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009A - Method for Recover an Error of Control Module of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cover an Error of Control Module of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009A
KR20200110009A KR1020190029967A KR20190029967A KR20200110009A KR 20200110009 A KR20200110009 A KR 20200110009A KR 1020190029967 A KR1020190029967 A KR 1020190029967A KR 20190029967 A KR20190029967 A KR 20190029967A KR 20200110009 A KR20200110009 A KR 20200110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odule
machine room
mode
storage sys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9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일송
강태경
이경수
이동훈
김효성
백인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9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0009A/en
Priority to CN202010175552.1A priority patent/CN111691123A/en
Publication of KR20200110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0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4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heat pumps, e.g. pressure or flow r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a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includes a first control module (401), a second control module (402), and a memory unit (410). When an error of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s confirmed, the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includes: (a10) a step that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s initialized (S100); (a11) a step that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loads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memory unit (410) (S110); and (a12) a step that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by using the control information loaded in step (a11) (S110) (S120). When the error of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s confirmed, the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includes: (b10) a step that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s initialized (S200); (b11) a step that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requests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S210); (b12) a step that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receives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S220); and (b13) a step that an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using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n the (b12) step (S220) (S230).

Description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Method for Recover an Error of Control Module of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Method for Recover an Error of Control Module of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마이컴인 제1제어모듈 및 제2제어모듈을 사용하며, 이들 각각에서 오류가 발생될 경우, 복구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상호 상이하게 구성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a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more specifically, using two microcomputers, a first control module and a second control module, and when an error occurs in each of these, an algorithm for performing recovery It relates to a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a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that improves the stability of the system by configuring differently from each other.

최근 미세먼지농도가 악화됨에 따라 실내공간의 공기질 뿐만 아니라, 실외 및 실내에 부유하는 각종 오염물질이 달라붙을 수 있는 의류, 신발, 이불 등의 처리 및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의류, 신발, 이불 등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Recently, as fine dust concentrations have deteriorated, interest in th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clothes, shoes, and blankets, which may adhere to various pollutants floating outdoors and indoors, as well as air quality in indoor spaces is increasing. Accordingly, devices for removing pollutants and managing clothes, shoes, and blankets are being developed, and demand for devices having various functions related thereto is increasing.

일반적으로, 의류관리장치는 먼지털기, 가습, 제습 및 마무리과정을 거쳐 의류를 클리닝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먼지털기, 가습, 제습 및 마무리단계는 의류관리장치 내에 구비된 마이크로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 함)에 의해 제어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관리장치의 기계실에 구비된 송풍팬, 히트펌프모듈 등과 같은 전자기기들을 마이컴이 제어하여 의류를 클리닝하도록 구성된다. In general,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is configured to clean clothes through dusting, humidification, dehumidification and finishing processes. These dusting, humidification, dehumidification and finishing steps are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microcomputer') provided in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 blower fan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and heat. It is configured to clean clothes by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pump module by the microcomputer.

마이컴은, 컴퓨터의 연산 처리부를 1개 또는 수개의 대규모 집적회로(LSI)로 구성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기억장치 및 주변장치와의 인터페이스 회로 등을 붙인 보드에 탑재한 극소형 컴퓨터라고 할 수 있으며, 각종 제어신호 및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각종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컴은 전자제품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알고리즘과 각종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특정 입력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이를 처리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A microprocessor is a microprocessor composed of one or several large-scale integrated circuits (LSIs) of the computer's operation processing unit, and a microcomputer that is mounted on a board with a memory device and an interface circuit with peripheral devices attached thereto. It is possible to control various devices that receive control signals and electric signals and drive them by receiving electric signals. Such a microcomputer may store a plurality of algorithms and various data to directly control an electronic product, and is provid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by processing a specific input signal whenever it is received.

예를 들어, 의류관리장치에 구비된 마이컴은, 의류관리장치를 작동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된 알고리즘이나 데이터의 연산에 의해 송풍팬, 히트펌프모듈 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여 의류를 클리닝시키는 전반적인 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For example, a microcomputer provided in a clothing management device cleans clothing by outputting a signal to control a blower fan, a heat pump module, etc. by calculating a stored algorithm or data when a command to operate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is input. You will perform the overall administration.

한편, 마이컴은 반복되는 연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산오류나, 노이즈, 잘못된 신호의 입력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오작동을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컴은 시스템 다운과 같이 서징(surging)되어 외부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외부신호에 반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의도된 신호와 전혀 다른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폭주현상을 일으키는 등의 오작동 상태에 빠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컴의 오작동 상태 발생될 경우, 마이컴이 설치된 전자기기 및 이를 포함한 각종 장치를 정상적으로 제어하거나 작동시킬 수 없는 바, 이를 감지하고 정정할 필요가 있다. Meanwhile, the microcomputer may malfunction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an operation error, noise, input of an incorrect signal, etc. that may occur during a repetitive operation process. For example, the microcomputer may not receive external signals or respond to external signals due to surging such as system down, causing a runaway phenomenon that generates an output signal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intended signal. You may fall into a malfunctioning state of the device. Accordingly, when a malfunction occurs in the micom, th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micom is installed and various devices including the same cannot be normally controlled or operated, and thus it is necessary to detect and correct it.

마이컴의 오작동 상태를 점검하고 이를 복구하는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997-0071209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마이컴 작동감시 제어장치'로서, 외부 워치독 타이머부를 구비하며, 마이컴의 정상작동 회복시 자동적으로 마이컴이 초기화되는 제어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 종래기술은 단일의 마이컴을 이용하는 구성인 바, 이러한 마이컴의 오작동 발생시 이를 대체할 수단이 없으므로, 시스템의 안정성 유지 측면에서 매우 낮은 문제가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7-0071209 is disclosed as a prior art for checking and recovering the malfunction of the microcomputer. The prior art discloses a control device that includes an external watchdog timer unit as a'microcomputer operation monitoring control device' and automatically initializes the microcomputer when the microcomputer recovers from normal operation. However, since the prior art is a configuration using a single microcomputer, there is no means to replace the microcomputer when a malfunction occurs, and thus there is a very low problem in terms of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the system.

이에 따라, 최근에는 복수의 마이컴을 사용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특정 마이컴의 오작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의류처리장치가 작동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hat improves the stability of the system by controlling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using a plurality of micoms, and enables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to operate normally even when a specific micom malfunction occurs. .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997-0071209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7-00712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마이컴 오류를 보다 안정적으로 복구시킬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구성과 이를 이용한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that can more stably recover a microcomputer error of a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and a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의 오류복구방법을 수행하면서, 이러한 오류발생이 수납실 및 기계실의 작동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수납실에 보관된 의류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addition, while performing the error recovery method of the control module of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the control module error to minimize the effect of such errors on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room and machine room, and to reliably protect the clothes stored in the storage room. I would like to propose a recovery metho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으로서,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은 제1제어모듈(401), 제2제어모듈(402) 및 메모리부(4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모듈(401)의 오류가 확인되는 경우, (a10) 상기 제1제어모듈(401)이 초기화되는 단계(S100); (a11) 상기 제1제어모듈(401)이 상기 메모리부(410)로부터 제어정보를 로딩하는 단계(S110); 및 (a12) 상기 제1제어모듈(401)이, 상기 (a11) 단계(S110)에서 로딩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제어모듈(402)에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120);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모듈(402)의 오류가 확인되는 경우, (b10) 상기 제2제어모듈(402)이 초기화되는 단계(S200); (b11) 상기 제2제어모듈(402)이 상기 제1제어모듈(401)에 상기 제어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210); (b12) 상기 제2제어모듈(402)이 상기 제1제어모듈(401)로부터 상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20); 및 (b13) 상기 (b12) 단계(S220)에서 상기 제2제어모듈(402)이 수신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30); 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a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wherein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comprises a first control module 401, a second control module 402, and a memory unit 410. And, when an error of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s confirmed, (a10) initializing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S100); (a11)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loading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memory unit 410 (S110); And (a12) transmitting, by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an operation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by using the control information loaded in step (a11) (S110) (S120). Including, when the error of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s confirmed, (b10) step of initializing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S200); (b11)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requesting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S210); (b12) receiving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by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S220); And (b13)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by using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n step (b12) (S220) (S230). It provides a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comprising a.

또한, 상기 제1제어모듈(401)은 조작부(6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s a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610.

또한,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은 수납실(100) 및 기계실(20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기계실(200)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기계실(200)을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의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includes a storage room 100 and a machine room 200, the control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chine room 200, the operation signal to operate the machine room 20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signal of an order for.

