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136A - Method for providing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coordinating authorship relation between copyright owner and us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coordinating authorship relation between copyright owner and u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136A
KR20210032136A KR1020190113506A KR20190113506A KR20210032136A KR 20210032136 A KR20210032136 A KR 20210032136A KR 1020190113506 A KR1020190113506 A KR 1020190113506A KR 20190113506 A KR20190113506 A KR 20190113506A KR 20210032136 A KR20210032136 A KR 20210032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ork
copyright holder
rights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5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8785B1 (en
Inventor
유건우
Original Assignee
유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건우 filed Critical 유건우
Priority to KR1020190113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785B1/en
Publication of KR20210032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1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7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4Extract, transform and load [ETL] procedures, e.g. ETL data flows in data warehou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03Data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rovided is a method for provid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coordinating the relationship of a property right of an author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license request from the copyright holder for anyone or a combination of a right to copy, a right to perform, a right to broadcast, a right to transmit, a right to display, a right to distribute, and a right to create a derivative work from a user terminal; retrieving the copyright holder of a work for which the permission is requested and transmitting the permission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to a copyright holder terminal; registering contract data by setting the work to be used within a scope of a permitted use method and terms of use, when receiving the permission to use the work from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registered contract data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and monitoring the usage status of the user terminal, calculating a copyright usage fee, and setting the copyright usage fee to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Description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COORDINATING AUTHORSHIP RELATION BETWEEN COPYRIGHT OWNER AND USER}A method of providing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that coordinates the relationship of copyright right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METHOD FOR PROVIDING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COORDINATING AUTHORSHIP RELATION BETWEEN COPYRIGHT OWNER AND USER}

본 발명은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작권자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저작재산권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 간의 이용허락계약을 체결 및 관리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that coordinates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and provides a platform for signing and managing a license agreement between the copyright holder and a user who intends to use at least one type of copyrighted rights. .

연결성과 확산성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포함한 다중채널 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s, MCN) 시장이 성장하면서 우수한 콘텐츠 저작물이 여러 분야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경제적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다중 채널 네트워크 시장은 1인 미디어 증가와 소셜미디어 활성화에 힘입어 유튜브, 아프리카TV와 같은 동영상 사이트에서 인기 있는 콘텐츠의 유통·판매·저작권과 콘텐츠 제작자 등을 관리하는 미디어 사업을 대상으로 발전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로 진입해야 하는 시점에, 저작권법의 변화도 함께 감지될 수밖에 없는데, 특히 콘텐츠 저작권(Content Copyright)이 주목받는 이유는 인간의 창작물이 현실세계와 가상공간을 오가면서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핵심적인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새로운 변화는 창작자들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예상치 못한 위기를 만들어내기도 하는데, 저작물의 가치가 커지면서 저작권 침해문제가 심각해지고, 저작권을 둘러싼 권리관계가 복잡해지면서 오히려 저작물의 이용이 어려워지기도 한다.As the multi-channel networks (MCN) market, including social network services (SNS), which is characterized by connectivity and diffusion, grows, excellent content creations simultaneously generate economic profits in various fields. have. The multi-channel network market is developing targeting the media business that manages the distribution, sales, copyright and content creators of popular content on video sites such as YouTube and Afreeca TV thanks to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media and the activation of social media. At the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ente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hanges in the copyright law are inevitably detected. In particular, the reason why content copyright is attracting attention is that human creations interact with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space. This is because it becomes the key factor that causes it. However, new changes provide opportunities for creators and at the same time create unexpected crises. As the value of the work increases, the copyright infringement problem becomes serious, and the rights relations surrounding the copyright become complex, making it difficult to use the work.

