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602A - IoT controlling system for providing adapted menu by user - Google Patents

IoT controlling system for providing adapted menu by u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602A
KR20200079602A KR1020180168897A KR20180168897A KR20200079602A KR 20200079602 A KR20200079602 A KR 20200079602A KR 1020180168897 A KR1020180168897 A KR 1020180168897A KR 20180168897 A KR20180168897 A KR 20180168897A KR 20200079602 A KR20200079602 A KR 20200079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ot
customized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8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염형선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9602A/en
Publication of KR20200079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6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3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1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taking into account QoS or priority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system for providing a user-specific customized ser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IoT system for providing a user-specific customized service, configured to provide a customized service according to a priority through an identifier and a recognizer when a plurality of people approach a specific space where an IoT device is dispos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user terminal including a user identification device; a plurality of IoT devices; a user-absence-and-presence input unit determining the absence or the presence of a user by each space where the IoT devices are disposed; and a home IoT gateway and a control unit confirming, when a user is confirmed by a customized information storage, in which user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user terminal is stored, and the user-absence-and-presence input unit, user-specific condition information inputted to the user identification device and the customized information storage of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user-specific condition information to a control target IoT device so that the control target IoT device performs the condition according to the user-specific information.

Description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IoT controlling system for providing adapted menu by user}IoT system that provides customized service for each user{IoT controlling system for providing adapted menu by user}

본 발명은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IoT 기기가 구성된 특정 공간에 복수의 인원이 접근하면 식별기와 인식기를 통해 우선순위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system for providing a customized service for each user, and more specifically, a customized service for each user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according to priority through an identifier and a recognizer when a plurality of people access a specific space where the IoT device is configured. It relates to the IoT system provided.

종래의 기술은 복수의 사용자 대해 개별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식별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식별 정보 인식부, 개별 식별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와 여기에 맞는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부, 제어된 신호를 수행하는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있다.In the related art, a user identifier storing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user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database corresponding to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ame, a controlled signal It consists of a device to perform.

그러나 종래 기술은 한 공간에 하나의 식별정보 인식부가 있을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특정 공간에 여러 개가 분배되어 존재할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사용자 인식 부분에 있어서 RF 통신을 주로 이용하게 되는데 RF 통신의 특성상 정확하게 위치를 인식하기 어려우며, 또한 식별기(스마트워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안테나의 방향에 따라서 다른 위치에 있는 식별기가 인식하여 의도하지 않는 식별기가 인식되어 원하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may not be a big problem when there is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in one space, but a problem arises when several are distributed in a specific space. Because, in the user recognition part, RF communication is mainly used. Due to the nature of RF communication,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cognize the position, and it is also not intended to be recognized by other position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installed in the identifier (smartwatch, smart phon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n unwanted identifier was recognized to provide an unwanted servic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877248호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개별 할당된 개별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식별기와, 상기 사용자 식별기에 저장된 상기 개별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식별정보 인식부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이 상기 개별 식별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식별정보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개별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을 상기 감성 조명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후에 추출한 상기 사용자별 감성 조명 동작 환경값에 따라 조명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홈네트워크 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사용자별 감성 조명 환경을 제공하는 감성 조명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을 제안한다. A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atent registration No. 0877248 "Emotional Lighting System for Each User" (Patent Document 1). In the background art,'a user identifier storing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vidually assigned to a plurality of user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dentifier, and user-specific emotions for the plurality of users After extracting from the emotional lighting database, the emotional lighting database for each user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and the emotional lighting database in which the lighting operation environment value is stored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home network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lighting according to the extracted emotional lighting operation environment value for each user, and an emotional lighting unit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o provide an emotional lighting environment for each user. Emotional lighting system'.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사용자의 위치 인식이 어렵고 동일공간에 복수의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 사용자별 서비스 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background technology also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a user's location and to provide a service for each user when a plurality of users exist in the same space.

