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14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149A
KR20200086149A KR1020190002408A KR20190002408A KR20200086149A KR 20200086149 A KR20200086149 A KR 20200086149A KR 1020190002408 A KR1020190002408 A KR 1020190002408A KR 20190002408 A KR20190002408 A KR 20190002408A KR 20200086149 A KR20200086149 A KR 20200086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state
related paramete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수하
박수영
정의창
김현정
명세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6149A/ko
Priority to US17/421,123 priority patent/US11956723B2/en
Priority to PCT/KR2020/000267 priority patent/WO2020145622A1/ko
Priority to EP20739091.5A priority patent/EP3893559A4/en
Publication of KR20200086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8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changing the clock frequency of a controller in the equipment
    • H04W52/0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changing the clock frequency of a controller in the equipment reducing the clock frequency of the control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방법은, 상기 단말의 제1 프로세서에서 상기 단말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상태를 상기 단말의 제2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 단말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A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사용자 휴대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절감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5G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단말은 LTE에 비하여 더 넓은 대역폭 (bandwidth)를 활용하고, 높은 주파수 대역(e.g. mmWave)을 활용하며, 기존 4G(LTE)에 비하여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단말의 상태에 따라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제1 프로세서에서 상기 단말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상태를 상기 단말의 제2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 단말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 단말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재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단말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상태를 상기 단말의 제2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제1 프로세서, 상기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확인하고,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 단말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 단말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재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의 상태에 따라 전력 소모를 감소시킴으로써, 단말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경험을 상향시킬 수 있다.
도 1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 및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100)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대역폭 부분을 연관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BWP와의 연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전력 프로파일을 연관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power profile과의 연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통합된 대역폭 (aggregated BW)을 연관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통합된 대역폭 (aggregated BW)와의 연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캐리어의 수를 연관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캐리어의 수와의 연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안테나의 수를 연관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안테나 수와의 연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e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g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단말이라는 용어는 핸드폰, NB-IoT 기기들, 센서들 뿐만 아니라 또 다른 무선 통신 기기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 및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1100)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4), 제 1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RFIC)(1122), 제 2 RFIC(1124), 제 3 RFIC(1126), 제 4 RFIC(1128), 제 1 radio frequency front end(RFFE)(1132), 제 2 RFFE(1134), 제 1 안테나 모듈(1142), 제 2 안테나 모듈(1144), 및 안테나(1148)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199)는 제 1 네트워크(1192)와 제2 네트워크(119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 1a에 기재된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1199)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4), 제 1 RFIC(1122), 제 2 RFIC(1124), 제 4 RFIC(1128), 제 1 RFFE(1132), 및 제 2 RFFE(1134)는 무선 통신 모듈(19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RFIC(1128)는 생략되거나, 제 3 RFIC(1126)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2)는 제 1 네트워크(1192)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의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네트워크는 2세대(2G), 3G, 4G, 또는 long term evolution(LTE)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레거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4)는 제 2 네트워크(11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크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네트워크(1194)는 3GPP에서 정의하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4)는 제 2 네트워크(11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다른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이하)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크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2)와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4)는 단일(single)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4)는 프로세서(120), 보조 프로세서(123), 또는 통신 모듈(190)과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RFIC(1122)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2)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baseband) 신호를 제 1 네트워크(1192)(예: 레거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약 700MHz 내지 약 3GHz의 라디오 주파수(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1 안테나 모듈(1142))를 통해 제 1 네트워크(1192)(예: 레거시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1 RFFE(1132))를 통해 전처리(preprocess)될 수 있다. 제 1 RFIC(1122)는 전처리된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2)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2 RFIC(1124)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네트워크(1194)(예: 5G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Sub6 대역(예: 약 6GHz 이하)의 RF 신호(이하, 5G Sub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Sub6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2 안테나 모듈(1144))를 통해 제 2 네트워크(11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2 RFFE(1134))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2 RFIC(1124)는 전처리된 5G Sub6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4) 중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3 RFIC(1126)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네트워크(1194)(예: 5G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5G Above6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RF 신호(이하,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1148))를 통해 제 2 네트워크(11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제 3 RFFE(1136)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3 RFIC(1126)는 전처리된 5G Above6 R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4)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FE(1136)는 제 3 RFIC(1126)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1126)와 별개로 또는 적어도 그 일부로서, 제 4 RFIC(11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4 RFIC(1128)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중간(intermediate) 주파수 대역(예: 약 9GHz ~ 약 11GHz)의 RF 신호(이하, IF 신호)로 변환한 뒤, 상기 IF 신호를 제 3 RFIC(1126)로 전달할 수 있다. 제 3 RFIC(1126)는 IF 신호를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1148))를 통해 제 2 네트워크(11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고 제 3 RFIC(1126)에 의해 IF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제 4 RFIC(1128)는 I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4)가 처리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제 1 RFIC(1122)와 제 2 RFIC(112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FFE(1132)와 제 2 RFFE(113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 모듈(1142) 또는 제 2 안테나 모듈(1144)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모듈은 생략되거나 다른 안테나 모듈과 결합되어 대응하는 복수의 대역들의 RF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1126)와 안테나(1148)는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1146)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92) 또는 프로세서(120)가 제 1 서브스트레이트(예: main PC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서브스트레이트와 별도의 제 2 서브스트레이트(예: sub PCB)의 일부 영역(예: 하면)에 제 3 RFIC(1126)가, 다른 일부 영역(예: 상면)에 안테나(1148)가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1146)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RFIC(1126)와 안테나(1148)를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전송 선로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고주파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신호가 전송 선로에 의해 손실(예: 감쇄)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1)는 제 2 네트워크(1194)(예: 5G 네트워크)와의 통신의 품질 또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안테나(1148)는 빔포밍에 사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3 RFIC(1126)는, 예를 들면, 제 3 RFFE(1136)의 일부로서,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phase shifter)(113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11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5G 네트워크의 베이스 스테이션)로 송신될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11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 장치(101)와 상기 외부 간의 빔포밍을 통한 송신 또는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 2 네트워크(1194)(예: 5G 네트워크)는 제 1 네트워크(1192)(예: 레거시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거나(예: Stand-Alone (SA)), 연결되어 운영될 수 있다(예: Non-Stand Alone (NSA)).