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503A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guiding optimized shoping route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guiding optimized shoping rou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503A
KR20200134503A KR1020190060026A KR20190060026A KR20200134503A KR 20200134503 A KR20200134503 A KR 20200134503A KR 1020190060026 A KR1020190060026 A KR 1020190060026A KR 20190060026 A KR20190060026 A KR 20190060026A KR 20200134503 A KR20200134503 A KR 20200134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e
user
information
user terminal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14625B1 (en
Inventor
임철재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0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625B1/en
Publication of KR20200134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5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6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36Depth or shape recovery from perspective effects, e.g. by using vanishing po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A system for providing and guiding an optimized shopping rou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nagement system of a large store including fixed surveillance cameras installed by a plurality of areas in which products are arranged and at least one mobile camera providing a full view of a store. The system for providing and guiding an optimized shopping route comprises: a store interior map generation unit generating an entire flat map of the store interior based on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fixed surveillance cameras and/or at least one mobile camera; a user recognition for recognizing a user terminal entering the large store; and a shopp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ing the recognized user with route information to a store where a product to be purchased by the user is displayed using the generated internal map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by the user recognition unit.

Description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GUIDING OPTIMIZED SHOPING ROUTES}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guiding optimal shopping route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GUIDING OPTIMIZED SHOPING ROUT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 쇼핑매장의 매대 위치 변동 등의 변경 사항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소비자에게 최적의 쇼핑경로를 제공 및 안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nd guiding an optimal shopping route and a method thereof. In particular, a map inside a store in which changes such as changes in the location of a store in a large shopping store are continuously updated, and is used to optimize the It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guiding a shopping route.

대형 마트 또는 백화점 등과 같은 대형 매장에 방문하는 소비자들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 목록을 바탕으로 쇼핑을 하고,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각각의 쇼핑 성향에 따라 상기 대형 매장에 방문하여 주로 구매하는 물품이 정해져 있을 가능성이 높다.Consumers who visit large stores, such as large marts or department stores, shop based on the list of items they want to purchase, and in general, consumers visit the large stores and it is likely that the items they mainly purchas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ir shopping tendency. high.

그러나, 상기 대형 매장은 작은 규모의 매장에 비해 입점 업체의 변동 등의 사유에 의해 리모델링을 하는 횟수가 많고, 그 때마다 상품이 배열된 매대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형 매장을 자주 방문하던 소비자들이라 하더라도 이러한 변동에 의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위치를 미리 인지하지 못하여 상기 상품이 진열된 위치를 찾기 위해 쇼핑 공간을 해매는 경우가 잦다. 이에 따라 쇼핑 공간에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이동거리 및 소요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However, the large store has a greater number of times to remodel due to reasons such as changes in the stores, compared to the smaller store, and the location of the store where products are arranged may change each time. Accordingly, even consumers who frequently visit the large-sized stores do not know in advance the location of the product to be purchased due to such fluctuations, and thus often sell off the shopping space to find the location where the product is displayed. Accordingly,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moving distance and the time required for purchasing a product in a shopping space increas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형 매장 내에 배치된 복수개의 고정형 감시 카메라들 및 소정의 이동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대형 매장의 내부 지도를 생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대형 매장에 입장하는 사용자에게 최적의 쇼핑 경로 및 다양한 쇼핑 정보를 안내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internal map of the large store us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a plurality of fixed surveillance cameras and a predetermined mobile camera arranged in a large store, and uses this to provide a user entering a large st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timal shopping route providing and guiding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the optimum shopping route and various shopping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시스템은, 상품들이 배열된 복수의 구역별로 설치된 고정 감시 카메라들과, 매장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카메라를 포함하는 대형 매장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감시카메라들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에 근거하여 매장 내부의 전체 평면 지도를 생성하는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 상기 대형 매장에 입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상기 사용자 인식부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게 상기 생성된 내부 지도를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구매 대상이 되는 상품이 진열된 매대까지의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쇼핑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optimal shopping route providing and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xed surveillance cameras install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in which products are arranged, and at least one mobile camera capable of viewing the entire store. What is claimed is: 1. A system for managing a large store, comprising: a store interior map generator for generating an entire flat map of an interior of a store based on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xed surveillance cameras and/or at least one or more mobile cameras; A us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user terminal entering the large store; And a shopp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by the user recognition unit, provides the recognized user with information on a route to a store where a product to be purchased by the user is displayed using the generated internal map.

상기 대형 매장의 계산대에서 전송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따른 결재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구매 상품이 기 설정된 위치에 진열된 상품과 매치되는지 확인하여 진열 상품 정보를 보정하는 진열 상품 정보 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display product information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display product information by checking whether the final product matches the product displayed at a preset location by using pay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urchase of the product of the user terminal user transmitted from the cash register of the large store. Can include.

상기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는, 상기 각각의 고정 감시 카메라들에서 전송되는 제1 촬영 영상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카메라에서 전송되는 제2 촬영 영상 정보를 합성하여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The store interior map generator may generate a store interior map by synthesizing first captur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fixed surveillance cameras and second captur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mobile camera.

상기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는, 각각의 상기 제1 촬영 영상 정보의 왜곡 정도를 판단하고 제1 촬영 영상 정보의 퍼스펙티브(perspective) 값을 계산하여 이미지 프로세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store interior map generator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processing by determining a degree of distortion of each of the first 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calculating a perspective value of the first captured image information.

상기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는, 상기 각 구역별로 설치된 고정 감시카메라들에서 전송되는 각각의 제1 촬영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각 구역별 매대에 진열된 상품의 변동 여부를 인식하고, 이를 근거로 변동된 상품의 진열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상품 분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tore interior map generation unit analyzes the first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xed surveillance cameras installed in each area, recognizes whether or not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shelves for each area are changed, and the changed product based on this Display information and produ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generated.

상기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는, 상기 변동된 상품의 진열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상품 분류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생성한 내부 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store interior map generator may update the generated interior map by reflecting display information of the changed product and produ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대형 매장 내에 진입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입 회원인 것으로 판정되면,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근거리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입장을 인식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is a registered member when the user terminal enters the large store, the user recognition unit can recognize the entrance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user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have.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근거리 통신방식에 의해 인식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보유한 사용자가 입장할 때 인접한 고정 감시 카메라 또는 이동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사용자의 얼굴, 옷차림, 피부색, 키 정보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객의 외형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If the user terminal is not recognized b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the database through the user's face, clothing, skin color, and key information captured by an adjacent fixed surveillance camera or a mobile camera when the user holding the user terminal enters. You can recognize the user by searching the customer's appearance information stored in.

