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397A - A Detachab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unctional Dutch Coffee - Google Patents

A Detachab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unctional Dutch Coffe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397A
KR20210029397A KR1020190110558A KR20190110558A KR20210029397A KR 20210029397 A KR20210029397 A KR 20210029397A KR 1020190110558 A KR1020190110558 A KR 1020190110558A KR 20190110558 A KR20190110558 A KR 20190110558A KR 20210029397 A KR20210029397 A KR 20210029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extraction
functional
dutch coffee
d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5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2112B1 (en
Inventor
추영민
Original Assignee
추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영민 filed Critical 추영민
Priority to KR1020190110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112B1/en
Publication of KR20210029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3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1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unctional Dutch coffee, which accommodates a coffee powder and a functional material in a separate space to enable effective extraction of Dutch coffee containing functional ingredients, and a material storage container accommodating each of the coffee powder and the functional material is detachably coupled to enable easy manufacturing of Dutch coffee containing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Description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A Detachab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unctional Dutch Coffee}A Detachab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unctional Dutch Coffee}

본 발명은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분말과 기능성 물질을 분리된 공간에 수용하도록 하여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더치커피의 효과적인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각 커피분말과 기능성 물질이 수용된 소재저장용기를 탈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더치커피의 용이한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ccommodate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substances in separate spaces to enable effective extraction of Dutch coffee containing functional ingredients, and each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substance It relates to a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enables easy manufacturing of Dutch coffee containing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by allowing the received material storage container to be detachably coupled.

커피는 커피 원두를 갈아 뜨거운 물로 우려낸 향이 진한 음료로서 전 세계적으로 음용되는 기호 식품의 하나이다. 커피가 가정으로 점점 확산됨에 따라, 품질 좋은 고급 커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고, 그 대안으로 최근 더치커피가 크게 각광받고 있다. Coffee is one of the favorite foods that are consumed around the world as a strong scented beverage made from ground coffee beans and brewed with hot water. As coffee gradually spreads to homes, consumers' demands for high-quality coffee are increasing, and as an alternative, Dutch coffee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더치커피는 상온 또는 그 이하 온도의 물을 3시간 이상 분쇄된 커피 원두에 공급하여 추출되는 것으로, 낮은 온도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신맛이 적고 특유의 향과 맛을 갖고 있으며, 풍미를 잃지 않는 기간이 다른 커피보다 길어 유통에 유리하고, 일반적인 커피와 달리 원액 상태로 저장이 가능하여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Dutch coffee is extracted by supplying water at room temperature or lower temperature to ground coffee beans for more than 3 hours.Because it is extracted at a low temperature, it has less sour taste and has a unique aroma and taste. Since it is longer than coffee, it is advantageous for distribution, and unlike general coffee, it can be stored in an undiluted state, so it has the advantage of high value as a product.

이에 따라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더치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더치커피도 일반 커피와 같이 위장장애, 피부노화, 피로증가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으며, 일반커피에 비해 추출시간이 오래 걸리고 추출되는 양이 많지 않아 그 원액의 가격이 다소 높다는 문제가 있다. Accordingly, a technology for a device capable of producing Dutch coffee is being developed as shown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but Dutch coffee has a problem that causes side effects such as gastrointestinal disorders, skin aging, and increased fatigue like regular coffee. Compared t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ce of the undiluted solution is somewhat high because it takes a long time to extract and there is not much extracted amount.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등록특허공보 제10-1910318호(2018.10.15. 등록)"더치커피 제조장치"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10318 (registered on October 15, 2018)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커피분말과 기능성 물질을 분리된 공간에 수용하도록 하여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더치커피의 효과적인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각 커피분말과 기능성 물질이 수용된 소재저장용기를 탈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더치커피의 용이한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ffective extraction of Dutch coffee containing functional ingredients by accommodating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material in a separate space, and allows each coffee powder and material storage container containing the functional material to be detachably combin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enables easy manufacturing of Dutch coffee containing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본 발명은 각 소재저장용기의 분리 및 삽입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enables easy and stable separation and insertion of each material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각 소재저장용기를 상하로 분할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추출하고자 하는 커피 분말 및 기능성 물질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커피 분말 및 기능성 물질이 압축된 상태에서 소재저장용기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each material storage container to be divided up and down so that the capacity of the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material to be extracted can be adjusted, while the coffee powder and the functional material can be stored in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in a compressed state. There is an object to provide a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enables the extraction efficiency to be increased.

본 발명은 추출하우징의 각 영역과 커피수용용기의 각 영역에 대한 추출수 및 더치커피의 공급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성분의 더치커피를 용이하게 제조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that makes it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and discharge Dutch coffee of various ingredients by separately supplying extracted water and Dutch coffee to each area of the extraction housing and each area of the coffee container.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커피수용용기의 각 영역에 수용된 더치커피를 추출부로 재순환시키고 추출하우징의 각 영역에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재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성분의 더치커피 추출이 가능하고 추출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circulates the Dutch coffee accommodated in each area of the coffee container to the extraction unit and individually supplies it to each area of the extraction housing so that re-extraction is perform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xtract Dutch coffee of various ingredients and shorten the extraction tim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각 영역에 수용된 커피분말 또는 기능성 물질의 종류와 반복횟수 등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고 신속한 기능성 더치커피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enables convenient and rapid extraction of functional Dutch coffee by automatically extracting by setting the type and number of repetitions of coffee powder or functional substance accommodated in each area. There is this.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는 더치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원수공급부와; 커피분말 및 기능성 물질을 수용하며, 원수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물에 의해 더치커피 및 기능성 성분이 추출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더치커피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는 더치커피 및 기능성 성분이 추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추출하우징과; 상기 추출하우징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며, 커피분말 및 기능성 물질을 각각 분리하여 수용하는 소재저장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w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for extracting Dutch coffee; An extraction unit that accommodates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substances, and extracts Dutch coffee and functional ingredients by water supplied by the raw water supply unit; A receiving unit for accommodating the Dutch coffee containing the functional ingredients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wherein the extraction unit includes an extraction housing for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Dutch coffee and the functional ingredients are extracted; And a material storage contain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xtraction housing and separates and accommodates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materi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우징은 추출하우징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추출하우징 내부의 영역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고, 상기 소재저장용기는 상기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각 영역에 탈착식으로 삽입되어 커피분말 또는 기능성 물질을 수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housing includes a partition wall formed in the extraction housing in a vertical direction to divide a plurality of regions inside the extraction housing, and ,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is detachably inserted into each area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to accommodate coffee powder or a functional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우징은 상기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각 영역에서 내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각 영역을 상하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지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소재저장용기는 분할지지턱에 의해 분할되는 각 영역에 개별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분할지지턱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housing protrudes inward for a certain length from each region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to divide each reg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divided support jaw, wherein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is individually inserted into each region divided by the divided support jaw and supported by the divided support jaw.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재저장용기는 상부 및 바닥의 일정 영역을 관통하여 더치커피 또는 기능성 성분을 추출하는 추출수가 통과되는 추출수입출공과; 소재저장용기의 바닥에 삽입되어 수용된 물질의 유출을 차단하고, 추출하우징으로의 삽입 후 제거되는 차단판과; 소재저장용기 바닥에 형성되어 차단판이 삽입되는 가이드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passes through a certain area of the top and bottom to extract the Dutch coffee or the functional ingredient. Import and export department; A blocking plate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to block outflow of the received material, and remov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extraction housing; And a guide end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into which the blocking plate is inse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단은 소재저장용기 바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차단판이 삽입되는 수용홈을 가지며, 소재저장용기를 추출하우징에 삽입 후 차단판을 제거할 수 있도록 추출하우징의 외측을 향해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end has a receiving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of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and into which the blocking plate is inserted, and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as to open one side toward the outside of the extraction housing so that the blocking plate can be remov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extraction hous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추출하우징의 각 영역에 더치커피 또는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수를 공급하는 추출수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수공급관은 각 영역으로 추출수를 공급하는 공급노즐과, 각 공급노즐에 형성되어 각 공급노즐을 통한 추출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공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unit is extracted with water for extracting Dutch coffee or a functional substance in each region of the extraction housing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The extracted water supply pipe includes a supply nozzle supplying extraction water to each region, and a supply control valve formed in each supply nozzle to control the supply of extraction water through each supply nozzle.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노즐은 공급노즐을 통과하는 추출수에 열을 공급하는 히팅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nozzle includes a heating module that supplies heat to the extraction water passing through the supply nozz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되는 기능성 물질이 포함된 더치커피를 수용하는 커피수용용기와, 상기 추출부를 통과한 기능성 물질이 포함된 더치커피를 커피수용용기에 공급하는 커피추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커피수용용기는 커피수용용기 내의 영역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수용벽을 포함하며, 상기 커피추출관은 상기 수용벽에 의해 구획된 각 영역으로 더치커피를 공급하는 추출노즐과, 각 추출노즐에 형성되어 추출노즐을 통한 더치커피의 공급을 조절하는 추출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part comprises a coffee container for accommodating Dutch coffee containing a functional substance extracted from the extracting part, and the extracting part And a coffee extraction pipe for supplying the Dutch coffee containing the passed-through functional material to a coffee container, and the coffee container includes a receiving wall for dividing a plurality of regions within the coffee container, and the coffee extraction pipe includes th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traction nozzle for supplying the Dutch coffee to each region partitioned by the receiving wall, and an extraction control valve that is formed in each extraction nozzle to control the supply of the Dutch coffee through the extraction nozz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더치커피를 추출부로 순환시켜 반복적인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복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추출부는 상기 커피수용용기의 각 영역과 연결되어 수용된 더치커피를 배출하며, 상기 추출부와 연결되는 커피배출관과, 상기 커피배출관 상에 형성되어 더치커피의 반복 추출 또는 외부로의 배출을 조절하는 배출조절밸브와, 상기 추출부로 더치커피를 공급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petitive extraction unit for repetitive extraction by circulating the Dutch coffe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to an extraction unit, and the repetitive extraction unit A discharge control valve connected to each region of the coffee receiving container to discharge the received Dutch coffee, a coffe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extraction unit, and a discharge control valve formed on the coffee discharge pipe to control repeated extraction of Dutch coffee or discharge to the outside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irculation pump for providing power to supply the Dutch coffee to the extraction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출수공급관은 상기 커피수용용기의 각 영역과 연결되는 커피배출관 및 원수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추출부에 대한 더치커피 또는 원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유입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to a coffe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each region of the coffee receiving container and a raw water supply unit to be connected to the extraction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let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inflow of the Dutch coffee or raw w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는 더치커피 제조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더치커피 제조장치의 작동정보를 설정하는 작동설정부와, 설정된 작동정보에 따라 더치커피 제조장치를 작동시키는 작동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controller is an operation of sett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tting unit,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t oper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설정부는 상기 추출하우징의 각 영역에 수용되는 물질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저장물질설정모듈과, 상기 커피수용용기의 각 영역에 수용되는 더치커피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수용용기설정모듈과, 상기 추출하우징의 각 영역에 수용된 물질의 반복 추출횟수 및 커피수용용기 각 영역에 수용된 더치커피의 순환횟수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반복횟수설정모듈과, 추출 및 순환되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시간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tting unit includes a storage substance setting module for setting information on a substance accommodated in each area of the extraction housing, and the A receiving container setting module that sets information on Dutch coffee accommodated in each area of the coffee container, and the number of repetitive extractions of the substance accommodated in each area of the brewing housing and the number of circulation of Dutch coffee accommodated in each area of the coffee contain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petition count setting module for setting the information, and a time setting module for setting information on the extraction and circulation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설정부는 상기 원수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원수의 양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원수량설정모듈과, 상기 추출하우징의 각 영역에 수용되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소재량설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시간설정모듈은 원수량 및 소재량에 따라 추출 및 순환되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tting unit includes a raw water quantity setting module for sett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raw water supplied by the raw water supply unit, and the Includes a material quantity setting module for setting information on the quantity of substances accommodated in each area of the extraction housing, and the time setting module automatically sets information on extraction and circulation time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raw water and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백년초, 석창포, 환삼덩굴, 레드비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unit comprises one or more functional material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eknyeoncho, Seokchangpo, Hwansam vine, and Red Beet.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to be described below with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커피분말과 기능성 물질을 분리된 공간에 수용하도록 하여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더치커피의 효과적인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각 커피분말과 기능성 물질이 수용된 소재저장용기를 탈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더치커피의 용이한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ffective extraction of Dutch coffee containing functional ingredients by accommodating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material in a separate space, and allows each coffee powder and material storage container containing the functional material to be detachably combined. There is an effect that makes it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Dutch coffee containing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본 발명은 각 소재저장용기의 분리 및 삽입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easy and stable separation and insertion of each material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각 소재저장용기를 상하로 분할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추출하고자 하는 커피 분말 및 기능성 물질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커피 분말 및 기능성 물질이 압축된 상태에서 소재저장용기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each material storage container to be divided up and down so that the capacity of the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material to be extracted can be adjusted, while the coffee powder and the functional material can be stored in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in a compressed state.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extraction efficiency.