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에는 액세스 네트워크(예: 5G radio access network(RAN) 또는 next generation RAN(NG RAN))만 있고, 코어 네트워크(예: next generation core(NGC))는 없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전자 장치(101)는 5G 네트워크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레거시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예: evolved packed core(EPC))의 제어 하에 외부 네트워크(예: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레거시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LTE 프로토콜 정보) 또는 5G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New Radio(NR) 프로토콜 정보)는 메모리(1130)에 저장되어, 다른 부품(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114))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한편, 5G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의 전력 소모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며,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상태에서의 단말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동기화/비동기화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자원 관리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을 위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등의 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다만,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를 설정하거나 단말의 상태가 RRC connected 상태에서 RRC idle 상태로 전환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단말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의 배터리 관리를 위해 단말의 상태에 따른 전력 소모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이하에는 단말의 상태에 따른 전력 소모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단말은 긴 사용 시간 제공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단말의 동작 방법/상태/모드를 다양한 레벨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상태는 단말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CPU,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등)의 사용에 제한이 없는 상태 (보통 상태), 단말의 사용에 일부 제한이 있는 상태(절전 상태), 최소한의 기능만 제공하면서 단말의 사용에 최대 제한이 있는 상태 (초절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의 상태는 충전중인 상태, 충전 중이지 않은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의 상태는 단말의 배터리 레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레벨을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단말의 배터리 레벨에 대응하는 단계에 따라 단말의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레벨을 3 단계로 나누어, 0~X% 단계, X%~Y% 단계, Y%~100% 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계가 단말의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X, Y는 단말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제1 배터리 임계값, 제2 배터리 임계값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분은 일 예시일 뿐이며 3개 이상 혹은 3개 이하의 상태가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계값이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이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단말의 상태가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상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고 있는 상태와 동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량 (throughput)에 기반하여 단말의 상태가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상태는 A Gbps 이상의 throughput을 요구하는 상태, B~A Gbps의 throughput을 요구하는 상태, ~B Gbps의 throughput을 요구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요구하는 throughput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A, B 값은 단말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처리량 임계값, 제2 처리량 임계값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분은 일 예시일 뿐이고 3개 이상 혹은 3개 이하의 상태가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계값이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의 상태는 사용자가 특정 안테나 모듈을 파지하고 있는지에 따라 활용 가능한 안테나의 개수 N(1, 2, 3,...) 혹은 활용가능한 안테나의 개수의 조합에 따른 복수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의 상태는 단말의 디스플레이가 켜져 있는 상태와 켜져 있지 않은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의 상태는 단말이 도즈 (doze) 상태인지 혹은 앱 대기 상태인지 혹은 보통 상태인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단말이 충전 중이지 않은 상태에서 화면이 꺼진 상태로 일정 기간 이상 오래 지속되면 단말은 doze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단말이 충전 중이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일정 시간 앱을 터치하지 않고, 현재 포어그라운드 (foreground)에 프로세스가 없는 경우 앱 대기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단말이 충전 중이거나 혹은 사용자가 사용중인 경우 단말은 보통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단말의 동작 상태는 상기에 언급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동작 상태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들의 조합에 따라 단말의 상태가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배터리 상태 및 요구되는 throughput에 따라 단말의 상태가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단말에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상태/모드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터치화면에 표시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상태/모드 설정 메뉴를 통해 원하는 동작 방법/상태/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태에 대한 입력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상태/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하기에서는 3가지의 상태를 일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에 이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단말의 상태의 수는 단말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하기의 normal mode, medium power saving mode, maximum power saving 모드는 각 상태의 명칭의 일 예일 뿐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모드, 제2 모드, 제3 모드 등으로 칭할 수 있다.
[표 1] 단말 동작 방법/상태/모드
Figure pat00001
한편, 통신 네트워크는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통신 표준에 정의된 여러 가지 파라미터들을 단말에 설정하고, 상기 설정에 따라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설정에 따라 단말에 높은 throughput을 제공할 수도 있고, 혹은 낮은 throughput을 제공하지만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예로는 대역폭 부분 (BWP), 전력 프로파일 (Power Profile), 통합된 대역폭 (Aggregated BW), 캐리어의 수 (# of Carriers), 안테나 동작 (Antenna Operation) 관련 파라미터, UE Category 등이 있을 수 있고, 위에 언급한 것 외에 다른 파라미터들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라미터를 전력 관련 파라미터 혹은 파라미터라 칭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은 단말의 상태와 적어도 한 개의 파라미터를 적절히 연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초절전 상태를 최소의 전력 소모를 제공하는 파라미터와 연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data throughput을 요구하는 상태를 높은 data throughput을 제공하는 파라미터와 연계시킬 수 있다.또한, 낮은 배터리 레벨인 상태와 낮은 전력 소모를 제공하는 파라미터를 연계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 또한 단말의 상태와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파라미터를 적절히 연계시킬 수 있다.
단말은 단말 상태를 네트워크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단말 지원 정보 (UE assistance info) 또는 임시 능력 정보 (temporary capability information) 등을 통해 단말 상태를 네트워크에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이 사용하는 정보 또는 메시지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은 단말의 상태 (예를 들어, 보통 상태, 절전 상태, 혹은 초절전 상태)를 네트워크에 제공하고, 네트워크는 이에 따른 파라미터를 단말에 설정함으로써, 단말의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단말은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 관련 정보 (혹은 전력 관련 정보의 일부)를 설정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단말과의 연결 설정 혹은 재설정을 위해 S210 단계에서 단말에 RRC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RRC 메시지는 예를 들어,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 관련 파라미터는 대역폭 부분, 전력 프로파일, 통합된 대역폭, 캐리어의 수, 안테나 동작 관련 파라미터, UE Category 등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련 파라미터는 대역폭 부분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대역폭 부분과 전력 프로파일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를 전력 관련 파라미터 세트라 표현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S220 단계에서 단말의 상태에 따른 전력 관련 파라미터의 연관 (또는 매핑)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RRC 메시지를 통해 복수 개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 (또는, 전력 관련 파라미터 세트)를 설정 받을 수 있으며, 각각의 단말 상태에 대해 전력 관련 파라미터 (또는, 전력 관련 파라미터 세트)를 연관(또는 매핑) 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란, 하나의 종류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의 값이 복수 개 설정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BWP #1, #2, #3이 설정). 예를 들어, 전력 관련 파라미터가 대역폭 부분인 경우, 대역폭 부분의 값이 복수 개 설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복수 개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란, 복수 개의 종류의 전력 파라미터의 값의 조합이 복수 개 설정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련 파라미터가 대역폭 부분 및 캐리어의 수인 경우, 대역폭 부분 인덱스 1, 캐리어의 수 인덱스 1이 하나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구성하여, 복수 개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가 설정될 수 있다 ('BWP #1, nofcarrier #1', 'BWP #2, nofcarrier #2'...로 설정).
