능이 좋은 비행 구동 모듈을 가지되, 저 성능의 가벼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드론들(100, 500)에 적용되는 순찰 정보는 출동 순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1차 드론의 순찰 고도와 순찰 속도는 2차 드론의 순찰 고도 및 속도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는, 1차 드론의 비행 가능 시간이 2차 드론의 비행 가능 시간보다 긴 경우, 1차 드론의 순찰 시간은 2차 드론의 순찰 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드론들(100, 500)은 상기 순찰 정보에 따라 순찰을 수행하고, 순찰 수행 중 획득된 순찰 영상을 상기 기지국(150)을 통해 상기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may all be composed of the same drones.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may have a relatively lower performance than at least some of the drones that patrol in the first order, or have a relatively lower performance than at least some of the drones that patrol in the first order, depending on the policy. At least some components of the drone may have a higher performance than at least some components of the second drone. For example, a primary drone has a relatively high performance flight drive module so that it can patrol for a longer time than a secondary drone, but may include a light camera with low performance. Patrol information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may vary according to the order of dispatch. For example, the patrol altitude and patrol speed of the primary drone may be set higher than the patrol altitude and speed of the secondary drone. Alternatively, when the available flight time of the primary drone is longer than the available flight time of the secondary drone, the patrol time of the primary drone may be set longer than the patrol time of the secondary drone.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may perform a patrol according to the patrol information, and transmit a patrol image acquired during the patrol to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base station 150.

상기 기지국(150)은 LTE/5G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50)은 복수의 드론들(100, 500) 중 적어도 일부와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 사이에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할 수 있다. The base station 150 may support an LTE/5G communication method. The base station 150 may support formation of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and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상기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는 기지국(15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드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순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순찰 정보를 복수의 드론들(100, 500)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는 복수의 드론들(100, 500)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1차 드론으로 순찰 출동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는 1차 드론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분석을 기반으로 2차 드론의 출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는 2차 드론을 통해 수집된 영상을 기반으로 이상 상태 발생에 대한 처리 예컨대, 현장 출동을 제어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는 현장 지원과 관련한 물품을 포함하는 3차 드론 출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는 비행 제어 서버(210), 영상 분석 서버(230) 및 영상 전송 서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may control at least one drone through the base station 150.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may generate at least one patrol information and provide the patrol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to patrol dispatch as a primary drone.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may receive an image from the primary drone and perform dispatch control of the secondary drone based on the received image analysis.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may control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based on the image collected through the secondary drone, for example, to control an on-site dispatch. In addition,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may control the third drone dispatch including items related to field support.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 flight control server 210, an image analysis server 230, and an image transmission server 220.

상기 비행 제어 서버(210)는 복수개의 드론들(100, 500)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과 연동하여, 비행할 영역 및 비행 포인트와 카메라 동작 등을 포함하는 임무(Mission)를 각 드론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행 제어 서버(210)는 드론의 비행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복수개의 드론들(100, 500)은 자신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비행 제어 서버(210)에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may interlock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to give each drone a mission including a flight area, a flight point, and a camera operation. have. In addition,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may monitor the flight status of the drone. In this regard,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may transmit their location information and attitude information to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in real time.

상기 영상 전송 서버(220)는 복수개의 드론들(100, 500) 중 출동 처리한 드론으로부터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의 저장 및 전달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영상 전송 서버(220)는 FHD/4K급 영상을 순찰 출동한 드론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원격 운용자 장치(300)에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영상 전송 서버(220)는 1차 드론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의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 및 원격 운용자 장치(300)에 전송하고, 2차 드론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 및 원격 운용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1차 드론이 제공한 영상은 2차 드론이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고도에서 촬영한 영상이거나 1차 드론의 속도가 2차 드론의 속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에서 촬영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mage transmission server 220 may collect an image from a drone that has been dispatched among a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and may process the storage and delivery of the collected image. For example, the image transmission server 220 may receive an FHD/4K-class image from a drone patrolling and transmit the received image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in real time. As another example, the image transmission server 220 receives a relatively low resolution image from the primary drone, stores it, and transmits it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and receives a relatively high resolution image from the secondary drone. It may also be stored and transmitted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The image provided by the primary drone may include an image captured at a relatively high altitude compared to a secondary drone, or an image captured at a state in which the speed of the primary drone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speed of the secondary drone.

상기 영상 분석 서버(230)는 드론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사람, 차량, 화재 등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비행 제어 서버(2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분석 서버(230)는 지정된 구역에 사람이나 차량이 있는지, 화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필터링을 통해 분석하고, 해당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상기 영상 분석 서버(230)는 사람 또는 차량 객체에 해당하는 필터, 화재 발생 시 검출되는 연기나 불의 패턴에 해당하는 필터를 운용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한 딥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분석 서버(230)는 사람, 차량, 화재 등의 분석 결과를 원격 운용자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image analysis server 230 may receive an image of a drone in real time, detect a person, a vehicle, a fire, etc., and transmit the result to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For example, the image analysis server 230 may analyze whether there is a person or vehicle in a designated area or whether a fire has occurred through filtering, and output a corresponding result. In this operation, the image analysis server 230 may operate a filter corresponding to a person or vehicle object, a filter corresponding to a pattern of smoke or fire detected when a fire occurs, and perform deep learning related thereto. The image analysis server 230 may provide analysis results of people, vehicles, and fires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상기 원격 운용자 장치(300)는 통합 관제실에서 드론 관제를 제어하는 운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운용자 장치(300)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의 순찰 제어에 대한 정보, 순찰 결과에 대한 정보, 이상 상태 발생에 대한 정보, 이상 상태 발생에 대한 처리 정보 등을 원격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운용자 장치(300)는 수신된 정보를 지정된 방식에 따라 출력하고, 운용자로부터 특정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메시지를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may include an operator device that controls drone control in an integrated control room.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and includes information on patrol control of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information on a patrol result, information on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and abnormality. It is possible to remotely receive processing information about the occurrence of a state.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may output the received information according to a specified method and, when receiving a specific input from the operator, may transmit a control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nput to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상기 출동 장치(400)는 이상 상태가 발생한 현장 또는 현장 요원은 직접 확인이 필요한 현장 등에 현장 요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동 장치(400)는 적어도 한 명의 현장 요원을 탑승시킬 수 있는 탑승 수단, 탑승한 현장 요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수단,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순찰 차량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동 장치(400)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로부터 복수개의 드론들(100, 500)의 기체 배치 및 비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여 현장 요원이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The dispatch device 400 may include a device capable of moving field personnel to a site where an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or a site where direct confirmation is required. For example, the dispatch device 400 may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boarding means capable of boarding at least one field agent, a moving means capable of moving a boarding field agent, and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It may include a patrol vehicle device and the like including a communication means. The dispatch device 400 receives and outputs information capable of monitoring the arrangement and flight of a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from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to support field personnel to check the information. I ca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찰 출동 운용 시스템의 운용과 관련한 신호 흐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ignal flow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atrol dispatch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101 단계에서,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는 1차 드론 출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의 비행 제어 서버(210)는 1차 드론에 지정된 임무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임무는 상기 1차 드론이 출동할 구역, 구역 내 순찰 루트, 순찰 고도, 순찰 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in step 101,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may control the first drone dispatch. In this operation,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of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may assign a designated mission to the primary drone. The mission may include an area in which the primary drone will be dispatched, a patrol route within the area, a patrol altitude, a patrol speed, and the like.