특허등록 제0877248호 "사용자별 감성 조명 시스템"Patent registration 0877248 "Emotional lighting system for each us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이더 또는 적외선 센서 등 사용자의 유무 확인이 가능한 부문을 추가하여 서비스가 필요한 특정 위치를 인식부가 먼저 인식하도록 하고 식별기의 유무 및 정보를 인식하여 이 경우에 한하여 정의되어진 서비스를 실시하도록 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을 경우에는 우선 순위를 정하여 정의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필요 시 2개 이상의 식별기가 있을 경우 거기에 맞는 시나리오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설정에 따라서 자동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게 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하고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dding a section capable of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such as a radar or an infrared sensor, so that the recognition unit first recognizes a specific location in need of service and recognizes the presence and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 by providing the defined service, and in particular, if there are two or more user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defined service by setting priority, and if necessary, two or more identifiers If there is, it can provide the service by storing the scenarios suitable for it in the database, and it may not provide the automatic service depending on the setting, providing the IoT system that provides customized service for each user that can provide the necessary and stable service to the user.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은 사용자 식별장치가 형성된 사용자 단말기와; 복수의 IoT 기기와; IoT기기가 구성된 공간별로 사용자의 유무를 판단하는 사용자 유무 입력부와;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맞춤형 정보 저장소와, 사용자 유무 입력부에서 사용자가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식별장치와 맞춤형 정보 저장소에 입력된 사용자별 조건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별 조건 정보를 제어 대상 IoT 기기로 전송하도록 하며, 제어 대상 IoT 기기를 사용자별 정보에 따라 조건을 수행을 실행하도록 하는 홈IoT 게이트웨이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 user identification device; A plurality of IoT devices; A user presence input unit for determining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for each space in which the IoT device is configured; A personalized information store that stores user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terminal, and when a user is identified in a user presence/absence input unit, checks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entered in the user identification device and customized information store of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s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ersonalized service providing IoT system for each 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me IoT gateway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an IoT device and executing a condition according to user-specific information.

또한, 맞춤형 정보 저장소에는 사용자별로 우선순위를 지정하여 저장하도록 하여, 동일공간에 동시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는 경우, 맞춤형 정보 저장소에 등록된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사용자별 조건 정보를 제어 대상 IoT 기기로 전송하여, 제어 대상 IoT 기기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the customized information store, priorities are specified and stored for each user, and when multiple user terminals are recognized in the same space at the same time,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having high priority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iority registered in the customized information store.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IoT system for providing a customized service for each 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to the target IoT device and executes the controlled IoT device.

또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으로 사용자 식별장치와 홈IoT 게이트웨이 및 제어부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user information is embedded in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a customized service for each 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dentification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home IoT gateway and the control unit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to determine the user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IoT system.

또한, 사용자 유무 입력부은 레이다(Rada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user presence input unit is to provide a customized service providing IoT system for each 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radar (Radar).

본 발명의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은 레이더 또는 적외선 센서 등 사용자의 유무 확인이 가능한 부문을 추가하여 서비스가 필요한 특정 위치를 인식부가 먼저 인식하도록 하고 식별기의 유무 및 정보를 인식하여 이 경우에 한하여 정의되어진 서비스를 실시하도록 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을 경우에는 우선 순위를 정하여 정의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필요 시 2개 이상의 식별기가 있을 경우 거기에 맞는 시나리오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설정에 따라서 자동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게 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하고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 IoT system for providing a customized service for each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section capable of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such as a radar or an infrared sensor, so that the recognition unit first recognizes a specific location in need of the service, and recognizes the presence and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to limit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 by executing the defined service. In particular, when there are two or more users, the defined service can be provided by setting the priority, and if there are two or more identifiers, if necessary There is a very useful effect that can provide a necessary and stable service to a user by saving a scenario suitable for it in a database and not providing an automatic service depending on the setting.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을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의 작동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limited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diagram showing a customized service providing IoT system for each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IoT system for providing a customized service for each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presen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을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의 작동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ustomized service providing IoT system for each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operation of the customized service providing IoT system for each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은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 식별장치(11)가 형성된 사용자 단말기(10)와; 복수의 IoT 기기(30)와; IoT기기(30)가 구성된 공간별로 사용자의 유무를 판단하는 사용자 유무 입력부(40)와;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맞춤형 정보 저장소(51)와, 사용자 유무 입력부(40)에서 사용자가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식별장치(11)와 맞춤형 정보 저장소(51)에 입력된 사용자별 조건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별 조건 정보를 제어 대상 IoT 기기(30)로 전송하도록 하며, 제어 대상 IoT 기기(30)를 사용자별 정보에 따라 조건을 수행을 실행하도록 하는 홈IoT 게이트웨이 및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IoT system for providing a customized service for each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0 in which a user identification device 11 is formed,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IoT devices 30; A user presence input unit 40 for determining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for each space in which the IoT device 30 is configured; Customized information storage 51 that stores us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user identification device 11 and customized information storage 51 of the user terminal 10 when a user is identified in the user presence input unit 40 Home IoT that checks the user-specific condition information entered in) and transmits the user-specific condition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30 to be controlled, and executes the condition according to the user-specific information. And a gateway and a control unit 50.

