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811A - Server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gathering and online checkup - Google Patents

Server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gathering and online check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811A
KR20210025811A KR1020190105613A KR20190105613A KR20210025811A KR 20210025811 A KR20210025811 A KR 20210025811A KR 1020190105613 A KR1020190105613 A KR 1020190105613A KR 20190105613 A KR20190105613 A KR 20190105613A KR 20210025811 A KR20210025811 A KR 20210025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health care
user terminal
information
car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6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7367B1 (en
Inventor
민경일
최광일
홍성수
송지영
최인식
Original Assignee
(주)이노맥스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맥스글로벌 filed Critical (주)이노맥스글로벌
Priority to KR1020190105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367B1/en
Publication of KR20210025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8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3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ng and online checkup.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ng and online checkup comprises: a non-member management unit which receives an input of medical checkup information including gender, date of birth, height, weight, and a drinking period from a user terminal, provides medical checkup result information, and recommends at least one health supplement product stored in response to at least one keyword included in the health checkup result information; a member management unit which receives an input of result data of a DTC genetic test, intake management of a health supplement product based on pre-stored member information, and a diet from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s blood pressure and blood sugar management using calorie and nutritional management, and input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 obtained by comparing the input with reference nutritional information stored to correspond to the pre-stored weight, age, gender, and height; and a shopping mall service unit which transmits a description of a nutritional supplement being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result data of the DTC genetic test and a product recommended based on the result data to the user terminal and conducting a delivery process when the user terminal completes the purchase and pay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lth checkup result information can be accurately created.

Description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SERVER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GATHERING AND ONLINE CHECKUP}Server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GATHERING AND ONLINE CHECKUP}

본 발명은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 생체정보와 문진을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 사용자의 건강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for providing a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questionnaire, and provides a platform that helps users to improve their health habits in daily life by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an online questionnaire.

최근 전 세계적으로 평균 기대 수명 증가와 함께 개인의 건강, 질병에 대한 관심 및 인식이 점차 확산 되고 있다. 개인이 병원에 가서 받는 진료 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에서나 개인이 적극적으로 건강 관리를 할 수 있는 자가 의료 부분 U-Health 산업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U-Health care는 생체 정보 모니터링 기술, 일상생활 모니터링 기술, 응용서비스 기술 분야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최근 스마트 단말의 발전으로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되기 시작하였고, 심장 박동 측정의 생체 정보 모니터링 기술을 기반으로 사람의 신체에서 나오는 신호를 획득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하거나 전송하기 위한 기술로까지 발전하였다. 심박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와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임베디드 시스템,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장치로 구성된 헬스 케어 플랫폼이 더욱 다양한 분야에 확산되어 가고 있다. Recently, with an increase in life expectancy worldwide, interest and awareness of individuals' health and diseases are gradually spreading. The U-Health industry is gradually emerging in the self-medicating sector where individuals can actively manage their health anytime, anywhere, as well as the medical treatment that an individual receives by going to a hospital. In general, U-Health care can be classified into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technology, daily life monitoring technology, and application service technology.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smart terminals, sensors capable of measuring heart rate have begun to be installed, and heart rate measurement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technology, it has developed into a technology for acquiring signals from a human body, converting them into digital signals, and storing or transmitting them. Healthcare platforms consisting of sensors that measure not only heart rate but also various vital signs, embedded systems that store digital data, personal computers, smartphones, and wearable devices are spreading to more diverse fields.

이때, 건강진단, 건강보조제품 추천, 및 온라인 제품 구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2-0010293호(2002년02월04일 공개)에는, 고객으로부터 다양한 헬스케어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헬스케어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헬스케어 관련 정보를 추출하고 계층적으로 제공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의료 정보의 검색, 진단, 진료 예약, 각종 제품에 대한 비교 평가 정보, 전문 의료 기관의 경영에 필요한 정보, 온라인 거래를 지원할 수 있는 구성과, 질의응답으로 기본건강검진을 실시하고 의약품, 건강 식품 및 의료 기기 등의 물품에 대한 비교 평가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은 관련 물품을 구매 결정을 쉽게 할 수 있고, 제조 회사는 마케팅 정보로 이용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method of comprehensively providing health checkups, health care product recommendations, and online product purchases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10293 (published on February 4, 2002), which is a prior art,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 In order to receive various healthcare-related information from customers and provide healthcare services in a comprehensive manner, medical information search, diagnosis, treatment reservation, various applications are used to extract healthcare-related information and provide hierarchical information. Comparative evaluation information on products, information necessary for management of specialized medical institutions, configurations that can support online transactions, basic health check-ups through question and answer, and comparative evaluation data on items such as pharmaceuticals, health foods, and medical devices are provided. By providing, a configuration is disclosed in which a customer can easily make a purchase decision for a related article, and a manufacturing company can use it as marketing information.

