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665A -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agricultural products trading platform - Google Patents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agricultural products trading plat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665A
KR20200114665A KR1020190036786A KR20190036786A KR20200114665A KR 20200114665 A KR20200114665 A KR 20200114665A KR 1020190036786 A KR1020190036786 A KR 1020190036786A KR 20190036786 A KR20190036786 A KR 20190036786A KR 20200114665 A KR20200114665 A KR 20200114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data
cultivation
agri
ag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7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0177B1 (en
Inventor
이성규
김송강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씽스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씽스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씽스앤
Priority to KR1020190036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177B1/en
Publication of KR20200114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6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1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an agricultural products trading platform. The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system comprises: a smart farm device which receives agricultural products cultivation history data by an agricultural products cultivation process from a producer or receives and outputs the data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a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which outputs a cultivation status of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 agricultural products cultivation history data, and provides at least one of crowdfunding, pre-order, land sales, and consumer order services for the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status; a consumer terminal which generates a user interface to use at least one of the crowdfunding, the pre-order, the land sales, and the consumer order services provided by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and outputs consumption history data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which provides an agricultural products transaction service based on the agricultural products transaction platform to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and the consumer terminal using the received agricultural products cultivation history data and the consumption history data.

Description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AGRICULTURAL PRODUCTS TRADING PLATFORM}Agricultural food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agri-food trading platform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AGRICULTURAL PRODUCTS TRADING PLATFORM}

본 발명은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팜으로부터 획득 가능한 농식품 생산 이력 정보를 활용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food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an agri-food trading platform,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gri-food distribution system using information on agri-food production history obtainable from a smart farm.

농업은 먹거리를 생산하는 것임에 따라 인류생존에 필수적인 산업이지만, 전통적인 농업 기술이 유지되고 있어 혁신이 가장 느린 산업이기도 하다. 이와 더불어 현재 농업 생산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로 미래 먹거리 생산에 대한 불안이 증대되고 있기도 하다.Agriculture is an industry that is essential for human survival as it produces food, but it is also the industry with the slowest innovation as traditional agricultural technologies are maintained. In addition, anxiety about future food production is increasing due to the decline and aging of the current agricultural production population.

이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의 혁신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데, 정보통신기술을 농업의 생산/가공/유통/소비 등에 접목하여 원격에서 자동으로 작물의 생육환경을 관리하도록 하고 생산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팜(smart farm)이 현재 주목받고 있다. In order to cope with this, various innovations in agriculture are being attempted, and by incorpora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to agricultural production/processing/distribution/consumption, the smart technology enables remote control of the growing environment of crops and increases production efficiency. Smart farms are currently attracting attention.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팜은 온습도, CO2, 조도 등 환경 정보에 기반한 재배 시설의 개폐 및 제어 기술에 관한 내용들이 대다수이며, 관리자와 소비자 측면에서의 관리 및 편의를 위한 스마트팜 시스템에서의 정보 관리 내용에 대한 기술은 미흡한 실정이다.The smart farm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ostly about the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 technology of cultivation facilities based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CO2, and illuminance, and the contents of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smart farm system for management and convenience in terms of managers and consumers. The technology for this is insufficient.

또한, 현재까지 개발되고 있는 스마트팜 기술은 유통/소비를 비롯한 다양한 관련 영역에서 요구되는 정보처리기술, 정보 공유 기술, 정보 데이터베이스화 기술에 대한 개발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smart farm technology that has been developed to date has not been sufficiently developed for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information sharing technology, and information database technology required in various related areas including distribution/consumption.

따라서, 농식품을 생산하고 있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이나, 농수산물 거래 과정에 수반되어야 하는 농식품의 이력 관리 및 소비자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latform that connects producers and consumers who produce agri-food, or a platform capable of performing history management and consumer management of agri-food that must accompany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 transaction process.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71468(2018.06.20)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71468 (2018.06.2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팜으로부터 획득한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러한 플랫폼을 이용한 농식품 유통 시스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 reliable agrifood trading platform using various data obtained from a smart farm, and to provide an agrifood distribu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ing such a platform.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조 또는 변조가 불가능한 농식품 생산 단계별 생산 이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a method, and an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user with information on the production history of agro-food production stages that cannot be forged or altered.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비자의 구매 이력을 추척하고, 구매 이력에 대한 정보를 농식품 생산자에게 제공할 있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tracking the purchase history of consumers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urchase history to agro-food produc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농식품 유통 시스템은 농식품의 재배 과정에 수반되는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를 생산자로부터 입력 받거나 복수의 센서를 통하여 수신하여 출력하는 스마트팜 기기와; 상기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농식품의 재배 상태를 출력하고, 상기 재배 상태에 따라 농식품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 선주문, 배지 분양 및 소비자 주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생산 이력 추적 서버와; 상기 생산 이력 추적 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크라우드 펀딩, 상기 선주문, 상기 배지 분양 및 상기 소비자 주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소비 이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소비자 단말기와; 그리고 수신된 상기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 및 상기 소비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농식품 거래 서비스를 상기 생산 이력 추적 서버와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gri-food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an agri-food trading platform is provided. The agri-food distribution system includes a smart farm devic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gri-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accompanying a cultivation process of agri-food from a producer or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A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that outputs a cultivation state of the agri-food based on the agri-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and provides at least one of crowdfunding, pre-order, badge sales, and consumer order services for agri-food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state; A consumer who creates a user interface to use at least one of the crowdfunding, the pre-order, the badge distribution, and the consumer order service provided by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and outputs consumption history data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A terminal; And it may include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that provides an agro-food transaction service based on the agri-food transaction platform to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and the consumer terminal using the received agri-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and the consumption history dat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팜으로부터 획득한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러한 플랫폼을 이용한 농식품 유통 시스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liable agri-food trading platform may be developed using various data obtained from a smart farm, and an agri-food distribu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ing such a platform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조 또는 변조가 불가능한 농식품 생산 단계별 생산 이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a method, and an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 production history of each stage of agro-food production that cannot be forged or altered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비자의 구매 이력을 추척하고, 구매 이력에 대한 정보를 농식품 생산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tracking a consumer's purchase history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urchase history to agro-food producers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재배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친환경 농식품을 인증할 수 있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authenticating eco-friendly agri-food using cultivation histor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크라우드 펀딩을 도입하여 농식품 생산자에게는 안정적인 농식품 생산을 독려하고 소비자에게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우수한 농식품을 획득할 수 있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a method, and an apparatus capable of encouraging stable agro-food production to agro-food producers and obtaining excellent agri-food at a reasonable price to agro-food producers by introducing crowdfunding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농식품 생산 이력 정보와 사용자의 소비 이력 정보를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저장 및 처리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된 농식품 유통 시스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with improved reliability may be provided by storing and processing agri-food production history information and user consumption history information using a block cha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유통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친환경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신뢰성 검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 및 선주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유통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user interface genera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flow chart for explaining an agrifood eco-friendly cert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agro-food reliability ver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trol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rowdfunding and pre-ordering agri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 pre-order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exemplary graphs for explaining data ver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agrifood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specification,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connected' or'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exist.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directly connected' or'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include' or'have' are only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being exclud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listed item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A or B'may include'A','B', or'both A and B'.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유통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유통 시스템(1)은 스마트팜 기기(100), 스마트팜 기기(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소비자 단말기(300), 데이터가 분산 저장되는 블록체인(450) 및 이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관리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the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mart farm device 100, a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capable of receiving data from the smart farm device 100, to create a user interface It may include a consumer terminal 300, a block chain 450 in which data is distributed and stored,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that manages them in an integrated manner.

