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948A - Electric wheelchair - Google Patents

Electric wheel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948A
KR20200093948A KR1020190011320A KR20190011320A KR20200093948A KR 20200093948 A KR20200093948 A KR 20200093948A KR 1020190011320 A KR1020190011320 A KR 1020190011320A KR 20190011320 A KR20190011320 A KR 20190011320A KR 20200093948 A KR20200093948 A KR 20200093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rame
electric wheelchair
mo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3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8036B1 (en
Inventor
최해민
도원동
임재범
홍을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1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036B1/en
Publication of KR20200093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9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0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7Motorized wheel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ic wheelchair includes: a first module having a battery and including a sitting part on which a person sits; and a second module coupled to the first module to be separable therefrom and having a motor generating driving force. When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power of the battery is transmitted to the motor so that the motor is driven. Therefore, in the electric wheelchair, the weight of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can be equally dispersed so that the electric wheelchair can be easily separated and transported.

Description

전동 휠체어{ELECTRIC WHEELCHAIR}Electric Wheelchair {ELECTRIC WHEELCHAIR}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wheelchair.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장애인, 노약자 그리고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상태에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를 말한다.In general, a wheelchair refers to a chair with wheels so that a person with a disability, the elderly, and a person who is not free of legs or a physically disabled person can move to a desired place while sitting.

이러한 휠체어는 그 구동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 휠체어와, 전동기를 통해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 휠체어로 구분된다.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the wheelchair is divided into a manual wheelchair in which the user manually drives the wheel and an electric wheelchair in which the wheel is driven through an electric motor.

통상 수동 휠체어는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시트부의 측면 양측에 바퀴가 마련되고, 상기 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링 부재가 마련된 구조로서, 별도의 레버를 이용하여 시트를 절첩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휠체어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켜 차량에 탑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Typically, a manual wheelchair is provided with wheels on both sides of a seat portion so that a user can ride there, and a ring member is provided to rotate the wheel. It is made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a vehicle by reducing its size.

반면, 전동 휠체어는 시트부, 프레임 그리고 구동장치가 복잡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어 그 분리가 어려우며, 따라서 차량의 탑재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lectric wheelchair, the seat portion, the frame, and the driving device are combined in a complex structure, so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m,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hicle cannot be moun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9286호(2017년09월29일)에는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가 개시된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 electric wheelchair capable of being detachable and collapsibl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9286 (September 29, 2017).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전동 휠체어는 바퀴 및 모터가 구비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람이 앉도록 구비되는 시트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시트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electric wheelchair disclosed in the prior art is composed of a frame provided with a wheel and a motor, and a seat portion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provided for a person to sit. And, the frame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seat portion.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전동 휠체어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electric wheelchair disclosed in the prior literatur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종래의 전동 휠체어는 시트부와 프레임이 단순히 분리되는 것이 개시될 뿐, 분리 후 보관하는 데 있어서 그 부피가 크게 줄어들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First,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wheelchair, only the separation of the seat portion and the frame is disclos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olume cannot be greatly reduced in storage after separation.

둘째, 종래의 전동 휠체어 프레임에는 바퀴, 모터 및 배터리(축전지) 등 무게가 무거운 부품이 집중되어 있으므로, 프레임과 시트부를 분리하더라도 프레임의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프레임의 보관 및 적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Second, since heavy parts such as wheels, motors, and batteries (batteries) are concentrated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wheelchair fra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ad of the frame is not evenly distributed even if the frame and the seat are separat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orage and loading of the frame is difficult.

1. 공개번호 (공개일자) : 10-2017-0109286 (2017년 9월 29일)1.Public number (public date): 10-2017-0109286 (September 29, 2017) 2. 발명의 명칭 :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2. Name of invention: Electric wheelchair that can be separated and fol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 휠체어의 분리 시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의 무게가 균등하게 분산될 수 있는 전동 휠체어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wheelchair in which the weights of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when the electric wheelchair is separa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동 휠체어를 이루는 제 1 모듈 및 제 2 모듈의 결합 및 분리가 간편해 질 수 있고, 분리 후 보관 및 적재가 용이해 질 수 있는 전동 휠체어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wheelchair that can be easily combined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constituting the electric wheelchair, and can be easily stored and loaded after sepa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이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전동 휠체어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wheelchair in which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can be safely and physically coupl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동 휠체어의 주행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전동 휠체어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wheelchair capable of improving stability when driving an electric wheelchai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배터리가 구비되며, 사람이 착석하는 착석부를 포함하는 제 1 모듈과, 상기 제 1 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구비되는 제 2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의 무게가 균등하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전동 휠체어의 분리 및 이송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An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battery, the first module including a seating portion for seating a person,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module, the driving force Since the weight of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can be evenly distributed by including the second module provided with the generating motor,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separation and transport of the electric wheelchair.

또한, 상기 제 1 모듈은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는 전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first module may include a front frame supporting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module may include a rear frame supporting the motor.

이때, 상기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은 내부가 비어있는 폐곡선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의 폭은 상기 후방 프레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 프레임의 일부가 상기 후방 프레임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므로, 전동 휠체어의 분리 후 보관 및 적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are respectively formed as an empty closed curve, and the width of the front frame is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frame, so that a part of the front frame can be drawn into the rear fram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storage and loading after separation of the electric wheelchair.

또한, 상기 전방 프레임은 상기 후방 프레임의 내측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방 프레임에는 상기 후방 프레임의 내측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 프레임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의 결합 및 조립이 간단해질 수 있다.Further, the front frame may be sliding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ear frame. For example, a slide groove for slidingly engaging inside the rear frame is formed in the front frame, and a sl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is formed in the rear frame, thereby combining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And assembly can be simplified.

또한, 상기 전방 프레임은 상기 착석부가 설치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제 3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front frame may include a first frame in which the seating unit is installed, a second frame bent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and a third frame connecting each end of the second frame. .

이때,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제 1 프레임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착석부는 상기 제 1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lide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the seat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frame.

