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305A - A smart ke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mart key - Google Patents

A smart ke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mart k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305A
KR20200126305A KR1020190050142A KR20190050142A KR20200126305A KR 20200126305 A KR20200126305 A KR 20200126305A KR 1020190050142 A KR1020190050142 A KR 1020190050142A KR 20190050142 A KR20190050142 A KR 20190050142A KR 20200126305 A KR20200126305 A KR 20200126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vehicle
signal
sensor unit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1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혁
박용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0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6305A/en
Priority to US16/860,433 priority patent/US11021134B2/en
Publication of KR20200126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3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1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human presenc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A smart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LF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LF signal including a command message indicating the opening or closing of a vehicle door from a vehicle; an RF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n RF signal for the LF signal to the vehicle; a sensor unit for sensing user′s movement; and a micro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N/OFF switching of the sensor unit in response to the LF signal.

Description

스마트 키 및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A SMART KE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MART KEY}Smart key and control method of smart key {A SMART KE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MART KEY}

본 발명은 차량에서의 스마트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key system in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에서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운전자(또는 사용자)가 스마트 키(또는 포브 키(FOB Key))를 휴대하고, 차량에 탑재된 스마트키 유닛(이하, SMK Unit이라 한다)은 LF(Low Frequency) 및 RF(Radio Frequency)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수신되는 암호화 코드를 해석하여 정상 사용자임을 인증할 경우에만 차량 도어의 락/언락(Lock/Unlock), 시동 및 전원 인가 등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도난 사고를 예방 및 방지하는 시스템을 말한다.In general, in a smart key system in a vehicle, a driver (or user) carries a smart key (or FOB Key), and a smart key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K Unit) mounted on the vehicle is LF ( Functions such as locking/unlocking the vehicle door, starting and applying power, etc. only when authenticating the user by analyzing the encryption code received from the smart key using Low Frequency) and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By performing, it refers to a system that prevents and prevents vehicle theft accidents.

이와 같이, 스마트 키(또는 포브 키(FOB Key))는 자동차 열쇠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3V용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데, 최근 배터리 소모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mart key (or FOB Key) serves as a vehicle key, and uses a 3V lithium-ion battery, and various studies to improve battery consumption have recently been conducted.

배터리 소모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 중에 하나로, 스마트 키 내부에 스마트 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예를 들면, 진동 센서)를 내장하고, 센서가 스마트 키의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에만, 특정 기능(차량 도어의 락/언락(Lock/Unlock), 시동 및 전원 인가 등)을 동작시키는 방식으로 배터리 소모를 개선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As one of the researches to improve battery consumption, a sensor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for example, a vibration sensor) is built inside the smart key, and only when the sensor detects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a specific function (vehicle A method of improving battery consumption by operating the lock/unlock of the door, starting and applying power, etc.) is being studied.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특정 상황에서만 배터리 소모를 개선하는 한계가 있으며, 오히려 스마트 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상시(계속) 켜져 있는 상황에서는 배터리 소모가 더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limitations in improving battery consumption only in certain situations, and rather, there is a problem that battery consumption is greater when a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a smart key is always on (continuously).

또한 릴레이 스테이션 어택(Relay Station Attack, RSA)과 같은 해킹 문제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해킹방어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In addition, they are exposed to hacking problems such as Relay Station Attack (RSA), and hacking defense measures are need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스마트 키의 기능을 조절함으로써 스마트 키에 내장된 배터리 효율을 극대화하고, 동시에 릴레이 스테이션 어택(이하, RSA)과 같은 해킹을 방어할 수 있는 스마트 키 및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battery efficiency built into the smart key by adjusting the function of the smart key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a smart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hacking such as relay station attack (hereinafter, RSA) It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keys and smart key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은, 차량으로부터 LF(Low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LF 수신부, 상기 LF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는 RF 송신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LF 수신부가, 차량으로부터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나타내는 커맨드 메시지를 포함하는 L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LF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상기 센서부의 온(ON) 및 오프(OFF)를 제어하는 단계; 을 포함한다.A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LF receiving unit receiving a low frequency (LF) signal from a vehicle, and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s a response to the LF signal. A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key including an RF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o a vehicl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movement of a user, and a micro control unit, wherein the LF receiving unit includes a command message indicating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vehicle door from the vehicle. Receiving a signal; And controlling, by the micro-control unit, on (ON) and off (OFF) of the sensor unit detecting movement of the smart key in response to the LF signal. Include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마트 키는, 차량으로부터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나타내는 커맨드 메시지를 포함하는 LF 신호를 수신하는 LF 수신부; 상기 LF 신호에 대한 RF 신호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는 RF 송신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LF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부의 온(ON) 및 오프(OFF)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key includes: an LF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n LF signal including a command message indicating opening or closing of a vehicle door from a vehicle; An RF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RF signal for the LF signal to the vehicl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user's movement; And a micro control unit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ON and OFF switching of the sensor unit in response to the LF signal.

