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034A - 360 vr content player with 3d modeling objects with control over the 360 vr content being played - Google Patents

360 vr content player with 3d modeling objects with control over the 360 vr content being play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034A
KR20200095034A KR1020190012613A KR20190012613A KR20200095034A KR 20200095034 A KR20200095034 A KR 20200095034A KR 1020190012613 A KR1020190012613 A KR 1020190012613A KR 20190012613 A KR20190012613 A KR 20190012613A KR 20200095034 A KR20200095034 A KR 20200095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input
content player
present application
play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6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배
Original Assignee
박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준 filed Critical 박창준
Priority to KR1020190012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5034A/en
Publication of KR20200095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0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1Reproducing mixed stereoscopic images; Reproducing mixed monoscopic and stereoscopic images, e.g. a stereoscopic image overlay window on a monoscopic image backgr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60 virtual reality (VR) content play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may comprise: a background unit which provides a 360-degree VR image; a 3D object providing unit which provides a 3D object capable of interaction with the 360-degree VR image; a user inpu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user input information generating an event in the 3D object; and an output unit which outputs an ev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information.

Description

재생되고 있는 360 VR 콘텐츠에 별도 컨트롤이 가능한 3D 모델링 오브젝트가 표현되는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360 VR CONTENT PLAYER WITH 3D MODELING OBJECTS WITH CONTROL OVER THE 360 VR CONTENT BEING PLAYED}A 360 VR content player that displays 3D modeling objects that can be controlled separately on the 360 VR content being played.{360 VR CONTENT PLAYER WITH 3D MODELING OBJECTS WITH CONTROL OVER THE 360 VR CONTENT BEING PLAYED}

본원은 재생되고 있는 360 VR 콘텐츠에 별도 컨트롤이 가능한 3D 모델링 오브젝트가 표현되는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360 VR content player in which 3D modeling objects that can be controlled separately are expressed in 360 VR content being played.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의미한다. 또한, 가상현실 영상은 몰입성, 현재성과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플랫폼을 지향하기 때문에 이에 맞는 영상문법이 필요하다.Virtual reality (VR) refers to a specific environment or situation or the technology itself that is similar to reality created by artificial technology using computers, etc., but not real. In addition, virtual reality video is aimed at a platform that requires immersion, presentness and interaction, so a video grammar suitable for this is required.

306도 가상현실은 오래전부터 상용되고 있던 기술이었으나,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은 기기의 발전과 가상현실의 영상을 제어하고 실행시키는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최근에 가상현실의 제작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는데 360도 영상의 제작은 기존의 영상제작과는 다른 연출 방식을 요구하고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306 degree virtual reality has been a technology that has been commercially used for a long time, but with the development of devices such as HMD (Head Mounted Display) and the development of hardware that controls and executes virtual reality images, the production of virtual reality has become active worldwide. The production of 360-degree video requires a different directing method from the existing video production, 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for users.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73983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behind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0573983.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방위 360 VR 영상 혹은 콘텐츠에 인터랙션이 가능한 특정 3D 오브젝트를 표현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몰입감과 재미 요소, 광고 효과 등등 다양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줄 수 있으며 표현되는 3D 모델링 오브젝트가 별도로 컨트롤 되기 때문에 모양 변경, 색상변경, 클릭 이벤트 등을 통해 다양한 인터랙션이 가능할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by expressing a specific 3D object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n all-round 360 VR image or content,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provi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mmersion and fun elements, advertisement effects, etc. Since the 3D modeling object is controlled separately, various interactions can be made through shape change, color change, and click event.

