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898A - Methode and apparatus of grading clothing including subsidiiary elements - Google Patents

Methode and apparatus of grading clothing including subsidiiary ele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898A
KR20210021898A KR1020200040798A KR20200040798A KR20210021898A KR 20210021898 A KR20210021898 A KR 20210021898A KR 1020200040798 A KR1020200040798 A KR 1020200040798A KR 20200040798 A KR20200040798 A KR 20200040798A KR 20210021898 A KR20210021898 A KR 20210021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ding
pattern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va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2069B1 (en
Inventor
오승우
마재환
김보라
김예지
Original Assignee
(주)클로버추얼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로버추얼패션 filed Critical (주)클로버추얼패션
Priority to US16/996,465 priority Critical patent/US11151786B2/en
Priority to CN202010840451.1A priority patent/CN112395787A/en
Publication of KR20210021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8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0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16Rotation, translation, sca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24Style var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provided are a method for grading clothing including a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nd a device thereof.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calculating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between a 3D original avatar and a 3D target avatar; calculating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of a 2D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clothing worn on the 3D original avatar based on th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grading information for grading a 2D pattern to correspond to the 3D target avatar based on the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ncluded in the original clothing; extracting at least one polygon matching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mong a plurality of polygons modeling the 2D pattern; and grad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based on the grad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polygon.

Description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및 장치{METHODE AND APPARATUS OF GRADING CLOTHING INCLUDING SUBSIDIIARY ELEMENTS}TECHNICAL FIELD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grading clothing including subsidiary material elements TECHNICAL FIELD

실시예들은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grading a garment including subsidiary material elements.

의상(clothes)은 사람이 착용한 경우에 3차원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2차원 패턴(pattern)에 따라 재단된 천(fabric) 조각의 조합에 해당하므로 2차원에 가깝다. 의상의 재료가 되는 천은 유연(flexible)하기 때문에 착용한 사람의 신체 모양이나 움직임에 따라 그 모습이 시시각각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력, 바람, 또는 신체와의 충돌에 의해서 착용한 의상이 흘러내리거나, 주름이 지고 접힐 수 있다. Clothes appear three-dimensional when worn by a person, but are actually two-dimensional because they correspond to a combination of fabric pieces cut according to a two-dimensional pattern. Since the fabric used for the clothing is flexible, its appearance can change from moment to moment depending on the shape or movement of the wearer's body. For example, due to gravity, wind, or collision with the body, the worn garment may run down, wrinkle and fold.

그레이딩(Grading)은 입체 재단이나 평면 제도에 의해서 제작된 한 가지 사이즈의 패턴을 등차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소스 아바타(Source Avatar)와 타겟 아바타(Target Avatar) 간의 사이즈 또는 포즈가 상이한 경우, 소스 아바타를 기초로 타겟 아바타의 다양한 사이즈 및 포즈에 맞춰 자동으로 의상뿐만 아니라 의상의 부자재 요소를 함께 그레이딩하는 방법이 요구된다.Grading refers to a work of equally expanding or reducing a pattern of one size produced by draping or planar drafting. For example, if the size or pose between the source avatar and the target avatar is different, based on the source avatar, not only the costume but also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s of the costume are automatically added according to the various sizes and poses of the target avatar. A method of grading is requir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2차원 패턴의 그레이딩에 따라 변형되는 부자재 요소의 위치 및 크기를 자동으로 변형하여 부자재 요소에 대한 별도의 작업 없이 변형된 타겟 아바타의 사이즈에 맞게 디자인된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가상 의상을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virtual including subsidiary elements designed to fit the size of the transformed target avatar by automatically chang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subsidiary element that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grading of the 2D pattern. Costume can be implemen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레이딩에 의해 2차원 패턴의 크기가 자동으로 변형됨에 따라 사용자가 편집 시에 입력했던 포인트가 함께 이동되어 부자재 요소의 위치에 대한 새로운 지정이 없이도 의상 및 부자재에 대한 자동 그레이딩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the size of the two-dimensional pattern is automatically deformed by grading, the point input at the time of editing by the user is moved together, so that automatic grading of clothes and subsidiary materials is performed without a new designation of the position of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You can do 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2차원 패턴의 외곽선을 따라 버튼, 버튼 홀, 고무줄, 지퍼, 스티치, 및 파이핑 등과 같은 부자재 요소를 자동으로 그레이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subsidiary material elements such as buttons, buttonholes, rubber bands, zippers, stitches, and piping may be automatically graded along the outline of a two-dimensional patter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은 3차원 원본 아바타와 3차원 타겟 아바타 간의 3차원 변형(strain)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3차원 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원본 아바타에 착장되는 원본 의상에 대응하는 2차원 패턴의 2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2차원 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2차원 패턴을 상기 3차원 타겟 아바타에 대응되도록 그레이딩하는 그레이딩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원본 의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2차원 패턴을 모델링하는 복수의 다각형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에 매칭(matching)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including a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ncludes: calculating 3D strain information between a 3D original avatar and a 3D target avatar; Calculating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of a 2D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clothing worn on the 3D original avatar based on th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grading information for grading the 2D pattern to correspond to the 3D target avatar based on the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ncluded in the original clothing; Extracting at least one polygon match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from among a plurality of polygons modeling the 2D pattern; And grad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based on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는 그래픽(graphic) 속성에 대응하는 제1 유형의 부자재 요소; 편집(edit) 속성에 대응하는 제2 유형의 부자재 요소; 및 라인(line) 속성에 대응하는 제3 유형의 부자재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may include a first type of subsidiary element corresponding to a graphic attribute; A second type of subsidiary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edit attribute; And at least one of a third type of subsidiary material element corresponding to a line attribute.

상기 2 차원 패턴은 복수의 패턴 조각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턴 조각들 각각은 상기 3차원 원본 아바타의 체형에 기초한 다각형 메쉬(polygon mesh)-상기 다각형 메쉬는 상기 복수의 다각형들을 포함함-로 모델링될 수 있다. The 2D pattern includes a plurality of pattern piece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pattern pieces is a polygon mesh based on the body shape of the 3D original avatar-the polygon mesh includes the plurality of polygons. Can be modeled.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부자재 요소의 유형 별로, 상기 2차원 패턴을 모델링하는 복수의 다각형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racting of the at least one polygon may include extracting at least one polygon match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from among a plurality of polygons modeling the 2D pattern for each type of the subsidiary element. have.

상기 부자재 요소가 제1 유형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2차원 패턴의 다각형 메쉬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의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레이어(graphic layer)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레이어가 형성된 다각형 메쉬의 꼭지점(vertex)과 상기 부자재 요소의 텍스쳐 좌표(texture coordinate)를 매칭시킴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of the first type, the extracting of the at least one polygon may include forming at least one graphic layer having the shape of the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on the polygonal mesh of the two-dimensional pattern. step; And extracting at least one polygon matching the at least one sub-material element by matching a vertex of the polygon mesh on which the at least one graphic layer is formed and a texture coordinate of the sub-material element. I can.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레이어는 그래픽 이미지, 노멀맵(Normal Map), 및 컬러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graphic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raphic image, a normal map, and a color layer.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레이어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rading of the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may include grad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by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at least one graphic layer based on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Can include.

상기 부자재 요소가 제2 유형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2차원 패턴의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포인트에 핀(pin)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2 차원 패턴의 다각형 메쉬 상에 상기 핀 이미지에 대응하는 좌표(barycentric coordination)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좌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다각형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of the second type, the extracting of the at least one polygon may include setting at least one first point for fixing the 2D pattern; Displaying a pin image at the first point; Inputting a barycentric coordination corresponding to the pin image on the polygonal mesh of the two-dimensional pattern; And extracting at least one polygon match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olygons based on the coordinates.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자재 요소의 다각형 메쉬를 변형하는 단계; 상기 변형된 다각형 메쉬 상에서 상기 핀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된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변형된 좌표에 상기 핀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변형된 좌표에 상기 고정을 위한 제2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기초로, 상기 변형된 다각형 메쉬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rading of the at least one sub-material element may include deforming a polygonal mesh of the sub-material element based on the grad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polygon; Calculating deformed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pin image on the deformed polygonal mesh; Displaying the pin image on the deformed coordinates and setting a second point for fixing at the deformed coordinates; And grad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from the deformed polygonal mesh based on the second point.

상기 부자재 요소가 제3유형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2차원 패턴 중 상기 부자재 요소가 적용되는 패턴 조각의 다각형 메쉬에 상기 부자재 요소를 매개화(parameterize)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of the third type, the extracting of the at least one polygon may be performed in the polygonal mesh of the pattern piece to which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applied among the 2D patterns, based on the grad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polygon. It may include the step of extracting the at least one polygon by parameterizing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의 유형 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rading of the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may include grad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for each type of the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based on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를 그레이딩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2차원 패턴에서의 외곽선의 곡률 및 상기 2 차원 패턴에서의 재봉선의 길이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유지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를 그레이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rading of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may include maintaining at least one of a curvature of an outline in the 2D pattern and a length ratio of a sewing line in the 2D pattern based on the grad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polygon. It may include the step of grading one subsidiary material.

상기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3차원 원본 아바타와 상기 3차원 타겟 아바타 간의 변형을 대응되는 메쉬 단위로 각각 맵핑함으로써 상기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lculating of th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alculating th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by mapping transformations between the 3D original avatar and the 3D target avatar in a corresponding mesh unit.

상기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3차원 원본 아바타와 상기 3차원 타겟 아바타 간에 변형이 존재하는 변형 부분과 상기 변형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2 차원 패턴의 패턴 조각 간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 관계를 기초로, 상기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lculating of th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determining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a transformation part in which transformation exists between the 3D original avatar and the 3D target avatar and a pattern piece of the 2D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transformation part; And calculating th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mapping relationship.

상기 2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2차원 패턴의 곡선에 상기 부자재 요소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2차원 패턴의 곡선에 접선 방향으로 상기 2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lculating of the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alculating the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in a tangent direction to the curve of the 2D pattern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applied to the curve of the 2D pattern.

상기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 중 버튼 및 버튼 홀에 대한 그룹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2차원 패턴의 외곽선에서 상기 버튼과 그룹으로 설정된 버튼 홀까지의 거리, 상기 2차원 패턴에서 상기 버튼 홀이 생성되는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 상기 2차원 패턴에 상기 버튼 홀이 생성되는 방향, 상기 2차원 패턴에 생성되는 버튼 홀들의 개수, 상기 버튼 홀들 간의 간격(interval), 상기 버튼 홀들의 속성 및 상기 버튼 홀들의 스타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부자재 요소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grading a garment including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comprises: receiving a group setting for a button and a button hole amo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nd a distance from the outline of the 2D pattern to the button hole set as the button and the group, a start position and an end position at which the button hole is created in the 2D pattern, a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hole is created in the 2D pattern, In the step of receiving a user selection for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button holes generated in the two-dimensional pattern, an interval between the button holes, the attribute of the button holes, and the style of the button holes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상기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의해 그레이딩된 상기 2차원 패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의해 그레이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적용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garment grading method including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pplies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graded by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to the two-dimensional pattern graded by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가 스케일링이 요구되는 유형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의 미리 정해진 규격들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들에 따라, 스케일링 된 부자재 요소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규격들 중 어느 하나의 규격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ading of the at least one sub-material element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at least one sub-material element is a type requiring scaling; Determining whether there are predetermined standards of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nd selecting one of the predetermined standards based on the scaled size of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s.

상기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의 유형 별로 상기 그레이딩의 적용 여부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grading a garment including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setting for whether to apply the grading for each type of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장치는 3차원 원본 아바타와 3차원 타겟 아바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3차원 원본 아바타와 3차원 타겟 아바타 간의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3차원 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원본 아바타에 착장되는 원본 의상에 대응하는 2차원 패턴의 2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2차원 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2차원 패턴을 상기 3차원 타겟 아바타에 대응되도록 그레이딩하는 그레이딩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원본 의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식별하고, 상기 2차원 패턴을 모델링하는 복수의 다각형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의해 그레이딩된 상기 2차원 패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의해 그레이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가 적용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apparatus for grading a garment including a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ncludes: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s selection of a 3D original avatar, a 3D target avatar, and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Calculat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3D original avatar and the 3D target avatar, and based on th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of a 2D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clothing worn on the 3D original avatar Calculating, based on the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grading information for grading the 2D pattern to correspond to the 3D target avatar, identifying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ncluded in the original clothing, and the 2 A processor for extracting at least one polygon matching the at least one sub-material element from among a plurality of polygons modeling a dimensional pattern, and grading the at least one sub-material element based on grad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polygon; And an output device configured to output a result of apply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graded by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to the 2D pattern graded by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일 측에 따르면, 2차원 패턴의 그레이딩에 따라 변형되는 부자재 요소의 위치 및 크기를 자동으로 변형하여 부자재 요소에 대한 별도의 작업 없이 변형된 타겟 아바타의 사이즈에 맞게 디자인된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가상 의상을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a virtual costume including a subsidiary element designed to fit the size of the transformed target avatar by automatically chang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subsidiary element that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grading of the 2D pattern without any additional work on the subsidiary element. Can be implemented.

일 측에 따르면, 그레이딩에 의해 2차원 패턴의 크기가 자동으로 변형됨에 따라 사용자가 편집 시에 입력했던 포인트가 함께 이동되어 부자재 요소의 위치에 대한 새로운 지정이 없이도 의상 및 부자재에 대한 자동 그레이딩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as the size of the 2D pattern is automatically deformed by grading, the point entered at the time of editing by the user is moved together, and automatic grading of the clothing and subsidiary materials is performed without a new designation of the position of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can do.

일 측에 따르면, 2차원 패턴의 외곽선을 따라 버튼, 버튼 홀, 고무줄, 지퍼, 스티치, 및 파이핑 등과 같은 부자재 요소를 자동으로 그레이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subsidiary material elements such as buttons, button holes, rubber bands, zippers, stitches, and piping may be automatically graded along the outline of the two-dimensional patter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원본 의상의 다각형을 타겟 의상의 다각형으로 변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2차원 패턴의 2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그레이딩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13은 실시예들에 따라 부자재 요소의 유형 별로,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장치의 블록도.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including subsidiary material elemen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calculating 3D deform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transforming a polygon of an original garment into a polygon of a target gar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calculating 2D deformation information of a 2D patter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determining gra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to 13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grading sub-material elements according to types of sub-material elements according to embodiments.
14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grading clothes including subsidiary material elemen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to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장치(이하, '그레이딩 장치')는 3차원 원본 아바타와 3차원 타겟 아바타 간의 3차원 변형(strain) 정보를 산출한다(110). 이하에서, '원본 아바타'는 그레이딩의 대상이 되는 의상, 다시 말해 원본 의상이 착장되는 가상의 3차원 객체에 해당할 수 있다. '타겟 아바타'는 원본 의상을 변형하여 새로이 생성하고자 하는 타겟 의상에 대응하는 신체 사이즈를 갖는 가상의 3차원 객체에 해당할 수 있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including subsidiary material elemen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 a garment grading apparatus (hereinafter,'grading apparatus') including a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calculates 3D strain information between a 3D original avatar and a 3D target avatar ( 110). Hereinafter, the'original avatar' may correspond to a costume to be graded, that is, a virtual 3D object on which the original costume is worn. The'target avatar' may correspond to a virtual 3D object having a body siz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costume to be newly created by transforming the original costume.

