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850A -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850A
KR20210001850A KR1020190155922A KR20190155922A KR20210001850A KR 20210001850 A KR20210001850 A KR 20210001850A KR 1020190155922 A KR1020190155922 A KR 1020190155922A KR 20190155922 A KR20190155922 A KR 20190155922A KR 20210001850 A KR20210001850 A KR 20210001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doctor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3227B1 (ko
Inventor
오채수
Original Assignee
오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채수 filed Critical 오채수
Publication of KR20210001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환자 중심에서 의료진 중심으로 시각을 변화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 관리를 통해 환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환자의 건강 정보를 의료진의 연구 활동 정보로 활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PATIENT PORTAL SYSTEM FOR MANAGING PATIENTS BASED ON MEDICAL STAFF AND MENAGEMENT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여 환자에게 도움을 제공하고, 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의사의 관리 정보를 의료진의 연구 활동 정보로 활용 가능한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기관에 도입된 의료정보 시스템은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처방전달시스템(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등이 있다.
이들 의료정보 시스템은 병원 등 의료기관에 전산시스템에 도입되면서, 의료기관에서 작성되고 전달되던 의료기록들이 디지털화된 것이다.
즉, 예전에 의사 등 의료진에 의해 수기로 작성 보관되던 의무기록들이 전자문서로 디지털화 되고, 의료정보 시스템에서 기록되어 영구 보관되고 있다.
전자의무기록(EMR)은 과거에 의사 등 의료진이 환자의 진료내용을 수기로 기록한 종이문서의 차트를 디지털화한 것이고, 처방전달시스템(OCS)는 과거에 의사가 수기로 작성한 종이문서의 처방전을 디지털화한 것이다.
또한,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은 과거에 CT나 MRI 등 의료영상 장비에 의해 촬영된 영상 필름을 디지털화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 환자의 진료내용, 의사의 처방전, 의료영상 자료들은 모두 디지털화되어, 의료기관 내 의료정보시스템에 저장되어 영구 보존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곳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의료정보시스템은 단일 의료기관 내에서 폐쇄적으로 구축되기 때문에, 타 의료기관과의 상호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미국이나 영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최근 급증하는 의료비 절감과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육성을 위해 의료정보에 대한 각종 법적인 규제를 크게 완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정부 주도로 블루버튼 플러스(Blue Button +) 표준을 채택하여, 인터넷을 통한 환자 자신의 의료정보 열람 및 다른 의료기관이나 서비스 사업자를 비롯한 제3자에 대한 전송(Transition)을 법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즉, 환자가 병원의 홈페이지(Patient Portal)에 접속하여 블루버튼 플러스(Blue Button +) 버튼을 누르면, HL7(Health Level 7)의 CCDA(Consolidated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표준으로 포맷팅된 의료정보를 열람(View)하거나, 다운로드(Download)하거나, 제3자에게 SMTP 방식으로 전송(Transfer)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자 중심의 환자 포탈 시스템은 환자 입장에서 기획된 진료 및 건강관리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시스템으로, 개인의 진료이력 / 처방정보 / 검사결과 정보를 의료기관에서 제공받고, 환자가 스스로 건강데이터(체중, 혈당, 혈압, 수면, 스트레스 등)를 입력해서 관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과정에서 병원의 과거 진료정보가 없는 사용자의 경우(= 환자번호 생성 안됨), 해당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하거나 극히 일부 서비스만 이용 가능했다.
이로 인해, 병원 차원에서 병원정보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과 연동되고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환자에게 서비스하거나, HIS 제공자(Provider)들이 건강데이터(라이프로그)와 병원 진료예약과 같은 단순 기능으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출시하여 서비스를 시행하였지만 그 반응은 오래가지 못했다.