모든 각 구성원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또한 각 구성 요소는 적어도 하나가 물리적 또는 기능적으로 서로 머지될 수도 있다.Each member may be connec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at least one of each component may be physically or functionally merged with each other.

최근 생활 수준의 향상 및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농식품의 품질에 대한 관심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농식품의 경우 화학 비료, 유기합성 농약, 생상 조정제, 제초제, 첨가제 등 일체의 합성 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물, 미생물 등 자연적인 자재만을 사용하여 재배한 유기농 채소와 과일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농식품의 생산 이력이 제대로 관리 되지 않음에 따라 소비자는 구매하고 있는 농식품이 어떠한 환경 및 과정을 통하여 생산되는지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농식품을 제대로 된 과정을 통해 생산 및 판매하는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유기농 또는 소비자 원하는 방식으로 생산된 농식품을 보증할 방법이 명확하지 않는 어려움이 있었다. Recently, interest in the quality of agri-food is also increasing due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nd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 and environment. Reflecting these demands, demand for organic vegetables and fruits grown using only natural materials such as organic matter and microorganisms without the use of synthetic chemicals such as chemical fertilizers, organic synthetic pesticides, biomodulators, herbicides, additives, etc. It is also increasing. However, as the production history of such agri-food is not properly manag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sumers cannot grasp through which environment and process the agricultural food they are purchasing is produced. In addition, from the standpoint of producers who produce and sell agri-food through a proper process, there is a difficulty in not being clear how to guarantee organic or agro-food produced in the way consumers want.

본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유통 시스템(1)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 소비자 단말기(300) 및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관리 서버(400)를 제공한다. The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a consumer terminal 300,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based on an agri-food transaction platform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스마트팜 기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센서(110) 및 CCTV(130)를 포함하고 있으며, 농식품의 재배 과정에 수반되는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를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에 출력한다.The smart farm devic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110 and CCTV 130 as shown, and outputs agri-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accompanying the cultivation process of agri-food to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스마트팜 기기(100)에는 도시하지 않은 환경 제어 모듈, 내부 재배 모듈, 식물 재배 모듈 등의 환경 상태값이 제어되도록 하는 각종 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농식품의 재배 환경을 제어하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광량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냉난방 센서 및 조명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팜 기기(100)는 농식품의 재배에 필요한 물질, 예를 들어 양액, 물, 기능성 유용 물질 등의 투하량을 센싱하고 제어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mart farm device 100 may include various sensors 110 to control environmental state values such as an environment control module, an internal cultivation module, and a plant cultivation module (not shown). For example, the sensor 11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light amount sensor, etc. that control a cultivation environment of agri-food, and may include a cooling/heating sensor and a lighting sensor. In addition, the smart farm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capable of sensing and controlling a delivery amount of a substance required for cultivation of agrifood, for example, nutrient solution, water, and functional useful substance.

이러한 센서(110)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는 재배 품목, 재배 면적, 재배 수량, 재배 과정, 비료 및 관수 데이터, 스마트 농기계의 센서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제초 또는 병해충 데이터, 수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농식품의 씨앗 및 모종의 거래에도 이를 전자적으로 유통 및 거래될 수 있도록 코드나 마크가 이용되기 때문에 많은 데이터가 생산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수집될 수 있다. Agricultural 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that can be generated from the sensor 110 is at least one of cultivation items, cultivation area, cultivation quantity, cultivation process, fertilizer and irrigation data, weeding or pest data that can be received from sensors of smart agricultural machines, and harvest data. It can contain one. In recent years, since codes or marks are used to electronically distribute and trade the seeds and seedlings of agri-food, a lot of data can be automatically collected without input from producers.

한편, 이러한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는 생산자에 의하여 스마트팜 기기(100) 또는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품목, 재배 면적, 재배 수량 등은 생산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agricultural 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may be input to the smart farm device 100 or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by the producer. For example, cultivation items, cultivation area, cultivation quantity, etc. may be directly input by the producer.

비료 및 관수에 대한 데이터는 배지의 PH, EC, 온도, 습도, 배지 무게와 같은 토양 상태 데이터를 통하여 그 종류 및 양이 파악될 수 있고, 이는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에 의하여 비교 분석되는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The data on fertilizer and irrigation can be determined through soil condition data such as pH, EC, temperature, humidity, and weight of the medium, and this data is compared and analyzed by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Can be used as

또한,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는 구매처와의 전자상거래를 통하여 자동으로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로 입력되는 농약 구매 정보, 구매처 정보, 농약 사용 시기 및 농약 사용량 및 농약 재고량에 대한 농약 관련 데이터와, 농식품을 크기 별 및 상태 별로 자동으로 선별하고 포장하는 시스템으로부터 자동으로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로 입력되는 선별/포장 데이터 및 농식품의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자동으로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로 입력되는 농식품의 저장 환경, 저장 수량, 저장 기간 및 저장일 기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장 관리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gro-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is automatically input to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through an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 with the purchase place, information on the purchase of pesticides, information on the place of purchase, the time of use of pesticides, pesticide use and pesticide-related data on the amount of pesticide inventory, and agri-food. Sorting/packaging data automatically input to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from the system that automatically sorts and packs by size and condition, and the agri-food that is automatically input to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from the agro-food storage system. Storage management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storage environment, storage quantity, storage period, and storage date climate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생산자가 직접 입력해야 하는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는 농가의 작업 일지 등을 통하여 전산화 될 수 있고, 전산화된 데이터가 스마트팜 기기(100) 또는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로 자동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농기를 이용하여 작업이 이루어진 경우 작업 일지를 통하여 농작업 제초, 병해충 관리에 대한 데이터가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로 자동 입력될 수 있고, 수확 일자, 수확 당시 날씨, 수확 면적 및 수확량에 대한 수확 데이터 역시 생산자의 입력 없이 수집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agricultural 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that the producer must directly input may be computerized through a work diary of a farmer, and the computerized data may be automatically input to the smart farm device 100 or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For example, when a work is performed using a smart farming machine, data on farming work weeding and pest management through a work log can be automatically entered into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and the harvest date, the weather at the time of harvest, and the harvest area And harvest data on the yield can also be collected without input from the producer.

한편, 농식품의 재배 과정은 농식품 재배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CCTV(130)를 통하여 수집될 수 있으며, CCTV(130)를 통하여 수집된 재배 과정에 대한 동영상은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소비자 단말기(200)로 출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ultivation process of agrifood may be collected through the CCTV 130 installed at the agricultural food cultivation site, and a video of the cultivation process collected through the CCTV 130 is displayed in real time at the consumer's request. ) Can be output.

이를 통해 소비자는 실시간으로 농식품의 재배 과정을 확인할 수 있어 안심하고 신뢰성이 있는 농식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consumers can check the cultivation process of agri-food in real time, so that they can purchase agri-food with confidence and reliability.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는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농식품의 재배 상태를 소비자 단말기(300) 및 통합 관리 서버(400)로 출력하고, 재배 상태에 따라 농식품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 선주문, 배지 분양 및 소비자 주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outputs the cultivation status of agri-food to the consumer terminal 300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based on the agricultural 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and crowdfunding, pre-order, and badge sales for agri-food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statu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t least one of a customer order service.