기존의 스마트 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예를 들면, 진동 센서)가 내장된 스마트 키에서는 센서가 상시 켜져 있기 때문에, 상시 켜져 있는 센서로 인해 배터리 소모가 크지만, 본 발명은 센서를 차량 실내에서는 오프(OFF)하고, 차량 실외에서는 센싱 강도(센싱 감도, 센싱 주기, 센싱 주파수)를 낮게 조절함으로써, 기존의 방식대비 배터리 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LF 수신부의 온(ON) 및 오프(OFF) 상태까지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RSA와 같은 해킹 방어 물론 LF 수신부로 인한 배터리 절감 효과를 추가로 기대할 수 있다.In a smart key with a built-in sensor (for example, a vibration sensor)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a conventional smart key, the sensor is always on, so battery consumption is large due to the always-on sensor. By adjusting the sensing intensity (sensing sensitivity, sensing period, and sensing frequency) to be turned off in the vehicle and outdoors in the vehicle, the battery efficiency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LF receiver is turned on and off. By properly controlling the (OFF) state,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expect a battery saving effect due to the LF receiver as well as protection against hacking such as RS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와 차량이 주고받는 메시지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가 LF 수신 거리 안에 위치한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가 LF 수신 거리 밖에 위치한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가 차량 내부(차량 실내)에 위치한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of messages exchanged between a smart key and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smart key is located within an LF reception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smart key is located outside an LF reception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smart key is located inside a vehicle (inside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마트 키(또는 포브 키)에 센서부(예를 들면, 진동센서)가 적용될 경우, 배터리 효율성 강화가 기대되지만, 진동 센서 IC의 경우 스마트 키의 배터리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는 소자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배터리 소모를 야기시킨다. 특히 진동 센서는 센싱 강도(주파수, Bandwidth)에 따라 전류 소모량이 다르며, 상황에 따라서는 진동센서 자체의 전류가 일반적인 스마트 키의 암전류보다 더 높을 수도 있다. 특히 움직임 정도와는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전류를 소모(진동을 감지하는 동안 계속 전류 소모)하기 때문에, 평소 스마트 키를 소지한 상태로 이동이 많은 사용자의 경우, 진동 센서 IC가 적용되지 않은 스마트 키(포브 키)보다 오히려 배터리 소모가 빠를 수 있으며(진동이 계속 있어 Fob 기능이 차단이 안되어 진동센서전류+Fob기본 암전류가 되어 전류소모 증가),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a sensor unit (for example, a vibration sensor) is applied to a smart key (or fob key), battery efficiency is expected to be enhanced, but in the case of a vibration sensor IC, a device that receives operation power from the battery of the smart key Because of this, it causes continuous battery consumption. In particular,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vibration sensor varies according to the sensing strength (frequency, bandwidth), and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current of the vibration sensor itself may be higher than the dark current of a general smart key. In particular, since it continuously consumes current (continuously consumes current while detecting vibration) regardless of the degree of movement, in the case of users who usually move with a smart key, a smart key to which a vibration sensor IC is not applied ( Rather than fob key), battery consumption may be faster (the Fob function is not blocked because there is vibration continuously, so the vibration sensor current + Fob basic dark current increases the current consumption), and improvement is needed.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LF 수신부가, 차량으로부터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나타내는 커맨드 메시지를 포함하는 L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LF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상기 센서부의 온(ON) 및 오프(OFF)를 제어하여, 배터리 효율을 개선한다. 여기서, 상기 커맨드 메시지는, 상기 스마트 키를 소유한 사용자의 차량 승차 또는 차량 하차를 나타내는 메시지일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F receiving unit receives an LF signal including a command message indicating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vehicle door from the vehicle, and the microcontrol unit, in response to the LF signal, By controlling the on (ON) and off (OFF) of the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key, the battery efficiency is improved. Here, the command message may be a message indicating a vehicle boarding or alighting of the user who owns the smart key.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LF 신호에 상기 커맨드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가 차량 내부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가 차량 내부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센서부를 온(ON)에서 오프(OFF)로 제어하여, 배터리 효율을 개선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icro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LF signal includes the command message, it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is inside the vehicle, and the micro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is inside the vehicle. When determined, the sensor unit is controlled from ON to OFF to improve battery efficienc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LF 신호에 상기 커맨드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가 차량 외부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가 차량 외부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센서부를 오프(OFF)에서 온(ON)으로 제어하여, 배터리 효율을 개선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LF 신호의 수신 세기와 사전에 설정한 기준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가 차량 내부인지 차량 외부인지를 판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icro-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command message is included in the LF signal, it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is outside the vehicle, and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outside the vehicle, the sensor unit is controlled from OFF to ON to improve battery efficiency. Here, the micro-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is inside the vehicle or outside the vehicle by comparing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LF signal with a preset reference intensit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LF 신호와 기준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 키가 차량과의 LF 통신이 가능한 LF 수신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LF 수신 거리 밖에 위치한 경우, 상기 LF 수신부를 온(ON)에서 오프(OFF)로 제어하여, 배터리 효율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상기 LF 수신부가 오프(OFF)되므로, RSA에 대한 해킹 방어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스마트 키의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LF 수신부를 오프(OFF)에서 온(ON)으로 제어하여, 배터리 효율을 개선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 control unit compares the LF signal with a reference strength to determine whether the smart key is located within an LF reception distance capable of LF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and the micro control unit When the smart key is located outside the LF reception distance, the LF receiver is controlled from ON to OFF to improve battery efficiency and the LF receiver is turned off. It is also possible to defend against hacking. Here, the micro control unit improves battery efficiency by controlling the LF receiver from OFF to ON only when the sensor uni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LF 신호와 기준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 키가 차량과의 LF 통신이 가능한 LF 수신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LF 수신 거리 밖에 위치한 경우, 상기 센서부의 센싱 감도를 조절하여, 배터리 효율을 개선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 control unit compares the LF signal with a reference strength to determine whether the smart key is located within an LF reception distance in which LF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is possible, and the smart key is When located outside the LF reception distance, the sensing sensitivity of the sensor unit is adjusted to improve battery efficiency.

여기서, 상기 센서부의 센싱 감도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센서부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 키의 움직임을 측정한 측정값들을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으로 전달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측정값들의 평균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와 상기 스마트 키의 움직임 작은 경우를 판단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움직임이 많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센서부의 센싱 감도를 제1 센싱 감도에서 상기 제1 센싱 감도보다 작은 제2 센싱 감도로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Here, adjusting the sensing sensitivity of the sensor unit includes: the sensor unit transfers measurement values of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for a preset time to the micro control unit, and the micro control unit includes an average value of the measurement valu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is large and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is small by comparing with the reference valu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is large, the sensing sensitivity of the sensor unit is adjusted from the first sensing sensitivity to the first sensing sensitivity. It may be controlled by a second sensing sensitivity smaller than the 1 sensing sensitivity.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provid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and/or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또는 포브 키(FOB Key))(100)는 차량에 대한 제어 명령이 가능한 입력부(110), 스마트 키(100) 내 각 구성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l Unit, 이하, MCU)(120), 스마트 키(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130), 차량(200)과 통신하는 LF 수신부(130)와 RF 송신부(150), 스마트 키(100) 내의 구성들(120, 130, 140 및 150)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smart key (or FOB Ke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each component in an input unit 110 and a smart key 100 capable of controlling a vehicle. A micro control unit (MCU) 120, a sensor unit 130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100, an LF receiver 130 and an RF transmitter 150 that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200 ), a power supply unit 160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mponents 120, 130, 140, and 150 in the smart key 100 may be included.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키(100) 내의 구성들은 단지 일 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마트 키(100)는 터치 기능을 포함하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부,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 등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s in the smart key 100 shown in FIG. 1 are only examples, and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smart key 10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that includes a touch function and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to a user, a sound output unit that outputs sound, and the like.

입력부(110)는 스마트 키(100) 외관에 설치된 하드 키, 다이얼, 터치 기능이 포함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또는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차량(200)에 대해 다양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 키(100) 외관의 하드키를 눌러 차량(10) 전체 도어를 잠금시키거나 잠금 해제하거나(RKE(Remote Keyless Entry) 기능, PKE(Passive Keyless Entry) 기능, Welcome light 기능), 드렁크를 열고 닫거나, 시동을 걸을 수도 있으며, 그 밖에 경고음을 울리게 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를 통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MCU(120)로 입력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10 may be configured (or implemented) as a hard key installed on the exterior of the smart key 100, a dial, a display including a touch function, or the like. A user may input various control commands for the vehicle 200 through the input unit 110. For example, the user can lock or unlock the entire door of the vehicle 10 by pressing the hard key on the exterior of the smart key 100 (Remote Keyless Entry (RKE) function, Passive Keyless Entry (PKE) function, Welcome light function). ), open and close the drunk, start the engine, and make other beeps. The user's control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110 may be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input to the MCU 120.

센서부(130)는 MCU(120)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스마트 키(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예를 들면, 움직임을 감지한 세기, 움직임량, 움직임값 등)를 전기적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MCU(12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3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100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MCU 120, and detects the movement (e.g., the intensity of the movement, the amount of movement, the movement value). Etc.) can be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form and output to the MCU 120.

센서부(13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스마트 키(100)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도시하지 않음), 스마트 키(100)의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도시하지 않음), 스마트 키(10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도시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130)는 스마트 키(100)를 소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스마트 키(100)의 진동 감지, 스마트 키(100)의 흔들림 감지 및 스마트 키(100)의 위치 변화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키(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ensor unit 130 is a vibration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vibration of the smart key 100, an acceleration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a change in acceleration of the smart key 100, and a smart key (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a change in position. Therefore, the sensor unit 130 is detecting vibration of the smart key 100, shaking of the smart key 100, and detecting a position change of the smart key 1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holding the smart key 100.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100 including at least one may be detected.

또한, 센서부(130)는, 전원부(160)의 배터리 효율(배터리 소모)을 개선하기 위해, MCU(1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특정 상황(또는 특정 조건)에서 온(ON) 또는 오프(OFF)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130)는, 스마트 키(100)를 소지한 사용자(또는 운전자)의 차량 승차 시에 MCU(1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오프(OFF)되고, 반대로 스마트 키(100)를 소지한 사용자(또는 운전자)의 차량 하차 시에 MCU(1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온(ON)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부(130)는 사용자(또는 운전자)가 차량에 승차한 경우에는 오프(OFF)됨으로써, 센서부(130)에 의한 암전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battery efficiency (battery consump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60, the sensor unit 130 is turned on or off in a specific situation (or a specific condition)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MCU 120. ) Can be.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30 is turned off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MCU 120 when the user (or driver) holding the smart key 100 boards the vehicle, and conversely, the smart key 100 When a user (or a driver) having a vehicle gets off the vehicle, it may be turned on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MCU 120. In this way, the sensor unit 130 is turned off when the user (or driver) boards the vehicle,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dark current by the sensor unit 130.

