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743A -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743A
KR20210011743A KR1020190089008A KR20190089008A KR20210011743A KR 20210011743 A KR20210011743 A KR 20210011743A KR 1020190089008 A KR1020190089008 A KR 1020190089008A KR 20190089008 A KR20190089008 A KR 20190089008A KR 20210011743 A KR20210011743 A KR 20210011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d
plant cultivation
cultivation apparatus
b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0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기영
이태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9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1743A/en
Publication of KR2021001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74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A control method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S10] setting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o which power is applied to a network connection with a user device to enable communication; [S20] recognizing a pod containing seeds and nutrients of a plant for cultivation by a recognition unit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30] seating the recognized pods on the be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operating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nder operating condition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pods seated on the bed; [S40] outputting a harvest or disposal notification to induce harvest or disposal whe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operated for more than a set time according to operating conditions.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ffective cultivation of various types of plants.

Description

식물 재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물 재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인 식물 재배 장치는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구비하는 소정의 재배실을 형성하고, 소정의 재배실 내부에 식물을 보관한다. 식물 재배 장치에는 식물 성장에 필요한 양분과 광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며, 식물은 공급되는 양분과 광 에너지에 의해 성장한다. A general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ms a predetermined cultivation chamber having an environment suitable for plant growth, and stores plants in the predetermined cultivation chamber.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nutrients and light energy necessary for plant growth, and plants grow by the supplied nutrients and light energy.

최근에는 가전제품과 같이 실내에 배치 가능한 소형의 식물 재배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물과 양분 그리고 빛의 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식물의 재배가 가능한 식물 재배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Recently, a small-sized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can be placed indoors, such as a home appliance, has been developed, and a plant cultivation device capable of cultivating plants has been developed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water, nutrients, and light.

한국등록특허 제 10-1954251호에는, 재배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트레이가 구비되고, 트레이에 씨앗 또는 모종이 포함된 파드가 안착되며, 파드를 인식하여 그에 맞는 물과 양분을 공급하고, 광원모듈에 의해 빛을 조사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재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54251, a tray is provided inside a case in which a cultivation space is formed, and a pod containing seeds or seedlings is seated in the tray, and water and nutrients are supplied according to the pod recognition, A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growing plants by irradiating light by a light source module is disclosed.

특히, 트레이에는 센서가 구비되어 파드의 장착을 인식하고, 파드의 장착시 근거리 통신을 통한 정보의 전달을 통해 재배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사상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재배 장치는 사용자기기와 연결되어, 재배중인 식물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사상이 개시되어 있다. In particular, a sensor is provided in the tray to recognize the mounting of the pod, and when the pod is mounted, the idea of controlling the cultivation apparatus through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has been disclosed. In addition, the cultiva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the idea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lant being cultivated has been disclosed.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재배중인 식물의 종류가 다양하게 될 경우 이에 적합한 운전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식물의 종류가 다양한 경우 적시에 적합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이 어려우며 물과 혼합된 배양액이 일괄 공급되어 재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a suitable operation when the types of plants being cultivated are varied. In particular, when the types of plants are diverse, it is difficult to supply appropriate nutrients in a timely manner,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cultivation efficiency is deteriorated because a culture medium mixed with water is supplied at a time.

그리고, 상기 파드의 감지를 위한 센서가 트레이에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파드의 정확한 위치 감지 및 파드의 인식을 보장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하여 각 파드의 재배 식물에 적합한 재배를 위한 운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파드의 위치 감지를 위해서 상기 트레이에 각각의 파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 마다 센서를 배치하게 되는 경우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트레이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f only one sensor for detecting the pod is present in the tray, it is not possible to ensure accurate position detection of the pod and recognition of the pod, thereby making it impossible to operate for cultivation suitable for cultivated plants of each pod. There is. In addition, when a sensor is disposed on the tray at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pod in order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p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nd the structure of the tray becomes complicated.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식물들을 효율적으로 재배 및 관리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cultivating and managing different types of plant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수의 파드의 배치 위치 관리가 용이한 식물 재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in which a plurality of pods are arranged to be easily managed.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다수의 파드의 위치 및 정보 인식이 보장되는 식물 재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in which the position and information recognition of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pods are guaranteed.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기기 조작을 최소화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식물 재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in which the user's direct operation of the device is minimiz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본 발명은 식물이 재배되는 내부 환경의 오염을 방지하여 위생성이 향상되고, 청결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식물 재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hich improves hygiene by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internal environment in which plants are grown, and maintains a clean state.

본 발명은 재배되는 식물의 성장 속도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적시 수확을 가능하도록 하는 식물 재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growth rate of cultivated plants to enable timely harvesting according to the needs of users.

본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파드를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인식부에 인식시킨 후 인식된 상기 파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 조건을 산출하여 상기 식물 재배 장치를 운전할 수 있다.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recognizing the pod to the recognition unit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may be operated by calculating a driving condition using the recognized information of the pod.

본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파드를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인식부에 인식시킨 후 인식된 상기 파드의 정보를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기기에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상기 파드의 정보를 확인하고 식물 재배 장치의 운전을 설정할 수 있다.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recognizing the pod to the recognition unit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e recognized po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network-connected user device, and the pod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device You can check and set the operation of the plant growing device.

본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파드를 인식부에 인식시키게 되면 사용자 기기로 알림이 출력되며, 사용자 기기를 통해 파드의 배치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od is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a notification is output to the user device, and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pod may be input through the user device.

본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식물 재배 장치와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 연결되며,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파드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로 전달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를 통해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운전을 설정할 수 있다.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the user apparatu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and information of the pod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apparatus. Through it is possible to set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본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식물의 씨앗과 양분이 패키지의 형태로 구성되는 파드가 베드에 안착되고, 상기 베드로 설정량의 물이 적시 공급되도록 하여 급수가 완료 후에는 재배 운전시 동작되는 라이트 어셈블리와 블로워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베드의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od comprising seeds and nutrients of a plant in the form of a package is seated on a bed, and a set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bed in a timely manner. Moisture from the bed may be removed by the light assembly and the blower assembly operated during operation.

본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인식된 파드의 종류에 따라 산출된 운전 조건으로 정상 운전이 수행되며, 사용자의 조작시, 상기 정상 운전 보다 수확 시기가 빨라지도록 하는 급속 운전과, 상기 정상 운전보다 수확 시기가 늦어지도록 하는 지연 운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a rapid operation in which a 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under a driving condition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cognized type of pod, and when a user manipulates, the harvest time is faster than the normal operation. , It can be performed by selecting any one of the delayed operation to make the harvest time later than the normal operation.

본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원이 인가된 식물 재배 장치가 사용자 기기와 네트워크 연결시켜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S10]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인식부에 재배를 위한 식물의 씨앗과 양분이 포함된 파드를 인식시키는 단계;[S20] 인식된 상기 파드를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베드에 안착시키고, 상기 베드에 안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파드의 정보에 따라 산출된 운전 조건으로 상기 식물 재배 장치를 운전하는 단계;[S30] 상기 식물 재배 장치가 상기 운전 조건에 따라 설정 시간 이상 운전되면, 수확 또는 폐기를 유도하기 위해 수확 또는 폐기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controll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setting a power-applie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o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is possible by network connection with a user device; [S10] a plant for cultivation in the recognition unit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Recognizing the seeds and nutrients of the pods; [S20] The recognized pods are seated on a be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the operating conditions calculated according to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od seated on the bed Operating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30] Whe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operated for a set time or longer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 outputting a harvest or disposal notification to induce harvesting or disposal; [S40] I can.

상기 S10 단계에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 및 사용자 기기와 연결되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버 또한 동일한 상기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In the step S10, the server connected to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the user equipment to enable communication may also configure the same network.

상기 S10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을 위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In the step S10, a time for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may be set using the user device.

상기 파드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 어셈블리는 일출 및 일몰 시간에 따라 온오프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A light assembly that irradiates light toward the pod may be set to be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sunrise and sunset times.

상기 파드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 어셈블리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시간에 온오프될 수 있다. A light assembly that irradiates light toward the pod may be turned on and off at a time input by a user.

상기 사용자 기기는 운전 중인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의 강제 온 오프 조작될 수 있다. The user device may be operated forcibly turning on and off the light assembly in operation.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는, 설정된 시간에 온오프 되는 정상 모드와; 상기 정상 모드 보다 더 짧은 시간 동안 온된 후 오프되는 지연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정상 모드와 지연 모드는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The light assembly includes: a normal mode turned on and off at a set time; And a delay mode that is turned on for a shorter time than the normal mode and then turned off, and the normal mode and the delay mode may be selected by the user device.

상기 S20 단계에서, 상기 인식부에서 동종의 상기 파드가 인식되면 운전 조건이 유지되고, 상기 인식부에서 이종의 상기 파드가 인식되면 운전 조건이 재산출될 수 있다. In step S20, when th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same type of Pod, the driving condition is maintained, and when th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different type of Pod, the driving condition may be recalculated.

재산출되는 상기 운전 조건은, 다수의 파드들의 운전 정보의 평균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The recalculated driving condition may be determined as an average value of driving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pods.

상기 운전 정보는 조도, 온도, 급수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driving in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illuminance, temperature, and water supply.

상기 S30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상기 파드의 배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In step S30, the pod placement position may be set through the user device.

상기 인식부에서 상기 파드가 인식되면, 상기 파드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로 전달되며,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알림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pod is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information on the pod is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and a notification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user device.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입력된 상기 파드의 위치 정보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로 전달되어 상기 운전 조건에 반영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d input from the user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reflected in the driving condition.

상기 파드의 위치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베드에 구획된 다수의 안착부와 동일한 배치로 표시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pod may be displayed in the same arrangement as a plurality of seating portions partitioned in the be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상기 파드에는 식별부가 제공되고, 상기 인식부와의 근접에 의해 상기 파드의 정보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An identification unit is provided to the pod, and information of the pod may be transmitted by proximity to the recognition unit.

상기 식별부는 엔에프시 태그, 바코드, 큐알코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unit may be any one of an NFC tag, a barcode, and a QR code.

상기 S30단계에서, 상기 운전 조건은, 상기 파드의 인식시 전달되는 정보에 따라 운전되는 정상 운전; 상기 정상 운전시 보다 수확 가능 시기를 더 늦추는 지연 운전; 및 상기 정상 운전시 보다 수확 가능 시기를 더 빠르게 하는 급속 운전; 중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로 선택 입력될 수 있다. In the step S30, the driving condition may include a normal driving operation performed according to information transmitted when the pod is recognized; A delayed operation that further delays the harvestable time than during the normal operation; And a rapid operation that speeds up the harvestable time than during the normal operation. One of them may be selected and input by the user.

상기 수확 가능 시기는, 냉동 사이클에 의한 온도 조절, 라이트 어셈블리에 의한 조도 조절, 급수 어셈블리에 의한 급수량 조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harvestable timing may be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temperature control by a refrigeration cycle, illumination control by a light assembly, and water supply amount control by a water supply assembly.

상기 S40 단계에서, 상기 운전 조건에 의한 운전 중 수확 가능 시기에 도달하면, 상기 사용자 기기기를 통해 수확 가능 시기를 알릴 수 있다.In the step S40, when the harvesting possible time is reached dur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 the harvesting possible time may be notified through the user device.

상기 수학 가능 시기로부터 설정 시간이 더 경과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폐기 시기를 알릴 수 있다.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math is possible, the discard time may be notified through the user device.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 중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파드가 수용된 재배 공간이 보다 어두워지도록 라이트 어셈블리의 동작이 제어되는 도어 열림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door is open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e door opening operation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light assembly is controlled so that the cultivation space in which the pod is accommodated becomes darker may be performed.

상기 도어 열림 운전은 상기 재배 공간 내부의 공기 유동을 위한 송풍팬을 정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operation may further include stopping a blowing fan for air flow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상기 도어 열림 운전은 상기 베드로의 급수를 정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operation may further include stopping water supply to the bed.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로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도어 열림 상태임을 알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When a set time elapses while the door is open, an operation notifying that the door is open may be performed.

상기 S30 단계에서, 물 감지부재에 의해 상기 베드에 물이 없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베드로 설정량의 물을 급수 할 수 있다. In the step S30, when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no water in the bed by the water detection member, water of a set amount may be supplied to the bed.

상기 베드로 급수 완료된 후 다시 상기 베드에 물이 없는 것이 감지되면, 설정시간 경과 후 다시 급수를 개시할 수 있다.After the water supply to the bed is complete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no water in the bed again, water supply may be started again after a set time elapses.

본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는 재배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재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재배 공간에 구비되며, 재배를 위한 식물의 씨앗과 양분이 포함된 파드가 안착되는 베드; 상기 파드로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베드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워터탱크; 상기 워터탱크의 물을 상기 베드로 공급하는 급수 어셈블리; 상기 재배 공간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블로워 어셈블리; 상기 파드의 근접시 상기 파드의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기기와 무선 통신되며, 인식된 상기 파드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인식된 상기 파드의 정보에 따라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와, 급수 어셈블리, 블로워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binet in which a cultivation space in which a temperature is controlled by a refrigeration cycle is formed;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cultivation space; A bed provided in the cultivation space and on which pods containing seeds and nutrients of plants for cultivation are seated; A light assembly that irradiates light to the pod;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bed; A water supply assembly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bed; A blower assembly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n the pod when the pod approaches; A communication unit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 user device carried by a user and transmits and receives the recognized information of the po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light assembly, the water supply assembly, and the blower assembly according to the recognized information of the pod.

상기 인식부는 상기 재배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시 노출될 수 있다. The recognition unit is disposed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and may be exposed when the door is opened.

상기 인식부는 상기 캐비닛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cognition unit may b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binet.

상기 인식부에서 상기 파드를 인식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로 인식 정보가 전달되며,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상기 파드의 위치가 입력될 수 있다. When th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pod, recogn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and the location of the pod may be input through the user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파드에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 가능한 식물의 씨앗과 양분이 패키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물의 종류는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재배 장치에는 다양한 종류의 파드가 인식될 수 있은 인식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파드의 배치 전 상기 인식부에서 상기 파드를 인식 시킨 후 베드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ds and nutrients of plants cultivable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may be provided to the pod in the form of a package. At this time, the types of plants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may be provided with a recognition unit capable of recognizing various types of pods, and the recognition unit may recognize the pod before placing the pod, and then the pod may be seated on the bed.

따라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는 다양한 식물의 파드들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운정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식물 재배 장치를 운전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을 효과적인 재배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n automatically receive information on pods of various plants, and by operating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by calculating cloud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ultivate various types of plants. Is done.

그리고, 상기 식물 재배 장치는 사용자 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상기 파드의 정보 및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로 전달 및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를 통해서 다수의 상기 파드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상태 및 재배되는 식물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a user device through a network so that information on the pod and information o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may be transmitted and output to the user device.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pods through the user device,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check the stat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the state of cultivated plants.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운전을 위한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 및 재배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t for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rough the manipulation of the user device,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and the cultiva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그리고, 재배를 위한 상기 파드는 상기 인식부에 먼저 인식된 후 상기 베드의 일측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식부에 상기 파드가 인식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로 상기 파드의 인식에 대한 알림이 출력되고, 상기 파드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기기를 조작하여 상기 파드의 배치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드의 정확한 인식은 물론, 상기 파드의 배치 위치를 오류 없이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od for cultivation may be first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and then seated on one side of the bed. In this case, when the pod is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a notification regarding recognition of the pod may be output to the user device, and information of the pod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In addition, the user can input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pod by manipulating the user device.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pod and accurately input the position of the pod without error.

특히, 상기 사용자 기기에 표시되는 상기 파드의 위치는 실제 베드의 구획된 안착부와 대응하는 배치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직관적인 조작 및 인지가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osition of the pod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may have an arrangement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partitioned seating portion of the actual bed, so that intuitive operation and recognition by the user may be possible, thereby further improving user convenience.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에 표시되는 각각의 파드는 파드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와, 위치, 재배 상태가 한눈에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식물의 재배 및 관리가 한층 더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each pod displayed on the user's device is indicated by a pod icon so that the type, location, and cultivation condition of crops to be grown can be checked at a glanc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ultivation and management of the plant is further facilitated.

그리고, 상기 파드에는 재배를 위한 식물의 씨앗과 함께 상기 식물의 재배에 적합한 양분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식물의 재배시 물 공급만으로 최적의 양분 공급이 가능하며, 이종의 식물이 다수 재배되는 환경에서도 적절한 양분과 수분이 곱급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od contains nutrients suitable for cultivation of the plant together with seeds of the plant for cultiv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ly optimal nutrients only by supplying water during plant cultivation,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ppropriate nutrients and moisture can be multiplied even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large number of heterogeneous plants are grown.

또한, 상기 파드까지 물 외에 다른 공급물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급수 어셈블리의 배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워터 탱크와 베드의 오염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청결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no supply other than water is required to the pod, contamination of the piping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can be prevented, and contamination of the water tank and bed can also be prevented, thereby maintaining a clean and hygienic environment. There is this.

뿐만 아니라, 수분의 공급시 설정량이 적시 공급되며, 공급 완료 후에는 라이트 어셈블리와 블로워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베드에 남은 수분이 제거되어 상기 베드는 보다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데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et amount is supplied in a timely manner when the moisture is supplied, and the moisture remaining in the bed is removed by the light assembly and the blower assembly after the supply is completed, so that the bed can maintain a cleaner state.

그리고, 상기 식물 재배 장치는 인식되는 파드에 따라 적합한 운전 조건을 설정하여 운전되는 정상 운전에 의해 재배 운전을 실시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정상 운전보다 더 빠르게 수확 시기에 도달될 수 있도록 운전 조건을 변경하는 급속 운전 또는 상기 정상 운전보다 더 느리게 수확 시기에 도달될 수 있도록 운전 조건을 변경하는 지연 운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재배 운전을 실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n perform cultivation operation by a normal operation operated by setting suitable operation conditions according to the recognized pod, and if necessary, the operation conditions are set so that the harvesting time can be reached faster than the normal operation. The cultiv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selecting any one of a rapid operation to change or a delay operation to change the operation conditions so that the harvesting time can be reached more slowly than the normal operation.

따라서, 사용자의 기호와 상황에 따라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운전을 가변 조절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n be varia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nd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일 구성인 캐비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캐비닛 내부의 급수 배관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일 구성인 베드로의 급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베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베드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베드에 안착되는 파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파드의 하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파드가 상기 베드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 XIV' 절개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기계실이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18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9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와 서버 및 사용자 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표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네트워크 설정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2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시간 및 라이팅 설정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3은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기기의 조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의 오프 상태 설정을 위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조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의 지연 모드 설정을 위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조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상기 파드의 인식을 위한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7은 상기 파드의 인식 및 위치 설정을 위한 조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상기 파드의 인식 및 위치 설정을 위한 조작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상기 파드의 추가 또는 제거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30은 상기 파드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수확 및 폐기 알림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32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 모드에 따른 동작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3은 상기 도어의 개방에 따른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4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급수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35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스케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재배 정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상기 재배 정보 화면에서 개별 작물의 정보 표시를 위한 화면의 조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알림 내역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는 새로운 작물의 투입시 사용자 기기의 알림 및 화면 조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은 투입된 작물의 발아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알림 및 화면 조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 및 도 42는 투입된 작물의 폐기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알림 및 화면 조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3은 투입된 작물의 폐기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알림 및 화면 조작 상태의 다른 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의 구조가 적용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45는 상기 냉장고의 재배실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6은 상기 재배실의 종단면도이다.
도 47은 상기 재배실의 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the door is open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abinet that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5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water supply pipe inside the cabinet.
6 is a view showing a water supply structure of the bed,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d.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ed.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d seated on the bed.
10 is a bottom view of the pod.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d is seated on the bed.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 assembly.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lower assembly.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XIV-XIV' of FIG. 13.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the machine room is opened.
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control signal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tep by step.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the server and user equipment.
20 is a view showing a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assembly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21 is a flow chart showing a network setting process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22 is a flow chart showing a time and lighting setting process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23 is a diagram sequenti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a user device for setting an operation time of the light assembly.
24 is a diagram sequenti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user device for setting an off state of the light assembly.
25 is a diagram sequenti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user device for setting a delay mode of the light assembly.
26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for recognizing the Pod.
27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state for recognizing and positioning the Pod.
2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operation state for recognizing and positioning the Pod.
29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adding or removing the pod.
30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state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od.
31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notifying harvest and disposal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32 is a flow chart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a cultivation mod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33 is a flow chart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door.
3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water supply process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3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dule screen of the user device.
3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of the user device.
37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screen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individual crops o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otification detail screen of the user device.
39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 notification of a user device and a screen manipulation state when a new crop is introduced.
40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 notification and a screen manipulation state of the user device when an input crop is germinated.
41 and 42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notification and a screen manipulation state of the user device when an input crop is discarded.
43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notification and a screen manipulation state of the user device when an input crop is discarded.
4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to which the structure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5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door of the cultivation room of the refrigerator is opened.
4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ultivation chamber.
4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ltivation chamb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sai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and other inventions that are regressive by addition, change, deletion, etc. of other components, or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erformed Can be sugges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일 구성인 캐비닛의 종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n door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Figure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abinet that is a component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1)는 내부에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재배되는 상기 식물은 통상적으로 쌈 또는 샐러드에 사용될 수 있는 엽채, 허브 등과 같이 사용자가 취식 가능하고 재배가 용이하며,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식물들이 재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0 forming a space in which plants are grown, and a door 20 that opens and closes the cabinet 10. The appearance can be formed by thi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nts to be grown are generally cultivated by the user, such as leaves, herbs, etc. that can be used in wraps or salads, and are easy to cultivate, and do not take up much space.

상기 캐비닛(10)은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재배 공간(11)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외형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30)와, 상기 재배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130)와 이너 케이스(140)의 사이에는 단열재(101)가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와 외부를 단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배 공간(11)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 cabinet 10 is formed such that the front surface thereof is opened, and a cultivation space 11 may be provided therein. The cabinet 10 may include an outer case 130 forming an outer shape and an inner case 140 forming the cultivation space. In addition, an insulating material 10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er case 130 and the inner case 140 to insul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Therefore, the cultivation space 11 can maintain a set temperature.

상기 캐비닛(10)의 후면 즉, 상기 아우터 리어 플레이트(134)의 배면에는 제어부(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에는 상기 압축기(32)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 구비된 압축기 피시비(181)가 포함될 수 있다.A control unit 18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0, that is,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rear plate 134. The control unit 18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e control unit 18 may include a compressor PCB 181 separately provided to control the compressor 32.

상기 이너 케이스(140)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내측 즉 상기 재배 공간(11)을 형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너 케이스(140) 중 적어도 일부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inner case 14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lates forming the inner side of the cabinet 10, that is, the cultivation space 11. Of course,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case 14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상기 이너 케이스(140)는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 성능이 우수한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소재의 상기 이너 케이스(140)는 열전달 성능이 우수하여 상기 재배 공간(11)의 가열 또는 냉각시 상기 재배 공간(11)의 내부가 보다 고른 온도 분포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140)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에서 조사되는 빛은 금속 소재의 상기 이너 케이스(140)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베드(50)의 전체 영역의 식물에 고르게 빛이 조사될 수 있으며, 빛이 조사되지 않는 음영지역을 해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너 케이스(140)의 각 면에는 반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 처리, 도장 또는 필름 부착이 더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inner case 14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aluminum. The inner case 140 made of a metal material has excellent heat transfer performance, so that when the cultivation space 11 is heated or cooled,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may have a more even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ddition, the inner case 140 may be configured to reflect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assembly 60.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assembly 60 is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inner case 140 made of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light can be evenly irradiated to the plants in the entire area of the bed 50, and the light is not irradiated. Area can be resolved. To this end, surface treatment, painting, or film attachment may be further performed on each surface of the inner case 140 to improve reflective performance.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베드(50)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하 두개의 베드(50)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베드(50)는 상기 캐비닛(10)의 크기에 따라서 2개 이상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side the cabinet 10, a plurality of beds 50 may be arranged vertically. In this embodiment, two upper and lower beds 50 may be provided. Of course, two or more beds may be further provid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abinet 10.

그리고, 상기 베드(50)는 식물의 씨앗과 재배에 필요한 양분이 포함된 파드(90)가 다수개 안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드(50)는 선반 또는 트레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파드(90)는 다양한 종류의 씨앗과 그에 적합한 양분이 적합하게 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재배를 원하는 제품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50)는 상기 파드(90)의 안착 및 안착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d 5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ods 90 containing plant seeds and nutrients required for cultivation are seated. The bed 50 may be referred to as a shelf or a tray. The pod 9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various kinds of seeds and nutrients suitable therefor may be suitably combined, and the user may select a product to be cultivated. In addition, the bed 50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the seated and seated state of the pod 90.

또한, 상기 베드(50)에는 워터탱크(40)에서 공급되는 물이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는 상기 파드(90)에 상시 수분을 공급 가능하도록 적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40 flows may be formed in the bed 50. In addition, the bed may maintain an appropriate water level so that moisture can be supplied to the pod 90 at all times.

