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196A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using corneal image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using corneal imag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196A
KR20200144196A KR1020190071699A KR20190071699A KR20200144196A KR 20200144196 A KR20200144196 A KR 20200144196A KR 1020190071699 A KR1020190071699 A KR 1020190071699A KR 20190071699 A KR20190071699 A KR 20190071699A KR 20200144196 A KR20200144196 A KR 20200144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roviding
user
image
visual feed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6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드미트리 시돈렌코
안드리 보가첸코
로만 쿠시니렌코
스비틀라나 알키모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1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4196A/en
Priority to PCT/KR2020/007427 priority patent/WO2020256325A1/en
Priority to US16/903,624 priority patent/US11335090B2/en
Publication of KR20200144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1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06T7/75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involving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06V10/443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by matching or fil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10Terrestrial sce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2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3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4Warning ind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G06T2207/10021Stereoscopic video; Stereoscopic image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4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41Eye; Retina; Ophthalm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camera; a display; a memory;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camera, display, and memory. The memory, when the processor is executed, includes an instruction for performing: reception of image data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body obtained from the camera; extraction of a cornea area of an eye from the image data; acquisition of surrounding information formed in the extracted corneal area; recognition of at least one object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and provision of providing visual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object through a display.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각막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기능 제공 방법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USING CORNEAL IMAGE THEREOF}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providing functions of electronic devices using corneal image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USING CORNEAL IMAGE THEREOF}

본 문서는 전자 장치에 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이용해 이미지 데이터를 촬영하고,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눈에 의해 반사되는 영역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기능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document is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photographing image data using a camera, extracting the area reflected by the user's eyes from the acquired image data, and providing various functions using this. It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function of a device.

이동통신 기술 및 프로세서 기술의 발달에 따라 휴대용 단말 장치(이하, 전자 장치)는 종래의 통화 기능에서 나아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인터넷 브라우저, 게임,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어 전자 장치 상에서 활용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processor technology, portable terminal devices (hereinafter, electronic devices) are able to implement various applications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call function. For example,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Internet browsers, games, and multimedia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on electronic devices.

전자 장치는 휴대성을 위해 그 크기가 제한될 수 밖에 없고, 어플리케이션들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도 대형화 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해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The siz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evitably limited for portability, and it is difficult to enlarge the display for displaying the screens of applications. Accordingly, the user needs to look at the small-sized display in order to use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사용자는 이동 중, 식사 중 또는 미팅 중 다양한 상황에서 전자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주시하게 됨에 따라 주변의 많은 정보는 놓칠 수 있다.The user can use the electronic device in various situations while on the move, during a meal, or during a meeting. At this time, as the user watches the electronic device, a lot of information in the surrounding area may be missed.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주시하는 경우에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When the user watches the electronic devi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the user.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해 사용자의 각막에 형성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are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cquiring an image formed on a user's cornea using a camera of an electronic device and providing various functions therefrom, and a method of providing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상기,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눈의 각막(cornea)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막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변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및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 camera; display; Memory;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camera, a display, and a memory, wherein the memory stores image data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a user's body obtained from the camera when the processor is executed. Receive, extract the cornea area of the eye from the image data, obtain surrounding information formed in the extracted cornea area, recognize at least one object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and correspond to the recognized object Instructions for providing visual feedback to the display through the display may be includ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제공 방법은, 카메라를 이용해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눈의 각막(cornea) 영역을 추출하는 동작; 상기 추출된 각막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주변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providing a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cquiring image data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a user's body using a camera; Extracting a cornea area of the eye from the image data; Acquiring surrounding information formed on the extracted corneal region; Recognizing at least one object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And providing visual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object through a display.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해 사용자의 각막에 형성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cquiring an image formed on a user's cornea using a camera of an electronic device, and providing various functions therefrom, and a method of providing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provided.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내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주시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에 형성된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의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눈의 각막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획득된 각막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8는 양 눈의 각막에 형성된 이미지를 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형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은 사용자가 눈에 안경을 착용한 경우 안경에 형성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 내지 17은 전자 장치가 각막에 형성된 이미지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an electronic device in a networ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2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mage formed on the user's eyes when the user gazes at the electronic device.
3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function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ethod of extracting a user's eye area from an acquired image.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ethod of extracting a corneal region of an eye from an acquired image.
7 shows a histogram of the acquired corneal image.
8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of forming a panoramic image by combining images formed on the cornea of both eyes.
9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ethod of obtaining an image formed on glasses when a user wears glasses on their eyes.
10A and 10B illustrate visual feedback provided by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11 to 17 illustrate examples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provides various functions to a user using an image formed on a cornea.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101 in a network environment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Referring to FIG. 1, in a network environment 100, the electronic device 101 communicates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2 through a first network 198 (for examp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second network 199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4 or the server 108 through (eg, a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4 through the server 108.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1 includes a processor 120, a memory 130, an input device 150, an audio output device 155, a display device 160, an audio module 170, and a sensor module ( 176, interface 177, haptic module 179, camera module 180, power management module 188, battery 189, communication module 190,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96, or antenna module 197 ) Can be included. In some embodiments, at least one of these components (eg, the display device 160 or the camera module 180)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may be add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In some embodiments, some of thes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tegrated circuit. For example, the sensor module 176 (eg, a fingerprint sensor, an iris sensor, or an illuminance sensor) may be implemented while being embedded in the display device 160 (eg, a display).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for example, executes software (eg, a program 140) to implement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eg, a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connected to the processor 120. It can be controlled and can perform various data processing or ope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at least part of data processing or operation, the processor 120 may store commands or data received from other components (eg, the sensor module 176 or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to the volatile memory 132. The command or data stored in the volatile memory 132 may be processed, and result data may be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134.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20 includes a main processor 121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n application processor), and a secondary processor 123 (eg, a graphic processing unit, an image signal processor) that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or together with the main processor 121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n application processor). , A sensor hub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coprocessor 123 may be set to use less power than the main processor 121 or to be specialized for a designated function. The secondary processor 123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main processor 121 or as a part thereof.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The coprocessor 123 is, for example, on behalf of the main processor 121 while the main processor 121 is in an inactive (eg, sleep) state, or the main processor 121 is active (eg, an application is executed). ) While in the state, together with the main processor 121,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60, the sensor module 176, or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It is possible to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s or states related 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processor 123 (eg, an image signal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part of another functionally related component (eg, the camera module 180 or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have.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30 may store various data used by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eg, the processor 120 or the sensor module 176). The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software (eg, the program 140) and input data or output data for commands related thereto. The memory 130 may include a volatile memory 132 or a nonvolatile memory 134.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gram 140 may be stored as software in the memory 13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operating system 142, middleware 144, or an application 146.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device 150 may receive a command or data to be used for a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eg, the processor 120) from an outside (eg, a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The input device 150 may include, for example, a microphone, a mouse, a keyboard, or a digital pen (eg, a stylus pen).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device 155 may output an sound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The sound output device 155 may include, for example, a speaker or a receiver. The speaker can be used for general purposes such as multimedia playback or recording playback, and the receiver can be used to receive incoming call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ceive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speaker or as part of it.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60 may visually provide information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eg, a user). The display device 160 may include, for example, a display, a hologram device, or a projector and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60 may include a touch circuitry set to sense a touch, or a sensor circuit (eg, a pressure sensor) set to measure the strength of a force generated by the touch. have.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module 170 may convert sound into an electric signal or, conversely, convert an electric signal into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udio module 170 acquires sound through the input device 150, the sound output device 155, or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directly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Sound may be output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102) (for example, a speaker or headphones).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176 detects an operating state (eg, power or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or an external environmental state (eg, a user state),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or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tate. can d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or module 176 may include, for example, a gesture sensor, a gyro sensor, an atmospheric pressure sensor, a 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rip sensor, a proximity sensor, a color sensor, an IR (infrared) sensor, a biometric sensor, It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or an illuminance sensor.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177 may support one or more designated protocols that may be used for the electronic device 101 to connect directly or wirelessly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terface 177 may include, for example,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 universal serial bus (USB) interface, an SD card interface, or an audio interface.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178 may include a connector through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1 can be phys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nection terminal 178 may include, for example, an HDMI connector, a USB connector, an SD card connector, or an audio connector (eg, a headphone connector).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79 may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a mechanical stimulus (eg, vibration or movement) or an electrical stimulus that a user can perceive through a tactile or motor sen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aptic module 179 may include, for example, a motor, a piezoelectric element, or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180 may capture a still image and a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amera module 180 may include one or more lenses, image sensors, image signal processors, or flashes.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power management module 188 may manag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wer management module 388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t least a part of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189 may supply power to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ttery 189 may include, for example, a non-rechargeable primary cell, a rechargeable secondary cell, or a fuel cell.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is a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channe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1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electronic device 102, electronic device 104, or server 108). It is possible to support establishment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processor 120 (eg, an application processor), and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cessors that support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194 (eg : A LAN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included. Among these communication modules,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is a first network 198 (for example,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Fi direct or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or a second network 199 (for example, a cellular network, the Internet, or It can communicate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rough a computer network (for example, a tele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LAN or WAN). Thes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eg, a single chip), or may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separate components (eg, multiple chip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uses subscriber information (e.g.,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er (IMSI)) stored in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96 in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first network 198 or the second network 199. The electronic device 101 can be checked and authenticated.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The antenna module 197 may transmit a signal or power to the outside (e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or receive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ntenna module may include one antenna including a conductor formed on a substrate (eg, a PCB) or a radiator formed of a conductiv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ntenna module 197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tennas. In this case, at least one antenna suitable for a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first network 198 or the second network 199 is, for example, provid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from the plurality of antennas. Can be chosen. The signal or power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at least one selected antenna.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ther components (eg, RFIC) other than the radiator may be additionally formed as part of the antenna module 197.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e.g., a bus, 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GPIO), 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or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between peripheral devices and signals ( E.g. commands or data)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mands or data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1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104 through the server 108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199.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102 and 104 may be a device of the same or different type as the electronic device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all or part of the operations execut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be executed by one or mor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2, 104, or 108.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1 needs to perform a function or service automatically or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 user or another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101 does not execute the function or service by itself. In addition o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quest one or mor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o perform the function or at least part of the service. One or mor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receiving the request may execute at least a part of the requested function or service, or an additional function or service related to the request, and transmit the execution result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process the result as it is or additionally and provide it as at least a part of a response to the request. To this end, for example, cloud computing, distributed computing, or client-server computing technology may be used.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devices of various types.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g, a smart phone), a computer device,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 portable medical device, a camera, a wearable device, or a home appliance.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ocu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evices.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and terms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of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The singular form of a noun corresponding to an item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the items unless clearly indicated otherwise in a related context. In this document,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Each of phrases such as "at least one of, B, or C" may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phrases, or all possible combinations there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be used simply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components may be referred to in other aspects (eg, importance or Order) is not limited. Some (eg, first)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When mentioned, it means that any of the above components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s directly (eg by wire), wirelessly, or via a third component.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term "module" used in this document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logic, logic blocks, parts, or circuits. The module may be an integrally configured component or a minimum unit of the component or a part thereof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internal memory 136 or external memory 138) readable by a machine (eg, electronic device 101). It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for example, the program 140) including them. For example, the processor (eg, the processor 120) of the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call and execute at least one command among one or more commands stored from a storage medium. 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 device to be operated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according to the at least one command invoked.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code executable by an interpreter.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ere,'non-transient' onl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a signal (e.g., electromagnetic wave), and this term refers to the case where data is semi-permanently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emporary storage cases.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document may be provided by being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er program products can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Computer program products ar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TM) or two user devices (e.g.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between, e.g. smartphones).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generated in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such as a server of a manufacturer, a server of an application store, or a memory of a relay server.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component (eg, module or program)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ular number or a plurality of entiti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components or operations among the above-described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a plurality of components (eg, a module or a program)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In this case,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n the same or similar to that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among the plurality of components prior to the integration.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are sequentially, parallel, repeatedly, or heuristically executed, or one or more of the above operations ar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r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actions may be added.

