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797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ng continuous viewing function by using a second device in a wireless av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ng continuous viewing function by using a second device in a wireless av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797A
KR20210032797A KR1020190114254A KR20190114254A KR20210032797A KR 20210032797 A KR20210032797 A KR 20210032797A KR 1020190114254 A KR1020190114254 A KR 1020190114254A KR 20190114254 A KR20190114254 A KR 20190114254A KR 20210032797 A KR20210032797 A KR 20210032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wireless
information
data transmiss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2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9520B1 (en
Inventor
박지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4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520B1/en
Publication of KR20210032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7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5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oviding a continuous viewing function through a second device in a wireless AV system, and a method thereof. Provided is a data transmission device which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 data stream to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nd a control unit obtaining state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by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configured to transmit setting information of a first display device to a second display device recognized by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when information instructing continuous viewing is received from the first display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Description

무선 AV 시스템에서 세컨드 장치를 이용한 연속 시청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NG CONTINUOUS VIEWING FUNCTION BY USING A SECOND DEVICE IN A WIRELESS AV SYSTEM}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inuous viewing function using a second device in a wireless AV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NG CONTINUOUS VIEWING FUNCTION BY USING A SECOND DEVICE IN A WIRELESS AV SYSTEM}

본 발명은 무선 오디오/비디오(audio/video: AV)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AV 시스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청 중인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연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audio/video (AV)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n apparatus for continuously viewing content being viewed through a first display device in a wireless AV system on a second display device, and It's about the method.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하고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오디오(audio), 영상(video or picture)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오디오/비디오(audio/video: AV) 시스템에 대한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smart devices, wireless audio/video (AV) that wirelessly transmits a data stream composed of audio, video or picture,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demand for the system is also increasing.

무선 AV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은 무선 통신에 기반하기 때문에 유선으로 연결된 장치들에 비해 설치나 배치 등의 자유도가 비교적 높다. 또한 무선 AV 시스템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여러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공간의 제약 없이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Since the devices constituting the wireless AV system are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the degree of freedom in installation or arrangement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devices connected by wire. In addition, in a wireless AV system, when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re installed in multiple spaces, a user can view content on multiple display devices without space restrictions.

그러나 기존의 무선 AV 시스템은 사용자가 거실에 구비된 제1 털레비전으로 방송 컨텐츠를 시청 중에 침실에 구비된 제2 털레비전을 통해 해당 방송 컨텐츠를 계속해서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제2 텔레비전을 켜서 채널을 설정하고 볼륨을 설정하는 등의 세팅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제1 텔레비전에서 외부 입력으로 컨텐츠를 시청 중에 제2 털레비전을 통해 해당 컨텐츠를 계속해서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가 저장된 외부 입력 장치를 제1 텔레비전에서 제거한 후 제2 털레비전에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However, in the existing wireless AV system, when a user wants to continue to watch the broadcast content through the second TV provided in the bedroom while watching the broadcast content through the first TV set in the living room, the second TV is turned on and the channel Settings such as setting and volume setting are required. In addition, when a user wants to continue viewing the content through the second TV while watching the content on the first TV with an external input, the external input device in which the content is stored is removed from the first TV and then connected to the second TV. There is a hassle to do.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선 AV 시스템에서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청 중인 컨텐츠를 번거로운 조작 없이도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ly viewing content being viewed through a specific display device in a wireless AV system using another display device without cumbersome manipulation.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무선 AV(audio video) 시스템에 포함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연속 시청을 지시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사용자가 인식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included in a wireless audio video (AV) system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 data stream to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control the plurality of displays. When status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a device and information instructing continuous viewing is received from a first display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 second display device recognized by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is use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transmit setting information.

일 측면에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음량 설정 정보 및 화질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aspect,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ctivation/deactivation information,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volume setting information, and image quality sett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태 정보 요청 패킷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상태 정보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transmit a state information request packet to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but determine that a display device in which a response packet to the state information request packet is not received is in an inactive state.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활성화에 관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연속 시청 여부에 관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when a signal regarding deactiv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is received from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first display device to display a screen indicating whether to continuously view or not.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 신호에 대한 정보, 음량 설정 정보, 화질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n input signal of the first display device, volume setting inform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mage quality setting information.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사용자가 감지됨을 지시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a user is detected is received from a sensor provided in the second display device,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in an active state based on st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in an active state, and control to transmit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수신 에러율을 계산하고, 상기 수신 에러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reception error rate for the data stream transmitted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when the reception error 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second display devi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Beamforming may be performed on the target.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AV 시스템에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가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연속 시청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wirelessly transmitting data by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in a wireless AV system includes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from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Receiving information instructing continuous viewing from a first display device, and when a user is recognized by a second display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ransmitting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Includes steps.