이때, 저작물을 관리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0891879호(2009년04월03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537801호(2015년07월30일 공고)에는, 저작권자가 워터마킹으로 저작권 인증을 받은 후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사용자가 워터마크로 인증된 저작권 콘텐츠를 구매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시키는 구성과, 저작권자와 저작권 계약을 수행하고 저작물이 상품화될 수 있는 리스트를 매칭하고, 저작권자와 저작권의 이용허락을 받은 구매자 간 라이센싱 계약을 체결하고, 구매자에 의해 디지털 컨텐츠의 검색 요청이 입력되면,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 정보와 설정된 저작권 체결 조항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컨텐츠를 구매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method of managing works was researched and developed. Korean Patent No. 10-0891879 (announced on April 3, 2009) and Korean Patent No. 10--1537801 (announced on July 30, 2015), which are prior art. In this, the copyright holder receives copyright authentication by watermarking and then uploads it to the platform, the user purchases the copyrighted content certified with the watermark, and executes it o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pyright contract with the copyright holder is executed, and the work can be commercialized. When the list is matched, a licensing agreement is concluded between the copyright holder and the purchaser who has received the license of the copyright, and a search request for digital content is input by the purchaser, the purchaser of the product content including the stored digital content information and the set copyright agreement information Each configuration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is disclosed.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문화콘텐츠의 유통을 독점하고 있는 대규모 자본은 문화자본의 영향력이 막강하기 때문에 창작자들의 권리를 위축시키고 있으며, 이와 반대로 MCN 창작자 간의 무단도용이 성행하고 저작권을 등록하지 않은 일반인의 권리가 보호되지 않음으로써 2차저작물의 보호는 거의 제로상태에 가깝고, 저작권 보호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는 창작자의 창작의욕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저작권 협상 불균형으로 인한 창작자들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입법 및 표준계약서가 만들어지기도 했으나, 콘텐츠 유통사가 시장을 지배함으로써 발생하는 수요 독점의 문제, 과도한 저작권자 편향정책, 저작권자의 권리남용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복잡다양한 권리관계를 손쉽게 이용허락 및 계약을 체결하는 플랫폼의 개발로 접근하여 해결되어야 한다.However, even i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used, the large-scale capital that monopolizes the distribution of cultural contents has the strong influence of cultural capital, thus reducing the rights of creators, and on the contrary, unauthorized theft among MCN creators is prevalent and copyrights are registered. The protection of secondary works is almost zero as the rights of the public who did not do so are not protected, and in the situation where copyright protection is insufficient, the creator's willingness to create is inevitably lowered. Accordingly, legislation and standard contracts were made to prevent damage to creators due to the imbalance in copyright negotiation, but there are problems of monopoly on demand, excessive copyright holder bias, and abuse of rights of copyright holders arising from content distributors dominating the market. In addition, it should be resolved by approaching the development of a platform that easily licenses and signs a contract for a variety of complex rights relationship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새로운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생산되도록 창작자의 권리보호와 이에 상응하는 정당한 보상을 받는 환경을 마련하고, 콘텐츠 저작권자와 이용자 사이의 법적 이익균형을 위하여 문화콘텐츠 창작자와 제작자들을 보호 장려하기 위한 장치로써 문화 콘텐츠 유통공정화 플랫폼을 제공하며,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및 원저작물을 번역ㆍ편곡ㆍ변형ㆍ각색ㆍ영상제작 그 밖의 방법으로 작성한 창작물인 2차적저작물을 포함한 저작재산권에 대한 이용허락 절차를 프로세스화함으로써 독자적인 저작물로 보호하면서 동시에 저작물의 이용자의 이익 간의 상호긴장과 충돌가능성을 낮추고 조화와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rights of creators are protected and corresponding compensation is received so that new content is continuously produced, and cultural content creators and creators are protected for a balance of legal interests between content copyright holders and users. As a device to encourage cultural content distribution, it provides a platform for fair distribu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is a secondary work that is a creative work created by translation, arrangement, transformation, adaptation, video production, and other methods of reproduction rights, performance rights, broadcasting rights, transmission rights, exhibition rights, distribution rights, and other methods. The rights relationship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is protected by process of licensing procedures for copyrights, including copyright holders and users, which protects them as independent works while reducing the possibility of mutual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the interests of users of the work, and balancing and harmonizing the copyright holders and use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coordinated copyright management services.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용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의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한 저작권자의 이용허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용허락이 요청된 저작물의 저작권자를 검색하여 저작권자 단말로 이용자 단말의 이용허락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저작권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의 이용을 허락받은 경우, 허락받은 이용 방법 및 이용 조건의 범위 내에서 저작물을 이용하도록 설정하여 계약 데이터를 등록하는 단계, 및 등록된 계약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 및 저작권자 단말로 전송하고 이용자 단말의 이용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저작권 이용료를 산출하고 저작권자 단말로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y one or at least one of a copy right, a performance right, a broadcast right, a transmission right, an exhibition right, a distribution right, and a secondary copyright creation right from a user terminal. Receiving a request for permission from the copyright holder for the association, searching for the copyright holder of the work for which the license is requested, and transmitting the request for permission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terminal of the copyright holder, when permission to use the work is obtained from the terminal of the copyright holder, permission Registering contract data by setting the work to be used within the scope of the received usage method and terms of use, and transmitting the registered contract data to the user terminal and copyright holder terminal, and monitoring the usage status of the user terminal to calculate the copyright usage fee. It includes the step of settlement to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새로운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생산되도록 창작자의 권리보호와 이에 상응하는 정당한 보상을 받는 환경을 마련하고, 콘텐츠 저작권자와 이용자 사이의 법적 이익균형을 위하여 문화콘텐츠 창작자와 제작자들을 보호 장려하기 위한 장치로써 문화 콘텐츠 유통공정화 플랫폼을 제공하며,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및 원저작물을 번역ㆍ편곡ㆍ변형ㆍ각색ㆍ영상제작 그 밖의 방법으로 작성한 창작물인 2차적저작물을 포함한 저작재산권에 대한 이용허락 절차를 프로세스화함으로써 독자적인 저작물로 보호하면서 동시에 저작물의 이용자의 이익 간의 상호긴장과 충돌가능성을 낮추고 조화와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저작자의 권리와 이에 인접하는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 및 관련 산업의 향상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hts of creators are protected so that new contents are continuously produced, and an environment to receive appropriate compensation is provided, and culture is provided to balance legal interests between the content copyright holder and the user. As a device to protect and encourage content creators and creators, it provides a platform for the distribu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copies rights, performance rights, broadcasting rights, transmission rights, exhibition rights, distribution rights, and original works by translation, arrangement, transformation, adaptation, video production, and other methods. By processing the licensing procedures for copyrights of authors, including secondary works, which are created creative works, they protect them as independent works,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possibility of mutual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the interests of users of the work, and achieve harmony and balance, and ultimately the author.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culture and related industries by protecting the rights of and neighboring rights and promoting the fair use of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system for provid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any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specific to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used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ssist, accurate or absolute numerical values are used to prevent unreasonable use of the stated disclosure by unscrupulous infringers.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ep (to)" or "step of"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by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piece of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i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s mapping or matching the unique number of the terminal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which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00),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system for provid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1) for coordinating the relationship of copyright right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However, since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1 for coordinating the rights relationship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00),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through the network 200. I can. In addition,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I can.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RF,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nd Long Term (LTE). Evolution) network, 5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 Personal Area Network (PAN),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the singular number and the plural number, and even if the term'at least one'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the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the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at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the singular or plural.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00)은,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저작물의 이용을 요청하는 이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00)은, 저작재산권의 이용을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저작재산권은,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및 원저작물을 번역ㆍ편곡ㆍ변형ㆍ각색ㆍ영상제작 그 밖의 방법으로 작성한 창작물인 2차적저작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00)은, 저작물의 이용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고 업로드 및 유통하는 이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00)은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받은 경우, 저작물의 저작권 계약에 의거 정산을 실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00)은,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또는 저작권자 단말(400)로 직접 정산을 수행하고,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정산 오류 또는 누락에 대한 로그 및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누락 내역에 대한 재정산을 실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저작물은, 소설ㆍ시ㆍ논문ㆍ강연ㆍ연설ㆍ각본 그 밖의 어문저작물, 음악저작물, 연극 및 무용ㆍ무언극 그 밖의 연극저작물, 회화ㆍ서예ㆍ조각ㆍ판화ㆍ공예ㆍ응용미술저작물 그 밖의 미술저작물, 건축물ㆍ건축을 위한 모형 및 설계도서 그 밖의 건축저작물, 사진저작물, 영상저작물, 지도ㆍ도표ㆍ설계도ㆍ약도ㆍ모형 그 밖의 도형저작물,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of a user who requests the use of a work by us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related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that coordinates the copyright rights relationship between the copyright holder and the user.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requests the use of the copyright holder. Here, the copyright of copyright may include the right to reproduce, the right to perform, the right to broadcast, the right to transmit, the right to exhibit, the right to distribute, and the secondary work, which is a creative work created by translation, arrangement, transformation, adaptation, video production, or other methods of the original work. It is not limited.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of a user who creates, uploads, and distributes new content by using a work. In additio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performs settlement based on the copyright contract of the work when the use of the work is licensed.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performs settlement via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or directly to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and in case of a settlement error or omission from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receiving the log and analysis data, it may be a terminal that performs recalculation of the missing details. Here, the works include novels, poetry, thesis, lectures, speeches, screenplays and other literary works, music works, plays, dances, pantomimes and other theater works, paintings, calligraphy, sculptures, prints, crafts, applied art works, and other fine arts. Works, models and design books for buildings and buildings, other architectural works, photographic works, video works, maps, diagrams, design drawings, schematics, models and other graphic works, and computer program works, but are not limited to those listed. Does not.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may be included.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용자 단말(100)로부터 저작물의 이용허락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저작물의 저작권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등록되어 있다면 저작권자에게, 저작권자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저작물을 입력값으로 저작권자를 검색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작권자의 저작권자 단말(400)로 이용허락을 구하는 요청을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이용자 단말(100)이 요청한 종류의 저작재산권, 예를 들어,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및 원저작물을 번역ㆍ편곡ㆍ변형ㆍ각색ㆍ영상제작 그 밖의 방법으로 작성한 창작물인 2차적저작물 작성권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요청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빅데이터로 구축한 각 저작재산권의 종류별 가격이나 수익정산정책 등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저작권자와 이용자 간의 계약에 다툼이나 분쟁이 없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작권자 단말(400)로부터 저작권 계약에만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계약 이후 정산과정에서도 정산 내역에 대한 다툼이나 분쟁이 없더록 실제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의 실시간 로그를 집계하여 이용자가 제출한 정산 내역과 비교분석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에 공유되는 콘텐츠 저작물을 스크리닝하고, 등록된 저작권자의 저작물이 무단게재되고 있는 경우, 친고죄에 따라 저작권자의 의사를 묻거나 미리 동의를 받아 침해경고를 전달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that coordinates copyright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And,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a request for permission to use a work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copyright holder of the work is registered in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so, it may be a server that searches the copyright holder with the copyright holder, and if the copyright holder is not registered, the copyright holder searches the work as an input value. In addition,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ransmits a request for obtaining permission to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of the copyright holder, at this time, the type of copyright rights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100, for example, a copy right, The number of servers requesting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right to create a secondary work, which is a performance right, broadcast right, transmission right, exhibition right, distribution right, and original work created by translation, arrangement, transformation, adaptation, video production, or other methods. have. Here,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events disputes or disputes over a contract between a copyright holder and a user by providing a price or a profit settlement policy for each type of authoring property built with big data together. At this time,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 not only involved in the copyright contract from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but actually provides at least on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so that there is no dispute or dispute over the settlement details even in the settlement process after the contract. It may be a server that aggregates the real-time log of the server 500 and compares it with the settlement details submitt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creens the content works shared on th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and in case the work of the registered copyright holder is being published without permission, asks the intention of the copyright holder according to parental guilt. Or, it may be a server that delivers infringement warnings with prior consent.