또한, 이를 통해 사용자는 360 VR 영상 콘텐츠 내에서 3D 모델링 오브젝트에 대해 새로운 체험이 가능하며 나아가 URL 링크, 구매 결제 등등 다양한 인터랙션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is, the user can experience a new 3D modeling object within the 360 VR video content, and further, various interactions such as URL link, purchase payment, etc. can be possible.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는, 사전에 지정된 이벤트 액션이 발생할 경우, 상기 이벤트 액션에 대응하여 기존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벤트 액션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정보는, 3D 모델링의 모양 또는 색상 변화, 웹페이지 링크, 공유링크, 팝업링크, 결제 링크, 장바구니 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360 VR content play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change exist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event action when a predetermined event action occurs. The information changed in response to the event action may include a change in shape or color of 3D modeling, a web page link, a sharing link, a pop-up link, a payment link, a shopping cart, and the lik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는, 비디오 플레이가 되고 있는 360 VR 콘텐츠 데이터, 3D 모델링 오브젝트 데이터, 상하좌우 터치 이동이 가능한 360 VR 콘텐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360 VR content player may include 360 VR content data, 3D modeling object data, and 360 VR content data capable of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D 모델링 오브젝트 데이터는 상하 좌우 터치가 가능하고, 360 VR 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변경은 못하지만 3D 모델링 자체의 상하좌우로 그 모양을 돌려 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3D modeling object data can be touched up, down, left and right, and the position of the 360 VR image content cannot be changed, but the shape of the 3D modeling itself can be rotated.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D 모델링 오브젝트 데이터는 확대 및 축소(크기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3D modeling object data may be enlarged and reduced (change siz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는 한 번의 클릭(터치)을 입력받음으로써, 새로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 번의 클릭(터치)으로 변경되는 새로운 이벤트는 팝업창이 팝업되는 이벤트, 웹페이지가 새롭게 활성화되는 이벤트, 결제 페이지가 활성화되는 이벤트, 이미지가 활성화되는 이벤트, 공유 링크가 활성화되는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360 VR content player may generate a new event by receiving a single click (touch). New events that change with a single click (touch) may include a pop-up window pop-up event, a web page activation event, a payment page activation event, an image activation event, a sharing link activation event, etc. hav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는 데스크탑, 태블릿, 모바일, HMD 기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360 VR content player may be used in a desktop, tablet, mobile, or HMD devic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는, 360도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배경부, 상기 360도 가상현실 영상에 인터랙션이 가능한 3D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3D 오브젝트 제공부, 상기 배경부 및 3D 오브젝트 제공부에 포함된 콘텐츠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includes a background unit that provides a 360 degree virtual reality image, a 3D objec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3D object that can interact with the 360 degree virtual reality image, the background unit, and A user inpu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user input information for changing content included in the 3D object providing unit,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ev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information.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D 오브젝트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3D 오브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3D object providing unit may provide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ntents included in the 3D object based on the user input information.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전방위 360 VR 영상 혹은 콘텐츠에 인터랙션이 가능한 특정 3D 오브젝트를 표현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몰입감과 재미 요소, 광고 효과 등등 다양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줄 수 있으며 표현되는 3D 모델링 오브젝트가 별도로 컨트롤 되기 때문에 모양 변경, 색상변경, 클릭 이벤트 등을 통해 다양한 인터랙션이 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expressing an omnidirectional 360 VR image or a specific 3D object that can interact with the content,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provi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mmersion and fun elements, advertisement effects, etc. Because is controlled separately, various interactions can be made through shape change, color change, and click event.

