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077A -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077A
KR20200138077A KR1020200065264A KR20200065264A KR20200138077A KR 20200138077 A KR20200138077 A KR 20200138077A KR 1020200065264 A KR1020200065264 A KR 1020200065264A KR 20200065264 A KR20200065264 A KR 20200065264A KR 20200138077 A KR20200138077 A KR 20200138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ptocurrency
user
blockchain
exchange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재윤
Original Assignee
옥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재윤 filed Critical 옥재윤
Publication of KR2020013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Abstract

본 발명은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종 플랫폼의 암호화폐를 별도의 환전절차 없이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환전 환경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원의 최초가입시 추천인을 등록하도록 하여, 그 사용자가 거래소 서버를 통해 암호화폐의 매수시 등록된 추천인에게 에어 드롭을 지급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용자들을 암호화폐 이용자로 유인하여 암호화폐 유통을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CRYPTO CURRENCY BASED ON BLOCKCHAIN}
본 발명은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이종 플랫폼의 암호화폐를 별도의 환전절차 없이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환전 환경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블록체인과 같은 암호화 기술의 등장에 따라, 암호화 기술 기반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그 중 가장 주목받는 암호화폐로는 비트코인(Bitcoin)이 있으며, 그 외에도 이더리움(Ethereum), 리플(Ripple), 대시(Dash) 및 라이트코인(Litecoin)등이 서비스 준비 중이거나 이미 서비스 중에 있다.
이전에도 다양하고 수많은 암호화 기술 기반 화폐가 웹 서비스 업체들에 의한 '캐시'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전자상거래에서는 거래의 기본이 되는 암호화폐가 온라인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전자상거래에서 지불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는 신용카드 또한 전자화 및 가상화되고, 실물화폐를 당장 지급하지 않아도 신용거래를 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됨에 따라 신용카드사, 은행, 가맹점의 순환구조가 완성되어 암호화폐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암호화폐가 기존의 암호화폐와는 달리 급격하게 관심을 받는 이유는 작동방식의 차이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블록체인 암호화폐는 거래방식에 있어서 동등계층간 통신망(P2P; peer-to-peer network)을 기반으로 하는 분산 네트워크 타임스탬프 서버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공개키 암호 방식의 거래가 이루어지며, 각 노드들을 통해 분산원장을 관리함에 따라 기존의 실물화폐와는 달리 중앙권한이나 은행이 없는 운영이 가능하게 되어, 중앙 집중형태의 기존 암호화폐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블록체인 암호화폐는 전술한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상의 번거로움, 화폐가치의 변동성 등의 이유로 아직 실물화폐 및 전통적인 암호화폐를 대체하는 수준까지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현재 암호화폐들은 비트코인과 같이 널리 알려진 화폐 이외에도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다수의 암호화폐가 존재 및 유통되고 있으나,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알려져 있을 뿐, 일반인들에게는 관심의 대상이 아님에 따라 소수에 의한 투자 수단으로서만 활용되고 있어 실제 화폐의 가치 내지 목적이라 할 수 있는 재화교환 수단으로의 지위를 갖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40907호(공고일자: 2019.11.0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의 유통을 활성화하고, 다수의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암호 화폐를 거래하는 거래소 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으로서, 상기 거래소 서버는,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를 보관하는 서버 전자지갑,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 절차 및 회원 가입된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되, 회원 가입시 추천인 정보를 입력받는 회원 관리부, 상기 회원 관리부에 의해 정상적으로 회원 가입된 사용자 단말에 단말 전자지갑을 생성하여 배포하는 지갑 생성부, 회원 가입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각 암호화폐간 환전 절차를 수행하는 환전하는 환전부 및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암호화폐의 최초 매수시, 회원 가입시점에 입력된 추천인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추천인인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지급요율에 따라 암호화폐를 에어 드롭으로 지급하는 에어 드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래소 서버는, 상기 에어 드롭부로부터 설정된 에어 드롭 기준일을 제공받아 온라인 상에 공시하는 정보 제공부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 거래소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의 현재 시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에 제공하여 온라인 상에서 실시간으로 공유하도록 하는 시세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드롭부는, 사용자의 암호화폐의 최초 매수시점이 상기 에어 드롭의 지급 기준일 이전인 지 여부를 확인하여 에어 드롭 대상을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지급요율은, 현재 시점 또는 에어 드롭 지급 기준일에서의 상기 암호화폐의 환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거래소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부, 상기 거래소 서버와 동기화하여 상기 거래소 서버에서 공시한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의 