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214A - Method for guiding route with sns and server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guiding route with sns and server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214A
KR20210023214A KR1020190103126A KR20190103126A KR20210023214A KR 20210023214 A KR20210023214 A KR 20210023214A KR 1020190103126 A KR1020190103126 A KR 1020190103126A KR 20190103126 A KR20190103126 A KR 20190103126A KR 20210023214 A KR20210023214 A KR 20210023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ns
information
poi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진영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3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3214A/en
Publication of KR20210023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2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76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us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e.g. a route passing visible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ute guidance server us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provides a recommended destination to a user based on SNS information, and also provides an actual image uploaded to the SNS, so that the user can be recommended for a popular place on the SNS, and can intuitively recognize information about the place through the image.

Description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서버{METHOD FOR GUIDING ROUTE WITH SNS AND SERVER THEREFOR}Route guidance method using SNS and a server for driving it {METHOD FOR GUIDING ROUTE WITH SNS AND SERVER THEREFOR}

본 발명은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ute guidance method using SNS and a server for driving the same.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대중적으로 보급됨에 따라 개인 간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고, 대중의 사생활 공개 및 열람에 대한 욕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한 사회적 추세에 발맞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가 개인 간 소통의 창구 및 정보 공유의 장의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As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are popularized, network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is activated, and the public's desire for disclosure and viewing of private life continues to increase. In line with such social trends,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is growing as a center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between individuals.

이러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예로, 카카오톡(KakaoTalk), 라인(LINE)과 같이 1대1 소통 중심의 메신저 서비스, 티스토리(Tistory), 이글루스(EGLOOS)와 같은 장문의 게시물이 게시 가능한 블로그(blog),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와 같은 사진 및 짧은 글 공유 위주의 마이크로블로그(Microblog)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인스타그램(Instagram)과 같이 사진 위주의 SNS도 있다.Examples of such social networking services include one-to-one messenger services such as KakaoTalk and LINE, blogs where long posts such as Tistory and EGLOOS can be posted, There are microblogs that focus on sharing photos and short article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In addition, there are also photo-oriented social media such as Instagram.

이러한 SNS는 메타 데이터(meta data) 태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는 일련의 데이터를 정의하고 설명해 주는 데이터이다. SNS의 메타 데이터 태그의 대표적인 예는 해시태그(hashtag)이다. 해시태그는 특정 단어나 문구 앞에 '# '를 써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든 기능이다. 사용자들은 SNS에 업로드되는 글이나 사진에 하나 이상의 해시태그를 태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해시태그 검색을 통해 여러가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Such SNS may include a meta data tag function. Meta data is data that defines and describes a set of data.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metadata tag of SNS is a hashtag. Hashtag is a function that allows information to be shared by writing'#' in front of a specific word or phrase. Users can tag one or more hashtags on posts or photos uploaded to social media. Accordingly, users can share various information through hashtag search.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SNS의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서버를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tudied a route guidance method and server using meta data of SNS for a long time, and has been through trial and error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SNS를 기반으로 추천목적지를 추출하고, 사용자에게 추천목적지를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tract a recommended destination based on SNS, and intuitively provide a recommended destination to a user.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Still other objects, not specifie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easily deduc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thereof.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SNS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어가 태깅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SNS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에 태깅된 태그 중, 상기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POI 정보의 추천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추천순위에 따라, 복수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목적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추천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에 대한 경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경로 요청된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a search word from a user terminal; Collecting, from an SNS server, a plurality of SNS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tagged with the search word; Obtaining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from a tag indicating the POI of the image among tags tagged to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Determining a recommendation order of the POI information; Transmitting a recommendation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I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ranking, and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I information together; Receiving, from a user terminal, a route request for at least one destination among the recommended destinations; And generating a route to a destination for which the route is requested, and transmitting the route to a user terminal.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가 기저장된 POI 리스트에 포함된 것인 경우, 상기 태그를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obtaining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if a tag indicating the POI of the image is included in a pre-stored POI list, the tag may be determined as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가 복수인 경우, 상기 이미지와 관련도가 높은 것을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acquiring the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ags indicating the POI of the image, it may be determined as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having a high relevance to the image.

상기 추천순위는, 상기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의 태깅횟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he recommendation priority may b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agging times of a tag indicating the POI of the image.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의 인기도, 상기 이미지에 대한 댓글수, 상기 이미지의 최신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산출되는 지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n index calculated by at least one of the popularity of the image, the number of comments on the image, and the latest order of the image.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POI 정보에 따라 상기 SNS 정보를 기설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tep of acquiring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the step of classifying the SNS information by preset category according to the POI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복수의 SNS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SNS 정보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인물이 포함된 이미지, 단위시간 당 인기도 상승률이 기준값 이상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SNS 정보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After the step of collecting the plurality of SNS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uitability of the SNS information, the SN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mage including a person and an image whose popularity increase rate per unit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However, it may be judged to be inappropriat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면, SNS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어가 태깅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SNS 정보를 수집하는 SNS 정보 처리부;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에 태깅된 태그 중, 상기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를 획득하는 POI 정보 처리부; 상기 POI 정보의 추천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추천순위에 따라, 복수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목적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를 함께 전송하는 추천목적지 처리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에 대한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면, 경로 안내 요청된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경로 처리부를 포함하는,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버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upon receiving a search word from a user terminal, an SN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collect, from an SNS server, a plurality of SNS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tagged with the search word; A POI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obtains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from a tag representing the POI of the image, among tags tagged to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A recommendation for determining a recommendation priority of the POI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recommendation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I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priority, but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I information together Destination processing unit; And a route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route to the destination for which the route guidance is requested and transmitting the route to the user terminal upon receiving a route guidance request for at least one destination from the user terminal.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it is an effect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in, it is added that the effect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and its provisional effect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SNS 상에서 인기 있는 장소를 추천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그 장소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receive recommendations of popular places on an SNS, and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information about the place.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it is an effect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in, it is added that the effect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and its provisional effect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을 구체적인 예시로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이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1 is a view showing a route guidance service using an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route guidance system using an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route guidance server using an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route guidance method using an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pecific example.
6 and 7 are diagrams showing a route guidance method using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ime series diagram illustrating a route guidance method using an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6 are diagrams showing how a route guidance method using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user terminal.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emplified by reference for an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as matter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spect to known func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서버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oute guidance method using an S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mbodiment of a server for driv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route guidance service using an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1)는 어디론가 가기 위해 경로 안내 서비스(2)을 이용하여 경로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1)는 경로 안내 서비스(2)에 특정 목적지를 검색하기보다 특정 주제에 대해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릉여행', '부산놀거리', '서울카페' 등과 같이 특정 지역이나 테마를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1)는 샵(#)과 같은 특정 문자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다. 즉, 사용자(1)는 경로 안내 서비스(2) 검색창에 '#강릉여행', '#부산놀거리', '#서울카페' 등의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user 1 may be provided with a route guide using a route guide service 2 to go somewhere. The user 1 can search for a specific topic rather than searching for a specific destination in the route guidance service 2. For example, you can search for a specific area or theme, such as'Gangneung Travel','Busan Entertainment', and'Seoul Cafe'. In this case, the user 1 can search by using a specific character such as shop (#). That is, the user 1 may input search words such as'#Gangneung travel','#Busan entertainment', and'#Seoul Cafe' in the search window of the route guidance service 2.

경로 안내 서비스(2)는 인스타그램(Instagram), 페이스북(Facebook), 카카오스토리(Kakaostory), 트위터(Twitter), 밴드(Band) 등의 SNS(3)와 연동될 수 있고, SNS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The route guidance service (2) can be linked with SNS (3) such as Instagram, Facebook, Kakaostory, Twitter, and Band, and can provide SNS information. I can bring it.

여기서, SNS 정보는, SNS에 업로드 된 '이미지', 그리고 이미지에 태깅(예를 들어, 해시태깅)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이미지의 인기도(좋아요수, 하트수, 공감수 등), 댓글(내용, 댓글 개수 등)도 SNS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밖에, SNS 정보는 SNS 서버에 저장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NS information may include a'image' uploaded to the SNS, and at least one'tag' tagged to the image (eg, hash tagging). Also, the popularity of the image (number of likes, number of hearts, number of sympathies, etc.) and comments (content, number of comments, etc.) may be included in the SNS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NS information may include all information stored in the SNS server.

경로 안내 서비스(2)는 사용자(1)가 입력한 검색어와 동일한 텍스트의 태그가 태깅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SNS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가 경로 안내 서비스(2) 검색창에 '#강릉여행'을 입력하였다면, 경로 안내 서비스(2)는 '강릉여행'이 태깅된 이미지를 가져오며, 상기 이미지의 POI 및 상기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경로 안내 서비스(2)가 제공하는 POI와 이미지는 지도 상에 실제 위치와 대응되게 표시되거나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The route guidance service 2 may fetch SNS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tagged with a tag of the same text as the search word input by the user 1. For example, if the user (1) enters'#Gangneung Travel' in the search box of the route guidance service (2), the route guidance service (2) retrieves an image tagged with'Gangneung Travel', and POI of the image And display the image on the screen. POIs and images provided by the route guidance service 2 may be displayed on a map to correspond to an actual location or displayed in a list form.