상기 캐비닛(10)의 양측면에는 인출입 가이드(5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베드(50)의 양단은 상기 인출입 가이드(56)에 안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인출입 가이드(56)에 의해 상기 베드(50)는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상기 베드(50)는 상기 재배 공간(11)의 내측에서 인출입 가능하게 되며, 상기 베드(5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베드(50)에 상기 파드(90)를 용이하게 안착시키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Both sides of the cabinet 10 may be provided with draw-out guides 56, and both ends of the bed 50 may be supported in a state seated on the draw-out guide 56, and the draw-out guide ( 56), the bed 50 can be drawn in and out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bed 50 can be withdrawn from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and the pod 90 can be easily seated and managed on the bed 50 while the bed 50 is pulled out. There will be.

상기 캐비닛(10)에는 압축기(32)와 응축기(33) 및 증발기(31)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이 구비될 수 있으며, 냉동 사이클을 통해서 상기 재배 공간의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발기(31)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측 후벽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32)와 응축기(33) 등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캐비닛(10)의 후반부 하단에 제공되는 기계실(12)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2)은 상기 재배 공간(11)과 분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소음의 유입 방지, 상기 재배 공간(11)의 단열 유지 및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배치 구조를 가진다.The cabinet 10 may be provided with a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a compressor 32, a condenser 33, and an evaporator 31,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ultivation space may be adjusted through a refrigeration cycle. At this time, the evaporator 31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rear wall of the cabinet 10, and the rest of the components such as the compressor 32 and the condenser 33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alf of the cabinet 10. (12) Can be placed in space. The machine room 12 may be separated from the cultivation space 11 and thus has an arrangement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the inflow of noise, maintaining insul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11, and ensuring user safety.

상기 재배 공간의 후벽면을 형성하는 이너 리어 플레이트(140)의 전면(재배공간의 내측면)에는 상기 증발기(31)가 배치되고, 배면에는 히터(10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배 공간의 후방 영역에서 가열 및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evaporator 31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inner 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of the inner rear plate 140 forming the rear wall of the cultivation space, and a heater 102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Accordingly, heating and cooling can be performed in the rear area of the cultivation space.

상기 증발기(31)는 롤본드 타입의 열교환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증발기(31)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측 후벽면에 부착이 용이한 판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31)는 판상의 구조로 인해 상기 재배 공간(11)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한편, 상기 재배 공간(11)과 근접하여 상기 재배 공간(11)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된다.The evaporator 31 may be provided with a roll bond type heat exchanger, and may be referred to as a heat exchanger. The evaporator 31 may have a plate-like structure that is easily attached to the inner rear wall of the cabinet 10. In addition, the evaporator 31 minimizes the loss of the cultivation space 11 due to the plate-like structure, while being close to the cultivation space 11,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상기 증발기(31)는 상기 이너 리어 플레이트(146)와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압축기(32)의 구동에 의해 유동되는 냉매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를 통해 냉각된 공기는 상기 재배 공간(11)의 내부를 순환하여 상기 재배 공간(11)을 고르게 냉각할 수 있다. The evaporator 31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rear plate 146 and the blower assembly 80 and may be cooled by a refrigerant flowing by driving the compressor 32. In addition, the air cooled through the blower assembly 80 may circulate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to evenly cool the cultivation space 11.

상기 히터(102)는 상기 이너 리어 플레이트(146)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단열재(101)에 의해 매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102)는 상기 증발기(31)와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재배 공간(11)의 내부에는 지속적인 수분 공급 및식물의 호흡으로 인해 다습한 환경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102)는 재배 공간(11)의 내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이너 리어 플레이트(146)의 배면에 배치되는 것이 안전성 및 내구성을 위해서는 바람직할 것이다. The heater 102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rear plate 146 and may be configured to be buried b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01. The heater 102 may be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vaporator 31.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may become a humid environment due to continuous supply of moisture and respiration of plants. Therefore, the heater 102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rear plate 146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for safety and durability.

상기 히터(10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너 리어 플레이트(146)의 영역이 가열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에 의해 가열 공기는 재배 공간(11)의 내부를 순환하여 재배 공간(11)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102)는 상기 증발기(31)와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므로 상기 증발기(31)의 결빙시 동작되어 상기 증발기(31)의 제상에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area of the inner rear plate 146 may be heated by the driving of the heater 102, and the heated air circulates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1 by the blower assembly 80 to circulate the cultivation space 11 Can be heated evenly. In addition, since the heater 102 is locat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vaporator 31, it may be operated when the evaporator 31 is frozen and used for defrosting the evaporator 31.

상기 증발기(31) 및 히터(102)에 의해 상기 재배 공간(11)의 내부는 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예컨데 18℃ - 28℃)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재배 공간(11) 내부의 온도는 내부 온도센서(182)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캐비닛(10)의 외부 온도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by the evaporator 31 and the heater 102 is able to maintain a temperature suitable for the growth of plants (eg, 18° C.-28° C.). The temperature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1 is sensed by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182, so that it can be kept constant regardless of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cabinet 10.

그리고, 상기 증발기(31)의 전방에는 블로워 어셈블리(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하 배치되는 블로워 어셈블리(80)는 서로 장착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조와 형상은 동일하다.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는 상기 베드(50)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베드(5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드(5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재배 공간(11)의 내측의 각 공간에 독립적인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blower assembly 80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evaporator 31. The blower assemblies 80 that are disposed above and below are only different in their mounting positions, but have the same structure and shape. The blower assembly 80 may be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beds 50, and air may be blown from the rear of the bed 50 toward the front. Accordingly, independent air circulation may be performed in each space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1 partitioned by the bed 50.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에 의해서 상기 재배 공간의 내부 공기가 순환되고, 특히 순환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를 지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재배 공간(11)의 내부 전체가 균일한 온도를 가지는 한편, 빠르게 온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는 상기 베드(50) 상면과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하면을 지나면서 유동될 수 있다. The air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is circulated by the blower assembly 80, and in particular, the circulated air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so that the entire interior of the cultivation space 11 has a uniform temperature, while the temperature can be quickly controlled. You can make it happen. In addition, air circulated by the blower assembly 80 may flow while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5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assembly 60.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베드(50) 상면을 지나면서 상기 베드(50)에서 생장되는 식물의 호흡을 보다 원활하도록 하고 식물이 적절하게 흔들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조절하여 생육에 필요한 최적의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하면을 지나면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air flowing by the blower assembly 80 pa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50 to facilitate the breathing of the plants grown in the bed 50 and allow the plants to be properly shaken, thereby controlling stress and growing. It can provide the optimum airflow required for Further, the air flowing by the blower assembly 80 passes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assembly 60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light assembly 60.

한편, 상기 베드(50)의 상방에는 라이트 어셈블리(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는 상기 베드(50)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여 식물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에 의해 조사되는 광량은 태양광과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재배되는 식물에 최적화된 광량과 조사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a light assembly 60 may be provided above the bed 50. The light assembly 60 irradiates light toward the bed 50 to provide light necessary for plants. In this case,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by the light assembly 60 may be set similarly to sunlight, and an amount of light and an irradiation time optimized for the plant to be grown may be set.

상기 캐비닛(10) 내측의 바닥면에는 워터탱크(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40)는 상기 베드(50)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40)는 복수의 상기 베드(50)들 중 가장 하방에 위치되는 상기 베드(5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드(50)의 전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전면이 위치할 수 있다.A water tank 40 may b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inside the cabinet 10. The water tank 40 may store water supplied to the bed 50. The water tank 40 may be located under the bed 5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beds 50, and the front surface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bed 50. I can.

상기 워터탱크(40)는 가로 방향의 길이가 상기 캐비닛(10)의 내측 공간의 폭과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40)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기 베드(50)와 상기 재배 공간(11)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워터탱크(40)는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기 베드(50) 하방의 공간 전체를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탱크(40) 후방의 공간은 상기 워터탱크(4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The water tank 40 may have a length in a horizont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width of an inner space of the cabinet 10.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water tank 40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distance between the bed 50 positioned at the bottom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That is, the water tank 40 may be formed to fill the entire space under the bed 50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space behind the water tank 40 is formed by the water tank 40. It can be masked.

상기 워터탱크(40)에 의해 가려지는 후방의 공간에는 급수 케이스(4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케이스(49)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펌프(494)와, 유량센서(495) 및 급수 밸브(49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케이스(49), 상기 급수 케이스(49) 내부의 구성들, 그리로 이들 구성과 연결된 배관을 포함하여 급수 유닛 또는 급수 어셈블리라 할 수도 있다. A water supply case 49 may be provided in the rear space covered by the water tank 40. A pump 494, a flow sensor 495, and a water supply valve 496,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provided inside the water supply case 49. The water supply case 49,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water supply case 49, and a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ase 49 may be referred to as a water supply unit or a water supply assembly.

상기 워터탱크(40)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워터탱크(40)에 물을 급수하거나 세척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water tank 40 may b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so as to be withdraw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may have a detachable structur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tank 40 or have a structure that facilitates cleaning and maintenance.

한편, 상기 베드(50)의 전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는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는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는 조작부라 부를 수도 있으며,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정 및 입력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는 터치 스크린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버튼, 스위치와 같은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display assembly 70 may be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bed 50. In addition, the display assembly 70 may be exposed through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 The display assembly 70 may output the operating stat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display assembly 70 may be configured to input a user's manipulation. Accordingly, the display assembly 70 may be referred to as a manipulation unit, and may set and input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 example, the display assembly 70 may include a touch screen structure, and may include a structure such as a button and a switch.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는 상기 베드(50)의 전단과 동일한 전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는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의 전단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도어(20)가 닫히게 될 때, 상기 도어(20)의 배면과 매우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assembly 70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front surface as the front end of the bed 50. The display assembly 70 may be positioned at a front end of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 and may be disposed to be very close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 when the door 20 is closed.

상기 기계실(12)은 상기 공급 덕트(17)에 의해 재배 공간(11)과 연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이산화탄소(CO2)가 상기 기계실(12)에서 상기 재배 공간(11)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배 공간(11) 내부의 공기는 리턴 덕트(1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급 덕트(17)와 리턴 덕트(150) 중 적어도 일측은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산화탄소의 공급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machine room 12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cultivation space 11 by the supply duct 17, and thus carbon dioxide (CO 2 ) required for plant growth is transferred from the machine room 12 to the cultivation space 11. Can be supplied. In addition, the air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1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return duct 150. At least one side of the supply duct 17 and the return duct 150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may be opened when carbon dioxide is supplied.

상기 기계실(12)은 재배 공간(11)과 구획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재배 공간(11) 내부에 상기 단차부(147)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단차부(147)의 전방에 워터탱크(40)와 급수 케이스(49)가 차례로 연속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최 하단에 위치된 상기 베드(50) 하방의 공간을 기계실(12), 워터탱크(40) 및 급수 어셈블리를 배치하여 완전히 채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재배 공간(11)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워터탱크(40)는 개구된 상기 캐비닛(10) 전면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The machine room 12 has a structure partitioned from the cultivation space 11 and forms the stepped portion 147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1. The water tank 40 and the water supply case 49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front of the stepped portion 147 in succession. Therefore, by arranging the machine room 12, the water tank 40 and the water supply assembly to completely fill the space under the bed 50 located at the botto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the cultivation space 11 do. In addition, the water tank 4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opened cabinet 10 to facilitate user access.

상기 워터탱크(40)는 급수 및 서비스를 위해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 케이스(49)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급수 케이스(49)에 구비된 연결관(492)과 상기 워터탱크(40) 내부에 구비된 흡입관(412)은 선택적으로 서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ater tank 40 may be disposed to be slidable in and out of the cabinet 10 for water supply and service. In addition, since the water supply case 49 maintains a fixed state inside the cabinet 10, a connection pipe 492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case 49 and a suction pipe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40 412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connect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하면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1)가 설치되는 지면과 다소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하면에는 바텀 케이스(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케이스(19)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도어 스위치(195)와, 통신부(185) 등 상기 캐비닛(10) 외부에 배치되는 전장 부품들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케이스(19)는 상기 캐비닛(10) 하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가 닫혔을 때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lower surface of the cabinet 10 may be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on which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s installed, and a bottom case 19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binet 10. The bottom case 19 may accommodate electrical components disposed outside the cabinet 10 such as a door switch 195 to be described below and a communication unit 185. The bottom case 19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abinet 10 and may be configured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oor 20 is closed.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좌우 양측 중 일측의 상단과 하단에는 어퍼 힌지(211)와 로어 힌지(212)가 축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어퍼 힌지(211)와 로어 힌지(21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재배 공간(11)을 개폐할 수 있다.The door 20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apable of shielding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 In addition, an upper hinge 211 and a lower hinge 212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or 20. The door 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10 by the upper hinge 211 and the lower hinge 212, and the cultivation space 11 is opened by the rotation of the door 20. Can be opened and closed.

상기 도어(20)는 적어도 일부가 투시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재배 공간(11)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의 동작시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도어(20)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의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or 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door can be seen through,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ultivation space 11 can be checked even when the door 20 is closed.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assembly 70 is operated, even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display assembly 70 may be configured to check the state of the display assembly 70 through the door 20.

상세히, 상기 도어(20)는 둘레를 형성하며 중앙부가 개구되는 도어 프레임(22)과, 상기 도어 프레임(22)의 개구를 차폐하는 도어 패널(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23)은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패널(23)은 색상을 가지거나 유색의 코팅, 금속 증착 또는 필름이 부착되어 상기 재배 공간(11)이 선택적으로 보이거나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detail, the door 20 may include a door frame 22 forming a circumference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opening, and a door panel 23 shielding the opening of the door frame 22. The door panel 23 may be formed of a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nside is possible. In addition, the door panel 23 may have a color or a colored coating, a metal deposition or a film may be attached to selectively show or prevent the cultivation space 11 from being viewed.

예컨데,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켜지게 되면 상기 재배 공간(11)의 내측이 밝아지게 되어 상기 도어 패널(23)을 통해서 내부가 보여질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꺼지게 되면 상기 재배 공간(11)의 내측이 어두워지게 되고, 더불어 도어 패널(23)이 가지는 색상 또는 광학적 특성에 의해 상기 재배 공간(11)이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재배 공간(11)의 내부를 확인하여 식물의 생육상태 확인이 가능하고 인테리어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 확인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깔끔한 외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ight assembly 60 is turned on while the door 20 is closed,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is brightened, so that the interior can be seen through the door panel 23. Conversely, when the light assembly 60 is turned off while the door 20 is closed,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becomes dark, and in addition, the cultivation space due to the color or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oor panel 23 (11) can be made invisible. Due to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even when the door 20 is closed to check the growth status of plants and have an interior effect, and maintain a neat appearance when the inside is not necessary. I can.

또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켜지게 되면 상기 도어 패널(23)을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가 가시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를 통해 정보의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꺼진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 자체가 온되어 발광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만 상기 도어(20)를 통해 가시화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light assembly 60 is turned on, the display assembly 70 may be visualized through the door panel 23. Accordingly,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user can check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assembly 70. Further, even when the light assembly 60 is turned off, when the display assembly 70 itself is turned on to emit light, only the display assembly 70 may be visualized through the door 20.

한편, 상기 도어 패널(23)은 복수개가 전후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도어 패널(23)의 사이에 단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도어 패널(23)은 단열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캐비닛(10)의 내부와 외부를 단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Meanwhile, a plurality of the door panels 23 may be disposed in front and rear, and an insulating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door panels 23. And, if necessary, the door panel 23 may include insulating gla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sul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상기 도어 프레임(22)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도어(20)의 회전 조작을 위한 도어 핸들(22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22)의 배면 둘레에는 가스켓(222)이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과 도어(20) 사이를 기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도어(20)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히터(24)가 구비될 수도 있다.A door handle 221 for rotating the door 20 may be provided on one front side of the door frame 22. In addition, a gasket 222 is provided around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frame 22 to seal the airtight between the cabinet 10 and the door 20. Further, although not shown, the door 20 may be provided with a door heater 24 for preventing condensation from occurring on the surface of the door 20.

이하에서는 상기 급수 어셈블리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상기 캐비닛 내부의 급수 배관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일 구성인 베드로의 급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water supply pipe inside the cabinet. And,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water supply structure of the bed is a component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급수 케이스(49)는 후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 케이스(49)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관(492)과 펌프(494), 유량센서(495) 및 급수 밸브(496)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water supply case 49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rear surface. In addition, a space in which the connection pipe 492, the pump 494, the flow sensor 495, and the water supply valve 496 can be accommodated may be provided inside the water supply case 49.

상기 급수 케이스(49)는 상기 재배 공간(11)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147)의 높이와 같거나 다소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 케이스(49)의 개구된 후면은 상기 단차부(147)의 전면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case 49 may be formed equal to or slight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tepped portion 147 in a state mounted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1. In addition, the opened rea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ase 49 may be shielded by the front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147.

상기 급수 케이스(49)의 전면 일측에는 연결관(492)과 연통되는 케이스 홀(49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홀(491)은 상기 연결관(492)의 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40)의 장착시 상기 흡입관(412)은 상기 케이스 홀(491)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관(492)과 연결될 수 있다.A case hole 491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pipe 492 may be formed on one front side of the water supply case 49. The case hole 49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the connection pipe 492. In addition, when the water tank 40 is mounted, the suction pipe 412 may pass through the case hole 491 and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492.

상기 급수 케이스(49)의 전면 다른 일측에는 탱크 스위치(49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탱크 스위치(493)는 워터탱크(4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워터탱크(40)의 장착시 상기 워터탱크(40)의 후면에 의해 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A tank switch 493 may be mounted on the other front side of the water supply case 49. The tank switch 493 may protrude toward the water tank 40 and is configured to be press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water tank 40 when the water tank 40 is mounted as shown in FIG. 7. do.

따라서, 상기 탱크 스위치(493)는 상기 워터탱크(40)가 정상 장착되어 급수가 가능한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탱크 스위치(493)에 의해 상기 워터탱크(40)의 장착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펌프가 동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40)의 미장착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ank switch 493 may detect whether the water tank 40 is normally mounted and water supply is possibl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mounting signal of the water tank 40 is not input by the tank switch 493, the pump may not be opera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water tank 40 that is not mounted on the display assembly 7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상기 급수 케이스(49)의 내측에는 브라켓(49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97)은 상기 펌프(494)와 유량센서(495) 그리고 급수 밸브(496)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A bracket 497 may be provided inside the water supply case 49. The bracket 497 allows the pump 494, the flow sensor 495, and the water supply valve 496 to be mounted.

상기 연결관(492)과 펌프(494), 유량센서(495) 및 급수 밸브(496)는 차례로 배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펌프(494)의 동작에 의해 상기 워터탱크(40)의 물이 상기 유량센서(495)와 상기 급수 밸브(496)를 지나 상기 베드(50)로 공급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ipe 492, the pump 494, the flow sensor 495, and the water supply valve 496 are sequentially connected by a pipe, and the water in the water tank 40 is transferred to the water in the water tank 40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494. It may be supplied to the bed 50 through the flow sensor 495 and the water supply valve 496.

상기 유량센서(495)는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베드(50)로 물이 과도하게 공급되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유량센서(495)를 통한 정량 급수로 상기 베드(5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드(50)에 식물의 생육 단계별로 최적의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베드(50)에 과도하게 수분이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베드(50)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flow sensor 495 detects the flow rate of the supplied water, and prevents excess wat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bed 50 and overflowing. In additio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bed 50 may be adjusted by quantitative water supply through the flow sensor 495.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optimal amount of water to the bed 50 at each stage of plant growth so as not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excessive moisture is supplied to the bed 50. Through this, the bed 50 can always be kept clean.

상기 급수 밸브(496)는 상기 펌프(494)의 구동시 개방되어 상기 베드(50)를 향하여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급수 밸브(496)는 상기 베드(50)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급수 밸브(496)가 분지되어 복수의 베드(50)로 각각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valve 496 is opened when the pump 494 is driven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ward the bed 50. A plurality of water supply valves 496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beds 50, and one water supply valve 496 may be branched to supply wate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eds 50.

상기 워터탱크(40)는 상기 급수 케이스(49)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탱크 스위치(493)를 누르게 된다. 그리고, 전방에서 볼 때 하부의 상기 베드(50)의 하방 영역은 상기 워터탱크(40)에 의해 완전히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40)의 전면은 상기 베드(50)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상하 배치되므로 전방에서 바라보게 될 때 보다 일체감을 가질 수 있다.The water tank 4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water supply case 49, and the tank switch 493 is pressed in a completely retracted state. In addi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area below the bed 50 may be completely shielded by the water tank 40.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tank 40 may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front surface of the bed 50, and since it is disposed vertically in a state adjacent to each other, it may have a sense of unity than when viewed from the front.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급수 밸브(496)에는 상기 상부 베드(50)와 하부 베드(50)에 각각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부 급수관(498)과 하부 급수관(497)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급수관(498)과 하부 급수관(497)은 독립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베드(50)의 후단을 향하도록 연장 배치되어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an upper water supply pipe 498 and a lower water supply pipe 497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496 so as to supply water to the upper bed 50 and the lower bed 50, respectively. The upper water supply pipe 498 and the lower water supply pipe 497 are independently arranged, and extend toward the rear end of the bed 50 to supply water required for plant growth.

상기 워터탱크(40)의 공간을 확보하고, 유로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관(492)과 펌프(494), 유량센서(495) 그리고 급수 밸브(496)는 가로 방향으로 연속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밸브(496)는 상기 급수 케이스(49)의 가장 외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급수관(498)과 하부 급수관(497) 또한 상기 급수 케이스(49)의 측벽면을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order to secure the space of the water tank 40 and to facilitate the flow path arrangement, the connection pipe 492, the pump 494, the flow sensor 495, and the water supply valve 496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have. The water supply valve 496 may be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water supply case 49, and the upper water supply pipe 498 and the lower water supply pipe 497 may also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ase 49. have.

한편, 상기 급수 밸브(496)와 인접하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측벽면에는 급수관 안내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안내부(103)는 상기 저장공간의 좌우 양측벽 중 일측벽 즉,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141)에 함몰 또는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water supply pipe guide part 103 may be formed on a side wall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valve 496. The water supply pipe guide part 103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or opened in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storage space, that is, the inner side plate 141.

상기 급수관 안내부(103)는 상기 급수 밸브(496)와 인접하는 상기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다시 상기 단차부(147)의 상단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 밸브(496)와 연결된 상기 상부 급수관(498)과 하부 급수관(497)은 상기 재배 공간(11)의 측벽을 따라서 상기 재배 공간(11)의 후벽면 즉 상기 이너 리어 플레이트(146)의 위치까지 안내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ipe guide part 103 may extend upward from the one side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valve 496 and extend rearward along the upper end of the stepped part 147. Accordingly, the upper water supply pipe 498 and the lower water supply pipe 497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496 are formed along the side wall of the cultivation space 11, that is,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that is, the inner rear plate 146 Can be guided to the location of.

상기 하부 베드(50)의 장착을 위해서 재배 공간(11)의 양측면에는 인출입 가이드(56)가 장착되며, 이때, 상기 인출입 가이드(56)는 상기 급수관 안내부(103) 중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구간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베드(5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급수관 안내부(103)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외관을 한층 깔끔하게 할 수 있다. In order to mount the lower bed 50, draw-out guides 56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cultivation space 11, and at this time, the draw-out guides 56 exten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mong the water supply pipe guides 103 It is configured to cover the old section.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bed 50 is mounted, the water supply pipe guide 103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appearance can be made more neat.

상기 상부 급수관(498)과 하부 급수관(497)은 상기 재배 공간(11)의 후면과 측면의 모서리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상부 급수관(498)과 하부 급수관(497)은 상기 이너 리어 플레이트(146)와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141)가 서로 인접하는 모서리 영역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급수관(498)은 상기 상부 베드(50)의 급수부(524)까지 연장되고, 상기 하부 급수관(497)은 상기 하부 베드(50)의 급수부(524)까지 연장되어 상부 베드(50)와 하부 베드(50) 각각에 급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upper water supply pipe 498 and the lower water supply pipe 497 are located in the corner regions of the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cultivation space 11. That is, the upper water supply pipe 498 and the lower water supply pipe 497 may be bent upward in a corner region where the inner rear plate 146 and the inner side plate 141 are adjacent to each other to extend. The upper water supply pipe 498 extends to the water supply part 524 of the upper bed 50, and the lower water supply pipe 497 extends to the water supply part 524 of the lower bed 50, so that the upper bed 50 It is configured to enable water supply to each of the and lower bed 50.

상기 급수관(497,498)은 상기 재배 공간(11)의 내측을 따라 안내되어 배치가 용이하게 되며, 상기 재배 공간(11)의 모서리 영역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내부 구성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게 된다. The water supply pipes 497 and 498 are guid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to facilitate placement, and extend upward along the corner region of the cultivation space 11 to minimize interference between internal components.

특히, 상기 이너 리어 플레이트(146)의 전면에 장착되는 증발기(31)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증발기의 측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관(497,498)을 따라 유동되는 물이 상기 증발기의 냉기에 의해 결빙되거나 과도하게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31) 등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구성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배치 작업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In particular, the water flowing along the water supply pipes 497 and 498 is dispos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evaporato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evaporator 31 mounted on the front of the inner rear plate 146 and is frozen by the cold air of the evaporator. Or excessive temperature decrease. In addition, it has a structure that prevents interference with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abinet 10 such as the evaporator 31 and facilitates the arrangement.