도 2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주시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에 형성된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2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mage formed on the user's eyes when the user gazes at the electronic devic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예: 인터넷, 게임, 멀티미디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200 (eg, th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includes a display (eg, the display device 160 of FIG. 1 ), and provides various functions (eg, : Internet, games, multimedia, etc.) can be provided.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되는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주시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의 시야각이 좁아지기 때문에 주변의 다른 환경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보 이동 중에 멀티미디어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이동 방향에 위치한 장애물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The user may look at the display to check the functions implemented on the display. In this case, since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is narrowed, other surrounding environments may not be recognized. For example, when a user is watching multimedia while walking, he or she may not be able to recognize an obstacle locat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를 주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 사람 등 주변 정보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절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is looking at the electronic device 200, surrounding information such as an obstacle or a person located in the front can be checked, and appropriate visual feedback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ccordingly.

각막(295)은 안구 앞쪽 표면에 있는 투명하고 혈관이 없는 조직으로써, 눈(29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빛을 통과 굴절시켜 시신경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각막(295)은 빛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 시키기 때문에, 각막(295)에는 외부의 정보가 투영될 수 있다.The cornea 295 is a transparent, blood vessel-free tissu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yeball, and protects the eye 290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s light to the optic nerve by refracting through it. Since the cornea 295 reflects at least a portion of light, external information may be projected onto the cornea 295.

또한, 각막(295)에는 사용자가 주시하는 시야각보다 넓은 화각의 정보가 투영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주시하지 않는 영역의 이미지도 각막(295)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nformation of a wider field of view than the user's gaze is projected onto the cornea 295, an image of a region that the user does not gaze may also be formed on the cornea 295.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200)의 전면에 배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를 주시하는 사용자의 눈(290)을 촬영하고, 그로부터 각막(295)에 형성된 주변 정보(295)를 획득하여 주변 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capture a user's eye 290 looking at the electronic device 200 using a camera disposed in front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surrounding information 295 formed on the cornea 295 therefrom. ) Can be obtained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surrounding information.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을 참조 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310), 카메라(320), 센서(330), 프로세서(340) 및 메모리(3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생략 또는 치환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구성 및/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n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a display 310, a camera 320, a sensor 330, a processor 340, and a memory 350. Some of them may be omitted or substituted. The electronic device 300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configuration and/or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전자 장치(300)는 하우징(housing)(미도시) 내에 각 구성을 수용할 수 있고, 외부로 빛을 출력 하는 구성(예: 디스플레이(310)) 및/또는 외부의 빛을 수신하는(예: 카메라(320)) 구성은 그 일부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 may accommodate each component in a housing (not shown), a component that outputs light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display 310) and/or receives external light (for exampl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320, a part thereof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10)는 영상을 표시하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방식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0)는 도 1의 표시 장치(160)의 구성 및/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0)는 전자 장치(300)의 하우징의 일부(예: 전면의 BM 영역)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display 310 displays an image, and may be implemented in one of a variety of way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 The display 310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configuration and/or functions of the display device 160 of FIG. 1. The display 3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part of the housing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eg, a front BM area).

디스플레이(310)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써, 사용자의 손가락(또는 다른 신체 일부)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터치 또는 호버링(hovering)(또는 근접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The display 310 is a touch screen display and may sense a touch or hovering (or proximity touch) input by a user's finger (or other body part) or a stylus pe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320)는 외부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32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 다양한 방식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하우징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배치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다른 설명이 없는 한 사용자의 눈의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는 전면의 카메라를 이용해 획득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amera 320 may acquire external image data. The camera 320 may acquire image data using various types of image sensors such as a charge coupled device (CCD) and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The electronic device may arrange one or more cameras on the front side and/or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and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described, image data including a region of the user's eye may be obtained using the front camera.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50)는 공지의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및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현 예에 있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350)는 도 1의 메모리의 구성 및/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50)는 도 1의 프로그램(140)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memory 350 may include known volatile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and is not limited in specific implementation examples. The memory 350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configuration and/or functions of the memory of FIG. 1. Also, the memory 350 may store at least a part of the program 140 of FIG. 1.

