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048A - Communication data auto switching system on based sns and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data auto switching system on based sns and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048A
KR20200110048A KR1020190030098A KR20190030098A KR20200110048A KR 20200110048 A KR20200110048 A KR 20200110048A KR 1020190030098 A KR1020190030098 A KR 1020190030098A KR 20190030098 A KR20190030098 A KR 20190030098A KR 20200110048 A KR20200110048 A KR 20200110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ata
data
messenger
user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0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기원
Original Assignee
남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원 filed Critical 남기원
Priority to KR1020190030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0048A/en
Publication of KR20200110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04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04L51/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SNS 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which allows a messenger counterpart to indirectly recognize the other user′s mood, recent status, and an additional communication message by processing background image data of a messenger window decorated by the corresponding user of the messenger to be automatically exchanged in order for the users to further activate communication.

Description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및 그 방법{COMMUNICATION DATA AUTO SWITCHING SYSTEM ON BASED SNS AND METHOD OF THE SAME}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and its method {COMMUNICATION DATA AUTO SWITCHING SYSTEM ON BASED SNS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유저가 소통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 메신저 상대 유저가 꾸민 메신저 창의 배경화면 데이터를 자동으로 상호 교환되도록 처리하여 상대 유저의 기분상태, 근황, 추가 소통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메신저 상대방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한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In order to enable users to communicate more in detail, the background screen data of a messenger window decorated by a messenger counterpart user is automatically exchanged so that the other user's mo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nd a method for indirectly recognizing the status, current status, and additional communication messages.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As is well known, the spread and use of portable terminals are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in recent years.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성능 향상을 통해서,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In particular, recent portable terminals have reached the stage of mobile convergence, which is not limited to their respective traditional unique areas but encompasses the areas of other terminals through performance improvement.

대표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이외에도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 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Typical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TV viewing functions (e.g., mobile broadcasting such as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music playback functions (e.g., MP3 ( Various functions such as MPEG Audio Layer-3), photo shooting function, and Internet access function are added.

더하여,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개방형 OS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의 형태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편리성과 오락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오픈 마켓의 활성화로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고성능화로 PC에서 처리하는 많은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developed into a form of smart phone that allows users to install various user functions based on an open OS, providing various convenience and entertainment. It supports to obtain applications easily, and can handle many functions processed by PC with high performance.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서비스로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인스턴트 메신저 혹은 모바일 메신저 등의 메신저 서비스와 같이 다른 사용자가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가 있다.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는, 통화 서비스에 비하여 비용이 저렴하고 직접 통화보다 간단하게 자신의 의도나 메시지를 상대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도가 매우 높으며, 최근에는 별개로 서비스되던, 다양한 방식의 메시지 서비스를 하나로 통합하며, 파일 전송, 컨텐츠 공유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통합 메시지 서비스 형태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As a service commonly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re is a message service that allows other users to exchange messages, such as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an instant messenger, or a messenger service such as a mobile messenger. These message services are inexpensive compared to call services, and because they can deliver their intentions or messages to other users more simply than direct calls, their usage is very high. Recently, various types of message services that were separately serviced It is being develop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message service in which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file transmission and content sharing can be used.

특히, 메신저 서비스는 인터넷 상에서 특정 사용자와 서로 대화(채팅)을 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 문자 및 각종 파일을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으며, 그룹 대화도 가능하다. 이러한 메신저 서비스는 웹 스토어 등에서 간단하게 메신저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메신저 프로그램을 설치한 사용자끼리 인터넷이 가능하면 언제 어디서든지 실시간 대화가 가능함에 따라 최근 급속도로 보급 및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a messenger service is a service that enables a conversation (chat) with a specific user on the Internet,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texts and various files in real time, and a group conversation is also possible. Such a messenger service is rapidly spreading and being used in recent years as a messenger program is simply downloaded and installed from a web store, and a real-time conversation is possible anytime, anywhere if the Internet is available between users who have installed the messenger program.

또한, 이러한 메신저 서비스는 부가 서비스중 하나로, 유저가 자신의 근황 정보를 게시하고, 자신의 사진을 게시하여 지인들이 열람할 수 있게 하는 별도의 서비스를 연동시켜 제공하고 있다.In addition, such a messenger service is one of the additional services, and provides a link with a separate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post their own recent information and post their own photos to allow acquaintances to read.

이러한 메신저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문자를 통해 대화 상대방과 소통을 하기 위한 서비스이지만, 소통 수단이 단지 상대방이 입력하는 문제에만 국한되어져 있으므로 직관적인 소통에 제한이 있었다.This messenger service is basically a service for communicating with a conversation partner through text messages, but since the means of communication is limited only to a problem input by the other party, intuitive communication is limited.

