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080A - 센싱 영역을 확장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센싱 영역을 확장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080A
KR20210010080A KR1020190087496A KR20190087496A KR20210010080A KR 20210010080 A KR20210010080 A KR 20210010080A KR 1020190087496 A KR1020190087496 A KR 1020190087496A KR 20190087496 A KR20190087496 A KR 20190087496A KR 20210010080 A KR20210010080 A KR 20210010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nductive portion
electronic device
cover member
biome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기
정인조
오영진
김정수
윤용상
최치정
한선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7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0080A/ko
Priority to PCT/KR2020/008919 priority patent/WO2021015454A1/en
Priority to US16/947,110 priority patent/US11612348B2/en
Publication of KR20210010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0Input circuits therefor
    • A61B5/307Input circuit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308Input circuit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0Input circui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61B2562/16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the sensor is mounted on a specially adapted printed circuit bo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4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84Recording apparatus or display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 1 커버 부재, 상기 제 1 커버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커버 부재 및 상기 제 1 커버 부재와 상기 제 2 커버 부재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측면 부재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지지 부재,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생체 인식 회로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측면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제 1 도전성 부분, 상기 제 2 커버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도전성 부분 및 제 3 도전성 부분, 및/또는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생체 인식 회로와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인식 회로는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 상기 제 3 도전성 부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경로를 기반으로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싱 영역을 확장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EXTENDING SENSING REG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센싱 영역을 확장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개발되는 전자 장치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인체에 착용됨으로서 휴대하기 용이한 웨어러블(wearable) 장치(예: portable watch, portable band 또는 portable glasses)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생체 센서가 실장된 전자 장치는 생체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예: 심박수, 심전도, 뇌파도, 산소 포화도, 혈압 또는 혈당)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점차 슬림화 되어 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싱 영역은 점차 축소될 수 있다. 센싱 영역의 축소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싱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이 센싱 영역으로 활용되는, 센싱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도전성 경로를 통해 전자 장치의 생체 인식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커버 부재, 상기 제1커버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커버 부재 및 상기 제1커버 부재와 상기 제2커버 부재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측면 부재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지지 부재,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생체 인식 회로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측면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제1도전성 부분, 상기 제2커버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도전성 부분 및 제3 도전성 부분, 및/또는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생체 인식 회로와 상기 제1도전성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인식 회로는 상기 제1 도전성 부분, 상기 제2 도전성 부분, 상기 제3 도전성 부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경로를 기반으로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부재를 이용한 센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부재의 크기만큼 생체 센서에 대한 센싱 영역의 확장이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센싱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센싱 영역의 크기가 확장될 수 있고, 확장된 센싱 영역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센싱 영역과 확장된 센싱 영역은 구분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센싱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전자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전자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일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전자 장치에서 제 1 도전성 부분 및 제 2 도전성 부분과 생체 인식 회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라인 A-A’에서 바라본 전자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부분과 인쇄 회로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부분과 인쇄 회로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 경로에 해당하는 LDS(laser direct structuring)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버튼을 기반으로 제 1 도전성 부분 및 제 2 도전성 부분을 구현하는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버튼을 기반으로 제 1 도전성 부분 및 제 2 도전성 부분을 구현하는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이미지 센서를,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신호 또는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 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의 전자 장치(2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제 1 면(또는 전면)(210A), 제 2 면(또는 후면)(210B), 및 제 1 면(210A) 및 제 2 면(2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210C)을 포함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 장치(200)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손목, 발목 등)에 탈착 가능하게 결착하도록 구성된 결착 부재(250, 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하우징은, 도 2의 제 1 면(210A), 제 2 면(210B) 및 측면(2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면(2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201)(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2 면(2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207)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207)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210C)은, 전면 플레이트(201) 및 후면 플레이트(207)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 (또는 “측면 부재”)(206)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후면 플레이트(207) 및 측면 베젤 구조(206)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착 부재(250, 260)는 다양한 재질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직조물, 가죽, 러버, 우레탄, 금속, 세라믹,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일체형 및 복수의 단위 링크가 서로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20, 도 4 참조), 오디오 모듈(205, 208), 센서 모듈(211), 키 입력 장치(202, 203, 204) 및 커넥터 홀(2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202, 203, 204), 커넥터 홀(209), 또는 센서 모듈(211))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201)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의 형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20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05, 208)은, 마이크 홀(205) 및 스피커 홀(208)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홀(205)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서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홀(208)은, 외부 스피커 및 통화용 리시버로 사용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홀(208)과 마이크 홀(205)이 하나의 홀로 구현 되거나, 스피커 홀(208)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센서 모듈(211)은, 전자 장치(2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211)은,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210)의 제 2 면(210B)에 배치된 생체 센서 모듈(211)(예: HRM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202, 203, 204)는, 하우징(210)의 제 1 면(210A)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휠 키(202), 및/또는 하우징(210)의 측면(210C)에 배치된 사이드 키 버튼(203, 204)을 포함할 수 있다. 휠 키는 전면 플레이트(20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202, 203, 204)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 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202, 203, 204)는 디스플레이(220) 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커넥터 홀(209)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고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다른 커넥터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예를 들면, 커넥터 홀(209)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커넥터 홀에 대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커넥터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착 부재(250, 260)는 락킹 부재(251, 261)를 이용하여 하우징(2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착될 수 있다. 결착 부재(250, 260)는 고정 부재(252), 고정 부재 체결 홀(253), 밴드 가이드 부재(254), 밴드 고정 고리(255)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252)는 하우징(210)과 결착 부재(250, 260)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손목, 발목 등)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 체결 홀(253)은 고정 부재(252)에 대응하여 하우징(210)과 결착 부재(250, 260)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밴드 가이드 부재(254)는 고정 부재(252)가 고정 부재 체결 홀(253)과 체결 시 고정 부재(252)의 움직임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결착 부재(250, 260)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밀착하여 결착되도록 할 수 있다. 밴드 고정 고리(255)는 고정 부재(252)와 고정 부재 체결 홀(253)이 체결된 상태에서, 결착 부재(250, 260)의 움직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측면 베젤 구조(410), 휠 키(202), 전면 플레이트(201), 디스플레이(220), 제 1 안테나(450), 제 2 안테나(455), 지지 부재(460)(예: 브라켓), 배터리(470), 인쇄 회로 기판(480), 실링 부재(490), 후면 플레이트(207), 및 결착 부재(250, 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2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460)는, 전자 장치(400) 내부에 배치되어 측면 베젤 구조(410)와 연결될 수 있거나, 상기 측면 베젤 구조(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460)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460)는, 일면에 디스플레이(220)가 결합되고 타면에 인쇄 회로 기판(480)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경로가 지지 부재(46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도전성 경로는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지지 부재(460)에 형성된 도전성 경로를 통해,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를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달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480)에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GPU(graphic processing unit), 센서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예: 도 1의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예: 도 1의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470)는, 전자 장치(4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47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48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470)는 전자 장치(400)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장치(400)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 1 안테나(450)는 디스플레이(220)와 지지부재(4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안테나(450)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안테나(450)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고, 근거리 통신 신호 또는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자기-기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측면 베젤 구조(410) 및/또는 상기 지지부재(460)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안테나(455)는 인쇄 회로 기판(480)과 후면 플레이트(20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안테나(455)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안테나(455)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고, 근거리 통신 신호 또는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자기-기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측면 베젤 구조(410) 및/또는 상기 후면 플레이트(207)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490)는 측면 베젤 구조(410)와 후면 플레이트(207)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실링 부재(490)는, 외부로부터 측면 베젤 구조(410)와 후면 플레이트(207)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유입되는 습기와 이물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내부 공간에서 인쇄 회로 기판(480)에 실장되고,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생체 인식 회로(예: 도 1의 센서 모듈(176))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외면에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부분(예: 도전성 부재)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부분은 센싱 영역으로서, 전자 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구조(예: 전면 플레이트(201), 후면 플레이트(207) 또는 측면 베젤 구조(4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의 외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부분은 전기적 경로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실장된 생체 인식 회로(17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경로는, 예컨대, 도전성 부분과 인쇄 회로 기판(480)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예: 지지 부재(460), 전면 플레이트(201) 또는 측면 베젤 구조(41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0)의 사시도이다.
