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748A -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disabled person - Google Patents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disabled pers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748A
KR20200079748A KR1020180169239A KR20180169239A KR20200079748A KR 20200079748 A KR20200079748 A KR 20200079748A KR 1020180169239 A KR1020180169239 A KR 1020180169239A KR 20180169239 A KR20180169239 A KR 20180169239A KR 20200079748 A KR20200079748 A KR 20200079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cognition result
hmd device
user
virtual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2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연표
Original Assignee
(주)소프트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프트젠 filed Critical (주)소프트젠
Priority to KR1020180169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9748A/en
Publication of KR2020007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748A/en
Priority to KR1020200147532A priority patent/KR1023302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VR) education system for language training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R education system comprises: a control device which converts a two-dimensional (2D) image into a 360° VR image, divides the VR image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sets position coordinates in each divided region; 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which receives and displays the VR image from the control device, detects the user′s voice, and changes the display of the VR image in response to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Description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및 방법{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DISABLED PERSON}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DISABLED PERSON}

본 발명은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상현실 영상을 이용하여 언어 훈련과 함께 시각 교육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visual education together with language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images. will be.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이하 "HMD"라 함) 기기가 보급화됨에 따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이하 "VR"이라 함) 영상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HMD 기기는 마치 실제 주변 환경과 상호 작용을 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는 VR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With the spread of head mounted display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MD") devices, interest in virtual real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VR") images is also increasing. The HMD device can provide the user with a VR image that can feel as if they are interacting with the actual surrounding environment.

360° VR 영상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시점이 변화하여 다양한 시점의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게임,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중에 있다.When a 360° VR image is used, a viewpoin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and thus images of various viewpoints may be provided. Attempts to apply these features to various fields such as games and education are actively underway.

하지만, 발달장애인과 같은 인지 능력이 부족한 사용자들은 VR 영상 시청에 따른 적절한 응답을 기대할 수 없으며, 특정 시점의 영상을 시청하도록 유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VR 영상을 이용한 시청각 교육 방법은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users who lack cognitive ability, such a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not expect a proper response according to VR video viewing, and have difficulty in inducing users to watch video at a specific time. Therefore, the audiovisual education method using VR images provided to these users has a problem of low efficiency.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해당 사용자가 VR 영상 내의 어떤 오브젝트(object)를 인지하려고 하는지를 판단하고, 음성인식결과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detecting the user's voice to determine what object (object) in the VR image that the user is trying to recognize, whether the user correctly recognizes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tion resul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judg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차원 영상을 360° 가상현실(VR) 영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VR 영상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며,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VR 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음성인식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VR 영상의 표시를 변경하는 HMD 장치를 포함하는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a two-dimensional image into a 360° virtual reality (VR) image, divides the VR image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sets position coordinates in each divided region. A virtual device for language training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ing a control device and an HMD device that receives and displays the VR image from the control device and detects a user's voice and changes the display of the VR image in response to a voice recognition result. Provide a reality education system.