또한, 이를 통해 사용자는 360 VR 영상 콘텐츠 내에서 3D 모델링 오브젝트에 대해 새로운 체험이 가능하며 나아가 URL 링크, 구매 결제 등등 다양한 인터랙션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is, the user can experience a new 3D modeling object within the 360 VR video content, and further, various interactions such as URL link, purchase payment, etc. can be possible.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360도 가상현실 영상 안에 3D 오브젝트가 제공됨으로써,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3D object is provided in a 360-degree virtual reality image, thereby providing more various information.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1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3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방법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 is a first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 is a second diagram for describing a first embodiment of a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4 is a third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6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9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a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method for providing a 360 VR content p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t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one member is positioned on another member “on”, “on top”, “top”, “bottom”, “bottom”, “bottom”, it means that one member is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cases where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as well as when in contact.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the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배경부(11), 3D 오브젝트 제공부(12), 사용자 입력 수신부(13) 및 출력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may include a background unit 11, a 3D object providing unit 12, a user input receiving unit 13, and an output unit 14.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콘텐츠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이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말 선발 메뉴 및 말 관리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may provide a plurality of content menus to a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downloads and installs an application program provided by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and a horse selection menu and a horse management menu may be provided through the installed application.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콘텐츠, 각종 통신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고, 데이터 저장 및 처리의 기능을 가지는 모든 종류의 서버, 단말,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360 VR content player apparatus 10 may include all types of servers, terminals, or devices that transmit and receive data, contents, and various communication signals to and from a us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nd have functions of storing and processing data.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와 연동되는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 Pad),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TV와 같은 고정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The user terminal is a device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a smart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a wearable device, and the lik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 It may be all kinds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s, and fixed terminals such as desktop computers and smart TVs.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 및 사용자 단말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의 일 예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유무선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Examples of a network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and a user terminal include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a 5G network, and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 Wired and wireless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Bluetooth) network, Wifi network,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전방위 360 VR 영상 혹은 콘텐츠에 인터랙션이 가능한 특정 3D 오브젝트를 표현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몰입감과 재미 요소, 광고 효과 등등 다양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줄 수 있다.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may additionally provi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mmersion and fun elements, advertisement effects, etc. for the content by expressing an omnidirectional 360 VR image or a specific 3D object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content.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 표현되는 3D 모델링 오브젝트가 별도로 컨트롤 되기 때문에 모양 변경, 색상변경, 클릭 이벤트 등을 통해 다양한 인터랙션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360 VR 영상 콘텐츠 내에서 3D 모델링 오브젝트에 대해 새로운 체험이 가능하며 나아가 URL 링크, 구매 결제 등등 다양한 인터랙션이 가능할 수 있다. Since the 3D modeling object represented by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is separately controlled, various interactions are possible through shape change, color change, and click event. Through this, users can experience new 3D modeling objects within 360 VR video content, and further, various interactions such as URL link, purchase payment, etc. can be possible.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데스크탑, 태블릿, 모바일, HMD 기기에서 활용될 수 있다.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can be used in desktop, tablet, mobile, and HMD devices.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경부(11)는 360도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배경부(11)는 비디오 플레이가 되고 있는 360도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배경부(11)에 제공된 360도 가상현실 영상은 상하좌우 터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사용자 입력 수신부(13)에서 사용자 입력 정보로서, 가상현실 영상에 대응하는 상하 터치를 입력받은 경우, 배경부(11)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360도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background unit 11 may provide a 360 degree virtual reality image. The background unit 11 may provide 360-degree virtual reality content in which video is played. The 360-degre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ed to the background unit 11 may be moved vertically,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3 receives a vertical touch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ality image as user input information, the background unit 11 can provide a 360 degree virtual reality image based on the user input information. hav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360도 가상현실 영상에 인터랙션이 가능한 3D 오브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3D 오브젝트는 사전에 지정된 이벤트 액션에 따라 모양 또는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수신부(13)는 3D 오브젝트를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기존의 오브젝트 모양 또는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3D 모델링 오브젝트가 빨간 색상의 정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자 입력으로 인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일예로, 사전에 지정된 이벤트 액션은 웹페이지 링크 콘텐츠, 공유 링크 콘텐츠, 팝업 링크 콘텐츠, 결제 링크 콘텐츠, 장바구니 담기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3D object providing unit 12 may provide a 3D object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 360 degree virtual reality image. The shape or color of the 3D objec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ent action. For example, the user input receiver 13 may receive user input information for clicking a 3D object. The 3D object providing unit 12 may change at least one of an existing object shape or color based on user input information. As an example, although the 3D modeling object illustrated in FIG. 1 is shown as a red square, it may be changed due to a user input. For example, the event action specified in advance may include web page link content, sharing link content, pop-up link content, payment link content, shopping cart content, and the like.

또한,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3)에서 수신한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웹페이지 링크 콘텐츠, 공유 링크 콘텐츠, 팝업 링크 콘텐츠, 결제 링크 콘텐츠, 장바구니 담기 콘텐츠 등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3D object providing unit 12 may provide web page link content, shared link content, pop-up link content, payment link content, shopping cart content, etc. in response to user inpu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3. have.