상기 급수관(497,498)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익 급수관(497,498)은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유로가 변형되거나 꺽이게 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신뢰성있는 물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The water supply pipes 497 and 498 may be formed of a metal pipe such as stainless steel. Therefore, the private water supply pipes 497 and 498 can be managed in a sanitary manner, and the shape can be maintained firmly, preventing clogging due to deformation or bending of the flow path, and reliable water supply is possible.

상기 급수관(497,498)은 상기 급수부(524)를 지나 상방으로 연장된 후 다시 상기 급수부(524)를 향하여 절곡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급수관(497,498)의 출구는 상기 급수부(524)와 인접한 상방에서 상기 급수부(524)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ipes 497 and 498 have a structure that passes through the water supply part 524 and extends upward and then bends toward the water supply part 524 again. The outlets of the water supply pipes 497 and 498 may be formed to face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part 524 from an upper side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part 524.

한편, 상기 급수부(524)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급수관 홀더(48)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홀더(48)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리어 플레이트(146)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497,498)을 고정하여 상기 급수관(497,498)의 출구가 항상 설정된 높이에서 상기 급수부(524)의 내측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 water supply pipe holder 48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supply unit 524. The water supply pipe holder 48 may be formed of a plastic or rubber material, and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rear plate 146. In addition, by fixing the water supply pipes 497 and 498,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pipes 497 and 498 may always face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part 524 at a set height.

상세히, 상기 급수관 홀더(48)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관 홀더(48)의 라운드진 둘레를 따라서 상기 급수관(497,498)이 통과되는 라운드부(48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481)는 상기 급수관(497,498)의 벤딩된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후면이 개구되고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497,498)의 벤딩된 부분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497,498)의 출구는 상기 라운드부(481)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급수부(524)와 보다 근접하도록 할 수 있다.In detail, the water supply pipe holder 48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a round portion 481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pipes 497 and 498 pass may be formed along a rounded circumference of the water supply pipe holder 48. The round portion 48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bent shape of the water supply pipes 497 and 498, and the rear surface thereof is opened and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accommodate the bent portions of the water supply pipes 497 and 498. In addition, the outlets of the water supply pipes 497 and 498 may pass through the round part 481 and extend downward to be closer to the water supply part 524.

그리고, 상기 급수관 홀더(48)의 중앙부에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홀더 고정홀(48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는 상기 홀더 고정홀(482)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 리어 플레이트(146)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급수관 홀더(48)가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holder fixing hole 482 to which a screw is fastened may b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holder 48. The screw passes through the holder fixing hole 482 and is fastened to the inner rear plate 146 so that the water supply pipe holder 48 can maintain a fixed state at a set position.

한편, 상기 급수관(497,498) 및 급수관 홀더(48)는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가 장착되면 가려질 수 있으며,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일반적인 사용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water supply pipes 497 and 498 and the water supply pipe holder 48 may be covered when the blower assembly 80 is mounted, and may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s used in general.

상기 상부 베드(50)와 하부 베드(50)로 급수되는 구조는 그 상하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며, 상기 급수부(524)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베드(50)의 내측의 집수부(523)에 저장되어 상기 베드(50)에 장착된 파드(90)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e structure of water supply to the upper bed 50 and the lower bed 50 is the same only as the difference i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thereof,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rt 524 is a water collecting part inside the bed 50 ( It is stored in 523 and can supply moisture to the pod 90 mounted on the bed 50.

이하에서는 상기 베드(5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베드(50)는 복수개가 구비되더라도 장착 위치만 다를 뿐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하나의 베드(5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bed 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ven if a plurality of the beds 50 are provided, only one bed 50 will be described because they all have the same structure as only the mounting positions are different.

도 7은 상기 베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베드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d. And,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ed.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드(50)는 상기 캐비닛(10)을 구획하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인출입 가이드(56)에 인출입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bed 5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that divides the cabinet 10, and it is possible to draw in and out of the draw-out guide 56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cabinet 10. Can be settled.

상기 베드(50)는 전체적으로 물이 급수되는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바텀 베드(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 베드(52)는 상기 베드(5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bed 50 may include a bottom bed 52 that forms a lower structure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as a whole. The bottom bed 52 forms the overall shape of the bed 50 and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상기 바텀 베드(52)의 양측단에는 측방으로 연장되는 베드 플렌지(522)가 형성된다. 상기 베드 플렌지(522)의 하면에는 베드 사이드(53)가 결합될 수 있다.Bed flanges 522 extending laterally are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bottom bed 52. The bed side 53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ed flange 522.

상기 바텀 베드(52)에는 함몰부(521)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521)에 어퍼 베드(51)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521)는 상기 어퍼 베드(51)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 베드(51)에 형성된 파드 안착부(51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파드 안착부(511)가 포개어 질 수 있도록 상기 파드 안착부(51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A depression 521 is formed in the bottom bed 52, and an upper bed 51 may be seated in the depression 521. The depression 52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bed 51. That is, i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d seating portion 511 formed on the upper bed 51, and is recess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d seating portion 511 so that the pod seating portion 511 can be overlapped. I can.

그리고, 상기 바텀 베드(52)에는 급수부(524)와 상기 급수부(524)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집수부(5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523)에 저장된 물은 상기 파드(90)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In addition, a water supply part 524 and a water collecting part 523 for stor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art 524 may be formed in the bottom bed 52. Water stor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od 90.

상세히, 상기 집수부(523)는 상기 바텀 베드(52)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바텀 베드(52)의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523)는 상기 함몰부(521)보다 더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집수부(523)의 영역 내부에만 물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523)는 상기 어퍼 베드(51)에 형성되는 안착부 개구(512)가 모두 수용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bed 52 and may extend from a left end to a right end of the bottom bed 52. In addition,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may be depressed further downward than the recessed part 521 so that water is stored only in the area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all the seating part openings 512 formed in the upper bed 51 can be accommodated.

그리고, 상기 바텀 베드(52) 후단의 모서리에는 상기 급수부(5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524)는 상기 베텀 베드(50)에서 후방으로 다소 돌출된 형상이며, 상면이 개구되고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방에 위치된 상기 급수관(497,498)으로부터 물을 공급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524)는 상기 집수부(523)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급수부(524)의 물이 자연스럽게 상기 집수부(523)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art 524 may be formed at a corner of the rear end of the bottom bed 52. The water supply part 524 has a shape slightly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bottom bed 50, and has an open top surface and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s 497 and 498 positioned above.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art 524 may be positioned further above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so that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art 524 naturally flows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상기 급수부(524)와 상기 집수부(523)의 사이에는 워터 가이드부(525)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 가이드부(525)에 의해 상기 급수부(524)와 집수부(523)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부(524)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워터 가이드부(525)를 따라서 상기 집수부(523)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가이드부(525)는 상기 급수부(524)에서 집수부(523)를 향할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부(524)로 물이 공급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워터 가이드부(525)를 따라서 상기 집수부(523)로 공급될 수 있다.A water guide part 525 may be recessed between the water supply part 524 and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The water supply part 524 and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may be connected by the water guide part 525,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rt 524 is the water collecting part 525 along the water guide part 525. 523). In addition, the water guide part 525 may be formed to have a slope tha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from the water supply part 524. Therefore,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524, it may be naturally suppli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523 along the water guide unit 525.

상기 집수부(523)에는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물 감지 부재(526)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재배 중인 식물에 물 공급이 필요한 경우 상기 물 감지 부재(526)를 통해 상기 집수부(523)의 수위 또는 수분의 유무를 확인한 후 상기 워터탱크(40)로부터 상기 베드(50)로의 급수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A water detection member 526 capable of detecting a water level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Therefore, when water supply to the plant being cultivated is require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523 or the presence of moisture is checked through the water detection member 526, and then whether water is supplied to the bed 50 from the water tank 40 is determined. You decide.

상기 물 감지 부재(526)는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 감지 부재(526)는 수분 감지의 용이성과 상기 물 감지 부재(526)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544)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집수부(523)의 중앙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A pair of the water sensing members 526 may be provided, and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water detection member 526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to facilitate moisture detection and to facilitate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ic wire 544 for supplying power to the water detection member 526.

상기 물 감지 부재(526)는 전도성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바텀 베드(52)를 통과하도록 절곡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감지 부재(526)는 의 일단은 상기 집수부(523)의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바텀 배드(52)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바텀 베드(52)의 하면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ater sensing member 526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bent to pass through the bottom bed 52. Therefore, one end of the water sensing member 526 exten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and the other end penetrates through one side of the bottom bed 52 and is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bed 52. It can be configured to be.

그리고, 상기 한쌍의 물 감지 부재(526)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집수부(523)에 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한쌍의 물 감지 부재(526)의 사이가 통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523)에 물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한쌍의 물 감지 부재(526)의 사이가 통전되지 않게 되며, 이때 상기 펌프(494)의 구동시켜 상기 집수부(523)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한쌍의 상기 물 감지 부재(526)는 상기 집수부(523)의 내측에서 전극 역할을 하게 되며, 한쌍의 상기 물 감지 부재(526) 사이에서의 통전 여부에 따라 상기 워터탱크(40)로부터의 급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pair of water sensing members 526, and when water is present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between the pair of water sensing members 526 may be energized. In addition, when there is no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electricity between the pair of water sensing members 526 is not energized, and at this time,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by driving the pump 494. You can do it. That is, the pair of water sensing members 526 serves as an electrode inside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and from the water tank 40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water sensing member 526 is energized. You can determine the series of

그리고, 상기 바텀 베드(52)의 전면에는 베드 손잡이(52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bed handle 52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bed 52.

한편, 상기 바텀 베드(52)의 하방에는 베드 브라켓(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드 브라켓(54)은 상기 바텀 베드(52)의 후반부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베드(52) 하면에 노출된 상기 물 감지 부재(526)를 하방에서 가릴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 브라켓(54)은 바텀 커버(55)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Meanwhile, a bed bracket 54 may be provided below the bottom bed 52. The bed bracket 54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ear part of the bottom bed 52. In addition, the water sensing member 526 ex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bed 52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 to cover from below. In addition, the bed bracket 54 may be fixedly mounted to the bottom cover 55.

상기 베드 브라켓(54)은 상기 바텀 커버(55) 중앙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베드 브라켓(54)의 상면은 상기 바텀 베드(52)의 하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bed bracket 54 is fixedly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cover 55.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bracket 54 may be disposed to 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ed 52.

상기 베드 브라켓(54)의 상면 양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단자 장착부(541)가 물 감지 부재(526)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 장착부(541)의 상면에는 전원단자(543)가 관통되도록 장착된다. A pair of terminal mounting portions 541 protruding upwar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bracket 54 may be position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water sensing member 526. In addition, the power terminal 543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mounting portion 541 to pass through.

그리고, 한쌍의 상기 단자 장착부(541)의 사이에는 전선 안내부(5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안내부(542)는 상기 베드 브라켓(54)의 하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베드 브라켓(54)이 상기 바텀 커버(55)에 결합될 때 상기 전선(544)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 안내부(542)는 양측의 단자 장착부(541)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선(544)이 양측의 전원 단자(543)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wire guide portion 542 may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terminal mounting portions 541. The wire guide part 542 is recess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bed bracket 54, and when the bed bracket 54 is coupled to the bottom cover 55, a space in which the wire 544 can be accommodated is provided. Will be provided. In addition, the wire guide portion 542 may be formed to connect the terminal mounting portions 541 on both sides so that the wire 544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s 543 on both sides.

상기 바텀 베드(52)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단자(543)는 상기 물 감지 부재(526)와 접촉되어 전원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감지 부재(526)를 통해 상기 바텀 베드(52) 내부의 물 공급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펌프(494) 및 급수 밸브(496)의 동작을 지시할 수 있게 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bed 52 is retracted, the power terminal 543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water sensing member 526 to enable power supply. Furth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water is supplied in the bottom bed 52 through the water sensing member 526, and operation of the pump 494 and the water supply valve 496 can be instructed.

한편, 상기 바텀 베드(52)가 인출되는 순간 상기 전원 단자(543)와 상기 물 감지 부재(526)는 서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물 감지 부재(526)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즉, 상기 바텀 베드(52)가 인출되는 순간부터 상기 물 감지 부재(526)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펌프(494) 또는 급수 밸브(496)가 동작되지 않도록 강제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베드(5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494)가 구동되거나 상기 급수 밸브(496)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급수관(497,498)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베드(50)로 공급되지 못하고 쏟아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베드(50)의 인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펌프(494) 또는 급수 밸브(496)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ment the bottom bed 52 is withdrawn, the power terminal 543 and the water sensing member 526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power supply to the water sensing member 526 is cut off. That is, from the moment when the bottom bed 52 is withdrawn, power supply to the water sensing member 526 is stopped, and in this state, the pump 494 or the water supply valve 496 is forcibly stopped so as not to operate. When the pump 494 is driven or the water supply valve 496 is opened while the bed 50 is withdrawn,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s 497 and 498 cannot be supplied to the bed 50 and is poured out. There may be problems that can occur. In this way, by detecting the withdrawal state of the bed 50, the operation of the pump 494 or the water supply valve 496 may be prevented.

또한, 상기 물 감지 부재(526)가 배치되는 상기 바텀 베드(52)에 별도의 전선을 배치하지 않고 고정된 바텀 커버(55)에 상기 전선(544)이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바텀 베드(52)의 인출입시 전선(544)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바텀 베드(52)의 인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lectric wire 544 is disposed on the fixed bottom cover 55 without disposing a separate electric wire on the bottom bed 52 on which the water sensing member 526 is disposed. A structure is provided so that the withdrawal of the bottom bed 52 is smoothly performed without interference of the electric wire 544 during drawing-out.

상기 바텀 커버(55)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면 및 후면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상기 바텀 베드(52)의 후반부를 하방에서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브라켓(55)에는 상기 베드 브라켓(54)이 장착될 수 있다. The bottom cover 55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bent so as to have a lower surface and a rear surface to shield the rear part of the bottom bed 52 from below. In addition, the bed bracket 54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bracket 55.

상기 바텀 커버(55)는 상기 이너 케이스(140) 상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베드(50)의 인출입시에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텀 베드(52)가 인입되었을 때는 상기 물 감지 부재(526)로 전원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바텀 베드(52)가 인출되는 경우 상기 물 감지 부재(526)로의 전원 공급이 불가능하게 된다. The bottom cover 55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case 140, and thus maintains a fixed state even when the bed 50 is withdrawn. In addition, when the bottom bed 52 is inserted,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sensing member 526. Conversely, when the bottom bed 52 is withdrawn, power supply to the water sensing member 526 is impossible.

상기 어퍼 베드(51)는 상기 바텀 베드(52)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베드(5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베드(51)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외관을 깔끔하게 하고 위생적으로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The upper bed 51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bed 52 and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50. The upper bed 51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o that the appearance is neat and hygienic.

상기 어퍼 베드(51)는 상기 바텀 베드(52)의 함몰부(521)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베드(51)에는 상기 파드(90)가 안착되는 다수의 파드 안착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드 안착부(511)는 상기 파드(9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가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상기 파드(90)가 상기 어퍼 베드(51)에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bed 51 is formed in a size capable of shielding the recessed portion 521 of the bottom bed 52,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In addition, a plurality of pod seating portions 511 on which the pod 90 is sea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bed 51. The pod seating portion 51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d 90, and a plurality of the pod seating portions 511 may be arranged in succession. Accordingly, a plurality of the pods 9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bed 51.

상기 파드 안착부(511)는 중앙을 기준으로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다수개씩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크기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드 안착부(511)에는 안착부 개구(5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 개구(512)는 상기 파드(90)의 일부가 통과되어 상기 바텀 베드(52)에 집수된 물과 접할 수 있도록 한다.A plurality of the pod seating portions 511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may have the same size. In addition, a seating portion opening 512 may be formed in the pod seating portion 511. The seating part opening 512 allows a part of the pod 90 to pass through and contact with water collected in the bottom bed 52.

상기 안착부 개구(512)는 각각의 상기 파드 안착부(511) 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 개구(512)는 상기 파드(90)의 구조에 따라 하나 혹은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 개구(512)는 상기 집수부(523)와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r more of the seating portion openings 512 may be formed for each of the pod seating portions 511. One or more of the seating part openings 512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od 90. In addition, the receiving part opening 512 may be locat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상세히, 상기 바텀 베드(52)에 상기 어퍼 베드(51)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안착부 개구(512)는 상기 집수부(523) 상에 위치되어 상기 집수부(523)에 저장된 물이 상기 안착부 개구(512)를 통해서 상기 파드(90)로 공급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upper bed 51 is seated on the bottom bed 52, the seating portion opening 512 is located on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523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523 is stored in the seating portion. It may be supplied to the pod 90 through the opening 512.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바텀 베드(52)의 중앙에 상기 집수부(523)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상기 안착부 개구(512)들 또한 상기 집수부(523)의 내측과 대응하는 상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어퍼 베드(51)의 중앙측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 개구(512)의 위치는 상기 집수부(523)의 배치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한 구조가 가능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ottom bed 52, and therefore, the seating part openings 512 are also located above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It may be form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side of the upper bed 51 as possible.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opening 512 may have various structures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and shape of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523.

이하에서는 상기 파드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9는 상기 베드에 안착되는 파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파드의 하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파드가 상기 베드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d seated on the bed. And, Figure 10 is a bottom view of the pod. And,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d is seated on the bed.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베드(51)에 안착되는 파드(90)는 상기 파드 안착부(511)와 대응하는 형상의 용기(91,Pod) 내부에 씨앗과 양액이 내장된 배지(93)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파드(90)는 재배되는 식물에 적합한 양액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od 90 seated on the upper bed 51 is a medium 93 containing seeds and nutrient solution inside the container 91, Po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d seat 511 ) Can be accommodated. The pod 90 may be configured to contain a nutrient solution suitable for cultivated plants.

상기 파드(90)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로 재배 가능한 식물들이 종류별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여러 종류의 식물로 구성되는 각각의 파드(90)들은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파드 안착부(511)에 수용될 수 있도록 설정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재배를 원하는 식물의 상기 파드(90)를 선택하여 상기 베드(50)상의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켜 재배를 시작할 수 있다.The pod 90 may be configured for each type of plants that can be cultivated by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Of course, each of the pods 90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plants have the same size, and may have a size set to be accommodated in the pod seating portion 511. Therefore, the user can start cultivation by selecting the pod 90 of the plant desired to be cultivated and placing it at a desired position on the bed 50.

상기 파드(90)는 재배되는 식물에 적합한 양분이 용기(91)에 함께 포함되어 있는 형태로, 재배 중 외부에서 양분의 공급이 필요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드(50)에 상기 파드(90)를 배치시킨 후에는 적절한 수분 공급을 통해 물과 양분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The pod 9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nutrients suitable for cultivated plants are included in the container 91 so that supply of nutrients from the outside during cultivation is not required. Therefore, after placing the pod 90 on the bed 50, water and nutrients can be provided through appropriate moisture supply.

한편, 상기 파드(90)는 상기 씨앗 및 배지가 수용되는 공간(911)을 형성하는 용기(91)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91)는 상기 파드 안착부(511)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상기 파드(90)는 상기 용기(91)의 내측에 모든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d 90 includes a container 91 that forms a space 911 in which the seeds and the medium are accommodated, and the container 91 has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d seat 511. Have. All configurations of the pod 9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ontainer 91.

그리고, 상기 용기(91)의 바닥면에는 상기 안착부 개구(512)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용기 돌출부(9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돌출부(912)는 상기 파드(90)를 상기 파드 안착부(511)에 안착시킬 때 상기 안착부 개구(512)를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a container protrusion 91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art opening 51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91. The container protrusion 912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eating portion opening 512 when the pod 90 is seated on the pod seating portion 511.

그리고, 상기 용기 돌출부(912)는 상기 용기 돌출부(912)의 하단이 상기 집수부(523)의 바닥면과 닿거나 인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돌출부(912)의 바닥면에는 물 유입구(913)가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돌출부(912)의 내측에는 물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 시트(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수 시트(92)는 부직포, 펠트, 스펀지 등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protrusion 912 may extend to a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protrusion 912 touches or is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In addition, a water inlet 913 may be open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protrusion 912. In addition, an absorption sheet 92 for absorbing wat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protrusion 912. The absorbent sheet 92 may be formed of a variety of materials capable of absorbing water, such as a nonwoven fabric, felt, or sponge.

따라서, 도 9에서와 같이 파드(90)가 상기 파드 안착부(5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돌출부(912)는 물이 있는 상기 집수부(523) 내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523)의 물은 상기 용기 돌출부(912)의 물 유입구(913)를 통해서 유입되며, 상기 흡수 시트(92)를 통과하여 상기 용기(91) 내부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용기(91)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배지(93)의 양액과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씨앗 또는 식물에 공급되어 활발한 생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91)의 내측 상면 즉, 상기 배지(93)의 상면에는 파드 커버(94)가 구비되어 상기 배지(93) 및 상기 용기(91) 내부의 씨앗을 보호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when the pod 90 is seated on the pod seat 511, the container protrusion 912 is locat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523. In addition, the water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91 through the water inlet 913 of the container protruding part 912, and passed through the absorption sheet 92.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91 may be mixed with the nutrient solution of the medium 93, and may be supplied to the seeds or plants so that active growth occurs. In addition, a pod cover 94 is provid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91,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medium 93 to protect the medium 93 and the seeds inside the container 91.

상기 배지(93)에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양액이 포함되어 있으며, 별도의 추가적인 성분의 공급 없이 물만 공급되면 식물의 생장이 적정 속도로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액은 카트리지 내에서만 존재하고,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부에서는 상기 베드(50)로 물 공급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양액으로 인한 식물 재배 장치(1) 특히, 워터탱크(40) 및 급수관(497,498) 등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식물 재배 장치(1)의 내부는 항상 청결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며,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동시에 재배되는 환경에서도 적절한 영양소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The medium 93 contains a nutrient solution necessary for plant growth, and is configured so that plant growth can proceed at an appropriate speed if only water is supplied without supplying additional components. In addition, the nutrient solution exists only in the cartridge, and only water is supplied to the bed 50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herefore, contamin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n particular, the water tank 40 and the water supply pipes 497 and 498 due to the nutrient solution is prevented at the source. Through this structure, the interior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n be kept in a clean state at all times, and it is possible to supply appropriate nutrients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various types of plants are cultivated at the same time.

즉, 어떠한 종류의 작물을 재배하더라도 물 공급만 적시에 이루어지게 되며 물과 양분의 공급이 가능하며, 다양한 종류의 작물이 혼합 재배되는 상황에서도 별도의 양분 공급없이 물만 공급하게 되면 작물의 재배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식물 재배 장치(1) 내부에는 물만 공급되고 따라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부가 양분과 같은 유기 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other words, no matter what kind of crops are cultivated, only water is supplied in a timely manner, and water and nutrients can be supplied. Even when various types of crops are mixed and cultivated, crops can be cultivated if only water is supplied without additional nutrient supply. Is don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only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nd thus the insid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organic substances such as nutrients.

한편, 상기 파드(90)는 파드 커버(9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드 커버(94)는 상기 파드(90)의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배지(93)의 오염이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드 커버(94)는 상기 적어도 일부가 제거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파드(90)가 상기 안착부(511)에 안착되기 전에 제거 또는 분리될 수 있다.Meanwhile, the pod 90 may include a pod cover 94. The pod cover 94 shields the upper surface of the pod 90 so as to prevent contamination or leakage of the medium 93. The at least part of the pod cover 94 may be removed or separated, and may be removed or separated before the pod 90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511.

한편, 상기 파드(90)에는 재배되는 작물의 정보를 인식시키기 위한 식별부(94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식별부(941)는 엔에프씨 태그(NFC tag), QR코드, 바코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 제공되는 인식부(183)를 통해서 용이하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d 90 may be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unit 941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n the crop to be grown. The identification unit 941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n NFC tag, a QR code, and a barcode, and can be easily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183 provided to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I can.

즉, 상기 인식부(183)에서 인식되는 상기 파드(90)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3) 또는 서버(2)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동작 또는 관련된 사용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pod 90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183, an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3 or the server 2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or related usag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상기 식별부(941)는 상기 파드(90) 자체 또는 상기 파드(90) 내외측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파드 커버(94)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파드(90)를 상기 안착부(511)에 안착시키기 전에 상기 파드(90)를 상기 인식부(183)에 인식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The identification unit 941 may be provided on the pod 90 itself or on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pod 90, and may be formed on the pod cover 94. Accordingly, the user performs a task of recognizing the pod 90 by the recognition unit 183 before mounting the pod 90 on the seating portion 511.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light assembly 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2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 assembly.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는 상기 베드(50)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베드(50)의 상방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는 상기 재배 공간(11)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공간 활용도가 높은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는 상기 재배 공간(11)의 상면과, 상방에 배치된 상기 베드(50)의 하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the light assembly 60 is disposed above the bed 50 and may irradiate light above the bed 50. In addition, the light assembly 60 may have an arrangement structure that minimizes the loss of the cultivation space 11 and has high space utilization. To this end, the light assembly 6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ed 50 disposed above.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는 상기 재배 공간(11)의 상면 또는 상기 베드(50)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방에 배치된 상기 베드(50)의 전체 영역에 빛을 고르게 조사할 수 있다.The light assembly 60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top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or the bed 5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venly irradiate light to the entire area of the bed 50 disposed below.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는 하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엘이디 모듈(62)이 수용될 수 있는 라이트 케이스(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케이스(61)는 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 테두리(613)가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assembly 60 may include a light case 61 in which a lower surface is opened and an LED module 62 is accommodated therein. The light case 6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an edge 613 extending downwardly along the periphery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라이트 커버(63)의 상면에는 다수의 케이스 구속홀(6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구속홀(612)은 상기 라이트 커버(63)의 상면 네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입 가이드(56)와 상기 이너 어퍼 플레이트(142)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상기 케이스 구속홀(612)을 통과하여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Further, a plurality of case restriction holes 61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cover 63. The case confinement holes 612 may be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cover 63,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light assembly 60 may be fixedly mounted by passing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lead-in/out guide 56 and the inner upper plate 142 through the case confinement hole 612.