여기서,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은,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저작권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은,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이용자 단말(100)의 이용허락요청이 수신된 경우, 저작재산권의 종류, 예측가격 및 저작물 등을 수신하고 이용허락여부를 결정하여 피드백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은, 이용허락계약을 체결하고 정산을 받은 경우,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집된 실시간 로그와 비교하여 정산 오류나 누락 등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은 저작물과 저작권자를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등록하는 단말일 수 있고, 저작물 중개 또는 저작물 거래 위탁을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of a copyright holder us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related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that coordinates copyright rights relations between the copyright holder and the user. And,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when a request for permission to use the user terminal 100 is received from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e type of copyright holder, the predicted price and the copyrighted work, etc. It may be a terminal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feed back. In addition,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is a terminal that outputs information such as settlement errors or omissions by comparing with real-time logs collected from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settlement is received after signing a license agreement. I can. In addition,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registers works and copyright holders with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is a terminal that mediates works or entrusts copyright management services to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 can.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may be included.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저작물을 배포하거나 배포하는 채널을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의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저작물 등 정보를 제공 또는 상호 유통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로, 이용자가 선택한 저작물 등을 그 내용의 수정 없이 이용자가 지정한 지점 사이에서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전달하기 위하여 송신하거나 경로를 지정하거나 연결을 제공하는 자이거나, 이용자들이 정보통신망에 접속하거나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저작물 등을 복제ㆍ전송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그를 위한 설비를 제공 또는 운영하는 자를 포함한다. 이때, 저작권법의 개정으로 직접 침해자가 아닌 간접 침해자에 불과한 OSP에게 일정한 책임과 의무를 부과할만큼 인터넷 세계에서 OSP의 영향력이 막중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침해 경고 조치가 전달되는 경우,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해당 콘텐츠를 제거해야 할 의무가 존재한다. 이때, 의무와 책임은 개정법과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t least on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provides a channel for distributing or distributing copyrighted works using web pages, app pages, programs, or applications related to copyright management services that coordinate copyright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It may be a server of an online service provider (OSP). At this time, the online service provider is also referred to as an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etc., and is a person who provides a service so that information such as works can be provided or mutually distributed through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It is a person who transmits, designates a route, or provides a connection between points designated by the user for transmission through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modification of its contents, or allows users to acces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or reproduce and transmit works, etc. through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persons who provide services or provide or operate facilities for them. At this time, because the influence of the OSP in the Internet world is so great that certain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are imposed on the OSP, who is not a direct infringer, but an indirect infringer due to the revision of the copyright law,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warns of infringement. When the action is delivered, th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is obligated to remove the corresponding content. At this time, since the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revised law,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It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 3 is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that coordinates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mplemented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요청부(320), 등록부(330), 정산부(340), 관리부(350), 빅데이터화부(360), 침해예방부(370), 태깅부(380) 및 이용료예측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receiving unit 310, a requesting unit 320, a registration unit 330, a calculation unit 340, a management unit 350, a big data conversion unit 360, It may include an infringement prevention unit 370, a tagging unit 380, and a usage fee prediction unit 39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that coordinates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hip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to th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of, and at least on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install or open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that coordinates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I can. In addition, a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you to use the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which means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described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etc. In addition, the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on the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 phone).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이용자 단말(100)로부터 저작물의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한 저작권자의 이용허락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소셜네트워크 등의 새로운 수단은 저작물을 이용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이를 통한 저작물의 이용은 저작권자로부터 저작물에 대한 이용허락을 받은 서비스 제공 사업자가 최종이용자에게 일방향적으로 공급되었던 것이 서비스 제공 사업자와 최종이용자간의 양자가 언제든지 바뀔 수 있는 양방향으로 이루어져서 기존의 우리가 겪은 저작물의 이용환경인 고정적인 역할에서 유동적인 형태로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저작물 이용의 양방향적인 변화는 사회적 이슈 및 음악저작물이용과 관련된 소송이 끊임없이 제기될 뿐만 아니라 저작권자 및 서비스 제공 사업자간에 음악저작물의 정산 및 분배에 대하여 신뢰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용자 단말(100)에서 사용하기를 원하는 저작재산권을 명확히 선정하여 이용허락을 구하도록 함으로써 이후 발생될 정산누락이나 저작재산권을 정확히 지정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분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2, the receiving unit 310 is the copyright holder for any one or at least one combination of a copy right, a performance right, a broadcast right, a transmission right, an exhibition right, a distribution right, and a secondary work right from the user terminal 100. You can receive a request for permission to use. New means, such as social networks, have become one means of using works, and the use of works through them is that the service provider who received the license for the work from the copyright holder was unidirectionally supplied to the end user. Both end users can be changed at any time in both directions, resulting in a significant change from the fixed role, which is the use environment of the works we have experienced, into a fluid form. The two-way change in the use of works not only raises social issues and lawsuits related to the use of music works, but there is no trust in the settlement and distribution of music work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service providers. According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utes arising from omission of settlement or failure to accurately designate the author's right to be caused by clearly selecting the copyright holder desired to be used in the user terminal 100 to obtain a license Can be blocked in advance.

요청부(320)는, 이용허락이 요청된 저작물의 저작권자를 검색하여 저작권자 단말(400)로 이용자 단말(100)의 이용허락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저작권자가 저작권법의 전문가가 아닌 이상, 나아가 저작권법을 알아도 실무를 진행해보지 않는 이상, 어떠한 금액을 받아야 적절한지, 이용허락을 해주었다가 나중에 손해보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걱정으로 이용허락을 해주지 않거나, 이용허락을 해주더라도, 소위 구름빵 사건으로 거론되는 매절계약(買切契約)을 맺은 출판계의 부당한 관행과 불공정한 계약에 의해 창작자인 저작자의 이익이 충분히 보장되지 못하는 사건의 당사자가 될 것을 두려워한다. 이에 따라, 각 콘텐츠의 가치는 저작권자의 인기도나 명성 또는 저작물 자체의 인기도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후술할 빅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이용허락되는 권리에 가격범위를 산정하고, 적정가격과 공정계약에 대한 데이터를 제시하여 이용자 단말(100)이 제공한 조건과 비교하도록 함으로써, 저작권자의 이용허락의 빠른 결정을 유도할 수도 있다.The request unit 320 may search the copyright holder of the work for which the permission is requested, and transmit the request for permission to use the user terminal 100 to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At this time, unless the copyright holder is an expert in copyright law, or even if he knows the copyright law, he does not give permission for use or use it because of concerns about what amount of money should be received, and whether it is possible to lose money after granting the license. Even with permission, I fear that I will be a party to a case where the interests of the author, the creator, are not sufficiently guaranteed due to the unfair practice of the publishing world that signed a contract of sale, which is referred to as the cloud bread case, and the unfair contract. Accordingly, the value of each content varies depending on the popularity or reputation of the copyright holder, or the popularity of the work itself, but based on big data to be described later, the price range for each licensed right is calculated, and data on the appropriate price and fair contract By presenting and comparing it with the conditions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100, it is possible to induce a quick decision of the copyright holder's use permission.

등록부(330)는, 저작권자 단말(400)로부터 저작물의 이용을 허락받은 경우, 허락받은 이용 방법 및 이용 조건의 범위 내에서 저작물을 이용하도록 설정하여 계약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이용 방법 및 이용 조건은 사인 간 저작재산권 설정계약이므로 자유로운 의사에 의해 법률행위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저작권자가 저작권법에서 지정한 저작권 중개 단체나 신탁 단체에 저작권에 대한 권리를 일임한 경우에는 저작권사용료가 권리자와 이용자 간의 협의가 아니라 행정청에 의해 정해지므로, 이에 따라 권리집행의 비용, 사업에 따른 비용과 수익의 계산 등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저작권 집중관리단체가 이용자로부터 징수하는 사용료 및 위탁관리 수수료의 요율 또는 금액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으로부터 승인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신청된 내용을 수정하여 승인할 수 있고, 저작재산권자 그 밖의 관계자의 권익보호 또는 저작물등의 이용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승인 내용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는 무분별한 사용료 인상 등 신탁관리업자의 독점적 지위에 따른 폐해를 방지하고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4차산업혁명 등 기술발전으로 기존에 없던 음악사용 플랫폼, 서비스 등이 등장하고 있는바, 이러한 새로운 영업모델이 출현할 경우 징수규정을 개정하여 감독관청의 승인을 받기 전까지는 그 서비스를 개시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사용료 징수규정이 없는 서비스의 경우 신탁관리단체는 이용자와 사용요율 또는 금액을 협의하여 사전에 이용허락을 할 수도 있다.When the use of the work is permitted from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the registration unit 330 may register contract data by setting the work to be used within the range of the permitted use method and conditions of use. At this time, the usage method and conditions of use are contracts for setting copyright rights between signatures, so it can be performed as a legal act with a free will, but if the copyright holder entrusts the rights to the copyright to the copyright brokerage organization or trust organization designated by the Copyright Act, the copyright fee will be charged. Since it is determined by the administrative agency rather than an agreement between the right holder and the user, the cost of the right execution, the cost of the project, and the calculation of profits may differ from each other. In the latter case, it is prescribed to obtain approval from the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for the rate or amount of the usage fee and consignment management fee collected by the copyright intensive management group from users, and the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ay modify and approve the requested content. , If necessary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copyright holder or other related persons, or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work, the contents of the approval may be changed. This is to prevent harm caused by the trust manager's monopoly status, such as indiscriminately raising the fee for use, and to reasonably adjust the interests.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s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usic platforms and services are emerging.If such a new business model emerges, the service can be started until the collection regulations are revised and approved by the supervisory authority. In the case of a service that does not have a usage fee collection rule, the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 may negotiate the usage rate or amount with the user to permit the use in advance.