본 발명은 추출하우징의 각 영역과 커피수용용기의 각 영역에 대한 추출수 및 더치커피의 공급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성분의 더치커피를 용이하게 제조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and discharge Dutch coffee of various components by separately supplying extracted water and Dutch coffee to each region of the extraction housing and each region of the coffee container.

본 발명은 커피수용용기의 각 영역에 수용된 더치커피를 추출부로 재순환시키고 추출하우징의 각 영역에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재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성분의 더치커피 추출이 가능하고 추출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circulates the Dutch coffee accommodated in each area of the coffee container to the extraction unit and individually supplies it to each area of the extraction housing so that re-extraction is perform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xtract Dutch coffee of various ingredients and shorten the extraction time. There is an effect.

본 발명은 각 영역에 수용된 커피분말 또는 기능성 물질의 종류와 반복횟수 등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고 신속한 기능성 더치커피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convenient and rapid extraction of functional Dutch coffee by automatically extracting by setting the type and number of repetitions of coffee powder or functional substance accommodated in each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추출하우징 내부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추출하우징의 단면도
도 4는 소재저장용기의 정단면도
도 5는 소재저장용기의 측단면도
도 6은 소재저장용기의 평면도
도 7은 소재저장용기의 저면도
도 8은 혼합판의 평면도
도 9는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9의 작동설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도 9의 작동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의 제조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의 제조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side of the extraction housing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traction housing cut along line AA of FIG. 2
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6 is a plan view of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7 is a bottom view of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is a plan view of a mixing plate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setting unit of FIG. 9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of FIG. 9
12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더치커피'란 분쇄한 원두를 물에 장시간 우려내 맛과 풍미를 느낄 수 있게 하는 콜드브루(Cold Brew) 커피를 의미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and other components are not ex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also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 unit" and "... module"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Dutch coffee" refers to cold brew coffee that allows the pulverized coffee beans to be brewed in water for a long time to feel the taste and flav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를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더치커피 제조장치는 더치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원수공급부(1)와; 커피분말 및 기능성 물질을 수용하며, 원수공급부(1)에 의해 공급되는 물에 의해 더치커피 및 기능성 성분이 추출되는 추출부(2)와; 상기 추출부(2)에 의해 추출된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더치커피를 수용하는 수용부(3)와; 상기 수용부(3)에 수용된 더치커피를 추출부(2)로 순환시켜 반복적인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복추출부(4)와; 더치커피 제조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13, th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s a raw water supply unit (1) for supplying water for extracting Dutch coffee; An extraction unit 2 for accommodating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substances, and extracting Dutch coffee and functional ingredients by water supplied by the raw water supply unit 1; An accommodating part (3) for accommodating the Dutch coffee containing the functional ingredient extracted by the extraction part (2); A repetitive extraction unit 4 for circulating the Dutch coffe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3 to the extraction unit 2 so that repetitive extraction is performed; It includes; a control unit 5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제조장치는 더치커피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커피의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더치커피에 포함시켜 추출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커피분말 및 기능성 물질을 수용하는 추출부(2)가 복수개로 구획되어 각각 커피분말 및 다양한 기능성 물질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추출부(2)는 탈착식으로 형성되어 추출하고자 하는 커피분말 및 다양한 기능성 물질들을 필요에 따라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더치커피를 쉽게 제조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추출부(2)는 커피분말 및 기능성 물질들이 수용되는 각 영역을 상하 방향으로도 구획하여 각각에 소재저장용기(22)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커피분말 및 기능성 물질들의 필요한 양에 따라 소재저장용기(22)에 압착시켜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능성 물질 등의 효과적인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xtraction of Dutch coffee by including various functional substances capable of supplementing the side effects of coffee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Dutch coffee, and in particular, an extraction unit for accommodating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substances. (2)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to accommodate coffee powder and various functional substance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extraction unit 2 is formed in a detachable manner so that the coffee powder and various functional substances to be extracted can be replaced and used as necessary, so that various Dutch coffees can be easily manufactured. In addition, the extraction unit 2 divides each region in which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substances are accommodated in an up-down direction so that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can be inserted into each region, thereby allowing the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substances to be stored. By compressing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according to the required amount so that extraction is performed, effective extraction of functional substances, etc. can be achieved.

또한, 상기 더치커피 제조장치는 상온에서의 추출이 이루어지는 특성에 따라 추출 시간이 오래 걸리고 기능성 물질로부터 다양한 기능성 성분의 추출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추출된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더치커피를 추출부(2)로 반복 순환시켜 기능성 성분의 효과적인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더치커피의 추출 시간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더치커피 제조장치는 추출부(2) 및 수용부(3)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각 영역에 추출수 및 더치커피가 공급, 수용됨에 따라 각 영역을 별개로 순환시키도록 하여 원하는 형태 및 함량의 더치커피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추출과정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편리하고 신속한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takes a long extraction tim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and it is difficult to extract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from a functional substance, and extracts Dutch coffee containing the extracted functional ingredients. ), so that effective extraction of functional ingredients can be achieved and the extraction time of Dutch coffee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in the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the extraction unit 2 and the receiving unit 3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so that each area is separately circulated as the extracted water and Dutch coffee are supplied and received in each area. The form and content of Dutch coffee can be easily and quickly prepared, and this extraction process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so that more convenient and rapid production can be achieved.