한편, 크라우드 펀딩, 선주문, 배지 분양 및 소비자 주문 서비스는 통합 관리 서버(400)에서 생성되어 소비자 단말기(3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Meanwhile, crowdfunding, pre-order, badge sales, and customer order services may be generated by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and provided to the consumer terminal 300.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러한 스마트팜 기기(100)와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는 생산자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고, 두 개의 구성은 단말기, 컴퓨팅 장치 또는 서버와 같은 하나의 하드웨어로 머지될 수 있다. The smart farm device 100 and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may be configured as a producer terminal, and the two configurations may be merged into one hardware such as a terminal, a computing device, or a server.

소비자 단말기(300)는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 또는 통합 관리 서버(400)가 제공하는 크라우드 펀딩, 선주문, 배지 분양 및 소비자 주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소비 이력 데이터를 통합 관리 서버(400)로, 통합 관리 서버(400)를 통해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sumer terminal 300 generates a user interface to use at least one of crowdfunding, pre-order, badge sales, and consumer order services provided by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or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and provides a user interface. The consumption history data input through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through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소비자 단말기(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시각적 또는 청각으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단 또는 모듈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The consumer terminal 300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unit 310 for generating a user interface. The user interface unit 310 may be used collectively as a means or module for generating an interface that can be recognized by a user visually or aurally, and receiving a user input through the generated interfa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으로, 소비자는 생산자가 생산하는 농식품에 대한 정보, 생산자에 대한 정보, 투자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 받을 수 있다. 2 is a diagram showing a user interface genera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sumer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agrifood produced by the producer, information on the producer, information on investment, and the like.

또한,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는 SNS 계정과 연동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SNS를 통한 농식품에 대한 피드백 정보가 생산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such a user interface may include an item that can be linked with an SNS account that can be used by a consumer, and feedback information on agri-food through the SNS may be provided to the producer.

소비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통합 관리 서버(400) 및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에 제공될 수 있는 소비 이력 데이터는 농식품의 구매 내역 데이터, 상품평, 보상 데이터 및 구매 내력 데이터와 구매 시기에 기초하여 분석된 소비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Consumption history data that can be provid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and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through the consumer terminal 300 is based on purchase history data, product reviews, compensation data, and purchase history data and purchase time of agrifoo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nalyzed consumption patterns.

구매 내역은 소비자가 구매 시 농식품에 대한 구매 이력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고, 구매 내역은 생산자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열람될 수 있다. The purchase history means information on the purchase history of agri-food at the time of purchase by the consumer, and the purchase history can be viewed in real time by the producer.

한편, 소비자가 농식품을 구매 후 상술한 SNS 또는 상품평 항목에 상품평을 작성하는 경우, 쿠폰과 같은 보상 아이템이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nsumer purchases agrifood and writes a product review on the above-described SNS or product review item, a reward item such as a coupon may be provided.

사용자의 소비량 즉, 농식품에 대한 판매량과 소비 시기에 대한 소비 패턴은 통합 관리 서버(400)에 의하여 빅데이터화 되고, 통계적으로 분석되어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user, that is, the sales volume of agri-food and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consumption period may be converted into big data by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and statistically analyzed and provided to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또한,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는 소비자 단말기(300)에서 입력된 소비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합 관리 서버(400)에서 분석된 농식품 품목 별 소비 패턴, 기후 시기별 가격 추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provides analysis results of consumption patterns for each agri-food item analyzed by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based on the consumption history data input from the consumer terminal 300 and price trends by climate period. I can receive it.

통합 관리 서버(400)는 수신된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 및 소비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농식품 거래 서비스를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와 소비자 단말기(300)에 제공한다.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provides an agri-food transaction service based on an agri-food transaction platform to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and the consumer terminal 300 by using the received agricultural 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and consumption history data.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통합 관리 서버(400)는 센서(110) 또는 생산자의 직접 입력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생산 전과정의 빅데이터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비교함으로써, 생산자가 농식품 별 또는 경작지 별로 생산량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거나, 수집된 토양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료와 관수의 종류 및 양을 파악하여 생산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생산자는 재배 면적과 수확량 비교 데이터 분석과 이를 빅데이터 통계 자료 연동을 통한 분석을 통하여 농식품 작물, 환경, 경작지에 따른 생산량 예측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농식품 및 비료, 농약의 재고도 관리할 수 있다. 즉, 생산자는 통합 관리 서버(400)가 제공하는 다양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농가 정보를 관리하고, 계획적이고 과학적인 영농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analyzes and compares the data collected by the sensor 110 or the producer's direct input based on the big data data of the entire production process, so that the producer Can be predicted, or the collected soil condition data can be analyzed to identify the type and amount of fertilizer and irrigation and provide it to producers. In addition, producers can predict production volume according to agri-food crops, environment, and cultivated land through analysis of cultivation area and yield comparison data and analysis through big data statistical data linkage, and can efficiently manage the stock of agri-food, fertilizer, and agricultural chemicals. . That is, the producer can efficiently manage farm information through various data analysis provided by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and perform planned and scientific farming.

한편, 통합 관리 서버(400)는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 중 신뢰성 확보 필요성이 높은 데이터 그리고 소비 이력 데이터 중 신뢰성 확보 필요성이 높은 데이터를 블록체인(450)상에 분산 저장할 수 있다. 농식품의 가격, 거래 내역, 소비 패턴, 중요한 재배 과정, 생산량, 판매량 등은 블록체인(450)에 저장됨으로써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가 불가능하고, 이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신뢰 구축 및 검증된 농식품 거래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농식품 생산 단계 별로 수집되는 데이터가 각각의 블록에 저장될 수 있고, 소비자의 소비 패턴이 시간 순으로 저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may store data having a high need to secure reliability among the agricultural 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and data having a high need to secure reliability among the consumption history data distributed on the blockchain 450. The price of agri-food, transaction details, consumption patterns, important cultivation processes, production, and sales are stored in the blockchain 450, so data cannot be forged or altered.Through this, trust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and verified agri-food transactions are possible. It becomes. For example, data collected for each agro-food production stage may be stored in each block, and consumer consumption patterns may be stored in chronological order.

