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039A -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 Google Patents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039A
KR20200089039A KR1020190005614A KR20190005614A KR20200089039A KR 20200089039 A KR20200089039 A KR 20200089039A KR 1020190005614 A KR1020190005614 A KR 1020190005614A KR 20190005614 A KR20190005614 A KR 20190005614A KR 20200089039 A KR20200089039 A KR 20200089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device
medical
location
management system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6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세운
장원석
최다영
이민주
양송호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5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9039A/en
Publication of KR20200089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0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02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 G08B13/2451Specific applications combined with EAS
    • G08B13/2462Asset location systems combined with EA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a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provided are the management system for identifying a location of medical devices in a hospital having a plurality of medical devices or enabling effective maintenance.

Description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의료기기를 보유하고 있는 병원 내에서 의료기기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유지보수를 가능하도록 하는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a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a management system and a management system that can locate a medical device in a hospital that has a plurality of medical devices or effectively maintain it. It's about how.

병원에는 각종 의료기기가 구비되어 있다.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초음파장비, 제세동기, X-RAY 장비, 환자 모니터링장치, 저온 냉장고 및 세포 냉동을 위한 극초저온 냉동고를 비롯 의료시설에서 이용되는 여러 의료기기는 의료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종류와 수량이 점차 다양화하고 있다.The hospital is equipped with various medical devices. Medical devices used in medical facilities including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CT (Computed Tomography), ultrasound equipment, defibrillator, X-ray equipment, patient monitoring devices, cryo freezers and cryogenic freezers for cell freezing As technology advances, the types and quantities are gradually diversifying.

이들 의료기기의 상태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므로 의료기기의 유지관리를 위해 의료기기의 점검은 상시로 요구되며, 적격성 심사를 통해 관리되고 있다. 적격성 심사는 의료기기의 내외부 외관 상태, 내부 주요 부품의 상태, 의료기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점검하는 심사로서, 의료시설에서 주기적으로 실시되고 있다.Since the state of these medical devices is directly related to the patient's life, inspection of the medical devices is required at all times for maintenance of medical devices, and is managed through eligibility screening. The eligibility test is a review that checks the internal and external appearance of medical devices, the condition of major internal parts, and the integrity of data output from medical devices. It is periodically conducted in medical facilities.

특히, 다수의 의료기기를 보유하고 있는 중대형 병원 내에서는 의료기기의 위치파악이 어려우며, 각 장비별로 정기적인 유지보수 기간 및 정기점검 또는 보증기간의 일정이 서로 상이하여 개별적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locate a medical device in a medium-to-large-sized hospital that has a large number of medical devices, and it is difficult to individually manage the schedules of regular maintenance and regular inspection or warranty periods for each device.

또한, 각 의료기기를 개별적으로 관찰하고 각 항목이 기재된 용지들에 내역을 기재하는 기존의 관리방법은, 의료기기를 관리하는 관리자 입장에서 다수의 의료기기에 대해 오프라인 환경에서 하나하나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바, 쉽게 피로를 느끼게되는 측면이 있다. 대형병원과 같은 의료시설에 설치되는 의료기기들의 수와 종류를 생각한다면, 관리자가 수많은 종류의 장비의 내부와 외부 및 내부 부품들의 연결 상태, 의료기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무결성 여부를 관찰하고 관찰 결과를 용지에 기록한다는 것은 업무 효율이라는 측면에서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management method of observing each medical device individually and recording the details on the sheets on which each item is described is performed individually in an offline environment for a plurality of medical devices from the viewpoint of the administrator managing the medical device. There is a side that makes you feel tired easily. When considering the number and types of medical devices installed in medical facilities such as large hospitals, the administrator observes the connection status of numerous types of equipment, the connection status of external and internal parts, and the integrity of data output from medical devices, and the results of observations. It can be seen that it is not desirable in terms of work efficiency to record.

