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637A - Method for client steering in multi-ap wireless lan networks - Google Patents

Method for client steering in multi-ap wireless lan networ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637A
KR20210036637A KR1020190118851A KR20190118851A KR20210036637A KR 20210036637 A KR20210036637 A KR 20210036637A KR 1020190118851 A KR1020190118851 A KR 1020190118851A KR 20190118851 A KR20190118851 A KR 20190118851A KR 20210036637 A KR20210036637 A KR 20210036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ss
service set
terminal
basic servic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8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사프 제불론
파탄 아디 프라나야
조경래
손주형
곽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118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6637A/en
Publication of KR20210036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6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46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between network providers, e.g. op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teering method in a multi-access point (MAP)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environment to perform efficient data transmission/reception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terminal performs steering; evaluating WLAN performance between at least one basic service set (BSS) included in a MAP WLAN and the terminal; selecting a target BSS to be newly accessed by the terminal on the basis of an evaluation result; and triggering steering so that the terminal accesses the target BSS. The step of selecting the target BSS allows a controller to select the target BSS on the basis of a self-score which is a WLAN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between a parent BSS, which is a BSS to which the terminal is connected, and the terminal, a target score which is a WLAN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between the BSSs except for the parent BSS and the terminal, and a preset steering start limit value.

Description

다중 기지국 무선랜 환경에서 단말 스티어링 방법{METHOD FOR CLIENT STEERING IN MULTI-AP WIRELESS LAN NETWORKS}Terminal steering method in multi-base station wireless LAN environment {METHOD FOR CLIENT STEERING IN MULTI-AP WIRELESS LAN NETWORKS}

본 발명은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랜에서 향상된 채널 접속 방법을 제안하여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mproving transmission efficiency, and more particularly, to various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improving transmission efficiency by proposing an improved channel access method in a wireless LAN.

최근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이들에게 빠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랜(Wireless LAN) 기술이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무선랜 기술은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랩탑 컴퓨터,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임베디드 기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들을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Recently, as the spread of mobile devices expands, a wireless LAN technology capable of providing fast wireless Internet service to them is in the spotlight. Wireless LAN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allow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smart pads, laptop computer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embedded devices, etc. to access the Internet wirelessly at home, business, or in a specific service area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n a short distance. to be.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은 2.4GHz 주파수를 이용한 초기의 무선랜 기술을 지원한 이래, 다양한 기술의 표준을 실용화 또는 개발 중에 있다. 먼저, IEEE 802.11b는 2.4GHz 밴드의 주파수를 사용하면서 최고 11Mbps의 통신 속도를 지원한다. IEEE 802.11b 이후에 상용화된 IEEE 802.11a는 2.4GHz 밴드가 아닌 5GHz 밴드의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상당히 혼잡한 2.4GHz 밴드의 주파수에 비해 간섭에 대한 영향을 줄였으며, OFDM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 속도를 최대 54Mbps까지 향상시켰다. 그러나 IEEE 802.11a는 IEEE 802.11b에 비해 통신 거리가 짧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IEEE 802.11g는 IEEE 802.11b와 마찬가지로 2.4GHz 밴드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최대 54Mbps의 통신속도를 구현하며,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만족하고 있어 상당한 주목을 받았는데, 통신 거리에 있어서도 IEEE 802.11a보다 우위에 있다. Since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supported the initial wireless LAN technology using 2.4GHz frequency, various technology standards are being commercialized or developed. First, IEEE 802.11b supports a communication speed of up to 11Mbps while using a frequency of the 2.4GHz band. IEEE 802.11a, commercialized after IEEE 802.11b, has reduced the effect of interference compared to the frequency of the 2.4GHz band, which is quite congested by using the frequency of the 5GHz band instead of the 2.4GHz band, and uses OFDM technology to maximize the communication speed. It has been improved to 54Mbps. However, IEEE 802.11a has a short communication distance compared to IEEE 802.11b. And IEEE 802.11g, like IEEE 802.11b, implements a communication speed of up to 54Mbps using a frequency of the 2.4GHz band, and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because it satisfies backward compatibility. Have the upper hand.

그리고 무선랜에서 취약점으로 지적되어온 통신 속도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정된 기술 규격으로서 IEEE 802.11n이 있다. IEEE 802.11n은 네트워크의 속도와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무선 네트워크의 운영 거리를 확장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IEEE 802.11n에서는 데이터 처리 속도가 최대 540Mbps 이상인 고처리율(High Throughput, HT)을 지원하며, 또한 전송 에러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송신부와 수신부 양단 모두에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Multiple Inputs and Multiple Outputs)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또한, 이 규격은 데이터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중복되는 사본을 여러 개 전송하는 코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EEE 802.11n is a technical standard establish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n communication speed,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a vulnerability in wireless LAN. IEEE 802.11n aims to increase the speed and reliability of the network and extend the operating distance of the wireless network. More specifically, IEEE 802.11n supports high throughput (HT) with a data processing rate of up to 540 Mbps or more, and uses multiple antennas at both ends of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to minimize transmission errors and optimize the data rate. It is based on MIMO (Multiple Inputs and Multiple Outputs) technology. In addition, this standard can use a coding scheme in which multiple duplicate copies are transmitted to increase data reliability.

무선랜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또한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화됨에 따라, IEEE 802.11n이 지원하는 데이터 처리 속도보다 더 높은 처리율(Very High Throughput, VHT)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무선랜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중 IEEE 802.11ac는 5GHz 주파수에서 넓은 대역폭(80MHz~160MHz)을 지원한다. IEEE 802.11ac 표준은 5GHz 대역에서만 정의되어 있으나 기존 2.4GHz 대역 제품들과의 하위 호환성을 위해 초기 11ac 칩셋들은 2.4GHz 대역에서의 동작도 지원할 것이다. 이론적으로, 이 규격에 따르면 다중 스테이션의 무선랜 속도는 최소 1Gbps, 최대 단일 링크 속도는 최소 500Mbps까지 가능하게 된다. 이는 더 넓은 무선 주파수 대역폭(최대 160MHz), 더 많은 MIMO 공간적 스트림(최대 8개), 다중 사용자 MIMO, 그리고 높은 밀도의 변조(최대 256 QAM) 등 802.11n에서 받아들인 무선 인터페이스 개념을 확장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기존 2.4GHz/5GHz 대신 60GHz 밴드를 사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IEEE 802.11ad가 있다. IEEE 802.11ad는 빔포밍 기술을 이용하여 최대 7Gbps의 속도를 제공하는 전송규격으로서, 대용량의 데이터나 무압축 HD 비디오 등 높은 비트레이트 동영상 스트리밍에 적합하다. 하지만 60GHz 주파수 밴드는 장애물 통과가 어려워 근거리 공간에서의 디바이스들 간에만 이용이 가능한 단점이 있다.As the widespread use of wireless LANs is active and applications using them are diversified, the need for a new wireless LAN system to support a higher throughput (Very High Throughput, VHT) than the data processing speed supported by IEEE 802.11n emerges. Became. Among them, IEEE 802.11ac supports a wide bandwidth (80MHz~160MHz) at 5GHz frequency. The IEEE 802.11ac standard is defined only in the 5GHz band, but for backward compatibility with existing 2.4GHz band products, the initial 11ac chipsets will also support operation in the 2.4GHz band. In theory, according to this standard, the wireless LAN speed of multiple stations is at least 1 Gbps and the maximum single link speed is at least 500 Mbps. This is achieved by extending the concept of air interfaces adopted by 802.11n, such as wider radio frequency bandwidth (up to 160 MHz), more MIMO spatial streams (up to 8), multi-user MIMO, and high-density modulation (up to 256 QAM). In addition, there is IEEE 802.11ad a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using a 60GHz band instead of the existing 2.4GHz/5GHz. IEEE 802.11ad is a transmission standard that provides a maximum speed of 7Gbps using beamforming technology, and is suitable for high bit rate video streaming such as large amounts of data or uncompressed HD video. However, the 60GHz frequency band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pass through obstacles and can only be used between devices in a short distance.

