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665A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pact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a vehicl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pact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665A
KR20200123665A KR1020190046863A KR20190046863A KR20200123665A KR 20200123665 A KR20200123665 A KR 20200123665A KR 1020190046863 A KR1020190046863 A KR 1020190046863A KR 20190046863 A KR20190046863 A KR 20190046863A KR 20200123665 A KR20200123665 A KR 20200123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terminal
event
ble modu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8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호윤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6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3665A/en
Publication of KR20200123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6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1Blueto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impact event occurring in a vehicle, which includes the steps of: establishing connection between a vehicle electric controller provided inside and a Bluetooth low energy (BLE) module provided in an external integrated antenna in an ignition-off state; synchroni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a user terminal through the vehicle electronic controller; detecting an event occurring in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electronic controller; transmitting a wake-up signal to the BLE module provided in the vehicle′s integrated antenna through the vehicle electronic controller when the event is detected; and transmitting a warning even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wake-u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electronic controller through the BLE module.

Description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pact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a vehicle}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pact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해 놓은 차량에 도난 시도, 차량 충돌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Bluetooth Low Energy, 이하 "BLE"라 칭함) 모듈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람을 전달해줄 수 있는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ck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n event such as a theft attempt or a vehicle collision occurs in a parked vehicle, low-power Bluetooth technology (Bluetooth Low Energy, hereinafter "BLE It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shock event occurring in a vehicle that can deliver an alarm to a driver through a module.

일반적으로, 차량을 주차한 상태에서 도난이 시도되거나 충격이 발생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충격 감지센서와 경보 장치를 통해 경보 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In general, when theft is attempted or an event occurs in which an impact occurs while a vehicle is parked, it remains at a level of alerting through an impact detection sensor and an alarm device.

별도의 통신 시스템을 부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사용자에게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해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vent cannot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without adding a separat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해 놓은 상태에서, 도난 시도 혹은 차량 충돌과 같은 다양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BLE 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에 알림을 전달해 주는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from the technical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when various events such as a theft attempt or a vehicle collision occur while the driver parks the vehicle, a notification is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through the BLE modul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impact events occurring in vehicles that can provide services.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은, 시동이 오프(off) 상태에서, 내부에 구비된 차량 전장 제어기와 외장 통합안테나에 구비된 BLE 모듈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전장 제어기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전장 제어기를 통해 차량에 발생된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차량 전장 제어기를 통해 차량의 통합안테나에 구비된 BLE 모듈에 Wake up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BLE 모듈을 통해, 차량 전장 제어기로부터 Wake up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 이벤트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shock event generat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E module provided in an internal vehicle electric controller and an external integrated antenna in an off state. Establishing a connection; Synchroniz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through the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Detecting an event generated in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When an event is detected, transmitting a wake up signal to a BLE module provided in an integrated antenna of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And transmitting a warning event signal to a user terminal when a wake u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electric controller through the BLE module.

상기 BLE 모듈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BLE 프로토콜 내 다이렉트 프로토콜과 GAP(Generic Access Profile) 프로토콜을 통하여 paging/paring/connection을 수행한다. In the step of establishing the connection of the BLE module, paging/paring/connection is performed through a direct protocol in the BLE protocol and a Generic Access Profile (GAP) protocol.

그리고 차량 전장 제어기와 사용자 단말간 위치를 AOA 및 AOD를 통해 파악하여 동기화한다. In addition, the location between the vehicle electric controller and the user terminal is identified and synchronized through AOA and AOD.

또한 차량에 구비된 이벤트 감지 센서에 의해 잠긴 상태의 도어가 개방되거나 외부 충격을 감지한다. In addition, a door in a locked state is opened by an event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or an external shock is detected.

그리고 상기 차량 전장 제어기는 슬립 중인 BLE 모듈에 Wake up 신호를 전송하여 BLE 모듈을 Wake up시킨다. In addition, the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wakes up the BLE module by transmitting a wake up signal to the sleeping BLE module.

또한, 상기 경고 이벤트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BLE 모듈은 사용자 단말과 보안 방지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보안 방지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BLE 모듈은 차량내 스피커를 통해 경고 이벤트 신호를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ransmitting of the warning even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BLE module is configured with the user terminal and a security prevention function; And wh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urity prevention function are set, the BLE module outputs a warning event signal through a speaker of the vehicle through an in-vehicle speak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이벤트 정보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 센서; 상기 이벤트 정보가 감지되면, Wake up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전장 제어기; 상기 차량 전장 제어기로부터 Wake up 신호가 수신되면, Wake up된 후 경고 이벤트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BLE 모듈;을 포함한다. The system for providing shock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vent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to detect event information; When the event information is detected, a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that transmits a wake up signal; And a BLE module for transmitting a warning event signal to a user terminal after the wake-u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그리고 상기 이벤트 감지 센서와 차량 전장 제어기는, CAN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event detection sensor and the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are connected through CAN communication.