사용자 단말기(10)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워치 등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저장하여 홈IoT 게이트웨이 및 제어부(50)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모든 종류의 스마트 기기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 can be easily carried and carried by a user,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pad, or a smart watch, and stores all user information through an application, etc., and transmits it to the home IoT gateway and control unit 50. Any kind of smart device can be used.

이때, 사용자 단말기(10)에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별도의 사용자 식별장치(11)가 형성되는데, 이는 GPS, 블루투스, NFC등 공지의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eparate user identification device 11 is formed in the user terminal 10 so as to be able to grasp the user's location, which can be configured by using various means such as GPS, Bluetooth, and NFC.

IoT 기기(30)는 조명, 스마트 콘센트, 스피커 등 음향기기, 전열기구, 가습기, 난방기기 등 공지의 다양한 IoT기기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한 공간에 한 개 이상의 복수의 IoT 기기(30)가 구성될 수 있다.IoT device 30 may include all of a variety of well-known IoT devices, such as lighting, smart outlets, sound devices such as speakers, heating devices, humidifiers, heating devices, and more than one IoT device 30 in one space Can be configured.

사용자 유무 입력부(40)는 IoT 기기(30)가 구성된 공간에 별도로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 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유무를 판별하여 홈IoT 게이트웨이 및 제어부(50)로 사용자의 유무 정보를 송신하도록 한다.The presence/absence of the user 40 allows the IoT device 30 to separately recognize a user in a configured space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and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through the home IoT gateway and the control unit 50. Try sending.

사용자 유무 입력부(40)에서 사용자의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NFC, 적외선 센서, 레이다(Radar)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을 병합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As a method of chec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in the presence/absence of the user 40, a variety of well-known methods can be used, and any one of Bluetooth, NFC, infrared sensor, and radar can be used, and more are merged. Can be used.

즉, 일 예로 사용자 유무 입력부(40)에서 사용자의 유무는 Radar 을 사용하여 파악하고,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식별장치(11) 등의 위치정보 장비를 기반으로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BLE 등)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as an example, the presence/absence of a user in the presence/absence input unit 40 is grasped using a radar,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is performed to grasp the user loc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equipment such as the user identification device 11 of the user terminal 10. (BLE, etc.) can be used.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와 사용자 유무 입력부(40)에서 사용자를 파악하여 각 IoT 기기(30)로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여 IoT 기기(30)를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홈IoT 게이트웨이 및 제어부(50)가 구성된다.In this way, the home IoT gateway that identifies the user i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presence/absence of the user input unit 40 and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to each IoT device 30 to provide a customized service for each IoT device 30 and The control unit 50 is configured.

홈IoT 게이트웨이 및 제어부(50)는 IoT 기기(30)가 구성된 공간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서버를 구축하거나, 통신사 서버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The home IoT gateway and the control unit 50 may be formed in a space in which the IoT device 30 is configured, or may be constructed using a separate server or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erver.