또한, 복수 개의 종류의 전력 파라미터가 연관되지 않고 각각 복수 개 설정될 수도 있다 (BWP #1, #2, #3 & nofcarrier #1, #2, #3이 각각 설정). 이와 같은 경우, 단말은 각 종류의 전력 파라미터에 대한 연관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매핑 방법을 예를 들면, 전력 관련 파라미터가 대역폭 부분인 경우, 복수개의 대역폭 부분이 단말에 설정될 수 있으며, 단말은 단말의 상태와 상기 대역폭 부분을 매핑 시킬 수 있다.
또는, 전력 관련 파라미터가 대역폭 부분, 전력 프로파일, 캐리어의 수 등 복수 개의 파라미터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개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 세트가 단말에 설정될 수 있으며, 단말은 단말의 상태와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 세트를 매핑 시킬 수 있다. 전력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단말은 설정 받은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경우의 배터리 소모량, 데이터 처리량 등에 기반하여 단말의 상태와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매핑 시킬 수 있다. 즉, 단말은 단말의 상태를 정의하기 위한 요소와 전력 파라미터의 관계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 소모에 따라 단말의 상태가 결정되는 경우, 단말은 설정 받은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각각 사용할 경우의 배터리 소모량을 계산하여 단말의 각 상태와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매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에 요구되는 처리량에 의해 단말의 상태가 결정되는 경우, 단말은 설정 받은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사용할 때의 처리량을 계산하여 단말의 각 상태와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매핑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S230 단계에서 단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의 상태는 상기에서 설명한 조건에 따라 단말이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외부 입력을 감지하여 상태 변경을 확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말은 S240 단계에서 단말의 상태에 연관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설정 받은 전력 관련 파라미터의 인덱스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혹은 미리 설정된 주기로 단말의 상태에 연관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UE assistance information 등을 이용하여 단말의 상태에 매핑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은 다른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S250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단말에 재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또는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의 상태를 반영하여 기지국이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재설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단말은 S310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전력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초기 연결 과정 또는 연결 재설정 과정에서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단말의 상태와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연관 (또는 매핑)시킬 수 있다. 단말의 상태와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연관 시키는 방법은 후술하며, 본 도면에서는 생략한다.
그리고, 단말은 S320 단계에서 단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외부 입력에 따라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말의 터치스크린 등을 통하여 단말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단말은 단말 상태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여 단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의 상태를 정의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단말의 상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단말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단말은 S330 단계에서 단말의 상태에 연관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새롭게 설정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단말의 상태를 연관시키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대역폭 부분을 연관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셀 별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대역폭 부분 (BWP)이 단말에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BWP 별로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관련 설정 파라미터 및 PDSCH 관련 설정 파라미터가 설정될 수 있다. 표 2는 BWP 설정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표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표 2와 같은 BWP 설정 정보에 따라서 BWP 별로 단말의 전력 소모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역폭 (bandwidth)이 넓게 설정된 BWP가 좁게 설정된 BWP에 비하여 전력 소모가 클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BWP 별로 PDCCH 모니터링 파라미터가 설정될 수 있는데, 더 많은 PDCCH candidate을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된 BWP가 더 적은 PDCCH candidate을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된 BWP 보다 전력 소모가 클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BWP 별로 PDSCH 및 PUSCH의 시간 축 자원할당 파라미터 (i.e. time domain resource allocation)가 설정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BWP 별로 전력 소모가 다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BWP 별로 PDCCH와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의 시간축 상의 거리 (K0), PDCCH와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의 시간축 상의 거리(K2), PDSCH와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의 시간축 상의 거리(K1) 등이 설정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BWP 별로 전력 소모가 다를 수 있다.
단말은 S410 단계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BWP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420 단계에서 각 BWP별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때,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추정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BWP 설정의 각 파라미터별로 단위 동작 수행 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활용하여 소모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단말은 소모 전력 추정을 위한 단위 동작 수행 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이에 기반하여 소모 전력을 계산 (추정)할 수 있다.
혹은 네트워크가 BWP별로 추정되는 소모 전력을 지시(indicate)해 줄 수 있다. 기지국은 explicit하거나 implicit한 방법으로 BWP별로 추정되는 소모 전력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WP index의 값이 클수록 전력 소모가 더 클 수 있다. 혹은 반대로 BWP index의 값이 클수록 전력 소모가 더 작을 수 있다. 혹은, 추정되는 소모 전력에 대한 정보를 BWP 설정에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S430 단계에서 BWP 별 예상 소모 전력에 기반하여 단말의 상태를BWP와 연계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연계된 결과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able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네트워크는 RRC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에 설정된 BWP를 재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새로이 수신된 BWP 설정정보를 활용하여 도 4과 같은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단말 상태에 연계된 BWP의 index가 변경될 수 있다.
이후에 단말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도 3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의 터치스크린 등을 통하여 단말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단말은 상태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 또는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단말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단말의 상태가 변경되면 단말은 변경된 단말의 상태에 연계된 BWP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연계된 BWP를 단말 메시지 (예를 들어, UE Assistance information)을 통하여 이를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에 BWP를 재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피드백한 BWP와 동일한 BWP를 단말에 재설정하거나 혹은, 단말이 피드백한 BWP를 참고하여 적절한 BWP를 선택하고 이를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UE assistance information에 BWP 인덱스 1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하였을 경우 네트워크는 BWP 인덱스 1로 재설정하는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는 DCI를 통하여 단말이 BWP 1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BWP 인덱스 1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하였을 경우, 기지국은 상기 BWP 인덱스 1에 상응하는 단말의 상태를 고려하여 새로운 BWP를 재설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이 기존에 설정했던 BWP 인덱스 1, 2, 3과는 다른 새로운 전력 프로파일을 설정 가능하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BWP와의 연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상태가 3가지로 정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단말의 상태의 수 및 단말의 상태의 내용은 사용자의 설정 혹은 단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단말은 단말의 상태와 BWP의 인덱스를 각각 연관 시켜놓을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태의 변경을 확인하는 경우, 연관된 BWP의 인덱스를 기지국에 전송하며, 기지국은 수신된 BWP의 인덱스에 기반하여 BWP를 재설정할 수 있다.