한편, 802.11ac 및 802.11ad 이후의 차세대 무선랜 표준으로서, 고밀도 환경에서의 고효율 및 고성능의 무선랜 통신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논의가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차세대 무선랜 환경에서는 고밀도의 스테이션과 AP(Access Point)의 존재 하에 실내/외에서 높은 주파수 효율의 통신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었다.On the other hand, as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standard after 802.11ac and 802.11ad, discussions are continuously being made to provide a high-efficiency and high-performance wireless LAN communication technology in a high density environment. That is, in a next-generation wireless LAN environment, high-frequency communication must be provided indoors/outdoors in the presence of a high-density station and an access point (AP), and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implement this.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선랜의 경우 다수의 단말들이 하나의 AP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때문에 통신 가능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고, AP의 위치에 따라 동일한 공간에서 음영지역이 발생하여 사용자 경험이 떨어질 수 있다는 근본적인 문제점들은 현재까지 극복되지 않은 상태이다. 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동일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다수의 AP (Multi-AP)를 설치하여 커버리지 및 사용자 경험을 증가시키는 표준기술이 Wi-Fi Alliance (WFA)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으나, 상기한 Multi-AP 기술은 현재 초기 단계의 논의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향후 다양한 측면에서의 관련 기술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Nevertheless, in the case of a wireless LAN, the communication distance is relatively short because a number of terminals form a network with one AP, and the user experience may be degraded due to the occurrence of a shadow area in the same spac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AP. They have not been overcome until now.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recently, a standard technology for increasing coverage and user experience by installing multiple APs (Multi-APs) capable of configuring the same network is actively discussed, focusing on the Wi-Fi Alliance (WFA). However, since the multi-AP technology is currently being discussed in an early stage, related technologies in various aspects need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기지국 무선랜 환경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an efficient data transmission/reception operation in a multi-base station WLAN environmen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트롤러가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단말의 스티어링(steering) 수행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콘트롤러가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BSS(Basic Service Set)와 상기 단말 사이의 무선랜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새로 접속할 목표 BSS(Basic Service Set)를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단말이 상기 목표 BSS(Basic Service Set)에 접속되도록 스티어링을 트리거(trigger)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BSS(Basic Service Set)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단말이 접속 중인 BSS(Basic Service Set)인 부모 BSS(Basic Service Set)와 상기 단말 사이의 무선랜 성능평가 점수인 자가 점수, 상기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 내 BSS(Basic Service Set) 중 상기 부모 BSS(Basic Service Set)를 제외한 나머지 BSS(Basic Service Set)와 상기 단말 사이의 무선랜 성능평가 점수인 대상 점수 및 기 설정된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에 기초하여 목표 BSS(Basic Service Set)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기지국 무선랜 환경에서의 스티어링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termining, by a controller, whether or not a terminal connected to a multi-base station wireless LAN network performs steering; Evaluating, by the controller, a wireless LAN performance between at least one basic service set (BSS) included in a multi-base station wireless LAN network and the terminal; Selecting, by the controller, a target BSS (Basic Service Set) to be newly accessed by the terminal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And triggering, by the controller, a steering so that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arget Basic Service Set (BSS), and the step of selecting the target Basic Service Set (BSS) comprises: the controller, the terminal The parent BSS (Basic Service Set), which is a basic service set (BSS) being accessed, and the self-score, which is a WLAN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parent BSS (Basic Service Set), and a target score that is a WLAN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between the terminal and a target BSS (Basic Service Set) based on a preset steering start limit value. A steering method in a base station wireless LAN environment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무선랜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콘트롤러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랜 파라미터 또는 측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자가 점수 및 상기 대상 점수를 개별적으로 산출하고, 상기 목표 BSS(Basic Service Set)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자가 점수 및 상기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의 합보다 큰 대상 점수를 나타내는 BSS(Basic Service Set)를 목표 BSS(Basic Service Set)로 선별한다.Here, in the step of evaluating the WLAN performance, the controller individually calculates the self score and the target score based on at least one WLAN parameter or measured value, and selects the target BSS (Basic Service Set). In the step of, the controller selects a BSS (Basic Service Set) representing a target score greater than the sum of the self score and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as a target BSS (Basic Service Set).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은, 상기 단말이 부모 BSS(Basic Service Set)와 송수신 중이거나 송수신 예정인 데이터의 크기 및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Here,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and type of data that the terminal is transmitting or receiving with a parent BSS (Basic Service Set).

여기서, 상기 목표 BSS(Basic Service Set)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단말이 부모 BSS(Basic Service Set)와 송수신 중이거나 송수신 예정인 데이터의 크기 및 종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 스티어링 조건을 선정하고, 상기 추가 스티어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BSS(Basic Service Set)을 선별한다.Here, the step of selecting the target BSS (Basic Service Set) includes, by the controller, at least one additional steering condition based on the size and type of data being transmitted/received or scheduled to be transmitted/received by the terminal to a parent BSS (Basic Service Set). After selection, the target BSS (Basic Service Set) is selecte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additional steering condition is satisfied.

여기서, 상기 목표 BSS(Basic Service Set)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자가 점수 및 상기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의 합보다 큰 대상 점수를 나타내는 BSS(Basic Service Set)가 둘 이상인 경우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BSS(Basic Service Set)를 목표 BSS(Basic Service Set)로 선별한다.Here, in the step of selecting the target BSS (Basic Service Set),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highest score when there are two or more BSS (Basic Service Set) indicating target score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self score and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The indicated BSS (Basic Service Set) is selected as a target BSS (Basic Service Set).

무선랜에서 다중 기지국을 통해 단말의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In a wireless LAN, an efficient data transmission/reception operation of a terminal can be performed through multiple base st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기지국 기기들의 논리적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에 포함된 기지국과 단말의 접속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multi-base station wireless LAN network environmen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logical structure of multiple base station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included in a multi-base station WLA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a stee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custom,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of technicians in the field.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 and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not a simpl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특정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더하여, 특정 임계값을 기준으로 “이상” 또는 “이하”라는 한정 사항은 실시예에 따라 각각 “초과” 또는 “미만”으로 적절하게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용어 “단말”은 “클라이언트(또는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기기)”, “스테이션”, “STA” 등의 단어로 대체될 수 있다. 용어 “기지국”은 “액세스 포인트”, “AP” 등의 단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MAP 콘트롤러”는 단순하게 “콘트롤러”로, “MAP 에이전트”는 단순하게 “에이전트”로 기재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tha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do.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ncludes" a specific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more" or "less than" based on a specific threshold value may be appropriately replaced with "excess" or "less than",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n addition, the term “terminal” may be replaced with words such as “client (or client terminal or client device)”, “station”, and “STA”. The term "base station" can be replaced with words such as "access point", "AP", and so on. In addition, “MAP controller” may be simply described as “controller” and “MAP agent” may simply be described as “ag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무선랜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베이직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이하 BSS)를 포함하는데,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기기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BSS는 인프라스트럭쳐 BSS(infrastructure BSS)와 독립 BSS(Independent BSS, IBSS)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도 1은 이 중 인프라스트럭쳐 BSS를 나타내고 있다.1 illustrates a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LAN system includes one or more Basic Service Set (BSS), and the BSS represents a set of devices tha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successfully synchronizing. In general, the BSS can be classified into an infrastructure BSS (infrastructure BSS) and an independent BSS (IBSS), and FIG. 1 shows an infrastructure BSS among the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프라스트럭쳐 BSS(BSS1, BSS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테이션(STA-1, STA-2, STA-3, STA-4, STA-5), 분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스테이션인 액세스 포인트(PCP/AP-1, PCP/AP-2),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PCP/AP-1, PCP/AP-2)를 연결시키는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포함한다.1, the infrastructure BSS (BSS1, BSS2) provides one or more stations (STA-1, STA-2, STA-3, STA-4, STA-5), and distribution service. An access point (PCP/AP-1, PCP/AP-2), which is a providing station, and a distribution system (DS) that connects multiple access points (PCP/AP-1, PCP/AP-2). Includes.