도 5의 전자 장치(5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20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5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하우징(501)(예: 본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501)은 전면 플레이트(503)(예: 도 2의 전면 플레이트(201)), 전면 플레이트(503)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 플레이트(505)(예: 도 2의 후면 플레이트(207)), 및/또는 전면 플레이트(503)와 후면 플레이트(505)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베젤 구조(513)(예: 도 2의 측면 부재(206), 도 4의 측면 베젤 구조(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501)은 도전성 부재(예: 금속) 또는 비도전성 부재(예: PC, 러버, 또는 우레탄)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하우징(501)은 도전성 부재가 비 도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인서트 사출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하우징(501)의 전면 플레이트(503)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5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511)(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4의 디스플레이(220))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511)는 압력에 반응하는 압력 반응형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501)은 한 쌍의 결착 부재(531, 533)(예: 연결부 또는 스트랩)(예: 도 2의 결착 부재(250, 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하우징(501)을 사용자의 손목에 올려진 상태에서 결착 부재(531, 533)로 손목을 감아 착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50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로, 후면 플레이트(505) 및 결착 부재(531, 53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손목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접촉된 손목으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의 전면 플레이트(503)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11) 및 베젤 영역(515)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 영역(515)은 전면 플레이트(503) 또는 측면 베젤 구조(513) 중 적어도 하나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플레이트(503)는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플레이트(503)는 디스플레이(511) 및 베젤 영역(515)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커버 부재일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503)는, 예를 들어, 외부의 충격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 글래스(window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글래스는 디스플레이(511) 및 베젤 영역(515)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글래스는 전면 플레이트(503)에 포함된 디스플레이(511)의 크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511)와 베젤 영역(515)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된 보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의 후면 플레이트(505)는 사용자의 손목에 접촉될 수 있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부재(예: 생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 플레이트(505)는 상기 도전성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커버 부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센싱 영역(5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 영역(200)은 측면 베젤 구조(513)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제1도전성 부분(521)(예: 제1전극), 또는 전면 플레이트(503)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제2도전성 부분(523)(예: 제2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도전성 부분(521) 및/또는 제2도전성 부분(523)은 도전성 물질이 측면 베젤 구조(513) 및/또는 전면 플레이트(503)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도포되거나, 증착되는 방식으로 형성됨으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극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전성 부분(521)과 제2도전성 부분(523)은 서로 절연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전성 부분(521)은 측면 베젤 구조(5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전성 부분(523)은 전면 플레이트(50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베젤 구조(513)와 전면 플레이트(503)가 결합되면, 제1도전성 부분(521) 및 제2도전성 부분(523)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전성 부분(521)과 제2도전성 부분(523)은 하나의 전극으로 활용되거나, 각각 서로 다른 전극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도전성 부분(521)과 제2도전성 부분(523)은 모두 측면 베젤 구조(513)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도전성 부분(521)과 제2도전성 부분(523)은 모두 전면 플레이트(503)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도전성 부분(521) 및/또는 제2도전성 부분(523)은 후면 플레이트(505)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센싱 영역(520)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의 프로세서(120)는 제 1 도전성 부분(521)을 기반으로 제 1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 2 도전성 부분(523)을 기반으로 제 2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 1 생체 정보 및 제 2 생체 정보를 통합하여 하나의 생체 정보로 활용하거나, 제 1 생체 정보 및 제 2 생체 정보, 각각을 다른 종류의 생체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전자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일부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500)의 후면 플레이트(505)(예: 도 2의 후면 플레이트(207))는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센서 모듈(211)(예: 도 1의 센서 모듈(17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211)은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211)은 생체 센서(예: ECG (electrocardiogram) 센서 또는 HRM(heart rate monito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500)의 프로세서(12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생체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후면 플레이트(505)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제 3 도전성 부분(610) 및 제 4 도전성 부분(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제 3 도전성 부분(610) 및 제 4 도전성 부분(620)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 심전도(electrocardiogram)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적어도 3개의 도전성 부분(예: 도 5의 제 1 도전성 부분(521), 제 2 도전성 부분(523) , 도 6의 제 3 도전성 부분(610), 또는 제 4 도전성 부분(620))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전면 플레이트(503)에 배치된 제 1 도전성 부분(521) 및 제 2 도전성 부분(523)과 후면 플레이트(505)에 배치된 제 3 도전성 부분(610) 및 제 4 도전성 부분(620) 중 적어도 3개의 도전성 부분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도전성 부분 중 2개의 도전성 부분은 서로 다른 극성(예: +, -)을 갖는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도전성 부분은 그라운드(GND)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부분은 통합되어 하나의 전극으로 사용되거나, 각각의 다른 전극으로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도전성 부분(610) 및/또는 제 4 도전성 부분(620)은 InP(indium phosphide), RLD(right leg drive) 또는 InN(indium nitride) 와 같은 도전성 전극 부재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전자 장치(500)에서 제 1 도전성 부분(521) 및 제 2 도전성 부분(523)과 생체 인식 회로(710)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전자 장치(500)의 전면(도 2의 제 1 면(전면)(210A))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500)는 전면에 전면 플레이트(503)가 나타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플레이트(503)는 측면 베젤 구조(513)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스플레이(511)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511)와 측면 베젤 구조(513) 사이에 베젤 영역(515)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플레이트(503)는 디스플레이(511)와 베젤 영역(51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베젤 구조(513)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 1 도전성 부분(521)으로 구현될 수 있고, 베젤 영역(515)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 2 도전성 부분(523)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글래스가 디스플레이(511) 및 베젤 영역(515)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윈도우 글래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 2 도전성 부분(523)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글래스는 투명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523)은 투명 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전성 부분(521) 및 제 2 도전성 부분(523)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으로 활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제 1 도전성 부분(521) 및 제 2 도전성 부분(523)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영역(520)에 포함될 수 있다. 제 1 도전성 부분(521)과 제 2 도전성 부분(523)은 인접하도록 구현되어, 하나의 전극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521)과 제 2 도전성 부분(523)이 통합되어 사용되면, 센싱 영역(520)이 확장될 수 있고,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521) 및/또는 제 2 도전성 부분(523)은 InP(indium phosphide), RLD(right leg drive) 또는 InN(indium nitride) 와 같은 도전성 전극 부재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내부 공간에 인쇄 회로 기판(701)(예: 도 4의 인쇄 회로 기판(480))이 배치될 수 있고, 인쇄 회로 기판(701)은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생체 인식 회로(7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도전성 부분(521) 및 제 2 도전성 부분(523)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활용되기 위해, 생체 인식 회로(7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521)은 제 1 경로(721)를 기반으로 생체 인식 회로(710)에 연결될 수 있고, 제 2 도전성 부분(523)은 제 2 경로(723)를 기반으로 생체 인식 회로(7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경로(721) 및/또는 제 2 경로(723)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경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경로는 도전성 필름(conductive film), 도전성 접착제(conductive paste), 도전성 시트(conductive sheet) 또는 LDS(laser direct structuring) 패턴(pattern)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기반으로 형성된 전기적 신호의 이동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경로(721) 및 제 2 경로(723)는 절연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라인 A-A’에서 바라본 전자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8a는 라인 A-A’에서 수직으로 바라본 전자 장치(500)의 일부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8b는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전자 장치(500)의 일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500)는 전면 플레이트(503), 전면 플레이트(503)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 플레이트(505), 및/또는 전면 플레이트(503)와 후면 플레이트(505)의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측면 