구체적으로, 경로 안내 서비스(2)는 검색어가 태깅된 SNS 정보에서, 태깅횟수(해시태깅된 횟수)에 따라 추천 POI를 결정하고, 추천 POI를 사용자(1)에게 제공함에 있어, SNS 정보의 이미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1)에게 표시되는 상기 이미지는 인기도(좋아요수, 하트수, 공감수 등) 또는 댓글수 등의 기준으로 선별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oute guidance service 2 determines the recommended POI according to the number of tagging (number of hash-tagged) from the SNS information tagged with the search word, and provides the recommended POI to the user 1,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together. In addition, the image displayed to the user 1 may be selected based on the criteria such as popularity (number of likes, number of hearts, number of sympathies, etc.) or number of comments.

또 다른 방식으로서, 검색어가 태깅된 SNS 정보에서, 인기도(좋아요수, 하트수, 공감수 등) 또는 댓글수 등의 기준으로 순위가 높은 이미지를 선별하고, 선별된 이미지로부터 POI 정보를 추출하여 이미지와 추천 POI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As another method, from the SNS information tagged with the search word, images with high ranking are selected based on popularity (likes, hearts, sympathies, etc.) or number of comments, and POI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selected images. And recommended POI can be displayed together.

이러한 경로 안내 서비스(2)에 의하면 사용자(1)는 SNS에서 인기가 많은 POI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음으로써 인기 많은 여행 목적지를 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여행 만족도가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를 함께 제공받음으로써 추천받은 POI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1)가 경로 안내 서비스(2)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oute guidance service 2, the user 1 can select a popular travel destination by receiving a popular POI from SNS in real time, thereby increasing travel satisfaction. In addition, by receiving an image together, the recommended POI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so that the user 1 can easily use the route guidance service 2.

한편, 본 발명의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가 구현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방식 이외에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implement the route guidance service using the SN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us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을 구체적인 예시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route guidance system using an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 route guidance server using. In addi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route guidance method using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pecific exampl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경로 안내 서버(20), SNS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route guidance system using an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0, a route guidance server 20, and an SNS server 30.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경로 안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로서,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PC, 네비게이션, AVN, 노트북, 데스크탑, 랩탑 등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되지 않는다.The user terminal 10 is a terminal through which a user can use a route guidance service, and may include various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navigation system, an AVN, a notebook computer, a desktop, and a laptop,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은, 표시부(11), 입력부(12), 통신부(13), 제어부(14)와 같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1)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이고, 입력부(12)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등의 입력 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13)는 경로 안내 서버(20) 등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며, 제어부(14)는 각 유닛들을 관리, 처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user terminal 10 may include units such as a display unit 11, an input unit 12, a communication unit 13, and a control unit 14. The display unit 11 is a display that displays a screen, and the input unit 12 may b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 mouse, and a microphone. The communication unit 13 is a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the route guidance server 20 or the like, and the control unit 14 can manage and process each unit.

SNS 서버(30)는 시중에 이용되는 SNS 중 적어도 하나의 SNS 구동을 위한 서버다. 예를 들어, 인스타그램(Instagram), 페이스북(Facebook), 카카오스토리(Kakaostory), 트위터(Twitter), 밴드(Band)의 서버일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SNS server 30 is a server for driving at least one SNS among social media used in the market. For example, it may be a server of Instagram, Facebook, Kakaostory, Twitter, and Ba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SNS 서버(30)는 네트워크(N)를 통하여 경로 안내 서버(20)와 통신할 수 있다. SNS 서버(30)는 경로 안내 서버(20)와 SNS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SNS 서버(30)는 경로 안내 서버(20)에 SNS 정보를 크롤링, 스크랩핑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The SNS server 30 may communicate with the route guidance server 20 through the network N. The SNS server 30 may share SNS information with the route guidance server 20. The SNS server 30 may give the route guidance server 20 the authority to crawl and scrape SNS information.

경로 안내 서버(20)는 상술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서버이며, 사용자 단말(10)이 접속 가능하며 사용자 단말(10)과 네트워크(network, N)를 통해 통신될 수 있다. The route guidance server 20 is a server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route guidance service, and the user terminal 10 is accessible and can be communicated with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a network (N).

네트워크(N)는 단말,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5G, LTE, VoLTE, Wi-Fi, Bluetooth, NFC, RFID, 홈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Network (N)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between each node such as a terminal and a server. An example of such a network (N) is the Internet,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3G, 4G, 5G, LTE, VoLTE, Wi-Fi, Bluetooth, NFC, RFID, home network, etc. Does not.

도 4를 참조하면, 경로 안내 서버(20)는, SNS 정보 처리부(21), POI 정보 처리부(22), 추천목적지 처리부(23), 경로 처리부(24), DB(25, 26), 통신부(27), 제어부(28)와 같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각 유닛은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통합될 수도 있으며, 한 유닛도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각 유닛은 필요에 따라 변경, 수정될 수 있다. 4, the route guidance server 20 includes an SN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 a POI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 a recommended destination processing unit 23, a route processing unit 24, a DB 25, 26, and a communication unit ( 27), may include a unit such as the control unit 28. However, each unit is not necessarily physically classified, and may be integrated as necessary, and even one unit may be separated as necessary. In addition, each unit can be changed or modified as necessary.

경로 안내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면, SNS 서버(30)로부터, 상기 검색어가 태깅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SNS 정보를 수집하는 SNS 정보 처리부(21);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에 태깅된 태그 중, 상기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를 획득하는 POI 정보 처리부(22); 상기 POI 정보의 추천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추천순위에 따라, 복수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목적지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를 함께 전송하는 추천목적지 처리부(23); 및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에 대한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면, 경로 안내 요청된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는 경로 처리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oute guidance server 20, upon receiving a search word from the user terminal 10, includes an SN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 configured to collect a plurality of SNS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tagged with the search word from the SNS server 30; A POI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 for obtaining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from a tag representing the POI of the image, among tags tagged to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Determine the recommendation priority of the POI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recommendation destina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I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priority, but together with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I information A recommended destination processing unit 23 to transmit; And when receiving a route guidance request for at least one destin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 it may include a route processing unit 24 that generates a route to the route guidance requested destin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10.

SNS 정보 처리부(21)는 SNS 서버(30)로부터 SNS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SNS 정보 처리부(21)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수신받고, SNS 서버(30)에 저장되어 있는 SNS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SNS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검색어가 태깅된(검색어와 동일한 텍스트가 태깅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SNS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SNS 정보 처리부(21)는 크롤링(crawling), 스크랩핑(scraping) 기법을 통해 SNS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The SN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 may collect SNS information from the SNS server 30. The SN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 may receive a search word input by a user, search for SNS information stored in the SNS server 30, and collect SN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That is, it is possible to collect SNS information including images in which the search word is tagged (the same text as the search word is tagged). The SN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 may collect SNS information through a crawling and scraping technique.

SNS 정보는, SNS에 업로드 된 '이미지', 그리고 이미지에 태깅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예를 들어,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이미지의 인기도(좋아요수, 하트수, 공감수 등), 댓글(내용, 댓글 개수 등)도 SNS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밖에, SNS 정보는 SNS 서버(30)에 저장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NS information may include a'image' uploaded to the SNS, and at least one'tag (eg, #+text)' tagged to the image. Also, the popularity of the image (number of likes, number of hearts, number of sympathies, etc.) and comments (content, number of comments, etc.) may be included in the SNS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NS information may include all information stored in the SNS server 30.

도 5에는 사용자 단말(10)에 검색어가 '#강릉여행'이며, SNS 서버(30)에 저장되어 있는 SNS 정보 중 '#강릉여행'이 태깅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SNS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예시적으로 9개의 SNS 정보만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SNS 정보는 사진(괄호 안 내용은 사진을 설명하는 내용임), 태그(#+텍스트), 좋아요수(하트+숫자), 댓글수(말풍선 로고+숫자) 등을 포함한다. FIG. 5 shows SNS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tagged with'#Gangneung travel' among the SNS information stored in the SNS server 30 where the search word is'#Gangneung travel' in the user terminal 10. However, only 9 pieces of SNS information are shown as an example. Each SNS information includes a photo (the content in parentheses describes the photo), tags (# + text), the number of likes (heart + number), and the number of comments (balloon logo + number).

여기서 SNS 정보 처리부(21)는 '강릉여행'이 태깅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SNS 정보를 모두 수집할 수 있다.Here, the SN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 may collect all SNS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tagged with'Gangneung Travel'.

POI 정보 처리부(22)는 수집된 SNS 정보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POI 정보 처리부(22)는,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에 태깅된 태그 중, 상기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POI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 may obtain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from collected SNS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POI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 may obtain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from a tag indicating the POI of the image among tags tagged to the image of SNS information.

SNS 정보에는 복수의 태그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태그 중에는 검색어와 동일한 텍스트,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텍스트가 있다. SNS 정보의 POI를 나타내는 텍스트는, 상호명이나 지명이 될 수 있다. SNS inform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tags. Among the plurality of tags, there is the same text as the search word and text indicating the POI of the image. The text indicating the POI of SNS information may be a business name or a place name.

예를 들어, 도 5에서, 2번 SNS 정보에는 '#강릉여행', '#A카페'와 같은 태그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SNS 정보의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는 'A카페'와 같은 상호명이 될 수 있다. 즉, 2번 SNS 정보의 POI 정보는 'A카페'가 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FIG. 5, the second SNS information includes tags such as'#Gangneung travel' and'#A cafe'. Here, the tag indicating the POI of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may be a business name such as'A cafe'. That is, the POI information of SNS information #2 may be'A cafe'.