그리고, 상기 착석부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시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시트 커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includes a seat portion and a seat cover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seat portion, and the battery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at cover.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후방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와 상기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The second module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late coupled to the rear fram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motor.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이 결합되면, 상기 시트 커버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와 상기 모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are combined, the seat cover and the connection plate are in contact, so that the battery and the moto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커버에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nection plate includes a base and a base cover that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in combination with the base, and the base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motor.

또한, 상기 시트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속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nection groov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ion terminal to the battery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at cover.

그리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또는 베이스 커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시트 커버를 고정시키는 락킹 레버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의 결합을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late is hinged to the base or base cover, and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lever for fixing the seat cover,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can be firmly maintained.

상기 락킹 레버는, 상기 베이스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시트 커버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lever, a hinge portion hinged to the base, a gripp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inge portion to be gripped by a user, 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gripping portion to selectively engage the inside of the seat cover It may contain wealth.

상기 후방 프레임의 양측에는 한 쌍의 메인바퀴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메인 바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A pair of main wheels are respective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frame, and the motor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wheel.

또한,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모터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한 쌍의 메인바퀴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후방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odule further includes a control box for controlling the motor, and the control box can be installed in the rear frame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main wheels.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전동 휠체어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제 1 모듈과, 모터가 구비되는 제 2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므로,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의 무게가 균등하게 분산될 수 있어서 전동 휠체어의 분리 및 이송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First, the electric wheelchair includes a first module equipped with a battery and a second module equipped with a motor.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are provided detachably, the weights of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separation and transport of the electric wheelchair.

둘째, 제 1 모듈은 착석부를 지지하는 전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제 2 모듈은 모터를 지지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은 내부가 비어있는 폐곡선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의 일부가 상기 후방 프레임의 내부로 인입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동 휠체어의 분리 후 보관 및 적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Second, the first module includes a front frame supporting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module includes a rear frame supporting the motor. At this time,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are each formed of an empty closed curve, and a part of the front frame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ar frame, so that it is easy to store and load after separation of the electric wheelchair. There is this.

셋째, 전방 프레임은 후방 프레임의 내측에 슬라이딩 결합 방식으로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므로,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의 결합 및 조립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Third, since the front frame is provided to be mounted and detachable on the inside of the rear frame by a sliding coupling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assembly and assembly of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넷째, 후방 프레임에는 제 1 모듈에 구비된 배터리와 제 2 모듈에 구비된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플레이트가 제공됨으로써,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이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h, the rear frame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lat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provided in the first module and the motor provided in the second module, so that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can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securely coupled. have.

다섯째, 연결 플레이트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시트부를 고정시키는 락킹 레버가 제공됨으로써,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전동 휠체어의 주행시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Fifth, the connection plate is provided with a locking lever for fixing the seat portion by the user's manipulation, so that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can be maintained firmly.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ability is improved when driving the electric wheelchai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전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이 분리된 상태에서 포개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이 분리된 상태에서 포개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an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are superimposed in a separat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are stacked in a separated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interfere with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종단면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of an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10)는 크게 제 1 모듈(100)과, 상기 제 1 모듈(100)에 결합되는 제 2 모듈(200)을 포함한다.1 to 4, the electric wheelchai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first module 100 and a second module 200 coupled to the first module 100.

상기 제 1 모듈(100)은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모듈(200)은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모듈(100)과 제 2 모듈(200)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module 10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electric wheelchair 10, and the second module 200 may be disposed in the rear of the electric wheelchair 10. In addition,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second module 200 may be detachably coupled.

여기서, "전방"이라 함은 상기 전동 휠체어(10)가 주행 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라 함은 상기 전방의 반대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Here, "forward"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ic wheelchair 10 faces when driving, and "rear" can be understood a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ront.

상기 제 1 모듈(100)은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전방 모듈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모듈(200)은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후방에 배치되므로 후방 모듈로 정의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module 1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electric wheelchair 10, it is defined as a fron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200 is disposed in the rear of the electric wheelchair 10, and thus can be defined as a rear module. have.

상기 제 1 모듈(100)은, 사람이 실제로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착석부(120)가 구비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모듈(100)에는 배터리(123)가 포함된다. 상기 배터리(123)는 상기 착석부(1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module 100 is a part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120 that allows a person to actually sit. In addition, the first module 100 includes a battery 123. The battery 123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ating unit 120.

상기 제 2 모듈(200)은,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주행을 위한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 2 모듈(200)에는 주행을 위한 모터(231)가 구비된 메인바퀴(230)가 포함된다.The second module 200 is a par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ts for driving the electric wheelchair 10. The second module 200 includes a main wheel 230 having a motor 231 for driving.

일반적으로, 전동 휠체어는 배터리 및 모터가 가장 무거운 부품들 중 하나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동 휠체어(10)를 이루는 제 1 모듈(100)에 배터리(123)를 배치하고 제 2 모듈(200)에 모터(231)를 배치함으로써, 제 1 모듈(100) 및 제 2 모듈(200)의 분리 시, 각 모듈의 무게를 동등 또는 유사한 수준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분리 시 이송 및 적재가 용이 해지는 장점이 있다.In general, an electric wheelchair can be understood as one of the heaviest parts of a battery and motor. In response to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osing the battery 123 in the first module 100 constituting the electric wheelchair 10 and the motor 231 in the second module 200, the first module 100 And when the second module 200 is separated, the weight of each module may be distributed at an equal or similar level.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transport and load when the electric wheelchair 10 is separated.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모듈(100)은 전방 프레임(110)과,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착석부(120) 및 타측에 결합되는 다리걸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module 100 may include a front frame 110, a seating portion 1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ont frame 110, and a legrest portion 130 coupled to the other side. .

상기 전방 프레임(110)은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동 휠체어(10)에 사람이 착석 시 그 체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110)은 내부가 비어있는 폐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frame 11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electric wheelchair 10, and when the person is seated in the electric wheelchair 10, it can support its weight. The front frame 110 may be formed as a closed curve with an empty interior.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착석부(120)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다리걸이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A seating portion 120 may b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110, and a legrest portion 130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 프레임(110)은 상기 착석부(120)를 지지하는 제 1 프레임(111)과,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 2 프레임(112) 및 상기 제 2 프레임(112)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제 3 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ront frame 110 includes a first frame 111 supporting the seating portion 120 and a second frame 112 bent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111, respectively. ) And a third frame 113 connecting each end of the second frame 112.