상기 라이트 커버(63)의 하면 양측에는 상기 엘이디 모듈(62)과 연결되는 전선들을 안내하는 전선 가이드 리브(6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가이드 리브(614)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 각각 한쌍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선 가이드 리브(614)는 한쌍이 서로 이격 배치되며, 이격된 사이에는 다수의 전선 결속부(615)가 형성될 수 있다.Wire guide ribs 614 for guiding wires connected to the LED module 62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cover 63. The wire guide ribs 614 are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pair may be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 pair of the wire guide ribs 61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wire binding portions 615 may be formed between the wire guide ribs 614.

그리고, 상기 라이트 케이스(61)에는 엘이디 모듈(62)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 모듈(62)은 다수의 엘이디(621)가 기판에 실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621)는 다수개가 기판에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621)는 태양광과 유사한 광량(파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식물의 광합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색상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D module 62 may be mounted on the light case 61. The LED module 6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LEDs 621 are mounted on a substrate. A plurality of the LEDs 621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on the substrate at regular intervals. The LED 62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ight amount (wavelength) similar to that of sunlight, and may be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of a color capable of promoting photosynthesis of plants.

상기 엘이디 모듈(62)은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엘이디 모듈(62)은 상기 파드(90)가 안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드(50)에 안착되는 파드(90)에 따라 해당되는 상기 엘이디 모듈(62)이 적합한 광량을 제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LED module 62 may be formed in plural. For example, the LED module 62 may be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pod 90 is seated. Accordingly, the corresponding LED module 62 may be controlled to provide an appropriate amount of light according to the pod 90 seated on the bed 50.

그리고, 전체 상기 엘이디 모듈(62)들 중 일부의 엘이디 모듈(62)들은 출력을 달리할 수도 있으며, 재배 식물의 위치에 따라 다른 출력 또는 다른 파장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some of the LED modules 62 may have different outputs, and may be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with different outputs or different wavelength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ltivated plant.

예를 들어 상기 베드(50)의 중앙측에 비해 상기 베드(5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식물은 상대적으로 빛이 잘 조사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좌우 측단에 배치되는 엘이디 모듈(62)의 출력을 중앙의 엘이디 모듈(62)의 출력보다 더 높게 하여 상기 베드 전체의 식물이 고르게 빛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기판에 장착되는 엘이디(621)의 간격 또는 배치를 조절하여 상기 베드(50) 전체에 고르게 빛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plant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ed 50 may not be relatively well irradiated with light compared to the center side of the bed 50, and thus the output of the LED module 62 dispos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Is higher than the output of the central LED module 62 so that the plants of the whole bed can receive light evenly. And, if necessary, by adjusting the spacing or arrangement of the LEDs 621 mounted on the substrate, it may be possible to evenly irradiate light to the entire bed 50.

한편, 상기 라이트 케이스(61)의 개구된 하면에는 라이트 커버(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커버(63)는 상기 라이트 케이스(61)에 장착되어 상기 라이트 케이스(61)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내부에 배치된 상기 엘이디 모듈(62)을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 light cover 63 may be provided on an opened lower surface of the light case 61. The light cover 63 may be mounted on the light case 61 to shield an opened lower surface of the light case 61 and may be configured to protect the LED module 62 disposed therein.

상기 라이트 커버(63)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커버(63)의 하면에는 빛의 확산을 위한 코팅 또는 표면처리가 부가될 수 있다.The light cover 63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allow light to pass therethrough, and a coating or surface treatment for diffusion of light may be ad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cover 63.

상기 라이트 커버(63)의 하면 둘레에는 테두리(632)가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 내측에 상기 엘이디 모듈(62)이 수용되는 공간(631)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632)는 상기 라이트 케이스(61)에 결합되어 상기 라이트 케이스(61)의 내부를 기밀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라이트 커버(63)의 후면에는 전선 출구(63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출구(632a)는 상기 라이트 케이스(61) 내부의 전선들이 출입되는 통로로 후방으로 개구되어 출입되는 전선들이 노출되지 않고 상기 재배 공간(11) 후벽면 상의 커넥터로 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n edge 632 is formed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cover 63 to provide a space 631 in which the LED module 62 is accommodated inside the edge. In addition, the rim 632 may be coupled to the light case 61 to seal the inside of the light case 61. Meanwhile, a wire outlet 632a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cover 63. The wire outlet 632a is configured to be opened rearward through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ires inside the light case 61 enter and exit so that the incoming and outgoing wires are not exposed and can be directed to a connector on the rear wall of the cultivation space 11.

그리고, 상기 라이트 커버(63)의 후단 양측에는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가 장착될 수 있는 블로워 어셈블리 장착부(6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 장착부(633)는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는 블로워 브라켓(816)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다.Further, a blower assembly mounting portion 633 to which the blower assembly 80 can be mounted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light cover 63. The blower assembly mounting portion 633 is formed to be recessed so that the blower brackets 816 provided at both upper ends of the blower assembly 80 can be inserted.

이하에서는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blower assembly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3은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13의 XIV- XIV' 절개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lower assembly. And, FIG. 14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XIV-XIV' of FIG. 13.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는 상기 베드(5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재배 공간(11)의 상방에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는 상기 베드(50)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만큼 구비되며,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하단 및 상기 베드(50)와 인접되는 상방에 구비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blower assembly 80 is configured to circulate air above the cultivation space 11 partitioned by the bed 50. Accordingly, the blower assembly 80 is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beds 50, and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ight assembly 60 and at the upper side adjacent to the bed 50.

그리고, 상기 히터(102) 또는 증발기(31)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를 상단에서 토출하고, 상기 베드(50) 상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재배 공간(1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In addition, the air heated or cooled by the heater 102 or the evaporator 31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end, and the air is suck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50 so that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It has a structure that can circulate air.

상기 히터(102) 및 증발기(31)는 상기 이너 리어 플레이트(146)의 상하 방향 중간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상방 및 하방에 배치된 블로워 어셈블리(80)의 일부와 겹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102) 및 증발기(31)에 의해 가열 및 냉각된 공기는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에 의해 순환될 수 있으며, 하나의 히터(102) 및 증발기(31)를 통해 상기 재배 공간(11) 내부의 구획된 공간 전체를 고르게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The heater 102 and the evaporator 31 may be disposed in an intermediate region of the inner rear plate 146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may overlap with a part of the blower assembly 80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inner rear plate 146. Is composed. Accordingly, the air heated and cooled by the heater 102 and the evaporator 31 may be circulated by the blower assembly 80, and the cultivation space ( 11) The entire partitioned space can be cooled or heated evenly.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는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이너 리어 플레이트(146)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31)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는 상단이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하면 후단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blower assembly 8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rear plate 146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flow of cooled or heated air, and is configured not to interfere with the evaporator 31. In addition, the blower assembly 8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upper end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light assembly 60.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는 상기 재배 공간(11)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증발기(31)를 비롯한 상기 이너 리어 플레이트(146)에 구비된 구성들을 차폐하여 외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도 35에서는 증발기(31)와 블로워 어셈블리(80)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블로워 어셈블리(80)의 전면을 형성하는 블로워 커버(84)가 분리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When the blower assembly 80 is mounted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1, the components provided in the inner rear plate 146 including the evaporator 31 may be shielded to prevent external exposure. However, in FIG. 35, in order to explain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evaporator 31 and the blower assembly 80, the blower cover 84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blower assembly 80 is separated.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이너 리어 플레이트(146)의 가로 방향 길이와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부에 구비되는 송풍팬(8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블로워 바디(81)에 의해 양측방으로 분지되며 출구측에서 고른 풍량으로 전방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blower assembly 80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inner rear plate 14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air blown by the blowing fan 82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is branched in both sides by the blower body 81 and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forward with an even air volume at the outlet side.

기 블로워 어셈블리(80)는 송풍팬(82)과, 상기 송풍팬(82)이 장착되는 블로워 바디(81) 그리고 상기 블로워 바디(81)를 포함한 상기 재배 공간(11) 후벽면을 형성하는 이너 플레이트(140)의 일부를 차폐는 블로워 커버(8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blower assembly 80 includes a blowing fan 82, a blower body 81 on which the blowing fan 82 is mounted, and an inner plate forming the rear wall of the cultivation space 11 including the blower body 81 Shielding a portion of the 1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lower cover 84.

상세히, 상기 송풍팬(82)은 박스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블로워 바디(81)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82)은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의 후방에서 유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다. In detail, the blowing fan 82 may be formed in a box fan shape, and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blower body 81. Further, the blowing fan 82 may discharge air introduced from the rear of the blower assembly 80 to the front.

상기 블로워 바디(81)는 상기 송풍팬(82)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송풍팬(82)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블로워 바디(81)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형성되며, 상기 블로워 바디(81)의 배면 중앙에 상기 송풍팬(82)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팬 장착부(8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팬 장착부(811)는 개구되어 상기 송풍팬(82)의 회전시 상기 송풍팬(82) 측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The blower body 81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blowing fan 82 is mounted, and is configured to guide the discharge of air discharged by the blowing fan 82. The blower body 81 is injection-molded of a plastic material, and a fan mounting portion 811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lowing fan 8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blower body 81. Further, the fan mounting part 811 is opened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blowing fan 82 when the blowing fan 82 is rotated.

한편, 상기 블로워 바디(81)의 전면 상단에는 토출 안내부(8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안내부(815)는 상기 송풍팬(82)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블로워 바디(81)의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토출 안내부(815)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면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토출 안내부(815)는 경사면 또는 라운드 면을 형성하게 되며, 하방에서 상방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전방을 향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 안내부(815)의 단부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하면과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 안내부(815)에 의해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하면 후단에서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발열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를 냉각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 discharge guide part 815 may be formed on the front upper end of the blower body 81. The discharge guide part 815 guides the air discharged by the blowing fan 82 to be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blower body 81. The discharge guide part 815 forms a surface protruding forward as it go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at is, the discharge guide part 815 forms an inclined surface or a round surface, and guides the air flowing from the bottom upward to the front. At this time, since the end of the discharge guide 815 is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assembly 60,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assembly 80 is discharged from the light assembly 60 by the discharge guide 815. ), it can flow forward from the rear end. When the light assembly 60 generates heat by such air flow, the light assembly 60 can be cooled.

상기 블로워 바디(81)의 상면 좌우 양측에는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 장착부(633)에 삽입 장착되는 블로워 브라켓(8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 브라켓(816)은 수직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 브라켓(816)의 일단은 상기 블로워 바디(81)의 상면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하면 후단에 형성된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 장착부(633)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와 블로워 어셈블리(80)는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형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후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A blower bracket 816 inserted into the blower assembly mounting portion 633 may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lower body 81. The blower bracket 816 may be formed in a vertically bent shape. One end of the blower bracket 816 may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lower body 81, and the other end may be mounted on the blower assembly mounting portion 633 formed at a rear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assembly 60. Accordingly, the light assembly 60 and the blower assembly 8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form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blower assembly 80 may discharge air from the rear end of the light assembly 60 toward the front.

한편, 상기 블로워 커버(84)는 상기 블로워 바디(81)의 전방에서 상기 블로워 바디(81) 및 상기 블로워 바디(81)에 장착된 구성들을 모두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의 장착 상태에서 상기 블로워 커버(84)는 상기 재배 공간(11)의 후벽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blower cover 84 may shield both the blower body 81 and the components mounted on the blower body 81 in front of the blower body 81. In addition, when the blower assembly 80 is mounted, the blower cover 84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rear wall of the cultivation space 11.

상기 블로워 커버(84)는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141)와 동일한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소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 커버(84)는 둘레를 따라 절곡된 테두리부(8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84)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의 공간에 상기 송풍팬(82)이 장착된 상기 블로워 바디(81)가 수용될 수 있다.The blower cover 84 may be formed of the same metal material as the inner side plate 141, and may be formed by bending a plate-shaped material. The blower cover 84 may have an edge portion 84 bent along the periphery, and the blower body in which the blowing fan 82 is mount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edge portion 84 ( 81) can be accommodated.

상기 블로워 커버(84)의 상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 커버(84)의 개구된 상면은 상기 블로워 바디(81)의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 안내부(815)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는 개구된 상기 블로워 커버(84)의 상면을 통과하여 토출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blower cover 84 is formed to be open. In addition,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blower cover 84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blower body 81.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guide part 815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blower cover 84.

상기 테두리부(841) 중 상기 블로워 커버(84)의 양측면은 상기 블로워 바디(81)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 커버(84)는 상기 블로워 바디(81)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 커버(84)는 상기 베드(50)의 상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의 장착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와 상기 베드(50)의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의 후측 벽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리어 플레이트(146)에 장착된 구성들을 차폐하여 외관이 매우 깔끔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Both side surfaces of the blower cover 84 among the rim portions 841 may be formed to surround both side surfaces of the blower body 81. In addition, the blower cover 84 may extend further downward than the blower body 81. The blower cover 84 may exte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50. Accordingly, when the blower assembly 80 is mounted,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space between the light assembly 60 and the bed 50 is formed. In addition, components mounted on the inner rear plate 146 may be shielded so that the exterior may look very neat.

한편, 상기 테두리부(84) 중 상기 블로워 커버(84)의 하면을 형성하는 테두리부(84)는 연장된 길이가 상기 양측면에 비해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 커버(84)의 하면은 상기 이너 리어 플레이트(146)와 이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하방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블로워 커버(84)의 하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형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of the edge portions 84, the edge portion 84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lower cover 84 has an extended length shorter than that of both sides. 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of the blower cover 8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rear plate 146, and thus a space through which air may be introduced downward may be formed.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blower assembly 80 is mounted,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lower cover 84.

그리고, 상기 블로워 커버(84)의 하면을 형성하는 테두리부(84)의 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절곡부(841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841a)는 상기 베드(50)의 후방에서 더 하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리어 플레이트(146) 상의 구성을 차폐하면서 동시에 상기 블로워 커버(84)의 하단을 노출시키지 않게 되어 보다 깔끔한 외관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841a)는 상기 베드(50)의 후단 및 상기 이너 리어 플레이트(146)와 각각 이격되어 상기 블로워 커버(84)로 유입되는 공기의 흡입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n end of the edge portion 84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lower cover 84 may be bent downward to form a bent portion 841a. The bent portion 841a may further extend downward from the rear of the bed 50. Accordingly, the configuration on the inner rear plate 146 is shielded and the lower end of the blower cover 84 is not exposed, thereby enabling a cleaner appearance. In addition, the bent portion 841a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end of the bed 50 and the inner rear plate 146, respectively, and it is possible to form an intake port of the air flowing into the blower cover 84.

한편, 상기 재배 공간(11) 내부에 배치된 식물의 광합성이 활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상기 재배 공간(11)으로 지속적인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위해서 상기 기계실(12)과 상기 재배 공간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급 덕트(17)와 리턴 덕트(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tively maintain photosynthesis of plants arranged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1, carbon dioxide is essentially required. In order to continuously supply carbon dioxide to the cultivation space 11, a supply duct 17 and a return duct 150 connecting the machine room 12 and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may be further provided.

이하에서는 상기 공급 덕트(17)와 리턴 덕트(15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structures of the supply duct 17 and the return duct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5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기계실이 개방된 사시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the machine room is opened.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기계실(12)은 상기 캐비닛(10)의 후방을 향하여 개구되며, 상기 기계실(12)의 내부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32)와 응축기(33)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32)와 응축기(33)의 사이에는 팬 가이드(341)가 구비되고, 상기 팬 가이드(341)에는 응축기 팬(34)이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the machine room 12 is opened toward the rear of the cabinet 10, and a compressor 32 and a condenser 33 constituting a refrigeration cycle may be mounted inside the machine room 12. . In addition, a fan guide 34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mpressor 32 and the condenser 33, and a condenser fan 34 may be provided in the fan guide 341.

상기 응축기 팬(34)의 구동에 의해 외부 공기는 상기 응축기(33)측으로 흡입된 후 상기 응축기 팬(34)을 지나 상기 압축기(32)로 향하게 된다. 상기 응축기 팬(34)에 의해 상기 기계실(12) 내부의 공기 유동이 강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응축기(33) 및 압축기(32)의 냉각 또는 열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External air is sucked into the condenser 33 by the driving of the condenser fan 34 and then is directed to the compressor 32 through the condenser fan 34. The air flow inside the machine room 12 may be forced by the condenser fan 34, and cooling or heat exchange of the condenser 33 and the compressor 32 is possible through this.

한편, 상기 재배 공간(11)과 연통되는 상기 공급 덕트(17)는 상기 응축기 팬(34)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된다. 이때, 상기 공급 덕트(17)는 상기 팬 가이드(341)에 구획되는 공간 중 상기 압축기(32)가 배치되는 공간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공급 덕트(17)의 개구된 하단은 상기 응출기 팬(34)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공급을 위한 별도의 팬이 필요하지 않고 상기 응축기 팬(34)의 회전시 상기 공급 덕트(17)의 입구로 상기 기계실(12)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2) 내부의 공기는 상기 공급 덕트(17)를 통해 상기 재배 공간(11)으로 유동된다.Meanwhile, the supply duct 17 communicating with the cultivation space 11 extends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ndenser fan 34. In this case, the supply duct 17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space in which the compressor 32 is disposed among the spaces partitioned by the fan guide 341, and in particular, the opened lower end of the supply duct 17 is It may be formed to face the condenser fan 34. Accordingly, a separate fan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is not required, and when the condenser fan 34 is rotated, air from the machine room 12 may flow into the inlet of the supply duct 17. And the air inside the machine room 12 flows to the cultivation space 11 through the supply duct 17.

상기 공급 덕트(17)와 이격된 일측에 상기 리턴 덕트(150)가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리턴 덕트(150)의 토출관(152)은 상기 응축기 팬(34)의 블레이드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관(152)의 개구된 하단은 하방을 바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 팬(34)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는 빠르게 상기 토출관(152)의 개구를 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관(152)의 개구된 하면에는 음압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공간(11) 내부의 공기가 상기 리턴 덕트(150)로 유입되어 기계실(12)로 배출될 수 있다.The return duct 150 may extend downward on one side spaced apart from the supply duct 17. The discharge pipe 152 of the return duct 150 may extend to the blade region of the condenser fan 34. In addition, the opened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152 may be formed to look downward. Accordingly, the air forcedly blown by the condenser fan 34 quickly passes through the opening of the discharge pipe 152. Accordingly, a negative pressure may be formed on the opened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52, and air in the cultivation space 11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turn duct 150 and discharged to the machine room 12.

이처럼 상기 응축기 팬(34)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기계실(12)의 공기는 상기 공급 덕트(17)를 통과하여 상기 재배 공간(11)으로 강제 공급되어 상기 재배 공간(11)의 내부에 이산화탄소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재배 공간(11) 내부의 식물은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할 수 있다. As such, by the rotation of the condenser fan 34, the air in the machine room 12 passes through the supply duct 17 and is forcibly supplied to the cultivation space 11 to supply carbon dioxide to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This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plants in the cultivation space 11 may perform photosynthesis using supplied carbon dioxide.

상기 재배 공간(11) 내부의 공기는 상기 리턴 덕트(150)에 의해 상기 기계실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급 덕트(17)와 리턴 덕트(150)를 통한 강제적인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재배 공간(11)으로 지속적인 이산화탄소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재배되는 식물의 종류 및 생육 단계에서 요구되는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에 따라 상기 기계실(12)에서 상기 재배 공간(11)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Air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1 may be discharged into the machine room by the return duct 150. Continuous supply of carbon dioxide to the cultivation space 11 is possible by forced air flow through the supply duct 17 and the return duct 150. In addition, the amount of air flowing from the machine room 12 to the cultivation space 11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to be grown and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supplied in the growth stage.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1)의 전체적인 동작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도 16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Figure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control signal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Figure 1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tep by step.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먼저 사용을 위한 실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동작을 위해 전원이 연결되고, 원활한 동작을 위한 세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S10]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first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for us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s connected to power for operation, and a setting operation for smooth operation may be performed. [S10]

상기 식물 재배 장치(1)가 설치 완료된 상태에서, 식물의 재배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파드(90)를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부에 배치시키게 된다. 상기 파드(90)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서 재배되기 적합한 식물의 씨앗과 양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91)에 패키지 또는 카트리지와 같이 규격화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파드(90)는 사용자가 원하는 식물의 종류를 직접 선택하거나,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서 제공되는 재배 정보를 통해서 적합한 식물의 종류가 제안되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재배 정보는, 식물의 종류, 오도와 일조량, 급수량 등 재배를 위한 환경, 재배 기간 등 해당되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를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s installed, the pod 90 is placed insid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o start plant cultivation. The pod 90 may contain seeds and nutrients of plants suitable for cultivation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nd may be provided in a standardized state such as a package or cartridge in the container 91. The pod 90 may directly select a type of plant desired by the user, or a suitable plant type may be suggested through the cultiv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and selected by the user. The cultiv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for cultivating plants using the corresponding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such as an environment for cultivation, such as a type of plant, an amount of sunlight and amount of sunlight, and an amount of water supply.

한편, 상기 파드(90)는 다양한 종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다양한 상기 파드(90)의 식물들에 맞는 다양한 운전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재배되는 상기 파드(90)에 대한 정보를 분석 또는 가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various types of the pod 90 may be provided, and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set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suitable for various plants of the pod 90.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pod 90 to be grown may be analyzed or processed, and may be provided to a user.

이를 위해 상기 파드(90)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 인식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 선택된 상기 파드(90)를 안착시키기 전에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를 통해 상기 파드(90)를인식 시키고 재배 정보를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및 상기 사용자 기기(3)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S20]To this end, the pod 90 undergoes a process of being recognized by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while being mounted o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is, before mounting the selected pod 90 o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the pod 90 is recognized through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and cultiv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and the user. It can be delivered to the device (3). [S20]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파드(90)가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 인식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 내부의 파드(90)에 적합한 운전 조건을 설정하며, 설정된 상기 운전 조건에 따라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운전 조건은 상기 재배 공간(11)의 온도,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조도,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온오프 시간, 급수량, 상기 급수 어셈블리의 동작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물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When the pod 90 is recognized by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by the user's manipulatio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sets a suitable operating condition for the pod 90 inside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the set Driv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s. The operating conditions may include the temperatur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assembly 60, the on-off time of the light assembly 60, the amount of water supply, the operation time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and the like. It can be set to have different values depending on the type.

한편, 상기 베드(50)에 상기 파드(9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워터탱크(40)의 물이 설정된 운전 조건에 따라 상기 베드(5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50)로 공급되는 물과 함께 상기 파드(90) 내부에 포함된 양액이 상기 파드(90) 내부의 씨앗 또는 식물로 공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pod 90 is seated on the bed 50, water from the water tank 40 may be supplied to the bed 50 according to a set operating condition. In addition,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pod 90 together with water supplied to the bed 50 may be supplied to the seeds or plants in the pod 90.

그리고, 설정된 운전 조건에 따라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동작되며, 상기 파드(90)의 식물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는 식물의 종류와, 생육 상태에 따라 적절한 광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계절에 따른 실제 일조량에 맞추어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온오프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부의 식물이 외부의 자연환경에서 생장하는 것과 유사한 환경에서 생장되도록 할 수 있다. Then, the light assembly 60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set driving conditions, and light is irradiated toward the plants of the pod 90. The light assembly 60 may be controlled to provide an appropriate amount of light according to a type of plant and a growing state. For example, by turning the light assembly 60 on and off according to the actual amount of sunlight according to the season, the plants insid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grow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at growing in an external natural environment.

상기 베드(50)의 식물은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에서 제공하는 빛에 의해 광합성을 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상기 공급 덕트(17)를 통해 필요한 양만큼 공급받을 수 있다. 특히 별도의 전용 팬 없이 상기 응축기 팬(34)을 이용하여 동시에 상기 재배 공간으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공간(11)의 내부의 공기는 상기 기계실(12)로 회수되어 상기 기계실(12)과 상기 재배 공간(11)간에 순환 가능하게 된다. The plants of the bed 50 perform photosynthesis by light provided by the light assembly 60, and in this process, the necessary carbon dioxide can be supplied in a necessary amount through the supply duct 17. In particular, carbon dioxide can be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cultivation space using the condenser fan 34 without a separate dedicated fan, and the air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1 is recovered to the machine room 12 and the machine room 12 It is possible to circulate between and the cultivation space (11).