베젤 구조(5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플레이트(503)는 전자 장치(500)의 전면(210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고, 후면 플레이트(505)는 전자 장치(500)의 후면(210b)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전면 플레이트(503)의 상당 부분을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예: 도 5의 디스플레이(511)) 및 베젤 영역(예: 도 5의 베젤 영역(51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503)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500)의 표시 장치(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로, 이미지 및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 영역(예: active 영역)일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503)에 포함된 베젤 영역은 디스플레이의 외각에 배치된 BM(black matrix) 영역(예: active 영역의 외각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b는 도 8a와 동일한 구조이며,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측면 베젤 구조(513)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기반으로 제 1 도전성 부분(521)(예: 제 1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전면 플레이트(503)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는 윈도우 글래스(8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윈도우 글래스(80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기반으로 제 2 도전성 부분(52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도전성 부분(523)은 전면 플레이트(503)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및 베젤 영역을 기반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521) 및 제 2 도전성 부분(523)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제 1 도전성 부분(521) 및 제 2 도전성 부분(523)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포함된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521)은 제 1 도전성 경로(811)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480)(예: 도 4의 인쇄 회로 기판(480))에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 2 도전성 부분(523)은 제 2 도전성 경로(813)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경로(811)와 제 2 도전성 경로(813)는 서로 절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경로(811)와 제 2 도전성 경로(813) 사이에 절연 부재(예: 절연성 테이프, 절연성 물질 또는 절연성 구조물)가 배치되어, 제 1 도전성 경로(811)와 제 2 도전성 경로(813)가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경로(811)와 제 2 도전성 경로(813)는 주변의 구조물에 의해 인접하지 않도록 각각 다른 경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경로(811)와 제 2 도전성 경로(813)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패드(815)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패드(815)는 도전성 연결 부재(820)(예: 도전성 핀 또는 클립)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경로(811)와 제 2 도전성 경로(813)는 직접적으로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경로(811)는 LDS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측면 베젤 구조(513)의 표면에 대응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도전성 경로(813)는 도전성 필름, 도전성 접착제, 또는 도전성 시트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전면 플레이트(503) 또는 측면 베젤 구조(513)의 형태에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부분과 인쇄 회로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f는 도 8a에 도시된 제 1 도전성 부분(521), 제 2 도전성 부분(523), 측면 베젤 구조(513), 전면 플레이트(503), 제 1 도전성 경로(811), 제 2 도전성 경로(813), 및/또는 인쇄 회로 기판(480)을 간략하게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측면 베젤 구조(513)의 일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도전성 부분(901)(예: 도 8a의 제 1 도전성 부분(521))이 형성될 수 있고, 전면 플레이트(503)의 일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도전성 부분(903)(예: 도 8a의 제 2 도전성 부분(52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전성 부분(901) 및 제 2 도전성 부분(523)은 도전성 물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901)은 측면 베젤 구조(51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도전성 부재(902)(예: LDS 패턴)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도전성 부분(903)은 전면 플레이트(50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도전성 부재(904)(예: 도전성 필름, 또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도전성 시트(9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시트(921)는 측면 베젤 구조(5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도전성 부재(예: 도전성 패드(9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도전성 부재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회로 기판(48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생체 인식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플레이트(503)와 측면 베젤 구조(513)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예: 수분)을 막기 위해, 방수 부재(923)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901)은 제 1 도전성 경로(951)를 기반으로 인쇄 회로 기판(480)의 생체 인식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도전성 부분(903)은 제 2 도전성 경로(953)를 기반으로 인쇄 회로 기판(480)의 생체 인식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5의 전자 장치(500))는 제 1 도전성 부분(901)을 기반으로 제 1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고, 제 2 도전성 부분(903)을 기반으로 제 2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생체 신호 및 제 2 생체 신호는 동일한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생체 신호와 제 2 생체 신호는 서로 다른 종류의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901) 및 제 2 도전성 부분(903)은 동일한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하나의 센싱 영역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901) 및 제 2 도전성 부분(903)은 서로 다른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서로 다른 센싱 영역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901)은 제 1 도전성 경로(951)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도전성 부분(903)은 제 2 도전성 경로(953)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b 내지 도 9f에서, 제 2 도전성 부분(903)에 대한 도전성 경로는 도 9a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제 2 도전성 부분(903)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될 수 있다. 도 9b 내지 도 9f는 제 1 도전성 부분(901)에 대한 도전성 경로를 다양하게 도시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측면 베젤 구조(513)의 일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도전성 부분(90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도전성 부분(901)은 도전성 물질이 측면 베젤 구조(513)의 일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901)은 측면 베젤 구조(513)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도전성 부재(911)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부재(911)는 LDS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부재(911)는 제 1 도전성 경로(951)를 통해, 생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부재(911)는 안테나 형성 방법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형성 방법은 사출 금형 내에 안테나 패턴을 넣어서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또는, 하우징 내에 안테나 패턴을 열융착하여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901)은 제 1 도전성 경로(951)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제 1 생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베젤 구조(513)의 일면에 도전성 패드(922)가 배치될 수 있고, 전면 플레이트(503)의 도전성 시트(921)와 도전성 패드(92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도전성 부분(903)은 제 2 도전성 경로(953)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제 2 생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측면 베젤 구조(513)의 일면(예: 상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도전성 부분(901)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방수 부재(923)가 측면 베젤 구조(513)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901)은 측면 베젤 구조(513)의 하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도전성 부재(913)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부재(913)는 LDS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측면 베젤 구조(513)의 일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도전성 부분(901)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방수 부재(923)가 측면 베젤 구조(513)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901)은 측면 베젤 구조(513)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도전성 부재(915)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부재(915)는 LDS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e를 참조하면, 측면 베젤 구조(513)의 일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도전성 부분(90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901)은 측면 베젤 구조(513)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도전성 부재(917)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부재(917)는 LDS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f를 참조하면, 측면 베젤 구조(513)의 일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도전성 부분(90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수 부재(923)가 측면 베젤 구조(513)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1101)은 측면 베젤 구조(513)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도전성 부재(918)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부재(918)는 LDS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부분(예: 제 1 도전성 부분(1001) 또는 제 2 도전성 부분(1003))과 인쇄 회로 기판(480) 간의 전기적 연결 경로에 해당하는 LDS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8a에 도시된 제 1 도전성 부분(521), 제 2 도전성 부분(523), 측면 베젤 구조(513), 전면 플레이트(503), 제 1 도전성 경로(811), 제 2 도전성 경로(813), 및/또는 인쇄 회로 기판(480)을 간략하게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측면 베젤 구조(513)의 일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도전성 부분(1001)(예: 도 8a의 제 1 도전성 부분(521))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503)의 일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도전성 부분(1003)(예: 도 8a의 제 2 도전성 부분(52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전성 부분(1001) 및/또는 제 2 도전성 부분(1003)은 도전성 물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플레이트(503)와 측면 베젤 구조(513)는 압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1001)은 측면 베젤 구조(51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제 1 도전성 부재(1011)(예: LDS 패턴)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도전성 