통합 관리 서버(400)는 블록체인(450) 상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사도가 높은 데이터만을 선별하고, 선별되지 않는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삭제하고 선별된 데이터 만을 재저장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analyzes the data stored on the blockchain 450 to select only data with high similarity, periodically deletes unselected data, and performs a filtering process of restoring only the selected data. I can.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거래 플랫폼은 생산자로부터 제공된 생산 이력 추적 데이터와 소비자로부터 제공되는 소비 이력 데이터를 블록체인(450)에 저장하여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는 신뢰성있는 데이터 관리를 수행하고, 생산에서 소비가 연계된 일괄 프로세스 방식의 거래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생산자는 신뢰성 확보를 통하여 보다 높은 가격으로 농식품을 판매할 수 있고, 농식품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신뢰성 있는 안전한 먹거리를 확보할 수 있고, 유통 과정의 단순화를 통하여 합리적인 가격으로 농식품을 제공받을 수 있다. In summary, the agri-food transaction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reliable data management to prevent forgery of data by storing production history tracking data provided from producers and consumption history data provided from consumers in the blockchain 450, Establish a transaction system of a batch process method that links consumption in production. Through this, producers can sell agri-food at a higher price through securing reliability and increase the brand value of agri-food. In addition, consumers can secure reliable and safe food, and through simplification of the distribution process, agri-food can be provided at a reasonable pr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친환경 인증 과정(또는 농식품 친환경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3 is a control flow chart for explaining an agri-food eco-friendly certification process (or agri-food eco-friendly cer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S310, S320, 및 S330 과정은 농사 준비에 관련된 과정일 수 있고, S340, S341, 및 S342 과정은 재배 과정에 관련된 과정일 수 있다.In FIG. 3, processes S310, S320, and S330 may be processes related to farm preparation, and processes S340, S341, and S342 may be processes related to a cultivation process.

도시된 바와 같이, 농식품 친환경 인증을 위하여 통합 관리 서버(400)는 배지의 PH, EC, 온도, 습도, 배지 무게와 같은 토양 상태 데이터를 빅데이터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할 수 있다(S310).As shown, for eco-friendly certification of agri-food,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may analyze soil condition data such as PH, EC, temperature, humidity, and weight of the medium based on big data data (S310).

배지의 PH, EC, 온도, 습도, 배지 무게와 같은 토양 상태 데이터는 스마트팜 기기(100) 또는 농식품의 재배에 사용되는 스마트 농기계로부터 입력될 수 있고, 농업에 관련된 정부 기관 및 자치 단체의 토지 상태 검증 및 해당 기관의 데이터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Soil condition data such as pH, EC, temperature, humidity, and weight of the medium may be input from the smart farm device 100 or smart agricultural machinery used for cultivation of agri-food, and the land condition of gover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related to agriculture It can also be verified and obtained from data from the agency.

빅데이터 자료를 기반으로 토양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면, 추천 비료의 종류, 추천 비료량 및 추천 관수량이 설정될 수 있다(S320).When soil condition data is analyzed based on big data data, the type of recommended fertilizer, the recommended fertilizer amount, and the recommended irrigation amount may be set (S320).

통합 관리 서버(400)는 이렇게 설정된 추천 비료량 및 추천 관수량을 소비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S330). 구체적으로, 추천 비료량 및 추천 관수량 등 작목에 따른 추천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may provide the set recommended fertilizer amount and recommended irrigation amount to the consumer terminal 300 (S330). Specifically, recommended data according to the crop, such as recommended fertilizer amount and recommended irrigation amount, may be provided.

소비자 단말기(300)는 추천 비료의 종류, 추천 비료량 및 추천 관수량과 농식품에 사용된 비료 및 관수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S340).The consumer terminal 300 may compare the type of the recommended fertilizer, the recommended fertilizer amount and the recommended irrigation amount, and the fertilizer and irrigation data used in agri-food (S340).

사용자에 의한 입력 데이터 그리고 스마트팜 기기(100)의 센서 등을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 등에 대하여, 데이터간 검증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S341). Data verif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n inter-data verification algorithm for input data by a user and data acquired through a sensor of the smart farm device 100 (S341).

블록 체인과 관련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가 발생될 수 있다. 검증을 통해 데이터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한 입력 데이터가 위조 또는 변조된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Blockchain-related smart contracts can occur. When data abnormality is detected through verification, it may be estimated that input data by the user has been forged or altered.

데이터 이상으로 검증된 데이터(예, A', B', ..., n') 또는 데이터 정상으로 검증된 데이터(예, A, B, ..., n)는 블록 체인에 분산 저장될 수 있다(S342). 이를 통해, 보다 투명하고 신뢰성 있는 친환경 인증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Data that has been verified as more than data (e.g. A', B', ..., n') or data that has been verified as normal (e.g. A, B, ..., n) can be distributed and stored in the blockchain. Yes (S342). Through this, more transparent and reliable eco-friendly authentication data can be provided.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농식품에 대한 친환경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인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인증할 수 있다(S350).The user interface unit 310 may generate a user interface displaying a comparison result, and may generate and authenticate an authentication user interface capable of performing eco-friendly authentication for agri-foo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S350).

예를 들어, 인증 사용 인터페이스란 생산자가 실제로 사용한 비료가 추천 비료량 보다 작은 경우, 농식품이 친환경에서 생산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인증 결과는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에 제공되어 생산자에게 피드백될 수 있다. 비료의 양 또는 비료의 종류, 관수의 종류 및 양 등에 따라 다양한 등급으로 인증 레벨이 설정될 수도 있고, 친환경으로 인증된 생산자에게 기설정된 인증 점수가 부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수는 소비자가 농식품을 구매하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고, 생산자는 이를 통해 농식품의 판매를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authentication use interface means that when the fertilizer actually used by the producer is less than the recommended fertilizer amount, it indicates that agri-food is being produced in an eco-friendly environment, and this authentication result is provided to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to the producer Can be fed back to Authentication levels may be set in various grad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fertilizer, type of fertilizer, type and amount of irrigation, etc., or a preset authentication score may be given to a producer certified as an environment-friendly. These scores can be used as information on how consumers purchase agri-food, and producers can increase sales of agri-food through thi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신뢰성 검증 과정(또는 농식품 신뢰성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4 is a control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agro-food reliability verification process (or agro-food reliability ve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농식품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우선 통합 관리 서버(400)는 재배 면적과 수확량을 빅데이터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할 수 있다(S410).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agri-food,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may first analyze the cultivation area and yield based on big data data (S410).

빅데이터 자료 분석을 통하면, 농식품의 작물 종류, 환경 및 경작지에 따른 예측 생산량이 도출될 수 있고(S420), 이렇게 도출된 예측 생산량, 수확량 및 소비 이력 데이터에 기초한 판매량은 소비자 단말기(300)로 제공된다(S430).Through the analysis of big data data, the predicted produ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crop type, environment, and cultivated land of agri-food can be derived (S420), and the sales amount based on the predicted production amount, yield, and consumption history data derived as described above can be transferred to the consumer terminal 300. Provided (S430).

소비자 단말기(300)는 수확량과 판매량을 비교하여 수확량이 판매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S4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농식품에 대한 유통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는 검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sumer terminal 300 may compare the harvest and the sales to determine whether the harves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ales (S440), and the user interface 310 is a verification capable of verifying the distribution reliability of agrifoo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User interface can be created.

만약, 판매량이 수확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이는 생산자 또는 외부 다른 요소에 의하여 수확량이 위조 또는 변조된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S450). 이러한 정보는 생산자에게 피드백 될 수 있고, 생산자는 수확량에 대한 데이터를 검토할 수 있다. 또한, 수확량이 위조 또는 변조된 것으로 최종 확인된다면 소비자는 해당 농식품에 대한 신뢰 정도를 낮게 평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농식품의 판매량이 감소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ales volume exceeds the yield, it may be estimated that the yield has been forged or altered by the producer or other external factors (S450). This information can be fed back to producers, and producers can review data on yields. In addition, if it is finally confirmed that the yield has been counterfeit or altered, the consumer can evaluate the degree of trust in the agri-food low, and accordingly, the sales volume of the agri-food may decrease.

