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176A -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176A
KR20210012176A KR1020190089409A KR20190089409A KR20210012176A KR 20210012176 A KR20210012176 A KR 20210012176A KR 1020190089409 A KR1020190089409 A KR 1020190089409A KR 20190089409 A KR20190089409 A KR 20190089409A KR 20210012176 A KR20210012176 A KR 20210012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module
mmwave
processor
mmwav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현창
금형필
민기홍
서동환
이기혁
박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9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176A/ko
Priority to PCT/KR2020/005160 priority patent/WO2021015397A1/en
Priority to US16/852,903 priority patent/US11252692B2/en
Publication of KR2021001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1Interference related issues ; Issues related to cross-correlation, spoofing or other methods of denial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5Constructional details or hardware or software details of the signal processing ch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GNSS 회로 모듈; 상기 GNSS 회로 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GNSS 회로 모듈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의 측정의 시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비활성화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IMPROVING OF MEASURING POS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장치의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및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30GHz 내지 300GHz)에서의 구현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초고주파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는 초고주파 대역의 특성 상 높은 직진성을 가질 수 있다. 높은 직진성을 갖는 신호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낮은 직진성을 갖는 신호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 비해 좁은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다. 좁은 커버리지를 고려해서, 전자 장치는 다양한 방향으로 신호를 방사하기 위한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상부로 신호를 방사하기 위한 통신 모듈은 전자 장치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상부에 배치된 다른 부품들(예: GNSS 회로 모듈)에 영향을 주는 노이즈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 모듈에 의해 생성된 노이즈는 다른 부품들의 성능 저하를 불러올 수 있으며, GNSS 회로 모듈의 성능 저하는 전자 장치의 위치 측정의 성능 저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GNSS 회로 모듈; 상기 GNSS 회로 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GNSS 회로 모듈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의 측정의 시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비활성화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GNSS 회로 모듈이, 상기 GNSS 회로 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의 측정의 시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프로세서 상에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비활성화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기반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제 1 mmWave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제 1 mmWave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 됨으로써,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동작으로 생성된 노이즈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1 mmWave 통신 모듈로 인한 노이즈의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 및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mmWave 통신 모듈과 GNSS 회로 모듈이 배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mmWave 통신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1 mmWave 통신 모듈 또는 GNSS 수신 모듈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GNSS 수신 성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140)을 예시하는 블록도(200)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 체제(142), 미들웨어(144), 또는 상기 운영 체제(142)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 중 적어도 일부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제조 시에 전자 장치(101)에 프리로드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 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104), 또는 서버(108))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갱신 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시스템 리소스들(예: 프로세스, 메모리, 또는 전원)의 관리(예: 할당 또는 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101)의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면,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로부터 제공되는 기능 또는 정보가 어플리케이션(14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146)으로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1), 윈도우 매니저(203), 멀티미디어 매니저(205), 리소스 매니저(207), 파워 매니저(209),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11), 패키지 매니저(213), 커넥티비티 매니저(215),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 로케이션 매니저(219), 그래픽 매니저(221), 시큐리티 매니저(223), 통화 매니저(225), 또는 음성 인식 매니저(227)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203)는, 예를 들면, 화면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GUI 자원들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205)는, 예를 들면,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포맷들을 파악하고, 그 중 선택된 해당하는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파일들 중 해당하는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207)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130)의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209)는, 예를 들면, 배터리(189)의 용량, 온도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이 중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결정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209)는 전자 장치(101)의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미도시)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1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에 의해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213)는, 예를 들면,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저(21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무선 연결 또는 직접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는, 예를 들면, 지정된 이벤트(예: 착신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매니저(219)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22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하나 이상의 그래픽 효과들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시큐리티 매니저(223)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통화(telephony) 매니저(22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에 의해 제공되는 음성 통화 기능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매니저(227)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서버(108)로 전송하고, 그 음성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서 수행될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어(command), 또는 그 음성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서버(108)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244)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144)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체제(142)의 일부로 포함되거나, 또는 운영 체제(142)와는 다른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46)은, 예를 들면, 홈(251), 다이얼러(253), SMS/MMS(255), IM(instant message)(257), 브라우저(259), 카메라(261), 알람(263), 컨택트(265), 음성 인식(267), 이메일(269), 달력(271), 미디어 플레이어(273), 앨범(275), 와치(277), 헬스(279)(예: 운동량 또는 혈당과 같은 생체 정보를 측정), 또는 환경 정보(281)(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46)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 