POI 정보 처리부(22)는 POI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POI 정보의 유효성 판단 결과,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SNS 정보는 더 이상 처리되지 않을 수 있다(삭제되거나 처리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The POI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 may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POI information.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POI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valid, the corresponding SNS information may not be processed any more (it may be deleted or excluded from processing).

POI 정보 유효성 판단 시, 먼저 검색어와 동일한 텍스트 외에 다른 텍스트의 태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검색어인 '#강릉여행' 외에 다른 태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When determining the validity of POI information, first,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tag of another text other than the same text as the search word.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tag other than the search word'#Gangneung travel' in FIG. 5.

POI 정보 유효성 판단 시, 검색어와 동일한 텍스트 외에 다른 텍스트의 태그가 있는 경우, 상기 태그가 기저장된 POI 리스트에 포함된 텍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When determining the validity of POI information, if there is a tag of text other than the same text as the search wor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tag is a text included in a pre-stored POI list.

POI 리스트는 경로 안내 서버(20)의 제1 DB(25)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POI 리스트는 전국의 상호명과 지명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OI 리스트에는 상기 상호명 및 지명에 대한 주소도 포함될 수 있다.The POI list may be stored in the first DB 25 of the route guidance server 20. The list of POIs can include both national business names and geographical names. In addition, the POI list may include an address for the company name and place name.

예를 들어, 도 5에서, 9번 SNS 정보의 경우, '#강릉여행' 외에 '#가볼만한카페'라는 태그가 있지만, '가볼만한카페'는 상호명이 아니어서 기저장된 POI 리스트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며, 이 경우 '가볼만한카페'는 유효한 POI 정보가 아닌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9번 SNS 정보는 삭제되거나, 더 이상 처리되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in FIG. 5, in the case of SNS information No. 9, there is a tag of'#Cafe worth visiting' in addition to'#Gangneung Travel', but'Cafe worth visiting' is not included in the pre-stored POI list because it is not a business name.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visitable cafe' is not valid POI information. In this case, SNS information 9 may be deleted or may not be processed any more.

한편, POI 정보 획득 시, 검색어와 동일한 텍스트 외에 다른 텍스트의 태그가 복수로 있는 경우, 복수의 상기 태그 중 어느 하나를 POI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Meanwhile, when POI information is obtaine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ags of text other than the same text as the search wor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ags may be determined as POI information.

예를 들어, 도 5에서, 1번 SNS 정보의 경우, '#강릉여행' 외에 '#A카페'와 '#B해변'이라는 태그가 있고, 'A카페', 'B해변' 모두 기저장된 POI 리스트에 포함된다고 하면, 둘 중 하나를 POI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FIG. 5, in the case of SNS information #1, there are tags such as'#A cafe' and'#B beach' in addition to'#Gangneung travel', and both'A cafe' and'B beach' are pre-stored POIs. If it is included in the list, one of the two can be determined as POI information.

POI 정보로 결정하는 기준은 이미지와의 관련도일 수 있다. 이미지와의 관련도는 이미지의 내용과 태그의 텍스트가 유사한지(매칭되는지) 여부로 판단될 수 있다. The criterion determined by POI information may be a degree of relevance to an image. The degree of relevance to the image may be determined by whether the content of the image and the text of the tag are similar (matched).

경로 안내 서버(20)의 이미지 판단부는 이미지의 내용을 인식하고 분류할 수 있다. 이미지 판단부에 의해 인식된 이미지의 내용에 따라 POI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The image determination unit of the route guidance server 20 may recognize and classify the contents of the image. POI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image recognized by the image determination unit.

예를 들어, 도 5에서, 1번 SNS 정보의 경우, 이미지 판단부는 1번 SNS 정보의 이미지를 '카페'라고 인식하여 분류하였다면, 1번 SNS 정보의 이미지의 POI 정보는 'A카페'가 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판단부가 1번 SNS 정보의 이미지를 '실내'라고 인식하여 분류하였다면, 1번 SNS 정보의 이미지의 POI 정보는 실내에 해당하는 'A카페'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5, in the case of SNS information #1, if the image determination unit recognizes and classifies the image of SNS information #1 as'cafe', the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of SNS information #1 will be'Cafe A'. I can. Alternatively, if the image determination unit recognizes and classifies the image of SNS information #1 as'indoor', the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of SNS information #1 may be'cafe A'corresponding to the room.

이미지 판단부는 경로 안내 서버(20) 내에 독립 유닛으로 구비되거나, POI 정보 처리부(22)에 포함될 수 있다. 이미지 판단부는 이미지 내용을 구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인자(예를 들어, 나무, 바다, 구름, 책상, 의자, 조명 등)를 저장받고, 이미지로부터 상기 인자를 찾아냄으로써 이미지 내용을 추론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 판단부는 인공지능을 포함하여 이미지 판단을 학습할 수 있다. The image determination unit may be provided as an independent unit in the route guidance server 20 or may be included in the POI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 The image determination unit may store one or more factors (eg, trees, sea, clouds, desks, chairs, lights, etc.) capable of classifying the image content, and may infer the image content by finding the factor from the image. However, it is not limited in this way. The image determination unit may learn image determination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POI 정보로 결정하는 기준은 SNS 정보에 포함된 게시글 내용과의 관련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1번 SNS 정보의 경우, SNS 정보에 포함된 게시글 내용이 카페에 관한 글(예를 들어, 카페라는 단어가 포함된 글)이라면, 해당 SNS 정보의 이미지의 POI 정보는 'A카페'가 될 수 있다.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POI information may be a degree of relevance to the content of posts included in SNS information. For example, in FIG. 5, in the case of SNS information No. 1, if the content of a post included in the SNS information is an article about a cafe (for example, an article including the word cafe),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of the corresponding SNS information Can be'A cafe'.

또한, POI 정보로 결정하는 기준은 사용자 또는 SNS 정보 작성자의 나이, 성별, 취향, 최근 방문지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POI 종류별로 절대적인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호명이 지명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도 5의 1번 SNS 정보에서, 상호명인 'A카페'가 POI 정보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POI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by the age, sex, taste, and recent visit of the user or the creator of the SNS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 absolute priority may be determined for each POI type, for example, the company name may be set to have a higher priority than the nomination name, whereby, in the first SNS information of FIG. 5, the company name'A cafe' It can be determined by POI information.

이밖에도 복수의 태그 중에서 POI 정보로 결정하는 기준은 다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POI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tags may vary.

한편, POI 정보가 획득된 경우에, SNS 정보 처리부(21)는 획득된 POI 정보에 따라 SNS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할 수 있다. 카테고리는 카페, 음식점, 숙소, 편의시설, 문화시설, 마트, 상점, 지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SNS 정보가 제2 DB(26)에 저장될 때, 상기 카테고리 별로 저장되거나, SNS 정보에 해당 카테고리가 표시되어 저장될 수 있다.Meanwhile, when POI information is obtained, the SN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 may classify the SNS information by category according to the obtained POI information. The category may include cafes, restaurants, accommodations, convenience facilities, cultural facilities, marts, stores, place name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SNS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econd DB 26, it may be stored for each category, or a corresponding category may be displayed and stored in the SNS information.

카테고리별로 저장된 SNS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SNS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검색어로 #강릉여행을 입력하고, 카테고리를 카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추천목적지 처리부(23)는 #강릉여행을 기준으로 SNS 서버(30)로부터 SNS 정보를 수집하고, POI 정보를 획득 후 SNS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 후, 카페에 관한 POI 정보 및 SNS 정보를 중심으로 추천목적지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NS information stored for each category may provide the SNS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ach category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example, a user can enter #Gangneung travel as a keyword and select a cafe as a category.In this case, the recommended destination processing unit 23 collects SNS information from the SNS server 30 based on #Gangneung travel and , After acquiring POI information, after classifying SNS information by category, a recommended destination may be provided based on POI information and SNS information about cafes.

한편, SNS 정보 처리부(21)는 SNS 정보를 제2 DB(26)에 저장하기에 앞서, SNS 정보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SNS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SNS 정보 처리부(21)는 SNS 정보의 적합성을 판단한 결과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SNS 정보를 더 이상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SNS 정보는 삭제되거나, 제2 DB(26)에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Meanwhile, the SN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 may select the SNS information by determining the suitability of the SNS information before storing the SNS information in the second DB 26. The SN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 may no longer process the SNS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inappropriate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suitability of the SNS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rresponding SNS information may be deleted or may not be stored in the second DB 26.

SNS 정보의 적합성은, 이미지 내용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미지의 내용은 상술한 이미지 판단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he suitability of SNS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by image content. The content of the image may be determined by the above-described image determination unit.

예를 들어, 인물이 포함된 이미지는 유효하지 않으므로 해당 이미지를 포함하는 SNS 정보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인물이 포함된 이미지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아니며, 사용자에게 제공되었을 때 인물의 초상권 침해 우려가 있기 때문에, 부적함한 SNS 정보로 판단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an image including a person is not valid, SNS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may be determined to be inappropriate. An image including a person may not b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and when provided to the user, there is a fear of infringement of the portrait right of the person, and thus may be determined as inappropriate SNS information.

도 5에서, 8번 SNS 정보는 인물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부적합한 SNS 정보로 판단될 수 있다. In FIG. 5, since SNS information No. 8 includes an image of a person, it may be determined as inappropriate SNS information.