반면, 수확량이 판매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소비자는 농식품에 대한 유통 신뢰성을 검증하게 된다(S460). 이러한 검증 정보 역시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에 제공될 수 있고, 주요 데이터로 블록체인(45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yiel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ales volume, the consumer verifies the distribution reliability of the agri-food (S460). Such verification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o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and may be stored and managed as main data in the blockchain 450.

한편, 유통 신뢰성이 검증되면, 소비자 단말기(300)는 수확량과 예상 생산량을 비교하여 수확량이 예상 생산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70). On the other hand, if distribution reliability is verified, the consumer terminal 300 may determine whether the harvest exceeds the expected output by comparing the yield and the expected output (S470).

이 경우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농식품에 대한 우수성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Even 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unit 310 may generate an authentication user interface capable of authenticating excellence for agri-foo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만약, 수확량이 예상 생산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이는 농식품의 수확량이 우수하여 생산자의 재배 상태가 우수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S480). 이러한 정보는 생산자에게 피드백 될 수 있고, 생산자는 농식품 가격을 고려하여 수확량을 조정하거나 농식품의 가격을 재고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yield exceeds the expected production amount, it may be interpreted that the agricultural food yield is excellent and the cultivation condition of the producer is excellent (S480). This information can be fed back to the producer, and the producer can adjust the yield to take into account the price of agri-food or reconsider the price of agri-food.

한편, 수확량이 예상 생산량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이 데이터 역시 생산자에게 피드백 되어 농식품 재배 환경 개선에 활용될 수 있다(S490).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yield is smaller than the expected output, this data can also be fed back to the producer and used to improve the agri-food cultivation environment (S490).

이러한 농작물 재배 상태의 우수성 검증 데이터 역시 블록체인(45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The excellence verification data of such a crop cultivation state may also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blockchain 450.

상술한 유통 신뢰성 검증 판단(S440) 및 농식품 재배 상태 우수성 인증 판단(S470)은 통합 관리 서버(400)에서 수행되어 소비자 단말기(300) 및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로 제공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distribution reliability verification determination (S440) and agri-food cultivation status excellence certification determination (S470) may be performed by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and provided to the consumer terminal 300 and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 및 선주문 과정(또는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 및 선주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5 is a control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rowdfunding and preordering agrifood (or a method of crowdfunding and preordering agri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통합 관리 서버(400)는 빅데이터 자료를 기반으로 재배 과정에 따른 농식품에 대한 작물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S510).First,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may analyze the state of crops for agricultural foods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process based on big data data (S510).

이렇게 분석된 작물 상태 정보는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가 제공하는 재배 과정과 비교되고, 이를 통해 농식품의 작물 상태 우수성이 판단될 수 있다(S520).The analyzed crop state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cultivation process provided by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and through this, the superiority of the crop state of the agricultural food may be determined (S520).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농식품의 수확량이 예상 생산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농식품의 작물 상태가 우수하다고 판단될 수도 있고, 해당 시점의 농식품의 발육 상태가 다른 지역 또는 다른 생산자의 농식품 보다 우수한지 여부로 작물 상태의 우수성이 판단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rop condition of the agri-food is excellent as the yield of the agri-food exceeds the expected production amount, and the development status of the agri-food at that time is superior to that of other regions or other producers. The superiority of the crop condition can be judged by whether or not it is cold.

농식품의 우수성이 인정되고, 이에 대한 정보가 소비자 단말기(300)로 전달되면, 소비자 단말기(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농식물의 수확 전에 농식품의 판매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농식품을 구매할 수 있는 선주문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거나 농식물의 수확 전에 농식물의 재배 과정에 수반되는 자금을 펀딩하는 크라우드 펀딩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S530).When the excellence of agri-food is recognized and information about this is transmitted to the consumer terminal 300, the user interface unit 310 of the consumer terminal 300 can purchase agri-food at a price lower than the selling price of the agri-food before harvesting the agricultural plant. A pre-order interface may be created or a crowdfunding interface for funding funds accompanying the cultivation process of agricultural plants before harvesting of agricultural plants may be generated (S53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order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는 현재 농식품의 상태를 동영상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고, 구매를 원하는 경우 농식품의 수확전에 선 구매를 할 수 있다. 물론,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통하여 도 6과 유사한 형태로 크라우드 펀딩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As shown, the consumer can check the current state of the agri-food through the video, and if a purchase is desired, the consumer can pre-purchase the agricultural food before harvesting. Of course, an interface for crowdfunding in a form similar to that of FIG. 6 may be provided through the agrifood trading platform.

또한,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관리 서버(400)는 소비자 단말기(300)로 배지 분양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배지 분양은 도시에 사는 소비자들에게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주말 농장의 한 형태로, 배지를 분양 받아 추천되는 농식품을 심고 이를 관리하는 것을 온라인 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최근 주말 농장은 어린이들에게 교육적 차원에서 활용되는 경우가 많고 야채 및 과일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을 통하여 농식품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미래의 소비자를 발굴한다는 의미에서 배지 분양 서비스는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may provide a service for selling badges to the consumer terminal 300. Badge sales are a form of weekend farms that are a subject of much interest to consumers living in cities, and you can purchase badges, plant recommended agri-food, and manage them online. Recently, weekend farms are often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to children, and the badge sale service will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sense of reducing rejection to agri-food and discovering future consumers through direct experiences with vegetables and frui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400)는 소비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농식품에 대한 구매평이 입력되거나 크라우드 펀딩, 선주문 및 배지 분양에 대한 요청이 발생하면, 농식품 거래에 대한 쿠폰을 소비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쿠폰은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마일리지 일 수도 있고, 분양 받은 배지의 농식품 재배 과정에 필요한 비료 또는 거름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urchase review for agri-food is input through the consumer terminal 300 or a request for crowdfunding, pre-order, and badge sales occurs, the coupon for agri-food transaction is sent to the consumer terminal ( 300). These coupons may be mileage that can be used like cash, or may be replaced with fertilizer or manure necessary for the agro-food cultivation process of the pre-sale medium.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관리 서버(400)는 소비자 단말기(300)로부터 배지 분양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분양된 배지에서 재배되는 농식품에 대한 재배 과정을 기설정된 주기 마다 소비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the sale of a medium from the consumer terminal 300,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performs a cultivation process for agrifood grown on the sold medium every preset cycle.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이러한 재배 과정에 대한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농식품에 대한 실시간 동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간 동영상 정보는 농식품에 재배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The information on the cultivation process may include real-time video information on agri-food, as described above, and such real-time video information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cultivation in agri-food.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그래프이다.7A and 7B are exemplary graphs for explaining data ver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 또는 생산 이력 추적 서버(200)로부터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를 수신한 통합 관리 서버(400)는 데이터의 확인을 위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생산자가 입력한 데이터 또는 스마트팜 기기(100)로부터 수집된 시계열성을 갖는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데이터 간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receiving the agricultural 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from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or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200 may perform verification for verifying the data. . This may mean an algorithm that check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between data by comparing data input by a producer or data having time series properties collected from the smart farm device 100.