다만, 상술한 방법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건강을 측정할 수 있는 정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입력을 한다고 할지라도 검사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한 정확한 정보가 아니므로 잘못된 입력 데이터로 오류가 발생된 검사 결과 및 이에 대응하는 건강제품추천이 이어질 위험이 존재한다. 그리고, 신체정보 외에도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복합적으로 서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각 요인을 다각화하여 분석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상술한 방법은 단순한 데이터 입출력식의 진단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일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진다. 이에, 건강에 영향을 주는 복합다양한 요소들을 함께 측정 및 입력받아 정확한 진단을 수행하고, 이에 기반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even if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used, information that can measure health is limited, so even if the user directly inputs it, it is not accurate unless the test result exists. There is a risk that results and corresponding health product recommendations will be followed. In addition, since elements affecting health in addition to body information influence each other in a complex manner, it is required to analyze each factor by diversifying it. Lower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method of performing an accurate diagnosis by receiving a combination of a variety of complex factors affecting health and inputting it, and providing an additional service based on th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동 정보, 식사 정보, 및 신체 정보 뿐만 아니라 맥박, 혈당, 혈압 등의 생체 정보를 포함하여 다각적인 요소를 진단에 사용함으로써 정확한 문진결과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 검사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각종 질병이나 위험 요소를 알려줄 수 있으며, 복약지도 뿐만 아니라 영양제의 섭취횟수와 잔여개수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각종 데이터를 차트 또는 그래프를 포함한 시각화를 실시함으로써 시간 도메인에서 생체 정보의 변화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스마트 단말에 포함된 센서 뿐 아니라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얻은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번거롭게 매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기록되도록 하는,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various factors including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pulse, blood sugar, and blood pressure, as well as exercise information, meal information, and body information, an accurate medical examination result can be generated. By using the DTC (direct-to-consumer) genetic test result, various diseases or risk factors can be informed, and convenience is maximized by automatically providing a purchase interface by comparing the number of intakes and the remaining number of nutritional supplements as well as medication guidance. By visualizing various data including charts or graphs, an intuitive interface is provided so that changes in biometric information in the time domain can be checked at a glance, and biometric information obtained from a wearable device as well as a sensor included in a smart terminal is u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questionnaire that allows users to automatically record even if they do not enter it on a daily basis.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성별, 생년월일, 신장, 체중 및 음주주기를 포함한 문진정보를 입력받아 건강검진결과 정보를 제공하고, 건강검진결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기 대응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건강보조제품을 추천하는 비회원 관리부,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 검사의 결과 데이터와 기 저장된 회원정보를 기반으로 건강보조제품의 복용관리,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단을 입력받고 기 저장된 체중, 나이, 성별, 및 키에 대응되도록 저장된 기준 영양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기반한 칼로리 및 영양 관리, 및 입력된 생체정보에 기반한 혈압과 혈당관리를 수행하는 회원 관리부, 및 DTC 유전자 검사의 결과 데이터와 연계하여 복용중인 영양제에 대한 설명과,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추천된 제품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구매 및 결제를 완료한 경우 배송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쇼핑몰 서비스부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health examination result information by receiving interview information including gender, date of birth, height, weight, and drinking cycle from a user terminal, and A non-member management unit that recommends at least one health care product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at least one keyword included in the result information, and a health supplement product based on the result data of the direct-to-consumer (DTC) genetic test and the previously stored member information. Management, management of calories and nutrition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son with standard nutrition information stored to correspond to pre-stored weight, age, sex, and height after receiving a diet from the user terminal, and blood pressure and blood sugar management based on input biometric information The member management unit performing the DTC genetic test, and the description of the nutritional supplement being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result data of the DTC genetic test, and the recommended product based on the result data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purchase and payment are completed at the user terminal, delivery It includes a shopping mall service unit that performs the process.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운동 정보, 식사 정보, 및 신체 정보 뿐만 아니라 맥박, 혈당, 혈압 등의 생체 정보를 포함하여 다각적인 요소를 진단에 사용함으로써 정확한 문진결과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 검사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각종 질병이나 위험 요소를 알려줄 수 있으며, 복약지도 뿐만 아니라 영양제의 섭취횟수와 잔여개수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각종 데이터를 차트 또는 그래프를 포함한 시각화를 실시함으로써 시간 도메인에서 생체 정보의 변화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스마트 단말에 포함된 센서 뿐 아니라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얻은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번거롭게 매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기록되도록 한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 examination results are generated by using various factors including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pulse, blood sugar, and blood pressure as well as exercise information, meal information, and body information for diagnosis. In addition, by using the DTC (direct-to-consumer) genetic test result, various diseases or risk factors can be informed, and a purchase interface is provided automatically by comparing the number of intakes and the remaining number of nutritional supplements as well as medication guidance. By maximizing convenience and visualizing various data including charts or graphs, an intuitive interface is provided so that changes in biometric information in the time domain can be checked at a glance, and not only from sensors included in smart terminals, but also from wearable devices. By using the obtained biometric information, it is automatically recorded without the user having to input it every da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inter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interview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llect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providing a health care service using an online inter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any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specific to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used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ssist, accurate or absolute numerical values are used to prevent unreasonable use of the stated disclosure by unscrupulous infringers.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ep (to)" or "step of"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by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piece of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i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s mapping or matching the unique number of the terminal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which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inter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questionnaire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t may include (400). However, since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 us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questionnaire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at least on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400 may be connected to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RF,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nd Long Term (LTE). Evolution) network, 5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 Personal Area Network (PAN),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the singular number and the plural number, and even if the term'at least one'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the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the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at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the singular or plural.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생활정보, 식사정보, 건강정보 및 생체정보를 입력하고, 이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문진 질의에 응답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건강보조제품을 추천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건강보조제품 투약 정보를 기록하고, 잔여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 동일 제품 또는 유사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기록된 정보를 시각화된 그래프 또는 차트로 시간 도메인 상에서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웨어러블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자동으로 기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DTC 유전자 검사 신청을 한 경우, 이에 대응하는 검사 결과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고, 건강검진 데이터를 촬영 또는 텍스트로 입력하는 경우, 분석 결과를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회원 또는 비회원으로 분류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정보를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저장하는지의 여부 및 이에 따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의 정책적인 차이에 불과하므로 이를 통칭하여 사용하기로 한다.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nputs life information, meal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and biometric information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interview, It may be a terminal that outputs a result corresponding thereto.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responds to at least one questionnaire and outputs the result, and may be a terminal for recommending a corresponding health care product.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records administration information of health care products and outputs an interface for purchasing the same or similar products when the remaining number is less than a preset number.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outputs the recorded information as a visualized graph or chart in the time domain.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automatically records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wearable device (not shown).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outputs a test result corresponding to the DTC genetic test application, and if the health check data is photographed or input as text, the analysis result is health care care. It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and outputs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t this tim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lassified as a member or a non-member, but there is a policy difference between whether the user's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whether or not the service can be received accordingly. As it is only, it will be used collectively.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may be included.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회원 등록을 받거나, 회원 등록을 받지 않아도 문진에 응답을 하는 경우 기본적인 문진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DTC 유전자 검사를 신청한 경우, 그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한 정보와 더불어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웨어러블 단말로부터 생체정보가 수집된 경우, 이를 기 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록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 데이터도 역시 기 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도록 자동기록시키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페이지와 연동하여 제품의 구매 프로세스가 진행되도록 설정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복약 체크, 식사 체크, 혈당 또는 혈압 체크를 하는 경우, 이를 시간에 동기화되도록 기록하고, 시간 도메인을 따라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health care service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questionnaire. In addition,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ransmits a basic questionnaire result to the user terminal 100 when receiving member registration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or responding to a questionnaire without receiving membership registration. It could be a server. In addition,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applying for a DTC genetic test in the user terminal 100, collects the result from at least on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400 and inputs it in the user terminal 100. It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health information along with information. And,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the wearable terminal,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ntrols to record it in the user terminal 100 to correspond to a preset item, and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100 Sensing data detected by the sensor may also be a server that automatically records to correspond to a preset item. In addition,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configured to perform a product purchase process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shopping mall page. 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100 performs a medication check, meal check, blood sugar or blood pressure check,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ords this to be synchronized with time, and visually outputs data along the time domain. It can be a server that makes it possible.