102 단계에서, 순찰 출동한 1차 드론은 임무로 부여된 구역에 도착하면,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지정된 고도에서 지정된 속도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1차 드론은 촬영된 영상을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1차 드론은 드론 운행 정보를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에 함께 제공할 수 있다.In step 102, when the first drone that has been dispatched to patrol arrives at an area assigned as a mission, it activates the camera and can shoot an image at a specified altitude and at a specified speed. The primary drone may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In this operation, the primary drone may provide dron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together.

103 단계에서,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는 1차 드론의 운행 정보를 원격 운용자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원격 운용자는 1차 드론 운행 정보를 모니터링하면서, 1차 드론이 부여된 임무에 따라 순찰 활동을 수행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In step 103,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may provid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primary drone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The remote operator can monitor the primary drone operation information and check whether the primary drone performs patro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ssigned mission.

한편, 104 단계에서,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의 영상 전송 서버(220)는 1차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 요청을 영상 분석 서버(230)에 전달할 수 있다. 105 단계에서, 영상 분석 서버(230)는 영상 전송 서버(220)의 요청에 따라 영상 전송 서버(220)에 접속하고, 영상 전송 서버(220)가 분석 요청한 영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106 단계에서, 영상 분석 서버(230)는 영상 분석 결과를 비행 제어 서버(2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분석 결과는 시간, 객체, 위치 좌표, 객체 종류, 썸네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step 104, the image transmission server 220 of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may transmit an image analysis request for an image received from the primary drone to the image analysis server 230. In step 105, the image analysis server 230 may access the image transmission server 220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image transmission server 220 and perform analysis on the image requested by the image transmission server 220 for analysis. In step 106, the image analysis server 230 may transmit the image analysis result to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The image analysis result may include time, object, location coordinates, object type, thumbnail information, and the like.

107 단계에서, 비행 제어 서버(210)는 이상 물체 탐지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원격 운용자 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원격 운용자 장치(300)에 전달되는 알람 메시지는 객체 표시 정보, 시간 정보, 위/경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상태 발생 시, 108 단계에서 원격 운용자 장치(300)는 자동으로 또는 운용자 입력에 따라 2차 드론 출동을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에 요청할 수 있다. In step 107,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may transmit an alarm message for detecting an abnormal object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In this operation, the alarm message transmitted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may include object display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latitude/longitude information, and the like. When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in step 108,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may request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to dispatch a second drone automatically or according to an operator input.

109 단계에서,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의 비행 제어 서버(210)는 2차 드론 출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상기 비행 제어 서버(210)는 1차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알람 메시지 중 적어도 일부를 2차 드론의 임무 정보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행 제어 서버(210)는 알람 메시지 중 이상 상태 발생된 위/경도 정보, 객체 표시 정보를 2차 드론에 제공할 수 있다. 2차 드론 출동 시점과 관련하여, 비행 제어 서버(210)는 1차 드론이 복귀를 시작하기 전 상기 2차 드론이 상기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을 기반으로 2차 드론의 출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비행 제어 서버(210)는 1차 드론의 잔여 비행 시간을 고려할 수 있다. 잔여 비행 시간은 1차 드론의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산출되거나, 1차 드론에 설정된 최대 비행 시간에서 현재까지 비행된 시간을 차감하여 산출될 수 있다. In step 109,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of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may control the second drone dispatch. In this operation,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may provide at least some of the alarm messages received from the primary drone to the mission information of the secondary drone. For example,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may provide latitude/longitude information and object display information in which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among the alarm messages to the secondary drone. Regarding the timing of the second drone dispatch,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calculates a time for the second drone to arrive at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before the first drone starts to return, and based on the calculated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atch of the second drone. Here,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may consider the remaining flight time of the primary drone. The remaining flight time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primary drone, or may be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flight time to the present from the maximum flight time set for the primary drone.

예를 들어, 1차 드론의 잔여 비행 시간이 20분이고, 복귀 소요 시간이 5분일 경우, 1차 드론은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서 15분간 머무를 수 있다. 비행 제어 서버(210)는 2차 드론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1차 드론이 해당 이상 상태 발생 지역을 벗어나기 전에 2차 드론이 도착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remaining flight time of the primary drone is 20 minutes and the return time is 5 minutes, the primary drone can stay in an abnormal condition for 15 minutes.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may control the secondary drone to arrive before the primary drone leaves a corresponding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speed of the secondary drone.

예를 들어, 2차 드론이 1차 드론과 동일한 속도를 가지고 있어 이상 상태 발생 지역으로 이동하는데 5분이 소요되는 경우, 비행 제어 서버(210)는 1차 드론의 잔여 비행 시간이 20분이 남은 시점을 기준으로 10분 후에 2차 드론의 출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상태 발생 지역은 1차 드론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를 통해, 비행 제어 서버(210)는 1차 드론이 이상 상태 발생 지역을 벗어나 복귀하기 전에 2차 드론을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도착시켜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대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condary drone has the same speed as the primary drone and it takes 5 minutes to move to an abnormal condition,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determines the time when the remaining flight time of the primary drone remains 20 minutes. As a standard, you can control the dispatch of the second drone after 10 minutes.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can be set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primary drone.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trol,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may secure an image of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region by arriving the second drone at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region before the primary drone returns from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region.

상기 2차 드론은 상기 위/경도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 상태 발생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비행 제어 서버(210)는 복수의 드론들을 2차 드론으로 출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행 제어 서버(210)는 원격 운용자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일정 개수의 2차 드론을 출동시킬 수 있다. 또는, 비행 제어 서버(210)는 이상 상태의 종류에 따라 드론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행 제어 서버(210)는 일정 구역에 침입이 발생한 경우, 기본 2개의 드론을 출동(1개 드론은 침입 경로를 촬영하고, 다른 하나의 드론은 침입 인원을 추적 촬영함)시키되, 침입 인원의 수에 대응하여 추가 드론을 출동시킬 수 있다. 비행 제어 서버(210)는 화재 발생 시, 기본 5개(4개의 드론으로 4개의 방위에서 화재 현장을 촬영하고, 하나의 드론은 화재 발생 지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정된 고도 상에서 화재 현장을 촬영함)의 드론을 출동 시키되, 화재의 크기에 따라 추가 드론을 더 출동시킬 수 있다. 비행 제어 서버(210)는 차량 사고 발생 시, 기본 3개의 드론을 출동시키되, 차량 사고의 크기에 따라 추가드론을 더 출동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드론이 2차 드론으로 출동되는 경우, 비행 제어 서버(210)는 이상 상태 발생 지점을 중심으로 드론들이 충돌을 일으키지 않도록 비행 경로가 중첩되지 않도록 자동 설정할 수 있다. The secondary drone may move to an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based on the latitude/longitude information. In this operation,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may dispatch a plurality of drones as secondary drones. For example,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may dispatch a certain number of secondary drones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Alternatively,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may adjust the number of drones according to the type of abnormal state. For example, when an intrusion occurs in a certain area,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dispatches two basic drones (one drone photographs the intrusion path, and the other drone tracks the intrusion personnel), Additional drones can be dispatched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invading personnel. When a fire occurs,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is basically 5 (4 drones shoot the fire scene from 4 defenses, and one drone shoots the fire scene at a specified altitude based on the center of the fire area) Dispatch drones, but additional drones can be dispatch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ire. When a vehicle accident occurs,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dispatches three basic drones, but may further dispatch additional dron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ehicle accident. When a plurality of drones are dispatched as secondary drones,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may automatically set the flight path so that the flight paths do not overlap so that the drones do not collide around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point.