현재 시세를 수신 및 표시하는 시세 확인부, 사용자의 최초 회원 가입시, 가입화면에 상기 추천인을 입력받는 추천인 입력란을 제공하고, 입력되는 추천인 ID를 포함하는 추천인 정보를 상기 거래소 서버에 제공하는 추천부, 회원 가입 완료에 따라 상기 거래소 서버가 발행하고, 매수한 암호화폐를 저장하는 전자지갑 및 상기 거래소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거래소 서버에 상기 암호화폐의 매수 또는 매도를 요청하거나, 자신의 전자지갑에 저장된 암호화폐를 타 사용자의 단말 전자지갑으로 송금 요청하는 트랜잭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부는, 상기 거래소 서버가 배포하는 API에 의해 상기 암호화폐의 매수, 매도 및 송금 요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하되, 회원 가입시 추천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정상적으로 회원 가입 절차가 완료된 사용자 단말에 단말 전자지갑을 생성하여 배포하는 단계 및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암호화폐의 최초 매수시, 회원 가입시점에 입력된 추천인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추천인인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지급요율에 따라 암호화폐를 에어 드롭으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암호화폐의 최초 매수시, 회원 가입시점에 입력된 추천인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추천인인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지급요율에 따라 암호화폐를 에어 드롭으로 지급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암호화폐의 최초 매수시점이 상기 에어 드롭의 지급 기준일 이전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암호화폐의 최초 매수시점이 상기 에어 드롭의 지급 기준일 이전인 경우, 에어 드롭 대상을 확정하는 단계 및 확정된 사용자에게 상기 에어 드롭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급요율은, 현재 시점 또는 에어 드롭 지급 기준일에서의 상기 암호화폐의 환율에 따라 가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원 가입시 추천인을 등록하도록 하여, 그 사용자가 거래소 서버를 통해 암호화폐의 최초 매수 거래시 등록된 추천인에게 에어 드롭을 지급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용자들을 암호화폐 이용자로 유인하여 암호화폐 유통을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의 거래소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이 제공하는 분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서버(Server)",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서버(Server)",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구현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은 설명의 편의상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또는 "시스템"으로 약식 기재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특정 암호화폐 플랫폼의 토큰, 즉 코인을 이용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 각 사용자 단말(100, 2000)의 요청에 따라 암호화폐를 이용하기 위한 전자지갑을 발급 및 배포하고, 거래소에서 취급하는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의 매수 또는 매도를 수행하는 거래소 서버(300) 및 각 암호화폐 플랫폼을 구성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100, 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암호화폐를 매수, 매도 및 송금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단말장치로서, 거치형PC, 랩탑형PC, 스마트폰 및 태블릿PC와 같은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100, 200)은 거래소 서버(300)와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실행할 수 있고, 다양한 암호화폐를 이용할 수 있는 전자지갑이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소 서버(300)는 상용화된 다른 플랫폼의 암호화폐를 지원할 수 있고, 이에 각 사용자 단말(100, 200)에는 이를 활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자지갑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100, 200))에는 복수의 전자지갑이 설치될 수 있고, 거래소 서버(300)가 배포하는 API를 통해 상용화된 암호화폐의 매수, 매도 및 송금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송금은 제1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200)과 거래소 서버(300)간의 암호화폐 송금뿐만 아니라,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간의 암호화폐 송금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암호화폐 플랫폼으로는 주지된 암호화폐로서 다양한 종류의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일례로서 주지된 '오아시스코인(OSC)' '비트코인', '리플' 및 '이더리움' 등 일 수 있고, 외부의 암호화폐 거래소와의 연계가 가능함에 따라 암호화폐를 송금 및 입금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사용자 단말(100, 200)로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거치형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거래소 서버(3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에 대하여, 거래소에서 취급하는 암호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거래소 서버(300)는 다양한 상용화된 암호화폐에 대한 전자지갑을 보유하고 있고, API를 배포하여 사용자들이 사용자 단말(100, 200)의 전자지갑을 통해 암호화폐의 매수, 매도 및 송금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소 서버(300)는 새로 회원 가입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회원 가입 절차를 제공함과 아울러, 그 회원 가입절차에서 사용자로부터 자신을 추천한 추천인ID를 더 입력 받을 수 있고, 이후 새로 가입된 사용자가 최초로 특정 암호화폐를 매수하고자 할 때, 가입시 입력된 추천인ID를 추출하여 해당 사용자를 판단하고, 매수가격 또는 매수 수량에 대응하여 기 지정된 비율에 따라 에어 드롭(air drop)을 산출 및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적으로, 거래소 서버(300)는 거래하는 사용자의 활동, 즉 상품구매, 댓글작성 및 후기작성 등에 따라 그 사용자에게 대가로서 특정 암호화폐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들이 전체 시스템 이용을 유도하는 정책이 적용될 수 있다.