스테이션(Station, STA)은 IEEE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에 대한 물리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디바이스로서, 광의로는 비 액세스 포인트(Non-AP) 스테이션뿐만 아니라 액세스 포인트(AP)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스테이션과 AP 등의 무선랜 통신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단말'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을 위한 스테이션은 프로세서(Processor)와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부와 디스플레이 유닛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프레임을 처리하며, 그 밖에 스테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랜시버는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테이션을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임을 송수신한다.A station (STA) is an arbitrary device including a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a physical layer interface to a wireless medium in accordance with the IEEE 802.11 standard, and in a broad sense, a non-access point ( Non-AP) includes all stations as well as access points (APs).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terminal' may be used as a concept including all wireless LAN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station and an AP. The s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a processor and a transceiver, and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terface unit and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generate a frame to be transmitt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or process a frame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and may perform various other processes for controlling a station. In addition, the transceiver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transmits and receives frames through a wireless network for th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는 자신에게 결합된(associated) 스테이션을 위하여 무선 매체를 경유하여 분배시스템(DS)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는 개체이다.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비 AP 스테이션들 사이의 통신은 AP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이지만, 다이렉트 링크가 설정된 경우에는 비AP 스테이션들 사이에서도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AP는 PCP(Personal BSS Coordination Point)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며, 광의적으로는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의 개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An Access Point (AP) is an entity that provides access to a distribution system (DS) via a wireless medium for a station associated with it. In an infrastructure BSS, communication between non-AP stations is in principle performed via an AP, but when a direct link is established, direct communication is also possible between non-AP stations.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 is used as a concept including a Personal BSS Coordination Point (PCP), and broadly, a centralized controller, a base station (BS), a node-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or a site It may include all concepts such as a controller.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쳐 BSS는 분배 시스템(DS)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분배 시스템을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를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A plurality of infrastructure BSSs may be interconnected through a distribution system (DS). In this case, a plurality of BSSs connected through the distribution system is referred to as an extended service set (ESS).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인 독립 BSS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은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2 illustrates an independent BSS, which is a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2, duplicate descriptions of parts that are the same as or correspon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will be omitted.

도 2에 도시된 BSS-3는 독립 BSS이며 AP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스테이션(STA-6, STA-7)이 AP와 접속되지 않은 상태이다. 독립 BSS는 분배 시스템으로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으며,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독립 BSS에서 각각의 스테이션들(STA-6, STA-7)은 다이렉트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Since the BSS-3 shown in FIG. 2 is an independent BSS and does not include an AP, all stations STA-6 and STA-7 are not connected to the AP. Independent BSS is not allowed to access the distribution system and forms a self-contained network. In the independent BSS, the stations STA-6 and STA-7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a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100)은 프로세서(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120), 유저 인터페이스부(140), 디스플레이 유닛(150) 및 메모리(1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110, a network interface card (NIC, 120), a user interface unit 140, a display unit 150, and a memory 160. can do.

먼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120)는 무선랜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며, 스테이션(100)을 위한 패킷 전송과 수신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120)는 스테이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는 2.4GHz, 5GHz 및 60GHz 등의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션(100)은 6GHz 이상의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과, 6GHz 이하의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은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이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의 무선랜 규격에 따라 AP 또는 외부 스테이션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120)는 스테이션(100)의 성능 및 요구 사항에 따라 한 번에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만을 동작시키거나 동시에 다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함께 동작시킬 수 있다. 스테이션(100)이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포함할 경우,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은 각각 독립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칩으로 통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First, the network interface card 120 is a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LAN access, and performs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the station 100. The network interface card 120 may be built-in or externally provided in the station 10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according to embodiments. For example, the network interface card may include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s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such as 2.4GHz, 5GHz, and 60GHz.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ation 100 may include a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 using a frequency band of 6 GHz or higher and a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 using a frequency band of 6 GHz or lower. Each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AP or an external station according to a wireless LAN standard of a frequency band supported by the corresponding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 The network interface card 120 may operate only one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 at a time or may simultaneously operate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and requirements of the station 100. When the station 100 includes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s, each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 may be provided in an independent form or may be integrated into one chip.

다음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부(140)는 스테이션(100)에 구비된 다양한 형태의 입/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즉, 유저 인터페이스부(140)는 다양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유저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는 수신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스테이션(1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40)는 다양한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프로세서(110)의 명령에 기초한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user interface unit 140 includes various types of input/output means provided in the station 100. That is, the user interface unit 140 may receive a user's input using various input means, and the processor 110 may control the station 100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put.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unit 140 may perform output based on a command of the processor 110 using various output means.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5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50)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되는 컨텐츠 또는 프로세서(11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한 유저 인터페이스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스테이션(100)에서 사용되는 제어 프로그램 및 그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제어 프로그램에는 스테이션(100)이 AP 또는 외부 스테이션과 접속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접속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다.Next, the display unit 150 outputs an image on the display screen. The display unit 150 may output various display objects such as content executed by the processor 110 or a user interface based on a control command of the processor 110. In addition, the memory 160 stores a control program used in the station 100 and various data corresponding thereto. The control program may include an access program necessary for the station 100 to access an AP or an external station.

본 발명의 프로세서(110)는 다양한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스테이션(100)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술한 스테이션(1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AP와의 접속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AP가 전송한 통신 설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통신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스테이션(100)의 우선 조건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고, 스테이션(100)의 우선 조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AP에 대한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추후 기술하기로 한다.The processo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ecute various commands or programs and process data inside the station 100. In addition, the processor 110 controls each unit of the station 100 described above, and may control data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he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110 may execute a program for accessing an AP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receive a communication setup message transmitted by the AP. In addition, the processor 110 may read information on the priority condition of the station 100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etup message, and request access to the AP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priority condition of the station 100. A specific embodiment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에 도시된 스테이션(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션(100)의 일부 구성들, 이를 테면 유저 인터페이스부(140) 및 디스플레이 유닛(150) 등은 스테이션(100)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tation 100 shown in FIG. 3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parated blocks are shown by logically distinguishing elements of a device. Accordingly, the elements of the above-described device may be mounted as one chip or as a plurality of chips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device.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components of the station 100, such as the user interface unit 140 and the display unit 150, may be selectively provided in the station 1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P(200)는 프로세서(2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220) 및 메모리(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AP(200)의 구성 중 도 3의 스테이션(100)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As shown, the AP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or 210, a network interface card 220, and a memory 260. In FIG. 4, redundant descriptions of part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P 200 that are the same as or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tation 100 of FIG. 3 will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AP(200)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밴드에서 BSS를 운영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220)를 구비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AP(2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220)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P(200)는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 이를 테면 2.4GHz, 5GHz, 60GHz 중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P(200)는 6GHz 이상의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과, 6GHz 이하의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은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이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의 무선랜 규격에 따라 스테이션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220)는 AP(200)의 성능 및 요구 사항에 따라 한 번에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만을 동작시키거나 동시에 다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듈을 함께 동작시킬 수 있다.4, an AP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twork interface card 220 for operating a BSS in at least one frequency b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network interface card 220 of the AP 200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s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That is, the AP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wo or more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s among different frequency bands, such as 2.4GHz, 5GHz, and 60GHz. Preferably, the AP 200 may include a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 using a frequency band of 6 GHz or higher and a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 using a frequency band of 6 GHz or lower. Each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tation according to a wireless LAN standard of a frequency band supported by the corresponding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 The network interface card 220 may operate only one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 at a time or may simultaneously operate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 card module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and requirements of the AP 200.

