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997A -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997A
KR20200097997A KR1020190015521A KR20190015521A KR20200097997A KR 20200097997 A KR20200097997 A KR 20200097997A KR 1020190015521 A KR1020190015521 A KR 1020190015521A KR 20190015521 A KR20190015521 A KR 20190015521A KR 20200097997 A KR20200097997 A KR 20200097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user input
content
input information
prese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배
Original Assignee
박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준 filed Critical 박창준
Priority to KR1020190015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7997A/ko
Publication of KR20200097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며,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3차원 가상현실 영상에 인터랙션이 가능한 3차원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3차원 가상현실 영상 또는 상기 3차원 오브젝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제1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상기 3차원 오브젝트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 정보인 경우, 상기 3차원 오브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3차원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3차원 오브젝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S}
본원은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의미한다. 또한, 가상현실 영상은 몰입성, 현재성과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플랫폼을 지향하기 때문에 이에 맞는 영상문법이 필요하다.
306도 가상현실은 오래전부터 상용되고 있던 기술이었으나,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은 기기의 발전과 가상현실의 영상을 제어하고 실행시키는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최근에 가상현실의 제작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는데 360도 영상의 제작은 기존의 영상제작과는 다른 연출 방식을 요구하고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7398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방위 360 VR 영상 혹은 콘텐츠에 인터랙션이 가능한 특정 3D 오브젝트를 표현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몰입감과 재미 요소, 광고 효과 등등 다양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줄 수 있으며 표현되는 3D 모델링 오브젝트가 별도로 컨트롤 되기 때문에 모양 변경, 색상변경, 클릭 이벤트 등을 통해 다양한 인터랙션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사용자는 360 VR 영상 콘텐츠 내에서 3D 모델링 오브젝트에 대해 새로운 체험이 가능하며 나아가 URL 링크, 구매 결제 등등 다양한 인터랙션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는, 사전에 지정된 이벤트 액션이 발생할 경우, 상기 이벤트 액션에 대응하여 기존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벤트 액션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정보는, 3D 모델링의 모양 또는 색상 변화, 웹페이지 링크, 공유링크, 팝업링크, 결제 링크, 장바구니 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는, 비디오 플레이가 되고 있는 360 VR 콘텐츠 데이터, 3D 모델링 오브젝트 데이터, 상하좌우 터치 이동이 가능한 360 VR 콘텐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D 모델링 오브젝트 데이터는 상하 좌우 터치가 가능하고, 360 VR 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변경은 못하지만 3D 모델링 자체의 상하좌우로 그 모양을 돌려 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D 모델링 오브젝트 데이터는 확대 및 축소(크기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는 한 번의 클릭(터치)을 입력받음으로써, 새로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 번의 클릭(터치)으로 변경되는 새로운 이벤트는 팝업창이 팝업되는 이벤트, 웹페이지가 새롭게 활성화되는 이벤트, 결제 페이지가 활성화되는 이벤트, 이미지가 활성화되는 이벤트, 공유 링크가 활성화되는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는 데스크탑, 태블릿, 모바일, HMD 기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는, 360도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배경부, 상기 360도 가상현실 영상에 인터랙션이 가능한 3D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3D 오브젝트 제공부, 상기 배경부 및 3D 오브젝트 제공부에 포함된 콘텐츠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D 오브젝트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3D 오브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전방위 360 VR 영상 혹은 콘텐츠에 인터랙션이 가능한 특정 3D 오브젝트를 표현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몰입감과 재미 요소, 광고 효과 등등 다양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줄 수 있으며 표현되는 3D 모델링 오브젝트가 별도로 컨트롤 되기 때문에 모양 변경, 색상변경, 클릭 이벤트 등을 통해 다양한 인터랙션이 가능할 수 잇다.