이는 자가 관리 및 모니터링만 가능하기 때문에 본인 의지가 떨어지면 해당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도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135332호(발명의 명칭: 공인기관에 의한 의료기록 관리 및 전송 시스템 및 방법)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여 환자에게 도움을 제공하고, 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의사의 관리 정보를 의료진의 연구 활동 정보로 활용 가능한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으로서, 의사의 고유 정보, 환자의 고유 정보, 의사의 관리 정보 및 환자의 건강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환자의 건강 정보 관리를 위해 의사 단말부와 환자 단말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의사의 고유 정보 및 환자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환자의 건강 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환자의 건강 정보는 접근 권한이 인증된 의사의 고유 정보와 매칭시켜 관리하며, 접근 권한이 인증된 의사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의사 단말부로부터 상기 매칭된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하여 의사의 관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환자 단말부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상기 의사의 고유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 및 관리하는 환자 포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으로서, 환자 포탈부 및 환자 단말부 중 어느 하나에 의사의 고유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환자 포탈부로부터 환자의 건강 정보 확인을 위한 접근 권한 인증이 요청되면, 환자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접근 권한이 인증된 환자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환자 단말부에 의사의 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환자 단말부로부터 전송되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환자의 건강 정보가 환자 포탈부에 의사의 고유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 및 표시되도록 관리하는 의사 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으로서, 환자 포탈부로 환자의 고유 정보 및 의사의 고유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의 건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의사의 고유 정보에 의한 접근 권한 인증의 요청과 승인을 수행하여 환자의 건강 정보와 의사의 고유정보가 매칭되도록 하고, 상기 접근 권한이 인증된 의사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의사 단말부가 환자 포탈부를 통해 전송하는 의사의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환자의 건강 정보를 입력받아 환자 포탈부로 전송하여 의사의 고유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환자 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환자의 건강 정보는 진료이력 정보, 처방 정보, 검사결과 정보, 라이프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의사의 관리 정보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질환별 체크 리스트 정보를 포함한 환자 관리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환자 포탈부는 환자의 고유 정보와 의사의 고유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의사 단말부와 환자 단말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의사의 고유 정보 및 환자의 고유 정보가 입력되면, 의사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의사 단말부를 통해 환자의 건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접근 권한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진료이력 정보, 처방 정보, 검사결과 정보, 라이프로그 정보를 포함한 환자별 건강 정보와, 접근 권한 인증에 따른 환자와 의사 사이의 매칭 정보를 관리하는 진료기록 관리부; 및 상기 의사의 고유 정보, 환자의 고유 정보, 의사의 관리 정보 및 환자의 건강 정보를 저장하고, 접근 권한이 인증된 의사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의사 단말부(200)로부터 매칭된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하여 의사의 관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환자 단말부(30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상기 의사의 고유 정보와 매칭시켜 의사의 관리 정보로 저장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환자 단말부는 환자 포탈부로부터 환자의 진료이력 정보, 처방 정보, 검사결과 정보 및 라이프로그 정보를 포함한 환자의 건강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환자 단말부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건강 정보는 환자 포탈부에 저장되고, 상기 입력된 환자의 건강 정보는 미리 설정된 포맷의 시각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의사 단말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환자 포탈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환자의 진료 이력 정보, 처방 정보, 검사결과 정보를 포함한 HIS의 데이터와, 의무기록 사본, 진료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서버는 병원 서버, HIS 제공자 서버, 보험사 서버, PHS 서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을 이용한 관리 방법은 a) 환자 포탈부가 환자의 건강 정보 확인을 위해 의사 단말부와 환자 단말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의사의 고유 정보 및 환자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환자 포탈부가 입력된 의사의 고유 정보 및 환자의 고유 정보의 접근 권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접근 권한이 인증 됨에 따라, 상기 환자 포탈부가 환자의 건강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이 인증된 의사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의사 단말부로부터 입력되는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환자 