또한,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3)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기반하여 3D 오브젝트 자체의 상하좌우로 모양을 돌려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수신부(13)에서 사용자 입력 정보로서, 3D 오브젝트를 왼쪽으로 일정 기준이상 드레그하는 경우,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3D 오브젝트를 현재 지점에서 왼쪽으로 일정 기준이상 드래그한 지점까지의 회전한 지점까지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3D object providing unit 12 may rotate and provide a shape of the 3D object itself based 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3.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3 drags a 3D object to the left by a predetermined reference or more as user input information, the 3D object providing unit 12 moves the 3D object to the left from the current point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informa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rotated point up to the dragged point over a certain standard.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수신부(13)는 3D 오브젝트에 이벤트를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3)는 360도 가상현실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3)는 터치, 드래그 등과 같은 입력을 사용자 입력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3 may receive user input information that generates an event in a 3D object.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3 may receive user input information for changing a 360 degree virtual reality image or a 3D object.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3 may receive an input such as a touch or a drag as user input information.

일예로, 사용자 입력 수신부(13)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360도 가상현실 영상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에 해당하는 경우, 배경부(11)는 360도 가상현실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수신부(13)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3D 오브젝트 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에 해당하는 경우,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3D 오브젝트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 information corresponds to enlargement or reduction of a 360 degree virtual reality image,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3 may enlarge or reduce the 360 degree virtual reality image. 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 information corresponds to enlargement or reduction of the 3D object,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3 may enlarge or reduce the 3D object.

사용자 입력 수신부(13)는 사용자 입력 정보로 클릭(터치)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팝업창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새로운 웹 페이지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결제 페이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3D 오브젝트 제공부(12)는 특정 이미지 또는, 공유 링크 페이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When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3 receives a click (touch) input as user input information, the 3D object providing unit 12 may activate a pop-up window. Also, the 3D object providing unit 12 may activate a new web page. Also, the 3D object providing unit 12 may activate a payment page. In addition, the 3D object providing unit 12 may activate a specific image or a shared link page.

출력부(14)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4)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배경부(11) 또는 3D 오브젝트에 포함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4 may output an event in response to user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4 may output content included in the background unit 11 or the 3D object in response to user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1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3D 모델링으로 된 신발 오브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상하좌우 드래그인 경우, 상하좌우 드래그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신발 3D 모델링을 움직여 상하 좌우 모습을 제공할 수 있다. 3 is a first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Referring to FIG. 3,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may provide a shoe object in 3D modeling.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may provide a vertical, left and right view by moving the shoe 3D modeling in response to the vertical, left and right drag input information when the user input information is dragging.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3D 모델링으로 된 신발 오브젝트를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서브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서브 이벤트는, 온라인 페이지 창, 제품 정보 창, 제품 구매 창, 장바구니 창, 공유하기 링크창, 다른 이미지 갤러리, CF 광고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4 is a second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Referring to FIG. 4,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may generate a sub-event based on user input information for clicking a shoe object in 3D modeling. In this case, the sub-event may include an online page window, a product information window, a product purchase window, a shopping cart window, a sharing link window, another image gallery, a CF advertisement video, and the like.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3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3D 모델링으로 된 신발 오브젝트를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발생되는 서브 이벤트를 나타낸 예이다.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매장을 촬영할 경우, 서브 이벤트로서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를 제공하고,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할 시 해당 오브젝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해당 오브젝트는 3D 가상현실 오브젝트로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측면에서 해당 오브젝트를 볼 수 있다. 5 is a third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Referring to FIG. 5, a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is an example of a sub-event generated based on user input information for clicking a shoe object in 3D modeling.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provides a plurality of sub-objects as sub-events when shooting a corresponding store using a user terminal, and activates the corresponding object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b-objects is selected. have. The corresponding object is a 3D virtual reality object, and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e object can be viewed from various aspects.

도 6 내지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배너가 들어가는 네이버 화면에 360도 가상 영상 및 3D 오브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6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6 to 8,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may provide a 360-degree virtual image and a 3D object on a Naver screen containing a banner.

도 7을 참조하면, 표시되어 있는 네이버 화면에 제공되는 배너(배너광고) 영역에 360도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360도 가상현실 컨텐츠는 앞서 설명된 360도 가상현실 영상 및 3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컨텐츠 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360 degree virtual reality content may be provided in a banner (banner advertisement) area provided on a displayed Naver screen. The 360-degree virtual reality content may be content including the 360-degree virtual reality image and 3D object described above.