일 측면에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음량 설정 정보 및 화질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aspect,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ctivation/deactivation information,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volume setting information, and image quality sett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다른 측면에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태 정보 요청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obtaining includes transmitting a status information request packet to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and receiving a response packet for the status information request packet from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wherei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May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is in an inactive state when a response packet is not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활성화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연속 시청 여부에 관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prior to the receiving step, receiving a signal regarding deactiv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from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the first display device to display a screen regarding whether or not continuous viewing is displayed. It may include.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 신호에 대한 정보, 음량 설정 정보, 화질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after the receiving step, further comprising storing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n input signal of the first display device, volume setting information, and quality setting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사용자가 감지됨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transmitting includes receiving a signal indicating that a user is detected from a sensor provided in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activating the second display device based on st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tate is.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 에러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에러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after the transmitting step, transmitting a data stream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calculating a reception error rate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for the data stream, and when the reception error 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the It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beamforming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여도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청 중인 컨텐츠를 동일한 환경으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연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입력 컨텐츠의 경우에도 외부 입력 장치를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 또는 연결하지 않고도 연속 시청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user moves to another space, content being viewed through a specific display device can be continuously viewed through another display device in the same environment.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external input content, continuous viewing is possible without installing or connecting external input devices to multiple display device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AV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AV 시스템이 댁 내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가 연속 시청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AV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wireless AV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hom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ontinuous viewing function by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y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무선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유일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징들은 예시된 실시예들에 의해 기술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동일하거나 등가의 기능 및 구조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또한 의도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걸쳐, 유사한 도면 부호는 유사한 부분 또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an embodiment of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nd a wireless data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the onl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eature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However, functions and structures that are the same as or equivalent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chieved by other embodiments that are also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bers indicate like parts or feature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최근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이 중요시되고 있고, 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 기술의 발전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이 점차 얇아지고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의 기본적인 두께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욱 얇게 제작하고 설계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물리적, 전기적 연결이 필수불가결한 구성요소들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구성요소들은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별도의 장치에 구비하는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장치는 상호 간에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를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라 하고,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라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독립된 형태로 구비되되, 상호간에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미디어를 재생하는 무선 AV 시스템 또는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recent years, the design of display devices such as TVs is becoming more important, and display panels are gradually becoming thinner due to the development of display panel technology such as OLED. However, due to the basic thickness of the driving circuit driving the display panel, there is a limitation in manufacturing and designing the display panel thinner. Accordingly, a technology in which other components are physically or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display panel and provided in a separate device, except for components in which a phys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display panel is indispensable, is in the spotlight. In this case, each device may be configured to exchange an image signal and an audio signal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Hereinafter, a device that transmits data wirelessly is referred to as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a device that displays data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is referred to as a displa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AV system or a wireless display system in which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are physically and/or electrically independent as described above, but reproduce media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AV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AV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AV 시스템(10)은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AV system 10 may include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and at least one display device 200.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영상(picture), 이미지(image), 멀티미디어(multimedia) 또는 이들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관련된 유/무선 형태의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외부 신호를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 또는 비트 스트림(bit stream)을 생성하고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receives wired/wireless external signals related to audio, video, picture, image, multimedia, or at least one combination thereof. In addition, the received external signal may be processed in various ways to generate a data stream or a bit stream, and transmit it to the display apparatus 200 through a wireless interface.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외부 신호 수신부(1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5), 저장부(120), 제어부(130), 무선 통신부(140), 전원공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such an operatio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includes an external signal receiving unit 110,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15, a storage unit 120, a control unit 13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and a power supply unit ( 150) may be included.

외부 신호 수신부(110)는 튜너(111), 복조부(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signal receiving unit 110 may include a tuner 111, a demodulation unit 112,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113.

튜너(111)는 오디오, 비디오, 영상, 이미지, 멀티미디어 또는 이들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관련된 유/무선 형태의 외부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튜너(11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tuner 111 receives wired/wireless external signals related to audio, video, video, image, multimedia, or at least one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the tuner 111 may tune into a specific broadcast channel according to a channel selection command and receive a broadcast signal for the tuned specific broadcast channel.

복조부(112)는 수신된 외부 신호를 비디오 신호, 이미지 신호,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 등으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이미지 신호,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 등을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The demodulator 112 may separate the received external signal into a video signal, an image signal,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 data signal related to a broadcast program, etc., and the separated video signal, an image signal,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 data signal related to a broadcast program may be restored in a form capable of being output.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목록 또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어부(130) 또는 저장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15 may receive an application, an application list, or content in an adjacent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30 or the storage unit 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5)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5)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영상,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멀티미디어 또는 이들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한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F(Radio Frequency) 단자, RGB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 AV단자, CI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15 may provide a connection path betwee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15 receives an external input signal including video, audio, video, image, multimedia, or at least one combination thereof from an external device wirelessly or wiredly connected to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and You can pass it to (13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15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RF) terminal, an RGB terminal,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terminal, a universal serial bus (USB)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AV terminal, a CI terminal, and the like. .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The external device connectable t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15 may be any one of a set-top box, a Blu-ray player, a DVD player, a game console, a sound bar, a smartphone, a PC, a USB memory, and a home theater, but this is only an example.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13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to a wired/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unit 113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other users or other electronic devices through a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또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로 본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In addition, some content data stored in the main body device 100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user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or a selected user or a selected electronic device among other electronic device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13 may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That is, by accessing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network, the server and data can be transmitted or received.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13 may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That is, the network interface unit 113 may receive content such as movies, advertisements, games, VODs, broadcast signals, and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provider through a network.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13 may receive update information and an update file of firmware provided by a network operator, and may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13 may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application from among applications open to the public through a network.

저장부(120)는 제어부(13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ler 130, and may store a signal-processed image, audio, or data signal.

또한, 저장부(12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목록,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2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y storage of an application, application list, video,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15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13, and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image can be stored through the memory function.

또한, 저장부(120)는 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 정보,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state information, setting information, and the like of at least one display device 200 obtain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리모컨이라 불릴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by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not shown), and access the network to obtain an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desired by the user by wireless data. It can be made to be downloaded into the transmission device 100. The remote control device performs an operation of remotely controlling power on and off, channel selection, and screen setting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and/or the display device 200, and may be referred to as a remote control.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외부 신호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한 외부 신호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enable the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o be output through at least one display apparatus 200 together with an externa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signal receiving unit 100.