메모리(350)는 작동적으로(operatively) 및/또는 전기적으로(electrically) 프로세서(34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340)에서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스트럭션들은 프로세서(34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산술 및 논리 연산, 데이터 이동, 입출력 등의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350 is operatively and/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340 and may store various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by the processor 340. Such instructions may include control instructions such as arithmetic and logical operations, data movement, input/output, etc.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processor 340.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전자 장치(300)의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써, 도 1의 프로세서(120)의 구성 및/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디스플레이(310), 센서(330), 메모리(350) 등 전자 장치(300)의 내부 구성요소와 작동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is a component capable of performing an operation or data processing related to control and/or communic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ocessor 120 of FIG. / Or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s. The processor 340 may be operatively and/or electrically connected to internal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such as the display 310, the sensor 330, and the memory 350.

프로세서(340)가 전자 장치(300) 내에서 구현할 수 있는 연산 및 데이터 처리 기능에는 한정됨이 없을 것이나, 본 문서에서는 사용자의 각막에 형성된 주변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해 디스플레이(310) 상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할 프로세서(340)의 동작들은 메모리(35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로딩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There will be no limit to the computational and data processing functions that the processor 340 can implement in the electronic device 300, but in this document, the surrounding information formed on the user's cornea is acquired, and visual feedback on the display 310 is used. Various embodiments for providing a will be described. Operations of the processor 34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erformed by loading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350.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카메라(320)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데이터는 사람의 눈의 영역을 포함하며, 눈의 각막(예: 도 2의 각막(295))에 형성된 주변 정보(예: 도 2의 주변 정보(28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하우징의 전면 및 후면에 복수의 카메라(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면에 배치된 카메라(320)를 이용해 눈의 영역으르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may acquire image data using an image sensor of the camera 320. In this case, the image data includes a region of the human eye, and may include surrounding information (eg, surrounding information 280 in FIG. 2) formed on the cornea of the eye (eg, cornea 295 in FIG. 2 ). . The electronic device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s 320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and image data including an eye area may be obtained using the camera 320 disposed on the front sid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눈의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가 사용자의 눈의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에는 한정됨이 없으나,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비올라-존스 검출 알고리즘(Viola-Jones detection algorithm), non-skin 검출 알고리즘 등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해 이미지 데이터에서 눈의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가 눈의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may extract a user's eye area from the acquired image data. There is no limitation on how the processor 340 extracts the user's eye area, but for example, the processor 340 uses various algorithms such as a Viola-Jones detection algorithm and a non-skin detection algorithm. The eye area can be extracted from the image data. A method of extracting the eye area by the processor 3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추출된 사용자의 눈의 영역에서 각막(cornea)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각막은 빛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 시키기 때문에, 각막에 외부 정보가 투영될 수 있고, 각막에는 사용자가 주시하는 시야각보다 넓은 화각의 정보가 투영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주시하지 않는 영역의 이미지도 각막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may extract a cornea area from the extracted user's eye area. Because the cornea reflects at least part of the light, external information can be projected onto the cornea, and since information of a wider field of view than the user's viewing angle is projected onto the cornea, an image of an area that the user is not looking at is also formed on the cornea Can b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검출된 눈의 영역에서 눈의 중심에 위치하는 동공(pupil)을 추출하고, 동공을 중심으로 하는 타원으로 형성된 각막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가 각막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6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may extract a pupil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eye from the detected eye region, and detect a corneal region formed as an ellipse centered on the pupil. A method of extracting the corneal region by the processor 3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각막 영역에 형성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각막 영역에 형성된 이미지 정보에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눈썹(eyelash)이 연장되어 각막 영역의 이미지에 포함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340)는 이와 같이 픽셀 분석을 통해 속눈썹 등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may obtain image information formed in the corneal region. The processor 340 may remove noise from image information formed in the corneal region. For example, eyelashes may be extended to be included in the image of the corneal region, and the processor 340 may remove noise such as eyelashes through pixel analysis as described above.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정보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주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주변 정보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위치하는 다양한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장치(300)를 주시하고 있는 경우, 각막 이미지에는 전자 장치(300)의 화면이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람, 장애물 등 다양한 오브젝트가 포함될 수 있다.The processor 340 may obtain surrounding information by removing noise from the image information. The surrounding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objects positioned in the user's gaze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looking at the electronic device 300, the corneal image may include a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and various objects such as a person and an obstacle located in front of the user may be includ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카메라(320)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gaze) 방향(또는 위치)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feature-based gaze estimation, model-based gaze estimation, iris tracking using the 3D eye model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may determine a gaze direction (or location) of the user based on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camera 320. For example, the processor 340 may determine the user's gaze direction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feature-based gaze estimation, model-based gaze estimation, iris tracking using the 3D eye model.

여기서, feature-based gaze estimation은 눈의 형태 및 얼굴의 방향(또는 head pose)와 같은 보조 정보와 맵핑되는 핸드 크래프트(hand-craft) 피처 벡터에 대한 기하학적 고려(geometric consideration)을 이용하여 시선 방향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Here, the feature-based gaze estimation uses geometric consideration for hand-craft feature vectors mapped with auxiliary information such as eye shape and face direction (or head pose) to determine the gaze direction. This is how to detect.

Model-based gaze estimation는 눈알(eyeball)의 중심과 반경을 고려한 3D 모델 기반으로 시각 축(visual axis) 및 광 축(axis)을 결정하여 시선 방향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Model-based gaze estimation is a method of detecting a gaze direction by determining a visual axis and an optical axis based on a 3D model that considers the center and radius of an eyeball.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기초하여 후술할 시각적 피드백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300)의 디스플레이(310)를 주시하고 있는 경우에 각막 이미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피드백(visual feedback)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may determine whether to output visual feedback,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ased on the user's gaze direction. For example, the processor 340 may output visual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corneal image when the user is looking at the display 310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각막 이미지로부터 주변의 광원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각막 이미지 상에 형성된 왜곡(distortion)을 보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may detect a direction of a surrounding light source from a corneal imag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may correct distortion formed on a corneal imag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카메라(320)에서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2개의 눈 중 적어도 하나의 각막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2개의 눈 중 적어도 하나의 각막(cornea) 영역을 추출하고, 각각 추출된 각막 영역에 대해 주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may extract at least one corneal region of the user's two eyes from image data acquired by the camera 320. More specifically, the processor 340 may extract at least one cornea region among the two eyes from the image data, and obtain surrounding information for each extracted cornea region.

프로세서(340)는 적어도 하나의 각막 영역에서 획득된 주변 정보를 하나로 결합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가 적어도 하나의 각막 이미지의 주변 정보를 하나로 결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8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processor 340 may combine surrounding information acquired from at least one corneal region into one. A method in which the processor 340 combines the surround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corneal image into on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각막 이미지에서 획득된 주변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다. 각막에는 사용자가 주시하는 시야각보다 넓은 화각의 정보가 투영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자 장치(300)를 주시하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한 다양한 오브젝트들의 이미지가 각막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may recognize at least one object from surrounding information acquired from a corneal image. Since information of a wider field of view than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is projected onto the cornea, even when the user is looking at the electronic device 300, images of various objects located in front of the user may be formed on the cornea.