110 단계에서, 상기 2차 드론은 비행 제어 서버(21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짐벌 제어 및 비행 기체 제어를 수행하고, 1차 드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에서 보다 정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드론은 비행 제어 서버(210) 제어에 따라, 사람, 차량, 화재 등 이상 상태와 관련한 물체를 발견하고, 카메라/짐벌을 통해 줌인/아웃, 카메라 좌우상하 이동을 통해 보다 정확히 물체 추적 및 검출을 수행하고, 필요한 경우, 특정 위치로 비행 기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110 단계에서 획득된 2차 드론 영상은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의 영상 분석 서버(230)에 의해 분석된 후, 분석 결과가 원격 운용자 장치(300)에 전달되거나, 또는, 별도의 영상 분석 과정의 수행 없이, 원격 운용자 장치(300)에 전달될 수 있다. In step 110, the secondary drone performs camera/gimbal control and flying aircraft contro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and captures a more precise image at a relatively low altitude compared to the primary drone, and captures The recorded image may be provided to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the secondary drone detects objects related to abnormal conditions such as people, vehicles, and fires, and more accurately through zooming in/out and horizontal movement of the camera through a camera/gimbal. Object tracking and detection can be performed and, if necessary, the flying aircraft can be moved to a specific location. After the second drone image acquired in step 110 is analyzed by the image analysis server 230 of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the analysis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or a separate image analysis process Without performing,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111 단계에서, 원격 운용자 장치(300)는 2차 드론 영상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 디스플레이에 해당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운용자 장치(300)는 2차 드론들에 대한 비행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2차 드론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In step 111,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may output a corresponding image to the display for monitoring the secondary drone image. In addition,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may output information on the secondary drones on the display so as to monitor flight status information on the secondary drones.

112 단계에서, 원격 운용자 장치(300)의 사용자는 현장 출동이 필요한 경우, 출동 장치(400)에 현장 출동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동 장치(400)는 현장 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원격 운용자 장치(300)는 출동 장치(400)에 1차 드론 영상 및 2차 드론 영상, 영상 분석 결과,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출동 장치(400)는 1차 드론 영상 및 영상 분석 결과와 위치 정보를 토대로 이동하면서, 2차 드론 영상을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이상 상태 확인을 지원할 수 있다. In step 112, when the user of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needs to be dispatched to the site, the user of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may request the dispatching device 400 to be dispatched to the site. Accordingly, the dispatch device 400 may perform field dispatch. In this process,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may provide a first drone image, a second drone image, an image analysis result, a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atch device 400. The dispatch device 400 may support abnormal status check by sharing the second drone image in real time while moving based on the first drone image and the image analysis result and location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찰 출동 관제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201), 제1 프로세서(260), 제1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atrol dispatch control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01, a first processor 260, and a first memory 240.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복수개의 드론들(100, 500)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LTE/5G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제1 프로세서(260) 제어에 대응하여 1차 드론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1차 드론에 임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1차 드론이 전달하는 영상을 수신하여 제1 프로세서(2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제1 프로세서(260) 제어에 대응하여 2차 드론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2차 드론에 알람 메시지 중 적어도 일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원격 운용자 장치(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1차 드론 영상의 영상 분석 결과를 원격 운용자 장치(300)에 제공하고, 원격 운용자 장치(300)로부터 2차 드론 출동에 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제1 프로세서(260) 제어에 대응하여, 2차 드론이 획득한 영상을 원격 운용자 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출동 장치(4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제1 프로세서(260) 제어에 대응하여 1차 드론 영상, 영상 분석 결과, 이상 상태 발생 위치 정보, 2차 드론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출동 장치(4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01 may support a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01 may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In this regard,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01 may support an LTE/5G communication method.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01 may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primary drone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first processor 260 and transfer mission information to the primary drone.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01 may receive an image transmitted by the primary drone and transmit it to the first processor 260.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01 may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secondary drone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first processor 260 and provide at least some information of an alarm message to the secondary drone.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01 may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01 may provide an image analysis result of the first drone image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and receive a request for a second drone dispatch from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01 may transmit the image acquired by the secondary drone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first processor 260.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01 may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dispatch device 400.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01 may transmit at least some of the first drone image, the image analysis result,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drone image to the dispatch device 400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first processor 260. .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 운용과 관련한 신호의 전달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비행 제어부(261), 영상 수집부(263), 영상 분석부(265) 및 현장 출동 지원부(26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행 제어부(261), 영상 수집부(263), 영상 분석부(265) 및 현장 출동 지원부(267)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성된 후, 메모리에 로드되어 제1 프로세서(26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상기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가 복수의 서버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비행 제어부(261)는 앞서 설명한 비행 제어 서버(210)에 대응되며, 상기 영상 수집부(263)는 상기 영상 전송 서버(220)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영상 분석부(265)는 상기 영상 분석 서버(230)에 대응될 수 있다. The first processor 260 may transmit and process signal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In this regard, the first processor 260 may include a flight control unit 261, an image collection unit 263, an image analysis unit 265, and a field dispatch support unit 267. At least one of the flight control unit 261, the image collection unit 263, the image analysis unit 265, and the field dispatch support unit 267 is implemented as at least one hardware processor or configured as a software module, and then loaded into a memory. And can be accessed by the first processor 260. When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rvers, the flight control unit 261 corresponds to the flight control server 210 described above, and the image collection unit 263 is the image transmission server 220 ). The image analysis unit 265 may correspond to the image analysis server 230.

상기 비행 제어부(261)는 복수개의 드론들(100, 500)의 비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행 제어부(261)는 복수개의 드론들(100, 500)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1차 드론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드론의 1차 순찰 출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행 제어부(261)는 이상 상태 발생 시, 복수개의 드론들(100, 500)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2차 드론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드론을 이상 상태 발생 지역으로 출동시킬 수 있다. 상기 비행 제어부(261)는 복수개의 드론들(100, 500)의 카메라 제어를 수행하여, 지정된 순찰 구역에 대한 영상 획득 및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대한 상세 영상 획득을 제어할 수 있다. The flight control unit 261 may perform flight control of a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For example, the flight controller 261 may selec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as the primary drone and control the primary patrol dispatch of the selected drone. In addition, when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the flight control unit 261 may selec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as a secondary drone and dispatch the selected drone to an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The flight controller 261 may perform camera control of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to control acquisition of an image for a designated patrol area and a detailed image for an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상기 영상 수집부(263)는 상기 1차 드론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면, 이를 제1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수집부(263)는 제1 메모리(240)에 저장된 1차 드론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영상 분석부(265)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수집부(263)는 이상 상태 발생에 따라 2차 드론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면, 수신된 2차 드론 영상을 원격 운용자 장치(300)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image collection unit 263 receives an image from the primary drone, the image collection unit 263 may store the image in the first memory 240. The image collection unit 263 may request the image analysis unit 265 for image analysis on the primary drone image stored in the first memory 240. The image collection unit 263 may control to transmit the received secondary drone image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when an im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ary dron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상기 영상 분석부(265)는 상기 영상 수집부(263) 요청에 따라 제1 메모리(240)에 저장된 1차 드론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분석부(265)는 영상 분석 결과, 해당 영상에서 지정된 패턴(예; 침입자 발생 패턴, 차량 침입 또는 도난 발생 패턴, 화재 발생 패턴 등)이 검출되면, 이상 상태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분석부(265)는 이상 상태 발생 결과를 영상 수집부(263)에 제공할 수 있다.The image analysis unit 265 may perform image analysis on the primary drone image stored in the first memory 240 at the request of the image collection unit 263. When the image analysis unit 265 detects a pattern (eg, an intruder occurrence pattern, vehicle intrusion or theft occurrence pattern, fire occurrence pattern, etc.) in the image as a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it may determine that an abnormal state has occurred. The image analysis unit 265 may provide a result of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to the image collection unit 263.