실시 예에 따라, 상기 HMD 장치는, 상기 VR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음성인식결과를 생성하는 음성 감지부와, 상기 동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바라보는 중심 영역의 위치 좌표를 판단하고, 상기 음성인식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의 영상 표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MD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VR imag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motion of the user's head and generating motion information, and a voice for detecting the user's voice to generate a voice recognition result It may include a processor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central area viewed by the user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of th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HMD 장치로부터 상기 중심 영역의 위치 좌표를 수신하고, 상기 중심 영역의 위치 좌표를 기초로 상기 HMD 장치와 동일한 시점의 VR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may receive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center area from the HMD device, and display a VR image of the same viewpoint as the HMD device based on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center area.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VR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들 각각의 오브젝트 정보와 상기 음성인식결과를 비교하고, 상기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compare the object inform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VR image and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with emphasis. .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외곽선이 밝은 휘도로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such that the outline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is highlighted with bright luminance.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한 영역의 휘도가 다른 영역의 휘도보다 증가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such that the luminance of the region including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is increased and displayed than the luminance of the other region.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된 영역 이외의 영역의 휘도가 감소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such that the luminance of an area other than the area including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is reduced and displayed.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의 위치 좌표와 오브젝트를 지시하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 정보는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bject information includes positional coordinates of the object and text information indicating the object, and the objec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the control device.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HMD 장치로부터 상기 음성인식결과를 수신하여 VR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들 각각의 오브젝트 정보와 상기 음성인식결과를 비교하고, 상기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receives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from the HMD device, compares object inform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VR image and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and corresponds to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Objects can be highlighted.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상현실(VR) 영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HMD 장치와, 2차원 영상을 상기 VR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HMD 장치에 제공하는 제어 장치를 이용한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방법에 있어서, 상기 HMD 장치가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음성인식결과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VR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들 중 상기 음성인식결과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HMD 장치가, 선별된 오브젝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집중시키기 위해 상기 오브젝트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중심 시점의 위치 좌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중심 시점의 위치 좌표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선별된 오브젝트가 배치된 영역에 위치한 경우 교육 완료 메시지를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elopment disabled person using an HMD device that displays a virtual reality (VR) image to a user, and a control device that converts a two-dimensional image into the VR image and provides the HMD device. In the virtual reality education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the HMD device detects the user's voice to generate a speech recognition result, and the HMD device is the object among the objects included in the VR image displayed to the user Select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speech recognition, and displaying, by the HMD device, highlighting the object to focus the selected object to the user, and the HMD device, the location of the user's central viewpoint Determining a coordinate, and displaying, by the HMD device, an education completion message on a display screen when the position coordinate of the user's center point of view is located in an area in which the selected object is placed for a predetermined time. It provides a virtual reality education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방법은,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HMD 장치로부터 상기 중심 시점의 위치 좌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중심 시점의 위치 좌표를 기초로 상기 HMD 장치가 표시하는 시점의 VR 영상과 동일한 VR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virtual reality education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includes: the control device receiving a position coordinate of the center viewpoint from the HMD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the position of the center viewpoi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VR image identical to a VR image at a time point displayed by the HMD device based on the coordinates.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방법은,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HMD 장치로부터 상기 음성인식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VR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들 중 상기 음성인식결과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장치가, 선별된 오브젝트를 상기 오브젝트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virtual reality education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a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es: the control device receiving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from the HMD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is an object included in the VR imag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select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and the control device further highlighting and displaying the selected object.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HMD 장치로부터 교육 완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교육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the training completion signal from the HMD device and displaying the training completion message.

본 발명의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해당 사용자가 VR 영상 내의 어떤 오브젝트를 인지하려고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음성인식결과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강조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오브젝트 인식을 도울 수 있다. According to a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 user's voice to determine which object the user is trying to recognize in a VR image, and to select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It can help users recognize objects by highlighting them.

또한, 본 발명의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중심 시점의 위치 좌표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오브젝트를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effectively recognizing an object by determining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user's central viewpoi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달장애인의 언어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60°VR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달장애인의 언어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달장애인의 언어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달장애인의 언어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for language train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HM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360° VR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irtual reality education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rtual reality education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rtual reality education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a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for explaining in detail that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invention, thereby limiting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And in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components having the same technical characteristic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1 is a diagram of a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for language training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HM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달장애인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10)은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100)와 제어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10 for language training of a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100 and a control device 200. have.

HMD 장치(100)는 웨어러블 표시장치, 예컨대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MD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표시부(120), 저장부(130), 센서부(140), 및 음성 감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MD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wearable display device, for example,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HMD device 100 may include a processor 110, a display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 sensor unit 140, and a voice sensing unit 150.

프로세서(110)는 특정한 계산들 또는 태스크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IC)),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모바일(mobile) AP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Processor 110 may perform certain calculations or tasks. For example, the processor 110 may be implemented as a processor capable of controlling an integrated circuit (IC), an application processor (AP), or a mobile AP, but is not limited thereto.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표시부(120)의 표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음성이 영상의 특정 영역에 포함된 오브젝트와 관련이 있는 경우, 해당 오브젝트를 강조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may control the display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20 based on the user's voice. For example, when the user's voice is related to an object included in a specific area of the image, the processor 110 may control the display 120 to highlight and display the object.

또한, 프로세서(110)는 센서부(14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VR 영상을 바라보는 중심 영역의 위치 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10 may determine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central region where the user views the VR image based on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40.