단말부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상기 의사의 고유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d) 상기 환자 포탈부가 환자의 고유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 서버로부터 환자의 진료 이력 정보, 처방 정보, 검사결과 정보를 포함한 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의 데이터와, 의무기록 사본, 진료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환자 중심에서 의료진 중심으로 시각을 변화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여 환자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의사의 관리 정보를 의료진의 연구 활동 정보로 활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의 건강 데이터와 진료 정보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관리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건강 데이터를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기관 간의 진료 정보 공유가 가능하여 환자가 전원시 발생되는 비용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의 환자 포탈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의 환자 포탈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은 환자 포탈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환자 포탈부(100)는 의사의 고유 정보, 환자의 고유 정보, 의사의 관리 정보 및 환자의 건강 정보를 관리하는 구성으로서,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및 공유를 위한 플랫폼 기반의 서버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환자 포탈부(100)는 의사의 고유 정보 및 환자의 고유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10)는 환자 포탈부(100)에 소정의 회원 가입과정을 통해 등록된 환자 및 의사의 고유 정보를 관리하는 구성으로서, 회원은 환자 회원(111)과 의사 회원(1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환자 회원(111)은 환자의 고유 정보, 예를 들면, 회원 가입 또는 SNS 계정 등을 통해 등록한 경우 부여되는 환자 아이디 및 고유 번호와, 병원 등에서 진료를수행하는 과정에서 발급된 환자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자 번호는 서로 다른 복수의 병원에서 부여될 수 있으므로, 여러 개의 환자 번호가 생성될 수 있고, 이때는 환자 아이디와 연동하여 통합 관리될 수 있다.
또한 환자 회원(111)은 본인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의사 회원(112)은 의사의 고유 정보, 예를 들면, 회원 가입 또는 SNS 계정 등을 통해 등록한 경우 부여되는 의사 아이디 및 고유 번호와, 특정 병원의 병원 정보 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과 연동된 의사의 경우 병원에서 발급한 직원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사 회원(112)은 본인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환자 포탈부(100)는 환자의 건강 정보 확인을 위해 의사 단말부(200)와 환자 단말부(3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의사의 고유 정보 및 환자의 고유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의사의 고유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 인증을 관리할 수 있고, 인증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증부(120)는 환자가 환자 단말부(300)를 통해 요청하는 환자의 건강 정보 확인을 위한 접근 권한 인증에 대한 요청과, 환자가 환자 단말부(300)를 통해 입력한 의사의 고유 정보에 대하여 접근 권한 인증을 수행한다.
즉, 인증부(120)는 환자가 의사에게 과거 환자의 건강 정보를 제공 또는 확인할 수 있도록 동의할 경우, 환자의 인증에 의한 승인을 통해 현재의 의사가 환자의 과거 건강 정보를 확인(또는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 권한을 인증한다.
접근 권한 인증과정은 환자 단말부(300)로부터 임의의 의사에 대한 고유 정보와, 해당 의사가 환자의 건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접근 권한 인증 요청이 입력되면, 인증부(120)는 입력된 의사의 고유 정보를 검색하여 의사의 고유 정보와 연동된 의사 단말부(200)로 환자의 고유 정보와 접근 권한 승인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인증부(120)는 의사 단말부(200)로부터 접근 권한 승인 확인 정보가 입력되면, 환자 단말부(300)로 접근 권한 최종 승인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인증부(120)는 환자 단말부(300)로부터 접근 권한 최종 확인 정보가 입력되면, 환자와 의사의 매칭 인증을 통해 의사 단말부(200)가 환자 포탈부(100)에 저장 또는 관리하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확인(또는 접근)할 수 있도록 의사 단말부(200)에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여기서, 환자의 건강 정보는 환자의 과거 진료 이력 정보, 처방 정보 및 검사결과 정보를 포함하고, 환자의 혈압, 혈당, 수면, 체중, 스트레스, 식이, 활동량, 체온 등에 대한 라이프로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건강 정보는 특정 병원에서의 진료 이력 정보, 처방 정보 및 검사결과 정보 뿐만 아니라, 다른 병원의 병원 정보 시스템 또는 병원 정보 시스테을 관리하는 프로바이더로부터 환자 포달부(100)가 제공받은 진료 이력 정보, 처방 정보, 검사결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건강 정보는 오픈 API를 통해 보험사나 PHS(Population Health System) 등에서 환자 포탈부(100)가 제공받는 의무기록 사본, 진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환자 포탈부(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병원 서버(400), 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 제공자 서버(500), 보험사 서버(600), PHS(Population Health System) 서버(700) 등의 외부 서버로부터 환자와 연동된 진료 이력 정보, 처방 정보, 검사결과 정보를 포함한 HIS 데이터와, 의무기록 사본, 진료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병원 서버(400)는 서로 다른 병원 정보 시스템을 사용하는 병원 서버1(410), 병원 서버 2(420) 내지 병원 서버 n(43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인증부(120)는 환자의 건강 정보 확인을 위해 의사 단말부(200)로부터 의사의 고유 정보 및 환자의 고유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환자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 단말부(300)로 접근 권한 인증 요청을 전송한다.