각 사용자 단말(100, 200)과 거래소 서버(300를 서로 연결하는 정보통신망으로는,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소 서버(300)가 취급하는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을 가리키는 것으로, 복수의 노드(410)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 200) 및 거래소 서버(300)에 저장되는 전자지갑과 연동하여, 해당 암호화폐에 대한 매수, 매도 및 송금에 따른 트랜잭션을 처리 및 그 내역을 분산원장(블록)에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신규 회원 사용자의 특정 암호화폐에 대한 최초 매수가 발생하면, 그 신규회원 사용자가 회원 가입시 입력한 추천인ID에 따라 식별된 계좌에 정해진 지급요율에 따른 토큰 지급에 대한 트랜잭션을 처리함으로써, 보상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은, 사용자가 암호화폐를 거래소를 상대로 하여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간 송금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간 추천에 의해 시스템에 새롭게 전자계좌를 개설한 사용자를 추천한 추천인에 대한 보상으로써 에어 드롭을 제공함에 따라, 회원 사용자들이 타인에 대한 소개가 장려되며, 거래소를 통한 암호화폐 유통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루는 각 구성부들은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사용자 단말에 탑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100)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거래소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부(110), 거래소 서버와 동기화하여 거래소 서버에서 공시한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의 현재 시세를 수신 및 표시하는 시세 확인부(120), 사용자의 최초 회원 가입시, 가입화면에 추천인을 입력받는 추천인 입력란을 제공하고, 입력되는 추천인 ID를 포함하는 추천인 정보를 거래소 서버에 제공하는 추천부(130), 거래소 서버에 상기 암호화폐의 매수 또는 매도를 요청하거나, 자신의 전자지갑에 저장된 암호화폐를 타 사용자의 단말 전자지갑으로 송금 요청하는 트랜잭션부(140), 회원 가입 완료에 따라 거래소 서버가 발행하고, 매수한 암호화폐를 저장하는 전자지갑(150) 및 거래소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11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거래소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접속부(110)는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고,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암호화폐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시세 확인부(120)는 거래소 서버에서 취급하는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에 대한 현재 시세 정보를 요청하여 거래소 서버로부터 각 암호화폐의 현재 시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추천부(130)는 현재 사용자 단말(100)의 회원 가입 절차의 진행시 활성화되며, 화면상에 회원 가입 페이지에서 추천인ID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추천부(130)는 가입 절차가 종료되면 상기의 추천인ID를 거래소 서버(400에 전송함으로써 거래소 서버서 에어 ㄷ롭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한다.
트랜잭션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자지갑(150)에 저장되는 암호화폐의 타 사용자에 대한 송금뿐만 아니라, 거래소 서버를 대상으로 하여 암호화폐의 매수, 매도 등의 암호화폐 기반 거래를 위한 트랜잭션을 해당 암호화폐의 플랫폼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또는 요청할 수 있다.
특히, 트랜잭션부(140)는 거래소 서버가 배포하는 API에 의해 암호화폐의 매수, 매도 및 송금 요청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거래소 서버는 API를 통한 요청에 따라 거래소 서버는 해당 암호화폐 플랫폼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전자지갑(150)은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에서 전자계좌에 대응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를 저장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불록체인 기반 플랫폼에서 데이터(토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분산 저장됨에 따라 전자지갑(150)은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의 잔량(잔액)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한 암호화폐의 매수, 매도, 송금, 입금 등에 따라 블록체인에 기록된 정보에 동기화하여 잔량(잔액)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전자지갑(150)은 거래소 서버로의 회원 가입에 따라 거래소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배포될 수 있다.