다만,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BWP 인덱스와 동일한 BWP를 재설정할 수도 있고, 상기 BWP 인덱스를 참고하여 상이한 BWP를 재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단말의 상태와 BWP의 인덱스가 1:1로 연관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나의 상태에 복수개의 BWP 인덱스가 연관되거나, 하나의 BWP 인덱스에 복수개의 상태가 연관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상태에 복수개의 BWP 인덱스가 연관되는 경우, 단말은 모든 BWP 인덱스를 모두 전송하거나 혹은 BWP 인덱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인덱스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 단말은 전력 소모가 적은 전력 관련 파라미터의 인덱스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BWP 인덱스뿐 아니라 후술하는 전력 관련 파라미터의 전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전력 프로파일을 연관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은 S610 단계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전력 프로파일 (power profile)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력 프로파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단말은 각 Power Profile별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때,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추정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power profile 설정의 각 파라미터별로 단위 동작 수행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활용하여 소모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단말은 소모 전력 추정을 위한 단위 동작 수행 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이에 기반하여 소모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혹은 네트워크가 Power Profile별로 추정되는 소모 전력을 지시(indicate)해 줄 수 있다. 기지국은 explicit하거나 implicit한 방법으로 power profile 별로 추정되는 소모 전력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ower Profile index의 값이 클수록 전력 소모가 더 클 수 있다. 혹은 반대로 Power Profile index의 값이 클수록 전력 소모가 더 작을 수 있다. 혹은 추정되는 소모 전력에 대한 정보를 power profile 설정에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S630 단계에서 power profile 별 예상 소모 전력에 기반하여 단말의 동작 방법/상태/모드 등을 Power Profile과 연계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연계된 결과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able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네트워크는 RRC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에 설정된 Power Profile을 재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새로이 수신된 Power Profile 설정정보를 활용하여 도 6와 같은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단말 상태에 연계된 Power Profile의 index가 변경될 수 있다.
이후에 단말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도 3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의 터치스크린 등을 통하여 단말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단말은 상태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 또는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단말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단말의 동작 모드가 변경되면 단말은 변경된 단말의 상태에 연계된 Power Profile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연계된 Power Profile을 단말 메시지 (예를 들어, UE Assistance information)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는 단말이 전송한 UE assistance information을 수신하고, 해당 정보를 power profile 재설정에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피드백한 power profile과 동일한 power profile을 단말에 재설정하거나 혹은, 단말이 피드백한 power profile을 참고하여 적절한 power profile을 선택하고 이를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UE assistance information에 power profile 인덱스 1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하였을 경우 네트워크는 power profile 인덱스 1로 재설정하는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는 DCI를 통하여 단말이 BWP 1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power profile 인덱스 1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하였을 경우, 기지국은 상기 power profile 인덱스 1에 상응하는 단말의 상태를 고려하여 새로운 power profile을 재설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이 기존에 설정했던 power profile 인덱스 1, 2, 3과는 다른 새로운 전력 프로파일을 설정 가능하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power profile과의 연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상태가 3가지로 정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단말의 상태의 수 및 단말의 상태의 내용은 사용자의 설정 혹은 단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단말은 단말의 상태와 power profile의 인덱스를 각각 연관 시켜놓을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태의 변경을 확인하는 경우, 연관된 power profile의 인덱스를 기지국에 전송하며, 기지국은 수신된 power profile의 인덱스에 기반하여 power profile를 재설정할 수 있다.
다만,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power profile 인덱스와 동일한 power profile을 재설정할 수도 있고, 상기 power profile 인덱스를 참고하여 상이한 power profile을 재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단말의 상태와 power profile의 인덱스가 1:1로 연관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나의 상태에 복수개의 power profile 인덱스가 연관되거나, 하나의 power profile 인덱스에 복수개의 상태가 연관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상태에 복수개의 power profile 인덱스가 연관되는 경우, 단말은 모든 power profile 인덱스를 모두 전송하거나 혹은 power profile 인덱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인덱스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 단말은 전력 소모가 적은 power profile 인덱스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power profile에 대해 설명한다. 네트워크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Power profile을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BWP 설정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power profile 설정이 포함되거나, 하나의 power profile에 적어도 하나의 BWP 설정이 포함되거나 혹은, BWP와 power profile가 별개로 설정되는 방법이 모두 가능하다.
각 Power profile은 복수의 파라미터의 세트 (set)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ower profile에 포함되는 복수의 파라미터 set은 PDCCH 모니터링 관련 파라미터 (PDCCH-Config, ControlResourceSet, SearchSpace, etc.), PDSCH 혹은 PUSCH 자원 할당 관련 파라미터 (PDSCH-Config, PUSCH-Config, pdsch-TimeDomainAllocation, pusch-TimeDomainResourceAllocation, etc.), PDCCH와 PDSCH 사이의 시간축 거리 관련 파라미터 (k0), PDCCH와 PUSCH 사이의 시간축 거리 관련 파라미터(k2), PDSCH와 PUCCH 사이의 시간축 거리 관련 파라미터(k1), DRX 관련 파라미터 (DRX-Config, drx-onDurationTimer, drx-InactivityTimer, drx-ShortCycle, drx-ShortCycleTimer, et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각 power profile별로 파라미터들의 값이 다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power profile이 BWP 설정에 포함되는 경우, 각 power profile은 연계된 BWP의 파라미터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power profile은 연계된 BWP에 설정된 파라미터가 지원하는 범위 내에서 그 일부만을 지원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ower profile 11 및 12는 연계된 BWP에 설정된 PDCCH 모니터링 파라미터 값이 그대로 적용되는 반면 power profile 13은 BWP에 설정된 PDCCH 모니터핑 파라미터 중 일부 CORESET을 모니터링하지 않도록 OFF시킨다거나, 일부 Searchspaceset을 모니터링하지 않도록 OFF시킨다거나, Blind decoding 회수의 상한선을 일정 숫자 이하로 줄이는 등의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power profile 11은 PDSCH, PUSCH, PUCCH 자원 할당 파라미터 관련하여 BWP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이 그대로 적용되는 반면, power profile 12 및 power profile 13은 K0, K1, K2 값에 제한을 둔다거나 (e.g. K0, K1, K2 값에서 일부값(e.g. 0)을 제거), pdsch-TimeDomainAllocation, pusch-TimeDomainResourceAllocation entry에 제한 (e.g. 목록에서 일부 entry(e.g. PDCCH와 PDSCH 혹은 PDCCH와 PUSCH의 거리가 특정 threshold 이하로 짧은 entry들)을 제거)을 두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power profile에 적어도 하나의 BWP 설정이 포함되는 경우, 예를 들어 power profile에 포함되는 복수의 파라미터 set은 DL carrier의 개수, UL carrier의 개수, 사용하는 안테나의 개수,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ulti input multi output: MIMO) 레이어 (layer)의 수, 다이버시티 차수 (Diversity order), Aggregated BW의 넓이, 활성화된 mmWave module의 개수, BWP inde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각 power profile별로 파라미터의 값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carrier의 개수가 많을수록, 사용하는 Antenna의 개수가 많을수록, MIMO layer의 수가 높을수록, Diversity order가 높을수록, Aggregated BW의 넓이가 넓을수록, 활성화된 mmWave module의 개수가 많을수록 더 많은 파워를 소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파라미터는 power profile을 구성하는 파라미터의 일예일 뿐이다. 또한, 상기 파라미터는 power profile 과 BWP가 별개로 설정되는 경우에도 power profile을 구성하는 파라미터로 사용될 수 있으며, power profile가 적어도 하나의 BWP 설정을 포함하거나, BWP 설정이 적어도 하나의 power profile 설정을 포함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단말은 이와 같은 power profile 설정의 특성에 기반하여 단말의 상태와 power profile을 연관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통합된 대역폭 (aggregated BW)을 연관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은 S810 단계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aggregated BW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각 aggregated BW 별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때,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추정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aggregated BW 설정의 각 파라미터별로 단위 동작 수행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활용하여 소모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단말은 소모 전력 추정을 위한 단위 동작 수행 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이에 기반하여 소모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혹은 네트워크가 aggregated BW 별로 추정되는 소모 전력을 지시(indicate)해 줄 수 있다. 기지국은 explicit하거나 implicit한 방법으로 aggregated BW 별로 추정되는 소모 전력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ggregated BW index의 값이 클수록 전력 소모가 더 클 수 있다. 혹은 반대로 aggregated BW index의 값이 클수록 전력 소모가 더 작을 수 있다. 혹은 추정되는 소모 전력에 대한 정보를 aggregated BW 설정에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S830 단계에서 aggregated BW 별 예상 소모 전력에 기반하여 단말의 상태를 aggregated BW 과 연계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연계된 결과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able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네트워크는 RRC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에 설정된 aggregated BW 을 재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새로이 수신된 aggregated BW 설정정보를 활용하여 도 8와 같은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단말 상태에 연계된 aggregated BW 의 index가 변경될 수 있다.