또한, 센서부(130)는 온(ON) 상태(차량 실외)에서 MCU(1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센싱 강도(센싱 감도)가 적응적으로(adaptive)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키(100)를 소지한 사용자(또는 운전자)의 움직임이 작은 경우에는 센서부(130)의 센싱 강도(센싱 감도)를 크게 조절하고, 스마트 키(100)를 소지한 사용자(또는 운전자)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는 센서부(130)의 센싱 강도(센싱 감도)를 작게 조절한다. 사용자(또는 운전자)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는 센싱 강도(센싱 감도)를 작게 하여도 사용자(또는 운전자)의 움직임을 충분히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센싱 강도(센싱 감도)를 작게 하여도 정상 동작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sensor unit 130 may adaptively adjust the sensing intensity (sensing sensitivity)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MCU 120 in an ON state (outside the vehicle). For example, if the movement of the user (or driver) holding the smart key 100 is small, the sensing strength (sensing sensitivity) of the sensor unit 130 is greatly adjusted, and the user holding the smart key 100 ( Alternatively, when there is a lot of movement of the driver), the sensing intensity (sensing sensitivity) of the sensor unit 130 is adjusted to be small. In the case of a large amount of movement of the user (or driver), the movement of the user (or driver) can be sufficiently sensed even if the sensing intensity (sensing sensitivity) is decreased, so normal operation is possible even when the sensing intensity (sensing sensitivity) is decreased. Do.

이와 같이, 센서부(130)에 센싱 강도(센싱 감도)를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센서부(130)에 의한 암전류를 최소화하여 배터리 효율(배터리 소모)을 개선할 수 있다. In this way, by adaptively adjusting the sensing strength (sensing sensitivity) to the sensor unit 130, the dark current caused by the sensor unit 130 can be minimized, thereby improving battery efficiency (battery consumption).

센서부(130)의 센싱 강도(센싱 감도)를 조절함은 센서부(130)의 센싱 주기(클럭 주기, 센싱 주파수)를 늘리거나 줄이는 의미일 수 있다. Adjusting the sensing strength (sensing sensitivity) of the sensor unit 130 may mean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ensing period (clock period, sensing frequency) of the sensor unit 130.

센서부(130)의 온(ON) 및 오프(OFF)는 전원부(160)의 전원 공급과 차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부(160)가 MCU(120)의 제어 명령(전원 공급 명령)에 응답하여 센서부(130)로 전원을 공급하면, 센서부(130)는 온(ON)되고, 반대로, 전원부(160)가 MCU의 제어 명령(전원 차단 명령)에 응답하여 센서부(13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면, 센서부(130)는 오프(OFF)될 수 있다.On (ON) and off (OFF) of the sensor unit 130 may be achieved by power supply and cut off of the power supply unit 160. For example, when the power supply unit 160 supplies power to the sensor unit 130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power supply command) of the MCU 120, the sensor unit 130 is turned on, vice versa, the power supply unit When 160 cuts off the supply of power to the sensor unit 130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power cut command) of the MCU, the sensor unit 130 may be turned off.

또한, 센서부(130)의 온(ON) 및 오프(OFF)는 모드 전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130) 내의 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가 MCU의 제어 명령(모드 전환 명령)에 응답하여 웨이크 업(WAKE UP) 모드에서 슬립(SLEEP) 모드로 전환되면, 센서부(130)는 오프(OFF)되고, 반대로, 센서부(130) 내의 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가 MCU의 제어 명령(모드 전환 명령)에 응답하여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면, 센서부(130)는 온(ON)된다.In addition, on (ON) and off (OFF) of the sensor unit 130 may be achieved by mode switching. For example, when a processor (not shown) in the sensor unit 130 switches from a wake up mode to a sleep mode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mode switching command) of the MCU, the sensor unit 130 ) Is off,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processor (not shown) in the sensor unit 130 switches from the sleep mode to the wake-up mode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mode change command) of the MCU, the sensor unit 130 Becomes ON.

LF 수신부(140)는 LF 안테나를 통해 차량(200)의 차량 통신부(210)로부터 LF(Low Frequency)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LF(Low Frequency) 신호는 120kHz 이상 135kHz 이하의 저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일 수 있다. The LF receiver 140 receives a low frequency (LF) signal from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vehicle 200 through an LF antenna. Here, the LF (Low Frequency) signal may be a radio signal having a low frequency band of 120 kHz or more and 135 kHz or less.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LF 신호는 차량 도어의 개폐 동작을 나타내는 승/하차 커맨드 메시지 및 스마트 키(100)의 위치가 차량(200)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를 확인 요청하는 확인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The LF signal received from the vehicle includes a ride/unload command message indicating an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and a confirmation request message requesting to confirm whether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100 is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200.

LF 수신부(140)는 변조/복조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LF 신호의 변조/복조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LF 수신부(140)는 차량(200)이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LF 서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칭 신호는 스마트 키(100)가 차량(10)으로부터 LF 통신 가능 범위(또는 LF 수신 거리) 내에 있는 지 판단하기 위해 차량(200)의 주변(LF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차량(200)에 의해 전송되는 LF(Low Frequency) 신호를 의미한다.The LF receiver 140 may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programs and data for performing modulation/demodulation, and a processor for modulating/demodulating an LF signal according to programs and data stored in the memory. The LF receiver 140 may receive an LF search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by the vehicle 200. Here, the search signal is the vehicle 200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200 (within the LF communication rang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smart key 100 is within the LF communication range (or LF reception distance) from the vehicle 10. ) Means an LF (Low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by.

또한, LF 수신부(140)는 MCU(120)의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온(ON) 또는 오프(OFF) 될 수 있다. LF 수신부(140)의 온(ON) 및 오프(OFF)는, 센서부(130)의 온(ON) 및 오프(OFF)와 유사하게, 전원 공급/차단 또는 LF 수신부(140) 내의 프로세서의 모드 전환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F receiver 140 may be turned on or off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of the MCU 120. The on (ON) and off (OFF) of the LF receiving unit 140, similar to the on (ON) and off (OFF) of the sensor unit 130, power supply / cut off or the mode of the processor in the LF receiving unit 140 It can be achieved through conversion.

RF 송신부(150, RFIC)는 차량(200)의 차량 통신부(210)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RF(Radio Frequency) 신호는 315MHz 이상433MHz 이하의 고주파수 대역(Ultra-High Frequency; UHF)을 갖는 무선 신호일 수 있다.The RF transmitter 150 (RFIC) transmits a radio frequency (RF) signal to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vehicle 200. Here, the radio frequency (RF) signal may be a radio signal having an ultra-high frequency (UHF) of 315 MHz or more and 433 MHz or less.

RF 송신부(150)는 변조/복조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RF(Radio Frequency) 신호의 변조/복조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RF transmitter 150 may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programs and data for performing modulation/demodulation, and a processor for modulating/demodulating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ccording to programs and data stored in the memory.

RF 송신부(150)는 RF 통신망과 스마트키(100)의 MCU(120)를 연결하는 통신 포트(communication port) 및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Transmitter)를 포함하는 RF(Radio Frequency)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RF transmitter 150 is a radio frequency (RF) including a communication port connecting the RF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CU 120 of the smart key 100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radio frequency (RF) signal.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RF 송신부(150)는 차량(200)의 서칭 신호에 응답하는 서칭 응답 신호를 차량(200)에 송신할 수 있다. 서칭 응답 신호는 스마트 키(100)가 차량(200)으로부터 서칭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차량(200)이 확인할 수 있도록, 스마트 키(100)가 차량(200)에 전송하는 RF 신호를 의미한다.The RF transmitter 150 may transmit a search response signal in response to the search signal of the vehicle 200 to the vehicle 200. The search response signal refers to an RF signal transmitted by the smart key 100 to the vehicle 200 so that the vehicle 200 can confirm that the smart key 100 has received the search signal from the vehicle 200.