또한, 인증부(120)는 환자 단말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결과에 따라 입력된 의사의 고유 정보가 환자의 건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접근 권한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인증부(120)는 환자와 의사의 접근 권한 인증에 대하여 매회 접근 권한의 인증을 수행하거나, 또는 인증 후 일정 기간동안만 접근 권한을 허용하거나, 또는 1회 인증으로 추가 인증없이 접근 권한이 부여되도록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환자 포탈부(100)는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이 인증 됨에 따라, 의사 단말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환자 단말부(30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매칭시켜 관리할 수 있고, 진료기록 관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진료기록 관리부(130)는 환자별 진료이력 정보, 처방 정보, 검사결과 정보, 라이프로그 정보를 포함한 건강 정보의 변동 사항을 관리한다.
여기서 라이프로그 정보는 환자의 혈압, 혈당, 수면, 체중, 스트레스 등의 포함한 정보이다.
또한, 진료기록 관리부(130)는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 인증이 완료되면, 환자의 건강 정보를 의사 단말부(200) 또는 환자 단말부(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진료기록 관리부(130)는 환자와 환자의 건강 정보 확인이 가능한 의사 사이의 매칭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환자(또는 환자의 고유 정보)는 다수의 의사(또는 의사의 고유 정보)와 매칭될 수 있고, 의사(또는 의사의 고유 정보)는 다수의 환자(또는 환자의 고유 정보)와 매칭될 수도 있다.
또한, 진료기록 관리부(130)는 환자가 진료를 위해 병원을 방문할 경우, 의사가 의사 단말부(20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40) 또는 외부 서버 등에 저장된 환자의 건강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진료기록 관리부(130)는 검색된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하여 의사가 환자의 상황에 맞는 처방 및 권고 수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환자의 건강 정보를 수치 및 그래프 등의 시각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진료기록 관리부(130)는 접근 권한이 인증된 의사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의사 단말부(200)로부터 매칭된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하여 의사의 관리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환자 단말부(300)로부터 환자의 건강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환자의 건강 정보와 의사의 고유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도록 관리한다.