여기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는,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유전자 검사 연구소의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는, 사용자의 검사 결과를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400 may be a server of a genetic testing laboratory using a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related to a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interview.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400 may be a server that transmits the user's test result to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at least on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S. 3 and 4 are health care car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inter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ervice is implemented.

도 2를 참조하면,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비회원 관리부(310), 회원 관리부(320), 쇼핑몰 서비스부(330), 건강 관리부(340), 분석 시각화부(350), 건강검진 분석부(360), 및 자녀 관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non-member management unit 310, a member management unit 320, a shopping mall service unit 330, a health management unit 340, an analysis visualization unit 350, and health care. A checkup analysis unit 360 and a child management unit 370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로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는,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the at least on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400 When transmitting a health car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using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interview,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400 collects biometric information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or open a health car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In addition, a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400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you to use the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which means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described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etc. In addition, the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on the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 phone).

도 2를 참조하면, 비회원 관리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성별, 생년월일, 신장, 체중 및 음주주기를 포함한 문진정보를 입력받아 건강검진결과 정보를 제공하고, 건강검진결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기 대응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건강보조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성별이나 생년월일 등의 정보 외에도 보건복지부, 및 질병관리본부에서 제시한 의료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문진표 내의 질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데, 매뉴얼은 매년 업데이트될 수 있고, 상술한 항목도 고정된 필드가 아닌 유동 필드로 업데이트 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평가, 음주평가, 신체활동 평가, 영양 평가, 비만평가, 우울증 평가, 인지기능장애 평가, 노인기능평가, 심뇌혈관 질환 위험평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상술한 의료 정보들은 개인정보보호법상 1급에 해당하는 고유식별정보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동의가 없는 한 타 의료시설과 공유되어서는 안된다. 다만, 사용자가 편의를 위하여 이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용도와 목적에 맞게 공유할 수는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2, the non-member management unit 310 receives interview information including gender, date of birth, height, weight, and drinking cycle from the user terminal 100, provides health check-up result information, and includes it in the health check-up resul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recommend at least one health care product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at least one keyword. At this time, in addition to information such as gender and date of birth, query data in the questionnaire included in the medical guidelines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an be used.The manual can be updated every year, and the above-described items also have fixed fields. It can be set to reflect updates as a non-fluid field. For example, smoking evaluation, alcohol evaluation, physical activity evaluation, nutritional evaluation, obesity evaluation, depression evaluation, cognitive dysfunction evaluation, elderly function evaluatio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risk evaluation, etc. may further inclu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t this time, since the above-described medical information i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Level 1 und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t should not be shared with other medical facilities without the consent of the user. However, if a user wishes to share it for convenience,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shar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purpose.

회원관리부(320)는,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 검사의 결과 데이터와 기 저장된 회원정보를 기반으로 건강보조제품의 복용관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식단을 입력받고 기 저장된 체중, 나이, 성별, 및 키에 대응되도록 저장된 기준 영양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기반한 칼로리 및 영양 관리, 및 입력된 생체정보에 기반한 혈압과 혈당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유전자 검사 결과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직접 받을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정보를 보유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할 수도 있다. 그리고, 혈당 관리도 사용자 단말(100)에서 직접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서 촬영한 혈당 수치표 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된 측정장비로부터 수치 데이터를 수집 및 자동입력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혈당 뿐만 아니라 혈압이나 심박수 등 측정장비로부터 얻어야 하는 데이터들은 모두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으로 자동입력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The member management unit 320, based on the result data of the direct-to-consumer (DTC) genetic test and the previously stored member information, manages the dose of health supplements, receives the diet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receives the previously stored weight and age. , It is possible to perform calorie and nutrition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stored reference nutritional information to correspond to the sex, and height, and blood pressure and blood sugar management based on the input biometric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genetic test result data may be directly received from at least on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400, or may be col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when the information is held in the user terminal 100. In addition, blood sugar management may also be directly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or may be input by a method of analyzing a blood sugar value tabl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like. Alternatively, it may be performed by a method of collecting and automatically inputting numerical data from measurement equipment interlocked with the user terminal 100. All data to be obtained from measuring equipment such as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as well as blood sugar, may be automatically inputted in conjunc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0 or a method manually inputted by the user may be used.