부분(1003)은 전면 플레이트(50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제 2 도전성 부재(1013)(예: 도전성 필름, 또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회로 기판(48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생체 인식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1001)은 제 1 도전성 부재(1011)를 기반으로 인쇄 회로 기판(480)의 생체 인식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재(1011)와 인쇄 회로 기판(480) 사이에 도전성 패드(1023)가 배치되고, 상기 도전성 패드(1023)는 제 1 도전성 부분(1001)에 대한 도전성 경로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도전성 부분(1003)은 제 2 도전성 부재(1013)를 기반으로 인쇄 회로 기판(480)의 생체 인식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도전성 부재(1013)와 인쇄 회로 기판(480) 사이에 도전성 패드(1021)가 배치되고, 상기 도전성 패드(1021)는 제 2 도전성 부분(1003)에 대한 도전성 경로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재(1011)는 제 2 도전성 부재(10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제 2 도전성 부재(1013)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4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전성 부재(1011)와 제 2 도전성 부재(1013)는 통합하여 하나의 도전성 부재로 기능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재(1011)와 제 2 도전성 부재(1013)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제 1 도전성 부재(1011)와 제 2 도전성 부재(101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락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0b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제 2 도전성 부분(1003)에 대한 제 2 도전성 부재(1013)는 도 10a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제 2 도전성 부분(1003)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될 수 있다. 도 10b 내지 도 10d는 제 1 도전성 부분(1001)에 대한 도전성 경로를 다양하게 도시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측면 베젤 구조(513)의 일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도전성 부분(100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도전성 부분(1001)은 도전성 물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1001)은 측면 베젤 구조(513)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 1 도전성 부재(1011)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도전성 부재(1011)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LDS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측면 베젤 구조(513)의 일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도전성 부분(100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1001)은 측면 베젤 구조(513)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 1 도전성 부재(1011)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도전성 부재(1011)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LDS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재(1011)와 제 2 도전성 부재(1013)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재(1011)와 제 2 도전성 부재(1013)는 사이에 절연성 부재가 배치되어 서로 단락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0d를 참조하면, 측면 베젤 구조(513)의 일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도전성 부분(100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1001)은 측면 베젤 구조(513)의 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 1 도전성 부재(1011)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도전성 부재(1011)는 LDS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재(1011)와 제 2 도전성 부재(1013)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8a의 전자 장치(500))는, 제 1 커버 부재(예: 도 8a의 전면 플레이트(503)), 상기 제 1 커버 부재(503)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커버 부재(예: 도 8a의 후면 플레이트(505)) 및 상기 제 1 커버 부재(503)와 상기 제 2 커버 부재(505)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예: 도 8a의 측면 베젤 구조(513))를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7의 하우징(501)), 상기 측면 부재(513)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지지 부재(예: 도 4의 지지 부재(460)),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생체 인식 회로(예: 도 7의 생체 인식 회로(710))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예: 도 8a의 인쇄 회로 기판(480)), 상기 측면 부재(5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제 1 도전성 부분(예: 도 8a의 제 1 도전성 부분(521)), 상기 제 2 커버 부재(50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도전성 부분(예: 도 6의 제 3 도전성 부분(610)) 및 제 3 도전성 부분(예: 도 6의 제 4 도전성 부분(620)), 및/또는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생체 인식 회로(710)와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5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경로(예: 도 8a의 제 1 도전성 경로(8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인식 회로(710)는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521),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610), 상기 제 3 도전성 부분(62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경로(811)를 기반으로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경로(811)는 도전성 필름(conductive film), 도전성 접착제(conductive paste), 도전성 시트(conductive sheet), 및/또는 LDS(laser direct structuring)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인식 회로(710)는 ECG(electrocardiogram)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521),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610), 및 상기 제 3 도전성 부분(620)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인식 회로(710)는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521)을 통해 제 1 극성에 대응하는 제 1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610) 및 상기 제 3 도전성 부분(620) 중 하나를 통해 제 2 극성에 대응하는 제 2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생체 신호와 상기 제 2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521)은 상기 측면 부재(513)에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경로(811)는 상기 하우징(501) 또는 상기 지지 부재(46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8a의 전자 장치(500))는, 윈도우 글래스(예: 도 8a의 윈도우 글래스(801)) 상기 윈도우 글래스를 둘러싸는 제 1 커버 부재(예: 도 8a의 전면 플레이트(503)), 상기 제 1 커버 부재(503)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커버 부재(예: 도 8a의 후면 플레이트(505)) 및 상기 제 1 커버 부재(503)와 상기 제 2 커버 부재(505)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예: 도 8a의 측면 베젤 구조(513))를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7의 하우징(501)), 상기 측면 부재(513)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지지 부재(예: 도 4의 지지 부재(460)),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생체 인식 회로(예: 도 7의 생체 인식 회로(710))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예: 도 8a의 인쇄 회로 기판(480)), 상기 제 1 커버 부재(503) 또는 상기 측면 부재(513)에 적어도 하나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1 도전성 부분(예: 도 8a의 제 1 도전성 부분(521)),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521)에 인접하고, 상기 윈도우 글래스(80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도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도전성 부분(예: 도 8a의 제 2 도전성 부분(523)), 상기 제 2 커버 부재(50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도전성 부분(예: 도 6의 제 3 도전성 부분(610)) 및 제 4 도전성 부분(예: 도 6의 제 4 도전성 부분(620)), 및/또는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생체 인식 회로(710)와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5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도전성 경로(예: 도 8a의 제 1 도전성 경로(811)) 및 상기 지지 부재 상에 형성되어 상기 생체 인식 회로(710)와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52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도전성 경로(예: 도 8a의 제 2 도전성 경로(8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인식 회로(710)는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521),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523), 상기 제 3 도전성 부분(610), 상기 제 4 도전성 부분(620), 상기 제 1 도전성 경로(811) 및 상기 제 2 도전성 경로(813)를 기반으로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도전성 경로(811)는 도전성 필름(conductive film), 도전성 접착제(conductive paste) 및 도전성 시트(conductive sheet)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전성 경로(813)는 LDS(laser direct structuring)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인식 회로(710)는 ECG(electrocardiogram)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521),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523), 상기 제 3 도전성 부분(610), 및 상기 제 4 도전성 부분(620)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인식 회로(710)는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521) 및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52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 1 극성에 대응하는 제 1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3 도전성 부분(610) 및 상기 제 4 도전성 부분(620) 중 하나를 통해 제 2 극성에 대응하는 제 2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생체 신호와 상기 제 2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전성 부분(521) 및 상기 제2 도전성 부분(523)은 통합되어 상기 제 1 극성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생체 신호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전성 경로(811)와 상기 제2 도전성 경로(813) 사이에 절연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절연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도전성 경로(811)와 상기 제2 도전성 경로(813)가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전성 부분(521)은 상기 윈도우 글래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전성 부분(523)은 상기 제1커버 부재(503) 또는 상기 측면 부재(513)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0)의 버튼(1110)을 기반으로 제 1 도전성 부분(1104) 및 제 2 도전성 부분(1105)을 구현하는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전자 장치(500)의 버튼(1110) 및 버튼의 주변 영역을 구분하여, 제 1 도전성 부분(1104) 및 제 2 도전성 부분(1105)으로 활용하는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a는 전자 장치(500)의 후면(210B) 및 측면 베젤 구조(513)를 부분적으로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전자 장치의 측면 베젤 구조(5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이 배치되는 위치는 측면 베젤 구조(513)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500)는 내부 공간으로부터 측면 베젤 구조(513)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버튼(1110)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배치되는 제1도전성 부분(1104) 및 버튼 주변의, 측면 베젤 구조(513)에 배치되는 제2도전성 부분(110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도전성 부분(1104)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도전성 부분(1105)은 측면 베젤 구조(5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과 주변 영역을 하나의 전극으로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도전성 부분(1104) 및 제2도전성 부분(1105)이 통합되어 하나의 도전성 부분(예: 하나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과 주변 영역을 각각 다른 전극으로 구분하여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도전성 부분(1104) 및 제2도전성 부분(1105)은 서로 절연되어 각각 다른 도전성 부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500)는 후면(210b)에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부분(예: 제 3 도전성 부분(1101), 또는 제 4 도전성 부분(1103))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적어도 3개의 도전성 부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도전성 부분 중 2개의 도전성 부분은 각각 다른 전극(예: +, -)으로 사용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도전성 부분은 그라운드(GND)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1104) 및 제 2 도전성 부분(1105) 중 적어도 하나가 + 전극으로 사용되면, 제 3 도전성 부분(1101) 및 제 4 도전성 부분(1103) 중 적어도 하나가 ?