여기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진동 정보이다. Here, the event information is vibration informa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한편, 상기 BLE 모듈은, 사용자 단말간 위치를 AOA 및 AOD를 통해 파악하여 동기화한다. Meanwhile, the BLE module identifies and synchronizes the locations between user terminals through AOA and AOD.

그리고 상기 BLE 모듈은, BLE 프로토콜 내 다이렉트 프로토콜과 GAP 프로토콜을 통하여 paging/paring/connction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BLE module performs paging/paring/connction through the direct protocol and the GAP protocol in the BLE protocol.

한편, 상기 BLE 모듈은, 사용자 단말과 보안 방지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보안 방지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차량내 스피커를 통해 경고 이벤트 신호를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Meanwhile, the BLE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urity prevention function are set, and if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urity prevention function are set, outputs a warning event signal through the in-vehicle speaker through the vehicle speak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된 차량에서 발생하는 충격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에 직접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directly providing an impact event occurring in a parked vehicle to a user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의 BLE 모듈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shock event generat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LE module of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n impact event generat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i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Meanwhil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in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in which the recited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es not preclude addition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impact event generat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이벤트 감지 센서(100), 차량 전장 제어기(200) 및 (Bluetooth Low Energy, 이하 "BLE"라 칭함) 모듈(30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impact events generat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vent detection sensor 100, a vehicle electric controller 200, and (Bluetooth Low Energy, hereinafter referred to as "BLE"). ) Includes a module 300.

이벤트 감지 센서(100)는 차량(10) 내부에 설치되어 이벤트 정보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이벤트 감지 센서(100)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센서가 이용되나, 그 감지된 진동 정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이벤트 정보는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진동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event detection sensor 100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10 to detect event inform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bration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is used as the event detection sensor 100, but the detected vibration information is not limited.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vent information is vibration informa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차량 전장 제어기(200)는 상기 이벤트 감지 센서(100)로부터 이벤트 정보가 감지되면, Wake up 신호를 BLE 모듈(300)에 전송하여 BLE 모듈(300)을 Wake up시킨다. When the event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event detection sensor 100, the vehicle electric controller 200 transmits a wake up signal to the BLE module 300 to wake up the BLE module 300.

한편, 이벤트 감지 센서(100)와 차량 전장 제어기(200)는 CAN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event detection sensor 100 and the vehicle electric controller 200 are preferably connected through CAN communication.

BLE 모듈(300)은 슬립의 상태를 유지하다가 차량 전장 제어기(200)로부터 Wake up 신호가 수신되면, Wake up되어 경고 이벤트 신호를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E 모듈(300)은 2.4GHz ISM Band 대역 사용, WIDE 커버러지를 위하여 버전 v5.0 이상 지원하는 칩셋을 이용하고, 모듈 구성에 따라 LPO, Xtal, BPF 등 타 소자들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BLE 모듈(300)은 차량의 외부에 구비된 샤크 안테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LE module 300 maintains a sleep state and, when a wake u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electric controller 200, wakes up and transmits a warning even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0. The BLE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hipset that supports version v5.0 or higher for the use of 2.4GHz ISM band and WIDE coverage, and other devices such as LPO, Xtal, and BPF according to the module configuration. Can be included. In addition, the BLE module 300 is preferably provided inside the shark antenna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또한 BLE 모듈(300)은 차량의 12V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시 동작할 수 있는 상태이며 기본 상태는 슬립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LE module 300 is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from a 12V battery of the vehicle and can be operated at all times, and the basic state is preferably a sleep state.

한편, BLE 모듈(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U(310), 스위치(320), 내부 안테나(330), 전력 증폭기(340) 및 외부 안테나(350)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BLE module 300 includes an MCU 310, a switch 320, an internal antenna 330, a power amplifier 340, and an external antenna 350, as shown in FIG. 2.

