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378A - Remot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user apparatus in stroage - Google Patents

Remot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user apparatus in stro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378A
KR20200077378A KR1020190076203A KR20190076203A KR20200077378A KR 20200077378 A KR20200077378 A KR 20200077378A KR 1020190076203 A KR1020190076203 A KR 1020190076203A KR 20190076203 A KR20190076203 A KR 20190076203A KR 20200077378 A KR20200077378 A KR 20200077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user terminal
storage box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세혁
박경한
이민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엠테크
Priority to KR1020190076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7378A/en
Publication of KR2020007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37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 user termina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 user terminal which transmits information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when storing the user terminal in a locker composed of at least one storage box to a portable device used to control the lock of the storage box to support a user to check information received in the user terminal while storing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portable device.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을 위한 원격 정보 처리 시스템{Remot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user apparatus in stroage}A remot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user apparatus in stroage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위한 원격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하나 이상의 보관함으로 구성된 락커에 사용자 단말 보관시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는 정보를 상기 보관함의 잠금 제어 기능을 가진 스마트 워치 형태의 휴대 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보관 중에도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아울러 상기 휴대 장치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을 위한 원격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 user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when a user terminal is stored in a locker composed of one or more storage boxes,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is communicated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when the user terminal is stored, and the lock of the storage box It is transmitted to a portable device in the form of a smart watch with a control function so that a user can check information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even while the user terminal is being stored, and remote information processing for a user terminal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portable device It's about the system.

현재 통신 기술의 발달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의 급격한 발전에 힘입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의 사용이 일반화되었으며, 이러한 사용자 단말의 보급에 따라 정보 생산 및 소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current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terminals that support them, the use of user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or tablet PCs has been generalized, and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information is rapidly increasing with the spread of these user terminals. Real-time communication is actively taking place.

또한, 이러한 사용자 단말은 휴대가 편리하게 진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항시 소지하면서 중요한 정보를 확인 및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such a user terminal is conveniently evolving, and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and process important information while always carrying the user terminal.

그러나, 보안시설이나 산업시설 또는 세미나, 전시회, 공연장, 헬스클럽, 찜질방, 놀이공원 등과 같이 보안 상 사용자 단말의 휴대가 제한되거나 사용자 단말의 휴대가 불편한 특수한 환경에서는 불가피하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락커와 같이 지정된 장소에 보관할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However, in a security environment or industrial facility or in a special environment where the portability of the user terminal is restricted or the user terminal is inconvenient for security reasons such as a seminar, exhibition, performance hall, health club, sauna, amusement park, etc., the user inevitably locks the user terminal. It is inevitably stored in a designated place, and as a result, the user cannot confirm information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인 사용자의 부재중에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는 정보 중에서 사용자의 신속한 대처가 필요한 사안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없어 사용자의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심각한 경우 사용자에게 손해나 불편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cope because the user cannot confirm information related to a matter that requires a quick response from the user among information received at the user terminal in the absence of the user in a state where the user cannot use the user terminal.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damage or inconvenience occurs to the user in a serious case.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1991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19919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이 락커의 보관함에 보관 중인 상태에서도 상기 보관함의 잠금 제어에 사용되는 휴대 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을 소지할 수 없는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는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received at the user terminal by notifying the user of the information received at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portable device used for controlling the lock of the locker even when the user terminal is being stored in the locker's storage box. The purpose of this is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supporting the user's response to information received at the user terminal in an environment where the user terminal cannot be carried.

또한, 본 발명은 보관 중인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안내 정보를 상기 휴대 장치를 통해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의 미사용시에도 사용자에게 주변 시설의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a user's location through a portable device that displays information received on a stored user terminal, and provides various gu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location through the portable device, so that the user is not in use even when the user terminal is not in use. The purpose is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 of surrounding facilities.

