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043A - Multi-data Transmission Device for Real-time Translator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ulti-data Transmission Device for Real-time Translator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043A
KR20200140043A KR1020190066738A KR20190066738A KR20200140043A KR 20200140043 A KR20200140043 A KR 20200140043A KR 1020190066738 A KR1020190066738 A KR 1020190066738A KR 20190066738 A KR20190066738 A KR 20190066738A KR 20200140043 A KR20200140043 A KR 20200140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ata
trans
transmitting
mobile devic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7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0409B1 (en
Inventor
백민호
Original Assignee
백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민호 filed Critical 백민호
Priority to KR1020190066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409B1/en
Publication of KR20200140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0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4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2Synchronisation of signals having the same nominal but fluctuating bit rates, e.g. using buff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ata transmission device for real-tim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nd to a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In more detail, provided are the transmission device and the transmission method thereof, in which voice data recognized using a trans device is transmitted to a mobile device, and the voice data is transmitted to an interpretation server for interpretation, wherein the trans device is connected in one-to-one, one-to-many or many-to-many.

Description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송방법 {Multi-data Transmission Device for Real-time Translator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Multi-data Transmission Device for Real-time Translator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랜스기기를 이용하여 인식된 음성 데이터를 모바일기기로 전송하고, 통역서버로 전송하여 통역을 진행하는 전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ata transmission device for real-tim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nd a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a transmission that transmits voice data recognized using a trans device to a mobile device, and transmits it to an interpretation server for interpretation. I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최근에 들어 교통 및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국제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사람이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를 방문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어 해당 국가의 언어를 자국어로 통번역할 수 있는 인력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ternational exchanges are actively taking place. As many people visit countries where different languages are spoken, the demand for human resources who can interpret and translate the language of that country into their own language is increasing rapidly.

특히, 외국에 지사를 둔 기업, 기관이나 개인 간의 국제교류의 증가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통번역에 대한 서비스가 절실한 실정이다. In particular, due to the increase in international exchanges between companies,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with branches in foreign countries,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ervices in various fields.

이에 따라 다양한 번역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기술도 계속하여 발전해 왔는데, 인터넷을 통해 자국의 언어를 해당 국가의 언어로 통번역하는 문자 번역 서비스는 이미 상당한 번역 수준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에 의해 전용 통번역 어플리케이션 또는 전용 번역기를 이용하면 일정 수준의 통번역도 가능하다.As a result, technologies for various translation devices and methods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d text translation services that interpret and translate a native language into a corresponding national language through the Internet have already provided a considerable level of translation. In addition, a certain level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s possible by using a dedicated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pplication or a dedicated translator using a smart device.

이러한 스마트 기기 또는 전용 번역기는 사용자가 해당 국가의 사람을 만나 직접 대면할 때 사용자가 미리 해당 국가의 언어를 설정해 두거나 전용 번역기가 상대방의 음성을 인식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자국어를 해당 국가의 음성으로 통번역하게 된다.Such a smart device or a dedicated translator interprets and translates the native language into the voice of the country in real time by setting the language of the country in advance when the user meets and faces a person in the country, or the exclusive translator recognizes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

하지만, 회의 등과 같이 다양한 국가의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동시에 모일 때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과 대화할 때마다 사용자가 직접 번역기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고, 설령 번역기가 음성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해당 언어로 번역한다고 하더라도 현재 기술 수준으로는 음성 인식에 따른 지연에 대한 문제점과 음성 인식 불량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However, when users who speak a variety of languages from different countries gather at the same time, such as a conferenc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operate the translator directly occurs whenever the user communicates with a person who speaks different languages, even if the translator recognizes the voice. Thus, even if it is automatically translated into a corresponding language, a problem of delay due to speech recognition and a problem of poor speech recognition occur 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따라서, 회의 등과 같이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과 실시간으로 원활하게 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대화를 하더라도 지연이 발생하지 않는 번역기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in order to smoothly communicate with people of various nationalities such as conferences in real tim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ranslator that does not cause delay even if a plurality of users communicate simultaneously.

자동 통번역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22371호,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이하 선행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다른 국가 언어에 익숙하지 않거나 언어가 통하지 않는 조건에서도 자신이 사용하는 전자장치에서 자국어를 이용하여 언어장벽을 해소하며 불특정 다수의 언어별로 자동으로 통ㅇ번역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A technology related to an automatic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yste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22371, "Automatic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n electronic device" (hereinafter, prior art). The prior art is a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interpreting and translating for a number of unspecified languages by removing language barriers by using the native language in the electronic device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even under conditions where the language is not familiar or the language of another country is not communicat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선행 기술은, 음성 신호를 전달함에 있어, 다양한 원인을 이유로 전달에 지연이 발생하는 단점이 주로 발생한다.However, in the prior art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when transmitting a voice signal, a delay occurs mainly due to various reasons.