즉, 진료기록 관리부(130)는 특정 의사가 제공한 관리 정보에 대하여 환자가 입력하는 건강 정보를 매칭시키고, 매칭된 정보를 의사의 관리 정보로 저장 및 관리되도록 함으로써, 의료진 중심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환자의 건강 정보를 수치 및 그래프 등의 시각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환자와 의사 사이에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환자 포탈부(100)는 의사의 고유 정보, 환자의 고유 정보, 의사의 관리 정보 및 환자의 건강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환자의 고유 정보, 의사의 고유 정보, 환자의 건강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0)는 의사의 관리 정보로서, 의사 단말부(20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질환별 체크 리스트 정보를 포함한 환자 관리 데이터와, 입력된 환자 관리 데이터에 대응하여 환자 단말부(30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건강 관리 데이터를 환자의 건강 정보에 업데이트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0)는 접근 권한이 인증된 의사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의사 단말부(200)로부터 매칭된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하여 의사의 관리 정보가 입력되면,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환자 단말부(30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의사의 고유 정보와 매칭시켜 의사의 관리 정보로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환자 포탈 시스템은 의사의 고유 정보와 환자의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의사 단말부(200)와, 환자의 고유 정보와 환자의 건강 정보를 관리하는 환자 단말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의사 단말부(200)는 환자 포탈부(100) 및 환자 단말부(300) 중 어느 하나에 의사의 고유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의사 단말부(2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환자 포탈부(10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사 단말부(200)는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사 단말부(200)는 환자 포탈부(100)로부터 환자의 건강 정보 확인을 위한 접근 권한 인증이 요청되면, 인증을 수행하여 접근 권한이 인증된 환자 단말부(300)로 의사의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사 단말부(200)는 환자 포탈부(100)로부터 환자의 건강 정보 확인을 위한 접근 권한 인증이 요청되면, 환자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의사 단말부(200)는 접근 권한이 인증된 환자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환자 단말부(300)에 의사의 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환자 단말부(300)로부터 전송되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환자의 건강 정보가 환자 포탈부(100)에 의사의 고유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 및 표시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의사 단말부(200)는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환자 단말부(30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수신하여 시각화 데이터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의사 단말부(200)는 병원 서버(400)에 설치된 병원 정보 시스템(HIS)을 통해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의사 단말부(200)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 하고, 환자의 혈압, 혈당, 수면, 체중, 스트레스, 식이, 활동량, 체온 등과, 환자의 질환별 체크 리스트 정보를 포함한 환자 관리 데이터가 환자 포탈부(100)에 업로드 되도록 하여 환자 단말부(300)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의사 단말부(200)를 통해 의사가 설정한 환자의 관리 항목과, 기준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는 제공된 환자 관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를 의사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환자의 질환별 체크 리스트 정보는 의사 또는 의료진이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신의 환자 관리를 위해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의사의 관리 정보는 의사 또는 의료진이 입력하는 체크 리스트 정보가 향후 진료 시 활용될 수 있어서, 진료 시간을 단축시키거나 또는 진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의사의 관리 정보는 의사 또는 의료진이 입력하는 체크 리스트 정보가 환자의 축적된 라이프로그와 진료 정보에 반영됨으로써, 연구 목적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의사의 관리 정보는 의사 또는 의료진이 관심을 갖는 질병 등에 대하여 다른 의사 또는 의료진의 의료 연구 정보, 체크 리스트 정보 등을 조회하거나 또는 일정 금액으로 구매하여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의사 단말부(200)는 환자가 진료를 위해 의사를 방문했을 때 발생되는 진료 정보, 처방 정보, 검사결과 정보 등을 환자 포탈부(100), 병원 서버(400)에 저장되도록 한다.
환자 단말부(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 포탈부(100)와 접속하여 환자의 고유 정보, 의사의 고유 정보, 환자의 건강 정보 등을 환자 포탈부(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자 단말부(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환자 포탈부(10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자 단말부(300)는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자 단말부(300)는 SNS 계정을 이용하여 일반 포탈 사이트를 통해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환자 단말부(300)는 특정 의사에 대하여 해당 환자의 건강 정보 확인이 가능하도록 접근 권한 인증 요청과, 그에 따른 접근 권한 승인을 위해 최종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환자 단말부(300)는 접근 권한이 인증된 의사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의사 단말부(200)가 환자 포탈부(100)를 통해 전송하는 의사의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환자 단말부(300)는 수신된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환자의 건강 정보를 입력받아 환자 포탈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환자 단말부(300)로부터 전송된 환자의 건강 정보는 의사의 고유 정보와 매칭되어 환자 포탈부(100)에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환자 단말부(300)는 환자 포탈부(100)로부터 해당 환자의 건강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고, 의사 단말부(200)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환자에 대한 환자 관리 데이터를 포함한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하여 대응하는 체크 리스트 정보를 입력한 환자의 건강 정보를 환자 포탈부(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환자가 의사의 진료를 받기 위해 병원에 방문하면, 의사는 진료 과정에서 환자에게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의사 단말부(200)를 통해 환자 포탈부(100)에서 환자 검색(S100)을 수행한다.