나아가, 본 발명은 보관 중인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제 특성에 의해 커넥터로 알람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 정보를 확인하여 이를 락커에 구성된 통신 연결부에 전달하는 것으로 다양한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여 수신 정보를 누락시키지 않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larm information cannot be provided to a connector due to an operating system characteristic of a user terminal being stored, various types of users are provided by checking received information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and transmitting it to a communication connection configured in a locker. The purpose is to enable the user to provide the received information without miss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보관함이 구성된 락커의 보관함별로 보관함의 내부에 구성되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구성되어 상기 커넥터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 연결시 상기 커넥터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충전하는 단말 관리 장치;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성되어 상기 단말 관리장치의 커넥터 연결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부재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는 외부 수신 정보 관련 부재중 정보에 대해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부; 상기 하나 이상의 보관함과 각각 대응되어 상기 보관함별로 구성되어 상기 보관함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하나 이상의 잠금 장치 중 특정 잠금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시 상기 특정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광역 통신을 통해 상기 알림 정보 수신시 상기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 장치;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알람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부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단말 관리 장치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상기 휴대 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알림 정보에 포함시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키오스크 장치; 및 상기 키오스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알림 정보에 포함된 상기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장치로 상기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side the storage box for each storage box of a locker in which one or more storage boxes are configured, and a connector unit for connection to a user's user terminal is configured, and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A terminal management device for charging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nnector when connecting the terminal; Application unit that is configured in the user terminal to check the connector connection of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and generates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xternal information related to externa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in the absence of the user, and transmits it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Each of the one or more locker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one or more lockers and configured for each locker to unlock or unlock the specific lock during close-range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lock among one or more locks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locker, through wide area communication A portable device that display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Receiving alarm information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pplication unit and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device preset in correspondence to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to which the user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unit is installed is connected to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pecific terminal management device A kiosk device to include and transmi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ervice serve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ortabl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kiosk devic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키오스크 장치는 사용자 단말이 커넥터를 통해 신규 연결된 단말 관리 장치로부터 단말 연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단말 관리 장치를 통해 전원 연결 패턴을 제공하도록 하고, 해당 전원 연결 패턴을 검출한 어플리케이션부의 정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부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단말 관리 장치를 특정 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iosk device receiv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from the newly connected terminal management device through the connector, and when short-range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unit, power is connected through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ttern, and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to which a user terminal installed with the application unit is connected may be identified through information on the application unit that detects the corresponding power connection patter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보관함별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 장치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휴대 장치로 충전 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휴대 장치와 근거리 통신 두절시 상기 보관함을 잠금하고, 상기 휴대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된 인증 정보를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휴대 장치 인증시 상기 보관함을 잠금 해제시켜 상기 보관함이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gured for each storage box and includes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portable device is mounted, and provides charging power to the portable devic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and wh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lost with the portable device, the Locking the storage box, and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device for unlocking the storage box by unlocking the storage box when authenticating the portable device by compa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with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t can be characterized as.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키오스크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관함과 각각 대응되는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보관함 정보를 포함하는 보관함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키오스크 장치에 구성된 출력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키오스크 장치에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선택된 특정 보관함에 대응되는 보관함 정보에서 사용 상태를 가변하며, 상기 특정 보관함의 사용 상태 가변 이후 상기 보관함 리스트 정보 요청시 상기 사용 상태가 가변된 상기 특정 보관함의 보관함 정보를 포함하는 보관함 리스트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iosk device generates library list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pre-stored storage box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storage boxes and displays it through an output unit configured in the kiosk device. The storage state of the specific storage box in which the usage state is changed when requesting the storage list information after changing the usage state in the stor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torage box selected based on the user input through the configured user interface unit is change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st information of the storage box including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output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키오스크 장치는 상기 단말 관리 장치 또는 상기 키오스크 장치와 연결된 상기 잠금 장치로부터 인증된 휴대 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포함하는 장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관함 정보의 사용 상태를 기초로 미사용중인 보관함을 식별하며, 미사용중인 보관함별 상기 잠금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장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휴대 장치별로 대응되는 각 보관함을 가용 상태로 설정한 보관함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iosk device receives devic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authenticated portable device from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or the lock device connected to the kiosk device, and the usage state of the storage box information is On the basis of identifying the unused storage box, based on the devic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k device for each unused storage box, the list of storage boxes in which each storage box corresponding to each portable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battery level or higher is set to an available state It may be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nd outputting.

본 발명은 보안시설이나 산업시설 또는 세미나, 전시회, 공연장, 헬스클럽, 찜질방, 놀이공원 등과 같이 보안 상 사용자 단말의 휴대가 제한되거나 사용자 단말의 휴대가 불편한 특수한 환경에 마련된 락커의 보관함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보관하여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는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운 사용자의 부재중인 상태에서도 상기 보관함에 보관된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는 정보를 상기 보관함의 잠금 제어에 사용되며 상기 특수한 환경에서 이용 가능하면서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한 휴대 장치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부재중에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실시간 확인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정보의 경중을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의 사용이 필요한 정보에 대해 사용자의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urity facility or industrial facility or seminar, exhibition, performance hall, health club, jjimjilbang, amusement park, etc. for security reasons, the user's terminal is restricted, or the user's storage box in a locker provided in a special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s terminal is inconvenient to carry. It is used to control the lock of the storage box to receive th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user terminal stored in the storage box even in the absence of a user who is difficult to check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by storing the terminal. By transmitting to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enabling the user to check the information received on the user terminal in the absence of the user, it supports the user's real-time confirmation of the information received on the user terminal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the user terminal cannot be used. Through this, there is an effect of determining the severity of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and supporting the user to promptly respond to information requiring use of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사용이 제한되는 환경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소지할 수 없더라도 사용자 단말을 보관하는 보관함의 잠금 제어에 사용되는 휴대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주변 시설 정보나 긴급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이 없더라도 사용자의 시설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긴급 상황 발생시 이를 휴대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ser's location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 of the user terminal is restricted, even if the user cannot carry the user terminal, the user's location is identified through the portable device used to control the lock of the storage box storing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is based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facilities or emergency situations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for users to use the facilities even if there is no user terminal. It works.