즉, BLE 모듈(300)의 MCU(310)는 일반적인 블루투스 통신인 경우 신호를 증폭하지 않는 내부 안테나(330)를 통해 차량(10) 내부 또는 근거리에 위치한 다른 블루투스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고, 기설정된 거리 이상의 사용자 단말(20)과 통신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스위치(320), 전력 증폭기(340) 및 외부 안테나(350)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20)과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That is, in the case of general Bluetooth communication, the MCU 310 of the BLE module 300 communicates with another Bluetooth terminal located inside the vehicle 10 or in a short distance through the internal antenna 330 that does not amplify a signal, and When it is desir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20 over a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user terminal 20 is performed through the switch 320, the power amplifier 340 and the external antenna 350.

여기서, BLE 모듈(300)의 프로토콜은 하기의 [표 1]과 같다. Here, the protocol of the BLE module 300 is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그리고 BLE 모듈(300)은 AOA(Angle of arrival) 또는 AOD(Angle of departure)를 삼각 추정하여 확장을 통해 사용자 단말(20)의 위치를 파악하고 동기화한다. In addition, the BLE module 300 detects and synchronize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 through extension by triangular estimation of AOA (Angle of Arrival) or AOD (Angle of Departure).

사용자 단말(20)과 BLE 모듈(300)은 AES-128bit 암호화 엔진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20)을 인증하고, 보안 솔루션을 사용하여 연결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BLE module 300 may authenticate the user terminal 20 using an AES-128bit encryption engine, and use a security solution to enhance connection security.

또한 BLE 모듈(300)은 BLE 프로토콜 내 다이렉트 프로토콜과 GAP(Generic Access Profile) 프로토콜을 통하여 paging/paring/connection을 수행한다. 여기서 GAP 프로토콜은 GAP 프로파일을 통하여 제한된 리소스로 센트럴 장치 즉, 차량 전장 제어기(200)와 연결되어 동작한다. In addition, the BLE module 300 performs paging/paring/connection through a direct protocol in the BLE protocol and a Generic Access Profile (GAP) protocol. Here, the GAP protocol operates by being connected to the central device, that is, the vehicle electric controller 200 with limited resources through the GAP profile.

또한 BLE 모듈(300)은, 사용자 단말(20)과 보안 방지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과 보안 방지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차량내 스피커를 통해 경고 이벤트 신호를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BLE module 3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security prevention function are set, and if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security prevention function are set, a warning event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vehicle speaker. Output through speaker.

이를 위해, 블루투스와 MCU간 인터페이스는 UART, NT 모듈(200)의 CPU에서 스피커로 출력은 PCM, BLE 모듈(300)과 사용자 단말(20)과의 인터페이스는 BLE VERSION 5.0 이상으로 구현한다.To this end, the interface between the Bluetooth and the MCU is UART, the output from the CPU of the NT module 200 to the speaker is PCM, and the interface between the BLE module 300 and the user terminal 20 is implemented with BLE VERSION 5.0 or higher.

이와 같이, 차량 외부의 외장 통합 안테나인 샤크 안테나 내부에 구비된 BLE 모듈(300)은 Freescale 마이컴, BLE 지원 칩셋(CSR/Broadcom/TI外 BT5.0이상 지원) 블루투스 모듈, CPU, 스피커 및 증폭기, 디스플레이(LCD)와 연결된다. BLE 모듈(300)은 RF튜닝을 통해 R/Tx의 BER값이 -50dBm 이하로 튜닝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BLE module 300 provided inside the Shark antenna, which is an external integrated antenna outside the vehicle, includes a Freescale microcomputer, a BLE support chipset (supports CSR/Broadcom/TI, BT5.0 or higher), a Bluetooth module, a CPU, a speaker, and an amplifier, It is connected to a display (LCD). The BLE module 300 may tune the BER value of R/Tx to be less than -50dBm through RF tu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된 차량에서 발생하는 충격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에 직접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directly providing an impact event occurring in a parked vehicle to a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OA 위치 측위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전력 증폭을 통해 원거리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손쉽게 차량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사용자 즉, 운전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location of a user terminal through AOA location positioning, and to connect to a remote user terminal through power amplification. In other word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to the driver.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n impact event generat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먼저, 시동이 오프(off) 상태에서, 내부에 구비된 차량 전장 제어기(200)와 외장 통합 안테나에 구비된 BLE 모듈(300)의 연결을 설정한다(S100). BLE 모듈(300)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BLE 프로토콜 내 다이렉트 프로토콜과 GAP 프로토콜을 통하여 paging/paring/connction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in an off state,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electric controller 200 provided inside and the BLE module 300 provided in the external integrated antenna is established (S100). In the step of establishing the connection of the BLE module 300, it is preferable to perform paging/paring/connction through the direct protocol and the GAP protocol within the BLE protocol.