원본 아바타 및/또는 타겟 아바타는 예를 들어, 신체 치수, 각 신체 부분의 위치 좌표, 및 특징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징점들'은 가상 의상을 3차원 아바타에 착장시킬 때 주요 위치가 되는 3차원 아바타 상의 지점들에 해당할 수 있다. 특징점들은 예를 들어, 3 차원 아바타의 양 팔, 양 손목, 좌우 몸통, 양 어깨, 머리, 목, 양 다리, 좌우 하반신, 양 발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골반, 엉덩이, 배, 가슴, 양 손, 양 발, 양 팔꿈치, 양 무릎, 양 손가락 끝, 양 손가락 사이, 양 손등, 양 발등, 양 발가락 끝, 및 양 발 뒤꿈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The original avatar and/or the target avatar may include, for example, body dimensions, position coordinates of each body part, and feature points. 'Features' may correspond to points on the 3D avatar that become main positions when the virtual clothes are worn on the 3D avatar. Feature points are, for example, both arms, both wrists, left and right torso, both shoulders, head, neck, both legs, left and right lower body, both ankles, armpits, groin, pelvis, hips, belly, chest, both hands of the 3D avatar. It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both feet, both elbows, both knees, both fingertips, between both fingers, the back of both hands, both insteps, both toe ends, and both heels.

원본 아바타 및/또는 타겟 아바타는 예를 들어, 아래의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위 도형의 다각형 메쉬(polygon mesh)로 모델링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단위 도형은 3차원 다면체(예를 들어, 사면체 등)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쉬에 포함되는 단위 도형이 다각형이며, 특히 삼각형인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원본 아바타를 구성하는 메쉬를 '제1 메쉬'라고 부르고, 제1 메쉬에 포함되는 삼각형을 '제1 삼각형'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타겟 아바타를 구성하는 메쉬를 '제2 메쉬'라고 부르고, 제2 메쉬에 포함되는 삼각형을 '제2 삼각형'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The original avatar and/or the target avatar may be modeled as, for example, a polygon mesh of a unit figure as shown in FIG. 3 below. In some cases, the unit figure may be a three-dimensional polyhedron (for example, a tetrahedr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unit figure included in the mesh is a polygon, and in particular, it is a triangle. The mesh constituting the original avatar will be referred to as a'first mesh', and a triangle included in the first mesh will be referred to as a'first triangle'. In addition, the mesh constituting the target avatar will be referred to as a'second mesh', and a triangle included in the second mesh will be referred to as a'second triangle'.

그레이딩 장치는 예를 들어, 3차원 원본 아바타와 3차원 타겟 아바타 간의 변형을, 대응되는 메쉬 단위로 각각 맵핑함으로써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변형 정보'은 원본 아바타의 각 신체 부위가 타겟 아바타에서 얼마나 변형되었는지와 같은 변형 정도로 이해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예를 들어, 아바타의 메쉬(mesh)를 구성하는 단위 삼각형을 기초로,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삼각형'은 예를 원본 아바타의 제1 메쉬를 구성하는 제1 삼각형 및/또는 타겟 아바타의 제2 메쉬를 구성하는 제2 삼각형에 해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그레이딩 장치는 제1삼각형과 제2 삼각형 간의 차이를 기초로,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가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은 아래의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grading apparatus may calculat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by mapping transformations between the 3D original avatar and the 3D target avatar in units of corresponding meshes, for example. Here, th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may be understood as a degree of transformation equal to how much each body part of the original avatar is transformed in the target avatar. The grading apparatus may calculate 3D deformation information based on, for example, a unit triangle constituting a mesh of the avatar. Here, the'unit triangle'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a first triangle constituting the first mesh of the original avatar and/or a second triangle constituting the second mesh of the target avatar. In other words, the grading apparatus may calculate 3D deform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riangle and the second triangle. A method of calculating the 3D deformation information by the grad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below.

그레이딩 장치는 3차원 변형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원본 아바타에 착장되는 원본 의상에 대응하는 2차원 패턴의 2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한다(120). '원본 의상'은 3차원 원본 아바타에 착장되는 의상으로서, 3차원의 가상 의상에 해당할 수 있다. '타겟 의상'은 3차원 타겟 아바타에 착장되는 의상으로서 마찬가지로 가상의 3차원 의상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본 의상 및 타겟 의상은 복수의 꼭지점들(vertices)이 서로 연결된 다각형의 메쉬로 모델링될 수 있다. 이하, 원본 의상을 구성하는 메쉬를 '제3 메쉬'라 부르고, 제3 메쉬에 포함되는 삼각형을 '제3 삼각형'이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타겟 의상을 구성하는 메쉬를 '제4 메쉬'라 부르고, 제4 메쉬에 포함되는 삼각형을 '제4 삼각형'이라 부르기로 한다. The grading apparatus calculates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of a 2D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clothes worn on the 3D original avatar based on th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120). The'original costume' is a costume worn on the 3D original avatar, and may correspond to a 3D virtual costume. A'target costume' is a costume worn on a 3D target avatar and may correspond to a virtual 3D costume similarly. In an embodiment, the original clothing and the target clothing may be modeled as a polygonal mesh in which a plurality of vert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inafter, a mesh constituting the original garment will be referred to as a'third mesh', and a triangle included in the third mesh will be referred to as a'third triangle'. In addition, a mesh constituting the target garment will be referred to as a'fourth mesh', and a triangle included in the fourth mesh will be referred to as a'fourth triangle'.

일 실시예에서 3차원의 가상 의상을 구성하는 메쉬(예를 들어, 제3 메쉬 또는 제4메쉬)의 삼각형의 크기는 시뮬레이션될 때 움직임의 섬세함 정도에 따라 부위별로 달리 모델링될 수도 있고, 모두 동일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ize of a triangle of a mesh (for example, a third mesh or a fourth mesh) constituting a 3D virtual garment may be modeled differently for each part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licacy of movement when simulated, and all are the same. You may.

일반적으로 '착장(draping)'은 바디(body)에 직접 천을 대면서 디자인을 창작하거나, 예정된 디자인의 다트나 이음을 재단하면서 입체적으로 의상을 완성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착장'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2차원 패턴 또는 2차원 패턴의 패턴 조각들을 결합하여 3D 의상 객체를 3차원 아바타에 입히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general,'draping' refers to a technique of creating a design by directly applying a cloth to a body, or completing a costume in three dimensions by cutting a dart or joint of a predetermined desig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wearing' may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putting a 3D clothing object on a 3D avatar by combining pattern pieces of a 2D pattern or a 2D pattern by a computer program.

원본 아바타의 체형은 키 및/또는 몸무게에 따라 체격에 나타나는 특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른 체형, 표준 체형, 상체 비만 체형, 하체 비만 체형, 상, 하체 비만 체형, 마른 비만 체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본 아바타의 체형은 예를 들어, 2차원 패턴에 의해 제작되는 원본 의상을 착용할 대상자의 신체 치수 또는 인종별, 나이별 및/또는 성별에 따른 평균인의 신체 치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body type of the original avatar can be classified as a feature that appears in the physique according to the height and/or weight, for example, skinny body, standard body, upper body obesity, lower body obesity, upper and lower body obesity, skinny obesity, etc. It may include. The body shape of the original avatar may be determined based on, for example, a body size of a subject who will wear the original costume produced by a two-dimensional pattern or an average person's body size according to race, age, and/or gender.

원본 의상 및 타겟 의상과 같은 3차원 의상은 각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패턴 조각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2차원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패턴은 3차원 가상 의상(virtual clothes)의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후술하는 도 5의 510 및 530과 같이 복수의 삼각형들의 집합으로 모델링되는 가상의 2차원 패턴일 수 있다. 2 차원 패턴은 복수의 패턴 조각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패턴 조각들 각각은 3차원 원본 아바타의 체형에 기초한 다각형 메쉬로 모델링될 수 있다. 이때, 다각형 메쉬는 복수의 다각형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clothes, such as the original clothes and the target clothes, may be composed of one two-dimensional pattern including pattern pieces corresponding to each body part. The 2D patter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be a virtual 2D pattern modeled as a set of a plurality of triangles as shown in 510 and 530 of FIG. 5 to be described later for simulation of 3D virtual clothes. The 2D pattern includes a plurality of pattern piece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pattern pieces may be modeled as a polygonal mesh based on the body shape of the 3D original avatar. In this case, the polygon mesh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lygons.

실시예들에 따른 메쉬는 다양하게 모델링 될 수 있다. 일례로, 메쉬에 포함되는 다각형의 꼭지점들은 질량을 가지고 있는 점(point mass)이며, 다각형의 변들은 그 질량을 연결하는 탄성을 가지고 있는 스프링들로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 따른 2차원 패턴은 예를 들어, 질량-스프링 모델(Mass-Spring Model)에 의해 모델링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들은 사용되는 천(fabric)의 물성에 따라 예를 들어, 신축(stretch), 비틀림(shear), 및 굽힘(bending)에 대한 각 저항값(resist)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메쉬는 스트레인(strain) 모델로 모델링될 수 있다. 메쉬에 포함되는 다각형은 삼각형으로 모델링되거나, 혹은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모델링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3차원 볼륨(volume)을 모델링해야 하는 경우, 메쉬는 3차원 다면체로 모델링될 수 있다.The mesh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be model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vertices of a polygon included in the mesh are point masses, and sides of the polygon may be expressed as springs having elasticity connecting the masses. Accordingly, the 2D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modeled by, for example, a mass-spring model. Here, the springs may have resistance values for, for example, stretch, shear, and bending accor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abric to be used. Alternatively, the mesh may be modeled with a strain model. The polygon included in the mesh may be modeled as a triangle, or may be modeled as a polygon of more than a square. In some cases, when a 3D volume needs to be modeled, the mesh may be modeled as a 3D polyhedron.

메쉬에 포함된 꼭지점들은 중력 등과 같은 외부적인 힘(external force)과 신축, 비틀림, 및 굽힘의 내부적인 힘(internal force)의 작용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외부적인 힘과 내부적인 힘을 계산하여 각 꼭지점에 가해지는 힘을 구하면, 각 꼭지점의 변위 및 움직임의 속도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시점(time step)의 메쉬의 다각형의 꼭지점들의 움직임을 통하여 가상 의상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다각형 메쉬로 이루어진 2차원 패턴을 3차원의 아바타에 착장시키면 물리 법칙에 기반한 자연스러운 모습의3차원 가상 의상을 구현할 수 있다.The vertices included in the mesh may move according to the action of an external force such as gravity and an internal force of stretching, twisting, and bending. If the external force and the internal force are calculated and the force applied to each vertex is obtained, the displacement and movement speed of each vertex can be obtained. And it is possible to simulate the movement of the virtual garment through the movement of the vertices of the polygon of the mesh at each time step. When a two-dimensional pattern made of a polygonal mesh is worn on a three-dimensional avatar, a natural-looking three-dimensional virtual garment based on the laws of physics can be implemented.

그레이딩 시에 원본 아바타와 타겟 아바타 간의 볼륨이나 형태는 달라지지만, 예를 들어, 각 아바타를 구성하는 메쉬의 연결 관계 및/또는 메쉬를 구성하는 삼각형들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During grading, the volume or shape between the original avatar and the target avatar is different, but, for example,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meshes constituting each avatar and/or the number of triangles constituting the mesh may be the same.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원본 의상을 구성하는 2차원 패턴을 '원본 패턴'이라 부르고, 타겟 의상을 구성하는 2차원 패턴을 '타겟 패턴'이라 부르기로 한다. 2차원 패턴은 복수의 패턴 조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원본 패턴을 구성하는 메쉬를 '제5 메쉬'라 부르고, 제5 메쉬에 포함되는 삼각형을 '제5 삼각형'이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타겟 패턴을 구성하는 메쉬를 '제6 메쉬'라 부르고, 제6 메쉬에 포함되는 삼각형을 '제6 삼각형'이라 부르기로 한다. 이때, 각 메쉬에 포함되는 삼각형의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각 메쉬에 포함되는 삼각형의 꼭지점들의 위치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각 메쉬에 포함되는 삼각형의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각 메쉬에 포함되는 삼각형의 무게 중심의 위치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가 2차원 패턴의 2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은 아래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wo-dimensional pattern constituting the original costume will be referred to as “original pattern”, and the two-dimensional pattern constituting the target costume will be referred to as “target pattern”. The 2D pattern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ttern pieces. The mesh constituting the original pattern will be referred to as a'fifth mesh', and a triangle included in the fifth mesh will be referred to as a'fifth triangle'. In addition, a mesh constituting the target pattern is referred to as a'sixth mesh', and a triangle included in the sixth mesh is referred to as a'sixth triangle'.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riangle included in each mesh may correspond to location information of vertices of a triangle included in each mesh, for example. Alternative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riangle included in each mesh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location information of a center of gravity of a triangle included in each mesh. A method of calculating the 2D deformation information of the 2D pattern by the grad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below.

그레이딩 장치는 단계(120)에서 산출한 2차원 변형 정보에 기초하여, 2차원 패턴을 3차원 타겟 아바타에 대응되도록 그레이딩하는 그레이딩 정보를 결정한다(130). 여기서, '그레이딩(grading)'은 원래 한 사이즈의 패턴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사이즈(들)의 패턴(들)을 생성하는 방법을 말한다. 새롭게 만들어진 사이즈의 타겟 패턴은 타겟 아바타에 잘 맞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원본 아바타가 타겟 아바타의 사이즈로 변형된 만큼 원본 패턴의 사이즈도 타겟 패턴의 사이즈로 변형되어야 한다. 하지만, 원본 아바타의 사이즈가 신체 부위 별로 제각각 변형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타겟 아바타에 맞는 정확한 타겟 패턴을 생성할 수 없다. The grading apparatus determines grading information for grading the 2D pattern to correspond to the 3D target avatar based on the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calculated in step 120 (130). Here,'grading' refers to a method of generating pattern(s) of different size(s) based on a pattern of one size originally. The newly created target pattern should be designed to fit the target avatar. To this end, as the original avatar is transformed into the size of the target avatar, the size of the original pattern must be transformed into the size of the target pattern.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original avatar is changed for each body part, if this is not considered, an accurate target pattern suitable for the target avatar cannot be generated.

일 실시예에서는 원본 아바타의 사이즈가 신체 부위 별로 제각각 변형되는 점을 고려하여 원본 패턴의 사이즈 역시 신체 부위 별로 변형시키고, 이를 타겟 아바타 및 타겟 아바타의 타겟 패턴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함으로써 타겟 아바타를 위한 보다 정확한 타겟 패턴의 패턴 조각들을 제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ize of the original pattern is also changed for each body part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size of the original avatar is changed for each body part, and it is applied to the target avatar and the target pattern of the target avatar, so that a more accurate target for the target avatar. Pattern pieces of patterns can be produced.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딩 방법은 원본 아바타에 입혀진 원본 의상을 사이즈 및/또는 체형이 다른 타겟 아바타에 맞도록 타겟 의상의 패턴을 자동으로 그레이딩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가 그레이딩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은 아래의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gra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automatically grade a pattern of the target clothing so that the original clothing worn on the original avatar fits a target avatar having a different size and/or body shape. A method of determining the grading information by the grad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below.

