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367A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367A
KR20200127367A KR1020190051348A KR20190051348A KR20200127367A KR 20200127367 A KR20200127367 A KR 20200127367A KR 1020190051348 A KR1020190051348 A KR 1020190051348A KR 20190051348 A KR20190051348 A KR 20190051348A KR 20200127367 A KR20200127367 A KR 20200127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images
display unit
f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3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3008B1 (en
Inventor
지현종
Original Assignee
지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현종 filed Critical 지현종
Priority to KR102019005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008B1/en
Publication of KR20200127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3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0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9027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image management device for intuitively classifying images only by a slide motion of a user, and a method thereof. The image management device comprises: a storage part that stores an image acquired by a camera part; a display part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and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image management device and a user; and an image management part that arranges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part in the display part upon a request of the user, and classifies and stores images selected among the arranged images in a specified folder according to a slide motion direction of the user that is input through the display part.

Description

이미지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S}Imag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S}

본 발명은 이미지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intuitively classifying images.

전자 장치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에는 고화소 및 고성능을 갖는 카메라가 장착되고 있다.As the technology of electronic devices develop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re equipped with cameras having high pixels and high performance.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전자장치의 사용자는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각 테마별로 분류하여 앨범 형태로 관리한다.A user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amera classifies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for each theme and manages them in an album format.

촬영된 이미지를 테마별로 분류할 때, 종래에는 편집 모드에서 미리보기 된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선택한 후, 삭제 버튼을 터치하여 선택한 이미지를 삭제하거나, 선택한 이미지를 이동 또는 복사할 앨범을 선택하고, 선택된 앨범으로 선택된 이미지를 복사 또는 이동시킨다.When classifying captured images by theme, conventionally,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image from among a plurality of images previewed in the edit mode, touch the delete button to delete the selected image, or select an album to move or copy the selected image. Select and copy or move the selected image to the selected album.

또는 촬영된 이미지를 촬영 시간이나 장소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분류한다.Or, the captured images are automatically classified based on the time or location of the recording.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또는 복사할 앨범을 선택하여 이미지를 분류하는 방법은 이미지 선택 과정, 삭제, 이동, 복사 등과 같은 동작 선택 과정, 앨범 선택 과정 등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classifying images by selecting an album to be moved or copied,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performing an image selection process, an operation selection process such as deletion, movement, copying, and an album selection process.

또한, 촬영 시간이나 장소에 의거하여 이미지를 자동 분류하는 방법은 이미지가 단순히 시간 또는 장소에 의해서만 분류되므로, 사용자가 이미지를 세분화하여 분류하는 작업을 다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automatically classifying images based on the time or place of photographing, since the images are simply classified by time or place,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must perform a task of subdividing and classifying images again.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6711호(공개일 2017.08.25.)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7-0096711 (published on August 25, 2017)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만으로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is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intuitively classifying images only by a user's slide mo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리 장치는,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이미지 관리 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이미지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imag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image acquired from a camera unit; A display unit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and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image management device and a user; And arranging the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nd classifying an image selected from the arranged images into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image management unit to st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관리부는,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한 이미지가 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된 이미지를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management unit, when a user inputs a slide motion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one of the arranged images is touched, designates the touched image in correspondence with the slide motion direction. It is desirable to classify and store them in a folder that has been cre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관리부는,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선택받은 후에,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management unit, after receiving at least one image selected from the arranged images, when a user inputs a slide motion in a specific direction, the selected at least one image corresponds to the slide motion direction. It is desirable to classify and store in a designated fol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관리부는, 적어도 2방향 이상의 방향에 서로 다른 폴더를 지정하고, 각각의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된 폴더를 각각의 방향에 대응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의 테두리에 표시하며,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각 방향에 지정되는 폴더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management unit designates different folders in at least two or more directions, and displays the designated folders corresponding to each direction on the border of the display screen, It is desirable to change the folder designated in each direc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는 폴더는, 계층적 트리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미지 관리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위 폴더 내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하위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liding motion direction is formed in a hierarchical tree structure, and the image management unit arranges the images in the upper folder selected by the user on the display unit, and the arrangement It is preferable to classify and store an image selected from among the selected images into a sub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imag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rranging an image stored in a storage unit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classifying and storing the selected image among the arranged images into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한 이미지가 터치되는 단계; 상기 이미지가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터치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lassifying and storing the selected image among the arranged images into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ny one of the arranged images. Being touched; Receiving a slide motion in a specific direction from a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while the image is touched; And classifying and storing the touched image in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lassifying and storing the selected image among the arranged images into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arranged images. Receiving an image selected; Receiving a slide motion in a specific direction from a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classifying and storing the selected at least one image into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배열하는 단계는, 각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된 폴더를 각각의 방향에 대응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의 테두리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각 방향에 지정되는 폴더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ing of the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o the display unit includes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direction of slide operation, Displaying; And changing a folder designated in each direction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는 폴더는, 계층적 트리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상위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위 폴더 내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하위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liding direction is formed in a hierarchical tree structure, and an image selected from among the arranged images is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The step of classifying and storing the arranged images may include classifying and storing an image selected from among the arranged images into a higher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a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arranging the images in the upper folder selected by the user on the display unit, and classifying and storing the selected image among the arranged images into a lower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이미지 관리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만으로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미지를 빠르고 쉽게 분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imag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classify images only by a user's slide motion, so that images can be classified quickly and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를 분류하는 슬라이드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배열되는 이미지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폴더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하위 폴더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exemplarily showing the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diagrams showing exemplary slide operations for classifying im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exemplarily showing images arranged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structure of a fold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exemplarily showing subfolder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rocessing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imag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리 장치(100)는, 카메라부(110), 저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이미지 관리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image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 display unit 130, and an image management unit 140. Can be done.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카메라부(110)는 대상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camera unit 110 acquires an image by photographing an object.