이후에 단말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도 3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의 터치스크린 등을 통하여 단말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단말은 상태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 또는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단말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의 상태가 변경되면 단말은 변경된 단말의 상태에 연계된 Aggregated BW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연계된 Aggregated BW를 단말 메시지 (예를 들어, UE Assistance information)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는 단말이 전송한 UE assistance information을 수신하고, 해당 정보를 aggregated BW 재설정에 활용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피드백한 aggregated BW 과 동일한 aggregated BW 을 단말에 재설정하거나 혹은, 단말이 피드백한 aggregated BW 을 참고하여 적절한 aggregated BW 을 선택하고 이를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제3 상태 (maximum power saving mode)로 변경되고, 이에 따라 단말이 Aggregated BW의 FR2의 BW를 0으로 설정하여 단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가 단말의 aggregated BW의 BW를 0으로 재설정(reconfigure)하는 경우 단말은 mmWave 대역의 cell과 연결을 끊고, mmWave 모듈을 모두 power off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단말 메시지에 포함된 BW를 참고하여 aggregated BW의 BW를 최소 사이즈로 설정할 수도 있고, 단말은 이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통합된 대역폭 (aggregated BW)와의 연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단말은 단말의 상태와 aggregated BW 의 인덱스를 각각 연관 시켜놓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의 각 상태 (e.g. 보통 (제1 상태)/절전 (제2 상태/초절전 (제3 상태))별로 DL및 UL 각각의 aggregated BW (e.g. BW_size1, BW_size2, BW_size3)를 연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Maximum Power saving mode에 연계된 aggregated BW size는 다른 모드(normal mode 및 medium power saving mode)에 연계된 aggregated BW size에 비해 그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지원하는 BW중 한 개 값을 Aggregated BW값으로 지정할 수 있다. 단말의 상태와 연계된 Aggregated BW는 frequency range (FR, FR1:sub-6, FR2:above-6,mmWave)별로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maximum power saving mode의 경우 이에 연계된 Aggregated BW의 FR2의 BW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태의 변경을 확인하는 경우, 연관된 aggregated BW 의 인덱스를 기지국에 전송하며, 기지국은 수신된 aggregated BW 의 인덱스에 기반하여 aggregated BW 를 재설정할 수 있다.
다만,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aggregated BW 인덱스와 동일한 aggregated BW 을 재설정할 수도 있고, 상기 aggregated BW 인덱스를 참고하여 상이한 aggregated BW 을 재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단말의 상태와 aggregated BW 의 인덱스가 1:1로 연관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나의 상태에 복수개의 aggregated BW 인덱스가 연관되거나, 하나의 aggregated BW 인덱스에 복수개의 상태가 연관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상태에 복수개의 aggregated BW 인덱스가 연관되는 경우, 단말은 모든 aggregated BW 인덱스를 모두 전송하거나 혹은 aggregated BW 인덱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인덱스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 단말은 전력 소모가 적은 aggregated BW의 인덱스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캐리어의 수를 연관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은 S1010 단계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캐리어의 수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련 파라미터로서 캐리어의 수 2, 3, 4를 각각 설정받을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설정 가능한 최대 캐리어의 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설정 가능한 최대 캐리어의 수를 4로 설정 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최대 값은 일 실시예일 뿐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캐리어의 수 별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단말은 최대 캐리어의 수 내에서 설정 가능한 캐리어 수 별로 예상되는 소모 전력 또는, 설정된 각 캐리어의 수 별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때,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추정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캐리어의 수 별로 단위 동작 수행 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활용하여 소모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단말은 소모 전력 추정을 위한 단위 동작 수행 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이에 기반하여 소모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혹은 네트워크가 캐리어의 수 별로 추정되는 소모 전력을 지시(indicate)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S1030 단계에서 캐리어의 수 별 예상 소모 전력에 기반하여 단말의 상태를 캐리어의 수와 연계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연계된 결과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able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다만, 단말의 상태와 캐리어의 수를 연관시키는 경우, 소모 전력의 추정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캐리어의 수가 많아질수록 전력 소모가 많아지므로 단말은 소모 전력의 추정 과정 없이 캐리어의 수와 단말의 상태를 연관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후, 네트워크는 RRC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에 설정된 캐리어의 수를 재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새로이 수신된 설정정보를 활용하여 도 10과 같은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단말 상태에 연계된 캐리어의 수의 index가 변경될 수 있다.