의료기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기술이 국내등록특허 제10-1570140호(의료 장비의 자동 위치 복귀 시스템, 2015.11.20. 공고, 이하 종래기술)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의료기기와 의료영상장비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의료기기와 의료영상장비 사이에서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장비와 위치복귀장치를 구비하여, 두 의료기기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고, 재위치 가능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의료기기의 위치를 감지하고 재위치 시키는데에 그쳐, 상기 의료기기의 유지보수에 관련된 정보를 함께 파악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A technique for checking the location of a medical device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70140 (automatic position return system for medical equipment, announced on November 20, 201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The prior art is equipped with a medical device and a medical imaging device, and is provided with a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a position return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between the medical device and the medical imaging device, to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two medical devices, Make it possible to reposition. However, the prior art merely detects the position of the medical device and repositions it,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grasping information related to maintenance of the medical device.

국내등록특허 제10-1570140호(의료 장비의 자동 위치 복귀 시스템, 2015.11.20. 공고)Domestic registration patent No. 10-1570140 (automatic position return system for medical equipment, 2015.11.20.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의료기기를 보유하고 있는 병원 내에서 의료기기의 위치파악이 어려우며, 각 장비별로 정기적인 유지보수 기간 및 정기점검 또는 보증기간의 일정이 서로 상이하여 개별적 관리가 어려운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difficult to locate a medical device in a hospital having a large number of medical devices, and regular maintenance periods and regular inspections or warranty periods for each equipment The purpose is to solve the shortcomings that are difficult to manage individually due to different schedules.

또한, 각 의료기기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유지보수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maintenance management information to a user by storing information of each medical device in a database.

의료기기와 통신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의료기기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200)에 설치되어, 상기 의료기기(200)의 위치를 파악하고 추적하는 센서(220), 상기 의료기기(200)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의료기기(200)의 기기 정보 및 유지보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0) 및 상기 의료기기(200)에 부착되어, 상기 의료기기(200)를 인식하기 위한 QR코드(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system for managing a medical device using a terminal that communicates with a medical device, the system is installed in the medical device 200, the sensor 220 to locate and track the medical device 200, the medical device ( It is provided in 200, the database 210 for storing the device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of the medical device 200 and attached to the medical device 200, QR code for recognizing the medical device 200 ( 230).

상기 단말기(100) 및 상기 의료기기(200)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100 and the medical device 200 are characterized by communicating using Bluetooth or Wi-Fi.

의료기기와 통신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의료기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회원가입을 통해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관리자 승인을 받는 제1단계, 관리자 승인을 받은 아이디 및 비밀번호로 로그인하는 제2단계, 검색하고자 하는 의료기기(200)의 이름 또는 품번을 검색하는 제3단계, 검색된 의료기기(200)의 위치를, 도면위에 표시한 지도를 통해 확인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method of managing a medical device using a terminal communicating with a medical device, the first step of generating an ID and password through member registration and receiving administrator approval, and the second step of logging in with an ID and password approved by the administrator, And a third step of searching for the name or part number of the medical device 200 to be searched, and a fourth step of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searched medical device 200 through a map displayed on the drawing.

상기 관리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의료기기(200)의 기기정보, 품명, 유지보수 일정, 사용부서, 위치열을 입력하고, 고유 QR코드를 생성하여 조회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dminist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information, product name, maintenance schedule, usage department, and location column of the medical device 200 are input to the database, and a unique QR code is generated for inquiry.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다수의 의료기기를 보유하고 있는 병원 내에서 손쉽게 의료기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관리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asily grasping the position of a medical device and managing it in a hospital having a plurality of medical devices.

또한, 실시간으로 의료기기의 정보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여, 의료기기의 유지보수/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information of the medical device in real time, there is an effect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 management of the medic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통신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Wi-Fi and Bluetooth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made clear by referring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은,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의료기기를 보유하고 있는 병원 내에서 의료기기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유지보수를 가능하도록 하는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비 관리 시스템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a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a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a medical device to locate or effectively maintain a location of a medical device in a hospital having a plurality of medical devices, and It is about management method. Hereinafter, a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은 크게 단말기와 의료기기로 구성된다.1 is a view showing a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terminal and a medical device.