상기 제 1 프레임(111), 제 2 프레임(112) 및 제 3 프레임(11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rame 111, the second frame 112, and the third frame 113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제 1 프레임(111)은, 상기 착석부(12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프레임(111)은 상기 착석부(120)가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frame 111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seating portion 120. That is, the first frame 111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so that the seating portion 120 can be inserted inside.

이때,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내측면 일부는, 상기 착석부(120)의 양측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착석부(120)에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착석부(120)가 상기 제 1 프레임(1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11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seating unit 120, so that even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seating unit 120, the seating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 111).

예를 들어, 상기 제 1 프레임(111)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석부(120)는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프레임(111)은 상기 착석부(120)의 양측면 및 후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frame 111 may be formed in a “c” shape. 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120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frame 111. Thus, the first frame 111 can be seen as covering both side and rear surfaces of the seating portion 120.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111)은 슬라이드 홈(111a)을 포함한다.Also, the first frame 111 includes a slide groove 111a.

상기 슬라이드 홈(111a)은, 상기 제 1 모듈(100)이 상기 제 2 모듈(200)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슬라이드 홈(111a)은 상기 제 2 모듈(200)에 구비된 슬라이드 돌기(도 7의 213 참조)에 끼워져서 상기 제 2 모듈(20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lide groove 111a is a portion for sliding the first module 100 to be coupled to the second module 200. The slide groove 111a may be fitted into a slide protrusion (see 213 of FIG. 7) provided in the second module 200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module 200.

상기 슬라이드 홈(111a)은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드 홈(111a)은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홈(111a)은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양측면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slide groove 111a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11. For example, the slide grooves 111a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111, respectively. The slide groove 111a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frame 111.

또한, 상기 슬라이드 홈(111a)은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양측면뿐 아니라,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후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홈(111a)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슬라이드 홈(111a)을 형성할 수 있다. Further, the slide groove 111a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111 as well as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11. At this time, the slide grooves 111a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one slide groove 111a.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 모듈(100)이 상기 제 2 모듈(200)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및 결합이 가능해 진다.By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module 100 is capable of sliding movement and coupl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module 200.

상기 제 2 프레임(112)은,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 2 프레임(112)은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rame 112 is a portion bent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111, respectively. The second frame 112 may be formed to be rounded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frame 111.

이때, 상기 제 2 프레임(112)은 상기 제 1 프레임(111)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방 연장부(112a)와, 상기 전방 연장부(112a)의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방 연장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frame 112 includes a front extension portion 112a extending toward the front from the first frame 111 and a rear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rear from the end of the front extension portion 112a ( 112b).

즉, 상기 전방 연장부(112a)와 상기 후방 연장부(112b)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연장부(112a) 및 후방 연장부(112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라운드 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That is, the front extension portion 112a and the rear extension portion 112b may each extend in different directions. The front extension portion 112a and the rear extension portion 112b are formed to be rounded in different directions,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volume of the front frame 110.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프레임(111)과 상기 제 1 연장부(112a)가 이루는 각도(A)는 일례로 120도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112a)와 상기 제 2 연장부(112b)가 이루는 각도(B)는 90도 보다는 크고 120도 보다는 작게 설계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3, an angle A formed between the first frame 111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112a may be 120 degrees, for example. In addition, the angle B form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12a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12b may be designed to be greater than 90 degrees and smaller than 120 degrees.

즉, 상기 제 1 프레임(111)과 상기 제 1 연장부(112a)가 이루는 각도(A)와, 상기 제 1 연장부(112a)와 상기 제 2 연장부(112b)가 이루는 각도는 둔각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부피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That is, the angle A formed between the first frame 111 and the first extension 112a and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extension 112a and the second extension 112b form an obtuse angle By doing so, the volume of the front frame 110 can be minimized.

상기 제 3 프레임(113)은, 상기 제 2 프레임(112)의 각 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 3 프레임(113)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후술될 다리걸이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The third frame 113 connects each end of the second frame 112. The third frame 113 is formed to be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an support the leg rest portion 13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착석부(120)는,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내측에 결합되며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eating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frame 110 and is configured to allow a person to sit down.

상기 착석부(120)는 시트(121)와, 상기 시트(121)의 하측에 결합되는 시트 커버(122)를 포함한다.The seating portion 120 includes a seat 121 and a seat cover 122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at 121.

상기 시트(121)는, 사람이 착석 시 둔부와 접촉되는 부분으로써 부드럽고 탄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heet 121 may be formed of a soft and elastic material as a part that a person contacts with the buttocks when seated.

상기 시트 커버(122)는, 상기 시트(121)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써 상기 시트(121)의 하측에 결합된다. 상기 시트 커버(122)는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트 커버(122)는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내측면에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The seat cover 122 is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sheet 121 as a portion supporting the sheet 121. The seat cover 122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frame 110. For example, the seat cover 122 may be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11.

또한, 상기 착석부(120)에는 배터리(123)가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123)는 후술될 컨트롤 박스(240) 및 모터(231)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battery 123 is disposed in the seating unit 120. The battery 123 may provide power to the control box 240 and the motor 2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구체적으로, 상기 배터리(123)는 상기 시트 커버(12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시트 커버(122)는 내부에 상기 배터리(123)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attery 123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at cover 122. To this end, the seat cover 122 may form an accommodation space that allows the battery 123 to be accommodated therein.

상기 배터리(123)는 상기 시트 커버(122)가 상기 제 2 모듈(200)에 결합 시, 상기 제 2 모듈(200) 측으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시트 커버(122)에는 상기 제 2 모듈(200)에 구비된 접속단자(도 5의 274 참조)가 삽입되기 위한 접속 홈(122a)이 형성될 수 있다.The battery 123 may provide power to the second module 200 when the seat cover 122 is coupled to the second module 200. To this end, a connection groove 122a for inserting a connection terminal (see 274 in FIG. 5) provided in the second module 200 may be formed in the seat cover 122.