지정된 정보 (예: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를 전달하도록 설정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도록 설정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이메일 어플리케이션(269))에서 발생된 지정된 이벤트(예: 메일 수신)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 또는 그 일부 구성 요소(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전원(예: 턴-온 또는 턴-오프) 또는 기능(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밝기, 해상도, 또는 포커스)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삭제, 또는 갱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3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 및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300)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4), 제 1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RFIC)(322), 제 2 RFIC(324), 제 3 RFIC(326), 제 4 RFIC(328), 제 1 radio frequency front end(RFFE)(332), 제 2 RFFE(334), 제 1 안테나 모듈(342), 제 2 안테나 모듈(344), 및 안테나(348)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99)는 제 1 네트워크(392)와 제2 네트워크(39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1에 기재된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199)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4), 제 1 RFIC(322), 제 2 RFIC(324), 제 4 RFIC(328), 제 1 RFFE(332), 및 제 2 RFFE(334)는 무선 통신 모듈(19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RFIC(328)는 생략되거나, 제 3 RFIC(326)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2)는 제 1 네트워크(392)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의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네트워크는 2세대(2G), 3G, 4G, 또는 long term evolution(LTE)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레거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4)는 제 2 네트워크(3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크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네트워크(394)는 3GPP에서 정의하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4)는 제 2 네트워크(3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다른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이하)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크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2)와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4)는 단일(single)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4)는 프로세서(120), 보조 프로세서(123), 또는 통신 모듈(190)과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RFIC(322)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2)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baseband) 신호를 제 1 네트워크(392)(예: 레거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약 700MHz 내지 약 3GHz의 라디오 주파수(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1 안테나 모듈(342))를 통해 제 1 네트워크(392)(예: 레거시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1 RFFE(332))를 통해 전처리(preprocess)될 수 있다. 제 1 RFIC(322)는 전처리된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2)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2 RFIC(324)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네트워크(394)(예: 5G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Sub6 대역(예: 약 6GHz 이하)의 RF 신호(이하, 5G Sub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Sub6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2 안테나 모듈(344))를 통해 제 2 네트워크(3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2 RFFE(334))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2 RFIC(324)는 전처리된 5G Sub6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4) 중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3 RFIC(326)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네트워크(394)(예: 5G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5G Above6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RF 신호(이하,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348))를 통해 제 2 네트워크(3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제 3 RFFE(336)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3 RFIC(326)는 전처리된 5G Above6 R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4)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FE(336)는 제 3 RFIC(326)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326)와 별개로 또는 적어도 그 일부로서, 제 4 RFIC(3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4 RFIC(328)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중간(intermediate) 주파수 대역(예: 약 9GHz ~ 약 11GHz)의 RF 신호(이하, IF 신호)로 변환한 뒤, 상기 IF 신호를 제 3 RFIC(326)로 전달할 수 있다. 제 3 RFIC(326)는 IF 신호를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348))를 통해 제 2 네트워크(3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고 제 3 RFIC(326)에 의해 IF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제 4 RFIC(328)는 I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4)가 처리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제 1 RFIC(322)와 제 2 RFIC(32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FFE(332)와 제 2 RFFE(33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 모듈(342) 또는 제 2 안테나 모듈(344)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모듈은 생략되거나 다른 안테나 모듈과 결합되어 대응하는 복수의 대역들의 RF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326)와 안테나(348)는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346)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92) 또는 프로세서(120)가 제 1 서브스트레이트(예: main PC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서브스트레이트와 별도의 제 2 서브스트레이트(예: sub PCB)의 일부 영역(예: 하면)에 제 3 RFIC(326)가, 다른 일부 영역(예: 상면)에 안테나(348)가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346)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RFIC(326)와 안테나(348)를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전송 선로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고주파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신호가 전송 선로에 의해 손실(예: 감쇄)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1)는 제 2 네트워크(394)(예: 5G 네트워크)와의 통신의 품질 또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안테나(348)는 빔포밍에 사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3 RFIC(326)는, 예를 들면, 제 3 RFFE(336)의 일부로서,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phase shifter)(33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3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5G 네트워크의 베이스 스테이션)로 송신될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3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 장치(101)와 상기 외부 간의 빔포밍을 통한 송신 또는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 2 네트워크(394)(예: 5G 네트워크)는 제 1 네트워크(392)(예: 레거시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거나(예: Stand-Alone (SA)), 연결되어 운영될 수 있다(예: Non-Stand Alone (NSA)).