프로세서(340)는 다양한 오브젝트 인식 방법에 의해 각막 이미지 내의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다. 관련된 데이터 세트에 대해 학습된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는 특정 오브젝트를 성공적으로 인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컨텍스트 인식은 이미지의 주제(subject)를 식별하는 데 적은 정보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주제는 이미지가 유사한 경우에도 다른 객체를 식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The processor 340 may recognize an object in the corneal image through various object recognition methods. A neural network learned on a related data set can be used to successfully recognize a particular object. Also, context awareness can only use little information to identify the subject of an image. These subjects can be used to identify different objects even if the images are similar.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오브젝트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딥러닝(deep learing)을 이용한 다양한 슈퍼-해상도 알고리즘(super-resolution algorithm)을 이용하여 각막 이미지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may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corneal image by using various super-resolution algorithms using deep learning in order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of an obje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시각적 피드백(visual feedback)을 제공할 수 있다. 인식되는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 사람 등일 수 있고, 프로세서(340)는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각막 이미지에서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출력할 시각적 피드백은 메모리(350) 상에 맵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시각적 피드백과 함께, 스피커를 통한 오디오 피드백 또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may provide visual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object. The recognized object may be an obstacle or a person located in front of the user, and the processor 340 may provide visual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object through the display 310. Visual feedback to be output corresponding to the object recognized in the corneal image may be mapped and stored on the memory 35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may provide audio feedback or haptic feedback through a speaker together with visual feedback.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적 피드백은 인식된 오브젝트의 이미지 및/또는 미리 정해진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가 제공하는 시각적 피드백의 예에 대해서는 도 10a 및 10b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visual feedback may include an image of the recognized object and/or a predetermined image. An example of visual feedback provided by the electronic device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A and 10B.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인식된 오브젝트가 미리 정해진 타입(예: 장애물)의 오브젝트인 경우, 위험 인지를 위한 알람을 시각적 피드백으로써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 장치(300)의 디스플레이(310)를 주시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디스플레이(310) 상에 시각적 피드백는 전방에 장애물이 위치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recognized object is an object of a predetermined type (eg, an obstacle), the processor 340 may provide an alarm for recognizing danger as visual feedback. Accordingly, even when the user is looking at the display 310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visual feedback on the display 310 may recognize that an obstacle is positioned in fron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센서(330)(예: 가속도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300)의 이동 속도를 획득하고, 현재 이동 속도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에 위험 인지를 위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과도한 피드백 제공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써 정지 상태에서는 주변의 장애물과 충돌 우려가 적기 때문이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obtains a moving speed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through the sensor 330 (eg, an acceleration sensor), and generates an alarm for recognizing a danger when the current moving spe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Can provide. This is to reduce excessive feedback provision, because there is less risk of collision with nearby obstacles in a stationary stat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인식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예: 지도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based on the recognized object and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location-based application (eg, a map applica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컨텐츠는 카메라(320)에 의해서 촬영된 현실 이미지와 전자 장치(300)에 의해 생성된 가상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증강 현실 컨텐츠에 제공할 가상 오브젝트를 각막 이미지에 기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얘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주변 정보로부터 주변의 밝기 및 광원의 방향을 획득하고, 그에 기초하여 가상 오브젝트의 밝기 및 밝은 영역과 그림자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300 may provide augmented reality content through the display 310.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may include a reality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320 and a virtual object generated by the electronic device 300. The processor 340 may display a virtual object to be provided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corneal image. For example, the processor 340 may obtain the surrounding brightness and the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and determine the brightness, the bright area, and the shadow area of the virtual object based there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주변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인식하고, 텍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340 may recognize at least one text from surrounding information and may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xt.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function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시된 방법은 도 1의 전자 장치(101) 및/또는 도 3의 전자 장치(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illustrated method may be perform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and/or the electronic device 300 of FIG. 3.

동작 410에서, 전자 장치는 카메라(예: 도 3의 카메라(320))를 이용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하우징의 전면에 위치한 카메라를 이용해 사용자의 눈의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In operation 410, the electronic device may acquire image data using a camera (eg, the camera 320 of FIG. 3 ). The electronic device may acquire image data including the user's eye area using a camera located in front of the housing.

동작 420에서,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눈의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In operation 420,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processor 340 of FIG. 3) may extract a region of the user's eye from the acquired image data.

동작 430에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눈의 영역에서 각막(cornea)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각막은 빛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 시키기 때문에, 각막에 외부 정보가 투영될 수 있고, 각막에는 사용자가 주시하는 시야각보다 넓은 화각의 정보가 투영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주시하지 않는 영역의 이미지도 각막에 형성될 수 있다.In operation 430, the electronic device may extract a cornea area from the user's eye area. Because the cornea reflects at least part of the light, external information can be projected onto the cornea, and since information of a wider field of view than the user's viewing angle is projected onto the cornea, an image of an area that the user is not looking at is also formed on the cornea. Can be.

동작 440에서, 전자 장치는 각막 영역에 형성된 이미지에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In operation 440, the electronic device may remove noise from an image formed in the corneal region.

동작 450에서, 전자 장치는 각막 영역에 형성된 이미지로부터 주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주변 정보는 각막 이미지에서 노이즈(예: 속눈썹 등)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를 제거한 것일 수 있다.In operation 450, the electronic device may obtain surrounding information from an image formed in the corneal region. The surrounding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removing noise (eg, eyelashes, etc.) and an image of an electronic device from the corneal image.

동작 460에서, 전자 장치는 주변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메모리(예: 도 3의 메모리(350))에 시각적 피드백을 출력할 때 그와 맵핑되는 오브젝트들을 미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다.In operation 460, the electronic device may recognize at least one object from surrounding information. When outputting visual feedback to a memory (eg, the memory 350 of FIG. 3 ), the electronic device may store objects mapped thereto in advance, and recognize an object included in the stored information.

동작 470에서, 전자 장치는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적 피드백은 인식된 오브젝트의 이미지 및/또는 미리 정해진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시각적 피드백과 함께, 스피커를 통한 오디오 피드백 또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In operation 470,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visual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object through a display (eg, the display 310 of FIG. 3 ). Here, the visual feedback may include an image of the recognized object and/or a predetermined image. In addition to visual feedback,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audio feedback or haptic feedback through a speaker.

도 5는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의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ethod of extracting a user's eye area from an acquired imag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카메라(예: 도 3의 카메라(320))로부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눈의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eg, the processor 340 of FIG. 3) may extract a region of the user's eye from image data acquired from a camera (eg, the camera 320 of FIG. 3 ).

프로세서가 사용자의 눈의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에는 한정됨이 없으나, 예를 들어, 비올라-존스 검출 알고리즘(Viola-Jones detection algorithm)이 활용될 수 있다.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user's eye area by the processor is not limited, but, for example, a Viola-Jones detection algorithm may be used.

비올라-존스 검출 알고리즘은 하 라이크 피쳐(Haar-like feature)와 아다부스트(AdaBoost)에 기초하여 이미지 데이터 내에서 객체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이다.The Viola-Jones detection algorithm is an algorithm that detects an object in image data based on a Haar-like feature and AdaBoost.

예를 들어, 비올라-존스 검출 알고리즘은 학습 단계에서 다수의 하 라이크 피쳐(Haar-like feature)를 이용하여 학습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특징의 중요도를 측정하고 이 중 최상위 특징들만을 이용하여 아다부스트(AdaBoost) 방법으로 학습하여 가장 중요한 특징들만을 골라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테스트 단계에서 테스트 영상을 학습 단계에서 미리 뽑아 놓은 특징들의 캐스케이드(cascade) 구조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특징값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류를 수행하여 주어진 영상에서 물체를 검출해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iola-Jones detection algorithm measures the importance of each feature from the training image using a number of Haar-like features in the learning stage, and uses only the highest features among them to measure the importance of AdaBoost. ) Method to select only the most important features. After that, in the test step, the test image is applied as an input to the cascade structure of features previously extracted in the learning step, and the feature value is measured, and based on this, the task of detecting an object in a given image is performed. I can.

도 5는 사용자의 이미지에서 눈의 영역을 찾아내기 위해 이용되는 여러 유형의 하 라이크 피처(Haar-like feature)(500)를 도시한 것이다. FIG. 5 shows various types of Haar-like features 500 used to find an eye area in the user's image.