상기 접속 홈(122a)은, 상기 시트 커버(122)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274)가 상기 접속 홈(122a)에 삽입되면, 상기 배터리(123)의 전원이 상기 접속단자(274)를 통해 상기 제 2 모듈(200)의 모터(231)로 전달될 수 있다.The connection groove 122a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cover 122.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274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122a, power from the battery 123 may be transmitted to the motor 231 of the second module 200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274. .

상기 다리걸이부(130)는, 사람의 다리 또는 발을 지지하며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legrest part 130 is coupled to support a person's leg or foot an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front frame 110.

상기 다리걸이부(130)는 사람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부(131)와, 상기 발판부(131)를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연결하는 연결부(132)를 포함한다.The legrest part 130 includes a footrest part 131 supporting a person's foot and a connection part 132 connecting the footrest part 131 to the front frame 110.

상기 발판부(131)는 사람의 두 발이 모두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32)는 일단이 상기 발판부(131)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32)에 의해서 상기 다리걸이부(130)는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접히도록 회전될 수 있다. The scaffolding portion 131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so that both human feet can be seated. In addition,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32 is coupled to the scaffolding portion 131,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front frame 110. Accordingly, the legrest part 130 may be rotated by the connection part 132 to be folded inside the front frame 110.

또한, 상기 제 1 모듈(100)은 보조바퀴(14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module 100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wheel 140.

상기 보조바퀴(140)는,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이동 또는 주행을 보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바퀴(14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프레임(122)의 양측 하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바퀴(140)는 캐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wheel 14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ont frame 110 to assist the movement or travel of the electric wheelchair 10. Specifically, the auxiliary wheels 140 are formed in plural, and may be provided at both lower ends of the second frame 122, respectively. The auxiliary wheel 140 may include a caster.

한편, 상기 제 2 모듈(200)은 후방 프레임(210)과,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등받이부(220)와,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타측에 결합되는 메인바퀴(23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module 200 includes a rear frame 210, a backrest portion 2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ar frame 210, and a main wheel 23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ar frame 210. ).

상기 후방 프레임(210)은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주행을 위한 부품들을 지지한다. 상기 후방 프레임(210)은 내부가 비어있는 폐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frame 21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electric wheelchair 10 and supports parts for driving the electric wheelchair 10. The rear frame 210 may be formed as a closed curve with an empty interior.

그리고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상부에는 등받이부(220)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메인바퀴(230)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backrest portion 220 may b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frame 210, and a main wheel 230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 프레임(210)은 상기 등받이부(220)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211)과, 상기 상부 프레임(211)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바퀴(230)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212)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ar frame 210 is connected to an upper frame 211 supporting the backrest portion 220 and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211 and supporting the main wheel 230. It may include a frame 212.

상기 상부 프레임(211) 및 하부 프레임(21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211)과 하부 프레임(212)은 서로 연결되어 단일의 폐곡선을 이룰 수 있다. The upper frame 211 and the lower frame 212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the upper frame 211 and the lower frame 21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closed curve.

상기 상부 프레임(211)은 일례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211)은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211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backward by being formed in an “C” shape as an example. The upper frame 211 may extend toward the front as it descends downward.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211)의 상부에는 상기 등받이부(2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220)는 상기 상부 프레임(211)의 상부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ckrest portion 22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211. The backrest part 22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211.

상기 하부 프레임(212)은 상기 상부 프레임(211)의 양측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더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212)은 상기 상부 프레임(211)의 양측 하단부로부터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후방 및 하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The lower frame 212 further extends downward from both lower sides of the upper frame 211. Specifically, the lower frame 212 may extend toward the rear and the lower side of the electric wheelchair 10 from both lower ends of the upper frame 211.

한편,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211)과 상기 하부 프레임(212)이 이루는 각도(C)는 90도보다는 크고 120보다는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프레임(211)과 하부 프레임(212)이 이루는 각도(C)는 둔각으로 설계될 수 있다.Meanwhile, based on FIG. 3, the angle C formed between the upper frame 211 and the lower frame 212 may be designed to be greater than 90 degrees and smaller than 120 degrees. That is, the angle C formed between the upper frame 211 and the lower frame 212 may be designed as an obtuse angle.

또한, 상기 후방 프레임(210)에는 슬라이드 돌기(213)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lide protrusion 213 may be formed on the rear frame 210.

상기 슬라이드 돌기(213)는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슬라이드 홈(111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전방 프레임(110)이 상기 후방 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slide protrusion 213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111a of the front frame 110, so that the front frame 110 can be coupled to the rear frame 210.

상기 슬라이드 돌기(213)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양측 내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돌기(213)는 전후방향으로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lide protrusions 213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inner surfaces of the rear frame 210, respectively. The slide protrusion 213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슬라이드 돌기(213)는 상기 상부 프레임(211)과 하부 프레임(212)이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슬라이드 돌기(213)는 상기 상부 프레임(211)과 하부 프레임(212)의 경계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The slide protrusion 213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upper frame 211 and the lower frame 212 are connected. Alternatively, the slide protrusion 213 may be provided in a boundary area between the upper frame 211 and the lower frame 212.

따라서, 상기 제 1 프레임(111)은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중간 높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21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착석부(12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first frame 111 can be coupled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iddle height of the rear frame 210, the front frame 110 and the rear frame 210 can be stably combined, and the The height of the sitting portion 120 can be easily adjusted.

상기 등받이부(220)는 시트(221)와, 상기 시트(221)의 후면에 결합되는 시트 커버(222)를 포함한다.The backrest portion 220 includes a seat 221 and a seat cover 222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at 221.

상기 시트(221)는, 사람이 상기 착석부(120)에 착석 시 등부와 접촉되는 부분으로써 부드럽고 탄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at 221 may be formed of a soft and elastic material as a part of a person in contact with the back when sitting in the seating portion 120.