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에는 액세스 네트워크(예: 5G radio access network(RAN) 또는 next generation RAN(NG RAN))만 있고, 코어 네트워크(예: next generation core(NGC))는 없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전자 장치(101)는 5G 네트워크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레거시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예: evolved packed core(EPC))의 제어 하에 외부 네트워크(예: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레거시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LTE 프로토콜 정보) 또는 5G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New Radio(NR) 프로토콜 정보)는 메모리(330)에 저장되어, 다른 부품(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4))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mmWave 통신 모듈과 GNSS 회로 모듈이 배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예: 도 3의 제 3 안테나 모듈(346))(410), 제 2 mmWave 통신 모듈(예: 도 3의 제 3 안테나 모듈(346))(420) 및 제 3 mmWave 통신 모듈(예: 도 3의 제 3 안테나 모듈(346))(430)을 포함하는 복수의 mmWave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mmWave 통신 모듈은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제 1 셀룰러 통신은 전자 장치(101)가 지원 가능한 다양한 셀룰러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셀룰러 통신은 5세대 이동 통신 방식(예: 5G)으로 정의된 다양한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예: 도 3의 제 2 네트워크(394))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mmWave 통신 모듈은 제 1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서, 밀리 미터(mm) 단위의 파장을 갖는 30 GHz 내지 300G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mmWave 통신 모듈이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신호는 초고주파 대역의 특성 상, 높은 직진성을 가질 수 있다. 단일의 mmWave 통신 모듈(예: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 제 2 mmWave 통신 모듈(420) 또는 제 3 mmWave 통신 모듈(430))은 높은 직진 성을 갖는 신호의 특성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를 이용하는 통신 모듈이 구현하는 커버리지에 비해 좁은 커버리지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의 특징들 중 좁은 커버리지 대역을 고려해서, 전자 장치(101)는 다양한 방향으로 신호를 방사하는 복수 개의 mmWave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mmWave 통신 모듈 각각은 빔 포밍을 지원할 수 있으며, 빔포밍을 이용하여 다른 방향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은 전자 장치(101)의 상단 부분에 배치되고, 전자 장치(101)의 상단 부분에서 제 1 셀룰러 통신을 이용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은 전자 장치(101)의 상단 부분에서 제 1 셀룰러 통신 신호의 커버리지를 구현할 수 있다. 제 2 mmWave 통신 모듈(420)은 전자 장치(101)의 측면 부분에 배치되고, 전자 장치(101)의 측면 부분에서 제 1 셀룰러 통신을 이용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제 2 mmWave 통신 모듈(420)은 전자 장치(101)의 측면 부분에서 제 1 셀룰러 통신 신호의 커버리지를 구현할 수 있다. 제 3 mmWave 통신 모듈(430)은 전자 장치(101)의 다른 측면 부분에 배치되고, 전자 장치(101)의 다른 측면 부분에서 제 1 셀룰러 통신을 이용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제 3 mmWave 통신 모듈(430)은 전자 장치(101)의 다른 측면 부분에서 제 1 셀룰러 통신 신호의 커버리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회로 모듈(440)을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복수의 위성이 출력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측정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NSS는 미국 국방부가 개발 및 운영하고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러시아가 개발 및 운영하고 있는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유럽 연합이 개발 및 운영하고 있는 Galileo 또는 중국이 개발 및 운영하고 있는 Beidou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GNSS 회로 모듈(4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이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에 포함된 정보(신호의 전송 시간, 위성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GNSS 회로 모듈(440)은 전자 장치(101)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GNSS 회로 모듈(440)은 전자 장치(101)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GNSS 회로 모듈(440)이 수신하는 신호의 크기는 다른 수신하는 신호의 크기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GNSS 회로 모듈(440)이 수신하는 신호의 크기는 최대 -130dBm 수준일 수 있다. GNSS 회로 모듈(440)은 수신하는 신호의 크기가 작은 특성 상, 다양한 원인(예: 사용자가 전자 장치(101)를 파지하는 동작)에 따라 GNSS 회로 모듈(440)의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자 장치(101)를 파지하는 동작에 따른 수신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GNSS 회로 모듈(440)은 전자 장치(101)의 상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상단 부분 상에 대한 제 1 셀룰러 통신의 신호의 커버리지를 구현하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은 GNSS 회로 모듈(44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1 mmWave 통신 모듈(예: 도 4a의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b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에 대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 2 mmWave 통신 모듈(예: 도 4a의 제 2 mmWave 통신 모듈(420)) 또는 제 3 mmWave 통신 모듈(예: 도 4a의 제 3 mmWave 통신 모듈(430)) 역시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은 어레이 안테나(411), RF 프론트엔드 모듈(413-a), 위상 변환기(413-b), 주파수 변환기(413-c)를 포함하는 RFIC(413) 및 전력 제어 집적 회로(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4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레이 안테나(411)는 복수의 안테나들이 배열되어 구현될 수 있다. 어레이 안테나(411)는 복수의 안테나들 각각이 출력하는 신호의 세기, 위상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특정 방향으로 신호가 방사되는 빔 포밍을 구현할 수 있다. 어레이 안테나(411)는 제 1 셀룰러 통신이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예: 30GHz 내지 300GHz)의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RFIC(413)는 어레이 안테나(411)를 이용하여 방사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RFIC(413)는 신호의 세기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 주파수 대역을 조절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부품을 구성하는 RF 프론트엔드 모듈(413-a), 신호의 위상을 변경하기 위한 위상 변환기(413-b),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시키거나, 수신한 신호의 주파수를 낮추는 주파수 변환기(413-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제어 집적 회로(415)는 전력 공급기(미도시)로부터 공급 받은 전원을 RFIC(413)에 공급하기 위해서 전압을 낮추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집적 회로(415)는 전압을 낮추기 위해서,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DC/DC 컨버터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방식을 이용하여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SMPS 방식은 스위치를 이용하여 특정 주기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평균 전압을 낮추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집적 회로(415)는 SMPS 방식을 이용하여 전압을 제어할 수 있으나, SMPS 방식에 이용되는 스위칭 동작은 다양한 노이즈(예: 리플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과 인접하게 배치된 GNSS 회로 모듈(440)은 SMPS 방식에 이용되는 스위칭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수신할 수 있다. GNSS 회로 모듈(440)은 GNSS 회로 모듈(440)이 전자 장치(101)의 위치 측정을 위해 수신한 신호의 세기가 낮은 특성 상,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로부터 수신한 노이즈에 의해 위치 측정의 성능이 감소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GNSS 회로 모듈(440)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수신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NSS 회로 모듈(440)은 반송파 대 잡음 비(carrier to noise ratio, C/N0)를 통해서 GNSS 수신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반송파 대 잡음 비는 GNSS 수신 성능을 대표하는 지표들 중 하나의 지표로써, 반송파 대 잡음비가 증가할수록 GNSS 수신 성능이 좋아지는 현상이 발생함을 의미할 수 있다. 표 1에서는, GNSS 회로 모듈(440)의 수신 성능이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기재되어 있다.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의 활성화 여부 C/N0 (dB-Hz) 성능 차이
비활성화(기준) 50.7 0(기준)
활성화 39.4 -11.3
표 1을 참조하면, GNSS 회로 모듈(440)의 수신 성능이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이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반송파 대 잡음비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로부터 수신한 노이즈에 의해 위치 측정의 성능이 감소되는 현상이 발생함을 의미할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반송파 대 잡음비가 감소함으로써, 위치 측정의 정확도를 대표하는 원형 공산 오차(circular error probability, CEP) 역시 감소함을 지시하는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의 활성화 여부 CEP(circular error probability)
Accuracy 67th Accuracy 90th
비활성화 37.68 67.05
활성화 101.05 375.69