정산부(340)는, 등록된 계약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100) 및 저작권자 단말(400)로 전송하고 이용자 단말(100)의 이용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저작권 이용료를 산출하고 저작권자 단말(400)로 정산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음악저작물에 대한 이용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그에 따라 저작물이 유통되고 이에 대한 정산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분배되는 경우 끊임없이 정산 및 분배 누락 등이 제기되는 것은 정산 및 분배에 대하여 저작권자와 서비스 사업자간의 정산 및 분배를 검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음악저작물에 대한 정산 및 분배는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저작권집중관리단체에게 정산금액을 지급한 후 저작권집중관리단체가 이를 저작재산권자에게 정산 및 분배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근거는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받는 정산 자료로 해당 정산 및 분배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판단하기에는 단순히 서비스 사업자로의 일방적인 정산 자료로만으로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 한국저작권위원회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음악저작물에 대하여 5대 음악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로그를 받아 음저협,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 그리고 한국음악산업협회에게 해당 로그를 전송하고 있으나, 해당 로그는 실시간으로 받는 것이 아닐뿐더러 그 로그에 대하여 비교할 수 있는 데이터가 없어 정산 및 분배를 함에 있어서 정당한 정산 및 분배가 이루어 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확신을 갖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정산 및 분배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즉 정산 및 분배에 대한 신뢰를 저작권자와 유통업자간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저작재산권자가 검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작재산권자 및 서비스 제공자가 동시에 신뢰할 수 있는 자료가 있어야 한다.The settlement unit 340 transmits the registered contract data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monitors the usage status of the user terminal 100, calculates the copyright usage fee, and calculates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I can.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form of use of music works has changed in various ways, and accordingly, when the works are distributed and are settled and distribut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raise omissions in settlement and distribution.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verify the settlement and distribution between the copyright holder and the service provider. In addition, for the settlement and distribution of music works, the copyright intensive management group pays the settlement amount to the copyright intensive management group from the service provider, and then the copyright intensive management group settles and distributes it to the copyright holder. The basis for this is the settlement data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er. To determine whether the settlement and distribution have been properly made, there is insufficient basis for simply unilateral settlement data to service provide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Korea Copyright Commission receives logs from five major music service providers for music works and transmits the logs to the Eumje Association, the Korea Music Performers Association, and the Korea Music Industry Association, but the logs are not received in real time. Since there is no comparable data for the log, it is not easy to have confidence in whether or not a fair settlement and distribution are being made in settlement and distribution.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rust in settlement and distribution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distributors, in order to ensure that settlement and distribution have been properly performed, not only authors can verify, but also authors and service providers must have data that can be trusted at the same time.

또한 저작재산권자 및 대리중개업자는 온라인서비스사업자의 서비스 내역을 제공받아서 이를 토대로 저작권료를 징수하거나 분배해야 되지만, 현재 서비스 내역이 온라인서비스사업자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지 못하고 월단위위의 정산서를 제공받거나 전날의 사용내역 등을 제공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온라인서비스사업자의 서비스 내역은 통상 서비스 현황에 대한 로그의 형태로 기록되는데, 이는 보통 저작물의 다운로드될 때 발생하는 다운로그 로그, 스트리밍 서비스 될 때 발생하는 스트리밍로그, 사용자가 저작물에 대한 결제를 할 때 발생하는 결제로그, 결제 이후에 구매를 할 때 발생하는 판매로그, 이러한 서비스 로그들은 통상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저작권자 혹은 대리중개업체와 협의를 통해 제공하게 되는데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보다는 월단위나 전날 데이터를 주는게 일반적이며, 제공되는 데이터에 대한 검증도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다.In addition, copyright holders and proxy brokers are required to collect or distribute copyright fees based on the service details of the online service provider, but the current service details are not provided in real time from the online service provider, and are provided with monthly payment statements or the previous day's In most cases, usage details are provided. Service details of online service providers are usually recorded in the form of a log of the service status, which is usually a download log that occurs when a work is downloaded, a streaming log that occurs when a streaming service is performed, and when a user makes a payment for the work. Payment logs generated, sales logs generated when a purchase is made after payment, and these service logs are usually provided by online service providers through consultations with copyright holders or agency brokers. Rather than providing them in real time, data is given on a monthly basis or the previous day. It is common, and it is almost impossible to verify the provided data.

따라서, 정산부(340)는, 일단위 또는 실시간 로그를 수집하고, 음악저작물이 온라인에서 판매될 때마다 발생하는 로그도 수집하며, 최종이용자가 저작물을 이용할시 발생하는 로그를 표준화함으로써 정산 및 분배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사업자와 저작권대리·중개업자 그리고 저작권집중관리단체 등의 권리자 및 업체별로 사용하는 로그의 포맷 등이 상이하여 상호간에 해당 로그를 통하여 정산 및 분배에 대한 검증을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로그를 표준화하고, 해당 로그를 통한 정산검증을 위해서 표준화된 로그를 통합하고 분석하는 로그를 활용한 시스템으로 해결될 수 있다. 이러한 통합로그 시스템은 음악저작물을 거래함에 있어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업로드 로그, 판매내역로그, 실거래내역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정산로그 등을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하여 분석하여 정산서와 실질적으로 비교분석을 통하여 해당 정산에 대한 신뢰를 제고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정산누락 등이 발생할 경우 정산누락 등의 원인이 되는 비제휴, 필터링 미호출, 고의누락 등을 실시간으로 집계하여 이를 분석하고 기록함으로써 정산을 투명화 하는데 상당한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음악저작물이 이용된 경우 정산 및 분배에 대해 검증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정산의 신뢰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빅데이터를 통한 정산 분석 서비스를 통하여 정산 검증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settlement unit 340 collects daily or real-time logs, collects logs that occur whenever music works are sold online, and calculates and distributes by standardizing logs generated when end users use works. Can be verified. For example, the format of the log used by the right holder and company of the service provider, copyright agent, brokerage, copyright intensive management organization, etc. is different, and it takes considerable cost and time to verify settlement and distribution through the lo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can be solved with a system that uses a log that standardizes the log and integrates and analyzes the standardized log for settlement verification through the log. This integrated log system automatically collects and analyzes the upload log, sales history log, actual transaction history database, and settlement log that may actually occur in the transaction of music works. It can be solved by improving the In addition, in the event of an omission in settlement, when a musical work is used by providing significant information to make the settlement transparent by collecting and recording in real time non-affiliation, non-calling of filtering, intentional omission, etc., which are the cause of the settlement omission, etc. As a solution to the lack of trust in settlement due to the absence of a verification system for settlement and distribution, settlement verification is possible through settlement analysis services through big data.

정리하면, 정산부(340)에서 등록된 계약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100) 및 저작권자 단말(400)로 전송하고 이용자 단말(100)의 이용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저작권 이용료를 산출하고 저작권자 단말(400)로 정산할 때, 이용 상황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팩터(Factor)에 기반하여 저작권 이용료를 산출하고 저작재산권의 종류, 적어도 하나의 팩터, 및 저작권 이용료를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정산부(340)는, 저작물이 음악저작물인 경우, 업로드 판매내역 로그, 필터링 로그, 실거래내역 로그, 실시간 정산 로그, 및 비제휴 모니터링 로그를 포함한 실시간 로그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식별자를 기준으로 정리하여 매칭하며 자동으로 수집된 실시간 로그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에서 정산된 내역을 비교하여 정산 누락 건수를 실시간 집계하고 항목별 자동으로 로그를 분석할 수 있다. 오류가 발생되거나 누락된 건수는 다시 각 당사자에게 전송하여 피드백을 요청함으로써 상호 간의 신뢰를 구축할 수 있다.In summary, the contract data registered in the settlement unit 340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and the usage status of the user terminal 100 is monitored to calculate the copyright usage fee and to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In the settlement, the copyright usage fee may be calculated based on at least one factor constituting the usage situation, and the type of copyright holder, at least one factor, and the copyright usage fee may be stored as a history log. In addition, when the work is a music work, the settlement unit 340 automatically collects real-time logs including uploaded sales log, filtering log, actual transaction log, real-time settlement log, and non-affiliated monitoring log, and collected data. By comparing the automatically collected real-time logs and the details calculated by the at least on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the number of missed settlements is counted in real time, and the log is automatically recorded for each item. Can be analyzed. The number of errors or omissions can be sent back to each party to request feedback, thereby building mutual trust.

이때,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에서 자동수집되는 실시간 로그는, 업로드 판매내역 로그, 필터링 로그, 실거래내역로그, 실시간 정산 로그, 비제휴 모니터링 채증 로그 등 실시간 수집 로그들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유일키 기준으로 정리하여 실시간 자동 매칭할 수 있다. 실시간 로그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각 로그의 특성을 고려하여 미리 설계된 로직에 따라 비제휴 원인분석결과, 필터링 미호출, 고의 누락, 미제휴 다운로드 건수, 정산누락 건수 등이 실시간 집계되며 항목별 자동으로 로그를 분석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 단말(100)에서 제공되는 정산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기존 매월 또는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정산데이터 로그를 자동으로 저장하고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와 비교분석되는 값으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수집되는 로그나 기준값 그리고 비교값은 상술한 로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계약의 종류나 사인 간의 자유로운 의사 또는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real-time log automatically collected by th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automatically collects and collects real-time collection logs such as uploaded sales log, filtering log, actual transaction log, real-time settlement log, non-affiliated monitoring deposit log, etc. By organizing the generated data based on a unique key, real-time automatic matching can be performed. To analyze real-time logs, non-affiliate cause analysis results, filtering not called, intentional omissions, unaffiliated downloads, and settlement omissions are coun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logic designed in advan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g, and automatically A method of analyzing the log can be used. In addition, the settlement data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is collected, and the existing monthly or real-time settlement data log is automatically stored and used as a value that i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 Of cours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collected log, the reference value, and the comparison value are not limited to the log described above, bu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contract or the free intention between signatures or embodiments.