상기 원수공급부(1)는 상기 추출부(2)에 물을 공급하여 더치커피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추출부(2)의 상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온 또는 그 이하 온도의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The raw water supply unit 1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extraction unit 2 to extract Dutch coffee, and can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traction unit 2, and water at room temperature or lower temperature Let this be supplied.

상기 추출부(2)는 커피분말 및 기능성 물질을 수용하며, 원수공급부(1)에 의해 공급되는 물에 의해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반복추출부(4)에 의한 더치커피의 순환시에는 순환되는 더치커피에 의한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추출부(2)로 공급되는 물 또는 더치커피를 추출수로 통칭하여 기재하도록 한다. 상기 추출부(2)는 일정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각 영역에 커피분말 및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각각 수용되도록 하며, 각 영역에 추출수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각각의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각 영역에는 커피분말 및 다양한 기능성 물질의 수용 및 교체가 탈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추출부(2)는 추출하우징(21), 소재저장용기(22), 추출수공급관(2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xtraction unit 2 accommodates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substances, and is configured to extract Dutch coffee containing functional ingredients by water supplied by the raw water supply unit 1, by the repetitive extraction unit 4 When the Dutch coffee is circulated, extraction by circulating Dutch coffee may be performed. Hereinafter, water or Dutch coffee supplied to the extraction unit 2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xtraction water. The extraction unit 2 divides a certain space into a plurality of regions so that coffee powder and various functional substances are respectively accommodated in each region, and each region is individually supplied with extraction water so that each extraction can be performed, In each area, coffee powder and various functional substances can be accommodated and replaced by a detachable method. To this end, the extraction unit 2 may include an extraction housing 21, a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and an extraction water supply pipe 23.

상기 추출하우징(21)은 커피분말 및 기능성 성분이 추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소재저장용기(22)가 탈착식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추출하우징(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각 영역에 커피분말 또는 다양한 기능성 물질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영역은 상하 방향으로도 구획되어 각 영역에 소재저장용기(22)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추출하우징(21)은 다양한 단면의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사각 단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추출하우징(21)은 커피분말 및 기능성 물질이 수용부(3)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추출하우징(21)은 구획벽(211), 분할지지턱(212), 필터(2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raction housing 21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in which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ingredients are extracted, and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is detachably inserted. The extraction housing 2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s shown in FIG. 3 to accommodate coffee powder or various functional substances in each area, and each area is also di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tore material in each area. Each container 22 can be inserted. The extraction housing 2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various cross-sections, but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rectangular cross-section is taken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extraction housing 21 prevents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substances from leaking to the receiving portion 3. To this end, the extraction housing 21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211, a split support jaw 212, and a filter 213.

상기 구획벽(211)은 추출하우징(21) 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성으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 방향의 구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211)은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일 예로 2개로 형성되어 3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벽(211)에 의해 구획되는 각 영역은 커피분말이 수용되는 커피분말 수용영역(211a)과 기능성물질 수용영역(211b)으로 구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추출하우징(21)의 중앙부를 커피분말 수용영역(211a)으로 하고 양측을 기능성물질 수용영역(211b)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partition wall 211 is configured to partition the interior of the extraction housing 21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may be formed in an up-down direction to form a horizontal partition. The partition walls 211 may be formed in various numbers, but as an example, the partition walls 211 may be formed into two and divided into three regions. In addition, each area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211 may be divided into a coffee powder receiving area 211a and a functional material receiving area 211b in which coffee powder is accommodated. For example, the extraction housing 21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ffee powder receiving area 211a and both sides may be set as the functional material receiving area 211b,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t in various forms.

상기 분할지지턱(212)은 상기 구획벽(211)에 의해 구획된 각 영역을 상하 방향으로 다시 분할하는 구성으로, 상하 방향의 각 영역에 소재저장용기(22)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분할지지턱(212)에 의해 분할되는 상하 방향의 각 영역은 서로 연통되어 각 소재저장용기(22)를 통과하는 추출수가 아래로 흘러 수용부(3)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분할지지턱(212)은 추출하우징(21) 내의 각 영역 내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영역의 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분할지지턱(212)에 소재저장용기(22)가 지지되어 삽입된다. 상기 분할지지턱(212)은 각 영역에 수용되는 커피분말 또는 기능성 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각 영역의 상하 방향을 분할하여 복수의 소재저장용기(22)를 통해 양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은 커피분말 또는 기능성 물질이 압착된 상태에서 소재저장용기(22)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추출수에 의한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각 영역에 수용되는 커피분말 또는 기능성 물질의 양은 소재저장용기(22)의 개수로 조절되며, 각 소재저장용기(22)는 항상 커피분말 등이 가득찬 상태에서 압착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divided support jaws 212 are configured to divide each region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 21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llow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s 22 to be respectively inserted into each reg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each reg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divided by the divided support jaws 212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xtracted water passing through each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flows downward and is discharged to the receiving part 3. Therefore, the divided support jaw 212 may be formed to protrude a certain length inside each region in the extraction housing 21, and as shown in FIG. 3, the divided support jaw 212 may be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ree surfaces of each region. In addition,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is supported and inserted into the divided support jaws 212. The divided support jaw 212 is to adjust the amount of coffee powder or functional material accommodated in each region, and the amount is adjusted through a plurality of material storage containers 22 by dividing the vertical direction of each region. This is to increase the extraction efficiency by the extraction water by allowing the coffee powder or functional material to be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in a compressed state. Therefore, the amount of coffee powder or functional material accommodated in each area is controlled by the number of material storage containers 22, and each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is always compressed and accommodated in a state full of coffee powder or the like. .

상기 필터(213)는 상기 추출하우징(21)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어 각 영역에 수용된 커피분말 및 기능성 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커피분말 및 기능성 물질로부터 추출되는 더치커피 또는 추출수만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ilter 213 is formed under the inside of the extraction housing 21 to block outflow of coffee powders and functional substances accommodated in each region, and only Dutch coffee or extracted water extracted from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substances Make it passable.

상기 소재저장용기(22)는 추출되는 소재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커피분말 또는 기능성 물질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재저장용기(22)는 상기 구획벽(211)에 의해 구획된 각 영역별로 커피분말 또는 기능성 물질의 종류가 지정되어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분할지지턱(21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각 영역에 개별적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소재저장용기(22)는 구획벽(211)에 의해 구획된 각 영역에 대해서는 동일한 종류의 커피분말 또는 기능성 물질이 수용되고, 각 커피분말 등의 용량에 따라 분할지지턱(212)에 의해 구획되는 각 영역에 소재저장용기(22)를 채울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소재저장용기(22)는 커피분말 등의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삽입되며, 추출할 용량에 따라 추출하우징(21)에 삽입되는 개수가 조절되고, 바람직하게는 추출하우징(21)의 하측부터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재저장용기(22)는 상하로 분할된 각 영역에 분할지지턱(212)에 지지된 상태에서 삽입되며, 커피분말을 저장하는 커피분말저장용기(22a)와 기능성 물질을 저장하는 기능성소재저장용기(22b)를 포함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출하우징(21)의 중앙측에 커피분말저장용기(22a)를 양측에 기능성소재저장용기(22b)를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is configured to store the material to be extracted, and may accommodate coffee powder or a functional material.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may be configured to store a coffee powder or a functional substance by designating a type of coffee powder or functional material for each area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211, and as described above, by the partition support jaws 212 It is inserted individually into each area di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accommodates the same type of coffee powder or functional material for each area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211, and is divided into the supporting jaws 212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each coffee powder.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can be filled in each area divided by the. At this time,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is inserted in a state filled with coffee powder, etc., and the number of inserted into the extraction housing 21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apacity to be extracted, and is preferably fill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extraction housing 21. Can be done.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is inserted in each area divided up and down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divided support jaws 212, and a coffee powder storage container 22a for storing coffee powder and a functional material storage for storing functional materials It may include a container (22b), as described above, the coffee powder storage container (22a) on the center side of the extraction housing (21) and the functional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b) can be inserted on both sides.