저장부(120)는 카메라부(110)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20 stores an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unit 110.

디스플레이부(130)는 이미지 관리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display unit 130 provides an input interface and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image management apparatus 100 and a user.

디스플레이부(130)는 햅틱 접촉(haptic contact) 및/또는 택틸(tactile) 접촉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at accepts an input from a user based on a haptic contact and/or a tactile contact.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스크린 상의 접촉, 접촉의 움직임(movement) 또는 해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접촉을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 키, 아이콘, 웹 페이지 또는 이미지 등의 사용자-인터페이스 객체와의 상호 작용으로 변환한다.The display unit 130 detects a contact on the touch screen, movement or release of the contact, and converts the detected contact to a user-interface object such as one or more soft keys, icons, web pages or image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ransforms into interaction with

이미지 관리부(14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30)에 배열하고,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image management unit 140 arranges the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on the display unit 130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nd selects an image selected from the arranged images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It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in a folder designa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operation.

본 발명에서 슬라이드 동작은 디스플레이부(130)의 터치 스크린 상에 접촉된 예를 들어, 사용자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의 표면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것을 일컫는 것이며, 슬라이드 동작 방향은 미끄럼 운동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일컫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 operation refers to a sliding motion of a user's finger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0, and the slide operation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ing motion is performe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동작 방향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방향(예를 들어, 북(상), 남(하), 서(좌), 동(우))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6방향(예를 들어, 북동, 남동, 남, 남서, 북서, 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 operation direction is made of four directions (for example, north (up), south (down), west (left), east (right))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 it may be configured in six directions (eg, northeast, southeast, south, southwest, northwest, north).

이 외에도, 슬라이드 동작 방향은 2방향(예를 들어, 동, 서 / 남, 북 등), 3방향(예를 들어, 북, 동, 남 / 서, 북, 동 등), 8방향(예를 들어, 북동, 동, 남동, 남, 남서, 서, 북서, 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slide motion direction is 2 directions (e.g., east, west/south, north, etc.), 3 directions (e.g., north, east, south/west, north, east, etc.), and 8 directions (e.g. For example, it may consist of northeast, east, southeast, south, southwest, west, northwest, north).

이러한 슬라이드 동작 방향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지정될 수 있다.The slide motion direction may be selected and designated by the user.

그리고 슬라이드 동작 방향이 지정되면, 각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폴더가 지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lide operation direction is designated, different folders may be designated corresponding to each slide operation direction.

예를 들어, 슬라이드 동작 방향이 4방향으로 지정되는 경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북(상)쪽 방향에는 휴지통 폴더가 지정되고, 남(하)쪽 방향에는 사물·풍경관련 폴더가 지정되고, 서(좌)쪽 방향에는 업무관련 폴더가 지정되고, 동(우)쪽 방향에는 인물관련 폴더가 지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lide operation direction is designated as four directions, as shown in FIG. 2, a trash folder is designated in the north (upper) direction, and an object/landscape related folder is designated in the south (lower) direction. , Work-related folders can be designated in the west (left) direction, and person-related folders can be designated in the east (right) direction.