관리부(350)는, 수신부(310)에서 이용자 단말(100)로부터 저작물의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한 저작권자의 이용허락요청을 수신하기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매체를 통하여 공유되는 저작물을 웹크롤링하고, 웹크롤링된 저작물을 게재한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의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등록을 요청하고,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로부터 저작권 등록에 대한 승인이 존재하는 경우, 저작물과 저작권자를 매칭하여 등록할 수 있다. 즉, 저작권을 어떻게 등록해야 할지도 모르고 저작권을 등록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저작권자를 찾아서 등록을 하는 것이다. 또는, 저작권자로 등록을 했다고 할지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 등록하지 않은 경우 이러한 저작권자와 저작물을 검색하여 등록을 촉구하고 유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후 저작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와의 관계를 정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매체는, 소셜미디어를 포함한 다중채널 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s, MCN)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management unit 350 uses the copyright holder for any one or at least one combination of a copy right, a performance right, a broadcast right, a transmission right, an exhibition right, a distribution right, and a secondary work creation right from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reception unit 310 Before receiving the permission request, web-crawl the work shared through at least one type of medium, search for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who posted the web-crawled work, and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of the searched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When a copyright registration request for a work is requested at 400, and there is approval for copyright registration from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the work and the copyright holder may be matched and registered. In other words, it finds and registers a copyright holder who does not know how to register the copyright and does not feel the need to register the copyright. Or, even if you have registered as a copyright holder, if you do not register on th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search for such copyright holders and works to prompt and induce registration, so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who want to use the work afterwards To be able to establish.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type of medium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Multi Channel Networks (MCN) including social media.

빅데이터화부(360)는, 정산부(340)에서 등록된 계약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100) 및 저작권자 단말(400)로 전송하고 이용자 단말(100)의 이용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저작권 이용료를 산출하고 저작권자 단말(400)로 정산한 후, 이용자 단말(100)의 이용 상황 및 저작권 이용료 정산을 모니터링하여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웹크롤링이나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자발적으로 제공한 데이터는 로우 데이터로 다양한 형태의 포맷의 데이터가 섞여 있다. 이때, 이러한 데이터를 정제하는 과정인 전처리를 먼저 시행해야 하는데, 빅데이터화부(360)는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빅데이터화부(360)는,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이용 상황에 대한 이용 히스토리 로그 분석 및 정산된 수익 간의 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빅데이터를 통하여 정산과 관련된 자료 등을 수집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받은 정산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실시간 또는 일단위 정산에 대한 모니터링 자료를 받아 서비스 제공자 및 이용자 간에 발생한 판매로그 등을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정산 검증이 가능하다.The big data conversion unit 360 transmits the contract data registered in the settlement unit 340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monitors the usage status of the user terminal 100, calculates the copyright usage fee, and calculates the copyright holder. After the payment is made to the terminal 400, raw data may be stored in parallel and distributed by monitoring the usage status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ettlement of the copyright usage fee. As described above, data voluntarily provided from the web crawling or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 raw data, and data of various formats are mixed. At this time, preprocessing, which is a process of purifying such data, must be performed first, and the big data conversion unit 360 converts unstructured data, structured data, and semi-structured data included in the stored raw data. It can be refined and subjected to pre-processing including classification as metadata. In addition, the big data conversion unit 360 may construct big data by analyzing a usage history log for a usage situation, including data mining, of the preprocessed data, and analyz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calculated revenue. In order to collect data related to settlement through big data and verify settlement received from Internet service provider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sales logs generated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users by receiving monitoring data on real-time or daily settlements. Settlement verification is possible.

침해예방부(370)는, 수신부(310)에서 이용자 단말(100)로부터 저작물의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한 저작권자의 이용허락요청을 수신하기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에 업로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스크리닝(Screening)할 수 있다. 저작권은 특허권과는 달리 성립에 있어 신규성이나 진보성을 요건으로 하지 않으면서 전문 심사관에 의한 실질심사도 없고 등록의 절차도 요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특허권과는 달리 저작권법은 새로운 저작물을 창작할 때 다른 사람의 저작물에서 그 사상이나 창작 방법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을 용인하고 있다. 보호받는 저작물을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또는 허락범위를 넘어 무단 이용하였을 때에는 저작권침해를 구성하게 되는데, 타인의 저작물을 이용하는 형태로는 타인의 저작물을 이용하여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것과 공연, 방송, 전시, 배포의 방법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대별할 수 있다. 기존의 저작물을 이용하여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행위는 ① 기존의 저작물에 의거하여 그대로 베꼈거나 다소 수정. 변경이 있지만 기존의 저작물과의 동일성을 인정할 수 있고 새로운 창작성이 부가되지는 아니한 경우, ② 기존의 저작물을 토대로 하여 만들어진 작품에 새로운 창작성이 인정되지만 한편으로 기존의 저작물에 대한 종속적 관계가 인정되는 경우, ③ 기존의 저작물을 이용하였지만, 단순히 시사 받은 정도에 불과하거나 또는 그것을 완전히 소화하여 작품화함으로써 기존의 저작물과 사이에 동일성이나 종속적 관계를 인정할 수 없는 독립된 작품이 된 경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위 ①과 같이 그대로 베꼈거나 다소 수정. 변경한 경우는 저작재산권 중 복제권의 침해에, 위 ②의 경우(종속성)는 저작재산권 중 2차적 저작물 작성권의 침해에 해당하게 되지만 마지막 ③의 경우는 저작권침해가 되지 아니한다.The infringement prevention unit 370 is a copyright holder for any one or at least one combination of a copy right, a performance right, a broadcast right, a transmission right, an exhibition right, a distribution right, and a secondary work creation right from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receiving unit 310 Before receiving the request for permission to use of, at least one content uploaded to the at least on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may be screened. Unlike patent rights, copyright does not require novelty or progressiveness in its formation, and does not require substantial examination by professional examiners, nor does it require registration procedures.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unlike patent rights, the copyright law permits the free use of the idea or creative method in the work of another person when creating a new work. When a protected work is used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copyright holder or beyond the scope of permission, copyright infringement is constituted.In the form of using the work of another person, creating a new work using the work of another person, performance, broadcasting, exhibition, distribution It can be roughly classified by using the method of The act of creating a new work by using an existing work is ① copied or slightly modified based on the existing work. When there is a change, but the sameness with the existing work is recognized and new creativity is not added, ② When a new creativity is recognized in a work created based on the existing work, but on the other hand, a subordinate relationship to the existing work is recognized. , ③ It can be classified as a case where an existing work was used, but it was merely a preview or it became an independent work that could not recognize the identity or 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the existing work by completely digesting it and turning it into a work. As shown in ① above, it has been copied or slightly modified. In the case of change, the copyright infringement of the copyright of copyright is infringed, and in the case of ② (dependency)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create a secondary work among the copyrights of copyright, the last case of ③ does not constitute copyright infringement.