특히, 본 발명은 운영체제 특성에 의해 커넥터로 알람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 정보를 확인하여 이를 락커에 구성된 통신 연결부에 전달하는 것으로 다양한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여 수신 정보를 누락시키지 않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larm information cannot be provided to a connector due to characteristics of an operating system, reception information is checked and transmitted to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configured in a locker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without missing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 상태의 사용자 단말을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 상태의 사용자 단말을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키오스크 장치의 동작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 상태의 사용자 단말을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잠금장치와 단말 관리 장치 및 휴대장치의 구성도 및 동작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 상태의 사용자 단말을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보관함 사용시 동작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 상태의 사용자 단말을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보관함 사용 종료시 동작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 상태의 사용자 단말을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휴대 장치의 위치 기준 안내 정보 제공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 상태의 사용자 단말을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휴대 장치를 이용한 시설 이용 지원에 대한 동작 예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 user terminal in a storag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operation of a kiosk device constitut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 user terminal in a storag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constitut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the user terminal in a storag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operation when using the storage box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 user terminal in a storag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of an operation at the end of use of a storage box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 user terminal in a storag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view for providing location-based guide information of a portable device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 user terminal in a storag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operation of a facility using a portable device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 user terminal in a storag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 상태의 사용자 단말을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보관함(10)이 구성된 락커(Locker)(1)의 보관함별로 보관함(10) 내부에 구성되는 단말 관리 장치(20)와, 상기 보관함별로 구성되며 상기 보관함(보관함의 도어 또는 보관함 본체)(10)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 장치(30)와, 상기 보관함별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와 연결되어 상기 보관함별 단말 관리 장치(20)와 통신하며 상기 락커(1)를 관리하는 키오스크 장치(60)와, 상기 키오스크 장치(6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서버(100)와,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에 연결되어 보관함(10) 내부에 보관되는 사용자 단말(4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41) 및 하나 이상의 보관함과 각각 대응되어 보관함별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잠금 장치(30) 중 어느 하나의 잠금 상태를 가변하기 위한 키(key)로서 동작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휴대 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 user terminal in a storag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one or more storage boxes 10, a locker (Locker) (1) is configured for each storage box (10 ) A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configured inside, a lock device 30 configured for each storage box to lock or unlock the storage box (door or storage box main body) 10 of the storage box, and one configured for each storage box The kiosk device 60 tha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and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for each storage box and manages the locker 1 and communicates with the kiosk device 6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service server 100, the application unit 41 configured in the user terminal 40 stored in the storage box 10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and one or more storage boxes corresponding to each, one or more configured for each storage box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ortable device 50 that operates as a key for changing a locked state of any one of the lock devices 30 and communicates with the service server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40)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하는 사용자 단말(40)은 스마트 폰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40 is a smart phone (Smart Phone)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a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terminals, notebook computers, Slate PCs, Tablet PCs, ultrabooks, wearable devices, e.g., watch-type terminals (Smartwatch), glass-type terminals (Smart Glass) ), HMD (including Head Mounted Display), and a flexible terminal (Flexible Terminal), but may include various terminals, but the user terminal 40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a smart phone as an exampl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40)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4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4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4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제어부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사용자 단말(40)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40 may be configured with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the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40, the control unit using the program and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40, the user terminal ( 40) to execute the overall control funct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RAM, ROM, CPU, GPU, and bus, and RAM, ROM, CPU, and GPU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us. The CPU may perform booting using an operating system (O/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40, and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using various programs, contents, and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40. hav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40)에는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와의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련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40)이 상기 락커(1)의 특정 보관함(10)에 구성된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에 연결되어 상기 특정 보관함(10)에 보관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재시에 상기 사용자 단말(40)에 수신되는 부재중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부재중 정보를 기초로 알림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pplication-related data for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may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40, and the application is a specific storage of the locker 1 by the user terminal 40. I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configured in (10), while collecting the absenc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40 in the absence of a user while being stored in the specific storage box 10, based on the absenc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may be operated to generate notification information.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40)의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부(41)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41)는 본 발명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의 제어부를 의미하나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의미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of the user terminal 40 may operate as the application unit 41 by executing the application, and the application unit 41 means a control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mean application-related data.

한편, 상기 통신망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5G 이동통신 서비스,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BLE(Bluetooth Low Energy), RF(Radio Frequency), LoRa(Long Range) 등과 같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40)은 무선 근거리 통신부(45)를 구비하는데, 일례로 블루투스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a wireless LAN (Wireless LAN: WLAN),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CDMA2000),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EV-DO), Wideband CDMA (WCDMA) ,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broadban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5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djacent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Ultrasound Communication (US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Wi-Fi, Wi-Fi Direct,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communication, Ethernet Various serial/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serial communication, optical/coaxial cable, Bluetooth Low Energy (BLE), radio frequency (RF), and long range (LoRa) may be applied. 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40 includes a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45, for example,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또한,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키오스크(KIOSK)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나 단말로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 단말(40)의 무선 근거리 통신부(45)와 통신하는 통신 연결부(6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40)의 어플리케이션부(41)가 제공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osk device 60 may be configured as a kiosk (KIOSK),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as a device or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described below. Furthermore,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62 for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45 of the user terminal 40 may be provided, through which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application unit 41 of the user terminal 40 may be received. Can.