또한, 음성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 트랜스기기, 모바일기기, 통역서버는 예측 불가능한 네트워크 전송 경로 상에 존재하며, 예측 불가능한 네트워크 전송 경로를 경유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상황에 따른 최적 데이터 전송에 대한 문제를 안고 있다. 네트워크 상황에 따른 최적 음성데이터 전송에 대한 문제를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산업용, 의료용, 서비스용, 기업용, 가정용 및 기타 전송 경로 상에 요구 환경을 상시 보장 받을 수 없는 문제 또한 안고 있다.In addition, in transmitting voice data, a trans device, a mobile device, and an interpretation server exist on an unpredictable network transmission path, and because they pass through an unpredictable network transmission path, there is a problem of optimal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network conditions. . Since we have to bear the problem of optimal voice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network situa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required environment cannot always be guaranteed on the transmission path for industrial, medical, service, business, home, and other purposes.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22371호,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22371, "Automatic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통역기가 음성데이터를 전송한 뒤, 통역된 음성을 전송받을 시, 딜레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해결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 phenomenon in which a delay occurs when a conventional interpreter transmits voice data and then receives the interpreted voice.

또한, 본 발명은, 예측 불가능한 네트워크 상황에서, 네트워크 상황에 따른 최적의 음성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optimal transmission of voice data according to network conditions in unpredictable network conditions.

사용자(200)의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 및 이어폰을 포함하며, 1대 1, 1대 다수 또는 다수 대 다수로 구성되는 트랜스기기(100), 상기 트랜스기기(1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전송받아 통역서버(400)로 전송하고, 상기 통역서버(400)에서 통역된 음성데이터를 다시 전송받는 모바일기기(300)를 포함하되, 상기 트랜스기기와 상기 모바일기기는 음성 데이터와 더불어 비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rans device 100 comprising a microphone and earphone for recognizing the user's 200 voice, and consisting of one-to-one, one-to-many, or many-to-many, and an interpretation server receiving voice data from the trans-device 100 Including a mobile device 300 that transmits to 400 and receives the voice data interpreted by the interpretation server 400 again, wherein the trans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transmit or receive non-voice data together with the voice data. It is characterized by what can be done.

사용자가 제1트랜스기기에 음성을 입력하는 제1단계, 상기 제1트랜스기기에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모바일기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제1트랜스기기와 연결된 제2트랜스기기에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제2트랜스기기에 전송된 음성데이터를 모바일기기(300)로 전송한뒤, 통역서버(400)로 전송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통역서버(400)에서 통역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모바일기기(300)가 다시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 내지 제3단계에서, 상기 트랜스기기와 상기 모바일기기는 음성 데이터와 더불어 비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step in which a user inputs voice to a first trans device, transmits the voice data input to the first trans device to the mobile device 300, and transmits the voice data to a second trans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trans device. The second step of transmitting, a third step of transmitting the voice data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 device to the mobile device 300 and then to the interpretation server 400, and the voice data interpreted by the interpretation server 400 And a fourth step of receiving the mobile device 300 again and outputting it to a user, and in the second to third steps, the trans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transmit non-voice data together with the voice data, 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eceived.

상기 제1트랜스기기 또는 제2트랜스기기에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시, 기설정되는 일정 시간을 분배하여 사용하는 시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voic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or second trans device, it is transmitted in a time division multiplexing method in which a predetermined time is distributed and used.

상기 제1트랜스기기 또는 제2트랜스기기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제1트랜스기기에서 제2트랜스기기로 음성데이터를 전송시, 전송과 동시에 전송하고 있는 제1트랜스기기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전송이 종료될 시, 상기 제1트랜스기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trans device or the second trans device includes a memory capable of storing voice data, and the memory includes a first trans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when the voic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 device to the second trans device. The device is stored in a memory of the device, and when the transmission is terminated,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first trans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상기 음성 데이터의 전송에는 프리엠블 신호를 사용하여, 지연시간의 크기에 따라, 음성 데이터의 샘플링 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eamble signal is used for transmission of the voice data, and a sampling ratio of the voice data is adjusted according to a delay time.

상기 제1트랜스기기 또는 제2트랜스기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모바일기기로 전송할 시,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선 통신 필요 요구 사항 및 조건, 응용 분야에 따라 BLE, WIFI, RF4CE, Zigbe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ransmitting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first or second trans device to a mobile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is used, and BLE, WIFI, RF4CE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and conditio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pplication field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among, Zigbe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데이터로서 실시간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데이터 전달을 위해 음성 데이터 전송 유무선 선로 환경에 따른 음성 데이터의 압축률을 자동으로 결정하여, 네트워크 대역폭에 따른 최적의 데이터 전송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compression rate of the voice data according to the wired/wireless line environment for transmitting voice data so that real-time performance as voice data can be guaranteed, and optimal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network bandwidth is achieved. There is an effect to achie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방법의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 신호(preamble signal)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multi-data transmission apparatus for real-tim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steps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le data for real-tim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preambl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장치는, 크게 사용자(200), 트랜스기기(100), 모바일기기(300), 통역서버(400)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diagram showing a multi-data transmission apparatus for real-tim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multi-data transmission device for real-tim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user 200, a transformer device 100, a mobile device 300, and an interpretation server 400. have.