한편, 상기 재배 공간(11) 내부의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 상기 히터(102)가 구동되며, 상기 재배 공간(11) 내부의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 상기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고 상기 증발기(31)가 냉각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히터(102) 및 증발기(31)에 의해 상기 재배 공간(11)은 재배 식물의 생장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1 is too low, the heater 102 is driven, an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1 is too high, the refrigeration cycle is driven and the evaporator 31 is cooled. It will work. By the heater 102 and the evaporator 31, the cultivation space 11 may maintain a temperature suitable for the growth of cultivated plants.

상기 히터(102) 또는 증발기(31)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는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80)를 통해서 전방으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공기가 유동하게 되며, 상기 공기의 유동 과정 중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하면을 냉각하게 된다. Air heated or cooled by the heater 102 or the evaporator 31 is discharged forward through the blower assembly 80. At this time, air flows from the rear end of the light assembly 60 to the fron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assembly 60 is cooled during the air flow process.

그리고, 전방으로 이동된 공기는 하방으로 이동된 후 상기 베드(50)의 전단에서 상기 베드(50)의 후단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베드(50)의 상면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베드(50)에서 생장되는 식물의 줄기와 잎이 흔들리게 되어 재배되는 식물의 상채가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Then, the air moved forward is moved downward and then flows from the front end of the bed 50 to the rear end of the bed 50. Stems and leaves of plants grown in the bed 50 are shaken by the flow of air flow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50,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grown plants can be remarkably improved.

상기 베드(50)의 후단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증발기(31) 또는 히터(102)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팬(82)에 의해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 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Air flowing into the rear end of the bed 50 may be cooled or heated again by the evaporator 31 or the heater 102,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light assembly 60 by the blower fan 82. .

그리고, 이와 같은 공기의 순환 과정에 의해 상기 재배 공간(11)의 내부를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가열 및 냉각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공간(11) 전체는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may be continuously and uniformly heated and cooled through the air circulation process, and the entire cultivation space 11 may be maintained at a set temperature.

이와 같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설정된 운전 조건에 따라 지속적으로 동작하게 되며, 상기 파드(90)의 씨앗은 발아 단계를 지나 지속적으로 생장하게 된다. [S30]In this way,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s continuously operated according to the set operating conditions, and the seeds of the pod 90 are continuously grown after the germination stage. [S30]

한편,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지속적인 운전을 통해 상기 파드(90)에서 자라는 식물은 수확 가능한 시기에 도달될 수 있다. 설정된 운전 조건을 유지하면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가 동작되는 경우, 수확 가능시기는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계산된 수확 가능시기의 도달시 재배되는 식물이 수확 가능 상태에 도달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he plant growing in the pod 90 may reach a harvestable time. Whe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s operated while maintaining the set operating conditions, the harvestable time may be calculated.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indicate that the plant to be cultivated has reached the harvestable state when the calculated harvestable time is reached.

물론, 사용자는 상기 도어(20)를 통해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켜져 있는 동안에는 상기 도어(20)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식물의 생장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를 통한 재배 가능시기의 알림이 없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식물을 수확할 수 있을 것이다. Of course, the user can check the insid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hrough the door 20, and the plant growth state even when the door 20 is not opened while the light assembly 60 is turned on. You will be able to see with the naked eye. Therefore, even if there is no notification of the possible cultivation time through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plants may be harvest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한편, 상기 파드(90)의 식물을 모두 수확하거나, 수확 시기를 지나 폐기 시기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파드(90)를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로부터 꺼내어 회수한 후 버릴 수 있다. 물론, 수확 시기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상기 파드(90)를 꺼내어 회수하고 다른 파드(90)를 넣어서 재배를 지속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S40]On the other hand, when all the plants of the pod 90 are harvested, or when the time of disposal is reached after the harvest time has passed, the user may take out the pod 90 from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ollect it, and discard it. Of course, it will be possible to continue cultivation by taking out the pod 90 and recovering it and putting another pod 90 if the user wants it in a state that has not reached the harvest time. [S40]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연속적 및 지속적으로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게 된다. While repeatedly performing such a process,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enables continuous and continuous cultivation of plants.

이하에서는, 전술한 각 재배 단계에서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in each cultivation step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에서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초기 세팅 중 네트워크 연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network connection during the initial setting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will be described.

도 19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와 서버 및 사용자 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0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표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1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네트워크 설정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the server and user equipment. And, Figure 20 is a view showing a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assembly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Figure 21 is a flow chart showing a network setting process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초기 세팅 단계의 수행을 필요로 한다. 상기 초기 세팅 단계(S10)는 설치를 위한 상태 또는 완전히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기동될 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세팅 단계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동작 전 기본적인 설정이 필요한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needs to perform an initial setting step. The initial setting step (S10) may be performed when starting in a state for installation or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is completely turned off. The initial setting step may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basic setting is required before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기기(3) 또는 원격지의 서버(2)와 통신을 통해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 조건을 설정 및 변경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상기 사용자 기기(3) 및 서버(2)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 정보 또는 운전 정보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기기(3)는 일 예로, 화면의 출력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입력 조작이 가능한 휴대 전화, 태블릿 피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set and change control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user equipment 3 carried by the user or the server 2 in a remote location. In additio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exchange cultivation information or driving inform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with the user device 3 and the server 2. The user device 3 may be, for example, a mobile phone or a tablet PC capable of displaying a screen and allowing a user to manipulate an input.

상세히, 상기 식물 재배 장치(1)가 사용을 위한 위치에 배치된 후 전원 코드를 연결하여 동작을 위한 전원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로 인가되도록 한다. [S111]In detail, after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is disposed in a position for use, a power cord is connected so that power for operation is applied to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S111]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의 네트워크 조작부(702)를 조작하여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S112]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in a state in which a network connection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user may operate the network operation unit 702 of the display assembly 70 to perform an operation for connecting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o the network. [S112]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누름 조작에 의해 조작을 입력할 수 있는 버튼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는 해당 조작을 표시할 수 있도록 온 오프되어 조작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전원을 온 오프 하는 전원 조작부(701)와, 네트워크 조작부(702), 라이트 조작부(703), 재배 모드 조작부(70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이 입력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사용자가 조작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점등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에는 상기 파드(90)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표시부(704)와, 물 부족상태를 표시하는 급수 표시부(705), 현재 재배 모드 상태를 표시하는 재배 모드 표시부(706),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 상태의 진단을 위한 진단부(708)가 더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play assembly 70 may include a manipulation unit. The manipulation unit may include a button structure through which a user can input manipulation by a touch or push manipulation. In addition, the manipulation unit may be turned on and off to display a corresponding manipulation to display an manipulation state. The operation unit may include a power operation unit 701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 network operation unit 702, a light operation unit 703, and a cultivation mode operation unit 707. Each of these is arranged so that an operation can be inputted by a user, and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lighting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operation state. On the other hand, in the display assembly 70, a recognition display unit 704 for recognizing the pod 90, a water supply display unit 705 for displaying a water shortage state, and a cultivation mode display unit 706 for displaying a current cultivation mode state. , A diagnostic unit 708 for diagnos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인식 표시부(704)는 상기 파드(90)의 인식을 표시하는 부분으로, 상기 인식 표시부(704)의 내측에 인식부(18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인식 표시부(704)에 상기 파드(90)를 접근시키게 되면, 상기 인식부(183)에서는 상기 파드(90)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 표시부(704)가 점등되면서 이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인식 표시부(704) 자체가 인식부(183)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recognition display unit 704 is a part that displays recognition of the pod 90, and a recognition unit 183 may be further disposed inside the recognition display unit 704. Accordingly, when the pod 90 is brought close to the recognition display unit 704, the recognition unit 183 may recognize the pod 90 and display the recognition display unit 704 as it lights. If necessary, the recognition display unit 704 itself may be configured as a recognition unit 183.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별도의 조작 없이도, 전원의 인가시 자동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상기 네트워크 조작부(702)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automatically perform an operation for network connection when power is applied, without any separate manipulation. In addition, the network connection status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network operation unit 702.

일 예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와 네크워크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네크워크 조작부(702)가 점등 상태가 되고,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와 네트워크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조작부(702)가 꺼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조작부(702)가 꺼진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상기 네트워크 조작부(702)를 조작하여 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nd the network are connected, the network operation unit 702 is turned on, and whe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nd the network are not connected, the network operation unit 702 is turned off. State. In addition, when the network operation unit 702 is turned off, the user can operate the network operation unit 702 to perform a network connection operation.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이전 설정되었던 네트워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미 설정되어 있던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조작부(702)에 의해서 네트워크의 연결 입력이 지시되면, 상기 제어부(18)에서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 [S113]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determine a network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viously set information when there is previously set network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a network connection input is instructed by the network operation unit 702, the control unit 18 determines whether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is input by checking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S113]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를 최초 설치하여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소프트 AP모드를 시작하게 되며, 상기 사용자 기기(3)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S114]Whe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is initially installed and there is no pre-set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starts the soft AP mode, and the network connection setting is established through the user device 3. It becomes possible. [S114]

반면에,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S115]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lready set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connected to a preset network. [S115]

이와 같은 네트워크 설정을 통해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사용자 기기(3)와 원격지의 서버(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와, 사용자 기기(3) 및 서버(2)는 직/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정보의 전달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와 상기 서버(2) 및 사용자 기기(3)는 무선 통신에 의해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 지그비, NFC, 블루투스 등 다양한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rough such a network setting,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3 and the server 2 at a remote location. Accordingly,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he user device 3, and the server 2 may be directly/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enable information transmissio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he server 2, and the user equipment 3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by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any one of various methods such as Wi-Fi, Zigbee, NFC, and Bluetooth.

특히, 본 실시 예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다양한 재배 환경의 조작 및 운전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3)나 서버(2)를 통해 표시하거나, 입력 조작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는 동작을 조작 하거나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을 최소화하여 구성을 보다 간결하게 하고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oper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various cultivation environments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n be displayed or inputted through the user device 3 or the server 2. Accordingly,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n be configured to be more concise and maintain a neat appearance by minimizing a configuration for operating an operation or displaying information.

이하에서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동작 설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setting of the light assembly 60 will be described.

도 22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시간 및 라이팅 설정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그리고, 도 23은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기기의 조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22 is a flow chart showing a time and lighting setting process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FIG. 23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user device for setting an operation time of the light assembly.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라이트 어셈블리(60)의 동작 설정을 위해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 전원이 입력되어 동작이 준비된 상태가 된다. [S111]Referring to the drawings, in order to set the operation of the light assembly 60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power is input to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nd the operation is ready. [S111]

이때,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상기 사용자 기기 또는 서버(2)와 네트워크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동작을 위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in a network-connected state with the user device or server 2. In addition, the user may set a time for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일 예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상기 사용자 기기(3)를 이용하여 시간의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동작을 위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를 현재 시간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현재 시간과의 동일한 설정을 통해서 일반적인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S121]As an exampl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set a time using the user device 3. For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set according to the current time. That is,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a general user's life pattern through the same setting as the current time. [S121]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현재 시간 설정이 완료된 후에는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기기(3)를 통해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동작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효과적인 생장을 위해서는 하루에 대략 16시간의 일조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 또한 별도의 설정이 없는 한 대략 16시간 동안 켜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켜진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은 16시간으로 고정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After the setting of the current tim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s completed, the user may set the time at which the light assembly 60 is operated through the user device 3. In general, about 16 hours of sunlight per day is required for effective plant growth. Accordingly, the light assembly 60 can also be kept turned on for about 16 hours unless otherwise set. Of course, the time to keep the light assembly 60 turned on is not fixed to 16 hours and can be adjusted as needed.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는 설정된 현재시간을 기준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현재의 시간을 기준으로 실제 일출 및 일몰이 이루어지는 시간에 맞추어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온 오프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계절 및 일조 시간의 변화가 필요한 식물은 외부 환경과 동일한 일조량을 제공받으면서 재배될 수 있다.The light assembly 60 may be controlled based on a set current time. That is, the light assembly 60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actual sunrise and sunset times based on the current time. Therefore, plants that require changes in season and sunlight time can be cultivated while receiving the same amount of sunlight as the external environment.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온 시간이 실제 일출시간과 대응되도록 하는 경우, 주위 환경이 밝은 시간에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온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주위 환경과 자연스런 조화를 이룰 수 있다. [S124]When the on time of the light assembly 60 corresponds to the actual sunrise time, since the light assembly 60 is kept on at a time whe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brigh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ser's life pattern. You can achieve natural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S124]

한편, 사용자의 생활 패턴 또는 기호에 따라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온오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켜지는 시간을 설정하게 되면,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는 지속적으로 온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켜진 시간으로부터 16시간 후가 꺼지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on/off time of the light assembly 60 may be set according to a user's life pattern or preference. At this time, when the turn-on time of the light assembly 60 is set, the light assembly 60 is continuously turned on and is set as a time off 16 hours after the light assembly 60 is turned on. Can be.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기기(3)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켜지는 시간과 꺼지는 시간을 지정함으로써,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를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시간에 맞추어 운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주로 저녁 시간 이후에 활동이 많은 사용자의 경우 저녁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에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켜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비록 실제 시간은 일몰 이후의 시간이나,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켜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내부 확인이 용이하고 재배되는 식물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S125]The user may designate a turn-on time and a turn-off time of the light assembly 60 using the user device 3, so that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n b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main activity tim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user who is active mainly after evening time, the light assembly 60 may be kept turned on at a time including evening time. That is, although the actual time is a time after sunset, the light assembly 60 is kept turned on so that the insid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n be easily checked and the management of the plant to be grown can be facilitated. [S125]

도 23을 참조하여,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23, a process of sett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light assembly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3)의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조작 설정을 위해서, 도 23의 (a)와 같이 라이트 설정 화면(3a)을 출력시키게 된다. 상기 라이트 설정 화면(3a)에는 시간 입력부(3a1)와, 온오프 입력부(3a2) 그리고 운전 모드 입력부(3a3)가 출력될 수 있다.The user outputs a light setting screen 3a as shown in FIG. 23A to set the operation of the light assembly 60 of the user device 3. A time input unit 3a1, an on/off input unit 3a2, and a driving mode input unit 3a3 may be output on the light setting screen 3a.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시간 입력부(3a1)를 조작하게 된다. 상기 시간 입력부(3a1)에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온 시각과 오프 시각이 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et the operating time of the light assembly 60, the time input unit 3a1 is operated. The time input unit 3a1 displays the currently set ON time and OFF time of the light assembly 60.

사용자가 상기 시간 입력부(3a1)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라이트 설정 화면(3a)은 도 23의 (b)와 같이 시간 입력부(3a1)가 시간 선택부(3a11)로 전환 출력된다. 상기 시간 선택부(3a11)는 다수의 온 시각과 오프 시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간 선택부(3a11)에서 출력되는 시각은 일례로 직전 5회 동안 설정된 시각일 수 있으며,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으로 5개가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시간 선택부(3a11)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시각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time input unit 3a1, the light setting screen 3a is output from the time input unit 3a1 to the time selection unit 3a11 as shown in FIG. 23B. The time selector 3a11 sequentially displays a plurality of on and off times, and allows any one of them to be selected. The time output from the time selector 3a11 may be, for example, a time set for the previous five times, and five times may be displayed at regular intervals based on the current time. Of course, the time selection unit 3a11 may allow the user to directly input the time.

사용자가 상기 시간 선택부(3a11)에서 특정 시각을 선택하게 되면, 도 23의 (c)와 같이 상기 라이트 설정 화면(3a)은 시간 선택부(3a11)가 다시 상기 시간 입력부(3a1)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간 입력부(3a1)에는 상기 시간 선택부(3a11)에서 선택한 시간이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time in the time selection unit 3a11, the light setting screen 3a is converted to the time input unit 3a1, as shown in Fig. 23(c). Can be output. At this time, the time selected by the time selection unit 3a11 may be output to the time input unit 3a1.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기기(3)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를 강제로 온/오프시킬 수도 있다.The user may forcibly turn on/off the light assembly 60 by using the user device 3.

도 24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의 오프 상태 설정을 위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조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24 is a diagram sequenti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user device for setting an off state of the light assembly.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기기(3)의 라이트 설정 화면(3a)에는 온오프 입력부(3a2)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온/오프 상태에 따라가 각각 다른 상태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원격지에서도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동작 상태 확인이 가능하며,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를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n on-off input unit 3a2 may be displayed on the light setting screen 3a of the user device 3. The light assembly 60 is displayed in different states depending on the ON/OFF state,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light assembly 60 from a remote location, and to more easily manipulate the light assembly 60. I can.

도 24의 (a)와 같이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를 강제로 오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온오프 입력부(3a2)를 조작하게 된다. As shown in (a) of FIG. 24, when the user wants to forcibly turn off the light assembly 60 while the light assembly 60 is turned on, the user operates the on-off input unit 3a2. .

상기 온오프 입력부(3a2)를 조작하게 되면, 도 24의 (b)와 같이 상기 온오프 입력부(3a2)가 오프 시간 설정부(3a21)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오프 시간 설정부(3a21)에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꺼진 상태로 유지되는 오프 시간이 다수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다수의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on-off input unit 3a2 is operated, the on-off input unit 3a2 may be switched to the off time setting unit 3a21 as shown in FIG. 24B. The off-time setting unit 3a21 may display a plurality of off-times during which the light assembly 60 is kept off. The user can select any one of a number of times displayed.

상기 오프 시간 설정부(3a21)를 조작하게 되면, 도 24의 (c)와 같이 상기 온오프 입력부(3a2)가 꺼진 상태로 변화되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설정 화면(3a)에서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꺼진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off time setting unit 3a21 is manipulated, the on/off input unit 3a2 is turned off and output as shown in FIG. 24C. In addition, on the light setting screen 3a, a time during which the light assembly 60 is kept off may be displayed.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를 다시 켜기 위해서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를 조작할 수 있으며, 별도의 조작이 없다면, 선택된 오프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다시 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가 온되면, 상기 라이트 설정 화면(3a)은 다시 도 24의 (a)와 같이 된다. In order to turn on the light assembly 60 again, the light assembly 60 can be manipulated. If there is no separate operation, the light assembly 60 is turned on again after a selected off time elapses. In addition, when the light assembly 60 is turned on, the light setting screen 3a is again as shown in FIG. 24A.

한편,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기기(3)를 조작하여,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user may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by operating the user device 3.

도 25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의 지연 모드 설정을 위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조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5 is a diagram sequenti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user device for setting a delay mode of the light assembly.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기기(3)의 시간 설정 화면에는 운전 모드 입력부(3a3)가 출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driving mode input unit 3a3 may be output on the time setting screen of the user device 3.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운전 모드의 설정을 통해서 재배되는 식물의 수확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 모드는 특정 식물이 일반적인 수확 시기에 수확되도록 하는 일반 모드와, 일반적인 수확 시기보다 더 늦게 수확되도록 하는 지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control the harvesting timing of the cultivated plants through the setting of the operation mode. As an example, the operation mod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include a general mode in which a specific plant is harvested at a general harvest time, and a delay mode in which a specific plant is harvested later than a general harvest time.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사용 중 사용자가 장기간 외출을 하게 되는 경우, 또는 식물 재배 장치(1)의 식물의 수확을 일정 기간동안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식물의 수확 시기보다 더 지연된 수확 시기를 필요로할 수 있으며, 상기 운전 모드 입력부(3a3)를 조작하여 상기 식물 재배 장치(1)가 상기 지연 모드로 운전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When the user goes out for a long time while using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or whe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does not want to harvest the plants for a certain period, a more delayed harvest time than the general plant harvesting time is required.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n be set to operate in the delay mode by manipulating the driving mode input unit 3a3.

상기 지연 모드에서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물 공급 횟수와 양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동작 시간을 조절하는 등 식물의 생장을 늦출 수 있도록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 상태를 변화 시키게 된다. In the delayed mod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the number and amount of water supply, and the operation time of the light assembly 60 to slow the growth of the plant. The operating state of the cultivation device 1 is changed.

일 예로, 상기 지연 모드에서는 식물의 수확 시기를 늦추기 위해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온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일반 모드의 선택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는 16시간 동안 온된 후 오프되지만, 상기 지연 모드를 선택할 경우 10시간 동안 온된 후 호프 되도록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연 모드에서의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온 시간은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delay mode, the ON time of the light assembly 60 may be adjusted to delay the harvesting time of plants. When the normal mode is selected, the light assembly 60 is turned on for 16 hours and then turned off, but when the delay mode is selected, the setting may be changed to be turned on for 10 hours and then hop. Of course, the ON time of the light assembly 60 in the delay mode may be adjusted.

상기 모드 입력(3a3)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른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가 지연 모드로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25의 (a)에서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The mode input 3a3 may be displayed in a different stat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s not set to the delay mode, it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a) of FIG. 25.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 모드를 지연 모드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운전 모드 입력부(3a3)를 조작하게 된다. 상기 운전 모드 입력부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실제 운전 모드가 지연 모드로 변경되며, 상기 사용자 기기(3)의 라이트 설정 화면(3a)에는 도 25의 (b)와 같이 상기 모드 설정부(3a3)의 모양이 변경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운전 모드의 변경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In such a state, when the user wants to set the operation mod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o the delay mode, the operation mode input unit 3a3 is operated. When the operation mode input unit is operated, the actual operation mode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is changed to a delayed mode, and the light setting screen 3a of the user device 3 displays the mode as shown in FIG. 25B. The shape of the setting unit 3a3 is changed, so that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driving mode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이하에서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상기 파드(90) 인식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ecognition of the pod 90 by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6은 상기 파드의 인식을 위한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그리고, 도 27은 상기 파드의 인식 및 위치 설정을 위한 조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26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for recognizing the Pod. And, FIG. 27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state for recognizing and positioning the pod.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운전이 수행 된다. [S111]As show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applied. [S111]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동작을 위한 시간 설정과 네트워크 설정이 완료된 상태로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시간 설정과 네트워크 설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파드(90)의 인식 및 운전이 가능할 수 있다. [S211]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operates in a state in which time setting for operation and network setting are completed. Of cours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capable of recognizing and operating the pod 90 even when time setting and network setting are not performed. [S211]

사용자는 식물의 재배를 위해 상기 파드(90)를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 인식시키게 된다. 상기 파드(90)의 인식을 통해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최적의 운전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특히, 이종의 파드(90)들이 다수 배치된 상태에서도 효과적인 재배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user makes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ware of the pod 90 for plant cultivation.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pod 90,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n set an optimal operating condition,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ive cultivation environment even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ifferent pods 90 are disposed.

상기 파드(90)는 식물 재배 장치(1)의 인식부(183)를 통해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기기(3) 또는 원격지의 서버(2)와 네트워크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식물 재배 장치(1)가 상기 파드(90)에 적합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단독으로 상기 파드(90)의 인식과 운전 조건의 산출이 가능할 것이다. The pod 90 may be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183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ly,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n perform a suitable operation for the pod 90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equipment 3 or the remote server 2 is not connected to the network. That is,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lone may recognize the pod 90 and calculate the operating conditions.

상기 파드(90)의 인식 작업과 상기 파드(90)가 안착되는 작업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파드(90)를 먼저 인식시킨 후 상기 도어(20)를 개방하고 상기 파드(90)를 상기 베드(50)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다. The recognition operation of the pod 90 and the operation of seating the pod 90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That is, after recognizing the pod 90 first, the door 20 may be opened, and the pod 90 may be seated at a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of the bed 50.

이와 같이 파드(90)의 인식과 장착을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파드의 보다 정확한 인식을 보장하는 한편, 상기 파드(90)가 인식 가능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구성을 간결하게 할 수 있다.By separating the recognition and mounting of the pod 90 as described above, a more accurate recognition of the pod can be ensur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hat the pod 90 can recognize can be simplified.

상기 인식부(183) 상기 파드(90)를 접근시켜 상기 파드를 인식시킬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인식부(183)는 상기 파드(90)와 엔에프시(NFC)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드(90)의 인식을 위해서는 상기 파드(90)를 상기 인식부(183)에 접근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파드(90)에 큐알 코드 또는 바코드가 표시되고 상기 인식부(183)에서 이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인식부(183)가 상기 파드(90)를 인식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 입력 조작 없이 상가 파드(90)를 근접시켜 인식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드(90)에는 상기 인식부(183)에 인식 가능한 식별부(도 9에서 941)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식별부(941)는 상기 파드(9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커버(94)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부(941)는 엔에프시 태그, 큐알 코드, 바코드 일 수 있으며, [S212]The recognition unit 183 may approach the pod 90 to recognize the pod. For example, the recognition unit 183 may communicate with the pod 90 through an NFC (NFC) method. Therefore, in order to recognize the pod 90, the pod 90 is brought close to the recognition unit 183. Of course, the QR code or barcode may be displayed on the pod 90 and configured to be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183.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pod 90 by the recognition unit 183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ethods of recognizing the shopping mall pod 90 by approaching and recognizing the pod 90 without a separate input operation may be possible. In addition, the pod 90 may be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unit (941 in FIG. 9) recognizable to the recognition unit 183, and the identification unit 941 may be provided to the pod 90,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on the cover 94. And, the identification unit 941 may be an NFC tag, QR code, barcode, [S212]

한편, 상기 도어(20)의 개폐가 이루어졌지만 상기 파드(90)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운전 조건을 유지하게 된다. 즉, 이미 다른 파드(90)가 인식 및 안착되어 운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폐하였으나 별도 파드(90)의 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기존의 설정된 운전 조건을 유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20 is opened and closed but the pod 90 is not recognized,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intains the operating conditions. That is, if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door while the other pod 90 is already being recognized and seated and operated, but the separate pod 90 is not recognized,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n perform the existing set operating conditions. Can be maintained.