이때, DNA에는 건강과 관련된 수많은 정보와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유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인체로부터 나온 물질이기 때문에 인체유래물 중 하나로서 생명윤리및 안전에 관한 법률(약칭: 생명윤리법)에 규정되고 있다. DNA에는 생물학적으로 의미없는 부분(junk DNA)도 있고, 특정한 단백질을 만드는 정보가 담긴 부분도 있는데 이 특정 단백질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부위를 유전자라고 하고, 유전자는 DNA에서 유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부분이다. 유전정보(genetic information)는 전체 단백질과 전체 RNA의 구조를 결정하여 세포나 조직의 구성 성분이 순서대로 생성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하고 생물체의 활동을 결정하며, 특유의 개성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이다. 유전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상 민감정보로서 개인정보처리자가 처리해서는 안 되는 엄격한 정보로 분류된다(개인정보보호법 제23조 제1항12)). 유전정보는 한 사람의 건강, 생물학적 특성까지 매우 내밀하고 사적인정보이고 혈족 관계를 추정할 수 있게 하는 정보이다. 미래에 발현될 수 있는 질병의 위험가능성까지 예측할 수 있는 미래정보이고, 예측성 유전자 검사의 경우에는 다양한 유전자들과의 상관관계, 식습관, 생활습관, 환경 등 다양하고도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현하는 질병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정확성, 불확실성과 위험성에 대해 논란이 있긴 하지만, 잠재적으로 질병의 발생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요청이 된 경우에만 이를 분석할 수 있고, 분석의 결과는 요청한 사용자에게만 공유하며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법에 의거 처리될 수 있다.At this time, DNA contains a number of health-related information and genetic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individuals. Since it is a substance from the human body, it is regulated in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abbreviation: the Bioethics Act) as one of the human-derived materials. There are biologically meaningless parts (junk DNA) in DNA, and parts that contain information that makes a specific protein. The part that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is specific protein is called a gene, and the gene is the part that stores genetic information in DNA. to be. Genetic information i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determining the structure of the entire protein and total RNA, programming the cell or tissue components to be sequentially generated, determining the activity of an organism, and determining its unique personality. Genetic information is sensitive information und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is classified as strict information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 should not process (Article 23, Paragraph 1, 12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Genetic information is very intimate and private information to a person's health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s information that allows the estimation of blood relatives. It is future information that can predict the possibility of the risk of a disease that can be expressed in the future, and in the case of predictive genetic testing, diseases expressed by various and complex factors such as correlation with various genes, eating habits, lifestyle, environment, etc. Although controversial about the accuracy, uncertainty and risk of predicting the likelihood of a disease due to the nature of the disease, it can potentially be a means of estimating the likelihood of a disease occurring. Therefore, it can be analyzed only when requested by the user,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shared only with the requesting user, and can be processed in accordance with related laws such as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회원관리부(320)는, 식단을 입력받을 때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를 구동시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에 대응하는 음식 객체를 분석하여 식단을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매번 음식을 수동으로 기록해야 하므로 지속적으로 기록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에, 기록이 누락되거나 검색 리스트에 먹은 음식이 없는 경우, 정확한 섭취 칼로리 예측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수동입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미지 기반으로 섭취할 음식의 칼로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임피던스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의 총 칼로리를 자동적으로 계산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임피던스 기반의 섭취 칼로리 인식하는 방식은 음식 섭취로 인해 증가하는 혈관 내 포도당의 변화와 임피던스 변화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활용하여 총 섭취 칼로리를 예측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폰의 마이크를 이용한 오디오 기반 음식 섭취 인식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 방법은 음식을 씹고 삼키는 소리를 분석하여 음식의 종류와 양, 횟수 등을 분석할 수 있고, 이미지 인식법과 결합되어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음식을 먹을 때 발생하는 팔의 움직임으로 음식 섭취 행동을 인식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When receiving a meal, the member management unit 320 receives a photographed image by driving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analyzes a food objec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ubject included in the received image to automatically select a meal. Can be entered as. At this time, since the user must manually record food each time, it is not difficult to record continuously. Accordingly, if the record is omitted or there is no food eaten in the search lis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predict the calorie intak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manual input, a method of measuring the calories of food to be eaten based on an image can be used, or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alculating the total calories of the food consumed by the user based on an impedance sensor can be used. The impedance-based method of recognizing calorie intake can predict the total calorie intake by uti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in blood glucose and the change in impedance due to food intake. Alternatively, an audio-based food intake recognition method using a smartphone's microphone can be used.This method can analyze the type, quantity, and frequency of food by analyzing the sound of chewing and swallowing, and it is combined with the image recognition method to recognize the recognition rate. Can increase. Alternatively, a method of recognizing a food intake behavior may be used by the movement of an arm that occurs when eating food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of a wearable device.

덧붙여서, 회원관리부(320)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로 취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음식 섭취량과 패턴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나 양을 기록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음식 섭취하는 패턴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별로 음식 섭취 시 발생하는 센서 신호의 범위가 다른 점을 고려하여 사용자 적응적인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음식 섭취 패턴이 다른 경우에도 인식률이 보장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입력 신호로는 가속도 센서 3 축 값과 자이로 센서 3 축 값을 사용할 수 있고, 신호처리 과정을 거쳐 신호를 필터링 하고, 주성분 분석을 적용하여 특징들 중에 유의미한 특징 셋을 추출할 수 있으며, 특징 값을 분석하여 음식섭취의 횟수와 섭취 간격을 분석하는데, 특히, 음식섭취 횟수와 간격 분석시에 사용자 별로 신호의 파워가 다른 점을 고려하여 사용자 적응적인 분석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ber management unit 320 automatically monitors the food intake amount and pattern in real time based on data acqui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 sensor of the wearable device interlocked with the user terminal 100. A user-adaptive analysis method is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range of sensor signals generated when food intake is different for each user, allowing the user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e food intake pattern without recording the type or amount of food consumed by the user. Thus, even when food intake patterns are different, the recognition rate can be set to be guaranteed. As the input signal, the 3-axis acceleration sensor value and the 3-axis gyro sensor value can be used, the signal is filtered through a signal processing process, and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applied to extract a meaningful feature set from among the features. Analysis is performed to analyze the number of food intakes and intake intervals. In particular, a user-adaptive analysis method can be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in signal power for each user when analyzing the number of food intakes and intervals.