표시부(120)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VR(virtual reality)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20)는 유기전계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isplay 120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and may display a virtual reality (VR) image using the input image data. For example, the display 120 may be implemented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저장부(13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VR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130)는 플래시(flash)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DRAM(dynamic 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the VR image provided from th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orage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or a volatile memory such as a dynamic RAM (DRA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센서부(140)는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예컨대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이로 센서의 x축, y축, 및 z축의 동작 정보를 생성하여 프로세서(11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40 may include a sensor that detects a user's head movement, such as a gyro sensor. The gyro sensor may generate and provide motion information of the x-axis, y-axis, and z-axis of the gyro sensor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음성 감지부(150)는 HMD 장치(100) 주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 중에서 사용자의 음성만을 추출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단어를 포함하는 음성인식결과를 프로세서(110)에 제공할 수 있다.The voice detector 150 may generate voice data by extracting only the user's voice from sounds generated around the HMD device 100, and analyze the voice data to obtain a voice recognition result including words spoken by the user. It can be provided to the processor 110.

제어 장치(20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데이터를 주거나 받을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기, 이동 장치기, 및 컴퓨팅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The control device 200 may refer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mobile device, and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wirelessly or wired.

예컨대, 제어 장치(200)는 서버, PC,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인터넷 태블릿, IoT(internet of things) 장치, IoE(internet of everything) 장치, 데스크 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laptop)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또는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server, a PC, a smart phone, a tablet PC, a mobile Internet device (MID), an Internet tablet, an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an IoE ( internet of everything),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workstation computer,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 장치(200)는 2차원 영상을 변환하여 360° VR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360° VR 영상을 HMD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VR 영상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할 수 있고, 제어 장치(200)는 복수의 영역들 각각에 위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device 200 may convert a two-dimensional image to generate a 360° VR image, and provide a 360° VR image to the HMD device 100. The control device 200 may divide the VR image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the control device 200 may set location coordinates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reas.

또한, 제어 장치(200)는 HMD 장치(100)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HMD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VR 영상과 동일한 VR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HMD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발달장애인과 같이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자일 수 있기 때문에 교육자의 지도에 응답하여 피드백을 적절하게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200)의 사용자는 HMD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VR 영상과 동일한 VR 영상을 시청함으로써, HMD 장치(100)의 사용자가 교육자의 지도에 적절하게 반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device 200 may display the same VR image as the VR image displayed on the HMD device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MD device 100. The user wearing the HMD device 100 may not be able to properly provide feedback in response to an educator's guidance because the communication may be poor, such as 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Accordingly, the user of the control device 20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of the HMD device 100 responds appropriately to the educator's guidance by viewing the same VR video displayed on the HMD device 100. .

제어 장치(200)는 HMD 장치(100)의 사용자 움직임에 따른 시점 변화를 반영하여 표시되는 VR 영상의 시점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교육자는 제어 장치(200)에서 표시되는 VR 영상을 확인하여 HMD 장치(100)의 사용자의 시점변화 추이를 관찰할 수 있다.Since the control device 200 can change the viewpoint of the VR image displayed by reflecting the change in viewpoint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of the HMD device 100, the educator checks the VR image displayed on the control device 200 to determine the HMD The change in the viewpoint of the user of the device 100 can be observed.

이를 위해, 제어 장치(200)는 HMD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중심 시점, 즉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중심 영역의 위치 좌표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중심 영역의 위치 좌표를 기초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중심 영역이 제어 장치(200)가 표시하는 화면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어 장치(200)에서 표시되는 VR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 device 200 may receive the current center viewpoint of the user from the HMD device 100, that is,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of the center area that the user is looking at in real time. The control device 200 may control the VR image displayed on the control device 200 such that the center area viewed by the use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displayed by the control device 200 based on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center area. .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60°VR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A and 3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360° VR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2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구 형태의 360° VR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360° VR 영상을 복수의 영역(AR)들로 분할한 후, 각각의 영역(AR)에 위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영역(AR)들 각각의 크기는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the control device 200 may generate a spherical 360° VR image using a 2D image. After dividing the 360° VR image into a plurality of areas AR, the control device 200 may set position coordinates in each area AR. At this time, the size of each of the areas AR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administrator's setting.