상기 쇼핑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쇼핑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생성된 내부 지도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될 때, 상기 매장의 내부 지도를 활용하여 최단 거리의 쇼핑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shopping guid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is executed and the generated internal map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the shopp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may provide information on a shopping route of the shortest distance using the internal map of the sto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방법은, 상품들이 배열된 복수의 구역별로 설치된 고정 감시 카메라들과, 매장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카메라를 포함하는 대형 매장에 입장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감시카메라들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에 근거하여 매장 내부의 전체 평면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대형 매장에 입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게 상기 생성된 내부 지도를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구매 대상이 되는 상품이 진열된 매대까지의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providing and guiding an optimal shopping rou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xed surveillance cameras install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in which products are arranged, and at least one mobile camera capable of viewing the entire store. A method for providing and guiding a shopping rout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n entire flat map of a store based on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xed surveillance cameras and/or at least one mobile camera; Recognizing a user terminal entering the large store;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providing the recognized user with route information to a stand in which the product to be purchased by the user is displayed using the generated internal map.

상기 대형 매장의 계산대에서 전송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따른 결재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구매 상품이 기 설정된 위치에 진열된 상품과 매치되는지 확인하여 진열 상품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orrecting the displayed product information by checking whether the final purchase product matches the product displayed at a preset location by using pay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duct purchase of the user terminal user transmitted from the cash register of the large store. have.

상기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고정 감시 카메라들에서 전송되는 제1 촬영 영상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카메라에서 전송되는 제2 촬영 영상 정보를 합성하여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generating of the store interior map, the store interior map may be generated by synthesizing first captur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spective fixed surveillance cameras and second captur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or more mobile cameras. have.

상기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각각의 상기 제1 촬영 영상 정보의 왜곡 정도를 판단하고 제1 촬영 영상 정보의 퍼스펙티브(perspective) 값을 계산하여 이미지 프로세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generating of the store interior map, image processing may be performed by determining a degree of distortion of each of the first 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calculating a perspective value of the first captured image information.

상기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구역별로 설치된 고정 감시카메라들에서 전송되는 각각의 제1 촬영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각 구역별 매대에 진열된 상품의 변동 여부를 인식하고, 이를 근거로 변동된 상품의 진열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상품 분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generating of the store interior map, the first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xed surveillance cameras installed for each area is analyzed to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shelves for each area are changed, and based on this It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display information of the changed product and produ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변동된 상품의 진열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상품 분류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생성한 내부 지도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tore interior map may further include updating the generated interior map by reflecting display information of the changed product and produ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대형 매장 내에 진입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입 회원인 것으로 판정되면,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근거리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입장을 인식할 수 있다.Recognizing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when the user terminal enters the large st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is a registered member, the user terminal enters the user terminal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user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Can be recognized.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근거리 통신방식에 의해 인식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보유한 사용자가 입장할 때 인접한 고정 감시 카메라 또는 이동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사용자의 얼굴, 옷차림, 피부색, 키 정보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객의 외형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If the user terminal is not recognized b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the database through the user's face, clothing, skin color, and key information captured by an adjacent fixed surveillance camera or a mobile camera when the user holding the user terminal enters. You can recognize the user by searching the customer's appearance information stored in.

상기 쇼핑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쇼핑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생성된 내부 지도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될 때, 상기 매장의 내부 지도를 활용하여 최단 거리의 쇼핑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providing of the shopping route information, when the shopping guid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is executed and the generated internal map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the shopping route information of the shortest distance is provided using the internal map of the store. can do.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대형 매장 내에 배치된 복수개의 고정형 감시 카메라들 및 소정의 이동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대형 매장의 내부 지도를 생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대형 매장에 입장하는 사용자에게 최적의 쇼핑 경로 및 다양한 쇼핑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nal map of the large store is generated by us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a plurality of fixed surveillance cameras and a predetermined mobile camera arranged in a large store, and using this, An optimal shopping route and various shopping information can be guided to the entering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장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장 내부 지도 생성을 수행하는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방법 중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하고, 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매장 내부 지도를 이용한 쇼핑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진열 상품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들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nd guiding an optimal shopping rou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shown in FIG. 1;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or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ocessor shown in FIG. 3.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configurations for generating a map inside a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steps of generating and updating a store interior map in a method for providing and guiding an optimal shopping rou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steps of providing shopping information using a map inside a store to a user and correcting display product inform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위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란에 기재된 내용은 오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배경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그것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선행 기술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이해될 수 없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e technology column that serves a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intended to help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ar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a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ior art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none.

아래의 서술에서, 설명의 목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많은 구체적인 세부 내용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 내용들 없이 또는 하나 이상의 동등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다른 예시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과 장치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불필요하게 이해하기 어렵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블록도로 표시된다. In the description below, for purposes of explanation, many specific details are presented to aid in understanding the various embodiments. However, it is obvious that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or in one or more equivalent manners. In other instanc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are shown in block diagrams in order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various embodiments.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Each block in the attached block diagram may be execut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xecution engine), and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mounted on a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a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he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gener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stored in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way, so that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in which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contain instruction means tha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 series of operation steps ar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process that is executed by a comput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to perform the possi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provide a function to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art of code including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nd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or steps are ordered. It is also possible to occur outside of.

즉, 도시된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two illustrated blocks may actually be executed at the same time, and the blocks may be executed in the reverse order of corresponding functions as needed.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목적이고 제한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여기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and not for the purpose of limiting.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nd guiding an optimal shopping rou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110_1, 110_2,..., 110_n), 네트워크(120), 매장 관리 장치(130) 및 대형 매장(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an optimal shopping route providing and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_1, 110_2,..., 110_n, a network 120, a store management device 130,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arge store 140.