또한, 현대인은 기본적으로 자신을 PR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으나, 메신저 서비스에 부가 서비스로 제공되는 근황 정보 게시영역은 별도의 창을 열어서 열람해야 하므로 전체 메신저 사용자의 일부만 사용한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modern people basically have a desire to publicize themselves,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part of all messenger users are used because the recent information posting area provided as an additional service to the messenger service has to be viewed by opening a separate window.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저가 소통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 메신저 상대 유저가 꾸민 메신저 창의 배경화면 데이터를 자동으로 상호 교환되도록 처리하여 상대 유저의 기분상태, 근황, 추가 소통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메신저 상대방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한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circumstance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n order for the user to further activate communication, the background screen data of the messenger window decorated by the corresponding user of the messenger is automatically exchanged so that the other user's mood status, current statu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nd a method for indirectly recognizing an additional communication message to a messenger counterpar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특정 상대방 유저에 대한 메신저 서비스를 위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12)과; 유저별 메신저 툴에 다른 유저와 소통하기 위한 소통 데이터를 등록하는 소통데이터 등록부(14)와;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대화 상대방이 각 유저 단말기(2)에 등록한 소통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소통 데이터 송수신부(22)와; 대화 상대방 유저의 단말기(2)로부터 전송받은 상대방 소통 데이터를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소통 데이터 자동 설정부(24)와; 메신지 상대방에 대해 미리 등록한 소통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고 각 단말기에서 상대방이 등록한 소통데이터가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2)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기(2)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module 12 interlocks with a server providing a messenger ser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for a messenger service for a specific counterpart user; A communication data registration unit 14 for registering communication data for communication with other users in each user's messenger tool; A communication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2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a conversation partner in each user terminal 2 through a messenger service; A communication data automatic setting unit 24 configured to output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 of the conversation counterpart user to the terminal; SNS-based data automatic, characterized in that a user terminal (2) comprising a control unit (32) for mutually exchanging communication data previously registered with the message counterpart and controlling to automatically output the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the other party at each terminal A switching system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소통데이터는 메신저 배경화면 데이터(62a) 또는 음원 데이터(62b)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communication data is provided with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messenger background screen data (62a) and sound source data (62b).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단말기(2)는 그 내부에, 메신저 상대가 등록한 소통 데이터를 교환하여 출력시키기 위한 갱신 주기를 설정하는 갱신 주기 설정부(18)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user terminal 2 includes an update period setting unit 18 for setting an update period for exchanging and outputting the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the messenger counterpart therein. The system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단말기(2)는 그 내부에, 메신저 상대 단말기로 전송할 소통 데이터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 조작부(2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user terminal 2 is provided with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2 includes a switching operation unit 20 for manually selecting the communication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essenger counterpart terminal therein.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단말기(2)는 그 내부에, 메신저 상대방과의 메신저를 종료할 때, 메신저 상대방이 전송하여 출력한 소통 데이터를 원래 유저가 설정한 데이터로 복원시키는 데이터 복원 처리부(2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user terminal 2 includes a data restoration processing unit 26 that restores the communication data transmitted and output by the messenger counterpart to the data originally set by the user when the messenger with the messenger counterpart is terminated. There is provided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단말기(2)는 그 내부에, 메신저 내용에 포함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내용을 파악하는 내용 판단부(28)와; 상기 내용판단부(28)에서 판단된 내용에 부합되게 소통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소통 데이터를 등록하는 내용별 소통데이터 등록부(3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user terminal 2 includes a content determination unit 28 for grasping the content by using a keyword included in the message content therein;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ent-specific communication data registration unit 30 for registering communication data so that communication data can be trans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determined by the content determination unit 28.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단말기(2)는 메신저 상대방이 복수인 경우, 복수 상대방이 전송한 소통데이터를 단일 화면에 각각 구분해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한 표시데이터 분류부(74)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user terminal (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isplay data classification unit (74) capable of separately outputting the communic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plurality of parties on a single scree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essenger counterparts.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단말기(2)는 메신저 상대방이 복수인 경우, 복수 상대방이 전송한 텍스트 데이터를 서로 다른 출력영역에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출력 영역을 지정해주는 출력영역 지정부(7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user terminal 2 further includes an output area designating unit 76 for designating an output area so that text data transmitted by the plurality of parties can be divided and output in different output area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essenger counterparts. There is provided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바람직하게, 메신저 상대방 유저간 텍스트 데이터 및 소통 데이터를 중개하는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re is provided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that mediates text data and communication data between the messenger counterpart users.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는 유저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유저 정보 등록부(42)와; 유저별 지인 전화번호 정보를 등록하는 유저 지인정보 등록부(44)와; 유저별 메신저 툴에 다른 유저와 소통하기 위한 소통 데이터를 등록하는 소통데이터 등록부(46)와;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각 대화 상대방이 등록한 소통데이터를 상호 교환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중개하는 소통 데이터 중개부(52)와; 메신지 상대방에 대해 미리 등록한 소통 데이터를 상호 중개하고 자동으로 각 단말기에서 상대방이 등록한 소통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includes a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42 for registering user information; A user acquaintanc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44 for registering acquaintance phone number information for each user; A communication data registration unit 46 for registering communication data for communication with other users in each user's messenger tool; A communication data intermediary unit 52 for intermediary so that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each conversation partner can be exchanged and output through a messenger service; There is provided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rol unit 60 for intermediating communication data previously registered with the message counterpart and automatically outputting the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the counterpart in each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는 각 유저별 지인정보를 그룹별로 분류하여 등록하는 그룹분류 등록부(48)와; 어느 한 유저가 등록한 다수의 소통 데이터중, 메신저 상대방에 부합되는 소통 데이터를 추출하는 소통데이터 추출부(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comprises a group classification registration unit 48 for classifying and registering acquaintance information for each user by group;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is provided, comprising a communication data extracting unit 58 for extracting commun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a messenger counterpart from amo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a user.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는 메신저 내용에 포함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내용을 파악하는 내용 판단부(54)와; 상기 내용판단부(28)에서 판단된 내용에 부합되게 소통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소통 데이터를 등록하는 내용별 소통데이터 등록부(5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includes: a content determination unit 54 for grasping the content using keywords included in the content of the messenger;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ent-specific communication data registration unit 56 for registering communication data so that communication data can be trans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determined by the content determination unit 28.

바람직하게, 상기 메신저 상대가 등록한 소통 데이터를 교환하여 출력시킬 때, 소통 데이터의 갱신 주기를 설정하는 갱신 주기 설정부(5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re is provided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comprising an update period setting unit 50 for setting an update period of communication data when the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the messenger counterpart is exchanged and output.

바람직하게, 상기 소통 데이터의 소정부에 유저의 상세 정보를 게시한 페이지를 출력하도록 링크된 링크정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re is provided a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k information is further included to output a page on which detailed information of the user is post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data.

한편, 본 발명은 a) 제 1 유저 단말기(2a)가 특정 메신저 상대방인 제 2 유저를 지정하고 메신저 툴을 구동시키는 과정과; b) 메신저 툴의 텍스트 입력란에 내용이 입력되는 과정과; c) 제 1유저 단말기(2a)의 메신저 툴이 텍스트 데이터와 제 1유저의 소통 데이터를 제 2 유저 단말기(2b)로 전송하는 과정과; d) 제 2 유저 단말기(2b)가 제 1유저의 소통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과정과; e) 제 2 유저 단말기(2b)의 메신저 툴에 텍스트가 입력되는 과정과; f) 제 2유저 단말기(2b)의 메신저 툴이 텍스트 데이터와 제 2유저의 소통 데이터를 제 1 유저 단말기(2a)로 전송하는 과정과; g) 제 1 유저 단말기(2a)가 제 2유저의 소통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방법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 process in which a first user terminal 2a designates a second user who is a specific messenger counterpart and drives a messenger tool; b) the process of inputting content into the text input field of the messenger tool; c) a process in which the messenger tool of the first user terminal 2a transmits text data and communication data of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terminal 2b; d) the second user terminal 2b outputting the communication data and text data of the first user, respectively; e) a process of inputting text into the messenger tool of the second user terminal 2b; f) the messenger tool of the second user terminal 2b transmits text data and communication data of the second us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2a; g)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2a outputs communication data and text data of the second user, respectively,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소통데이터가 배경화면 데이터인 경우, 메신저 상대방의 소통데이터를 수신한 유저 단말기는 자동으로 해당 배경화면 데이터를 메신저 배경화면으로 설치하고; 상기 소통데이터가 음원데이터인 경우, 해당 음원데이터가 1회 출력되도록 유저 단말기가 데이터를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방법이 제공된다.Preferably, if the communication data is background screen data,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communication data of the messenger counterpart automatically installs the background screen data as a messenger background screen; When the communication data is sound source data, there is provided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drives and controls the data so that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is output once.