상기 커피분말저장용기(22a)는 커피 분말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분쇄된 커피 원두를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기능성소재저장용기(22b)는 커피의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백년초, 석창포, 환삼덩굴, 레드비트 등의 기능성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백년초는 손바닥선인장으로 불리는 제주 천연자원으로 피부개선, 항산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피부개선, 소화 작용 등의 효과가 있는 약재이며, 환삼덩굴은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피부질환개선, 고혈압 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레드비트는 명아주과에 속하는 식물로 제주도 등 기후가 따뜻한 지역에서 재배되고 항노화, 소화작용, 고혈압 및 폐질환 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기능성소재저장용기(22b)는 그 밖에 커피의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수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성 물질로부터 다양한 기능성 성분들을 추출하여 더치커피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기능성 물질들로부터의 효과적인 추출을 위해 더치커피의 반복 순환이 가능하도록 하며, 추출수에 열을 공급하여 기능성 성분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커피분말저장용기(22a) 및 기능성소재저장용기(22b)는 수용되는 소재의 종류만이 상이할 뿐 그 구성은 동일하므로, 소재저장용기(22)로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The coffee powder storage container 22a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coffee powder and stores ground coffee beans. In addition, the functional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b may store various functional materials capable of supplementing the side effects of coffee, and may contain one or more of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Baeknyeoncho, Seokchangpo, Hwansam vine, and red beet. . Here, Baeknyeoncho is a natural resource from Jeju called palm cactus, which is known to have effects such as skin improvement and antioxidant, and is a medicinal material that has effects such as skin improvement and digestion, and Hwansam vine is a vine-like annual herb that improves skin diseases and hypertension. It is known to have an effect such as improvement, and red beet is a plant belonging to the Myungaaceae family, and is cultivated in warm climates such as Jeju Island, and is known to have anti-aging, digestive, hypertension, and pulmonary effects. The functional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b may accommodate various functional materials capable of supplementing the side effects of coffee in addition, and extracts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from these functional materials to be included in Dutch coffe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repeated circulation of Dutch coffee for effective extraction from such functional substances, and heat may be supplied to the extracted water to allow extraction of functional ingredients. Since the coffee powder storage container 22a and the functional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b differ only in the type of material to be accommodated, but the configuration thereof is the same, it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상기 소재저장용기(22)는 분할지지턱(212)에 지지되어 분할지지턱(212)에 의해 분할되는 상하 방향의 각 영역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각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 예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재저장용기(22)는 커피분말 또는 기능성 물질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삽입된 상태에서는 추출수가 복수의 소재저장용기(22)를 통과하여 수용부(3)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소재저장용기(22)는 추출수입출공(221), 차단판(222), 가이드단(22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is supported by the divided support jaws 212 and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area in order to be inserted into each area in the vertical direction divided by the divided support jaws 212. 4 to 7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addition,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stably accommodates and inserts coffee powder or functional material, and in the inserted state, the extracted water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material storage containers 22 and is discharged to the receiving part 3 To be able to be. To this end,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may include an extraction/import/exit hole 221, a blocking plate 222, and a guide end 223.

상기 추출수입출공(221)는 소재저장용기(22)의 상단 및 바닥의 일정 영역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추출수가 통과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추출수가 상하로 복수개 삽입되는 소재저장용기(22)를 관통하여 수용부(3)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추출수입출공(221)은 추출하우징(21)으로부터의 분리시 바닥에 차단판(222)이 삽입되어 소재저장용기(22)에 수용된 커피분말 또는 기능성 물질이 바닥의 추출수입출공(221)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The extraction/import/exit hole 221 is formed to pass through a certain area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so that the extraction water passes, and the extraction water passes through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into which a plurality of extracted water is inserted vertically. To be able to be discharged to the receiving portion (3). In addition, in the extraction/import/exit hole 221, a blocking plate 222 is inserted into the bottom when separating from the extraction housing 21, so that coffee powder or functional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is extracted/imported/extracted from the bottom. ) To prevent spillage.

상기 차단판(222)은 소재저장용기(22)의 바닥에 삽입되어 추출수입출공(221)을 통한 커피분말 등의 유출을 막도록 하는 구성으로, 소재저장용기(22)를 추출하우징(21)으로부터 분리시킬 때는 소재저장용기(22)에 삽입되도록 하고, 추출하우징(21)에 삽입된 후에는 소재저장용기(22)로부터 제거하여 추출수입출공(221)을 통한 추출수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단판(222)은 상기 가이드단(223)에 삽입되어 입출될 수 있도록 한다. The blocking plate 222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to prevent leakage of coffee powder, etc. through the extraction/import/exit hole 221, and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is extracted from the housing 21 When separating from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it is inserted into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an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extraction housing 21, it is removed from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so that the extraction water can pass through the extraction import/export hole 221. . To this end, the blocking plate 222 is inserted into the guide end 223 so that it can be entered and exited.

상기 가이드단(223)은 소재저장용기(22)의 바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차단판(222)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소재저장용기(22) 바닥의 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단(223)은 일정 깊이 함입되는 수용홈(223a)을 형성하여 차단판(22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가이드단(223)이 형성되지 않는 측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차단판(222)의 삽입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차단판(222)은 가이드단(223)의 수용홈(223a)에 삽입되어 소재저장용기(22)에 커피분말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추출하우징(21)에 삽입한 후 가이드단(223)의 개방된 측을 통해 차단판(222)을 분리시켜 추출수가 추출수입출공(221)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The guide end 223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bottom of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to guide the blocking plate 222, and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ree surfaces of the bottom of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The guide end 223 forms a receiving groove 223a that is recessed to a certain depth so that the blocking plate 222 can be inserted, and the guide end 223 is opened to the side where the guide end 223 is not formed so that the blocking plate 222 is Allows insertion and separation to take place. Therefore, the blocking plate 222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23a of the guide end 223 so as to accommodate coffee powder, etc. in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and inserted into the extraction housing 21 and then guided. The blocking plate 222 is separated through the open side of the stage 223 so that the extracted water can pass through the extraction import/export hole 221.

상기 추출수공급관(23)은 상기 소재저장용기(22)에 물 또는 순환되는 더치커피의 추출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구획벽(211)에 의해 구획되는 각 영역에 추출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추출수공급관(2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조절밸브(231), 공급노즐(232), 공급조절밸브(23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xtracted water supply pipe 23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or the extracted water of circulating Dutch coffee to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so that the extracted water can be supplied to each area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211. do. To this end, the extraction water supply pipe 23 may include an inflow control valve 231, a supply nozzle 232, and a supply control valve 233, as shown in FIG. 1.

상기 유입조절밸브(231)는 상기 추출부(2)에 대한 추출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원수공급부(1) 및 반복추출부(4)의 후술할 커피배출관(41)과 연결되어 추출부(2)로 유입되는 추출수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유입조절밸브(231)는 추출부(2)로 원수인 물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커피수용용기(32)의 각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더치커피 중 어느 하나가 추출부(2)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The inflow control valve 231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inflow of the extraction water to the extraction unit 2, and is connected to the coffee discharge pipe 41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raw water supply unit 1 and the repetitive extraction unit 4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upply of the extraction water flowing into the extraction unit (2). Therefore, the inflow control valve 231 is such that water, which is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extraction unit 2 or any one of the Dutch coffee discharged from each region of the coffee container 32 is supplied to the extraction unit 2. can do.

상기 공급노즐(232)은 유입조절밸브(231)를 통과한 추출수가 구획벽(211)에 의해 구획된 추출하우징(21)의 각 영역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각 영역의 개수에 맞추어 복수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노즐(232)은 추출하고자 하는 물질에 따라 해당 물질이 수용된 영역의 소재저장용기(22)에 추출수를 공급하도록 하며, 공급노즐(232) 상에는 공급조절밸브(233)가 형성되어 각 소재저장용기(22)에 대한 추출수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노즐(232) 상에는 추출수에 열을 공급하는 히팅모듈(232a)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히팅모듈(232a)은 전기의 공급에 따라 발열되는 소재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추출수에 열을 공급하여 추출수의 온도를 높이도록 하고, 이를 통해 기능성 성분의 추출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supply nozzle 232 is configured to supply the extract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flow control valve 231 to each region of the extraction housing 21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211, in a plural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each region. Can be formed. Accordingly, the supply nozzle 232 supplies the extraction water to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in the area in which the material is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o be extracted, and the supply control valve 233 is formed on the supply nozzle 23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upply of extracted water to each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In addition, a heating module 232a for supplying heat to the extracted water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on the supply nozzle 232. The heating module (232a) can be made to use a material that generates heat according to the supply of electricity, an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extracted water by supplying heat to the extracted water, thereby making the extraction of functional ingredients more effective. I can.

사기 공급조절밸브(233)는 각 공급노즐(232)에 형성되어 각 공급노즐(232)을 통과하는 추출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추출수의 공급 속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히팅모듈(232a)에 의한 열의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추출수가 공급노즐(232)에 머무는 시간을 연장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The fraudulent supply control valve 233 is formed in each supply nozzle 232 to control the supply of extraction water passing through each supply nozzle 232, and can adjust the supply speed of the extraction water, and the heating It is also possible to extend the time the extraction water stays in the supply nozzle 232 so that heat is sufficiently supplied by the module 232a.