상기 현장 출동 지원부(267)는 이상 상태 발생에 따라 출동 장치(400)의 현장 출동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 출동 지원부(267)는 1차 드론 영상에서 이상 상태 발생으로 판단된 후, 2차 드론 영상에서 이상 상태 발생이 확정된 경우, 출동 장치(400)에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장 출동 지원부(267)는 2차 드론 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동 장치(400)와 공유할 수 있다. 또는, 현장 출동 지원부(267)는 1차 드론 영상에서 이상 상태 발생 시, 이상 상태 발생에 관한 1차 드론 영상을 원격 운용자 장치(300)에 제공하고, 원격 운용자 장치(300)로부터 출동 장치(400) 출동을 요청받는 경우, 출동 장치(400)에 이상 상태 발생 지역으로의 출동을 요청하는 한편, 해당 지역 위치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는, 현장 출동 지원부(267)는 2차 드론 영상을 확인한 원격 운용자 장치(300)로부터 현장 출동을 요청받는 경우, 출동 장치(400) 출동과 관련한 정보 제공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출동 지원부(267)의 출동 장치(400)와의 정보 공유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의 정책에 따라 1차 드론 영상 분석 결과가 이상 상태 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로 결정되거나, 2차 드론 영상 분석 결과가 이상 상태 발생 확정으로 결정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현장 출동 지원부(267)는 이상 상태 발생 확정에 관계 없이, 원격 운용자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지정된 위치로 출동 장치(400)의 현장 출동을 요청할 수도 있다.The on-site dispatch support unit 267 may support the on-site dispatch of the dispatch device 400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For example, after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in the first drone image, the on-site dispatch support unit 267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abnormal condition occurrence area in the dispatch device 400 when the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in the second drone image. You can provid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field dispatch support unit 267 may share the second drone image with the dispatch device 400 in real time. Alternatively, when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in the first drone image, the on-site dispatch support unit 267 provides the first drone image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 condition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and the dispatch device 400 from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 When a dispatch request is received, the dispatch device 400 may request dispatch to an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while shar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region. Alternatively, when the on-site dispatch support unit 267 receives a request for on-site dispatch from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that has checked the secondary drone image, the dispatch device 400 may process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patch. The sharing of information with the dispatch device 400 of the on-site dispatch support unit 267 is determined as a case where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first drone image is determined to be an abnormal condition according to the policy of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or the second drone image It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analysis result is determined as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state. Alternatively, the on-site dispatch support unit 267 may request the on-site dispatch of the dispatch device 400 to a designated location at the request of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regardless of the determination of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상기 제1 메모리(240)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 운용과 관련한 데이터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메모리(240)는 영상 분석 알고리즘(241), 비행 제어 알고리즘(243) 및 이상 상태 정보(245)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분석 알고리즘(241)은 1차 드론 영상 및 2차 드론 영상의 영상 분석을 통해 이상 상태 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분석 알고리즘(241)은 드론이 획득한 드론 영상에 지정된 패턴(예: 사람 침입 패턴, 차량 침입 또는 차량 도난 패턴, 화재 발생 패턴 등)이 검출되는지 확인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분석 알고리즘(241)은 1차 드론 영상의 이상 상태 발생을 구분하는 제1 문턱값(또는 기준 값) 및 2차 드론 영상의 이상 상태 발생 확정을 위한 제2 문턱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행 제어 알고리즘(243)은 1차 드론의 순찰 출동과 관련한 제1 비행 제어 루틴, 2차 드론의 이상 상태 발생 지역과 관련한 제2 비행 제어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행 제어 루틴은 하나의 드론이 지정된 구역에서 지정된 고도를 유지하면서, 지정된 속도와 방향 및 루트를 통해 비행하도록 설정된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비행 제어 루틴은 이상 상태 발생 지역으로 이동, 이상 상태의 종류에 따른 고도를 유지하면서, 해당 이상 상태를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는 근접 거리를 유지하면서 이상 상태 발생 객체를 촬영하도록 설정된 루틴 및 복수의 드론들 간의 충돌 억제를 위한 비행 루트 중복 제거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emory 240 may store and manage data related to operation of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For example, the first memory 240 may store an image analysis algorithm 241, a flight control algorithm 243, and abnormal state information 245. The image analysis algorithm 241 may include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occurrence of an abnormal state through image analysis of a primary drone image and a secondary drone image. For example, the image analysis algorithm 241 may include an algorithm that checks whether a specified pattern (eg, a person intrusion pattern, a vehicle intrusion or vehicle theft pattern, a fire occurrence pattern, etc.) is detected in the drone image acquired by the drone. have. The image analysis algorithm 241 may include a first threshold value (or a reference value) for discriminating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state in the primary drone image and a second threshold value for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state in the secondary drone image. The flight control algorithm 243 may include a first flight control routine related to the patrol movement of the primary drone, and a second flight control routine related to an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of the secondary drone. The first flight control routine may include a routine set to fly through a designated speed, direction, and route while maintaining a designated altitude in a designated area. The second flight control routine moves to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maintains the altitud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bnormal state, and maintains a close distance that allows precise photographing of the abnormal state, and a routine set to photograph an abnormal state occurrence object, and a plurality of It may include a flight route deduplication routine to suppress collisions between drones.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운용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mote opera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운용자 장치(300)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301), 제2 프로세서(360), 제2 메모리(340), 입출력부(350) 및 디스플레이(3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a remote operator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301, a second processor 360, a second memory 340, an input/output unit 350, and a display 370. It may include.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301)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와 원격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301)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제2 프로세서(360)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37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301)는 입출력부(350) 운용에 따라 2차 드론 출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301 may establish a remote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301 may receive at least one image from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and output it to the display 370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processor 360.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301 may transmit a message requesting a second drone dispatch to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output unit 350.

상기 제2 메모리(340)는 원격 운용자 장치(300) 운용과 관련한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메모리(340)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예: 1차 드론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메모리(340)는 이상 상태 발생에 따른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메모리(340)는 2차 출동 요청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메모리(340)는 2차 드론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econd memory 340 may store and manage data related to operation of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For example, the second memory 340 may store at least a part of an image (eg, a primary drone image) received from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Alternatively, the second memory 340 may store an image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a time point according to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The second memory 340 may store a record of a second call request. In addition, the second memory 340 may store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ary drone image.