그리고 슬라이드 동작 방향이 6방향으로 지정되는 경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북동쪽 방향에는 인물관련 폴더가 지정되고, 남동쪽 방향에는 여행관련 폴더가 저장되고, 남쪽 방향에는 사물·풍경관련 폴더가 지정되고, 남서쪽 방향에는 업무관련 폴더가 지정되고, 북서쪽 방향에는 취미관련 폴더가 지정되고, 북쪽 방향에는 휴지통 폴더가 지정될 수 있다.And when the slide motion direction is designated as 6 directions, as shown in FIG. 3, a folder related to a person is designated in the northeast direction, a folder related to travel is stored in the southeast direction, and a folder related to objects and scenery is designated in the south direction. , A folder related to work may be designated in the southwest direction, a folder related to hobbies may be designated in the northwest direction, and a trash folder may be designated in the north direction.

여기서 각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폴더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폴더 생성 시간, 폴더 이름 순서 등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폴더가 지정될 수 있다.Here, when a folder is not designated in each slide operation direction, a folder may be sequentially designated in each slide operation direction according to a folder creation time, a folder name order, and the like.

그리고 각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된 폴더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a folder designated for each slide motion direction may be changed by user selection.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된 폴더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30)에 배열할 때, 디스플레이 화면의 테두리에 표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slide operation direction is arranged when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is arranged on the display unit 130 at the request of a user as shown in FIGS. 2 and 3. , May be displayed on the border of the display scree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된 폴더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테두리에 표시할 때, '인물', '사물, 풍경', '업무' 등과 같이 글자를 이용하여 식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도 있고, 이모티콘, 아이콘 등을 이용하여 식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slide motion direction is displayed on the border of the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S. 2 and 3, such as'person','object, landscape','task', etc. It may be displayed to be identifiable using letters, or may be displayed to be identifiable using emoticons or icons.

전술한 이미지 관리부(14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한 이미지가 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향(예를 들어, 상(북), 하(남), 좌(서), 우(동) 등)의 슬라이드 동작이 입력되면, 터치된 이미지를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image management unit 140 is in a state in which any one of the images arranged on the display unit 130 is touched, and a specific direction (for example, upper (north), lower (south), left (west)) , Right (east), etc.), the touched image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in a folder designated according to the slide operation direction.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9개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미지1을 인물관련 폴더로 분류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손가락으로 이미지1을 터치한 상태에서 이미지1을 우측(동쪽) 방향으로 미는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면, 이미지1은 인물관련 폴더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5를 사물·풍경관련 폴더로 분류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미지5를 터치한 상태에서 이미지5를 아래쪽(남쪽) 방향으로 미는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면, 이미지5는 사물·풍경관련 폴더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a user wants to classify and store image 1 into a person-related folder while 9 images are displayed, the user may select an image while touching the image 1 with a finger, for example. When a slide operation of pushing 1 to the right (east) is performed, image 1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as a folder related to a person. And if you want to classify and store the image 5 into a folder related to objects and scenery, if the user touches the image 5 and performs a slide operation that pushes the image 5 downward (south), the image 5 is a folder related to objects and scenery It can be classified as and stored.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를 특정 폴더로 분류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특정 이미지를 특정 폴더가 위치한 곳까지 슬라이드 할 필요 없이 특정 폴더가 위치한 방향으로 특정 이미지를 슬라이드 시키기만 하면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wants to classify a specific image into a specific fold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slide the specific image to the specific folder, but only slide the specific imag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ecific folder is located. .