RF 송신부(150)는 MCU(12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상황(또는 특정 조건)에서 온(ON) 또는 오프(OFF) 될 수 있다. RF 송신부(160)의 온(ON) 및 오프(OFF)는, 센서부(130)의 온(ON) 및 오프(OFF)와 유사하게, 전원 공급/차단 또는 RF 송신부(150) 내에 탑재된 프로세서의 모드 전환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The RF transmitter 150 may be turned on or off in a specific situation (or a specific condi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CU 120. The on (ON) and off (OFF) of the RF transmission unit 160, similar to the on (ON) and off (OFF) of the sensor unit 130, power supply / cut off or a processor mounted in the RF transmission unit 150 It can be achieved through mode switching.

LF 수신부(140)와 RF 송신부(150)에 의해, 스마트 키(100)는 고유 식별자(ID) 정보를 확인하는 절차나 차량(200)에 관한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차량(200)과 LF(Low Frequency) 신호 또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By the LF receiving unit 140 and the RF transmitting unit 150, the smart key 1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vehicle 200 or a procedure for confirming the unique identifier (ID) information. Low Frequency) signal or RF (Radio Frequency) signal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전원부(160)는 스마트 키(100)내의 구성들(130, 140 및 150)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로, 배터리(예를 들면, 리튬이온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60)는 MCU(1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센서부(130), LF 수신부(140) 및 RF 송신부(150)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60 is a device that supplies power to the components 130, 140, and 150 in the smart key 100, and may include a battery (eg, a lithium ion battery).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60 may supply power to the sensor unit 130, the LF receiver 140, and the RF transmitter 150 or cut off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MCU 120.

MCU(120)는 스마트 키(100)내 구성들(110, 130, 140, 150 및 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MCU(120)는 스마트 키(100)의 전자적 제어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제어 명령(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MCU(120)는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차량(200)의 도어 잠금/해제(RKE 기능, PKE 기능), 드렁크 잠금/해제, 경고음을 위한 제어 명령(제어 신호)을 생성할 수 있다.The MCU 120 may include a processor and a memory that control operations of the components 110, 130, 140, 150, and 160 in the smart key 100. In addition, the MCU 120 may generate various data processing and control commands (control signals) related to electronic control of the smart key 100. In addition, the MCU 120 is based on the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input unit 110, the door lock/unlock (RKE function, PKE function) of the vehicle 200, a control command (control signal) for locking/unlocking the drunk, and a warning sound. Can be created.

또한, MCU(120)는 특정 상황(또는 특정 조건)에서 센서부(130)의 온(ON)/오프(OFF) 동작, 센서부(130)의 센싱 강도(센싱 감도, 예를 들면, 센싱 주기, 센싱 주파수 센싱 클럭의 주기 또는 센싱 클럭의 주파수 등) 조절, LF 수신부(140)의 온/오프 동작 및 RF 송신부(15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MCU 120 is an on (ON) / off (OFF)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130 in a specific situation (or a specific condition), the sensing strength of the sensor unit 130 (sensing sensitivity, for example, a sensing period) , Sensing frequency The period of the sensing clock or the frequency of the sensing clock) is adjusted, the on/off operation of the LF receiver 140 and the on/off operation of the RF transmitter 150 are controlled.

또한, MCU(120)는 차량으로부터 송신된 승/하차 커맨드 메시지에 따라 센서부(130)의 온(ON) 및 오프(OFF)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MCU(120)는 LF 수신부(140)를 통해 차량(200)으로부터 차량 도어의 열림을 나타내는 승차 커맨드 메시지를 포함하는 LF 신호의 수신과 스마트 키(100)가 차량 내부에 위치함을 확인하면, 센서부(130)를 오프(OFF)한다. 또한, MCU(120)는 LF 수신부(140)를 통해 차량(200)으로부터 차량 도어의 닫힘을 나타내는 하차 커맨드 메시지를 포함하는 LF 신호의 수신과 스마트 키(100)가 차량 외부에 위치함을 확인하면, 센서부(130)를 온(ON)한다.In addition, the MCU 120 controls on (ON) and off (OFF) of the sensor unit 130 according to the getting on/off command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For example, the MCU 120 receives an LF signal including a ride command message indicating the opening of the vehicle door from the vehicle 200 through the LF receiver 140 and indicates that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Upon confirmation, the sensor unit 130 is turned off. In addition, when the MCU 120 receives an LF signal including an exit command message indicating the closing of the vehicle door from the vehicle 200 through the LF receiver 140 and confirms that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outside the vehicle, , The sensor unit 130 is turned on.

한편, 차량(200)은 스마트 키(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 통신부(210), 차량 내 전장 부품 또는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220, 이하, SMK ECU(Smart Key Electrical Control Unit)) 및 차량 도어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200 is a vehicle communication unit 210 tha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key 100, a vehicle control unit 220 (hereinafter, SMK ECU (Smart Key Electrical Control Unit)) that controls electronic parts or components in the vehicle. And a vehicle door control unit 230.

차량 통신부(210)는 스마트 키(100)와 LF(Low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LF(Low Frequency) 통신부(212), 스마트 키(100)와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Radio Frequency) 통신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210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mart key 100 and a low frequency (LF) signal, a low frequency (LF) communication unit 212,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mart key 100 and a radio frequency (RF) signal. It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unit 214.

차량(200) 내의 LF 통신부(212)는 LF 통신망을 통하여 스마트 키(100)에 LF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차량(200) 내의 LF 통신부(212)는 서칭 신호의 송신 주기에 따라 서칭 신호를 스마트 키(10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칭 신호는 스마트 키(100)가 차량(200)으로부터 LF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지 판단하기 위해 차량(200) 내의 LF 통신부(212)가 주변(LF 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전송하는 LF 신호를 의미한다.The LF communication unit 212 in the vehicle 200 transmits an LF signal to the smart key 100 through an LF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LF communication unit 212 in the vehicle 200 may transmit a search signal to the smart key 100 according to a transmission period of the search signal. Here, the search signal is transmitted by the LF communication unit 212 in the vehicle 200 to the periphery (within a distance in which LF communication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mart key 100 is within the range in which LF communication is possible from the vehicle 200. It means LF signal.

차량(200) 내의 RF 통신부(214)는 RF 통신망을 통하여 차량(10) 외부의 스마트 키(100)로부터 송신된 RF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차량(200) 내의 RF 통신부(214)는 스마트 키(100)로부터 서칭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칭 응답 신호는 스마트 키(100)가 차량(10)으로부터 서칭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차량(10)이 확인할 수 있도록, 스마트 키(100)로부터 차량(10)에 전송되는 RF 신호를 의미한다.The RF communication unit 214 in the vehicle 200 receives an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key 100 outside the vehicle 10 through an RF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RF communication unit 214 in the vehicle 200 may receive a search response signal from the smart key 100. Here, the search response signal means an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key 100 to the vehicle 10 so that the vehicle 10 can confirm that the smart key 100 has received the search signal from the vehicle 10. .

또한, 차량(200) 내의 RF 통신부(214)는 차량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RF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RF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복조하는 RF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F communication unit 214 in the vehicle 200 may further include an RF signal conversion module for demodulating an RF signal received through an RF communication interface into a control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vehicle controller 11.