사용자의 눈의 영역을 추출하는 다른 방법으로써 non-skin 검출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의 영역은 얼굴 영역 내에서 피부 외(non-skin) 영역일 수 있고, 피부 영역을 검출하고 피부 외 영역 중 눈의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As another method of extracting the user's eye area, a non-skin detection algorithm may be used. For example, the eye area may be a non-skin area within the face area, and the skin area may be detected, and the eye area may be detected among the extra skin area.

도 6은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눈의 각막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ethod of extracting a corneal region of an eye from an acquired imag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데이터 중 사용자의 눈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눈의 각막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우선 눈의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동공 영역(691)을 감지한 후 ellipse fitting 방법에 의해 각막 영역(695)을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eg, the processor 340 of FIG. 3) may detect the corneal area of the eye by using image data of the user's eye area among image data. The processor may first detect the pupil region 691 from the image data of the eye and then detect the corneal region 695 by an ellipse fitting method.

이미지 데이터가 눈과 눈의 주변 영역만 포함하는 경우, 동공 영역(691)의 그레이 레벨(gray level)은 이미지 내에서 가장 어두운 픽셀과 가까울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동공 영역(691) 내의 픽셀들의 그레이 레벨 중 최대 값(또는 이미지 내에서 가장 어두운 픽셀의 그레이 레벨)을 임계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임계 값을 기준으로 생성한 바이너리 이미지(thresholded binary image)를 변환 및 처리하여 동공 영역(691)보다 작은 영역은 제거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바이너리 이미지에서 제거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픽셀의 중심을 계산하고, 해당 중심 영역을 동공(691)의 중심으로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image data includes only the eye and the peripheral area of the eye, the gray level of the pupil area 691 may be close to the darkest pixel in the image. The processor may set a maximum value (or a gray level of the darkest pixel in the image) among gray levels of pixels in the pupil region 691 as a threshold value. The processor may convert and process a thresholded binary image generated based on the threshold value to remove a region smaller than the pupil region 691. The processor may calculate the center of the remaining pixels excluding the removed area from the binary image, and determine the center area as the center of the pupil 691.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공 영역(691)을 감지하는 방법은 상기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method of detecting the pupil region 69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프로세서는 동공(691)의 중심을 포함하는 타원을 분석하여 각막 영역(695)을 추출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extract the corneal region 695 by analyzing the ellipse including the center of the pupil 691.

각막 영역(695)은 이미지 I(u, v)에 적용되는 연산자(operator)에 대한 응답을 최대화하는 타원 파라미터(c_u,c_v, r_max,r_min,?)를 찾는 타원 디텍터(ellipse detector)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The corneal region 695 is detected by an ellipse detector looking for an ellipse parameter (c_u,c_v, r_max,r_min,?) that maximizes the response to an operator applied to the image I(u, v). Can be.

식 (1)은 각막 영역(695)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필터의 공식이다.Equation (1) is the formula of the filter used to detect the corneal region 695.

[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cu, cv)는 각막(또는 동공)의 중심점, rmax 및 rmin은 반경의 최대 및 최소 값, φ는 타원의 회전 각도일 수 있다.Here, (cu, cv) may be the central point of the cornea (or pupil), rmax and rmin may be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radius, and φ may be the rotation angle of the ellipse.

상기 필터의 응답은 타원의 호(arc)의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The response of the filter may output an area of an elliptical arc.

프로세서는 필터의 응답을 기초로 확인된 타원을 각막 영역(695)으로 검출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detect the identified ellipse as the corneal region 695 based on the response of the filter.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막 영역(695)을 감지하는 방법은 상기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method of detecting the corneal region 695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도 7은 획득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도시한 것이다.7 shows a histogram of the acquired imag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각막 영역(예: 도 6의 각막 영역(695))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노이즈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막 영역에 형성된 각막 이미지에는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한 주변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속눈썹(eyelash)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각막에 형성된 주변 영역의 이미지가 아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타원 영역으로 정의된 각막 영역은 눈꺼풀의 일부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processor (eg, the processor 340 of FIG. 3) may acquire image data of a corneal area (eg, the corneal area 695 of FIG. 6) from the image data and perform noise removal. . For example, the corneal image formed in the corneal region may include not only surrounding information located in front of the user, but also the user's eyelash, which is not an image of the surrounding region formed on the cornea, and thus needs to be removed. In addition, the corneal region defined as an elliptical region as shown in FIG. 6 may also include a part of the eyelid.

도 7은 정규화 된(normalized) 각막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이다. 히스토그램에서 0 내지 A의 구간은 동공 영역, A 내지 B 구간은 속눈썹 영역, D 내지 E 구간은 눈꺼풀 또는 눈꺼풀에 반사된 빛의 영역일 수 있다.7 is a histogram of a normalized corneal image. In the histogram, a section of 0 to A may be a pupil area, a section A to B may be an eyelash area, and a section D to E may be an eyelid or an area of light reflected from the eyelid.

프로세서는 히스토그램 분석을 통해 속눈썹 및 눈꺼풀 영역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remove noise from the eyelashes and eyelid regions through histogram analysis.

도 8은 양 눈의 각막에 형성된 이미지를 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형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8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of forming a panoramic image by combining images formed on the cornea of both eye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카메라(예: 도 3의 카메라(320))에서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2개의 눈 중 적어도 하나의 각막 영역(예: 도 6의 각막 영역(695))을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2개의 눈 중 적어도 하나의 각막(cornea) 영역을 추출하고, 각각 추출된 각막 영역에 대해 주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processor (eg, the processor 340 of FIG. 3) may include at least one corneal area (eg, of the user's two eyes) from image data acquired from a camera (eg, the camera 320 of FIG. 3). : The corneal region 695 of FIG. 6) can be extracted. More specifically, the processor may extract at least one cornea region of the two eyes from the image data, and obtain surrounding information for each of the extracted cornea region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각각의 각막 영역에서 획득된 주변 정보(881, 882)를 하나로 결합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may combine the surrounding information 881 and 882 obtained in each corneal region into one.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에 사용자의 2개의 눈이 촬영된 경우, 2개의 눈과 카메라는 반사굴절 스트레오 시스템(catadioptric stereo system)으로 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양안 각막과 카메라 사이의 연관 위치(relative orientation)를 결정하고, 각 각막 이미지(881, 882)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획득된 좌안 각막 이미지(881)는 우안 각막 이미지(882)와 대응되는 에피폴라 커브(epipolar curve)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는 좌안 각막 이미지(881)와 우안 각막 이미지(882)의 에피폴라 커브에 기초하여 양 이미지를 결합하여 하나의 주변 정보(880)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wo eyes of a user are photographed in the image data, the two eyes and a camera can be viewed as a catadioptric stereo system. The processor may determine a relative orientation between the binocular cornea and the camera, and may determine the positions of the corneal images 881 and 882. The obtained left eye corneal image 881 may have an epipolar curve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corneal image 882. The processor may generate one surrounding information 880 by combining both images based on the epipolar curve of the left eye corneal image 881 and the right eye corneal image 882.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넓은 각도(wider-angle view)의 주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연속되는 복수의 각막 이미지의 정보를 결합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may combin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consecutive corneal images in order to obtain surrounding information in a wide-angle view.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선을 이동 시키는 경우, 각 프레임에서 각막 영역에는 주변의 서로 다른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순차적으로 획득된 복수의 프레임에 대해 각막 영역을 추출 및 주변 정보를 획득하고, 각 프레임의 주변 정보를 결합하여 넓은 각도의 주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the gaze, different images around the cornea may be acquired in each frame. The processor may extract a corneal region for a plurality of sequentially acquired frames, acquire surrounding information, and combine the surrounding information of each frame to obtain surrounding information of a wide angle.

복수의 구형 파노라마(spherical) 이미지를 이용함에 따라 겹쳐진 구형 파노라마 이미지 상에서의 왜곡(distortion)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각각의 구형 파노라마의 픽셀은 3D 좌표 및 각막의 오리엔테이션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고, 이로부터 획득된 파라미터들을 이용해 각 파노라마 이미지를 결합할 수 있다.By using a plurality of spherical panorama images, it is possible to minimize distortion on an overlapped spherical panorama image. The pixels of each spherical panorama can be calculated from the 3D coordinates and orientation of the cornea, and parameters obtained therefrom can be used to combine each panorama image.