우선, 음식 섭취 행위 인식 알고리즘은, 입력 신호로는 가속도 센서 값과 자이로 센서 값을 획득하고, 필터링을 통해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후 특징 값을 추출하고, 추출한 특징 값을 기준으로 숟가락을 들고 내리는 행동을 인식하여, 음식 섭취의 횟수, 간격, 시간을 분석한다. 분석한 결과는 앱을 통해서 출력하고 기록하여 사용자가 매일의 식이 습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그 다음,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입력 신호로는 가속도 센서 3 축 값과 자이로 센서 3 축 총 6 개 축 값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단계는, 음식섭취 패턴 인식을 위한 특징 추출인데, 음식 섭취 행위를 인지하기 위해서 음식 섭취 시 식탁에서 입까지 입에서 식탁까지 손을 올리고 내릴 때 발생하는 신호 중에서 유의미하게 변화하는 값을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여 특징값을 선정할 수 있고, 3 축 가속도 값의 길이, SVM(signal vector magnitude)과 자이로 센서의 Z 축을 Euler 각으로 변환하여 얻은 YAW 각도 값을 추출하여 음식 섭취 행위를 구별할 수 있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시행하여 covariance 가 높은, 설명력이 큰 특징 값을 도출하여 특징 셋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추출한 특징 값을 이용하여 기울기를 계산한 다음, 기울기가 변하는 피크 값 중에서 임계 값을 넘은 움직임을 카운트 하는 방식으로 음식 섭취 행동을 인지할 수 있다. 식탁에서 입까지 음식을 가져가는 행위와 다시 입에서 식탁까지 손을 움직이는 두번의 행동에 대해서 SVM 값의 2 번의 피크값이 임계값을 넘엇을 때 한 번의 음식 섭취 행위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음식 섭취를 구분하고 칼로리를 측정하며 식단을 작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First, the food intake behavior recognition algorithm acquires an acceleration sensor value and a gyro sensor value as input signals, and removes high-frequency noise through filtering. After that, the feature value is extracted, and based on the extracted feature value, the action of lifting and lowering the spoon is recognized, and the number, interval, and time of food intake a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can be output and recorded through the app, allowing users to monitor their daily dietary habits. Then, data collection and pre-processing must be performed. As an input signal, three axes of acceleration sensor and three axes of gyro sensor may be used for a total of six ax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next step is to extract features for recognizing food intake patterns.In order to recognize food intake behavior, a value that changes significantly among the signals generated when raising and lowering the hand from the table to the mouth and from the mouth to the table during food intake is tested through an experiment. The characteristic value can be selected by checking, and the behavior of eating food can be distinguished by extracting the length of the 3-axis acceleration value, the signal vector magnitude (SVM), and the YAW angle value obtained by converting the Z-axis of the gyro sensor to Euler angl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o derive feature values with high covariance and high explanatory power, and can be used as feature sets. In this case, after calculating the slope by using the extracted feature value, the food intake behavior may be recognized by counting movements exceeding a threshold value among peak values of which the slope changes. For the two actions of taking food from the table to the mouth and the two actions of moving the hand from the mouth to the table again, it can be set as one food intake action when the two peak values of the SVM value exceed the threshold. Of course, it will be apparent tha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s, it is possible to divide food intake, measure calories, and prepare a diet in various ways.

쇼핑몰 서비스부(330)는, DTC 유전자 검사의 결과 데이터와 연계하여 복용중인 영양제에 대한 설명과,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추천된 제품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매 및 결제를 완료한 경우 배송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구매 프로세스는 화면을 전환하거나 페이지를 이동하지 않고, 복약지도나 영양제에 대한 설명이 출력된 페이지 상에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The shopping mall service unit 330 transmits a description of the nutritional supplement being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result data of the DTC genetic test and the recommended product based on the result data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purchases it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when payment is completed, you can proceed with the delivery process. In this case, in the purchase proces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not switching screens or moving pages, and providing instructions on medications or nutritional supplements on the printed page.

건강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걸음수를 카운팅하여 출력하고, 건강보조제품의 리스트를 나열한 후 복용여부를 체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건강보조제품의 섭취를 체크할 수 있다. 이때, 걸음수(스텝수)는, 사용자 단말(100)의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된 웨어러블 장치(미도시)로부터 걸음수를 추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건강관리부(340)는, 건강보조제품에 포함된 제품수량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으로 카운팅된 섭취수량 간의 개수 차이가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 건강보조제품 또는 건강보조제품과 동일한 성분을 가진 추천보조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일부러 해당 제품의 잔여 개수를 챙기거나 별도로 제품의 재구매를 위해 찾아보지 않아도, 배송기간을 기다리지 않아도, 건강보조제품을 중단없이 복용할 수 있다.The health management unit 340 counts and outputs the number of steps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t least one sensor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displays a user interface for checking whether to take after listing a list of health supplements. It outputs, and if there is an input for selecting a user interface, intake of health supplement products can be checked. At this time, the number of steps (the number of steps) can be measured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eomagnetic sensor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number of steps can be extracted from a wearable device (not shown) linked to the user terminal 100. If possible, it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ealth management unit 340, when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between the number of products included in the health care product and the intake quantity counted by selection of the user interface is less than a preset number, A purchase interface for purchasing a recommended auxiliary product can be output.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does not deliberately collect the remaining number of the product or search for a separate product for repurchase, or wait for the delivery period, the health care product can be taken without interruption.

건강관리부(340)는, 걸음수 카운팅과 더불어 목표걸음수 대비 달성률을 확인하여 이에 따른 보상과 순위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의 걸음수에 대한 주간 단위 체크(월 단위 체크 등)를 포함한 주기적 체크 또는 실시간 체크가 가능하며, 타 사용자와의 걸음수 비교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미션과 보상 정책이 이용될 수도 있는데, 얼마나 많이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했는지를 포함한 출석체크미션과, 자신에게 부여된 또는 부여한 미션의 성공여부 또는 성공률 등을 체크하는 만보계 미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상 정책은 정책적인 면에 불과하므로 본 특허에서는 상세히 정의하지 않으나, 성공률, 성공여부, 동기부여 등을 위해 리워드가 지급되는 형태의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할 것이다.The health management unit 340 may check the achievement rate compared to the target number of steps in addition to counting the number of steps, and check the reward and ranking accordingly, and a periodic check including a weekly check (monthly check, etc.) for the number of steps of the user or Real-time check is possible,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mpare the number of steps with other users. At this time, a mission and a reward policy may be used, and may include an attendance check mission including how many times the application has been accessed, and a pedometer mission that checks the success or success rate of the mission assigned or granted to the user. Since the compensation policy for this is only a policy aspect, it is not defined in detail in this patent, but any type of reward is provided for success rate, success, motivation, etc.

분석시각화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 또는 측정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소비 칼로리 분석, 걷기 분석, 체중 BMI 분석, 섭취열량 분석, 혈압 분석, 및 혈당 분석 결과를 시계열적인 도메인 상에 그래프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시간 도메인으로 시계열적으로 데이터를 그래프화 또는 차트화해주기 때문에 각 텍스트를 분석하거나 읽기 어려운 사람들도 직관적으로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다. Analysis visualization unit 350, based on the data input or measured in the user terminal 100, calorie consumption analysis, walking analysis, weight BMI analysis, calorie intake analysis, blood pressure analysis, and blood glucose analysis results on a time-series domain. You can print it out as a graph. At this time, since data is graphed or charted in time series in a time domain, even people who are difficult to analyze or read each text can intuitively understand the data.