상기 입출력부(350)는 원격 운용자 장치(300)의 입력 신호 생성 및 신호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입출력부(350)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물리키, 키패드, 터치스크린, 음성 명령을 위한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부, 지정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램프,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350)는 1차 드론 영상 중 이상 상태 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안내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운용자 장치(300)의 사용자는 다른 보안 관련 업무를 수행하면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통해 이상 상태 발생에 대해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350)는 2차 드론 출동 요청과 관련한 사용자 입력, 출동 장치(400) 현장 출동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The input/output unit 350 may generate an input signal and output a signal of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In this regard, the input/output unit 350 includes, for example, an input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of a physical key, a keypad, a touch screen, and a microphone for a voice command, a speaker capable of outputting a designated signal, a lamp, and a vibration. It may include an output unit including one. The input/output unit 350 may output an audio signal guiding 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 state has occurred in the primary drone image. Accordingly, the user of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through the audio signal while performing other security related tasks. In addition, the input/output unit 350 may generate a user input related to a second drone dispatch request and a user input requesting the dispatch device 400 to move to the site according to user control.

상기 디스플레이(370)는 원격 운용자 장치(300) 운용과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370)는 1차 드론 영상의 적어도 일부, 2차 드론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370)는 1차 드론 영상의 영상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370)는 2차드론 출동 요청과 관련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370)는 출동 장치(400) 현장 출동과 관련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The display 370 may output at least one screen related to operation of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For example, the display 370 may output at least a portion of a primary drone image and at least a portion of a secondary drone image. In addition, the display 370 may output an image analysis result of the primary drone image. The display 370 may output a screen related to a request to dispatch a secondary drone. The display 370 may output a screen related to the dispatch device 400 on-site dispatch.

상기 제2 프로세서(360)는 원격 운용자 장치(300)의 운용 제어와 관련한 신호의 처리 및 신호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 프로세서(360)는 영상 처리부(3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361)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지정된 크기로 디스플레이(37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361)는 1차 드론 영상에서 이상 상태 발생에 따른 패턴이 검출된 경우, 이상 상태 발생을 지시하는 메시지 또는 표시 효과를 디스플레이(37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361)는 2차 드론 출동과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2차 드론 출동이 요청된 경우, 2차 드론 출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361)는 2차 드론으로부터 이상 상태 발생 지역과 관련한 영상을 수신하면, 이를 디스플레이(370)에 출력하되, 드론의 개수에 따라 화면을 분할한 후, 복수개의 2차 드론들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361)는 2차 드론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원격 운용자 장치(300) 사용자 제어에 따라 또는 사전 정의된 정책에 따라 출동 장치(400)에 공유할 수 있다. The second processor 360 may process and transmit signals related to operation control of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In this regard, the second processor 360 may include an image processing unit 361. The image processing unit 361 may control to output the image received from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to the display 370 in a specified size. Also, when a pattern according to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is detected in the primary drone image, the image processing unit 361 may control to output a message indicating occurrence of the abnormal condition or a display effect to the display 370. The image processing unit 361 outputs a screen interface related to the second drone dispatch, and when a second drone dispatch is reques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generates a message requesting the second drone dispatch, and then generates a message requesting the dispatch of the second drone. It can be provided to (200).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361 receives the image related to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from the secondary drone, it outputs it to the display 370, but after dividing the screen according to the number of drones, the images of the plurality of secondary drones are displayed. It can be controlled to output. The image processing unit 361 may shar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ary drone image to the dispatch device 400 according to user control of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or according to a predefined policy.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운용자 장치의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interface of a remote opera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를 참조하면, 원격 운용자 장치(300)의 디스플레이(370)는 1차 드론이 순찰하는 구역에 대한 지도 및 1차 드론의 비행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제1 영역(371)에 출력하고, 1차 드론이 제공한 영상은 제2 영역(372)에 출력할 수 있다.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의 영상 분석 서버(230)(또는 영상 분석부(265))가 이상 상태 발생과 관련한 이상 물체를 탐지하면, 원격 운용자 장치(300)의 디스플레이(370)는 Event 출동(버튼)이 활성화 된다. 1차 드론의 Event(이상) 출동 버튼이 선택되면, 원격 운용자 장치(300)는 2차 드론 출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원격 운용자 장치(300)의 디스플레이(370)는 2차 드론 출동 요청 메시지를 제3 영역(373)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371), 제2 영역(372) 및 제3 영역(373) 하나의 디스플레이(370)에 서로 다른 화면으로 출력되거나, 하나의 화면을 화면 분할한 후, 분할된 화면(예: 3개의 화면)에 출력되거나, 복수개의 디스플레이에 각각 출력될 수 있다. 상기 2차 드론 출동 요청은 이상 상태 발생에 따라 자동 선택될 수 도 있다.Referring to FIG. 4B, the display 370 of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outputs a map of the area patrolled by the primary drone and a screen including flight-related information of the primary drone to the first area 371, and , The image provided by the primary drone may be output to the second area 372. When the video analysis server 230 (or the video analysis unit 265) of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detects an abnormal object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the display 370 of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will trigger an event ( Button) is activated. When the event (abnormal) dispatch button of the primary drone is selected,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may create a message requesting the dispatch of the second drone and provide it to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In this case, the display 370 of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may output a second drone dispatch request message to the third area 373. The first area 371, the second area 372, and the third area 373 are displayed as different screens on one display 370, or after splitting one screen, the divided screen (e.g.: 3 screens), or may be respectively output on a plurality of displays. The second drone dispatch request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찰 출동 관제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operating a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의 제1 프로세서(260)는 501 단계에서, 1차 드론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복수개의 드론들(100, 500) 중 1차 드론으로 운용할 드론을 선택하고, 통신 채널을 통해 해당 드론에 임무 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임무 정보는 1차 드론이 순찰할 구역 정보, 순찰 속도, 고도, 순찰 루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processor 260 of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may perform a first drone operation in step 501. In this step, the first processor 260 may select a drone to be operated as a primary drone among the plurality of drones 100 and 500, and may provide mission information to the drone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The miss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n area to be patrolled by the primary drone, patrol speed, altitude, and patrol route.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503 단계에서, 1차 영상 수집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순찰 출동시킨 1차 드론은 기지국(150)을 통해 통신 채널을 형성한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The first processor 260 may collect and analyze a primary image in step 503. In this regard, the primary drone dispatched to patrol may transmit an image to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that has established a communication channel through the base station 150.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505 단계에서 이상 상태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분석 과정에서, 제1 프로세서(260)는 지정된 구역의 이전 영상을 저장 관리하고, 현재 획득된 지정된 구역의 현재 영상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비교 결과가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이상 상태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1 프로세서(260)는 해당 영상에 이상 상태에 대응하는 지정된 패턴(예: 지정된 객체)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지정된 이상 상태 발생이 없는 경우, 5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이상 상태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상기 영상 분석 결과가 사전 정의된 특정 패턴에 대응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전 정의된 특정 패턴은, 침입 탐지 패턴, 화재 발생 패턴, 구조물 붕괴 패턴, 홍수 발생 패턴 등 다양한 인재 또는 천재 지변에 대응되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는 상기 다양한 특정 패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사전 저장하고, 현재 획득된 영상 분석 결과와 매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매칭 결과 지정된 패턴과의 유사율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이상 상태 발생 가능성을 지정된 값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260 may check whether an abnormal state has occurred in step 505. During the analysis process, the first processor 260 may store and manage the previous image of the designated area and compare it with the currently acquired current image of the designated area. When the comparison resul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value, the first processor 260 may determine that an abnormal state has occurred. Alternatively, the first processor 260 may check whether a specified pattern (eg, a specified object) corresponding to an abnormal state i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image. If there is no occurrence of the abnormal state specified in this step, it is possible to branch to step 501 and perform the following operation again. In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an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the first processor 260 may check whether the image analysis resul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pecific pattern. The predefined specific patterns may include patterns corresponding to various human resources or natural disasters, such as intrusion detection patterns, fire occurrence patterns, structure collapse patterns, and flood occurrence patterns. In this regard,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may pre-store data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specific patterns and perform a matching operation with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analysis result. The first processor 260 may determin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n abnormal state a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pecified value when the similarity rate with the specified pattern as a result of matching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ed value.