이후에 단말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도 3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의 터치스크린 등을 통하여 단말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단말은 상태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 또는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단말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의 상태가 변경되면 단말은 변경된 단말의 상태에 연계된 캐리어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연계된 캐리어의 수를 단말 메시지 (예를 들어, UE Assistance information)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는 단말이 전송한 UE assistance information을 수신하고, 해당 정보를 캐리어의 수 재설정에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캐리어의 수와의 연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트워크는 단말에 복수의 DL carrier 혹은 복수의 UL carrier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는 단말에 High throughput을 제공해 줄 수 있고, 혹은 네트워크의 스케쥴링을 보다 간단하게 구현하거나 offloading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의 상태와 캐리어의 수를 연관시켜 놓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의 각 상태(e.g. 보통/절전/초절전)별로 carrier의 개수(e.g. DL carrier의 개수, UL carrier의 개수, DL 및 UL carrier의 개수)를 연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Maximum Power saving mode에서는 DL carrier 1개 및 UL carrier 1개로 연계 (또는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상태의 변경을 확인하는 경우, 연관된 캐리어의 수의 인덱스 또는 캐리어의 수를 기지국에 전송하며, 기지국은 수신된 캐리어 수의 인덱스 또는 캐리어의 수에 기반하여 캐리어의 수를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단말의 상태와 캐리어의 수가 1:1로 연관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안테나의 수를 연관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은 S1210 단계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안테나의 수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설정 가능한 최대 안테나의 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안테나의 수 별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단말은 최대 안테나의 수 내에서 설정 가능한 안테나 수 별로 예상되는 소모 전력 또는, 설정된 각 안테나의 수 별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때,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추정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안테나의 수에 따른 단위 동작 수행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활용하여 소모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단말은 소모 전력 추정을 위한 단위 동작 수행 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이에 기반하여 소모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혹은 네트워크가 안테나의 수 별로 추정되는 소모 전력을 지시(indicate)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S1230 단계에서 안테나의 수 별 예상 소모 전력에 기반하여 단말의 상태를 캐리어의 수와 연계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연계된 결과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able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다만, 단말의 상태와 안테나의 수를 연관시키는 경우, 소모 전력의 추정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안테나의 수가 많아질수록 전력 소모가 많아지므로 단말은 소모 전력의 추정 과정 없이 안테나의 수와 단말의 상태를 연관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후, 네트워크는 RRC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에 설정된 안테나의 수를 재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새로이 수신된 설정정보를 활용하여 도 12과 같은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단말 상태에 연계된 안테나의 수의 index가 변경될 수 있다.
이후에 단말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도 3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의 터치스크린 등을 통하여 단말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단말은 상태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 또는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단말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의 상태가 변경되면 단말은 변경된 단말의 상태에 연계된 antenna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연계된 antenna의 개수로부터 얻어진 MIMO-LayersDL, MIMO-LayersUL을 단말 메시지 (예를 들어, UE Assistance information)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는 단말이 전송한 UE assistance information을 수신하고, 해당 정보를 안테나 수 재설정에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른 안테나 수와의 연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은 복수의 안테나를 통하여 다이버시티 이득 (diversity gain) 혹은 멀티플렉싱 이득 (multiplexing gain)을 얻음으로써 보다 높은 throughput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 경험을 증진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지만 복수의 안테나 활용은 단말이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말과 기지국 사이 채널 (channel)에서 multiplexing 가능한 최대 차수 (order)는 단말의 활용할 antenna의 개수에 의해 제한될 수 있고, diversity gain 또한 단말의 활용할 antenna의 개수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단말은 단말의 상태와 안테나의 수를 연관시켜 놓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의 각 상태(e.g. 보통/절전/초절전)별로 DL및 UL 각각에서 사용할 antenna의 개수를 연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Maximum Power saving mode에 연계된 단말이 활용할 DL 및 UL antenna의 개수는 1개일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경우 기지국과 단말은 SISO mode로 동작하며 단말의 RX/TX diversity gain은 없지만 안테나 동작으로 인한 단말의 전력 소모는 최대한 아낄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태의 변경을 확인하는 경우, 연관된 안테나 수의 인덱스 또는 안테나의 수를 기지국에 전송하며, 기지국은 수신된 안테나 수의 인덱스 또는 안테나의 수에 기반하여 안테나의 수를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단말의 상태와 안테나의 수가 1:1로 연관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단말은 mmWave 대역의 지원을 위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mmWave module을 단말에 탑재하고 있을 수 있다. 복수의 mmWave module을 통하여 단말은 beam diversity를 얻을 수 있지만, 이는 단말의 높은 전력 소모를 수반한다. 단말의 각 상태 (e.g. 보통/절전/초절전)별로 활용할 mmWave module의 개수를 연계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Maximum Power saving mode에 연계된 단말이 활용할 mmWave module의 개수는 0개이고, medium power saving mode에 연계된 단말이 활용할 mmWave module의 개수는 1개이고, normal mode에 연계된 단말이 활용할 mmWave module의 개수는 1개 이상(e.g. 1, 2,3개)일 수 있다. 단말은 연계된 활용할 mmWave module의 개수로부터 얻어진 정보(DL, UL별 동시에 동작가능한 beam의 개수)를 UE assistance information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이 전송한 UE assistance information을 수신하고, 해당 정보를 단말의 재설정에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단말은 단말의 각 상태(e.g. 보통/절전/초절전)별로 reducedUE-CategoryDL 및 reducedUE-CategoryUL와 연계시킬 수 있다. 보통모드보다는 절전모드와 연계된 UE-category가, 그리고 절전모드보다는 초절전모드의 연계된 UE-category가 더 낮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에 제공된 터치스크린 등을 통하여 단말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단말은 상태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 또는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단말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의 상태가 변경되면 단말은 변경된 단말의 상태에 연계된 UE-Category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연계된 UE-Category를 단말 메시지 (예를 들어, UE Assistance information)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이 전송한 UE assistance information을 수신하고, 해당 정보를 재설정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단말의 각 상태(e.g. 보통/절전/초절전)별로 무선 접속 기술 (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연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의 상태에 따라 사용될 RAT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전/초절전 상황에서는 5G 전체를 off하고 LTE로 fallback한다거나 혹은 5G의 일부를 off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네트워크로부터 한 개 이상의 RAT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은 RAT 별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RAT 설정의 각 파라미터별로 단위 동작 수행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활용하여 소모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단말은 소모 전력 추정을 위한 단위 동작 수행 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이에 기반하여 소모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혹은 네트워크가 RAT 별로 추정되는 소모 전력을 지시(indicate)해 줄 수 있다. 기지국은 explicit하거나 implicit한 방법으로 RAT 별로 추정되는 소모 전력을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RAT 별 예상 소모 전력에 기반하여 단말의 상태를 RAT과 연계시킬 수 있으며,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에 단말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도 3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의 터치스크린 등을 통하여 단말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단말은 상태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 또는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단말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의 상태가 변경되면 단말은 변경된 단말의 상태에 연계된 RAT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연계된 RAT을 활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 stand-alone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던 단말은 단말의 상태가 변경되어 절전/초절전 모드가 되면 주변의 available한 4G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검색된 4G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동작을 지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N-DC (E-UTRA NR dual connectivity)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던 단말은 단말의 상태가 변경되어 절전/초절전 상태가 되면 5G(NR)쪽 연결을 해지하고 단말의 관련 RF module, CP module을 off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EN-DC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던 단말은 단말의 상태가 변경되어 절전/초절전 모드가 되면 5G(NR) above-6 연결의 일부 혹은 전체를 해지하고, 단말의 관련 RF module, CP module, 빔포밍 module을 off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EN-DC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던 단말은 단말의 상태가 변경되어 절전/초절전 상태가 되면 5G(NR) sub-6 연결의 일부 혹은 전체를 해지하고, 단말의 관련 RF module, CP module을 off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NE-DC(NR-E-UTRA Dual Connectivity)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던 단말은 단말의 상태가 변경되어 절전/초절전 상태가 되면 4G(LTE)쪽 연결을 해지하고 단말의 관련 RF module, CP module을 off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NE-DC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던 단말은 단말의 상태가 변경되어 절전/초절전 상태가 되면 Master를 4G(LTE)로 바꾸고, 5G(NR) 연결을 해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단말의 상태(e.g. 