저장소(1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는 데 요구되는 각종 정보, 일례로서, 사용자ID, 거래소 URL 및 기타 설정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의 거래소 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의 거래소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의 거래소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를 보관하는 서버 전자지갑(310),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200)의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 절차 및 회원 가입된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되, 회원 가입시 추천인 정보를 입력받는 회원 관리부(320), 상기 회원 관리부에 의해 정상적으로 회원 가입된 사용자 단말(200)에 단말 전자지갑(150, 250)을 생성하여 배포하는 지갑 생성부(330), 회원 가입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340), 사용자 단말(100, 200)의 요청에 따라 각 암호화폐간 환전 절차를 수행하는 환전하는 환전부(350),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암호화폐의 최초 매수시, 회원 가입시점에 입력된 추천인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추천인인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지급요율에 따라 암호화폐를 에어 드롭으로 지급하는 에어 드롭부(360), 에어 드롭부(360)로부터 설정된 에어 드롭 기준일을 제공받아 온라인 상에 공시하는 정보 제공부(370)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 거래소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의 현재 시세 정보를 수집하고, 정보 제공부(370)에 제공하여 온라인 상에서 실시간으로 공유하도록 하는 시세 수집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전자지갑(310)은 거래소에서 취급하는 하나 이상의 상용화된 암호화폐를 저장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에서 암호화폐는 블록에 기록된 장부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서버 전자지갑(310)은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과 동기화하여 그 장부 내역, 즉 잔량을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전자지갑(310)은 거래소 서버(300)에서 취급하는 암호화폐가 둘 이상일 경우, 각 암호화폐는 서로 다른 독립적인 화폐이므로, 각각의 암호화폐 별 전자지갑이 존재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320)는 본 발명의 거래소 서버(300)를 이용하고자 하는 하나 상의 사용자의 회원 가입 절차를 처리할 수 있고, 회원 가입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절차, 사용자ID 및 이와 연계된 사용자 정보의 생성, 갱신, 삭제 등의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지갑 생성부(330)는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본 발명의 거래소 서버(300)에서 취급하는 하나 이상의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를 이용하기 위한 전자지갑(150, 250)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100, 200)에 배포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340)는 거래소 서버(300)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 베이스(340)에는 전술한 사용자ID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각 사용자에 대한 전자지갑 발급현황 및 서버 운영을 위한 설정값 등이 저장될 수 있고, 에어 드롭을 실행하기 위한 추천인ID 및 거래내역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환전부(350)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100, 200)의 요청에 따라 제1 화폐를 제2 화폐로 환전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및 제2 화폐는 각각 제1 암호화폐(오아시스 코인) 및 제2 암호화폐(비트코인), 제1 암호화폐(오아시스코인) 및 법정화폐(달러) 등이 될 수 있고, 환전부는 사용자 단말(100, 200)의 요청에 따라 암호화폐간, 암호화폐와 법정화폐간, 등의 환전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환전부(350)는 요청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제1 전자지갑(150)에 저장된 화폐를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제2 전자지갑(250)에 송금할 수 있다.