상기 시트 커버(222)는, 상기 시트(221)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써 상기 시트(221)의 후면에 결합된다. 상기 시트 커버(222)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eat cover 222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at 221 as a portion supporting the seat 221. The seat cover 222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ear frame 210.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 커버(222)는 상기 상부 프레임(211)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트 커버(222)는 상기 상부 프레임(211)의 내측면에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t cover 22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211. For example, the seat cover 222 may be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211 by a fastening member.

상기 메인바퀴(230)는, 상기 전동 휠체어(10)가 실질적으로 주행을 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메인바퀴(230)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메인바퀴(230)는 상기 보조바퀴(140)에 비하여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The main wheel 230 is configured to allow the electric wheelchair 10 to substantially travel. The main wheel 230 is provid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rear frame 210 to support the load of the electric wheelchair (10). The main wheel 230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auxiliary wheel 140.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바퀴(230)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212)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퀴(230)는 모터(231)와, 회전축, 인휠 및 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in wheels 230 are formed in a pair and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lower frame 212. The main wheel 230 may include a motor 231, a rotating shaft, an in-wheel, and a tire.

상기 모터(231)는, 스테이터와, 로터 및 마그네트 등을 포함하며 상기 인휠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The motor 231 includes a stator, a rotor, a magnet, and the like, and generates driving force to rotate the in-wheel.

상기 회전축은, 상기 로터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23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인휠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The rotating shaft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otor and can transmit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231 to the in-wheel side.

상기 인휠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23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The in-wheel may be rotated by being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nd receiving a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231.

상기 타이어는, 상기 인휠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전동 휠체어(10)를 지면으로부터 탄성 지지할 수 있다.The tire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wheel and can elastically support the electric wheelchair 10 from the ground.

또한, 상기 제 2 모듈(200)은 상기 모터(23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box 240 for controlling the motor 231.

상기 컨트롤 박스(240)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ntrol box 240 may be installed under the rear frame 210.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 박스(240)는 상기 하부 프레임(212)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컨트롤 박스(240)는 대략 사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212)의 내측에 구비된다.Specifically, the control box 24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frame 212. The control box 24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frame 212.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박스(240)는 상기 하부 프레임(212)에 의해 그 측면이 가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 박스(240)는 상기 하부 프레임(212)이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하여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동 휠체어(10)를 측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컨트롤 박스(240)의 외관이 히든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전동 휠체어(10)가 주행시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box 240 may be disposed such that its side is covered by the lower frame 212. That is, the control box 240 is disposed such that the lower frame 212 is inclined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angle. Therefore, when the electric wheelchair 10 is viewed from the side,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ontrol box 240 has a hidden structure, so that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electric wheelchair 10 becomes clean when driving.

상기 컨트롤 박스(24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박스 케이스(241)와, 상기 박스 케이스(241)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자부품(242)이 포함될 수 있다. The control box 240 may include a box case 241 forming an exterior and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242 provided inside the box case 241.

또한, 상기 제 2 모듈(200)은 팔걸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n armrest portion 250.

상기 팔걸이부(250)는, 사람이 착석 시 팔 또는 손을 지지하는 부분이다.The armrest part 250 is a part that supports an arm or a hand when a person is seated.

상기 팔걸이부(250)는 삼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팔걸이부(250)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양측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armrest part 250 has a triangular shape, and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ear frame 210. The armrest portions 250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on both sides of the rear frame 21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 2 모듈(200)은 컨트롤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260.

상기 컨트롤러(260)는,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주행을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해된다. 상기 컨트롤러(260)에는 디스플레이부와, 버튼부 및 조이스틱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ntroller 260 is understood to be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operate the electric wheelchair 10. The controller 260 may include a display unit, a button unit, a joystick unit, and the like.

또한, 상기 제 2 모듈(200)은 연결 플레이트(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late 270.

상기 연결 플레이트(270)는 상기 제 1 모듈(100)과 상기 제 2 모듈(2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late 270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second module 200.

상기 연결 플레이트(270)와 상기 제 1 모듈(100)이 연결되면, 상기 제 1 모듈(100)의 배터리(123)의 전원이 상기 제 2 모듈(200)의 모터(231) 및 전자부품(242)으로 제공될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plate 270 and the first module 100 are connected, the power of the battery 123 of the first module 100 is the motor 231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242 of the second module 200 ).

또한, 상기 제 2 모듈(200)은 바스켓 장착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basket mounting portion 280.

상기 바스켓 장착부(280)는 소지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바스켓이 장착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바스켓 장착부(280)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basket mounting portion 280 is a portion for mounting a basket capable of storing belongings and the like. The basket mounting portion 280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ar frame 210.

구체적으로, 상기 바스켓 장착부(280)는 상기 하부 프레임(212)의 양측 내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장착부(280)는 상기 하부 프레임(212)의 내측면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asket mounting portion 280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lower frame 212, respectively. The basket mounting portion 280 may be formed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212.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바스켓 장착부(280)에 체결부재의 체결에 의해서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바스켓의 일부가 상기 바스켓 장착부(280)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The basket may be mounted on the basket mounting portion 280 by fastening a fastening member. Alternatively, a part of the basket may be mounted by being engaged with the basket mounting portion 28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의 종단면도이다.5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연결 플레이트(270)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모듈(100)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4 to 6, the connection plate 270 may be coupled to the rear frame 210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module 100.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플레이트(270)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212)의 양 내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프레임(110)이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면, 상기 시트 커버(122)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270)는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nection plate 270 is form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both ends may be coupled to both inner surfaces of the lower frame 212, respectively. In addition, when the front frame 110 is sliding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ear frame 210, the seat cover 122 and the connection plate 270 may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플레이트(270)는 베이스(271)와 상기 베이스(271)에 결합되는 베이스 커버(272)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plate 270 includes a base 271 and a base cover 272 coupled to the base 271.

상기 베이스(271)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270)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커버(272)는 상기 베이스(271)의 상측에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커버(272)는 상기 베이스(271)와 결합하여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273)을 형성한다.The base 271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270, and the base cover 272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271. The base cover 272 is combined with the base 271 to form a predetermined inner space 273 therein.