또한, 이를 통해 사용자는 360 VR 영상 콘텐츠 내에서 3D 모델링 오브젝트에 대해 새로운 체험이 가능하며 나아가 URL 링크, 구매 결제 등등 다양한 인터랙션이 가능할 수 잇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360도 가상현실 영상 안에 3D 오브젝트가 제공됨으로써,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1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3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101에서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장치(10)는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102에서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장치(10)는 3차원 가상현실 영상에 인터랙션이 가능한 3차원 오브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03에서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장치(10)는 3차원 가상현실 영상 또는 3차원 오브젝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제1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04에서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3차원 오브젝트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 정보인 경우, 3차원 오브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3차원 오브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05에서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서브 3차원 오브젝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06에서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장치(10)는 제2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1 내지 S106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배경부(11), 3D 오브젝트 제공부(12), 사용자 입력 수신부(13) 및 출력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콘텐츠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이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말 선발 메뉴 및 말 관리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콘텐츠, 각종 통신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고, 데이터 저장 및 처리의 기능을 가지는 모든 종류의 서버, 단말,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와 연동되는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 Pad),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TV와 같은 고정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 및 사용자 단말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의 일 예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유무선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전방위 360 VR 영상 혹은 콘텐츠에 인터랙션이 가능한 특정 3D 오브젝트를 표현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몰입감과 재미 요소, 광고 효과 등등 다양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줄 수 있다.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 표현되는 3D 모델링 오브젝트가 별도로 컨트롤 되기 때문에 모양 변경, 색상변경, 클릭 이벤트 등을 통해 다양한 인터랙션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360 VR 영상 콘텐츠 내에서 3D 모델링 오브젝트에 대해 새로운 체험이 가능하며 나아가 URL 링크, 구매 결제 등등 다양한 인터랙션이 가능할 수 있다.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데스크탑, 태블릿, 모바일, HMD 기기에서 활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경부(11)는 360도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배경부(11)는 비디오 플레이가 되고 있는 360도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배경부(11)에 제공된 360도 가상현실 영상은 상하좌우 터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사용자 입력 수신부(13)에서 사용자 입력 정보로서, 가상현실 영상에 대응하는 상하 터치를 입력받은 경우, 배경부(11)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360도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360도 가상현실 영상에 인터랙션이 가능한 3D 오브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3D 오브젝트는 사전에 지정된 이벤트 액션에 따라 모양 또는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수신부(13)는 3D 오브젝트를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기존의 오브젝트 모양 또는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3D 모델링 오브젝트가 빨간색상의 정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자 입력으로 인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일예로, 사전에 지정된 이벤트 액션은 웹페이지 링크 콘텐츠, 공유 링크 콘텐츠, 팝업 링크 콘텐츠, 결제 링크 콘텐츠, 장바구니 담기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3)에서 수신한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웹페이지 링크 콘텐츠, 공유 링크 콘텐츠, 팝업 링크 콘텐츠, 결제 링크 콘텐츠, 장바구니 담기 콘텐츠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3)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기반하여 3D 오브젝트 자체의 상하좌우로 모양을 돌려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수신부(13)에서 사용자 입력 정보로서, 3D 오브젝트를 왼쪽으로 일정 기준이상 드레그하는 경우,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3D 오브젝트를 현재 지점에서 왼쪽으로 일정 기준이상 드레그한 지점까지의 회전한 지점까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수신부(13)는 3D 오브젝트에 이벤트를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3)는 360도 가상현실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3)는 터치, 드레그 등과 같은 입력을 사용자 입력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 입력 수신부(13)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360도 가상현실 영상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에 해당하는 경우, 배경부(11)는 360도 가상현실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수신부(13)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3D 오브젝트 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에 해당하는 경우,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3D 오브젝트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3)는 사용자 입력 정보로 클릭(터치)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팝업창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새로운 웹 페이지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결제 페이지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특정 이미지 또는, 공유 링크 