도 9는 사용자가 눈에 안경을 착용한 경우 안경에 형성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9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ethod of obtaining an image formed on glasses when a user wears glasses on their eye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안경, 고글, 헬멧 등 액세서리(970)를 착용한 상태에서 전자 장치(900)를 주시하는 경우, 전자 장치(900)의 카메라는 사람의 눈이 아닌 사용자가 착용한 액세서리(970) 상에 형성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액세서리(970)를 착용한 경우, 전자 장치의 전면 카메라에 의해 눈의 이미지가 획득되지 않아 각막 이미지는 획득할 수 없으나, 액세서리(970) 상에도 주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a user looks at the electronic device 900 while wearing an accessory 970 such as glasses, goggles, and a helmet, the camera of the electronic device 900 is worn by the user, not by the human eye. An image formed on the accessory 970 may be obtained. When the user wears the accessory 970, the corneal image cannot be obtained because the eye image is not acquired by the front camera of the electronic device, but surrounding information may also be displayed on the accessory 970.

프로세서는 액세서리 상에 맺힌 이미지(980)를 이용해 주변 정보를 획득하고, 주변 정보로부터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acquire surrounding information by using the image 980 formed on the accessory and extract an object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도 10a 및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도시한 것이다.10A and 10B are diagrams illustrating visual feedback provided by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각막 영역에서 획득된 주변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10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eg, the processor 340 of FIG. 3) recognizes at least one object from surrounding information acquired in the corneal region, and provides visual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object through the display 1010. Can provid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적 피드백은 사용자에게 주변 환경에 대한 주의를 요구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이미지(1061)일 수 있다. 도 10a를 참조 하면, 시각적 피드백으로 제공되는 이미지(1061)는 사용자의 주의를 요구하는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visual feedback may be a predetermined image 1061 for requesting the user to pay attention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eferring to FIG. 10A, an image 1061 provided as visual feedback may include image and text information requiring attention of a user.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1010)를 주시하여, 주변의 오브젝트(예: 장애물, 사람)를 놓치고 있는 상황에서, 이와 같은 시각적 피드백(1061)이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가 시선을 돌려 주변 상황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looks at the display 101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and misses an object (eg, an obstacle, a person) in the vicinity, as the visual feedback 1061 is provided, the user turns his gaze and You can make them aware of the situation.

도 10b를 참고 하면, 시각적 피드백은 인식된 오브젝트의 이미지(106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중에 전자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1010)를 주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방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각막에 장애물의 이미지가 맺힐 수 있다. 프로세서는 획득된 오브젝트(예: 장애물)의 이미지(1062)를 디스플레이(101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주시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바로 주변의 오브젝트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B, the visual feedback may be an image 1062 of a recognized object. For example, when there is an obstacle in front while the user is looking at the display 101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while moving, an image of the obstacle may be formed on the user's cornea. The processor may display the image 1062 of the acquired object (eg, an obstacle) on the display 101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an object nearby even when the user is looking at the electronic device.

프로세서는 오브젝트의 이미지(1062)를 포함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팝업 창과 같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거나, 반투명한 레이어로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상위에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display the visual feedback including the image 1062 of the object on an area of the currently executing application screen, such as a pop-up window, or may display a semi-transparent layer on the upper part of the application screen.

도 11 내지 17은 전자 장치가 각막에 형성된 이미지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11 to 17 illustrate examples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provides various functions to a user using an image formed on a cornea.

도 11은 사용자가 이동 중(또는 보행 중)에 전자 장치를 주시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장치(1100)를 주시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에 위치하는 장애물(1181)이 이동 경로에 위치함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11 shows a situation in which a user is looking at an electronic device while moving (or walking).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ser is looking at the electronic device 1100, it may not be recognized that the obstacle 1181 located in the vicinity is located in the movement path.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각막 이미지를 통해 주변 정보(1180)를 획득하고, 주변 정보(1180)의 오브젝트가 미리 정해진 위험 오브젝트, 예를 들어 사람, 가로등, 도로 상의 균열, 구덩이 등이 검출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 피드백(1160)을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 피드백(1160)은 예를 들어, 전방에 장애물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각막 이미지를 통해 획득된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acquires the surrounding information 1180 through the corneal image, and the object of the surrounding information 1180 is a predetermined dangerous object, for example, a person, a street light, a crack on the road, a pit, etc. In this case, visual feedback 1160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The visual feedback 1160 may include, for example, text or image information for notifying that there is an obstacle a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display an image of an object acquired through the corneal image on the display.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메모리에 각막 이미지에서 획득되는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표시할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onic device may store an image to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an object acquired from a corneal image in a memory.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도3 의 센서(330)) 또는 후면 카메라를 이용해,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에 장애물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위험 인지를 위한 알람(또는 시각적 피드백(116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정지 상황에서는 장애물에 의한 위험이 크지 않고, 알람이 전자 장치 사용 중에 주는 스트레스를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detects the movement of the user using at least one sensor (eg, the sensor 330 in FIG. 3) or the rear camera, and recognizes an obstacle when the movement speed of the user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this case, an alarm (or visual feedback 1160) for recognizing the danger may be provided. This is to minimize the risk caused by obstacles in the stop situation and to minimize the stress that the alarm gives while using the electronic devic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면 카메라릍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를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위험 인지를 위한 알람(1160)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detects a user's gaze using an image acquired through a front camera,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s gaze is looking at a display, the electronic device generates an alarm 1160 for recognizing the danger. Can provid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운전 중에 특정 지점(예: 네비게이션) 등을 장시간 주시하고 있는 경우, 각막 이미지를 이용하여 예상치 못한 상황을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네비게이션을 주시하고 있는 경우, 각막 이미지를 이용해 신호등, 차량 등을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통한 알람 또는 스피커를 통한 사운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user is watching a specific point (eg, navigation) for a long time while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may detect an unexpected situation using a corneal image and provide feedback to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watching a navigation, the processor may detect a traffic light, a vehicle, etc. using a corneal image, and provide an alarm through a display or a sound alarm through a speaker to the user.

프로세서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후방 미러(rear view mirror)의 이미지를 더 획득하고, 각막 이미지 및 후방 미러의 이미지 내의 오브젝트를 분석하여, 교통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further acquire an image of a rear view mirror using a camera, analyze a corneal image and an object in the image of the rear mirror, and recognize a traffic condition.

도 12는 각막 이미지를 이용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12 shows an embodiment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using a corneal image.

전자 장치(1200)는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예: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현재 위치에 기반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200 may execute an application (eg, a map application) that provides various location-based services. The location-based application may acquir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각막 이미지(1290)에서 획득한 주변 정보(1280) 내의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오브젝트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may recognize an object in the surrounding information 1280 acquired from the corneal image 1290 and determine a current loc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object.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에 특정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주소, 건물 명 등의 텍스트 또는 랜드마크 건물(1281)이 인식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해당 오브젝트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ext such as an address or building name indicating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r a landmark building 1281 is recognized by the user's eyes, the electronic device may check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object.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the current location through a location-based application.

전자 장치는 인도어 포지셔닝(indoor positioning)에도 각막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may utilize the corneal image for indoor positioning as well.

도 13은 각막 이미지를 이용해 주변 오브젝트의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13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providing information on surrounding objects using a corneal image.

도 13을 참조 하면, 사용자는 음식을 먹는 중에 전자 장치(1300)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1300)를 주시하고 있는 중에 사용자의 눈에는 음식(1381)의 이미지도 같이 형성될 수 있고,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각막 이미지(1390) 상에서 음식 오브젝트(1380)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a user may use the electronic device 1300 while eating food. While the user is looking at the electronic device 1300, an image of the food 1381 may also be formed in the user's eye, and the electronic device may acquire the food object 1380 on the user's corneal image 1390. .