도 3b를 참조하면, HMD 장치(100)의 사용자는 360° 전방위에서 표시되는 VR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HMD 장치(100)는 자이로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어느 영역을 바라보고 있는지, 즉 중심 영역(ARM)을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a user of the HMD device 100 can watch a VR image displayed in 360° omnidirectional. The HMD device 100 may use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gyro sensor to determine which area the user is looking at, that is, the central area (ARM).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이로 센서의 x축, y축, 및 z축의 정보는 변경될 수 있으며, HMD 장치(100)는 변경된 x축, y축, 및 z축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바라보는 VR 영상의 중심 영역(ARM)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HMD 장치(100)는 중심 영역(ARM)의 위치 좌표를 제어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x-axis, y-axis, and z-axis information of the gyro senso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and the HMD device 100 views the VR image viewed by the user based on the changed x-axis, y-axis, and z-axi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entral region of (ARM). In addition, the HMD device 100 may provide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of the central region ARM to the control device 20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달장애인의 언어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irtual reality education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HMD 장치(100)는 제어장치로부터 VR 영상(IM)을 제공받거나 저장부(130)에 저장된 VR 영상(IM)을 재생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VR 영상(IM)에는 사용자의 언어 교육을 위한 복수의 오브젝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HMD device 100 may receive a VR image IM from a control device or play a VR image I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120. The VR image IM may include a plurality of objects for language education of the user.

VR 영상은 360° 전방위에 대한 표시 화면을 포함하고 있다. HMD 장치(100)에서 VR 영상은 가상현실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실제와 마찬가지로 전방위에 배치된 영상을 동시에 시청할 수는 없다. HMD 장치(100)의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역은 사용자의 안구의 전방에 위치한 영역들이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표시 영역은 변경될 수 있다. 각 표시 영역에는 오브젝트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 화면이 변경되게 되면 인지할 수 있는 오브젝트들의 배치도 변경되게 된다.The VR image includes a 360° omnidirectional display screen. The VR image in the HMD device 100 provides a virtual reality, and it is not possible to simultaneously watch images placed in all directions as in reality. The areas viewable by the user of the HMD device 100 are areas located in front of the user's eyeball, and the display area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Objects may be disposed in each display area, and when the display screen is changed, the arrangement of recognizable objects is also changed.

예컨대, HMD 장치(100)의 중심 시점이 제1 중심 영역(ARM)을 바라보게 되면 표시 화면상에는 제1 내지 제3 오브젝트들(OB1 내지 OB3)이 표시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중심 시점이 제1 중심 영역(ARM)이 아닌 다른 영역을 바라보게 되면 표시 화면이 변경되게 되어 오브젝트들의 배치도 달라지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center viewpoint of the HMD device 100 looks at the first center area ARM, the first to third objects OB1 to OB3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but the center viewpoint of the user is the first. If you look at an area other than the central area (ARM), the display screen will change and the arrangement of the objects will also change.

HMD 장치(100)는 오브젝트들 각각의 위치를 구분하기 위해, 오브젝트가 포함된 영역의 위치 좌표를 오브젝트 정보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오브젝트(OB1)에 대한 제1 오브젝트 정보는 제1 영역들(ARG1)의 위치 좌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오브젝트(OB2)에 대한 제2 오브젝트 정보는 제2 영역들(ARG2)의 위치 좌표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오브젝트(OB3)에 대한 제3 오브젝트 정보는 제3 영역들(ARG3)의 위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The HMD device 100 may store location coordinates of an area including an object in object information in order to distinguish the location of each of the objects. For example, the first object information for the first object OB1 may includ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first areas ARG1, and the second object information for the second object OB2 is the second areas ARG2. ), and the third object information for the third object OB3 may include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ird areas ARG3.

한편, 제어 장치(200)는 HMD 장치(100)로부터 실시간으로 또는 기설정 주기마다 제공된 제 중심 영역(ARM)의 위치 좌표를 수신받아 HMD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VR 영상(IM)과 동일한 시점의 VR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의 사용자는 HMD 장치(100)의 사용자와 동일한 화면을 시청함으로써 HMD 장치(100)의 사용자가 언어 훈련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device 200 receive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first central region ARM provided in real time or at a predetermined period from the HMD device 100, and is the same time point as the VR image IM displayed on the HMD device 100. Can display the VR video. The user of the control device 20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of the HMD device 100 is performing language training normally by viewing the same screen as the user of the HMD device 100.