페이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출력부(14)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4)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배경부(11) 또는 3D 오브젝트에 포함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1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3D 모델링으로 된 신발 오브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상하좌우 드래그인 경우, 상하좌우 드래그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신발 3D 모델링을 움직여 상하 좌우 모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3D 모델링으로 된 신발 오브젝트를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서브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서브 이벤트는, 온라인 페이지 창, 제품 정보 창, 제품 구매 창, 장바구니 창, 공유하기 링크 창, 다른 이미지 갤러리, CF 광고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3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3D 모델링으로 된 신발 오브젝트를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발생하는 서브 이벤트를 나타낸 예이다.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매장을 촬영할 경우, 서브 이벤트로서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를 제공하고,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할 시 해당 오브젝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해당 오브젝트는 3D 가상현실 오브젝트로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측면에서 해당 오브젝트를 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배너가 들어가는 네이버 화면에 360도 가상 영상 및 3D 오브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되어 있는 네이버 화면에 제공되는 배너(배너광고) 영역에 360도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360도 가상현실 콘텐츠는 앞서 설명된 360도 가상현실 영상 및 3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컨텐츠 일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소셜 커머스에서도 활용 가능할 수 있다.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특정 상품에 대하여 360도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앞서 설명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유투브 방송의 하단에 제공되는 베너에 삽입되어, 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
11: 배경부
12: 3D 오브젝트 제공부
13: 사용자 입력 수신부
14: 출력부

Claims (2)

  1.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3차원 가상현실 영상에 인터랙션이 가능한 3차원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3차원 가상현실 영상 또는 상기 3차원 오브젝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제1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상기 3차원 오브젝트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 정보인 경우, 상기 3차원 오브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3차원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3차원 오브젝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3차원 오브젝트는 미리 저정된 이벤트 액션을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 액션은 웹페이지 링크 콘텐츠, 공유 링크 콘텐츠, 팝업 링크 콘텐츠, 결제 링크 콘텐츠 및 장바구니 담기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190015521A 2019-02-11 2019-02-11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KR20200097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21A KR20200097997A (ko) 2019-02-11 2019-02-11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21A KR20200097997A (ko) 2019-02-11 2019-02-11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997A true KR20200097997A (ko) 2020-08-20

Family

ID=7229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521A KR20200097997A (ko) 2019-02-11 2019-02-11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79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4770B2 (en) System integrating a mobile device application creation, editing and distribution system with a website design system
US10032484B2 (en) Digital video builder system with designer-controlled user interaction
US1099965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media content
US8739070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carousel
AU2014324841B2 (en) N-level replication of supplemental content
KR20180102089A (ko) 상호작용적 동적 푸시 통지들 및 다른 콘텐츠에 대한 플로팅 애니메이트된 푸시 인터페이스들
US10606443B2 (en) Interactive dashboard for controlling delivery of dynamic push notifications
US10416840B2 (en) Multi-tap functionality for interactive dynamic push notifications and other content
US20180364892A1 (en) Automated migration of animated icons for dynamic push notifications
JP2019503023A (ja) テーマデータ
KR101685676B1 (ko)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이미지 표시 방법,및 웹 서버 및 이에 의한 웹 페이지 제공 방법
CN113360200A (zh) 一种目标程序植入页面运行的方法和装置
KR20200097997A (ko)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KR20200095034A (ko) 재생되고 있는 360 vr 콘텐츠에 별도 컨트롤이 가능한 3d 모델링 오브젝트가 표현되는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WO20181585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interactive web content
KR102268013B1 (ko)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을 위한 저작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US20150350292A1 (en) Site management platform
KR20200113926A (ko) 게이미피케이션 기반의 소셜 멀티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60423B1 (ko) 3d 캐릭터 움직임 처리 장치 및 3d 캐릭터 움직임 처리 방법
US20210141524A1 (en) System For Creating Programs
Ren et al. Research and Application of Multi-dimensional Virtual Simulation Packaging Based on AR Technology
CN117908726A (zh) 基于虚拟对象的交互方法及相关设备
CN117215442A (zh) 显示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AU2010241225A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CN109814780A (zh) 一种电子留言册编辑方法、装置和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