한편, SNS 정보 처리부(21)는 폴링(falling) 기법 등으로 SNS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SNS 정보 처리부(21)는 단위시간 당 인기도(좋아요수, 하트수, 공감수 등) 상승률이 기준값 이상인 이미지의 경우에는, 광고를 위해 게시된 SNS 정보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해당 이미지를 포함하는 SNS 정보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의 단위시간당 인기도 상승률이 100(개/초)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는 광고성이므로, 해당 이미지를 포함하는 SNS 정보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N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 may select SNS information using a falling technique or the like. The SN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 is, in the case of an image with a rate of increase of popularity (like, heart, sympathetic, etc.) per unit time of more than a reference value, it is highly likely that it is SNS information posted for advertisement, so that the SNS including the image The information may be judged to be inappropriate. For example, when the popularity increase rate per unit time of the image is 100 (images/second) or more, since the image is advertising, it may be determined that SNS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is inappropriate.

도 5에서 6번 SNS 정보는 좋아요수(하트+숫자)가 2000으로 상당히 높지만, 해당 SNS 정보에서 단위시간 당 좋아요수 증가율을 추출하고, 그 증가율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6번 SNS 정보는 부적합한 SNS 정보로 판단될 수 있다.In Figure 5, SNS information 6 has a fairly high number of likes (hearts + numbers) of 2000, but extracts the increase rate of the number of likes per unit time from the corresponding SNS information, and when the increase rate is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SNS information 6 is inappropriate SNS information. It can be judged as.

요컨대, SNS 정보의 적합성 판단 시, 인물이 포함된 이미지, 단위시간 당 인기도 상승률이 기준값 이상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SNS 정보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In short, when determining the suitability of the SNS information, SN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mage including a person and an image whose popularity increase rate per unit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may be determined to be inappropriate.

한편, POI 정보 처리부(22)는 SNS 정보가 제2 DB(26)에 저장되기 전, 또는 후에 POI 정보의 추천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POI 정보의 추천순위는, 수집된 SNS 정보 전체, 또는 SNS 정보 적함성 판단에서 적합하다고 판단된 SNS 정보, 또는 특정 카테고리로 분류된 SNS 정보, 또는 제2 DB(26)에 저장된 SNS 정보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POI 정보의 추천순위는, SNS 정보 집단 내에서 해당 POI 텍스트의 태깅횟수(해시태깅된 횟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OI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 may determine a recommendation order of POI information before or after the SNS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econd DB 26. The recommendation ranking of the POI information is calculated from all collected SNS information, SNS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appropriate in the determination of the suitability of the SNS information, or classified into a specific category, or from the SNS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DB 26. I can. The recommendation order of POI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number of hash-tagged) of the corresponding POI text within the SNS information group.

예를 들어, 도 5에서 수집된 SNS 정보 중에서 'A카페'의 태깅 횟수가 가장 많다면 1순위 POI 정보는 'A카페'가 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각 POI 정보에 대해 2순위, 3순위 등의 추천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tagging of'A cafe' is the largest among SNS information collected in FIG. 5, the first priority POI information may be'A cafe'. In the same way, recommendation rankings, such as 2nd priority and 3rd priority, may be determined for each POI information.

또한 해당 POI 정보가의 태깅횟수뿐만 아니라, 해당 POI 정보가 태깅된 이미지의 인기도를 함께 고려하여 POI 정보의 추천순위가 결정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recommendation ranking of POI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not only the number of times the corresponding POI information is tagged, but also the popularity of the image tagged with the corresponding POI information.

또한, POI 정보의 추천순위는 SNS 정보의 최신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SNS 정보가 게시된 것이 최신일수록 POI 정보 추천순위가 높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ommendation ranking of POI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atest order of SNS information. That is, the more recent SNS information is posted, the higher the POI information recommendation priority.

POI 정보의 추천순위 결정 방식은 상술한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에 따라 POI 정보의 추천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인기가 많은 순으로 추천순위를 정할 것인지, 최신순으로 추천순위를 정할 것인지가 결정될 수도 있다.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recommendation priority of POI inform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the recommendation priority of POI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various methods. In addit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ranking of recommendations is determined in the order of most popularity or the ranking of recommendations in the order of the latest.

POI 정보의 추천순위가 결정되면, POI 정보 및 SNS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POI 정보 및 SNS 정보는 제2 DB(26)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DB(25)와 제2 DB(26)는 물리적으로 분리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DB는 두 개로만 도시되었으나, 추가 DB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When the recommendation order of POI information is determined, POI information and SNS information may be stored. POI information and SNS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second DB 26. The first DB 25 and the second DB 26 do not need to be physically separated, and may be integrated as necessary. In addition, although only two DBs are shown in FIG. 4, an additional DB may be further included.

추천목적지 처리부(23)는 상기 추천순위에 따라, 복수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목적지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The recommendation destination processing unit 23 transmits the recommendation destina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I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ranking, but may also transmit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I information. .

즉, 추천목적지 처리부(23)는 추천목적지(POI)뿐만 아니라 SNS 정보의 이미지를 함께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한다. That is, the recommendation destination processing unit 23 transmits not only the recommendation destination (POI) but also the image of SNS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together.

전송되는 추천목적지는 POI 정보의 추천순위에 따라 결정되며, 예를 들어 상위 N개의 POI 정보에 대한 추천목적지가 전송될 수 있다(N은 1 이상의 자연수). 도 5에서는 상위 3개의 추천목적지가 전송되었음을 알 수 있다.The recommended destination to be transmitt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order of the POI information, and, for example, the recommendation destination for the top N POI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N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In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top three recommended destinations have been transmitted.

추천목적지와 함께 전송되는 이미지는 특정 지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상기 특정 지수는 상기 이미지의 인기도(좋아요수, 하트수, 공감수 등), 상기 이미지에 대한 댓글수, 상기 이미지의 최신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수는 상기 이미지의 인기도와 상기 이미지에 대한 댓글수의 합으로 산출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image transmitted with the recommended destin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specific index, and the specific index is at least one of the popularity of the image (number of likes, number of hearts, number of sympathies, etc.), the number of comments on the image, and the latest order of the image. Can be calculated by For example, the index may be calculated as the sum of the popularity of the image and the number of comments on the im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에서 POI 정보 추천순위가 도 5와 같이 ①A카페, ②B해변, ③C식당로 결정되었다면, 각 추천목적지와 함께 제시될 이미지는 인기 지수 또는 최신 지수에 따라 1번, 4번, 5번일 수 있다. If the POI information recommendation ranking in FIG. 5 is determined as ① Cafe A, Beach B, and Restaurant C as shown in FIG. 5, the image to be presented with each recommendation destination may be No. 1, No. 4, or No. 5 depending on the popularity index or the latest index. .

추천목적지 처리부(23)가 사용자 단말(10)에 전송하는 SNS 정보에는 이미지뿐만 아니라 이미지의 인기도 정보나 추천목적지의 태깅횟수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도 5에서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된 것을 보면, 추천목적지와 이미지 외에, 이미지의 인기도(하트+숫자)와 추천목적지의 태깅횟수(#+숫자)도 포함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추천목적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SNS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recommendation destination processing unit 23 to the user terminal 10 may include not only an image, but also information on the popularity of the image or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agging times of the recommended destination. 5, in addition to the recommended destination and image, the popularity of the image (heart + number) and the number of tagging of the recommended destination (# + number) are also included in FIG. 5.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recommended destination.

또한, 추천목적지 처리부(23)가 사용자 단말(10)에 추천목적지 및 SNS 정보를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10)의 지도 상에 추천목적지 및 SNS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추천목적지가 지도 상의 실제 위치에 표시되며, SNS 정보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추천목적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commendation destination processing unit 23 transmits the recommendation destination and SNS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the recommendation destination and SNS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map of the user terminal 10. That is, the recommended destination is displayed on the actual location on the map, and SNS information can also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recommended destination.

또는, 추천목적지 처리부(23)가 사용자 단말(10)에 추천목적지 및 SNS 정보를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10)에 리스트 형식으로 추천목적지 및 SNS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추천목적지가 지도 상에 표시되지 않으며, 순위 별로 정리된 리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recommendation destination processing unit 23 transmits the recommendation destination and SNS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the recommendation destination and SNS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 in a list format. That is, the recommended destinations are not displayed on the map, and may be displayed as a list organized by rank.

그리고, 추천목적지 및 SNS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할 것인지,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할 것인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ther to display the recommended destination and SNS information on a map or in a list forma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user input.

사용자는 N개의 추천목적지 및 이미지(SNS 정보)를 수신받으면, 그 중 하나 이상의 목적지를 선택하면서 경로를 요청할 수 있다. When the user receives N recommended destinations and images (SNS information), the user may request a route while selecting one or more destinations.

경로 처리부(24)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에 대한 경로 요청을 수신하면, 경로 요청된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경로 처리부(24)는 경로 생성 시 현재 위치를 출발지로 하고, 선택된 목적지를 도착지로 하여 최적의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경로는 복수일 수 있다. When the route processing unit 24 receives a route request for at least one destin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route processing unit 24 may generate a route for the route requested destination. When generating a route, the route processing unit 24 may generate an optimal route using a current location as a starting point and a selected destination as a destination. There may be a plurality of generated paths.

한편,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선택된 목적지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경로 처리부(24)는 모든 목적지를 경유할 수 있는 최적의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two or more destinations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10, the route processing unit 24 may generate an optimal route through which all destinations are available.