상기 수용부(3)는 상기 추출부(2)로부터 추출되는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더치커피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추출하우징(21)과 같이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 영역이 개별적으로 더치커피를 수용하고 추출부(2)로의 반복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3)는 수용된 더치커피를 회전시켜 더치커피에 남아있는 커피분말, 기능성 물질의 추가적인 용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용부(3)는 커피추출관(31), 커피수용용기(32), 혼합수단(3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ccommodating unit 3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Dutch coffee containing the functional ingredient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unit 2, an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such as the extraction housing 21, so that each area is individually supplied with Dutch coffee. And allow repeated circulation to the extraction unit 2. 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art 3 may rotate the accommodated Dutch coffee to further dissolve the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substances remaining in the Dutch coffee. To this end, the receiving part 3 may include a coffee extracting pipe 31, a coffee receiving container 32, and a mixing means 33.

상기 커피추출관(31)은 상기 추출부(2)의 추출하우징(21)의 하단과 연결되어 추출부(2)로부터 추출되는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더치커피를 커피수용용기(32)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커피수용용기(32) 각각에 더치커피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피추출관(31)은 복수의 추출노즐(311) 및 추출조절밸브(3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ffee extraction pipe 31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xtraction housing 21 of the extraction unit 2 to supply Dutch coffee containing the functional ingredient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unit 2 to the coffee container 32. In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Dutch coffee to each of the coffee container 32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To this end, the coffee extraction pipe 31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traction nozzles 311 and an extraction control valve 312.

상기 추출노즐(311)은 커피수용용기(32)의 각 영역에 더치커피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영역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추출노즐(311) 상에는 추출조절밸브(312)가 형성되어 공급이 조절된다. The extraction nozzle 311 is configured to supply Dutch coffee to each region of the coffee container 32, and may be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regions, and an extraction control valve 312 on the extraction nozzle 311 Is formed and the supply is regulated.

상기 추출조절밸브(312)는 각 추출노즐(311)을 통과하는 더치커피의 공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추출부(2)에 추출수가 머무는 시간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으며, 커피수용용기(32)의 각 영역에 더치커피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각 더치커피에 대한 개별적인 반복 순환 및 추출 또는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extraction control valve 312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supply of Dutch coffee passing through each of the extraction nozzles 311,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ime the extraction water stays in the extraction unit 2, and the coffee receiving container 32 It is possible to individually supply Dutch coffee to each area of the table so that individual repeated circulation and extraction or dispensing of each Dutch coffee can be made.

상기 커피수용용기(32)는 추출부(2)로부터 추출된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더치커피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단면의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벽(321)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다. 상기 수용벽(321)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 방향의 영역을 형성하도록 하며, 일 예로 3개의 영역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용벽(321)에 의해 분할된 각 영역은 각각 개별적으로 반복추출부(4)가 형성되며, 반복추출부(4)의 후술할 커피배출관(41)이 연결되어 각 영역의 더치커피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추출부(2)로 반복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The coffee container 32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Dutch coffee containing functional ingredients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unit 2,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various cross-sections, and on the receiving wall 32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The receiving wall 321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form an area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s an example, three areas may be formed. Each region divided by the receiving wall 321 is individually formed with a repeat extraction unit 4, and a coffee discharge pipe 4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f the repeat extraction unit 4 is connected, so that the Dutch coffee in each region is external. To be discharged to or to be repeatedly circulated to the extraction unit (2).

상기 혼합수단(33)은 커피수용용기(32)에 저장된 더치커피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수용벽(321)에 의해 분할되는 각 영역에 개별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혼합수단(33)은 더치커피의 고른 회전과 커피분말 및 기능성 물질의 효율적인 용해를 위해 바닥에 혼합판(332)을 형성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혼합수단(33)은 바닥판(331), 혼합판(332), 구동모터(333), 지지축(33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ixing means 33 is configured to rotate the Dutch coffee stored in the coffee container 32, and may be formed individually in each area divided by the receiving wall 321. In addition, the mixing means 33 may rotate by forming a mixing plate 332 on the bottom for even rotation of Dutch coffee and efficient dissolution of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materials. To this end, the mixing means 33 may include a bottom plate 331, a mixing plate 332, a driving motor 333, and a support shaft 334.

상기 바닥판(331)은 상기 커피수용용기(32)의 바닥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바닥판(331)의 상측에는 혼합판(332)이 형성되어 회전하며, 혼합판(332)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바닥판(331)의 내부에는 혼합판(332)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33)와 이와 연결되는 지지축(334)이 형성되도록 한다. The bottom plate 331 is configured to form the bottom of the coffee container 32, and a mixing plate 33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late 331 to rotate, and the mixing plate 332 can be rotated. A drive motor 333 for rotating the mixing plate 332 and a support shaft 334 connected thereto are formed in the bottom plate 331 so as to be formed.

상기 혼합판(332)은 상기 바닥판(331)의 상측에 형성되어 커피수용용기(32) 내의 더치커피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추출된 더치커피 내에 남아있는 커피분말, 기능성 물질을 용해시키도록 한다. 상기 혼합판(332)은 그 중심에 지지축(334)이 결합되어 지지축(334)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축(334)은 구동모터(333)에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혼합판(332)은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는 일정 간격의 돌출부(332a)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mixing plate 33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late 331 to rotate the Dutch coffee in the coffee container 32, so that the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substances remaining in the extracted Dutch coffee are dissolved. . The mixing plate 332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support shaft 334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rotation of the support shaft 334, and the support shaft 334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333 to rotate. Do it. As an example, the mixing plate 33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illustrated in FIG. 8, and protrusions 332a at predetermined interval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상기 돌출부(332a)는 상기 혼합판(332)의 상측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커피수용용기(32)에 저장된 커피의 효율적인 회전을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물결 모양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돌출부(332a)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측으로 돌출되는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332a is formed to protrude at a certain height above the mixing plate 332, and is spaced apart at a certain interval as shown in FIG. 8 for efficient rotation of the coffee stored in the coffee container 32. It can be formed to have a shape. However, the protrusion 332a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and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shapes protruding upward.

상기 구동모터(333)는 상기 혼합판(332)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바닥판(33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축(334)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The driving motor 333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power to rotate the mixing plate 332 and may be formed to be accommodated in the bottom plate 331 and rotate the support shaft 334.

상기 지지축(334)은 상기 구동모터(333)와 혼합판(332)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혼합판(332)의 중심에 결합되어 구동모터(333)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한다. The support shaft 334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driving motor 333 and the mixing plate 332 and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mixing plate 332 to ro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333.

상기 반복추출부(4)는 커피수용용기(32)에 저장되는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더치커피를 추출부(2)로 순환시켜 재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커피수용용기(32)의 각 영역에 수용된 더치커피를 개별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반복추출부(4)는 수용벽(321)에 의해 분할되는 커피수용용기(32) 내 영역의 개수만큼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3개의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3개의 반복추출부(4)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복추출부(4)는 커피수용용기(32) 내에 저장된 더치커피를 추출부(2)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추출부(2)에 대한 재순환과 외부로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반복추출부(4)는 커피배출관(41), 배출조절밸브(42), 순환펌프(4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petitive extraction unit 4 is configured to circulate Dutch coffee containing functional ingredients stored in the coffee container 32 to the extraction unit 2 to be re-extracted, and each of the coffee container 32 The Dutch coffee accommodated in the area can be individually circulated. Therefore, the repetitive extraction unit 4 may be formed as many as the number of regions within the coffee container 32 divided by the receiving wall 321, and as an example, three regions are formed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so, it can be formed so that the three repetitive extraction portion (4) in response to this. The repetitive extraction unit 4 may supply the Dutch coffee stored in the coffee container 32 to the extraction unit 2, and recirculation to the extraction unit 2 and discharge to the outside can be controlled. To this end, the repetitive extraction unit 4 may include a coffee discharge pipe 41, a discharge control valve 42, and a circulation pump 43.

상기 커피배출관(41)은 커피수용용기(32)와 추출부(2)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커피수용용기(32)의 각 영역과 추출수공급관(23)의 유입조절밸브(231)를 연결하도록 한다. 따라서, 커피배출관(41)은 커피수용용기(32)의 각 영역으로부터 더치커피를 추출부(2)로 순환시킬 수 있으며, 유입조절밸브(231)에 의해 추출부(2)로의 유입이 조절된다. 또한, 커피배출관(41) 상에는 배출조절밸브(42)가 형성되어 추출부(2)로 순환시키거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순환펌프(43)에 의해 더치커피가 순환되는 동력이 제공되도록 한다. The coffee discharge pipe 41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coffee receiving container 32 and the extraction unit 2, and more precisely, the inflow control valve 231 of each region of the coffee receiving container 32 and the extraction water supply pipe 23 ) To connect. Accordingly, the coffee discharge pipe 41 can circulate Dutch coffee from each region of the coffee receiving container 32 to the extraction unit 2, and the inflow to the extraction unit 2 is controlled by the inflow control valve 231. . In addition, a discharge control valve 42 is formed on the coffee discharge pipe 41 so that circulating to the extraction unit 2 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can be controlled, and the power to circulate Dutch coffee by the circulation pump 43 is To be provided.