상기 단말기와 의료기기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로 연결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terminal and the medical device are connected via Bluetooth or Wi-Fi,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단말기는 다수개의 의료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기기가 단말기와 연결되어, 다수개의 의료기기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으며, 각 의료기기의 효과적인 유지보수를 가능하도록 한다.Th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medical devices. In the terminal, at least one medic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o that a plurality of medical devices can be simultaneously managed, and effective maintenance of each medical device is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료기기는 데이터베이스(DB), QR코드 및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은, 각 의료기기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검색할 수 있고,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의료기기의 실제 위치 및 정기 유지보수/관리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다.2 is a view showing a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medical device includes a database (DB), QR code and sensor.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medical device can be easily retrieved using an applic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Bluetooth or Wi-Fi, the actual location and regular maintenance of the medical device / Management is easier.

상기 데이터베이스(DB)는 상기 의료기기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의료기기의 기기정보 및 유지보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의료기기의 기기정보는 관리자가 신규 의료기기 등록시 등록하는 정보이다. 사용자가 신규 의료기기 등록시 상기 의료기기의 기기정보, 품명, 유지보수 일정, 검수예정날짜, 사용부서, 위치열 등의 문자열 정보를 작성하여 등록 요청을 하면, 관리자가 검수 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게 된다. 이후, 상기 데이터베이스(DB)내에 등록되어 있는 문자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의료기기를 검색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규 의료기기를 등록할 시, 관리자가 직접 등록하고 저장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The database DB is provided in the medical device, and is provided to store device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of the medical device.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medical device is information registered by an administrator when registering a new medical device. When a user registers a new medical device and requests registration by writing string information such as device information, product name, maintenance schedule, scheduled inspection date, usage department, location column, etc., the administrator stores the database after inspection. Thereafter, a desired medical device can be searched using data of a character string registered in the database (DB). In addition, when registering the new medical devic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administrator to directly register and store.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일 실시예로 구글(GOOGLE)사에서 제공하는 웹 데이터 플렛폼인 파이어베이스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데이터 플렛폼을 사용 가능하다.The database uses Firebase, a web data platform provided by Google (GOOGLE), as an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data platforms can be used.

또한, 상기 위치추적센서는 상기 의료기기에 설치되어, 상기 의료기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추적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가 단말기 내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의료기기의 위치를 추적 할 경우, 상기 위치추적센서는 현재 의료기기의 위치를 어플리케이션 상에 나타내게 된다.In addition, the position tracking sensor is installed on the medical device, to grasp and track the position of the medical device. When the user tracks the position of the medical device through an application in the terminal, the position tracking sensor display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edical device on the application.

이때, 상기 의료기기의 위치는 도면 위에 표시한 지도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기저장된 현재 위치(예를 들면, 병원 등)의 도면 위에, 각 의료기기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만들고, 각각의 지도에 의료기기의 위치를 문자열로 할당하게 된다. 그로인해 각 의료기기의 위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세부사항의 문자열과 일치하는 지도를 불러 올 수 있도록 구성한다.At this time, the location of the medical device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map displayed on the drawing. On the drawing of the pre-stored current location (for example, a hospital, etc.), the location of each medical device is individually created, and the location of the medical device is assigned to each map as a string. Therefore, if you click the location check button of each medical device, it is configured to load a map that matches the string of details.

상기 QR코드는 상기 의료기기에 부착되어, 상기 의료기기를 인식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상기 QR코드는 각 의료기기마다 고유의 QR코드를 가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관리자는 각 의료기기마다 고유 QR코드를 생성하여 조회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QR code is attached to the medical device, and is provided to recognize the medical device. The QR code has a unique QR code for each medical device. In this case, the administrator can set a unique QR code for each medical device so that it can be viewed.