또한, 상기 락커(1)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보관함(10)과 각각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 관리 장치(20)가 각각 대응되는 보관함(10)의 내부에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보관함(10)과 각각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잠금 장치(30)가 각각 대응되는 보관함(10)에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storage boxes 10 configured in the locker 1 and one or more terminal management devices 20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configured inside the corresponding storage box 10, and each of the one or more storage boxes 10 and One or more corresponding locking devices 30 may be configured in the corresponding storage box 10, respectively.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잠금 장치(30)와 각각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휴대 장치(50)는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잠금 장치(30) 중 어느 하나의 잠금 상태를 가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나 이상의 휴대 장치(50)는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보관함(10) 중 어느 하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ne or more mobile devices 50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lock devices 30 may be configured to vary a locked state of any one of the one or more lock devices 30, thereby allowing one or more portable devices The device 50 may be configured to lock or unlock any one of the one or more storage boxes 10, respectively.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물품 보관을 위한 락커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보관함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 단말을 보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할 수 없게 된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인 부재 중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시 상기 보관함의 잠금 상태를 가변하는 용도로서 사용되며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장치(50)에 상기 부재중 정보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는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부재중 정보의 사안에 따라 사용자의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데, 이를 지원하는 본 발명의 상세 동작 구성을 이하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terminal cannot be carried by storing the user terminal in any one of the one or more storage boxes configured in the locker for storing the goods.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changing the lock state of the storage box when the absen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missed information to the portable device 50 carri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check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not possible, and through this,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supporting the prompt respons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ase of the absent information. The operation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drawings below.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 상태의 사용자 단말을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커(1)를 관리하는 키오스크 장치(60)는 상기 락커(1)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보관함별 보관함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보관함별 보관함 정보를 기초로 보관함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키오스크 장치(60)에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61)를 통해 상기 보관함 리스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First, 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an operation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 user terminal in a storag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 kiosk device 60 managing the locker 1 may include the locker 1 ) Pre-storing one or more storage box information for each storage box, and generating storage box list information based on the storage box storage information for each storage box, so that the storage box list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61 including a display configured on the kiosk device 60. Can be displayed.

이때, 상기 보관함별 보관함 정보는 보관함의 식별번호, 보관함에 대응되는 단말 관리 장치(20)의 장치 식별정보, 보관함에 대응되는 휴대 장치(50)의 고유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관함의 식별번호, 보관함에 대응되는 단말 관리 장치(20)의 장치 식별정보, 보관함에 대응되는 휴대 장치(50)의 고유 식별정보가 상호 매칭되어 상기 보관함 정보에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rage box information for each storage box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torage box,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box,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box, and the lik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torage box,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box,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box may be matched to each other and set in the storage box information.

또한, 상기 보관함 리스트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 대상인 보관함의 선택을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보관함의 사용 조건이 유료인 경우 보관함의 사용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brary list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a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selecting a storage box to be used by a user, and if necessary, the use condition of the storage box may be used for payment processing of the storage amount.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yment interface.

또한,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보관함 리스트 정보에서 선택된 보관함 관련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미리 저장된 특정 보관함 정보에 대응되어 사용 상태를 가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osk device 6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user interface unit 63 for receiving user input, and a library selected from the library list information based on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63 The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nd a usage state may be changed in correspondence with specific pre-stored storage box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일례로,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사용자가 사용을 위해 선택한 특정 보관함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보관함 정보에서 사용 상태를 사용 중인 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특정 보관함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kiosk device 60 may update the specific library information by setting the use state to the active state in the specific libra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ibrary selected by the user for use.

또한,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상기 키오스크 장치(60)에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선택된 특정 보관함에 대응되는 특정 보관함 정보에서 사용 상태를 가변하며, 상기 특정 보관함의 사용 상태 가변 이후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보관함 리스트 정보 요청시 상기 사용 상태가 가변되어 갱신된 상기 특정 보관함의 특정 보관함 정보를 포함하는 보관함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부(61)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보관함 리스트 정보를 요청한 타사용자가 사용자가 사용 중인 특정 보관함을 식별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특정 보관함 이외의 다른 보관함을 사용하도록 타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osk device 60 varies the use state in specific storage box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torage box selected based on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63 configured in the kiosk device 60, and When the storage li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input is requested after the use state is changed, the storage list information including the specific storage box information of the specific storage box which has been changed and updated is generated and displayed through the output unit 61.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ssist other users who have requested the list information of the storage box to identify a specific storage box in use by the user and to guide other users to use a storage box other than the specific storage box.

이때,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상기 키오스크 장치(6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키오스크 제어부(6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키오스크 장치(60)의 기능은 상기 키오스크 제어부(6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kiosk device 60 may include a kiosk control unit 66 that performs overall control functions of the kiosk device 60, and the function of the kiosk device 60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kiosk It can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66.

이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보관함별 보관함 정보에 설정된 사용 상태를 기초로 사용 가능한 보관함을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보관함별 보관함 정보에 설정된 사용 상태 관련 사용 상태 정보를 상기 보관함 리스트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출력부(61)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보관함 리스트 정보를 통해 보관함 중에서 사용 가능한 보관함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kiosk device 60 may identify an available storage box based on the usage status set in the storage box information for each storage box, and include usage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age status set in the storage box information for each storage box in the storage list information By outputting it through the output unit 61,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 list of available storage boxes through the storage list information.

한편, 상기 락커(1)를 구성하는 보관함별로 보관함의 도어(또는 보관함 본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여 잠금 상태를 가변하는 잠금 장치(3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장치(30)의 잠금 상태를 가변시키며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 장치(50)는 상기 잠금 장치(30)에 거치 가능함과 아울러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device 30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locked state by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or storage body) of the storage box for each storage box constituting the locker 1, and locking the locking device 30 The portable device 50 configured to be variable and capable of being carried by a user may be mounted on the locking device 30 and detachable.