또한, 상기 (a12) 단계(S120)는, (a12-1) 상기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제어모듈(401)이 복구되는 단계(S121); (a12-2) 상기 제1제어모듈(401)이 상기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계실(200)이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 수행 중인지 확인하는 단계(S122); (a12-3) 상기 (a12-2) 단계(S122)에서, 상기 기계실(200)이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 수행 중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제어모듈(401)이 상기 제2제어모듈(402)에 상기 기계실(200)의 강제제습모드 수행에 대한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123); 및 (a12-4) 상기 제2제어모듈(402)에 의해 상기 기계실(200)의 강제제습모드에 대한 동작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기계실(200)의 강제제습모드가 수행되는 단계(S124);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12) step (S120) may include (a12-1) the step of recovering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using the control information (S121); (a12-2)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using the control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machine room 200 is performing a humidification mode or a dehumidification mode (S122); (a12-3) In the (a12-2) step (S122),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achine room 200 is performing the humidification mode or the dehumidification mode,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s the second control module (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for performing the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of the machine room 200 to 402 (S123); And (a12-4)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for a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of the machine room 200 by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to perform a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of the machine room 200 (S124).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또한, 상기 (a12-4) 단계(S124)에서 수행되는 상기 기계실(200)의 강제제습모드는, 제습세기 또는 상기 강제제습모드 수행시간이 가변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습세기 또는 상기 강제제습모드 수행시간은 상기 기계실(200)의 가습모드 수행시간에 의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of the machine room 200 performed in step (a12-4) (S124) is formed such that the dehumidification strength or the execution time of the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is variable, and the dehumidification strength or the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is per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time depend on the operation time of the humidification mode of the machine room 200.

또한, 상기 (a12-2) 단계(S122)에서, 상기 기계실(200)이 대기상태로 확인된 경우, 상기 기계실(200)을 대기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a12-2) step (S122),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achine room 200 is in the standby state,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machine room 200 in the standby state.

또한, 상기 (b13) 단계(S230)는, (b13-1) 상기 제2제어모듈(402)은 상기 제어정보를 통해, 상기 기계실(200)이 동작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31); 및 (b13-2) 상기 (b13-1) 단계(S231)에서, 상기 기계실(200)이 동작 중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기계실(200)의 동작을 계속 수행하도록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32);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13) step (S230), (b13-1)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through the control information,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machine room 200 is operating (S231); And (b13-2) in the (b13-1) step (S23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chine room 200 is in operation,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to continue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room 200 (S232).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또한, 상기 제어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계실(200)의 모드정보; 상기 모드의 잔여시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모드가 시계열적으로 결합되어 수행되는 코스정보; 를 포함하며, 상기 (b13-2) 단계(S232)의 동작신호는, 상기 제2제어모듈(402)의 오류 확인시 상기 기계실(200)의 수행 중이었던 모드의 잔여시간정보; 및 상기 기계실(200)의 수행 중이던 코스의 잔여모드정보; 에 관한 전기적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mode information of the machine room 200; Remaining time information of the mode; And course information performed by combining at least one of the modes in a time series. Including, the operation signal of the step (b13-2) (S232), the remaining time information of the mode in which the machine room 200 was being executed when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checks an error; And residual mode information of the course being performed in the machine room 200; It is preferably an electrical signal related to.

또한, 상기 (b13-1) 단계(S231)에서, 상기 기계실(200)이 대기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b13-2) 단계(S232)에서, 상기 기계실(200)은 대기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achine room 200 is in the standby state in step (b13-1) (S231), the machine room 200 continues in the standby state in step (b13-2) (S232). It is desirable to maintain.

또한, 상기 메모리부(410)는, 상기 제2제어모듈(402)로부터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제2제어모듈(402)은, 기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상기 메모리부(410)에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기계실(200)의 모드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메모리부(410)에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memory unit 410 receives and stores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stores the control information in the memory unit 410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control information to the memory unit 410 whenever the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or the mode of the machine room 200 is changed.

또한, 상기 (b13-2) 단계(S232)에서의 동작신호는, 상기 기계실(200)의 수행 중이었던 모드의 보상동작신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상동작신호는, 상기 모드의 가습세기 또는 제습세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signal in the step (b13-2) (S232) further includes a compensation operation signal of the mode in which the machine room 200 is being executed, and the compensation operation signal is the humidification strength or dehumidification of the mode. It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intensity.

또한, 상기 제1제어모듈(401) 및 제2제어모듈(402)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프로토콜 방식으로 상호 통신하며, 상기 제2제어모듈(402)에서 상기 제1제어모듈(401)로 상기 제어정보를 요청할 때, 상기 제2제어모듈(402)의 송신신호가 상기 제1제어모듈(401)의 프로토콜에 매칭되지 않는 경우, (c1) 상기 제1제어모듈(401)에서, 상기 제2제어모듈(402)의 송신신호를 무효값으로 처리하는 단계(S310); (c2) 상기 제2제어모듈(402)이 상기 제1제어모듈(401)로 상기 제어정보를 재요청하는 송신신호를 재전송하되, 기설정된 횟수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1제어모듈(401)에서 상기 송신신호를 유효값으로 처리할 때까지 재전송하는 단계(S320); 및 (c3) 상기 (c2) 단계(S320)에서, 상기 제2제어모듈(402)로부터 상기 제1제어모듈(401)로 상기 송신신호의 재전송 횟수가 상기 기설정된 횟수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제어모듈(401) 또는 제2제어모듈(402) 중 어느 하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S330);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are formed to enable communication using an electrical signal,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 protocol manner,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When requesting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module 401, when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does not match the protocol of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c1) the first control module ( In 401), processing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as an invalid value (S310); (c2)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retransmits a transmission signal for re-requesting the control information to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but within a range of a preset number,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Re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signal until processing the transmission signal as a valid value (S320); And (c3) in the (c2) step (S320), when the number of retransmissions of the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to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exceeds the range of the preset number, Initializing one of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or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S33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또한, 상기 제1제어모듈(401) 및 메모리부(410)는 상기 수납실(100) 측에 구비되고, 표시패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모듈(402)은 상기 기계실(200)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and the memory unit 410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room 100 and further include a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achine room 200.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

본 발명은 2개의 마이컴을 사용함과 동시에, 상호 통신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유저인터페이스의 구성을 자유롭게 그리고 탄력적으로 확대하거나 축소가능한 바, 확장성 및 호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wo microcomputers and configuring them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interface can be freely and flexibly expanded or contracted, thereby exhibiting an effect of increasing expandability and compatibility.

또한, 제1제어모듈 및 제2제어모듈의 오류확인시 오류복구방법을 상호 상이하게 형성하는 바, 조작부를 구비하는 제1제어모듈과 기계실을 제어하는 제2제어모듈에 안정성 측면에서 최적화된 오류복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are checked for errors, the error recovery method is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nd the error is optimized in terms of stability in the first control module having an operation unit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controlling the machine room. Can provide recovery method.

이에 더하여, 기계실이 임의의 모드로 동작 중에 오류가 발생될 경우, 제2제어모듈이 제1제어모듈과 연계된 구성인 바, 안정적으로 기계실 동작을 매우 짧은 시간내에 복구시킴으로써, 수납실에 보관된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n error occurs while the machine room is operating in an arbitrary mode, the second control module is a configuration linked to the first control module. By stably recovering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room within a very short time, it is stored in the storage room. It can prevent damage to clothing.

도 1은 본 발명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에 사용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에 사용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가습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은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에 사용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습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은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에 사용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공기청정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중 제1제어모듈의 오류가 확인된 경우의 오류복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중 제1제어모듈의 오류가 확인된 경우의 오류복구방법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중 제2제어모듈의 오류가 확인된 경우의 오류복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중 제2제어모듈의 오류가 확인된 경우의 오류복구방법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중 제1제어모듈 및 제2제어모듈 사이의 통신 문제가 발생될 경우의 오류복구방법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used in a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humidification mode of the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used in the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3 is a schematic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dehumidification mode of a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used in a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a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4 is a schematic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 cleaning mode of a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used in a method for recovering a control module error of a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rror recovery method when an error of the first control module is confirmed among the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rror recovery method when an error of the first control module is confirmed among the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rror recovery method when an error of a second control module is confirmed among the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rror recovery method when an error of a second control module is confirmed among the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rror recovery method when a communication problem occurs between the first control module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among the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설명을 위해, 수납실에 의류가 보관되어 클리닝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수납실에는 의류 이외에도, 침구류, 인형 등과 같이, 주기적인 클리닝이 필요한 물품들은 모두 수납되어 클리닝될 수 있음을 미리 명시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ereinafter, for the description of the'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it is described based on that clothes are stored and cleaned in the storage room.However, in the storage room, all items requiring periodic cleaning, such as bedding and dolls, in addition to clothing are stored. Specify in advance that it can be cleaned.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코스'는 '모드'의 상위개념으로써, 예로, '의류관리코스'는 '전처리모드', '가습모드', '제습모드' 및 '후처리모드'가 시계열적으로 연결된 개념이다. 사용자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모드'만을 선택할 수도 있다. In addition,'course' used below is a higher concept of'mode'. For example,'clothing management course' includes'pre-treatment mode','humidification mode','dehumidification mode', and'post-treatment mode' in time series. It is a connected concept. The user can select'Course' and only'Mode'.