에어 드롭부(360)는 특정 회원에 대한 보상으로서 에어 드롭을 산출 및 지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최초 회원 가입된 사용자를 추천한 추천인 회원에 대하여 보상으로써 에어 드롭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그 지급량은 소개받은 사용자(최초 가입자)의 암호화폐에 대한 최초 매수액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 드롭부(360)는 데이터 베이스(340)의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새로 가입된 회원을 추정할 수 있고, 그 회원의 최초 매수 거래내역을 검색하여 매수금액(량)을 추출한 뒤, 기 설정된 지급요율에 따라 에어 드롭 액(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래소 서버(300)에서는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등의 이유로 각 회원별 전자계좌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저장 및 관리하지 않음에 따라, 회원의 최초 매수 거래내역을 확인하기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는 전자계좌와 금액만이 기록되어 있음에 따라 따라, 에어 드롭부(360)는 새로운 회원 및 전자지갑이 생성되면, 그 사용자ID 및 전자계좌코드를 추출 및 임시 저장하고, 그 전자계좌코드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검색하여 해당 전자계좌에서 잔액변동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매수에 따른 변동이 발생한 경우 에어 드롭 지급 절차를 진행함에 더불어 임시 저장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에어 드롭을 지급받는 대상은 사용자 당사자가 아닌 그 추천인임에 따라, 에어 드롭부(360)는 해당 사용자의 회원 가입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추천인ID를 포함하는 추천인 정보를 저장하고 에어 드롭 지급시 추천인ID를 통해 지급 대상을 특정하고 에어 드롭을 지급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롭부(360)는 사용자의 암호화폐의 최초 매수시점이 에어 드롭 지급 기준일 이전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에어 드롭 대상을 확정할 수 있고, 에어 드롭 지급 기준일이 경과한 매수 거래건은 에어 드롭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여기서, 지급 기준일은 회원 가입 후 일정기간 사실상 이용이 없는 사용자와 관련된 보상을 제공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기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지급요율은 현재 시점 또는 에어 드롭 지급 기준일에서의 상기 암호화폐의 현재 시세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정보 제공부(370)는 거래소 서버(30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현재 취급중인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에 대한 정보 특히, 현재 시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100, 200)이 온라인 상태에 있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정보 제공부(370)는 각 블록체인 플랫폼의 암호화폐에 대하여 수집된 현재 시세를 취합하여 사용자 단말(100, 2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시세 수집부(380)는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각 블록체인 플랫폼의 암호화폐, 특히 거래소 서버(300)에 등록된 암호화폐들에 대하여 현재 시세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정보 제공부(370)에 전달하여 각 사용자 단말(100, 200)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암호화폐 거래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하되, 회원 가입시 추천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정상적으로 회원 가입 절차가 완료된 사용자 단말에 단말 전자지갑을 생성하여 배포하는 단계 및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암호화폐의 최초 매수시, 회원 가입시점에 입력된 추천인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추천인인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지급요율에 따라 암호화폐를 에어 드롭으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방법을 그 단계별 주체에 따라 세분화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사용자 단말(100)이 본 발명의 시스템이 배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하여 거래소 서버(300)에 접속 및 암호화폐를 거래하기 위한 신규 계좌의 개설을 요청하고(S100), 특히 개설 요청시 추천인이 존재하는 경우 그의 추천인 ID를 입력하면(S110), 거래소 서버(300)는 회원 가입 절차를 처리함과 아울러 정상적으로 절차가 완료된 사용자에 대한 전자지갑을 생성한다(S120).
다음으로, 거래소 서버(300)가 생성된 전자지갑을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 요청함에 따라(S310), 해당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 전자지갑이 준비되고,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전자지갑 정보 즉, 전자계좌가 등록된다(S140).
다음으로, 거래소 서버(300)에 접속한 제1 사용자 단말(100)이 회원 등록 이후 해당 전자지갑에 대한 최초 토큰, 즉 암호화폐의 구매를 요청하면(S150), 거래소 서버(30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암호화폐 매수를 위한 트랜잭션을 요청한다. 일반적으로 암호화폐 매수 거래는 사용자가 법정화폐를 이용하여 거래소 서버(300)가 보유한 암호화폐를 현재 시세에 따라 매수하는 거래로 볼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법정화폐 입금 또는 결제가 확인되면, 거래소에서는 서버 전자지갑에 저장된 암호화폐를 해당 금액에 대응하도록 사용자의 단말 전자지갑에 송금하는 트랜잭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서 토큰 입금 트랜잭션이 처리(S160)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의 블록에는 그 거래내역이 추가 기록되고,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 전자지갑에 토큰 즉, 암호화폐가 입금된 것으로 처리된다(S170).
이후, 전술한 암호화폐 매수 거래건이 회원 가입 이후 최초 수행된 매수건인 경우, 거래소 서버(300)는 그 사용자를 소개한 추천인에게 에어 드롭을 지급한다. 이에 따른 절차로서, 거래소 서버(300)는 거래 완료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추천인 ID를 추출하고(S180), 상기 거래가 회원 등록 후 최초 매수인 경우 기 지정된 지급요율에 따라 에어 드롭을 산출한다(S190).