사용자 단말기들(110)에는 상기 매장 관리 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쇼핑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입장하는 상기 대형 매장(140)의 다양한 쇼핑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쇼핑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대형 매장(140)의 내부 지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구매할 상품까지의 최적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쇼핑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매장 관리 장치(130)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할 수 있다.A shopping guid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tore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s 110, and various shopping information of the large store 140 entering the store may be obtained through this. For example, the shopping guide application may provide information on an optimal route to a product to be purchased by a user by using an internal map of the large store 140. If the shopping guide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in the user's terminal, the user may download the application from the store management device 130 and install it in the user's terminal.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110)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s 110 include mobile devices that the user can carry and may be a smart phone, a tablet, a notebook, or the like.

네트워크(120)는 무선통신망 또는 유선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2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예: 이동통신망, 무선랜망, 유선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방식 뿐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The network 120 may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and not only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e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less LAN network, a wired Internet, a broadcasting network) that the network 120 may include, but als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may be included.

매장 관리 장치(130)는 대형 매장(140)의 내부 지도를 생성하고, 주기적으로 상기 대형 매장(140)의 내부 배치가 변동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내부 지도를 업데이트하며, 이에 근거하여 상기 대형 매장(140)에 입장하는 사용자 단말기들에게 상기 업데이트된 내부 지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구매할 상품까지의 최적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장 관리 장치(13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tore management device 130 generates an interior map of the large store 140, periodically checks whether the interior layout of the large store 140 changes, and updates the interior map, based on this An operation of providing optimal route information to a product to be purchased by the user may be performed to user terminals entering 140 using the updated internal map. In this case, the store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server device.

상기 대형 매장(140)은 창고형 대형 마트 또는 백화점과 같은 대형 쇼핑몰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대형 매장(140)에는 다수의 고정 감시카메라(CCTV)(140a), 이동 카메라(140b) 및 계산대(140c)들이 배치되어 있다. The large store 140 may be a large shopping mall such as a warehouse type large mart or a department store, and the large store 140 includes a plurality of fixed surveillance cameras (CCTV) 140a, a mobile camera 140b, and a cash register 140c. ) Are plac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장 관리 장치(130)는 대형 매장(140)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고정 감시카메라(CCTV)(140a), 이동 카메라(140b)로부터 촬영 영상 이미지들을 전송 받으며, 이를 이용하여 대형 매장의 내부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산대(140c)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따른 결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이 기 설정된 위치에 진열된 상품과 매치되는지 확인하여 진열 상품 정보를 보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tore management device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photographed image images from the plurality of fixed surveillance cameras (CCTV) 140a and mobile cameras 140b installed in the large store 140, and uses this You can create an interior map of a large sto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operation of correcting the displayed product information by checking whether the product purchased by the user matches the product displayed at a preset location by using the pay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product purchase transmitted from the cash register 140c. have.

즉, 상기 매장 관리 장치(130)는 매장 내부의 지도를 생성하는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도 4의 410), 매장 내에 입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도 4의 420), 매대에 진열된 상품 정보가 기 설정된 방식과 다르게 변경될 경우 이를 적합하게 보정하는 진열 상품 정보 보정부(도 4의 430) 및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게 상기 매장의 내부 지도를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구매 대상이 되는 상품이 진열된 매대까지의 최적의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쇼핑 정보 제공부(도 4의 4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at is, the store management device 130 includes a store interior map generator (410 in Fig. 4) that generates a map inside the store, a user recognition unit (420 in Fig. 4) that recognizes a user terminal entering the store, and When the displayed product information is changed differently from a preset method, a display product information correction unit (430 in Fig. 4) appropriately corrects the displayed product information, and the recognized user uses the internal map of the store to become the purchase target of the us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hopp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440 in FIG. 4)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an optimal route to a store where products are display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0)는 통신모듈(111), 메모리(112), 표시모듈(113), 오디오 출력모듈(114) 및 제어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each user terminal 11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111, a memory 112, a display module 113, an audio output module 114, and a control unit 116.

통신모듈(111)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임의의 기기는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매장 관리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111)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11 may communicate and connect with any internal component or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network 120. In this case, an external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130 shown in FIG. 1. Here, as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reless LAN (WLAN),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etc.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11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Wi-Fi, Wi-Fi Direc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메모리(112)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12)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메모리(112)는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이하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단말기(1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110)의 메모리(11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112a)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112a)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매장 관리 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쇼핑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mory 112 stores various user interfaces (UI), graphic user interfaces (GUI),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memory 112 stores data and programs necessary for the user terminal 110 to operate. That is, the memory 112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plications”) driven by the user terminal 110, data for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and commands. That is, at least one or more applications 112a are stored in the memory 112 of the user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112a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hopping guid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tore management device 130 shown in FIG.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들(112a)은 자동음성인식(ASR)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QuickTime, MobileMusic.app, 또는 MobileVideo.app), 소셜 네트워킹 어플리케이션(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예를 들면, 페이스북, 트위터 등), 인터넷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들(112a)은 메모리(112)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기(110)에 설치되어, 제어부(116)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lications 112a are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applications, map applications, media applications (for example, QuickTime, MobileMusic.app, or MobileVideo.app),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for example,)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as a Facebook, Twitter, etc.), an Internet browsing application, or the like. Meanwhile, the applications 112a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12,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10, and driven by the controller 116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

또한, 메모리(112)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mory 112 is a flash memory type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of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optical disk,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torage medium among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표시 모듈(113)은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12)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표시 모듈(113)은 상기 쇼핑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업데이트된 매장 내부 지도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의 구매 대상이 되는 상품이 진열된 매대까지의 최적의 경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모듈(113)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등을 나타내는 메뉴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113)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13 displays various contents such as various menu screens using a user interface and/or a graphic user interface stored in the memory 11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6,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16. The execution result screen of the executed application can be displayed. As an example, when the shopping guid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display module 113 may display an updated store interior map and information on an optimal route to a store in which a user's purchase target product using the same is displayed. 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13 may include a menu screen indicating various text or image data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data), icons, and list menus. The display module 113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and an electronic ink display (e- ink display), LED (Light Emitting Diode), etc.

오디오 출력모듈(114)은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출력모듈(114)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audio output module 114 may output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a signal processed by a predetermined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6. Here, the audio output module 114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nd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장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or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매장 관리 장치(130)는 메모리(132), 데이터베이스(133) 프로세서(134), 통신모듈(13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38)을 포함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including a memory 132, a database 133, a processor 134, a communication module 136, and an input/output interface 138.

