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204A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ecture for sharing taking note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ecture for sharing taking no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204A
KR20200084204A KR1020190000330A KR20190000330A KR20200084204A KR 20200084204 A KR20200084204 A KR 20200084204A KR 1020190000330 A KR1020190000330 A KR 1020190000330A KR 20190000330 A KR20190000330 A KR 20190000330A KR 20200084204 A KR20200084204 A KR 20200084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ed
board
rectangl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3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2558B1 (en
Inventor
권오욱
김진욱
곽용원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0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558B1/en
Publication of KR20200084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2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5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managing a lecture comprises: a camera installed in a lecture room to photograph a board provided to allow a lecturer to write notes thereon; an image processing device to perform image processing to display the content of the notes on a boar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to store the image, and upload the processed image to a web server; the web server to provide the image with the displayed content of the notes uploaded from the image processing device via a website; and a user terminal to connect to the website provided by the web server to download and display the image with the displayed content of the no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notes written on the board by the lecturer in the lecture room is photographed to be stored and shared. The content of the lecture can be reviewed even after the class, and an unnecessary quarrel for taking the front seats during class time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필기 내용을 공유하는 강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ecture for sharing taking notes}{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ecture for sharing taking notes}

본 발명은 강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의 시간에 강의자가 보드에 필기한 내용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공유하는 강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ctur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ctur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storing, and sharing contents written by a lecturer on a board during lecture time.

필기 위주로 진행되는 수업의 경우, 학생들이 감당해야하는 필기의 양이 많다. 따라서, 많은 양을 필기하는 동시에 수업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은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으로서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일부 학생의 경우 필기 속도가 현저히 늦은데 이러한 경우, 수업을 열심히 들었음에도 수업 중에 진행되는 모든 필기를 다 하지 못하는 동시에 이해도 또한 떨어질 수밖에 없다.In the case of classes that are mainly handwritten, the amount of writing that students have to deal with is large. Therefore, writing a large amount and understanding the content of the class at the same time makes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take lectures. In addition, in some students, the writing speed is significantly slower. In such a case, even though the class is hardly studied, it is inevitable to comprehend all the writing in progress during the class.

또한, 보통 높낮이 없이 평평한 강의실에서 강의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앞자리에 신장이 큰 학생이 앉게 된다면 뒷자리 학생이 시야 확보하기가 굉장히 어렵다. 따라서, 강의시간에 강의실의 앞자리를 선점하려고 하지만 앞자리는 한정되어있기 때문에 앞자리 다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Also, lectures are often conducted in flat classrooms without height. At this time, if a student with a large height sits in the front seat,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student in the back seat to secure a view. Therefore, the class is trying to preoccupy the front seat of the classroom, but the front seat is limited.

특히, 전공 강의의 경우, 단 한 번의 강의에도 방대한 양의 수업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개인 사정이나 불가피한 사정으로 인해 수업에 출석하지 못하게 된다면 단 하루임에도 다음 강의부터 진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ajor courses, even a single lecture may contain a large amount of class content. In such a case, if you cannot attend class due to personal circumstances or unavoidable circumstances, even if it is only one day, follow the progress from the next lecture Can cause problems.