또한,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캠코더 또는 USB 장치 등으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provides an image from an external devic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15, for example, a camera, a camcorder, or a USB device, according to an external device image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A signal or an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at least one display device 200.

또한, 제어부(130)는 저장부(12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received broadcast content, and external input content input from the outside to be played, and the content includes a broadcast image, an external input image, an audio file, It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a still image, a connected web screen, and a document file.

제어부(130)는 복조부(112)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5) 또는 저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 이미지, 영상, 오디오,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등을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데이터를 다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지원하는 부/복호화 방식에 맞게 부호화하며, 부호화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압축, 부호화와 같은 다양한 영상/음성 처리 기법으로 처리하여 데이터 스트림 또는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스트림 또는 비트 스트림을 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decodes video, image, video, audio, data related to a broadcast program, etc. input through the demodulation unit 112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15 or the storage unit 120, and stores the decoded data. It encodes according to the encoding/decoding method supported by the display apparatus 200 again, and generates a data stream or a bit stream by processing the encoded data with various image/audio processing techniques such as compression and encoding in order to transmit the encoded data through a wireless channel. Then,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generated data stream or bit stream to the at least one 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performed.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30)는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를 다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지원하는 부/복호화 방식에 맞게 부호화함이 없이,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를 바이패스(bypass)하여 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바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troller 130 bypasses the decoded data without encoding the decoded data again according to the encoding/decoding method supported by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200 to bypas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 It may be transmitted directly to the 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140).

제어부(130)는 본 명세서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에서 프로세서의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상기 프로세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3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 내에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a function, procedure, and/or method of a processor i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describ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Layers of the air interface protocol may be implemented in the processor.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be provided i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100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무선 통신부(140)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칩과 RF 안테나의 조합으로서 제어부(13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40)는 제어부(130)로부터 데이터 스트림 또는 비트 스트림을 받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 또는 비트 스트림을 무선 채널로 전송하기 위한 형태로 부호화 및/또는 변조함으로써 무선 스트림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무선 통신부(140)는 무선 링크를 형성하고,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무선 링크에 의해 연결된다. 무선 통신부(140)는 WI-FI, 블루투스, NFC, RFID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예컨대, 3G, 4G, 5G 셀룰러 네트워크 등)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통신부(140)는 IEEE 802.11 계열의 표준과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operatively coupled to the control unit 130 as a combination of,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nd an RF antenn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receives a data stream or a bit stream from the control unit 130 and generates a wireless stream by encoding and/or modulating the data stream or bit stream in a form for transmitting the data stream or the bit stream through a wireless channel. Transfer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forms a wireless link, and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are connected by a wireless link.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implemented based on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Bluetooth, NFC, and RFID,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g, 3G, 4G, 5G cellular network, etc.).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communicate with the display device 200 based on a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an IEEE 802.11 series standard.

무선 통신부(140)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 채널은 네트워크 통신 채널일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부(140)는 네트워크 혼잡을 회피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터널링된 다이렉트 링크 셋업(tunneled direct link setup; TDLS)을 확립할 수 있다. Wi-Fi 다이렉트 및 TDLS는 비교적 단거리 통신 세션들을 셋업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 채널은 비교적 짧은 범위의 통신 채널일 수도 있고, 2.4 GHz, 3.6 GHz, 5 GHz, 60 GHz, 또는 울트라와이드밴드(UWB) 등 다양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Wi-Fi,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물리적 채널 구조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통신 채널일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channel form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a network communication channel.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establish a tunneled direct link setup (TDLS) to avoid or reduce network congestion. Wi-Fi Direct and TDLS are for setting up relatively short range communication sessions. The communication channel forming the wireless link may be a communication channel of a relatively short range, such as Wi-Fi, Bluetooth, etc. that use various frequencies such as 2.4 GHz, 3.6 GHz, 5 GHz, 60 GHz, or Ultra Wide Band (UWB). It may be a communication channel implemented using a physical channel structure.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통신부(140)는 영상 처리(부호화, 복호화 등)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부(140)는 제어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영상 포맷에 맞게 부호화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영상 처리부는 무선 통신부(140)가 아닌 제어부(1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가 외부 입력 신호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영상 포맷에 맞게 부호화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영상 처리부는 무선 통신부(140)과 제어부(130)와 각각 연결되는 독립적 개체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체 제어부(130)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15)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영상 처리부로 보내고, 영상 처리부는 영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무선 통신부(140)로 보내며, 무선 통신부(140)는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include an image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an image processing (encoding, decoding, etc.) function.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encoding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30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format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Alternatively,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130 other tha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encoding an image of an external input signal according to an image format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Alternatively,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be provided as an independent entity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130,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main body control unit 130 sends the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15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the image processing unit encodes the image signal and sends 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encodes the image signal. The resulting image signal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display apparatus 200.

전원 공급부(150)는 외부 신호 수신부(1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5), 저장부(120), 제어부(130) 및 무선 통신부(14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50)가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방식은 단자 방식과 무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50)가 무선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전원 공급부(150)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150)는 외부의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자기 커플링(magnetic coupling)되어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전력 픽업 유닛(power pick-up unit)과,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전력의 송수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별도의 통신 및 제어 유닛(communication and control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50 supplies power to the external signal receiving unit 11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15, the storage unit 120, the control unit 13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A method in which the power supply unit 150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may include a terminal method and a wireless method. When the power supply unit 150 receives power in a wireless manner,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include a separate component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50 is a power pick-up unit configured to receive wireless power by magnetic coupling with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power pick-up unit to receive wireless power. A separate communication and control unit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contro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less power may be included.