건강검진 분석부(36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건강검진 결과 데이터가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입력된 경우, 건강검진 결과 데이터의 항목 및 수치 데이터와, 기 저장된 분석 결과 데이터의 항목 및 수치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사용자가 B 병원에서 건강검진결과를 받아왔는데, A 사용자가 잘 이해할 수 없거나, 이해를 했더라도 시간이 흘러 잃어버리거나 잊어버리는 등 과거 데이터를 제대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한다. 따라서, 건강검진결과를 촬영하는 경우, 건강검진 분석부(360)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통하여 텍스트를 추출하고, 검사결과 텍스트와 각 항목 텍스트를 매핑하여 추출하여 항목을 별도로 태깅하지 않더라도 구분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 항목 수치별로 기 매핑되어 저장된 설명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거나, 데이터를 사용자의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해둠으로써, 이후에 건강검진결과표를 잃어버리거나 잊어버리는 경우에도 변화를 알 수 있도록 저장하고, 변화의 추이를 알 수 있도록 시각화할 수 있다. When the health check-up result data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as an image or text, the health check-up analysis unit 360 stores items and numerical data of the health check-up result data, and items and numerical data of the previously stored analysis result data. Comparisons can be made to provide analysis results. For example, there are cases in which user A has received medical examination results from hospital B, but user A cannot understand it well, or even if he does understand it, the past data is lost or forgotten over time, and so on. Therefore, when photographing the results of the health checkup, the health checkup analysis unit 360 extracts the text through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aps and extracts the text of the test result and the text of each item, and distinguishes the item even if it is not tagged separately. Make it possible. In addition, by outputting the explanatory data previously mapped and stored for each item value to the user, or by storing the data as the user's history log, it is saved so that the change can be known even if the health checkup result table is lost or forgotten. It can be visualized so that you can see the trend of

자녀관리부(370)는, 비만성장, 아토피 및 ADHD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확인하기 위한 문진표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된 문진표의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태를 진단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문진표는 객관식으로 보기를 고르는 방식일 수 있으나, 정도를 체크하거나 주관식의 포맷을 가지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비만성장을 확인하기 위한 문진표는, 성별, 나이, 키, 허리둘레, 머리둘레, 몸무게, 좋아하는 음식, 싫어하는 음식, 운동 강도, 독서 시간, 및 수면 시간을 확인하는 질의응답 셋(Se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child management unit 370 transmits a questionnaire for confirming any one or at least one combination of obesity growth, atopy and ADH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based on the response data of the questionnaire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result of diagnosing the condition can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questionnaire may be a method of selecting a view in a multiple-choice method, but it does not rule out whether to check the degree or to have a subjective format. The questionnaire for confirming obesity growth can be a set of questions and answers to check gender, age, height, waist circumference, head circumference, weight, favorite food, dislike food, exercise intensity, reading time, and sleeping tim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웨어러블 장치와 연동될 수 있는데, 웨어러블 장치는, 휴대형(Portable), 부착형(Attachable), 이식.복용형(Eatable)으로 구성될 수 있다. 휴대형은, 안경, 시계, 밴드, 의류 형태의 디바이스로 제공될 수 있고, 부착형은 패치(Patch)와 같이 피부에 직접 부착할 수 있는 형태이고, 이식, 복용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가장 궁극적인 단계로 인체에 직접 이식 또는 복용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인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운동량, 혈당, 심박동수, 심전도, 호흡, 칼로리 소비량, 수면 활동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건강 상태 및 수면 패턴을 함께 측정할 수도 있으며, 부착형 스트레인 센서(Strain Sensor)가 이용될 수도 있고, 온도 및 압력 센서도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rlocked with a wearable device, and the wearable device may be configured in a portable type, an attachable type, and an implantable/removable type (Eatable). have. The portable type can be provided as a device in the form of glasses, watches, bands, and clothing, and the attachable type is a type that can be directly attached to the skin such as a patch, and the implantable and dosing type is the ultimate wearable device. It may be in a form that can be directly implanted or taken into the human body as a step. The wearable device for measuring human body information may monitor a user's exercise amount, blood sugar, heart rate, electrocardiogram, respiration, calorie consumption, sleep activity,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products can also measure health status and sleep patterns together, an attached strain sensor can be used, and a temperature and pressure sensor can also be used.