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전극 또는 ? 전극으로 사용되지 않은 나머지 도전성 부분은 그라운드(GND)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1b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이 측면 베젤 구조(513)에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측면 베젤 구조(5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베젤 구조(513)는 개구부(1120)를 포함하며, 개구부(1120)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이 측면 베젤 구조(513)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일부 영역에 대응하여 제 1 도전성 부분(1104)이 배치될 수 있고, 측면 베젤 구조(513)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일부 영역에 대응하여 제 2 도전성 부분(1105)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도전성 부분(1104) 및 제 2 도전성 부분(1105)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나, 제 1 도전성 부분(1104)과 제 2 도전성 부분(1105)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이 유동적으로 움직이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과 측면 베젤 구조(513) 사이에는 틈(gap)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1104) 및 제 2 도전성 부분(1105)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부재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1104)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도전성 부재(1111), 상기 도전성 부재(11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패드(1113-1, 1113-2) 및/또는 제 1 도전성 경로(1151)를 기반으로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도전성 부분(1105)은 측면 베젤 구조(513)에 형성된 개구부(11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도전성 부재(1105-1), 상기 도전성 부재(110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패드(1113-1, 1113-2) 및/또는 제 1 도전성 경로(1151)를 기반으로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베젤 구조(5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도전성 부재(1105-1)는 일단이 제 2 도전성 부분(1105)에 연결되고, 타단이 도전성 패드(1113-1, 1113-2)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1105-1)는 LDS 패턴을 포함하고, 제 2 도전성 부분(1105)에 대한 도전성 경로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도전성 부분(1105)은 LDS 패턴을 사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c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에 대한 적층도를 도시한다. 도 11c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도전성 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키(key)(1121), 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수 오링(1123)(예: O-ring 형태의 방수 부재), 스프링 부재(1125),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127), 및/또는 돔키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1129)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도전성 물질(1104)(예: 제 1 도전성 부분(1104)) 또는 도전성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물질(1104)은 하나의 전극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1121)의 외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경로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도전성 물질(1104)은 상기 도전성 경로를 통해 돔키 FPCB(1129)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상기 도전성 물질(1104)을 기반으로 생체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생체 신호를 상기 도전성 경로를 통해 돔키 FPCB(1129)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거나, 비도전성 물질에 도전성 부재가 증착/코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전자 장치(500)의 측면 베젤 구조(5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1d는 측면 베젤 구조(513)에서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이 결합되는 결합 영역을 도시한다. 도 11d를 참조하면, 측면 베젤 구조(513)의 결합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이 결합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측면 베젤 구조(513)의 표면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물질(1105)(예: 제 2 도전성 부분(1105))이 증착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물질(1105)은 하나의 전극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베젤 구조(513)는 생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경로로 활용되는 도전성 부재(1105-1) 및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패드(1113-1, 1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베젤 구조(513)는 상기 도전성 물질(1105)을 통해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도전성 부재(1105-1) 및 도전성 패드(1113-1, 1113-2)를 전송 경로로 활용하여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를 인쇄 회로 기판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이 측면 베젤 구조(513)에 결합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에 형성된 도전성 부재가 도전성 패드(1113-1, 111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e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의 하면을 도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방향의 표면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의 하면은 측면 베젤 구조(513)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제2 방향의 표면일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도 11e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하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부재(1111, 1111-1, 1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부재(1111, 1111-1, 1111-2)는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의 상면에는 도전성 물질(예: 도 11c의 도전성 물질(110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도전성 물질은 도전성 부재(1111, 1111-1, 1111-2)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스프링 부재(1125)를 사용하여 전자 장치(500)의 측면 베젤 구조(513)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 오링(미도시)(예: 도 11c의 방수 오링(1123))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미도시)(예: 도 11c의 지지 부재(1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f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도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일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물질(예: 도 11c의 도전성 물질(110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물질(1104)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에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물질(1104)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신호는 상기 도전성 물질(1104) 및 도전성 부재(1111)를 기반으로 인쇄 회로 기판에 전달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하면에 스프링 부재(1125)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1125)를 통해 측면 베젤 구조(예: 도 11d의 측면 베젤 구조(11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1g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이 전자 장치(500)의 측면 베젤 구조(513)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g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500)는 제 1 면(또는 전면)(210A), 제 2 면(또는 후면)(210B), 및 상기 제 1 면(210A) 및 상기 제 2 면(2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베젤 구조(5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상기 측면 베젤 구조(5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제 1 도전성 부분(110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전성 부분(1104)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에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 베젤 구조(513)는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1104)에 인접하는 제 2 도전성 부분(110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1104)과 제 2 도전성 부분(1105)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1104)과 제 2 도전성 부분(1105)은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1h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h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하나의 전극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측면 베젤 구조(513)에 결합될 수 있다. 측면 베젤 구조(51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 영역은 개구부(114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베젤 구조(513)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도전성 물질(1105)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물질(1105)은 측면 베젤 구조(513)에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과 상기 측면 베젤 구조(513)에 형성된 도전성 물질(1105) 사이에는 틈(gap)(1147)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과 상기 도전성 물질(1105)은 서로 다른 전극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스프링 부재(1131)에 의해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베젤 구조(513)에 형성된 도전성 물질(1105)은 생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경로로 활용되는 도전성 부재(110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성 연결 부재(1141, 1143)를 기반으로 인쇄 회로 기판(1129)(예: 도 11c의 돔키 FPCB(1129))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체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 및/또는 측면 베젤 구조(513)에 형성된 도전성 물질(110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1129)에 전달될 수 있다.