메모리(132)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 ROM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메모리(13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통신모듈(136)을 통해 메모리(132)에 로딩될 수도 있다. The memory 132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include a non-destructive large-capacity recording device such as RAM, ROM, and disk drive. In addition, an operating system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32. Thes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fro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eparate from the memory 132 using a drive mechanism. The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such a separate computer may include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CD-ROM drive, and a memory card. In addition, th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132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6.

데이터베이스(13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장 관리 장치(130)와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들(110)로부터 송수신한 정보들을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매장 관리 장치(13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쇼핑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 단말기들은 상기 매장 관리 장치(130)의 회원으로 관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133)는 회원 정보 DB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매장 관리 장치(13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들(110)에 대응되는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The database 133 may store and maintain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s 110 connected to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user terminals installed with the shopping guide application downloaded from the store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managed as a member of the store management device 130, in which case the database 133 serves as a member information DB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s 110 connected to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be stored by performing the operation.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133)는 상기 대형 매장(140)에 설치된 다양한 구성들, 일 예로 고정 감시카메라(140a), 이동 카메라(140b), 계산대(140c)에서 전송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고, 이 외에도 상기 대형 매장(140) 내의 상품 진열 및 배치 정보, 재고 목록 정보 등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base 133 may store various configurations installed in the large store 140, for exampl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fixed surveillance camera 140a, a mobile camera 140b, and a cash register 140c. In addition, various information such as product display and arrangement information and inventory list information in the large store 140 may be stored.

프로세서(134)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32) 또는 통신모듈(136)에 의해 프로세서(134)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4)는 메모리(13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세서(134)는 소프트웨어적으로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에 의해 구현되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4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instruction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basic arithmetic, logic, and input/output operations.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processor 134 by the memory 132 or the communication module 136. For example, the processor 134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a command received according to a program cod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the memory 132. That is, the processor 134 may include a program module that is implemented in software by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etc.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장 관리 장치(130)의 프로세서(134)는 매장 내부의 지도를 생성하는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도 4의 410), 매장 내에 입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도 4의 420), 매대에 진열된 상품 정보가 기 설정된 방식과 다르게 변경될 경우 이를 적합하게 보정하는 진열 상품 정보 보정부(도 4의 430) 및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게 상기 매장의 내부 지도를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구매 대상이 되는 상품이 진열된 매대까지의 최적의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쇼핑 정보 제공부(도 4의 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ocessor 134 of the store management devic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e interior map generator (410 in FIG. 4) that generates a map inside the store, and a user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a user terminal entering the store. (420 in FIG. 4), a display product information correction unit (430 in FIG. 4) that appropriately corrects when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on a store is changed from a preset method, and the internal map of the store is provided to the recognized us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hopp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440 in FIG. 4)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an optimal route to a store in which the product to be purchased by the user is display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장 관리 장치(130)의 프로세서(134)를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기능들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Various functions implemented through the processor 134 of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통신모듈(136)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들(110)와 메신저 서비스 제공 장치(13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매장 관리 장치(130)의 프로세서(134)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신호,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모듈(136)을 통해 네트워크(120)을 거쳐 사용자 단말기들(11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36 may provide a function for the user terminals 110 and the messenger service providing device 13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network 120. For example, control signals, commands, contents, files, etc. provided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34 of the store management device 130 are transferred to the user terminals 110 through the network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6. Can be transmitted.

입출력 인터페이스(138)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으로 구현되는 입력장치 및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출력장치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input/output interface 138 may serve to provide an interface between an input device implemented by a keyboard or a mouse and an 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장 내부 지도 생성을 수행하는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ocessor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configurations for generating a store interior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방법 중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하고, 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매장 내부 지도를 이용한 쇼핑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진열 상품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In addition, FIG. 6 is a diagram showing steps of generating and updating a store interior map in a method for providing and guiding an optimal shopping rou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eps of using a store interior map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showing steps of providing shopping information to a user and correcting display product information.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장 관리 장치의 각 기능블록들과 이에 따른 매장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ach functional block of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providing and guiding an optimal shopping route performed by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매장 관리 장치(130)의 프로세서(134)는 매장 내부의 지도를 생성하는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410), 매장 내에 입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420), 매대에 진열된 상품 정보가 기 설정된 방식과 다르게 변경될 경우 이를 적합하게 보정하는 진열 상품 정보 보정부(430) 및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게 상기 매장의 내부 지도를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구매 대상이 되는 상품이 진열된 매대까지의 최적의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쇼핑 정보 제공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4, the processor 134 of the store management device 130 includes a store interior map generator 410 that generates a map inside the store, and a user recognition unit 420 that recognizes a user terminal entering the store. , When the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helf is changed differently from a preset method, the display product information correction unit 430 appropriately corrects the product information, and the recognized user uses the internal map of the store to become a purchase target of the user. A shopp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440 may be provided to provide information on an optimal route to a store on which products are displayed.