이미지 관리부(14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선택받은 후에,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이 입력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image management unit 140 selects at least one image from among the images arranged on the display unit 130, and when a user inputs a slide motion in a specific direction, the selected at least one image is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lide motion direction. It can be categorized and saved in folders.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9개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미지1, 2, 5를 인물관련 폴더로 분류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미지1, 2, 5를 터치하여 선택한 후, 디스플레이 화면의 어느 한 위치에서 우측(동쪽) 방향으로 미는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면, 이미지1, 2, 5는 인물관련 폴더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4, 7을 사물·풍경관련 폴더로 분류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미지4, 7을 선택한 후, 디스플레이 화면의 어느 한 위치에서 아래쪽(남쪽) 방향으로 미는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면, 이미지4, 7은 사물·풍경관련 폴더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when a user wants to classify and store images 1, 2, and 5 into a person-related folder while 9 images are displayed, the user touches images 1, 2, and 5 After selecting, if a slide operation is performed by pushing in the right (east) direction at any one position on the display screen, images 1, 2, and 5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in a person-related folder. In addition, if images 4 and 7 are categorized and stored in folders related to objects and landscapes, if the user selects images 4 and 7 and then performs a slide operation that pushes downward (south) from any one position on the display screen, the image 4 and 7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in folders related to objects and scenery.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이미지가 분류되면, 분류가 이루어진 이미지가 존재하던 위치에, 현재 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다음 이미지의 섬네일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n image is classified according to a user's slide motion, a thumbnail image of a next image that is not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displayed at a location where the classified image exists.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미지1과 이미지5가 각각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인물관련 폴더와 사물·풍경관련 폴더로 분류되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미지1, 5가 존재하던 위치에, 현재 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다음 이미지인 이미지10, 이미지11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images 1 and 5 are classified into a person-related folder and an object-landscape-related folder according to the user's slide motion, images 1 and 5 exist as shown in FIG. At the previous location, image 10 and image 11, which are the next images that are not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displayed.

그리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미지1, 2, 5가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인물관련 폴더로 분류되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미지1, 2, 5가 존재하던 위치에 이미지10, 11, 12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5, when images 1, 2, and 5 are classified into a person-related folder according to the user's slide motion, as shown in FIG. 7, images 10 and 11 are located at the locations where images 1, 2, and 5 exist. And 12 may be displayed respectively.

또한,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이미지가 분류되면, 분류가 이루어진 이미지가 존재하던 위치에 다음 이미지가 한 칸씩 당겨져 재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1이 인물관련 폴더로 분류되면 이미지2가 한 칸 앞당겨져 기존 이미지1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mage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user's slide motion, the next image may be pulled one by one to rearrange the position where the classified image existed. For example, if image 1 is classified as a person-related folder, image 2 may be advanced one space and arranged at the location of the existing image 1.

한편, 각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는 폴더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층적 트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slide motion direction may have a hierarchical tree structure as shown in FIG. 8.

이에 따라, 이미지 관리부(140)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분류된 상위 폴더 내의 이미지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에 배열한 후,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하위 폴더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mage management unit 140 arranges the images in the upper folder classified according to the user's slide operation on the display unit 130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nd then selects an image selected from the arranged images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It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into subfolders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put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에 배열된 이미지를 예를 들어, 인물관련 폴더, 사물·풍경관련 폴더, 업무관련 폴더로 분류한 후, 인물관련 폴더(상위 폴더)에 분류된 이미지를 다시 세분화하여 분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우측의 인물관련 폴더를 터치하여 선택한다.For example, after classifying the images arranged on the display unit 130 into, for example, a person-related folder, an object-landscape-related folder, and a work-related folder, the images classified in the person-related folder (upper folder) are further subdivided. To classify it, the user selects a person-related folder by touching the right side.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인물관련 폴더를 선택하게 되면, 이미지 관리부(140)는 인물관련 폴더로 분류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30)에 배열한다.When the user selects a person-related folder in this way, the image management unit 140 arranges the images classified as person-related folders on the display unit 130.

이때, 디스플레이 화면의 테두리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물관련 폴더에 속해 있는 하위 폴더(예를 들어, 가족, 친구, 직장동료 등)가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a subfolder (eg, family, friends, co-workers, etc.) belonging to a person-related folder may be displayed on the border of the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9.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미지를 상위 폴더로 분류하는 경우와 하위 폴더로 분류하는 경우 모두 슬라이드 동작 방향이 4방향으로 지정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각 분류 단계에서 사용되는 슬라이드 동작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를 상위 폴더로 분류하는 경우 슬라이드 동작 방향이 4방향으로 지정되고, 상위 폴더의 이미지를 하위 폴더로 분류하는 경우 슬라이드 동작 방향이 6방향으로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위 폴더에 따라 사용되는 슬라이드 동작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폴더1(예를 들어, 인물관련 폴더)의 이미지를 하위 폴더로 분류하는 경우 슬라이드 동작 방향은 4방향으로 지정되고, 상위 폴더2(예를 들어, 업무관련 폴더)의 이미지를 하위 폴더로 분류하는 경우 슬라이드 동작 방향은 6방향으로 지정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where an image is classified into an upper folder or a lower folder is defin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slide operation direction is specified in four directions. However, the slide motion direction used in each classification step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when an image is classified as an upper folder, a slide motion direction may be designated as four directions, and when an image in a higher folder is classified as a lower folder, a slide motion direction may be designated as six directions.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slide motion used may vary depending on the upper folder. For example, if the images in the upper folder 1 (for example, a folder related to people) are classified as sub-folders,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is set to 4 directions, and the images in the upper folder 2 (for example, a folder related to work) are When categorized into subfolders, the slide motion direction may be designated as six directions.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물관련 폴더를 선택하게 됨에 따라, 인물관련 폴더로 분류된 이미지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에 배열된 후,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이 입력되면, 이미지 관리부(140)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해당 이미지를 지정되어 있는 하위 폴더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user selects a person-related folder, images classified as person-related folders are arranged on the display unit 130 as shown in FIG. 9, and then the user slides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When an operation direction is input, the image management unit 140 may classify and store the image into a designated subfold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user's slide operation direction.