또한, 수업 내용 중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에 대한 질의응답이 필요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러한 질의응답은 대부분 짧은 쉬는 시간이나 강의 내용이 끝난 직후에 진행되며, 따라서 강의자가 쉬는 시간에 자리를 비우거나 강의가 늦게 끝난다면 질의응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it is often necessary to answer questions that are not understood in the content of the class. Most of these questions and answers take place after a short break or after the lecture is over. If the lecture ends late, there is a problem that questions and answers cannot be made.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3181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8-01318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업 이후에도 강의 내용을 복습할 수 있고, 수업 시간에 앞자리 선점을 위한 불필요한 다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드에 필기한 내용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공유하는 강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contents of the lecture can be reviewed even after class, and the handwritten content is photographed and stored on the board so as to prevent unnecessary contention for preoccupying the clas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hared lectur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웹 사이트를 통해 필기 내용을 공유함으로써, 강의자와 학생 간의 질의 응답 등의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과목 이해도를 증진시키고, 친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purpose to improve subject understanding and improve intimacy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such as question and answer between lecturers and students by sharing handwritten contents through a websit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강의 관리 시스템은 강의실 내에 설치되어 강의자가 필기하도록 마련된 보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필기 내용이 표시되도록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하고, 처리된 이미지를 웹 서버에 업로드(upload)하는 영상처리장치,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업로드된 필기내용이 표시된 이미지를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웹 서버 및 상기 웹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필기내용이 표시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The lectur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in a lecture room,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board prepared for a lecturer to write, and image processing so that the contents of the handwriting are displayed on the board image taken by the camera are stored and processed. An image processing device that uploads the uploaded image to a web server, a web server that provides an image displaying the handwritten content uploaded from the image processing device through a web site, and accesses a web site provided by the web server. And a user terminal for downloading and displaying the displayed image.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보드의 외곽선을 나타내는 사각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꼭지점에 대해 원근법에 의한 사다리꼴 모양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에서 글씨 부분을 진하게 표시하고 배경 부분을 옅게 표시하도록 명암 및 밝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tects a rectangle representing the outline of the board from the boar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extracts vertices from the detected rectangle, converts the trapezoidal trapezoidal shape into a rectangular shape, and converts the extracted vertices Images can be processed and stored by adjusting the contrast and brightness so that the part of the text is displayed in dark and the background part is displayed in light.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사람을 검출하면, 검출된 사람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사각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한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고, 사람이 이동하면, 이동한 사람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사각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한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고, 부분 이미지들을 연결하여 원근법에 의한 하나의 사다리꼴 모양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다리꼴 모양의 이미지를 직사각형 모양의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에서 글씨 부분을 진하게 표시하고 배경 부분을 옅게 표시하도록 명암 및 밝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tects a person from the boar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it detects a rectangle of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detected person area, generates a partial image from which the vertex is extracted from the detected rectangle, and when the person moves, Detects the rectangle of the rest of the area except the moved person area, generates a partial image from which the vertices are extracted, and connects the partial images to generate one trapezoidal image by perspective, and the generated trapezoidal shape You can convert the image into a rectangular image, process the image by adjusting the contrast and brightness so that the converted part is displayed in bold and the background part is lightened.

본 발명의 강의실 내에 설치되어 강의자가 필기하도록 마련된 보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영상처리장치, 웹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강의 관리 시스템에서의 강의 관리 방법에서,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필기 내용이 표시되도록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이미지를 웹 서버에 업로드(upload)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업로드된 필기내용이 표시된 이미지를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웹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필기내용이 표시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 lecture management method in a lectur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camera,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 web server, and a user terminal for photographing a board installed in a lecture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epared for writing by a lecturer,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Storing and processing the image so that the handwritten content is displayed on the board image, the image processing device uploads the processed image to a web server, and the web server displays the handwritten content uploaded from the image processing device Providing an image through a web site and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ccessing a web site provided by the web server and downloading and displaying an image in which the handwriting is displayed.

본 발명의 상기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보드의 외곽선을 나타내는 사각형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꼭지점에 대해 원근법에 의한 사다리꼴 모양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이미지에서 글씨 부분을 진하게 표시하고 배경 부분을 옅게 표시하도록 명암 및 밝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processing and storing the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tects a rectangle representing the outline of the board from the boar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extracts a vertex from the detected rectangle, and extracts the extracted vertex. It may include the step of converting the trapezoidal shape to a rectangular shape with respect to the perspective and image processing and storing in a manner of adjusting the contrast and brightness so that the text portion is displayed in bold and the background portion is lightly displayed.