상기 배출조절밸브(42)는 커피배출관(41) 상에 형성되어 커피수용용기(32)의 각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더치커피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추출부(2)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The discharge control valve 42 is formed on the coffee discharge pipe 41 so that the Dutch coffee discharged from each region of the coffee receiving container 32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r circulated to the extraction unit 2.

상기 순환펌프(43)는 커피배출관(41) 상에 형성되어 커피배출관(41)을 통해 더치커피를 순환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유입조절밸브(231)로 커피수용용기(32) 각 영역의 더치커피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The circulation pump 43 is formed on the coffee discharge pipe 41 to provide power to circulate Dutch coffee through the coffee discharge pipe 41, and each region of the coffee receiving container 32 with an inlet control valve 231 So that Dutch coffee can be supplied.

상기 제어부(5)는 더치커피 제조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수동으로의 조작, 원격에서의 조작도 물론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설정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추출하우징(21)의 각 영역에 저장되는 소재의 종류 및 양, 상기 커피수용용기(32)의 각 영역에 저장되는 더치커피의 종류, 추출의 반복횟수, 각 추출시간, 추출수에 대한 히팅 여부 등을 설정하여 이에 따른 자동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여기서 추출시간은 원수의 공급량, 추출하우징(21)에 수용되는 각 소재의 양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는 이렇게 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유입조절밸브(231), 공급조절밸브(233), 추출조절밸브(312), 배출조절밸브(42), 구동모터(333), 순환펌프(43) 등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5)는 작동설정부(51), 작동조절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of course, manual operation and remote operation are possible, and preferably, i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set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5 includes the type and amount of material stored in each area of the extraction housing 21, the type of Dutch coffee stored in each area of the coffee container 32,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extraction, and each extraction time. , It is possible to set whether or not to heat the extracted water so that the automatic opera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ly, and the extraction time can be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the supply amount of raw water and the amount of each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extraction housing 21. hav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 is the inflow control valve 231, the supply control valve 233, the extraction control valve 312, the discharge control valve 42, the drive motor 333, the circulation pump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et in this way. (43)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amp.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5 may include an operation setting unit 51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52.

상기 작동설정부(51)는 더치커피 제조장치의 자동 작동을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저장물질설정모듈(511), 수용용기설정모듈(512), 반복횟수설정모듈(513), 시간설정모듈(514), 히팅설정모듈(515), 원수량설정모듈(516), 소재량설정모듈(51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on setting unit 51 is configured to set information for automatic operation of the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includes a storage substance setting module 511, a container setting module 512, a repetition frequency setting module 513, and a time setting. A module 514, a heating setting module 515, a raw water quantity setting module 516, and a material quantity setting module 517 may be included.

상기 저장물질설정모듈(511)은 상기 추출하우징(21)의 각 영역에 수용되는 소재의 종류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커피분말, 기능성 물질의 종류에 관한 정보가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물질설정모듈(511)은 각 영역에 대해 저장된 정보에 따라 각 영역의 물질에 대한 추출횟수와 시간 등이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torage material setting module 511 is configured to set the type of material accommodated in each area of the extraction housing 21, and may set information on the type of coffee powder or functional material. Accordingly, the storage substance setting module 511 may set the number of extraction times and times for the substances in each reg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tored for each region.

상기 수용용기설정모듈(512)은 상기 추출부(2)를 통과하는 더치커피가 저장되는 커피수용용기(32)의 각 영역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각 단계에서 추출부(2)를 통과하는 더치커피가 커피수용용기(32)의 어느 영역에 저장될 지를 설정하고, 해당 영역에 대한 재순환과 배출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The receiving container setting module 512 is configured to set information on each area of the coffee container 32 in which the Dutch coffee passing through the extraction unit 2 is stored, and is extracted at each step of extracting the Dutch coffee. It is set in which area of the coffee container 32 the Dutch coffee passing through the unit 2 is to be stored, and recirculation and discharging of the area can be controlled.

상기 반복횟수설정모듈(513)은 추출하우징(21)의 각 영역에 수용된 커피분말 또는 기능성 물질에 대해 각각의 반복횟수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설정된 횟수에 따라 각 영역으로 더치커피가 반복 순환되어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repetition frequency setting module 513 is configured to set the number of repetitions for each region of coffee powder or functional material accommodated in each region of the extraction housing 21, and the Dutch coffee is repeatedly circulated and extracted to each region according to the set number of times. Let this happen.

상기 시간설정모듈(514)은 더치커피 추출의 각 단계에서 추출이 이루어지는 시간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추출하고자 하는 더치커피의 성분, 양에 따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원수공급부(1)에 의해 공급되는 원수의 양, 소재저장용기(22)에 저장되는 각 영역의 소재의 양에 따라 자동으로 시간이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시간설정모듈(514)은 더치커피 추출의 각 단계에서 원수가 커피분말 또는 기능성물질을 통과하는 시간, 순환되는 더치커피가 각 커피분말 또는 기능성물질을 통과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조작 없이도 더치커피의 제조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time setting module 514 is configured to set the time at which extraction takes place in each step of the extraction of Dutch coffee, and can be freely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component and amount of the Dutch coffee to be extracted, or the raw water supply unit 1 The time may be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the amount of raw water supplied by) and the amount of material in each area stored in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Therefore, the time setting module 514 allows you to set the time for the raw water to pass through the coffee powder or functional material, and the time for the circulating Dutch coffee to pass through each coffee powder or functional material in each step of the extraction of Dutch coffee. The production of Dutch coffee can be made easily and quickly without manipulation.

상기 히팅설정모듈(515)은 상기 히팅모듈(232a)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더치커피의 추출 중 히팅모듈(232a)의 작동이 필요한 단계에 대해 그 시간과 정도에 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The heating setting module 515 is configured to set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odule 232a,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time and degree of the step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odule 232a is required during extraction of Dutch coffee. To be able to set it.

상기 원수량설정모듈(516)은 상기 원수공급부(1)에 의해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설정모듈(514)에 의한 추출시간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The raw water amount setting module 516 can se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by the raw water supply unit 1, and the extraction time by the time setting module 514 can be automatically set.

상기 소재량설정모듈(517)은 상기 추출하우징(21)의 각 영역,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소재저장용기(22)에 수용되어 각 영역에 삽입되는 커피분말, 기능성 물질 등의 양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원수공급량과 소재의 양에 따라 추출에 필요한 시간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The material amount setting module 517 sets information on each area of the extraction housing 21, more precisely, the amount of coffee powder, functional material, etc.,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 and inserted into each area. With this configuration, the time required for extraction can be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the amount of raw water supply and the amount of material.

상기 작동조절부(52)는 상기 더치커피 제조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작동설정부(51)에 의해 설정된 정보에 따라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물론 수동으로 버튼 등에 의해 작동을 조절하거나 원격에서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작동조절부(52)는 유입밸브조절모듈(521), 공급밸브조절모듈(522), 추출밸브조절모듈(523), 배출밸브조절모듈(524), 구동모터조절모듈(525), 순환펌프조절모듈(52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on control unit 52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can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et by the operation setting unit 51, and of course, the operation is manually operated by a button or the like. It can be adjusted or remotely controll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52 includes an inlet valve control module 521, a supply valve control module 522, an extraction valve control module 523, a discharge valve control module 524, a drive motor control module 525, and a circulation pump. It may include an adjustment module 526.

상기 유입밸브조절모듈(521)은 상기 유입조절밸브(231)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원수공급부(1)로부터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로 하거나, 커피수용용기(32)의 각 영역과 연결되는 커피배출관(41) 중 하나로부터 더치커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밸브조절모듈(521)은 작동설정부(51)에 의해 설정된 커피수용용기(32)의 각 영역에 수용된 더치커피의 반복횟수,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inlet valve control module 521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let control valve 231, so that water is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1 or connected to each region of the coffee container 32. Dutch coffee may be supplied from one of the coffee discharge pipes 41. The inlet valve control module 521 may be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repetition frequency and time of the Dutch coffee accommodated in each region of the coffee container 32 set by the operation setting unit 51.

상기 공급밸브조절모듈(522)은 상기 공급조절밸브(233)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추출하우징(21)의 각 영역에 대한 추출수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공급밸브조절모듈(522)은 반복횟수에 따라 해당 단계에서 추출되어야 하는 소재에 따라 커피분말 또는 기능성 물질로 추출수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supply valve control module 522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pply control valve 233 and controls the supply of extracted water to each region of the extraction housing 21. Accordingly, the supply valve control module 522 enables the supply of extraction water with coffee powder or functional material according to the material to be extracted in the corresponding step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ons.

상기 추출밸브조절모듈(523)은 상기 추출조절밸브(312)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추출부(2)를 통과하는 더치커피가 수용되어야 할 커피수용용기(32)의 영역에 따라 작동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으며, 추출시간에 따라 추출수가 추출하우징(21)에 머무는 시간을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extraction valve control module 523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xtraction control valve 312,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region of the coffee container 32 in which the Dutch coffee passing through the extraction unit 2 is to be accommodated. It may be adjusted, and depending on the extraction time, the time of staying in the extraction housing 21 may be adjusted.