상기 관리자는 QR코드를 생성함에 있어, QR코드 생성기 등을 이용 가능하며, 상기 의료기기의 이름, 종류, 위치 등의 기본정보 및 고유의 문자열을 등록하여 코드를 생성 가능하다. 이후, QR코드 스캔 시, QR코드 마다 부여해준 문자를 인식하여 그에 맞는 의료기기를 불러 올 수 있도록 한다.In generating the QR code, the administrator can use a QR code generator, etc., and can register the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type, and location of the medical device and a unique character string to generate the code. Then, when scanning the QR code, it recognizes the text given for each QR code so that the medical device can be call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료기기의 정보 및 위치 정보에 접근 하기 위해서는 승인받은 아이디가 필요하게 된다.3 is a view show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n authorized ID is required to access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edical device.

상기 사용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가입을 통해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생성하게 된다. 회원 가입을 완료한 사용자는 관리자의 승인이 이루어질 때 까지 기다리게 되고, 관리자 승인을 받은 아이디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user, as shown in FIG. 3(a), generates an ID and password through membership registration. The user who has completed the membership registration waits until the approval of the administrator is made, and it is possible to log in using the ID and password as shown in FIG. 3(b).

상기 사용자는, 로그인 한 뒤, 검색하고자 하는 의료기기의 이름 또는 품번을 검색하고, 검색된 의료기기의 위치를, 도면위에 표시한 지도를 통해 확인하여 상기 의료기기의 위치를 찾게 된다.After logging in, the user searches for the name or part number of the medical device to be searched, and locates the medical device by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medical device through the map displayed on the drawin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의료기기는 데이터베이스(DB) 내에 상기 의료기기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의료기기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즉,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의료기기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 형태로 제공하게 된다.4 is a view show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medical device stores information of the medical device in a database DB, and the medical device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That is, the terminal provides an application for managing the medical device in a use form.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통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상기 단말기와 의료기기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의료기기에 구현되는 위치 파악 및 유지보수 기능의 구현과 관련되어, 일 실시예로는 의료기기에 별도의 아두이노 보드를 부가하여 구현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Wi-Fi and Bluetooth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terminal and the medical device are connected using Bluetooth or Wi-Fi. In rela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tion and maintenance functions implemented in the medical device, a method in which a separate Arduino board is added to the medical device may be used as an embodiment.

상기 블루투스 통신 방법은 아두이노 보드에 블루투스 모듈을 시리얼 통신을 통해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각각의 의료기기에 부착된 LED 전구와 피에조 부저를 이용하여 의료기기의 위치를 시각적, 청각적 으로 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The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can be used by connecting a Bluetooth module to the Arduino board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and it is easy to visually and audibly locate the medical device using the LED bulb and piezo buzzer attached to each medical device. Make it identifiable.

또한,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로, 상기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이용할 때 가장 편리한 연결 방식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이므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한다. 하지만, 상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사용할 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두이노 보드에서는 각 모듈간 1:1 연결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아두이노 메가보드의 4개의 시리얼 포트를 활용하는데, 상기 4개의 시리얼 포트에는 각각의 독립적인 블루투스 모듈을 연결할 수 있고, 결론적으로, 하나의 메가보드로 4개의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4개의 모듈 중, 하나의 모듈은 데이터 수신용으로 사용가능하며, 나머지 3개는 데이터 송신용으로 사용가능하다. 즉, 상기 메가보드는 3개의 아두이노 우노보드를 컨트롤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rminal is a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he most convenient connection method when using a terminal such as the smartphone is Bluetooth or Wi-Fi, so Bluetooth or Wi-Fi is used. However, when using the Bluetooth or Wi-Fi, as shown in FIG. 5, in the Arduino board, only 1:1 connection between each module is possible. Therefore, using four serial ports of the Arduino Megaboard, each of the independent Bluetooth modules can be connected to the four serial ports, and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o send or receive four data to one Megaboard. . Of the four modules, one module can be used for data reception, and the other three can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That is, the mega board can control three Arduino Uno boards.