상기 트랜스기기(100)는 사용자(200)의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 및 이어폰을 포함하며, 1대 1, 1대 다수 또는 다수 대 다수로 구성되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언어를 쓰는 사용자(200)들이 각각 트랜스기기(100)를 소지하게 되고, 트랜스기기(100)들은 서로 연결되게 된다. 즉, 제1트랜스기기에서 제2트랜스기기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제2트랜스기기는 음성 데이터의 언어 코드를 확인하고, 번역을 위해 통역서버(400)로 보내게 된다.The transformer device 100 includes a microphone and earphones for recognizing the voice of the user 200, and is configured as a one-to-one, one-to-many, or many-to-many. That is, as shown in FIG. 1, users 200 who speak different languages each have a trans device 100, and the trans devices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when voic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 device to the second trans device, the second trans device checks the language code of the voice data and sends it to the interpretation server 400 for translation.

일예로, 영어를 사용하는 사용자(200)(제1트랜스기기)와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용자(200)(제2트랜스기기)가 각각 트랜스기기(100)를 소지하였을 경우, 영어를 사용하는 사용자(200)가 영어로 말을 하게 되면, 제1트랜스기기는 인식된 영어를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용자(200)의 제2트랜스기기로 전송하게 되고,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용자(200)의 제2트랜스기기는 전달받은 영어를 모바일기기(300)로 전송한 뒤, 모바일기기(300)는 통역서버(400)로 전송하여, 한국어로 번역하게 된다.As an example, when the English-speaking user 200 (first trans device) and the Korean-speaking user 200 (second trans device) each possess the trans device 100, the English-speaking user ( When 200) speaks in English, the first trans device transmits the recognized English to the second trans device of the Korean-speaking user 200, and the second trans device of the Korean-speaking user 200 After transmitting the received English to the mobile device 300, the mobile device 300 is transmitted to the interpretation server 400, the translation into Korean.

번역된 한국어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용자(200)의 제2트랜스기기에 다시 전달되고, 사용자(200)는 그 내용을 듣고 이해하게 된다.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용자(200)의 트랜스기기(100)는 상기 한국어를 인식하고, 영어를 사용하는 사용자(200)의 제1트랜스기기에 한국어를 전달하고 상기 제1트랜스기기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한국어를 영어로 번역하여 사용자(200)에게 출력하게 된다.The translated Korean is transmitted back to the second trans device of the Korean-speaking user 200, and the user 200 hears and understands the contents. The trans device 100 of the Korean-speaking user 200 recognizes the Korean language and delivers the Korean language to the first trans-device of the English-speaking user 200, and the first trans-device i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 Korean is translated into English and output to the user 200.

이때, 상기 트랜스기기(100)는 ON/OFF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ON/OFF버튼은, 통역하고자 하는 대화만을 전달할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일 예로, 현재,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용자(200)가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를 말하게 되더라도, 영어를 이용하는 사용자(200)에게는 '반갑습니다'만을 전달하고 싶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원하는 문장만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ON/OFF 버튼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즉,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용자(200)가 ON/OFF버튼을 누르지 않고 "안녕하세요"를 이야기 한 뒤, ON/OFF버튼을 누르고 "반갑습니다"를 이야기 할 경우, 상기 영어를 이용하는 사용자(200)에게는 "반갑습니다" 만이 전달되게 되고, 영어를 이용하는 사용자(200)의 트랜스기기(100)는 "반갑습니다"의 음성데이터만을 통역서버(400)로 전송하게 되어, "Nice to meet you"만을 출력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transformer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n ON/OFF button. The ON/OFF button can be usefully used when delivering only a conversation to be interpreted. As an example, even if the Korean-speaking user 200 says "Hello, nice to meet you", the user 200 who speaks English may only want to convey "nice to meet you". In such a case, in order to deliver only the desired sentence, it can be adjusted using the ON/OFF button. That is, if a Korean-speaking user 200 says "Hello" without pressing the ON/OFF button, then presses the ON/OFF button and says "nice to meet you", the user 200 using the above English Only "nice to meet you" is transmitted, and the trans device 100 of the English-speaking user 200 transmits only the voice data of "nice to meet you" to the interpretation server 400, so that only "Nice to meet you" is output. do.