전술한 바와 같이 하위 폴더로 분류된 이미지는 다시 세분화되어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위 폴더인 가족 폴더에 분류된 이미지를 다시 세분화하여 가족 폴더에 속해 있는 하위 폴더(예를 들어, 부모님, 부부, 자녀, 형제 등)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mages classified into subfolders may be further subdivided and classified. For example, images classified in the family folder, which are subfolders, can be subdivided and stored in subfolders belonging to the family folder (eg, parents, couples, children, siblings, etc.).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위 폴더인 인물관련 폴더를 선택하게 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테두리에 인물관련 폴더에 속해 있는 하위 폴더(예를 들어, 가족, 친구, 직장동료 등)를 표시할 때,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위 폴더인 가족 폴더를 부모님, 부부, 자녀, 형제로 세분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lower folder belonging to a person-related folder (for example, family, friends, co-workers, etc.) is displayed on the border of the display screen as the upper folder, a person-related folder, is selected. , As shown in FIG. 10, a family folder, which is a subfolder, may be divided into parents, couples, children, and siblings and displayed.

한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존재하면, 해당 이미지를 위쪽(북쪽) 방향으로 미는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여 휴지통 폴더로 분류할 수 있다.Meanwhile, if an image to be deleted exists among the images arranged on the display unit 130, the user may classify the image as a trash folder by performing a slide operation of pushing the image upward (north).

이와 같이 휴지통 폴더로 분류된 이미지는 바로 삭제되지 않고, 휴지통 폴더로 분류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완전히 삭제될 수도 있고, 원래 폴더로 복원될 수도 있다.Images classified as the trash folder as described above are not immediately deleted, but may be completely dele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restored to the original folder after being classified as the trash folder.

또한 이미지 관리부(140)는 이미지마다 녹음 버튼을 눌러서 녹음태그를 달 수도 있고, 이미지마다 해시태그를 달아서 해시태그를 검색하고, 검색된 이미지를 선택된 폴더에 이동 또는 복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mage management unit 140 may attach a recording tag to each image by pressing a record button, search a hashtag by attaching a hashtag to each image, and move or copy the searched image to a selected folder.

또한 이미지 관리부(140)는 구간을 정하고, 그 구간 안에 있는 모든 이미지에 동일한 해시태그를 자동으로 달 수도 있고, 복수의 이미지를 선택한 후, 선택된 이미지에 동일한 해시태그를 자동으로 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mage management unit 140 may determine a section and automatically attach the same hashtag to all images within the section, or may automatically attach the same hashtag to the selected image after selecting a plurality of images.

또한 이미지 관리부(140)는 사용자가 어느 한 이미지를 더블 클릭하면, 해당 이미지를 비공개 폴더로 분류하여 저장하거나, 지정된 폴더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double-clicks an image, the image management unit 140 may classify and store the image as a private folder, or may classify and store the image in a designated folder.