예컨대, HMD 장치(100)의 중심 시점이 제1 중심 영역(ARM)을 바라보고 있는 경우, HMD 장치(100)는 제1 중심 영역(ARM)의 위치 좌표(PC)를 제어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200)는 위치 좌표(PC)를 기초로 제1 중심 영역(ARM)이 표시 화면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VR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enter point of view of the HMD device 100 is looking at the first center area ARM, the HMD device 100 sends the position coordinate PC of the first center area ARM to the control device 200. Can provide.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200 may display the VR image IM such that the first center region ARM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screen based on the location coordinate PC.

HMD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해당 음성에 대응하는 영상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HMD 장치(100)의 사용자는 언어 사용이 미숙한 발달장애를 가진자이기 때문에, HMD 장치(100)는 이러한 사용자를 위해 사물을 구분하는 훈련과 함께 언어 발달을 촉진하는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The HMD device 100 may recognize a user's voice and highlight and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nce the user of the HMD device 100 is a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whom language use is inexperienced, the HMD device 100 may provide training for facilitating language development along with training to distinguish objects for the user.

먼저, HMD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음성을 분석할 수 있다. 언어 사용이 미숙한 자들의 발음은 부정확할 수 있기 때문에, HMD 장치(100)의 음성 감지부(150)는 HMM(Hidden Markov Model) 알고리즘 등의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식 대상 후보 단어와 감지된 단어를 비교하여 가장 유력한 후보 단어를 음성인식결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HMD 장치(100)는 결정된 음성인식결과를 제어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HMD device 100 may analyze the voice by detecting the user's voice. Since the pronunciation of those who are unskilled in language may be inaccurate, the speech detection unit 150 of the HMD device 100 detects candidate words and words to be recognized by using a speech recognition algorithm such as a HMM (Hidden Markov Model) algorithm. By comparing words, the most promising candidate word can be determined as the result of speech recognition. In addition, the HMD device 100 may provide the determined speech recognition result to the control device 200.

HMD 장치(100)는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선별하여, 해당 오브젝트를 화면상에서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HMD device 100 may select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and display the object by emphasizing it on the screen.

구체적으로, HMD 장치(100)는 음성인식결과에 포함된 정보와 대응하는 오브젝트 정보를 비교하여 오브젝트들 중 음성인식결과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선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HMD device 100 may compar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with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and select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among the objects.

예컨대, 음성인식결과에 '거울'이라는 텍스트 정보가 포함된 경우, HMD 장치(100)는 표시 화면상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오브젝트 정보들(OB1 내지 OB3)에 '거울'과 대응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1 오브젝트 정보에 '거울'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HMD 장치(100)는 제1 오브젝트(OB1)를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ext information of'mirror' is included in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the HMD device 100 is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mirror' to the first to third object information OB1 to OB3 arranged on the display screen. You can determine if is included. I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mirror' is included in the first object information, the HMD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object OB1 corresponds to a voice recognition result.

HMD 장치(100)는 선별된 오브젝트가 위치한 영역의 위치 좌표를 기초로 해당 영역의 오브젝트를 다른 영역의 오브젝트보다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HMD device 100 may display an object of the corresponding area by emphasizing the object of the corresponding area based on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area where the selected object is located.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는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외곽선을 하이라이트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MD device 100 may highlight the outline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예컨대, 제1 오브젝트(OB1)가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HMD 장치(100)는 제1 오브젝트(OB1)인 '거울 이미지'의 외곽선을 밝은 휘도로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object OB1 corresponds to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the HMD device 100 may display the first object OB1 with the brightness of the outline of the “mirror image” highlighted with bright brightness.

다른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는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포함된 영역의 휘도를 다른 영역의 휘도보다 증가시켜서 높은 휘도로 표시된 오브젝트를 사용자에게 집중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HMD device 100 may increase the luminance of an area includ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voice recognition result to that of another area, thereby focusing an object displayed with high luminance to a user.