이때, 상기 ON/OFF버튼은 한번 터치시 ON, 다시 한번 더 터치할 시 OFF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ON/OFF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은 ON 상태이며, 누르지 않고 있는 동안은 OFF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ON/OFF button may be configured in a form of ON when touching once and OFF when touching ag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N/OFF button is in an ON state while the ON/OFF button is pressed, and while not being pressed, It can also be configured in the OFF state.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트랜스기기(100)에 음성 인식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장치에 일정한 단어를 입력해두고, 그 단어가 인식 될시 ON 상태로 통역을 시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음성 인식 장치에 "좋은아침"이라는 단어를 입력해두고, 상기 단어가 들릴시 ON 되도록 설정해둔다면, 사용자(200)가 상기 트랜스기기(100)를 이용하여 통역이 필요할 경우, 상기 트랜스기기(100)에 "좋은아침"이라고 말하여 트랜스기기(100)를 ON 시켜 사용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voice recognition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trans device 100. It can be configured to input a certain word into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and start interpreting in an ON state when the word is recognized. For example, if the word "good morning" is entered in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and set to be ON when the word is heard, the trans device when the user 200 needs an interpretation using the trans device 100 By saying "good morning" to (100), you can turn on the transformer device (1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장치의 상기 트랜스기기(100)는, ON/OFF 버튼을 더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ON/OFF 버튼은 통역하고자 하는 대화만을 전달하고 음성 데이터를 전송시킬 때의 전송 경로에 따른 지연시간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최적 효율을 선택하여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rans device 100 of the multi-data transmission device for real-tim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ON/OFF button, wherein the ON/OFF button transmits only the conversation to be interpreted. When transmitting the voice data, the delay tim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path is automatically calculated and the optimum efficiency is selected to ena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data.

일 예로, 현재,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용자(200)가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를 말하게 될 시, 해당 음성데이터를 통역서버(400)로 전송하기 위한 최적 전송 조건을 구축하기 위하여, 현재 연결 선로에 대하여 통신데이터의 프리앰블 신호(Preamble Signal)를 송수신하며, 송신 시점과 수신 측의 수신 시간에 대해 이를 각 데이터 프레임 분할 후 전송 속도가 산출된다. 상기 프리앰블 신호(Preamble Signal)에 대해 도 3에 도시된 바 있다.As an example, at present, when the Korean-speaking user 200 says "Hello, nice to meet you", in order to establish an optimal transmission condition for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voice data to the interpretation server 400, the current connection line It transmits and receives a preamble signal of communication data, and a transmission rate is calculated after dividing each data frame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time and the reception time of the receiving side. The preamble signal is shown in FIG. 3.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200)가 음성을 입력하고, 다른 사용자에게 번역된 음성 데이터를 확인하는 데에는, 모바일기기(300) 및 통역서버(400)와 연계하기 위해 무선통신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무선 통신 필요 요구 사항 및 조건, 응용 분야에 따라 BLE, WIFI, RF4CE, Zigbe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특정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무선통신이 이용 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 in order for the user 200 to input a voice and check the translated voice data to another user, wireless communication is used to link the mobile device 300 and the interpretation server 400. Will be used. Any one selected from BLE, WIFI, RF4CE, and Zigbee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requirements and conditions, and the application field, and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used depending on embodiments without being specific to any one.

이때, 유무선 전송 매체는 네트워크 상태나 통신 상태, 기기의 상태가 상시 음성데이터를 위해 집중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며,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송 선로의 상태에 따라 음성 데이터의 최적 전송 속도와 이에 대응하는 압축률을 자동으로 계산한다.At this time, in the wired/wireless transmission medium,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network state, the communication state, and the state of the device cannot always concentrate for voice data.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data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ransmission line. The optimal transmission rate and corresponding compression rate are automatically calculated.

이때, 상기 트랜스기기(100)는 ON/OFF 버튼의 ON 상태일 때, 상기 대역폭의 진단을 위한 신호의 주기를 자동으로 증가시켜, 연결 네트워크 상태와 대역폭, 응답성에 따른 압축률 결정 의사를 빠르게 결정하고, OFF 상태일때에는 트랜스기기(100)의 내부 소모 전력 감소와 시스템의 부하와 네트워크의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전송 상태 판단 주기를 자동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when the ON/OFF button is in the ON state, the transformer device 100 automatically increases the period of the signal for diagnosis of the bandwidth to quickly determine the decision to determine the compression rat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network state, bandwidth, and responsiveness. , In the OFF state, in order to reduce the internal power consumption of the transformer device 100 and reduce the load of the system and the network, the transmission state determination period is automatically reduc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방법의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데이터 전송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데이터 전송방법은, 사용자(200)가 제1트랜스기기에 음성을 입력하는 제1단계, 상기 제1트랜스기기에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모바일기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트랜스기기(100)와 연결된 제2트랜스기기에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제2트랜스기기에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모바일기기(300)로 전송한뒤, 통역서버(400)로 전송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통역서버(400)에서 통역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모바일기기(300)가 다시 수신받아 사용자(200)에게 출력하는 제4단계를 거치게 된다.2 is a diagram showing steps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le data for real-tim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l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2, in the multi-data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tep of a user 200 inputting voice to a first trans device, and voice data input to the first trans device The second step of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mobile device 300 and transmitting the voice data to the second trans device connected to the trans device 100, the voice data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 device to the mobile device 300 After that, a third step of transmitting to the interpretation server 400 and a fourth step of receiving the voice data interpreted by the interpretation server 400 again by the mobile device 300 and outputting it to the user 200 are performed. .