또한 이미지 관리부(140)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외에도 사용자 음성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분류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한 후, '세시(또는 삼)'라고 말하면, 선택된 이미지를 세시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예를 들어, 인물관련 폴더)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고, '여섯시(또는 여섯/육)'라고 말하면, 선택된 이미지를 여섯시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예를 들어, 사물·풍경관련 폴더)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age management unit 140 may classify images by a user's voice in addition to the user's slide motion. For example, if a user selects an image to classify and then says'three (or three)', the selected image can be classified and saved in a folder designated in accordance with the three o'clock direction (for example, a folder related to people). In addition, if it says'six o'clock (or six/six)', the selected image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in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ix o'clock position (for example, a folder related to objects and scenery).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11 is a processing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관리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상에서 진행되므로, 도 1의 이미지 관리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imag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on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mage management device 100 shown in FIG. 1,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e image management device 100 of FIG. 1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우선,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이미지 관리부(140)는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가 분류되어 있는 앨범 폴더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앨범 폴더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앨범 폴더에 속해 있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30)에 배열한다(S10).First, when the gallery application is executed, the image management unit 140 displays an album folder in which the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are classified, and when any one of the displayed album folders is selected by the user, the selected Images belonging to the album folder are arranged on the display unit 130 (S10).

그리고 이미지를 관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동작 모드가 이미지 관리 모드로 전환되면(S20),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테두리에 각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를 표시한다(S30).And when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image management mode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o manage the image (S20),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slide operation direction on the border of the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S. 2 and 3 Is displayed (S30).

상기한 단계 S30에서 각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폴더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폴더 생성 시간, 폴더 이름 순서 등에 따라 각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폴더가 지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각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지정되는 폴더는 변경될 수 있다.If a folder is not designated in accordance with each slide motion direction in step S30, a folder may be assigned to each slide mot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folder creation time, the order of folder names, and so on. The designated folder can be changed.

그리고 상기한 단계 S30에서 슬라이드 동작 방향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슬라이드 동작 방향(예를 들어, 4방향)에 폴더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슬라이드 동작 방향은 변경될 수 있다.And if the slide motion direction is not specified in step S30, the folder may be displayed in the default slide motion direction (for example, 4 directions), and the slide motion direc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Can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단계 S30에서 이미지 관리 모드 전환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테두리에 각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를 표시하도록 구현하였으나, 폴더가 표시되지 않게 구현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30,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slide operation direction is displayed on the border of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image management mode change, but the folder may not be displayed.

이후에는, 상기한 단계 S10을 통해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하여 저장한다(S40).Thereafter, the selected image among the images arrang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ep S10 is classified and stored in a folder designated according to the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S40).

상기한 단계 S40에서 이미지 관리부(14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에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한 이미지(예를 들어, 이미지1)가 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향(예를 들어, 우측(동쪽)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이 입력되면, 터치된 이미지를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예를 들어, 인물관련 폴더)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the above step S40, the image management unit 140 touches any one image (eg, image 1) among the images arranged on the display unit 130, as shown in FIG. For example, when a slide motion in the right (eastward) direction) is input, the touched image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in a folder designated in accordance with the slide motion direction (eg, a person-related folder).

상기한 단계 S40에서 이미지 관리부(14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에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예를 들어, 이미지1, 2, 5)를 선택받은 후에,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향(예를 들어, 우측(동쪽)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이 입력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예를 들어, 인물관련 폴더)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step S40, the image management unit 140 selects at least one image (for example, images 1, 2, 5) from among the images arranged on the display unit 130 as shown in FIG. When a slide motion in a specific direction (e.g., right (east) direction) is input from, at least one selected image is classified and saved into a folder (e.g., a person-related folder) designated according to the slide motion direction. I can.

이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폴더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S50), 선택된 폴더에 속해 있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30)에 배열하고(S60),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하위 폴더로 분류하여 저장한다(S70).Thereafter, when any one of the folder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s selected (S50), images belonging to the selected folder are arranged on the display unit 130 (S60), and the selected image among the arranged image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t is classified into sub-folders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and stored (S7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리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r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I will be able to.

110. 카메라부, 120. 저장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이미지 관리부
110. Camera unit, 120. Storage unit,
130. Display unit, 140. Image management unit