이어서, 거래소 서버(300)는 식별된 추천인에게 에어 드롭을 지급한다 (S200). 상세하게는, 거래소 서버(300)는 지급요율에 따라 산출된 에어 드롭에 따른 암호화폐의 송금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요청할 수 있고, 해당 블록체인 플랫폼의 트랜잭션 처리 절차에 따라 정상적으로 거래 내역이 블록에 기록되면 추천인의 단말, 즉 제2 사용자 단말(200)에 토큰을 입력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S210).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이 제공하는 분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됨에 따라 거래소 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사용자는 거래소 서버가 제공하는 회원 등록 절차에 따라 회원 등록과 더불어 이용하고자 하는 암호화폐를 위한 전자계좌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계좌 생성화면(W100)에는 사용자ID 입력 및 할당된 계좌코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입력란(W110) 및 신규 가입에 따른 추천인ID를 입력할 수 있는 추천인 정보 입력란(W120)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입력란(W110)에서는 자신의 사용자 ID를 입력 및 확인할 수 있고, 부여되는 전자지갑의 계좌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회원 가입을 추천한 사용자는 미리 사용자에게 자신의 ID를 입력해 줄 것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사용자는 회원가입 절차에서 보 입력란(W120)에 자신을 추천한 타 회원 사용자의 ID를 추천인 ID로 입력함으로써 추천인을 등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은, 회원 가입한 사용자가 회원 등록 이후 특정 암호화폐에 대한 매수 거래를 수행하면, 그 최초 거래에 대한 인센티브인 에어 드롭을 추천인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 드롭이 발생하면, 추천인의 사용자 단말(200)의 알림 화면(W200)에는 에어 드롭이 발생한 암호화폐의 종류(W200)와 그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추천인ID(W210)가 표시될 수 있고, 추천인의 전자계좌에 에어 드롭에 따라 입금된 암호화폐의 액수(량) 및 지급요율을 포함하는 알림창(W22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 제1 사용자 단말 110 : 접속부
120 : 추천부 130 : 시세 확인부
140 : 트랜잭션 부 150 : 전자지갑
160 : 저장소 200 : 제2 사용자 단말
300 : 거래소 서버 310 : 서버 전자지갑
320 : 회원 관리부 330 : 지갑 생성부
340 : 데이터 베이스 350 : 환전부
360 : 에어 드롭부 370 : 정보 제공부
380 : 시세 수집부

Claims (10)

  1.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암호 화폐를 거래하는 거래소 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으로서,
    상기 거래소 서버는,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를 보관하는 서버 전자지갑;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 절차 및 회원 가입된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되, 회원 가입시 추천인 정보를 입력받는 회원 관리부;
    상기 회원 관리부에 의해 정상적으로 회원 가입된 사용자 단말에 단말 전자지갑을 생성하여 배포하는 지갑 생성부;
    회원 가입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각 암호화폐간 환전 절차를 수행하는 환전하는 환전부; 및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암호화폐의 최초 매수시, 회원 가입시점에 입력된 추천인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추천인인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지급요율에 따라 암호화폐를 에어 드롭으로 지급하는 에어 드롭부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소 서버는,
    상기 에어 드롭부로부터 설정된 에어 드롭 기준일을 제공받아 온라인 상에 공시하는 정보 제공부;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 거래소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의 현재 시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에 제공하여 온라인 상에서 실시간으로 공유하도록 하는 시세 수집부
    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드롭부는,
    사용자의 암호화폐의 최초 매수시점이 상기 에어 드롭의 지급 기준일 이전인 지 여부를 확인하여 에어 드롭 대상을 확정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급요율은,
    현재 시점 또는 에어 드롭 지급 기준일에서의 상기 암호화폐의 환율에 따라 가변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거래소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부;
    상기 거래소 서버와 동기화하여 상기 거래소 서버에서 공시한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의 현재 시세를 수신 및 표시하는 시세 확인부;
    사용자의 최초 회원 가입시, 가입화면에 상기 추천인을 입력받는 추천인 입력란을 제공하고, 입력되는 추천인 ID를 포함하는 추천인 정보를 상기 거래소 서버에 제공하는 추천부;
    회원 가입 완료에 따라 상기 거래소 서버가 발행하고, 매수한 암호화폐를 저장하는 전자지갑; 및
    상기 거래소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거래소 서버에 상기 암호화폐의 매수 또는 매도를 요청하거나, 자신의 전자지갑에 저장된 암호화폐를 타 사용자의 단말 전자지갑으로 송금 요청하는 트랜잭션부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부는,