예컨대, 제1 오브젝트(OB1)가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HMD 장치(100)는 제1 오브젝트(OB1)가 포함된 제1 영역들(ARG1)의 휘도만을 증가시키고, 나머지 영역들의 휘도를 유지하여 제1 영역들(ARG1)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OB1)를 강조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object OB1 corresponds to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the HMD device 100 increases only the luminance of the first areas ARG1 including the first object OB1, and the remaining areas The first object OB1 included in the first regions ARG1 may be emphasized by maintaining the luminance of the first region.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는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포함된 영역 이외의 영역의 휘도를 감소시켜서 높은 휘도로 표시된 오브젝트를 사용자에게 집중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HMD device 100 may reduce the luminance of an area other than the area including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to focus the object displayed with high luminance to the user.

예컨대, 제1 오브젝트(OB1)가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HMD 장치(100)는 제1 오브젝트(OB1)가 포함된 제1 영역들(ARG1) 이외의 영역들의 휘도를 감소시키고, 제1 영역들(ARG1)의 휘도를 유지하여 제1 영역들(ARG1)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OB1)를 강조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object OB1 corresponds to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the HMD device 100 reduces luminance of areas other than the first areas ARG1 including the first object OB1 and The first object OB1 included in the first regions ARG1 may be emphasized by maintaining the luminance of the first regions ARG1.

이후, 사용자의 중심 시점의 위치 좌표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선별된 오브젝트가 배치된 영역에 위치한 경우, HMD 장치(100)는 교육 완료 메시지를 표시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교육 완료 음성을 외부에 송출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user's center point of view are located in an area in which the selected object is plac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HMD device 100 may display a training completion message on the display screen or transmit a training completion voice to the outside. have.

예컨대, 사용자의 중심 시점의 위치 좌표가 제1 오브젝트(OB1)가 배치된 제1 영역들(ARG1) 상에 3초 이상 위치한 경우, HMD 장치(100)는 교육 완료 메시지를 표시화면상에 표시하거나 교육 완료 음성을 외부에 송출하여 교육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ocation coordinate of the user's center point of view is located in the first areas ARG1 in which the first object OB1 is disposed for 3 seconds or more, the HMD device 100 displays a training completion message on the display screen or The curriculum can be terminated by sending the training completion voice to the outside.

한편, 제어 장치(200)는 HMD 장치(100)로부터 음성인식결과를 수신하여 HMD 장치(100)가 강조하여 표시하는 오브젝트를 동일하게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device 200 may receive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from the HMD device 100 and display the same object by highlighting the object displayed by the HMD device 100.

예컨대, 제어 장치(200)가 HMD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음성인식결과에 '거울'이라는 텍스트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어 장치(200)는 표시 화면상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오브젝트 정보들(OB1 내지 OB3)에 '거울'과 대응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오브젝트(OB1)에 '거울'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 장치(200)는 제1 오브젝트(OB1)를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오브젝트(OB1)를 제2 및 제3 오브젝트들(OB2 및 OB3)보다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HMD device 100 by th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text information of'mirror', the control device 200 displays first to third object information arranged on the display scree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mirror' is included in the fields OB1 to OB3. 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mirror' is included in the first object OB1, the control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first object OB1 corresponds to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and removes the first object OB1. The second and third objects OB2 and OB3 may be displayed with emphasi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달장애인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은 HMD 장치(100)의 사용자의 언어 사용과 사물 인지 능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음성과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사용자에게 집중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for language training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user's voice to enhance the user's language use and object recognition ability of the HMD device 100, and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voice Can be intensively recognized by the user.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달장애인의 언어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rtual reality education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HMD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음성인식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S100).Referring to FIG. 5, the HMD device 100 may detect a user's voice and generate a voice recognition result (S100).

그리고 HMD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VR 영상(IM)에 포함된 오브젝트들 중 음성인식결과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선별할 수 있다(S110).In addition, the HMD device 100 may select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voice recognition result from among objects included in the VR image IM displayed to the user (S110).

그리고 HMD 장치(100)는 선별된 오브젝트를 사용자에게 집중시키기 위해 오브젝트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S120).In addition, the HMD device 100 may highlight and display the object in order to focus the selected object on the user (S120).

그리고 HMD 장치(100)는 사용자의 중심 시점의 위치 좌표(PC)를 판단할 수 있다(S130).In addition, the HMD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location coordinate PC of the user's center point of view (S130).