코딩을 진행할 시, 작업자는 가장 작은 슬레이브 우노부터 시작하게 된다. 슬레이브 우노는 정해진 문자열을 받았을 때 연결된 전구와 부저를 켜고 끌 수 있도록 코딩된다. 이후 슬레이브 메가보드는 마스터 메가보드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6가지 경우로 분류하여 연결된 3개의 슬레이브 우노로 2개씩(ON 1개, OFF 1개)로 보내게 된다. 마지막으로, 마스터 메가보드는 스마트폰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12가지 경우로 분류하고, 각 경우에 맞게 3개의 슬레이브 메가로 나눠 송신하게 된다.When coding, the worker starts with the smallest slave Uno. The slave uno is coded to turn on and off the connected light bulb and buzzer when it receives the specified string. Subsequently, the slave mega board classifi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master mega board into six cases and sends them to two connected slave slaves (one on and one off). Finally, the master megaboard classifi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into 12 cases, and transmits the data by dividing it into 3 slave megas for each case.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할 경우, 이론상으로 제어 할 수 있는 우노의 제한은 없게 된다. 블루투스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의료기기의 위치확인버튼을 누르면, 특정 문자열을 아두이노로 보내도록 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를 마스터 메가보드가 받고, 상기 마스터메가보드는 미리 정해둔 경우에 따라 정해진 슬레이브 메가보드로 전송하고, 슬레이브 메가보드는 다시 전의 알고리즘을 반복하여 정해진 우노에게 전송하여, 최종적으로 슬레이브우노의 전구와 부저를 켜고 끄게 할 수 있다.If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there is no limit in theory that can be controlled. With the Bluetooth connected, pressing the location button of the medical device in the application will send a specific string to the Arduino. The master mega board receives the data, and the master mega board transmits to the predetermined slave mega boar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ase, and the slave mega board repeats the previous algorithm to transmit to the determined uno, and finally the slave uno bulb You can turn the buzzer on and off.

또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할 시, 지그비 블루투스 통신이 아닌 아두이노의 시리얼 통신 소켓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지그비 블루투스 통신은 BLE 비콘(Beacon) 등을 사용하게 되면, 저전력 무선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통달 거리가 수십 미터에 불과하여 규모가 큰 병원에서는 사용하는데에 제약이 있으므로, 아두이노의 시리얼 통신 소켓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rduino's serial communication socket, not ZigBee Bluetooth communication. The Zigbee Bluetooth communication has the advantage that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when a BLE beacon or the like is used, but since the communication distance is only a few tens of meters, it is limited to use in a large hospital, so Arduino serials A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constructed using a communication socket.

또한, 상기 의료기기는 위치추적센서 외에 다양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스센서를 장착하여, 병원 등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 유출을 할 수 있다. 즉, 아두이노에 장착할 수 있는 많은 센서들을 용도에 맞게 충격, 전도 센서 등을 달아서 한계충격경보, 접지불량, 누전경보 등을 울릴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dical device may further include various sensors in addition to the position tracking sensor. For example, a gas sensor can be installed to leak gas generated inside a hospital. That is, many sensors that can be mounted on the Arduino can be configured to sound limit shock alarms, ground faults, and ground fault alarms by attaching shock and conduction sensors to suit the application.

상기 누전경보 등과 같은 경보 센서의 추가로, 의료환경에서의 사고를 예방 할 수 있다. 유해가스 등을 다루는 장비에 대해서는 해당 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추가로 부가하고, 해당 센서에서 임계치 이상의 해당 물질이 검출되는 경우, 장비의 위치와 상황 등을 중앙관제 서버 등에 송신하여 재난을 예방할 수 있다.The addition of an alarm sensor, such as the ground fault alarm, can prevent an accident in the medical environment. For equipment that handles harmful gases, sensors that can detect the substance are additionally added, and when the substance that exceeds the threshold is detected by the sensor, the location and situation of the equipment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to prevent disasters. Can.