특히, 홈IoT 게이트웨이 및 제어부(50)에는 맞춤형 정보 저장소(51)가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데,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홈IoT 게이트웨이 및 제어부(50)의 맞춤형 정보 저장소(51)에 사용자 우선순위, 사용자별 IoT 기기(30)의 작동 선택 등 다양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a custom information store 51 is configured in the home IoT gateway and the control unit 50 to store us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home IoT gateway and control unit through an application or the like in the user terminal 10. In the customized information storage 51 of 50, various user information such as user priority and operation selection of the IoT device 30 for each user may be stored.

이와 같은 홈IoT 게이트웨이 및 제어부(50)는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 유무 입력부(40)에서 사용자가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식별장치(11)와 맞춤형 정보 저장소(51)에 입력된 사용자별 조건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별 조건 정보 및 작동 조건 등을 제어 대상 IoT 기기(30)로 전송하도록 한다.2, the home IoT gateway and the control unit 50 are input to the user identification device 11 and the customized information storage 51 of the user terminal 10 when a user is identified in the user presence input unit 40 as shown in FIG. 2. The user-specific condition information is checked and the user-specific condition information and operating conditions are transmitted to the IoT device 30 to be controlled.

이때, IoT 기기(30)는 사용자별 맞춤 조건에 따라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IoT device 30 is to execute the service according to user-specific customized conditions.

특히, 복수의 사용자가 IoT 기기(30)가 구성된 동일 공간에 근접할 경우에는 IoT 기기(30)를 사용자 맞춤별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맞춤형 정보 저장소(51)에는 사용자별로 우선순위를 지정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사용자 인식부(40)에서 동시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를 인식하는 경우, 일정 시간을 기다려 사용자를 모두 파악한 후에 맞춤형 정보 저장소(51)에 등록된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사용자별 조건 정보를 제어 대상 IoT 기기(30)로 전송하여, 제어 대상 IoT 기기(30)를 실행하도록 하여 사용자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라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Particularly, when a plurality of users approach the same space where the IoT device 30 is configured, in order to provide the IoT device 30 for each user, the customized information storage 51 is assigned and stored in order of priority for each user. , When the user recognition unit 40 recognize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 at the same time, wai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identify all users, and then conditions for each user having a high priority according to the priority registered in the customized information storage 51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IoT device 30 to be controlled, and the IoT device 30 to be controlled may be executed to provide a customized service for each user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us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은 레이더 또는 적외선 센서 등 사용자의 유무 확인이 가능한 부문을 추가하여 서비스가 필요한 특정 위치를 인식부가 먼저 인식하도록 하고 식별기의 유무 및 정보를 인식하여 이 경우에 한하여 정의되어진 서비스를 실시하도록 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을 경우에는 우선 순위를 정하여 정의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필요 시 2개 이상의 식별기가 있을 경우 거기에 맞는 시나리오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설정에 따라서 자동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게 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하고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 IoT system for providing a customized service for each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dds a section capable of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such as a radar or an infrared sensor, so that the recognition unit first recognizes a specific location in need of the service and recognizes the presence and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In certain cases,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by executing a defined service. In particular, if there are two or more users, priority can be given to provide a defined service, and if necessary, two or more identifiers If there is, there is a very useful effect that can provide a necessary and stable service to the user by storing the scenarios suitable for it in the database and not providing the automatic service depending on the setting.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ed inven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will b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modified and modified inventions, but is limit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사용자 단말기
11 : 사용자 식별장치
20 : 사용자 유무 입력부
30 : IoT 기기
40 : 사용자 유무 입력부
50 : 홈IoT 게이트웨이 및 제어부
51 : 맞춤형 정보 저장소
10: user terminal
11: User identification device
20: user presence input unit
30: IoT device
40: user presence input unit
50: Home IoT gateway and control
51: customized information storage

Claims (4)