그레이딩 장치는 원본 의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식별한다(14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는 의상의 2차원 패턴에 부착되는 버튼, 버튼 홀, 그래픽 이미지, 지퍼 등과 같은 다양한 부자재들 이외에도 2차원 패턴 또는 2차원 패턴에 부착되는 부자재의 편집 시에 이용되는 다양한 그래픽 데이터 및/또는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rading device identifies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ncluded in the original garment (140). Here,'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used when editing subsidiary materials attached to a two-dimensional pattern or a two-dimensional pattern in addition to various subsidiary materials such as buttons, button holes, graphic images, zippers, etc. attached to a two-dimensional pattern of clothes. It may include various graphic data and/or texture data.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는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속성에 대응하는 제1 유형의 부자재 요소, 편집(edit) 속성에 대응하는 제2 유형의 부자재 요소, 및 라인(line) 속성에 대응하는 제3 유형의 부자재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is, for example, a subsidiary element of a first type corresponding to a graphic attribute, a subsidiary element of a second type corresponding to an edit attribute, and a second subsidiary element corresponding to a line attribut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ree types of subsidiary material elements.

그래픽 속성은 부자재를 그래픽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하는 속성으로서, 그레이딩 장치는 그래픽 속성을 가진 부자재의 그레이딩 시에 위치 변경뿐 아니라 스케일링까지 고려해야 한다. 제1 유형의 부자재 요소는 예를 들어 무늬, 색상, 로고, 자수, 캐릭터, 패브릭 등과 같은 재료(Material) 이외에도 버튼(button), 버튼 홀(button hole), 지퍼(zipper), 고무줄, 스티치(stich), 바인딩(bindng), 및 파이핑(pip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raphic attribute is an attribute that enables a subsidiary material to be transformed graphically, and the grading device must consider not only the position change but also the scaling when grading the subsidiary material having the graphic attribute. Subsidiary elements of the first type are, for example, buttons, button holes, zippers, rubber bands, stitches, in addition to materials such as patterns, colors, logos, embroidery, characters, fabrics, etc. ), binding, and piping.

파이핑은 예를 들어, 여성 가방에서 모서리(테두리)를 따라서 둥글게 말아서 재봉하는 것을 의미하며 규격화 및/또는 비규격화 속성 모두 가능하다. 지퍼는 길이 및 너비 등이 그래픽적으로는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규격화될 수 있다. 따라서, 그레이딩 장치는 지퍼의 그레이딩 시에 가장 비슷한 규격의 사이즈를 자동으로 골라서 추천하거나, 또는 가장 비슷한 규격의 사이즈로 변경할 수 있다. Piping means, for example, sewing by rolling it along an edge (border) in a women's bag, and both standardized and/or non-standardized properties are possible. The length and width of the zipper can be freely deformed graphically, but can be standardized in practice. Accordingly, the grading apparatus may automatically select and recommend the size of the most similar standard when grading the zipper, or may change the size to the size of the most similar standard.

버튼 및 버튼 홀은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원 패턴의 앞판 패턴 조각에 5개의 버튼들 및 5개의 버튼 홀들이 부착된다고 하자. 이 경우, 5개의 버튼들이 하나의 버튼 그룹으로 설정되고, 5개의 버튼 홀들이 하나의 버튼 홀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버튼 홀 각각은 2차원 패턴 상에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되므로 그래픽 속성을 갖는 제1 유형의 부자재 요소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버튼 홀 그룹 또는 버튼 그룹은 2차원 패턴의 외곽선을 따라 배치되므로 라인(line) 속성에 대응하는 제3 유형의 부자재 요소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자재 요소는 어느 한 유형에 해당할 수도 있고, 복수의 유형에 해당할 수도 있다. Buttons and buttonholes may be set as a group by a user, for example. For example, suppose that 5 buttons and 5 button holes are attached to the front panel pattern piece of a two-dimensional pattern. In this case, five buttons may be set as one button group, and five button holes may be set as one button hole group. At this time, each button hole is displayed as a graphic image on a two-dimensional pattern, and thus may correspond to a first type of subsidiary material element having a graphic property. Also, since the buttonhole group or the button group is arranged along the outline of the 2D pattern, it may correspond to a third type of subsidiary material element corresponding to a line property. As such,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may correspond to one type or may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types.

지퍼는 2차원 패턴 상에 양쪽 지퍼 라인으로 표시되고, 지퍼 라인의 길이는 예를 들어, 2차원 패턴의 길이의 0.9배 또는 0.7배와 같이 파라미터화 될 수 있다. The zipper is indicated by both zipper lines on the two-dimensional pattern, and the length of the zipper line can be parameterized, for example, 0.9 times or 0.7 times the length of the two-dimensional pattern.

그레이딩 장치는 이후 그레이딩 시에 예를 들어, 부자재 요소인 지퍼의 지퍼 라인을 한 변으로 하는 다각형 매쉬를 이용하여 지퍼 라인에 수직한 방향의 스케일링을 산출하고, 스케일링 결과를 평균내서 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퍼의 규격이 존재하는 경우, 그레이딩 장치는 지퍼 라인에 수직한 방향의 스케일링에 의해 산출된 지퍼의 길이 및 폭에 가장 가까운 규격의 지퍼에 의해 부자재 요소인 지퍼를 그레이딩할 수 있다. During subsequent grading, the grading apparatus calculates scal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zipper line using, for example, a polygon mesh with the zipper line of the zipper as a subsidiary material as one side, and averages the scaling results to determine the width. . For example, when a zipper standard exists, the grading apparatus may grade the zipper, which is a subsidiary material, by a zipper having a standard closest to the zipper length and width calculated by scal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zipper line.

편집 속성은 패턴 조각의 편집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설정되는 속성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유형의 부자재 요소는 예를 들어, 핀(pin), 트림(Trim), 시침(Tack), 매저(measure), 및 기초선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diting property may correspond to a property temporarily set for editing of a pattern piece. The second type of subsidiary element may include, for example, a pin, a trim, a tack, a measure, and a baseline setting.

핀은 2차원 패턴 또는 패턴 조각 상의 한 점으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2차원 패턴 또는 패턴 조각 상에 핀을 설정한 경우, 그레이딩 장치는 그레이딩 시에 핀에 매칭되는 메쉬의 다각형의 좌표를 이동시킬 수 있다. Pins can be represented as a two-dimensional pattern or a point on a piece of pattern. When a user sets a pin on a two-dimensional pattern or pattern piece, the grading apparatus may move the coordinates of a polygon of a mesh matching the pin during grading.

트림은 3차원 의상 상의 한 점에 3차원 객체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트림 시에 접합점은 3차원 객체의 중심이 아닐 수도 있고, 여러 점들일 수도 있다.Trim allows a 3D object to be placed at a point on the 3D garment. When trimming, the junction point may not be the center of the 3D object or may be multiple points.

시침은 3차원 의상 상에 선택된 두 개의 포인트들을 임시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시침은 사용자가 핀 등을 통해 포인트들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시침에 의해 선택 각 점에 대응하는 메수의 다각형을 이동시킬 수 있다. The hour hand can be fixed by temporarily connecting two selected points on the 3D garment. The hour hand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selecting points through a pin or the like. The grading apparatus may move a polygon of menumbers corresponding to each selected point by the hour hand.

매저는 3차원 의상 상 또는 2차원 패턴 상의 두 개 이상의 연속된 점들로 이루어진 기초선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The maser may measure the length of a baseline consisting of two or more consecutive points on a 3D garment or a 2D pattern.

버튼 그룹은 3차원 의상 상의 한 점에 버튼 및 버튼 홀의 위치를 설정 또는 편집할 수 있다. 편집 속성의 경우 예를 들어, 부자재의 그레이딩 시에 위치 변경만이 고려될 수 있다. The button group can set or edit the positions of buttons and button holes at a point on the 3D clothing. In the case of the editing attribute, for example, only the position change can be considered when grading the subsidiary material.

라인 속성은 2차원 패턴의 패턴 조각의 라인에 매개화되어 설정되는 속성에 해당할 수 있다. 제3 유형의 부자재 요소는 예를 들어, 버튼 및 버튼 홀의 그룹, 지퍼, 바인딩, 파이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그룹 및/또는 버튼 홀의 그룹은 2차원 패턴의 외곽선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갖고, 또한 2차원 패턴의 외곽선 메쉬의 접선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라인 속성에 대응하는 제3 유형의 부자재 요소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버튼 그룹 및/또는 버튼 홀 그룹은 단일 스케일 축에 따라 같게 또는 다르게 스케일될 수 있다.The line attribute may correspond to an attribute set by being mediated on a line of a pattern piece of a two-dimensional pattern. The third type of subsidiary element may include, for example, a group of buttons and buttonholes, zippers, bindings, piping, and the like. The button group and/or the button hole group may correspond to the third type of subsidiary material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line property, since the button group and/or the button hole group have a certain interval from the outline of the 2D pattern and can be deformed in the tangent direction of the outline mesh of the 2D pattern. have. In this case, the button group and/or the button hole group may be scaled equally or differently according to a single scale axis.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는 예를 들어, 그레이딩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14의 1410 참조)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것일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 중 버튼 및 버튼 홀에 대한 그룹 설정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그레이딩 장치는 2차원 패턴의 외곽선에서 버튼 홀까지의 거리, 2차원 패턴에서 버튼 홀이 생성되는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 2차원 패턴에 버튼 홀이 생성되는 방향, 2차원 패턴에 생성되는 버튼 홀들의 총 개수, 버튼 홀들 간의 간격(interval), 버튼 홀들의 속성 및 버튼 홀들의 스타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may be input by a user through,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of the grading apparatus (see 1410 of FIG. 14). The grading apparatus may receive, for example, a group setting for a button and a button hole among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through a user interface. In addition, the grading device includes the distance from the outline of the 2D pattern to the button hole, the starting and ending positions of the button hole in the 2D patter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hole is created in the 2D pattern, and the button created in the 2D pattern. A user selection for a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otal number of holes, an interval between button holes, attributes of button holes, and styles of button holes may be input.

그레이딩 장치는 2차원 패턴을 모델링하는 복수의 다각형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에 매칭(matching)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한다(150). 그레이딩 장치는 예를 들어, 부자재 요소의 유형 별로, 2차원 패턴을 모델링하는 복수의 다각형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가 부자재 요소의 유형 별로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방법은 아래의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grading apparatus extracts at least one polygon matched with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from among a plurality of polygons modeling a 2D pattern (150 ). The grading apparatus may extract at least one polygon matching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from among a plurality of polygons modeling a 2D pattern for each type of subsidiary element. A method of extracting at least one polygon for each type of sub-material element by the grad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3 below.

그레이딩 장치는 단계(150)에서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한다(160). 그레이딩 장치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의 유형 별로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는 단계(130)에서 결정한 2차원 패턴의 그레이딩 정보 중 부자재 요소에 매칭되는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The grading apparatus grades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based on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extracted in step 150 (160 ). The grading apparatus may grade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for each type of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based on, for example, grad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olygon. In this case, the grad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polygon may correspond to the grading information of the polygon matched to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mong the grading information of the 2D pattern determined in step 130.

예를 들어, 부자재 요소가 2차원 패턴의 곡선에 있는 경우, 그레이딩 장치는 곡선의 접선 방향으로 변형 정보를 계산하고, 변형 정보의 평균으로 부자재 요소가 적용되는 2차원 패턴의 폭을 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ub-material element is in a curve of a two-dimensional pattern, the grading apparatus may calculate deformation information in a tangential direction of the curve, and adjust the width of the two-dimensional pattern to which the sub-material element is applied as an average of the deformation information.

또는 그레이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2차원 패턴에서의 외곽선의 곡률 및 2 차원 패턴에서의 재봉선의 길이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유지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를 그레이딩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grading apparatus may grad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while maintaining at least one of a curvature of an outline in a 2D pattern and a length ratio of a sewing line in a 2D pattern based on the grad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olygon.

단계(160)에서, 그레이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의해 그레이딩된 2차원 패턴에,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의해 그레이딩된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적용시키고, 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In step 160, the grading apparatus applies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graded according to the grad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olygon to the two-dimensional pattern graded by the grad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olygon, and outputs the result. I can.

실시예에 따라서, 그레이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의 유형 별로 그레이딩의 적용 여부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부자재 요소에 대한 그레이딩 적용 여부가 '오프(OFF)'로 설정된 경우, 그레이딩 장치는 부자재 요소의 원본의 크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레이딩 장치는 그레이딩 정보에 의해 그레이딩된 2차원 패턴에, 원본의 크기가 그대로 유지된 부자재 요소를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부자재 요소에 대한 그레이딩 적용 여부가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그레이딩 장치는 2차원 패턴의 그레이딩 정보에 맞춰 부자재 요소의 스케일링, 다시 말해 부자재 요소의 사이즈 및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레이딩 장치는 그레이딩 정보에 의해 그레이딩된 2차원 패턴에, 그레이딩 정보에 의해 그레이딩된 부자재 요소를 적용하여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2차원 패턴 및/또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3차원 의상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그레이딩 장치는 그레이딩 시에 부자재 요소의 크기 및 위치 이외에도 2차원 패턴의 곡률 적용 여부에 대한 설정 또한 입력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rading apparatus may receive a setting for whether to apply grading for each type of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For example, when whether to apply grading to a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set to'OFF'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the grading device may maintain the original size of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s it is. In this case, the grading apparatus may apply a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n which the size of the original is maintained to the two-dimensional pattern graded based on the grading information. Or, when whether to apply grading to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set to "ON" by the user's setting, the grading device scales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n other words, changes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ccording to the grading information of the 2D pattern. I can. In this case, the grading device may output a two-dimensional pattern including the sub-material element and/or a three-dimensional garment including the sub-material element by applying the sub-material element graded by the grading information to the two-dimensional pattern graded by the grading information. I ca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grading apparatus may receive a setting on whether to apply the curvature of the 2D pattern in addition to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during grading.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3차원 원본 아바타(210)의 신체 부위에 대응되는 3차원 타겟 아바타(230)의 신체 부위가 도시된다. 또한, 도 2의 (b)를 참조하면, 3차원 원본 아바타(210)를 구성하는 제1 메쉬의 제1 삼각형(215)과 3차원 타겟 아바타(230)를 구성하는 제2 메쉬의 제2 삼각형(235)이 도시된다. 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calculating 3D deform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ferring to FIG. 2A, a body part of the 3D target avatar 230 corresponding to the body part of the 3D original avatar 210 is shown.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B, the first triangle 215 of the first mesh constituting the 3D original avatar 210 and the second triangle of the second mesh constituting the 3D target avatar 230 235 is shown.