상기 연결 플레이트(270)는 접속단자(2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late 27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274.

상기 접속단자(274)는 상기 시트 커버(122)에 구비된 배터리(123)와, 상기 컨트롤 박스(240) 및 모터(23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이다.The connection terminal 274 is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123 provided in the seat cover 122, the control box 240, and the motor 231.

상기 접속단자(274)는 상기 시트 커버(122)에 구비된 접속 홈(122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274)가 상기 접속 홈(122a)에 삽입되면, 상기 배터리(123)의 전원이 상기 컨트롤 박스(240) 및 모터(231) 측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274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122a provided in the seat cover 122.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274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122a, power of the battery 123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box 240 and the motor 231 side.

이때,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내부에는 전선이 제공된다. 상기 전선의 일단은 상기 컨트롤 박스(240) 및 모터(23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접속단자(274)에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an electric wire is provided inside the rear frame 210. One end of the wire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box 240 and the motor 23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274.

일례로, 상기 접속단자(274)는 상기 수용공간(273)에 설치되며, 그 일부가 상기 베이스 커버(272)의 상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274)가 상기 베이스 커버(272)의 상측으로 노출되면, 상기 접속단자(274)는 상기 시트 커버(122)의 하면에 구비된 상기 접속 홈(122a)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connection terminal 274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73, a part of which may protrud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cover 272.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274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cover 272, the connection terminal 274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nnection groove 122a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cover 122. .

또한, 상기 연결 플레이트(270)는 락킹 레버(2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late 270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lever 275.

상기 락킹 레버(275)는 상기 제 1 모듈(100)과 상기 제 2 모듈(200)의 결합을 락킹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락킹 레버(275)가 필요한 이유는,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주행 시, 충격 및 흔들림에 의해 상기 제 1 모듈(100)과 제 2 모듈(200)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locking lever 275 is configured to lock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second module 200. The reason for the need for the locking lever 275 is that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second module 200 may be disengaged by impact and shaking when the electric wheelchair 10 is driven.

구체적으로, 상기 락킹 레버(275)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27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275a)와, 상기 힌지부(275a)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파지부(275b) 및 상기 파지부(275b)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걸림부(275c)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cking lever 275 includes a hinge portion 275a hing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plate 270, and a gripping portion 275b and a gripping portion extending forward from the hinge portion 275a. It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275c) extending upward from (275b).

상기 힌지부(275a)는, 상기 베이스(271) 또는 상기 베이스 커버(272)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hinge portion 275a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base 271 or the base cover 272 and is rotatably provided.

일례로, 상기 힌지부(275a)는 상기 베이스(271)의 상면에 구비된 힌지 가이드(276)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271)의 상면에는 한 쌍의 힌지 가이드(276)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275a)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힌지 가이드(276) 각각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hinge portion 275a may be hinged to the hinge guide 276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ase 271. At this time, a pair of hinge guides 276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71, and both ends of the hinge portion 275a may be hinged to each of the pair of hinge guides 276.

상기 파지부(275b)는 상기 힌지부(275a)의 일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275b)는 사람의 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베이스(271)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gripping portion 275b is formed to extend forward from one side of the hinge portion 275a. The gripping portion 275b may be formed to cover the lower side of the base 271 as a portion gripped by a human hand.

이때, 상기 베이스(271)에는 상기 파지부(275b)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파지홈(27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홈(277)은 상기 베이스(271)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gripping groove 277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gripping portion 275b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 the base 271. The gripping groove 277 may b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base 271.

또한, 상기 파지부(275b)는 상기 파지홈(277) 내에 배치되며, 그 일부가 상기 파지홈(277)의 하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파지부(275b)는 상기 파지홈(277) 내에서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ping portion 275b is disposed in the gripping groove 277, and a part of the gripping portion 277 may extend further below the gripping groove 277. That is, the gripping portion 275b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downward in the gripping groove 277, and can be easily gripped by a user's hand.

상기 걸림부(275c)는 상기 파지부(275b)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75c)는 상기 베이스 커버(272)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시트 커버(122)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275c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275b. The engaging portion 275c may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cover 272 and be introduced into the seat cover 122.

이때, 상기 걸림부(275c)는 상기 시트 커버(122)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king portion 275c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at cover 122.

예를 들어, 상기 시트 커버(122)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부(275c)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봉(122b)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275c)가 상기 걸림봉(122b)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상기 시트 커버(122)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270)가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an inner side of the seat cover 122 is formed with an engaging rod 122b hanging over an end of the engaging portion 275c, and the engaging portion 275c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rod 122b, The seat cover 122 and the connection plate 270 may be fixed.

상기 걸림봉(122b)은, 상기 시트 커버(122)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대(122c)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봉(122b)의 양측단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22c)의 각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The engaging rod 122b may be connected by a pair of supports 122c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cover 122. That is, both ends of the locking rod 122b may be connected to each lower end of the pair of support 122c.

또한, 상기 걸림봉(122b)은 상기 시트 커버(122)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27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봉(122b)은 상기 시트 커버(122)의 하면이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부(122d)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봉(122b)은 상기 함몰부(122d)의 내부에서 상기 베이스 커버(272) 및 상기 걸림부(275c)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king rod 122b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seat cover 122 and the connection plate 270. The locking rod 122b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ssed portion 122d formed by recess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cover 122 upward. That is, the locking rod 122b may be surrounded by the base cover 272 and the locking portion 275c inside the recessed portion 122d.

또한, 상기 걸림부(275c)는 상기 걸림봉(122b)과의 걸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275c)는 상기 파지부(275b)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후방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75c)의 라운드진 후단부는 상기 걸림봉(122b)에 접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king portion 275c may be formed to be rounded to facilitate engagement with the locking rod 122b. That is, the engaging portion 275c extends upward from the gripping portion 275b, and may be formed to be rounded to the rear. And the rounded rea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275c may be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rod 122b.