이때, 도 3 및 도 4를 통해 상기 잠금 장치(30) 및 휴대 장치(50)의 상세 구성 및 동작 예시를 설명하면,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장치(30)는 잠금 상태를 가변하여 상기 보관함(보관함의 도어 또는 보관함 본체)(10)을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하는 잠금부(32)와, 상기 잠금부(32)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잠금 제어부(33)와, 상기 휴대 장치(50)와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xamples of the locking device 30 and the portable device 50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rst, as illustrated in FIG. 3, the locking device 30 changes the locking state. To lock or unlock the storage box (door or storage box main body) 10 of the storage box, a locking control section 33 to control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section 32, and the portable device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31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50).

또한, 상기 휴대 장치(5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다양한 액세서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54)을 구비한 스마트워치(Smartwatch)나 글래스형 단말기, 스마트 밴드(Smart Band)와 같이 미리 설정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 모듈(55)이 구성된 액세서리 형태의 앱세서리(Appcessory)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device 50 may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accessory types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body, and includes a smartwatch or glass terminal, and a smart band equipped with a display module 54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 Smart Band), a control module 55 that provides various functions by executing a preset dedicated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as an accessory accessory appcessory.

이때, 상기 휴대 장치(5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54), 상기 잠금 장치(30)와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51), 광역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5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53) 및 상기 휴대 장치(50)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모듈(56)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장치(50)에 구성된 각 모듈은 상기 제어 모듈(5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상기 휴대 장치(50)의 기능은 상기 제어 모듈(5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rtable device 50 includes a display module 54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51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locking device 30, a communication module 52 supporting wide area communication, and a user An input module 53 for receiving input, and a power module 56 for providing power to the portable device 50 may be further included, and each module configured in the portable device 50 may include the control module. It can be controlled by (55). In addition,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device 50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module 55.

또한, 상기 입력 모듈(53) 및 표시 모듈(54)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성하는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module 53 and the display module 54 may be configured as a module that configures a touch screen that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while receiving a user's touch input.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잠금 장치(30)의 잠금 제어부(33)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31)를 통해 상기 휴대 장치(50)의 근거리 통신 모듈(51)과 미리 설정된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라 근거리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장치(50)와 상기 잠금 장치(30)의 근거리 통신 연결시 상기 휴대 장치(50)의 제어 모듈(55)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을 통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상기 잠금 장치(30)의 잠금 제어부(33)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lock control unit 33 of the locking device 30 communicates wi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51 of the portable device 5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31 according to a preset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When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device 50 and the locking device 30 is connected, the control module 55 of the mobile device 50 may receive pres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51. It can be provided to the locking control unit 33 of the locking device 30.

이때,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트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various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luetooth,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ay be applied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또한, 상기 광역 통신은 BLE, LoRa, 5G, CDMA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으나, LoRa와 같은 저전력 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ide area communication may mean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E, LoRa, 5G, CDMA, etc., but it is preferable that a low power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LoRa is applied.

이에 따라, 상기 잠금 장치(30)의 잠금 제어부(33)는 상기 휴대 장치(5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휴대 장치(5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휴대 장치(50)에 대한 인증 성공시 상기 잠금 장치(30)의 잠금부(32)를 제어하여 상기 잠금부(32)를 잠금해제시켜 상기 도어(또는 보관함 본체)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 두절시 상기 잠금부(32)를 잠금시켜 상기 도어(또는 보관함 본체)가 닫힌 상태에서 물리력에 의해 개방되지(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cking control unit 33 of the locking device 30 compar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device 50 with pres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perform authentication for the portable device 50, and Upon successful authentication of the device 50, the locking unit 32 of the locking device 30 is controlled to unlock the locking unit 32 so that the door (or storage body) can be opened. Wh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cut off, the locking unit 32 may be locked so that the door (or the storage body) is not opened (opened) by physical force in a closed state.

이때, 상기 근거리 통신부(31)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관함(10)의 외면에 노출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 장치(50)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31)에 근접시켜 상기 잠금 장치(30)의 근거리 통신부(31)와 상기 휴대 장치(50)의 근거리 통신 모듈(51) 상호간 근거리 통신시 상기 잠금 제어부(33)가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에 따라 상기 휴대 장치(50)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장치(5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여부에 따라 잠금부(32)의 잠금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31 may be configured by exp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box 10, the user closes the mobile device 50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31, the locking device 30 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31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51 of the portable device 50, the lock control unit 33 receiv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50 according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As described above, authentica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may be performed, and a locked state of the lock unit 32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wheth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잠금 장치(30)는 상기 잠금부(32)와 연동하여 상기 잠금부(32)의 잠금 상태에 대한 센싱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 및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 또는 상기 키오스크 장치(60)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제어부(33)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 또는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locking device 30 is a sensor unit and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or the kiosk that provides a sensing signal for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unit 32 in conjunction with the locking unit 32. An interface unit for interfacing with the device 60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lock control unit 33 may transmit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to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or the kiosk device 60 through the interface unit. Can transmit.