일 실시예에서는 원본 아바타(210)의 신체 부위와 타겟 아바타(230)의 신체 부위 사이의 변형률을 각 아바타의 메쉬를 구성하는 각 삼각형 단위로 정의할 수 있다. 원본 아바타(210)의 각 삼각형(예를 들어, 제1 삼각형(215))이 타겟 아바타(230)에서 얼마나 변형되었는지를 계산하는 방법은 아바타 피팅(fitting)에 해당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 deformation rate between the body part of the original avatar 210 and the body part of the target avatar 230 may be defined in units of triangles constituting the mesh of each avatar. A method of calculating how much each triangle (eg, the first triangle 215) of the original avatar 210 is deformed in the target avatar 230 may correspond to avatar fitting.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딩 장치는 원본 아바타(210)의 특정 특징점이 타겟 아바타(230)의 어느 특징점으로 피팅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원본 아바타(210)의 제1 삼각형(215)의 세 점이 타겟 아바타(230) 상의 어느 위치로 이동하는지 알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원본 아바타(210)의 제1 삼각형(215)의 세 점이 이동한 타겟 아바타(230) 상의 위치를 바탕으로 삼각형의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3차원의 변환 매트릭스(3D transformation matrix)를 산출할 수 있다. In the gr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ree points of the first triangle 215 of the original avatar 210 are determined by determining which feature point of the target avatar 230 is fitted to a specific feature point of the original avatar 210. ), you can see where you are moving to. The grading apparatus may calculate a 3D transformation matrix representing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triangle based on the position on the target avatar 230 where the three points of the first triangle 215 of the original avatar 210 have moved. have.

예를 들어, 원본 아바타(210)의 제1 삼각형(215)의 세 점들의 위치(0, 1, 2)와 타겟 아바타(230)의 제2 삼각형(235)의 세 점의 위치(

Figure pat00001
,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가 주어졌다고 하자.For example, the positions (0, 1, 2) of the three points of the first triangle 215 of the original avatar 210 and the positions of the three points of the second triangle 235 of the target avatar 230 (
Figure pat00001
,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Suppose) is given.

그레이딩 장치는 제1 삼각형(215) 및 제2 삼각형(235)을 확장하여 4면체(tetrahedron)를 구성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제1 삼각형(215)의 세 점들에 기초한 제1 사면체

Figure pat00004
와 제2 삼각형(235)의 세 점들에 기초한 제2 사면체
Figure pat00005
를 구성할 수 있다. The grading apparatus may form a tetrahedron by expanding the first triangle 215 and the second triangle 235. The grading device is a first tetrahedron based on three points of the first triangle 215
Figure pat00004
And a second tetrahedron based on three points of the second triangle 235
Figure pat00005
Can be configured.

제1 사면체(tetrahedron)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와 같이 나타내고, 제2 사면체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제1 사면체
Figure pat00010
의 한 점 3과 제2 사면체
Figure pat00011
의 한 점
Figure pat00012
은 각 삼각형의 중점에서
Figure pat00013
만큼 수직으로 떨어진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First tetrahedron
Figure pat00006
Is
Figure pat00007
Represented as, and the second tetrahedron
Figure pat00008
Is
Figure pat00009
It can be expressed as At this time, the first tetrahedron
Figure pat00010
Point
3 and 2 tetrahedron
Figure pat00011
One point of
Figure pat00012
Is at the midpoint of each triangle
Figure pat00013
It can be located vertically apart.

이와 같이, 제1 삼각형(215)에 대응하는 제1 사면체

Figure pat00014
와 제2 삼각형(235)에 대응하는 사면체
Figure pat00015
가 주어진 경우, 그레이딩 장치는 제1 사면체
Figure pat00016
와 제2 사면체
Figure pat00017
간의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변환 매트릭스
Figure pat00018
를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first tetrahedr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angle 215
Figure pat00014
And the tetrahedr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iangle 235
Figure pat00015
If is given, the grading device is the first tetrahedron
Figure pat00016
And the second tetrahedron
Figure pat00017
Transformation matrix indicating the degree of deformation between
Figure pat00018
Can be obtained as in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19

그레이딩 장치는 변환 매트릭스

Figure pat00020
에 의해 원본 아바타와 타겟 아바타 간의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Grading device is a transformation matrix
Figure pat00020
Thus,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original avatar and the target avatar can be calculated.

실시예에 따라서, 그레이딩 장치는 원본 아바타(210)의 제1 메쉬와 타겟 아바타(230)의 제2 메쉬 간의 대응 맵(correspondence map)을 이용하여 원본 아바타(210)와 타겟 아바타(230) 간의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때, 대응 맵은 예를 들어, 각 아바타의 머리끝, 발끝, 팔 끝 등 특징점을 기준으로 비율적으로 산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rading apparatus uses a correspondence map between the first mesh of the original avatar 210 and the second mesh of the target avatar 230 to generate 3 between the original avatar 210 and the target avatar 230. Dimensional transformation information can also be calculated.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map may be calculated proportionally based on feature points such as the head, toe, and arm of each avatar.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레이딩 장치는 원본 아바타(210)와 타겟 아바타(230)에 동일한 메쉬 토폴로지를 가지는 가상 기준 의상을 입힘으로써, 대응 맵을 획득할 수 있다. 가상 기준 의상은 아바타의 신체에 밀착하여 착장되는 가상의 의상일 수 있다. 대응 맵은 원본 아바타(210)의 제1 메쉬의 삼각형(들)에 대응하는 타겟 아바타(230)의 제2 메쉬의 삼각형(들)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원본 아바타(210)와 타겟 아바타(230)에 동일한 메쉬 토폴로지의 가상 기준 의상을 입히기 때문에, 원본 아바타(210)의 제1 메쉬의 삼각형(들)에 대응하는 타겟 아바타(230)의 제2 메쉬의 삼각형(들)이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기준 의상에 포함된 삼각형들에 고유한 식별자가 부여될 수 있고, 가상 기준 의상에 포함된 삼각형들의 식별자들은 원본 아바타(210) 및 타겟 아바타(230)에 가상 기준 의상이 착장된 이후에도 변하지 않으므로, 동일한 식별자를 가지는 원본 아바타(210)의 삼각형과 타겟 아바타(230)의 삼각형 사이에 대응 관계가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rading apparatus may obtain a corresponding map by wearing a virtual reference garment having the same mesh topology on the original avatar 210 and the target avatar 230. The virtual reference clothing may be a virtual clothing worn in close contact with the avatar's body. The correspondence map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riangle(s) of the second mesh of the target avatar 230 corresponding to the triangle(s) of the first mesh of the original avatar 210. Since the original avatar 210 and the target avatar 230 are dressed with a virtual reference costume of the same mesh topology, the second mesh of the target avatar 230 corresponding to the triangle(s) of the first mesh of the original avatar 210 Triangle(s) can be identified. For example, unique identifiers may be given to triangles included in the virtual reference clothing, and the identifiers of triangles included in the virtual reference clothing are the original avatar 210 and the target avatar 230 in which the virtual reference clothing is worn. Since it does not change even afterwards,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triangle of the original avatar 210 and the triangle of the target avatar 230 having the same identifier can be easily identified.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딩 장치는 원본 의상을 구성하는 원본 패턴의 각 부위가 원본 아바타(210)의 어떤 신체 부위와 매핑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예를 들어, 원본 의상을 구성하는 메쉬의 각 삼각형에서 가까운 원본 아바타(210)의 메쉬의 삼각형들을 매핑하는 매핑 리스트(mapping list)를 탐색함으로써 매핑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매핑 관계'는 예를 들어, 원본 아바타(210)에 대응하는 가상의 3차원 의상의 패턴의 각 부위가 원본 아바타(210)의 어느 신체 부위에 매핑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원본 의상을 원본 아바타(210)에 착장한 경우에, 원본 의상을 구성하는 2차원의 원본 패턴 중 타겟 패턴과 원본 아바타(210)의 신체 부위 간의 매핑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The gr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rmine which body part of the original avatar 210 is mapped to each part of the original pattern constituting the original costume. The grading apparatus may determine a mapping relationship by searching, for example, a mapping list that maps triangles of the mesh of the original avatar 210 close to each triangle of the mesh constituting the original clothing. Here, the'mapping relationship' may indicate, for example, to which body part of the original avatar 210 each part of the virtual 3D clothing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avatar 210 is mapped. When the original costume is worn on the original avatar 210, the grading apparatus may determine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arget pattern and the body part of the original avatar 210 among the two-dimensional original patterns constituting the original costume.

그레이딩 장치는 3차원 원본 아바타(210)와 3차원 타겟 아바타(230) 간에 변형이 존재하는 변형 부분과 변형 부분에 대응되는 2 차원 패턴의 패턴 조각 간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고, 매핑 관계를 기초로,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The grading apparatus determines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ed portion where the deformation exists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original avatar 210 and the three-dimensional target avatar 230 and the pattern pieces of the two-dimensional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deformation portion, and based on the mapping relationship,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can be calculated.

보다 구체적으로, 그레이딩 장치는 원본 패턴과 타겟 패턴 간의 매핑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grading apparatus may determine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pattern and the target pattern.

예를 들어, 타겟 패턴이 원본 아바타(210)의 우측 팔,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측 어깨 부위에 대응하는 소매 패턴이라고 하자. 그레이딩 장치는 원본 아바타(210)의 제1 메쉬를 구성하는 제1 삼각형들 중 원본 의상의 소매 패턴의 메쉬를 구성하는 삼각형들 각각에 인접한 제1 삼각형들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그레이딩 장치는 예를 들어, 소매 패턴의 메쉬를 구성하는 삼각형들 각각의 세 점에 대해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인접한 제1 삼각형들을 검색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인접한 제1 삼각형들을 소매 패턴에 대응하는 매핑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 원본 의상의 특정 삼각형에 대응하는 매핑 리스트는 예를 들어, 하나의 제1 삼각형을 포함하거나, 복수의 제1 삼각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본 의상의 특정 삼각형에 대응하는 매핑 리스트는 일정 영역의 제1 삼각형들 및/또는 일정 방향의 제1 삼각형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매핑 리스트에 의해 해당하는 원본 아바타(210)의 신체 부위('우측 어깨 부위')에 의해 매핑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3차원 변형 정보 및 매핑 관계를 기초로, 원본 의상을 구성하는 2차원의 원본 패턴을 타겟 의상을 구성하는 2차원의 타겟 패턴으로 변환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e that the target pattern is a sleev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right arm of the original avatar 210, and more specifically, the right shoulder. The grading apparatus may search for first triangles adjacent to each of the triangles constituting the mesh of the sleeve pattern of the original clothing among the first triangles constituting the first mesh of the original avatar 210. In this case, the grading apparatus may search for adjacent first triangl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ach of three points of triangles constituting the mesh of the sleeve pattern. The grading apparatus may register adjacent first triangles in a mapping list corresponding to the sleeve pattern. The mapping lis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riangle of the original clothing may include, for example, one first triangle or a plurality of first triang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pping lis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riangle of the original clothing may include first triangles in a certain area and/or first triangles in a certain direction. The grading apparatus may determine the mapping relationship based on the body part ('right shoulder part') of the original avatar 210 corresponding to the mapping list. The grading apparatus may convert a two-dimensional original pattern constituting the original garment into a two-dimensional target pattern constituting the target garment based on th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and the mapping relationship.

이후, 그레이딩 장치는 2차원 변형 정보에 기초하여, 2차원 패턴을 3차원 타겟 아바타(230)에 대응되도록 그레이딩하는 그레이딩 정보를 결정하고, 그레이딩 정보에 의해 원본 의상을 타겟 아바타(230)에 착장되는 3차원의 타겟 의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가 그레이딩 정보에 의해 원본 의상을 타겟 의상으로 변환하는 방법은 아래의 도 3 내지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reafter, the grading apparatus determines grading information for grading the 2D pattern to correspond to the 3D target avatar 230 based on the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clothing is worn on the target avatar 230 according to the grading information. It can be transformed into a three-dimensional target costume. A method of converting the original clothing into the target clothing by the gra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grading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below.

또한, 그레이딩 장치는 예를 들어, 타겟 아바타(230)의 신체 부위별 변형률만큼 그 부위에 매핑된 타겟 패턴의 부분을 변형하는 한편, 타겟 의상의 전체 타겟 패턴이 원본 패턴의 외곽선 곡률 및/또는 재봉선 길이 비율 등을 유지하도록 하는 최적화 과정을 통해 타겟 패턴을 그레이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ading device deforms the portion of the target pattern mapped to the portion by the body portion-specific strain rate of the target avatar 230, while the entire target pattern of the target garment is the outline curvature and/or sewing line of the original pattern. The target pattern can be graded through an optimization process that maintains the length ratio and the like.

도 3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2차원 패턴의 2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원본 의상을 구성하는 메쉬의 다각형을 타겟 의상을 구성하는 메쉬의 다각형으로 변형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3 to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2D deformation information of a 2D patter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ferring to FIG. 3, a process of transforming a polygon of a mesh constituting an original garment into a polygon of a mesh constituting a target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llustrated.

그레이딩 장치는 예를 들어, 원본 아바타(310)의 신체 부위의 제1 삼각형들에서 타겟 아바타(320)의 신체 부위의 제2 삼각형들로의 3차원 변형 정보들을 기초로, 원본 의상(330)의 제3삼각형을 타겟 의상(340)의 제4 삼각형으로 변형할 수 있다. The grading apparatus is based on th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triangles of the body part of the original avatar 310 to the second triangles of the body part of the target avatar 320, The third triangle may be transformed into a fourth triangle of the target garment 340.

그레이딩의 원리상 의상은 인접한 아바타 신체 부위의 사이즈 변형을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딩 장치는 원본 의상(330)을 구성하는 메쉬의 삼각형의 변형을 원본 의상(330)을 구성하는 제3 메쉬의 제3 삼각형에 매핑되는(예를 들어, 인접하는) 원본 아바타(310)의 신체 부위의 제1 삼각형들의 변형률들을 기반으로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grading, clothes can follow the size change of adjacent avatar body parts. Accordingly, the gr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ps (eg, adjacent) the deformation of the triangle of the mesh constituting the original cloth 330 to the third triangle of the third mesh constituting the original cloth 330 It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strain rates of the first triangles of the body part of the original avatar 310.

원본 아바타(310)의 신체 부위의 제1 삼각형들의 변형률들은 전술한 수학식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변환 매트릭스

Figure pat00021
로 표현되는 원본 아바타(310)와 타겟 아바타(320) 간의 3차원 변형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원본 아바타(310)와 타겟 아바타(320) 간의 변형률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본 의상(330)과 타겟 의상(340) 간의 변형률
Figure pat00024
로 적용될 수 있다.The deformation rates of the first triangles of the body part of the original avatar 310 are converted to the matrix as described in Equation 1 above.
Figure pat00021
It may correspond to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original avatar 310 and the target avatar 320 represented by. At this time, the strain rate between the original avatar 310 and the target avatar 320
Figure pat00022
And
Figure pat00023
Is the strain between the original clothes 330 and the target clothes 340 as shown in FIG. 3
Figure pat00024
Can be applied as

예를 들어, 원본 아바타(310)의 제1 메쉬를 구성하는 제1 삼각형들 중 어느 하나의 제1 삼각형을 as라고 표현하는 경우, 타겟 아바타(320)의 제2 메쉬를 구성하는 제2 삼각형 at는 Ta x as 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원본 의상(330)의 제3 메쉬를 구성하는 제3삼각형들 중 어느 하나의 제3 삼각형을 cs라고 표현한 경우, 타겟 의상(340)의 제4 메쉬를 구성하는 제4 삼각형 ct는 T x cs 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때,

Figure pat00025
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제1 삼각형들의 변형률들
Figure pat00026
의 평균에 해당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one of the first triangles constituting the first mesh of the original avatar 310 is expressed as a s , the second triangle constituting the second mesh of the target avatar 320 a t can be expressed as T a xa s. In addition, when one of the third triangles constituting the third mesh of the original clothing 330 is expressed as c s , the fourth triangle c t constituting the fourth mesh of the target clothing 340 is It can be expressed as T xc s. At this time,
Figure pat00025
Is the strains of the first triangles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26
May correspond to the average of

예를 들어, 원본 의상(330)을 구성하는 제3 메쉬의 제3 삼각형 r에 매핑된 원본 아바타(310)의 신체 부위의 제1 삼각형들의 집합이

Figure pat00027
라고 하자. For example, the set of first triangles of the body part of the original avatar 310 mapped to the third triangle r of the third mesh constituting the original costume 330 is
Figure pat00027
Let's say.