이렇게 데이터 흐름에 따른 정상 또는 비정상을 판단하는 과정이 발생하면, 이 때마다 블록체인(450)에서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발생하고, 이러한 데이터 이상 여부는 블록체인(450)에 저장된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계약의 대가 지급 수단 및 반대 급부가 암호화 되고 계약 이행 및 검증의 과정이 네트워크로 자동화 되어, 계약 실행 조건을 확인하는 사람의 간섭 및 추가 비용 없이 직접 처리함으로써 복잡한 계약을 적은 비용과 합의에 따른 신뢰를 바탕으로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약정에 해당한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하여 하나의 플랫폼에서 기록, 현금 흐름 및 계약 이행을 해결할 수 있어 효율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When the process of determining normal or abnormal according to the data flow occurs, a smart contract is generated in the blockchain 450 each time, and whether such data is abnormal is stored in the blockchain 450. In smart contracts, the payment means and counter benefits of the contract are encrypted, and the process of fulfilling and verifying the contract is automa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complex contracts can be processed at low cost and settlement by directly processing them without interference and additional costs from those who check the contract execution conditions. It corresponds to an agreement that enables safe execution based on the trust that is followed. Through smart contracts, it is possible to solve records, cash flows and contract fulfillment in one platform, which has the advantage of high efficiency.

도 7a는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의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조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낮 시간에 구름이 끼거나 차양막을 치치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온도가 내려갔다면 이는 조도 데이터가 이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조도 데이터에 따라 온도 데이터가 유사한 패턴을 보여야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조도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7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for explaining verification of agricultural 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If the temperature decreases in the daytime based on the illuminance data even though there is no cloud or no sunshade, this may mean that the illuminance data is abnormal. That is, in a normal situation, the temperature data should show a similar pattern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data, but if not,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error occurs in the illuminance data.

또는 도 7b와 같이 양액기 작동 시간 데이터를 바탕으로 양액기 동작이 없었음에도 토양 수분이 증가했다면 데이터 이상으로 감지할 수 있고, 토양에 농약 분무 등이 의심되는 상황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생산자는 데이터의 오류에 따라 후속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7B, if soil moisture has increased even though there is no opera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based on the operation time data of the nutrient solution, it may be detected as more than the data, and it may be determined as a situation in which pesticide spraying on the soil is suspected. Producers will be able to respond subsequently to data errors.

또는 다른 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이 재배 면적 대비 예상 수확량 과 실제 수확량, 판매량 등이 비교되어 스마트 컨트랙트가 발생할 수도 있고, 재배 일자 별 농작물의 크기 비교를 통하여 재배 데이터를 검증할 수도 있다. 이렇게 데이터의 오류가 검증되면 생산자는 오류의 원인을 찾아 데이터의 실질적인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오류를 해결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s described above, a smart contract may be generated by comparing the expected harvest compared to the cultivation area with the actual harvest and sales, or the cultivation data may be verified by comparing the size of crops by cultivation date. When data errors are verified in this way, the producer can find the cause of the error, determine whether the data is actually an error, or resolve the error.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유통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8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유통 시스템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농식품을 판매하는 판매 서버(50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즉, 통합 관리 서버(400)는 판매 서버(500)에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7(도 7a, 도 7b)에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농식품 거래 데이터 및 인터페이스를 판매 서버(500)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As shown, the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mmunicate with a sales server 500 that sells agri-food online or offline through a network. That is,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provides an agri-food transaction platform to the sales server 500, so that the agri-food transaction data and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Figs. 1 to 7 (Fig. 7a, Fig. 7b) are provided to the sales server ( 500).

판매 서버(500)는 농식품의 광고 및 판매에 따른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일부 수익은 통합 관리 서버(4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판매 서버(500)를 통하여 농식품을 구매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쿠폰을 받거나 농식품에 대한 인증 또는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sales server 500 may generate profits according to advertisements and sales of agri-food, and some profits may be provid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In addition, the consumer may purchase agri-food through the sales server 500 and may receive a coupon or perform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for agri-foo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식물 유통 시스템에 따르면,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농식품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며, 농식품의 재배 단계 및 생산 과정을 소비자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된 농식품 거래를 유도할 수 있고, 스마트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gricultural plant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gri-food transaction service that connects producers and consumers is provided, and by providing a cultivation step and production process of agri-food to a consum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induce agri-food transaction with improved reliability. Yes, and the utilization of smart farms can be increased.