또한, 사용자가 기존의 운전 조건의 변화를 원하지 않는 경우, 예컨데 기존 재배 중인 상기 파드(90)와 동종의 파드(90)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운전 조건을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파드(90)의 인식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상기 파드(90)를 상기 베드(50)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운전 조건의 변경 없이 기존의 운전 조건을 유지하면서 재배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S213]In addition,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change the existing driving conditions, for example, when adding a pod 90 of the same type as the pod 90 being cultivated, there is no need to set a separate driving condition, so the pod 90 The pod 90 may be immediately seated on the bed 50 without performing recognition of. In this case, the cultiva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operating conditions without changing the operating conditions. [S213]

한편, 상기 인식부(183)에서 상기 파드(90)가 인식된 후에는, 상기 파드(90)의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파드(90)의 위치는 상기 사용자 기기(3)를 통해서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드(90)의 위치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와 상기 사용자 기기(3)는 서로 네트워크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Meanwhile, after the recognition unit 183 recognizes the pod 90, the position of the pod 90 may be input. The location of the pod 90 may be input through the user device 3. Accordingly, in order to input the location of the pod 90,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and the user device 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도 2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파드(90)의 안착을 위해서 상기 도어(20)를 개방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가 노출되며, 상기 파드(90)를 상기 인식부(183)에 접근시켜 상기 파드(90)를 인식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27, when the door 20 is opened to seat the pod 90, the display assembly 70 is exposed, and the pod 90 approaches the recognition unit 183 By doing so, the pod 90 can be recognized.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서 상기 파드(90)를 인식하게 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상기 사용자 기기(3)로 상기 파드(90)의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사용자 기기(3)의 대기 화면(3b1)에 상기 파드(90)가 인식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창(3b11)이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recognizes the pod 90,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pod 90 to the user device 3. For example, a notification window 3b11 indicating that the Pod 90 has been recognized may be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3b1 of the user device 3.

이때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및 사용자 기기(3)는 서버(2)와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식부(183)에서 인식된 상기 파드(90)의 정보는 상기 서버(2)로도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2)에서는 상기 파드(9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관련된 추가의 정보를 사용자 기기(3)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and the user device 3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2. Accordingly, the information of the pod 90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183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2, and the server 2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d 90 and It would also be possible to pas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3.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기기(3)의 알림 창(3b11)을 누르게 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3)는 재배 정보 화면(3d)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에는 파드 표시부(3d1)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파드 표시부(3d1)는 상기 베드(50)에 구획된 상기 안착부(511)들의 배치와 같이 다수의 상기 파드 아이콘(3d11)들이 대응하는 형태로 배열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부(511)에 안착된 상기 파드(90)의 위치는 상기 파드 표시부(3d1)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파드 아이콘(3d11)이 출력되도록 하여 표현할 수 있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notification window 3b11 of the user device 3, the user device 3 outputs a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A pod display unit 3d1 may be output o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The pod display part 3d1 may display a plurality of the pod icons 3d11 arranged in a corresponding shape, such as the arrangement of the seating parts 511 partitioned in the bed 50. That is, the position of the pod 90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511 may be expressed by displaying the pod icon 3d11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pod display unit 3d1.

상기 파드 표시부(3d1)는 상기 파드(90)가 안착된 상태와 비어 있는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파드(90)가 안착된 위치는 상기 파드 아이콘(3d11)이 표시되고, 상기 파드(90)가 안착되지 않은 위치는 빈 공간으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파드(90)의 인식 후 비어있는 상기 파드 표시부(3d1)의 공간을 선택하여 상기 파드(90)의 안착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파드(90)가 안착된 위치를 상기 파드 아이콘(3d11)을 통해서 파드 표시부(3d1)에 지정 및 표시할 수 있게 된다. The pod display unit 3d1 may differentiate and display a state in which the pod 90 is seated and an empty state. The pod icon 3d11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where the pod 90 is seated, and the position where the pod 90 is not seated is displayed as an empty space. In addition, after recognizing the pod 90, the user may select an empty space of the pod display unit 3d1 to input the seating position of the pod 90. That is, the position in which the pod 90 is seated can be designated and displayed on the pod display unit 3d1 through the pod icon 3d11.

따라서, 다수의 파드(90)가 상기 베드(50)에 불규칙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도 각각의 파드(90)의 위치와 정보를 상기 파드 표시부(3d1)상에 정확하게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기기(3)를 통해서 다수의 상기 파드(90)들의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한다. [S214]Accordingly, even when a plurality of pods 90 are irregularly seated on the bed 50, the position and information of each pod 90 can be accurately displayed on the pod display unit 3d1 and transmitted to the user. In addition, the user enables effective management of the plurality of pods 90 through the user device 3. [S214]

한편,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서 새로운 파드(90)가 인식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새로운 운전 조건을 산출하게 된다. 상기 파드(90)가 투입될 경우 다수의 파드(90)들이 서로 다른 운전 조건을 필요로할 수 있으며, 동일한 공간 내에서 다양한 종류의 상기 파드(90)들이 재배될 수 있는 재배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new pod 90 is recognized by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lculates a new operating condition. When the pod 90 is inserted, a plurality of pods 90 may require different operating conditions, and a cultivation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types of pods 90 can be cultivated in the same space is created. .

상기 운전 조건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제어부(18)에서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2) 및 사용자 기기(3)를 통해서 전달되는 정보를 통해 업데이트 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운전 조건은 상기 사용자 기기(3) 또는 서버(에서 산출될 수도 있으며,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로 전달되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전달된 운전 조건에 따라 운전될 수도 있다. The operating conditions may be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18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nd may be updated through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server 2 and the user device 3. And, if necessary, the operating conditions may be calculated from the user device 3 or the server, and transmitted to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so that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can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operating conditions. May be.

상기 식물 재배 장치(1)가 이전의 운전 조건에 맞추어 운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상기 파드(90)가 상기 인식부(183)에서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18)에서는 새롭게 인식된 상기 파드(90)를 포함하는 새로운 운전 조건을 산출하게 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vious operating conditions, when the new pod 90 is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183, the control unit 18 displays the newly recognized pod 90 A new driving condition including) is calculated.

일 예로, 다수의 상기 파드(90)가 인식된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파드(90)의 평균을 기준으로 운전 조건이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상기 파드(90)들이 필요한 평균의 조도와, 일조량, 온도 및 수분 공급에 맞추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이 재조정될 수 있다. [S215]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pods 90 are recognized, a driving condition may be calculated based on an average of the plurality of pods 90.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readjusted according to the required average illuminance, amount of sunlight, temperature, and water supply for the plurality of pods 90. [S215]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새롭게 산출된 운전 조건을 기준으로 운전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게 되며, 상기 파드(90)가 추가로 인식되는 경우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운전하게 된다.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ontinuously performs the operation based on the newly calculated operating condition, and when the pod 90 is additionally recognized,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ly operated.

한편, 상기 파드(90)의 인식을 위한 다른 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Meanwhile, another example for recognizing the pod 9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8은 상기 파드의 인식 및 위치 설정을 위한 조작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operation state for recognizing and positioning the Pod.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도어(20)를 개방하지 않고 상기 파드(90)를 인식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인식부(183')는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일 예로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the user may recognize the pod 90 without opening the door 20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n this case, the recognition unit 183 ′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10, for example, may be provided above the cabinet 10.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인식부(183')가 배치된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상기 파드(90)를 근접시켜 상기 파드(90)를 인식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user may recognize the pod 90 by bringing the pod 90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 on which the recognition unit 183 ′ is disposed.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기기(3)를 이용하여 상기 파드(90)의 안착 위치를 지정하여야 하므로, 먼저 상기 파드(90)를 상기 캐비닛(10) 상면 일측에 얹게 되면 상기 인식부(183')가 상기 파드(90)를 인식할 수 있다.In detail, since the user has to designate the seating position of the pod 90 using the user device 3, first, when the pod 90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 the recognition unit 183' May recognize the pod 90.

그리고,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인식부(183')에서 상기 파드(90)를 인식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3)의 대기 화면(3b1)에는 상기 파드(90)의 인식을 알리는 알림 창(3b11)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알림 창(3b11)을 눌러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으로 진입하여 상기 파드 표시부(3d1)상에 상기 파드(90)의 안착 위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cognition unit 183'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recognizes the pod 90, a notification indicating the recognition of the pod 90 is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3b1 of the user device 3 The window 3b11 may be output. In addition, the user may press the notification window 3b11 to enter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and select and input the seating position of the pod 90 on the pod display 3d1.

상기 파드(90)의 안착 위치 설정을 완료시킨 후, 사용자는 상기 도어(20)를 열어서 선택한 상기 베드(50)의 안착부(511)에 상기 파드(90)를 안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를 닫게 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새로운 상기 파드(90)를 포함한 다수의 파드(90)들에 적합한 운전 조건으로 운전될 수 있게 된다. After completing the setting of the seating position of the pod 90, the user opens the door 20 to place the pod 90 on the seating portion 511 of the selected bed 50. In addition,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n be operated under a driving condition suitable for a plurality of pods 90 including the new pod 90.

한편,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 중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부에 상기 파드(90)가 추가될 수도 있으며, 식물의 수확 후 상기 파드(90)를 제거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od 90 may be added to the inside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while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is being operated, and the pod 90 may be removed after harvesting the plant.

도 29는 상기 파드의 추가 또는 제거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29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adding or removing the pod.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가 운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파드(90)가 추가되거나 제거되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부에 수용된 상기 파드(90)의 수가 변경될 수 있다. [S221]As shown, the number of the pods 90 accommodat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changed by adding or removing the pods 90 whil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s being operated. . [S221]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에 추가 또는 제거된 상기 파드(90)가 동종의 식물인지 이종의 식물 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추가된 상기 파드(90)의 식물 종류 확인은 상기 인식부(183)에 의해 가능하며, 제거된 상기 파드(90)의 종류 확인은 사용자 기기(3)의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S223]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checks whether the pod 90 added or removed i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is a plant of the same type or a heterogeneous plant. At this time, the plant type of the added pod 90 can be checked by the recognition unit 183, and the type of the removed pod 90 can be checked by input of the user device 3. [S223]

상기 변경된 파드(90)의 식물 종류가 남아 있는 파드(90)와 동종인 경우에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현재의 운전 조건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에 남아 있는 파드(90)들과 동종의 파드(90)가 추가되거나 제거되는 경우에는 운전 조건을 변경할 필요 없이 현재의 운전 조건을 유지하여 재배 운전을 지속할 수 있다. [S222]When the plant type of the changed pod 90 is the same as the remaining pod 90,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n maintain the current operating conditions. That is, when the pods 90 of the same kind as the pods 90 remaining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re added or removed, the cultivation operation can be continued by maintaining the current operating conditions without changing the operating conditions. have. [S222]

반면에, 변경된 상기 파드(90)의 식물 종류가 남아 있는 상기 파드(90)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새로운 운전 조건을 산출하게 된다. 즉, 이종 식물의 파드(90)가 추가되거나 제거되는 경우 전체 재배되는 상기 파드(90)들의 종류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남은 상기 파드(90)들이 최적의 재배 환경에서 재배될 수 있도록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새롭게 산출된 운전 조건에 따라 운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ant type of the changed pod 90 is different from the remaining pod 90,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lculates a new operating condition. That is, when the pods 90 of heterogeneous plants are added or removed, the types of the pods 90 to be cultivated are different. Accordingly,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a newly calculated operating condition so that the remaining pods 90 can be cultivated in an optimal cultivation environment.

한편,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내부에 복수의 상기 파드(90)들이 상기 베드(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파드(90)들의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ile the plurality of pods 90 are seated on the bed 50 insid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he user may change the positions of the pods 90.

도 30은 상기 파드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30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state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od.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 중에 상기 파드(9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상기 파드(90)의 위치 변경을 위해서 상기 도어(20)를 개방한 후 상기 파드(90)를 원하는 위치로 재 배치할 수 있다.As shown, the user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pod 90 while operating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In ord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pod 90, after opening the door 20, the pod 90 may be relocated to a desired position.

상기 파드(90)의 재배치 작업을 완료한 후 상기 도어(20)를 닫게 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도 센서와 같은 감지 장치에 의해서 상기 파드(90)의 위치 변경이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 장치에서 상기 파드(90)의 위치 변경이 인식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변경 신호를 상기 서버(2)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3)로 전달하게 되고, 상기 사용자 기기(3)는 대기 화면(3b1)에서 알림 창(3b11)을 출력하게 된다.When the door 20 is closed after completing the relocation operation of the pod 90, the position of the pod 90 is changed by a sensing device such as an illuminance sensor provided inside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Can be recognized. And, when the sensing device recognizes the position change of the pod 90,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transmits a change signal to the server 2 or the user device 3, and the user device ( 3) outputs a notification window 3b11 on the standby screen 3b1.

사용자가 상기 알림 창(3b11)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으로 화면이 전환되고, 다수의 상기 파드 아이콘(3d11)으로 이루어진 상기 파드 표시부(3d1)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파드를 변경시킨 위치로 상기 파드 아이콘(3d11)을 조작하여 상기 파드 표시부(3d1) 상의 출력 상태를 실제 상기 베드(50)에 안착된 상기 파드(90)의 배치와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notification window 3b11,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and the pod display unit 3d1 including a plurality of pod icons 3d11 may be displayed. At this time, the user manipulates the pod icon 3d11 to the position where the pod is changed so that the output state on the pod display unit 3d1 corresponds to the arrangement of the pod 90 actually seated on the bed 50. I can.

물론,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는 감지 장치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3)에 알림창(3b11)이 출력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상기 사용자 기기(3)를 조작하여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으로 들어가 상기 파드(90)의 위치를 재설정할 수 있다. Of course,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may not be equipped with a sensing device. In this case, since the notification window 3b11 is not output to the user device 3, the user directly manipulates the user device 3 Entering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the position of the pod 90 may be reset.

한편,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재배 운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파드(90) 수확 가능 시기 또는 폐기 시기에 도달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notify the user when the harvesting time or disposal time of at least one of the pods 90 is reached during the cultivation operation.

도 31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수확 및 폐기 알림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31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notifying harvest and disposal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설정된 운전 조건에 따라서 재배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As show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performs a cultiv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 set operating condition.

그리고,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설정된 상기 운전 조건으로 운전 중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부에서 재배 중인 상기 파드(90)가 수확 가능한 시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수확 가능시기는 상기 파드(90)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종류마다 다르며, 상기 파드(90)를 상기 인식부(183)에 인식시킬 때 수확 시기가 계산되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파드(90)가 투입되고 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설정된 운전 조건으로 운전되며, 이 운전 조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도달되는 수확시기를 카운팅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od 90 being cultivat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reaches a harvestable time while driving under the set operating conditions. The harvesting possible time is different for each type of plant cultivated in the pod 90, and when the pod 90 is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183, the harvesting time may be calculated and set. After the pod 90 is input,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is operated under a set operating condition, and the harvesting time reached when the operating condition is the reference is counted.

정확한 수확 시기의 카운팅을 위해서 상기 운전 조건의 변경시 수확 시기의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서버(2) 및 사용자 기기(3)와의 통신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에 따라 수확 시기가 계산될 수도 있다. 상기 수확 시기는 일반적으로 섭취 권장되는 시기로 개인마다 기호가 다를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변경 설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S311]In order to accurately count the harvest time, the harvest time may be corrected when the operating conditions are changed, and the harvest time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2 and the user device 3. The harvest time is generally recommended for ingestion, and since preferences may be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it may be possible to change and set as necessary. [S311]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내부에서 재배 중인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식물이 수확 가능시기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수확 가능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이때, 상기 수확 가능 상태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자체에서 알릴 수도 있으며, 상기 사용자 기기(3)를 통해서 알릴 수도 있다.When at least one plant being cultivated insid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reaches the harvestable tim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notifies the user of the possible harvest. At this time, the harvestable state may be notified by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itself, or may be notified through the user device 3.

일 예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부의 식물이 수확 가능 시기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3)에서 알림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상에서 수확을 위한 해당 파드(90)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수확 가능 시기의 알림을 통해서 사용자가 적시에 수확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S313]For example, when the plant insid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reaches a harvestable time, the user device 3 may display a notification, and the corresponding pod for harvesting o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 90) can also be displayed. It is possible to induce a user to harvest in a timely manner through the notification of the harvestable time. [S313]

상기 파드(90)의 수확 가능시기가 경과된 상태에서도 식물을 수확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 섭취 권장기간을 경과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장기간 식물을 수확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 식물이 섭취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다른 작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If the plant is left without harvesting even when the harvestable period of the pod 90 has elapsed, the recommended intake period may elapse. In addition, if the plant is left unharm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lant may become ingestable and may affect other crops.

이러한 문제의 방지를 위해서, 상기 수확 시기의 경과 후,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내부에서 재배 중인 식물이 수확 시기를 지나 폐기 시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식물의 폐기 시기 또한 일반적으로 섭취 불가능하거나 이상 가능성이 있는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서는 이 기간을 설정된 운전 조건을 기준으로 산출하게 된다. [S313]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fter the lapse of the harvesting perio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lant being cultivat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has passed the harvesting period and reached the disposal period. The disposal time of the plant may also be generally set to a period in which ingestion is impossible or abnormally possible, and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lculates this period based on the set operating conditions. [S313]

만약, 수확을 하지 않은 상태로 식물의 폐기 시기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서는 폐기 시기 도달을 알리게 된다. 이때, 폐기 시기 도달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자체에서 알릴 수도 있으며, 상기 사용자 기기(3)를 통해서 알릴 수도 있다.If, when the disposal time of the plant is reached without harvesting,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notifies the arrival of the disposal time. At this time, the arrival of the disposal timing may be notified by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tself, or through the user device 3.

일 예로, 폐기 시기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3)에서 알림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상에서 폐기 시기에 도달한 해당 파드(90)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폐기 시기의 알림을 통해서 사용자가 적시에 해당 파드를 회수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S314]For example, when the disposal time is reached, the user device 3 may display a notification, and the pod 90 having reached the disposal time may be displayed o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Through the notification of the disposal timing, the user can induce the user to retrieve and discard the Pod in a timely manner. [S314]

한편,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운전 중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재배되는 식물의 수확 시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adjust the harvesting timing of the cultivated plants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while driving.

도 32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 모드에 따른 동작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32 is a flow chart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a cultivation mod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사용자의 운전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 입력이 없는 한 설정된 운전 조건에 따라 운전될 수 있으며, 이때의 운전 상태를 정상 운전이라고 할 수 있다. [S321]As show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a set driving condition as long as there is no operation input for selecting a driving mode of the user, and the driving state at this time may be referred to as a normal operation. [S321]

상기 식물 재배 장치(1)가 운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운전 상태가 지연 운전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의 재배 모드 조작부(707)를 조작하여 지연 운전으로의 전환을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기기(3)를 이용하여, 상기 시간 설정 화면에서 운전 모드 입력부(3a3)를 조작하여 지연 운전으로의 전환을 입력할 수 있다. [S322]In the state in which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s being operated, the operation state may be switched to the delayed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 user input. As an example, the user may input the conversion to the delayed operation by manipulating the cultivation mode manipulation unit 707 of the display assembly 70. As another example, the user may input a conversion to delayed driving by operating the driving mode input unit 3a3 on the time setting screen using the user device 3. [S322]

상기 지연 운전 모드의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운전 조건이 지연 운전 모드로 변경되고, 지연 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지연 운전 모드에서는 재배되는 식물의 수확 시기를 늦출 수 있도록 상기 재배 공간(11)의 온도를 더 낮게 조절하거나,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에 의한 조도를 낮추거나 일조량을 작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베드(50)로 공급되는 급수 시기를 늦추도록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input of the delayed operation mode is confirmed,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hanges its operating condition to the delayed operation mode, and performs delayed operation. In the delayed operation mode, the temperatur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may be lowered so that the harvesting time of the cultivated plants may be delayed, or the illuminance by the light assembly 60 may be lowered or the amount of sunlight may be reduced. 50) can be adjusted to slow the water supply timing.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 조건이 지연 운전으로 전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부 식물의 수확 시기는 지연될 수 있으며, 지연 운전에 의해 재설정된 수확 시기는 상기 사용자 기기(3)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S323]The harvesting timing of the plants insid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delayed by the operation condi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being switched to the delayed operation, and the harvesting time reset by the delayed operation is the user equipment 3 ) Can be guided through. [S323]

한편, 상기 식물 재배 장치(1)가 운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운전 상태가 급속 운전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의 재배 모드 조작부(707)를 조작하여 급속 운전으로의 전환을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기기(3)를 이용하여 급속 운전으로의 전환을 입력할 수 있다. [S324]Meanwhile, in a state in which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s being operated, the driving state may be switched to the rapid driving mode according to a user's input. For example, the user may input a change to rapid driving by manipulating the cultivation mode manipulation unit 707 of the display assembly 70. As another example, the user may input a switch to rapid driving using the user device 3. [S324]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서 급속 운전 모드의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 조건이 급속 운전 모드로 변경되고, 급속 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급속 재배 모드에서는 재배되는 식물의 수확 시기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재배 공간(11)의 온도를 더 높게 조절하거나,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에 의한 조도를 더 높게 하거나 일조량을 더 크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베드(50)로 공급 시기를 빠르게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input of the rapid operation mode is confirm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re changed to the rapid operation mode, and rapid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rapid cultivation mode, the temperatur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may be adjusted higher to speed up the harvesting time of the cultivated plants, or the illuminance by the light assembly 60 may be increased or the amount of sunlight may be adjusted to be greater It is possible to quickly adjust the supply timing with the bed 50.

상기 급속 운전에 의해 식물의 수확 시기는 단축될 수 있으며, 상기 급속 운전 모드에 의해 재설정된 수확 시기는 상기 사용자 기기(3)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 [S325]The harvesting timing of plants may be shortened by the rapid driving, and the harvesting timing reset by the rapid driving mode may be guid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device 3. [S325]

한편, 상기 식물 재배 장치(1)가 선택된 운전 모드로 운전되는 과정에서 수확 가능 시기는 재설정될 수 있으며, 재설정된 수확 가능 시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수확 가능 시기에 도달할 때까지 설정된 운전 조건으로 운전을 지속하게 된다.Meanwhile, whil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s operated in the selected operation mode, the harvestable time may be reset, an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reset harvestable time has been reached.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ontinues to operate under the set operating conditions until the harvestable time is reached.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 중,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의 식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확 가능 시기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수확 가능을 알리게 된다. 이때, 상기 수확 가능 상태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자체에서 알릴 수도 있으며, 상기 사용자 기기(3)를 통해서 알릴 수도 있다.Dur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when at least one of the plants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reaches the harvestable tim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notifies the possible harvest. At this time, the harvestable state may be notified by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itself, or may be notified through the user device 3.

일 예로, 수확 가능 시기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3)에서 알림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상에서 수확 가능한 상기 파드(90)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수확 가능 시기의 알림을 통해서 사용자가 적시에 수확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S327]For example, when the harvestable time is reached, the user device 3 may display a notification, and the pod 90 capable of harvesting may be displayed o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It is possible to induce a user to harvest in a timely manner through the notification of the harvestable time. [S327]

한편, 식물 재배 장치(1)는 상기 도어(20)가 열리게 되면 도어 열림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perform a door opening operation when the door 20 is opened.

도 33은 상기 도어의 개방에 따른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33 is a flow chart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door.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설정된 운전 조건에 따라서 재배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S30]As show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performs a cultiv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 set operating condition. [S30]

그리고,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상기 설정된 운전 조건으로 운전 중 상기 도어(20)의 열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열림은 사용자가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부에 상기 파드를 넣거나 뺄 때, 식품을 수확할 때 또는 상기 재배 공간(11)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때와 같이 의도적으로 상기 도어(20)를 개방하는 상황은 물론, 상기 도어(20)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개방되거나 덜 닫히게 되어 일부 개방된 상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어(20)의 열림은 도어 스위치(195)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S331] In additio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20 while driving under the set driving condition. The opening of the door 20 is intentionally such as when a user puts or removes the pod inside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harvests food, or checks the state of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11. In addition to the situation in which the door 20 is opened, the door 20 may be opened or less closed in an unintended situation, and thus a partially opened state may be included. For example, the opening of the door 20 may be detected by the door switch 195. [S331]

상기 도어(20)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에서는 즉각적으로 도어 열림 운전을 수행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도어 열림 운전은 상기 재배 공간(11) 내부의 공기 순환을 위한 송풍팬(82)이 정지되도록 하는 운전, 상기 히터(102) 또는 압축기가 정지되는 운전, 상기 급수 어셈블리의 동작을 정지하는 운전, 그리고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밝기를 조절하는 운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opening of the door 20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8 causes the door open operation to be performed immediately. The door open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in which the blowing fan 82 for air circulation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1 is stopped, the heater 102 or the compressor is stopped, and the operation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In addition, at least one of driving of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 assembly 60 may be included.