1. 다기능 수납 시스템 구조의 설명 1.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은 수납실(100), 기계실(200), 재순환모듈(300), 메모리부(410), 제어모듈(401, 402)을 포함한다. 1 to 3,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room 100, a machine room 200, a recirculation module 300, a memory unit 410, and control modules 401 and 402.

수납실(100)은 의류 등이 수납되어 오염물질이나 악취물질 등을 제거하는 공간이다. 이를 위하여 수납실(100) 내부는 고온으로 상승한 후 자연가습공기가 순환공기로서 유입되어 순환될 수 있다. 수납실(100)의 내측에는, 하부면에 순환필터 탈착부(미도시), 순환공기 유입구, 순환공기 유출구가 위치한다. 순환필터 탈착부는, 기계실(200)에 위치하는 순환필터유닛(229)의 수리, 교체 등을 위해 이를 손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개구이다. The storage room 100 is a space in which clothes, etc. are accommodated to remove pollutants or odor substances. To this end, after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hamber 100 rises to a high temperature, natural humidified air may be introduced and circulated as circulating air. Inside the storage chamber 100, a circulation filter detachable part (not shown), a circulation air inlet, and a circulation air outlet ar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The circulation filter detachable part is an opening provided to easily detach and detach the circulation filter unit 229 located in the machine room 200 for repair or replacement.

순환공기 유입구(미도시)와 순환공기 유출구(미도시)는, 각각 수납실(100) 내측의 순환공기가 기계실(200)로부터 유입되고 유출되는 개구이다. 순환공기 유입구는 팬유닛(230)과 연통되어 기계실(200)에서 상기 수납실(100)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고, 순환공기 유출구는 수납실(100)에서 기계실(200) 방향으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수납실(100) 내의 순환공기 유입구와 연통된 부분은,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순환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수납실(100)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수납실(100) 내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된다(수직 방향이 아닌, 비스듬하게 토출되는 것을 의미함). 이에 따라, 순환공기 유입구로부터 토출되는 순환공기가 수직한 방향일 때보다, 수납실(100) 내에 수납된 의류 등과 더 넓은 면적으로 접촉함으로써 클리닝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circulating air inlet (not shown) and the circulating air outlet (not shown) are openings through which circulating air inside the storage chamber 100 flows in and out of the machine room 200, respectively. The circulating air inlet is communicated with the fan unit 230 so that air is discharged from the machine room 200 to the storage room 100, and the circulating air outlet is configured to allow air to flow from the storage room 100 to the machine room 200. It is formed to be circulated. In addition, the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circulating air inlet in the storage chamber 100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so that the air introduced from the circulating air inlet is at a predetermined angl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100. And is formed to be discharged into the storage chamber 100 (meaning that it is discharged obliquely, not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clean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contacting clothes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100 with a larger area than when the circulating air discharged from the circulating air inlet is in a vertical direction.

기계실(200)은 '의류관리코스'에서 수납실(100)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고 여과한 후 자연가습공기를 순환공기로서 유출함으로써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하는 공간이다. 기계실(200)은 흡기구(210), 제1유로(220), 팬유닛(230), 제2유로(240), 배기구(250), 제습부(260), 공급수조(270) 및 응축수조(280)를 포함한다. The machine room 200 is a space that circulates air by introducing and filtering air from the storage room 100 in the'clothing management course' and then outflowing natural humidified air as circulating air. The machine room 200 includes an intake port 210, a first channel 220, a fan unit 230, a second channel 240, an exhaust port 250, a dehumidifying unit 260, a supply tank 270, and a condensate tank ( 280).

흡기구(210)는 외기를 기계실(200) 내부로 흡입하는 부분이다. 배기구(250)는 제2유로(240)로부터 여과된 외기를 전달받아 외부로 토출하는 부분이다. 선택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흡기구(210)에는 청정필터유닛 탈착부(미도시)가 위치하여 청정필터유닛(219)이 위치할 수 있다. 청정필터유닛(219)은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다른 코스인 '공기청정모드'에서 흡입되는 외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하며, 프리필터, 헤파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intake port 210 is a part that sucks outside air into the machine room 200. The exhaust port 250 is a part that receives the filtered outside air from the second flow path 240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It can be open or closed depending on your choice. A clean filter unit detachment part (not shown) is located in the intake port 210 so that the clean filter unit 219 may be located. The clean filter unit 219 functions to filter outside air sucked in the'air clean mode', which is another course of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and may include a pre-filter, a HEPA filter,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유로(220)는 흡기구(210), 제2유로(240) 및 팬유닛(230)과 연통시킨다. 제1유로(220) 내측에 순환필터유닛(229)이 위치한다. 순환필터유닛(229)은 순환공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순환필터유닛(229)은 가습필터를 포함할 수 있어서, 공급수조(270)에 저류된 물이 가습필터에 공급되면, 순환공기가 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공급되어 자연가습공기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도어(미도시)를 열고 순환필터 탈착부(미도시)에 접근하여 순환필터유닛(229)을 탈거하거나 장착할 수 있다. The first flow path 220 communicates with the intake port 210, the second flow path 240, and the fan unit 230. A circulation filter unit 229 is located inside the first flow path 220. The circulation filter unit 229 may function to filter circulating air. The circulation filter unit 229 may include a humidification filter, so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supply water tank 270 is supplied to the humidification filter, moisture is supplied during the passage of the circulation air to form natural humidified air. The user can remove or install the circulation filter unit 229 by opening a door (not shown) and accessing the circulation filter detachment unit (not shown).

팬유닛(230)의 동작으로, 수납실(100) 내부의 공기가 순환공기 유출구(142)를 통해 제2유로(240)에 유입되고, 다시 제1유로(220)에 유입되어 팬유닛(230)을 향한다. 이 과정에서, 공기는 순환필터유닛(229)의 가습필터를 통과하여 자연가습공기가 된다. 이는 다시 제2유로(240)를 통과하여 순환공기 유입구를 통해 수납실(100)에 공급된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수납실(100)과 기계실(200) 사이에서 순환공기가 지속적으로 순환한다. 순환공기는 수납실(100)에서 오염물질 또는 악취물질을 포함하게 되는데 이들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By the operation of the fan unit 230, the air inside the storage chamber 100 flows into the second flow path 240 through the circulating air outlet 142, and flows back into the first flow path 220, so that the fan unit 230 ). In this process, air passes through the humidification filter of the circulation filter unit 229 to become natural humidified air. It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40 again and is supplied to the storage chamber 100 through the circulating air inlet. As this process is repeated, circulating air continuously circulates between the storage room 100 and the machine room 200. The circulating air contains pollutants or odorous substances in the storage chamber 100, but since they are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is provided to the user.

제2유로(240)는 팬유닛(230)으로 부터 여과된 외기 또는 순환공기를 공급받는다 제2유로(240)는 수납실(100) 및 배기구(250)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며, 그 제어를 위해 제1유로전환부재(241)와 제2유로전환부재(242)를 포함한다. 제1유로전환부재(241)와 제2유로전환부재(242)는 페어링되어 작동하여 유로를 변경한다. 일실시예에서 제1유로전환부재(241)와 제2유로전환부재(242)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부재일 수 있으나, 선택적으로 유로를 변경하는 어떠한 메커니즘이 채택되어도 무방하다. The second flow path 240 receives filtered outside air or circulating air from the fan unit 230. The second flow path 240 is selectively communicated with any one of the storage chamber 100 and the exhaust port 250, and It includes a first flow path switching member 241 and a second flow path switching member 242 for control. The first flow path conversion member 241 and the second flow path conversion member 242 are paired and operated to change the flow path. In one embodiment, the first flow path conversion member 241 and the second flow path conversion member 242 may be members that rotate about an axis, but any mechanism for selectively changing the flow path may be adopted.