차량(200) 내의 LF 통신부(212)가 서칭 신호를 스마트 키(100)에 송신하고, 차량(200) 내의 RF 통신부(214)가 서칭 응답 신호를 스마트 키(100)로부터 수신한 경우, 차량(200)과 스마트 키(100)는 일련의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SMK ECU(220)는 차량(200) 내 각종 전장 부품들을 인증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해제(unlock)시킨다. 예를 들어, SMK ECU(220)는 인증이 완료된 경우, 스티어링 휠(27)의 잠금을 해제시키고, 시동 버튼의 잠금을 해제시키고, 및 차량(200)의 트렁크의 잠금을 해제시키고, 차량 손잡이의 도어 락을 해제시킬 수 있다. 차량(200)과 스마트키(100) 간의 인증 수행 방법은 앞서 공지된 기술인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When the LF communication unit 212 in the vehicle 200 transmits a search signal to the smart key 100 and the RF communication unit 214 in the vehicle 200 receives the search response signal from the smart key 100, the vehicle ( 200) and the smart key 100 perform a series of authentication processes, and when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SMK ECU 220 unlocks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 the vehicle 200 so that the authenticated user can use it. For example, when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SMK ECU 220 unlocks the steering wheel 27, unlocks the ignition button, unlocks the trunk of the vehicle 200, and unlocks the vehicle handle. The door lock can be released. A method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between the vehicle 200 and the smart key 100 is a previously known technology,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MK ECU(220)는 스티어링 휠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 차량(200)의 시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시동 버튼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시동 버튼 제어부, 차량 도어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차량 도어 제어부 및 차량 트렁크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트렁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외에도 스마트키(100)와의 인증여부에 따라 차량(200) 내 전장 부품들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다양한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차량 도어 제어부(230)가 SMK ECU(220)의 외부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함일 뿐, 전술한 바와 같이, SMK ECU(220) 내부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e SMK ECU 220 is a steering lock control unit that controls lock/unlock of the steering wheel, an ignition butt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lock/release of the ignition button that controls on/off of the vehicle 200, and locks/unlocks the vehicle door It may include a vehicle door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vehicle door control unit and a trunk control unit that controls locking/unlocking of the vehicle trunk.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locking/unlocking electronic components in the vehicle 200 are controll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smart key 100 is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module. In FIG. 1, the vehicle door control unit 230 is shown to be provided outside the SMK ECU 220, but this is only to help understanding the description, and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SMK ECU 220. Do.

또한, SMK ECU(220)는 차량 도어 제어부(230)로부터 입력된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신호에 응답하여 승차 또는 하차를 나타내는 커맨드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LF 신호로 구성하여 LF 통신부(212)를 통해 스마트 키(100)로 송신한다.In addition, the SMK ECU 220 generates a command message indicating getting on or off in response to an open or close signal of the vehicle door input from the vehicle door control unit 230, and configures this as an LF signal to provide the LF communication unit 212. It is transmitted to the smart key 100 through.

또한, SMK ECU(220)는 스마트 키(100)로부터 커맨드 메시지에 대한 승차 커맨드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RF 신호의 수신을 확인하면, 스마트 키(100)의 위치를 확인 요청하는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LF 신호로 구성하여 LF 통신부(212)를 통해 스마트 키(100)로 송신한다.In addition, when the SMK ECU 220 confirms reception of an RF signal including a ride command response message to the command message from the smart key 100, the SMK ECU 220 generates a location confirmation request message requesting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100 Then, it is configured as an LF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smart key 100 through the LF communication unit 212.

또한, SMK ECU(220)는 차량(200) 내 전장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K ECU 220 may include a memory that stores programs and data for controlling electric components in the vehicle 200, and a processor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programs and data stored in the memory.

SMK ECU(220)는 차량 통신부(210)로부터 스마트 키(100)에서 송출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상응하는 차량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MK ECU 22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key 100 from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210 and control the vehicle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hereto.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와 차량이 주고받는 메시지 흐름도이다.2 is a flow chart of a message exchanged between a smart key and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에서는 센서부(130)에 의해 소모된 전력(암전류)를 절감하기 위해, 센서부(130)가 상시 켜져 있는 것이 아니라 차량으로부터 송신된 승/하차 커맨드 메시지를 기반으로 온(ON) 또는 오프(OFF)된다. 즉, 스마트 키에 내장된 센서부(130)의 온(ON)/오프(OFF)는 차량(200)으로부터 송신된 승/하차 커맨드 메시지를 트리거로 하여 전환된다. Referring to FIG. 2,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power (dark current) consumed by the sensor unit 130, the sensor unit 130 is not always turned on, but from the vehicle. It is turned on or off based on the transmitted boarding/disembarkation command message. That is, ON/OFF (OFF) of the sensor unit 130 embedded in the smart key is switched by triggering a boarding/alighting command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200.

구체적으로, SMK ECU(220)가 차량 도어 제어부(230)로부터 입력된 차량 도어 열림 또는 닫힘 신호에 따라 승차 또는 하차를 나타내는 커맨드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LF 신호로 구성하여 MCU(120)로 송신한다(S22). Specifically, the SMK ECU 220 generates a command message indicating getting on or off according to the vehicle door open or close signal input from the vehicle door controller 230, and configures this as an LF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MCU 120. (S22).

이어, MCU(120)는 LF 신호에 포함된 커맨드 메시지에 대한 커맨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RF 신호로 구성하여 차량의 SMK ECU(220)로 송신한다(S24).Subsequently, the MCU 120 generates a command response message to the command message included in the LF signal, configures it as an RF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SMK ECU 220 of the vehicle (S24).

이어, SMK ECU(220)는 커맨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LF 신호로 구성하여 MCU(120)로 송신한다(S26).Subsequently, upon receiving the command response message, the SMK ECU 220 generates a location confirmation request message, configures it as an LF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MCU 120 (S26).

이어, MCU(120)는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위치 확인 응답 메시지를 RF 신호로 구성하여 SMK ECU(220)로 송신한다.Subsequently, the MCU 120 configures a position check response message to the position check request message as an RF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SMK ECU 220.

한편, S26에서, MCU(120)가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에 응답하여 스마트 키(120)의 위치를 판별하고, 판별된 위치에 따라, 스마트 키(100)가 차량 외부에 위치하면, 센서부(130)를 온(ON)하고, 스마트 키(100)가 차량 내부에 위치하면, 센서부(130)를 오프(OFF)한다. On the other hand, in S26, when the MCU 120 receives the location confirmation request message, in response to this,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120 is determined,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ocation, when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outside the vehicle, When the sensor unit 130 is turned on and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the sensor unit 130 is turned off.

차량 도어의 열림은 사용자(운전자)의 승차 또는 하차를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차량 도어의 닫힘도 사용자(운전자)의 승차 또는 하차를 의미할 수 있다.The opening of the vehicle door may mean getting on or off by a user (driver). Likewise, closing of the vehicle door may mean getting on or off by a user (driver).

따라서, 사용자(운전자)의 승차 및 하차를 정확히 판별하기 위해서는, 승차 또는 하차 커맨드 메시지의 수신 외에 사용자(또는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100)의 위치가 차량 내부(실내)인지 외부(실외)인지를 판별하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Therefore, in order to accurately determine the getting on and off of the user (driver), in addition to receiving the ride or getting off command message,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100 held by the user (or driver) is inside the vehicle (indoor) or outside (outdoor). The process of determining cognition must be involved.

MCU(120)는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가 포함된 LF 신호의 수신 세기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세기를 비교하여 스마트 키(100)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The MCU 120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100 by comparing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LF signal including the location confirmation request message with a preset reference strength.

기준 세기는 스마트 키(100)의 위치를 판별하기 위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으로서, 예를 들면, 제1 기준 세기 및 제1 기준 세기 보다 작게 설정된 제2 기준 세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ference strength is a reference value set in advance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10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reference strength and a second reference strength set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strength.