또한, 상기 프로세서(134)는 매장 관리 장치(130)에 접속한 등록 회원인 사용자의 단말기(110)을 식별함에 있어, 해당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33)와 연동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134)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상기 매장 관리 장치의 동작 즉,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방법 중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하고, 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들(도 6) 및 매장 내부 지도를 이용한 쇼핑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진열 상품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들(도 7)을 수행하도록 매장 관리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34 interlocks with the database 133 storing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in identifying the terminal 110 of the user who is a registered member who has accessed the store management device 130 In the operation of the store management device shown in FIGS. 6 and 7, that is, the steps of generating and updating a store interior map among methods of providing and guiding an optimal shopping route, the processor 134 (FIG. 6)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tore management device 130 to provide shopping information using a map inside the store to the user and perform steps (FIG. 7) of correcting the displayed product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134)는 메모리(132)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34) 내의 구성요소들 즉,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410), 사용자 인식부(420), 진열 상품 정보 보정부(430) 및 쇼핑 정보 제공부(440)는 매장 관리 장치(13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의해 프로세서(134)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을 구분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Here, the processor 134 may be implemented to execute an instruction according to a code of an operating system included in the memory 132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At this time, the components in the processor 134, that is, the store interior map generation unit 410, the user recognition unit 420, the display product information correction unit 430, and the shopp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440 are the store management device ( It may be understood that different functions performed by the processor 134 are classified and expressed by a control command provided by the program code stored in 130).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410)는 매장 내에 설치된 고정 감시 카메라들(140a)에서 전송되는 제1 촬영 영상 정보 및 이동 카메라(140b)에서 전송되는 제2 촬영 영상 정보를 합성하여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store interior map generator 410 generates a store interior map by synthesizing the first captur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xed surveillance cameras 140a installed in the store and the second captur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amera 140b. Perform the action.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대형 매장(140)은 상품들이 배열된 복수의 구역으로 나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구역에는 고정 감시 카메라들(140a)이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총 9개의 구역(A 내지 I)으로 나뉘고 각 구역별로 9개의 고정 감시 카메라들(140a)이 설치된 것을 그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the large store 14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in which products are arranged, and fixed surveillance cameras 140a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areas. In FIG. 5, it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it is divided into 9 zones (A to I) and 9 fixed surveillance cameras 140a are installed for each zone,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감시 카메라들(140a)은 해당하는 영역을 촬영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1 촬영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일 예로, A 영역에 설치된 제1 감시카메라는 A 영역에 배치되는 선반 또는 매대 및 상기 선반/매대에 진열되는 상품들을 촬영할 수 있다.The surveillance cameras 140a photograph a corresponding region and generate first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surveillance camera installed in the area A may photograph a shelf or a shelf disposed in the area A, and products displayed on the shelf/shelf.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각 영역별로 배치된 선반 또는 매대 등의 정보를 카메라가 인식할 수 있도록 코드(예: 바코드, QR코드 등)를 상기 선반 또는 매대에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선반 또는 매대 등의 외각에 상기 촬영된 영상을 통해 프로세서가 해당 선반 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형태의 마킹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처리를 통해 상기 제1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A 영역에 배치된 선반/매대를 구별하고, 상기 선반/매대에 진열된 상품들도 구별 및 분류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des (eg, barcodes, QR codes, etc.) may be installed on the shelves or shelves so that the camera can recognize information such as shelves or shelves arranged for each area. As another example, a predetermined type of marking may be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shelf or the shelf so that the processor can recognize the shelf through the photographed image. Through this processing,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first surveillance camera can be analyzed to distinguish the shelves/shelves arranged in the area A, and products displayed on the shelves/shelves can be distinguished and classified.

또한, 상기 제1 감시카메라에 촬영되는 영역은 도 5에 도시된 A영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B 영역에 설치된 제2 감시카메라는 B 영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A영역과 B 영역의 경계는 상기 제1 감시 카메라 및 제2 감시카메라에 모두 촬영되는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Further, the area photographed by the first surveillance camera may cover all areas A shown in FIG. 5. Likewise, the second surveillance camera installed in area B may cover all areas B, in this case, the boundary between area A and area B may correspond to an area photographed by both the first and second surveillance cameras. .

즉, 상기 분할된 모든 영역들에 설치된 복수의 감시카메라들의 촬영 영상 정보를 취합하면 매장 내부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평면 지도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내부 지도에는 각 영역별로 배치된 선반/매대들과 상기 선반/매대들에 진열된 상품들도 구별 및 분류할 수 있다.That is, by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urveillance cameras installed in all the divided areas, a flat map corresponding to the entire area inside the store can be generated, and the internal map includes shelves/shelves arranged for each area. Products displayed on the shelves/shelves may also be distinguished and classified.

상기 각 영역별로 설치된 감시 카메라들에 의해 촬영된 영상들을 이용하여 상기 매장 내부 지도로서 전체 평면 지도를 생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410)는 상기 각각의 제1 촬영 영상 정보의 왜곡 정도를 판단하고 이를 보상하는 이미지 프로세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각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촬영 영상 정보의 퍼스펙티브(perspective) 값을 계산하고 이를 반영하여 매장 내의 평면 내부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In order to generate an entire flat map as the store interior map using images captured by the surveillance cameras installed for each area, the store interior map generation unit 4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photographing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egree of distortion of image information and perform image processing to compensate for the distortion. For example, a perspective value of the first captured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region may be calculated and reflected to generate a flat interior map in the sto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내부 지도를 생성함에 있어 기존에 설치된 복수의 감시 카메라들 외에 보다 정확한 내부 지도 생성을 위해 별도의 이동 카메라(140b)를 추가로 더 설치하고, 이들로부터 전송되는 제2 촬영 영상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정교한 내부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stalls a separate mobile camera 140b to generate a more accurate internal map in addition to a plurality of previously installed surveillance cameras in generating the internal map, and 2 It is possible to create a more sophisticated internal map by using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카메라(140b)는 매장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이는 드론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이동 카메라(140b)에서 전송된 제2 촬영 영상 정보의 퍼스펙티브(perspective) 값을 계산하고 이를 추가로 반영하여 매장 내의 평면 내부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t is preferable that the at least one mobile camera 140b is installed at a location that allows a view of the entire store, and for example, this may be implemented as a drone camera. That is, a perspective value of the second captur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amera 140b may be calculated and additionally reflected to generate a flat interior map in the store.

따라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410)는 상기 고정 감시 카메라들 및 이동 카메라들로부터 전송되는 제1 및 제2 촬영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한다. 일 예로, 보다 정확한 매핑을 위해 기 설치된 고정 감시카메라들 외에 이동 카메라들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와 지점에서 전체 평면도 사진을 샘플링할 수 있다. Therefore,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store interior map generator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first and second captur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xed surveillance cameras and mobile cameras. Create a map inside the store. For example, for more accurate mapping, the entire floor plan picture may be sampled at an accurate location and point using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mobile cameras in addition to the previously installed fixed surveillance cameras.

또한, 상기 각 구역별로 설치된 고정 감시카메라들(140a)에서 전송되는 각각의 제1 촬영 영상 정보를 분석하면, 각 구역별로 설치된 매대에 진열된 상품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품의 인식은 상품의 무게 및 매대에서의 이격 정도, 상기 전송된 영상을 샘플링시 색감 인식 등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상품이 해당 매대에 놓이거나 또는 상품이 해당 매대에 더 이상 진열되지 않음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analyzing the first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xed surveillance cameras 140a installed in each area, products displayed on the shelves installed in each area can be recognized. For example, the recognition of the product is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weight of the product and the degree of separation from the shelf, and color recognition when the transmitted image is sampled, or the product is no longer displayed at the store. Is to be able to recognize.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410)는 상기 각 구역별로 설치된 고정 감시카메라들(140a)에서 전송되는 각각의 제1 촬영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각 구역별 매대에 진열된 상품의 변동 여부를 인식하고, 이를 근거로 변동된 상품의 진열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상품 분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성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33)에 저장된 기존의 상품 분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That is, the store interior map generation unit 4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first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xed surveillance cameras 140a installed for each area,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shelves for each area. Recognizing whether a product has changed, and based on this, display information of the changed product and produ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can be generated, and th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is can be used to update the existing produ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33. I can.