사용자 식별장치(11)가 형성된 사용자 단말기(10)와;
복수의 IoT 기기(30)와;
IoT기기(30)가 구성된 공간별로 사용자의 유무를 판단하는 사용자 유무 입력부(40)와;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맞춤형 정보 저장소(51)와, 사용자 유무 입력부(40)에서 사용자가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식별장치(11)와 맞춤형 정보 저장소(51)에 입력된 사용자별 조건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별 조건 정보를 제어 대상 IoT 기기(30)로 전송하도록 하며, 제어 대상 IoT 기기(30)를 사용자별 정보에 따라 조건을 수행을 실행하도록 하는 홈IoT 게이트웨이 및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
A user terminal 10 on which a user identification device 11 is formed;
A plurality of IoT devices 30;
A user presence input unit 40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for each space in which the IoT device 30 is configured;
Customized information storage 51 that stores us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user identification device 11 and customized information storage 51 of the user terminal 10 when a user is identified in the user presence input unit 40 Home IoT that checks the user-specific condition information entered in) and transmits the user-specific condition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30 to be controlled, and executes the condition according to the user-specific information. IoT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service for each user, comprising a gateway and a control unit 50.
청구항 1에 있어서,
맞춤형 정보 저장소(51)에는 사용자별로 우선순위를 지정하여 저장하도록 하여, 동일공간에 동시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를 인식하는 경우,
맞춤형 정보 저장소(51)에 등록된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사용자별 조건 정보를 제어 대상 IoT 기기(30)로 전송하여, 제어 대상 IoT 기기(30)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ustomized information storage 51, priorities are specified and stored for each user, so that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 are simultaneously recognized in the same space.
According to the priority registered in the customized information storage 51, the user-specificity characterized in that by transmitting the high-priority user-specific condi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target IoT device 30, to execute the control target IoT device 30 Customized IoT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에 내장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으로 사용자 식별장치(11)와 홈IoT 게이트웨이 및 제어부(50)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information is embedded i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user identification device 11 and the home IoT gateway and the control unit 50 communicat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to determine the user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IoT system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 for each user,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 유무 입력부(40)은 레이다(Rada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IoT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presence input unit 40 is a radar (Radar) tailored service provision IoT system for each us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KR1020180168897A 2018-12-26 2018-12-26 IoT controlling system for providing adapted menu by user KR202000796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897A KR20200079602A (en) 2018-12-26 2018-12-26 IoT controlling system for providing adapted menu by 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897A KR20200079602A (en) 2018-12-26 2018-12-26 IoT controlling system for providing adapted menu by u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602A true KR20200079602A (en) 2020-07-06

Family

ID=7157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897A KR20200079602A (en) 2018-12-26 2018-12-26 IoT controlling system for providing adapted menu by u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960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511B1 (en) * 2020-10-15 2021-10-28 김재학 System for operation and service provision of IoT platfor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248B1 (en) 2007-05-03 2009-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ensibility lighting system for each user'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248B1 (en) 2007-05-03 2009-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ensibility lighting system for each user'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511B1 (en) * 2020-10-15 2021-10-28 김재학 System for operation and service provision of IoT platform
WO2022080568A1 (en) * 2020-10-15 2022-04-21 김재학 System for operation and service provision of iot plat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1572B2 (en) Device control method and electric device
JP7198861B2 (en)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CN106773742B (en) Sound control method and speech control system
KR1024292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command based on voice agent, agent apparatus
US10068571B2 (en) Voice control method and voice control system
CN106100721B (en) Method, server, remote controler and the system that unmanned plane and remote controler are matched
US10057125B1 (en) Voice-enabled home setup
KR101909498B1 (en) Control Station for Remote Control of Home Appliances by Recognition of Natural Language Based Command and Method thereof
US20170133013A1 (en) Voice control method and voice control system
US10303428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 function of smart voice service and method of adjusting output sound
US9854439B2 (en) 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of a voice user interface and selectively managing incoming communications
KR201700303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nick name using a voice recognition
CN112331196A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a plurality of intelligent agent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7077845A (en) A kind of speech output method and device
GB2532305A (en) Method for Configuring and controlling smart home products
US2021029583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CN108932947B (en) Voice control method and household appliance
CN105282326A (en) Control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device
KR20200027753A (en) Electronic Device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Task corresponding to Shortened Command
CN106134166B (en) Automatic selection of language for a voice interface
KR100980581B1 (en) An User-aware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Cellular Phone and Method Thereof
KR20200079602A (en) IoT controlling system for providing adapted menu by user
KR20210036527A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20200050152A (en) System for recognizing voice using multiple devic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2012260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