이 경우, 원본 의상(330)을 구성하는 제3 메쉬의 제3 삼각형의 변형률

Figure pat00028
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원본 아바타(310)의 신체 부위의 제1 삼각형들의 변형률들
Figure pat00029
의 평균으로 산출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train of the third triangle of the third mesh constituting the original garment 330
Figure pat00028
Is the strain rates of the first triangles of the body part of the original avatar 310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29
Can be calculated as the average of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0

여기서, 원본 아바타(310)의 신체 부위의 제1 삼각형들의 변형률들

Figure pat00031
는 전술한 수학식 1에서 회전 강체 변환(rotation rigid transformation)을 제외한 값, 다시 말해, 스케일(scale) 변환 및 쉬어(shear) 각도 변환만을 수행한 결과에 해당할 수 있다. Here, the strain rates of the first triangles of the body part of the original avatar 310
Figure pat00031
May correspond to a value excluding rotation rigid transformation in Equation 1, that is, a result of performing only scale transformation and shear angle transformation.

이와 같이 그레이딩 장치는 원본 아바타(310)의 신체 부위의 제1 삼각형들의 3차원 변형 정보들의 통계치(예를 들어, 평균)를 산출하고, 제1 삼각형들의 3차원 변형 정보들의 통계치에 따라 원본 의상(330)을 구성하는 제3 메쉬의 제3 삼각형을 타겟 의상(340)을 구성하는 제4 메쉬의 제4 삼각형으로 변형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grading apparatus calculates the statistics (eg, average) of the 3D deform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riangles of the body part of the original avatar 310, and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3D deform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riangles, the original clothing ( The third triangle of the third mesh constituting 330 may be transformed into a fourth triangle of the fourth mesh constituting the target garment 340.

일 실시예에서는 원본 아바타(310)의 변환 매트릭스를 그대로 타겟 의상(340)에 적용하여 원본 아바타(310)에 대한 수평 방향의 변형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의 변형도 정확하게 타겟 의상(340)에 반영함으로써 의상의 형태(shape)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자동 그레이딩된 타겟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by applying the transformation matrix of the original avatar 310 as it is to the target clothing 340, not only the transform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riginal avatar 310 but also the transform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ccurately reflected in the target clothing 340.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garment, it is possible to generate accurately automatically graded target patterns.

도 4의 (a)를 참조하면, 3D 원본 의상의 제3 삼각형(410)을 3D 타겟 의상의 제4 삼각형(420)으로 변형하는 경우에 제3 삼각형(410)에 대응하는 2차원 원본 패턴(제5 메쉬)의 제5 삼각형(430)과 제4 삼각형(420)에 대응하는 2차원 타겟 패턴(제6 메쉬)의 제6 삼각형(440) 간의 관계가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4A, when the third triangle 410 of the 3D original clothing is transformed into the fourth triangle 420 of the 3D target clothing, a two-dimensional original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third triangle 410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fth triangle 430 of the fifth mesh) and the sixth triangle 440 of the two-dimensional target pattern (sixth mesh) corresponding to the fourth triangle 420 is shown.

의상의 3 차원 형태는 예를 들어, 중력, 옷과 옷 사이 충돌, 원단 장력 등에 의해 변형(deformation)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의상의 변형은 의상을 구성하는 2차원 패턴에도 마찬가지로 반영되어야 아바타에 잘 피팅되는 2차원 패턴 또는 2차원 패턴의 패턴 조각들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는 의상의 3차원 형태의 변형을 마찬가지로 의상을 구성하는 2차원 패턴에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form of clothes can be deformed due to, for example, gravity, collision between clothes and clothes, fabric tension, etc., and these deformations of clothes should be reflected in the two-dimensional patterns constituting the clothes as well. A fitted two-dimensional pattern or pattern pieces of a two-dimensional pattern may be generated. Accordingly, in an embodiment, the deform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garment may be applied to a two-dimensional pattern constituting the garment similarly.

예를 들어, 기준 삼각형(450)과 원본 패턴의 제5 삼각형(430) 사이의 형태 변형률을 '원본 변형률'

Figure pat00032
이라 부르고, 기준 삼각형(450)과 타겟 패턴의 제6 삼각형(440)의 형태 변형률을 '타겟 변형률'
Figure pat00033
이라 부르기로 하자. 여기서, 제5 삼각형(430)은 제3 삼각형(410)에 대응하는 원본 패턴(제5 메쉬)의 삼각형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6 삼각형(440)은 제4 삼각형(420)에 대응하는 타겟 패턴(제6 메쉬)의 삼각형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삼각형(450)은 2차원 패턴 상에서 기준이 되는 가상의 삼각형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아무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적인 상태의 삼각형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삼각형은 미리 정해진 초기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설계에 따라 각 패턴의 단위 삼각형의 평균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hape strain between the reference triangle 450 and the fifth triangle 430 of the original pattern is'original strain'.
Figure pat00032
And the shape strain of the reference triangle 450 and the sixth triangle 440 of the target pattern is referred to as'target strain'.
Figure pat00033
Let's call it this. Here, the fifth triangle 430 may correspond to a triangle of the original pattern (the fifth mesh) corresponding to the third triangle 410. In addition, the sixth triangle 440 may correspond to a triangle of the target pattern (sixth mesh) corresponding to the fourth triangle 420. In addition, the reference triangle 450 corresponds to a virtual triangle serving as a reference on a two-dimensional pattern, for example, may correspond to a triangle in an ideal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a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ference triangle may have a predetermined initial size, or may have an average size of a unit triangle of each pattern according to a design.

도 4의 (b)를 참조하면, 3차원 의상을 구성하는 삼각형(410 또는 420)과 2차원 패턴을 구성하는 삼각형(430 또는 440)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4B,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lationship between a triangle 410 or 420 constituting a three-dimensional garment and a triangle 430 or 440 constituting a two-dimensional pattern is shown.

전술한 원본 변형률

Figure pat00034
과 타겟 변형률
Figure pat00035
은 아래의 수학식 3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Original strain as described above
Figure pat00034
And target strain
Figure pat00035
Can be calculated through Equation 3 below.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6

여기서 U는 2 x 3 매트릭스로서, 해당 매트릭스의 첫번째 컬럼 벡터(column vector)의 크기는 2차원상에서 x 축으로 얼마나 스케일(scale) 되었는지를 나타내고, 두번째 컬럼 벡터의 크기는 y 축으로 얼마나 스케일 되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두 컬럼 벡터의 각도가 쉬어 각도(shear angle)에 해당할 수 있다. Here, U is a 2 x 3 matrix, and the size of the first column vector of the matrix indicates how much scale is in the x-axis in two dimensions, and the size of the second column vector indicates how much the size of the second column vector is scaled in the y-axis. Can be indicated. In addition, the angle of the two column vectors may correspond to the shear angle.

2차원 패턴이 그레이딩 되었을 때 x축 및 y축 방향으로 주로 크기 변화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딩 장치는 두 컬럼 벡터의 크기, 다시 말해, 스케일 값만을 가지고, 변형률

Figure pat00037
를 계산할 수 있다. When a two-dimensional pattern is graded, a size change may occur mainly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so the gr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only the size of two column vectors, that is, a scale value, and a strain rate
Figure pat00037
Can be calculated.

실시예에 따라서, 그레이딩 장치는 스케일 값뿐만 아니라 쉬어 각도까지 포함하여 변형률을

Figure pat00038
로 정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레이딩 과정에서 각 의상을 구성하는 패턴의 삼각형들은 원본 변형률
Figure pat00039
에서 타겟 변형률
Figure pat00040
만큼 변형되어야 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grading device includes not only the scale value but also the shear angle.
Figure pat00038
It can also be defined as In this case, the triangles of the pattern constituting each garment during the grading process are the original strain rate.
Figure pat00039
Target strain at
Figure pat00040
Must be transformed.

일 실시예에서는 원본 변형률

Figure pat00041
과 타겟 변형률
Figure pat00042
간의 비율을 2차원 변형 정보(
Figure pat00043
)라 부르기로 한다. 2차원 변형 정보는
Figure pat00044
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2차원 변형 정보(
Figure pat00045
)은 초기 비율
Figure pat00046
로도 표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riginal strain
Figure pat00041
And target strain
Figure pat00042
The ratio between the two-dimensional transformation information (
Figure pat00043
). The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is
Figure pat00044
It can be calculated as Two-dimensional transformation information (
Figure pat00045
) Is the initial ratio
Figure pat00046
It can also be marked with.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그레이딩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2차원 패턴의 2차원 변형 정보를 기초로, 원본 의상을 구성하는 원본 패턴을 타겟 의상을 구성하는 타겟 패턴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determining gra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ferring to FIG. 5, a process of converting an original pattern constituting an original clothing into a target pattern constituting a target clothing is illustrated based on the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of the 2D pattern.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딩 장치는 2차원 패턴의 변형률을 유지하는 목적 함수에 기반하여 2차원 원본 패턴의 제5 메쉬(510)로부터 2차원 타겟 패턴 후보의 제6 메쉬 후보(530)를 도출할 수 있다. The gr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rive the sixth mesh candidate 530 of the 2D target pattern candidate from the fifth mesh 510 of the 2D original pattern based on an objective function that maintains the strain rate of the 2D pattern. have.

그레이딩 장치는 3차원 의상에서의 형태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 3차원 의상에서의 형태가 2차원 패턴에서도 최대한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2차원 패턴을 구성하는 전체 삼각형 메쉬를 변형할 수 있다. The grading apparatus may deform the entire triangular mesh constituting the 2D pattern so that the shape of the 3D clothing remains the same as possible even in the 2D pattern when the shape deformation occurs in the 3D clothing.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딩 장치는 예를 들어, 타겟 패턴 후보의 제6 메쉬 후보(530)의 제6 삼각형 후보가 결정되면, 기준 삼각형과 제6 삼각형 후보 사이의 타겟 변형률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산출된 타겟 변형률은 타겟 변형률 후보에 해당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원본 변형률 및 타겟 변형률 후보 간의 비율, 다시 말해 그레이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2차원 변형 정보와 그레이딩 정보 간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제1 목적 함수를 만족하도록 타겟 패턴 후보의 제6 메쉬 후보(530) 상의 점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The gr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alculate a target strain between the reference triangle and the sixth triangle candidate when, for example, the sixth triangle candidate of the sixth mesh candidate 530 of the target pattern candidate is determined. Here, the calculated target strain may correspond to a target strain candidate. The grading apparatus may determine a ratio between the original strain and the target strain candidate, that is, grading information. The grading apparatus may determine positions of points on the sixth mesh candidate 530 of the target pattern candidate to satisfy a first objective function that minimizes a difference between the 2D deformation information and the grading information.

이와 같이 3차원 의상의 삼각형에 대응하는 2차원 변형률을 최대한 유지하도록 타겟 패턴 후보의 제6 메쉬 후보(530) 상의 각 점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을 '최적화 과정'이라 부를 수 있다. 최적화 과정은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In this way,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position of each point on the sixth mesh candidate 530 of the target pattern candidate to maintain the 2D strain corresponding to the triangle of the 3D garment as much as possible may be referred to as an “optimization process”. The optimization process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4 below.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7

여기서,

Figure pat00048
는 2차원 타겟 패턴 후보의 제6 메쉬 후보 상의 점들(예를 들어, 꼭지점들)의 위치들을 지시하는 벡터(vector)에 해당할 수 있다. here,
Figure pat00048
May correspond to a vector indicating positions of points (eg, vertices) on the sixth mesh candidate of the 2D target pattern candidate.

수학식 4는 2차원 변형 정보

Figure pat00049
과 그레이딩 정보
Figure pat00050
간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제1 목적 함수에 해당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2차원 변형 정보
Figure pat00051
과 그레이딩 정보
Figure pat00052
간의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타겟 패턴 후보의 제6메쉬 후보 상의 점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Equation 4 is two-dimensional transformation information
Figure pat00049
And grading information
Figure pat00050
It may correspond to a first objective function that minimizes the difference between. Grading device is two-dimensional deformation information
Figure pat00051
And grading information
Figure pat00052
The position of a point on the sixth mesh candidate of the target pattern candidate may be calculated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pattern candidates is minimized.

그레이딩 장치는 예를 들어, 그래디언트 디센트(gradient decent) 기법에 의해 수학식 4의 목적 함수의 그래디언트를 0으로 하는 해(solution)를 구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수학식 4의 해를 구함으로써 2차원 타겟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 The grading apparatus may obtain a solution in which the gradient of the objective function of Equation 4 is 0 by, for example, a gradient decent technique. The grading apparatus may obtain a 2D target pattern by obtaining a solution of Equation 4.

예를 들어, 원본 아바타에 비해 타겟 아바타의 체형이 작은 경우, 원본 패턴에 비해 타겟 패턴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때, 타겟 패턴을 구성하는 메쉬의 각 삼각형의 타겟 변형률과 주변 삼각형의 타겟 변형률 간의 차이로 인해 타겟 패턴의 외곽선들이 울퉁불퉁하게 표현될 수 있다. 이는 타겟 패턴을 구성하는 메쉬의 삼각형에 인접한 타겟 아바타의 메쉬의 삼각형들의 변형률이 연속적이지 않는 것에서 기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body shape of the target avata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original avatar, the size of the target pattern is reduced overall compared to the original pattern. In this case, the outlines of the target pattern may be uneven due to a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strain of each triangle of the mesh constituting the target pattern and the target strain of the surrounding triangles.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deformation rate of the triangles of the mesh of the target avatar adjacent to the triangle of the mesh constituting the target pattern is not continuous.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딩 장치는 예를 들어, 아래의 수학식 5를 통해 2차원 변형 정보를 완화함으로써 2차원 패턴의 외곽선들을 직선으로 매끄럽게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에 의해 완화된 2차원 변형 정보는

Figure pat00053
로 표시할 수 있다. The gr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smoothly express the outlines of the 2D pattern in a straight line by mitigating the 2D deformation information through Equation 5 below. The two-dimensional deformation information relaxed by Equation 1 is
Figure pat00053
It can be marked with.