상기 배출밸브조절모듈(524)은 상기 배출조절밸브(42)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커피수용용기(32)의 각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더치커피의 순환 또는 배출을 조절하도록 한다. The discharge valve control module 524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control valve 42 and controls the circulation or discharge of Dutch coffee discharged from each region of the coffee container 32.

상기 구동모터조절모듈(525)을 상기 구동모터(333)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커피수용용기(32)의 각 영역에 더치커피가 수용될 때 구동모터(333)를 작동시켜 커피수용용기(32)에 수용된 더치커피의 회전 및 용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driving motor control module 525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333, and when the Dutch coffee is accommodated in each region of the coffee container 32, the driving motor 333 is operated to operate the coffee container. Allows the rotation and dissolution of the Dutch coffee contained in (32).

상기 순환펌프조절모듈(526)은 상기 순환펌프(43)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더치커피의 순환이 이루어질 때 작동시켜 커피수용용기(32)의 더치커피가 추출부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The circulation pump control module 526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43, and operates when the Dutch coffee is circulated so that the Dutch coffee in the coffee receiving container 32 can be circulated to the extrac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제조장치의 작동에 관해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추출하우징(21)의 각 영역(①②③)에 기능성 물질 1, 커피분말, 기능성 물질 2가 수용되고 커피분말(②)에 대한 추출은 5회, 기능성 물질 1(①)은 10회, 기능성 물질 2(③)의 추출은 20회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정하는 경우,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소재에 대한 추출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먼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커피분말(②)을 거쳐 커피수용용기(32)의 영역 중 하나(④)에 수용되고, 해당 영역(④)에 수용된 커피는 추출부(2)로 순환되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물질 1(①)을 거쳐 커피수용용기(32)의 영역 중 하나(⑤)에 수용되도록 하며, 다시 추출부(2)로 순환되어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물질 2(③)를 거쳐 커피수용용기(32)의 영역(⑥)에 수용되도록 하고, 이러한 과정을 먼저 5회 거치며 그 다음부터는 커피분말(②)에 대한 추출 없이 기능성 물질 1,2(①③)만 순차적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다시 5회가 반복된 후 나머지 10번은 기능성 물질 2(③)만 10회 반복되어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2 to 13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al material 1,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material 2 are accommodated in each area (①②③) of the extraction housing 21, and coffee When it is set that the extraction of the powder (②) is performed 5 times, the functional material 1 (①) is 10 times, and the extraction of the functional material 2 (③) is set to be 20 times, first, as shown in FIG. The extraction can be made sequentially. First, as shown in Fig. 12(a), the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1 passes through the coffee powder (②) and is received in one of the areas (④) of the coffee container 32, and the corresponding area (④) The coffee contained in the coffee is circulated to the extraction unit 2 to be accommodated in one (⑤) of the areas of the coffee container 32 through the functional material 1 (①) as shown in FIG. 12(b), and extracted again. As shown in Fig. 12(c), it is circulated to the part 2 so that it is accommodated in the area (⑥) of the coffee container 32 through the functional material 2(③), and this process is first passed 5 times, and then From now on, only functional substances 1,2 (①③) are sequentially extracted without extraction of coffee powder (②), and after 5 times are repeated, only functional substances 2 (③) are extracted 10 times. I can.

한편, 상기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하우징(21)에 수용된 각 소재에 대한 추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추출 효율은 다소 떨어질 수 있으나 신속한 추출이 가능해진다. 각 소재의 위치와 반복횟수는 도 12와 동일하며, 먼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공급부(1)로부터 공급된 물이 추출하우징(21)의 모든 영역(①②③)에 나누어 공급되고, 추출되는 더치커피는 커피수용용기(32)의 영역(④⑤⑥)에 나누어 수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5회의 반복까지는 이러한 과정이 반복된다. 그리고 6회의 반복부터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분말(②)을 제외한 기능성 물질 1,2(①③) 영역에 동시에 순환되는 더치커피가 공급되어 추출이 이루어지며, 추출된 더치커피는 커피수용용기(32)의 ④,⑥ 영역에 나뉘어 저장되도록 하고 10회까지 같은 과정이 반복된다. 그리고 11회부터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물질 2(③)에만 더치커피가 순환되어 추출되며, 마지막 커피수용용기(⑥)에 저장된 커피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3, the Dutc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may extract each material contained in the extraction housing 21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the extraction efficiency may be slightly lowered, but rapid extraction becomes possible. The location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each material are the same as in Fig. 12, and first, as shown in Fig. 13(a), the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1 is divided and supplied to all areas (①②③) of the extraction housing 21. , The extracted Dutch coffee can be divided and accommodated in the area (④⑤⑥) of the coffee container 32, and this process is repeated until 5 times of repetition. And from the sixth repetition, as shown in Fig. 13(b), Dutch coffee circulating at the same time is supplied to the areas of functional materials 1,2 (①③) excluding coffee powder (②) to be extracted, and the extracted Dutch coffee is The coffee container 32 is divided into areas ④ and ⑥ to be stored, and the same process is repeated up to 10 times. And from the 11th, as shown in Fig. 13(c), Dutch coffee is circulated and extracted only with the functional material 2(③), and the coffee stored in the last coffee container (⑥)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따라서, 본 발명은 추출하우징(21)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커피수용용기(32)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 개별적으로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원하는 성분과 함량의 기능성 더치커피를 자유롭게 제조할 수 있고, 반복횟수에 따라 커피수용용기(32)에 수용되는 더치커피를 배출시켜 성분을 확인하고 최적의 반복횟수와 시간에 관한 조건을 찾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housing 2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the coffee container 32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so that each individual circulation can be performed, thereby freely manufacturing functional Dutch coffees of desired ingredients and contents. It can be done, an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ons, the Dutch coffee accommodated in the coffee container 32 can be discharged to check the ingredients and find the optimal repetition frequency and time conditions.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the applicant has 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uch embodiments are only one embodiment embody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t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1: 원수공급부
2: 추출부
21: 추출하우징 211: 구획벽 211a: 커피분말 수용영역
211b: 기능성물질 수용영역 212: 분할지지턱 213: 필터
22: 소재저장용기 22a: 커피분말저장용기 22b: 기능성소재저장용기
221: 추출수입출공 222: 차단판 223: 가이드단 223a: 수용홈
23: 추출수공급관 231: 유입조절밸브 232: 공급노즐
232a: 히팅모듈 233: 공급조절밸브
3: 수용부
31: 커피추출관 311: 추출노즐 312: 추출조절밸브
32: 커피수용용기 321: 수용벽
33: 혼합수단 331: 바닥판 332: 혼합판
332a: 돌출부 333: 구동모터 334: 지지축
4: 반복추출부
41: 커피배출관 42: 배출조절밸브 43: 순환펌프
5: 제어부
51: 작동설정부 52: 작동조절부
1: raw water supply
2: extraction section
21: extraction housing 211: partition wall 211a: coffee powder receiving area
211b: functional material receiving area 212: divided support jaws 213: filter
22: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a: coffee powder storage container 22b: functional material storage container
221: extraction import/exit hole 222: blocking plate 223: guide end 223a: receiving groove
23: extraction water supply pipe 231: inlet control valve 232: supply nozzle
232a: heating module 233: supply control valve
3: Receptacle
31: coffee extraction pipe 311: extraction nozzle 312: extraction control valve
32: coffee container 321: receiving wall
33: mixing means 331: bottom plate 332: mixing plate
332a: protrusion 333: drive motor 334: support shaft
4: Repeat extraction unit
41: coffee discharge pipe 42: discharge control valve 43: circulation pump
5: control unit
51: operation setting unit 52: operation control unit

Claims (14)