무선 통신부(140)는 원격 제어 장치와도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3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4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의 전원 온/오프,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3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3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is also wirelessly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30 or transmit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30 to the user.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remotely configured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Ultra-Wideband (WB), ZigBee method,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or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Control signals such as power on/off and screen setting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may be received and processed from the control device, or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130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300. .

또한, 무선 통신부(140)는, 전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 등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to the control unit 130.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을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에 의한 신호 처리의 역과정으로 처리한 뒤 영상 및/또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display device 200 processes the data stream received from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interface as a reverse process of signal processing by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and then processes the image and/or audio. You can perform an output operation.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1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20), 패널 제어부(230), 디스플레이부(240), 오디오 출력부(250), 전원 공급부(260) 및 센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 user input interface unit 220, a panel control unit 230, a display unit 240, an audio output unit 250, a power supply unit 260, and a sensor ( 270).

무선 통신부(210)는 무선 통신 칩과 RF 안테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의 무선 통신부(140)와 무선 링크로 연결되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의 무선 통신부(14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부(210)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의 무선 통신부(140)로부터 무선 스트림을 수신하고, 복조하여 패널 제어부(230)로 보낸다. 무선 통신부(210)는 WI-FI, 블루투스, NFC, RFID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예컨대, 3G, 4G, 5G 셀룰러 네트워크 등)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통신부(210)는 IEEE 802.11 계열의 표준과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configured with a combin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nd an RF antenn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by a wireless link,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Specific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a wireless stream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demodulates it, and sends it to the panel control unit 23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implemented based on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Bluetooth, NFC, and RFID,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g, 3G, 4G, 5G cellular network, etc.).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communicate using a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an IEEE 802.11 series standard.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통신부(210)는 영상 처리(부호화, 복호화 등)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부(210)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복호화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영상 처리부는 무선 통신부(210)가 아닌 패널 제어부(2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패널 제어부(230)가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복호화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영상 처리부는 무선 통신부(210)과 패널 제어부(230)와 각각 연결되는 독립적 개체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부(210)가 영상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영상 처리부로 보내고, 영상 처리부는 영상 신호를 복호화하여 패널 제어부(230)로 보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n image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an image processing (encoding, decoding, etc.) function.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decoding an image received from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Alternatively,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panel controller 230 instea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In this case, the panel controller 23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decod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lternatively,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be provided as an independent entity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d the panel control unit 230,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wirelessly receive the image signal and send it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decode the image signal and send it to the panel controller 230.

패널 제어부(230)는 무선 통신부(210)에 의해 복조된 신호를 복호화하여 비트 스트림 또는 데이터 스트림을 복원한다. 이때, 비트 스트림 또는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된 것일 경우, 패널 제어부(230)는 비트 스트림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압축을 해제 또는 복원하는 동작을 수행한 뒤 비디오 신호, 이미지 신호,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 등으로 출력하여 각각 디스플레이부(240), 오디오 출력부(250) 및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20)로 보낼 수 있다.The panel control unit 230 decodes the signal demodula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o restore a bit stream or a data stream. At this time, when the bit stream or data stream is compressed, the panel controller 230 performs an operation of decompressing or restoring the bit stream or data stream, and then the video signal, image signal, video signal, audio signal, and broadcast program. The data signal related to the output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the audio output unit 250, and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220, respectively.

비디오 신호, 영상 신호, 이미지 신호 등은 디스플레이부(24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패널 제어부(23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다시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로 전송되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5)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A video signal, an image signal, an image signal, etc.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24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mage signal. In addition,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panel control unit 230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gain, and is externally transmitte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15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Can be entered into the device.

패널 제어부(23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250)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패널 제어부(23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다시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로 전송되어, 본체 장치(100)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5)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panel controller 230 may be audio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250.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panel control unit 230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gain, an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15 of the main body device 100. Can be entered.

한편, 패널 제어부(23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제어부(230)는 튜너(11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24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panel controller 23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240 to display an image. For example, the panel control unit 230 may include a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111, an external input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15, an image input through a network interface unit, or a storage unit ( The image stored in 120)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패널 제어부(23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frame rate conversion: FRC)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제어부(230)는 FRC 기능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부(210) 또는 패널 제어부(230)에 의해 복원된 영상 신호를 해당 디스플레이에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로 변환하고 티콘(T-Con) 보드로 전달할 수 있다.The panel controller 230 may have a frame rate conversion (FRC) function. For example, the panel control unit 230 converts the image signal restor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r the panel control unit 230 to a frame rate set in the display based on the FRC function, and converts it to a T-Con board. I can deliver.

패널 제어부(230)는 본 명세서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프로세서의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anel controller 23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a function, procedure, and/or method of a processor in the display device 200 describ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패널 제어부(230)로 전달하거나, 패널 제어부(23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2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 온/오프,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패널 제어부(23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220 may transmit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panel controller 230 or may transmit a signal from the panel controller 230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220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Ultra-Wideband (WB), ZigBee,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or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 Control signals such as power on/off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and screen setting may be received and process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or a control signal from the panel controller 230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20)는, 전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패널 제어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22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to the panel controller 230.