다음으로, 메모리(260)는 AP(200)에서 사용되는 제어 프로그램 및 그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제어 프로그램에는 스테이션의 접속을 관리하는 접속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AP(2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60)에 저장된 스테이션과의 접속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에 대한 통신 설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설정 메시지에는 각 스테이션의 접속 우선 조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스테이션의 접속 요청에 따라 접속 설정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추후 기술하기로 한다.Next, the memory 260 stores a control program used in the AP 200 and various data corresponding thereto. Such a control program may include an access program that manages the access of the station. In addition, the processor 210 controls each unit of the AP 200 and may control data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he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gram for accessing a station stored in the memory 260 and transmit a communication setting message for one or more stations.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setup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access priority condition of each station. In addition, the processor 210 performs connection setup according to the station's connection request. A specific embodiment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 음영이 들어간 원(802.11 STA)은 무선랜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기기를 의미하고, MAP가 기재된 원은 다중 기지국 기기(802.11 AP, MAP)를 의미하며, 다중 기지국 기기(MAP)간 실선은 백홀 링크를 의미하고, 다중 기지국 기기(MAP)와 단말 사이의 점선은 프론트홀 링크를 의미한다.5 shows a multi-base station wireless LAN network environmen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a shaded circle (802.11 STA) refers to a WLAN terminal or a client device, a circle in which MAP is described refers to a multi-base station device (802.11 AP, MAP), and a solid line between multiple base station devices (MAP) refers to a backhaul. It means a link, and a dotted line between a multi-base station device (MAP) and a terminal means a fronthaul link.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 (Multi-AP(MAP) Network) 환경은 하나의 AP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무선랜 BSS가 중첩되어있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중첩된 BSS의 무선랜 네트워크와는 다르게, 각각의 네트워크들은 상호간에 통신이 가능한 무선랜 혹은 이더넷 링크 (백홀 링크, Backhaul link)를 맺을 수 있다. 따라서 다중 기지국 무선랜 환경에서 각각의 다중 기지국 기기 (MAP)는 자신이 외부망 (WAN)과 직접 연결되어있지 않다 하더라도 백홀 링크를 통하여 외부망과 연결되어있는 또다른 MAP를 통해 외부망과 통신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MAP는 concurrent 형태로 동작 가능한 다수의 RF 모듈을 장착하는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동시에 다수의 BSS를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스마트폰, 랩탑과 같은 무선랜 클라이언트 기기가 접속할 수 있는 Fronthaul BSS를 운용함과 동시에, 동일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또다른 MAP가 접속할 수 있는 Backhaul BSS를 운용할 수 있으며, 외부망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MAP는 상기한 backhaul BSS에 접속하여 외부망과 통신할 수 있다. A multi-base station WLAN network (Multi-AP (MAP) Network) environment may exist in the form of overlapping WLAN BSSs formed around one AP. However, unlike the existing wireless LAN networks of overlapping BSS, each network can establish a wireless LAN or Ethernet link (backhaul link)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erefore, in a multi-base station wireless LAN environment, each multi-base station device (MAP) can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network through another MAP connected to the external network through a backhaul link, even if it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external network (WAN). It is possible. In general, since MAP assumes that multiple RF modules that can be operated concurrently are installed, multiple BSSs can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perate a Fronthaul BSS that can be accessed by a wireless LAN client device such as a user's smartphone or laptop, and a Backhaul BSS that can be accessed by another MAP constituting the same network. A MAP that is not connected to may access the backhaul BSS and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network.

동일한 MAP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MAP들은 각각 서로 다른 fronthaul BSSID를 갖고 개별적인 BSS 동작을 수행하지만, 동일한 SSID를 사용하고 동일한 접속 보안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 기기 입장에서는 전체 MAP 네트워크가 하나의 무선랜 프로파일로 인식될 수 있다. Each of the MAPs constituting the same MAP network has a different fronthaul BSSID and performs individual BSS operations, but since the same SSID is used and the same access security method is used, the entire MAP network is recognized as a single WLAN profi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er device. Can b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기지국 기기들의 논리적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6 shows a logical structure of multiple base station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P 네트워크에서는 기존의 무선랜 리피터나 익스텐더 기기들이 제공하는 signal amplifying이나 packet forwarding 등의 기초적인 기능 외에 전체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정보들을 집중화하여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여러 상황에서 지능적으로 대처하는 기능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령, MAP들이 중첩된 공간에 있을 시에 상호 간에 가장 간섭이 적거나 가장 효율이 좋은 채널을 이용하여 fronthaul BSS를 구성하도록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기존의 MAP 네트워크에 새로운 MAP 기기가 접속하는 경우 (온보딩, onboarding), 사용자가 보안 관련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백홀 링크를 형성하고 SSID, credential과 같은 설정 정보들을 새로운 MAP에게 전달할 수 있다. 혹은 특정 MAP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가 이동할 시에 채널 변화 및 BSS 로드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MAP를 선정하여 로밍을 유도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In the MAP network, in addition to basic functions such as signal amplifying and packet forwarding provided by the existing wireless LAN repeater or extender devices, it is intended to provide functions that intelligently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in the network by centralizing various information on the entire network. For example, when MAPs are in an overlapping space, a fronthaul BSS can be configured using a channel with the least interference or the best efficiency. In addition, when a new MAP device connects to a new existing MAP network (onboarding), users do not directly enter security-related information, form a backhaul link in a reliable way, and provide new configuration information such as SSID and credential. Can be delivered to MAP. Alternatively, when a client connected to a specific MAP moves, it is also possible to induce roaming by selecting an optimal MAP in consideration of channel change and BSS load.

상기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 접속 정보, 채널 정보, 클라이언트 및 AP capability 정보 등이 집중되고 정보들을 처리하여 명령을 내리는 주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MAP 표준에서는 MAP 콘트롤러(Controller)를 정의하여 상기 동작들을 수행하게 한다. MAP 컨트롤러는 하나의 MAP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개체만이 존재할 수 있으며, 논리적인 개체이기 때문에 물리적인 기기에 구애받지 않고, MAP 기기, 스위치, 게이트웨이 등 MAP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기기 등에 존재할 수 있다. MAP 컨트롤러는 각각의 MAP 기기에 존재하는 MAP 에이전트(Agent)에게 해당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거나 특정 BSS 혹은 특정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명령을 수행하도록 한다. In order to perform the above functions, client access information, channel information, client and AP capability information, etc. are concentrated, and a subject that processes the information and issues a command is required. To this end, the MAP standard defines a MAP controller to perform the above operations. The MAP controller can exist in only one entity in one MAP network, and since it is a logical entity, it may exist in devices directly connected to the MAP, such as MAP devices, switches, and gateways, regardless of physical devices. The MAP controller reques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device from a MAP agent existing in each MAP device or executes a command related to a specific BSS or a specific client.