제습부(260)는 수납실(100)을 유동하는 순환공기를 제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습부(260)는 예를 들어 히트펌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습부(260)가 제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열은 버려지지 않고, 의류관리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습부(260)가 제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수납실(100)이 섭씨 50 내지 70도 정도로 가열된 이후 순환공기 유입구를 통해 제2유로(240)로부터 상온의 순환공기를 유입받아, 의류 등의 오염물질 내지 악취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습부(260)가 제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 순환필터유닛(229)의 가습필터에 공급되거나, 또는 공급수조(270)와 가습필터를 연결하는 튜빙에 제공되어, 순환공기기능을 하는 자연가습공기를 가열할 수도 있다. 전술한 온도는 예시이며, 여기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습부(260)와 순환필터유닛(229)(즉, 가습필터)은 서로 방해되지 않도록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The dehumidifying unit 260 performs a function of dehumidifying circulating air flowing through the storage chamber 100. The dehumidifying unit 260 may be, for example, a heat pump, but is not limited thereto. Heat may be generated while the dehumidifying unit 260 performs dehumidification, but such heat is not wasted and may be used in clothing management. For example, after the storage chamber 100 is heated to about 50 to 70 degrees Celsius using heat generated during the dehumidification process by the dehumidifying unit 260, the room temperature is circulated from the second flow path 240 through the circulating air inlet. By receiving air, contaminants such as clothing or odorous substances can be removed. For another example, as described above, hea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ehumidifying by the dehumidifying unit 260 is supplied to the humidifying filter of the circulation filter unit 229 or to the tubing connecting the supply water tank 270 and the humidifying filter.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o heat natural humidified air that functions as circulating ai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bove-described temperature is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In addition, only one of the dehumidifying unit 260 and the circulation filter unit 229 (ie, a humidifying filter) may be selectively operat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공급수조(270)는 순환필터유닛(229)에 구비된 가습필터에 공급되어야 하는 물을 저류한다. 이를 위해 순환필터유닛(229)과 튜빙으로 연결된다. 응축수조(280)는 수납실(10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모아서 저류하거나, 또는 수납실(100)에서 생성된 포화습공기가 기계실(200)의 제1유로(220) 또는 제2유로(240) 등으로 유입되어 응축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모아서 저류한다. 이를 위해, 수납실(100) 및/또는 제1유로(220) 및/또는 제2유로(220)와 튜빙으로 연결된다. 물을 채우거나 채워진 응축수를 버리기 위하여, 사용자의 공급수조(270) 및 응축수조(280) 모두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ly water tank 270 stores water to be supplied to the humidification filter provided in the circulation filter unit 229. To this end, it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filter unit 229 through tubing. The condensed water tank 280 collects and stores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storage room 100, or the saturated humid air generated in the storage room 100 is the first flow path 220 or the second flow path 240 of the machine room 200 It collects and stores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lowing into and condensing. To this end, the storage chamber 100 and/or the first flow path 220 and/or the second flow path 220 are connected by tubing. In order to fill with water or discard the filled condens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can easily access both the supply water tank 270 and the condensate water tank 280.

기계실(200)은 수납실(100)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도 위치할 수 있으나, 수납실(100)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실(100)에서 응축되는 응축수 또는 포화가습공기가 자중에 의해 기계실(200)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응축수조(28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The machine room 200 may be located in an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orage room 100, but it is preferable to be located under the storage room 100. This is because the condensed water or saturated humidified air condensed in the storage room 100 can be introduced into the machine room 200 by its own weight, and thu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densed water tank 280.

재순환 모듈(300)은 순환공기의 순환에 도움을 준다. 재순환 모듈(300)이 수납실(100) 상측에서 순환공기를 재순환해주므로 수납실(100) 전체에 걸쳐 대류현상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기계실(200)의 동작여부와 독립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수납실(100) 내부에 수납된 의류 등의 오염물질 제거를 위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3에는 재순환모듈(300)이 구비된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재순환모듈(300)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재순환모듈(300)이 구비되었다고 할지라도, 팬유닛(230)의 동작시 재순환모듈(300)은 동작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recirculation module 300 helps circulation of the circulating air. Since the recirculation module 300 recirculates the circulating air from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room 100, the convection phenomenon is made more smoothly throughout the storage room 100. In addition, by operating independently of whether or not the machine room 200 is operated, it may be operated to remove contaminants such as clothes stored in the storage room 100. 1 to 3 are shown on the basis of the state in which the recirculation module 300 is provided,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recirculation module 300 may not be provided. In addition, even if the recirculation module 300 is provided, the recirculation module 300 does not operate when the fan unit 230 is operated, and may be formed to operate independently.

메모리부(410)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메모리부(41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메모리를 저장할 수 있는 형태이면,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은 제어모듈(410, 402)에 의해 정보의 쓰기 및 삭제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는 메모리부(410)와 제어모듈(401, 402)을 분리된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기능적인 분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물리적인 분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부(410)와 제어모듈(401, 402)는 구현되는 시스템 및 기기에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emory unit 410 is a space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The memory unit 410 may include an EEP-ROM (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is a type capable of storing a memory. In the EEP-ROM, information may be written and deleted by the control modules 410 and 402. The EEP-ROM may be composed of a non-volatile memory in which information stored therein is not erased and maintained even when power supply is stopped due to power off.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memory unit 410 and the control modules 401 and 402 have been described as separate configurations, but this refers to functional separation, not physical separation. The memory unit 410 and the control modules 401 and 402 may be integrally formed according to the implemented system and device.

제1제어모듈(401)은 조작부(6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듈이다. 사용자는 원하는 코스 또는 모드를 선택하여 조작부(610)에 입력하면 제1제어모듈(401)은 제2제어모듈(402)에 동작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610)는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도어부(600) 외면에 구비된다. 또한, 현재 동작 중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s a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610.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course or mode and inputs it to the operation unit 610,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s configured to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As shown in FIG. 1, the operation unit 61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unit 600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s input oper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visually inform the user of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currently in operation, a display panel is provided, and the display panel may be formed to enable user input through a touch method.

제2제어모듈(402)은 기계실(200) 내에 위치된 구성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모듈이다. 제1제어모듈(401)로부터 동작신호를 수신한 제2제어모듈(402)은 기계실(200) 내의 구성들에 전기적으로 명령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이들을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류관리코스를 선택하면, 이는 제1제어모듈(401)에 의류관리코스 선택이 입력된 것을 의미하며, 제2제어모듈(402)은 제1제어모듈(401)로부터 의류관리코스를 구성하는 전처리모드, 가습모드, 제습모드 및 후처리모드의 시계열적 수행에 대한 동작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모드에 대응되는 구성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s a module that electrically controls components located in the machine room 200.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which has received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operates them by electrically transmitting a command signal to the components in the machine room 200.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clothing management course, this means that the selection of the clothing management course is input to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t receives operation signals for time-series execution of the pre-processing mode, humidifying mode, dehumidifying mode and post-processing mode constituting the management cours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components corresponding to each mode.

한편, 제1제어모듈(401) 및 메모리부(410)는 수납실(100) 측에 구비되는 바, 기계실(200) 내의 구성들의 전자적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제어모듈은 기계실(200)에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and the memory unit 410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room 100, electronic interference of components in the machine room 200 may be prevented. The second control module may be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200.

2.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기계실 모드 설명 2. Description of the machine room mode of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1) 의류관리코스 설명 (1) Clothing management course description

단계(S100)은 '의류관리코스'가 수행되는 단계이다. Step S100 is a step in which a'clothing management course' is performed.

기계실(200)은 의류관리코스를 구성하는 세부적인 과정인 전처리모드, 가습모드, 제습모드, 후처리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의류관리코스를 크게 전처리모드, 가습모드, 제습모드, 후처리모드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의류의 클리닝과 관련된 추가적인 모드가 부가될 수 있다. 한편, 의류관리코스의 동작은 전처리모드, 가습모드, 제습모드 및 후처리모드 순서로 수행되도록 기계실(200)을 동작시킬 수 있으나, 전처리모드 및 후처리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를 생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machine room 200 may perform a pre-treatment mode, a humidification mode, a dehumidification mode, and a post-treatment mode, which are detailed processes constituting the clothing management course. Hereinafter, the clothes management course is largely divided into a pre-treatment mode, a humidification mode, a dehumidification mode, and a post-treatment mode, but an additional mode related to cleaning of clothes may be added. Meanwhile, the machine room 200 may be operat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clothing management course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a pre-treatment mode, a humidification mode, a dehumidification mode, and a post-treatment mode, but the pre-treatment mode and the post-treatment mode are partially or completely It is structured so that it can be omitted.

1)가습모드 설명 1) Description of humidification mode

도 2를 참조하여 가습모드에서의 기계실(200) 구성들의 동작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machine room 200 in the humidification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가습모드에서는 팬유닛(23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순환필터유닛(229)을 통과하면서 자연가습공기로 형성된다. 자연가습공기를 수납실(100)로 순환시키기 위해 순환공기 유입구와 순환공기 유출구는 개방된다. 여기서 순환필터유닛(229)에는 가습필터가 구비되며, 공급수조(270)로부터 순환필터유닛(229)의 가습필터에 물이 공급되며, 공급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공급수조(270)에 저류된 물이 강제로 공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e humidification mode, the air sucked by the fan unit 230 passes through the circulation filter unit 229 and is formed as natural humidified air. In order to circulate the natural humidified air into the storage chamber 100, the circulating air inlet and the circulating air outlet are opened. Here, a humidification filter is provided in the circulation filter unit 229, water is supplied to the humidification filter of the circulation filter unit 229 from the supply water tank 270, and to the supply water tank 270 using a supply pump (not shown). It can be formed so that the stored water is forcibly supplied.