LF 신호의 수신 세기가 제1 기준세기 이상인 경우, 스마트 키(100)는 차량 내부(차량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한다. LF 신호의 수신 세기가 제1 기준세기 미만이고, 제2 기준 세기 이상이면, 스마트 키(100)가 차량과의 LF 통신이 가능한 범위(LF 수신 거리) 안에서 차량 외부(차량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한다. LF 신호의 수신 세기가 제2 기준 세기 미만이면, 스마트 키(100)가 차량과의 LF 통신이 가능한 범위(LF 수신 거리)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Whe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LF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strength, it is determined that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inside the vehicle). Whe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LF signal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strength and more than the second reference strength,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outside the vehicle (outside the vehicle) within the range (LF reception distance) in which LF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is possible. Discriminate. If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LF signal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strength,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outside the range in which LF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is possible (LF reception distance).

이하, 도 2에 도시된 메시지 흐름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message flow shown in FIG.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단계 S312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은 센서부(130)와 LF 수신부(140)가 상시 온(ON) 상태로부터 시작된다.Referring to FIG. 3, first, in step S312, a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from a state in which the sensor unit 130 and the LF receiver 140 are always on.

이어, 단계 S314에서, MCU(120)가 차량으로부터 송신된 LF 신호의 수신 세기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세기를 비교하여 스마트 키(100)가 차량과의 LF 통신이 가능한 범위(LF 수신 거리) 안에 있는지 밖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LF 신호의 수신 세기가 제1 기준 세기 미만이고, 제2 기준 세기 이상 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키(100)가 차량 실외에서 LF 수신 거리 안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LF 신호의 수신 세기가 제2 기준 세기 미만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키(100)가 LF 수신 거리 밖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다. 스마트 키(100)가 LF 수신 거리 안에 위치한 경우, 단계 S316으로 진행하고, 스마트 키(100)가 LF 수신 거리 밖에 위치한 경우, 단계 S326으로 진행한다. 먼저, 단계 S326부터 설명한다.Next, in step S314, the MCU 120 compares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L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with a preset reference strength, and whether the smart key 100 is within the range (LF reception distance) in which LF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is possible. Determine if you are outside. For example, if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LF signal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strength and more than the second reference strength, as shown in FIG. 4, it is determined that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within the LF reception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If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LF signal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strength, it is determined that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outside the LF reception distance, as shown in FIG. 5. If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within the LF reception distanc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16, and if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outside the LF reception distanc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26. 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from step S326.

단계 S326에서, 스마트 키(100)가 LF 수신 거리 밖에 위치한 것으로 판정되면, LF 수신부(140)는 MCU(120)의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온(ON)에서 오프(OFF)로 전환된다. In step S326,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outside the LF reception distance, the LF receiver 140 is switched from ON to OFF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from the MCU 120.

이어, 단계 S328에서, MCU(120)가 센서부(130)에 의해 발생하는 암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센서부(130)의 센싱 감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면, 센서부(1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스마트 키(100)의 움직임을 측정한 측정값들을 MCU(120)로 전달한다. 그러면, MCU(120)는 측정값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사전에 설정한 기준값과 비교하여, 평균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스마트 키(100)를 소지한 사용자(또는 운전자)의 움직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하여, 최초 디폴트된 제1 센싱 감도보다 낮은 제2 센싱 감도로 낮추도록 지시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센서부(130)로 전달한다. 그러면, 센서부(130)는 MCU(120)의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1 센싱 감도에서 제2 센싱 감도로 변경한다. 여기서, 센싱 감도의 변경은 내부 센싱 주기, 센싱 주파수 또는 센싱 클럭의 주파수의 변경을 의미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센싱 감도를 변경하기 위해, 예를 들면, 센서부(130)는 서로 다른 센싱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생성기와 멀티플렉서를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클럭이 멀티플렉서로 입력되면, 멀티플렉서는 MCU(120)의 제어 명령을 선택신호로 이용하여 다수의 클럭 중에서 제2 센싱 감도에 대응하는 센싱 주파수를 갖는 선택하는 방식으로 센싱 감도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센싱 감도를 제1 센싱 감도에서 제2 센싱 감도로 낮추어도 센서부(130)의 센싱 동작에는 문제가 없다. 스마트 키(100)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는 충분한 측정 결과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낮아진 제2 센싱 감도에서도 스마트 키(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데에는 무리가 없다. 이러한 센싱 감도의 변경은 주기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일정한 시간 이후, 스마트 키(100)의 움직임을 측정한 측정값들의 평균값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스마트 키(100)를 소지한 사용자(또는 운전자)의 움직임이 작아진 것으로 판단하여, 센서부(130)는 MCU(1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원래의 최초 디폴팅된 제1 센싱 감도로 복원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스마트 키(100)의 작은 움직임을 제2 센싱 감도로 감지하지 않게 제어할 수 있다.Subsequently, in step S328, the MCU 120 adjusts the sensing sensitivity of the sensor unit 130 in order to minimize the dark current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130.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30 transmits the measured values of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100 for a preset time to the MCU 120. Then, the MCU 120 calculates the average value of the measured values, compares it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s that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user (or driver) holding the smart key 100 is large if the average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 A control command instructing to lower a second sensing sensitivity lower than the first default first sensing sensitivity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nsor unit 130. Then, the sensor unit 130 changes from the first sensing sensitivity to the second sensing sensitivity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MCU 120. Here, the change of the sensing sensitivity means a change of an internal sensing period, a sensing frequency, or a frequency of a sensing clock. Although not shown, in order to change the sensing sensitivity,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30 may include a clock generator and a multiplexer that generate a plurality of clocks having different sensing frequencies. When a plurality of clocks are input to the multiplexer, the multiplexer may change the sensing sensitivity by using a control command of the MCU 120 as a selection signal to select among the plurality of clocks having a sensing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nsing sensitivity. Meanwhile, even if the sensing sensitivity is lowered from the first sensing sensitivity to the second sensing sensitivity, there is no problem in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130. Since a sufficient measurement result can be secured when there is a large amount of movement of the smart key 100, it is not unreasonable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100 even with the reduced second sensing sensitivity. This change in sensing sensitivity is performed periodically. Therefor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f the average value of the measured values of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100 falls below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ement of the user (or driver) holding the smart key 100 has decreased, and the sensor unit 130 restores the original initially defaulted first sensing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MCU 120, an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mall movement of the smart key 100 not to be detected as the second sensing sensitivity. have.

이어, 단계 S330에서, MCU(120)가 센싱 감도가 조절된 센서부(130)를 이용하여 스마트 키(100)가 움직임 여부를 판단한다. 스마트 키(100)의 움직임이 확인되면, 다시 처음 단계 S312로 진행하여 LF 수신부(140)를 온(ON) 상태로 전환하고, 스마트 키(100)의 움직임이 확인되지 않으면, LF 수신부(140)의 오프(OFF) 상태를 유지한다. 즉, 단계 S326, S328 및 S330에 따르면, LF 수신 거리 밖에서는 스마트 키(100)의 움직임이 감지될 때에만 LF 수신부(140)를 오프(OFF)에서 온(ON)으로 전환함으로써, LF 수신부(140)에 의한 배터리 소모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스마트 키(1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때에서는 LF 수신부(140)가 오프(OFF)됨으로써, RSA와 같은 해킹 방어도 가능하다.Subsequently, in step S330, the MCU 120 determines whether the smart key 100 moves using the sensor unit 130 whose sensing sensitivity is adjusted. When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100 is confirmed, the first step S312 goes back to the LF receiving unit 140 to switch to the ON state, and if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100 is not confirmed, the LF receiving unit 140 Maintains the OFF state. That is, according to steps S326, S328, and S330, by switching the LF receiver 140 from off to on only when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100 is detected outside the LF reception distance, the LF receiver ( 140) can reduce battery consumption, and when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100 is not detected, the LF receiver 140 is turned off, thereby preventing hacking such as RSA.