802.11 기반 무선랜 표준에서는 BSS 내부의 정보를 1-hop 이상의 개체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정의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MAP 콘트롤러(Controller) 및 에이전트(Agent)는 IEEE 1905.1 표준에서 정의하는 Abstraction Layer(AL)의 메시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받는다. AL은 Layer 2(MAC)과 Layer 3(IP)의 중간에 있는 계층으로 무선랜, 이더넷, PLC 등의 이종 링크로 구성된 multihop 네트워크 내에서 라우팅 및 메시징 기능을 위해 정의되었기 때문에, MAP 콘트롤러(controller)가 1905.1 형식으로 전송하는 메시지는 다수 hop 거리에 위치하는 MAP 에이전트(agent)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전달된 정보들은 해당 MAP 기기의 특정 BSS의 MAC 계층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각 MAP 에이전트(agent)들은 1905.1 라우팅을 통해 MAP 네트워크 내의 WAN 접속 지점을 알고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AP로 전달하는 무선랜 패킷을 WAN 접속 지점까지 전달할 수 있다.The 802.11-based wireless LAN standard does not define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information inside the BSS to an entity of 1-hop or more. Therefore, the MAP controller and agent are of the Abstraction Layer (AL) defined in the IEEE 1905.1 standard.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using a messaging protocol. AL is a layer in the middle of Layer 2 (MAC) and Layer 3 (IP), and is defined for routing and messaging functions within a multihop network composed of heterogeneous links such as WLAN, Ethernet, and PLC. A message transmitted in the 1905.1 format can be delivered to a MAP agent located at multiple hop distances, and the transmitted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o the MAC layer of a specific BSS of the corresponding MAP device. In addition, since each MAP agent knows the WAN access point in the MAP network through 1905.1 routing, the wireless LAN packet delivered by the client to the AP can be delivered to the WAN access point.

이하의 설명에서는 “MAP 콘트롤러(Controller)”를 단순하게 “콘트롤러”로, “MAP 에이전트(Agent)”를 “에이전트”로 기재하고, “스테이션”, “클라이언트”, “STA”, “단말” 등의 용어를 “단말”로 통일하고, “액세스 포인트”, “AP”, “기지국” 등의 용어를 “기지국”으로 통일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AP controller” is simply described as “controller” and “MAP agent” is described as “agent”, and “station”, “client”, “STA”, “terminal”, etc. The terms of "terminal" should be unified as "terminal", and terms such as "access point", "AP", and "base station" should be unified as "base station".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에 포함된 기지국과 단말의 접속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따르면,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에 1개의 단말(100)과 2개의 기지국(200A, 200B)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각 기지국이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에서의 콘트롤러인지 또는 에이전트인지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는데, 도 7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는 두 기지국이 모두 에이전트이고, 해당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는 생략된 것으로 간주하고 설명하도록 한다.7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included in a multi-base station WLA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S. 7 to 8, one terminal 100 and two base stations 200A and 200B may be included in a multi-base station WLAN network. Here, whether each base station is a controller or an agent in a multi-base station wireless LAN network is not separately shown.In the embodiments of FIGS. 7 to 8, both base stations are agents, and the controller controlling the multi-base station wireless LAN network is It should be regarded as omitted and explained.

도 7 내지 도 8에서 실선 및 점선(C1 내지 C4)은 단말(100)이 기지국(200A, 200B)과 접속할 때 이용할 수 있는 통신 채널 또는 단말(100)과 기지국(200A, 200B)의 각 BSS(Basic Service Set)와의 접속 관계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간단하게 각각의 C1 내지 C4를 제1 BSS 내지 제4 BSS로 각각 지칭하도록 한다.7 to 8, solid and dotted lines (C1 to C4) indicate a communication channel that can be used when the terminal 100 connects to the base stations 200A and 200B, or each BSS of the terminal 100 and the base stations 200A and 200B ( Basic Service Se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each of C1 to C4 will be simply referred to as first BSS to fourth BSS, respectively.

도 7에 따르면, 현재 단말(100)은 기지국 200A의 제1 BSS(C1)을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이다. 여기서, 단말(100)이 현재 접속하고 있는 BSS를 부모 BSS(Patent BSS)로 명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7에서는 제1 BSS(C1)이 부모 BSS이다. 이때, 콘트롤러는 만약 단말(100)과 제1 BSS(C1) 사이의 무선랜 통신의 성능이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이 다른 BSS에 접속되도록 상기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의 각 기지국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클라이언트 스티어링(Client Steering, 이하 “스티어링”)이라고 한다. 하지만 스티어링은 다양한 양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티어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7, the terminal 100 is curr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BSS (C1) of the base station 200A. Here, the BSS to which the terminal 100 is currently connected may be referred to as a parent BSS (Patent BSS). Accordingly, in FIG. 7, the first BSS C1 is a parent BSS. At this time, if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first BSS (C1) does not satisfy a preset criterion, the multi-base station so that th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other BSS. The operation of each base station of the WLAN network can be controlled, and this is referred to as client steering ("steering"). However, steering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aspects, and stee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콘트롤러는 해당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BSS를 후보 BSS로 설정할 수 있으며, 후보 BSS 중 스티어링 대상으로 선정된 BSS를 목표 BSS(Target BSS, T_BSS)라고 명명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제1 BSS 내지 제4 BSS가 후보 BSS일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may set at least one BSS in the corresponding multi-base station WLAN network as a candidate BSS, and the BSS selected as a steering target among the candidate BSSs may be named as a target BSS (T_BSS). In the embodiment of FIG. 7, the first BSS to the fourth BSS may be candidate BSSs.

도 8(a)에 따르면, 콘트롤러는 단말(100)로 하여금 도 7의 경우와 동일한 기지국이지만 전혀 다른 BSS인 제2 BSS(C2)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BSS(C1)가 2.4GHz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랜 채널이었는데 측정된 전송 속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 콘트롤러는 단말(100)이 5GHz 대역을 이용하는 동일 기지국의 제2 BSS(C2)에 접속하도록 스티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목표 BSS는 제2 BSS(C2)가 된다.According to FIG. 8(a), the controller allows the terminal 100 to access the second BSS (C2), which is the same base station as in FIG. 7 but a completely different BSS. For example, if the first BSS (C1) is a wireless LAN channel using a 2.4 GHz band and the measured transmission rate is evaluated to be very low, the controller is the second BSS of the same base station using the 5 GHz band. Steering can be performed to connect to C2). In this case, the target BSS becomes the second BSS (C2).