전원 공급부(260)는 전원 온 모드에서 무선 통신부(21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20), 패널 제어부(230), 디스플레이부(240), 오디오 출력부(250) 및 센서(27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오프 모드에서 전원 공급부(260)는 전원 온 모드에서 무선 통신부(210), 패널 제어부(230) 및 센서(27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온 모드는 시청 모드, 활성화(activation) 모드 등으로 불릴 수 있고, 전원 오프 모드는 대기 모드, 비활성화 전원 온 모드는 시청 모드, 활성화(deactivation) 모드 등으로 불릴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60 supplies power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220, the panel control unit 230, the display unit 240, the audio output unit 250, and the sensor 270 in the power-on mode. Can supply. In the power-off mode, the power supply unit 260 may supply power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he panel controller 230, and the sensor 270 in the power-on mode. Here, the power-on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viewing mode, an activation mode, and the like, and the power-off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standby mode, and the deactivated power-on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viewing mode, a deactivation mode, or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무선 데이터 전송장치의 비활성화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 또는 기능 또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무선 데이터 전송장치의 비활성화는 영상에 관한 데이터의 전송 기능이 꺼지는(turn off)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무선 데이터 전송장치의 비활성화는 리모컨으로부터 파워 오프(power off)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데이터 전송장치의 전원이 꺼지는(power off)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무선 데이터 전송장치가 비활성화되더라도 무선 데이터 전송장치의 통신부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서, 무선 데이터 전송장치와 무선 데이터 수신장치간의 기본적인 통신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deactivation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may include an operation, function, or meaning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an example, deactivation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may include an operation of turning off a function of transmitting data related to an image. As another example, deactivation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may include an operation of powering of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by receiving a power off signal from a remote control. In any case, even i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is deactivated,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operates normally, and basic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the wireless data reception device can be maintained.

무선 데이터 전송장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도 1의 본체 제어부(130) 또는 도 2의 프로세서(1130)에 의해 감지 및 관리될 수 있다.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may be detected and managed by the main body controller 130 of FIG. 1 or the processor 1130 of FIG. 2.

본 명세서에서 무선 데이터 수신장치의 활성화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 또는 기능 또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무선 데이터 수신장치의 활성화는 영상에 관한 데이터의 수신 기능이 켜지는(turn on)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무선 데이터 수신장치의 활성화는 리모컨으로부터 파워 온(power on)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데이터 수신장치의 전원이 켜지는(power on)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무선 데이터 수신장치의 활성화는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이 켜지는(power on)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ctivation of the wireless data receiving apparatus may include an operation, function, or meaning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an example, activation of the wireless data receiving apparatus may include turning on a function of receiving data related to an image. As another example, activation of the wireless data receiver may include an operation of receiving a power on signal from a remote control and turning on the power of the wireless data receiver. As another example, activation of the wireless data receiving device may include an operation of turning on the power of the display unit.

본 명세서에서 비활성화는 영상에 관한 데이터의 수신 기능이 꺼지는(turn off)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비활성화는 리모컨으로부터 파워 오프(power off)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꺼지는(power off)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비활성화는 디스플레이부(240) 및/또는 오디오 출력부(250)의 전원이 꺼지는(power off)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비활성화되더라도 무선 통신부(200)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기본적인 통신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제어부(120) 및/또는 패널 제어부(23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deactiv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turning off a function of receiving data related to an image. As another example, deactiv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powering off the display apparatus 200 by receiving a power off signal from a remote control. As another example, deactiv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powering off the display unit 2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250. In any case, even if the display device 200 is deactivat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0 operates normally, and basic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can be maintained.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managed by the controller 120 and/or the panel controller 230.

전원 공급부(260)가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방식은 단자 방식과 무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60)가 무선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전원 공급부(260)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260)는 외부의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자기 커플링(magnetic coupling)되어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전력 픽업 유닛(power pick-up unit)과,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전력의 송수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별도의 통신 및 제어 유닛(communication and control unit)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in which the power supply unit 260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may include a terminal method and a wireless method. When the power supply unit 260 receives power through a wireless method, the power supply unit 260 may include a separate component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260 includes a power pick-up unit configured to receive wireless power by magnetic coupling with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power pick-up unit to receive wireless power. A separate communication and control unit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contro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less power may be included.

센서(270)는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270)는 적외선 센서, 카메라, 마이크 등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에서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는 경우 적외선 신호,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등을 패널 제어부(230)로 전송할 수 있다. 패널 제어부(230)는 센서(270)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40) 및/또는 오디오 출력부(250)를 활성화(activation)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전원 오프 모드에서 전원 온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The sensor 27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presence of a user. For example, the sensor 270 is composed of an infrared sensor, a camera, a microphone, etc., and transmits an infrared signal, an image signal, an audio signal, etc. to the panel controller 230 when the presence of a user is detected around the display device 200. I can. When a user is detected by the sensor 270, the panel controller 230 activates the display unit 2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250 to set the operation mode of the display device 200 to a power-off mode. Can be switched to the power-on mode.

일 예로서 센서(270)가 카메라, 마이트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 패널 제어부(230)는 센서(270)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sensor 270 is composed of a camera, a mite, etc., the panel controller 230 compares the image signal and/or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270 with pre-registered user information to match the use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et for the display device.

도 1에 도시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두 가지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Sinc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200 shown in FIG. 1 are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specifications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200 that are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if necessary,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configured.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by each block are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pecific operations or devices thereof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11)와 복조부(11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FIG. 1,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does not include a tuner 111 and a demodulation unit 112, but a network interface unit 113 or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An image may be received and reproduced through the unit 115.