일 예로, 방사선이 이용되는 CT 의 경우, 방사선 감지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여, CT가 구동중이 아님에도 임계치 이상의 방사선이 검출되는 경우,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 내 어플리케이션으로 알려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해, 센서를 이용하여 직접 기기의 모니터를 보고 상태를 체크하는 것이 아닌 병원내 어디서든 기기 상태를 단말기를 이용하여 바로 체크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T in which radiation is used, a radiation detection sensor is additionally provided, and when radiation above a threshold value is detected even when the CT is not running, it may be notified to an application in the terminal of the user or administrator. With the above-described system, it is possible to directly check the device status using a terminal anywhere in the hospital, rather than directly checking the device's monitor using a sensor and checking the state.

또한, 일 실시예로, 환자의 침상의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설치하여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있다. 일 예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침상에 설치하여, 상기 환자가 약을 먹어야하는 투약시간에 맞게 알람을 울려, 환자에게 원격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 내의 어플리케이션에 채팅기능을 추가하여, 환자가 등록을 하면, 실시간으로 채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in the case of a patient's bed, a microcontroller may be installed to assist the patient. For example, by installing the micro-controller on the bed, the alarm can be set to alert the patient remotely, according to the medication time when the patient should take medicine, and a chat function is added to the application in the terminal. , If the patient registers, it can be possible to chat in real time.

또한, 일 실시예로, 위치 추정 알고리즘 또는 저전력 알고리즘을 추가 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추정 알고리즘의 경우, 상기 의료기기의 크기가 너무 작거나, 창고 등에 쌓여있어 위치를 찾기 힘들 경우, 위치를 알고 있는 주변 의료기기들을 활용하여 삼각 측량 등의 위치 추정 기능을 부가하여, 기기를 쉽게 찾을 수 있다. Also, as an embodiment, a location estimation algorithm or a low power algorithm may be added. In the case of the location estimation algorithm, if the size of the medical device is too small or it is difficult to find a location because it is piled up in a warehouse, a location estimation function such as triangulation is added by using nearby medical devices that know the location, and Easy to find.

구체적으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통신 방식을 구현하는 경우, BLE의 비콘(Beacon)을 사용하여 태그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communication method is implemented using Bluetooth, a method of estimating the location of a tag using a beacon of BLE may be used.

즉, 상술한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에 추가적으로 위치관리 서버 등의 중앙 관제 서버가 구현되는 경우, 해당 위치관리 서버에서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의료기기와 해당 비콘 신호를 수신한 장비(예를 들어 게이트웨이)와의 거리를 비콘 신호를 이용해서 추정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a central control server such as a location management server is additionally implemented in the above-described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medical device that transmits a beacon signal and a device that receives the beacon signal (for example, a gateway). The distance can be estimated using a beacon signal.

좀더 구체적으로 비콘의 수신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이용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게 된다.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calculate by using the beacon's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이 때, 거리를 RSSI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수식은 아래와 같다.At this time,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using RSSI is as follows.

Figure pat00001
(n ranges from 2 to 4)
Figure pat00001
(n ranges from 2 to 4)

상기 수식에서, TxPower는 수신된 시그널의 세기로, 시그널이 얼마나 강하게 수신되었는지를 의미하고, n은 보정상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장애물이 없는 경우는 보정상수 n이 2라고 추정할 수 있다.In the above formula, TxPower is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which means how strongly the signal was received, and n means the correction constant. For example, if there are no obstacles,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correction constant n is 2.