이하에서는, GNSS 회로 모듈(440)의 위치 측정의 성능의 감소를 방지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GNSS 회로 모듈(예: 도 4a의 GNSS 회로 모듈(440))(510),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520) 및 제 1 mmWave 통신 모듈(예: 도 4a의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5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GNSS 회로 모듈(5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이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에 포함된 정보(신호의 전송 시간, 위성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GNSS 회로 모듈(510)이 수신하는 신호의 크기는 다른 수신하는 신호의 크기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GNSS 회로 모듈(510)이 수신하는 신호의 크기는 최대 -130dBm 수준일 수 있다. GNSS 회로 모듈(510)은 전원 공급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수신하고, 수신한 전원을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GNSS 회로 모듈(510)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101)를 파지함으로써 발생하는 신호의 수신 성능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서, GNSS 회로 모듈(510)은 사용자의 전자 장치(101)의 파지에 따른 신호의 수신 성능의 감소 영향을 적게 받는 위치(예: 전자 장치(101)의 상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은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은 은 제 1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서, 밀리 미터(mm) 단위의 파장을 갖는 30 GHz 내지 300G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은 전자 장치(101)의 윗 방향으로 신호를 방사하거나, 전자 장치(101)의 윗 방향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101)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은 전자 장치(101)의 상단부에 배치됨으로써, GNSS 회로 모듈(51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에 포함된 전력 제어 집적 회로(예: 도 4b의 전력 제어 집적 회로(415))의 동작에 의해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발생된 노이즈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과 인접한 GNSS 회로 모듈(510)로 전송될 수 있으며, GNSS 회로 모듈(510)의 위치 측정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GNSS 회로 모듈(510)의 위치 측정 성능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통신 프로세서(예: 도 3의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2)) 또는 도 3의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314))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GNSS 회로 모듈(510)이 위치 측정을 시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NSS 회로 모듈(510)은 전자 장치(101)의 위치 측정을 수행하기 시작함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1)의 위치 측정을 시작함을 지시하는 신호를 프로세서(52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전자 장치(101)의 위치 측정을 시작함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GNSS 회로 모듈(510)이 위치 측정을 시작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GNSS 회로 모듈(510)이 위치 측정을 시작함에 대응하여,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들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기반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10)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면서 동작 중인 포어 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 또는 디스플레이(160)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동작 중인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은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예: 위급 상황에서 사용되는 전화 기능(경찰, 구급차 또는 소방서에 전화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길의 안내 기능을 지원하는 네비게이션, 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 위치 기반 게임 어플리케이션, 위치 공유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비활성화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은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주기에 대한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주기를 확인하고,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주기에 기반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20)는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주기와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고,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주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비활성화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전자 장치(101) 상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마다 GNSS 회로 모듈(510)의 사용 시간 및 위치 정보의 요청 횟수가 매핑된 매핑 데이터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전자 장치(101) 상에서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마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동안 GNSS 회로 모듈(510)의 활성화 시간, 위치 정보의 사용 빈도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가, 머신 러닝 또는 립 러닝을 지원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들이 활성화되는 동안 GNSS 회로 모듈(510)의 활성화 시간, 위치 정보의 사용 빈도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매핑 데이터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매핑 데이터는 아래의 표 3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이름 위치 정보의 사용 빈도 GNSS 회로 모듈(510)의 활성화 시간 위치 정보 중요도
1 T-Map 50회 32시간 23분 30초 O
2 Google Map 45회 25시간 15분 14초 O
3 PokeMon 20회 15시간 30분 10초 O
4 S-Health 21회 10시간 21분 12초 O
5 카카오 맵 5회 2시간 11분 11초 O
6 Melon 4회 5분 10초 X
7 Netflix 3회 2분 10초 X
표 3을 참조하면, 매핑 데이터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위치 정보의 사용 빈도 및 GNSS 회로 모듈(510)의 활성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매핑 데이터는 GNSS 회로 모듈(510)의 동작이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동작보다 우선함을 지시하는 위치 정보 중요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중요도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GNSS 회로 모듈(510)이 반드시 활성화됨을 지시(또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이 반드시 비활성화됨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매핑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들 각각마다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의 접근 가능 여부에 대한 권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들은 위치 정보에 대한 접근 여부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위치 정보에 대한 접근이 가능한 권한을 가진 어플리케이션은 GNSS 회로 모듈(510)이 생성한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획득 및 획득한 위치 정보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위치 정보에 대한 접근이 가능한 권한을 갖지 못한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없다. 프로세서(520)는 매핑 데이터에 기반하여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20)는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비활성화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매핑 데이터는 전자 장치(101) 상에서 생성 및 업데이트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매핑 데이터는 별도의 외부 서버에서 생성 및 업데이트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다양한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의 GNSS 회로 모듈(510)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고, 매핑 데이터를 생성 및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매핑 데이터에 기반하여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확인하고,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가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반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가 소방서 또는 경찰서에 전화하는 응급 전화(예: E911)를 수행하는 동안, 소방서 또는 경찰서가 운영하는 서버로부터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비활성화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비활성화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활성화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확인하고,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위치에 기반한 기능을 지원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활성화로 인해 발생하는 노이즈로 인한 GNSS 회로 모듈(510)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기반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은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제 1 셀룰러 통신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셀룰러 통신이 5세대 이동 통신 방식을 포함하는 경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은 5세대 이동 통신 방식이 구현할 수 있는 초저지연(ultra-low latency, ULLLC)이 필요한 기능(예: 원격 진료, 자율 주행, 증강 현실 또는 가상 현실)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제 1 셀룰러 통신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기능을 