다시, 단계 S314로 돌아가, 스마트 키(100)가 LF 수신 거리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 S316에서, MCU(120)가 차량(200)(또는 SMK ECU(220))으로부터 승차 커맨드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승차 커맨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이전 단계인 S314로 돌아간다.Again, returning to step S31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mart key 100 is within the LF reception distance, in step S316, whether the MCU 120 has received a ride command message from the vehicle 200 (or SMK ECU 220) Confirm. If the ride command message is not received, the process returns to the previous step S314.

승차 커맨드 메시지의 수신이 확인되면, 단계 S318에서, MCU(120)가 차량으로부터 송신된 승차 커맨드 메시지를 포함하는 LF 신호의 수신 세기와 기준 세기를 비교하여, 스마트 키(100)의 위치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차량 실내)인지를 확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승차 커맨드 메시지의 수신 확인 만으로는 사용자(또는 운전자)의 승차여부를 확정할 수 없기 때문에, 스마트 키(100)가 차량 내부(차량 실내)에 위치한 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위치 확인 방법은 LF 신호의 수신 세기가 앞서 설명한 제1 기준 세기 이상이면, 스마트 키(100)가 차량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 판정한다. 스마트 키(100)의 위치가 차량 실외인 경우, 이전 단계인 S316으로 돌아간다.When the reception of the ride command message is confirmed, in step S318, the MCU 120 compares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LF signal including the ride command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with the reference strength, and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100 is shown in FIG. 6 As shown in, it is checked whether it is inside the vehicle (inside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or driver) rides only by confirming receipt of the ride command message,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inside the vehicle). In the positioning method, if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LF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strength described above, it is determined that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When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100 is outside the vehicle, it returns to the previous step S316.

스마트 키(100)가 차량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 S320에서, 센서부(130)가 MCU(1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온(ON)에서 오프(OFF)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스마트 키(100)가 차량 내부에 위치한 경우에서는 센서부(130)를 오프 시킴으로써, 센서부(130)에 의해 소모되는 배터리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in step S320, the sensor unit 130 is switched from ON to OFF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MCU 120. In this way, when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the sensor unit 130 is turned off, thereby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by the sensor unit 130.

이어, 단계 S322에서, MCU(120)가 차량(200)(또는 SMK ECU(220))으로부터 하차 커맨드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하차 커맨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이전 단계인 S320으로 돌아가 센서부(130)는 오프 상태(OFF)를 계속 유지하여, 배터리 소모를 지속적으로 줄일 수 있다.Subsequently, in step S32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CU 120 has received the getting off command message from the vehicle 200 (or SMK ECU 220). If it is confirmed that the getting off command message has not been received, the sensor unit 130 returns to the previous step S320 and keeps the off state (OFF), thereby continuously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MCU(120)가 하차 커맨드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 하면, 단계 S324에서 MCU(120)가 하차 커맨드 메시지를 포함하는 LF 신호의 수신 세기와 기준 세기를 비교하여, 스마트 키(100)가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차 커맨드 메시지의 수신 확인만으로는 스마트 키(100)를 소지한 사용자(또는 운전자)가 실제로 하차하였는지를 확정할 수 없기 때문에, 스마트 키(100)가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 키(100)가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단계 S318의 판단 방법과 유사하다. 예를 들면, 하차 커맨드 메시지를 포함하는 LF 신호의 수신 세기가 제1 기준 세기 미만이고, 제2 기준 세기 이상이면, 스마트 키(100)가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When the MCU 120 confirms the reception of the getting off command message, the MCU 120 compares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LF signal including the get off command message with the reference strength in step S324, and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outside the vehicle. Judge whether or not. A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or driver) holding the smart key 100 has actually got off only by confirming the reception of the alighting command messag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outside the vehicle. There is.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outside the vehicle is similar to the determination method of step S318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f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LF signal including the getting off command message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strength and more than the second reference strength, it is determined that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outside the vehicle.

스마트 키(100)가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되어, 사용자(또는 운전자)가 완전히 하차한 것으로 확정되면, 다시 처음 단계인 S312로 돌아가, 센서부(130)는 MCU(1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오프(OFF)에서 온(ON)으로 전환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mart key 100 is located outside the vehicl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or driver) has completely alighted, it returns to the first step S312, and the sensor unit 130 responds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MCU 120 Accordingly, it is switched from OFF to 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부(130)가 상시 켜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종래와는 다르게, 차량 승차 시 센서부(130)가 오프(OFF)되어, 암전류 발생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센서부(130)에 의한 배터리 소모를 줄임으로써, 전원부(160) 내의 배터리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LF 수신 거리 밖에서는 센서부(130)의 센싱 강도(센싱 감도)를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센서부(130)에 의해 발생하는 암전류를 최소화하여 이 역시 배터리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30)의 센싱 강도(센싱 감도)가 조절된 상태는 LF 수신 거리 밖에서만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LF 수신 거리 안에서도 유지됨을 주의 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해함에 있어, 센싱 강도(센싱 감도)의 조절에 의한 배터리 효율 개선이 LF 수신 거리 밖에서만 얻을 수 있는 효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도 3에서는 센싱 감도 조절을 수행하는 단계(S328)가 LF 수신 거리 밖에서만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마트 키(100)가 LF 수신 거리 안으로 진입한 후에도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센서부(130)가 차량 실내에서 는 오프(OFF)되므로, 차량 실내에서는 센싱 감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in which the sensor unit 130 is always turned on, the sensor unit 130 is turned off when riding a vehicle, thereby blocking the occurrence of dark current as well as the sensor unit ( By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by 130), battery efficiency in the power supply unit 160 may be improved. In addition, outside the LF reception distance, the sensing strength (sensing sensitivity) of the sensor unit 130 is adaptively adjusted to minimize the dark current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130, which also improves battery efficiency.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tate in which the sensing strength (sensing sensitivity) of the sensor unit 130 is adjusted is maintained not only outside the LF reception distance, but also within the LF reception distance. Therefor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rovement of battery efficiency by adjusting the sensing strength (sensing sensitivit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n effect that can be obtained only outside the LF reception distance. In addition, although FIG. 3 shows that the step of performing the sensing sensitivity adjustment (S328) is performed only outside the LF reception dista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erformed even after the smart key 100 enters the LF reception distance. . However, since the sensor unit 130 is turned off in the vehicle interior,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the sensing sensitivity in the vehicle interior.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centering on the embodiments, but these are on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hould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that are not illustrated in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16)