또한, 상기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410)는 상기 변동된 상품의 진열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상품 분류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생성한 내부 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e interior map generator 410 may update the generated interior map by reflecting display information of the changed product and produ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사용자 인식부(420)는 상기 대형 매장(140) 내에 입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 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가 매장 관리 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쇼핑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회원 가입자로 관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가 매장에 입장할 때 상기 매장 관리 장치(130)는 소정의 네트워크(120) 일 예로, 근거리 통신방식인 블루투스 또는 NFC 등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의 입장을 인식할 수 있다.The user recognition unit 420 performs an operation of recognizing a user terminal entering the large store 140. As an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10 downloads a shopping guid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tore management device 130 and is managed as a member subscriber, the store management device when the user terminal 110 enters the store ( 130) ma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predetermined network 120, for exampl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or NFC.

또한, 상기 프로세서(134)는 매장 관리 장치(130)에 접속한 등록 회원인 사용자의 단말기(110)을 식별함에 있어, 해당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33)와 연동할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34 interlocks with the database 133 storing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in identifying the terminal 110 of the user who is a registered member who has accessed the store management device 130 I have to do it.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식부(420)는 사용자 단말기가 매장 내에 진입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입 회원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133)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근거리 통신방식인 블루투스 또는 NFC 등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의 입장을 인식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recognition unit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user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13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is a registered member when the user terminal enters the store.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recognized through Bluetooth or NFC.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가 근거리 통신방식 등을 통해 인식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보유한 사용자가 입장할 때 인접한 고정 감시 카메라 또는 이동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사용자의 얼굴, 옷차림, 피부색, 키 등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33)에 저장된 고객의 외형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도 있다.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user terminal 110 is not recognized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etc., the user's face captured by an adjacent fixed surveillance camera or a mobile camera when the user holding the user terminal 110 enters It is also possible to recognize the user by searching for the external appearanc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stored in the database 133 through clothes, skin color, and height.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식부(420)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0)가 인식되면 쇼핑 정보 제공부(440)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게 상기 매장의 내부 지도를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구매 대상이 되는 상품이 진열된 매대까지의 최적의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user terminal 100 is recognized by the user recognition unit 420, the shopp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440 uses the internal map of the store to the recognized user to become a purchase target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optimal route to the shelves where products are displayed.

이 때, 상기 사용자의 구매 대상이 되는 상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쇼핑 이력 등을 참조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쇼핑 이력은 데이터 베이스(133)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duct to be purchased by the user may be set with reference to the shopping history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like, and the shopping history of the user terminal may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133.

일 예로, 상기 매장 관리 장치(130)에서 제공한 쇼핑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상기 대형 매장(140)에 입장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133)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근거리 통신방식인 블루투스 또는 NFC 등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의 입장을 인식할 수 있고, 자동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의 쇼핑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10 who has installed the shopping guid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tore management device 130 and subscribed as a member enters the large store 140, it is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133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recognized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or NFC, and the shopping guid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automatically executed.

상기 쇼핑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410)에 의해 생성되고 업데이트된 내부 지도가 사용자 단말기(11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내부 지도를 활용하여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쇼핑을 즐길 수 있게 된다.When the shopping guid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internal map generated and updated by the store internal map generating unit 410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user can shop more easily and efficiently by using the internal map. You will be able to enjoy it.

또한, 상기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 단말기(110)의 경우 상기 대형 매장에 방문하여 쇼핑한 이력들이 상기 데이터 베이스(133)에 저장되어 있고, 이를 근거로 사용자가 주로 구매하는 상품 정보도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user terminal 110 registered as a member, the history of visiting and shopping at the large store is stored in the database 133, and product information mainly purchased by the user can be automatically selected based on this. I can.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쇼핑 정보 제공부(440)는 상기 쇼핑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내부 지도가 사용자 단말기(110)에 표시될 때, 상기 매장의 내부 지도를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구매 대상이 되는 상품이 진열된 매대까지의 최적의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hopping guide application is executed and the internal map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10, the shopp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4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internal map of the store to determine the purchase target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optimal route to the shelves where the products are displayed.

사용자가 상기 쇼핑 가이드 어플리케이션를 통해 상기 쇼핑 정보 제공부(440)가 제공하는 쇼핑 정보를 활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쇼핑을 완료하면, 사용자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When the user completes shopping easily and conveniently by using the shopp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hopp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440 through the shopping guide application, the user can purchase a product.

이 때,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상품을 구매하여 결재하면, 계산대(140c)는 상기 최종 결재 정보를 진열 상품 정보 보정부(430)에 제공한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finally purchases and pays for the product, the cash register 140c provides the final payment information to the display product information correction unit 430.

이에 상기 진열 상품 정보 보정부(430)는, 상기 계산대(140c)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따른 결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이 기 설정된 위치에 진열된 상품과 매치되는지 확인하여 진열 상품 정보를 보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진열 상품 정보 보정부(430)는 매대에 진열된 상품 정보가 기 설정된 방식과 다르게 변경될 경우 이를 적합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display product information correction unit 430 checks whether the product purchased by the user matches the product displayed at a preset location using the pay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product purchase transmitted from the cash register 140c, and displays the product. An operation of correcting product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That is, the display product information correction unit 430 may appropriately correct the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helf when it is changed differently from a preset method.

일 예로, 사용자가 제1 상품을 제1 매대에서 인출한 경우, 업데이트되어 저장된 진열 상품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상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410)는 각 구역별로 설치된 고정 감시카메라들(140a)에서 전송되는 각각의 제1 촬영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각 구역별 매대에 진열된 상품의 변동 여부를 인식하고, 이를 근거로 변동된 상품의 진열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상품 분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성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33)에 저장된 기존의 상품 분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withdraws the first product from the first store, information on the first product may be checked through updated and stored display product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store interior map generating unit 410 analyzes the first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xed surveillance cameras 140a installed for each area, and displays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shelves for each area. Recogniz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t is possible to generate display information of the changed product and produ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based on this, and th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is may update existing produ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33 .