지원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은 어플리케이션이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 사용과 관련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전송 또는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제 1 셀룰러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에 기반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활성화 상태의 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20)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제 1 셀룰러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비활성화한 후, 다른 mmWave 통신 모듈(예: 도 4a의 제 2 mmWave 통신 모듈(420) 또는 도 4a의 제 3 mmWave 통신 모듈(43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 2 mmWave 통신 모듈(420) 및 제 3 mmWave 통신 모듈(430)은 제 1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로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이 방사하는 신호의 방사 방향과 다른 방사 방향으로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제 2 mmWave 통신 모듈(420) 또는 제 3 mmWave 통신 모듈(430)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제 1 셀룰러 통신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제 1 셀룰러 통신의 성능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1 셀룰러 통신과 상이한 다른 셀룰러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셀룰러 통신과 상이한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2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제 1 셀룰러 통신의 성능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2 통신 모듈(미도시)을 활성화하고, 제 2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은 5세대 이동 통신 방식 중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방식, 4세대 이동 통신 방식((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A pro(LTE Advanced pro)), 3세대 이동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20)는 제 1 셀룰러 통신의 성능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다른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 4세대 이동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 또는 3세대 이동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이 비활성화된 동안, GNSS 회로 모듈(510)의 동작을 추적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GNSS 회로 모듈(510)의 동작을 추적하고, GNSS 회로 모듈(510)의 위치 측정이 수행되지 않음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다시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GNSS 회로 모듈(510)이 위치 측정을 시작함에 대응하여, GNSS 회로 모듈(510)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GNSS 회로 모듈(510)의 성능은 GNSS 회로 모듈(510)이 측정하는 전자 장치(101)의 위치의 정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20)는 반송파 대 잡음비 또는 원형 공산 오차를 이용하여 GNSS 회로 모듈(510)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GNSS 회로 모듈(510)의 성능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기반한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의 수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20)는 GNSS 회로 모듈(510)의 성능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전자 장치(101)가 GNSS 신호의 수신 성능이 좋은 지역이 위치한 경우가 해당될 수 있다),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의 수행을 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기재된 실시예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비활성화하는 것으로 기재했으나, 프로세서(520)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비활성화하지 않고,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전원 공급기(미도시)를 제어하거나,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전력 제어 집적 회로(415)의 스위칭 주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1 mmWave 통신 모듈 또는 GNSS 수신 모듈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GNSS 회로 모듈(예: 도 5의 GNSS 회로 모듈(510))(610), 프로세서(예: 도 5의 프로세서(520))(620), 제 1 mmWave 통신 모듈(예: 도 5의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630), 제 2 mmWave 통신 모듈 및 제 3 mmWave 통신 모듈(예: 도 4a의 제 2 mmWave 통신 모듈(420), 제 3 mmWave 통신 모듈(430))(640), 4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50), 3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60),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5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70), 트랜시버(680) 및 전력 공급기(6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GNSS 회로 모듈(610)은 외부 장치(예: 인공 위성)로부터 전자 장치(101)의 위치 측정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GNSS 안테나(611),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미도시), 수신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는 GNSS 프론트엔드(613) 및 수신한 신호를 변조하는 동작 또는 변조된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GNSS 리시버(615)를 포함할 수 있다. GNSS 프론트엔드(613)는 증폭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전력 공급기(69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mmWave 통신 모듈(630)은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제 1 mmWave 통신 모듈(630)은 제 1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서, 밀리 미터(mm) 단위의 파장을 갖는 30 GHz 내지 300G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제 1 mmWave 통신 모듈(630)은 전자 장치(101)의 윗 방향으로 신호를 방사하거나, 전자 장치(101)의 윗 방향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101)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mmWave 통신 모듈 및 제 3 mmWave 통신 모듈(640)은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제 2 mmWave 통신 모듈 및 제 3 mmWave 통신 모듈(640)은 제 1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서, 밀리 미터(mm) 단위의 파장을 갖는 30 GHz 내지 300G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제 2 mmWave 통신 모듈은 전자 장치(101)의 측면 부분에 배치되고, 전자 장치(101)의 측면 부분에서 전송되거나, 수신되는 제 1 셀룰러 통신 신호의 커버리지를 구현할 수 있다. 제 3 mmWave 통신 모듈은 전자 장치(101)의 다른 측면 부분에 배치되고, 전자 장치(101)의 다른 측면 부분에서 전송되거나, 수신되는 제 1 셀룰러 통신 신호의 커버리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630)을 비활성화하고, 제 2 mmWave 통신 모듈 및 제 3 mmWave 통신 모듈(640)를 이용하여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5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70)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5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70)은 신호를 방사하거나, 수신하는 안테나(671) 및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수신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는 프론트엔드(67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제 2 mmWave 통신 모듈 및 제 3 mmWave 통신 모듈(640)를 이용한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예: 커버리지 영역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5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70)을 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5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70)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4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50)은 4세대 이동 통신이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4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50)은 신호를 방사하거나, 수신하는 안테나(651) 및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수신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는 프론트엔드(6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제 2 mmWave 통신 모듈 및 제 3 mmWave 통신 모듈(640)를 이용한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예: 커버리지 영역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4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50)을 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4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50)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3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60)은 3세대 이동 통신이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3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60)은 