바람직하게, 상기 소통데이터는 각 유저가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에 등록해둔 상태에서, 메신저 대상이 확정되면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가 자동으로 각 상대방의 소통 데이터를 각각의 상대방 단말기로 중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방법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communication data is in a state in which each user has registered in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and when a messenger target is determined,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automatically stores the communication data of each counterpart. There is provided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mediated to the other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a) 과정의 이전에, 각 유저는 메신저 상대방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소통데이터를 등록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방법이 제공된다. Preferably, prior to the step a),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data based on SNS, wherein each user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gistering communication data to be transmitted to a messenger counterpart.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유저가 등록한 소통데이터가 메신저 서비스 이용시 자동으로 대화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되어 출력되게 되는 신규한 메신저 툴이 제공되어지고, 그 신규한 메신저 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내에서 서비스되면서, 각 유저간 소통을 강화할 수 있게 되어 소통방식이 다양화되고, 직관적이 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소통을 수행하고, 더 감성적으로 소통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The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a new messenger tool in which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a user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and outputted to a conversation partner terminal when using a messenger service, and the new messenger tool is While being serviced within the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communication between each user can be strengthened, so that communication methods are diversified, and by being intuitiv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and more emotionally.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the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을 통해 메신저 대화 상대방간 배경화면 스위칭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의 유저 단말기내에 설치된 화면 스위칭 앱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에 포함된 유저 소통 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에 포함된 소통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을 통한 메신저 분할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witching state of a background screen between a messenger conversation partner through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creen switching app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of an automatic SNS-based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included in the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communication data included in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 messenger segmentation configuration through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FIG.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을 통해 메신저 대화 상대방간 배경화면 스위칭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background screen switching state between a messenger conversation partner through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은 유저가 소통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 메신저 상대 유저가 꾸민 메신저 창의 배경화면 데이터를 자동으로 상호 교환되도록 처리하여 상대 유저의 기분상태, 근황, 추가 소통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메신저 상대방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한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이다.Referring to this, the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background screen data of a messenger window decorated by a corresponding user of the messenger to be automatically exchanged so that the user's mood It is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that enables the other party to recognize the status, current status, and additional communication messages indirectly.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은 유저간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메신저 상대방의 감정적 소통을 위해 상대방이 미리 설정해둔 소통데이터를 상호 교환하고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메신저 상대방과의 감정적 소통을 더 강화시키도록 한 시스템인 바, 예컨대, 그 소통데이터가 메신저 창의 배경화면인 경우라면, 메신저 상대방의 메신저 창에 설치된 배경화면 데이터들을 상호 교환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 메신저 창에서 상대방이 꾸민 메신저 배경화면이 자동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메신저를 할 수 있게 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 messenger service between users, the communication data set in advance by the other party is exchanged and automatically driven for emotional communication of the messenger counterpart. It is a system that enhances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messenger counterpart by enabling it.For example, if the communication data is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messenger window, the background screen data installed in the messenger window of the messenger counterpart can be exchanged and installed. By doing so, the messenger background screen decorated by the other party is automatically installed in the My Messenger window so that you can use the messenger.

한편, 그 소통데이터가 음원데이터인 경우라면, 메신저 상대방의 메신저 툴과 연동되게 등록된 음원데이터를 각각의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호 교환하고 구동되게 함으로써, 내 메신저 창에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상대방이 설정한 음원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mmunication data is sound source data, the registered sound source data to be linked with the messenger tool of the messenger counterpart is transmitted to each other's terminal, exchanged and operated, so that the other party can use the messenger service in my messenger window. The set sound source data can be output.

도 1을 참조하면, 제 1, 3유저가 각각 제 1, 3 유저 단말기(2a, 2c)를 이용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위해 참여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즉 제 1 유저가 메신저 상대방으로 제 3유저를 선택하거나, 또는 제 3유저가 메신저 상대방으로 제 1유저를 선택하는 경우, 메신저 창이 서로의 입력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게 공유된다.Referring to FIG. 1, when the first and third users attempt to participate for a messenger service using the first and third user terminals 2a and 2c,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user selects a third user as a messenger counterpart. Or, when the third user selects the first user as the messenger counterpart, the messenger window is shared so that the input text of each other can be displayed.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은 각 유저 단말기 즉, 제 1, 3유저 단말기(2a, 2c)에 설치된 화면 스위칭 앱(4)이 자신의 메신저 창에 설치된 배경화면 데이터(6a, 6c)를 상대방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대방의 배경화면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자동으로 자신의 메신저 창에 설치하도록 한다.At this time, in the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switching app 4 installed in each user terminal, that is, the first and third user terminals 2a, 2c, is installed on the messenger window of the user. Data (6a, 6c)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s terminal, and when the other party's background screen data is received, it is automatically installed in his or her messenger window.

그러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유저 단말기(2a)의 메신저 창의 배경화면 데이터(6a)가 제 3 유저 단말기(2c)의 메신저 창 배경화면 데이터(6c)로 변환되어 설치되게 되고, 제 3유저 단말기(2c)의 메신저 창의 배경화면 데이터(6c)가 제 1 유저 단말기(2a)의 메신저 창 배경화면 데이터(6a)로 변환되어 설치되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1, the background screen data 6a of the messenger window of the first user terminal 2a is converted to and installed as the background screen data 6c of the messenger window of the third user terminal 2c, The background screen data 6c of the messenger window of the third user terminal 2c is converted into the messenger window background screen data 6a of the first user terminal 2a and installed.

여기서, 메신저 서비스의 배경화면 데이터는 일반적인 편집 툴을 이용하여, 유저가 색상과 디자인, 이모티콘을 직접 꾸밀 수 있고, 실사 데이터를 편집해서 사용할 수 있다.Here, as the background screen data of the messenger service, a user can directly decorate colors, designs, and emoticons using a general editing tool, and can edit and use actual data.