전자 장치(1300)는 인식된 음식(1381)과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 피드백(1360)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음식의 프로파일(예: 영양소, 열량 등)을 확인하여 바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의 종류, 양, 영양소 등의 정보를 리스팅 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300 may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ognized food 1381 as visual feedback 1360 on the display. For example, you can check the profile of the food (e.g., nutrients, calories, etc.) and immediately display it on the display. Can provide.

도 14는 각막 이미지를 활용하여 주변의 밝기를 인식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14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recognizing surrounding brightness using a corneal imag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막 이미지는 증강 현실 제공에도 활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rneal image may also be used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도 14를 참조 하면, 전자 장치(1400)는 사용자의 각막 이미지(1490)에 기초하여 주변 밝기 및 광원의 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주변의 광원(1481)이 사용자의 눈에 비치는 경우, 각막 이미지에 광원의 이미지가 형성되고, 전자 장치는 각막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주변의 밝기 및 광원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electronic device 1400 may acquire ambient brightness and a direction of a light source based on a user's corneal image 1490. When the surrounding light source 1481 is shining on the user's eyes, an image of the light source is formed on the corneal image, and the electronic device may recognize the surrounding brightness and the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through analysis of the corneal image.

전자 장치는 밝기 및 광원의 방향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1460) 제공 시 증강 현실 오브젝트의 밝기를 결정하고, 그림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 하면, 실내의 빈 공간에 소파를 증강 현실 오브젝트로 표시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각막 이미지에서 실내의 밝기와 광원의 방향을 인식하고, 증강 현실 오브젝트인 소파의 밝기와 그림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When provid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1460 based on the brightness and the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the electronic device may determine the brightness of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and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shadow.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4, when a sofa is displayed as an augmented reality object in an indoor empty space, the electronic device recognizes the brightness of the room and the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from the corneal image, You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shadow.

도 15는 각막 이미지를 이용해 주변의 텍스트를 인식하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15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recognizing surrounding text using a corneal imag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500)는 각막 이미지(1590)로부터 획득된 주변 정보(1580)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1581)를 인식하고, 상기 텍스트(1581)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1500 may recognize at least one text 1581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1580 obtained from the corneal image 1590 and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xt 1581. .

도 15를 참조 하면, 각막 이미지(1590) 상에 주변 상점의 간판이 형성될 수 있고, 전자 장치는 각막 이미지(1590)의 텍스트를 인식하여 해당 매장과 관련된 정보, 광고 등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a signboard of a nearby store may be formed on the corneal image 1590, and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information, advertisements, etc.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tore by recognizing the text of the corneal image 1590.

전자 장치는 각막 이미지 상에 특정 상품의 이름 등이 인식되는 경우, 해당 상품 또는 연관 상품에 대한 개인화 된 정보 또는 추천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name of a specific product or the like is recognized on the corneal image,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personalized information or a recommendation event for the product or related product.

도 16은 각막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인식하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16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recognizing another person's gaze using a corneal image.

도 16을 참조 하면, 사용자가 전자 장치(1600)를 이용해 게임,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등에 집중하는 경우,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은 소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when a user concentrates on a game or a multimedia application using the electronic device 1600, recogni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ay be neglected.

전자 장치는 각막 이미지(1690)를 통해 다른 사람의 시선(1680)을 인식하고, 다른 사람이 전자 장치의 사용자를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 이를 경고하는 알람(1660)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69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에 팝업 창으로 알람(1660)을 제공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recognizes the gaze 1680 of another person through the corneal image 169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ther person is looking at the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provides an alarm 1660 to warn it on the display. I can. The electronic device 1690 may provide the alarm 1660 as a pop-up window on the running application screen.

도 17은 각막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른 기능을 실행하도록 가이드하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17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guiding a user to execute other functions using a corneal image.

도 17을 참조 하면, 전자 장치(1700)는 각막 이미지(1790)를 이용해 현재 사용자가 비행기 내에 탑승 중임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막 이미지(1790)에는 비행기의 창문과 같은 오브젝트(1780)를 포함하는 주변 정보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electronic device 1700 may recognize that a user is currently boarding an airplane using a corneal image 1790. For example, surrounding information including an object 1780 such as a window of an airplane may be formed in the corneal image 1790.

이 경우, 전자 장치(1700)는 현재 사용자의 위치 및 상태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가이드 하는 시각적 피드백(1760)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현재 전자 장치가 비행기 모드로 동작 중이지 않은 경우, 비행기 모드를 실행하도록 가이드 하는 알람(1760)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700 may provide a visual feedback 1760 guiding a necessary function to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nd state of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currently operating in the airplane mode,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an alarm 1760 guiding execution of the airplane mode.

전자 장치는 각막 이미지를 이용해 현재 상태 및 주변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동일한 환경에서 추후 사용자가 동일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막 이미지로부터 현재 위치가 비행기 내임을 인식하고, 이때 사용자가 비행기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 현재 위치 및 실행된 기능을 맵핑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 후, 전자 장치는 각막 이미지를 통해 기 저장된 위치 또는 상황이 인식되는 경우, 이전에 실행된 기능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추천을 제공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collect and store current state and surrounding information using the corneal image. In this case, it may be suggested that users execute the same function in the future in the same environment. For example,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current location is within an airplane from the corneal image, and the user executes the airplane mode at this time,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executed function may be mapped and stored in a memory. Thereafter, when a pre-stored location or situation is recognized through the corneal image,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a recommendation to the user based on a previously executed func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상기,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눈의 각막(cornea)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막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변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및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 camera; display; Memory;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camera, a display, and a memory, wherein the memory stores image data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a user's body obtained from the camera when the processor is executed. Receive, extract the cornea area of the eye from the image data, obtain surrounding information formed in the extracted cornea area, recognize at least one object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and correspond to the recognized object Instructions for providing visual feedback to the display through the display may be includ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의 이미지 및 미리 정해진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instructions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an image of the recognized object and a predetermined image through the display.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가 미리 정해진 타입의 오브젝트인 경우, 위험 인지를 위한 알람을 상기 시각적 피드백으로써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instructions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providing an alarm for recognizing danger as the visual feedback when the recognized object is a predetermined type of obje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된 이동 속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 상기 위험 인지를 위한 알람을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instruction further comprises a sensor for measuring a moving speed of th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instructions provide an alarm for recognizing the danger when the moving speed measured by the sensor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Can includ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실행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instructions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recognized object, and providing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to an executed location-based applica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증강 현실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상에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instructions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on the display and displaying the visual feedback 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주변 정보로부터 주변의 밝기를 획득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instructions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obtaining ambient brightness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주변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인식하고, 상기 텍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instructions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recognizing at least one text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x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amera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electronic devic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눈의 각막 영역을 추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instructions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extracting at least one corneal region of the user's eye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시선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시선 위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향하는 경우,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instructions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user's gaze from the image data, and providing the visual feedback when the position of the gaze faces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onic devic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제공 방법은, 카메라를 이용해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눈의 각막(cornea) 영역을 추출하는 동작; 상기 추출된 각막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주변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providing a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cquiring image data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a user's body using a camera; Extracting a cornea area of the eye from the image data; Acquiring surrounding information formed on the extracted corneal region; Recognizing at least one object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And providing visual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object through a display.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의 이미지 및 미리 정해진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viding of the visual feedback may include displaying at least one of an image of the recognized object and a predetermined image through the display.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가 미리 정해진 타입의 오브젝트인 경우, 위험 인지를 위한 알람을 상기 시각적 피드백으로써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recognized object is a predetermined type of object, the providing of the visual feedback may include providing an alarm for recognizing danger as the visual feedback.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를 이용해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된 이동 속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 상기 위험 인지를 위한 알람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operation of measuring a movement speed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a sensor further includes, and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visual feedback is performed for recognizing the danger when the movement speed measured through the sensor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I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providing an alarm.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실행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oviding of the visual feedback may include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recognized object; And providing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to an executed location-based applica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변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주변 정보로부터 주변의 밝기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operation of acquiring the surrounding inform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acquiring the surrounding brightness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주변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텍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viding of the visual feedback includes: recognizing at least one text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x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눈의 각막 영역을 추출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눈의 각막 영역을 추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operation of extracting the corneal region of the eye may include extracting the corneal region of the eye of at least one user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시선 위치를 검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시선 위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향하는 경우,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operation of detecting a position of a user's gaze from the image data further includes, wherein the providing of the visual feedback includes the visual feedback when the position of the gaze faces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t may include an operation to provide.