505 단계에서 이상 상태 발생 가능성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또는 이상 상태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507 단계에서 2차 드론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프로세서(260)는 1차 드론으로 사용한 드론을 제외한 나머지 복수개의 드론들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2차 드론으로 선택할 수 있다. 드론 선택 과정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이상 상태의 종류에 따라 2차 드론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1 프로세서(260)는 이상 상태의 크기에 따라 2차 드론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260)는 지정된 구역에 사람의 침입 발생 시 1개의 2차 드론을 선택할 수 있으며, 침입 인원의 수에 따라 2차 드론의 수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로세서(360)는 지정된 구역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2차 드론으로 4개의 드론을 선택할 수 있으며, 화재의 크기에 따라 드론을 추가하거나 줄일 수 있다. In step 505, when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value, or if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the first processor 260 may perform a secondary drone operation in step 507. In this regard, the first processor 260 may selec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other than the drone used as the primary drone as the secondary drone. During the drone sel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or 260 may adjust the number of secondary drones according to the type of abnormal state. Alternatively, the first processor 260 may adjust the number of secondary dron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bnormal state. For example, the first processor 260 may select one secondary drone when a person intrudes into a designated area, and may add the number of secondary dron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truders. In addition, the second processor 360 may select four drones as secondary drones when a fire occurs in a designated area, and add or reduce dron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e.

또한, 제1 프로세서(260)는 1차 드론의 복귀 시점을 고려하여, 2차 드론의 출동 시점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 따라 2차 드론을 출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 또는 사전 정의된 전체 비행 시간 등을 고려하여 현재 시점으로부터 1차 드론이 10분 후 복귀를 시작하여야 하며, 2차 드론의 이상 상태 발생 지역까지 소요 시간이 5분인 경우, 제1 프로세서(260)는 현재 시점으로부터 5분 후 2차 드론을 출동시킬 수 있다. 또는, 제1 프로세서(260)는 2차 드론의 출동 시점을 1차 드론의 잔여 비행 시간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드론의 잔여 비행 시간이고 15분이고, 복귀 소요 시간이 3분인 경우 1차 드론은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12분 동안 더 머무를 수 있다. 그리고, 2차 드론의 이상 상태 발생 지역까지의 소요 시간이 5분인 경우, 제1 프로세서(260)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7분 후 2차 드론을 출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processor 260 may calculate the dispatch time of the second drone in consideration of the return time of the primary drone, and dispatch the second drone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For example, the first drone must start returning after 10 minutes from the current point in consideration of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r the pre-defined total flight time, and if the time required to the area where the secondary drone has an abnormal condition is 5 minutes, the 1 The processor 260 may dispatch the second drone 5 minutes after the current point in time. Alternatively, the first processor 260 may determine the dispatch time of the secondary drone based on the remaining flight time of the primary drone. For example, if the remaining flight time of the primary drone is 15 minutes, and the return time is 3 minutes, the primary drone can stay in the abnormal condition for 12 minutes longer. In addition, when the time required to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of the secondary drone is 5 minutes, the first processor 260 may control to launch the secondary drone 7 minutes after the current point in time.

한편, 제1 프로세서(260)는 1차 드론의 잔여 비행 시간에 관계 없이, 이상 상태 발생이 판단된 시점에, 적어도 하나의 2차 드론을 선택하고, 선택된 2차 드론을 해당 이상 상태 발생 지역으로 출동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프로세서(260)는 1차 드론과 2차 드론이 충돌되지 않도록 지역 구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260)는 1차 드론의 복귀 시간이 도래할 경우, 1차 드론을 제외한 나머지 2차 드론들로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관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2차 드론들의 위치를 재산출하고, 2차 드론들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processor 260 selects at least one secondary drone at the time when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is determined, regardless of the remaining flight time of the primary drone, and transfers the selected secondary drone to the corresponding abnormal condition occurrence area. You can also control it to be dispatched. In this process, the first processor 260 may control regional division so that the primary drone and the secondary drone do not collide. In addition, when the return time of the primary drone arrives, the first processor 260 repositions the secondary drones so that images of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can be secured with the secondary drones other than the primary drone. Calculation,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ary drones can be adjusted.

509 단계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2차 영상 수집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차 드론은 기지국(150)을 통해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획득된 영상을 기지국(150)을 통해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2차 드론이 획득하는 영상은 1차 드론에 비하여 이상 상태 객체의 해상도가 높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step 509, the first processor 260 may collect and analyze a secondary image. In this regard, the secondary drone may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base station 150, and provide the acquired image to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base station 150. . The image acquired by the secondary drone may include an image having a higher resolution of the abnormal state object than that of the primary drone.

511 단계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이상 상태가 지정된 기준 값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이상 상태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5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507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할 수도 있다. 511 단계에서, 이상 상태가 지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513 단계에서 현장 출동 지원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260)는 이상 상태에 해당하는 객체가 침입 인원으로 판단된 경우, 이상 상태를 지정된 기준 값 이상으로 판단하고, 출동 장치(400)에 현장 출동을 요청할 수 있다. 현장 출동 요청과 관련하여,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출동한 위치에 대한 정보, 2차 드론 영상을 출동 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In step 511, the first processor 260 may check whether the abnormal st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ed reference value. When the abnormal stat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first processor 260 may branch to step 501 and perform the following operation again. Alternatively, the first processor 260 may branch to before step 507 and perform the following operation again. In step 511, when the abnormal st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pecified reference value, the first processor 260 may process field dispatch support in step 513. For example, when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state is determined to be an intrusive person, the first processor 260 may determine the abnormal state to be equal to or higher than a specified reference value, and request the dispatch device 400 to be dispatched to the site. In connection with the request to be dispatched to the site, the first processor 260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dispatched location and a second drone image to the dispatching device 400.

이후,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사전 정의된 정책에 따라 5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하거나, 정책에서 정의한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또는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first processor 260 may branch to step 501 according to a predefined policy and perform the following operation again, or may perform data processing or signal processing for processing a function defined in the polic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찰 출동 관제 장치의 운용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operating a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의 제1 프로세서(260)는 601 단계에서, 1차 드론 운용을 수행하고, 603 단계에서 1차 영상 수집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605 단계에서 이상 상태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601 단계, 603 단계, 605 단계는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501 단계, 503 단계 및 505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단계가 될 수 있어, 해당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에 기재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6, the first processor 260 of the patrol dispatch control apparatus 200 may perform a first drone operation in step 601 and perform a first image collection and analysis in step 603. In addition, the first processor 260 may check whether an abnormal state has occurred in step 605. Steps 601, 603, and 605 may be steps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steps 501, 503, and 505 described in FIG. I will do it.