S100 단계의 환자 검색 결과, 환자 포탈부(100)로부터 환자의 고유 정보가 검색되면, 의사 단말부(200)를 통해 의사의 고유 정보가 환자 단말부(300)로 전송(S110)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의사 단말부(200)는 의사의 고유 정보를 환자 포탈부(100)를 통해 환자 단말부(300)에 전송되게 할 수도 있다.
환자의 고유 정보는 환자가 환자 포탈부(100)에 가입한 회원의 고유 정보이거나 SNS 계정 등과 연동된 포탈 사이트의 회원 고유 정보일 수 있다.
한편, S100 단계에서 환자의 고유 정보가 검색되지 않으면, 의사는 환자가 환자 포탈부(100)에 회원 가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환자 단말부(300)에 의사의 고유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환자 단말부(300)가 환자 포탈부(100)로 로그인을 위한 환자의 고유 정보와, 환자의 건강 정보 확인을 위해 의사의 고유 정보와 접근 권한 인증 요청 정보를 전송(S120)한다.
환자 포탈부(100)는 S120 단계에서 전송된 의사의 고유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의사의 고유 정보와 연동된 의사 단말부(200)를 검색하고, 검색된 의사 단말부(200)로 환자의 건강 정보 확인을 위한 접근 권한 승인 요청 정보와 환자의 고유 정보를 전송(S130)한다.
S130 단계에서 전송된 정보에 대하여 환자 포탈부(100)가 의사 단말부(200)로부터 접근 권한 승인 확인 정보를 수신(S140)하면, 환자 포탈부(100)는 의사 단말부(200)로부터 입력된 접근 권한 승인 확인에 대하여 접근 권한 최종 승인 정보를 환자 단말부(300)로 전송(S150)한다.
환자 포탈부(100)가 환자 단말부(300)로부터 최종 승인 확인에 대한 정보를 수신(S160)하면, 의사가 환자의 건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의사와 환자의 매칭에 따른 인증 완료 정보를 의사 단말부(20)로 전송(S170)한다.
이후, S170 단계에서 의사가 환자의 건강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의사는 의사 단말부(200)를 통해 환자 포탈부(100)에 저장된 환자의 건강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
계속해서, 의사 단말부(200)는 환자의 건강 정보 확인을 통해 환자의 건강을 모니터링 하고, 의사의 관리 정보로서 환자의 혈압, 혈당, 수면, 체중, 스트레스, 식이, 활동량, 체온 등과, 환자의 질환별 체크 리스트 정보를 포함한 환자 관리 데이터를 환자 포탈부(100)에 입력(S180)한다.
환자 포탈부(100)는 S180 단계에서 입력된 의사의 환자 관리 데이터를 환자 단말부(300)로 제공(S190)한다.
환자 단말부(300)는 S190 단계에서 제공된 환자 관리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환자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환자 관리 데이터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환자 데이터 정보를 환자 포탈부(100)로 전송(S200)한다.
환자 포탈부(100)는 S200 단계에서 수신된 환자 데이터(건강 정보, 체크리스트 정보 등)를 의사의 고유 정보와 매칭시켜 의사의 관리 정보로 저장되도록 하고, S200 단계에서 수신된 환자 데이터는 의사 단말부(200)로 전송(S210)하며, 의사 단말부(200)로부터 피드백 데이터가 입력(S220)되면, 피드백된 데이터를 환자 단말부(300)로 전송(S230)한다.