보통/절전/초절전)과 여러 파라미터의 연계관계를 설명하였다. 단말의 동작모드와 파라미터 1개가 연계될 수 있고, 단말의 동작모드와 복수의 파라미터가 연계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등에 의해 결정된 단말의 동작모드에 따라서 연계된 1개 혹은 복수의 파라미터들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말 메시지는 UE assistance information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temporary capability signaling이 사용될 수 있으며, MAC layer signaling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AC CE를 추가하여 상기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한 개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Physical layer에서도 UCI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로 상기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이를 PUCCH를 통해서 전송하는 것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EN-DC 혹은 NE-DC와 같이 LTE 및 NR이 dual connectivity 형태로 연결된 경우 PCG에 signaling을 하여 각각의 연결 (connection)에 적용을 하거나 혹은 PCG 및 SCG 각각에 원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signaling을 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네트워크에게 단말의 상태에 따른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전송하면, 기지국은 이를 수신하고, 적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기지국은 단말에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재설정하기 위한 응답 signaling을 전송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예제로 도 2에서는 RRC signaling (e.g. RRC reconfiguration)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AC layer signaling (e.g. MAC CE) 및 Physical layer signaling(e.g. PDCCH) 또한 고려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네트워크에게 단말의 상태에 따른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전송 할 수 있으며, 기지국의 별도의 설정 없이도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 전송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단말이 전송한 파라미터대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maximum power saving mode에 진입하여 연계된 파라미터로 carrier의 개수를 DL, UL 별로 1개로 지정하여 기지국에 signaling하였을 경우 단말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프라이머리 셀 (primary cell)의 DL carrier 및 UL carrier에서만 동작을 수행하고, 나머지 세컨더리 셀 (Secondary cell)의 DL carrier 및 UL carrier를 해지하고 이에 연계된 단말의 RF module 등을 power off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단말은 내부에 어플리케이션 처리부 (application processor: AP)(1410), 통신 처리부 (communication processor: CP)(1420), RF/ANT (1430)등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은 메모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P와 CP를 통칭하여 프로세서, 처리부, 제어부 등으로 지칭할 수 있으며, AP와 CP는 각각 제1 프로세서 및 제2 프로세서로 칭할 수 있다.
AP에서 동작하는 software는 AP에 연결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말의 '설정 (setting)' 어플리케이션, 단말의 'Widget' 어플리케이션 혹은 단말 화면 상/하단의 'Quick'메뉴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의 상태 (e.g. 보통/절전/초절전 등)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P는 단말의 상태에 대한 입력을 감지 (또는 획득)하고, 이를 CP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단말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으며, AP는 이를 확인하여 CP에 전달할 수 있다.
CP는 단말의 상태와 연계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 (e.g. BWP, Power Profile, Aggregated BW, 캐리어의 개수, 안테나 operation, UE category, 연계된 RAT, etc.)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연계 정보는 단말 내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연계된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F 및 Antenna의 제어 방법(e.g. on/off, RF/antenna module의 동작모드, etc.)를 결정하고 관련 제어 신호를 RF 및 Antenna에 전달하고, CP 자체의 상태(e.g. 일부 modem on/off, clock 조정 등)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AP는 확인된 단말의 상태에 기반하여 연계된 파라미터 (e.g. BWP, Power Profile, Aggregated BW, 캐리어의 개수, 안테나 operation, UE category, 연계된 RAT, etc.)를 단말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연계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AP는 결정된 파라미터를 CP에 전달할 수 있고, CP는 이를 통해 RF 및 Antenna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RF 및 Antenna에 전달하고, CP 자체의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AP에서 감지된 단말의 상태에 따라 CP에서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단말의 전력 소모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 (1510), 제어부 (1520), 저장부 (15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15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 (1510)는 단말에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로부터 단말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152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5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520)는 단말 메시지에 포함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확인하고, 이에 기반하여 단말에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재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저장부(2530)는 상기 송수신부 (25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25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에서 설명의 순서가 반드시 실행의 순서와 대응되지는 않으며, 선후 관계가 변경되거나 병렬적으로 실행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부의 구성 요소가 생략되고 일부의 구성요소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발명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 실시예에 포함된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가 조합되어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어도 하나의 A, B, or C라는 기재는 A, B, C, A&B, A&C, B&C, A&B&C를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제1 프로세서에서 상기 단말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상태를 상기 단말의 제2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 단말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재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는 대역폭 부분, 전력 프로파일, 통합된 대역폭, 캐리어의 수, 안테나의 수, 단말 카테고리,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 각각에 대해 소모 전력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 각각과 단말의 상태를 연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 각각과 단말의 상태가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상태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거나,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른 단말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 단말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재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는 대역폭 부분, 전력 프로파일, 통합된 대역폭, 캐리어의 수, 안테나의 수, 단말 카테고리,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 각각에 대해 추정된 소모 전력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태는,
    상기 단말의 상태에 대한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상기 단말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상태를 상기 단말의 제2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확인하고,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 단말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재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하며,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는 대역폭 부분, 전력 프로파일, 통합된 대역폭, 캐리어의 수, 안테나의 수, 단말 카테고리,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 각각에 대해 소모 전력을 추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 각각과 단말의 상태를 연관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 각각과 단말의 상태가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상태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거나,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른 단말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 단말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재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는 대역폭 부분, 전력 프로파일, 통합된 대역폭, 캐리어의 수, 안테나의 수, 단말 카테고리,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전력 관련 파라미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 각각에 대해 추정된 소모 전력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태는,
    상기 단말의 상태에 대한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90002408A 2019-01-08 2019-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KR20200086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408A KR20200086149A (ko) 2019-01-08 2019-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US17/421,123 US11956723B2 (en) 2019-01-08 2020-01-07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20/000267 WO2020145622A1 (ko) 2019-01-08 2020-01-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EP20739091.5A EP3893559A4 (en) 2019-01-08 2020-01-07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408A KR20200086149A (ko) 2019-01-08 2019-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149A true KR20200086149A (ko) 2020-07-16

Family