동작 605에서, 이상 상태 발생 가능성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607 단계에서 알람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상태 발생 가능성 확인과 관련하여, 해당 구역에 대한 이전 영상을 저장 관리하고, 현재 획득된 영상과 이전 영상을 비교하고, 차이 값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제1 프로세서(260)는 이상 상태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operation 605, when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value, the first processor 260 may output an alarm in operation 607.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the previous image for the corresponding area is stored and managed,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and the previous image are compared, and if the dif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pecified value, the first processor 260 may cause the abnormal condition to occur.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상기 알람 출력 과정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사전에 지정된 원격 운용자 장치(300)에 상기 알람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기능적으로 연결된 출력 장치를 통하여 상기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출력 장치(예: 알람에 대응하는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알람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장치, 램프, 사이렌, 진동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alarm, the first processor 260 may transmit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alarm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designated in advance. Alternatively, the first processor 260 may output the alarm through an output device that is functionally connected. In this regard, the first processor 260 may include an output device (for example, a display capable of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text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alarm, an audio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alarm, a lamp, A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iren and a vibration modul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609 단계에서 2차 드론 운용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2차 드론 운용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원격 운용자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2차 드론 운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알람 메시지에 포함하여 원격 운용자 장치(300)에 전송하거나 또는 알람 메시지 전송 이후, 2차 드론 운용 요청과 관련한 메시지를 상기 원격 운용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2차 드론 운용 요청과 관련한 메시지 전송 이후, 지정된 시간 이내에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2차 드론 운용이 필요 없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또는 사전 정의된 정책에 따라, 지정된 응답 메시지 수신이 없는 경우, 2차 드론 운용이 필요한 경우로 자동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2차 드론 운용 요청을 묻는 메시지를 상기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을 직접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음성 명령어 입력 수단(예: 마이크), 사용자 입력과 관련한 물리 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260 may check whether an inpu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one operation request is received in step 609. In this process, the first processor 260 may check whether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one oper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In this regard, the first processor 260 transmits a message request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one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by including in the alarm message, or after transmitting the alarm message, a message related to the request for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one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The first processor 260 may determine that if a response message is not received within a specified time after transmission of a message related to a second drone operation request, the second drone operation is not required. Alternatively, the first processor 260 may automatically determine that a second drone operation is required when there is no reception of a designated response message according to a user setting or a predefined policy.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processor 260 may output a message requesting a second drone operation request through an output device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and directly receive a user input. In this regard, the first processor 26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touch screen capable of receiving a user input, a voice command input means (eg, a microphone), and a physical key related to a user input.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2차 드론 운용 요청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6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2차 드론 운용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611 단계에서 2차 드론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2차 드론 운용과 관련하여, 제1 프로세서(260)는 원격 운용자 장치(300)로부터 2차로 출동할 드론의 개수를 입력받고, 해당 개수에 대응하는 드론을 2차 드론으로 출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1 프로세서(260)는 이상 상태의 종류 또는 이상 상태의 크기에 따라 지정된 개수의 드론을 2차 드론으로 출동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When the second drone operation request is not received, the first processor 260 may branch to step 601 and perform the following operation again. When a second drone operation request is received, the first processor 260 may control the second drone operation in step 611. Regarding the second drone operation, the first processor 260 receives the number of drones to be dispatched secondly from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and controls the dron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to be dispatched to the second drones. have. Alternatively, the first processor 260 may control to dispatch a designated number of drones to the secondary dron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bnormal state or the size of the abnormal state.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613 단계에서, 2차 영상 수집, 분석 및 공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차 드론은 1차 드론으로부터 전달받은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2차 영상으로서 순찰 출동 관제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수집된 2차 영상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고, 원격 운용자 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2차 영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이상 상태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예: 침입 인원의 수와 행동 패턴, 침입 경로 및 퇴주로, 화재의 크기, 화재의 종류, 구조물 붕괴의 크기, 구조물 붕괴의 위치 등)를 분석할 수 있다. The first processor 260 may collect, analyze, and share a secondary image in step 613. In this regard, the secondary drone may acquire an image of an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transmitted from the primary drone, and transmit the acquired image to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0 as a secondary image. The first processor 260 may analyze the collected secondary image and transmit it to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Alternatively, the first processor 260 analyzes the secondary image to provide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bnormal state (e.g., the number and behavior patterns of intrusion personnel, intrusion routes and exit routes, the size of the fire, and the type of fire). , The size of the collapse of the structure, the location of the collapse of the structure, etc.) can be analyzed.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615 단계에서, 이상 상태가 지정된 기준 값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준 값은 이상 상태에 대응하는 특정 패턴이 실제 인재 또는 천재 지변 발생 패턴과의 유사율이 특정 비율 이상인 경우(예: 상기 605 단계에서, 특정 패턴 검출에 이용되는 비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에 해당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준 값은 원격 운용자 장치(300)로부터 이상 상태 발생으로 판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In step 615, the first processor 260 may check whether the abnormal st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ed reference value. The reference value is when a specific pattern corresponding to an abnormal state has a similarity rate with a real human resource or a natural disaster occurrence pattern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c ratio (e.g., a ratio relatively higher than the ratio used for detecting a specific pattern in step 605). It can contain the corresponding value. Alternatively, the reference value may include a value corresponding to a case of receiving a user input that determines that an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from the remote operator device 300.

이상 상태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260)는 617 단계에서 현자 출동 지원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출동 지원은 도 5에서 설명한 513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단계일 수 있다.When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the first processor 260 may process the sage dispatch support in step 617. The field dispatch support may be a step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step 513 described in FIG. 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ation includes details of a number of specific implementations, but these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ing to any invention or scope of claimable, rather, which may be specific to a particular embodiment of a particular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description of features.

또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Further, although the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specific ord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result.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can be advantageous. Further,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system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are generally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you can.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The present description presents the best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es examples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use the present invention. The written specifica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s presented. Accordingly,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s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침입 탐지와 관련이 없는 객체를 배제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침입 탐지에 따른 알람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오알람을 최소화하고, 잘못된 침입 탐지에 따른 출동 지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filter capable of excluding objects not related to intrusion detection, thereby providing an alarm according to more accurate intrusion detection, thereby minimizing false alarms, and detecting false intrusions. We support to minimize support for dispatch according to the situation.