이에 따라,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는 상기 센싱 신호 수신시 상기 센싱 신호를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 또는 상기 잠금 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센싱 신호에 대응되는 보관함(10)의 잠금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보관함별 잠금 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센싱 신호에 따른 보관함별 잠금 상태를 기초로 상기 보관함별 보관함 정보에 보관함(10)의 잠금 여부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may transmit the sensing signal to the kiosk device 60 when the sensing signal is received, and the kiosk device 60 may include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or the locking device ( 3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locked state of the storage box 10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signal on the basis of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and the lock state of each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locking device 30 for each storage box. As a basis, it is possible to set a use state according to whether the locker 10 is locked in the locker information for each locker.

또한, 상기 잠금 장치(30)의 잠금 제어부(33)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인증된 특정 휴대 장치(50)에 상기 특정 휴대 장치(50)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점검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 control unit 33 of the lock device 30 requests a check to check the battery level of the specific portable device 50 to the specific portable device 50 that is authenticated while real-time or periodic short-range communication is connecte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또한, 상기 점검 요청 정보를 수신한 제어 모듈(55)은 상기 점검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전원 모듈(56)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한 후 상기 특정 휴대 장치(50)의 배터리 잔량을 포함하는 장치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키오스크 장치(60)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55 receiving the check request information checks the battery level of the power module 56 in response to the check request information, and then displays devic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battery level of the specific portable device 50. It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kiosk device 60.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상기 장치 상태 정보 수신시 상기 장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보관함의 보관함 정보를 식별하고, 해당 특정 보관함의 보관함 정보에 상기 장치 상태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보관함 리스트 정보를 통해 상기 장치 상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when the device status information is received, the kiosk device 60 identifies the storage box information of the specific storage box corresponding to the device status information, and the device status in the storage box information of the specific storage box. Information may be included to provide the device status information through the library list information.

이때,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상기 장치 상태 정보 수신시마다 상기 장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보관함의 보관함 정보에 포함된 기존 장치 상태 정보를 상기 장치 상태 정보로 갱신하거나 변경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관함을 사용하려는 사용자가 보관함별로 대응되어 구성된 휴대 장치(50)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kiosk device 60 may update or change the existing device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orage box information of the storage box corresponding to the device status information to the device status information each time the device status information is received.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user who wants to check the battery level of the portable device 50 configured for each storage box.

또한,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상기 보관함별로 상기 보관함 정보의 사용 상태를 기초로 미사용중인 보관함을 식별하고, 미사용중인 보관함별 상기 잠금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장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대 장치(50)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휴대 장치(50)별로 대응되는 각 보관함을 가용 상태로 설정한 보관함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부(6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osk device 60 identifies unused storage boxes based on the use state of the storage box information for each storage box, and based on the devic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king device for each storage box in use, the portable device 50 ) May generate and output storage list information for each storage device corresponding to each portable device 50 having a battery level of a predetermined value or higher, which is set to an available state, through the output unit 61.

이때,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상기 가용 상태를 상기 보관함 정보에 설정하여 상기 보관함 리스트 정보를 통해 상기 가용 상태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kiosk device 60 may set the available state to the storage information so that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le status is provided through the storage list information.

이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휴대 장치(50)가 구성된 보관함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유도하여 휴대 장치(50)의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kiosk device 60 may induce a user to select a storage box configured with the portable device 50 having a remaining battery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thereby supporting stable use of the portable device 50.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잠금 제어부(33)는 상기 점검 요청 정보를 통해 상기 휴대 장치(50)에 셀프 점검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장치(50)의 제어 모듈(55)은 상기 점검 요청 정보를 기초로 셀프 점검을 수행하여 이상 발생 여부에 대한 점검 결과 정보를 상기 장치 상태 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lock control unit 33 may request a self-check from the portable device 50 through the check request information, and the control module 55 of the portable device 50 receives the check request information By performing a self-check as a basis, it is possible to include and transmit check result information on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device status information.

이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상기 점검 결과 정보를 기초로 미사용중인 보관함 중 이상이 발생한 휴대 장치(50)에 대응되는 보관함의 보관함 정보에 사용 불가 상태를 설정하여 상기 보관함 리스트 정보에 사용 불가 상태가 설정된 보관함 정보가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kiosk device 60 sets an unusable state in the storage box information of the storage box corresponding to the portable device 50 having an abnormality among the unused storage boxes based on the inspection result information, so that it cannot be used in the storage lis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reflect the set information of the storage box.

한편, 상기 보관함 내부에는 사용자 단말(40)과 연결되는 단말 관리 장치(20)가 구성되며,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는 상기 사용자 단말(40)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21)와 상기 커넥터부(21)에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40)로 상기 커넥터부(21)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40)의 충전을 위한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제 1 충전부(23)와, 상기 키오스크 장치(60)와 연결되어 상기 키오스크 장치(60)와 통신하는 제 1 통신부(24) 및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제어부(22)가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 is configured inside the storage box, and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includes a connector unit 21 for connecting to the user terminal 40 and the A first charging unit 23 that provides charging power for charging the user terminal 40 through the connector unit 21 to the user terminal 40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21, and the kiosk device 60 ), a first communication unit 24 communicating with the kiosk device 60 and a device control unit 22 performing an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may be configured.