이하, 상술한 도 2의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examples.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an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a를 보면 성별을 입력받고, 도 3b와 같이 생년월일, 키를 입력받고, 도 3c와 같이 문진을 시작하는 알림과 함께 체중을 입력받고, 도 3d와 같이 음주 등 기본 문진에 설정된 내용을 기반으로 도 3e와 같은 문진 결과를 제공한다. 도 3f에서는 복용지도 및 복용체크를 위한 레이아웃이 출력되고, 식사, 운동, 체중, 혈압 등의 기본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g에는 복용중인 제품이 기 설정된 잔여개수 미만일 때 이를 주문할 수 있는 주문 인터페이스가 복용지도 화면에 함께 출력된 것을 알 수 있으며, 도 3h를 참조하면 섭취 칼로리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구비된다. 도 3i에는 운동량 또는 걸음수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도시되며, 도 3j에는 혈압과 혈당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도 3k에는 건강식품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이 출력되고, 검색어에 대응하는 결과가 도시되는 화면이 도시된다. 도 3l에는 진단 결과와 전문가와 상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도시되고, 건강검진 분석 서비스와 기타 분석 결과를 포함한 개인종합정보를 모두 볼 수 있는 페이지를 도시한다. 도 3m을 보면, 건강검진 분석 서비스로 날짜별로 히스토리 로그가 기록되며, 각 결과를 선택하는 경우 상세 결과를 볼 수 있는 화면이 구비된다. 도 3n에는 검사 결과 리스트와 함께 건강 상태에 따른 건강보조제품을 추천하는 화면과 이를 구매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것을 알 수 있고, 도 3o 내지 도 3q에는 각종 분석 결과가 그래프로 추이를 알 수 있도록 시각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3r을 참조하면 건강검진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결과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한 상세 설명이나 부가 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 도 3s에는 쇼핑몰 메인 화면이 도시되고, 도 3t를 보면 제품 상세 화면의 프레임 및 레이아웃이 도시된다. 도 3u를 보면, 장바구니에 담긴 제품이 주문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도 4는 비만, 아토피, ADHD를 진단하기 위해 질의응답을 하는 화면이 도시되며, 그 결과를 표시하고 결과에 대응하여 어떠한 제품을 추천하는지, 각 결과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같은 문진표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도 4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3A, the gender is input, the date of birth and the key are input as shown in FIG. 3B, and the weight is input together with a notification to start the questionnaire as shown in FIG. 3C, based on the contents set in the basic questionnaire such as drinking as shown in FIG. 3D. It provide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as shown in Figure 3e. In FIG. 3F, a dosage map and a layout for dosage check are output, and basic information such as meals, exercise, weight, and blood pressure can be input and output. In FIG. 3G, when the product being taken is less than a preset remaining number, it can be seen that an order interface for ordering it is output on the dosage guidance screen together. Referring to FIG. 3H, an interface for inputting intake calories is provided. FIG. 3i shows an interface for inputting the amount of exercise or the number of steps, FIG. 3J shows an interface for inputting blood pressure and blood sugar, and FIG. 3K shows a search window for searching for health food information. A screen showing the results is shown. FIG. 3L shows a diagnosis result and an interface for consulting with an expert, and a page in which all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a health checkup analysis service and other analysis results can be viewed. 3M, a history log is recorded for each date as a health checkup analysis service, and when each result is selected, a screen for viewing detailed results is provided. In Fig. 3n, it can be seen that a screen for recommending health supplement products according to a health condition along with a list of test results and an interface for purchasing them are provided, and in Figs. 3o to 3q, various analysis results can be seen in graphs. You can see that it is visualized. Referring to FIG. 3R, a health examination analysis service is provided, and when a result is input, detailed descriptions or additional services corresponding thereto are provided. The main screen of the shopping mall is shown in FIG. 3S, and the frame and layout of the detailed product screen are shown in FIG. 3T. Referring to Figure 3u, it can be seen the process of ordering the products contained in the shopping cart. 4 is a view showing a screen for answering a question to diagnose obesity, atopy, and ADHD, displaying the result, which product is recommended in response to the result, and how each result is described. In addition to the questionnaire shown in FIG. 4, since i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FIG. 4.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atters not described in the method of collecting biometric information in FIGS. 2 to 4 and providing a health care service using an online interview refer to the method of collect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providing a health care service using an online interview through FIG. 1. Since the content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성별, 생년월일, 신장, 체중 및 음주주기를 포함한 문진정보를 입력받아 건강검진결과 정보를 제공하고, 건강검진결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기 대응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건강보조제품을 추천한다(S5100).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llect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providing a health care service using an online inter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interview information including gender, date of birth, height, weight, and drinking cycle from a user terminal, provides health check-up result information, and provides at least the health check-up result information. At least one health supplement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one keyword is recommended (S5100).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 검사의 결과 데이터와 기 저장된 회원정보를 기반으로 건강보조제품의 복용관리,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단을 입력받고 기 저장된 체중, 나이, 성별, 및 키에 대응되도록 저장된 기준 영양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기반한 칼로리 및 영양 관리, 및 입력된 생체정보에 기반한 혈압과 혈당관리를 수행한다(S5200).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manages the dose of health supplement products based on the result data of DTC (Direct-To-Consumer) genetic test and previously stored member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diet from the user terminal and stores the previously stored weight, age, and sex. , And management of calories and nutrition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stored reference nutritional information to correspond to the height, and blood pressure and blood sugar management based on the input biometric information (S5200).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DTC 유전자 검사의 결과 데이터와 연계하여 복용중인 영양제에 대한 설명과,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추천된 제품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구매 및 결제를 완료한 경우 배송 프로세스를 진행한다(S5300).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description of the nutritional supplement being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result data of the DTC genetic test and the recommended product based on the result data to the user terminal, and purchases and payments are completed at the user terminal. The delivery process proceeds (S5300).

이와 같은 도 5의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atters not described in the method of collecting biometric information in FIG. 5 and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online questionnaire ar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collect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online questionnaire through FIGS. 1 to 4. Since the content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for providing a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inter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ncludes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It can also be implemented in a form.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Furth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a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inter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this includes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an operating system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It may be executed by the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that is,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on the master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 web server related to the service. In this sense, the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inter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the user, and It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other specific forms can be easily modified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8)