Claims (10)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이미지 관리 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이미지 관리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관리 장치.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unit;
A display unit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and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image management device and a user; And
The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re arranged on the display unit at the request of the user, and the selected image among the arranged images is classified into a folder designated according to the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An image management unit to store; including, an image manage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관리부는,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한 이미지가 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된 이미지를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이미지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management unit,
An image management apparatus for classifying and storing the touched image in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lide operation direction when a user inputs a slide motion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one of the arranged images is touc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관리부는,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선택받은 후에,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이미지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management unit,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image from among the arranged images, when a user inputs a slide motion in a specific direction, the selected at least one image is classified and stored in a folder designated in accordance with the slide motion dir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관리부는,
적어도 2방향 이상의 방향에 서로 다른 폴더를 지정하고, 각각의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된 폴더를 각각의 방향에 대응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의 테두리에 표시하며,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각 방향에 지정되는 폴더를 변경하는, 이미지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management unit,
Designating different folders in at least two or more directions, displaying the designated folders corresponding to each direction on the border of the display screen, and changing the folders designated in each direction according to user selection, Image manage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는 폴더는,
계층적 트리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미지 관리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위 폴더 내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하위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이미지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olders designated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motion direction are:
It consists of a hierarchical tree structure,
The image management unit,
Images in the upper folder selected by the user are arrang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selected image among the arranged images is classified and stored in a lower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Management device.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Arranging the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nd
And classifying and storing an image selected from the arranged images into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a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한 이미지가 터치되는 단계;
상기 이미지가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터치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classifying and storing an image selected from the arranged images into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a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Touching any one of the arranged images;
Receiving a slide motion in a specific direction from a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while the image is touched; And
And classifying and storing the touched image into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a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classifying and storing an image selected from the arranged images into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a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Receiving at least one image selected from among the arranged images;
Receiving a slide motion in a specific direction from a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And classifying and storing the selected at least one image into a folder designated according to a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배열하는 단계는,
각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된 폴더를 각각의 방향에 대응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의 테두리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각 방향에 지정되는 폴더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Arranging the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Displaying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slide operation direction in correspondence with each direction on a border of the display screen; And
Including, changing a folder designated in each direction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제6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는 폴더는,
계층적 트리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상위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위 폴더 내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하위 폴더로 분류·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Folders specified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direction are:
It consists of a hierarchical tree structure,
The step of classifying and storing an image selected from the arranged images into a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a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Classifying and storing an image selected from the arranged images into an upper folder designated in accordance with a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Arranging the images in the upper folder selected by the user on the display unit, and classifying and storing the images selected from the arranged images into a lower folder design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s slide mo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Containing, image management method.
KR1020190051348A 2019-05-02 2019-05-02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s KR1022330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48A KR102233008B1 (en) 2019-05-02 2019-05-02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48A KR102233008B1 (en) 2019-05-02 2019-05-02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367A true KR20200127367A (en) 2020-11-11
KR102233008B1 KR102233008B1 (en) 2021-03-30

Family

ID=73451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348A KR102233008B1 (en) 2019-05-02 2019-05-02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00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5490A (en) * 2010-02-19 2011-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image frame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icture through the digital image frame
KR20150092630A (en) * 2014-02-05 2015-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20150145864A (en) * 2014-06-19 2015-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96711A (en) 2016-02-17 2017-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lustering photo therein
KR101771517B1 (en) * 2016-09-29 2017-08-25 (주) 비미오 Method for selecting an album or folder and tagging for pictur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ermi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5490A (en) * 2010-02-19 2011-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image frame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icture through the digital image frame
KR20150092630A (en) * 2014-02-05 2015-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20150145864A (en) * 2014-06-19 2015-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96711A (en) 2016-02-17 2017-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lustering photo therein
KR101771517B1 (en) * 2016-09-29 2017-08-25 (주) 비미오 Method for selecting an album or folder and tagging for pictur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008B1 (en)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1386B2 (en)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content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5009371B2 (en) Interface system for video data editing
US10216383B2 (en) Single action selection of data elements
JP4533007B2 (en) Image management apparatus, imag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4375442B2 (en) Image management apparatus, image management method, and image management program
JP5260733B2 (en) Copy animation effects from a source object to at least one target object
TWI669652B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00614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nd editing object-inserted images
US2012014429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KR101921201B1 (en) Function co-operating Method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2013165462A (en) Moving image record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108243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nd editing object-inserted images
US9529509B1 (en) Item selection
KR101058013B1 (en) Thumbnail image retrieval method of digital storage device with touch screen
JP2013179562A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JP2008152585A (en) Display image control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US20230401172A1 (en) Visual file manager
JP2018073096A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5566447B2 (en) CONTENT MANAGEMENT DEVICE, CONTENT MANAGEMENT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302546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media content
KR101589969B1 (en) Fil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of network structure
US2017012363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
KR1022330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s
KR2014012066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file in portable terminal
JP4239812B2 (en) File management device, file management program, file management method, electronic album device, and digital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