Figure pat00054
Figure pat00054

여기서, k 는 완화의 반복 횟수(iteration)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55
는 2차원 패턴의 삼각형 i 에 인접한 삼각형 j 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Where k denotes the iteration of relaxation,
Figure pat00055
Denotes a set of triangle j adjacent to triangle i of a two-dimensional pattern.

그레이딩 장치는 초기 타겟 변형률

Figure pat00056
을 전술한 수학식 5를 통한 완화 과정을 거쳐 완화된 2차원 변형 정보
Figure pat00057
를 구할 수 있다. Grading device is the initial target strain
Figure pat00056
The two-dimensional deformation information relaxed through the relaxation process through Equation 5 described above.
Figure pat00057
Can be obtained.

실시예에 따라서, 그레이딩 장치는 2차원 패턴의 외곽선들에 대응하는 점에 이동 평균(moving average)을 적용하거나, 또는 저역 필터링을 적용하여 완화된 2차원 변형 정보

Figure pat00058
를 구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grading apparatus applies a moving average to points corresponding to the outlines of the 2D pattern, or the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that is relaxed by applying low-pass filtering.
Figure pat00058
Can be obtained.

완화된 2차원 변형 정보

Figure pat00059
를 수학식 4의 최적화 식에 반영하여 아래와 같은 수학식 6을 얻을 수 있다. Relaxed two-dimensional deformation information
Figure pat00059
Equation 6 below can be obtained by reflecting in the optimization equation of Equation 4.

Figure pat00060
Figure pat00060

그레이딩 장치는 예를 들어, 그레이딩 정보

Figure pat00061
과 완화된 2차원 변형 정보
Figure pat00062
간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제2 목적 함수를 만족하도록 제6 메쉬 후보 상의 점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목적 함수는 예를 들어, 수학식 6에 해당할 수 있다. The grading device is, for example, grading information
Figure pat00061
And relaxed two-dimensional deformation information
Figure pat00062
The positions of points on the sixth mesh candidate may be determined to satisfy the second objective function that minimi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second objective function may correspond to Equation 6, for example.

그레이딩 장치는 수학식 6에 의해 좀 더 매끈하고 부드러운 외곽선을 가진 2차원 패턴을 얻을 수 있다. The grading apparatus can obtain a two-dimensional pattern having a smoother and smoother outline by Equation 6.

도 6 내지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라 부자재 요소가 제1 유형인 경우,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grading a subsidiary material element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a first type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유형의 부자재 요소인 로고("CLO")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하는 원본 의상 및 원본 패턴을 도시한 화면(610) 및 원본 의상 및 로고("CLO") 그래픽 이미지를 타겟 아바타에 맞게 그레이딩한 결과를 도시한 화면(630)이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creen 610 showing an original costume and an original pattern including a graphic image of a logo (“CLO”) as a subsidiary material element of a first type, and an original costume and logo (“CLO”) ) A screen 630 showing the result of grading the graphic image to fit the target avatar is shown.

예를 들어, 화면(610)과 같이 3차원 원본 아바타의 체형에 맞춘 메쉬(mesh)로 이루어진 2차원 패턴(613)과 부자재 요소(615) 및 화면(630)과 같은 3차원 타겟 아바타가 입력되었다고 하자. 부자재 요소(615)는 예를 들어, 로고("CLO") 그래픽 이미지일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 two-dimensional pattern 613 made of a mesh that fits the body shape of a three-dimensional original avatar, such as the screen 610, and a three-dimensional target avatar such as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615 and the screen 630, have been input. lets do it. The subsidiary element 615 may be, for example, a logo ("CLO") graphic image.

부자재 요소(615)가 로고와 같은 그래픽 속성을 가지는 경우, 그레이딩 장치는 부자재 요소(615)를 제1 유형의 부자재 요소로 식별하고, 화면(610)과 같이 2차원 패턴(613)의 다각형 메쉬에 부자재 요소의 형상을 갖는 그래픽 레이어(617)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그래픽 레이어(617)는 예를 들어, 무늬 또는 로고 등과 같은 그래픽 이미지에 해당할 수도 있고, 노멀맵(Normal Map), 및 컬러 레이어 등에 해당할 수도 있다.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615 has a graphic property such as a logo, the grading device identifies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615 as a first type of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nd the polygonal mesh of the 2D pattern 613 as in the screen 610 A graphic layer 617 having the shape of a subsidiary material element may be formed. In this case, the graphic layer 617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a graphic image such as a pattern or a logo, or may correspond to a normal map and a color layer.

그레이딩 장치는 그래픽 레이어(617)가 형성된 다각형 메쉬의 꼭지점(vertex)과 화면(630)에 표시된 부자재 요소(635)의 텍스쳐 좌표(texture coordinate)를 매칭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부자재 요소(635)의 텍스쳐 좌표는 예를 들어, 화면(630)의 우측 하단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6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화면(610)에 표시된 2차원 패턴(613)을 화면(630)에 표시된 3차원 타겟 아바타에 대응되도록 그레이딩하기 위해 결정된 그레이딩 정보를 부자재 요소에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앞서 전술한 과정을 통해 결정한 2차원 패턴의 그레이딩 정보를 부자재 요소인 로고("CLO") 그래픽 이미지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2차원 패턴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픽 레이어(617)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함으로써 부자재 요소를 화면(630)의 부자재 요소(635)와 같이 그레이딩할 수 있다. The grading device matches the vertex of the polygonal mesh on which the graphic layer 617 is formed and the texture coordinate of the subsidiary element 635 displayed on the screen 630 to match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You can extract polygons. In this case, the texture coordinates of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635 may be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640 displayed at the lower right of the screen 630 or may be preset. The grading apparatus may grade the subsidiary element by equally applying the determined grading information to the subsidiary element to grade the 2D pattern 613 displayed on the screen 610 to correspond to the 3D target avatar displayed on the screen 630. . The grading apparatus may grade the sub-material element by applying the grading information of the 2D pattern determ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o the graphic image of the logo (“CLO”) as the sub-material element. The grading apparatus may grade the sub-material element like the sub-material element 635 of the screen 630 by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graphic layer 617 based on the grading information of the 2D pattern.

예를 들어, 제1 부자재 요소가 바인딩 및/또는 파이핑인 경우, 그레이딩 장치는 그래픽 레이어(617)가 아닌 2차원 패턴에서의 메쉬 변형에 의해 부자재 요소의 변형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sub-material element is binding and/or piping, the grading apparatus may calculate the deformation size of the sub-material element by mesh deformation in a two-dimensional pattern instead of the graphic layer 617.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유형의 부자재 요소인 버튼 홀들을 포함하는 원본 의상 및 원본 패턴을 도시한 화면(710), 원본 의상 및 버튼 홀들을 타겟 아바타에 맞게 그레이딩한 결과를 도시한 화면(750)이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7,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creen 710 showing an original costume and an original pattern including buttonholes, which are subsidiary materials of a first type, and a result of grading the original clothes and buttonholes according to a target avatar are shown. The illustrated screen 750 is shown.

그레이딩 장치는 화면(710)에 표시된 2차원 패턴(715)을 화면(730)에 표시된 3차원 타겟 아바타에 대응되도록 그레이딩하기 위해 결정된 2차원 패턴의 그레이딩 정보를 버튼 홀들에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화면(730)과 같이 버튼 홀들을 그레이딩할 수 있다. The grading apparatus equally applies the grading information of the determined 2D pattern to the button holes in order to grade the 2D pattern 715 displayed on the screen 710 to correspond to the 3D target avatar displayed on the screen 730. ), you can grade the buttonholes.

예를 들어, 그레이딩 장치가 화면(710) 좌측의 원본 의상에 표시된 버튼 홀들(713)을 타겟 아바타에 맞게 화면(730)과 같이 그레이딩한다고 하자. 이 경우, 그레이딩 장치는 화면(750)에 표시된 2차원 패턴의 다각형 메쉬(755)에 부자재 요소인 버튼 홀들의 그래픽 이미지(757)를 표현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버튼 홀들의 그래픽 이미지(757)가 표현된 다각형 메쉬의 꼭지점과 버튼 홀들의 텍스쳐 좌표를 매칭시킴으로써 버튼 홀들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버튼 홀들의 텍스쳐 좌표는 예를 들어, 화면(730)의 우측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735)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추출한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버튼 홀들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함으로써 버튼 홀들을 그레이딩할 수 있다. For example, suppose that the grading apparatus grades the button holes 713 displayed on the original clothes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710 to match the target avatar, along with the screen 730. In this case, the grading apparatus may express a graphic image 757 of buttonholes, which are sub-material elements, on a polygonal mesh 755 of a two-dimensional pattern displayed on the screen 750. The grading apparatus may extract at least one polygon matching the button holes by matching the vertex of the polygon mesh in which the graphic image 757 of the button holes is expressed and the texture coordinates of the button holes. In this case, the texture coordinates of the buttonholes may be set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735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730, for example. The grading apparatus may grade the button holes by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positions and sizes of the button holes based on the extracted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이하, 도 8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부자재 요소의 일 예인 버튼 그룹을 설정하는 과정 및 버튼 그룹을 그레이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a button group, which is an example of a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nd a process of grading the button grou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8B.

도 8a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유형의 부자재 요소인 버튼 그룹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들(810, 820, 830, 840, 850)이 도시된다. 8A to 8B, screens 810, 820, 830, 840, and 850 showing a process of setting a button group, which is a first type of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shown.

예를 들어, 부자재 요소인 버튼 그룹을 생성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화면(810) 상단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버튼 생성 아이콘(815)을 선택할 수 있다. 버튼 생성 아이콘(815)이 선택된 경우, 화면(810)과 같이 2차원 패턴 상에 버튼의 크기 등을 설정하기 위한 3차원 좌표가 표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a user who wants to create a button group, which is a subsidiary material element, may select the button creation icon 815 from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810. When the button creation icon 815 is selected, 3D coordinates for setting the size of the button, etc. may be displayed on a 2D pattern like the screen 810.

버튼의 크기가 설정되면, 화면(820)의 우측과 같이 버튼이 배치될 2차원 패턴의 외곽선이 선택될 수 있다. When the size of the button is set,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820, an outline of a 2D pattern in which the button is to be arranged may be selected.

화면(820)과 같이 버튼이 배치될 외곽선이 선택된 후, 화면(83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35)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35)를 통해 버튼의 시작 지점을 기준으로 2차원 패턴의 외곽선으로터의 거리(예를 들어, 0.8 Cm), 2차원 패턴의 말단으로부터 첫번째 버튼의 시작 위치까지의 간격(예를 들어, 3.8 Cm), 버튼들 간의 간격 및 버튼들의 총 개수 등을 입력할 수 있다. After an outline on which a button is to be placed is selected, such as the screen 820, a user interface 835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830. The user can use the user interface 835 to determine the distance from the outline of the 2D pattern based on the starting point of the button (eg, 0.8 Cm), and the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2D pattern to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first button (eg. For example, 3.8 Cm), the spacing between buttons, and the total number of buttons can be entered.

사용자가 예를 들어, 화면(84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845)를 통해 버튼 그룹의 버튼들 간의 간격(예를 들어, 5.9Cm) 및 버튼들의 총 개수(예를 들어, 5개)를 설정하면, 설정된 값에 따른 버튼 그룹이 화면(850)과 같이 2차원 패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그레이딩 장치는 버튼 그룹의 버튼들의 위치를 기준으로 대응되는 2차원 패턴의 외곽선을 따라 일정한 거리 및 간격으로 버튼 홀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When the user sets the distance between the buttons of the button group (eg, 5.9Cm) and the total number of buttons (eg, 5) through the user interface 845 displayed on the screen 840, for example , A button group according to a set value may be displayed on a two-dimensional pattern like the screen 850. In this case, the grading apparatus may generate a button hole group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terval along an outline of a corresponding two-dimensional pattern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buttons of the button group.

사용자는 버튼 그룹이 표시된 이후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버튼 그룹의 버튼들 간의 간격 및 버튼들의 총 개수를 조정할 수 있다. Even after the button group is displayed, the user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buttons of the button group and the total number of buttons through the user interface.

이와 같이 원본 의상의 2차원 패턴 상에 버튼 그룹 및/또는 버튼 홀 그룹이 생성된 후, 버튼 홀 및/또는 버튼 홀 그룹에 대한 그레이딩이 수행된다고 하자. 이 경우, 그레이딩 장치는 2차원 패턴의 곡선에 접선 방향으로 2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고, 2차원 변형 정보에 기초하여, 2차원 패턴을 3차원 타겟 아바타에 대응되도록 그레이딩하는 그레이딩 정보를 결정 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2차원 패턴의 그레이딩 정보를 동일하게 적용하여 버튼 그룹 및/또는 버튼 홀 그룹을 그레이딩할 수 있다. In this way, it is assumed that after a button group and/or a button hole group is generated on a two-dimensional pattern of an original garment, grading is performed on the button hole and/or the button hole group. In this case, the grading device may calculate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in a tangent direction to the curve of the 2D pattern, and based on the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determine grading information for grading the 2D pattern to correspond to the 3D target avatar. have. The grading apparatus may grade the button group and/or the button hole group by applying the same grading information of the 2D pattern.

도 9 내지 도 12는 실시예들에 따라 부자재 요소가 제2 유형인 경우,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to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grading a subsidiary material element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a second type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9를 참조하면, 부자재 요소가 패턴 조각의 편집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설정되는 편집 속성을 갖는 핀(pin)인 경우에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910, 920)이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9, drawings 910 and 920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rading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a pin having editing properties temporarily set for editing a pattern piece are shown. .

일 실시예에 따른 핀은 의상 또는 2차원 패턴의 특정 부분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핀은 의상 또는 2차원 패턴의 한 지점을 고정할 수도 있고, 일부 영역을 고정할 수도 있다. The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erform a role of fixing a specific portion of a garment or a two-dimensional pattern. The pin may fix a point of a garment or a two-dimensional pattern, or may fix a partial area.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910)에 표시된 2차원 패턴에 부자재 요소로 핀을 설정한다고 하자. 부자재 요소가 편집 속성을 갖는 핀인 경우, 그레이딩 장치는 2차원 패턴의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포인트 또는 제1 포인트 영역(915)을 설정하고, 제1 포인트 또는 제1 포인트 영역에 핀(pin)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화면(920)에 표시된 2 차원 패턴의 다각형 메쉬(925) 상에 핀 이미지에 대응하는 좌표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핀 이미지에 대응하는 좌표는 예를 들어, 제1 포인트 영역(915)에 해당하는 메쉬의 꼭지점들의 무게 중심 좌표(barycentric coordination)일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입력된 좌표를 기초로, 2차원 패턴의 다각형 메쉬의 복수의 다각형들 중 핀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핀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핀의 위치 및 크기를 그레이딩할 수 있다. For example, suppose that a user sets a pin as a sub-material element in a two-dimensional pattern displayed on the screen 910.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a pin having the editing attribute, the grading apparatus sets at least one first point or first point area 915 for fixing the 2D pattern, and pins the first point or the first point area. ) Images can be displayed. The grading apparatus may input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pin image on the polygonal mesh 925 of the two-dimensional pattern displayed on the screen 920. In this case, the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pin image may be, for example, barycentric coordination of the vertices of the mesh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int area 915. The grading apparatus may extract at least one polygon matching a pin from among a plurality of polygons of a polygon mesh of a two-dimensional pattern based on the input coordinates. The grading apparatus may grade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pin based on the grad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olygon matched with the pin.