도 9 내지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소셜 커머스에서도 활용 가능할 수 있다.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특정 상품에 대하여 360도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9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a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9 to 10,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may also be utilized in social commerce.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may provide 360 degree virtual reality content for a specific product.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앞서 설명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10)는 유투브 방송의 하단에 제공되는 베너에 삽입되어, 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0 may be inserted into a banner provided at the bottom of a YouTube broadcast to provide video content.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360 VR content p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1에 도시된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a 360 VR content player illustrated in FIG. 11 may be performed by the apparatus 10 for providing a 360 VR content player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360 VR content player providing apparatus 10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360 VR content player providing method.

단계 S101에서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장치(10)는 360도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In step S101, the 360 VR content player providing device 10 may provide a 360 degree virtual reality image.

단계 S102에서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장치(10)는 360도 가상현실 영상에 인터랙션이 가능한 3D 오브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In step S102, the 360 VR content player providing apparatus 10 may provide a 3D object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 360 degree virtual reality image.

단계 S103에서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장치(10)는 3D 오브젝트에 이벤트를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step S103, the 360 VR content player providing device 10 may receive user input information for generating an event in a 3D object.

단계 S104에서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In step S104, the 360 VR content player providing device 10 may output an event corresponding to user input information.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1 내지 S104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101 to S104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may be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changed.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for providing a 360 VR content play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360 VR content player providing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pplication executed by a computer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belongs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all modifications or vari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
11: 배경부
12: 3D 오브젝트 제공부
13: 사용자 입력 수신부
14: 출력부
10: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11: background
12: 3D object provider
13: User input receiver
14: output

Claims (2)

360도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배경부;
상기 360도 가상현실 영상에 인터랙션이 가능한 3D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3D 오브젝트 제공부;
상기 배경부 및 3D 오브젝트 제공부에 포함된 콘텐츠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
A background unit that provides a 360-degree virtual reality image;
A 3D objec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3D object capable of interaction with the 360-degree virtual reality image;
A user inpu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user input information for changing content included in the background unit and the 3D object providing unit;
An output unit outputting an ev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information;
Including,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오브젝트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3D 오브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인, 360 VR 콘텐츠 플레이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3D object providing unit,
To provide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ntents included in the 3D object based on the user input information, 360 VR content player device.

KR1020190012613A 2019-01-31 2019-01-31 360 vr content player with 3d modeling objects with control over the 360 vr content being played KR202000950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613A KR20200095034A (en) 2019-01-31 2019-01-31 360 vr content player with 3d modeling objects with control over the 360 vr content being play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613A KR20200095034A (en) 2019-01-31 2019-01-31 360 vr content player with 3d modeling objects with control over the 360 vr content being play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34A true KR20200095034A (en) 2020-08-10

Family

ID=7204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613A KR20200095034A (en) 2019-01-31 2019-01-31 360 vr content player with 3d modeling objects with control over the 360 vr content being play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503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4770B2 (en) System integrating a mobile device application creation, editing and distribution system with a website design system
US10032484B2 (en) Digital video builder system with designer-controlled user interaction
US11800192B2 (en) Bullet scree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99965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media content
US8739070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carousel
KR20180102089A (en) Interactive dynamic push notifications and floating animated push interfaces for other content
US10606443B2 (en) Interactive dashboard for controlling delivery of dynamic push notifications
US10416840B2 (en) Multi-tap functionality for interactive dynamic push notifications and other content
US20180364892A1 (en) Automated migration of animated icons for dynamic push notifications
Zorrilla et al. HTML5-based system for interoperable 3D digital home applications
JP2019503023A (en) Theme data
KR20200095034A (en) 360 vr content player with 3d modeling objects with control over the 360 vr content being played
KR20200097997A (en)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s
KR102268013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f rroviding authoring platform for author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CN102930076A (en) Real-time three-dimensional data interaction method for virtual object
US20150350292A1 (en) Site management platform
US20160147741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corporating sign language
US11589084B2 (en) Dynamic, interactive segmentation in layered multimedia content
US11625472B2 (en) Converting static content items into interactive content items
Rocha et al. Inpresso AR: a generic augmented book
KR1025604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3d character animation
US20210141524A1 (en) System For Creating Programs
Ren et al. Research and Application of Multi-dimensional Virtual Simulation Packaging Based on AR Technology
CN117908726A (en) Interaction method based on virtual object and related equipment
KR20150080077A (en) Method, mobile terminal, ser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on mobile web p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