또한, S180 단계 내지 S230 단계를 통해 환자는 자신의 건강상태를 기록 및 확인할 수 있고, 의사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모니터링 한 다음, 추후 진료시 환자의 건강 상태에 맞는 처방과 권고 수치 등을 제공할 수 있어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축적된 환자의 라이프로그와 진료 정보는 의사 및 의료진의 연구 목적으로 활용 가능하고,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환자를 관리하기 위한 질환별 체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질환별 체크 리스트는 향후, 진료시 활용될 수 있고, 이는 진료시간을 단축시키거나 진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의사의 의료 연구 정보 및 체크 리스트의 조회에 대한 과금을 통해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병원에 국한되지 않고, 타 병원 및 의료기간에서 제공하는 환자의 과거 진료 이력 및 병력의 확인을 통해 해당 질병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동일한 검사 및 시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사는 언제 어디서나 환자의 진료 정보 및 건강 상태를 조회하여 진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환자는 병원 및 각종 의료기관에 분산된 자신의 건강 정보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조회함으로써, 진료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환자 포탈부
110 : 회원 관리부
111 : 환자 회원
112 : 의사 회원
120 : 인증부
130 : 진료기록 관리부
140 : 데이터베이스
200 : 의사 단말부
300 : 환자 단말부
400 : 병원 서버
410 : 병원 서버 1
420 : 병원 서버 2
430 : 병원 서버 n
500 : HIS 제공자 서버
600 : 보험사 서버
700 : PHS 서버

Claims (12)

  1. 의사의 고유 정보, 환자의 고유 정보, 의사의 관리 정보 및 환자의 건강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환자의 건강 정보 관리를 위해 의사 단말부(200)와 환자 단말부(3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의사의 고유 정보 및 환자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환자의 건강 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환자의 건강 정보는 접근 권한이 인증된 의사의 고유 정보와 매칭시켜 관리하며,
    접근 권한이 인증된 의사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의사 단말부(200)로부터 상기 매칭된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하여 의사의 관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환자 단말부(30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상기 의사의 고유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 및 관리하는 환자 포탈부(100);를 구비한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2. 환자 포탈부(100) 및 환자 단말부(300) 중 어느 하나에 의사의 고유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환자 포탈부(100)로부터 환자의 건강 정보 확인을 위한 접근 권한 인증이 요청되면, 환자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접근 권한이 인증된 환자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환자 단말부(300)에 의사의 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환자 단말부(300)로부터 전송되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환자의 건강 정보가 환자 포탈부(100)에 의사의 고유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 및 표시되도록 관리하는 의사 단말부(200)를 포함하는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3. 환자 포탈부(100)로 환자의 고유 정보 및 의사의 고유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의 건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의사의 고유 정보에 의한 접근 권한 인증의 요청과 승인을 수행하여 환자의 건강 정보와 의사의 고유정보가 매칭되도록 하고,
    상기 접근 권한이 인증된 의사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의사 단말부(200)가 환자 포탈부(100)를 통해 전송하는 의사의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환자의 건강 정보를 입력받아 환자 포탈부(100)로 전송하여 의사의 고유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환자 단말부(300)를 포함하는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건강 정보는 진료이력 정보, 처방 정보, 검사결과 정보, 라이프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의 관리 정보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질환별 체크 리스트 정보를 포함한 환자 관리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포탈부(100)는 환자의 고유 정보와 의사의 고유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110);
    상기 의사 단말부(200)와 환자 단말부(3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의사의 고유 정보 및 환자의 고유 정보가 입력되면, 의사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의사 단말부(200)를 통해 환자의 건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접근 권한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120);
    진료이력 정보, 처방 정보, 검사결과 정보, 라이프로그 정보를 포함한 환자별 건강 정보와, 접근 권한 인증에 따른 환자와 의사 사이의 매칭 정보를 관리하는 진료기록 관리부(130); 및
    상기 의사의 고유 정보, 환자의 고유 정보, 의사의 관리 정보 및 환자의 건강 정보를 저장하고, 접근 권한이 인증된 의사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의사 단말부(200)로부터 매칭된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하여 의사의 관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환자 단말부(30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상기 의사의 고유 정보와 매칭시켜 의사의 관리 정보로 저장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1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단말부(300)는 환자 포탈부(100)로부터 환자의 진료이력 정보, 처방 정보, 검사결과 정보 및 라이프로그 정보를 포함한 환자의 건강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환자 단말부(30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건강 정보는 환자 포탈부(100)에 저장되고, 상기 입력된 환자의 건강 정보는 미리 설정된 포맷의 시각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의사 단말부(2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포탈부(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환자의 진료 이력 정보, 처방 정보, 검사결과 정보를 포함한 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의 데이터와, 의무기록 사본, 진료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는 병원 서버(400), 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 