Claims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상기,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눈의 각막(cornea)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막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변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및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In the electronic device,
camera;
display;
Memory;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with the camera, display and memory,
The memory, when the processor is executed,
Receiving image data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body obtained from the camera,
Extracting the cornea area of the eye from the image data,
Acquire surrounding information formed on the extracted corneal region,
Recognizing at least one object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nstructions for providing visual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object through the displ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의 이미지 및 미리 정해진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instructions,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nstructions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recognized object image and a predetermined image through the displ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가 미리 정해진 타입의 오브젝트인 경우, 위험 인지를 위한 알람을 상기 시각적 피드백으로써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instructions,
When the recognized object is a predetermined type of object,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nstructions to provide an alarm for recognizing danger as the visual feedback.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된 이동 속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 상기 위험 인지를 위한 알람을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sensor for measuring the moving speed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above instructions,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nstructions to provide an alarm for recognizing the danger when the moving speed measured by the sensor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실행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instructions,
Based on the recognized object,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nstructions for providing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to an executed location-based appl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증강 현실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상에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instructions,
Display augmented reality content on the display,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nstructions to display the visual feedback 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주변 정보로부터 주변의 밝기를 획득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instructions,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structions for obtaining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주변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인식하고,
상기 텍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instructions,
Recognizing at least one text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struction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x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된 것인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mera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electronic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눈의 각막 영역을 추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instructions,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nstructions for extracting at least one corneal region of the user's eye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시선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시선 위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향하는 경우,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instructions,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user's gaze from the image data,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nstructions for providing the visual feedback when the gaze position is toward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전자 장치의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를 이용해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눈의 각막(cornea) 영역을 추출하는 동작;
상기 추출된 각막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주변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s of an electronic device,
Obtaining image data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a user's body using a camera;
Extracting a cornea area of the eye from the image data;
Acquiring surrounding information formed on the extracted corneal region;
Recognizing at least one object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And
And providing visual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object through a display.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의 이미지 및 미리 정해진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visual feedback,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recognized object image and a predetermined image through the display.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가 미리 정해진 타입의 오브젝트인 경우, 위험 인지를 위한 알람을 상기 시각적 피드백으로써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visual feedback,
And when the recognized object is a predetermined type of object, providing an alarm for recognizing danger as the visual feedback.
제 14항에 있어서,
센서를 이용해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된 이동 속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 상기 위험 인지를 위한 알람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of measuring the moving speed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ensor,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visual feedback,
And providing an alarm for recognizing the danger when the moving speed measured by the sensor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실행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visual feedback,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recognized object; And
And providing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to an executed location-based application.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주변 정보로부터 주변의 밝기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operation of obtaining the surrounding information,
And obtaining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주변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텍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visual feedback,
Recognizing at least one text from the surrounding information; And
And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xt.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눈의 각막 영역을 추출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눈의 각막 영역을 추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operation of extracting the corneal region of the eye,
And extracting a corneal region of at least one user's eye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시선 위치를 검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시선 위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향하는 경우, 상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the operation of detecting the gaze position of the user from the image data,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visual feedback,
And providing the visual feedback when the gaze position faces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KR1020190071699A 2019-06-17 2019-06-1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using corneal image thereof KR20200144196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699A KR20200144196A (en) 2019-06-17 2019-06-1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using corneal image thereof
PCT/KR2020/007427 WO2020256325A1 (en) 2019-06-17 2020-06-09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by using corneal image in electronic device
US16/903,624 US11335090B2 (en) 2019-06-17 2020-06-1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by using corneal image i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699A KR20200144196A (en) 2019-06-17 2019-06-1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using corneal imag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196A true KR20200144196A (en) 2020-12-29

Family

ID=73745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699A KR20200144196A (en) 2019-06-17 2019-06-1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using corneal image thereof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35090B2 (en)
KR (1) KR20200144196A (en)
WO (1) WO202025632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0242B2 (en) * 2017-09-13 2022-02-15 Visualcamp Co., Ltd. Eye tracking method and user terminal performing same
US20230135448A1 (en) * 2021-11-04 2023-05-04 L3Harris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implifying a control interface of a night vision system using bi-directional detector/display overlay
JP7455445B1 (en) 2023-09-13 2024-03-26 InnoJin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5403A1 (en) * 2011-02-20 2012-08-23 General Motors Llc Method of monitoring a vehicle driver
US9684374B2 (en) * 2012-01-06 2017-06-20 Google Inc. Eye reflection image analysis
US8898496B1 (en) * 2012-03-23 2014-11-25 Google Inc. Context-based power management
US9646522B2 (en) * 2012-06-29 2017-05-09 Intel Corporation Enhanced information delivery using a transparent display
US9123142B2 (en) * 2012-10-02 2015-09-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djusting content display orientation on a screen based on user orientation
JP6462209B2 (en) 2013-12-03 2019-01-3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method
US9965999B1 (en) * 2014-06-26 2018-05-08 Amazon Technologies, Inc. Adjusting display color based on brightness
CN107111863B (en) * 2014-12-10 2020-11-1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Apparatus and method for corneal imaging
US11006162B2 (en) * 2015-08-31 2021-05-11 Orcam Technologie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information collected by wearable systems
KR101751032B1 (en) * 2015-11-20 2017-06-26 유한회사 청텍 User environment dangers detection apparatus using image sensor
KR101825450B1 (en) 2016-04-01 2018-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0108260B2 (en) 2016-04-01 2018-10-23 Lg Electronics Inc.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A3023391A1 (en) 2016-05-07 2017-11-16 Smart Third-I Ltd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edge camera assemblies in handheld devices
US20170323159A1 (en) 2016-05-07 2017-11-09 Smart Third-I Ltd. Methods Circuits Devices Assemblies Systems and Associated Machine Executable Code For Obstacle Detection
US10362231B2 (en) * 2016-07-01 2019-07-23 Intel Corporation Head down warning system
US10867252B2 (en) * 2017-09-08 2020-12-15 Tobii Ab Continuous calibration based on pupil characteristics
US10685233B2 (en) * 2017-10-24 2020-06-16 Google Llc Sensor based semantic object generation
US11158128B2 (en) * 2019-04-26 2021-10-26 Google Llc Spatial and semantic augmented reality autocompletion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94408A1 (en) 2020-12-17
US11335090B2 (en) 2022-05-17
WO2020256325A1 (en)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4688B1 (en) Method for providing shoot mode based on virtual character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reof
KR101890542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enhancement
CN108399349B (en) Image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CN109993115B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wearable device
CN110647865A (en) Face gesture recogni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14873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80138300A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property information of external light source for interest object
KR20180109109A (en) Method of recognition based on IRIS recogni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33509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by using corneal image in electronic device
KR20180099026A (en) Photographing method us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11095364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495796B1 (en) A method for biometric authenticating using a plurality of camera with different field of view and an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CN11191922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object in image
US112840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 elements according to object
KR102431488B1 (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Method for Processing Image
CN111027490A (en) Face attribute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6057451A (en) Method for changing setting of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N114255204A (en) Amblyopia train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10138923A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10101713A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camera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12585673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903642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Generating Scene-Based Display Content on a Wearable Heads-Up Display
KR20210014892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rgument reality object
US20220374505A1 (en) Bending estimation as a biometric signal
KR20210136659A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