그러므로, 이렇게 비콘 신호의 RSSI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의료기기들이 세 개 이상이면, 해당 의료기기들과 인접하며 거리를 추정하기 어려운 제4의 의료기기에 대해서는 삼각측량 방법을 사용하여 제4의 의료기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추정 방식을 사용하여, 근거리에 있지만 찾기 힘든 의료기기를 좀더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Therefore, if there are three or more medical devices capable of calculating the distance using the RSSI of the beacon signal, the fourth medical device adjacent to the medical devices and difficult to estimate the distance using the triangulation method is fourth.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medical device. Using this estim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and accurately find medical devices that are near but difficult to find.

또한 상술한 위치 관리 서버 기능의 경우, 별도의 서버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지만, 상술한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아두이노 보드 들 중 일종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마스터 메가 보드 등에 구현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location management server func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separate server, but may be implemented and operated in a master mega board, which acts as a gateway, among the Arduino boards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

또한, 저전력 알고리즘의 경우, 의료기기의 위치확인 모듈의 동작시, 전력을 아낄 수 있는 알고리즘을 부가하여, 동작 가능 기간을 연장 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은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 이벤트를 트리거 하는 방법과, 특정 상황에서만 이벤트를 트리거 하여 송신에 많은 전력이 드는 상황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ow-power algorithm, when the positioning module of the medical device is operated, an algorithm capable of conserving power may be added to extend the operation period. The above algorithm can improve a method of periodically triggering a location information event and a situation in which a lot of power is used for transmission by triggering an event only in a specific situation.

좀더 구체적으로,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을 이루는 아두이노 보드의 통신 방식을 구현할 때, 부착된 센서들(예를 들어 위치 센서, 또는 가스 센서)에 특정한 입력값이 들어올 때에만(즉, 주변 환경의 변화가 있을 때에만),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이 동작하여, 주변의 게이트웨어(마스터 메가나 슬레이브 메가 등)에 자신의 위치정보, 자신의 상태 등을 전파하도록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implementing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rduino board constituting the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only when a specific input value comes into the attached sensors (for example, a position sensor or a gas sensor) (ie,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the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operates, and may be implemented to operate to propagate its location information, its status, etc. to nearby gateways (master mega or slave mega, etc.).

이러한 구현 방식은 종래의 특정 주기(예를 들어 10분, 20분)로 매번 동일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보다 배터리 소모량을 크게 줄여,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의 동작 시간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Such an implementation method provides an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battery consumption and greatly increas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than when the same message is transmitted every time in a specific period (for example, 10 minutes, 20 minutes).

또한 다른 구체적인 저전력 구현방식의 경우, 아두이노 보드에서 스스로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의 배터리 상황을 확인하여, 최소 임계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송신하는 메시지에 해당 상황(배터리의 교체를 요구하거나, 추후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대비한 최종 위치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하는 데이터에 더욱 포함하여 송신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방식은 배터리의 부족으로 해당 의료기기의 관리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더라도, 관리자로 하여금 해당 의료기기의 마지막 위치를 추정하여 배터리 교체 등을 쉽게 하거나, 혹은 배터리 교체 주기 이전에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other specific low-power implementation methods, the Arduino board checks the battery status of the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by itself, and if it is lower than the minimum threshold, the message to be transmitted is requested (replacement of the battery or communication is made later) It may be implemented to further include the message for the final location information in case of not supporting) in the data to be transmitted. Even if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medical device does not operate due to the lack of battery, this implementation method allows the administrator to easily estimate the last position of the medical device to replace the battery, or replace the battery before the battery replacement cycle. It provides the effect.

또한, 상기 의료기기는 LED와 부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의료기기의 근처로 접근할 시, LED 또는 부저를 통해 사용자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dica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LED and a buzzer. When the user or the administrator approaches the medical device, it may be provided to enable the user to identify the location through an LED or a buzzer.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presen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branch substitution, modification and modification are possible.