가습모드는 자연가습공기를 수납실(100)로 순환시킴으로써 수납실(100) 내부를 습윤한 환경으로 조성한다. 이로써, 수납실(100)에 보관된 의류에 가습을 인가할 수 있다. 자연가습공기에 포함된 공기입자는 의류에 묻어있는 오염물질입자 및 악취물질입자과 결합되며, 후술하는 제습모드 동작시 의류가 제습되는 과정에서 오염물질입자 및 악취물질입자는 의류로부터 함께 제거된다. In the humidification mode, natural humidified air is circulated to the storage room 100 to create a humid environment inside the storage room 100. Accordingly, humidification may be applied to the clothes stored in the storage room 100. The air particles contained in the natural humidified air are combined with the pollutant particles and odor particles embedded in the clothing, and the pollutant particles and odor particles are removed from the clothing together in the process of dehumidifying the clothing during the dehumidification mode operation described later.

한편, 도 2에서는 팬유닛(230)이 흡입팬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토출팬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기계실(200) 내부의 구성들의 배치가 토출팬에 적합하도록 재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in FIG. 2, the fan unit 230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suction fan, but may be formed of a discharge fan, and in this case, the arrangement of components inside the machine room 200 may be rearranged to suit the discharge fan.

2)제습모드 동작 시 2) In dehumidification mode operation

도 3을 참조하여 제습모드에서의 기계실(200) 구성들의 동작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machine room 200 in the dehumidification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제습모드는 기계실(200) 내부에 있는 제습부(260)가 작동함으로써, 수납실(100)을 유동하는 순환공기의 제습을 수행한다. 수납실(100)의 제습을 위해, 팬유닛(230)이 동작됨으로써, 건조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으며, 순환공기 유입구와 순환공기 유출구(142)는 개방된다. 응축수조(280)에는 제습모드 동작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저류될 수 있다. 제습모드를 수행함으로써, 의류에 묻어있는 오염물질입자 및 악취물질입자는 의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In the dehumidification mode, the dehumidifying unit 260 inside the machine room 200 operates, thereby dehumidifying the circulating air flowing through the storage room 100. For dehumidification of the storage room 100, the fan unit 230 is operated to circulate dry air, and the circulating air inlet and the circulating air outlet 142 are opened. Condensed water generated during the dehumidification mode operation may be stored in the condensate water tank 280. By performing the dehumidification mode, contaminant particles and odorant particles adhering to the clothing can be removed from the clothing.

3)전처리모드 및 후처리모드 동작 시 3) In pre-processing mode and post-processing mode operation

도 3을 참조하여 전처리모드 및 후처리모드에서의 기계실(200) 구성들의 동작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machine room 200 in the pre-processing mode and the post-processing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전처리모드는 의류관리코스의 시작단계로서, 공기를 토출하여 옷감 등에 달라붙어 있는 상대적으로 입자의 크기가 큰 먼지물질이나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처리모드는 '에어샤워모드(air shower mode)'로 불리기도 하며, 공기를 강력하게 분사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수납실(100) 내부의 의류에 묻어있는 오염물질 등을 본격적으로 제거하기 앞서, 미리 오염물질을 털어주어 의류의 클리닝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처리모드에서는 순환필터유닛(229) 및 제습부(260)가 동작하지는 않으며, 팬유닛(230)만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The pretreatment mode is the starting stage of the clothing management course, and plays a role of primarily removing dust or contaminants having a relatively large particle size adhered to cloth by discharging air. The pretreatment mode is also referred to as the'air shower mode' and refers to the process of strongly spraying air. Prior to removing contaminants from the clothes inside the storage room 100 in earnest, the contaminants may be shaken off in advance to increase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clothes. In the pretreatment mode, the circulation filter unit 229 and the dehumidification unit 260 do not operate, and only the fan unit 230 is configured to operate.

후처리모드는 의류관리코스의 마무리 단계로서, 팬유닛(230)을 통해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혹시라도 의류에 잔존할 수 있는 이물질을 한번 더 제거함과 동시에, 수납실(100) 내부를 재건조시키는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후처리모드는 '에어스무딩모드(air smoothing mode)'로 불리기도 한다. 전처리모드 및 후처리모드에서의 기계실(200) 구성들의 동작은 동일하나, 팬유닛(230)의 출력은 상호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처리모드에서의 팬유닛(230)의 출력은 후처리모드에서의 팬유닛(230)의 출력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ost-treatment mode is a finishing step of the clothing management course, by supplying air through the fan unit 23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that may remain in the clothing once more and to redry the interior of the storage room 100. Play a role. The post-processing mode is also referred to as'air smoothing mode'.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machine room 200 in the pre-processing mode and the post-processing mode is the same, but the output of the fan unit 230 may be controlled differently. For example, the output of the fan unit 230 in the pre-processing mode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output of the fan unit 230 in the post-processing mode.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전처리모드 및 후처리모드 사이에서, 가습모드 및 제습모드가 수행됨을 설명하고 있으나, 가습모드 및 제습모드는 복수의 횟수로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수납실(100)에 보관된 의류의 종류 또는 옷감의 종류에 따라, 가습모드 및 제습모드의 수행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etween the pre-treatment mode and the post-treatment mode, the humidification mode and the dehumidification mode are described, but the humidification mode and the dehumidification mode may be repeatedly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and the user may use the storage compartment 100 The number of times the humidification mode and the dehumidification mode are performe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clothing stored in the device or the type of fabric.

또한, 전처리모드 및 후처리모드에서 수납실(100) 및 기계실(200)은 모두 상호 연통되되, 외기와 차단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처리모드를 수행시, 기계실(200)이 외기와 차단되지 않는다면, 수납실(100) 내부의 이물질 입자가 다기능 수납 시스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이 위치된 공간의 공기질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후처리모드에서도 다기능 수납 시스템이 위치된 공간의 습도 및 온도에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기계실(200)이 외기와 차단된 상태에서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treatment mode and the post-treatment mode, both the storage room 100 and the machine room 200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ut are preferably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outside air is blocked. In particular, when performing the pretreatment mode, if the machine room 200 is not blocked from outside air, foreign matter particles inside the storage room 1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This is because it can be reduced. Even in the post-processing mode, in order to block the influence on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space in which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is loc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machine room 200 is operated in a state where the outside air is blocked.

(2) 공기청정모드 설명 (2) Description of air cleaning mode

도 4를 참조하여 공기청정모드에서의 기계실(200) 구성들의 동작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machine room 200 in the air cleaning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공기청정모드는 수납실(100)과 독립적으로 기계실(200)만 작동하여 외기를 청정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즉, 외기가 오염된 상태에서 수납실(100) 내부에 깨끗한 의류 등이 위치할 수 있으므로 수납실(100)에는 외기가 유입되지 않는 작동 모드이다. The air cleaning mode is a mode in which only the machine room 200 is operated independently from the storage room 100 to perform a function of purifying the outside air. That is, since clean clothes, etc. may be located inside the storage room 100 while the outside air is contaminated, it is an operation mode in which outside air does not flow into the storage room 100.

사용자가 공기청정모드를 선택하면, 도어(600)의 배기 도어(650)가 개방되고 흡기구(210)도 개방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air cleaning mode, the exhaust door 650 of the door 600 is opened and the intake port 210 is also opened.

기계실(200)의 제1유로전환부재(241)와 제2유로전환부재(242)가 동작하여 제2유로(240)를 배기구(250)와 연통시키고 수납실(100) 및 제1유로(220)로부터 차단한다. 이 과정에서 수납실(100)은 기계실(200)과 독립적 공간이 된다. The first flow path conversion member 241 and the second flow path conversion member 242 of the machine room 200 operate to communicate the second flow path 240 with the exhaust port 250, and the storage room 100 and the first flow path 220 Block from ). In this process, the storage room 100 becomes an independent space from the machine room 200.