이어서, 차량 전장 제어기(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의 위치정보를 동기화한다(S200). 즉, 차량 전장 제어기(200)와 사용자 단말(20)은 AOA 및 AOD를 통해 위치를 파악하고 동기화한다. Subsequent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 is synchronized through the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200 (S200). That is, the vehicle battlefield controller 200 and the user terminal 20 identify and synchronize the location through AOA and AOD.

이후, 이벤트 감지 센서(100)를 통해 차량에 발생된 이벤트를 감지한다(S300). 여기서, 이벤트 감지 센서(100)는 차량의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개방되거나 외부 충격으로 인한 진동을 감지한다. Thereafter, an event generated in the vehicle is sensed through the event detection sensor 100 (S300). Here, the event detection sensor 100 detects vibration due to an external shock or open while the vehicle door is locked.

이어서, 차량 전장 제어기(200)를 통해 차량의 통합안테나에 구비된 BLE 모듈(300)에 Wake up 신호를 전송한다(S400). 즉, 차량 전장 제어기(200)는 슬립중인 BLE 모듈(300)에 Wake up 신호를 전송하여 BLE 모듈(300)을 Wake up시킨다. Subsequently, a wake up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LE module 300 provided in the integrated antenna of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200 (S400). That is, the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200 transmits a wake up signal to the BLE module 300 in sleep to wake up the BLE module 300.

이후, BLE 모듈(300)을 통해, 차량 전장 제어기(200)로부터 Wake up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 이벤트 신호를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한다(S500).Thereafter, when a wake u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200 through the BLE module 300, a warning even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 (S5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된 차량에서 발생하는 충격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에 직접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directly providing an impact event occurring in a parked vehicle to a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OA 위치 측위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전력 증폭을 통해 원거리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손쉽게 차량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사용자 즉, 운전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location of a user terminal through AOA location positioning, and to connect to a remote user terminal through power amplification. In other word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to the driver.

상기 경고 이벤트 신호를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하는 단계(S500)는 상기 BLE 모듈(300)은 사용자 단말(20)과 보안 방지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20)과 보안 방지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YES), 상기 BLE 모듈(300)은 차량내 스피커를 통해 경고 이벤트 신호를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주차된 차량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차량에서 스피커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벤트 발생에 따른 경고를 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warning even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0 (S500), the BLE module 300 determines whether a security prevention func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 is set, and the user terminal 20 and security If the prevention function is set (YES), the BLE module 300 may output a warning event signal through the speaker of the vehicle through the speaker of the vehicle.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n event occurring in a parked vehicle is not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 and a warning according to an event occurrence can be provided by generating a speaker in the vehicle in real time.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 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이벤트 감지 센서 200 : 차량 전장 제어기
300 : BLE 모듈
100: event detection sensor 200: vehicle battlefield controller
300: BLE module

Claims (12)