경로 처리부(24)는 생성된 경로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경로에 대해 경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route processing unit 24 may transmit the generated route to the user terminal 10 and provide route guidance for a rout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도 4에서,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10), SNS 서버(30)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이고, 제어부는 상술한 각 유닛들을 관리, 처리하는 유닛이다.In FIG. 4, the communication unit is a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SNS server 30, and the control unit is a unit that manages and processes each of the above-described units.

한편,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경로 안내 서버(20)에는 부가서비스 처리부와 같은 추가 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서비스 처리부는, 복수의 사용자(본 발명의 경로 안내 서비스의 전체 사용자)들이 입력하는 검색어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실시간 인기 검색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부가서비스 처리부는 추천 검색어를 제공할 수 있다. 추천 검색어는 복수의 사용자(본 발명의 경로 안내 서비스의 전체 사용자)들의 나이, 성별, 취향 등의 사용자 정보와 실제 입력한 검색어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도출될 수 있다. 또한, 부가서비스 처리부는 날씨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route guidance server 2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unit such as an additional service processing unit. The additional service processing unit may provide search word information input by a plurality of users (all users of the route guidanc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al time.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al-time popular search word. In addition, the additional service processing unit may provide a recommended search word. The recommended search word may be derived by analyzing user information such as age, gender, taste, etc. of a plurality of users (all users of the route guidanc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actually input search word. In addition, the additional service processing unit may provide the weather.

부가서비스 처리부는 상술한 기능을 모두 처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세부 유닛으로 분리되어 상술한 기능 중 일부를 처리할 수 있다. 부가서비스 처리부는 인공지능을 포함하여 학습할 수 있다.The additional service processing unit may process all of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and may be separated into detailed units as necessary to process some of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The additional service processing unit can learn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 route guidance method using an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oute guidance method using an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ime seri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SNS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어가 태깅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SNS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에 태깅된 태그 중, 상기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POI 정보의 추천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추천순위에 따라, 복수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목적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추천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에 대한 경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경로 요청된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Collecting a plurality of SNS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tagged with the search word from a route guidance SNS server using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ing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from a tag indicating the POI of the image among tags tagged to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Determining a recommendation order of the POI information; Transmitting a recommendation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I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ranking, and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I information together; Receiving, from a user terminal, a route request for at least one destination among the recommended destinations; And generating a route to a destination for which the route is requested and transmitting the route to the user terminal.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은, 검색어 수신 단계(S110), SNS 정보 수집 단계(S120), 이미지의 POI 정보 획득 단계(S130), POI 정보의 추천순위 결정 단계(S140), 사용자 단말에 추천목적지 및 이미지 전송 단계(S150), 경로 요청 수신 단계(S160), 경로 생성하여 전송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6, a route guidance method using an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rch word receiving step (S110), a SNS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20), an image POI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S130), and a POI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a recommendation priority (S140), a step of transmitting a recommendation destination and an image to the user terminal (S150), a step of receiving a path request (S160), and a step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path (S170).

검색어 수신 단계(S11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경로 안내 서버가 상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특히, 검색어의 최전단에 #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경로 안내 서버는 SNS 정보를 이용하게 된다.The search word receiving step (S110) is a step in which the route guidance server receives the search word when the user inputs a search word in the user terminal. In particular, when # is included in the front end of the search word, the route guidance server uses the SNS information.

만약, 검색어에 #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경로 안내 서버는 SNS 정보를 이용하지 않으며, 일반 네비게이션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기저장된 POI 리스트로부터 검색어에 해당하는 POI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경로를 생성 및 안내할 수 있다.If # is not included in the search word, the route guidance server does not use SNS information, and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general navigation. That is, a POI corresponding to a search word may b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from a previously stored POI list, and a route may be generated and guided according to a user request.

SNS 정보 수집 단계(S120)는 #검색어가 입력된 경우 SNS 서버로부터 SNS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로, 크롤링, 스크랩핑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SNS 정보 수집 시, 상기 검색어가 태깅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SNS 정보를 수집한다. The SNS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20) is a step of collecting SNS information from an SNS server when a # search word is input, and a crawling or scraping technique may be used. When collecting SNS information, a plurality of SNS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tagged with the search word is collected.

수집되는 SNS 정보는, SNS에 업로드 된 '이미지', 그리고 이미지에 태깅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예를 들어,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이미지의 인기도(좋아요수, 하트수, 공감수 등), 댓글(내용, 댓글 개수 등)도 SNS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밖에, SNS 정보는 SNS 서버에 저장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llected SNS information may include a'image' uploaded to the SNS, and at least one'tag (eg, #+text)' tagged to the image. Also, the popularity of the image (number of likes, number of hearts, number of sympathies, etc.) and comments (content, number of comments, etc.) may be included in the SNS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NS information may include all information stored in the SNS server.

이미지의 POI 정보 획득 단계(S130)는 수집된 SNS 정보로부터 이미지의 POI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에 태깅된 태그 중, 상기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step of obtaining POI information of an image (S130) is a step of obtaining POI information of an image from collected SNS information. Specifically, among tags tagged to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may be obtained from a tag indicating the POI of the image.

상기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가 기저장된 POI 리스트에 포함된 것인 경우, 상기 태그를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기저장된 POI 리스트는 전국의 상호명, 지명 그리고 그에 대한 주소를 포함하는 리스트일 수 있다. When a tag indicating the POI of the image is included in a pre-stored POI list, the tag may be determined as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The pre-stored POI list may be a list including national business names, geographical names, and addresses for them.

상기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가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와 관련도가 높은 것을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이미지와의 관련도는 태그의 텍스트와 이미지의 내용의 매칭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ags indicating the POI of the image, it may be determined as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that has a high relevance to the image. The degree of relevance to the image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text of the tag matches the content of the image.

POI 정보의 추천순위 결정 단계(S140)는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테스트)의 태깅횟수, 이미지의 인기도(좋아요수, 하트수, 공감수 등), 이미지의 댓글 수, 이미지의 최신순 등에 따라 POI 정보의 추천순위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ecommendation ranking of POI information (S140) is a POI according to the number of tags (tests) representing the POI of the image, the popularity of the image (likes, hearts, sympathies, etc.), the number of comments on the image, the latest order of the image, etc. This i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anking of information recommendations.

사용자 단말에 추천목적지 및 이미지 전송 단계(S150)는 추천순위에 따라, 복수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목적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이다.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recommendation destination and image to the user terminal (S150), the recommendation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I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ranking, but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I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gether. It is a step to do.

즉, 추천순위 상위 N개의 POI 정보에 해당하는 추천목적지를 제공하면서, 상기 POI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전송할 이미지는 이미지의 인기도(좋아요수, 하트수, 공감수 등), 이미지의 댓글 수, 이미지의 최신순 등에 따라 산출되는 지수로 결정될 수 있다. That is, as a step of transmit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I information while providing a recommendation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top N POIs in the recommendation ranking, the image to be transmitted is the popularity of the image (number of likes, number of hearts, number of sympathies, etc.), image It can be determined by an index calcul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mments and the latest order of images.

경로 요청 수신 단계(S16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추천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에 대한 경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이다.The route request receiving step (S160) is a step of receiving a route request for at least one destination among the recommended destinations from the user terminal.

경로 생성하여 전송 단계(S170)는 경로 요청된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선택된 목적지가 복수인 경우에는 복수의 목적지를 모두 경유할 수 있는 경로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경로는 복수로 전송될 수 있다. In the step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route (S170), a route to a destination for which the route is requested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lected destinations, a route capable of passing through all of the plurality of destinations may be generat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paths may be transmitted.

이후에, 경로 안내 서버는 사용자의 경로 선택에 따라 경로 안내를 전송(제공)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route guidance server may transmit (provide) the route guidance according to the user's route selec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은, 검색어 수신 단계(S210), SNS 정보 수집 단계(S220), POI 정보 유효성 판단 단계(S230), SNS 정보 분류 단계(S240), SNS 정보 선별 단계(S250), POI 정보 추천순위 결정 단계(S260), SNS 정보 저장 단계, 추천목적지 및 이미지 전송 단계(S270), 경로 요청 수신 단계(S280), 경로 생성하여 전송 단계(S29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route guidance method using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rch word receiving step (S210), SNS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220), POI information validity determination step (S230), and SNS information classification step. (S240), SNS information selection step (S250), POI information recommendation priority determination step (S260), SNS information storage step, recommendation destination and image transmission step (S270), route request receiving step (S280), path creation and transmission step It may include (S290).

다만, 각 단계의 선후 관계는 반드시 상술한 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SNS 정보 분류 단계(S240), SNS 정보 선별 단계(S250)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step is not necessarily limited as described above, and may vary as necessary. For example, the SNS information classification step (S240) and the SNS information selection step (S250) may be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검색어 수신 단계(S21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경로 안내 서버가 상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로, 앞서 설명한 S110과 동일할 수 있다. The search word receiving step S210 is a step in which the route guidance server receives the search word when the user inputs the search word in the user terminal, and may be the same as S110 described above.

SNS 정보 수집 단계(S220)는 #검색어가 입력된 경우 SNS 서버로부터 SNS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로 앞서 설명한 S120과 동일할 수 있다.The SNS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220) is a step of collecting SNS information from the SNS server when a # search word is input, and may be the same as S120 described above.