팬유닛(230)이 작동한다. 팬유닛(230)의 작동으로, 외기는 흡기구(210)를 통해 제1유로(220)에 유입되어 팬유닛(230)을 향한다. 흡기구(2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흡기구(210)에 위치한 청정필터 유닛(219)에 의해 외기가 여과된다. 제1유로(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1유로(220)에 위치한 순환필터유닛(229)에 의해 더 여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팬유닛(230)에 의해 공기가 강제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순환필터유닛(229)에 위치한 가습필터가 건조될 수 있는 바, 공급수조(270)부터 상시 물을 공급받는 가습필터의 건조를 통해 가습필터에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 역시 일거에 해결할 수 있다. 팬유닛(230)을 통과한 여과된 외기는 제2유로(240)를 통과하여 배기구(25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The fan unit 230 operates. With the operation of the fan unit 230,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flow path 220 through the intake port 210 and is directed toward the fan unit 230.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intake port 210, outside air is filtered by the clean filter unit 219 located in the intake port 210.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220, it may be further filtered by the circulation filter unit 229 located in the first flow path 220. In this way, in the process of forcibly circulating air by the fan unit 230, the humidification filter located in the circulation filter unit 229 can be dried. Drying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receiving water from the supply tank 270 at all times. Through this, the proliferation of bacteria in the humidification filter can be prevented, and the problem of generating odor can be solved at once. The filtered outdoor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an unit 230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40 and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250.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은 일종의 공기 청정기 기능을 수행한다. 외기는 지속적으로 기계실(200)로 유입되어 여과되고, 여과된 공기가 지속적으로 배기된다. As this process is repeated,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kind of air purifier function. The outside air is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the machine room 200 and filtered, and the filtered air is continuously exhausted.

사용자의 도어(600) 개방 여부와 무관하게 공기청정모드가 수행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공기청정모드 작동 동안에도, 사용자는 자유롭게 도어(600)를 개방하여 수납실(100) 내측에 의류 등을 위치시키거나 의류 등을 꺼낼 수 있다. 언제든지 공급수조(270)에 물을 채우고 응축수조(280)의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도어(600)는 흡기구(210)를 커버하지 않으며, 배기구(250)는 도어(600) 내측에서 개방된 형태이기 때문에, 도어(600) 개방이 공기청정모드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cleaning mode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opens the door 600. Even during the air cleaning mode operation, the user can freely open the door 600 to place clothes or the like inside the storage room 100 or take out clothes or the like. At any time, water can be filled in the supply tank 270 and the water in the condensed water tank 280 can be discharged. Since the door 600 does not cover the intake port 210 and the exhaust port 250 is opened from the inside of the door 600, the opening of the door 600 does not affect the air cleaning mode operation.

사용자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도, 즉 조작부(610)가 잘 보이지 않는 위치에서도, 배기 도어(650)의 개방 여부만을 확인하여, 현재 공기청정모드로 동작 중인지, 아니면 의류관리코스로 동작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The user checks only whether the exhaust door 650 is open even at a location far from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that is, a location where the control unit 610 is not clearly visible, and whether the user is currently operating in the air cleaning mode or in the clothing management course. I can confirm.

3.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설명 3. Description of error recovery method of control module of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1) 제1제어모듈의 오류가 확인된 경우 (1) When an error in the first control module is confirmed

제1제어모듈(401)의 오류가 확인된 경우, 이를 복구하기 위한 방법의 설명을 위해,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When an error in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s confirme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or explanation of a method for recovering the error.

제1제어모듈(401)은 메모리부(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유선으로 연결된 하네스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unit 410 to enable communication, and may be configured as a harness connected by wire.

제1제어모듈(401)의 오류복구방법은 단계(S100) 내지 단계(S124)를 포함한다. The error recovery method of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ncludes steps S100 to S124.

제1제어모듈(401)의 오류확인은 감시수단인 와치독(watch-dog)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와치독은 제1제어모듈의 이상상태를 기설정된 시간 주기로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시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Error checking of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may be performed by a watch-dog that is a monitoring means. The watchdog may be configured to check the abnormal state of the first control module at a preset time period, and more preferably, may be configured to check in real time.

단계(S100)는 제1제어모듈(401)이 초기화되는 단계이며, 이는 리셋을 의미한다. Step S100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s initialized, which means reset.

단계(S110)는 제1제어모듈(401)이 메모리부(410)로부터 제어정보를 로딩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기계실(200)의 동작은 임의의 모드가 종료될 때마다 메모리부(410)에 기계실(200)의 모드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1제어모듈(401)은 메모리부(410)를 통해 현재 작동 중인 모드 및 코스의 종류와 잔여시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Step S110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loads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memory unit 410. 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the machine room 200, mode information of the machine room 2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10 whenever an arbitrary mode is terminated.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a currently operating mode and course type and remaining time through the memory unit 410.

단계(S120)는 제1제어모듈(401)이, 단계(S110)에서 로딩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제2제어모듈(402)에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로써, 단계(S121) 내지 단계(S124)를 포함한다. Step S120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by using the control information loaded in step S110, and steps S121 to S124 ).

구체적으로, 단계(S121)는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제1제어모듈(401)이 복구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제1제어모듈(401)과 연동된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복구된 제어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step S121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s restored using the control information. In this process, 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restored control information on the display panel interlocked with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단계(S122)는 제1제어모듈(401)이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기계실(200)이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 수행 중인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기계실(200)이 가습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현재 수납실(100)에 잔여수분이 존재하는 상태이므로, 이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의류 옷감의 손상을 줄 위험이 있다. 기계실(200)이 제습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습모드가 완료된 상태가 아님을 의미하는 바, 이 경우에도 역시 잔여수분이 존재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단계(S122)에서는 이후에 수행될 강제제습모드 수행과 관련하여, 현재 수납실(100)에 잔여수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In step S122,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uses the control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machine room 200 is performing a humidification mode or a dehumidification mode. When the machine room 200 performs the humidification mode, since residual moisture is present in the storage room 100 at present, there is a risk of damaging the cloth if not removed. When the machine room 200 performs the dehumidification mode, it means that the dehumidification mode is not completed. In this case, there may also be a problem in that residual moisture is present. That is, in step S122, in connection with the execution of the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to be performed later, it is a step of checking whether residual moisture is present in the current storage room 100.

단계(S123)는, 전 단계인 단계(S122)에서 기계실(200)이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 수행 중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1제어모듈(401)이 제2제어모듈(402)에 기계실(200)의 강제제습모드 수행에 대한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즉, 현재 수납실(100)의 상태가 잔여수분이 존재함을 의미하며, 잔여수분의 제거가 필요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In step S123,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achine room 200 is performing the humidification mode or the dehumidification mode in the previous step S122,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n the machine room 200. This is the step of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for performing the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of ). That is, the current state of the storage room 100 means that residual moisture is present, and that the residual moisture needs to be removed.

단계(S124)는, 제2제어모듈(402)에 의해 기계실(200)의 강제제습모드에 대한 동작신호가 생성되어 기계실(200)의 강제제습모드가 수행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강제제습모드'는 전술한 '제습모드'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으나, 제습의 세기 및 시간 등과 같은 구체적인 제어정보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Step S124 is a step in which an operation signal for the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of the machine room 200 is generated by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to perform the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of the machine room 200. Here, the'forced dehumidification mode' may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the'dehumidification mode' described above, but specific control information such as intensity and time of dehumidification may be formed differently.

또한, 단계(S124)에서 수행되는 기계실(200)의 강제제습모드는, 제습세기 또는 강제제습모드 수행시간이 가변되도록 형성되되, 제습세기 또는 강제제습모드 수행시간은 기계실(200)의 가습모드 수행시간에 의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가습모드의 수행시간에 따라 수납실(100)의 습도는 상이할 수 있는 바, 가습모드의 수행시간 및 수납실(100)의 습도를 매칭시켜 제1제어모듈(401) 또는 제2제어모듈(402)에 설정함으로써, 수납실(100) 내부에 고가의 정밀한 습도센서를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of the machine room 200 performed in step S124 is formed so that the dehumidification strength or the execution time of the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is variable, but the dehumidification strength or the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execution time is performed in the humidification mode of the machine room 200 It can be set to depend on time. The humidity of the storage room 100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time of the humidification mode.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or the second control module ( By setting it at 402,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n expensive and precise humidity sensor inside the storage room 100.

(2) 제2제어모듈의 오류가 확인된 경우 (2) When an error of the second control module is confirmed

제2제어모듈(402)의 오류가 확인된 경우, 이를 복구하기 위한 방법의 설명을 위해, 도 7 및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When an error in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s confirme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or explanation of a method for recovering the error.

제2제어모듈(402)은 제1제어모듈(4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유선으로 연결된 하네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모듈(401) 및 제2제어모듈(402)은 각각 무선통신을 위해, 통신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communicated with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which may be configured as a harness connected by wire. Further,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may each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wireless communication.

제2제어모듈(402)의 오류복구방법은 단계(S200) 내지 단계(S232)를 포함한다. The error recovery method of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ncludes steps S200 to S232.

단계(S200)은 제2제어모듈(402)이 초기화되는 단계이며, 이는 리셋을 의미한다. Step S200 is a step in which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s initialized, which means reset.