이때, 상기 제 1 통신부(24)는 상기 잠금 장치(30)의 인터페이스부와도 연결(일례로, 유선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잠금 장치(30)와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 상호 간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일부 사용자 단말(40)의 경우 폐쇄적인 운영체제의 특성 상 이러한 유선 커넥터 연결에 의해 내부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부(41)는 사용자 단말(40)에 구성된 근거리 무선 통신부(45)를 통해 알람정보를 직접 키오스크 장치(60)의 통신 연결부(62)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키오스크 장치(60)의 통신 연결부(62)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며 일종의 블루투스 AP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부(41)는 수신 정보가 있음을 확인하면 그 내용을 확보하거나 혹은 운영체제 특성 상 이를 확보하지 못할 때 수신 화면 자체를 캡쳐하여 이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5)를 통해 키오스크 장치(60)의 통신 연결부(62)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100)가 해당 화면을 분석하여 알람 종류와 내용을 선별하여 문자 정보로 변환한 후 이를 휴대장치(50)에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4 may also be connected (for example, wired connection) to the interface unit of the locking device 30, through which the locking device 30 and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mutuall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owever, in the case of some user terminals 40, it may be difficult to check internal information through such a wired connector connec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closed operating system. To solve this problem, the application unit 41 may directly provide alarm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62 of the kiosk device 60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5 configured in the user terminal 40.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62 of the kiosk device 60 ha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may serve as a kind of Bluetooth AP. On the other hand, when the application unit 41 confirms that there is reception information, it secures its contents or captures the reception screen itself when it is not secur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ng system, and captures the reception screen itself, thereby allowing the kiosk device 60 to operate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5. It can be provided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62, the service server 100 that received it can analyze the screen, select the alarm type and content, convert it into text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mobile device 50.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부(41)는 단말관리장치(20)와의 커넥터 연결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충전 전원 공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connector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the application unit 41 may determine whether to supply charging power.

이렇게 사용자 단말(4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45)를 통해서 어플리케이션부(41)가 키오스크 장치(60)와 통신 연결부(62)를 통해 연결된다 하더라도 키오스크 장치(60)는 사용자 단말(40)이 근거리에 있다는 것만 확인할 수 있을 뿐, 어떠한 단말 관리 장치(20)에 연결되어 있는 지를 알 수 없게 된다(사용자 단말의 운영체제 특성 상 단말의 내부 정보를 커넥터를 통해서 수집할 수 없는 경우). 이 경우 키오스크 장치(60)는 사용자 단말이 커넥터를 통해 신규 연결된 단말 관리 장치(20)로부터 단말 연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부(41)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단말관리장치(20)를 통해 특정한 전원 연결 패턴을 제공하도록 하고, 해당 전원 연결 패턴을 검출한 어플리케이션부(41)의 정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부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단말 관리 장치(20)를 특정 하도록 한다. 즉 단말관리장치(20)는 사용자 단말(40)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커넥터를 통한 전기적 특성 변화로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신규 사용자 단말(40)이 연결되면 이를 키오스크 장치(60)에 알릴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부(41)는 키오스크 장치(60)와 무선 연결되어 보관 상태 시작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키오스크 장치(60)는 아직 해당 어플리케이션부(41)와 단말관리장치(20)를 매핑하지 못한 상태이므로 신규 단말이 연결된 단말관리장치(20)를 통해 특정 전원 연결 패턴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충전 전원을 인가했다가 중지했다가 하는 패턴일 수 있으며 이러한 충전 전원의 변화 시점에 대한 정보 일치성을 어플리케이션부(41)를 통해 확인하여 이러한 패턴을 제공한 단말관리장치(2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40)을 매핑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even if the application unit 41 is connected through the kiosk device 60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62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5 of the user terminal 40, the kiosk device 60 has a short distance to the user terminal 40. It can only be confirmed that it is in, and it is impossible to know which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is connected to (if inter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annot be collected through the connector due to the operating system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kiosk device 60 receiv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from the newly connected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through the connector, and when the application unit 41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are connected,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 To provide a specific power connection pattern, and identify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to which the user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unit is installed is connected through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unit 41 detecting the corresponding power connection pattern. That is,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may detect whether the user terminal 40 is connected through a change 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through a connector, and through this, when the new user terminal 40 is connected, it may notify the kiosk device 60. have. Meanwhile, the application unit 41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kiosk device 60 to inquire whether or not the storage state is started. Since the kiosk device 60 has not yet mapped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unit 41 and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ecific power connection pattern through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to which the new terminal is connected. It may be a pattern of applying and stopping the charging power, and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that provides such a pattern by confirming the consistency of information about the timing of change of the charging power through the application unit 41 (40) can be mapped.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의 기능은 상기 장치 제어부(2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function of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the device control unit 22.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키오스크 제어부(66), 잠금 제어부(33), 제어 모듈(55) 및 장치 제어부(22)는 RAM, ROM, CPU, GPU,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 제어부(33) 및 장치 제어부(22)는 필요에 따라 GPU, RAM, ROM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kiosk control unit 66, the lock control unit 33, the control module 55, and the device control unit 22 may include RAM, ROM, CPU, GPU, bus, and so on. ROM, CPU, GPU, etc.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bus. At this time, the lock control unit 33 and the device control unit 22 may be configured by omit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GPU, RAM, ROM, if necessary.