상기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사람을 검출하면, 검출된 사람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사각형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한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사람이 이동하면, 이동한 사람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사각형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한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부분 이미지들을 연결하여 원근법에 의한 하나의 사다리꼴 모양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사다리꼴 모양의 이미지를 직사각형 모양의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이미지에서 글씨 부분을 진하게 표시하고 배경 부분을 옅게 표시하도록 명암 및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processing and storing the image, whe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tects a person from the boar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detecting a rectangle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detected person area, and extracting a vertex from the detected rectangle Generating an image, when a person moves, detecting a rectangle in a region other than the moved person area, generating a partial image from which the vertices are extracted from the detected rectangle, and connecting the partial images to form a single perspective. The steps of creating a trapezoidal image, converting the resulting trapezoidal image to a rectangular image, and adjusting the contrast and brightness to make the text portion darker and the background part lighter in the converted image. It can contain.

본 발명에 의하면, 강의실에서 강의자가 보드에 필기한 내용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공유함으로써, 수업 이후에도 강의 내용을 복습할 수 있고, 수업 시간에 앞자리 선점을 위한 불필요한 다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ecture room, the lecturer photographs, saves, and shares the contents written on the board, so that the lecture contents can be reviewed even after class, an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unnecessary quarrels for preoccupying the front seats in clas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웹 사이트를 통해 필기 내용을 공유함으로써, 강의자와 학생 간의 질의 응답 등의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과목 이해도를 증진시키고, 친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haring handwritten content through a websi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subject understanding and improve intimacy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such as question and answer between lecturers and stud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중에서 사각형 추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중에서 꼭짓점 추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근법 변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람 검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필기 내용의 예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ectu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a lectur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quadrangle extraction process among digital image 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process of extracting vertices from digital image 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erspective transform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erson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the appearance of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of handwritten contents provided by a web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are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ectu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강의 관리 시스템은 카메라(100), 영상처리장치(200), 웹 서버(300), 사용자 단말(410, 4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lectur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100,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200, a web server 300, and user terminals 410 and 420.

카메라(100)는 강의실 내에 설치되어 강의자가 필기하도록 마련된 보드를 촬영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빔 프로젝트 하단부에 카메라를 고정시켜 칠판(보드) 전체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강의자가 강의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칠판(보드)을 촬영하도록 카메라(100)를 설정할 수 있다.The camera 100 is installed in the lecture room and photographs a board provided for the lecturer to write. 7 illustrates the appearance of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may be fixed at the lower end of the beam project so that the entire blackboard (board) can be photographed, and the camera 100 can be set to periodically photograph the blackboard (board) during the lecture.

영상처리장치(200)는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필기 내용이 표시되도록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하고, 처리된 이미지를 웹 서버(300)에 업로드(upload)한다.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200 stores and processes the image so that the handwritten content is displayed on the boar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0, and uploads the processed image to the web server 300.

웹 서버(300)는 영상처리장치(200)로부터 업로드된 필기내용이 표시된 이미지를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한다. The web server 300 provides an image on which a handwritten content uploaded from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200 is displayed through a website.

사용자 단말(410, 420)은 웹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필기내용이 표시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을 스마트폰(410), PC(420)로 예시하였으며, 이외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 다양한 기기가 사용자 단말로 사용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s 410 and 420 access a website provided by the web server 300 to download and display an image in which the handwriting is displayed. In the embodiment of FIG. 1, a user terminal is illustrated as a smartphone 410 and a PC 420, and various devices such as a tablet PC and a notebook PC can be used as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서 영상처리장치(200)는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보드의 외곽선을 나타내는 사각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꼭지점에 대해 원근법에 의한 사다리꼴 모양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에서 글씨 부분을 진하게 표시하고 배경 부분을 옅게 표시하도록 명암 및 밝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200 detects a rectangle representing the outline of the board from the boar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0, extracts vertices from the detected rectangle, and draws a trapezoid shape by perspective on the extracted vertices. It is converted into a rectangular shape, and the image is processed and stored in such a way as to adjust the contrast and brightness so that the text portion is displayed in bold and the background portion is displayed in the converted image.