물론, 스티어링은 기존과는 전혀 다른 기지국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8(b)에 따르면, 콘트롤러는 단말(100)로 하여금 기지국 200B의 제3 BSS(C3)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목표 BSS는 제3 BSS(C3)가 된다.Of course, steering can be performed for a base station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According to FIG. 8(b), the controller may cause the terminal 100 to access the third BSS (C3) of the base station 200B. In this case, the target BSS becomes the third BSS (C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다중 기지국 무선랜 환경에서의 단말의 스티어링 방법에 있어서 콘트롤러가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단말의 스티어링(steering) 수행 여부를 판별(S110)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가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BSS(Basic Service Set)와 상기 단말 사이의 무선랜 성능을 평가(S120)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새로 접속할 목표 BSS를 선별(S130)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단말이 상기 목표 BSS(Basic Service Set)에 접속되도록 스티어링을 트리거(trigger)(S140)할 수 있다.9 is a diagram showing a stee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in a method for steering a terminal in a multi-base station wireless LAN environment,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steering of a terminal connected to the multi-base station wireless LAN network (S110).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evaluate the wireless LAN performance between at least one basic service set (BSS) included in the multi-base station wireless LAN network and the terminal (S120).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select a target BSS to be newly accessed by the terminal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S130).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trigger steering (S140) so that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arget Basic Service Set (BSS).

우선, 콘트롤러는 무선랜 관련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단말에 대한 스티어링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참조) 콘트롤러는 단말(100) 및 단말(100)이 접속 중인 제1 BSS(C1) 사이의 무선 신호(무선랜 신호)의 세기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값)를 기지국 200A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콘트롤러는 만약 상기 신호의 세기가 -60dBm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단말에 대한 스티어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써, 콘트롤러는 단말(100) 및 단말(100)이 접속 중인 제1 BSS(C1) 사이의 무선 신호(무선랜 신호)의 전송 속도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 200A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콘트롤러는 만약 상기 전송 속도가 1Mb/s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단말에 대한 스티어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콘트롤러는 단일 무선랜 파라미터 또는 측정 값에 기초하여 스티어링의 필요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지만 둘 이상의 무선랜 파라미터 또는 측정 값에 기초하여 복합적으로 스티어링의 필요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트롤러는 만약 전송 속도가 2Mb/s 미만이고, 백분율로 산출되는 채널 이용률이 80% 이상인 경우 스티어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할 수도 있다.First,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steering is required for a terminal connected to a multi-base station wireless LAN network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wireless LAN. For example, (refer to FIG. 7) the controller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signal (wireless LAN signal)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first BSS (C1) to which the terminal 100 is connected (for example, 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value) may b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200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60dBm,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steering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is required.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may receive information on a transmission rate of a radio signal (wireless LAN signal)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first BSS (C1) to which the terminal 100 is connected from the base station 200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speed is less than 1 Mb/s,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steering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is requir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steering is necessary based on a single WLAN parameter or measured value, but may determine whether steering is required in combination based on two or more WLAN parameters or measured values.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steering is necessary if the transmission speed is less than 2Mb/s and the channel utilization rate calculated as a percentage is 80% or more.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콘트롤러는 전술한 판별 기준과는 무관하게 기 설정된 주기마다 스티어링이 실행될 수 있도록 작동할 수 있다. 즉 도 9의 순서도에서 S110 단계에서 기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10초)마다 S120 이후의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트리거링할 수 있다. 또는, 콘트롤러는 외부의 제어 신호 또는 입력에 대응하여 S120 이후의 스티어링 관련 절차가 진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operate so that the steering can be executed at every preset period irrespective of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criterion. That is, in the flowchart of FIG. 9, triggering may be performed so that a procedure after S120 may be performed every preset period (eg, 10 seconds) in step S110.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a steering related procedure after S120 is performed in response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or input.

콘트롤러는 스티어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BSS(Basic Service Set)와 스티어링의 대상이 되는 단말 사이의 무선랜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steering is necessary, the controller may evaluate a WLAN performance between at least one Basic Service Set (BSS) included in the multi-base station WLAN network and a terminal to be steered.

여기서, 무선랜 성능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랜 파라미터(또는 무선랜 표준에서 정의되었거나 무선랜 기기 제조사에서 활용하고 있는 무선랜 링크(link)와 관련된 수치들 포함)에 기초하여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되는 무선랜 파라미터 또는 측정값으로써, RSSI, 홉(hop) 수, 전송 속도(Throughput, transfer rate), 기지국/BSS에 접속되어있는 단말의 수(# of associated STA), 공간 스트림(Spatial Stream) 수, 채널 이용률(Channel Utilization)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무선랜 성능 평가시 스티어링의 필요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참조되었던 무선랜 파라미터 또는 측정 값이 그대로 활용될 수도 있다.Here, the WLAN performance may be evaluated based on at least one WLAN parameter (or, including values related to a WLAN link defined in a WLAN standard or used by a WLAN device manufacturer). For example, as a referenced WLAN parameter or measurement value, RSSI, number of hops, transmission rate (Throughput, transfer rate), number of terminals connected to base station/BSS (# of associated STA), spatial stream At least some of the number of (Spatial Streams) and channel utilization may be included, bu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lternatively, the WLAN parameter or measurement value referenc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steering is necessary when evaluating the WLAN performance may be used as it is.

여기서,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 내의 각 기지국은 전술한 다양한 무선랜 파라미터 또는 측정 값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파라미터 및 측정 값을 콘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Here, each base station in the multi-base station WLAN network may measure various WLAN parameters or measured values described above, and may transmit the measured parameters and measured values to the controller.

콘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랜 파라미터 또는 측정 값을 복합적으로 참조하여 단말과 각 BSS 사이의 무선랜 성능 평가와 관련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콘트롤러는 단말(100)과 제1 BSS(C1) 사이의 무선랜 성능 평가와 관련된 값 내지 단말(100)과 제4 BSS(C4) 사이의 무선랜 성능 평가와 관련된 값을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 value related to evaluation of the WLAN perform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each BSS by referring to at least one WLAN parameter or measurement value in combination. Referring back to FIG. 7, the controller is a value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the WLAN performance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first BSS (C1) or the value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the WLAN performance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fourth BSS (C4). Can be calculated.

구체적 예시로써, 콘트롤러는 실수인 가중치 a1, a2, a3, ... 및 제1 무선랜 파라미터/측정 값 v1, 제2 무선랜 파라미터/측정 값 v2, 제3 무선랜 파라미터/측정 값 v3, ... 에 대하여, a1*v1 + a2*v2 + a3*v3 + ... 의 수식에 기초하여 무선랜 성능평가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콘트롤러는 전술한 다양한 무선랜 파라미터/측정 값을 변수로 하는 다항식 또는 함수를 통해 무선랜 성능평가 값을 산출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controller has real weights a1, a2, a3, ... and a first WLAN parameter/measurement value v1, a second WLAN parameter/measurement value v2, a third WLAN parameter/measurement value v3,. For .., a wireless LAN performance evaluation value can be calculated based on an equation of a1*v1 + a2*v2 + a3*v3 + ...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 WLAN performance evaluation value through a polynomial or a function using the above-described various WLAN parameters/measurement values as variables.

산출된 무선랜 성능평가 값은 정수 또는 실수 값의 점수 또는 포인트일 수 있다. 또는 산출된 무선랜 성능평가 값은 서로 구별되는 단계 또는 등급일 수 있다.The calculated WLAN performance evaluation value may be a score or point of an integer or real value. Alternatively, the calculated WLAN performance evaluation values may be stages or grad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전술한 바에 따르면, 단말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 중인 BSS를 부모 BSS로 지칭할 수 있으며, 부모 BSS와 단말 사이의 무선랜 성능평가와 관련된 점수(이하 무선랜 성능평가 점수)를 자가 점수로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 내 BSS 중 상기 부모 BSS를 제외한 나머지 BSS(Basic Service Set)와 상기 단말 사이의 무선랜 성능평가와 관련된 점수를 대상 점수로 지칭할 수 있다. 즉, 해당 단계에서 콘트롤러는 자가 점수 및 대상 점수를 각각 개별적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점수들을 기반으로 목표 BSS를 선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he B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s to and from the terminal may be referred to as the parent BSS, and the score related to the WLAN performance evaluation (hereinafter, the WLAN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between the parent BSS and the terminal may be referred to as a self-score. have. In addition, among the BSSs in the multi-base station WLAN network, a score related to the WLAN performance evaluation between the BSS (Basic Service Set) other than the parent BSS and the terminal may be referred to as a target score. That is, in the corresponding step, the controller may individually calculate the self score and the target score, and may select a target BSS based on the scores.