더치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원수공급부와;
커피분말 및 기능성 물질을 수용하며, 원수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물에 의해 더치커피 및 기능성 성분이 추출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더치커피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는,
더치커피 및 기능성 성분이 추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추출하우징과; 상기 추출하우징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며, 커피분말 및 기능성 물질을 각각 분리하여 수용하는 소재저장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A raw water supply unit supplying water for extracting Dutch coffee;
An extraction unit that accommodates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substances, and extracts Dutch coffee and functional ingredients by water supplied by the raw water supply unit;
Including; a receiving unit for accommodating the Dutch coffee containing the functional ingredient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The extraction unit,
An extraction housing forming a space in which Dutch coffee and functional ingredients are extracted;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a material storage contain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xtraction housing and separates and accommodates coffee powder and functional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우징은
추출하우징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추출하우징 내부의 영역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고,
상기 소재저장용기는 상기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각 영역에 탈착식으로 삽입되어 커피분말 또는 기능성 물질을 수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on housing
It includes a partition wall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extraction hous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partitioning a plurality of regions inside the extraction housing,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is detachably inserted into each area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to accommodate coffee powder or a functional substan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우징은
상기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각 영역에서 내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각 영역을 상하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지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소재저장용기는 분할지지턱에 의해 분할되는 각 영역에 개별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분할지지턱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xtraction housing
It includes a divided support jaw protruding inwar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each region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to divide each region in a vertical direction,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is individually inserted into each region divided by the divided support jaws and is supported by the divided support jaw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저장용기는
상부 및 바닥의 일정 영역을 관통하여 더치커피 또는 기능성 성분을 추출하는 추출수가 통과되는 추출수입출공과;
소재저장용기의 바닥에 삽입되어 수용된 물질의 유출을 차단하고, 추출하우징으로의 삽입 후 제거되는 차단판과;
소재저장용기 바닥에 형성되어 차단판이 삽입되는 가이드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An extraction import and export hole through which extraction water for extracting Dutch coffee or functional ingredients passes through a predetermined area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 blocking plate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to block outflow of the received material, and remov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extraction housing;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guide end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into which the blocking plate is insert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단은
소재저장용기 바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차단판이 삽입되는 수용홈을 가지며, 소재저장용기를 추출하우징에 삽입 후 차단판을 제거할 수 있도록 추출하우징의 외측을 향해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uide end
It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of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and has a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blocking plate is inserted, and is formed to open one side toward the outside of the extraction housing so that the blocking plate can be removed after inserting the material storage container into the extraction housing.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추출하우징의 각 영역에 더치커피 또는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수를 공급하는 추출수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수공급관은,
각 영역으로 추출수를 공급하는 공급노즐과, 각 공급노즐에 형성되어 각 공급노즐을 통한 추출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공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xtraction unit
And an extraction water supply pipe supplying extraction water for extracting Dutch coffee or a functional substance to each region of the extraction housing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The extracted water supply pip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supply nozzle for supplying extracted water to each region, and a supply control valve formed in each supply nozzle to control the supply of extraction water through each supply nozz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노즐은
공급노즐을 통과하는 추출수에 열을 공급하는 히팅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upply nozzl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heating module for supplying heat to the extrac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supply nozz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되는 기능성 물질이 포함된 더치커피를 수용하는 커피수용용기와, 상기 추출부를 통과한 기능성 물질이 포함된 더치커피를 커피수용용기에 공급하는 커피추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커피수용용기는 커피수용용기 내의 영역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수용벽을 포함하며,
상기 커피추출관은,
상기 수용벽에 의해 구획된 각 영역으로 더치커피를 공급하는 추출노즐과, 각 추출노즐에 형성되어 추출노즐을 통한 더치커피의 공급을 조절하는 추출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A coffee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Dutch coffee containing the functional material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unit, and a coffee extraction tube for supplying the Dutch coffee containing the functional materi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xtraction unit to the coffee container,
The coffee receiving container includes a receiving wall partitioning a plurality of regions within the coffee container,
The coffee extraction tub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traction nozzle for supplying Dutch coffee to each area partitioned by the receiving wall, and an extraction control valve formed in each extraction nozzle to control the supply of Dutch coffee through the extraction nozzle. Manufacturing equipmen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더치커피 제조장치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더치커피를 추출부로 순환시켜 반복적인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복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추출부는,
상기 커피수용용기의 각 영역과 연결되어 수용된 더치커피를 배출하며, 상기 추출부와 연결되는 커피배출관과, 상기 커피배출관 상에 형성되어 더치커피의 반복 추출 또는 외부로의 배출을 조절하는 배출조절밸브와, 상기 추출부로 더치커피를 공급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It includes a repetitive extraction unit for repetitive extraction by circulating the Dutch coffe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to the extraction unit,
The repetitive extraction unit,
A discharge control valve connected to each area of the coffee receiving container to discharge the received Dutch coffee, a coffe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extraction unit, and a discharge control valve formed on the coffee discharge pipe to control repeated extraction of Dutch coffee or discharge to the outside And, a remov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circulation pump for providing power to supply the Dutch coffee to the extraction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수공급관은
상기 커피수용용기의 각 영역과 연결되는 커피배출관 및 원수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추출부에 대한 더치커피 또는 원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유입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xtraction water supply pip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coffe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each region of the coffee receiving container and an inflow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raw water supply unit to control the inflow of Dutch coffee or raw water to the extraction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더치커피 제조장치는
더치커피 제조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더치커피 제조장치의 작동정보를 설정하는 작동설정부와, 설정된 작동정보에 따라 더치커피 제조장치를 작동시키는 작동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The control unit,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n opera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t operation informa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설정부는
상기 추출하우징의 각 영역에 수용되는 물질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저장물질설정모듈과, 상기 커피수용용기의 각 영역에 수용되는 더치커피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수용용기설정모듈과, 상기 추출하우징의 각 영역에 수용된 물질의 반복 추출횟수 및 커피수용용기 각 영역에 수용된 더치커피의 순환횟수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반복횟수설정모듈과, 추출 및 순환되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시간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peration setting unit
A storage material setting module for setting information on a substance accommodated in each region of the extraction housing, a receiving container setting module for setting information on Dutch coffee accommodated in each region of the coffee container, and It includes a repetition frequency setting module that set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of repetitive extraction of substances contained in each area and the number of circulation of Dutch coffee accommodated in each area of the coffee container, and a time setting module that sets information on the extraction and circulation time.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설정부는
상기 원수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원수의 양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원수량설정모듈과, 상기 추출하우징의 각 영역에 수용되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소재량설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시간설정모듈은 원수량 및 소재량에 따라 추출 및 순환되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operation setting unit
A raw water quantity setting module for sett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raw water supplied by the raw water supply unit, and a material quantity setting module for setting information on the quantity of substances accommodated in each area of the extraction housing,
The time setting module is a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o automatically set information on the extraction and circulation time according to the amount of raw water and the amount of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백년초, 석창포, 환삼덩굴, 레드비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on unit
Detachable functional Dutch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functional material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eknyeoncho, Seokchangpo, Hwansam vine, and red beet.
KR1020190110558A 2019-09-06 2019-09-06 A Detachab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unctional Dutch Coffee KR1022921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558A KR102292112B1 (en) 2019-09-06 2019-09-06 A Detachab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unctional Dutch Coffe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558A KR102292112B1 (en) 2019-09-06 2019-09-06 A Detachab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unctional Dutch Coff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397A true KR20210029397A (en) 2021-03-16
KR102292112B1 KR102292112B1 (en) 2021-08-20

Family

ID=7522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558A KR102292112B1 (en) 2019-09-06 2019-09-06 A Detachab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unctional Dutch Coffe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11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022A (en) * 1996-01-19 1997-07-29 Enomoto Koichi Coffee percolator
KR20140034642A (en) * 2012-09-12 2014-03-20 문창현 An extraction device having partition plates and an extrating method using same
KR101915031B1 (en) * 2018-07-20 2018-11-06 주식회사 케이앤지원컴퍼니 Method for producing functional dutch coffee for relieving woman menopausal symptoms using Punica granatum fruit and Pueraria lobata root extracts
KR101996012B1 (en) * 2017-11-30 2019-07-03 (주)위드오 A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022A (en) * 1996-01-19 1997-07-29 Enomoto Koichi Coffee percolator
KR20140034642A (en) * 2012-09-12 2014-03-20 문창현 An extraction device having partition plates and an extrating method using same
KR101996012B1 (en) * 2017-11-30 2019-07-03 (주)위드오 A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KR101915031B1 (en) * 2018-07-20 2018-11-06 주식회사 케이앤지원컴퍼니 Method for producing functional dutch coffee for relieving woman menopausal symptoms using Punica granatum fruit and Pueraria lobata root extr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112B1 (en)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2854B2 (en) Apparatus and products for producing beverag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EP3708644A1 (en) Beer production apparatus
US20100162898A1 (en) Brewing unit of a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s
EP3153028A1 (en)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hot or cold liquid and semi-liquid products
WO2008155056A2 (en) Drinks preparation device
KR101612040B1 (en) Automatic coffee brewing apparatus
RU2610405C2 (en) Method and system for beverage preparation
US10524608B2 (en) Beverage brewing process
EP3406540A1 (en) Accommodating apparatus and beer production apparatus comprising same
JP2014524811A (en) Beverage production method and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KR101711850B1 (en) Dutc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WO20050845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using a liquid with a flavoring or a scent
KR20210029397A (en) A Detachab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unctional Dutch Coffee
US113441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d brewing beverages
KR200469512Y1 (en) Coffee basket for drip coffee
KR101996012B1 (en) A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WO2022093627A1 (en) Extraction cell
KR20150109706A (en) Dutch coffee mass-making machine and coffee brewing tool used thereto
US103906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Dutch coffee
KR101464987B1 (en) Installation for extracting dutch coffee
CN103298353B (en) For the method and apparatus of the batching of infusion in a solvent
CN107072431A (en) With the less horizontal through-flow system for making hot beverage and the method for making hot beverage
KR101852000B1 (en) Include Multi Distributor That Dutc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US20230345961A1 (en) Extraction cell
RU148409U1 (en) COMBINED WATER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