신호를 방사하거나, 수신하는 안테나(661) 및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수신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는 프론트엔드(66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제 2 mmWave 통신 모듈 및 제 3 mmWave 통신 모듈(640)를 이용한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예: 커버리지 영역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3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60)을 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3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60)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시버(680)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예: 제 1 mmWave 통신 모듈(630), 제 2 mmWave 통신 모듈 및 제 3 mmWave 통신 모듈(640),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5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70), 4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50) 또는 3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6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트랜시버(680)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이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미도시), 전송하고자 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각 통신 규격에 맞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공급기(690)는 배터리(예: 도 1의 배터리(189))가 공급하는 전원을 복수의 통신 모듈들로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공급기(690)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과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전력 공급기(690)가 복수의 통신 모듈들과 캐스캐이드(cascade) 형태로 연결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행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기반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630) 또는 GNSS 회로 모듈(61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전력 공급기(690)가 제 1 mmWave 통신 모듈(630) 또는 GNSS 회로 모듈(610)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제 1 mmWave 통신 모듈(630) 또는 GNSS 회로 모듈(61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GNSS 수신 성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703)를 수행하는 동안 GNSS 회로 모듈(예: 도 5의 GNSS 회로 모듈(510))의 수신 성능을 도시한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비교예(701)와 실시예(703)를 비교하면, 제 1 mmWave 통신 모듈(예: 도 5의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동작이 시작(705)하기 전 반송파 대 잡음비(이하, C/N0)는 30dB-Hz로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701)와 실시예(703)를 비교하면,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동작이 시작한 후(710), 실시예(703)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를 비활성화하고, 비교예(701)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703)는 C/N0가 30dB-Hz로 유지되지만, 비교예(701)는 C/N0가 15dB-Hz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비활성화함으로써, GNSS 회로 모듈(51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교예(701)와 실시예(703)를 비교하면, 제 1 mmWave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720)되면, 비교예(701) 및 실시예(703) 모두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비교예(701) 및 실시예(703) 모두 C/N0가 C/N0가 15dB-Hz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701)와 실시예(703)를 비교하면, 제 1 mmWave 통신 모듈이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730)되면, 실시예(703)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를 비활성화하고, 비교예(701)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실시예(703)는 C/N0가 30dB-Hz로 상승되지만, 비교예(701)는 C/N0가 15dB-Hz로 낮은 성능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비활성화함으로써, GNSS 회로 모듈(51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GNSS 회로 모듈; 상기 GNSS 회로 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GNSS 회로 모듈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의 측정의 시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비활성화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의 요청 주기를 확인하고, 상기 요청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들 각각마다 상기 GNSS 회로 모듈의 사용 시간 및 상기 위치 정보의 요청 횟수에 기반하여 상기 GNSS 회로 모듈에 대한 우선 순위가 매핑된 매핑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매핑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매핑 데이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마다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의 접근에 대한 권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매핑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권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제 2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전송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요청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 사용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동안 상기 GNSS 회로 모듈의 동작을 추적하고, 상기 GNSS 회로 모듈의 위치 측정이 수행되지 않음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mmWave통신 모듈이 출력하는 신호의 방사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mmWave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mmWave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셀룰러 통신과 다른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mmWave 통신 모듈을 이용한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GNSS 회로 모듈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측정 주기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위치 측정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800)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810에서, GNSS 회로 모듈(예: 도 5의 GNSS 회로 모듈(510))은 전자 장치(101)의 위치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GNSS 회로 모듈(5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이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에 포함된 정보(신호의 전송 시간, 위성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GNSS 회로 모듈(510)이 수신하는 신호의 크기는 다른 수신하는 신호의 크기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GNSS 회로 모듈(510)이 수신하는 신호의 크기는 최대 -130dBm 수준일 수 있다. GNSS 회로 모듈(510)은 전원 공급기(예: 도 6의 전원 공급기(690))로부터 전원을 수신하고, 수신한 전원을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mmWave 통신 모듈(예: 도 5의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은 GNSS 회로 모듈(510)이 전자 장치(101)의 위치의 측정을 시작하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820에서, 프로세서(예: 도 5의 프로세서(520))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은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예: 위급 상황에서 사용되는 전화 기능(경찰, 구급차 또는 소방서에 전화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길의 안내 기능을 지원하는 네비게이션, 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 위치 기반 게임 어플리케이션, 위치 공유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를 비활성화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은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주기에 대한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주기를 확인하고,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주기에 기반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20)는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주기와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고,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주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비활성화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전자 장치(101) 상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마다 GNSS 회로 모듈(510)의 사용 시간 및 위치 정보의 요청 횟수가 매핑된 매핑 데이터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가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반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가 소방서 또는 경찰서에 전화하는 응급 전화(예: E911)를 