영상처리장치(200)는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사람을 검출하면, 검출된 사람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사각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한 부분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사람이 이동하면, 이동한 사람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사각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한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고, 부분 이미지들을 연결하여 원근법에 의한 하나의 사다리꼴 모양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사다리꼴 모양의 이미지를 직사각형 모양의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에서 글씨 부분을 진하게 표시하고 배경 부분을 옅게 표시하도록 명암 및 밝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한다. Whe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200 detects a person from the boar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0, it detects a rectangle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detected person area, and generates a partial image obtained by extracting vertices from the detected rectangle. Then, when a person moves, a rectangle of the remaining areas excluding the moved person area is detected, a partial image is extracted by extracting vertices from the detected square, and partial images are connected to generate a trapezoidal image by perspective. do. Then, the generated trapezoidal image is converted into a rectangular image, and the image is processed and stored in such a way that the contrast and brightness are adjusted to darken the text portion and lightly display the background portion in the converted imag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showing a lectur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영상처리장치(200)는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필기 내용이 표시되도록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한다(S201~S223). Referring to FIG. 2,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200 processes and stores an image so that the handwritten content is displayed on the boar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0 (S201 to S223).

그리고, 영상처리장치(200)는 처리된 이미지를 웹 서버(300)에 업로드(upload)한다(S225). The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200 uploads the processed image to the web server 300 (S225).

그리고, 웹 서버(300)는 영상처리장치(200)로부터 업로드된 필기내용이 표시된 이미지를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web server 300 provides an image in which the handwritten content uploaded from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200 is displayed through a website.

그리고, 사용자 단말(410, 420)은 웹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필기내용이 표시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한다. Then, the user terminals 410 and 420 access the website provided by the web server 300 to download and display the image in which the handwriting is displayed.

본 발명의 강의 관리 시스템에서의 강의 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ecture management method in the lectur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영상처리장치(200)는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보드의 외곽선을 나타내는 사각형을 검출한다(S205).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200 detects a rectangle representing the outline of the board from the boar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0 (S205).

그리고,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한다(S207). Then, the vertex is extracted from the detected rectangle (S207).

그리고, 추출된 꼭지점에 대해 원근법에 의한 사다리꼴 모양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변환한다(S209). Then, the trapezoidal shape of the extracted vertex is converted into a rectangular shape (S209).

그리고, 변환된 이미지에서 글씨 부분을 진하게 표시하고 배경 부분을 옅게 표시하도록 명암 및 밝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한다(S223). Then, in the converted image, the image is processed and stored in a manner of adjusting the contrast and brightness so that the text portion is displayed in bold and the background portion is displayed in light (S22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처리장치(200)는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사람을 검출하면(S203), 검출된 사람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사각형을 검출한다(S211).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200 detects a person from the boar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0 (S203), the rectangle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detected person area is detected (S211).

그리고,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한 부분 이미지를 생성한다(S213). Then, a partial image is generated by extracting the vertices from the detected rectangle (S213).

그리고, 사람이 이동하면(S214), 이동한 사람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사각형을 검출한다(S215). Then, when the person moves (S214), the rectangle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moved person area is detected (S215).

그리고,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한 부분 이미지를 생성한다(S217). Then, a partial image is generated by extracting vertices from the detected rectangle (S217).

그리고, 부분 이미지들을 연결하여 원근법에 의한 하나의 사다리꼴 모양의 이미지를 생성한다(S219). Then, a partial trapezoidal image is generated by connecting partial images (S219 ).

그리고, 생성된 사다리꼴 모양의 이미지를 직사각형 모양의 이미지로 변환한다(S221). Then, the generated trapezoidal image is converted into a rectangular image (S221).

그리고, 변환된 이미지에서 글씨 부분을 진하게 표시하고 배경 부분을 옅게 표시하도록 명암 및 밝기를 조절한다(S223). In addition, the contrast and brightness are adjusted so that the text portion is displayed in bold and the background portion in the converted image (S223).