POI 정보 유효성 판단 단계(S230)는 수집된 SNS 정보로부터 이미지의 POI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POI 정보가 유효한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POI 정보의 유효성 판단 결과,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SNS 정보는 더 이상 처리되지 않을 수 있다(삭제되거나 처리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POI 정보 유효성 판단 시, 검색어와 동일한 텍스트 외에 다른 텍스트의 태그가 있는 경우, 상기 태그가 기저장된 POI 리스트에 포함된 텍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POI information validity determination step (S230) is a step of obtaining POI information of an image from the collected SNS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POI information is valid.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POI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valid, the corresponding SNS information may not be processed any more (it may be deleted or excluded from processing). When determining the validity of POI information, if there is a tag of text other than the same text as the search wor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tag is a text included in a pre-stored POI list.

수집된 SNS 정보에서 획득한 POI 정보 중 어느것도 유효하지 않다면, 다시 SNS 정보 수집 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 If none of the POI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llected SNS information is valid, you can go back to the stage of collecting SNS information.

SNS 정보 분류 단계(S240)는 획득된 POI 정보에 따라 SNS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는 단계이다. SNS 정보는 상기 카테고리 별로 저장되거나, SNS 정보에 해당 카테고리가 표시되어 저장될 수 있다. The step of classifying SNS information (S240) is a step of classifying SNS information by category according to the obtained POI information. The SNS information may be stored for each category, or a corresponding category may be displayed and stored in the SNS information.

SNS 정보 선별 단계(S250)는 SNS 정보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SNS 정보를 선별하는 단계이다. SNS 정보의 적합성을 판단한 결과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SNS 정보를 더 이상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SNS 정보의 적합성은, 이미지 내용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미지의 내용은 상술한 이미지 판단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SNS 정보의 적합성 판단 시, 인물이 포함된 이미지, 단위시간 당 인기도 상승률이 기준값 이상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SNS 정보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SNS 정보 처리부는 폴링(falling) 기법 등으로 SNS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The step of selecting SNS information (S250) is a step of selecting SNS information by determining suitability of the SNS information.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suitability of the SNS information, the SNS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inappropriate may no longer be processed. The suitability of SNS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by image content. The content of the image may be determined by the above-described image determination unit. When determining the suitability of the SNS information, SN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mage including a person and an image whose popularity increase rate per unit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may be determined to be inappropriate. The SN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may select SNS information using a falling technique or the like.

POI 정보 추천순위 결정 단계(S260)는 적합성 판단 결과 적합하다고 판단된 SNS 정보에서 POI 정보 추천순위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POI 정보의 추천순위는, SNS 정보 집단 내에서 해당 POI 텍스트의 태깅횟수(해시태깅된 횟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POI information recommendation priority determining step (S260) is a step of determining a POI information recommendation priority from SNS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suitable as a result of the suitability determination. The recommendation order of POI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number of hash-tagged) of the corresponding POI text within the SNS information group.

SNS 정보 저장 단계는 SNS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로 SNS 정보는 제2 DB에 저장될 수 있다. SNS 정보 저장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The step of storing SNS information is a step of storing SNS information, and the SNS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second DB. The step of storing SNS information may be omitted.

추천목적지 및 이미지 전송 단계(S270)는 추천순위에 따라, 복수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목적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로, 앞서 설명한 S150과 동일할 수 있다. The recommended destination and image transmission step (S270)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recommended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I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ranking, but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I information together. , It may be the same as S150 described above.

경로 요청 수신 단계(S280)는 상기 추천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에 대한 경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The route request receiving step (S280) is a step of receiving a route request for at least one destination among the recommended destinations.

경로 생성하여 전송 단계(S290)는 경로 요청된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이다. 선택된 목적지가 복수인 경우에는 복수의 목적지를 모두 경유할 수 있는 경로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경로는 복수로 전송될 수 있다. In the step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route (S290), a route to a destination requested for a rout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 and a route is guided according to a user inpu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lected destinations, a route capable of passing through all of the plurality of destinations may be generat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paths may be transmitted.

이후에, 경로 안내 서버는 사용자의 경로 선택에 따라 경로 안내를 전송(제공)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route guidance server may transmit (provide) the route guidance according to the user's route selec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10), 서비스 서버(20), SNS 서버(30)의 관계 속에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route guidanc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in a relationship between a user terminal 10, a service server 20, and an SNS server 30.

SNS 서버(30)는 SNS에 업로드되는 게시물과 그에 대한 반응 정보 등을 저장(S301)할 수 있다.The SNS server 30 may store posts uploaded to the SNS and reaction information thereto (S301).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의 입력부로 검색어를 입력(S302)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서비스 서버(20)로 검색어를 전송(S303)할 수 있다. The user may input a search word to the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10 (S302). The user terminal 10 may transmit a search word to the service server 20 (S303).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이 전송한 검색어를 수신하고, 해당 검색어가 #검색을 요청하는지 여부를 판단(S320)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은 네비게이션의 일반 목적지 직접 검색과 달리 SNS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주제(테마)에 대응되는 목적지를 검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service server 20 may receive the search word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10 and determine whether the search word # requests a search (S320). Here, “#search” means searching for a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opic (theme) using SNS information, unlike direct search for a general destination in the navigation.

서비스 서버(20)는 검색어의 최전단에 #가 있는지에 따라 #검색 요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검색어가 #검색어(#+검색어)인 경우, 서비스 서버(20)는 검색어를 토대로 SNS 정보를 검색(S304)하고 SNS 정보를 수집(S305)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는 크롤링, 스크랩핑 기법을 통해 SNS 정보를 SNS 서버(30)로부터 가져올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20 may determine whether to request a search #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 at the front end of the search word. When the search word is # search term (# + search term), the service server 20 may search for SNS information based on the search word (S304) and collect SNS information (S305). The service server 20 may obtain SNS information from the SNS server 30 through a crawling and scraping technique.

수집되는 SNS 정보는, SNS에 업로드 된 '이미지', 그리고 이미지에 태깅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예를 들어,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이미지의 인기도(좋아요수, 하트수, 공감수 등), 댓글(내용, 댓글 개수 등)도 SNS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밖에, SNS 정보는 SNS 서버에 저장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llected SNS information may include a'image' uploaded to the SNS, and at least one'tag (eg, #+text)' tagged to the image. Also, the popularity of the image (number of likes, number of hearts, number of sympathies, etc.) and comments (content, number of comments, etc.) may be included in the SNS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NS information may include all information stored in the SNS server.

서비스 서버(20)는 수집된 SNS 정보로부터 POI 정보를 획득(S306)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는 수집된 SNS 정보를 POI 카테고리별로 분류(S307)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는 수집된 SNS 정보를 선별(S308)할 수 있다. 즉, 수집된 SNS 정보 중, 인물 이미지가 포함된 것이나, 광고성 이미지가 포함된 것은 제외할 수 있다. SNS 정보 처리부는 폴링(falling) 기법 등으로 SNS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20 may acquire POI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SNS information (S306). The service server 20 may classify the collected SNS information by POI category (S307). The service server 20 may select collected SNS information (S308). That is, among the collected SNS information, one containing a person image or one containing an advertising image may be excluded. The SN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may select SNS information using a falling technique or the like.

서비스 서버(20)는 POI 정보의 추천순위를 결정(S301)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는 추천순위, POI 정보, SNS 정보를 저장(S310)할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20 may determine a recommendation priority of POI information (S301). The service server 20 may store recommendation ranking, POI information, and SNS information (S310).

서비스 서버(20)는 추천목적지 및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S311)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는 이미지의 인기도, 해당 추천목적지의 태깅횟수 등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는 복수의 추천목적지 및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S311)할 수 있다. 추천목적지 및 이미지는 지도 상에 실제 위치에 대응되게 표시될 수 있다. 추천목적지 및 이미지는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20 may transmit the recommended destination and image to the user terminal (S311). The service server 20 may transmit information such as the popularity of the image and the number of times of tagging the corresponding recommended destination together. The service server 20 may transmit a plurality of recommended destinations and images to the user terminal (S311). The recommended destination and image may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actual location on the map. Recommended destinations and images can be displayed in a list format.

사용자 단말(10)에 추천목적지 및 이미지, 나아가 이미지의 인기도, 해당 추천목적지의 태깅횟수 등의 정보가 표시(S312)될 수 있다. 사용자의 목적지 선택 입력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은 서비스 서버(20)에 목적지 선택 및 경로를 요청(S313)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복수의 목적지에 대해 경로를 요청할 수 있다.Information such as a recommended destination and an image, a popularity of an image, and the number of times of tagging a corresponding recommended destin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 (S312 ).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of selecting a destination, the user terminal 10 may request the service server 20 to select a destination and a route (S313). The user terminal 10 may request a route for a plurality of destinations.

서비스 서버(20)는 선택된 목적지에 따라 경로를 생성(S314)할 수 있고, 선택된 목적지가 복수인 경우 모든 목적지를 경유할 수 있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경로는 복수일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20 may generate a route according to the selected destination (S314), and if there are a plurality of selected destinations, it may generate a route through which all destinations can be passed. There may be a plurality of generated paths.

서비스 서버(20)는 생성된 경로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S315)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는 경로가 표시(S312)되며, 경로는 지도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경로는 복수로 표시될 수 있고, 복수의 경로 중 하나만 선택될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20 may transmit the generated path to the user terminal (S315). A route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S312), and the route may be displayed on a map. A plurality of routes may be displayed, and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routes may be selected.