한편, 상술한 농식품 유통 시스템에 포함되는 각 장치는 상술한 농식품 유통 시스템의 농식품 유통 방법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농식품 유통 시스템의 농식품 유통 방법은 상술한 농식품 유통 시스템에 관련된 절차 및 기능 등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농식품 유통 시스템은 농식품의 재배 과정에 수반되는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를 블록체인 상에 분산 저장할 수 있다. 농식품 유통 시스템은 농식품의 재배 상태에 따라, 농식품에 대한 크라우딩 펀딩, 선주문, 배지 분양, 및 소비자 주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농식품 유통 시스템은 농식품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 선주문, 배지 분양, 및 소비자 주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소비 이력 데이터, 그리고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농식품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device included in the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described above may perform an operation related to the agri-food distribution method of the agri-food distribution system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agri-food distribution method of the agri-food distribution system may be based on procedures and functions related to the agri-food distribution system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can store agro-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that accompany the cultivation process of agri-food on a blockchain. The agri-food distribution system may provide at least one of crowd funding, pre-order, badge sales, and consumer order services for agri-food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state of the agri-food. The agri-food distribution system uses consumption history data for at least one of agro-food crowdfunding, pre-order, badge sales, and consumer order service, and agri-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to provide agri-food transaction service based on agri-food trading platform. I ca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통합 관리 서버, 생산 이력 추적 서버, 소비자 단말기, 또는 스마트팜 기기 등) 일 수 있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ing device TN100 of FIG. 9 may be a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eg,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a consumer terminal, or a smart farm device).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N110, 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TN120, and a memory TN130.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device TN140, an input interface device TN150, an output interface device TN160, and the lik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be connected by a bus TN17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TN1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The processor TN1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The processor TN11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procedures, functions, and method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TN110 ma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TN100.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an operation of the processor TN110.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be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TN13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TN120 may transmit or receive a wired signal or a wireless signal. Th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TN120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Meanwhil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pparatus and/or method described so far,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that realiz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n addition, such an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e skilled person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esent.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12)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에 있어서,
농식품의 재배 과정에 수반되는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를 생산자로부터 입력 받거나 복수의 센서를 통하여 수신하여 출력하는 스마트팜 기기와;
상기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농식품의 재배 상태를 출력하고, 상기 재배 상태에 따라 농식품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 선주문, 배지 분양 및 소비자 주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생산 이력 추적 서버와;
상기 생산 이력 추적 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크라우드 펀딩, 상기 선주문, 상기 배지 분양 및 상기 소비자 주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소비 이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소비자 단말기와; 그리고
수신된 상기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 및 상기 소비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농식품 거래 서비스를 상기 생산 이력 추적 서버와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In the agrifood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the agrifood trading platform,
A smart farm device that receives and outputs agro-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accompanying a cultivation process of agri-food from a producer or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A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that outputs a cultivation state of the agri-food based on the agri-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and provides at least one of crowdfunding, pre-order, badge sales, and consumer order services for agri-food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state;
A consumer who creates a user interface to use at least one of the crowdfunding, the pre-order, the badge distribution, and the consumer order service provided by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and outputs consumption history data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A terminal;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that provides an agrifood transaction service based on the agrifood trading platform to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and the consumer terminal using the received agri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and the consumption history data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와 상기 소비 이력 데이터를 블록체인 상에 분산 저장하며,
상기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는 재배 품목, 재배 면적, 재배 수량, 재배 과정, 비료 및 관수 데이터, 스마트 농기계의 센서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제초 또는 병해충 데이터, 수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소비 이력 데이터는 상기 농식품의 구매 내역 데이터, 상품평, 보상 데이터 및 상기 구매 내력 데이터와 구매 시기에 기초하여 분석된 소비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distributedly stores the agricultural 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and the consumption history data on a blockchain,
The agricultural 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cultivation items, cultivation area, cultivation quantity, cultivation process, fertilizer and irrigation data, weeding or pest data, and harvest data that can be received from a sensor of a smart agricultural machine,
The consumption history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purchase history data, product reviews, compensation data, and consumption patterns analyzed based on the purchase history data and purchase time of the agrifood.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과정은 상기 농식품 재배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CCTV를 통하여 수집되며,
상기 CCTV를 통하여 수집된 상기 재배 과정에 대한 동영상은 상기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출력되고,
상기 수확 데이터는 상기 농식품의 재배에 사용되는 스마트 농기계로부터 수신되는 수확 일자, 수확 당시 날씨, 수확 면적 및 수확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cultivation process is collected through CCTV installed at the agricultural food cultivation site,
The video on the cultivation process collected through the CCTV is output to the consumer terminal in real time at the request of the consumer,
The harvest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a harvest date, a weather at the time of harvest, a harvest area, and a harvest amount received from a smart agricultural machine used for cultivation of the agricultural food.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는,
구매처와의 전자상거래를 통하여 자동으로 상기 생산 이력 추적 서버로 입력되는 농약 구매 정보, 상기 구매처 정보, 농약 사용 시기 및 농약 사용량 및 농략 재고량에 대한 농약 관련 데이터와;
상기 농식품을 크기별 및 상태 별로 자동으로 선별하고 포장하는 시스템으로부터 자동으로 상기 생산 이력 추적 서버로 입력되는 선별/포장 데이터와;
상기 농식품의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자동으로 상기 생산 이력 추적 관리 서버로 입력되는 상기 농식품의 저장 환경, 저장 수량, 저장 기간 및 저장일 기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장 관리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agricultural 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Pesticide-related data on pesticide purchase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place of purchase, the time of use of pesticides and the amount of pesticide use and pesticide inventory automatically input to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through an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 with a purchase place;
Sorting/packaging data automatically input to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from a system for automatically sorting and packaging the agrifood according to size and condition;
Further comprising storage management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storage environment, storage quantity, storage period, and storage date climate information of the agricultural food automatically input to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management server from the agrifood storage system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배지의 PH, EC, 온도, 습도, 배지 무게와 같은 토양 상태 데이터를 빅데이터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추천 비료의 종류, 추천 비료량 및 추천 관수량을 설정하고, 설정된 추천 비료량 및 상기 추천 관수량을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기는 상기 추천 비료의 종류, 상기 추천 비료량 및 상기 추천 관수량과 상기 농식품에 사용된 비료 및 관수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농식품에 대한 친환경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인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alyzes soil condition data such as pH, EC, temperature, humidity, and weight of the medium based on big data data to set the type of recommended fertilizer, recommended fertilizer amount, and recommended irrigation amount, and set recommended fertilizer Providing an amount and the recommended amount of irrigation to the consumer terminal,
The consumer terminal compares the type of the recommended fertilizer, the recommended fertilizer amount, and the recommended irrigation amount with the fertilizer and irrigation data used in the agrifood, and authentication that can perform eco-friendly authentication for the agrifoo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o generate the user interface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재배 면적과 상기 수확량을 빅데이터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상기 농식품의 작물 종류, 환경 및 경작지에 따른 예측 생산량을 도출하고, 상기 예측 생산량, 상기 수확량 및 상기 소비 이력 데이터에 기초한 판매량을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기는 상기 예측 생산량, 상기 수확량 및 상기 판매량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농식품에 대한 유통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는 검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alyzes the cultivation area and the yield based on big data data to derive a predicted produ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crop type, environment, and cultivated land of the agricultural food, and based on the predicted production amount, the harvest amount, and the consumption history data. Provide the sales volume to the consumer terminal,
The consumer terminal compares the predicted production amount, the harvest amount, and the sales amount, and generates a verification user interface capable of verifying the distribution reliability of the agrifoo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빅데이터 자료를 기반으로 재배 과정에 따른 상기 농식품에 대한 작물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작물 상태 정보와 상기 생산 이력 추적 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재배 과정을 비교하여 상기 농식품의 작물 상태 우수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기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농식물의 수확 전에 상기 농식품의 판매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상기 농식품을 구매할 수 있는 선주문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alyzes the crop status of the agri-food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process based on big data data, compares the analyzed crop status information with the cultivation process provided by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to determine the crop status of the agri-food. Judge excellence, provide the judgment result to the consumer terminal,
The consumer terminal generates a pre-order interface for purchasing the agri-food at a price lower than the selling price of the agri-food before harvesting the agricultural plan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빅데이터 자료를 기반으로 재배 과정에 따른 상기 농식품에 대한 작물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작물 상태 정보와 상기 생산 이력 추적 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재배 과정을 비교하여 상기 농식품의 작물 상태 우수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기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농식물의 수확 전에 상기 농식물의 재배 과정에 수반되는 자금을 펀딩하는 크라우드 펀딩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alyzes the crop status of the agri-food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process based on big data data, compares the analyzed crop status information with the cultivation process provided by the production history tracking server to determine the crop status of the agri-food. Judge excellence, provide the judgment result to the consumer terminal,
The consumer terminal generates a crowdfunding interface for funding funds accompanying the cultivation process of the agricultural plant before harvesting of the agricultural plan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배지 분양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분양된 배지에서 재배되는 농식품에 대한 재배 과정을 기설정된 주기 마다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receives a request for the sale of the badge from the consumer terminal,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 cultivation process for agri-food grown on the sold medium to the consumer terminal at preset periods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농식품에 대한 상기 구매평이 입력되거나 상기 크라우드 펀딩, 상기 선주문 및 상기 배지 분양에 대한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농식품 거래에 대한 쿠폰을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outputs a coupon for the agrifood transaction to the consumer terminal when the purchase review for the agrifood is input through the consumer terminal or when a request for the crowdfunding, the preorder, and the sale of the badge occurs.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상기 농식품을 판매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판매 서버에 상기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provides the agrifood trading platform to a sales server that provides a service for selling the agrifood online or offline.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농식품의 재배 과정에 수반되는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를 블록체인 상에 분산 저장하는 단계;
상기 농식품의 재배 상태에 따라, 상기 농식품에 대한 크라우딩 펀딩, 선주문, 배지 분양, 및 소비자 주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농식품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 선주문, 배지 분양, 및 소비자 주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소비 이력 데이터, 그리고 상기 농식품 재배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농식품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의 농식품 유통 방법.
Distributing and storing the agricultural 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accompanying the agro-food cultivation process on a blockchain;
Providing at least one of crowd funding, pre-order, badge sales, and consumer order service for the agri-food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state of the agri-food; And
Providing an agri-food transaction service based on an agri-food trading platform using consumption history data for at least one of the crowdfunding, pre-order, badge sales, and consumer order service for the agrifood, and the agri-food cultivation history data
Agro-food distribution method of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comprising a.
KR1020190036786A 2019-03-29 2019-03-29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agricultural products trading platform KR1022901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786A KR102290177B1 (en) 2019-03-29 2019-03-29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agricultural products trading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786A KR102290177B1 (en) 2019-03-29 2019-03-29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agricultural products trading plat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665A true KR20200114665A (en) 2020-10-07
KR102290177B1 KR102290177B1 (en) 2021-08-19