본 발명에서 사각형 추출이란 영상 또는 이미지 내에 있는 다양한 도형 중 사각형을 추출하는 기능을 뜻한다. 이러한 기능은 OpenCV를 통해 다음과 같은 작업을 통해 구현된다. Rectangle extra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function of extracting a rectangle from various shapes in an image or image. These features are implemented through OpenCV b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중에서 사각형 추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3 illustrates a quadrangle extraction process among digital image 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영상의 원본을 불러온 후 그 영상의 RGB값을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화 한다. 그 후 그레이 스케일 한 값을 이진한 영상에서 캐니 에지(Canny Edge) 검출을 진행함으로써 윤곽선을 추출한다. Referring to FIG. 3, first, an original image is fetched, and then the RGB value of the image is gray scaled. After that, the contour is extracted by performing Canny Edge detection in the binary image with the gray scale value.

다음으로 MorphologyEx 함수를 이용하여 형태를 뭉개준 뒤 Contours 함수를 통해 도형들을 그룹화 한 후 그려준다. 이를 통해 만들어진 이미지를 ApproxPolyDP를 이용하여 선분을 간략화 한 후 4개의 꼭짓점을 갖는 도형을 검출한다. 해당 작업을 통해 추후에 진행될 마커 추출(꼭짓점 추출) 기능이 구현된다.Next, morph the shape using the MorphologyEx function and group the shapes through the Contours function to draw. The segment created is simplified by using ApproxPolyDP and the figure with 4 vertices is detected. Through this work, a marker extraction (vertex extraction) function to be performed later is implemen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중에서 꼭짓점 추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4 illustrates a process of extracting vertices from digital image 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마커 추출은 사각형 추출에서 추출한 사각형의 각 꼭짓점을 추출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앞서 사각형 추출에서 진행된 윤관선 추출 함수로 윤곽선을 추출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그 후 임의의 점 하나를 설정하여 가장 먼 점을 첫 번째 꼭짓점으로 설정하여 '꼭짓점 변수1'에 저장한다. 그리고 이와 동일한 작업을 통해 두 번째 꼭짓점을 찾어서 '꼭짓점 변수 2'에 저장하고, 꼭짓점 변수 1과 꼭짓점 변수 2에서 가장 먼 점을 구함으로써 세 번째 꼭짓점을 찾아낼 수 있고, 그리고, 세번째 꼭짓점을 '꼭짓점 변수3'에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꼭짓점은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구하기가 어려우므로 이미 구해둔 세 개의 꼭짓점과 나머지 한 점으로 구성된 세 개의 삼각형으로 나누어 그 넓이의 합이 최대가 되는 좌표(x, y)를 네 번째 꼭짓점으로 저장한다.Referring to FIG. 4, marker extraction is a function of extracting each vertex of a square extracted from square extraction. Therefore, it begins by extracting the contour with the contour extraction function that was performed in the previous square extraction. After that, set an arbitrary point and set the farthest point as the first vertex, and store it in the'vertex variable 1'. And by doing the same, you can find the second vertex by storing it in'vertex variable 2', finding the farthest point from vertex variable 1 and vertex variable 2, and then finding the third vertex. Store it in vertex variable 3'. Finally, the fourth vertex is difficult to obtain through the above method, so it is divided into three triangles, which are already obtained and the other one, and the coordinates (x, y) where the sum of the areas becomes the maximum is the fourth vertex. To sav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근법 변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erspective transform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원근법 변환은 앞서 구한 꼭짓점(input point)을 직사각형으로 만들어주는 좌표(output Point)로 각각 이동시킴으로써, 사다리꼴 모양의 사진을 직사각형으로 변환시켜주는 기능이다. 그리고 이때 변환 행렬을 구해야 하는데 cv2.getPerspectivTransform() 함수를 이용하여 변환행렬 값을 적용하여 최종 결과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the present invention, perspective transformation is a function of converting a trapezoid-shaped photograph into a rectangle by moving the previously obtained input point to a coordinate that makes a rectangle, respectively. And at this time, you need to get the transformation matrix. You can get the final result image by applying the transformation matrix value using cv2.getPerspectivTransform() function.