콘트롤러는 전술한 성능평가의 결과 값 또는 수치 또는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새로 접속할 목표 BSS를 선별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elect a target BSS to be newly accessed by the terminal based on the above-described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value, numerical value, or sco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트롤러는 상기 자가 점수, 상기 대상 점수 및 기 설정된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에 기초하여 단말이 새로 접속할 목표 BSS를 선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트롤러는 상기 자가 점수와 상기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의 합보다 큰 대상 점수를 나타내는 BSS를 목표 BSS로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상황에서 산출된 자가 점수(제1 BSS와 단말 사이의 무선랜 성능평가 점수)가 50점이고,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이 20점인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때, 각 대상 점수(제2 BSS 내지 제 4 BSS와 단말 사이의 무선랜 성능평가 점수)가 각각 75, 55, 46점인 경우, 콘트롤러는 제2 BSS를 목표 BSS로 선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무선랜 파라미터 또는 측정치의 조합에 따른 점수뿐만 아니라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이라는 추가적 요소를 통해 목표 BSS의 선정을 보다 고도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select a target BSS to be newly accessed by the terminal based on the self score, the target score, and a preset steering start limit value.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may select a BSS representing a target score greater than the sum of the self score and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as the target BSS. For example, it may be assumed that the self-score calculated in the situation of FIG. 7 (the wireless LAN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between the first BSS and the terminal) is 50 points, and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is 20 points. At this time, when each target score (a WLAN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between the second BSS to the fourth BSS and the terminal) is 75, 55, and 46, respectively, the controller may select the second BSS as the target BSS. 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on of a target BSS may be more advanced through an additional element such as a steering start limit value as well as a score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each WLAN parameter or measurement value.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은 고정된 설정 값일 수 있지만, 주변 여건 또는 무선랜 통신 환경 등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은, 상기 단말이 부모 BSS와 송수신 중이거나 송수신 예정인 데이터의 크기 및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대상이 되는 단말과 부모 BSS 사이에 대량의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고, 추가적으로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가 특정 기준 이상인 경우 콘트롤러는 상기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을 기존 값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단말에 대한 많은 무선랜 통신 자원이 요구되는 경우 보다 높은 무선랜 성능평가 점수를 만족하는 BSS를 목표 BSS로 선별할 수 있다. 반대로, 스티어링 대상이 되는 단말과 부모 BSS 사이에 소량의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고, 추가적으로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가 특정 기준 미만인 경우 콘트롤러는 상기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을 기존 값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트롤러는 목표 BSS 선정에 있어서 보다 높은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may be a fixed setting value, but may be changed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based on a surrounding environment or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and type of data being transmitted/received by the terminal or scheduled to be transmitted/received with the parent BSS. For example, when a large amount of data is being transmitted between a terminal to be steered and a parent BSS, and data to be additionally transmitt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c reference, the controller may increase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from the existing value. That is, when a lot of WLAN communication resources are required for the terminal, a BSS that satisfies a higher WLAN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may be selected as the target BSS. Conversely, when a small amount of data is being transmitted between the terminal to be steered and the parent BSS, and the additional data to be transmitted is less than a specific reference, the controller may reduce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from the existing value. Through this, the controller can have a higher degree of freedom in selecting the target BSS.

또한, 콘트롤러는 단말과 부모 BSS 사이에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예를 들어, 음성 신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반대로 콘트롤러는 단말과 부모 BSS 사이에 우선 순위가 낮은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을 감소 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increase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when high-priority data (eg, a voice signal) is includ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parent BSS. Conversely, the controller has priority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parent BSS. If low data is included,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may be decreased.

이에 더하여, 콘트롤러는 상기 단말이 부모 BSS와 송수신 중이거나 송수신 예정인 데이터의 크기 및 종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 스티어링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추가 스티어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목표 BSS을 선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과 부모 BSS 사이에 게임과 관련된 데이터(단말에서 BSS로 전송되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과 관련된 신호,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등)가 포함된 경우, 전술한 조건에 더하여 “hop 수가 2 이하”라는 추가 스티어링 조건을 선정하고, 이를 만족하는 목표 BSS를 선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sets at least one additional steering condition based on the size and type of data being transmitted/received or scheduled to be transmitted/received by the terminal with the parent BSS, and selects a target BSS based on whether the additional steering condition is satisfied. May be. For example, if game-related data (signals related to user manipulation input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BSS, video signals, audio signals, etc.) are includ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parent BSS, in addition to the above conditions, “the number of hops is 2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an additional steering condition such as “below” and select a target BSS that satisfies this.

한편, 콘트롤러는 상기 자가 점수 및 상기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의 합보다 큰 대상 점수를 나타내는 BSS가 둘 이상인 경우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BSS를 목표 BSS로 선별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콘트롤러는 추가 스티어링 조건을 만족하고 자가 점수 및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의 합보다 큰 대상 점수를 나타내는 BSS가 둘 이상인 경우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BSS를 목표 BSS로 선별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re are two or more BSSs representing target score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self score and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the controller may select the BSS representing the highest score as the target BSS.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select the BSS representing the highest score as the target BSS when the additional steering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re are two or more BSSs representing the target score greater than the sum of the self score and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예를 들어, 도 7의 자가 점수가 50점이고, 대상 점수(C2 내지 C4)가 60, 80, 75이고,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이 20인 경우, 콘트롤러는 단말을 제3 BSS(C3)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각 대상 점수가 55, 64, 46인 경우, 모든 BSS의 성능평가 점수가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과 자가 점수의 합을 넘지 못하므로 콘트롤러는 목표 BSS를 선정하지 못함에 따라 스티어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self-score of FIG. 7 is 50 points, the target scores (C2 to C4) are 60, 80, 75, and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is 20, the controller connects the terminal to the third BSS (C3). can do. As another example, if each target score is 55, 64, 46, the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of all BSSs does not exceed the sum of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and the self score, so the controller performs steering as the target BSS cannot be selected. I can't.

그리고, 콘트롤러는 상기 단말이 상기 목표 BSS(Basic Service Set)에 접속되도록 스티어링을 트리거(trigger)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b)를 참조하면, 콘트롤러는 우선 단말(100)과 부모 BSS인 제1 BSS(C1) 사이의 접속(또는 무선랜 링크)을 해제하는 제어 신호를 제1 BSS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BSS(C1)와 단말(100) 사이의 접속이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어서 콘트롤러는 제3 BSS(C3)와 단말(100) 사이의 접속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3 BSS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BSS(C3)와 단말(100) 사이의 무선랜 접속이 수행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1 BSS에서 제3 BSS로의 단말의 스티어링이 완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trigger steering so that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arget Basic Service Set (BSS). 7 and 8(b), the controller may first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releasing the connection (or WLAN link)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parent BSS, the first BSS (C1), to the first BSS. According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BSS (C1) and the terminal 100 may be released. Then, the controller may then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connection between the third BSS (C3) and the terminal 100 to the third BSS, and accordingly, a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third BSS (C3) and the terminal 100 This may be performed, and as a result, steering of the terminal from the first BSS to the third BSS may be completed.