10: 순찰 출동 관제 시스템
100, 500: 복수개의 드론
150: 기지국
200: 순찰 출동 관제 장치
201: 제1 통신 인터페이스
210: 비행 제어 서버
220: 영상 전송 서버
230: 영상 분석 서버
240: 제1 메모리
300: 원격 운용자 장치
301: 제2 통신 인터페이스
340: 제2 메모리
350: 입출력부
360: 제2 프로세서
370: 디스플레이
400: 출동 장치
10: Patrol dispatch control system
100, 500: multiple drones
150: base station
200: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201: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10: flight control server
220: video transmission server
230: video analysis server
240: first memory
300: remote operator device
301: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340: second memory
350: input/output unit
360: second processor
370: display
400: dispatch device

Claims (11)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는 복수개의 드론;
상기 복수개의 드론의 순찰 출동 제어를 수행하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
상기 순찰 출동 관제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드론이 획득한 영상을 전달받아 모니터링하는 원격 운용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순찰 출동 관제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드론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지정된 구역에 1차 드론으로 출동시키고,
상기 지정된 구역에서 이상 상태 발생이 검출되면, 상기 1차 드론을 제외한 나머지 드론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2차 드론으로 선택하고, 상기 1차 드론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상 상태가 발생한 지역으로 상기 2차 드론을 출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찰 출동 관제 시스템.
A plurality of drones acquiring an image through a camera;
A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that performs patrol dispatch control of the plurality of drones;
Including; a remote operator device that receives and monitors the images acquired by the plurality of drones from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is dispatched to a designated area as a primary drone,
When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in the designated area,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drones other than the primary drone is selected as a secondary drone, an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bnormal condition occurrence area obtained from the primary drone Patrol dispatch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o dispatch the second drone to the area where the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복수개의 드론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개의 드론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1차 드론으로 선택하여 지정된 구역에 순찰 출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1차 드론으로부터 획득한 영상 분석을 기반으로 상기 지정된 구역에서 이상 상태 발생이 검출되면, 상기 1차 드론을 제외한 나머지 드론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2차 드론으로 선택하고,
상기 1차 드론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상 상태가 발생한 지역으로 상기 2차 드론을 출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Includes; a processor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interface,
The processor i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is selected as the primary drone and controlled to patrol a designated area,
When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in the designated area based on the image analysis acquired from the primary drone,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drones excluding the primary drone is selected as the secondary drone,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o dispatch the second drone to the area where the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area where the abnormal condition has been acquired from the primary dro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 상태 발생의 종류에 따라 상기 2차 드론의 개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is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djusting the number of the secondary drones according to the type of occurrence of the abnormal s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 상태의 크기에 따라 상기 2차 드론의 개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is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djusting the number of the secondary dron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bnormal s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 상태 발생에 따른 알람 메시지를 원격 운용자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 운용자 장치의 응답에 따라 상기 2차 드론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is
And transmitting an alarm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 condition to a remote operator device, and determining the number of the secondary drones according to a response of the remote operator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차 드론으로부터 획득된 영상 분석을 기반으로 출동 장치의 현장 출동 요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is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n-site dispatch request of the dispatch device based on the image analysis obtained from the secondary dron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 상태 발생 위치 정보 및 상기 2차 드론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상기 출동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processor is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o transmit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mage obtained from the secondary drone to the dispatch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1차 드론의 이상 상태에 관한 영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2차 드론의 이상 상태에 관한 영상의 해상도가 높도록 상기 2차 드론과 상기 이상 상태 발생 위치와의 거리를 줄이는 비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is
The flight control is performed to reduc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ary drone and the location of the abnormal state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image related to the abnormal state of the secondary drone is higher than the resolution of the image related to the abnormal state of the primary dron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made by th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1차 드론이 상기 이상 상태 발생 지역으로부터 복귀하기 전에 상기 2차 드론이 상기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2차 드론의 출동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찰 출동 관제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is
Before the primary drone returns from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region, a time for the second drone to arrive at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region is calculated, and the dispatch time of the second drone is determined based on the calculated tim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순찰 출동 관제 장치의 프로세서가, 복수개의 드론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1차 드론으로 선택하여 지정된 구역에 순찰 출동시키는 단계;
상기 1차 드론으로부터 획득한 영상 분석을 기반으로 상기 지정된 구역에서 이상 상태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상 상태 발생이 검출되면, 상기 1차 드론을 제외한 나머지 드론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2차 드론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1차 드론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상 상태가 발생한 지역으로 상기 2차 드론을 출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순찰 출동 관제 방법.
A step of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as a primary drone by the processor of the patrol dispatch control device to patrol a designated area;
Detecting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in the designated area based on the image analysis obtained from the primary drone;
When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 state is detected,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drones other than the primary drone as a secondary drone;
And dispatching the second drone to the area where the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area where the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acquired from the first dron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드론을 출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1차 드론이 복귀를 시작하기 전 상기 2차 드론이 상기 이상 상태 발생 지역에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2차 드론을 출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순찰 출동 관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dispatching the second drone
Calculating a time for the secondary drone to arrive at the abnormal state occurrence area before the primary drone starts to return;
Patrol dispatch control method comprising; dispatching the second drone based on the calculated time.
KR1020190123913A 2019-10-07 2019-10-07 Control system and control device for patrol and moving ou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100413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913A KR20210041337A (en) 2019-10-07 2019-10-07 Control system and control device for patrol and moving ou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913A KR20210041337A (en) 2019-10-07 2019-10-07 Control system and control device for patrol and moving ou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337A true KR20210041337A (en) 2021-04-15

Family

ID=7544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913A KR20210041337A (en) 2019-10-07 2019-10-07 Control system and control device for patrol and moving ou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133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338A1 (en) 2021-03-30 2022-10-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solution quality of binder solution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nd method for preparing electrode slurry for secondary battery
WO2022244963A1 (en) 2021-05-20 2022-11-24 주식회사 아이센스 Method for calibrating non-invasive biometric information
CN116736891A (en) * 2023-08-15 2023-09-12 众芯汉创(北京)科技有限公司 Autonomous track plann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machine collaborative inspection power grid li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338A1 (en) 2021-03-30 2022-10-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solution quality of binder solution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nd method for preparing electrode slurry for secondary battery
WO2022244963A1 (en) 2021-05-20 2022-11-24 주식회사 아이센스 Method for calibrating non-invasive biometric information
CN116736891A (en) * 2023-08-15 2023-09-12 众芯汉创(北京)科技有限公司 Autonomous track plann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machine collaborative inspection power grid line
CN116736891B (en) * 2023-08-15 2023-10-20 众芯汉创(北京)科技有限公司 Autonomous track plann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machine collaborative inspection power grid l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00466A1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video surveillance method
EP281538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mergency resources
EP3118826A1 (en) Home, office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using micro mobile drones and ip cameras
KR20210041337A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device for patrol and moving ou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253736B2 (en) Dispatching UAVs for wildfire surveillance
WO2017115598A1 (en) Image transmission device,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KR102335994B1 (en) Integrated control apparatus of surveillance devices for drone surveillance
CN106656310A (en) Method and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to execute tasks
KR102440819B1 (en) Area patrol system with patrol drone
KR20150060626A (en) Active Type Unmanned Security System
KR20150146040A (en)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body-guard service
KR102166432B1 (en) Method for replying disaster situation using smart drone
US20240061446A1 (en) Optical fiber sensing system, optical fiber sensing equipment, and unmanned aerial vehicle allocation method
KR101483949B1 (en) Total mornitoring system
WO2019099321A1 (en) Collaborative media collection analysis
KR20180099098A (en) Fusion Type Image Monitoring System Camera with Movement Tracking Function of Shooting Target
US20220337790A1 (en) Video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RU2693926C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acting on objects of interest, and processes performed by them and corresponding method
KR20200084963A (en) Extended monitoring system using voice recognition module installed in mulyi spot and drone
KR102085051B1 (en) Controlling system using drone
CN108876924B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fire evacuation path
KR101634622B1 (en) Integrated controll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cctv
KR20180099074A (en) Fusion Type Monitoring System Using Drone Camera
CN108168561A (en) A kind of fire-fighting disaster field individual soldier's indoor locating system
KR20210133610A (en)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respon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