Family

ID=7288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786A KR102290177B1 (en) 2019-03-29 2019-03-29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agricultural products trading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177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9830A (en) * 2021-06-29 2021-10-01 浙江数秦科技有限公司 Agricultural product bidding trading system based on block chain and growth model
CN113469392A (en) * 2021-07-01 2021-10-01 浙江数秦科技有限公司 Agricultural product reservation system based on block chain
CN113538143A (en) * 2021-07-19 2021-10-22 浙江数秦科技有限公司 Vegetable supply system based on block chain technology
CN113537778A (en) * 2021-07-19 2021-10-22 浙江数秦科技有限公司 Agricultural product supply chain system based on intelligent contracts
CN113592147A (en) * 2021-07-01 2021-11-02 浙江数秦科技有限公司 Agricultural production area regulation and control system based on block chain
KR102383110B1 (en) * 2021-07-19 2022-04-08 황용희 Agricultural products management and sales platform using environmental data and agricultural products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20220075667A (en) * 2020-11-30 2022-06-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지다 a blockchain based agricultural products profiling and managing system
KR20220091878A (en) * 2020-12-24 2022-07-01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gricultural product fun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30016562A (en) * 2021-07-26 2023-02-02 이영일 System for operation of smart farm including cultivation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470A (en) 2022-06-21 2023-12-28 (주)블록체인글로벌 Method and appartus for storing transaction history and proof of onwership utilizing distributed computing for smart farm as an investment
KR20230174472A (en) 2022-06-21 2023-12-28 (주)블록체인글로벌 Method and appartus for distributing digital securities utilizing distributed computing for smart farm as an investment
KR20230174471A (en) 2022-06-21 2023-12-28 (주)블록체인글로벌 Method and appartus for allocating portion information utilizing distributed computing for smart farm as an invest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9813A (en) * 2011-10-13 2013-04-23 김태엽 System for real time monitoring service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KR20180038221A (en)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엔틱스 Smart farm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system
KR101871468B1 (en) 2017-08-02 2018-06-26 조진한 Block-chain based total system for managing history of agricultural, marine and livestock products
KR101937397B1 (en) * 2017-09-29 2019-01-11 주식회사 그린랩스 Device for providing financial aid for workers in an agricultural and stockbreeding s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9813A (en) * 2011-10-13 2013-04-23 김태엽 System for real time monitoring service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KR20180038221A (en)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엔틱스 Smart farm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system
KR101871468B1 (en) 2017-08-02 2018-06-26 조진한 Block-chain based total system for managing history of agricultural, marine and livestock products
KR101937397B1 (en) * 2017-09-29 2019-01-11 주식회사 그린랩스 Device for providing financial aid for workers in an agricultural and stockbreeding sector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667A (en) * 2020-11-30 2022-06-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지다 a blockchain based agricultural products profiling and managing system
KR20220091878A (en) * 2020-12-24 2022-07-01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gricultural product fun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3469830A (en) * 2021-06-29 2021-10-01 浙江数秦科技有限公司 Agricultural product bidding trading system based on block chain and growth model
CN113469392A (en) * 2021-07-01 2021-10-01 浙江数秦科技有限公司 Agricultural product reservation system based on block chain
CN113592147A (en) * 2021-07-01 2021-11-02 浙江数秦科技有限公司 Agricultural production area regulation and control system based on block chain
CN113469392B (en) * 2021-07-01 2024-03-19 浙江数秦科技有限公司 Agricultural product reservation system based on block chain
CN113592147B (en) * 2021-07-01 2024-04-30 浙江数秦科技有限公司 Agricultural production area regulation and control system based on block chain
CN113538143A (en) * 2021-07-19 2021-10-22 浙江数秦科技有限公司 Vegetable supply system based on block chain technology
CN113537778A (en) * 2021-07-19 2021-10-22 浙江数秦科技有限公司 Agricultural product supply chain system based on intelligent contracts
KR102383110B1 (en) * 2021-07-19 2022-04-08 황용희 Agricultural products management and sales platform using environmental data and agricultural products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CN113538143B (en) * 2021-07-19 2024-04-05 浙江数秦科技有限公司 Vegetable supply system based on block chain technology
KR20230016562A (en) * 2021-07-26 2023-02-02 이영일 System for operation of smart farm including cultivation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177B1 (en)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0177B1 (en)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agricultural products trading platform
Hutabarat et al. Costs and benefits of certification of independent oil palm smallholders in Indonesia
Chandrasekaran et al. Agribusiness supply chain management
Tadesse Market chain analysis of fruits for Gomma woreda, Jimma zone, Oromia National Regional State
Delbridge et al. Economic performance of long‐term organic and conventional cropping systems in Minnesota
Shiferaw et al. Analysis of production costs, market opportunities and competitiveness of Desi and Kabuli chickpeas in Ethiopia
CN107665449A (en) A kind of method and system of the linkage agricultural product both sides of supply and demand based on internet
Kamilaris et al. Blockchain in agriculture
KR101347514B1 (en) The prediction system for the output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method of using it
Katti et al. A block-chain based approach for food supply chain management
KR20130082894A (en) Joint purchase solution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linked to recipe open market using traditional food recipes
KR20220054916A (en) Agro-food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agri-food sales platform
Uike et al. Block Chain Integration with AI for Agriculture Product Supply Chain
Giovannucci et al. The impact of improved grades and standards for agricultural products in Zambia
Narula et al. Linking local suppliers to global food markets: a critical analysis of food safety issues in developing countries
Kumar Enhancing Export Potential of Indian Fresh Farm Produce Through Logistics and Supply Chain Innovations.
Alene et al. A framework for conceptualizing impact assessment and promoting impact culture in agricultural research
Tamene et al. Effect of rural transport infrastructure on the intensification of purchased input use for major food crop production: the case of smallholder farmers in Horro Guduru Wollega Zone, Western Ethiopia
Guo et al. Scoping study on fruits and vegetables: results from India
Shepherd Addressing the aggregation and coordination problems in smallholder-based value chains
Hossain Value chain analysis of potato in selected areas of Bogra and Munshigonj districts of Bangladesh
Sivakumar et al. Blockchain Technology for Agricultural Supply Chain Management to Enhance Farming
Simatupang et al. A New Collaborative Approach for Horticultural Supply Chain
Abdulsamad et al. Realizing the potential of African agriculture: Innovations and market access for smallholder farmers
Ilkina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decision support systems on the performance of upstream commodity cha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