일 실시예에 따른 핀은 의상의 특정 부분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핀은 의상의 한 지점을 고정할 수도 있고, 일부 영역을 고정할 수도 있다. The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serve to fix a specific part of the garment. Pins can be used to fix a point on the garment or to fix some areas.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핀의 이동 및 핀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1010, 1020, 1030, 1040)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S. 10A and 10B, drawings 1010, 1020, 1030, and 1040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ving a pin and setting a pin are shown.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10a 의 화면(101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핀 설정을 선택했다고 하자. 이 경우, 화면(1010)에 표시된 2차원 패턴에는 핀 이미지(1011)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핀 이미지(1011)를 클릭한 후, 핀 이미지(1013)의 위치로 드래그했다고 하자. 이 경우, 핀 이미지(1011)를 포함하는 2차원 패턴은 핀 이미지(1013)의 위치로 이동되어 1015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suppose that the user selects a pin setting among the user interfaces displayed on the screen 1010 of FIG. 10A. In this case, a pin image 1011 may be displayed on a 2D pattern displayed on the screen 1010. Suppose that a user clicks on the pin image 1011 and then drags it to the location of the pin image 1013. In this case, the 2D pattern including the pin image 1011 may be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pin image 1013 and displayed as shown in 1015.

또한, 화면(1020)과 같이 시뮬레이션을 멈춘 상태에서 사용자가 핀을 클릭하면 기즈모(1021)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즈모(1021)의 사각형 또는 X, Y, Z 축을 사용해서 이동한 후, 시뮬레이션하면 2차원 패턴은 이동된 기즈모(1021)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핀 위의 기즈모는 시뮬레이션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the screen 1020, when the user clicks the pin while the simulation is stopped, the gizmo 1021 may be generated. For example, after moving using the square of the gizmo 1021 or the X, Y, and Z axes, the two-dimensional pattern can be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moved gizmo 1021 by simulation. The gizmo on the pin can also be used in a simulated state.

실시예에 따라서, 핀은 선분 단위로도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10b의 화면(1030)과 같이 2차원 패턴의 외곽선의 한 지점(1031)을 더블 클릭한다고 하자. 이 경우, 2차원 패턴의 외곽선의 한 지점(1031)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segment)에 해당하는 선분 단위로 핀이 설정될 수도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ins may also be set in units of line segments. For example, suppose that the user double-clicks a point 1031 of the outline of a two-dimensional pattern as shown in the screen 1030 of FIG. 10B. In this case, the pin may be set in units of line segments corresponding to a certain segment including one point 1031 of the outline of the 2D pattern.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 핀은 패턴 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1040)과 같이 2차원 패턴의 메쉬의 꼭지점(1041)을 더블 클릭한다고 하자. 이 경우, 해당 메쉬의 패턴 조각 전체(1043)에 대해 핀이 설정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ins may be set in units of patterns. For example, suppose that a user double-clicks a vertex 1041 of a mesh of a two-dimensional pattern like the screen 1040. In this case, pins may be set for the entire pattern piece 1043 of the mesh.

도 11을 참조하면, 부자재 요소가 패턴 조각의 편집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설정되는 편집 속성을 갖는 매저(measure)인 경우에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들(1110, 1130)이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11, screens 1110 and 1130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grading the subsidiary element when the subsidiary element is a measure having an editing property temporarily set for editing a pattern piece are shown. .

그레이딩 장치는 편집 속성이 매저(measure)가 부자재 요소로 선택되면, 화면(1110) 및 화면(1130)과 같이 기초선의 길이를 표시하고, 2차원 패턴의 그레이딩 정보에 따라 기초선의 길이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editing attribute is selected as the sub-material element, the grading device displays the length of the baseline, as in the screen 1110 and the screen 1130, and adjusts the length ratio of the baseline according to the grading information of the 2D pattern. have.

또는, 예를 들어, 모양이 서로 다른 두 원단을 연결할 때는 각 원단의 서로 만나야 되는 곳을 표시해두고, 기준점끼리 맞닿게 놓은 뒤 시침핀으로 고정 후 재봉해야 계획대로 정확히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너치는 이와 같이 원단을 연결할 때 틀어지지 않도록 표시하는 기준점에 해당할 수 있다. Alternatively, for example, when connecting two fabrics of different shapes, the places where each fabric should meet each other should be marked, plac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n fixed with a tack pin and then sewn, so that the sewing can be performed exactly as planned. The notch may correspond to a reference point that is marked so as not to be twisted when connecting fabrics in this way.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딩 장치는 예를 들어, 시접이나 너치(notch)를 표시하는 기초선을 작업의 편의에 따라 도 12의 화면(1210)과 같이 숨길 수도 있고, 또는 화면(1230)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In the gr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example, the base line for displaying a seam allowance or a notch may be hidden as shown in the screen 1210 of FIG. 12 or displayed as the screen 1230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work. can do.

도 13은 일 실시예들에 따라 부자재 요소가 제3 유형인 경우,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요소가 지퍼를 의복에 배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들(1310, 1320, 1330, 1340)이 도시된다.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grading a subsidiary material element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of a third typ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Referring to FIG. 13, screens 1310, 1320, 1330, and 1340 showing a process of arranging a zipper on a garment by a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shown.

지퍼는 2차원 패턴의 패턴 조각의 라인에 매개화되어 설정되는 라인 속성을 갖는 제3 유형의 부자재 요소의 일 예시에 해당할 수 있으며, 지퍼 이외에도 바인딩, 파이핑, 버튼 그룹에도 동일한 과정이 적용될 수 있다. The zipper may correspond to an example of a third type of subsidiary material element having a line property set by being mediated by the line of a pattern piece of a two-dimensional pattern, and the same process may be applied to binding, piping, and button groups in addition to zippers. .

예를 들어, 부자재 요소가 지퍼인 경우, 그레이딩 장치는 화면(1310) 및 화면(1320)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의상에서 지퍼가 배치될 영역의 설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a zipper, the grading apparatus may receive a setting of a region in which the zipper is to be placed on the garment, such as the screen 1310 and the screen 1320, from the user.

지퍼가 배치될 영역이 설정되면, 그레이딩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지퍼의 총 길이, 지퍼의 폭, 두께 등의 설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화면(1330)에서 지퍼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면, 그레이딩 장치는 화면(1340)과 같이 원본 의상에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지퍼를 배치한 결과를 도시할 수 있다. When the area in which the zipper is to be placed is set, the grading device may receive settings such as the total length of the zipper, the width of the zipper, and the thickness through a user interface (not shown). When the setting of the zipper is completed on the screen 1330 of the grading apparatus, the grading apparatus may show a result of disposing the zipper on the original garment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as shown on the screen 1340.

이후, 그레이딩 장치는 지퍼가 배치된 원본 의상을 3차원 타겟 아바타에 맞게 그레이딩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레이딩 장치는 원본 의상에 대응하는 2차원 패턴을 모델링하는 복수의 다각형들 중 지퍼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할 수 있다. 이때, 그레이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2차원 패턴 중 지퍼가 적용되는 패턴 조각의 다각형 메쉬의 라인을 따라 지퍼를 매개화 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장치는 라인을 따라 추출한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타겟 의상에 맞도록 지퍼를 그레이딩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grading apparatus may grade the original clothing on which the zippers are arranged to fit the 3D target avatar. In this case, the grading apparatus may extract at least one polygon matching the zipper from among a plurality of polygons modeling a two-dimensional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garment. The grading apparatus may grad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based on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grading apparatus may extract at least one polygon by mediating the zipper along the line of the polygon mesh of the pattern piece to which the zipper is applied among the two-dimensional patterns, based on the grad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olygon. The grading apparatus may grade the zipper to fit the target garment according to th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extracted along the line.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딩 장치는 그레이딩 이후, 원본 의상의 2차원 패턴에서 서로 재봉되는 재봉선들 사이의 길이 비율이 타겟 패턴에서도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그레이딩 장치는 타겟 패턴 상에서 서로 연결되는 재봉선들 사이의 길이 비율(예를 들어, 1:1)이 대응되는 원본 패턴 상에서 서로 연결되는 재봉선들 사이의 길이 비율(예를 들어, 1 : 1)과 같아지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서로 연결되는 재봉선들 사이의 길이 비율이 유지되지 않으면 솔기(seam)에서 길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옷이 우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After grading, the gr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maintain the same length ratio between the sewing lines sewn to each other in the two-dimensional pattern of the original garment even in the target pattern after grading. In other words, the grading device has a length ratio (for example, 1:1) between the sewing lines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target pattern, and the length ratio (for example, 1:1) between the sewing lines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corresponding original pattern. ). If the length ratio between the sewing lines connected to each other is not maintained, the length of the seam is different, which may cause the clothes to cry.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수학식 7을 푼 다음 주어지는 타겟 패턴 상에서 그레이딩 시 재봉선의 길이 비율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To this end, in an embodiment, the length ratio of the sewing line may be maintained during grading on a target pattern given after solving Equation 7 described above.

그레이딩 장치는 예를 들어, 제6 메쉬 후보 상의 점들의 위치를 기초로 변환된 타겟 패턴에서 재봉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타겟 패턴 간의 재봉선들의 제2 길이 비율이 대응되는 원본 패턴의 재봉선들의 제1 길이 비율을 만족하도록 하는 제2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The grading apparatus is, for example, the first length ratio of the sewing lines of the original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ength ratio of the sewing lines between the target patterns connected to each other by sewing in the target pattern converted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points on the sixth mesh candidate It is possible to set a second limit that satisfies.

그레이딩 장치는 전술한 수학식 7을 푼 다음 주어지는 타겟 패턴 상에서 재봉선들의 양 길이를 재고, 원본 패턴 상에서의 재봉선들의 제1 길이 비율과 같아지도록 타겟 패턴의 양 재봉선 상의 모든 선분의 타겟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The grading apparatus may calculate the target lengths of all line segments on both sewing lines of the target pattern so that the lengths of the sewing lines are measured on the given target pattern after solving Equation 7 above, and the first length ratio of the sewing lines on the original pattern is the same. .

예를 들어, 계산된 모든 선분의 타겟 길이 벡터를

Figure pat00063
로 정의하는 경우, 타겟 길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 제한은
Figure pat00064
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ake the target length vector of all the calculated segments
Figure pat00063
If defined as, the second limit to keep the target length is
Figure pat00064
It can be expressed as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수학식 7에, 재봉선의 길이 비율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2 제한을 추가하여 아래의 수학식 8과 같은 최적화 식을 얻을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n optimization equation such as Equation 8 below may be obtained by adding a second limit to maintain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sewing line to Equation 7 described above.

Figure pat00065
Figure pat00065

그레이딩 장치는 제2 목적 함수 및 제1 제한에 더하여, 제2제한을 만족하는 수학식 8을 만족하는 제6 메쉬 후보 상의 점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second objective function and the first limitation, the grading apparatus may determine positions of points on the sixth mesh candidate that satisfies Equation 8 that satisfies the second limitation.

그레이딩 장치는 수학식 8의 해를 구함으로써 원본 패턴의 곡률을 유지하고, 재봉선 길이 비율 또한 유지하는 타겟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The grading apparatus may generate a target pattern that maintains the curvature of the original pattern and also maintains the seam length ratio by obtaining the solution of Equation (8).

실시예에 따라서, 그레이딩 장치는 최적화 시에 원본 영상의 압력 분포가 최대한 유지되도록 하는 제3 제한을 부가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본 의상의 제3 메쉬에는 원본 아바타의 표면에 대한 압력 분포가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원본 의상의 제3 메쉬와 원본 아바타의 제1 메쉬 간의 변환 관계에 따라 원본 의상의 압력 분포를 타겟 의상의 압력 분포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원본 아바타에서 볼륨이 늘어난 부분은 원본 의상에서 더 높은 압력으로 변환되고, 원본 아바타에서 볼륨이 줄어든 부분은 원본 의상에서 더 낮은 압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후, 전술한 변환률에 의해 산출된 타겟 의상의 압력 분포를 만족하도록 하는 2차원 타겟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grading apparatus may add a third limitation to maintain the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original image as much as possible during optim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surface of the original avatar may be stored in the third mesh of the original clothing. Thereafter, the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original clothes may be converted into a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target clothes according to a convers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 mesh of the original clothes and the first mesh of the original avatar.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original avatar whose volume is increased may be converted to a higher pressure in the original costume, and a portion of the original avatar whose volume is reduced may be converted to a lower pressure in the original costume. Thereafter, a 2D target pattern that satisfies the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target garment calculated by the above-described conversion factor may be obtained.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딩 장치(1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10), 프로세서(1430), 및 출력 장치(1470)를 포함한다. 그레이딩 장치(1400)는 메모리(1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10), 프로세서(1430), 출력 장치(1470), 및 메모리(1450)는 통신 버스(1405)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14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grading clothes including subsidiary material elemen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4, a grading device 1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user interface 1410, a processor 1430, and an output device 1470. The grading apparatus 140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1450. The user interface 1410, the processor 1430, the output device 1470, and the memory 145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bus 1405.

사용자 인터페이스(1410)는 3차원 원본 아바타와 3차원 타겟 아바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10)는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마우스, 키보드,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한 터치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1410 receives a user's selection of a 3D original avatar, a 3D target avatar, and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The user interface 1410 may include, for example, a stylus pen, a mouse, a keyboard, and a touch input through a touch interface.

프로세서(1430)는 3차원 원본 아바타와 3차원 타겟 아바타 간의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한다. 프로세서(1430)는 3차원 변형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원본 아바타에 착장되는 원본 의상에 대응하는 2차원 패턴의 2차원 변형 정보 를 산출한다. 프로세서(1430)는 2차원 변형 정보에 기초하여, 2차원 패턴을 3차원 타겟 아바타에 대응되도록 그레이딩하는 그레이딩 정보를 결정한다. 프로세서(1430)는 원본 의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식별한다. 프로세서(1430)는 2차원 패턴을 모델링하는 복수의 다각형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한다. 프로세서(1430)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한다. 프로세서(1430)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의해 그레이딩된 2차원 패턴에,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의해 그레이딩된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적용한다. The processor 1430 calculates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3D original avatar and the 3D target avatar. The processor 1430 calculates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of a 2D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clothing worn on the 3D original avatar based on th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The processor 1430 determines grading information for grading the 2D pattern to correspond to the 3D target avatar based on the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The processor 1430 identifies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ncluded in the original clothing. The processor 1430 extracts at least one polygon matching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from among a plurality of polygons modeling a 2D pattern. The processor 1430 grades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based on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The processor 1430 applies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graded by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to the 2D pattern graded by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메모리(1450)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410)를 통해 입력 받은 3차원 원본 아바타, 및 3차원 타겟 아바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50)는 프로세서(1430)가 산출한 3차원 원본 아바타와 3차원 타겟 아바타 간의 3차원 변형 정보 및/또는 원본 아바타에 착장되는 3차원의 원본 의상과 원본 아바타의 신체 부위 간의 매핑 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50)는 프로세서(1430)에 의해 산출된 2차원 패턴의 2차원 변형 정보, 및 그레이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50)는 원본 의상으로부터 변환된 타겟 의상 및 타겟 의상을 구성하는 2차원의 타겟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1450 may store, for example, a 3D original avatar and a 3D target avatar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1410. In addition, the memory 1450 includes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3D original avatar and the 3D target avatar calculated by the processor 1430 and/or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3D original clothing worn on the original avatar and the body part of the original avatar. Can be saved. Also, the memory 1450 may store at least one of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and grading information of the 2D pattern calculated by the processor 1430. The memory 1450 may store a target clothing converted from the original clothing and a two-dimensional target pattern constituting the target clothing.