사용자의 경로 선택 입력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은 서비스 서버(20)에 경로 선택 및 안내를 요청(S317)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는 경로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S318)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user's path selection input, the user terminal 10 may request the service server 20 for path selection and guidance (S317). The service server 20 may transmit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S318).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이 사용자 단말(10)에서 구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9 to 16 are diagrams showing how a route guidance method using S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user terminal 10.

도 9는 사용자가 경로 안내 서버를 구동한 첫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에는 회원가입 창이 표시될 수 있다. 회원가입 창(401)은 이름 입력칸, 메일주소 입력칸, 비밀번호 입력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나이, 성별, 취향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칸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회원가입된 사용자라면, 로그인 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설정에 따라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는 유지될 수 있다. 9 may be the first screen in which the user drives the route guidance server. A member registration window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 The member registration window 401 may include a name input box, an email address input box, a password input box, and the like. Furthermore, a field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user's age, gender, taste, etc. may be added. On the other hand, if you are a user who has already registered as a member, you can move to the login window. In addition, the login state of the user may be maintained according to the setting.

도 10은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다. 사용자 단말(10) 화면에는 검색창(402)이 표시되어 있다. 검색창에는 #과 같은 기호가 디폴트(default) 값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 기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0 is a screen in which a user can input a search word. A search window 402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A symbol such as # may be displayed as a default value in the search box, an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enter the # symbol. However, it is not limited in this way.

검색창(402)에는 검색하기를 요청할 수 있는 검색 아이콘(403)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In the search window 402, a search icon 403 for requesting a search may be displayed together.

사용자 단말(10) 화면에는 목적지를 직접 검색하기 위한 버튼(404)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0에는 '바로검색' 버튼으로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일반 네비게이션과 같이 #검색어가 아닌 목적지를 바로 검색하고자 할 때, '바로검색' 버튼을 이용할 수 있다. '바로검색' 버튼을 입력하면, 검색창(402)에 # 기호가 사라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바로검색' 버튼은 삭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를 직접 입력하면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이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를 입력하지 않고 검색어를 입력하면, 일반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A button 404 for directly searching for a destin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In FIG. 10, it is indicated by a'direct search' button. When a user wants to directly search for a destination other than a #search word like in general navigation, the'Direct Search' button can be used. When the'direct search' button is input, the # symbol may disappear in the search window 402. If necessary, the'direct search' button can be deleted. In this case, if the user directly inputs # and inputs a search word, # search is performed, and if the user inputs a search word without entering #, a general search may be performed.

사용자 단말(10) 화면에는 #검색어를 추천받기 위한 버튼(405)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0에는 '추천받기' 버튼으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검색어를 추천받고자 할 때, '추천받기' 버튼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추천받기' 버튼을 입력조작하면, 사용자의 나이, 성별, 취향 등을 고려한 #검색어를 추천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검색어 추천은 인공지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A button 405 for recommending a # search term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In FIG. 10, it is indicated by a'receive recommendation' button. When the user wants to receive a recommendation for a #search term, the user can use the'request recommendation' button. If the user inputs and operates the'receive recommendation' button, the #search word considering the user's age, gender, taste, etc. can be recommended. This #search word recommendation can be made by artificial intelligence.

사용자 단말(10) 화면에는 날씨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 화면에는 실시가 #검색어 순위(406)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간 #검색어 순위는 현재 타 사용자들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인기 순위이다. Weather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In addi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the real ## search word ranking 406 may be displayed. The real-time #search word ranking is the popularity ranking of #search words currently entered by other users.

도 11은 사용자가 검색창(402)에 #검색어로서 #부산여행을 입력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11 shows a state in which a user inputs #Busan travel as a #search word in the search window 402.

도 12는 사용자가 검색창(402)에 #부산여행을 입력하고 검색 아이콘(403)을 입력조작한 상태를 나타낸다. 12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inputs #Busan travel in the search window 402 and inputs the search icon 403.

사용자 단말(10)에 #부산여행 결과가 표시되고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에는 상위 5개의 POI 정보에 따른 추천목적지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추천목적지의 위치(P), 추천목적지에 대한 SNS 이미지(I), 추천목적지의 정보(S)가 표시된다. #Busan travel result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 That is, the user terminal 10 is provided with recommended destinations according to the top five POI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location of the recommended destination (P), the SNS image of the recommended destination (I), and information of the recommended destination (S) are displayed.

추천목적지의 위치(P)는 지도(M) 상의 실제 위치에 표시된다. 추천목적지에 대한 SNS 이미지(I)는 이미지의 인기도(좋아요수, 하트수, 공감수 등) 및 댓글수에 따라 산출되는 지수가 높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추천목적지의 정보(S)에는 추천목적지의 순위, 상호명(또는 지명), 추천목적지의 인기도, 이미지의 인기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cation (P) of the recommended destination is displayed on the actual location on the map (M). The SNS image (I) for the recommended destination may be determined to have a high index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opularity of the image (number of likes, number of hearts, number of sympathies, etc.) and number of comments. The information (S) of the recommended destination may include the ranking of the recommended destination, a business name (or place name), the popularity of the recommended destination, and the popularity of the image.

도 12에서, 추천목적지의 순위는 동그라미 번호로 나타나며, 상호명(또는 지명)은 동그라미 번호 뒤의 텍스트로 나타나며, 추천목적지의 인기도는 #+숫자로 나타나며, 이미지의 인기도는 하트+숫자로 나타나고 있다. In FIG. 12, the ranking of the recommended destinations is indicated by a circle number, a business name (or place name) is indicated by the text after the circle number, the popularity of the recommended destination is indicated by # + number, and the popularity of the image is indicated by heart + number.

한편, 제공되는 추천목적지에는 체크 가능한 버튼(C)이 함께 표시되며, 사용자는 상기 버튼(C)을 조작(터치 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checkable button (C) is also displayed on the provided recommended destination, and the user can operate (touch, etc.) the button (C).

사용자 단말(10)에는 추천목적지를 인기순위로 보기 위한 버튼(407)과 최신순위로 보기 위한 버튼(408)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Best Top 5' 버튼과 'Recent Top 5' 버튼으로 표시되어 있다. On the user terminal 10, a button 407 for viewing the recommended destinations in popularity ranking and a button 408 for viewing in the latest ranking may be displayed. In FIG. 12, the'Best Top 5'button and the'Recent Top 5'button are indicated.

'Best Top 5' 버튼은 인기순위가 높은 5개의 POI 정보에 해당하는 추천목적지를 표시하라는 명령 버튼이고, 'Recent Top 5' 버튼은 최신순위가 높은 5개의 POI 정보에 해당하는 추천목적지를 표시하라는 명령 버튼일 수 있다. 각 버튼에는 체크 가능한 아이콘이함께 표시될 수 있다.The'Best Top 5'button is a command button to display the recommended destinations corresponding to the 5 POI information with the highest popularity, and the'Recent Top 5'button is a command button to display the recommended destinations corresponding to the 5 POI information with the latest ranking. It could be a command button. Each button may be displayed with a checkable icon.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결과는, 사용자 단말(10)에 인기순위가 높은 상위 5개의 추천목적지가 디폴트로서 우선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Recent Top 5' 버튼의 체크 아이콘을 입력조작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10)에는 최신순위가 높은 5개의 추천목적지가 표시될 수 있다. As a result of inputting the # search term by the user, the top five recommended destinations having a high popularity priority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 as a default. When the user inputs and operates the check icon of the'Recent Top 5'button, the user terminal 10 may display five recommended destinations with the highest priority.

사용자 단말(10)에는 추천목적지를 카테고리별로 표시하라는 명령 버튼(409)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2에는 '카테고리 선택' 버튼으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카테고리 선택' 버튼을 입력조작하게 되면, 카테고리 옵션 창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그 중 하나의 카테고리를 선택입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추천목적지가 상위 5개로 표시될 수 있다. On the user terminal 10, a command button 409 to display the recommended destinations by category may be displayed. In FIG. 12, it is shown as a'category selection' button. When the user inputs the'select category' button, a category option window is displayed, and the user can select and input one of the categories, and accordingly, the recommended destinations for the corresponding category can be displayed as the top five. have.

사용자 단말(10)에는 추천목적지 결과를 리스트 형식으로 보기 위한 버튼(410), 지도(M) 상에서 보기 위한 버튼(411), 현재 위치를 알기 위한 버튼(412) 등이 표시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 may display a button 410 for viewing the recommended destination result in a list format, a button 411 for viewing on the map M, a button 412 for knowing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like.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결과, 추천목적지는 사용자 단말(10)에의 지도(M) 상에서 우선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스트 형식으로 보기 위한 버튼(410)을 조작(터치 등)하면, 추천목적지는 리스트 형식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현재 위치를 알고자 할 때는 사용자는 현재 위치를 알기 위한 버튼(412)을 조작(터치 등)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user inputting the # search word, the recommended destination may be displayed first on the map M on the user terminal 10. When the user manipulates (touch, etc.) the button 410 for viewing in a list format, the recommended destination may be changed and displayed in a list format. In addition, when trying to know the current location, the user can manipulate (touch, etc.) a button 412 for knowing the current location.

사용자 단말(10)에는 경로요청 하기 위한 버튼(413)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버튼(413)은 사용자가 추천목적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체크(체크 버튼(C)을 입력조작)하였을 때만 활성화될 수 있다. 도 12에는 '경로요청' 버튼으로 도시되어 있다. A button 413 for requesting a route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 The button 413 may be activated only when the user checks at least one of the recommended destinations (input operation of the check button C). In Fig. 12, it is shown as a'route request' button.