ID=7152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408A KR20200086149A (ko) 2019-01-08 2019-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56723B2 (ko)
EP (1) EP3893559A4 (ko)
KR (1) KR20200086149A (ko)
WO (1) WO20201456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6355A1 (ko) * 2019-05-03 202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모니터링
US20220022057A1 (en) * 2020-07-17 2022-01-20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user equipment 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
EP4009714A1 (en) * 2020-12-04 2022-06-08 Nokia Technologies Oy Battery aware carrier activation
US11683760B2 (en) * 2021-05-10 2023-06-20 Qualcomm Incorporated UE assistance information (UAI) of battery power saving
WO2023136768A1 (en) * 2022-01-17 2023-07-20 Beammwave Ab A method of determining when mmW operation is to be utilized, a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 processing unit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6315B2 (en) * 2007-09-10 2013-01-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aware selection of radio access technology
EP2532187B1 (en) * 2010-02-02 2015-04-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WO2012000084A1 (en) * 2010-06-28 2012-01-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adio access technology selection
CA2803976A1 (en) * 2010-06-28 2012-01-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adio access technology selection
US8619654B2 (en) * 2010-08-13 2013-12-31 Intel Corporation Base station selection method for heterogeneous overlay networks
US9107197B2 (en) * 2011-04-13 2015-08-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erminal-based selection of radio parameters among a parameter subset offered by the network
US8660549B2 (en) * 2012-04-25 2014-02-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voiding battery depletion of a mobile device
US9515757B2 (en) 2012-05-11 2016-12-06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user equipment assistanc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874103B2 (en) 2012-05-11 2014-10-28 Intel Corporation Determining proximity of user equipment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140036794A1 (en) 2012-08-03 2014-02-06 Ali T. Koc User equipment assistance information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US10104612B2 (en) * 2012-08-07 2018-10-16 Hfi Innovation Inc. UE preference indication and assistance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JP6065463B2 (ja) * 2012-08-28 2017-01-25 富士通株式会社 移動端末
US8923880B2 (en) 2012-09-28 2014-12-30 Intel Corporation Selective joinder of user equipment with wireless cell
EP2910040B1 (en) 2012-10-08 2020-06-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chanism to handle ue assistance information upon handover
US9661657B2 (en) 2013-11-27 2017-05-23 Intel Corporation TCP traffic adaptation in wireless systems
WO2015140772A1 (en) * 2014-03-21 2015-09-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dapting carrier aggregation configurations for user equipment
US9820225B2 (en) * 2014-05-13 2017-11-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device
US20160066217A1 (en) * 2014-08-28 2016-03-0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intelligent radio access technology re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0470238B2 (en) * 2014-11-14 2019-11-05 Blackberry Limited Power saving for tight coupled interworking
JP6654184B2 (ja) 2015-03-02 2020-02-26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無線端末、及びモビリティ管理装置
US10194383B2 (en) * 2015-04-21 2019-01-29 Apple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adio interface selection for IMS connection based on power considerations
US9826482B2 (en) * 2015-06-26 2017-11-21 Intel Corporation Method of fine grained wake-up modes for Wi-Fi/BT utilizing wake-up receiver
US9955425B2 (en) * 2015-10-21 2018-04-24 Qualcomm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in multi-technology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11821770B2 (en) * 2016-07-18 2023-11-21 Vaughn Realty Ventures LLC Water metering system
US10616830B2 (en) * 2016-08-12 2020-04-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rat selection in a multi-rat network
US9906991B1 (en) * 2016-09-29 2018-02-27 Intel IP Corporation Cellular telephone network to narrow band—internet of things network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US10440645B2 (en) * 2016-10-11 2019-10-0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Extending signal coverage and charge duration of a user equipment
CN117134867A (zh) * 2016-11-02 2023-11-28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接收机带宽适配
JP6932928B2 (ja) 2017-01-05 2021-09-08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985846B1 (en) * 2017-01-15 2018-05-29 Essential Products, Inc. Assistant for management of network devices
US10588055B2 (en) 2017-12-14 2020-03-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 selection
EP3732846B1 (en) * 2017-12-25 2022-11-3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Quality of service (qos) control in mobile edge computing (mec)
US10863389B2 (en) 2018-03-12 2020-12-08 Apple Inc. Network assisted wireless device preferred bandwidth part configuration
US11265955B2 (en) * 2018-09-26 2022-03-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power retention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non-standalone devices
US11463899B2 (en) * 2018-10-31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asurement oper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425555B2 (en) * 2018-12-05 2022-08-23 Qualcomm Incorporated UE assistance information for power saving configuration
US20200351792A1 (en) * 2019-05-01 2020-11-0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s in a multi-connectivity user equipment
EP3905781A1 (en) * 2020-04-30 2021-11-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5622A1 (ko) 2020-07-16
EP3893559A4 (en) 2022-03-02
US11956723B2 (en) 2024-04-09
EP3893559A1 (en) 2021-10-13
US20220150829A1 (en)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614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US11310749B2 (en) Transmit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n multi-rat dual connectivity based on overlap of master and secondary node transmissions
US2021039264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uplink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640328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形成波束的方法及电子装置
KR20200043615A (ko) 통신 상태에 기반한 상향링크 선택 장치 및 방법
US20230104419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electronic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6484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resource, and electronic device
KR20200062793A (ko) 베어러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4050944A1 (en) Method for adjusting number of data streams, and terminal and mimo system
US11824663B2 (en) Electronic device managing communication buff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824276B2 (en) Electronic device for adjusting antenna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210030849A (ko) 전력 및/또는 발열 제어를 구현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10121552A (ko) 듀얼 커넥티비티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4008142B1 (en)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paging messag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30246776A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30171801A1 (en) Electronic device requesting resource for uplink, network allocating requesting resource for uplin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US20230217336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handover on basis of state of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20220104148A1 (en)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EP4195803A1 (en)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paging messag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431130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arget wake time (twt) monitoring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arget wake time (twt) by using same
US20230284304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multiple subscriber identity module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30328826A1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30125801A1 (en) Electronic device for cell coverage enhancem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40014986A (ko) 채널 측정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21868A (ko)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