따라서, 메신저 서비스의 배경화면 데이터에는 메신저 상대방의 감정적 소통 메세지가 담겨져 있고, 그 상대방이 꾸민 배경화면 데이터를 내 메신저의 배경화면으로 사용하면서 더 큰 감정적 소통을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background screen data of the messenger service contains an emotional communication message of the messenger counterpart, and the background screen data decorated by the other party is used as the background screen of my messenger, enabling greater emotional communication.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은 메신저 툴을 기반으로 한 소통데이터의 자동 교환 처리를 유저 단말기(2)에 설치된 화면 스위칭 앱(4)이 주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그 화면 스위칭 앱(4)은 명칭과는 달리, 스위칭 데이터가 화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소통 데이터를 상대방과 스위칭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switching app 4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 can independently perform the automatic exchange processing of communication data based on the messenger tool. Unlike the name, the screen switching app 4 is not limited to the screen, and can switch various communication data with the other party.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은 메신저 툴을 기반으로 한 소통데이터의 자동 교환 처리를 수행하는 주체가, 상기 유저 단말기(2)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가 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ject performing the automatic exchange processing of communication data based on the messenger tool is not limited to the user terminal 2, but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It may be a management server 10.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state of the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먼저, 메신저 기반의 소통 데이터 스위칭에 대한 주체가 유저 단말기라고 가정한 상태에서 설명하면, 각 유저는 메신저 상대방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소통데이터를 유저 단말기(2)에 각각 등록한다.First, assuming that the subject of the messenger-based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is the user terminal, each user registers the communication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essenger counterpart in the user terminal 2, respectively.

그 상태에서, 제 1 유저 단말기(2a)가 특정 메신저 상대방인 제 2 유저를 지정하고 메신저 툴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유저가 메신저 툴의 텍스트 입력란에 내용이 입력한다.In that state, the first user terminal 2a designates a second user who is a specific messenger counterpart and drives the messenger tool. Then, the user enters the content into the text input box of the messenger tool.

그러면, 제 1유저 단말기(2a)의 메신저 툴이 텍스트 데이터와 제 1유저의 소통 데이터를 제 2 유저 단말기(2b)로 전송한다.Then, the messenger tool of the first user terminal 2a transmits text data and communication data of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terminal 2b.

그러면, 제 2 유저 단말기(2b)가 제 1유저의 소통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를 각각 출력한다.Then, the second user terminal 2b outputs the communication data and text data of the first user, respectively.

그 상태에서, 다시 제 2 유저 단말기(2b)의 메신저 툴에 텍스트가 입력되면, 제 2유저 단말기(2b)의 메신저 툴이 텍스트 데이터와 제 2유저의 소통 데이터를 제 1 유저 단말기(2a)로 전송한다.In that state, when text is again input to the messenger tool of the second user terminal 2b, the messenger tool of the second user terminal 2b transfers the text data and the communication data of the second us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2a. send.

그러면, 제 1 유저 단말기(2a)가 제 2유저의 소통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를 각각 출력한다.Then, the first user terminal 2a outputs the communication data and text data of the second user, respectively.

이때, 상기 소통데이터가 배경화면 데이터인 경우, 메신저 상대방의 소통데이터를 수신한 유저 단말기는 자동으로 해당 배경화면 데이터를 메신저 배경화면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메신저 서비스를 종료하기 전까지 각각의 유저가 입력한 텍스트를 상호 송수신하여 출력시킨다. 만약, 상기 소통데이터가 음원데이터인 경우, 해당 음원데이터가 1회 출력되도록 유저 단말기가 데이터를 구동 제어한다.At this time, if the communication data is background screen data, the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communication data of the messenger counterpart automatically installs the background screen data as the messenger background screen and is input by each user until the messenger service is terminated. Text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each other and output. If the communication data is sound source data, the user terminal drives and controls the data so that the sound source data is output onc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소통데이터는 각 유저가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에 등록해둔 상태에서, 메신저 대상이 확정되면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가 자동으로 각 상대방의 소통 데이터를 각각의 상대방 단말기로 중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te in which each user has registered in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and when a messenger target is determined,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automatically stores the communication data of each counterpart. It can also be mediated to each other terminal.

기본적으로, 소통데이터를 자동 스위칭시키는 주체가 유저 단말기(2) 인지 아니면,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 인지에 따라서, 소통 데이터를 등록하는 위치부터가 전혀 상이해진다.Basically, depending on whether the subject that automatically switches the communication data is the user terminal 2 or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the position at which the communication data is registered is completely different.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의 유저 단말기내에 설치된 화면 스위칭 앱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creen switching app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of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에서 소통데이터를 자동 스위칭하는 주체가 유저 단말기(2)라고 가정한 상태에서 유저 단말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유저 단말기(2)는 통신망을 통해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특정 상대방 유저에 대한 메신저 서비스를 위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12)과; 유저별 메신저 툴(16)에 다른 유저와 소통하기 위한 소통 데이터를 등록하는 소통데이터 등록부(14)와;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대화 상대방이 각 유저 단말기(2)에 등록한 소통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소통 데이터 송수신부(22)가 기본적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is,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user terminal 2 is the subject that automatically switches the communication data in the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 The communication module 12 interlocks with a server providing a messenger ser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for a messenger service for a specific counterpart user; A communication data registration unit 14 for registering communication data for communication with other users in the messenger tool 16 for each user; A communication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2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a conversation partner in each user terminal 2 through a messenger service is basically configured.

따라서, 상기 유저 단말기(2)를 통해 유저는 메신저 상대방과 자동으로 소통하기 위한 소통데이터를 등록시키고, 메신저 툴(16)이 가동되어 메신저 서비스가 실행되면 자신의 소통 데이터를 상대방의 단말기로 전송한다.Therefore, through the user terminal 2, the user registers communication data for automatically communicating with the messenger counterpart, and when the messenger tool 16 is activated and the messenger service is executed, the user transmits his or her communication data to the counterpart's terminal. .

또한, 상기 유저 단말기(2)는 그 내부에, 대화 상대방 유저의 단말기(2)로부터 전송받은 상대방 소통 데이터를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소통 데이터 자동 설정부(24)와; 메신지 상대방에 대해 미리 등록한 소통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고 각 단말기에서 상대방이 등록한 소통데이터가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 includes, therein, a communication data automatic setting unit 24 configured to output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 of the counterpart user to the termina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32 that mutually exchanges the communication data previously registered with the message counterpart and controls to automatically output the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the counterpart in each terminal.