도 11i는 비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i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비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일부면에 도전성 물질이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도전성 물질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진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 1 도전성 부분(1104)(예: 도전성 물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이 결합되는 측면 베젤 구조(513)는 제 1 도전성 부분(1104)에 인접한 영역에 대응하여 제 2 도전성 부분(1105)(예: 도전성 물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1104)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의 하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도전성 부재(1111, 1111-1, 11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1104)은 상기 도전성 부재(1111, 1111-1, 1111-2) 및/또는 스프링 부재(1131)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인쇄 회로 기판(1129)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체 신호는 제 1 도전성 부분(1104), 도전성 부재(1111, 1111-1, 1111-2) 및/또는 스프링 부재(1131)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1129)에 전달될 수 있다.
도 11j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다. 도 11j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스프링 부재(1131) 및 지지 부재(1127, 1127-1)에 결합되도록 돔키(1125)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지지 부재(1127, 112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127, 1127-1)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거나, 도전성 물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착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127, 1127-1)는 인쇄 회로 기판(1129)(예: F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사용자의 접촉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획득된 생체 신호는 지지 부재(1127, 1127-1) 및/또는 스프링 부재(1131)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1129)에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는 외부의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 오링(예: 도 11c의 방수 오링(1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0)의 버튼(1110)을 기반으로 제 1 도전성 부분(1201) 및 제 2 도전성 부분(1203)을 구현하는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전자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의 측면 베젤 구조(513) 및 후면 플레이트(210B)를 도시한다. 도 12b 내지 도 12c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이 결합되는 측면 베젤 구조(513)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500)는 내부 공간으로부터 측면 베젤 구조(513)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 및 버튼 주변의 측면 베젤 구조(513)의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제 1 도전성 부분(1201) 및 제 2 도전성 부분(120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1201) 및 제 2 도전성 부분(1203)은 단락된 구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1 도전성 부분(1201) 및 제 2 도전성 부분(1203)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후면 플레이트(210B)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3 도전성 부분(1101) 및 제 4 도전성 부분(110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제 1 도전성 부분(1201), 제 2 도전성 부분(1203), 제 3 도전성 부분(1101) 및/또는 제 4 도전성 부분(1103) 중 적어도 3개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전성 부분(1201) 및 제 2 도전성 부분(1203) 중 적어도 하나가 + 전극으로 기능하고, 제 3 도전성 부분(1101) 및 제 4 도전성 부분(1103) 중 적어도 하나가 ?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 1 도전성 부분(1201), 제 2 도전성 부분(1203), 제 3 도전성 부분(1101) 및/또는 제 4 도전성 부분(1103) 중 특정한 전극으로 기능하지 않는 부분은 그라운드(GND)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2b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이 측면 베젤 구조(513)에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은 측면 베젤 구조(5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버튼(1110) 및 버튼 주변의 측면 베젤 구조(513)의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제 1 도전성 부분(1201-1, 1201-2)(예: 도 12a의 제 1 도전성 부분(1201)) 및 제 2 도전성 부분(1203-1, 1203-2)(예: 도 12a의 제 2 도전성 부분(1203))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전성 부분(1201-1, 1201-2)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에 형성된 제 1 영역(1201-1) 및 상기 제 1 영역(1201-1)에 인접하고, 측면 베젤 구조(513)에 형성된 제 1 주변 영역(120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도전성 부분(1203-1, 1203-2)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에 형성된 제 2 영역(1203-1) 및 제 2 영역(1203-1)에 인접하고, 측면 베젤 구조(513)에 형성된 제 2 주변 영역(120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1201-1, 1201-2) 및 제 2 도전성 부분(1203-1, 1203-2)은 전기적으로 단락된 상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1 도전성 부분(1201-1, 1201-2)과 제 2 도전성 부분(1203-1, 1203-2)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1201-1, 1201-2)과 제 2 도전성 부분(1203-1, 1203-2)은 하나의 전극으로 기능하거나, 각각 서로 다른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부분(1201-1, 1201-2)의 제 1 영역(1201-1)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제 1 도전성 부재(1211), 제 1 도전성 부재(12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도전성 패드(1215) 및 제 1-1 도전성 부재(1221)(예: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도전성 경로)를 기반으로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도전성 부분(1201-1, 1201-2)의 제 2 영역(1201-2)은 측면 베젤 구조(5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 2 도전성 부재(1214), 제 2 도전성 부재(12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도전성 패드(1215) 및 제 1-1 도전성 부재(1221)를 기반으로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도전성 부분(1203-1, 1203-2)의 제 1 영역(1203-1)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제 3 도전성 부재(1213), 제 3 도전성 부재(12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도전성 패드(1217) 및 제 2-1 도전성 부재(1223)(예: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도전성 경로)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도전성 부분(1203-1, 1203-2)의 제 2 영역(1203-2)은 측면 베젤 구조(5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 4 도전성 부재(1216), 제 4 도전성 부재(12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도전성 패드(1215) 및 제 2-1 도전성 부재(1223)를 기반으로 인쇄 회로 기판(예: 도 4의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 및 버튼 주변의 측면 베젤 구조(513)의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제 1 도전성 부분(예: 도 12a의 제 1 도전성 부분(1201)) 및/또는 제 2 도전성 부분(예: 도 12a의 제 2 도전성 부분(1203))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전성 부분(1231-1, 1231-2)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에 형성된 제 1 영역(1231-1) 및 제 1 영역(1231-1)에 인접하고, 측면 베젤 구조(513)에 형성된 제 1 주변 영역(12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도전성 부분(1233-1, 1233-2)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에 형성된 제 2 영역(1233-1) 및 제 2 영역(1233-1)에 인접하고, 측면 베젤 구조(513)에 형성된 제 2 주변 영역(123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에 배치된 제 1 영역(1231-1)과 제 2 영역(1233-1)은 각각 다른 도전성 경로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영역(1231-1)은 제 1 경로(1241, 1251)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주변 영역(1231-2)은 제 1 도전성 부재(1244), 제 1 도전성 패드(1245) 및 제 1 경로(1251)를 기반으로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영역(1233-1)은 