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is an image processing device such as a set-top box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or contents according to various network services, and a content reproducing device for reproducing content in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device. It can be implemented separately.

시스템 입출력 관점에서 보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무선으로 소스를 제공하는 무선 소스 디바이스(wireless source device)라 불릴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무선으로 소스를 제공받는 무선 싱크 디바이스(wireless sink device)라 불릴 수 있다. 무선 소스 디바이스 및 무선 싱크 디바이스는 Wireless HD, WHDI (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WiGig, 무선 USB 및 WFD(Wi-Fi Display) (미라캐스트(Miracast)로서도 알려짐) 등의 표준들과 호환되는 무선 디스플레이 (WD) 통신 기술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In terms of system input/output,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may be referred to as a wireless source device that provides a source wirelessly, and the display device 200 is a wireless sink device that provides a source wirelessly. sink device). Wireless source devices and wireless sink devices are compatible with standards such as Wireless HD, 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WHDI), WiGig, Wireless USB and Wi-Fi Display (WFD) (also known as Miracast). WD)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y also be implemented.

어플리케이션 관점에서 보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무선 셋톱 박스, 무선 게이밍 콘솔, 무선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DVD) 플레이어, 무선 라이터의 일부를 구성하는 형태로 통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칩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미지 및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전자 장치(예를 들어, 무선 TV, 무선 모니터, 무선 프로젝터, 무선 프린터, 무선 차량 대시보드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증강 현실(AR) 헤드셋 또는 가상 현실(VR) 헤드셋 등)의 일부를 구성하는 형태로 통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칩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From an application point of view,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may be integrated in a form that forms part of a wireless set-top box, a wireless gaming console, a wireless digital video disk (DVD) player, and a wireless writer. In this cas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chip.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200 is a user device or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images and videos (eg, wireless TV, wireless monitor, wireless projector, wireless printer, wireless vehicle dashboard display, wearable device, augmented reality). (AR) headset or virtual reality (VR) headset, etc.).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chip.

한편,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형태로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또는 태블릿들, 또는 다른 유형들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무선 통신 카드들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와 같은 디지털 이미지 캡처링 디바이스, 또는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기타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칩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200 may be integrated into a form that forms part of a mobile device. For exampl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200 may include a smartphone, a smart pad or tablets, or a mobile terminal including other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portable computers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ards, and personal computers. It may be incorporated into a digital image capturing device such as a portable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edia player, a camera or camcorder, or other flash memory devic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ies. In this cas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chip.

스마트폰 사용자는 더 높은 해상도 디스플레이 또는 그 외에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도 있는, 텔레비전 또는 프로젝터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에, 사용자의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된 비디오 및 오디오를 스트리밍 또는 미러링할 수 있다. A smartphone user may stream or stream video and audio output by the user's smartphone, tablet, or other computing device to another device, such as a television or projector, which may provide a higher resolution display or other enhanced user experience. Can be mirrored.

전술된 바와 같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오디오, 비디오, 영상, 이미지, 멀티미디어 또는 이들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관련된 유/무선 형태의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외부 신호를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데이터 스트림 또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고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receives wired/wireless external signals related to audio, video, video, image, multimedia, or at least one combination thereof, and receives the received external signals in various ways. By processing, a data stream or a bit stream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display apparatus 200 through a wireless interface.

이하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영상/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통칭하여 무선 데이터라 부르기로 한다. 즉,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관점에서 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무선 데이터 수신 장치라 불릴 수 있다.Hereinafter, the video/video/audio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interface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wireless data. That is,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display device 200 and transmit wireless data.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a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referred to as a wireless data reception device.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AV 시스템이 댁 내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가 제공하는 세컨드 장치를 이용한 연속 시청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wireless AV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home. Hereinafter, a continuous viewing function using a second device provided by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도 2에는 일 예로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와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거실에 위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는 제1 침실에 위치하고, 제3 디스플레이 장치(202)는 제2 침실에 위치하고, 제4 디스플레이 장치(203)는 제3 침실에 위치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근거리에 위치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는 60 GHz 대역의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고,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제2 디스플레이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201, 202, 203)로는 2.4 GHz 대역 내지 5 GHz 대역의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As an example in FIG. 2,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are located in a living room, the second display device 201 is located in a first bedroom, and the third display device 202 is a second display device. A case in which the fourth display device 203 is located in the second bedroom and the fourth display device 203 is located in the third bedroom is illustrated.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transmits a data stream to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located in a short distance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of a 60 GHz band, and the second to fourth display devices 201 and 202 located at a relatively remote distance. As 203), a data stream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of a 2.4 GHz band to a 5 GHz band.