즉, 상기 유저 단말기(2)는 메신저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소통데이터를 자동으로 자신의 유저 단말기(2)에 설치한다.That is, the user terminal 2 automatically installs the communication data received from the messenger counterpart in its user terminal 2.

한편, 상기 유저 단말기(2)는 그 내부에, 메신저 상대가 등록한 소통 데이터를 교환하여 출력시키기 위한 갱신 주기를 설정하는 갱신 주기 설정부(18)가 포함되는 바, 예컨대, 유저가 소통데이터를 복수개 등록시킨 상태에서 상기 갱신 주기 설정부(18)에 2분을 설정한 상태라면 해당 유저 단말기(예컨대, 2a)는 2분 경과시 또 다른 소통데이터를 상대방 유저의 단말기(2c)로 전송하여 설치한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2 includes an update period setting unit 18 for setting an update period for exchanging and outputting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the messenger counterpart therein. For example, the user can receiv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ata. In the registered state, if 2 minutes are set in the update cycle setting unit 18,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e.g., 2a) transmits and installs another communication data to the other user's terminal 2c after 2 minutes. .

이때, 상기 유저 단말기(2)는 그 내부에, 메신저 상대 단말기로 전송할 소통 데이터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 조작부(20)가 포함되는 바, 유저는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소통데이터를 직접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 includes a switching operation unit 20 for manually selecting the communication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essenger counterpart terminal therein, and the user can manually select the communication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have.

또한, 상대방과 메신저가 종료되면 메신저 창의 배경에 설치된 상대방의 소통데이터를 원래 해당 유저의 메신저 창 배경화면으로 복구시킬 수 있는 바, 상기 유저 단말기(2)는 그 내부에, 메신저 상대방과의 메신저를 종료할 때, 메신저 상대방이 전송하여 출력한 소통 데이터를 원래 유저가 설정한 데이터로 복원시키는 데이터 복원 처리부(26)가 포함된다.In addition, when the other party and the messenger are terminated, the communication data of the other party installed in the background of the messenger window can be restored to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corresponding user's messenger window. Upon termination, a data restoration processing unit 26 for restoring the communication data transmitted and output by the messenger counterpart to data originally set by the user is includ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은 유저별로 다수의 소통데이터를 등록한 상태에서, 메신저 툴(16)을 통해 입력한 텍스트 내용에 따라서 연관된 소통데이터를 자동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이 포함되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ction to automatically transmit the related communication data according to the text content input through the messenger tool 16 whil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ata are registered for each user. Is included.

이를 위해, 상기 유저 단말기(2)는 그 내부에, 메신저 내용에 포함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내용을 파악하는 내용 판단부(28)와; 상기 내용판단부(28)에서 판단된 내용에 부합되게 소통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소통 데이터를 등록하는 내용별 소통데이터 등록부(30)가 포함된다.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2 includes a content determination unit 28 for grasping the content by using a keyword included in the message content therein; A content-specific communication data registration unit 30 for registering communication data so that communication data can be trans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determined by the content determination unit 28 is included.

내용별 소통데이터란, 메신저 텍스트의 키워드가 “슬픔”을 의미하는 키워드인 경우, 유저가 “슬픔”으로 분류해서 등록한 소통데이터중 어느 한 데이터를 유저 단말기(2)가 랜덤하게 추출하여 메신저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메신저 상대방은 본 유저의 감정상태가 어떤 지를 그 소통데이터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예측할 수 있게 된다.Communication data by content means, if the keyword of the messenger text is a keyword that means “sad”, the user terminal 2 randomly extracts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the user as “sad” and Transfer to. Accordingly, the messenger counterpart can indirectly predict the emotional state of the present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data.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에 포함된 유저 소통 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에 포함된 소통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included in the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NS-based data automa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data included in the switching system.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은 메신저 툴을 기반으로 한 소통데이터의 자동 교환 처리를 수행하는 주체가, 상기 유저 단말기(2)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가 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this, in the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ject performing the automatic exchange processing of communication data based on the messenger tool is not limited to the user terminal 2, but user communication It may be a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이 경우, 상기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는 메신저 상대방 유저단말기(2a, 2b)간 소통데이터를 등록하고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serves to register and mediate communication data between the user terminals 2a and 2b of the messenger counterpart.

보다 상세하게, 상기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는 유저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유저 정보 등록부(42)와; 유저별 지인 전화번호 정보를 등록하는 유저 지인정보 등록부(44)와; 유저별 메신저 툴에 다른 유저와 소통하기 위한 소통 데이터를 등록하는 소통데이터 등록부(46)와;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각 대화 상대방이 등록한 소통데이터를 상호 교환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중개하는 소통 데이터 중개부(52)와; 메신지 상대방에 대해 미리 등록한 소통 데이터를 상호 중개하고 자동으로 각 단말기에서 상대방이 등록한 소통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includes a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42 for registering user information; A user acquaintanc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44 for registering acquaintance phone number information for each user; A communication data registration unit 46 for registering communication data for communication with other users in each user's messenger tool; A communication data intermediary unit 52 for intermediary so that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each conversation partner can be exchanged and output through a messenger servi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60 for intermediating the communication data previously registered for the message counterpart,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o output the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the counterpart in each terminal.

상기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는 지인들과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유저별로 다수의 소통데이터를 등록해서 자동으로 그 소통데이터를 중개하는 스위칭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in performing a messenger service with acquaintances, register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ata for each user and enables the switching process to automatically mediate the communication data.

또한, 상기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는 각 유저별 지인정보를 그룹별로 분류하여 등록하는 그룹분류 등록부(48)와; 어느 한 유저가 등록한 다수의 소통 데이터중, 메신저 상대방에 부합되는 소통 데이터를 추출하는 소통데이터 추출부(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includes a group classification registration unit 48 for classifying and registering acquaintance information for each user by group;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data extraction unit 58 for extracting commun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messenger counterpart from amo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a user.

상기 그룹분류 등록부(48)는 지인을 분류한 그룹별로 차별화된 소통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룹을 분류해서 등록하는 구성인 것으로, 그룹은 통상 “친구그룹”, “거래처 그룹”, “선배 그룹”, “후배 그룹”, “손윗 친지”, “손아래 친지”등으로 구분해서 분류하도록 하며, 각 그룹별로 서로 다른 소통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The group classification registration unit 48 is a configuration that classifies and registers groups in order to transmit differentiated communication data for each group by classifying acquaintances. Groups are usually "friend group", "client group", and "senior group" Group", "junior group", "grandparents", "lower relatives", etc. are classified and classified, and different communication data can be transmitted for each group.