도 5에서 좌측 이미지에서 원근법으로 인해 사다리꼴 모양으로 보이는 부분의 일부분의 꼭짓점을 설정하여 우측의 직사각형모양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In FIG. 5, a process of setting a vertex of a portion of a portion that looks like a trapezoid due to perspective in the left image can be confirmed to convert to a rectangular shape on the right.

이러한 원근법 변환 기능을 통해 보드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변하는 칠판의 모양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변환시킴으로써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Through this perspective conversion func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readability by converting the shape of the blackboard that chang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camera shooting the board into a rectangular shap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람 검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erson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실제 OpenCV의 보행자 추출 기능을 사용하여 보행자를 검출한 결과 이미지이다.FIG. 6 is a result image of detecting a pedestrian using an actual OpenCV pedestrian extraction function.

본 발명에서 보행자를 인식하여 추출하는 기술은 영상에서 보행자, 즉 서있는 사람을 찾는 기술이다. 현재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서있는 사람을 검출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앉아 있는 사람이나 누워 있는 사람까지는 찾지 못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technique of recognizing and extracting a pedestrian is a technique of finding a pedestrian, that is, a person standing in an image. Most research to date has focused on detecting people who are standing, and cannot find people who are sitting or lying.

본 발명에서 보행자 추출은 Haar Feature-based Cascade Classifier라고 불리는 방법을 사용하며 웨이블릿의 일종인 Haar feature와 유사한 매우 단순한 feature들을 조합하여 물체를 찾아낸다. Cascadef란 용어는 하나의 검출기로 물체를 찾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검출기를 순차적으로 사용하되 처음에는 간단한 검출기를 적용하고 점점 더 어려운 검출기를 적용하는 방법이다. Pedestrian extra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ethod called a Haar Feature-based Cascade Classifier and finds objects by combining very simple features similar to the Haar feature, which is a kind of wavelet. The term cascadef is not a method of finding an object with a single detector, but several detectors are used sequentially, but at first, a simple detector is applied and an increasingly difficult detector is applied.

이러한 보행자 추출 방법을 이용한다면 강의자가 보드를 가리는 경우에 서있는 강의자를 검출하여 해당부분을 삭제하고, 해당부분을 삭제한 이미지들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온전한 필기내용 사진을 복원할 수 있다. If this method of pedestrian extraction is used, the lecturer can detect the lecturer standing in the case of covering the board, delete the corresponding part, and restore the complete handwritten content picture by combining the images with the deleted part.

본 발명에서 이미지 연결은 앞서 보행자 추출 기능을 이용하여 보행자를 삭제한 이미지들을 분할하여 연결함으로써 온전한 하나의 이미지를 얻어낼 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이미지 연결은 OpenCV에 있는 ROI(Region of Interest)를 지정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지정은 cvSetImageROI(이미지, left, top, width, height) 함수를 통해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connection is a technique capable of obtaining an intact image by dividing and connecting images in which pedestrians are deleted using the pedestrian extraction function. This image linking can be implemented by specifying the Region of Interest (ROI) in OpenCV. This is done through the cvSetImageROI(image, left, top, width, height) function.