이에 따라, 원 저작물에 실질적인 개변(substantial variation)을 하면 2차적 저작물로, 개변의 정도가 훨씬 커지게 되면 독립된 저작물로 평가받게 되므로, 실질적 유사성(substantial similarity)을 기준으로 스크리닝이 이루어져야 한다. 실질적 유사성이 없다면 그 저작물은 원 저작물에 대한 2차적 저작물이 아니라 별개의 독립된 저작물이 되기 때문이다. 이때 한국에서는 저작원위원회를 중심으로 저작권 분쟁이발생하였을 때 원저작권자와 도용이 의심되는 저작물의 비교 감정을 수행하는데, 저작권의 비교는 분쟁당사자들의 목적물을 대상으로 비교감정을 통하여 유사성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감정에서 유사도 산출은 어느 소스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할 것인가에 따라 원본(저작권자 콘텐츠) 기준 방식과 비교본(무단도용자 콘텐츠) 기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때 기본적으로 2가지 감정 기준이 발생할 수 있는데, 두 콘텐츠 중 어느 콘텐츠 기준으로 유사도를 산출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비교본 콘텐츠가 원본 콘텐츠를 복제한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파일시스템은 디스크의 파일들이 연속되도록 사용하는 자료구조라 할 수 있는데, 파일을 저장하거나, 파일시스템의 형식을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리눅스에서는 NTFS, VFAT, UFS, NFS 등의 파일시스템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ext2가 있다. 2GByte의 파일크기와 , 4TByte의 전체파일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가변 블록크기, 확장기능 등이 제공되고, 디렉토리구조에서 해당 목적에 맞는 파일들을 보관하고 있다. 전체 파일구조를 대상으로 파일간의 비교를 수행하고, 유사도 항목별로 구분하여 평균 유사성을 도출하는 방법을 취하고, 기준수준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파일에 대해 세부 감정수행을 할 수 있다. 물론, 영상이나 음원과 같은 경우에는 프레임 간 유사도와, 박자, 음정, 멜로디 등의 유사도를 분석하며 비교감정을 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하지는 않는다.Accordingly, when a substantial variation is made to the original work, it is evaluated as a secondary work, and when the degree of modification becomes much larger, it is evaluated as an independent work, so screening should be performed based on substantial similarity. This is because if there is no substantial similarity, the work is not a secondary work to the original work, but a separate and independent work. At this time, in Korea, when a copyright dispute occurs centered on the Copyright Commission, the original copyright holder and the copyrighted work suspected of being stolen are compared and assessed.The comparison of copyright is a method of deriving similarity through comparative emotions for the object of the parties to the dispute. It goes on. Calculation of similarity in emotion can be divided into an original (copyright holder content) standard method and a comparative copy (authoritarian content) standard method depending on which source program is used. At this time, basically two emotion criteria may occur, and the result may vary depending on which of the two contents the similarity level is calculated based on which of the two contents. It is assumed that the comparative content is a duplicate of the original content. For example, a file system can be said to be a data structure used to keep files on a disk contiguous. It is used to store files or designate a file system format. In Linux, there are file systems such as NTFS, VFAT, UFS, and NFS, and ext2 is a commonly used file system. A file size of 2GByte and a total file system of 4TByte are possible. Variable block size, extension function, etc. are provided, and files suitable for the purpose are stored in the directory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comparison between files targeting the entire file structure, take a method of deriving the average similarity by classifying each similarity item, and perform detailed analysis on files with similarity above the standard level. Of course, in the case of an image or sound source, the method of analyzing the similarity between frames, the similarity of the beat, the pitch, the melody, and the like, and performing comparative emotion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침해예방부(370)는, 비교감정 후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즉,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중 기 등록된 저작권자의 이용허락을 받은 정당 이용권자가 아닌 무단게재자가, 기 등록된 저작권자의 저작물을 게재한 경우,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 및 무단게재자 단말로 권리침해 경고를 발송할 수 있다. 물론, 저작권 침해 고소는 친고죄이기 때문에 원저작자의 의사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원저작자의 의사를 확인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거나, 위탁한 경우에는 사전 동의로 갈음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한 후, 침해예방부(370)는, 기 등록된 저작권자의 저작권자 단말(400)로 무단 이용 상황을 알림전송함으로써 상황보고를 할 수 있다. The infringement prevention unit 370 determines that the degree of similar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after comparative evaluation, that is, among at least one of the contents, an unauthorized publisher who is not a party licensee who has received the license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copyright holder, If posted, a warning of rights infringement may be sent to th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and the unauthorized publisher terminal. Of course, since a copyright infringement complaint is a parental offense, the intention of the original author is very important. Therefore,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intention of the original author may be further included or, in the case of consignment, may be substituted with prior consent. After performing this process, the infringement prevention unit 370 may report the situation by sending a notification of the unauthorized use situation to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copyright holder.

태깅부(380)는, 수신부(310)에서 이용자 단말(100)로부터 저작물의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한 저작권자의 이용허락요청을 수신하기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저작물을 등록받을 수 있다. 그리고, 태깅부(38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저작물의 메타 데이터를 영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별로 태깅하여 저작권자 단말(400)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술한 침해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인 비교감정에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비교함으로써 영상인 경우 두 개의 영상을 비교하기 위한 컴퓨팅 자원을 낭비하지 않도록 한다. 영상의 프레임끼리 상호비교를 하는 것은 많은 연산량과 자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The tagging unit 380 is a copyright holder for any one or at least one combination of a copy right, a performance right, a broadcast right, a transmission right, an exhibition right, a distribution right, and a secondary work creation right from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reception unit 310. Before receiving the request for permission to use, at least one content work may be registered from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In addition, the tagging unit 380 may tag metadata of at least one content work for each at least one frame constituting an image, map it to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and store the metadata. Through this, by using metadata to compare the comparison emotion, which is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fringement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n image, computing resources for comparing two images are not wasted. Comparing the frames of an image is because it requires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 and resources.

또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두 개의 영상이나 두 개의 음악저작물과 같은 콘텐츠에 대한 수집을 실시한 후 영상에서는 각 프레임마다 등장하는 객체나 움직임 또는 소리와 텍스트를, 음악저작물에서는 박자, 음정, 멜로디 등의 음원을 구성하는 요소를 추출하여 트레이싱(Tracing)을 시킴으로써 비교를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딥러닝을 이용하게 되면, Unsupervised Learning을 이용한 Pre-training과 Convolutional Neural Network를 이용하여 방대한 양의 입력 데이터를 주면 AI가 비슷한 특징(feature)를 가진 데이터끼리 군집(cluster)을 이루게 하고 그 과정에서 특이하고 독보적인 특징(feature)을 버리는 대신(빅데이터를 구축할 때에는 특이한 부분은 버림) 이를 주요하게 비교하고, 또 특징을 버린 나머지를 이룬 군집도 비교를 함으로써 저작물의 비교감정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이때, AI는, 병렬 컴퓨팅을 통하여 CPU를 병렬 처리하는 GPU 제품으로 영상 비교 및 음원 비교가 훨씬 빨리 수행할 수 있다.Alternatively, after collecting contents such as two images or two music work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bjects, movements, sounds and texts appearing in each frame are displayed in the video, and the beat, pitch, and melody appear in the music work.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comparison by extracting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sound source and performing tracing. When deep learning is used, pre-training using Unsupervised Learning and a large amount of input data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llow AI to form a cluster of data with similar features, and are unique in the process. Instead of discarding unique features (discarding the unusual parts when constructing big data), it is possible to make comparative feelings of works by comparing them mainly and comparing the clusters that have discarded the features. At this time, AI is a GPU product that processes CPU in parallel through parallel computing, and video comparison and sound source comparison can be performed much faster.

이용료예측부(390)는, 정산부(340)에서 등록된 계약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100) 및 저작권자 단말(400)로 전송하고 이용자 단말(100)의 이용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저작권 이용료를 산출하고 저작권자 단말(400)로 정산한 후, 이용자 단말(100)에서 다른 저작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저작재산권의 종류 및 적어도 하나의 팩터를 질의(Query)로 기 구축된 빅데이터에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용료예측부(390)는, 입력된 질의와 기 설정된 유사도를 가지는 기준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 결과 기 설정된 유사도를 가지는 기준 데이터를 추출하고, 기준 데이터에 포함된 저작권 이용료를 결과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행정청의 개입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사인간의 계약보다 기준과 제한이 확실하므로 마찬가지로 빅데이터로부터 예상값을 도출하기가 훨씬 용이하고 그 정확도도 높아서 유용성이 클 수 있다. The usage fee prediction unit 390 transmits the contract data registered in the settlement unit 340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monitors the usage status of the user terminal 100, calculates the copyright usage fee, and calculates the copyright holder. After the payment is made to the terminal 400, when the user terminal 100 intends to use another work, the type and at least one factor of the copyright holder may be input into the big data previously constructed as a query. In addition, the usage fee prediction unit 390 may search for reference data having a preset similarity to the input query, extract reference data having a preset similarity as a result of the search, and calculate the copyright usage fee included in the reference data as a result value. You can print it out. Of course, even when an administrative agency's intervention occur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andards and restrictions are more certain than the contract between the signs, it is much easier to derive an expected value from big data and the accuracy is high, so that the usefulness can be great.

이하, 상술한 도 2의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s an exampl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an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a)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 제작 의뢰를 받은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100)에서 저작권자의 저작물을 이용하고자 한다. 이때, 이용자가 저작권자에게 연락할 방법이 없거나 있더라도 협의가 잘 되지 않거나 저작권자가 있는지도 모르는 경우 등 다양한 경우로 무단도용자 또는 직간접 침해자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 단말(100)은,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이용허락을 위해 원하는 종류의 저작재산권과 이용할 저작물 등을 업로드한다. 그리고, (b) 저작권자 단말(400)은,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이용자 단말(100)의 이용허락요청과 저작재산권의 종류 및 저작물 등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용허락 여부를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피드백한다.Referring to FIG. 3, (a) a user terminal 100 of a user who has received a content production request from a client intends to use the copyright holder's work. At this time, the user can become an unauthorized thief or a direct or indirect infringer in various cases, such as when there is no way to contact the copyright holder, or when the agreement is not good, or the copyright holder is unknown.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100 uploads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o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for a desired type of copyright holder and a work to be used. And, (b)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from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the permission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and work of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It feeds back to the providing server 300.