예컨대, 상기 소통데이터가 메신저 배경화면 데이터인 경우, “친구그룹”에 속한 특정 유저와 메신저를 할 경우, 발랄한 배경화면 데이터가 추출되어 전송되도록 하고, “손윗 친지”에 속한 특정 유저와 메신저를 행할 경우라면, 조신한 배경화면 데이터가 추출되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data is the messenger background data, when a messenger is performed with a specific user belonging to the “friend group”, the lively background screen data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and the messenger can be performed with a specific user belonging to the “grand relative”. If this is the case, it is possible to extract and transmit the rough background data.

또한, 상기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는 메신저 내용에 포함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내용을 파악하는 내용 판단부(54)와; 상기 내용판단부(28)에서 판단된 내용에 부합되게 소통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소통 데이터를 등록하는 내용별 소통데이터 등록부(56)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includes a content determination unit 54 for grasping the content by using a keyword included in the message content; A content-specific communication data registration unit 56 for registering communication data so that communication data can be transmitted in conformity with the content determined by the content determination unit 28 is included.

내용별 소통데이터란, 메신저 텍스트의 키워드가 “슬픔”을 의미하는 키워드인 경우, 유저가 “슬픔”으로 분류해서 등록한 소통데이터중 어느 한 데이터를 상기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가 랜덤하게 추출하여 메신저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메신저 상대방은 본 유저의 감정상태가 어떤 지를 그 소통데이터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예측할 수 있게 된다.With the communication data by content, when the keyword of the messenger text is a keyword that means “sad”,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randomly selects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the user as “sad”. It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messenger partner Accordingly, the messenger counterpart can indirectly predict the emotional state of the present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data.

또한, 상기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에는 상기 메신저 상대가 등록한 소통 데이터를 교환하여 출력시킬 때, 소통 데이터의 갱신 주기를 설정하는 갱신 주기 설정부(50)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includes an update period setting unit 50 for setting an update period of communication data when the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the messenger counterpart is exchanged and output.

한편, 상기 소통데이터(62)는 메신저 배경화면 데이터(62a) 또는 음원 데이터(62b)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데이터이고, 그 소통데이터(62)에 이모티콘 데이터(62c)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data 62 is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messenger background screen data 62a or the sound source data 62b, and the communication data 62 may include emoticon data 62c. .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을 통한 메신저 분할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essenger segmentation through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onfiguration of an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FIG.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은 메신저 상대방이 복수인 경우, 복수 상대방이 전송한 소통데이터를 단일 화면에 각각 구분해서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this, the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parately output the communic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plurality of parties on a single scree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essenger counterparts.

기존의 메신저 툴은 메신저 상대방이 복수명이라고 할지라도 개별적으로 메신저 창이 분할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의 메신저 툴은 대화에서 누가 소외되었는 지를 직관적으로 다른 유저들이 인식하지 못하였다.In the existing messenger tool, even if there are multiple messenger counterparts, the messenger window is not divided individually. Therefore, the existing messenger tools did not intuitively recognize who was alienated from the conversation.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메신저 창(64)이 각각 복수개의 대화명(A, B)에 해당하는 메신저 창(66a, 66b)으로 분할되어 출력된다.However, in the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senger window 64 is basically divided into messenger windows 66a and 66b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creen names (A, B) and output.

이렇듯, 각 대화명(A, B)에 해당하는 메신저 창(66a, 66b)에는 각 대화명 유저가 입력하는 텍스트 문자가 구분되어 출력되는 바, 예컨대, 대화명 C 유저의 메신저 창(64)이 각각 복수개의 대화명(A, B)에 해당하는 메신저 창(66a, 66b)으로 분할되어 출력되는 바, 대화명 A가 메신저 툴을 이용하여 “오늘 황당한 일이 있었어.”라고 입력하면, 해당 문장은 대화명 C의 메신저 창(64)중 분할되어 대화명 A에 해당하는 메신저 창(66a)에만 출력된다.As described above, text characters input by each screen name user are separated and output on the messenger windows 66a and 66b corresponding to each screen name (A, B).For example, the message screen 64 of the screen name C user is The message window (66a, 66b) corresponding to the screen name (A, B) is divided and output. If screen name A is entered as "There was something absurd today" using the messenger tool, the sentence is the messenger of screen name C. It is divided among the windows 64 and is output only to the messenger window 66a corresponding to the screen name A.

이어서, 대화명 C에 해당하는 유저가 메신저 입력창(68)에 “그래?”라는 문장을 입력하면, 해당 문장은 대화명 A에 해당하는 메신저 창(66a)과 대화명 B에 해당하는 메신저 창(66b)에 동시에 출력된다.Subsequently, when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screen name C inputs the sentence “Is it?” in the messenger input window 68, the sentence is a messenger window 66a corresponding to the screen name A and a messenger window 66b corresponding to the screen name B. Is output at the same time.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메신저 툴(16)을 통해서 어느 대화명의 유저가 대화에서 소외되는 지를 일견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소통이 강화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at a glance which user of the conversation name is alienated from the conversation through the messenger tool 16, thereby enhancing practical communication.

이를 위해, 상기 유저 단말기(2)는 메신저 상대방이 복수인 경우, 복수 상대방이 전송한 소통데이터를 단일 화면에 각각 구분해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한 표시데이터 분류부(74)가 포함되고, 복수 상대방이 전송한 텍스트 데이터를 서로 다른 출력영역에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출력 영역을 지정해주는 출력영역 지정부(76)가 더 포함된다.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2 includes a display data classification unit 74 configured to separate and output the communic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plurality of parties on a single scree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essenger counterparts. An output area designating unit 76 for designating an output area so that the transmitted text data can be divided and outputted in different output areas is further includ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은 메신저 상대방이 복수인 경우,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의 메신저 창(64)이 각각 복수개의 대화명(A, B)에 해당하는 메신저 창(66a, 66b)으로 분할되어 출력될 때, 대화명 C에 해당하는 유저 단말기(2c)의 화면에 출력되는 메신저 창(64)중, 대화명 A에 해당하는 메신저 창(66a)에는 대화명 A가 자신의 단말기에 꾸며서 등록한 소통데이터인 배경화면 데이터가 수신되어 자동으로 표시되어져 있고, 대화명 B에 해당하는 메신저 창(66b)에는 대화명 B가 자신의 단말기에 꾸며서 등록한 소통데이터인 배경화면 데이터가 수신되어 자동으로 표시되어져 있다.Meanwhile, in the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are multiple messenger counterparts, as described above, the user's messenger window 64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screen names (A, B). When divided into windows 66a and 66b and outputted, among the messenger windows 64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c corresponding to the screen name C, the screen name A is displayed on the messenger window 66a corresponding to the screen name A. The background screen data, which is the communication data decorated and registered on the terminal of the user, is received and displayed automatically, and in the messenger window 66b corresponding to the screen name B, the background screen data, which is the communication data that the screen name B decorated and registered on the own terminal, is received and automatically displayed. It is marked with.