본 발명에서 이미지의 명암 및 밝기 조절은 OpenCV 내에 이미지의 RGB 값을 조절하는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ast and brightness of an image are adjusted by us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RGB value of the image in OpenCV.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필기 내용의 예시도이다. 도 8은 GNUMOARD5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만든 데이터베이스에 이미지가 업로드된 것을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8 is an exemplary view of handwritten contents provided by a web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a screen showing that an image is uploaded to a database created through a program called GNUMOARD5.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using some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100 카메라 200 영상처리장치
300 웹 서버 410, 420 사용자 단말
100 Camera 200 Image Processing Device
300 web server 410, 420 user terminal

Claims (6)

강의실 내에 설치되어 강의자가 필기하도록 마련된 보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필기 내용이 표시되도록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하고, 처리된 이미지를 웹 서버에 업로드(upload)하는 영상처리장치;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업로드된 필기내용이 표시된 이미지를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웹 서버; 및
상기 웹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필기내용이 표시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강의 관리 시스템.
A camera installed in a lecture room to photograph a board prepared for the lecturer to write;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nd storing an image so that handwritten content is displayed on the boar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uploading the processed image to a web server;
A web server that provides an image in which the handwritten content uploaded from the image processing device is displayed through a website; And
A lectur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user terminal that accesses a web site provided by the web server and downloads and displays an image in which handwriting is display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보드의 외곽선을 나타내는 사각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꼭지점에 대해 원근법에 의한 사다리꼴 모양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에서 글씨 부분을 진하게 표시하고 배경 부분을 옅게 표시하도록 명암 및 밝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tects a rectangle representing the outline of the board from the boar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extracts vertices from the detected rectangle, converts the trapezoidal shape into a rectangular shape by perspective on the extracted vertex, and converts it Lectur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is processed and stored in a manner that adjusts the contrast and brightness so that the text part is displayed in dark and the background part is displayed in ligh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사람을 검출하면, 검출된 사람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사각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한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고, 사람이 이동하면, 이동한 사람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사각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한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고, 부분 이미지들을 연결하여 원근법에 의한 하나의 사다리꼴 모양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다리꼴 모양의 이미지를 직사각형 모양의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에서 글씨 부분을 진하게 표시하고 배경 부분을 옅게 표시하도록 명암 및 밝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tects a person from the boar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it detects a rectangle in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detected person area, generates a partial image from which the vertex is extracted from the detected rectangle, and when a person moves, Detects the rectangle of the rest of the area except the moved person area, generates a partial image from which the vertices are extracted, and connects the partial images to create one trapezoidal image by perspective, and the generated trapezoidal shape A lectur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by converting an image into a rectangular-shaped image, processing the image in a manner that adjusts the contrast and brightness so that the converted part is displayed in bold and the background part is displayed in light.
강의실 내에 설치되어 강의자가 필기하도록 마련된 보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영상처리장치, 웹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강의 관리 시스템에서의 강의 관리 방법에서,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필기 내용이 표시되도록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이미지를 웹 서버에 업로드(upload)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업로드된 필기내용이 표시된 이미지를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웹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필기내용이 표시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의 관리 방법.
In a lecture management method in a lectur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camera,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 web server, and a user terminal for photographing a board installed in a lecture room and prepared for writing by a lecturer,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storing and processing an image so that handwritten content is displayed on the board image taken by the camera;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uploads the processed image to a web server;
The web server providing an image on which a handwritten content uploaded from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displayed through a web site; And
And the user terminal accessing a web site provided by the web server and downloading and displaying an image in which the handwriting is display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보드의 외곽선을 나타내는 사각형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꼭지점에 대해 원근법에 의한 사다리꼴 모양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이미지에서 글씨 부분을 진하게 표시하고 배경 부분을 옅게 표시하도록 명암 및 밝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In the step of processing and storing the imag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detecting a rectangle representing the outline of the board from the boar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Extracting a vertex from the detected rectangle;
Converting the trapezoidal shape into a rectangular shape by the perspective of the extracted vertex; And
And displaying and processing the image in a manner that the contrast and brightness are adjusted so that the text portion is displayed in bold and the background portion is displayed in the converted imag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보드 이미지에서 사람을 검출하면, 검출된 사람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사각형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한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사람이 이동하면, 이동한 사람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사각형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사각형에서 꼭지점을 추출한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부분 이미지들을 연결하여 원근법에 의한 하나의 사다리꼴 모양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사다리꼴 모양의 이미지를 직사각형 모양의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이미지에서 글씨 부분을 진하게 표시하고 배경 부분을 옅게 표시하도록 명암 및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In the step of processing and storing the image,
Whe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tects a person from the boar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detecting a rectangle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detected person area;
Generating a partial image obtained by extracting vertices from the detected rectangle;
When a person moves, detecting a rectangle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moved person area;
Generating a partial image obtained by extracting vertices from the detected rectangle;
Generating a trapezoidal image by perspective by connecting partial images;
Converting the generated trapezoidal image into a rectangular image; And
And adjusting the contrast and brightness to display the text portion in the converted image in bold and lightly display the background portion.
KR1020190000330A 2019-01-02 2019-01-02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ecture for sharing taking notes KR1021925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330A KR102192558B1 (en) 2019-01-02 2019-01-02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ecture for sharing taking no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330A KR102192558B1 (en) 2019-01-02 2019-01-02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ecture for sharing taking no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204A true KR20200084204A (en) 2020-07-10
KR102192558B1 KR102192558B1 (en) 2020-12-17