그리고 사용자의 중심 시점의 위치 좌표(PC)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선별된 오브젝트가 배치된 영역에 위치한 경우, HMD 장치(100)는 교육 완료 메시지를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여 언어 교육을 종료할 수 있다(S140).In addition, when the location coordinate (PC) of the user's center point of view is located in an area in which the selected object is plac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HMD device 100 may end the language education by displaying a training completion message on the display screen. (S140).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달장애인의 언어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rtual reality education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a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HMD 장치(100)로부터 중심 시점의 위치 좌표(PC)를 수신할 수 있다(S200).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 device 200 may receive the position coordinate PC of the center view point from the HMD device 100 (S200).

그리고 제어 장치(200)는 중심 시점의 위치 좌표(PC)를 기초로 HMD 장치(100)가 표시하는 시점의 VR 영상(IM)과 동일한 VR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210).Then, the control device 200 may display the same VR image as the VR image IM at the time point displayed by the HMD device 100 based on the position coordinate PC of the center point of view (S210).

그리고 제어 장치(200)는 HMD 장치(100)로부터 음성인식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S220).Then, the control device 200 may receive a voice recognition result from the HMD device 100 (S220).

그리고 제어 장치(200)는 VR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들 중 음성인식결과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선별할 수 있다(S230).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200 may select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voice recognition result from among objects included in the VR image (S230).

그리고 제어 장치(200)는 선별된 오브젝트를 오브젝트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S240).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200 may display the selected object by highlighting the object (S240).

그리고 제어 장치(200)는 HMD 장치(100)로부터 교육 완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교육 완료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250).Then, the control device 200 may receive the training completion signal from the HMD device 100 and display the training completion message (S25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understoo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erform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HMD 장치
110: 프로세서
120: 표시부
130: 저장부
140: 센서부
150: 음성 감지부
200: 제어 장치
100: HMD device
110: processor
120: display unit
130: storage unit
140: sensor unit
150: voice detection unit
200: control device

Claims (13)

2차원 영상을 360° 가상현실(VR) 영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VR 영상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며,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VR 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음성인식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VR 영상의 표시를 변경하는 HMD 장치를 포함하는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A control device for converting a 2D image into a 360° virtual reality (VR) image, dividing the VR image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setting position coordinates in each divided region; And
And a HMD device that receives and displays the VR image from the control device and detects a user's voice to change the display of the VR image in response to a voice recognition resu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MD 장치는, 상기 VR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음성인식결과를 생성하는 음성 감지부와, 상기 동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바라보는 중심 영역의 위치 좌표를 판단하고 상기 음성인식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의 영상 표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MD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VR imag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motion of the user's head and generating motion information, a voice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user's voice to generate a voice recognition result, and A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for language training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ing a processor that determines a position coordinate of a central area viewed by the user based on motion information and controls an image display of th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HMD 장치로부터 상기 중심 영역의 위치 좌표를 수신하고, 상기 중심 영역의 위치 좌표를 기초로 상기 HMD 장치와 동일한 시점의 VR 영상을 표시하는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device receive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center area from the HMD device, and displays a VR image of the same viewpoint as the HMD device based on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center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VR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들 각각의 오브젝트 정보와 상기 음성인식결과를 비교하고, 상기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processor compares the object inform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VR image with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so that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is highlighted and displayed for language training of the disabled person.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외곽선이 밝은 휘도로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processor is a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for language training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control the display unit such that the outline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is highlighted with bright luminan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한 영역의 휘도가 다른 영역의 휘도보다 증가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processor is a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for language training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control the display unit such that the luminance of the region including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is increased and displayed than the luminance of other regio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된 영역 이외의 영역의 휘도가 감소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processor is a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for language training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control the display unit such that the luminance of an area other than the area including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is reduced and display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의 위치 좌표와 오브젝트를 지시하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 정보는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object information includes text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object and the object, and the object information is a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for language training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generated by the control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HMD 장치로부터 상기 음성인식결과를 수신하여 VR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들 각각의 오브젝트 정보와 상기 음성인식결과를 비교하고, 상기 음성인식결과와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device receives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from the HMD device, compares object inform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VR image and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and highlights and displays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for language train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가상현실(VR) 영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HMD 장치와, 2차원 영상을 상기 VR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HMD 장치에 제공하는 제어 장치를 이용한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방법에 있어서,
상기 HMD 장치가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음성인식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VR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들 중 상기 음성인식결과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HMD 장치가, 선별된 오브젝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집중시키기 위해 상기 오브젝트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중심 시점의 위치 좌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중심 시점의 위치 좌표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선별된 오브젝트가 배치된 영역에 위치한 경우 교육 완료 메시지를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방법.
In the virtual reality training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a HMD device that displays a virtual reality (VR) image to a user, and a control device that converts a two-dimensional image into the VR image and provides it to the HMD device,
Generating, by the HMD device, a voice recognition result by detecting a user's voice;
Selecting, by the HMD device,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among objects included in the VR image displayed to the user;
The HMD device highlighting and displaying the selected object to focus the selected object on the user;
Determining, by the HMD device, a position coordinate of the user's center point of view; And
The HMD device, if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center point of the user is located in the area in which the selected object is placed for a predetermined time, displaying an education completion message on a display screen for language training of 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Virtual reality education metho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HMD 장치로부터 상기 중심 시점의 위치 좌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중심 시점의 위치 좌표를 기초로 상기 HMD 장치가 표시하는 시점의 VR 영상과 동일한 VR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device receiving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of view from the HMD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based on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center point of view, the same VR image as the VR image at the time point displayed by the HMD device Virtual reality education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HMD 장치로부터 상기 음성인식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VR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들 중 상기 음성인식결과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장치가, 선별된 오브젝트를 상기 오브젝트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device receiving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from the HMD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select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among objects included in the VR image, and the control device A, virtual reality education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highlighting and displaying the selected objec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HMD 장치로부터 교육 완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교육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달장애인의 언어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control device receiving the education completion signal from the HMD device and displaying the education completion message.
KR1020180169239A 2018-12-26 2018-12-26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disabled person KR20200079748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239A KR20200079748A (en) 2018-12-26 2018-12-26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disabled person
KR1020200147532A KR102330218B1 (en) 2018-12-26 2020-11-06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disabled pers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239A KR20200079748A (en) 2018-12-26 2018-12-26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disabled pers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532A Division KR102330218B1 (en) 2018-12-26 2020-11-06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disabled pers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748A true KR20200079748A (en) 2020-07-06