한편, 상기 대화명별 메신저 창(66a, 66b)에는 각각 하이퍼텍스트 형태로 링크된 대화명 아이콘(70a, 70b)이 표시되어져 있는 바, 어느 한 대화명 아이콘(예컨대, A)를 클릭하게 되면, 해당 대화명의 상세 정보창(72)이 출력되고, 그 상세 정보창(72)에는 대화명 A 유저의 사진이나 글 등의 상세 정보가 게재되어져 있다.Meanwhile, the screen name icons 70a and 70b linked in the form of hypertext are displayed on the messenger windows 66a and 66b for each screen name, respectively. When one screen name icon (eg, A) is clicked, the corresponding screen name The detailed information window 72 is output, and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a picture or text of the user A is posted on the detailed information window 72.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을 통해서, 신규한 메신저 툴이 제공되어지고, 그 신규한 메신저 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내에서 서비스되면서, 각 유저간 소통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a new messenger tool is provided through the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is structure, and the new messenger tool is in the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rviced in,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communication between each user.

즉, 본 발명은 소통방식을 다양화하고, 직관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소통을 수행하고, 더 감성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iversifies th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uitively changes the communication method to perform communication quickly and accurately, and to communicate more emotionally.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thereof.

2a,2b,2c:유저단말기, 4:화면 스위칭 앱,
6a,6b,6c:메신저 창 배경화면 데이터,
10: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
14:소통데이터 등록부, 16:메신저 툴,
22:소통데이터 송수신부, 24:소통데이터 자동설정부,
28:내용판단부, 30:내용별 소통데이터 등록부.
2a, 2b, 2c: user terminal, 4: screen switching app,
6a, 6b, 6c: messenger window wallpaper data,
10: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4: communication data register, 16: messenger tool,
22: communication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24: communication data automatic setting unit,
28: Contents Judgment Department, 30: Contents Communication Data Register.

Claims (18)