단계(S210)은 제2제어모듈(402)이 제1제어모듈(401)에 제어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S200)에서 제2제어모듈(402)이 초기화됨으로써, 매우 짧은 시간, 예를 들어, 수 밀리초(ms) 동안은 기계실(200) 구성의 동작 역시 리셋되며, 제2제어모듈(402)은 제1제어모듈(401)에 제어정보를 요청함으로써, 현재 진행 중이었던 코스, 모드, 잔여시간을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Step S210 is a step in which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requests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Since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s initialized in the step S200, the oper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achine room 200 is also reset for a very short time, for example, several milliseconds (ms),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 Requests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to receive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a course, a mode, and a remaining time that is currently in progress.

단계(S220)은 제2제어모듈(402)이 제1제어모듈(401)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Step S220 is a step in which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receives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단계(S230)은 단계(S220)에서 제2제어모듈(402)이 수신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써, 구체적으로, 단계(S231) 및 단계(S232)를 포함한다. Step S230 is a step of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using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n step S220, and specifically includes steps S231 and S232.

단계(S231)은 제2제어모듈(402)은 제어정보를 통해, 기계실(200)이 동작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즉, 1차적으로 기계실(200)이 동작 중인지 또는 대기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In step S231,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checks whether the machine room 200 is operating through control information. That is, it is primarily to check whether the machine room 200 is in operation or in a standby state.

단계(S232)는, 단계(S231)에서 기계실(200)이 동작 중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기계실(200)의 동작을 계속 수행하도록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제어정보는 기계실(200)의 모드정보, 수행 중인 모드의 잔여시간정보(또는 모드의 수행시간정보) 및 상이한 모드들이 시계열적으로 결합된 코스정보를 포함한다. 기계실(200)의 동작을 계속 수행하도록 잔여시간정보 및 잔여모드정보를 모두 포함하며, 동작신호는 상기 잔여시간정보 및 잔여모드정보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의미한다. In step S23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chine room 200 is operating in step S231, an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to continue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room 200. More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mode information of the machine room 200, remaining time information of a mode being executed (or execution time information of a mode), and course information in which different modes are combined in a time series. It includes both remaining time information and remaining mode information so as to continue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room 200, and the operation signal means an electrical signal for the remaining time information and the remaining mode information.

한편, 단계(S232)에서의 동작신호는 보상동작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상동작신호는, 가습모드에서 가습세기를 상대적으로 더 증가시키거나 또는 가습시간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습모드에서도 역시 제습세기를 상대적으로 더 증가시키거나 또는 가습시간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의 변형예로써, 기설정된 시간동안만 집중적으로 가습세기 및 제습세기를 증가시켜 가습모드와 제습모드를 수행하다가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가습세기 및 제습세기를 다시 정상상태로 되돌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operation signal in step S232 may further include a compensation operation signal. The compensation operation signal may relatively further increase the humidity strength or increase the humidification time in the humidification mode. In addition, even in the dehumidification mode, the dehumidification strength may be relatively further increased or the humidification time may be further increased. As a modification of the above, it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humidification mode and dehumidification mode by intensively increasing the humidification strength and dehumidification strength for only a preset time, and then return the humidification strength and dehumidification strength to a normal state when the preset time elapses. I can.

(3) 제1제어모듈 및 제2제어모듈 간의 통신 오류일 경우 (3) In case of communication error between the first control module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도 8을 참조하여 제1제어모듈(401) 및 제2제어모듈(402) 간의 통신 오류를 설명한다. A communication error between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제1제어모듈(401) 및 제2제어모듈(402)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프로토콜 방식으로 상호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are formed to enable communication using electrical signals, and ar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 protocol manner.

이 때, 제2제어모듈(402)에서 제1제어모듈(401)로 제어정보를 요청할 때, 제2제어모듈(402)의 송신신호가 제1제어모듈(401)의 프로토콜에 매칭되지 않는 경우, 단계(S310) 내지 단계(S330)의 수행을 통해 오류를 복구한다.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requests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does not match the protocol of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 The error is recovered by performing steps S310 to S330.

단계(S310)는 제1제어모듈(401)에서, 2제어모듈(402)의 송신신호를 무효값으로 처리하는 단계이다. 제1제어모듈(401) 및 제2제어모듈(402)은 각각 송수신 프로토콜 값의 범위를 설정하며, 설정된 범위내의 값이 아닌 경우, 이를 무효값으로 처리한다. Step S310 is a step of processing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as an invalid value in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respectively set a range of a transmission/reception protocol value, and if the value is not within the set range, it treats it as an invalid value.

단계(S320)는 제2제어모듈(402)이 제1제어모듈(401)로 제어정보를 재요청하는 송신신호를 재전송하되, 기설정된 횟수의 범위 내에서, 제1제어모듈(401)에서 상기 송신신호를 유효값으로 처리할 때까지 재전송하는 단계이다. 이 때, 제2제어모듈(402)이 제1제어모듈(401)로 제어정보를 재요청하는 것은 기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In step S320,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retransmits a transmission signal for re-requesting control information to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but within a range of a preset number,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n this step, the transmission signal is retransmitted until it is processed as a valid value. At this time,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re-requests the control information to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s configured to request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단계(S330)은 단계(S320)에서, 제2제어모듈(402)로부터 제1제어모듈(401)로 송신신호의 재전송 횟수가 상기 기설정된 횟수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1제어모듈(401) 또는 제2제어모듈(402) 중 어느 하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제1제어모듈(401) 및 제2제어모듈(402)을 모두 초기화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소정의 횟수만큼 모두 초기화된 경우에도 유효값으로 처리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여 통신포트 측의 고장 내지 손상을 알려줄 수 있다. Step (S330) is, in step (S320), when the number of retransmissions of the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to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exceeds the range of the preset number,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 Or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s initialized. Of course, in this process, it may be configured to initialize both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and even if all of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are initializ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f not processed as a valid value, an alarm is sent to the user. Can be provided to inform the failure or damage of the communication port side.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0: 수납실
141: 순환공기 유입구
142: 순환공기 유출구
200: 기계실
210: 흡기구
219: 청정필터유닛
220: 제1유로
229: 순환필터유닛
230: 팬유닛
240: 제2유로
241: 제1유로전환부재
242: 제2유로전환부재
250: 배기구
260: 제습부
270: 공급수조
280: 응축수조
300: 재순환 모듈
401: 제1제어모듈
402: 제2제어모듈
410: 메모리부
610: 조작부
100: storage room
141: circulating air inlet
142: circulating air outlet
200: machine room
210: intake port
219: clean filter unit
220: first euro
229: circulation filter unit
230: fan unit
240: 2nd euro
241: first euro conversion member
242: second flow path switching member
250: exhaust port
260: dehumidification unit
270: supply tank
280: condensate bath
300: recirculation module
401: first control module
402: second control module
410: memory unit
610: control panel