제 2 경로(1243, 1253)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주변 영역(1233-2)은 제 2 도전성 부재(1246), 제 2 도전성 패드(1247) 및 제 2 경로(1253)를 기반으로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경로(1241, 1251) 및/또는 제 2 경로(1243, 125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LDS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8a의 전자 장치(500))는, 제 1 커버 부재(예: 도 8a의 전면 플레이트(503)), 상기 제 1 커버 부재(503)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커버 부재(예: 도 8a의 후면 플레이트(505)) 및 상기 제 1 커버 부재(503)와 상기 제 2 커버 부재(505)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예: 도 8a의 측면 베젤 구조(513))를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7의 하우징(501)), 상기 측면 부재(513)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지지 부재(예: 도 4의 지지 부재(460)),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생체 인식 회로(예: 도 7의 생체 인식 회로(710))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예: 도 8a의 인쇄 회로 기판(480)), 상기 하우징(501)의 측면 부재(5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도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예: 도 11a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 1 도전성 부분(예: 도 11a의 제 1 도전성 부분(1104)),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에 인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을 둘러싸고, 상기 측면 부재(5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2 도전성 부분(예: 도 11a의 제 2 도전성 부분(1105)), 상기 제 2 커버 부재(50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도전성 부분(예: 도 6의 제 3 도전성 부분(610)), 제 4 도전성 부분(예: 도 6의 제 4 도전성 부분(620)) 및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생체 인식 회로(710)와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110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도전성 경로 및 상기 지지 부재 상에 형성되어 상기 생체 인식 회로(710)와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110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도전성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인식 회로(710)는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1104),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1105), 상기 제 3 도전성 부분(610), 상기 제 4 도전성 부분(620), 상기 제 1 도전성 경로 및 상기 제 2 도전성 경로를 기반으로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인식 회로(710)는 ECG(electrocardiogram)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1104),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1105), 상기 제 3 도전성 부분(610) 및 상기 제 4 도전성 부분(620)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인식 회로(710)는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1104) 및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110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 1 극성에 대응하는 제 1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3 도전성 부분(610) 및 상기 제 4 도전성 부분(620) 중 하나를 통해 제 2 극성에 대응하는 제 2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생체 신호와 상기 제 2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1104) 및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1105)은 통합되어 상기 제 1 극성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생체 신호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1104) 및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1105)은 도전성 물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8a의 전자 장치(500))는, 제 1 커버 부재(예: 도 8a의 전면 플레이트(503)), 상기 제 1 커버 부재(503)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커버 부재(예: 도 8a의 후면 플레이트(505)) 및 상기 제 1 커버 부재(503)와 상기 제 2 커버 부재(505)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예: 도 8a의 측면 베젤 구조(513))를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7의 하우징(501)), 상기 측면 부재(513)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지지 부재(예: 도 4의 지지 부재(460)),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생체 인식 회로(예: 도 7의 생체 인식 회로(710))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예: 도 8a의 인쇄 회로 기판(480)), 상기 하우징(501)의 측면 부재(5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도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예: 도 11a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에 인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을 둘러싸고, 상기 측면 부재(5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1 도전성 부분(예: 도 11a의 제 2 도전성 부분(1105)), 상기 제 2 커버 부재(50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4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도전성 부분(예: 도 6의 제 3 도전성 부분(610)) 및 제 3 도전성 부분(예: 도 6의 제 4 도전성 부분(620)) 및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생체 인식 회로(71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도전성 경로 및 상기 지지 부재 상에 형성되어 상기 생체 인식 회로(710)와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110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도전성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인식 회로(7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0), 제 1 도전성 부분(1105),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610), 상기 제 3 도전성 부분(620), 상기 제 1 도전성 경로 및 상기 제 2 도전성 경로를 기반으로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금속성 물질을 기반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500 : 전자 장치 501 : 하우징
201, 503 : 전면 플레이트 207, 505 : 후면 플레이트
511 : 디스플레이 513 : 측면 베젤 구조
515 : 베젤 영역 520 : 센싱 영역
521 : 제 1 도전성 부분(제 1 전극) 523 : 제 2 도전성 부분(제 2 전극)
531, 533 : 결착 부재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커버 부재, 상기 제1커버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커버 부재 및 상기 제1커버 부재와 상기 제2커버 부재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측면 부재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지지 부재;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생체 인식 회로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측면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1 도전성 부분;
    상기 제2커버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도전성 부분 및 제3 도전성 부분; 및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생체 인식 회로와 상기 제1도전성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인식 회로는 상기 제1 도전성 부분, 상기 제2 도전성 부분, 상기 제3 도전성 부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경로를 기반으로 생체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경로는 도전성 필름(conductive film), 도전성 접착제(conductive paste), 도전성 시트(conductive sheet), 및/또는 LDS(laser direct structuring)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식 회로는 ECG(electrocardiogram)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성 부분, 상기 제2 도전성 부분, 및 상기 제3 도전성 부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식 회로는 상기 제1 도전성 부분을 통해 제 1 극성에 대응하는 제 1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도전성 부분 및 상기 제3 도전성 부분 중 하나를 통해 제 2 극성에 대응하는 제 2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생체 신호와 상기 제 2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은 상기 측면 부재에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경로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지지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전자 장치.