사용자 단말로부터 성별, 생년월일, 신장, 체중 및 음주주기를 포함한 문진정보를 입력받아 건강검진결과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건강검진결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기 대응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건강보조제품을 추천하는 비회원 관리부;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 검사의 결과 데이터와 기 저장된 회원정보를 기반으로 건강보조제품의 복용관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단을 입력받고 기 저장된 체중, 나이, 성별, 및 키에 대응되도록 저장된 기준 영양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기반한 칼로리 및 영양 관리, 및 입력된 생체정보에 기반한 혈압과 혈당관리를 수행하는 회원 관리부; 및
상기 DTC 유전자 검사의 결과 데이터와 연계하여 복용중인 영양제에 대한 설명과, 상기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추천된 제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매 및 결제를 완료한 경우 배송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쇼핑몰 서비스부;
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
At least one health aid stored in response to at least one keyword included in the health check-up result information by receiving interview information including gender, date of birth, height, weight, and drinking cycle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health check-up result information A non-member management unit that recommends products;
Based on DTC (Direct-To-Consumer) genetic test result data and pre-stored member information, administration of health supplements, diet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stored to correspond to pre-stored weight, age, sex, and height. A member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calories and nutrition based on a result of comparison with reference nutritional information, and manages blood pressure and blood sugar based on input biometric information; And
In connection with the result data of the DTC genetic test, a description of the nutritional supplement being taken, and a product recommended based on the result data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nd a delivery process is performed when purchase and payment are completed at the user terminal. A shopping mall service unit;
A server providing a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interview includ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걸음수를 카운팅하여 출력하고, 상기 건강보조제품의 리스트를 나열한 후 복용여부를 체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건강보조제품의 섭취를 체크하는 건강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Counts and outputs the number of steps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t least one sensor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displays a user interface for checking whether to take after listing the list of health supplements, and selects the user interface A health management unit that checks the intake of the health supplement product when there is an input to be used;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interview,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부는,
상기 건강보조제품에 포함된 제품수량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으로 카운팅된 섭취수량 간의 개수 차이가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건강보조제품 또는 상기 건강보조제품과 동일한 성분을 가진 추천보조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
The method of claim 2,
The health management unit,
If the number difference between the quantity of products included in the health care product and the quantity intake counted by selection of the user interface is less than a preset number, purchase the health care product or a recommended supplement that has the same ingredients as the health care product. A server for providing a health care service using a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interview, characterized in that outputting a purchase interface for performing a purch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 또는 측정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소비 칼로리 분석, 걷기 분석, 체중 BMI 분석, 섭취열량 분석, 혈압 분석, 및 혈당 분석 결과를 시계열적인 도메인 상에 그래프로 출력하는 분석시각화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An analysis visualization unit for outputting a graph of calorie consumption analysis, walking analysis, weight BMI analysis, calorie intake analysis, blood pressure analysis, and blood sugar analysis results on a time-series domain based on the data input or measured by the user terminal;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interview,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건강검진 결과 데이터가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입력된 경우, 상기 건강검진 결과 데이터의 항목 및 수치 데이터와, 기 저장된 분석 결과 데이터의 항목 및 수치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건강검진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the health checkup result data from the user terminal is input as an image or text, a health checkup analysis that provides an analysis result by comparing the items and numerical data of the health checkup result data with the items and numerical data of the previously stored analysis result data part;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interview,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비만성장, 아토피 및 ADHD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확인하기 위한 문진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문진표의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태를 진단한 결과를 제공하는 자녀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A child management unit that transmits a questionnaire for confirming any one or at least one combination of obesity growth, atopy, and ADHD to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a result of diagnosing the condition based on the response data of the questionnaire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interview,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성장을 확인하기 위한 문진표는, 성별, 나이, 키, 허리둘레, 머리둘레, 몸무게, 좋아하는 음식, 싫어하는 음식, 운동 강도, 독서 시간, 및 수면 시간을 확인하는 질의응답 셋(S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
The method of claim 6,
The questionnaire for confirming the obesity growth is a question-and-answer set that confirms sex, age, height, waist circumference, head circumference, weight, favorite food, dislike food, exercise intensity, reading time, and sleeping time. A server providing a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interview,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관리부는,
상기 식단을 입력받을 때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구동시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에 대응하는 음식 객체를 분석하여 식단을 자동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member management unit,
A living body, characterized in that when receiving the diet,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is driven to receive a photographed image, and the diet is automatically input by analyzing food object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ubject included in the received image Serve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information collection and online questionnaire.
KR1020190105613A 2019-08-28 2019-08-28 Server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gathering and online checkup KR1022973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613A KR102297367B1 (en) 2019-08-28 2019-08-28 Server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gathering and online check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613A KR102297367B1 (en) 2019-08-28 2019-08-28 Server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gathering and online checku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811A true KR20210025811A (en) 2021-03-10
KR102297367B1 KR102297367B1 (en) 2021-09-03

Family

ID=7514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613A KR102297367B1 (en) 2019-08-28 2019-08-28 Server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gathering and online check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36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072A (en) * 2021-03-24 2022-10-04 비타믹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personal customized referral information based on medical examination data
WO2022220342A1 (en) * 2021-04-14 2022-10-20 (주)메디프레소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tea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ai system
KR20230043628A (en) * 2021-09-24 2023-03-31 주식회사 참약사 Healthcare consulting system
KR102523827B1 (en) 2022-04-20 2023-04-20 (주)리빗 System of Health Support Management an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954A (en) 2022-04-13 2023-10-20 주식회사 메디컬에이아이 System for providing profit creating service by using electrocardiogram interpretation dat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3893A (en) * 2012-04-08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terminal de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user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and methods thereof
KR20140045759A (en) * 2012-10-09 2014-04-17 최윤호 Growth manag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KR101962066B1 (en) * 2018-04-05 2019-07-17 김교륭 Method for providing and managing customized nutirition
KR20190097861A (en) * 2018-02-13 2019-08-21 손동수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customized health functional food using gene analysi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3893A (en) * 2012-04-08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terminal de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user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and methods thereof
KR20140045759A (en) * 2012-10-09 2014-04-17 최윤호 Growth manag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KR20190097861A (en) * 2018-02-13 2019-08-21 손동수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customized health functional food using gene analysis
KR101962066B1 (en) * 2018-04-05 2019-07-17 김교륭 Method for providing and managing customized nutiri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072A (en) * 2021-03-24 2022-10-04 비타믹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personal customized referral information based on medical examination data
WO2022220342A1 (en) * 2021-04-14 2022-10-20 (주)메디프레소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tea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ai system
KR20220142354A (en) * 2021-04-14 2022-10-21 (주)메디프레소 A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tea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KR20230043628A (en) * 2021-09-24 2023-03-31 주식회사 참약사 Healthcare consulting system
KR102523827B1 (en) 2022-04-20 2023-04-20 (주)리빗 System of Health Support Management an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367B1 (en)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7367B1 (en) Server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gathering and online checkup
US10783989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data collection
Heintzman A digital ecosystem of diabetes data and technology: services, systems, and tools enabled by wearables, sensors, and apps
Dawson et al. Potential for digital behavioral measurement tools to transform the detection and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Reifman et al. Predictive monitoring for improved management of glucose levels
KR102200422B1 (en) Personal custom healthcare system that utilizes personal health and medical data
US20150045631A1 (en) Skin health system
Al-Dmour et al. A fuzzy logic–based warning system for patients classification
CN104956389A (en) Assisted medical and associated lifestyle decision making
Yoo et al. PHR based diabetes index service model using life behavior analysis
KR20060064885A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management service
JP6803791B2 (en) Insurance claim calculation device, insurance claim calculation method and insurance claim calculation program
WO2005122033A1 (en) Medical total information apparatus and medical total information system
TW201508688A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health care systems
KR20180135338A (en) Health car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JP6132639B2 (en) Health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and program used therefor
JP2017174168A (en) Health management server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CN104823210A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ponse calibration
CN110832602A (en) Software, health state determination device, and health state determination method
KR102234025B1 (en) System for providing worldwide integrate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health care service
Ahmed et al. Intelligent healthcare services to support health monitoring of elderly
Czyz et al.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s and Passive Sensing in the Prediction of Short-Term Suicidal Ideation in Young Adults
WO2021140731A1 (en) Information transmitting device and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Koumpouros et al. mHealth R&D activities in Europe
US11322250B1 (en) Intelligent medical care path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