특히,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는 상기 도어(20)의 개방시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어(20)의 개방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조도를 낮출 수 있으며, 정상적인 재배 운전시의 조도의 대략 50%의 조도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도어(20)의 개방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를 구성하는 엘이디(621) 중 일부가 오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엘이디(621) 중 켜진 엘이디(621)는 밝기를 유지하고,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과 가까운 상기 엘이디(621)들은 오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S332] In particular, the light assembly 60 may be controlled to prevent glare of a user when the door 20 is opened. As an example,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assembly 60 may be lowered, and 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at approximately 50% of the illuminance during normal cultivation operation. As another example, when the door 20 is opened, some of the LEDs 621 constituting the light assembly 60 may be turned off. In this case, the LED 621 that is turned on among the plurality of LEDs 621 may maintain brightness, and the LEDs 621 close to the opened front of the cabinet 10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ff. [S332]

한편,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상기 도어(20)를 개방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도어(20)가 덜 닫힌 것을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장기간 도어 열림 운전을 수행하게 되어 식물의 수확 가능 시기를 길게 하고, 소비 전력을 증가 시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does not intentionally open the door 20, the user may not be able to recognize that the door 20 is closed less, and in this case, the door open operation is performed for a long period of time, so that the plant can be harvested. There may be a problem of lengthening and increasing power consumption.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면 상기 제어부(18)에서는 도어(20)의 개방 시간을 카운팅하고, 상기 도어(20)의 개방 후 설정 시간이 경과 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S333] To prevent such a problem,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control unit 18 counts the opening time of the door 20 and determines whether a 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door 20 is opened. [S333]

상기 도어(20)의 개방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도어(20)의 열림을 알리게 된다. 상기 도어(20)의 열림은 스피커 또는 부저를 통해 음성 또는 소리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물 재배 장치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기기로 알림을 출력할 수도 있다. [S334]When the set time elapses after the door 20 is opened,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notifies the door 20 to be opened. The opening of the door 20 may be output as a voice or sound through a speaker or a buzzer so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recognize it. In addition, a notification may be output to the user device so that a user at a distant distance from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n recognize it. [S334]

상기 도어(20)의 열림은 상기 도어(20)의 닫힘이 감지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20)의 열림 알림을 중단하게 된다. [S335]The opening of the door 20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until the closing of the door 20 is detected, and when the closing of the door 20 is detected, the opening notification of the door 20 is stopped. [S335]

그리고, 상기 도어(20)가 닫히게 되면, 다시 정상적인 운전 상태로 복귀하여 재배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S321]In addition,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cultivation operation is performed by returning to a normal operation state again. [S321]

한편, 상기 식물 재배 장치는 재배 운전 중 상기 베드(5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may allow water to be supplied to the bed 50 during cultivation operation.

도 34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급수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3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water supply process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설정된 운전 조건에 따라서 재배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S30]As show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performs a cultiv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 set operating condition. [S30]

재배 운전 중 상기 급수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베드(50)로 급수가 이루어지며, 상기 베드(50)에 안착된 다수의 파드(90)에 동시 급수가 가능하게 된다.During the cultivation operation, water is supplied to the bed 50 by the water supply assembly, and simultaneous water supply to the plurality of pods 90 seated on the bed 50 is possible.

상기 베드(50)로 급수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물 감지 부재(526)에 의해 상기 베드(50)에 물이 없음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베드(50)로 급수되는 물은 다수회에 걸쳐서 일정량씩 공급되며, 물 공급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파드(90)로 모두 흡수되어 상기 베드(50)는 마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 공간(11) 내부의 공기 순환을 위해 동작되는 상기 송풍팬(82)과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60)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베드(50)에 남은 잔수가 증발될 수 있으며, 상기 베드(50)의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즉, 상기 베드(50)는 급수시와 급수 후 일정시간 동안만 물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의 시간 통상적으로는 마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bed 50, first, it is sensed that there is no water in the bed 50 by the water detection member 526. The water supplied to the bed 50 is supplied by a certain amount over a number of times, and after a certain time passes after the water supply, all of the water is absorbed by the pod 90 so that the bed 50 can be kept dry. In addition,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bed 50 may be evaporated by the action of the blowing fan 82 and the light assembly 60 operated for air circulation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1, and the bed ( 50) of moisture can be removed. That is, the bed 50 maintains a state in which water is received only during water supply an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water supply, and remains dry for most of the time except this.

상기 베드(50)에 물이 없는 상태가 되면, 상기 물 감지 부재(526)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 감지 부재(526)는 한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드(50)에 물이 없는 경우 서로 통전되지 않게 되어 물 없음을 판단하게 된다. When there is no water in the bed 50, the water detection member 526 may detect this. For example, the water sensing member 526 is made of a pair of electrodes, and when there is no water in the bed 50, each other is not energized, and thus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water.

상기 물 감지 부재(526)에 의해 판단되는 물 없음 상태는 상기 베드(50)에 완전히 물이 없는 상태를 말하는 것은 아닐 수도 있으며, 상기 파드(90)로 의미있는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정도의 물이 존재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S341]The water-free state determined by the water detection member 526 may not mean that there is no water completely in the bed 50, and water to a degree that does not provide meaningful water supply to the pod 90 It can contain the existing state. [S341]

이전의 급수에 의해 상기 베드(50)로의 물 공급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베드(50)가 물이 없는 상태라 하더라도, 즉각적으로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는 않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 모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설정시간이 경과 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급수를 제외한 재배 운전은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S342]After the water supply to the bed 50 is completed by the previous water supp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t time has elapsed without being immediately supplied with water, even if the bed 50 is in a state without water. The set time may vary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nd may be adjusted by the user. Until the set time has not elapsed,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continuously perform cultivation operation except for water supply. [S342]

상기 물 감지 부재(526)에 의해 물 없음이 감지되고, 설정 시간이 견과 한 후 상기 급수 어셈블리에 의해서 상기 베드(50)로의 급수가 개시될 수 있다. 상기 베드(50)로 급수될 때는 설정량의 물이 급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정량은 상기 파드(90)의 개수 또는 상기 운전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급수량은 상기 베드(50)의 집수부(523) 일부를 채출 수 있는 양만큼 급수될 수 있다.After no water is detected by the water detection member 526 and a set time has passed, water supply to the bed 50 may be started by the water supply assembly.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bed 50, a set amount of water may be supplied. In this case, the set amount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pods 90 or the driving mode. For example, the water supply amount may be watered by an amount capable of extracting a part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of the bed 50.

따라서, 상기 집수부(523)로 급수된 물은 즉각적으로 상기 파드(90)로 흡수될 수 있으며, 상기 파드(90)로의 물 흡수 완료시 상기 집수부(523)에 물이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523)에 물이 급수되면 상기 물 감지 부재(526)는 급수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파드(90)로의 물 흡수가 완료되면 상기 베드(50)에 물 없음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드(50)에 물 없음이 감지되면 다시 설정시간을 카운팅하게 된다. [S343]Therefor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can be immediately absorbed into the pod 90, and when water absorption into the pod 90 is completed, water can be prevented from remaining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523, the water sensing member 526 senses the water supply, and when water absorption into the pod 90 is completed, it senses that there is no water in the bed 50.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no water in the bed 50, the set time is counted again. [S343]

한편, 상기 워터 탱크(40)에는 상기 베드(50)로의 물 공급을 위한 물이 저장되며, 상기 베드(50)로 다수회 공급 가능한 용량의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드(50)로 설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상기 워터 탱크(40)의 물이 모두 소진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 탱크(40)는 저장된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water tank 40 stores wat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bed 50, and is configured to store water having a capacity capable of being supplied to the bed 50 multiple times. When the process of supplying a set amount of water to the bed 50 is repeated, all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40 may be exhausted, and the water tank 40 is configured to check the amount of stored water.

일 예로, 상기 워터 탱크(40)의 물은 유량 센서(495)에 의해 공급된 유량을 산출하여 상기 워터 탱크(40)에 물이 없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예로 상기 워터 탱크(40)에 별도의 감지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감지 장치에 의해 상기 워터 탱크(40)에 저장된 물이 설정 수위 이하가 될 경우 상기 워터 탱크(40)의 물 없음을 감지할 수 있다. [S344]For exampl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40 may determine that there is no water in the water tank 40 by calculating a flow rate supplied by the flow sensor 495. And, as another example, a separate sensing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tank 40, and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40 by the sensing device falls below a set water level, there is no water in the water tank 40 Can be detected. [S344]

상기 워터 탱크(40)에 물이 없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사용자에게 물 보충을 알리게 된다.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0)의 급수 표시부(705)를 통해서 상기 워터 탱크(40)의 물 보충이 필요함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기기(3)를 통해 물 보충 알림을 출력할 수도 있다.When detecting that there is no water in the water tank 40, the user is notified of water replenishment. As an example, it may be indicated that the water tank 40 needs to be replenished through the water supply display unit 705 of the display assembly 70. In addition, a water supplement notification may be output through the user device 3.

사용자는 물 보충 알림을 통해 즉각적으로 상기 워터 탱크(40)에 물이 부족한 것을 인지할 수 있으며, 상기 워터 탱크(40)에 물을 보충하여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재배 운전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한다. The user can immediately recognize that water is insufficient in the water tank 40 through a water replenishment notification, and replenish water to the water tank 40 so that the cultivation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can be continued. do.

이하에서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조작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기기(3)의 화면 상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tate of the screen of the user device 3 capable of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nd inputting an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5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스케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3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dule screen of the user device.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기기(3)에는 식물 재배 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앱)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또는 서버(2)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동작 상태와 재배를 위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As shown, an application (app) or program for controlling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3. The user may execute the application or program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nd information for cultivation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or the server 2. In additio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n be operated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or program.

상기 사용자 기기(3)에는 스케쥴 화면(3c)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스케쥴 화면(3c)에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부에서 재배되고 있는 식물들의 재배 스케쥴을 나타낼 수 있는 스케쥴 표시부(3c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케쥴 표시부(3c1)는 각각의 파드(90)들에서 자라는 식물들의 생장 단계들이 시간 순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날짜별로 해당되는 생장 단계와 해당 생장 단계에서 필요한 작업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스케쥴 표시부(3c1)를 참조하여 생장 단계와 필요 작업을 예상할 수 있다.A schedule screen 3c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3. The schedule screen 3c may include a schedule display unit 3c1 capable of displaying a cultivation schedule of plants cultivat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he schedule display unit 3c1 may display growth stages of plants growing in each of the pods 90 in chronological order. For example, a corresponding growing stage and a required job in the corresponding growing stage may be displayed for each date, and the user may predict the growing stage and the required job by referring to the schedule display unit 3c1.

그리고, 상기 스케쥴 화면(3c)에는 푸시 알림 창(3c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푸시 알림 창(3c2)은 중요 알림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3)의 화면에 관계없이 항상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 push notification window 3c2 may be included in the schedule screen 3c. The push notification window 3c2 is for displaying an important notification and may be always displayed regardless of the screen of the user device 3.

그리고, 상기 스케쥴 화면(3c)의 하단에는 메뉴 바(3c3)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뉴 바(3c3)는 사용자가 해당되는 메뉴로 바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케쥴 화면(3c)의 하단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메뉴 바(3c3)에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전체적인 설정을 위한 설정 메뉴, 사용자의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내정보 메뉴, 상기 재배 정보 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재배 조정 메뉴, 선택된 파드에서 재배되는 식물로 요리되는 레시피를 보여주는 레시피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 menu bar 3c3 may b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hedule screen 3c. The menu bar 3c3 allows a user to directly access a corresponding menu, and may be fixedly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chedule screen 3c. For example, in the menu bar 3c3, a setting menu for overall setting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an internal information menu for setting user information, a cultivation adjustment menu for switching to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and selected You can display a recipe menu showing recipes cooked with plants grown in the pod.

한편, 상기 스케쥴 화면(3c)을 측방으로 드레그하거나, 상기 메뉴 바(3c3)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을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may be displayed by dragging the schedule screen 3c to the side or by manipulating the menu bar 3c3.

도 36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재배 정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3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of the user device.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은 다수의 상기 파드 아이콘(3d11)으로 이루어진 상기 파드 표시부(3d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드 표시부(3d1)를 통해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부에 배치된 상기 파드(90)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may include the pod display unit 3d1 including a plurality of pod icons 3d11.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pod 90 disposed insid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pod display unit 3d1.

상기 파드 아이콘(3d11)은 작물의 종류에 따라 설정된 그림 또는 사진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재배되는 식물에 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드 아이콘(3d11)에는 상기 안착부(511)의 위치가 숫자로 표시될 수도 있다.The pod icon 3d11 is displayed as a picture or photo set according to the type of crop, so that information about the plant to be grown can be intuitively expressed. Further, the position of the seating portion 511 may be indicated by a number on the pod icon 3d11.

또한, 상기 파드 아이콘(3d11)은 상기 파드(90)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생장 진행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파드 아이콘(3d11)에는 막대의 길이 변화로 재배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상태 바(3d111)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파드 아이콘(3d11)을 통해서 재배되는 식물의 현재 재배 단계를 알 수 있으며, 수확 시기까지의 도달 기간을 예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d icon 3d11 may display a growing state of a plant grown in the pod 90. For example, the pod icon 3d11 may display a status bar 3d111 indicating the progress of cultivation due to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bar. The user can know the current cultivation stage of the plant to be cultivated through the pod icon 3d11, and can predict the arrival period until the harvest time.

그리고,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에는 상기 푸시 알림 창(3c2)과 상기 메뉴 바(3c3)가 더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sh notification window 3c2 and the menu bar 3c3 may be further displayed o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사용자는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의 각 파드 아이콘(3d11)의 선택을 통해서 선택된 파드(9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재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can check more detailed cultivation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pod 90 through selection of each pod icon 3d11 o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도 37은 상기 재배 정보 화면에서 개별 작물의 정보 표시를 위한 화면의 조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37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screen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individual crops o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파드 아이콘(3d11)을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체 파드(90)의 위치와 종류 그리고 재배 진행상태에 대해서만 확인할 수 있을 뿐 세부적인 정보의 확인이 어렵게 된다. As shown, in a state in which a specific pod icon 3d11 is not selected, only the location and type of the entire pod 90 and the cultivation progress can be checked, and it is difficult to check detailed information.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의 상기 파드 표시부(3d1)를 통해 확인을 원하는 상기 파드 아이콘(3d11)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파드 아이콘(3d11)의 선택시 상기 사용자 기기(3)는 개별 정보 화면(3d2)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개별 정보 화면(3d2)에서는 간략 정보부(3d21)가 가장 먼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간략 정보부(3d21)는 재배되는 작물이 사진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름과 간단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selects the pod icon 3d11 desired to be checked through the pod display unit 3d1 of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When the pod icon 3d11 is selected, the user device 3 displays an individual information screen 3d2. On the individual information screen 3d2, the brief information unit 3d21 may be first displayed. The brief information unit 3d21 may display a photograph of a crop to be cultivated, and a name and simpl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그리고, 상기 간략 정보부(3d21)가 표시된 상기 개별 정보 화면(3d2)을 드래그하면, 재배 일정 표시부(3d22)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재배 일정 표시부(3d22)에는 선택된 상기 파드(90)의 재배 일정이 날짜 순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dividual information screen 3d2 on which the simple information unit 3d21 is displayed is dragged, a cultivation schedule display unit 3d22 may be output. The cultivation schedule of the selected pod 90 may be displayed on the cultivation schedule display unit 3d22 in order of date.

그리고, 상기 개별 정보 화면(3d2)을 더 드래그하면, 작물 가이드부(3d23)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작물 가이드부(3d23)는 선택된 파드(90)의 식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이 출력될 수 있다.Further, when the individual information screen 3d2 is further dragged, the crop guide unit 3d23 may be output. The crop guide part 3d23 may outpu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lant of the selected pod 90.

그리고, 상기 개별 정보 화면(3d2)을 더 드래그하면, 레시피 표시부(3d24)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레시피 표시부(3d24)는 선택된 파드(90)의 식물을 이용한 추천 레시피가 출력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individual information screen 3d2 is further dragged, the recipe display unit 3d24 may be output. The recipe display unit 3d24 may output a recommended recipe using the plant of the selected pod 90.

한편, 상기 개별 정보 화면(3d2)의 상부에는 미니 맵(3d25)이 고정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미니 맵(3d25)은 선택된 상기 파드(90)의 위치를 전체 베드(50) 상에 작은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별 정보 화면(3d2)에서 출력되고 있는 정보가 어느 위치의 상기 파드(90)에 대한 정보인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a mini map 3d25 may be output in a fixed stat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dividual information screen 3d2. The mini-map 3d25 may display the selected location of the pod 90 in the form of a small icon on the entire bed 5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check at which location the information output on the individual information screen 3d2 is information on the pod 90.

한편,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기기(3)의 사용 중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에서 알림 내역 화면(3e)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user may switch from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to the notification details screen 3e while the user device 3 is in use.

도 38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알림 내역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3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otification detail screen of the user device.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필요시 상기 알림 내역 화면(3e)으로 전환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을 측방으로 드래그하거나, 상기 메뉴 바(3c3)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알림 내역 화면(3e)을 표시할 수 있다. As shown, the user can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to the notification details screen 3e if necessary.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detail screen 3e may be displayed by dragging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to the side or by manipulating the menu bar 3c3.

상기 알림 내역 화면(3e)에서는 상기 사용자 기기(3)를 통해서 알림 표시부(3e1)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알림 표시부(3e1)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동작 중 발생되는 모든 알림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알림 표시부(3e1)는 시간순으로 정열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알림 표시부(3e1)를 통해서 식물의 재배 과정에서 있었던 지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 notification display unit 3e1 may be output through the user device 3 on the notification details screen 3e. The notification display unit 3e1 may display all no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he notification display unit 3e1 may be arranged and displayed in chronological order.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past information that occurred in the plant cultivation process through the notification display unit 3e1 and obtain necessary information.

한편, 상기 알림 내역 화면(3e)의 하단에는 상기 푸시 알림 창(3c2)과 상기 메뉴 바(3c3)가 더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push notification window 3c2 and the menu bar 3c3 may be further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notification history screen 3e.

이하에서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 중 알림 창이 출력되는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a notification window is outpu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9는 새로운 작물의 투입시 사용자 기기의 알림 및 화면 조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39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 notification of a user device and a screen manipulation state when a new crop is introduced.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기기(3)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은 대기 화면(3b1)인 상태에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 새로운 상기 파드(90)를 투입하게 되는 경우, 상기 대기 화면(3b1)에서 작물 투입 알림 창(3b13)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드(90)의 투입은 상기 인식부(183)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As shown, when the user device 3 is a standby screen 3b1 that has not been operated separately and a new pod 90 is inserted into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he standby screen ( In 3b1), a crop input notification window 3b13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the input of the pod 90 may be determined by the recognition unit 183.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수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시 발생되는 알림을 즉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the notification generated whe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s operated even when a separate application or program is not being executed.

사용자가 상기 작물 투입 알림 창(3b13)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3)는 재배 정보 화면(3d)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에는 다수의 파드 아이콘(3d11)으로 이루어진 상기 파드 표시부(3d1)가 출력될 수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crop input notification window 3b13, the user device 3 outputs a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In addition, the pod display unit 3d1 including a plurality of pod icons 3d11 may be displayed o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이때, 재배 정보 화면(3d)에는 새 작물 확인 창(3d14)이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새 작물 확인 창(3d14)의 선택을 통해서 권장되는 위치에 새로 투입된 상기 파드(90)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새로 투입된 상기 파드(90)의 위치는 사용자가 직접 상기 파드 아이콘(3d11)을 드래그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파드 표시부(3d1)의 내측에서 변경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new crop confirmation window 3d14 may be displayed o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and the position of the newly inserted pod 90 may be set at a recommended position through selection of the new crop confirmation window 3d14. I can. Of course, the position of the newly inserted pod 90 may be changed inside the pod display 3d1 by the user directly dragging the pod icon 3d11.

도 40은 투입된 작물의 발아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알림 및 화면 조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40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 notification and a screen manipulation state of the user device when an input crop is germinated.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기기(3)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은 대기 화면(3b1)인 상태에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의 특정 파드(90)가 특정 재배 단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대기 화면(3b1)에서 재배 단계 알림 창(3b14)이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when a specific pod 90 i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reaches a specific cultivation stage while the user device 3 is on the standby screen 3b1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the standby A cultivation step notification window 3b14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3b1.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수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 중 발생되는 특정한 상기 파드(90)의 재배 단계 알림을 즉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the notification of the cultivation step of the specific pod 90 that occur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even when a separate application or program is not being executed.

사용자가 상기 재배 단계 알림 창(3b14)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3)는 재배 정보 화면(3d)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에는 다수의 파드 아이콘(3d11)으로 이루어진 상기 파드 표시부(3d1)가 출력될 수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cultivation step notification window 3b14, the user device 3 outputs a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In addition, the pod display unit 3d1 including a plurality of pod icons 3d11 may be displayed o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이때, 재배 정보 화면(3d)에는 재배 단계 확인 창(3d12)이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단계 확인 창(3d12)의 선택을 통해서 상기 개별 정보 화면(3d2)으로 진입하여 재배 일정 표시부(3d22)를 출력하게 된다.At this time, a cultivation step confirmation window 3d12 may be displayed o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and the cultivation schedule display unit 3d22 enters the individual information screen 3d2 through selection of the cultivation step confirmation window 3d12. Is displayed.

상기 재배 일정 표시부(3d22)에는 해당 재배 단계가 발생된 상기 파드(90)의 전체 재배 일정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발생된 재배 단계와 대응하는 위치에 확인 버튼(3d221)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확인 버튼(3d221)을 누르게 되면 상기 확인 버튼(3d221)은 체크 표시로 전환되어 사용자의 확인을 표시할 수 있다.The entire cultivation schedule of the pod 90 in which a corresponding cultivation step has occurred may be displayed on the cultivation schedule display unit 3d22. In addition, a confirmation button 3d221 may be display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cultivation step. When the user presses the confirmation button 3d221, the confirmation button 3d221 may be converted to a check mark to display the user's confirmation.

도 41 및 도 42는 투입된 작물의 폐기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알림 및 화면 조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1 and 42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notification and a screen manipulation state of the user device when an input crop is discarded.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기기(3)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은 대기 화면(3b1)인 상태에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의 특정 파드(90)가 수확 시기 또는 폐기 시기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대기 화면(3b1)에서 시기 알림창(3b14)이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when the specific pod 90 i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reaches the harvest time or disposal time in the state where the user device 3 is the standby screen 3b1 without any separate operation, A timing notification window 3b14 may be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3b1.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수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 중 발생되는 특정 파드(90)의 수확 시기 또는 폐기 시기의 알림을 즉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the notification of the harvest time or disposal time of the specific pod 90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even when a separate application or program is not being executed.

사용자가 상기 시기 알림 창(3b14)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3)는 재배 정보 화면(3d)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에는 다수의 파드 아이콘(3d11)으로 이루어진 상기 파드 표시부(3d1)가 출력될 수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timing notification window 3b14, the user device 3 outputs a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In addition, the pod display unit 3d1 including a plurality of pod icons 3d11 may be displayed o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이때, 재배 정보 화면(3d)에는 시기 확인창(3d13)이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시기 확인 창(3d13)을 닫고, 상기 파드 표시부(3d1) 상에 교체를 권장하는 정보가 표시된 파드 아이콘(3d11)을 선택하여 상기 개별 정보 화면(3d2)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timing confirmation window 3d13 may be displayed o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the pod icon 3d11 displaying information recommending replacement on the pod display unit 3d1 closes the timing confirmation window 3d13. ) To enter the individual information screen 3d2.

그리고, 상기 개별 정보 화면(3d2)을 드래그하여 가장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작물 폐기 버튼(3d26)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작물 폐기 버튼(3d26)을 선택하게 되면, 폐기 획인 창(3d27)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폐기 확인 창(3d27)에는 폐기 사유 또는 만족도를 입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dividual information screen 3d2 is dragged and moved to the lowermost side, a crop disposal button 3d26 may be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the crop disposal button 3d26, a discarding confirmation window 3d27 may be displayed. In the discard confirmation window 3d27, a reason or satisfaction level may be input.

상기 폐기 확인 창(3d27)을 통해서 해당되는 상기 파드(90)를 최종적으로 폐기 입력하게 되면, 상기 파드 표시부(3d1)에 해당되는 파드 아이콘(3d11)이 삭제되고 비어 있는 공간(3d10)의 형태로 출력되어 상기 파드(90)의 폐기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corresponding pod 90 is finally discarded through the discard confirmation window 3d27, the pod icon 3d11 corresponding to the pod display unit 3d1 is deleted, and an empty space 3d10 is formed. It may be output to display the discard status of the pod 90.