그러나, 사용자가 제1 상품을 구매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실제 계산대(140c)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따른 결재 정보를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상품이 상기 데이터베이스(133)에 저장된 상품 정보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진열 상품 정보 보정부(430)를 통해 진열 상품 정보가 보정될 수 있다.However, although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purchased the first product, the first product does not match the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33 as a result of checking the pay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product purchase transmitted from the actual cash register 140c. If not, the display product information may be corrected through the display product information correction unit 430.

또한, 사용자가 인출한 상품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33)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상품 정보 보정부(430)는 상기 계산대(140c)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따른 결재 정보를 이용하여 진열 상품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information on the product withdrawn by the user is not stored in the database 133, the product information correction unit 430 uses the pay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product purchase transmitted from the cashier 140c. Display product information can be updated.

일 예로, 상품이 인출된 위치를 각 포인트로 저장하고, 저장된 포인트에서 상품이 인출되었음을 가정할 때, 제1 사용자가 제1 포인트에서 과자를, 제2 포인트에서 세제를 인출하고 결재를 완료한 경우, 제2 사용자가 제1 포인트에서 과자를, 제3 포인트에서 휴지를 인출하고 결재를 완료한 경우, 및 제3 사용자가 제3 포인?에서 휴지를 인출한 경우, 상기 진열 상품 정보 보정부(430)는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포인트에는 과자가 진열되고, 제3 포인트에는 휴지가 진열되어 있음을 확정하여 진열 상품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단, 제2 포인트에는 세제가 진열되어 있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설정하고, 이후 제4 사용자가 제2 포인트에서 세제를 인출한 경우 그 시점에서 상기 제2 포인트에는 세제가 진열되어 있음을 확정하여 진열 상품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location from which the product was withdrawn is stored as each point, and assuming that the product is withdrawn from the stored point, the first user withdraws confectionery from the first point and detergent from the second point and completes the payment. , When the second user withdraws the confectionery at the first point and the tissue paper at the third point and completes the payment, and when the third user withdraws the tissue paper at the third point, the display product information correction unit 430 ) May determine display product information by using the information to determine that confectionery is displayed at the first point and tissue paper is displayed at the third point. However, if the second point is set to have a high probability that the detergent is on display, and then, if the fourth user withdraws the detergent from the second point,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gent is on display at the second point at that time,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반면, 상기 제4 사용자가 제1 포인트에서 과자가 아닌 빵을 인출한 경우에는 상기 확정된 제1 포인트의 진열 상품 정보가 해제되고, 이후 다른 사용자가 제1 포인트에서 어떤 상품을 인출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포인트의 진열 상품 정보를 확정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ourth user withdraws bread other than confectionery at the first point, the product information on display at the determined first point is released, and after that, it is checked whether another user withdraws a certain product at the first point. After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isplay product information of the first poi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is is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If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all thing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18)