상기 제1사용자(200)가 제1트랜스기기에 음성을 입력할 시, 제1트랜스기기는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모바일기기(300)로 전송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제2사용자(200)가 소지한 제2트랜스기기에도 음성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제1트랜스기기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전송받은 제2트랜스기기는, 상기 제2트랜스기기에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모바일기기(30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모바일기기(300)에 전송된 음성 데이터는 통역서버(400)로 전송되게 된다. 상기 통역서버(400)에서 통역된 음성데이터는 다시 제2트랜스기기로 전송되어,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200)가 그 대화를 인식하게 된다.When the first user 200 inputs a voice to the first trans device, the first trans device transmits the input voice data to the mobile device 300,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user 200 possesses it. Voice data is also transmitted to one second trans device. The second trans device, which has received the voice data from the first trans device, transmits the voice data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 device to the mobile device 300, and the voice data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300 is interpreted. I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400. The voice data interpreted by the interpretation server 4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ducer again, so that the user 200 using a different language recognizes the conversation.

이때, 상기 트랜스기기(100)에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시, 기설정되는 일정 시간을 분배하여 사용하는 시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전송되게 된다. 상기 트랜스기기(100)는 1대 1, 1대 다수 또는 다수 대 다수로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트랜스기기(100)간 음성데이터 전송은, 시분할 다중화 방식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데이터 송출시, 일정 시간을 분배하여 사용하는 시분할(Time Slot)의 방식을 이용한다.At this time, when the trans device 100 transmits the voice data, it is transmitted in a time division multiplexing method that distributes and uses a predetermined time. The transformer device 100 is connected in a one-to-one, one-to-many, or many-to-many.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of voice data between the trans devices 100 uses a time division multiplexing method, which uses a time slot method that distributes and uses a predetermined time when transmitting data.

상기 시분할 다중화 방식은, 하나의 전송로에 여러 개의 데이터 신호를 중복시켜 하나의 고속신호를 만들어 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송로의 이용 효율을 높이게 된다. 즉, 하나의 전송로 대역폭을 시간 슬롯(Time Slot)으로 나누어 채널에 할당함으로써 몇 개의 채널들이 한 전송로의 시간을 분할하여 사용한다.The time division multiplexing method is a method of creating and transmitting one high-speed signal by overlapping several data signals on one transmission path,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transmission path. That is, by dividing the bandwidth of one transmission path into a time slot and allocating it to a channel, several channels divide and use the time of one transmission path.

일 예로, 음성데이터를 16kHz로 샘플링 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시, 기본 전송 단위 1패킷 32바이트를 기준으로,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RF4CE, Zigbee 등과 같은 무선통신과 트랜스기기(100) 및 트랜스기기(100)간의 분배 시간은 각각 2msec가 되게 된다. 즉, 2msec 간격으로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RF4CE, Zigbee 등과 같은 무선통신과 트랜스기기(100)간의 전송을 반복하게 된다. 이하,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RF4CE, Zigbee 등과 같은 무선통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As an example, when data is transmitted by sampling voice data at 16 kHz,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E (Bluetooth Low Energy), WIFI, RF4CE, Zigbee, etc., and the transformer 100 and the transformer The distribution time between the devices 100 is 2 msec, respectively. That is,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E (Bluetooth Low Energy), WIFI, RF4CE, Zigbee, etc. and transmission between the transformer device 100 are repeated at 2msec intervals. Hereinafte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E (Bluetooth Low Energy), WIFI, RF4CE, Zigbee, etc. will be described later.