또한, 상기 걸림부(275c)는 상기 걸림봉(122b)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gaging portion 275c may be disengaged by the user in a state coupled to the engaging rod 122b.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275b)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힌지부(275a)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걸림부(275c)가 상기 걸림봉(122b)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걸림부(275c)와 상기 걸림봉(122b) 간의 구속력이 제거되면서 상기 시트 커버(122)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270)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pulls the gripping portion 275b downward, the hinge portion 275a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accordingly, the locking portion 275c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rod 122b. . Then, as the restraining force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275c and the engaging rod 122b is removed, the seat cover 122 may be detachable from the connecting plate 270.

이때, 상기 힌지부(275a)에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275c)가 상기 걸림봉(122b)에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 spring may be provided at the hinge portion 275a, and the locking portion 275c may be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locking rod 122b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이다.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r perspective view.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모듈(100)과 상기 제 2 모듈(200)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7 and 8,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second module 200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모듈(100)의 전방 프레임(110) 및 상기 제 2 모듈(200)의 후방 프레임(210)은 내부가 비어있는 폐곡선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ront frame 110 of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rear frame 210 of the second module 200 may be respectively formed as closed curves having an empty interior.

그리고 상기 전방 프레임(110) 좌우폭(W1)은 상기 후방 프레임(210) 좌우폭(W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일부가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착석부(120) 부분은,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좌우폭을 정의하는 내부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widths W1 of the front frame 110 may be small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W2 of the rear frame 210. Accordingly, a part of the front frame 1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ar frame 210. For example, the seating portion 120 of the front frame 110 may be introduced into an interior space that defines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rear frame 210.

또한, 상기 제 1 모듈(100)에는 슬라이드 홈(111a)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모듈(200)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111a)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213)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slide groove 111a is formed in the first module 100, and a slide protrusion 213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111a is formed in the second module 200.

상기 슬라이드 홈(111a)은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양측 외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213)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양측 내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slide groove 111a may be formed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front frame 110, and the slide protrusions 213 may be form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rear frame 210,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드 돌기(213)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을 이루는 상기 상부 프레임(211) 및 하부 프레임(21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슬라이드 돌기(213)는 상기 상부 프레임(211)과 상기 하부 프레임(212)의 경계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lide protrusion 213 may be formed on any one of the upper frame 211 and the lower frame 212 constituting the rear frame 210. Alternatively, the slide protrusion 213 may be formed at a boundary point between the upper frame 211 and the lower frame 212.

상기 슬라이드 돌기(213)는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전후방향으로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슬라이드 홈(111a)이 상기 슬라이드 돌기(213)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 1 모듈(100)과 상기 제 2 모듈(200)이 결합될 수 있다. The slide protrusion 213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electric wheelchair 10. Then, the slide groove 111a of the front frame 110 is fitted to the slide protrusion 213, so that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second module 200 can be combined.

또한, 상기 제 1 모듈(100)이 상기 제 2 모듈(200)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시트 커버(122)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27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시트 커버(122)의 배터리(123)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270)의 접속단자(274)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배터리(123)의 전원이 상기 모터(231) 및 컨트롤 박스(24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module 100 is completely coupled to the second module 200, the seat cover 122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ate 270. Then, the battery 123 of the seat cover 122 and the connection terminal 274 of the connection plate 270 are electrically connected, so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123 is the motor 231 and the control box 240 ) Sid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이 분리된 상태에서 포개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are superimposed in a separat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모듈(100)과 제 2 모듈(200)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모듈(100)과 제 2 모듈(200)은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second module 200 are separated,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second module 200 may overlap each other.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모듈(200)의 후방 프레임(210) 및 메인 바퀴(230)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모듈(100)은 상기 제 2 모듈(200)의 상측에 포개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while the rear frame 210 and the main wheel 230 of the second module 200 are supported on the ground, the first module 100 is superim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module 200. Can be.

이때, 상기 제 1 모듈(100)의 착석부(120)는 상기 제 2 모듈(200)의 컨트롤 박스(24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모듈(100)의 보조바퀴(140)는 상기 제 2 모듈(200)의 등받이부(22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ating unit 120 of the first module 100 may be disposed above the control box 240 of the second module 200. In addition, the auxiliary wheel 140 of the first module 100 may be disposed above the backrest portion 220 of the second module 200.

이 경우,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123)가 구비된 착석부(120)가 컨트롤 박스(240)의 상측에 지지됨으로써,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seating portion 120 provided with the heavy battery 123 is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rol box 240, stable mounting is possible.

또한, 상기 제 1 모듈(100)의 다리걸이부(130)는 안쪽으로 회동되어 접혀질 수 있고, 상기 제 2 모듈(200)의 팔걸이부(250)는 회전됨으로써 각 모듈의 부피가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g rest 130 of the first module 100 may be rotated inward and folded, and the armrest part 250 of the second module 200 may be rotated to reduce the volume of each module. hav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 모듈(100)과 제 2 모듈(200)은 서로 포개어져서 보관 또는 적재될 수 있고,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second module 200 can be stored or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an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stably mount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이 분리된 상태에서 포개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module and a second module are superimposed in a separated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모듈(100)과 제 2 모듈(200)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모듈(100)과 제 2 모듈(200)은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second module 200 are separated,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second module 200 may overlap each other.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모듈(200)의 후방 프레임(210) 및 메인바퀴(230)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모듈(100)의 전방 프레임(110) 및 보조바퀴(140)는 지면에 함께 지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frame 210 and the main wheel 230 of the second module 200 are supported on the ground, the front frame 110 and the auxiliary wheel 140 of the first module 100 are It can be supported together on the ground.

이때, 상기 전방 프레임(110)은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구비된 착석부(120)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ront frame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rear frame 210. That is, the seating portion 120 provided in the front frame 110 may be drawn into the rear frame 210.

이 경우,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123)가 구비된 착석부(120)가 지면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고, 모터(231)가 구비된 메인바퀴(230) 역시 지면에 직접 지지되므로,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seating portion 120 provided with the heavy battery 123 is dispos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ground, and the main wheel 230 provided with the motor 231 is directly supported on the ground, stable mounting is possible There is this.