(c) 가격 협의나 조정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거치고, 각 당사자 간, 즉 이용자와 저작권자 간의 계약이 성립되면,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호 합의한 내용을 기반으로 계약서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도 저장한다. 이때, 이용범위와 용도를 벗어난 이용행위가 있는지도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허락을 받지 않고 타인에게 이용허락을 받은 저작재산권을 양도하는 행위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용자 단말(100)의 웹트래픽이나 업로드 이벤트에 대한 데이터를 백그라운드 모드로 수집할 것을 이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전동의 받을 수도 있다. (c) If a price agreement or adjustment exists, it passes through it, and when a contract between each party, that is, between the user and the copyright holder, is established,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reates and transmits a contract based on the mutually agreed It is also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t this time,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monitor whether there is a use behavior that is outside the scope of use and purpose, and the act of transferring the copyrighted copyright to another person without obtaining permission may also be monitored. To this end,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receive prior consent from the user terminal 100 to collect data on web traffic or upload event of the user terminal 100 in a background mode.

(d) 이렇게 이용자가 저작권자의 저작물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만든 경우,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용자의 이용행위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저작물이 이용된 횟수, 비율, 시간, 빈도 등을 체크하여 로그를 수집하고 저작권 사용료나 수익에 대한 정산을 실시한다. 이때,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되는 정산 데이터와, 콘텐츠가 업로드되어 스트리밍되거나 다운로드 또는 판매된 횟수나 금액 등을 로그로 수집하여 자체적으로 수집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오류나 누락을 발견할 수 있고, 이용자 단말(100)과 저작권자 단말(400)로 전송하여 오류나 누락을 수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빅데이터로 구축된 로그를 로우 데이터로 전처리 수행 및 분석이나 마이닝 과정 등을 거쳐서 이후 정산의 누락을 방지하거나 기준금액을 설정하는데 유의미한 데이터를 질의에 대한 출력으로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d) In this case, when the user creates content using the copyright holder's work,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onitors the user's usage behavior and monitors the number, rate, time, and frequency of the use of the work. Check, collect logs, and settle copyright usage fees and profits. At this time,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llects the settlement data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number or amount of content uploaded and streamed, downloaded or sold as a log, An error or omission may be found through comparison, and the error or omission may be corrected by transmitting it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In addition,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performs pre-processing of logs built as big data as raw data and outputs data that is meaningful for preventing omission of settlement or setting a reference amount after performing an analysis or mining process, etc. To be able to derive it.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For matters that are not explained about the method of providing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that coordinates the rights relationship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of FIGS. 2 and 3,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that coordinates the rights relationship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through FIG. Since the content of the providing method is the same as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system for provid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received between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as such an embodiment.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may be changed.

도 4를 참조하면,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용자 단말(100)로부터 이용허락요청이 수신되면(S4100), 저작권자 단말(400)로 이를 전송하고(S4200), 저작권자 단말(400)로부터 허락을 받으면(S4300), 이용허락계약을 체결 및 완료시키고 각 당사자에게 계약서를 전송하고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당사자와 계약서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4400).Referring to Figure 4,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a request for permission to use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S4100), and transmits it to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S4200), and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If permission is received from (S4300), a license agreement is concluded and completed, the contract is transmitted to each party, and the party and the contract are mapped and stored in its own database (S4400).

그리고,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용자 단말(100)에서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의 스트리밍이나 로그 발생을 모니터링하고(S4500, S4600, S4610), 무단도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저작권자의 의사에 기하여 고소 또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 경고문을 전송하여 무단게시물을 제거하도록 한다(S4630).In addition,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onitors the streaming or log generation of th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for uploading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100 (S4500, S4600, S4610), and an unauthorized thief If it exists, a warning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mplaint or th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00 based on the intention of the copyright holder to remove the unauthorized post (S4630).

한편,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침해 콘텐츠 이력을 이용자 단말(100)과 저작권자 단말(400)로 전송하고(S4650), 이용자 단말(100)에서 정산을 하는 경우(S4700), 저작권자 단말(400)로 이를 전달하고, 로그와 정산을 비교하여 누락이나 오류를 제거하도록 한다(S4710~S4770). 그리고,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로우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를 수행하고(S4800), 데이터를 분석하여(S4900), 빅데이터 구축을 완료한다(S4920).On the other hand,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ransmits the infringing content history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S4650), and when the user terminal 100 makes a settlement (S4700),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 400), and compares the log and settlement to eliminate omissions or errors (S4710 to S4770). Then,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llects raw data and performs pre-processing (S4800), analyzes the data (S4900), and completes big data construction (S4920).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4100 to S492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steps (S4100 to S4920)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executed or deleted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은 도 4의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For matters that are not explained about the method of providing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that coordinates the relationship of copyright rights between the copyright holder and the user of FIG. 4,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that coordinates the relationship of copyright rights between the copyright holder and the user through FIGS. 1 to 3 above. Since the content of the providing method is the same as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이용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의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한 저작권자의 이용허락요청을 수신한다(S5100).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5,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copyright holder for any one or at least one combination of copying rights, performance rights, broadcasting rights, transmission rights, exhibition rights, distribution rights, and creation rights of a secondary work from a user terminal. The request is received (S5100).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이용허락이 요청된 저작물의 저작권자를 검색하여 저작권자 단말로 이용자 단말의 이용허락요청을 전송하고(S5200), 저작권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의 이용을 허락받은 경우, 허락받은 이용 방법 및 이용 조건의 범위 내에서 저작물을 이용하도록 설정하여 계약 데이터를 등록한다(S5300).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searches for the copyright holder of the work for which the license is requested and transmits the request for permission to use the user terminal to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S5200), and if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permits the use of the work, the permitted usage method and use The contract data is registered by setting to use the work within the range of conditions (S5300).

마지막으로,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등록된 계약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 및 저작권자 단말로 전송하고 이용자 단말의 이용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저작권 이용료를 산출하고 저작권자 단말로 정산한다(S5400).Finally,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registered contract data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monitors the usage status of the user terminal, calculates the copyright usage fee, and calculates the copyright usage fee to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S5400).