또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무선 AV 시스템 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 201, 202, 203)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음량 설정 정보 및 화질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무선 AV 시스템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들(200, 201, 202, 203)의 상태 정보 획득을 위해 각 디스플레이 장치(200, 201, 202, 203)에게 주기적으로 상태 정보 요청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시청 중인 디스플레이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상태 정보 요청 패킷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 201, 202, 203)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만일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로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네트워크 에러 등으로 인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가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200)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응답 패킷은 일 예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음량 설정 정보, 화면 설정 정보, 화질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may obtain status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200, 201, 202, and 203 in the wireless AV system by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Here,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ctivation/deactivation information,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volume setting information, and image quality sett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As an exampl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periodically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to each display device 200, 201, 202, 203 in order to obtain status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s 200, 201, 202, and 203 in the wireless AV system. Request packet can be transmitted. However, when there is a display device that the user is watching, the status information request packet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200, 201, 202, 203 may be stored in a storage unit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If external power is not supplied to a specific display device or due to a network error,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fails to receive a response packet to the status information request packet from a specific display devic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200 ) May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is in an inactive state. The response packet may include, for exampl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volume setting information, screen setting information, image quality setting information, and the like of a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사용자가 거실에서 제1 디스플레이(200)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1 침실로 이동해서 해당 컨텐츠(방송 컨텐츠, 외부 입력 컨텐츠 등)를 연속해서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비활성화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연속 시청 여부에 관한 OSD(On Screen Display)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비활성화에 관한 신호의 수신 및 OSD의 표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패널 제어부에서 수행되고,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연속 시청을 지시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 정보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에 관한 설정 정보로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입력 신호에 대한 정보, 재생중인 컨텐츠에 대한 음량 설정 정보, 화질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로의 입력 신호가 방송 신호인 경우,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정보는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로의 입력 신호가 외부 입력 신호인 경우,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정보는 해당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When a user views content through the device of the first display 200 in a living room,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may transmit a data stream to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At this time, when the user moves to the first bedroom and wants to continuously view the corresponding content (broadcast content, external input content, etc.),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receives a signal regarding deactiv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If so,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to display an On Screen Display (OSD) regarding whether or not to continuously view. Alternatively, reception of a signal related to deactiv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and display of the OSD are performed by the panel controller of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and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When information instructing continuous viewing is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may be stored. Here, the setting information is setting information on the content being played by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an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input signal of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volume setting information on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and image quality setting information. Can include. When the input signal to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is a broadcast signal, information on the input signal may include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When the input signal to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is an external input signal, the information on the input signal may include reproduction tim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끄고 거실에서 제1 침실로 이동하는 경우,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감지됨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가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한편,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통해 시청 중이던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 스트림을 연속해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user turns off the first display device 100 and moves from the living room to the first bedroom,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user is detected from a sensor provided in the second display device 201. You can receive it. In this cas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display device 201 is in an active stat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201. When the second display device 201 is in an active stat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may transmit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201. When the second display device 201 is in an inactive stat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switches the second display device 201 to the active state, while the second display device 201 is used as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 Setting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hereafter,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may continuously transmit a data stream for the content that the user is viewing through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201.

일 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재생한 컨텐츠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컨텐츠인 경우,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던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 스트림을 중지하고,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에서 감지되는 경우 이를 연속해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tent played through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is content input through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may transmit a data stream for the content transmitted to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After stopping, when the user is detected by the second display device 201, it may be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201.

다른 예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가 방송 신호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재생한 컨텐츠가 방송 신호에 대한 컨텐츠인 경우,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는 상기 설정 정보를 기초로 채널, 음량, 화질 등을 설정하고 해당 방송 채널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의 설정 대로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에 별도의 방송 신호 수신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설정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로 전송하고, 해당 방송 신호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1)로 바이패스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second display device 201 includes a broadcast signal receiving module and the content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is a broadcast signal content,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may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201. In this case, the second display device 201 may set a channel, a volume, and an image quality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and reproduce a broadcast signal as set by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corresponding broadcast channel. However, when a separate broadcast signal receiving module is not provided in the second display device 201,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200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201, and , The broadcast signal may be bypassed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201.

한편,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사용자가 시청 중인 디스플레이 장치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중 해당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수신 에러율을 계산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수신 에러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로부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까지의 거리 및/또는 각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까지의 거리 또는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거리 및/또는 각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거리 및/또는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Meanwhil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may calculate a reception error rate for the data stream while transmitting the data stream to the display device being viewed by the user. If the reception error 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may perform beamforming on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distance and/or an angle from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to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As an exampl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may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and/or angle by measuring a distance or angle from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00 to the display device. Methods of measuring the distance and/or angle may be various.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가 연속 시청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ontinuous viewing function by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는 무선 AV 시스템에 존재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10). 여기서 상태 정보는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음량 설정 정보, 화질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 예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으로 상태 정보 요청 패킷을 전송하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만일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may obtain state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from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existing in the wireless AV system (S310). Here,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activation/deactiv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volume setting information, image quality setting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is end, as an exampl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may transmit a status information request packet to each of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nd receive a response packet to the status information request packet from each display device. If a response packet is not received from a specific display devic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may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is in an inactive state.

한편,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는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 중인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또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활성화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연속 시청 여부에 관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또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연속 시청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면(S320),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330). 여기서 상기 설정 정보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 신호에 대한 정보, 음량 설정 정보, 화면 설정 정보, 화질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receives a signal regarding deactiv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from the first display device and/or the remote control device transmitting the data stream, the first display device displays a screen on whether to continuously view or not. Can be controlled. If information instructing continuous viewing is received from the first display device and/or the remote control device (S320),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may store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S330). Here, the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n input signal of a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volume setting information, screen setting information, image quality setting information, and the like.