100 : 단말기
200 : 의료기기
210 : 데이터베이스(DB)
220 : 센서
230 : QR코드
100: terminal
200: medical device
210: database (DB)
220: sensor
230: QR code

Claims (4)

의료기기와 통신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의료기기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200)에 설치되어, 상기 의료기기(200)의 위치를 파악하고 추적하는 센서(220);
상기 의료기기(200)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의료기기(200)의 기기 정보 및 유지보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0); 및
상기 의료기기(200)에 부착되어, 상기 의료기기(200)를 인식하기 위한 QR코드(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
In the system for managing a medical device using a terminal that communicates with the medical device,
A sensor 220 installed on the medical device 200 to locate and track the position of the medical device 200;
A database 210 provided in the medical device 200 to store device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of the medical device 200; And
A QR code 230 attached to the medical device 200 to recognize the medical device 200;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100) 및 상기 의료기기(200)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100 and the medical device 200 is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using the Bluetooth or Wi-Fi.
의료기기와 통신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의료기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회원가입을 통해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관리자 승인을 받는 제1단계;
관리자 승인을 받은 아이디 및 비밀번호로 로그인하는 제2단계;
검색하고자 하는 의료기기(200)의 이름 또는 품번을 검색하는 제3단계;
검색된 의료기기(200)의 위치를, 도면위에 표시한 지도를 통해 확인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 관리 방법.
A method for managing a medical device using a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medical device,
The first step of creating an ID and password through membership registration and receiving administrator approval;
A second step of logging in with an ID and password approved by the administrator;
A third step of searching for the name or part number of the medical device 200 to be searched;
And a fourth step of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searched medical device 200 through a map displayed on the drawing.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의료기기(200)의 기기정보, 품명, 유지보수 일정, 사용부서, 위치열을 입력하고, 고유 QR코드를 생성하여 조회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nager
Medical device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by setting the device information, product name, maintenance schedule, usage department, location column of the medical device 200 in the database and generating a unique QR code so that it can be viewed.
KR1020190005614A 2019-01-16 2019-01-16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KR202000890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614A KR20200089039A (en) 2019-01-16 2019-01-16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614A KR20200089039A (en) 2019-01-16 2019-01-16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039A true KR20200089039A (en) 2020-07-24

Family

ID=7189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614A KR20200089039A (en) 2019-01-16 2019-01-16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903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727A (en) 2021-06-29 2023-01-0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rtual warehouse platfor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140B1 (en) 2015-01-14 2015-11-20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Automatic Repositioning System of Medical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140B1 (en) 2015-01-14 2015-11-20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Automatic Repositioning System of Medical Equip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727A (en) 2021-06-29 2023-01-0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rtual warehouse platform
KR20230065209A (en) 2021-06-29 2023-05-1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virtual ware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60610B (en) Gathering apparatus
US2018030368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lift usage
US7180420B2 (en) System and method using triangulation with RF/LF and infrared devices for tracking objects
US20060193262A1 (en) Collecting and managing data at a construction site
US8803700B1 (en) Event notification system for alerting the closest appropriate person
Booth et al. Application of RFID in an integrated healthcare environment
US10019612B2 (e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an event associated with a person relative to a bed
US20090066568A1 (en) Monitoring system
US201300137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9886013B2 (en) Wireless network of low power sensing and actuating motes
US20230103649A1 (en) Method for intelligent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interworking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ystem for performing method
KR20200089039A (en)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CN208766308U (en) Radioactive source monitor control mechanism and system
CN111897897B (en) Additional module, server device, position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2018514029A (en) Real-time remote operation management using server and client for work related to nuclear power plant containment
JP6621596B2 (en) Operating state detection device, med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Z2015373A3 (en) Method of determining location of a be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EP3825972B1 (en) Smoke detection system
US20240087733A1 (en) Deployment stations for emergency medical treatment and guidance apparatuses
US99472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maintenance intervals
AU20222474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nd managing patient support apparatus in a healthcare facility
US20170270777A1 (en) Humanitarian camp shelter communication system
CN108320796A (en) A kind of patient condition's monitor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 method
KR20190031071A (en) Security officer placement place and patrol route providing system based on prediction of crime occurrence prob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