제공자 서버(500), 보험사 서버(600), PHS(Population Health System) 서버(700)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11. a) 환자 포탈부(100)가 환자의 건강 정보 확인을 위해 의사 단말부(200)와 환자 단말부(3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의사의 고유 정보 및 환자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환자 포탈부(100)가 입력된 의사의 고유 정보 및 환자의 고유 정보의 접근 권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접근 권한이 인증 됨에 따라, 상기 환자 포탈부(100)가 환자의 건강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이 인증된 의사의 고유 정보에 기반한 의사 단말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의사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환자 단말부(30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건강 정보를 상기 의사의 고유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을 이용한 관리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d) 상기 환자 포탈부(100)가 환자의 고유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 서버로부터 환자의 진료 이력 정보, 처방 정보, 검사결과 정보를 포함한 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의 데이터와, 의무기록 사본, 진료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을 이용한 관리 방법.
KR1020190155922A 2019-06-26 2019-11-28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2523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666 2019-06-26
KR20190076666 2019-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850A true KR20210001850A (ko) 2021-01-06
KR102523227B1 KR102523227B1 (ko) 2023-04-21

Family

ID=7412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922A KR102523227B1 (ko) 2019-06-26 2019-11-28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22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884A (ko) * 2000-04-25 2001-11-08 박용남 환자와 의사간의 상호 인증을 통한 인터넷 기반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137194A (ko) * 2010-06-16 2011-12-22 주식회사 셀런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49697A (ko) * 2010-11-09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진료장치 및 원격진료방법
KR20120076695A (ko) * 2011-12-02 2012-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KR20120076559A (ko) * 2010-12-01 2012-07-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개인 건강 기록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82041A (ko) * 2010-10-21 2012-07-23 제이예스주식회사 의료정보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과 의료정보 제공서버 및 단말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60037024A (ko) * 2014-09-26 201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기반으로 의료 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135332A (ko)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공인기관에 의한 의료기록 관리 및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962541B1 (ko) * 2017-08-17 2019-03-26 주식회사 유비케어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884A (ko) * 2000-04-25 2001-11-08 박용남 환자와 의사간의 상호 인증을 통한 인터넷 기반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137194A (ko) * 2010-06-16 2011-12-22 주식회사 셀런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82041A (ko) * 2010-10-21 2012-07-23 제이예스주식회사 의료정보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과 의료정보 제공서버 및 단말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20049697A (ko) * 2010-11-09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진료장치 및 원격진료방법
KR20120076559A (ko) * 2010-12-01 2012-07-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개인 건강 기록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76695A (ko) * 2011-12-02 2012-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KR20160037024A (ko) * 2014-09-26 201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기반으로 의료 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135332A (ko)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공인기관에 의한 의료기록 관리 및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962541B1 (ko) * 2017-08-17 2019-03-26 주식회사 유비케어 의료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227B1 (ko)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3310B2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health care data
US8260635B2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health care data
US8321239B2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health care data
US8639531B2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health care data
US201301979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health data record
US201000823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connected Personalized Digital Health Services
US200601845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data analysis, performance estimation and data model creation
US20020016923A1 (en) Broadband computer-based networked systems for control and management of medical records
US8346575B2 (en) System and methods of automated patient check-in, scheduling and prepayment
KR102523227B1 (ko)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WO2022075834A1 (en) A system for virtual health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