이때, 사용자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서 실제 해당되는 상기 파드(90)를 회수하여 폐기 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user recovers and discards the pod 90 that is actually corresponding to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본 실시 예에서 교체 시기에 도달한 상기 파드(90)를 폐기하기 위한 조작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파드(90)의 작물을 수확하기 위한 알림 및 조작도 동일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n operation for discarding the pod 90 that has reached the replacement time is described, but the notification and operation for harvesting the crop of the pod 90 may be the same.

한편, 상기 파드(90)의 수확 또는 폐기의 조작은 다른 예도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harvesting or discarding the pod 90 may be another example.

도 43은 투입된 작물의 폐기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알림 및 화면 조작 상태의 다른 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3 is a diagram sequentially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notification and a screen manipulation state of the user device when an input crop is discarded.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기기(3)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은 대기 화면(3b1)인 상태에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의 특정한 상기 파드(90)가 수확 시기 또는 폐기 시기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대기 화면(3b1)에서 시기 알림 창(3b14)이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when the specific pod 90 i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reaches the harvesting time or disposal time in the state where the user device 3 is the standby screen 3b1 without any separate operation , A timing notification window 3b14 may be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3b1.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수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 중 발생되는 상기 파드(90)의 수확 시기 또는 폐기 시기의 알림을 즉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the notification of the harvest time or disposal time of the pod 90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even when a separate application or program is not being executed.

사용자가 상기 시기 알림 창(3d13)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3)는 재배 정보 화면(3d)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에는 다수의 파드 아이콘(3d11)으로 이루어진 상기 파드 표시부(3d1)가 출력될 수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timing notification window 3d13, the user device 3 outputs a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In addition, the pod display unit 3d1 including a plurality of pod icons 3d11 may be displayed o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이때, 재배 정보 화면(3d)에는 시기 확인 창(3d13)이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시기 확인 창(3d13)의 확인을 누르게 되면, 폐기 확인 창(3d27)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폐기 확인 창(3d27)에는 폐기 사유 또는 만족도를 입력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timing confirmation window 3d13 may be displayed o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and when the confirmation of the timing confirmation window 3d13 is pressed, a discard confirmation window 3d27 may be displayed. In the discard confirmation window 3d27, a reason or satisfaction level may be input.

상기 폐기 확인 창(3d27)을 통해서 해당되는 파드(90)를 최종적으로 폐기 입력하게 되면, 상기 파드 표시부(3d1)에 해당되는 파드 아이콘(3d11)이 삭제되고 비어 있는 공간(3d10)의 형태로 출력되어 상기 파드(90)의 폐기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개별 정보 화면(3d2)의 진입 없이 상기 재배 정보 화면(3d) 내에서 상기 시기 확인 창(3d13)과 폐기 확인 창(3d27)의 조작을 통해 상대적으로 더 간결하고 빠르게 상기 파드(90)의 폐기를 입력할 수 있다.When the corresponding Pod 90 is finally discarded through the discard confirmation window 3d27, the Pod icon 3d11 corresponding to the Pod display unit 3d1 is deleted and output in the form of an empty space 3d10 The pod 90 may be discarded. That is, without entering the individual information screen 3d2, the pod 90 is relatively simpler and faster through the manipulation of the timing confirmation window 3d13 and the disposal confirmation window 3d27 withi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een 3d. You can enter the discard of.

한편,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단독으로 구성되지 않고, 냉기의 공급이 가능한 냉장고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가 냉장고에 구비되는 구조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s not configured alone, but may be installed in a refrigerator capable of supplying cold air. 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refrigerator will be described.

도 4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의 구조가 적용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5는 상기 냉장고의 재배실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6은 상기 재배실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7은 상기 재배실의 횡단면도이다.4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to which the structure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5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door of the cultivation chamber of the refrigerator is opened. And, Fig. 4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ultivation chamber. And, Figure 4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ltivation chamber.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4)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410)과,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420,44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the refrigerator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410 forming a storage space and doors 420 and 440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상기 캐비닛(410)은 상하로 구획되어 냉장실(411)과 냉동실(41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420,440)는 상기 냉장실(411)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420)와 냉동실(412)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44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장실(411)과 냉동실(412)의 배치는 상하가 아닌 좌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냉동실(412)이 냉장실(411)의 상방에 배치되는 구조 또한 가능할 것이다.The cabinet 410 may be divided up and down to form a refrigerating compartment 411 and a freezing compartment 412, and the doors 420 and 440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411 by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42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412. It may include a freezer compartment door 440 that opens and closes. Of course, the refrigerating chamber 411 and the freezing chamber 412 may be arranged left and right instead of up and down,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freezing chamber 412 is disposed above the refrigerating chamber 411 may also be possible.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420)와 냉동실 도어(440)는 좌우에 한쌍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냉장실 도어(420)와 냉동실 도어(440) 각각은 회전에 의해 상기 냉장실(411)과 냉동실(412)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 pair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42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44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addition, each of the pair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420 and freezer compartment doors 440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411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412 by rotation.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420) 중 일측의 냉장실 도어(420)는 메인 도어(421)와 서브 도어(42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420)에는 식물 재배 장치(5)가 구비될 수 있다.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420 on one side of the pair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420 may include a main door 421 and a sub door 422. In addition, a plant cultivation device 5 may b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420.

상세히, 상기 메인 도어(421)에는 재배 공간(426)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배 공간(426)은 상기 메인 도어(421)에 장착되는 재배 장치 케이스(430)의 내측에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배 공간(426)은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된 상기 재배 공간(426)의 전면은 상기 메인 도어(421)의 둘레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재배 공간(426) 내부의 대부분 공간이 상기 메인 도어(421)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In detail, a cultivation space 426 may be provided on the main door 421. The cultivation space 426 may be defined inside the cultivation device case 430 mounted on the main door 421. In addition, the cultivation space 426 may be formed to be opened forward, and the front of the opened cultivation space 426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door 421. have. Accordingly, most of the space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426 may be exposed through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main door 421.

한편, 상기 재배 장치 케이스(43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냉장실(411)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배 장치 케이스(430)의 내부에는 다수의 베드(432)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a portion of the cultivation device case 430 may protrude in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411. Accordingly,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beds 432 can be arranged may be provided inside the cultivation device case 430.

상기 재배 장치 케이스(430)는 단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재배 공간(426)과 냉장실(411)은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재배 공간(426)은 식물의 재배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배 장치 케이스(430)는 상기 메인 도어(422)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431)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4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단열재가 채워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재배 장치 케이스(430)는 단열 소재로 별도 형성되어 상기 메인 도어(42)에 조립 장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The cultivation device case 430 may have an insulating structure. That is, the cultivation space 426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411 may maintain different temperatures. The cultivation space 426 may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suitable for cultivation of plants. In addition, the cultivation device case 4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door 422 by a door liner 431 forming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door 422, and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filled therein. . Of course, the cultivation device case 430 may be separately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assembled and mounted on the main door 42.

한편, 상기 재배 장치 케이스(430)의 일측 벽면에는 상기 냉장실(411)과 연통되는 통로부(431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로부(431a)의 내측에는 상기 통로부(431a)를 개폐하는 개폐부재(439)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로부(431a)에는 상기 냉장실(411)의 냉기를 흡입하여 상기 재배 공간(426)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송풍팬(437)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로부(431a)에는 상기 재배 공간(426)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738)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passage part 431a communicating with the refrigerating chamber 411 may be formed on one wall surface of the cultivation device case 430. In addition,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43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portion 431a may be provided inside the passage portion 431a. In addition, a blowing fan 437 may be provided in the passage part 431a to suck cool air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411 and flow into the cultivation space 426. In addition, a heater 738 for heating the cultivation space 426 may be provided in the passage part 431a.

상기 재배 공간(426)의 냉각이 필요한 경우, 상기 개폐부재(439)가 개방되고, 상기 송풍팬(437)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411) 내부의 냉기가 상기 재배 공간(426)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재배 공간(426)이 설정된 온도로 냉각될 때까지 상기 개폐부재(439)는 개방되고 상기 송풍팬(437)은 지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When cooling of the cultivation space 426 is required, the opening/closing member 439 is opened and the blowing fan 437 is driven. Accordingly, cold air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411 may flow into the cultivation space 426. Until the cultivation space 426 is cooled to a set temperature, the opening/closing member 439 is opened and the blowing fan 437 may be continuously driven.

그리고, 상기 재배 공간(426)의 가열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개폐부재(439)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히터(738)가 발열되고 상기 송풍팬(437)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738)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재배 공간(426)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재배 공간(426)이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때까지 상기 히터(738)와 상기 송풍팬(437)이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heating of the cultivation space 426 is required, the heater 738 is heated while the opening/closing member 439 is closed, and the blowing fan 437 is driven. Thus, air heated by the heater 738 may be supplied to the cultivation space 426. The heater 738 and the blowing fan 437 may be driven until the cultivation space 426 is heated to a set temperature.

한편, 상기 개폐부재(439)는 상기 냉장실(411)의 냉기가 유입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411)과 상기 재배 공간(426)이 서로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39 may be kept in a closed state except when cold air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411 is introduced,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411 and the cultivation space 426 may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

그리고, 상기 송풍팬(437)은 상기 재배 공간(426)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생장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온오프 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팬(437)은 상기 재배 공간의 냉각 또는 가열과 관계없이 생장되는 식물이 흔들릴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튼튼하게 식물이 자라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wing fan 437 may be periodically turned on and off so as to smoothly grow plants grown in the cultivation space 426. That is, the blower fan 437 can make the plant to grow more robustly by allowing the plant to grow irrespective of the cooling or heating of the cultivation space.

한편, 상기 재배 공간(426) 내부에는 다수개의 상기 베드(432)가 상하로 연속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팬(437)과 개폐부재(439) 그리고 히터가 구비된 통로부(431a)는 각각의 상기 베드(432)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송풍팬(437)은 상기 베드(432)의 상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the beds 432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vertically in the cultivation space 426, and the blowing fan 437, the opening/closing member 439, and the passage part 431a provided with a heater are respectively It may be arranged as many a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ed 432 of. For example, the blowing fan 437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432.

따라서, 상하 배치되는 다수의 베드(432)에 상기 파드(90)가 각각 배치된 경우 각각의 파드(90)에 독립적인 기류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류 공급에 의한 식물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 공간(426) 내부의 공기 순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여 상기 재배 공간(426) 내부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pods 90 are disposed on a plurality of beds 432 arranged up and down, independent airflow can be provided to each pod 90, and the growth of plants can be promoted by supplying airflow. . In addition, it may be possible to maintain a uniform temperature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426 by making the air circulation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426 more smooth.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재배 장치 케이스(430)의 일측에는 외부 공간과 연통되는 배기구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배기구에 별도의 댐퍼가 구비되어 상기 재배 공간(426)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배기구의 개방에 의해 상기 재배 공간(426) 내부로의 냉기 유입을 보다 활발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공간(426) 내부의 공기의 순환을 용이하게 하거나, 외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an exhaust port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space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cultivation device case 430, and a separate damper is provided at the exhaust port to selectively select the air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426. It could be discharged. The opening of the exhaust port may facilitate the inflow of cold air into the cultivation space 426, facilitate circulation of air in the cultivation space 426, or allow the inflow of outside air. .

상기 재배 장치 케이스(430)에는 다수의 베드(43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베드(432)는 상기 파드(90)가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파드(90)로 공급되는 물이 집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eds 432 may be mounted on the cultivation device case 430. The bed 43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ater supplied to the pod 90 can be collected while the pod 90 is seated.

상세히, 상기 베드(432)는 상기 재배 공간(426)을 가로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재배되는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In detail, the bed 432 is disposed to divide the cultivation space 426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rovide a space in which plants to be grown can grow.

상기 베드(432)는 어퍼 베드(432b)와 로어 베드(432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드(432)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로 상기 어퍼 베드(432b)가 상기 로어 베드(432a)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어퍼 베드(432b)와 로어 베드(432a)의 사이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이격될 수 있다. The bed 432 may be composed of an upper bed 432b and a lower bed 432a. The structure of the bed 432 is similar to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upper bed 432b is configured to be seated on the lower bed 432a, and between the upper bed 432b and the lower bed 432a The space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may be separated.

상기 어퍼 베드(432b)는 상기 파드(9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베드(432b)에는 상기 파드(90)가 안착되기 위한 다수의 안착부(43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파드(90)가 상기 어퍼 베드(432b)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베드(432b)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되어 상기 파드(90)의 안착시 상기 파드(90)의 하면 일부가 상기 로어 베드(432a)를 향하여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upper bed 432b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pod 90.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ating portions 433 for seating the pod 90 may be formed on the upper bed 432b. Therefore, a plurality of pods 90 can be seated on the upper bed 432b.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bed 432b may be opened so that when the pod 90 is seated,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od 90 may be exposed toward the lower bed 432a.

상기 로어 베드(432a)는 상기 재배 장치 케이스(430)에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파드(90)로 공급하기 위한 물이 급수되는 공간인 집수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lower bed 432a is configured to be fixedly mounted on the cultivation device case 430, and may form a water collecting part which is a space for supply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pod 90.

상기 파드(90)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파드(90)의 일부는 상기 어퍼 베드(432b)를 통과하여 상기 로어 베드(432a)의 바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베드(432a)로 공급된 물이 상기 파드(90)에 흡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od 9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detail, a part of the pod 90 may pass through the upper bed 432b and extend toward the bottom of the lower bed 432a, and water supplied to the lower bed 432a may be supplied to the pod 90 It can be configured to be absorbed in.

한편, 상기 베드(432)의 상방에는 라이트 어셈블리(4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36)는 상기 베드(432)의 상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36)는 상기 파드(90)에서 생장되는 식물의 광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한 광량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 light assembly 436 may be provided above the bed 432. The light assembly 436 may be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432. The light assembly 436 may provide an appropriate amount of light so that photosynthesis of plants grown in the pod 90 can be performed.

그리고, 상기 베드(432)의 일측은 급수 어셈블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어셈블리는 상기 다수의 베드(432)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43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급수관(435)은 일단이 수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캐비닛(410)을 지나 상기 메인 힌지(425)를 통과하여 상기 메인 도어(421)의 내부 즉, 상기 재배 장치 케이스(430)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워터탱크가 없이 상기 베드(432)로의 급수가 필요한 때에 필요한 양만큼의 물이 상기 급수 어셈블리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435)은 상기 로어 베드(432a)의 내측과 연통되어 상기 로어 베드(432a)의 집수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어셈블리는 미도시된 펌프와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bed 432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assembly. The water supply assembly may include a water supply pipe 435 supplying water to the plurality of beds 432, and the water supply pipe 435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and the other end passing the cabinet 410 and the main The inside of the main door 421, that is,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device case 430 may be guided through the hinge 425. Accordingly, when water to the bed 432 is required without a separate water tank, a required amount of water can be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assembly. The water supply pipe 435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ide of the lower bed 432a to supply water to the collection space of the lower bed 432a.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assembly may include a pump and a valve, not shown.

다른 예로, 상기 급수 어셈블리는 워터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재배 장치 케이스(4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급수관(435)은 상기 메인 도어(421)의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고 상기 워터탱크와 상기 베드(432)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water supply assembly may include a water tank. The water tank may be provided inside the cultivation device case 430, so that the water supply pipe 435 does not extend outside the main door 421 and connects the water tank and the bed 432 It can also be configured.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36)는 각각의 상기 베드(432)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가장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36)는 상기 재배 장치 케이스(430)의 내측 상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36)는 상기 베드(432)의 하면에 고정 장착되어 하방에 위치된 이웃 하는 상기 베드(432)의 상면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The light assembly 436 may be disposed above each of the beds 432, and in particular, the light assembly 436 disposed at the top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ultivation device case 430. I can. In addition, the rest of the light assembly 436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ed 432 so that light is irradia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neighboring bed 432 positioned below.

상기 메인 도어(421)는 상기 캐비닛(410)에 메인 힌지(42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5)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421)는 상기 냉장실(411)을 개폐할 수 있다.The main door 42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410 by a main hinge 425. Accordingly, the main door 421 may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hamber 411 in a state in which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5 is mounted.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422)는 상기 메인 도어(421)에 서브 힌지(42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422)는 실질적으로 상기 식물 재배 장치(5)를 개폐하는 도어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422)는 재배 장치 도어라 부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b door 42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door 421 by a sub hinge 424. The sub-door 422 may substantially serve as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5, and thus, the sub-door 422 may be referred to as a cultivation apparatus door.

상기 서브 도어(422)에는 상기 재배 공간(426)을 투시할 수 있는 투시부(423)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423)는 유리와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되어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름의 부착 또는 코팅에 의해 선택적인 가시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시부(423)는 복수의 글래스(423a,423b)가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재배 공간(426)이 단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see-through part 423 capable of seeing through the cultivation space 426 may be provided on the sub-door 422. The see-through part 423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and may be formed to allow see-through inside. And, it may be configured to enable selective visualization by attaching or coating a film. In addition, the see-through part 423 may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glasses 423a and 423b are stacked, and the cultivation space 426 may be insulated.

한편, 상기 식물 재배 장치(5)에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은 인식부(183), 통신부(185) 및 제어부(18)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제어될 수 있다.Meanwhil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5 may further include a recognition unit 183, a communication unit 185, and a control unit 18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us can be controlle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Claims (30)

전원이 인가된 식물 재배 장치가 사용자 기기와 네트워크 연결시켜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S10]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인식부에 재배를 위한 식물의 씨앗과 양분이 포함된 파드를 인식시키는 단계;[S20]
인식된 상기 파드를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베드에 안착시키고, 상기 베드에 안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파드의 정보에 따라 산출된 운전 조건으로 상기 식물 재배 장치를 운전하는 단계;[S30]
상기 식물 재배 장치가 상기 운전 조건에 따라 설정 시간 이상 운전되면, 수확 또는 폐기를 유도하기 위해 수확 또는 폐기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Setting the power-applied plant cultivation device to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is possible by network connection with the user device; [S10]
Recognizing a pod containing seeds and nutrients of plants for cultivation in the recognition unit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S20]
Seating the recognized pod on a be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operating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nder operating conditions calculated according to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od seated on the bed; [S30]
Whe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operated for more than a set time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 outputting a harvest or disposal notification to induce harvesting or disposal; [S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10 단계에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 및 사용자 기기와 연결되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버 또한 동일한 상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S10,
The control metho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onstituting the same network as the server connected to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the user equipment to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10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을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S10,
A method of controll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 setting a time for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user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드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 어셈블리는 일출 및 일몰 시간에 따라 온오프 되도록 설정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 method of controll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wherein the light assembly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pod is set to be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sunrise and sunset tim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드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 어셈블리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시간에 온오프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 method of controll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a light assembly that irradiates light toward the pod is turned on and off at a time input by a us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운전 중인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의 강제 온 오프 조작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method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forcibly turning on and off the light assembly while the user device is driv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는,
설정된 시간에 온오프 되는 정상 모드와;
상기 정상 모드 보다 더 짧은 시간 동안 온된 후 오프되는 지연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정상 모드와 지연 모드는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선택 가능한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light assembly,
A normal mode turned on and off at a set time;
Including a delay mode turned on for a shorter time than the normal mode and then turned off,
The control metho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electable by the user device in the normal mode and the delay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20 단계에서,
상기 인식부에서 동종의 상기 파드가 인식되면 운전 조건이 유지되고,
상기 인식부에서 이종의 상기 파드가 인식되면 운전 조건이 재산출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S20,
When the same type of Pod is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the driving condition is maintained,
When th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different types of pods, a control method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a driving condition is recalculated.
제 8 항에 있어서,
재산출되는 상기 운전 조건은, 다수의 파드들의 운전 정보의 평균값으로 결정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metho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the recalculated driving condition is determined as an average value of driving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pod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정보는 조도, 온도, 급수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driving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illumination, temperature, and water supply amou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30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상기 파드의 배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S30,
Control method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sett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pod through the user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에서 상기 파드가 인식되면, 상기 파드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로 전달되며,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알림 표시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pod is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information of the pod is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A method of controlling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is notified and displayed through the user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입력된 상기 파드의 위치 정보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로 전달되어 상기 운전 조건에 반영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metho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d input from the user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reflected in the driving condi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드의 위치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베드에 구획된 다수의 안착부와 동일한 배치로 표시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metho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pod is displayed in the same arrangement as a plurality of seating portions partitioned in the be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드에는 식별부가 제공되고, 상기 인식부와의 근접에 의해 상기 파드의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d i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unit,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od by proximity to the recognition unit.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엔에프시 테그, 바코드, 큐알코드 중 어느 하나인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The identification unit control method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any one of an NFC tag, a barcode, and a QR c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30단계에서,
상기 운전 조건은,
상기 파드의 인식시 전달되는 정보에 따라 운전되는 정상 운전;
상기 정상 운전시 보다 수확 가능 시기를 더 늦추는 지연 운전; 및
상기 정상 운전시 보다 수확 가능 시기를 더 빠르게 하는 급속 운전;
중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로 선택 입력될 수 있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S30,
The above driving conditions are:
A normal operation operated according to information transmitted when the Pod is recognized;
A delayed operation that further delays the harvestable time than during the normal operation; And
Rapid driving for faster harvesting time than during the normal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at can be input to any one by the user of th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확 가능 시기는,
냉동 사이클에 의한 온도 조절, 라이트 어셈블리에 의한 조도 조절, 급수 어셈블리에 의한 급수량 조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되도록 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The above harvestable time is,
A method of controll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temperature control by a refrigeration cycle, illumination control by a light assembly, and water supply amount control by a water supply assembly is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40 단계에서,
상기 운전 조건에 의한 운전 중 수확 가능 시기에 도달하면, 상기 사용자 기기기를 통해 수확 가능 시기를 알리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S40,
When the harvesting possible time is reached dur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s, the control metho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notifying the harvesting possible time through the user equipment.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학 가능 시기로부터 설정 시간이 더 경과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폐기 시기를 알리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When a set time has elapsed from the math possible time, the control metho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notifies the disposal time through the user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 중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파드가 수용된 재배 공간이 보다 어두워지도록 라이트 어셈블리의 동작이 제어되는 도어 열림 운전을 수행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door is open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 method of controll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a door opening operation in which an operation of a light assembly is controlled so that the cultivation space in which the pod is accommodated becomes darker.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운전은 상기 재배 공간 내부의 공기 유동을 위한 송풍팬을 정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The door opening operation further comprises stopping a blower fan for air flow in the cultivation space.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운전은 상기 베드로의 급수를 정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The control metho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stopping the water supply to the bed in the door opening operation.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로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도어 열림 상태임을 알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A control method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performing an operation notifying that the door is open when a set time elapses with the door op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30 단계에서,
물 감지부재에 의해 상기 베드에 물이 없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베드로 설정량의 물을 급수 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S30,
When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no water in the bed by the water detection member, the control method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at waters a set amount of water to the bed.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로 급수 완료된 후 다시 상기 베드에 물이 없는 것이 감지되면,
설정시간 경과 후 다시 급수를 개시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5,
After the water supply to the bed is complete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no water in the bed again,
A control method of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starts watering again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냉동사이클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는 재배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재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재배 공간에 구비되며, 재배를 위한 식물의 씨앗과 양분이 포함된 파드가 안착되는 베드;
상기 파드로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베드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워터탱크;
상기 워터탱크의 물을 상기 베드로 공급하는 급수 어셈블리;
상기 재배 공간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블로워 어셈블리;
상기 파드의 근접시 상기 파드의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기기와 무선 통신되며, 인식된 상기 파드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인식된 상기 파드의 정보에 따라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와, 급수 어셈블리, 블로워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A cabinet in which a temperature-controlled cultivation space is formed by a refrigeration cycle;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cultivation space;
A bed provided in the cultivation space and on which pods containing seeds and nutrients of plants for cultivation are seated;
A light assembly that irradiates light to the pod;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bed;
A water supply assembly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bed;
A blower assembly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n the pod when the pod approaches;
A communication unit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 user device carried by a user and transmits and receives the recognized information of the pod; An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 assembly, water supply assembly, and blower assembly according to the recognized information of the pod.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재배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시 노출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7,
The recognition unit is disposed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and is exposed when the door is opened.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캐비닛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7,
The recognition unit plant cultivation apparatu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binet.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에서 상기 파드를 인식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로 인식 정보가 전달되며,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상기 파드의 위치가 선택 입력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7,
When th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pod, recogn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pod is selected and input through the user device.
KR1020190089008A 2019-07-23 2019-07-23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117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008A KR20210011743A (en) 2019-07-23 2019-07-23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008A KR20210011743A (en) 2019-07-23 2019-07-23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743A true KR20210011743A (en) 2021-02-02

Family

ID=7455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008A KR20210011743A (en) 2019-07-23 2019-07-23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174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67390B (en) Plant cultivation device
CN111567392B (en) Plant cultivation device
CN115250899B (en) Plant cultivation device
CN111567389B (en) Plant cultivation device
CN111567391B (en) Plant cultivation device
EP4165985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20230033427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20220394936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11725A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292677A1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CN111567381B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210121743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10011743A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11736A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11865A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88358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10121744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10088372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10121742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20090163A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210125780A (en) Plants ciltivation apparatus
KR20220123654A (en) water supply inside the cabinet
KR20210121739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