수행하는 동안, 소방서 또는 경찰서가 운영하는 서버로부터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비활성화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830에서, 프로세서(520)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기반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예: 도 5의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840에서, 프로세서(520)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비활성화 함을 결정함에 대응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 공급기(예: 도 6의 전원 공급기(69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함을 결정함에 대응하여, GNSS 회로 모듈(5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 공급기(69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900)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01에서, GNSS 회로 모듈(예: 도 5의 GNSS 회로 모듈(510))은 전자 장치(101)의 위치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GNSS 회로 모듈(5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이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에 포함된 정보(신호의 전송 시간, 위성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GNSS 회로 모듈(510)이 수신하는 신호의 크기는 다른 수신하는 신호의 크기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GNSS 회로 모듈(510)이 수신하는 신호의 크기는 최대 -130dBm 수준일 수 있다. GNSS 회로 모듈(510)은 전원 공급기(예: 도 6의 전원 공급기(690))로부터 전원을 수신하고, 수신한 전원을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mmWave 통신 모듈(예: 도 5의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은 GNSS 회로 모듈(510)이 전자 장치(101)의 위치의 측정을 시작하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03에서, 프로세서(예: 도 5의 프로세서(520))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은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05에서, 프로세서(520)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예: 위급 상황에서 사용되는 전화 기능(경찰, 구급차 또는 소방서에 전화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길의 안내 기능을 지원하는 네비게이션, 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 위치 기반 게임 어플리케이션, 위치 공유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를 비활성화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의 활성화를 유지하기로 결정함에 대응하여,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07에서, 프로세서(520)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비활성화 함을 결정함에 대응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 공급기(예: 도 6의 전원 공급기(69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09에서, 프로세서(520)는 제 2 mmWave 통신 모듈(예: 도 4a의 제 2 mmWave 통신 모듈(420)) 또는 제 3 mmWave 통신 모듈(예: 도 4a의 제 3 mmWave 통신 모듈(430))을 이용하여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비활성화한 후, 다른 mmWave 통신 모듈(예: 도 4a의 제 2 mmWave 통신 모듈(420) 또는 도 4a의 제 3 mmWave 통신 모듈(43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 2 mmWave 통신 모듈(420) 및 제 3 mmWave 통신 모듈(430)은 제 1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로 제 1 mmWave 통신 모듈(410)이 방사하는 신호의 방사 방향과 다른 방사 방향으로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11에서, 프로세서(520)는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은 제 2 mmWave 통신 모듈(420) 또는 제 3 mmWave 통신 모듈(430)을 이용한 제 1 셀룰러 통신의 커버리지와 관련된 품질일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제 1 셀룰러 통신의 커버리지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 1 셀룰러 통신의 커버리지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셀룰러 통신은 제 1 셀룰러 통신과 상이한 셀룰러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셀룰러 통신은 5세대 이동 통신 방식 중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방식, 4세대 이동 통신 방식((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A pro(LTE Advanced pro)), 3세대 이동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13에서, 프로세서(520)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사용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함에 대응하여, 제 2 mmWave 통신 모듈(420) 또는 제 3 mmWave 통신 모듈(430)을 이용하여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15에서, 프로세서(520)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은 4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예: 도 6의 650), 3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예: 도 6의 660) 또는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5세대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예: 도 6의 670)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들 각각은 우선 순위가 지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지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들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17에서, 프로세서(520)는 GNSS 회로 모듈(510)이 전자 장치(101)의 위치 측정 동작을 종료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19에서, 프로세서(520)는 GNSS 회로 모듈(510)의 위치 측정 동작이 종료됨에 대응하여 제 1 셀룰러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GNSS 회로 모듈(510)의 위치 측정 동작이 종료됨에 대응하여,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을 다시 활성화시키고, 제 1 mmWave 통신 모듈(530), 제 2 mmWave 통신 모듈(420) 또는 제 3 mmWave 통신 모듈(4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GNSS 회로 모듈이, 상기 GNSS 회로 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의 측정의 시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프로세서 상에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비활성화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의 요청 주기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요청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어플리케이션들 각각마다 상기 GNSS 회로 모듈의 사용 시간 및 상기 위치 정보의 요청 횟수에 기반하여 상기 GNSS 회로 모듈에 대한 우선 순위가 매핑된 제 1 매핑 데이터 및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마다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의 접근에 대한 권한 정보를 매핑한 제 2 매핑 데이터 및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외부 전자 장치가 제 2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전송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요청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데이터 사용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mmWave통신 모듈이 출력하는 신호의 방사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mmWave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2 mmWave 통신 모듈을 이용한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셀룰러 통신과 다른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GNSS 회로 모듈;
    상기 GNSS 회로 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GNSS 회로 모듈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의 측정의 시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비활성화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의 요청 주기를 확인하고,
    상기 요청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들 각각마다 상기 GNSS 회로 모듈의 사용 시간 및 상기 위치 정보의 요청 횟수에 기반하여 상기 GNSS 회로 모듈에 대한 우선 순위가 매핑된 매핑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매핑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데이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마다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의 접근에 대한 권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매핑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권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제 2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전송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요청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 사용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동안 상기 GNSS 회로 모듈의 동작을 추적하고,