Family

ID=7160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330A KR102192558B1 (en) 2019-01-02 2019-01-02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ecture for sharing taking not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5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056B1 (en) 2021-01-15 2021-10-27 (주)강안교육 Non-face-to-face learning method and learning system for immersive learn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2692A (en) * 2004-12-02 2006-06-22 Hosei Univ Automatic lecture content creating system
KR20130016037A (en) * 2012-02-22 2013-02-14 김정태 Image management apparatus using maker recognition and image tracing
KR101287019B1 (en) * 2012-01-05 2013-07-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A lecture camera system for providing images of writings on the board
KR20160082291A (en) * 2014-12-30 2016-07-08 채수한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80025342A (en) * 2016-08-29 2018-03-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ecture
KR20180131817A (en) 2017-06-01 2018-12-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haring Writing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2692A (en) * 2004-12-02 2006-06-22 Hosei Univ Automatic lecture content creating system
KR101287019B1 (en) * 2012-01-05 2013-07-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A lecture camera system for providing images of writings on the board
KR20130016037A (en) * 2012-02-22 2013-02-14 김정태 Image management apparatus using maker recognition and image tracing
KR20160082291A (en) * 2014-12-30 2016-07-08 채수한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80025342A (en) * 2016-08-29 2018-03-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ecture
KR20180131817A (en) 2017-06-01 2018-12-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haring Writing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056B1 (en) 2021-01-15 2021-10-27 (주)강안교육 Non-face-to-face learning method and learning system for immersive lear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558B1 (en)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75120B (en) Display system for aided teaching
CN112261477B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rain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Dash et al. Designing of marker-based augmented reality learning environment for kids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rchitecture
US10943107B2 (en) Simulating image capture
US20150178946A1 (en) Image adjustment using texture mask
RU2721187C1 (en) Teaching language models using text corpuses containing realistic errors of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CN109803172B (en) Live vide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22166078A (en) Composing and realizing viewer's interaction with digital media
CN114120163A (en) Video fram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related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thereof
Pu et al. Framework based on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translating food menu in Thai language to Malay language
Tripathy et al. Voice for the mute
CN115294055A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1925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ecture for sharing taking notes
US20210352181A1 (en) Transparency adjustment method and document camera
CN113591562A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irayama A book reading magnifier for low vision persons on smartphones and tablets
US11816842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akumanu et al. Document image dewarping based on line estimation for visually impaired
Dospinescu et al. Integrated Applications with Laser Technology.
CN111179166B (en) Image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6665283B (en) 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of class face data set
CN114363521B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7156771B1 (en) Personal information masking method and personal information masking device
Gomez-Donoso et al. A SOFTWARE FOR IMPROVED ACCESSIBILITY OF VISUAL CONTENT IN CLASS
Shylo et al. Creating Slides from Video L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