출력 장치(1470)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의해 그레이딩된 2차원 패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의해 그레이딩된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가 적용된 결과를 출력한다. 출력 장치(1470)는 상기 결과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도 있고, 또는 그레이딩 장치(1400) 외부로 출력할 수도 있다. 출력 장치(147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또는 그레이딩 장치(1400)의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또한, 출력 장치(1470)는 타겟 의상을 구성하는 2차원의 타겟 패턴을 종이 또는 옷감 등의 별도의 출력물에 출력하는 2차원 패턴 출력 장치일 수 있다. The output device 1470 outputs a result of applying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graded by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to the 2D pattern graded by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The output device 1470 may output the result on a screen or may output the result to the outside of the grading device 1400. The output device 1470 may be, for example, a display or a communication interfa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grading device 1400. Also, the output device 1470 may be a two-dimensional pattern output device that outputs a two-dimensional target pattern constituting the target garment to a separate output such as paper or cloth.

이 밖에도, 프로세서(1430)는 도 1 내지 도 13을 통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대응되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3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레이딩 장치(14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3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1450)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43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NPU(Neural network Processin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430 may perform at least one method or an algorithm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The processor 1430 may execute a program and control the grading device 1400. The program code executed by the processor 143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450. The processor 1430 may include,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neural network processing unit (NPU).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시스템이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 hardware system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nd vice versa.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시스템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시스템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시스템, 가상 시스템(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시스템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configuring the processing unit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interpreted by a processing system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syste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system,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system. It can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시스템,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drawings,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system,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claims and equival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400: 그레이딩 장치
1405: 통신 버스
1410: 사용자 인터페이스
1430: 프로세서
1450: 메모리
1470: 출력 장치
1400: grading device
1405: communication bus
1410: User interface
1430: processor
1450: memory
1470: output device

Claims (20)

3차원 원본 아바타와 3차원 타겟 아바타 간의 3차원 변형(strain)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3차원 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원본 아바타에 착장되는 원본 의상에 대응하는 2차원 패턴의 2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2차원 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2차원 패턴을 상기 3차원 타겟 아바타에 대응되도록 그레이딩하는 그레이딩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원본 의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2차원 패턴을 모델링하는 복수의 다각형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에 매칭(matching)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Calculating 3D strain information between the 3D original avatar and the 3D target avatar;
Calculating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of a 2D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clothing worn on the 3D original avatar based on th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grading information for grading the 2D pattern to correspond to the 3D target avatar based on the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ncluded in the original clothing;
Extracting at least one polygon matched with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from among a plurality of polygons modeling the 2D pattern; And
Grad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based on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Containing,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는
그래픽(graphic) 속성에 대응하는 제1 유형의 부자재 요소;
편집(edit) 속성에 대응하는 제2 유형의 부자재 요소; 및
라인(line) 속성에 대응하는 제3 유형의 부자재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A first type of subsidiary element corresponding to a graphic attribute;
A second type of subsidiary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edit attribute; And
A third type of subsidiary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line attribute
Containing at least one of,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차원 패턴은
복수의 패턴 조각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턴 조각들 각각은
상기 3차원 원본 아바타의 체형에 기초한 다각형 메쉬(polygon mesh)-상기 다각형 메쉬는 상기 복수의 다각형들을 포함함-로 모델링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wo-dimensional pattern is
Contains a plurality of pattern pieces,
Each of the plurality of pattern pieces
Modeled as a polygon mesh based on the body shape of the original 3D avatar-the polygon mesh includes the plurality of polygons-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부자재 요소의 유형 별로, 상기 2차원 패턴을 모델링하는 복수의 다각형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extracting the at least one polygon
Extracting at least one polygon match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from among a plurality of polygons modeling the 2D pattern for each type of the subsidiary element
Containing,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자재 요소가 제1 유형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2차원 패턴의 다각형 메쉬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의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레이어(graphic layer)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레이어가 형성된 다각형 메쉬의 꼭지점(vertex)과 상기 부자재 요소의 텍스쳐 좌표(texture coordinate)를 매칭시킴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of the first type, extracting the at least one polygon includes
Forming at least one graphic layer having the shape of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on the polygonal mesh of the two-dimensional pattern; And
Extracting at least one polygon matching the at least one sub-material element by matching a vertex of the polygon mesh on which the at least one graphic layer is formed and a texture coordinate of the sub-material element
Containing,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레이어는
그래픽 이미지, 노멀맵(Normal Map), 및 컬러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at least one graph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of a graphic image, a normal map, and a color layer,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레이어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Grad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Grad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by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at least one graphic layer based on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Containing,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자재 요소가 제2 유형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2차원 패턴의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포인트에 핀(pin)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2 차원 패턴의 다각형 메쉬 상에 상기 핀 이미지에 대응하는 좌표(barycentric coordination)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좌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다각형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of the second type, extracting the at least one polygon includes
Setting at least one first point for fixing the two-dimensional pattern;
Displaying a pin image at the first point;
Inputting a barycentric coordination corresponding to the pin image on the polygonal mesh of the two-dimensional pattern; And
Extracting at least one polygon match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olygons based on the coordinates
Containing,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자재 요소의 다각형 메쉬를 변형하는 단계;
상기 변형된 다각형 메쉬 상에서 상기 핀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된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변형된 좌표에 상기 핀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변형된 좌표에 상기 고정을 위한 제2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기초로, 상기 변형된 다각형 메쉬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Grad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Transforming the polygonal mesh of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based on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Calculating deformed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pin image on the deformed polygonal mesh;
Displaying the pin image on the deformed coordinates and setting a second point for fixing at the deformed coordinates; And
Grad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from the deformed polygonal mesh based on the second point
Containing,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자재 요소가 제3유형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2차원 패턴 중 상기 부자재 요소가 적용되는 패턴 조각의 다각형 메쉬에 상기 부자재 요소를 매개화(parameterize)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of the third type, extracting the at least one polygon
Extracting the at least one polygon by parameterizing the sub-material element to a polygonal mesh of a pattern piece to which the sub-material element is applied among the two-dimensional patterns, based on the grad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polygon
Containing,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의 유형 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Grad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Grad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for each type of the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based on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Containing,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를 그레이딩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2차원 패턴에서의 외곽선의 곡률 및 상기 2 차원 패턴에서의 재봉선의 길이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유지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를 그레이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grad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Grad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while maintaining at least one of a curvature of an outline in the 2D pattern and a length ratio of a sewing line in the 2D pattern based on the grad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polygon
Containing,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3차원 원본 아바타와 상기 3차원 타겟 아바타 간의 변형을 대응되는 메쉬 단위로 각각 맵핑함으로써 상기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calculating the three-dimensional deformation information
Calculating th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by mapping transformations between the 3D original avatar and the 3D target avatar in corresponding mesh units, respectively
Containing,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3차원 원본 아바타와 상기 3차원 타겟 아바타 간에 변형이 존재하는 변형 부분과 상기 변형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2 차원 패턴의 패턴 조각 간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 관계를 기초로, 상기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calculating the three-dimensional deform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a deformation portion in which deformation exists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original avatar and the three-dimensional target avatar and a pattern piece of the two-dimensional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deformation portion; And
Calculating th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mapping relationship
Containing,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2차원 패턴의 곡선에 상기 부자재 요소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2차원 패턴의 곡선에 접선 방향으로 상기 2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calculating the two-dimensional transformation information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applied to the curve of the two-dimensional pattern, calculating the two-dimensional deformation information in a direction tangential to the curve of the two-dimensional pattern
Containing,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 중 버튼 및 버튼 홀에 대한 그룹 설정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2차원 패턴의 외곽선에서 상기 버튼과 그룹으로 설정된 버튼 홀까지의 거리, 상기 2차원 패턴에서 상기 버튼 홀이 생성되는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 상기 2차원 패턴에 상기 버튼 홀이 생성되는 방향, 상기 2차원 패턴에 생성되는 버튼 홀들의 개수, 상기 버튼 홀들 간의 간격(interval), 상기 버튼 홀들의 속성 및 상기 버튼 홀들의 스타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부자재 요소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a group setting for a button and a button hole amo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nd
The distance from the outline of the 2D pattern to the button hole set as the button and the group, the starting position and the ending position where the button hole is created in the 2D patter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hole is created in the 2D pattern, the Receiving a user selection for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button holes generated in the two-dimensional pattern, an interval between the button holes, attributes of the button holes, and styles of the button hole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가 스케일링이 요구되는 유형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의 미리 정해진 규격들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들에 따라, 스케일링 된 부자재 요소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규격들 중 어느 하나의 규격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Grad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Determining whether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is a type requiring scaling;
Determining whether there are predetermined standards of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nd
Selecting one of the predetermined standards based on the scaled size of th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s
Containing,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의 유형 별로 상기 그레이딩의 적용 여부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a setting for whether to apply the grading for each type of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Further comprising,
A method of grading a garment that includes subsidiary materials.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8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3차원 원본 아바타와 3차원 타겟 아바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3차원 원본 아바타와 3차원 타겟 아바타 간의 3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3차원 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원본 아바타에 착장되는 원본 의상에 대응하는 2차원 패턴의 2차원 변형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2차원 변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2차원 패턴을 상기 3차원 타겟 아바타에 대응되도록 그레이딩하는 그레이딩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원본 의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식별하고, 상기 2차원 패턴을 모델링하는 복수의 다각형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을 추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를 그레이딩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의해 그레이딩된 상기 2차원 패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의 그레이딩 정보에 의해 그레이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요소가 적용 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
를 포함하는,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장치.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s selection of a 3D original avatar, a 3D target avatar, and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Calculat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3D original avatar and the 3D target avatar, and based on the 3D transformation information, 2D transformation information of a 2D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clothing worn on the 3D original avatar Calculating, based on the two-dimensional transform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grading information for grading the two-dimensional pattern to correspond to the three-dimensional target avatar, identifying at least one subsidiary element included in the original clothing, and the second A processor for extracting at least one polygon matching the at least one sub-material element from among a plurality of polygons for modeling a dimensional pattern, and grading the at least one sub-material element based on grad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polygon; And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 result of applying the at least one subsidiary material element graded by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to the 2D pattern graded by the at least one polygonal grading information
Containing,
Apparel grading device including subsidiary materials.
KR1020200040798A 2019-08-19 2020-04-03 Methode and apparatus of grading clothing including subsidiiary elements KR1023320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96,465 US11151786B2 (en) 2019-08-19 2020-08-18 Grading garment that includes supplemental material
CN202010840451.1A CN112395787A (en) 2019-08-19 2020-08-19 Method and device for grading garments comprising auxiliary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01367 2019-08-19
KR1020190101261 2019-08-19
KR1020190101262 2019-08-19
KR20190101261 2019-08-19
KR1020190101367 2019-08-19
KR20190101262 2019-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898A true KR20210021898A (en) 2021-03-02
KR102332069B1 KR102332069B1 (en) 2021-11-30

Family

ID=75169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798A KR102332069B1 (en) 2019-08-19 2020-04-03 Methode and apparatus of grading clothing including subsidiiary elem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06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651B1 (en) * 2022-06-23 2022-10-06 주식회사 지이모션 Method for 3D modeling of clothing
WO2023014077A1 (en) * 2021-08-03 2023-02-09 (주)클로버추얼패션 Operating method of web platform driving viewer, and web server
CN117315209A (en) * 2023-10-17 2023-12-29 武汉亘星智能技术有限公司 Clothing stack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energy mod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451A (en) * 2013-02-28 2014-09-11 (주)클로버추얼패션 Avatar 3 dimensional clothes automatically transferring wearing method
KR20160117021A (en) * 2015-03-31 2016-10-10 (주)클로버추얼패션 Simul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raping 3D cloth
KR20170068741A (en) * 2015-12-10 2017-06-20 주식회사 매니아마인드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virtual fitting ser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451A (en) * 2013-02-28 2014-09-11 (주)클로버추얼패션 Avatar 3 dimensional clothes automatically transferring wearing method
KR20160117021A (en) * 2015-03-31 2016-10-10 (주)클로버추얼패션 Simul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raping 3D cloth
KR20170068741A (en) * 2015-12-10 2017-06-20 주식회사 매니아마인드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virtual fitting ser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rita et al. Pose-independent garment transfer. In SIGGRAPH Asia, 2014년 11월, p. 1. 1부.*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4077A1 (en) * 2021-08-03 2023-02-09 (주)클로버추얼패션 Operating method of web platform driving viewer, and web server
KR102451651B1 (en) * 2022-06-23 2022-10-06 주식회사 지이모션 Method for 3D modeling of clothing
CN117315209A (en) * 2023-10-17 2023-12-29 武汉亘星智能技术有限公司 Clothing stack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energy model
CN117315209B (en) * 2023-10-17 2024-05-03 武汉亘星智能技术有限公司 Clothing stack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energy mo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069B1 (en)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91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realistic clothing
US20170046769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A Clothing Model
US11151786B2 (en) Grading garment that includes supplemental material
KR102332069B1 (en) Methode and apparatus of grading clothing including subsidiiary elements
US202202679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3d clothing draping simulation
US20090079743A1 (en) Displaying animation of graphic object in environments lacking 3d redndering capability
Li et al. Modeling 3D garments by examples
KR102136620B1 (en) Methode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lothes patterns
KR1017633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3D cloth
CN112395786A (en) Automatic stacking of clothing pattern
Bao et al. 3D interactive garment parametric pattern-making and linkage editing based on constrained contour lines
KR1017020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3D cloth
KR101665651B1 (en) Simul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raping 3D cloth
Zhu et al. Dual adaptive adjustment for customized garment pattern
KR102273317B1 (en) Methode and apparatus of auto grading clothing patterns
KR102228099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guide for combining pattern pieces of apparel
Wan et al. Shape deformation using skeleton correspondences for realistic posed fashion flat creation
KR102257182B1 (en) Methode and apparatus of processing pattern pieces for fullness of clothes
US20230102069A1 (en) Simulating and editing of garment of hierarchical structure
Zhang Designing in 3D and Flattening to 2D Patterns
Yang Interactive mannequin dressing system for pattern design
KR20230148554A (en) Method for designing of 3d cloth of 3d avatar
Hinds et al. Computer-aided garment design using three-dimensional body models
이원섭 Automatic Garment Fit Customization Based on Misfit Measurement and Parameterized Pattern Making/Adjustment
KR20230026291A (en) Method and devices for sewing si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