이와 같은 도 5의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For matters that are not explained about the method of providing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that coordinates the rights relationship of copyright holders and users of FIG. 5,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that coordinates the relationship of copyright right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through FIGS. 1 to 4 above. Since the content of the providing method is the same as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A method for provid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a recording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It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edium.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Furth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this is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May be included), and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on the master terminal by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service. In this sense, the method for provid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that is basically installed on the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the user. It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terminal.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other specific forms can be easily modified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10)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이용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의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한 저작권자의 이용허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용허락이 요청된 저작물의 저작권자를 검색하여 저작권자 단말로 상기 이용자 단말의 이용허락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자 단말로부터 상기 저작물의 이용을 허락받은 경우, 허락받은 이용 방법 및 이용 조건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저작물을 이용하도록 설정하여 계약 데이터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계약 데이터를 상기 이용자 단말 및 저작권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의 이용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저작권 이용료를 산출하고 상기 저작권자 단말로 정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In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executed in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ing a request for permission from a copyright holder for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 copy right, a performance right, a broadcast right, a transmission right, an exhibition right, a distribution right, and a secondary work creation right from the user terminal;
Searching for a copyright holder of the work for which the license is requested and transmitting a request for permission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Registering contract data by setting the copyright holder to use the work within a range of a permitted usage method and usage condition when the copyright holder's terminal permits the use of the work; And
Transmitting the registered contract data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and monitoring the usage status of the user terminal to calculate a copyright usage fee and settle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의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한 저작권자의 이용허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매체를 통하여 공유되는 저작물을 웹크롤링하는 단계;
상기 웹크롤링된 저작물을 게재한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의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로 상기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로부터 저작권 등록에 대한 승인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저작물과 저작권자를 매칭하여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rior to the step of receiving a request for permission from the copyright holder for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a copy right, a performance right, a broadcast right, a transmission right, an exhibition right, a distribution right, and a secondary work right from the user terminal
Web crawling a work shared through at least one type of medium;
Searching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who has posted the web-crawled work, and requesting a copyright registration for the work through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of the searched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Matching and registering the work and the copyright holder when there is approval for copyright registration from the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sion method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further compri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매체는, 소셜미디어를 포함한 다중채널 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s, MCN)를 포함하는 것인,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at least one type of medium includes a multi-channel network (MCN) including social media,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계약 데이터를 상기 이용자 단말 및 저작권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의 이용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저작권 이용료를 산출하고 상기 저작권자 단말로 정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이용자 단말의 이용 상황 및 저작권 이용료 정산을 모니터링하여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이용 상황에 대한 이용 히스토리 로그 분석 및 정산된 수익 간의 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registered contract data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and monitoring the usage status of the user terminal to calculate the copyright usage fee and settle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Storing raw data in parallel and distributed by monitoring the usage status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ettlement of the copyright usage fee;
Refining unstructured data, structured data, and semi-structured data included in the stored raw data, and performing pre-processing including classification as metadata;
Constructing big data by analyzing a usage history log for a usage situation including data mining on the preprocessed data and analyz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calculated revenue;
That further comprises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의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한 저작권자의 이용허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에 업로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스크리닝(Screening)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중 기 등록된 저작권자의 이용허락을 받은 정당 이용권자가 아닌 무단게재자가, 상기 기 등록된 저작권자의 저작물을 게재한 경우, 상기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무단게재자 단말로 권리침해 경고를 발송하는 단계;
상기 기 등록된 저작권자의 저작권자 단말로 무단 이용 상황을 알림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rior to the step of receiving a request for permission from the copyright holder for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a copy right, a performance right, a broadcast right, a transmission right, an exhibition right, a distribution right, and a secondary work creation right from the user terminal,
Screening at least one content uploaded to at least on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n the event that an unauthorized publisher who is not a party user who has received the permission of the registered copyright holder among the at least one content publishes the work of the registered copyright holder, th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the unauthorized publisher terminal are warned of infringement of rights. Sending out;
Transmitting a notification of the unauthorized use status to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of the registered copyright holder;
The method of providing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that further inclu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의 복제권, 공연권, 방송권, 전송권, 전시권, 배포권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한 저작권자의 이용허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저작물을 등록받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저작물의 메타 데이터를 영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별로 태깅하여 상기 저작권자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rior to the step of receiving a request for permission from the copyright holder for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a copy right, a performance right, a broadcast right, a transmission right, an exhibition right, a distribution right, and a secondary work creation right from the user terminal,
Registering at least one content work from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Tagging the metadata of the at least one content work for each at least one frame constituting an image, mapping it to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and storing it;
That further comprises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계약 데이터를 상기 이용자 단말 및 저작권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의 이용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저작권 이용료를 산출하고 상기 저작권자 단말로 정산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 상황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팩터(Factor)에 기반하여 저작권 이용료를 산출하고 저작재산권의 종류, 적어도 하나의 팩터, 및 저작권 이용료를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s of transmitting the registered contract data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and monitoring the usage status of the user terminal to calculate the copyright usage fee and settling it to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Calculating a copyright usage fee based on at least one factor constituting the usage situation and storing a type of copyright holder, at least one factor, and a copyright usage fee as a history log;
Including that,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hip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계약 데이터를 상기 이용자 단말 및 저작권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의 이용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저작권 이용료를 산출하고 상기 저작권자 단말로 정산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물이 음악저작물인 경우, 업로드 판매내역 로그, 필터링 로그, 실거래내역 로그, 실시간 정산 로그, 및 비제휴 모니터링 로그를 포함한 실시간 로그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식별자를 기준으로 정리하여 매칭하는 단계;
상기 자동으로 수집된 실시간 로그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정산된 내역을 비교하여 정산 누락 건수를 실시간 집계하고 항목별 자동으로 로그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s of transmitting the registered contract data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and monitoring the usage status of the user terminal to calculate the copyright usage fee and settling it to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If the work is a music work, real-time logs including uploaded sales log, filtering log, actual transaction log, real-time settlement log, and non-affiliated monitoring log are automatically collected, and organized based on the identifier based on the collected data. Matching;
Comparing the automatically collected real-time logs with details calculated by the at least on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counting the number of missed settlements in real time, and automatically analyzing the log for each item;
Including that,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hip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계약 데이터를 상기 이용자 단말 및 저작권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의 이용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저작권 이용료를 산출하고 상기 저작권자 단말로 정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이용자 단말에서 다른 저작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저작재산권의 종류 및 적어도 하나의 팩터를 질의(Query)로 기 구축된 빅데이터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질의와 기 설정된 유사도를 가지는 기준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 상기 기 설정된 유사도를 가지는 기준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기준 데이터에 포함된 저작권 이용료를 결과값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Afte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registered contract data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and monitoring the usage status of the user terminal to calculate the copyright usage fee and settle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Inputting the type and at least one factor of the copyright holder into big data previously constructed as a query when the user terminal intends to use another copyrighted work;
Searching for reference data having a predetermined similarity to the input query;
Extracting reference data having the predetermined similarity as a result of the search, and outputting a copyright usage fee included in the reference data as a result value;
That further comprises a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coordinating copyright rights rights relation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9 is recorded.



KR1020190113506A 2019-09-16 2019-09-16 Method for providing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coordinating authorship relation between copyright owner and user KR1023587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506A KR102358785B1 (en) 2019-09-16 2019-09-16 Method for providing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coordinating authorship relation between copyright owner and 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506A KR102358785B1 (en) 2019-09-16 2019-09-16 Method for providing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coordinating authorship relation between copyright owner and u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136A true KR20210032136A (en) 2021-03-24
KR102358785B1 KR102358785B1 (en) 2022-02-08

Family

ID=75257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506A KR102358785B1 (en) 2019-09-16 2019-09-16 Method for providing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coordinating authorship relation between copyright owner and u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78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159B1 (en) * 2021-12-06 2022-07-14 넥스터 주식회사 The methods and systems of copyright infringement analysis through similarity analysis of contents which created by users in virtual reality modeling the real worl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391B1 (en) 2024-01-04 2024-03-25 랜드소프트 주식회사 Automated method of searching and collecting information by research agency to determine whether or not copyright is unknow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331A (en) * 2003-02-12 2004-08-18 박재선 Online approval method of between modifier and copyright holder about modification literary production
KR20080036486A (en) * 2006-10-23 2008-04-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igital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s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at
KR20150002125A (en) * 2013-06-28 2015-01-07 주식회사 미디어허브아이앤씨 Publiciry and Copyright Protected Contents Management System
KR20160037600A (en) *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Method of calculating contents,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KR20190022421A (en) * 2018-10-23 2019-03-06 황유빈 Method for providing publicity right transaction based on multichannel networ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331A (en) * 2003-02-12 2004-08-18 박재선 Online approval method of between modifier and copyright holder about modification literary production
KR20080036486A (en) * 2006-10-23 2008-04-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igital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s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at
KR20150002125A (en) * 2013-06-28 2015-01-07 주식회사 미디어허브아이앤씨 Publiciry and Copyright Protected Contents Management System
KR20160037600A (en) *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Method of calculating contents,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KR20190022421A (en) * 2018-10-23 2019-03-06 황유빈 Method for providing publicity right transaction based on multichannel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159B1 (en) * 2021-12-06 2022-07-14 넥스터 주식회사 The methods and systems of copyright infringement analysis through similarity analysis of contents which created by users in virtual reality modeling the real wor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785B1 (en)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achandran et al. Towards a decentralized data marketplace for smart cities
US20220222364A1 (en) Non-Fungible Token Content Items, Access Controls, and Discovery
US11775949B2 (en) Trusted transaction system for digital asset licensing
US20210271649A1 (en) Data supply chain
US20220337439A1 (en) Rights-enabled tokens for blockchain applications
US20120173441A1 (en) Ownership Resolution System
US20120173412A1 (en) Rights Clearance for Granular Rights
KR102358785B1 (en) Method for providing copyright management service coordinating authorship relation between copyright owner and user
Fernández et al. User consent modeling for ensuring transparency and compliance in smart cities
US11687904B2 (en) Downstream tracking of content consumption
Amelin et al. Prospects of blockchain-based information systems for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US201602396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mission based digital content syndication, monetization, and licensing with access control by the copyright holder
KR101246276B1 (en) E-book service method
Anthony Jr Decentralized brokered enabled ecosystem for data marketplace in smart cities towards a data sharing economy
Wu et al. Spatial social network research: a bibliometric analysis
US11799864B2 (en) Computer systems for regulating access to electronic content using usage telemetry data
Lundqvist Cloud services as the ultimate gate (keeper)
Li Analysis on Legal Issues of Cloud Computing Software-as-a-Service (SaaS) Model
Crabtree et al. Building accountability into the internet of things
Judge Enabling access and reus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in Canada: Crown commons licenses, copyright, and public sector information
KR102336136B1 (en) System design contents brokerage service using web browser based editing tool
US20220405846A1 (en) System and method of tokenization
US20220284432A1 (en) Geoblockchain authentication of map related data
Bhargava et al. An Economical Methodology to Rhetorical Identifications in Cloud Victimization Virtual Machine Snapshots
Zhang A Model of Diversified Fiscal and Taxation System Based on Computer Network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