    상기 거래소 서버가 배포하는 API에 의해 상기 암호화폐의 매수, 매도 및 송금 요청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8. 청구항 1에 기재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하되, 회원 가입시 추천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정상적으로 회원 가입 절차가 완료된 사용자 단말에 단말 전자지갑을 생성하여 배포하는 단계; 및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암호화폐의 최초 매수시, 회원 가입시점에 입력된 추천인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추천인인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지급요율에 따라 암호화폐를 에어 드롭으로 지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암호화폐의 최초 매수시, 회원 가입시점에 입력된 추천인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추천인인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지급요율에 따라 암호화폐를 에어 드롭으로 지급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암호화폐의 최초 매수시점이 상기 에어 드롭의 지급 기준일 이전인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암호화폐의 최초 매수시점이 상기 에어 드롭의 지급 기준일 이전인 경우, 에어 드롭 대상을 확정하는 단계; 및
    확정된 사용자에게 상기 에어 드롭을 지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급요율은,
    현재 시점 또는 에어 드롭 지급 기준일에서의 상기 암호화폐의 환율에 따라 가변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방법.
KR1020200065264A 2019-05-31 2020-05-29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80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461 2019-05-31
KR20190064461 2019-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077A true KR20200138077A (ko) 2020-12-09

Family

ID=7378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264A KR20200138077A (ko) 2019-05-31 2020-05-29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80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373B1 (ko) * 2023-09-26 2024-04-04 주식회사 블로코 블록체인지갑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07B1 (ko) 2019-03-04 2019-11-07 주식회사 유니버셜그룹 에스엔에스 전파를 활용한 추천인 암호화폐 자동지급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07B1 (ko) 2019-03-04 2019-11-07 주식회사 유니버셜그룹 에스엔에스 전파를 활용한 추천인 암호화폐 자동지급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373B1 (ko) * 2023-09-26 2024-04-04 주식회사 블로코 블록체인지갑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035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gital reward processing
JP6851386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おけるエンティティの効率的な移転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1887077B2 (en) Generating exchange item utilization solutions in an exchange item marketplace network
JP6869250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を使用してピアツーピア分散型台帳におけるエンティティを効率的な移転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9074580B (zh) 在区块链上安全转移实体的方法和系统
JP2023134665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が実現され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90378121A1 (en) Cryptographic technology platform and methods for providers to enable users to monetize their data
KR101908701B1 (ko) 블록체인 기반 렌탈 및 금융의 수익금을 이용한 가상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9506075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ベースのトークナイゼーションを用いた交換
WO2017223303A1 (en) Determining exchange item compliance in an exchange item marketplace network
WO2018026808A1 (en) Consumption based redemption in an exchange item marketplace network
CN104094301A (zh) 用于具有实时购买支持的移动商务的方法和系统
KR20080044123A (ko) 온라인 쿠폰유통방법
CN105960654A (zh) 用于对网页内容、虚拟商品和小额物品付费的方法和装置
US20230196354A1 (en) Authorizing replacement of a security parameter associated with one or more exchange items
RU2683619C1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генерации пожертвований из транзакций по платежному счету
KR102011034B1 (ko) 가상화폐 결제 기반 마진을 리워드로 보상하는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138077A (ko)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6872269B2 (ja) 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モール管理方法
KR20200040075A (ko) 거래수수료 공유 및 코인 페이먼트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가상화폐 거래소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37050B1 (ko) 전자상품권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Yazici The impact of COVID-19 on payment systems in Turkey
KR102306449B1 (ko) 블록체인 기반 서로 다른 단위의 가상화폐 연동 채굴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20230178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fraudulent activity
KR102294623B1 (ko) 블록체인 기반 상품 구매 중계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