후술될 무선통신을 통한 트랜스기기(100)와 모바일기기(300)의 전송시에 상술한 것과 같은 시분할 데이터 전송방식을 활용하게 되면, 트랜스기기(100)와 모바일기기(300)와의 데이터 통신 전송의 사이로 시분할된 '사용자의 음성데이터' 가 모바일기기(300)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자연스럽게(seamless) 서비스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트랜스기기(100)와 모바일기기(300)와의 일상적인 데이터 통신 중, 예를 들어, 트랜스기기(100)로부터 특정한 문자 데이터를 모바일기기(300)로 전송하는 동안, 시분할 데이터 전송방식을 활용하여 트랜스기기(100)로부터 '음성 데이터'까지 전송하여, 별도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추가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When the time division data transmiss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used when transmitting the trans device 100 and the mobile device 3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ransmission of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 device 100 and the mobile device 3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the'user's voice data' time-divided between the mobile device 300 can be provided seamlessly to the extent that the user does not feel uncomfortable. That is, during normal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 device 100 and the mobile device 300, for example, while transmitting specific text data from the trans device 100 to the mobile device 300, a time division data transmission method is used. By transmitting'voice data' from the transformer device 100, there is no need to additionally use a separate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장치와 관련되어, 상기 트랜스기기(100)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제1트랜스기기에서 제2트랜스기기로 음성데이터를 전송시, 전송과 동시에 전송하고 있는 제1트랜스기기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전송이 종료될 시, 상기 제1트랜스기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모바일기기(300)로 전송하게 된다. In relation to a multi-data transmission device for real-tim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 device 100 includes a memory capable of storing voice data, and the memory includes a memory capable of storing voice data from a first trans device to a second transformer. When transmitting the voice data to the device, it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first trans device that is being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as the transmission, and when the transmission ends,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first trans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300. do.

이때, 상기 제1트랜스기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모바일기기(300)로 전송할 시,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RF4CE, Zigbee 등과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하게 된다. 무선통신의 일 예로,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이란, 기존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할 시의 단점인 배터리 소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훨씬 적은 전력을 사용하여 기존 블루투스(Bluetooth)와 비슷한 수준의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이다. 실 예로, 최근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 밴드, 워치, 글래스 등의 웨어러블 무선통신 기기들의 대부분은 이 BLE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한다. At this time, when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first trans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300,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E (Bluetooth Low Energy), WIFI, RF4CE, Zigbee, etc. is used. As an example of wireless communic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battery consumption, which is a disadvantage of using the existing Bluetooth, and uses much less power and is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the existing Bluetooth. It is a communication that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of For example, most of the recently released 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smart bands, watches, glasses, etc.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is BLE method.

또한, 상기 통역서버(400)는 트랜스기기(100)로부터 송신한 음성데이터를 트랜스기기(100)의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300)에 전송한 뒤, 상기 모바일기기(300)에 전송된 음성데이터를 와이파이 또는 이동통신 망을 이용하여 저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nterpretation server 400 receives the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 device 100 by the trans device 100, transmits the received voice data to the mobile device 300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The voice data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300 is stored using Wi-Fi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 신호(preamble signal)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장치는, 상기 프리앰블 신호(Preamble Signal)에서 산출된 시간을 근거로, 음성 데이터 전송 선로에 전송할 음성 데이터의 압축률을 자동으로 결정하게 된다. 즉, 음성데이터를 전송할 시, 프리앰블 신호를 함께 전송하여, 프리앰블 신호에 의해 지연시간을 확인하고, 그 지연시간에 따라 데이터 전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3 is a diagram showing a preambl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data transmission apparatus for real-tim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etermines a compression rate of voice data to be transmitted to a voice data transmission line based on the time calculated from the preamble signal. That is, when voice data is transmitted, the preamble signal is transmitted together, the delay time is checked by the preamble signal, and the data transmission rat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lay time.

즉, 본 발명의 통상적인 음성데이터에 대한 실시 예에서, 16비트의 단어 길이(Word Length)로 구성된 16000Hz의 샘플 속도(Sample Rate)를 가진 2채널 데이터의 비 압축 전송 시에는 1분을 기준으로 약 3.8MB(메가 바이트)로 구성되나, 프리앰블 신호에 의하여 신호가 지연되었음을 확인 하게 될 경우, 상기 전술한 전송 경로에 따른 지연시간을 자동 계산하여, 샘플링을 변경하게 되고 그에 따라 음성 데이터 전송 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That is, in an embodiment of the conventional voice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uncompressed transmission of 2-channel data having a sample rate of 16000 Hz consisting of a word length of 16 bits, Consists of about 3.8 MB (megabytes), bu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ignal is delayed by the preamble signal, the delay tim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path is automatically calculated, and the sampling is changed accordingly, and the voice data transmission efficiency is improved. Will increase.