Claims (13)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으로서,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은 제1제어모듈(401), 제2제어모듈(402) 및 메모리부(4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모듈(401)의 오류가 확인되는 경우,
(a10) 상기 제1제어모듈(401)이 초기화되는 단계(S100);
(a11) 상기 제1제어모듈(401)이 상기 메모리부(410)로부터 제어정보를 로딩하는 단계(S110); 및
(a12) 상기 제1제어모듈(401)이, 상기 (a11) 단계(S110)에서 로딩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제어모듈(402)에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120);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모듈(402)의 오류가 확인되는 경우,
(b10) 상기 제2제어모듈(402)이 초기화되는 단계(S200);
(b11) 상기 제2제어모듈(402)이 상기 제1제어모듈(401)에 상기 제어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210);
(b12) 상기 제2제어모듈(402)이 상기 제1제어모듈(401)로부터 상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20); 및
(b13) 상기 (b12) 단계(S220)에서 상기 제2제어모듈(402)이 수신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30); 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As a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a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includes a first control module 401, a second control module 402, and a memory unit 410,
When an error of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s confirmed,
(a10) initializing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S100);
(a11)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loading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memory unit 410 (S110); And
(a12) transmitting, by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an operation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using the control information loaded in step (a11) (S110) (S120); Including,
When an error of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s confirmed,
(b10) initializing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S200);
(b11)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requesting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S210);
(b12) receiving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by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S220); And
(b13)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using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n step (b12) (S220) (S230); Containing,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모듈(401)은 조작부(6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듈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s a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610,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은 수납실(100) 및 기계실(20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기계실(200)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기계실(200)을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의 신호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includes a storage room 100 and a machine room 200,
The control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n operating state of the machine room 200, and the operation signal is a signal of a command for operating the machine room 200,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12) 단계(S120)는,
(a12-1) 상기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제어모듈(401)이 복구되는 단계(S121);
(a12-2) 상기 제1제어모듈(401)이 상기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계실(200)이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 수행 중인지 확인하는 단계(S122);
(a12-3) 상기 (a12-2) 단계(S122)에서, 상기 기계실(200)이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 수행 중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제어모듈(401)이 상기 제2제어모듈(402)에 상기 기계실(200)의 강제제습모드 수행에 대한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123); 및
(a12-4) 상기 제2제어모듈(402)에 의해 상기 기계실(200)의 강제제습모드에 대한 동작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기계실(200)의 강제제습모드가 수행되는 단계(S124); 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a12) step (S120),
(a12-1) restoring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using the control information (S121);
(a12-2)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using the control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machine room 200 is performing a humidification mode or a dehumidification mode (S122);
(a12-3) In the (a12-2) step (S122),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achine room 200 is performing the humidification mode or the dehumidification mode,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s the second control module (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for performing the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of the machine room 200 to 402 (S123); And
(a12-4)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for the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of the machine room 200 by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to perform the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of the machine room 200 (S124); Containing,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12-4) 단계(S124)에서 수행되는 상기 기계실(200)의 강제제습모드는,
제습세기 또는 상기 강제제습모드 수행시간이 가변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습세기 또는 상기 강제제습모드 수행시간은 상기 기계실(200)의 가습모드 수행시간에 의존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of the machine room 200 performed in the step (a12-4) (S124),
Is formed so that the dehumidification strength or the execution time of the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is variable,
The dehumidification strength or the forced dehumidification mode execution time depends on the humidification mode execution time of the machine room 200,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12-2) 단계(S122)에서,
상기 기계실(200)이 대기상태로 확인된 경우, 상기 기계실(200)을 대기상태로 유지시키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step (a12-2) (S122),
When the machine room 200 is confirmed to be in a standby state, maintaining the machine room 200 in a standby state,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13) 단계(S230)는,
(b13-1) 상기 제2제어모듈(402)은 상기 제어정보를 통해, 상기 기계실(200)이 동작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31); 및
(b13-2) 상기 (b13-1) 단계(S231)에서, 상기 기계실(200)이 동작 중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기계실(200)의 동작을 계속 수행하도록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32); 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b13) step (S230),
(b13-1)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checking whether the machine room 200 is operating through the control information (S231); And
(b13-2)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achine room 200 is in operation in step (b13-1) (S231),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to continue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room 200 (S232); Containing,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계실(200)의 모드정보;
상기 모드의 잔여시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모드가 시계열적으로 결합되어 수행되는 코스정보; 를 포함하며,
상기 (b13-2) 단계(S232)의 동작신호는,
상기 제2제어모듈(402)의 오류 확인시 상기 기계실(200)의 수행 중이었던 모드의 잔여시간정보; 및
상기 기계실(200)의 수행 중이던 코스의 잔여모드정보; 에 관한 전기적 신호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information,
Mod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machine rooms 200;
Remaining time information of the mode; And
Course information performed by combining at least one of the modes in a time series; Including,
The operation signal of step (b13-2) (S232),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time of the mode in which the machine room 200 was being executed when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checks an error; And
Residual mode information of the course being performed in the machine room 200; Is an electrical signal for,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13-1) 단계(S231)에서, 상기 기계실(200)이 대기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b13-2) 단계(S232)에서, 상기 기계실(200)은 대기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achine room 200 is in a standby state in step (b13-1) (S231),
In the (b13-2) step (S232), the machine room 200 continues to maintain the standby state,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410)는, 상기 제2제어모듈(402)로부터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제2제어모듈(402)은,
기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상기 메모리부(410)에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기계실(200)의 모드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메모리부(410)에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memory unit 410 receives and stores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Transmi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to the memory unit 410 at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transmi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to the memory unit 410 whenever the mode of the machine room 200 is changed,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13-2) 단계(S232)에서의 동작신호는,
상기 기계실(200)의 수행 중이었던 모드의 보상동작신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상동작신호는, 상기 모드의 가습세기 또는 제습세기를 증가시키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operation signal in the step (b13-2) (S232),
Further comprising a compensation operation signal of the mode in which the machine room 200 was being executed,
The compensation operation signal increases the humidification strength or dehumidification strength of the mode,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모듈(401) 및 제2제어모듈(402)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프로토콜 방식으로 상호 통신하며,
상기 제2제어모듈(402)에서 상기 제1제어모듈(401)로 상기 제어정보를 요청할 때, 상기 제2제어모듈(402)의 송신신호가 상기 제1제어모듈(401)의 프로토콜에 매칭되지 않는 경우,
(c1) 상기 제1제어모듈(401)에서, 상기 제2제어모듈(402)의 송신신호를 무효값으로 처리하는 단계(S310);
(c2) 상기 제2제어모듈(402)이 상기 제1제어모듈(401)로 상기 제어정보를 재요청하는 송신신호를 재전송하되, 기설정된 횟수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1제어모듈(401)에서 상기 송신신호를 유효값으로 처리할 때까지 재전송하는 단계(S320); 및
(c3) 상기 (c2) 단계(S320)에서, 상기 제2제어모듈(402)로부터 상기 제1제어모듈(401)로 상기 송신신호의 재전송 횟수가 상기 기설정된 횟수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제어모듈(401) 또는 제2제어모듈(402) 중 어느 하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S330); 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are formed to enable communication using electrical signals,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protocol method,
When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requests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does not match the protocol of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If not,
(c1) in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processing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as an invalid value (S310);
(c2)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retransmits a transmission signal for re-requesting the control information to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but within a range of a preset number,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Re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signal until processing the transmission signal as a valid value (S320); And
(c3)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retransmissions of the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to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exceeds the range of the preset number in step (S320), the Initializing either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or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S330); Containing,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모듈(401) 및 메모리부(410)는 상기 수납실(100) 측에 구비되고, 표시패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모듈(402)은 상기 기계실(200) 측에 구비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제어모듈 오류복구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control module 401 and the memory unit 410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room 100 and further include a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402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chine room 200 felled,
Control module error recovery method of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KR1020190029967A 2019-03-15 2019-03-15 Method for Recover an Error of Control Module of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KR2020011000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967A KR20200110009A (en) 2019-03-15 2019-03-15 Method for Recover an Error of Control Module of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CN202010175552.1A CN111691123A (en) 2019-03-15 2020-03-13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performing error recovery of control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967A KR20200110009A (en) 2019-03-15 2019-03-15 Method for Recover an Error of Control Module of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009A true KR20200110009A (en) 2020-09-23

Family

ID=72476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967A KR20200110009A (en) 2019-03-15 2019-03-15 Method for Recover an Error of Control Module of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10009A (en)
CN (1) CN111691123A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655B1 (en) * 2007-10-12 2015-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machine
JP5259241B2 (en) * 2008-04-23 2013-08-07 株式会社東芝 Motor controller, motor drive system, washing machine, air conditioner, method of changing the amount of magnetization of a permanent magnet motor
JP5479204B2 (en) * 2010-04-28 2014-04-23 株式会社東芝 Drum washing machine
TWI557636B (en) * 2012-11-12 2016-11-11 慧榮科技股份有限公司 Storage medium, accessing system and accessing method thereof
CN204730384U (en) * 2014-07-03 2015-10-28 豪威株式会社 Damping device
JP2017131468A (en) * 2016-01-29 2017-08-0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91123A (en)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639200B (en) Clothes care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040580A (en) Clothes dr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964640A1 (en)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2319979B1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US20210324566A1 (en) Clothing care system
KR20090102401A (en) Cloth treating apparatus
US20230175192A1 (en) Electronic device for shoe or clothing ca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11320158B2 (en) Multifunctional circulation system enabling purification of outside air
TW201446206A (en) Dish washer/dryer
CN213433756U (en)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for performing forced dehumidification of equipment room in air purification mode
KR20180119972A (en) Heat Exchanger for Maintaining Comfortable Environ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1036944A1 (en) Drying machine
TWI809619B (en) Drying apparatus
EP3622856A1 (en) Multifunctional circulation system enabling purification of outside air
WO2009020327A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00110009A (en) Method for Recover an Error of Control Module of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KR102374098B1 (en)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having fan to prevent water-drop inside the door
CN112469859B (en)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for preventing water drops from forming on inner side of door and method for drying inner side of door by utilizing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CN212925511U (en)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for forced dehumidification after forced termination
US20220243931A1 (en)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having separate cleaning flow passage
KR102408219B1 (en) Dehumidifying and humidifying water cycling system and a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and an appliance for dehumidifying and humidifying comprising the same
KR102215444B1 (en) Drying method to prevent water-drop inside the door of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and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performing the same
TW202315567A (en) Drying apparatus
KR20200004169A (en)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having fan to prevent water-drop inside the door
JP7479701B2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