도 13은 추천목적지 결과를 리스트 형식으로 보기 위한 버튼(410)이 활성화되어 추천목적지 결과가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button 410 for viewing the recommended destination results in a list format is activated and the recommended destination results are displayed in a list format.

도 13에서는 도 12와 동일한 결과가 순위대로 리스트 형식으로 나타난다. 사용자는 지도(M) 상에 표시되는 형태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지도(M) 상에서 보기 위한 버튼(411)을 입력조작할 수 있다. 한편, 추천목적지가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된 경우에도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는 체크 버튼(C)이 사용자 단말(10)에 표시되며, 경로요청 버튼(413)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선택한 경우에만 활성화될 수 있다. In FIG. 13, the same results as in FIG. 12 are displayed in a list format in order of order. The user may input and operate a button 411 for viewing on the map M in order to return to the form displayed on the map M.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recommended destination is displayed in a list format, a check button C for the user to select at least one destination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route request button 413 allows the user to select at least one destination. It can only be activated when selected.

도 14에서는 사용자가 추천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 화면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①AA제과와 ⑤EE카페 두 개를 선택하였다. 이후, 사용자는 경로요청 버튼(413)을 입력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경로요청 버튼(413)을 조작하면, 경로 안내 서버는 경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14 shows a screen in which a user selects at least one of recommended destinations. The user chose ①AA confectionery and ⑤EE cafe. Thereafter, the user can input the route request button 413.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route request button 413, the route guidance server may receive a route request.

도 15는 복수의 경로(R)가 제공된 화면을 나타낸다. 경로(R)는 지도(M) 상에 도시될 수 있다. 복수의 목적지가 선택된 경우, 모든 목적지를 경유할 수 있는 최적의 경로(R)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5에서 출발지(414)는 현위치일 수 있고(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경유지(415) 및 도착지(416) 사용자가 선택한 목적지로 결정될 수 있다. 15 shows a screen in which a plurality of paths R are provided. The route R may be shown on the map M. When a plurality of destinations are selected, an optimal route R capable of passing through all destinations may be provided. In FIG. 15, the departure point 414 may be the current location (or may vary according to user settings), and the stopover point 415 and the destination 416 may be determined as destinations selected by the user.

사용자 단말(10)에는 경로(R)에 대한 정보(417)가 표시될 수 있다. 경로(R)는 추천경로, 최단경로, 무료경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로(R)에 대한 정보(417)는 경로(R)의 거리, 소요 시간, 소요 비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formation 417 about the path R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 The route R may include a recommended route, a shortest route, a free route, and the like. The information 417 on the route R may include a distance, a required time, a required cost, and the like of the route R.

사용자는 복수의 경로(R)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경로(R)에 대한 정보(417)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The user may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routes R. A user selectable button may be provided in the information 417 on the path R.

사용자 단말(10)에는 경로안내 요청 버튼(418)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경로안내 요청 버튼(418)을 입력조작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경로에 대해 경로 안내가 시작될 수 있다.A route guidance request button 418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 When the user inputs the route guidance request button 418, route guidance may be started for the route selected by the user.

도 16은 도 10에서 사용자가 목적지를 직접 검색하기 위해 '바로검색' 버튼을 입력조작하고, 검색창(402)에 AA카페를 입력한 후, 검색 아이콘(403)을 입력조작한 결과를 도시한다. 즉, 도 16은 #검색이 아닌 일반검색 기능에 대한 결과이다. 사용자 단말(10)에는 #검색을 위한 버튼(419)이 마련될 수 있다.FIG. 16 shows the result of a user inputting a'direct search' button to directly search for a destination in FIG. 10, inputting an AA cafe in the search window 402, and then inputting a search icon 403. . That is, FIG. 16 is a result of the general search function, not the # search. The user terminal 10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419 for #search.

검색 결과는 지도(M)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검색 결과는 목적지 위치(P), 목적지명(N), 선택버튼(C)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목적지를 선택하여 경로요청 버튼(413)을 통해 경로를 요청할 수 있다. The search result may be displayed on the map (M). The search result may be displayed as a destination location (P), a destination name (N), a selection button (C), and the like. The user may select a destination and request a route through the route request button 413.

상술한 사용자 단말 화면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발명의 내용이 상기의 예시대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described user terminal screen is exemplary, and the content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added once again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due to obvious changes or substitution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1: 사용자
2: 경로 안내 서비스
3: SNS
10: 사용자 단말
20: 경로 안내 서버
30: SNS 서버
1: user
2: route guidance service
3: SNS
10: user terminal
20: route guidance server
30: SNS server

Claims (8)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SNS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어가 태깅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SNS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에 태깅된 태그 중, 상기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POI 정보의 추천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추천순위에 따라, 복수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목적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추천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에 대한 경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경로 요청된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Receiving a search word from a user terminal;
Collecting, from an SNS server, a plurality of SNS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tagged with the search word;
Obtaining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from a tag indicating the POI of the image among tags tagged to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Determining a recommendation order of the POI information;
Transmitting a recommendation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the POI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ranking, and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I information together;
Receiving, from a user terminal, a route request for at least one destination among the recommended destinations; And
Including the step of generating a route to the requested destination and transmitting the route to the user terminal,
Route guidance method using S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가 기저장된 POI 리스트에 포함된 것인 경우,
상기 태그를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로 결정하는,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of obtaining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When the tag indicating the POI of the image is included in the pre-stored POI list,
Determining the tag as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Route guidance method using S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가 복수인 경우,
상기 이미지와 관련도가 높은 것을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로 결정하는,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of obtaining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When there are multiple tags representing the POI of the image,
Determining that the image has a high relationship as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Route guidance method using S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순위는, 상기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의 태깅횟수에 의해 결정되는,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ommendation priority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agging tags representing the POI of the image,
Route guidance method using S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의 인기도, 상기 이미지에 대한 댓글수, 상기 이미지의 최신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산출되는 지수에 따라 결정되는,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an index calculated by at least one of the popularity of the image, the number of comments on the image, and the latest order of the image,
Route guidance method using S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POI 정보에 따라 상기 SNS 정보를 기설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step of obtaining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lassifying the SNS information by preset category according to the POI information,
Route guidance method using S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SNS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SNS 정보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인물이 포함된 이미지, 단위시간 당 인기도 상승률이 기준값 이상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SNS 정보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step of collecting the plurality of SNS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uitability of the SNS information,
SN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mage including a person and an image whose popularity increase rate per unit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is determined to be inappropriate,
Route guidance method using SNS.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면, SNS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어가 태깅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SNS 정보를 수집하는 SNS 정보 처리부;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에 태깅된 태그 중, 상기 이미지의 POI를 나타내는 태그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POI 정보를 획득하는 POI 정보 처리부;
상기 POI 정보의 추천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추천순위에 따라, 복수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목적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POI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SNS 정보의 상기 이미지를 함께 전송하는 추천목적지 처리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에 대한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면, 경로 안내 요청된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경로 처리부를 포함하는,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버.
When receiving a search word from a user terminal, an SN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collects a plurality of SNS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tagged with the search word from an SNS server;
A POI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obtains POI information of the image from a tag indicating a POI of the image among tags tagged to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A recommendation for determining a recommendation priority of the POI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recommendation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I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priority, but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SN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I information together Destination processing unit; And
When receiving a route guidance request for at least one destination from the user terminal, comprising a route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route to the destination for which the route guidance has been requested and transmitting it to the user terminal,
Route guidance server using SNS.
KR1020190103126A 2019-08-22 2019-08-22 Method for guiding route with sns and server therefor KR202100232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126A KR20210023214A (en) 2019-08-22 2019-08-22 Method for guiding route with sns and server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126A KR20210023214A (en) 2019-08-22 2019-08-22 Method for guiding route with sns and server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214A true KR20210023214A (en) 2021-03-04

Family

ID=7517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126A KR20210023214A (en) 2019-08-22 2019-08-22 Method for guiding route with sns and server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321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3656B2 (en) Tag suggestions for images on online social networks
US10282354B2 (en) Detecting social graph elements for structured search queries
AU2016247154B2 (en) Filtering structured search queries based on privacy settings
US10430477B2 (en) Personalized structured search queries for online social networks
US201200662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search results by extending search to contacts of social networks
EP2690569B1 (en) Method and system, in particular relating to structured search queries based on social-graph information
EP2519016A2 (en) Collaborative decision-making for deriving micro-recommendations for offsite users
US20190340537A1 (en) Personalized Match Score For Places
CA2913461C (en) Tag suggestions for images on online social networks
US20140025702A1 (en) Filtering Structured Search Queries Based on Privacy Settings
US9244930B1 (en) Geotagged hashtags
US20140280090A1 (en) Obtaining rated subject content
JP6167022B2 (en) Map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er terminal, and map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5836892B2 (en)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for tagging identification name of geographical feature to event location
US20140273993A1 (en) Rating subjects
KR20210023214A (en) Method for guiding route with sns and server therefor
AU2015203474A1 (en) Structured search queries based on social-graph information
EP2690568A1 (en) Method and system, in particular relating to personalized structured search queries for online social networks
KR20120122896A (en) Collaborative decision-making for deriving micro-recommendations for offsite users and device thereof
Jiang et al. The ethnic culture tourism system design based on the mobile technology
KR20170047966A (en) Method for composing automatically to humanities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