일 예로, 상기 16비트의 단어(Word)로 구성된 16000Hz의 샘플 속도(Sample Rate)를 가진 2채널 음성 데이터에 대해, 전송 선로의 대역폭(Bandwidth)을 계산하여 기존의 음성데이터의 비트 레이트(Bit Rate)인 512kbps를 64kbps로 다운 샘플링 하게 되면, 전송 데이터는 1분당 3.8MB(3800kb)에서 약 0.5MB(500kb)로 감소하게 된다.For example, for 2-channel voice data having a sample rate of 16000 Hz composed of the 16-bit words, the bit rate of the existing voice data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bandwidth of the transmission line. ), 512kbps is down-sampled to 64kbps, the transmission data is reduced from 3.8MB (3800kb) per minute to about 0.5MB (500kb).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리앰블 신호(Preamble Signal)에서 산출된 지연시간을 근거로, 음성 데이터 전송 선로에 전송할 음성 데이터의 압축률을 자동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때, 기준 신호는 신호의 기본 데이터로,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신호를 의미한다. As shown in FIG. 3, the compression rate of the voic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voice data transmission line is automatically determined based on the delay time calculated from the preamble signal. In this case, the reference signal is basic data of a signal and means a signal that appears periodically.

좀더 구체적으로 지연시간은 지터(jitter)라 볼 수 있는데, 지터란 일반적으로 기준 신호의 파생시에 발생하는 노미날(nominal)한 시간 변화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지터의 크기가 크다는 것은 기준 신호의 수신에 대한 지연되는 시간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delay time can be viewed as jitter, which generally means a nominal time change that occurs when the reference signal is derived. Therefore, the large amount of jitter means that the delay time for reception of the reference signal is large.

좀더 구체적으로 이러한 지연되는 시간이 크다는 의미는 음성데이터의 전송환경이 좋지 못하다는 의미로 추정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음성데이터의 샘플링 레이트(rate)를 변경하여(즉 이 경우 샘플링 레이트를 낮추어서), 음성데이터의 전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eaning of such a large delay time can be estimated to mean that the transmission environment of voice data is poor, and in this case, by changing the sampling rate of the voice data (that is, by lowering the sampling rate in this case). , Voice data can be transmitted smoothly.

결과적으로, 상기 프리앰블 신호는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에 대한 타이밍을 추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3의 프리앰블 신호에서 알수 있듯이, 상기 음성 신호는 프리앰블 신호와 함께 전송되고, 이때 발생하는 지터에 의해, 지연시간을 알게 되고, 그에 따라 샘플링을 변경하여, 전송 효율을 높이게 된다.As a result, the preamble signal can be used to estimate the timing for voice data by using signals that are continuously transmitted. That is, as can be seen from the preamble signal of FIG. 3, the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preamble signal, and the delay time is known by the jitter generated at this time, and the sampling is changed accordingly, thereby increasing the transmission efficiency.

이때, 상기 프리앰블 신호는,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용도로 이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 데이터와 혼재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에 대한 전송 선로에 데이터 부담을 줄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amble signal is not limited to using a signal that is continuously transmitted, but is used to check a network state for transmitting voi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ransmission may be mixed with voice data,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data burden on a transmission line for voice data may be reduced by selectively using it.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presen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asy to see that branch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100 : 트랜스기기
200 : 사용자
300 : 모바일기기
400 : 통역서버
100: Trans device
200: user
300: mobile device
400: interpretation server

Claims (6)

사용자(200)의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 및 이어폰을 포함하며, 1대 1, 1대 다수 또는 다수 대 다수로 구성되는 트랜스기기(100);
상기 트랜스기기(1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전송받아 통역서버(400)로 전송하고, 상기 통역서버(400)에서 통역된 음성데이터를 다시 전송받는 모바일기기(300); 및
상기 트랜스기기와 상기 모바일기기는 음성 데이터와 더불어 비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장치.
A transformer device 100 including a microphone and earphone for recognizing the user's 200 voice, and consisting of one-to-one, one-to-many, or many-to-many;
A mobile device (300) receiving voice data from the trans device (100), transmitting the voice data to the interpretation server (400), and receiving the voice data interpreted from the interpretation server (400) again; And
The trans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are capabl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non-voice data along with voice data.
사용자가 제1트랜스기기에 음성을 입력하는 제1단계;
상기 제1트랜스기기에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모바일기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제1트랜스기기와 연결된 제2트랜스기기에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제2트랜스기기에 전송된 음성데이터를 모바일기기(300)로 전송한뒤, 통역서버(400)로 전송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통역서버(400)에서 통역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모바일기기(300)가 다시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 내지 제3단계에서, 상기 트랜스기기와 상기 모바일기기는 음성 데이터와 더불어 비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 방법.
A first step of a user inputting a voice to the first trans device;
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the voice data input to the first trans device to the mobile device 300 and transmitting the voice data to a second trans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trans device;
A third step of transmitting the voice data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 device to the mobile device 300 and then to the interpretation server 400; And
A fourth step of receiving, by the mobile device 300 again, the voice data interpreted by the interpretation server 400 and outputting it to a user;
Including,
In the second to third steps, the trans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are capabl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non-voice data along with voice data.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스기기 또는 제2트랜스기기에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시,
기설정되는 일정 시간을 분배하여 사용하는 시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n transmitting voice data from the first or second trans device,
Multi-data transmission method for real-tim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is performed in a time-division multiplexing method using a predetermined time distribu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스기기 또는 제2트랜스기기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제1트랜스기기에서 제2트랜스기기로 음성데이터를 전송시, 전송과 동시에 전송하고 있는 제1트랜스기기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전송이 종료될 시, 상기 제1트랜스기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or second transformer is
Includes memory capable of storing voice data,
The memory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first trans device that is transmitting the voice data from the first trans device to the second trans device simultaneously with the transmission,
When transmission is terminated,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first transducer is transmitted to a mobile device.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의 전송에는 프리엠블 신호를 사용하여, 지연시간의 크기에 따라, 음성 데이터의 샘플링 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or 4, wherein a preamble signal is used to transmit the voice data, and a sampling ratio of the voice data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 delay time.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스기기 또는 제2트랜스기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모바일기기로 전송할 시,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선통신은,
상기 무선 통신 필요 요구 사항 및 조건, 응용 분야에 따라 BLE, WIFI, RF4CE, Zigbe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n transmitting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first or second trans device to a mobile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ulti-data transmission method for real-tim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BLE, WIFI, RF4CE, and Zigbee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requirements and conditions and application fields.