    상기 GNSS 회로 모듈의 위치 측정이 수행되지 않음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mmWave통신 모듈이 출력하는 신호의 방사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mmWave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mmWave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제 1 셀룰러 통신과 다른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mmWave 통신 모듈을 이용한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GNSS 회로 모듈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측정 주기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위치 측정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GNSS 회로 모듈이, 상기 GNSS 회로 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mmWave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의 측정의 시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프로세서 상에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비활성화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의 요청 주기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요청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어플리케이션들 각각마다 상기 GNSS 회로 모듈의 사용 시간 및 상기 위치 정보의 요청 횟수에 기반하여 상기 GNSS 회로 모듈에 대한 우선 순위가 매핑된 제 1 매핑 데이터 및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마다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의 접근에 대한 권한 정보를 매핑한 제 2 매핑 데이터 및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외부 전자 장치가 제 2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전송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요청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데이터 사용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1 mmWave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mmWave통신 모듈이 출력하는 신호의 방사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mmWave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2 mmWave 통신 모듈을 이용한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셀룰러 통신과 다른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90089409A 2019-07-24 2019-07-24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12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09A KR20210012176A (ko) 2019-07-24 2019-07-24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PCT/KR2020/005160 WO2021015397A1 (en) 2019-07-24 2020-04-17 Electronic device for improving position measurement performan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16/852,903 US11252692B2 (en) 2019-07-24 2020-04-20 Electronic device for improving position measurement performan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09A KR20210012176A (ko) 2019-07-24 2019-07-24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176A true KR20210012176A (ko) 2021-02-03

Family

ID=7418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409A KR20210012176A (ko) 2019-07-24 2019-07-24 위치 측정 성능을 향상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52692B2 (ko)
KR (1) KR20210012176A (ko)
WO (1) WO2021015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16911A1 (en) * 2021-06-23 2022-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 panel radar operation
CN115002665A (zh) * 2022-06-29 2022-09-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休眠控制方法及装置、终端、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8957A (ja) * 2001-08-31 2003-03-14 Nec Corp 複合情報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
JP4759892B2 (ja) 2001-09-14 2011-08-31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端末および制御方法
US8160508B2 (en) * 2008-08-14 2012-04-17 At&T Mobility Ii Llc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al parameter selection to avoid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2808274C (en) * 2010-08-13 2020-02-2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device interference mitigation
CN103843438B (zh) * 2011-07-29 2016-11-02 黑莓有限公司 设备中共存干扰避免的增强
US8842602B2 (en) 2011-07-29 2014-09-23 Blackberry Limited Enhancement of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JP5969107B2 (ja) 2012-03-29 2016-08-10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モバイルデバイスの位置推定を行う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US9712204B2 (en) 2015-09-30 2017-07-18 Apple Inc. Adaptive antenna selection for interference mitigation
KR102399798B1 (ko) * 2015-10-07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057787B2 (en) * 2016-04-06 2018-08-2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s
WO2017184865A1 (en) * 2016-04-20 2017-10-26 Convida Wireless, Llc Configurable reference signals
RU2757809C2 (ru) * 2017-03-27 2021-10-21 Идак Холдингз, Инк. Адаптивные конфигурации кодовой книги цифрового прекодера для связи в диапазоне миллиметровых волн на основе гибридно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луча
US10581164B2 (en) * 2018-06-07 2020-03-03 Futurewei Technologies, Inc. Hybrid millimeter wave FEM architecture for mobile devices
US11122573B2 (en) * 2018-07-30 2021-09-14 Nec Corporation Robust beam tracking and data communication in millimeter-wave mobile networks
US10827548B2 (en) * 2018-10-19 2020-11-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fficient beam tracking for vehicula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CN109495943B (zh) 2018-12-19 2021-11-30 深圳美图创新科技有限公司 小区重选的处理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5397A1 (en) 2021-01-28
US11252692B2 (en) 2022-02-15
US20210029662A1 (en)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651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US11075447B2 (en)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75568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device
US9392548B2 (en) Method of controlling for transmission power and device therefor
KR102651467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무선 신호 송신 방법
US1125154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519510B1 (ko)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자파 흡수율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35605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142401A (ko)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141016A (ko)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78030B1 (ko) 무선 통신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10961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KR20200104017A (ko)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KR20180096385A (ko) 복수의 주파수 밴드들을 이용한 d2d 통신을 지원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과 그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2019015912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in electronic device
KR20200122887A (ko) 5g 통신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220417645A1 (en) Electronic device for audio,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in electronic device for audio
US1127130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radio signal in electronic device
US11252692B2 (en) Electronic device for improving position measurement performan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20200104665A (ko) Dual sim 동작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102435A (ko) 채널 리스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00067336A (ko) 안테나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9000918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
KR2018009222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방사부의 전기적인 길이를 조정하는 방법
KR20210122625A (ko)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