통신망을 통해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특정 상대방 유저에 대한 메신저 서비스를 위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12)과;
유저별 메신저 툴에 다른 유저와 소통하기 위한 소통 데이터를 등록하는 소통데이터 등록부(14)와;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대화 상대방이 각 유저 단말기(2)에 등록한 소통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소통 데이터 송수신부(22)와;
대화 상대방 유저의 단말기(2)로부터 전송받은 상대방 소통 데이터를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소통 데이터 자동 설정부(24)와;
메신지 상대방에 대해 미리 등록한 소통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고 각 단말기에서 상대방이 등록한 소통데이터가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2)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기(2)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A communication module 12 interlocking with a server providing a messenger ser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for a messenger service for a specific counterpart user;
A communication data registration unit 14 for registering communication data for communication with other users in each user's messenger tool;
A communication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2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a conversation partner in each user terminal 2 through a messenger service;
A communication data automatic setting unit 24 configured to output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 of the conversation counterpart user to the terminal;
SNS-based data automatic, characterized in that a user terminal (2) comprising a control unit (32) for mutually exchanging communication data previously registered with the message counterpart and controlling to automatically output the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the other party at each terminal Switching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데이터는 메신저 배경화면 데이터(62a) 또는 음원 데이터(62b)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unication data is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messenger background screen data (62a) and sound source data (62b).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2)는 그 내부에, 메신저 상대가 등록한 소통 데이터를 교환하여 출력시키기 위한 갱신 주기를 설정하는 갱신 주기 설정부(18)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2) is an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update period setting unit (18) for setting an update period for exchanging and outputting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a messenger counter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2)는 그 내부에, 메신저 상대 단말기로 전송할 소통 데이터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 조작부(2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2) is a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switching operation unit (20) for manually selecting the communication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essenger counterpart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2)는 그 내부에, 메신저 상대방과의 메신저를 종료할 때, 메신저 상대방이 전송하여 출력한 소통 데이터를 원래 유저가 설정한 데이터로 복원시키는 데이터 복원 처리부(2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2 includes a data restoration processing unit 26 that restores the communication data transmitted and output by the messenger counterpart to data originally set by the user when the messenger with the messenger counterpart is terminated.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b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2)는 그 내부에, 메신저 내용에 포함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내용을 파악하는 내용 판단부(28)와;
상기 내용판단부(28)에서 판단된 내용에 부합되게 소통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소통 데이터를 등록하는 내용별 소통데이터 등록부(3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2 includes a content determination unit 28 for grasping the content by using a keyword included in the message content therein;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ent-specific communication data registration unit (30) for registering the communication data so as to transmit the communication data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determined by the content determination unit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2)는 메신저 상대방이 복수인 경우, 복수 상대방이 전송한 소통데이터를 단일 화면에 각각 구분해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한 표시데이터 분류부(74)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2) is SNS-based data,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essenger counterparts, a display data classification unit (74) capable of separately outputting the communic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multiple counterparts on a single screen is included. Automatic switching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2)는 메신저 상대방이 복수인 경우, 복수 상대방이 전송한 텍스트 데이터를 서로 다른 출력영역에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출력 영역을 지정해주는 출력영역 지정부(7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2 further includes an output area designating unit 76 for designating an output area so that text data transmitted by the plurality of parties can be divided and output in different output area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essenger counterparts.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by.
제 1항에 있어서,
메신저 상대방 유저간 텍스트 데이터 및 소통 데이터를 중개하는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for mediating text data and communication data between messenger counterpart user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는 유저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유저 정보 등록부(42)와;
유저별 지인 전화번호 정보를 등록하는 유저 지인정보 등록부(44)와;
유저별 메신저 툴에 다른 유저와 소통하기 위한 소통 데이터를 등록하는 소통데이터 등록부(46)와;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각 대화 상대방이 등록한 소통데이터를 상호 교환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중개하는 소통 데이터 중개부(52)와;
메신지 상대방에 대해 미리 등록한 소통 데이터를 상호 중개하고 자동으로 각 단말기에서 상대방이 등록한 소통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includes a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42 for registering user information;
A user acquaintanc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44 for registering acquaintance phone number information for each user;
A communication data registration unit 46 for registering communication data for communication with other users in each user's messenger tool;
A communication data intermediary unit 52 for intermediary so that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each conversation partner can be exchanged and output through a messenger service;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60) to mutually mediate the communication data previously registered for the message counterpart and automatically output the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the counterpart in each terminal.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는 각 유저별 지인정보를 그룹별로 분류하여 등록하는 그룹분류 등록부(48)와;
어느 한 유저가 등록한 다수의 소통 데이터중, 메신저 상대방에 부합되는 소통 데이터를 추출하는 소통데이터 추출부(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includes a group classification registration unit 48 for classifying and registering acquaintance information for each user by group;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munication data extracting unit 58 for extracting the commun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messenger counterpart from amo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a us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는 메신저 내용에 포함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내용을 파악하는 내용 판단부(54)와;
상기 내용판단부(28)에서 판단된 내용에 부합되게 소통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소통 데이터를 등록하는 내용별 소통데이터 등록부(5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includes a content determination unit 54 for grasping the content by using a keyword included in the message content;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ent-specific communication data registration unit (56) for registering the communication data so as to transmit the communication data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determined by the content determination unit (28).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상대가 등록한 소통 데이터를 교환하여 출력시킬 때, 소통 데이터의 갱신 주기를 설정하는 갱신 주기 설정부(5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And an update period setting unit 50 for setting an update period of the communication data when the communication data registered by the messenger counterpart is exchanged and outpu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 데이터의 소정부에 유저의 상세 정보를 게시한 페이지를 출력하도록 링크된 링크정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NS-based automatic data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k information to output a page on which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user is posted is further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data.
a) 제 1 유저 단말기(2a)가 특정 메신저 상대방인 제 2 유저를 지정하고 메신저 툴을 구동시키는 과정과;
b) 메신저 툴의 텍스트 입력란에 내용이 입력되는 과정과;
c) 제 1유저 단말기(2a)의 메신저 툴이 텍스트 데이터와 제 1유저의 소통 데이터를 제 2 유저 단말기(2b)로 전송하는 과정과;
d) 제 2 유저 단말기(2b)가 제 1유저의 소통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과정과;
e) 제 2 유저 단말기(2b)의 메신저 툴에 텍스트가 입력되는 과정과;
f) 제 2유저 단말기(2b)의 메신저 툴이 텍스트 데이터와 제 2유저의 소통 데이터를 제 1 유저 단말기(2a)로 전송하는 과정과;
g) 제 1 유저 단말기(2a)가 제 2유저의 소통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방법.
a) the first user terminal 2a designating a second user who is a specific messenger counterpart and driving the messenger tool;
b) the process of inputting content into the text input field of the messenger tool;
c) a process in which the messenger tool of the first user terminal 2a transmits text data and communication data of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terminal 2b;
d) the second user terminal 2b outputting the communication data and text data of the first user, respectively;
e) a process of inputting text into the messenger tool of the second user terminal 2b;
f) the messenger tool of the second user terminal 2b transmits text data and communication data of the second us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2a;
g)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2a) comprises a process of outputting each of the communication data and text data of the second user.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데이터가 배경화면 데이터인 경우, 메신저 상대방의 소통데이터를 수신한 유저 단말기는 자동으로 해당 배경화면 데이터를 메신저 배경화면으로 설치하고;
상기 소통데이터가 음원데이터인 경우, 해당 음원데이터가 1회 출력되도록 유저 단말기가 데이터를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If the communication data is background screen data,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communication data of the messenger counterpart automatically installs the background screen data as a messenger background screen;
When the communication data is sound source data, the user terminal drives and controls the data so that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is output onc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데이터는 각 유저가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에 등록해둔 상태에서, 메신저 대상이 확정되면 유저 소통데이터 스위칭 관리서버(10)가 자동으로 각 상대방의 소통 데이터를 각각의 상대방 단말기로 중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mmunication data is recorded in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by each user, and when a messenger target is determined, the user communication data switching management server 10 automatically transfers the communication data of each counterpart to each counterpart terminal. SNS-based data automatic switch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mediated.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의 이전에, 각 유저는 메신저 상대방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소통데이터를 등록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 데이터 자동 스위칭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Prior to the step a), the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data based on SNS, wherein each user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gistering communication data to be transmitted to a messenger counterpart.
KR1020190030098A 2019-03-15 2019-03-15 Communication data auto switching system on based sns and method of the same KR202001100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098A KR20200110048A (en) 2019-03-15 2019-03-15 Communication data auto switching system on based sns and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098A KR20200110048A (en) 2019-03-15 2019-03-15 Communication data auto switching system on based sns and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048A true KR20200110048A (en) 2020-09-23

Family

ID=7270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098A KR20200110048A (en) 2019-03-15 2019-03-15 Communication data auto switching system on based sns and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004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42932B (en)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and terminal
WO2018072741A1 (en) Task management based on instant communication message
CN105095873A (en) Picture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CN105262674A (en) Method, apparatus, server and terminal for setting privacy authority
CN107767864B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information based on voice and mobile terminal
CN101502088A (en) Interaction based on facial recognition of conference participants
JP2014170397A (en) Message system
CN104756485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2984050A (en) Method, client and system for searching voices in instant messaging
CN105530165A (en) Instant chat method and device
US20030041092A1 (en) System amd method for providing chatting service as well as contents by using network
CN110460514A (en) Message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the equipment of instant messaging tools
JP2021506034A (en) Servers and user terminals that support the management of social networks
US9332406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pdating contact information
CN112235179B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topics in instant messaging and instant messaging tool
CN105515948A (en) Instant messaging method and device
US20150379471A1 (en) Management system for transmission of electronic business card based on telephone number linkage and method therefor
KR20130062799A (en) Method for managing keyword information server
CN110120909B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12751681B (en) Image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WO2021031941A1 (en) Session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user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2123159A (en) Social website cross-platform sharing metho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200110048A (en) Communication data auto switching system on based sns and method of the same
US20190260705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vering computerized connections between persons and generating computerized introductions
KR20170092433A (en) Method for providing messenger Services based location in con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