Family

ID=7157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239A KR20200079748A (en) 2018-12-26 2018-12-26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disabled pers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974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2543A (en) * 2020-07-29 2020-11-03 南通大学 Cigarette filter stick counting method based on AA R2Unet and HMM
KR20230028700A (en) 2021-08-22 2023-03-02 주식회사 비추다 Relic experience cen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2543A (en) * 2020-07-29 2020-11-03 南通大学 Cigarette filter stick counting method based on AA R2Unet and HMM
CN111882543B (en) * 2020-07-29 2023-12-26 南通大学 Cigarette filter stick counting method based on AA R2Unet and HMM
KR20230028700A (en) 2021-08-22 2023-03-02 주식회사 비추다 Relic experience ce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3757B2 (en) Sight line detection method and sight line detection device
US11087538B2 (en) Presentation of augmented reality images at display locations that do not obstruct user's view
KR102257181B1 (en) Sensory eyewear
US6345111B1 (en) Multi-modal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US10943388B1 (en) Intelligent stylus beam and assisted probabilistic input to element mapping in 2D and 3D graphical user interfaces
US10037614B2 (en) Minimizing variations in camera height to estimate distance to objects
CN109219955A (en) Video is pressed into
CN109313812A (en) Sharing experience with context enhancing
JP7339386B2 (en) Eye-tracking method, eye-tracking device, terminal devic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US1078890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488918B2 (en) Analysis of user interface interactions with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JP2006350705A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2330218B1 (en)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disabled person
CN112634459A (en) Resolving natural language ambiguities for simulated reality scenarios
KR20200077775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reof
KR20230135550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00079748A (en) Virtual reality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of disabled person
US2020012539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program
JP2018005663A (e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display system, and program
JP2009194697A (en) Instruction system, instruction program, and instruction device
CN114296627A (en) Content display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18005660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position information cre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05267380A (en) Display character transla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20240119928A1 (en) Media control tools for manag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Huang A HoloLens application to aid people who are visually impaired in navigation tas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