또한, 상기 제 1 모듈(100)의 다리걸이부(130)는 안쪽으로 회동되어 접혀질 수 있고, 상기 제 2 모듈(200)의 팔걸이부(2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각 모듈의 부피가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grest part 130 of the first module 100 can be rotated inward and folded, and the armrest part 250 of the second module 200 is rotated clockwise so that the volume of each module is Can be reduced.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 모듈(100)과 제 2 모듈(200)은 서로 포개어져서 보관될 수 있고,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second module 200 can be stored in a superimposed manner and can be stably mounted by such a configuration.

Claims (17)

배터리가 구비되며, 사람이 착석하는 착석부를 포함하는 제 1 모듈; 및
상기 제 1 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구비되는 제 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듈과 상기 제 2 모듈이 결합되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모터로 전달되어 상기 모터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
The battery is provided, the first module including a seating portion for a person to sit; And
The second modul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module, and includes a second module provided with a motor for generating driving force,
When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are combined, the power of the battery is transmitted to the motor, the electric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or is driv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은,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는 전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odule includes a front frame supporting the seating portion,
The second module, the electric wheelchair including a rear frame for supporting the mo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은 내부가 비어있는 폐곡선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의 폭은 상기 후방 프레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 프레임의 일부가 상기 후방 프레임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전동 휠체어.
According to claim 2,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are respectively formed as an empty closed curve,
The width of the front frame is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frame, a part of the front frame is an electric wheelchair that can be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rear fram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은, 상기 후방 프레임의 내측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3,
The front frame, the electric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sliding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ear fram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에는 상기 후방 프레임의 내측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 프레임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전동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4,
The front frame is formed with a slide groove for slidingly engaging inside the rear frame,
The rear frame is an electric wheelchair in which a sl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is form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은,
상기 착석부가 설치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제 3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5,
The front frame,
A first frame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is installed;
A second frame bent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And
And a third frame connecting each end of the second fram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제 1 프레임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전동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6,
The slide groove is an electric wheelchai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는, 상기 제 1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전동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6,
The seating portion, an electric wheelchair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ra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시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시트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동 휠체어.
According to claim 2,
The seating portion includes a seat portion, and a seat cover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at portion,
The battery is an electric wheelchair disposed inside the seat cov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후방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와 상기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module, the electric wheelchair is coupled to the rear frame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plat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moto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이 결합되면, 상기 시트 커버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와 상기 모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동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are combined, the seat cover and the connection plate are combin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and the moto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커버에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전동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necting plate,
Base; And
It includes a base cover in combination with the base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The base cover, the electric wheelchair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moto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속 홈이 형성되는 전동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2,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cover, an electric wheelchair in which a connection groove is formed for the connection terminal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또는 베이스 커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시트 커버를 고정시키는 락킹 레버를 더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nection plate, the electric wheelchair further comprises a locking lever hinged to the base or base cover to secure the seat cov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레버는,
상기 베이스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시트 커버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4,
The locking lever,
A hinge portion hinged to the base;
A gripp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hinge portion to one side and being gripped by a user; And
An electric wheelchair including an engaging portion that extends upward from the gripping portion and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at cov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프레임의 양측에는 한 쌍의 메인바퀴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메인 바퀴 내부에 배치되는 전동 휠체어.
According to claim 2,
A pair of main wheels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frame,
The motor is an electric wheelchair disposed inside the main whee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모터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한 쌍의 메인바퀴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후방 프레임에 설치되는 전동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5,
The second module further includes a control box for controlling the motor,
The control box is an electric wheelchair installed on the rear frame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main wheels.
KR1020190011320A 2019-01-29 2019-01-29 Electric wheelchair KR1022780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320A KR102278036B1 (en) 2019-01-29 2019-01-29 Electric wheel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320A KR102278036B1 (en) 2019-01-29 2019-01-29 Electric wheel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948A true KR20200093948A (en) 2020-08-06
KR102278036B1 KR102278036B1 (en) 2021-07-15

Family

ID=72040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320A KR102278036B1 (en) 2019-01-29 2019-01-29 Electric wheel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03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342B1 (en) * 2011-03-04 2011-07-07 미키코리아(주) Electric wheelchair
KR20150024537A (en) * 2013-08-27 2015-03-0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Walking assistant robot
KR20170109286A (en) 2016-03-21 2017-09-29 근로복지공단 Detachable and foldable electrical wheelchair
KR101807962B1 (en) * 2016-08-23 2017-12-11 강지원 Two way wheelch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342B1 (en) * 2011-03-04 2011-07-07 미키코리아(주) Electric wheelchair
KR20150024537A (en) * 2013-08-27 2015-03-0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Walking assistant robot
KR20170109286A (en) 2016-03-21 2017-09-29 근로복지공단 Detachable and foldable electrical wheelchair
KR101807962B1 (en) * 2016-08-23 2017-12-11 강지원 Two way wheelchai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 발명의 명칭 :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036B1 (en)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715B2 (en) Mobility device
US2892506A (en) Electrically driven invalid chair
WO2019106926A1 (en) Electric wheelchair
JP5508507B2 (en) Massage machine
CN107468438B (en) Folding electric wheelchair
JP6220620B2 (en) Chair type massage machine
WO2017061136A1 (en) Assistance device
KR20200093948A (en) Electric wheelchair
US11377014B2 (en) Riding vehicle
KR102277566B1 (en) Electric wheelchair
KR102275599B1 (en) Electric wheelchair
JP2013063705A (en) Vehicle rear structure
JP2013009794A (en) Foldable vehicle
KR102130551B1 (en) Chair with standing up aid
KR20190024417A (en) Chair with standing up aid
JP2012056537A (en) Handcart
JP2016036608A (en) Handcart
GB2360938A (en) Multi-functional infant/child seat
JP2000316619A (en) Carry bag with chair
KR102359574B1 (en) Wheelchair with lifting function
KR200431465Y1 (en) Chair
JP4682774B2 (en) Seat structure of small electric vehicle
KR100794553B1 (en) Ambulance car with long chair
WO1997025905A1 (en) Reclining office chair
JP6224981B2 (en) Transfer assisting device and care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