  7. 전자 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글래스, 상기 윈도우 글래스를 둘러싸는 제1커버 부재, 상기 제1커버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커버 부재 및 상기 제1커버 부재와 상기 제2커버 부재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측면 부재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지지 부재;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생체 인식 회로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제1커버 부재 또는 상기 측면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1 도전성 부분;
    상기 제1 도전성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윈도우 글래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도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도전성 부분;
    상기 제2커버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도전성 부분 및 제4 도전성 부분; 및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생체 인식 회로와 상기 제1 도전성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도전성 경로 및 상기 지지 부재 상에 형성되어 상기 생체 인식 회로와 상기 제2도전성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도전성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인식 회로는 상기 제1 도전성 부분, 상기 제2 도전성 부분, 상기 제3 도전성 부분, 상기 제4 도전성 부분, 상기 제1 도전성 경로 및 상기 제2 도전성 경로를 기반으로 생체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경로는 도전성 필름(conductive film), 도전성 접착제(conductive paste) 및 도전성 시트(conductive sheet)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전성 경로는 LDS(laser direct structuring) 패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식 회로는 ECG(electrocardiogram)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성 부분, 상기 제2 도전성 부분, 상기 제3 도전성 부분, 및 상기 제4 도전성 부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식 회로는 상기 제1 도전성 부분 및 상기 제2 도전성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 1 극성에 대응하는 제 1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도전성 부분 및 상기 제4 도전성 부분 중 하나를 통해 제 2 극성에 대응하는 제 2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생체 신호와 상기 제 2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부분 및 상기 제2 도전성 부분은 통합되어 상기 제 1 극성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생체 신호를 함께 수신하는 전자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경로와 상기 제2 도전성 경로 사이에 절연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절연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도전성 경로와 상기 제2 도전성 경로가 구분되어 형성되는 전자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부분은 상기 윈도우 글래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전성 부분은 상기 제1커버 부재 또는 상기 측면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14.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커버 부재, 상기 제1커버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커버 부재 및 상기 제1커버 부재와 상기 제2커버 부재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측면 부재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지지 부재;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생체 인식 회로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하우징의 측면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도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 1 도전성 부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인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둘러싸고, 상기 측면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2 도전성 부분;
    상기 제2커버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도전성 부분 및 제 4 도전성 부분; 및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생체 인식 회로와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도전성 경로 및 상기 지지 부재 상에 형성되어 상기 생체 인식 회로와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도전성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인식 회로는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 상기 제 3 도전성 부분, 상기 제 4 도전성 부분, 상기 제 1 도전성 경로 및 상기 제 2 도전성 경로를 기반으로 생체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식 회로는 ECG(electrocardiogram)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 상기 제 3 도전성 부분 및 상기 제 4 도전성 부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식 회로는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 및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 1 극성에 대응하는 제 1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3 도전성 부분 및 상기 제 4 도전성 부분 중 하나를 통해 제 2 극성에 대응하는 제 2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생체 신호와 상기 제 2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 및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은 통합되어 상기 제 1 극성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생체 신호를 함께 수신하는 전자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부분 및 상기 제 2 도전성 부분은 도전성 물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착되거나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19.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커버 부재, 상기 제1커버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커버 부재 및 상기 제1커버 부재와 상기 제2커버 부재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측면 부재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지지 부재;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생체 인식 회로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하우징의 측면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도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인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둘러싸고, 상기 측면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1 도전성 부분;
    상기 제2커버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도전성 부분 및 제3 도전성 부분; 및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생체 인식 회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도전성 경로 및 상기 지지 부재 상에 형성되어 상기 생체 인식 회로와 상기 제1 도전성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도전성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인식 회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상기 제1 도전성 부분, 상기 제2 도전성 부분, 상기 제3 도전성 부분, 상기 제1 도전성 경로 및 상기 제2 도전성 경로를 기반으로 생체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금속성 물질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KR1020190087496A 2019-07-19 2019-07-19 센싱 영역을 확장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0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496A KR20210010080A (ko) 2019-07-19 2019-07-19 센싱 영역을 확장하는 전자 장치
PCT/KR2020/008919 WO2021015454A1 (en) 2019-07-19 2020-07-08 Electronic device extending sensing area
US16/947,110 US11612348B2 (en) 2019-07-19 2020-07-17 Electronic device extending sensing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496A KR20210010080A (ko) 2019-07-19 2019-07-19 센싱 영역을 확장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080A true KR20210010080A (ko) 2021-01-27

Family

ID=7419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496A KR20210010080A (ko) 2019-07-19 2019-07-19 센싱 영역을 확장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12348B2 (ko)
KR (1) KR20210010080A (ko)
WO (1) WO20210154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310A1 (ko) * 2021-03-24 2022-09-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0788B2 (en) * 2002-03-25 2005-02-01 Masimo Corporation Physiological measurement communications adapter
WO2014025364A1 (en) 2012-08-10 2014-02-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merged rear housing and antenna
WO2015081113A1 (en) * 2013-11-27 2015-06-04 Cezar Moru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electromyography sensors
US20150309533A1 (en) 2014-04-29 2015-10-29 Polar Electro Oy Signal lines in wrist apparatus
KR102400106B1 (ko) 2014-11-17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심전도 센서 칩, 시스템 온 칩과, 웨어러블 기기
JP2016154754A (ja) 2015-02-25 2016-09-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生体情報測定装置
KR20160143102A (ko) 2015-06-04 201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생체 정보 측정 장치
US11712190B2 (en) * 2015-06-12 2023-08-01 ChroniSense Medical Ltd. Wearable device electrocardiogram
US9655532B2 (en) * 2015-06-19 2017-05-23 Michael Blake Wearable physiological monitoring and notification system based on real-time heart rate variability analysis
KR20170028017A (ko) * 2015-09-03 2017-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장치
US10368756B2 (en) * 2015-12-31 2019-08-06 BioPause LLC Sensing circuit with cascaded reference
KR101727146B1 (ko) 2016-01-11 2017-04-14 (주)와이브레인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웨어러블 장치
KR20170118439A (ko) 2016-04-15 201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를 충전하는 장치
KR102580266B1 (ko) * 2016-11-29 202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처리 장치, 생체 정보 검출 장치 및 방법
TWI653032B (zh) * 2016-12-01 2019-03-11 深禾醫學科技股份有限公司 心電監測裝置及其血壓監測系統
EP3556282B1 (en) 2017-01-13 2023-08-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Wearable device
KR102620178B1 (ko) 2017-01-26 202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90616A (ko) * 2017-02-03 2018-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측정이 가능한 전자 장치
US11350869B2 (en) * 2017-08-25 2022-06-07 Garmin Switzerland Gmbh Electrocardiogram (ECG) measurement on a wrist-worn electronic device
US10285643B2 (en) * 2017-09-11 2019-05-14 Apple Inc. Retention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US20190150777A1 (en) * 2017-11-17 2019-05-23 Ctrl-Labs Corporation Dual-supply analog circuitry for sensing surface emg signals
US11394129B2 (en) * 2018-12-13 2022-07-19 Fitbit, Inc. Multiple band antenna structures
US11540773B2 (en) * 2018-12-18 2023-01-03 Movano Inc. Methods for radio wave based health monitoring that involve engaging alignment features of a health monitoring device and an alignment element
US11419504B2 (en) * 2019-06-28 2022-08-23 Fitbi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mbination electrodes for wearable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310A1 (ko) * 2021-03-24 2022-09-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12348B2 (en) 2023-03-28
WO2021015454A1 (en) 2021-01-28
US20210015388A1 (en)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3489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ometric sensor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US20220151554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assembly method
US11379009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conductive exterior member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 current regarding same
KR102568181B1 (ko)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514256B1 (ko) 밴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10046211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와치형 전자 장치
KR20210058305A (ko)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방법
US11612348B2 (en) Electronic device extending sensing area
US11271304B2 (en) Multi feeding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220017192A (ko)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07436A (ko) 신체에 접촉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321089A1 (en) Wearable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electrode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US20230118495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ometric sensor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KR20210027785A (ko) 생체 신호 측정용 전자 장치
KR20210037092A (ko)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29017A (ko) 광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51251B2 (en) Hardware reset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11759137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US2021015965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ometric sensor and electrode for acquiring biometric signal
KR20200133456A (ko) 포스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US11779229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measuring blood pressure and method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thereby
US20230161384A1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moisture
EP435129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static discharge path
KR20220098508A (ko) 결속 핀 및 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30080255A (ko) 안테나 및 전극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