상품들이 배열된 복수의 구역별로 설치된 고정 감시 카메라들과, 매장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카메라를 포함하는 대형 매장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감시카메라들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에 근거하여 매장 내부의 전체 평면 지도를 생성하는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
상기 대형 매장에 입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상기 사용자 인식부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게 상기 생성된 내부 지도를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구매 대상이 되는 상품이 진열된 매대까지의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쇼핑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시스템.
In the management system of a large store including fixed surveillance cameras install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in which products are arranged, and at least one or more mobile cameras capable of viewing the entire store,
A store interior map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n entire plan map of the store interior based on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xed surveillance cameras and/or at least one mobile camera;
A us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user terminal entering the large store;
Optimal including a shopp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he recognized user with route information to the store where the product to be purchased by the user is displayed by using the generated internal map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by the user recognition unit Shopping route provision and guidance syste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 매장의 계산대에서 전송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따른 결재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구매 상품이 기 설정된 위치에 진열된 상품과 매치되는지 확인하여 진열 상품 정보를 보정하는 진열 상품 정보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display product information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display product information by checking whether the final product matches the product displayed at a preset location by using pay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urchase of the product of the user terminal user transmitted from the cash register of the large store. Including the best shopping route provision and guidance system.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는, 상기 각각의 고정 감시 카메라들에서 전송되는 제1 촬영 영상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카메라에서 전송되는 제2 촬영 영상 정보를 합성하여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tore interior map generator provides an optimal shopping route for generating a store interior map by synthesizing first captur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spective fixed surveillance cameras and second captur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mobile camera. And guidance system.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는, 각각의 상기 제1 촬영 영상 정보의 왜곡 정도를 판단하고 제1 촬영 영상 정보의 퍼스펙티브(perspective) 값을 계산하여 이미지 프로세싱 처리를 수행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tore interior map generation unit determines the degree of distortion of each of the first captured image information, calculates a perspective value of the first 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performs image processing.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는, 상기 각 구역별로 설치된 고정 감시카메라들에서 전송되는 각각의 제1 촬영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각 구역별 매대에 진열된 상품의 변동 여부를 인식하고, 이를 근거로 변동된 상품의 진열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상품 분류 정보를 생성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tore interior map generation unit analyzes the first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xed surveillance cameras installed in each area, recognizes whether or not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shelves for each area are changed, and the changed product based on this An optimal shopping route providing and guiding system that generates display information and produ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내부 지도 생성부는, 상기 변동된 상품의 진열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상품 분류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생성한 내부 지도를 업데이트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store interior map generator, an optimal shopping route providing and guidance system for updating the generated interior map by reflecting display information of the changed product and produ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대형 매장 내에 진입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입 회원인 것으로 판정되면,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근거리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입장을 인식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user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a registered member when the user terminal enters the large store, the user recognition unit is optimal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user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Shopping route provision and guidance system.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근거리 통신방식에 의해 인식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보유한 사용자가 입장할 때 인접한 고정 감시 카메라 또는 이동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사용자의 얼굴, 옷차림, 피부색, 키 정보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객의 외형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If the user terminal is not recognized b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the database through the user's face, clothing, skin color, and key information captured by an adjacent fixed surveillance camera or a mobile camera when the user holding the user terminal enters. An optimal shopping route providing and guidance system that recognizes users by searching for customer appearance information stored i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쇼핑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생성된 내부 지도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될 때, 상기 매장의 내부 지도를 활용하여 최단 거리의 쇼핑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shopping guid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is executed and the generated internal map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the shopp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es the shortest shopping route information by using the internal map of the store. Provision and guidance system.
상품들이 배열된 복수의 구역별로 설치된 고정 감시 카메라들과, 매장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카메라를 포함하는 대형 매장에 입장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감시카메라들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에 근거하여 매장 내부의 전체 평면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대형 매장에 입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게 상기 생성된 내부 지도를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구매 대상이 되는 상품이 진열된 매대까지의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and guiding a shopping rout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entering a large store including fixed surveillance cameras installed for a plurality of areas in which products are arranged, and at least one mobile camera capable of viewing the entire store,
Generating a map of the entire interior of the store based on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xed surveillance cameras and/or at least one mobile camera;
Recognizing a user terminal entering the large store;
And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providing the recognized user with route information to a store where the product to be purchased by the user is displayed using the generated internal map.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 매장의 계산대에서 전송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따른 결재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구매 상품이 기 설정된 위치에 진열된 상품과 매치되는지 확인하여 진열 상품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Optim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rrecting the displayed product information by checking whether the final purchased product matches the product displayed at a preset location by using pay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eckout counter of the large store according to the product purchase of the user terminal user How to provide and guide shopping routes.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고정 감시 카메라들에서 전송되는 제1 촬영 영상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카메라에서 전송되는 제2 촬영 영상 정보를 합성하여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generating the interior map of the store may include synthesizing first captur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fixed surveillance cameras and second captur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or more mobile cameras to generate a store interior map. How to provide and guide shopping routes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각각의 상기 제1 촬영 영상 정보의 왜곡 정도를 판단하고 제1 촬영 영상 정보의 퍼스펙티브(perspective) 값을 계산하여 이미지 프로세싱 처리를 수행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generating of the store interior map, the optimal shopping route is provided and guided by determining the degree of distortion of each of the first 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calculating a perspective value of the first captured image information to perform image processing. Way.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구역별로 설치된 고정 감시카메라들에서 전송되는 각각의 제1 촬영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각 구역별 매대에 진열된 상품의 변동 여부를 인식하고, 이를 근거로 변동된 상품의 진열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상품 분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generating of the store interior map, the first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xed surveillance cameras installed for each area is analyzed to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shelves for each area are changed, and based on this An optimal shopping route providing and gu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display information of changed products and produ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내부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변동된 상품의 진열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상품 분류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생성한 내부 지도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generating of the store interior map further comprises updating the generated interior map by reflecting display information of the changed product and produ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대형 매장 내에 진입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입 회원인 것으로 판정되면,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근거리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입장을 인식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Recognizing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when the user terminal enters the large st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is a registered member, the user terminal enters the user terminal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user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How to provide and guide the best shopping route to recognize.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근거리 통신방식에 의해 인식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보유한 사용자가 입장할 때 인접한 고정 감시 카메라 또는 이동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사용자의 얼굴, 옷차림, 피부색, 키 정보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객의 외형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If the user terminal is not recognized b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the database through the user's face, clothing, skin color, and key information captured by an adjacent fixed surveillance camera or a mobile camera when the user holding the user terminal enters. A method of providing and guiding the optimal shopping route to recognize users by searching for customer appearance information stored in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쇼핑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생성된 내부 지도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될 때, 상기 매장의 내부 지도를 활용하여 최단 거리의 쇼핑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최적 쇼핑경로 제공 및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providing of the shopping route information, when the shopping guid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is executed and the generated internal map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the shopping route information of the shortest distance is provided using the internal map of the store. How to provide and guide the best shopping route.
KR1020190060026A 2019-05-22 2019-05-22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guiding optimized shoping routes KR1022146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026A KR102214625B1 (en) 2019-05-22 2019-05-22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guiding optimized shoping rou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026A KR102214625B1 (en) 2019-05-22 2019-05-22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guiding optimized shoping rou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503A true KR20200134503A (en) 2020-12-02
KR102214625B1 KR102214625B1 (en) 2021-02-10

Family

ID=73792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026A KR102214625B1 (en) 2019-05-22 2019-05-22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guiding optimized shoping rout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62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480A (en) * 2021-01-20 2022-07-27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In-store directions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1562A (en) * 2012-11-12 2014-05-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hopping assistance servic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the shopping assistance servise
KR20140063104A (en) * 2012-11-16 2014-05-27 주식회사 네오시큐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613278B1 (en) * 2015-08-18 2016-04-19 김영덕 System for providing shopping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1562A (en) * 2012-11-12 2014-05-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hopping assistance servic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the shopping assistance servise
KR20140063104A (en) * 2012-11-16 2014-05-27 주식회사 네오시큐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613278B1 (en) * 2015-08-18 2016-04-19 김영덕 System for providing shopping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480A (en) * 2021-01-20 2022-07-27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In-store directions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625B1 (en)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6449B2 (e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and training image tag classification model
US11042787B1 (en) Automated and periodic updating of item images data store
US10528638B1 (en) Agent identification and disambiguation
TWI747325B (en) Target object matching method, target object match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10657490B2 (en) Inventorying items using image data
US10282776B2 (en) User equipment for recognizing object and displaying database matching result,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N109141451B (en) Shopping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intelligent shopping cart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2222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ute Guidance using Reference Points
EP29782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wireless network
US10102422B2 (en) Electronic device based on optical object recogni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4350736A (en) Augmented reality arrangement of nearby location information
US201700322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ticket information
CN109040461A (en) A kind of method and device for business processing based on Object identifying
KR102120866B1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indoor navig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160292775A1 (en) Item list display
US2016031416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haring cloud-based business card
US1048982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on with digital signage board
KR1022146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guiding optimized shoping routes
US11157941B2 (en) Adaptive coupon rendering based on shaking of emotion-expressing mobile device
KR20180108022A (en) System of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using search keyword and transaction data,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10248965B2 (en) Location oriented membership code device
US10754663B2 (en) Dynamic determination of hardware
KR102268009B1 (en) Shopping mall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ation goods using text analysis
US10176513B1 (en) Using gestures and expressions to assist users
US2017025109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senting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