시동이 오프(off) 상태에서, 내부에 구비된 차량 전장 제어기와 외장 통합안테나에 구비된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전장 제어기를 통해 차량과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전장 제어기를 통해 차량에 발생된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차량 전장 제어기를 통해 차량의 통합안테나에 구비된 BLE 모듈에 Wake up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BLE 모듈을 통해, 차량 전장 제어기로부터 Wake up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 이벤트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Setting a connection between a vehicle electric controller provided inside and a Bluetooth Low Energy (BLE) module provided in an external integrated antenna in an off state;
Synchroniz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Detecting an event generated in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When an event is detected, transmitting a wake up signal to a BLE module provided in an integrated antenna of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And
Transmitting a warning event signal to a user terminal when a wake-up signal is received from a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through the BLE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LE 모듈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BLE 프로토콜 내 다이렉트 프로토콜과 GAP(Generic Access Profile) 프로토콜을 통하여 paging/paring/connection을 수행하는 것인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establishing the connection of the BLE module,
A method of providing shock event information occurring in a vehicle, which performs paging/paring/connection through a direct protocol within the BLE protocol and a generic access profile (GAP) protocol.
제 1항에 있어서,
차량 전장 제어기와 사용자 단말간 위치를 AOA(Angle of arrival) 및 AOD(Angle of departure)를 통해 파악하여 동기화하는 것인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impact events that occurred in a vehicle by synchronizing the location between the vehicle electric controller and the user terminal through Angle of Arrival (AOA) and Angle of Departure (AOD).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에 구비된 이벤트 감지 센서에 의해 잠긴 상태의 도어가 개방되거나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것인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method of providing shock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a vehicle, wherein a door in a locked state by an event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is opened or an external shock is detec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장 제어기는 슬립중인 BLE 모듈에 Wake up 신호를 전송하여 BLE 모듈을 Wake up시키는 것인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transmits a wake up signal to the sleeping BLE module to wake up the BLE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이벤트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BLE 모듈은 사용자 단말과 보안 방지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보안 방지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BLE 모듈은 차량내 스피커를 통해 경고 이벤트 신호를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ransmitting the warning even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by the BLE module, whether a user terminal and a security prevention function are set; And
Wh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urity protection function are set, the BLE module outputs a warning event signal through a speaker of the vehicle through a speaker in the vehicle;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이벤트 정보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 센서;
상기 이벤트 정보가 감지되면, Wake up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전장 제어기;
상기 차량 전장 제어기로부터 Wake up 신호가 수신되면, Wake up된 후 경고 이벤트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BLE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시스템.
An event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to detect event information;
When the event information is detected, a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that transmits a wake up signal;
When a wake-u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a BLE module that transmits a warning event signal to a user terminal after wake-up is receiv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 센서와 차량 전장 제어기는,
CAN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인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event detection sensor and the vehicle electric field controller,
A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impact events generated in a vehicle that is connected through CAN communica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진동 정보인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event information,
A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shock events generated by a vehicle that is vibration information above a preset threshol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BLE 모듈은,
BLE 모듈과 사용자 단말간 위치를 AOA 및 AOD를 통해 파악하여 동기화하는 것인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BLE module,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impact events occurring in a vehicle that is to identify and synchronize the location between the BLE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through AOA and AO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BLE 모듈은,
BLE 프로토콜 내 다이렉트 프로토콜과 GAP 프로토콜을 통하여 paging/paring/connection을 수행하는 것인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BLE module,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impact events occurring in a vehicle that performs paging/paring/connection through the direct protocol and the GAP protocol within the BLE protocol.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BLE 모듈은,
사용자 단말과 보안 방지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보안 방지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차량내 스피커를 통해 경고 이벤트 신호를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인 차량에서 발생한 충격 이벤트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BLE module,
I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urity prevention function are set, and if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urity prevention function are set, a warning event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of the vehicle through the speaker of the vehicle. system.
KR1020190046863A 2019-04-22 2019-04-22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pact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a vehicle KR202001236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863A KR20200123665A (en) 2019-04-22 2019-04-22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pact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863A KR20200123665A (en) 2019-04-22 2019-04-22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pact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a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665A true KR20200123665A (en) 2020-10-30

Family

ID=73048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863A KR20200123665A (en) 2019-04-22 2019-04-22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pact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366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808A (en) * 2021-05-10 2022-11-17 마상우 Ultra low power operation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808A (en) * 2021-05-10 2022-11-17 마상우 Ultra low power opera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13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cloned base station
US83196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jamming of communications
US86118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ommunication interference
TW200704553A (en) Anti-theft system for vehicle
WO2006007492A3 (en) Method and system for alerting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6138156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device for mounting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thereon, and program
CN101662532A (en) Mobile telephone with unnoticed photographing prevention function and method for preventing unnoticed photographing by using same
MY142171A (en) Prompting system for on-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car after parking in poor communication quality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JP200515139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missing/illegal use preventing function
US9676368B2 (en) In-vehicle protection system using multiple processing units and/or using communication module to send positioning information
KR2020012366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pact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a vehicle
JP2005150863A (en) Burglar alarm system
KR100976844B1 (en) Bicycle theft protecting system using zigbee and motion sensor
CN108248546A (en) It is a kind of based on positioning and the automotive theft proof system that communicates
CN210574242U (en) Mobile terminal reminding device, system, mobile terminal and vehicle
JP424092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203294063U (en) Automobile security system
CN215155269U (en) Electric vehicle instrument and electric vehicle
CN104754530A (en) Mobile terminal, system and method used for intelligent detection door lock
US9120445B2 (en) In-vehicle protection system using multiple processing units and/or using mobile phone module to send positioning information
KR200194511Y1 (en) A movile terminal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thereby
JP2001285463A (en) On-vehicle device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terminal
JP2004136737A (en) Theft detecting device for on-vehicle electronic equipment
CN205131439U (en) Modular bicycle burglar alarm
JP2013107533A (en) In-vehicle battery 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