이후,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는 무선 AV 시스템 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센서로부터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S340),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한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 스트림을 연속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350). 이때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어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음에 따라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연속 시청 기능을 중지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user is recognized by the sensor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in the wireless AV system (S340),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in the active stat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transmit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to continuously transmit a data stream for the content played back by the first display device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S350). At this tim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may stop the continuous viewing function when the timer expires as a user is not detected in any display device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y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중에 해당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 에러율을 계산할 수 있다(S410). 만일 수신 에러율이 기준치 미만이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로 계속적으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S430). 그러나 수신 에러율이 기준치 이상이라면,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함으로써 수신 에러율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S440).Referring to FIG. 4,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may calculate a reception error rate of the display device for the data stream while transmitting the data stream to the display device (S410). If the reception error rat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may continuously transmit the data stream to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S430). However, if the reception error 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may reduce the reception error rate by performing beamforming on th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S440).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은 모든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므로, 상술한 구성요소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 상술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각 구성요소 또는 단계들은 반드시 설명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나중에 설명된 단계가 먼저 설명된 단계에 앞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Since not all components or steps are essential i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may be performed including some or all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steps. Further, embodiments of the above-described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may be perform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abov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erformed in the order described, and steps described later may be performed prior to the steps described earli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무선 AV 시스템
100: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200: 디스플레이 장치
10: wireless AV system
100: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200: display device

Claims (14)

무선 AV(audio video) 시스템에 포함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연속 시청을 지시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사용자가 인식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included in a wireless audio video (AV) system,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 data stream to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nd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controlled to obtain status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nd when information instructing continuous viewing is received from a first display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 user is recognized by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2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transmit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o a display device
Containing, data transmiss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음량 설정 정보 및 화질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tus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activation/deactivation information,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volume setting information, and image quality sett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태 정보 요청 패킷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상태 정보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o transmit a status information request packet to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wherein the display device in which a response packet to the status information request packet is not received is determined to be in an inactive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활성화에 관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연속 시청 여부에 관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when a signal relating to deactiv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is received from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first display device controls to display a screen indicating whether to continuously view or n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 신호에 대한 정보, 음량 설정 정보, 화질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above setting information,
A data transmiss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n input signal of the first display device, volume setting information, and image quality setting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사용자가 감지됨을 지시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a user is detected is received from a sensor provided in the second display devic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in an active state based on st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 an active state, controlling to transmit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수신 에러율을 계산하고, 상기 수신 에러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 reception error rate for the data stream transmitted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calculated, and when the reception error 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beamforming is performed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That, the data transmission device.
무선 AV(audio video) 시스템에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가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연속 시청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A method of wirelessly transmitting data by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in a wireless audio video (AV) system,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from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Receiving information instructing continuous viewing from a first display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nd
When a user is recognized by a second display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ransmitting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Containing, data transmission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음량 설정 정보 및 화질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status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activation/deactivation information,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volume setting information, and image quality sett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태 정보 요청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obtaining step,
Transmitting a status information request packet to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And
Receiving a response packet to the status information request packet from the display device,
When the response packet is not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determines that the display device is in an inactive sta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활성화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연속 시청 여부에 관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Before the receiving step,
Receiving a signal regarding deactiv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from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And controlling the first display device to display a screen regarding whether or not to continuously watc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 신호에 대한 정보, 음량 설정 정보, 화질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fter the receiving step,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above setting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n input signal of the first display device, volume setting information, and image quality setting inform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사용자가 감지됨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transmitting step,
Receiving a signal indicating that a user is detected from a sensor provided in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in an active state based on st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 에러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에러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fter the transmitting step,
Transmitting a data stream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Calculating a reception error rate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for the data stream; And
And performing beamforming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when the reception error 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KR1020190114254A 2019-09-17 2019-09-1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ng continuous viewing function by using a second device in a wireless av system KR1022695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254A KR102269520B1 (en) 2019-09-17 2019-09-1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ng continuous viewing function by using a second device in a wireless av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254A KR102269520B1 (en) 2019-09-17 2019-09-1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ng continuous viewing function by using a second device in a wireless av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797A true KR20210032797A (en) 2021-03-25
KR102269520B1 KR102269520B1 (en) 2021-06-25

Family

ID=7522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254A KR102269520B1 (en) 2019-09-17 2019-09-1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ng continuous viewing function by using a second device in a wireless av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52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651A (en) * 2007-12-07 2009-06-1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system for switching contents
JP2013515439A (en) * 2009-12-23 2013-05-02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Reduce time to recover multiple links
KR20160066148A (en) * 2014-12-02 2016-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651A (en) * 2007-12-07 2009-06-1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system for switching contents
JP2013515439A (en) * 2009-12-23 2013-05-02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Reduce time to recover multiple links
KR20160066148A (en) * 2014-12-02 2016-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520B1 (en)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0768B2 (en) Remote control system, remote commander, and remote control server
WO201513679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40092304A1 (en) Tv and wireless electronic device combination system
US11240559B2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ent reproducing method
US20150067758A1 (en) Methods for content sharing utilizing a compatibility notification to a display forwarding function and associated devices
CN113938735B (en) Display device
US202303889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ly controlling rf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av system
US2015012612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JP2007184745A (en) Remote control system, equipment to be remotely controlled, and computer system
US201402584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US20130097648A1 (en) Internet-enabled smart television
KR1022695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ng continuous viewing function by using a second device in a wireless av system
US20090222863A1 (en) Wireless video and audio broadcasting device
JP4628030B2 (en) Multimedia content providing system, viewing device, and car navigation apparatus
JP2002158888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remote controller
KR100713277B1 (en) Interface Apparatus for Connecting External Device with Televis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013247539A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control program
US11778264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image data in wireless AV system
TW201240467A (en) Remotely image and sound sharing method and application program for the same
JP5368916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WO2016006087A1 (en) Control device, method, and program
CN105913626A (en) Device for mirroring from source-end display screen to destination-end display screen
KR20230003100A (en) transmission device
JP6068744B2 (en) Set-top box,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10032153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external device, remote controller and broadcast transmitting apparatu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