차량으로부터 LF(Low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LF 수신부, 상기 LF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는 RF 송신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LF 수신부가, 차량으로부터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나타내는 커맨드 메시지를 포함하는 L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LF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상기 센서부의 온(ON) 및 오프(OFF)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
Including an LF receiver that receives a low frequency (LF) signal from a vehicle, an RF transmitter that transmits a radio frequency (RF) signal to the vehicle as a response to the LF signal, a sensor unit that detects a user's movement, and a micro control unit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smart key,
Receiving, by the LF receiver, an LF signal including a command message indicating opening or closing of a vehicle door from the vehicle; And
Controlling, by the micro-control unit, on (ON) and off (OFF) of the sensor unit detecting movement of the smart key in response to the LF signal;
Smart key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서, 상기 커맨드 메시지는,
상기 스마트 키를 소유한 사용자의 차량 승차 또는 차량 하차를 나타내는 메시지인 것인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mmand message,
A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key that is a message indicating a vehicle boarding or alighting of a user who owns the smart key.
제1항에서, 상기 센서부의 온(ON) 및 오프(OFF)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LF 신호에 상기 커맨드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가 차량 내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가 차량 내부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센서부를 온(ON)에서 오프(OFF)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
In claim 1,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ensor unit on (ON) and off (OFF),
Determining, by the micro-control unit, whether the position of the smart key is inside the vehicl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mmand message is included in the LF signal; And
When the micro-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position of the smart key is inside the vehicle, controlling the sensor unit from ON to OFF
Smart key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서, 상기 센서부의 온(ON) 및 오프(OFF)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LF 신호에 상기 커맨드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가 차량 외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가 차량 외부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센서부를 오프(OFF)에서 온(ON)으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
In claim 1,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ensor unit on (ON) and off (OFF),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smart key is outside the vehicle when the micro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command message is included in the LF signal; And
When the micro-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position of the smart key is outside the vehicle, controlling the sensor unit from OFF to ON
Smart key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LF 신호의 수신 세기와 사전에 설정한 기준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가 차량 내부인지 차량 외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인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
In claim 3 or 4, the determining step,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key is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micro-control unit, whether the position of the smart key is inside the vehicle or outside the vehicle by comparing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LF signal with a preset reference intensity.
제1항에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LF 신호와 기준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 키가 차량과의 LF 통신이 가능한 LF 수신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LF 수신 거리 밖에 위치한 경우, 상기 LF 수신부를 온(ON)에서 오프(OFF)로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
In claim 1,
Determining, by the micro control unit, whether the smart key is located within an LF reception distance in which LF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is possible by comparing the LF signal with a reference strength; And
Controlling, by the micro control unit, the LF receiver from ON to OFF when the smart key is located outside the LF reception distance;
The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key that further comprises.
제6항에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스마트 키의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LF 수신부를 오프(OFF)에서 온(ON)으로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
In paragraph 6,
Controlling the LF receiver from off to on only when the micro control uni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by the sensor unit
The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key tha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LF 신호와 기준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 키가 차량과의 LF 통신이 가능한 LF 수신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LF 수신 거리 밖에 위치한 경우, 상기 센서부의 센싱 감도를 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
In claim 1,
Determining, by the micro control unit, whether the smart key is located within an LF reception distance in which LF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is possible by comparing the LF signal with a reference strength; And
If the micro-control unit, the smart key is located outside the LF reception distance, adjusting the sensing sensitivity of the sensor unit
The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key that further comprises.
제8항에서, 상기 센서부의 센싱 감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부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 키의 움직임을 측정한 측정값들을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측정값들의 평균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와 상기 스마트 키의 움직임 작은 경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스마트 키의 움직임이 많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센서부의 센싱 감도를 제1 센싱 감도에서 상기 제1 센싱 감도보다 작은 제2 센싱 감도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djusting the sensing sensitivity of the sensor unit,
Transmitting, by the sensor unit, measurement values obtained by measuring movement of the smart key for a preset time to the micro control unit;
Determining, by the micro-control unit, a case where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is large and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is small by comparing the average value of the measured values with a reference value; And
If the micro-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is large, controlling the sensing sensitivity of the sensor unit from the first sensing sensitivity to a second sensing sensitivity smaller than the first sensing sensitivity;
The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key comprising a.
차량으로부터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나타내는 커맨드 메시지를 포함하는 LF 신호를 수신하는 LF 수신부;
상기 LF 신호에 대한 RF 신호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는 RF 송신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LF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부의 온(ON) 및 오프(OFF)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
을 포함하는 스마트 키.
An LF receiver receiving an LF signal including a command message indicating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vehicle door from the vehicle;
An RF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RF signal for the LF signal to the vehicl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user's movement; And
A micro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ON and OFF switching of the sensor unit in response to the LF signal
Smart key containing.
제10항에서, 상기 LF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 승차 또는 차량 하차를 나타내는 상기 커맨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인 스마트 키.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LF receiver,
The smart key to receive the command message indicating the user's vehicle getting on or off the vehicle.
제10항에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LF 신호에 상기 커맨드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가 차량 내부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가 차량 내부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센서부를 온(ON)에서 오프(OFF)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인 스마트 키.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icro control uni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mmand message is included in the LF sig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is inside the vehicl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is inside the vehicle, the sensor unit is turned on. A smart key that generate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off (OFF).
제10항에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LF 신호에 상기 커맨드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가 차량 외부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가 차량 외부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센서부를 오프(OFF)에서 온(ON)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인 스마트 키.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icro control uni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mmand message is included in the LF sig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is outside the vehicl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is outside the vehicle, the sensor unit is turned on from OFF. A smart key that generate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ON).
제10항에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LF 신호와 기준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 키가 차량과의 LF 통신이 가능한 LF 수신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LF 수신 거리 밖에 위치한 경우, 상기 LF 수신부를 온(ON)에서 오프(OFF)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인 스마트 키.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icro control unit,
By comparing the LF signal and the reference strength,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mart key is located within an LF reception distance in which LF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is possible, and when the smart key is located outside the LF reception distance, the LF receiver is turned on. A smart key that generate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from to off.
제10항에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LF 신호와 기준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 키가 차량과의 LF 통신이 가능한 LF 수신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LF 수신 거리 밖에 위치한 경우, 상기 센서부의 센싱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인 스마트 키.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icro control unit,
Comparing the LF signal with a reference strength to determine whether the smart key is located within an LF reception distance in which LF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is possible, and when the smart key is located outside the LF reception distance, adjusting the sensing sensitivity of the sensor unit The smart key is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for.
제15항에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센서부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 키의 움직임을 측정한 측정값들을 전달받고, 상기 측정값들의 평균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와 상기 스마트 키의 움직임 작은 경우를 판단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움직임이 많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센서부의 센싱 감도를 제1 센싱 감도에서 상기 제1 센싱 감도보다 작은 제2 센싱 감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인 스마트 키.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micro control unit,
From the sensor unit, measurement values obtained by measuring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for a preset time are received,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measured values and the reference value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n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is large and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is smal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ement of the smart key is large, the smart key generate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sensing sensitivity of the sensor unit from the first sensing sensitivity to a second sensing sensitivity smaller than the first sensing sensitivity. .
KR1020190050142A 2019-04-29 2019-04-29 A smart ke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mart key KR2020012630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142A KR20200126305A (en) 2019-04-29 2019-04-29 A smart ke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mart key
US16/860,433 US11021134B2 (en) 2019-04-29 2020-04-28 Method of controlling smart k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142A KR20200126305A (en) 2019-04-29 2019-04-29 A smart ke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mart ke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305A true KR20200126305A (en) 2020-11-06

Family

ID=7357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142A KR20200126305A (en) 2019-04-29 2019-04-29 A smart ke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mart k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630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26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CN108216121B (en) Secure vehicle access system, key, vehicle and method therefor
US10322694B2 (en) Bluetooth verification for vehicle access systems
EP3089894B1 (en) Multi-range vehicle access systems
US9786108B2 (en) NFC based secure car key
US9346436B2 (en) Electronic key system
US9437064B1 (en) Method for extending communication range of remote control system during walkaway locking control function
EP3330136B1 (en) Vehicle control system
EP3318704B1 (en) Mobile electronic key device and electronic key system
US10091633B2 (en) Passive entry passive start systems employing consumer mobile devices as portable remote control units
GB2538341A (en) Passive entry passive start (PEPS) system with relay attack prevention
US20140368313A1 (en) Vehicle keyfob with accelerometer to extend battery life
JP2004263447A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vehicle
CN109177921B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PKE (public Key exchange) based on intelligent mobile terminal
KR20040070085A (en) Authentication processing system, terminal authentication apparatus, authent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authentication processing program
US2007003011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vehicle
US11021134B2 (en) Method of controlling smart key
US20190122471A1 (en) Key unit,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JP2011184963A (en) Keyless entry system
KR20200126305A (en) A smart ke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mart key
JP2020100994A (en) On-vehicle device
JP2008106577A (en) Passive keyless entry system
KR101340534B1 (en) Method to protect Relay-attack of Smartkey System
KR20200126304A (en) A smart ke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mart key
US20210142599A1 (en) Portabl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