KR1020190066738A 2019-06-05 2019-06-05 Multi-data Transmission Device for Real-time Translator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2304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738A KR102230409B1 (en) 2019-06-05 2019-06-05 Multi-data Transmission Device for Real-time Translator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738A KR102230409B1 (en) 2019-06-05 2019-06-05 Multi-data Transmission Device for Real-time Translator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043A true KR20200140043A (en) 2020-12-15
KR102230409B1 KR102230409B1 (en) 2021-03-19

Family

ID=7378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738A KR102230409B1 (en) 2019-06-05 2019-06-05 Multi-data Transmission Device for Real-time Translator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40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6275A (en) * 1999-10-04 2001-05-18 Nortel Networks Ltd Tdm switch and data transmission network
JP2004023262A (en) * 2002-06-13 2004-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Automatic interpreting apparatus and automatic interpreting system
KR20080101366A (en) * 2007-05-17 2008-11-21 (주)부리멀티미디어 Multichannel audio decoding device based on specific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and method of multichannel audio decoding using the same
KR20150048379A (en) * 2013-10-28 2015-05-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for extracting feature parameter of speech recognition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60122371A (en) 2015-04-14 2016-10-24 권형석 Automatic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KR20170062681A (en)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플렉싱크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Based on Wi-fi Sign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6275A (en) * 1999-10-04 2001-05-18 Nortel Networks Ltd Tdm switch and data transmission network
JP2004023262A (en) * 2002-06-13 2004-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Automatic interpreting apparatus and automatic interpreting system
KR20080101366A (en) * 2007-05-17 2008-11-21 (주)부리멀티미디어 Multichannel audio decoding device based on specific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and method of multichannel audio decoding using the same
KR20150048379A (en) * 2013-10-28 2015-05-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for extracting feature parameter of speech recognition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60122371A (en) 2015-04-14 2016-10-24 권형석 Automatic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KR20170062681A (en)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플렉싱크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Based on Wi-fi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409B1 (en)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23813B (en) A method for setup and controlling service connection
US20030065504A1 (en) Instant verbal translator
US20050144012A1 (en) One button push to translate languages over a wireless cellular radio
US20180203850A1 (en) Method for Multilingual Translation in Network Voice Communications
WO2018209102A2 (en) Smart sound devices and language translation system
EP1545110A1 (en) Telephone interpretation system
US20230367817A1 (en) Real-time voice processing
US10817674B2 (en) Multifunctio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A2501067A1 (en) Telephone interpretation assistance device and telephone interpret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103533129A (en) Real-time voice transl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as well as applied communication equipment
CN110915239B (en) On-line automatic audio transcription for hearing aid users
US8126697B1 (e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coding negotiation
CN111554280A (en) Real-time interpretation service system for mixing interpretation conten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pretation contents of interpretation experts
KR102230409B1 (en) Multi-data Transmission Device for Real-time Translator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160203818A1 (en) Wireless caption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JPWO2019186639A1 (en) Translation system, translation method, and translation device
KR1009948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chatting service
KR102170902B1 (en) Real-time multi-language interpretation wireless transceiver and method
US20190058784A1 (en) Method and devices for interconnecting two Bluetooth type systems
KR20160133925A (en) A System for Providing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ervice Using the Ear-Mic Phone Having an Embedded Receiving Chip of FM and Digital Radio
EP2536176B1 (en) Text-to-speech injection apparatus for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80007966A (e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ervice system
CN110210042A (en) Voice data processing method,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0922000B1 (e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for bidirectional audio data communication based on binary cdma
KR20210029636A (en) Real-time interpretation service system that hybridizes translation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pretation by interpr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