한편, 도 9에 따르면 무선랜 성능 평가가 스티어링 수행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콘트롤러는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각 단말에 대하여 네트워크 내의 각 BSS 사이와의 무선랜 성능 평가를 상시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는 상시적/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무선랜 성능 평가의 결과물에 기초하여 특정 단말의 스티어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초마다 수행되는 무선랜 성능 평가에서 특정 단말의 무선랜 성능 평가 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해당 단말에 대한 스티어링이 즉각적으로 결정되어 S130 이후의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FIG. 9, it is shown that the WLAN performance evaluation is performed 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the steer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ler provides a network for each terminal connected to the multi-base station WLAN network. Wireless LAN performance evaluation between each of the BSSs within the BSS may be performed at all times or periodically.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o steer a specific terminal based on the result of the wireless LAN performance evaluation performed regularly/periodically. For example, in the WLAN performance evaluation performed every 10 seconds, if the WLAN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of a specific terminal does not satisfy a preset criterion, the steering for the corresponding terminal may be determined immediately and steps after S130 may be performed. hav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other specific forms can be easily modified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단말(STA)
200 : 기지국(AP)
100: terminal (STA)
200: base station (AP)

Claims (5)

콘트롤러가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단말의 스티어링(steering) 수행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콘트롤러가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BSS(Basic Service Set)와 상기 단말 사이의 무선랜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새로 접속할 목표 BSS(Basic Service Set)를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단말이 상기 목표 BSS(Basic Service Set)에 접속되도록 스티어링을 트리거(trigger)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BSS(Basic Service Set)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단말이 접속 중인 BSS(Basic Service Set)인 부모 BSS(Basic Service Set)와 상기 단말 사이의 무선랜 성능평가 점수인 자가 점수,
상기 다중 기지국 무선랜 네트워크 내 BSS(Basic Service Set) 중 상기 부모 BSS(Basic Service Set)를 제외한 나머지 BSS(Basic Service Set)와 상기 단말 사이의 무선랜 성능평가 점수인 대상 점수 및
기 설정된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에 기초하여 목표 BSS(Basic Service Set)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기지국 무선랜 환경에서의 스티어링 방법.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whether to perform steering of a terminal connected to a multi-base station wireless LAN network;
Evaluating, by the controller, a wireless LAN performance between at least one basic service set (BSS) included in a multi-base station wireless LAN network and the terminal;
Selecting, by the controller, a target BSS (Basic Service Set) to be newly accessed by the terminal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And
A step of triggering, by the controller, a steering so that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arget basic service set (BSS),
The step of selecting the target BSS (Basic Service Set),
The controller,
A self-score, which is a wireless LAN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between the parent BSS (Basic Service Set), which is a basic service set (BSS) to which the terminal is connected, and
A target score that is a WLAN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between the BSS (Basic Service Set) excluding the parent BSS (Basic Service Set) among the BSS (Basic Service Set) in the multi-base station WLAN network and the WLAN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between the terminal and
A steering method in a multi-base station WLAN environment, comprising selecting a target Basic Service Set (BSS) based on a preset steering start limit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콘트롤러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랜 파라미터 또는 측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자가 점수 및 상기 대상 점수를 개별적으로 산출하고,
상기 목표 BSS(Basic Service Set)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자가 점수 및 상기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의 합보다 큰 대상 점수를 나타내는 BSS(Basic Service Set)를 목표 BSS(Basic Service Set)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기지국 무선랜 환경에서의 스티어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evaluating the wireless LAN performance,
The controller individually calculates the self score and the target score based on at least one WLAN parameter or measurement value,
The step of selecting the target BSS (Basic Service Set),
The steering method in a multi-base station WLAN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selects a basic service set (BSS) representing a target score greater than the sum of the self-score and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as a target basic service set (BSS).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은,
상기 단말이 부모 BSS(Basic Service Set)와 송수신 중이거나 송수신 예정인 데이터의 크기 및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기지국 무선랜 환경에서의 스티어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is,
The steering method in a multi-base station WLAN environment, wherein the terminal is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and type of data being transmitted/received or scheduled to be transmitted/received with a parent BSS (Basic Service S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BSS(Basic Service Set)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단말이 부모 BSS(Basic Service Set)와 송수신 중이거나 송수신 예정인 데이터의 크기 및 종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 스티어링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추가 스티어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BSS(Basic Service Set)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기지국 무선랜 환경에서의 스티어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of selecting the target BSS (Basic Service Set),
The controller sets at least one additional steering condition based on the size and type of data that the terminal is transmitting/receiving with a parent BSS (Basic Service Set) or scheduled to be transmitted/received, and the target based on whether the additional steering condition is satisfied. A steering method in a multi-base station WLAN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BSS (Basic Service Set) is selec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BSS(Basic Service Set)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자가 점수 및 상기 스티어링 시작 한계 값의 합보다 큰 대상 점수를 나타내는 BSS(Basic Service Set)가 둘 이상인 경우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BSS(Basic Service Set)를 목표 BSS(Basic Service Set)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기지국 무선랜 환경에서의 스티어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of selecting the target BSS (Basic Service Set),
When the controller has more than one BSS (Basic Service Set) representing a target score greater than the sum of the self score and the steering start limit value, the BSS (Basic Service Set) representing the highest score is set as the target BSS (Basic Service Set). Steering method in a multi-base station wireless LAN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KR1020190118851A 2019-09-26 2019-09-26 Method for client steering in multi-ap wireless lan networks KR202100366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851A KR20210036637A (en) 2019-09-26 2019-09-26 Method for client steering in multi-ap wireless lan networ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851A KR20210036637A (en) 2019-09-26 2019-09-26 Method for client steering in multi-ap wireless lan networ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637A true KR20210036637A (en) 2021-04-05

Family

ID=7546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851A KR20210036637A (en) 2019-09-26 2019-09-26 Method for client steering in multi-ap wireless lan networ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663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805B1 (en) Sudac,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sudac system
US11134473B2 (en) Antenna element set selection system
KR101285482B1 (en) Dual base statio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226367B1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association and re-associ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20170170946A1 (en) Selective participation on full-duplex communications
JP2008517558A (en) Terminal transmit power control with link adaptation
CN111436061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backhaul 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0453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st beamforming setup
WO2017159259A1 (en)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and wireless terminal device
KR20150054626A (en) Station and method of connecting the access point and the station
US20220150721A1 (en) Client steering method in multiple access point network and device therefor
TWI830570B (e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80028668A (en) Multi-user uplink trnasmit power control for wilreless lan
KR102115974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eer link setting, and method and apparatus of channel switching, in wireless mesh network
US10349443B2 (en) Universal repeater, a method of operating a universal repeater and a network including the same
KR20210036637A (en) Method for client steering in multi-ap wireless lan networks
KR20210036634A (en) Method for channel utilization based client steering in multi-ap wireless lan networks
WO201712229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Ferro et al. Understanding technology options for deploying Wi-Fi
US20240163686A1 (en) Beamforming enhancements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WO2023282249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ireless terminal, and base station
US20240147550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ireless terminal, and base station
KR20100137341A (en) Method of directional link measurement
TW202404311A (en) Beamforming techniques in wi-fi frequency bands
EP4367917A1 (en) Network node, user equipment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