이에 따라,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는 상기 사용자 단말(40)에 구성된 단자부가 상기 커넥터부(21)에 연결시 상기 사용자 단말(40)과 통신하거나 상기 제 1 충전부(23)를 통해 충전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40)을 충전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40 when the terminal unit configured in the user terminal 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21, or charges power through the first charging unit 23.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user terminal 40 by providing.

여기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40)에 구성된 상기 제어부와 상기 단자부 사이의 통신 연결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40)에 구성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an interface module configured in the user terminal 40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terminal unit configured in the user terminal 40.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장치(30)는 상기 휴대 장치(50)의 미사용시 상기 휴대 장치(50)가 거치되는 거치부(34) 및 상기 휴대 장치(50)가 상기 거치부(34)에 거치시 상기 휴대 장치(5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locking device 30 is mounted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not in use, the mounting portion 34 and the portable device 50 are mounted on the portable device 50 is mounte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ixing portion 35 for fixing the mobile device 50 when mounted on the portion (34).

이때, 상기 잠금 장치(30)는 상기 휴대 장치(50)로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제 2 충전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제어부(33)는 상기 고정부(35)와 연동하여 상기 고정부(35)의 상기 휴대 장치(50)에 대한 고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35)에 의해 상기 휴대 장치(50)가 상기 거치부(34)에 거치되어 고정될 때 상기 제 2 충전부(36)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충전부(36)를 통해 상기 휴대 장치(50)의 전원 모듈(56)에 충전전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휴대 장치(50)를 충전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king device 3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harging unit 36 that provides charging power to the portable device 50, and the locking control unit 33 interlocks with the fixing unit 35.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fixing unit 35 is fixed to the portable device 50, and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34 and fixed by the fixing unit 35,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charged by controlling the second charging part 36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power module 56 of the portable device 50 through the second charging part 36.

여기서, 상기 고정부(35)는 상기 휴대 장치(50)의 고정 및 거치 여부에 대한 스위칭 신호를 상기 잠금 장치(30)의 잠금 제어부(33)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제어부(33)는 상기 스위칭 신호를 기초로 상기 상기 휴대 장치(50)의 상기 거치부(34)에 대한 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fixing unit 35 may provide a switching signal for fixing or mounting the portable device 50 to the locking control unit 33 of the locking device 30, wherein the locking control unit 33 is Based on the switching signal,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portable device 5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34.

또한, 상기 잠금 장치(30)의 제 2 충전부(36)와 상기 휴대 장치(50)의 전원 모듈(56)은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충전부(36)는 무선으로 상기 전원 모듈(56)에 충전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harging unit 36 of the locking device 30 and the power module 56 of the portable device 50 may support a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the second charging unit 36 wirelessly applies the power module. Charging power may be provided to 56.

이때, 상기 제 2 충전부(36)와 전원 모듈(56)은 각각 무선 충전을 위한 권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모듈(56)은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상기 제 2 충전부(36)로부터 충전 전력을 제공받아 충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harging unit 36 and the power module 56 may each include a winding for wireless charging, and the power module 56 receives charging power from the second charging unit 36 i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anner. You can receive it and charge it.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장치(50)는 미사용중인 상태에서 상기 잠금 장치(30)에 거치되어 상기 잠금 장치(30)에 의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device 50 may be mounted on the locking device 30 in an unused state to be charged by the locking device 30.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40)이 보관함에 보관 중인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에 수신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데,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을 보관함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없는 상태에서 통신망을 통해 외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40)에 수신되는 정보인 부재중 정보를 사용자가 상기 휴대 장치(5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도 5의 구성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that the user terminal 40 is being stored in the storage box, the user cannot confirm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4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not store and use the user terminal 40 in the storage box. In the can support the user to check the absenc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40 from the outsid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portable device 50,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40)에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부(41)가 구성될 수 있고 내부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부(45)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4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41)는 상기 사용자 단말(40)의 저장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실행한 상태의 제어부로서 구성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41)는 사용자 단말(40)에 구성되어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단말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40)에 수신되는 외부 수신 정보이거나 상기 외부 수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4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인 부재중 정보를 상기 휴대 장치(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를 상기 부재중 정보를 기초로 생성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unit 41 may be configured in the user terminal 40,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5 may be configured internally. In addition, the application unit 41 configured in the user terminal 40 is configured as a control unit in a state in which application-relate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user terminal 40 is executed, and the application unit 41 is a user terminal ( 40) is configured in the external commun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ternal to the user terminal 40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to communicat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r based on the external reception information to the other application installed and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40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absenc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obile device 50,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absence information.

일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41)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API를 지원하는 운영체제 상에서 동작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타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기반으로 연동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40)에 수신된 외부 수신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재중 정보 생성시 또는 상기 외부 수신 정보인 부재중 정보 수신시 상기 API를 기반으로 상기 부재중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pplication unit 41 may interwork with one or more other applications running by the control unit running on an operating system supporting an API for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When the absent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external receiv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40 in any one of the one or more other applications or when the absent information that is the external received information is received, the absent information is collected based on the API. Can.

이때, 상기 외부 수신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40)에 수신된 콜 신호, 푸시 메시지, 부재중 전화 관련 메시지, 문자 메시지(SMS, MMS 등),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관련 메시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관련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부재중 정보는 상기 외부 수신 정보 자체이거나 상기 외부 수신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외부 수신 정보와 관련되어 상기 타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한 가공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ternal reception information includes a call signal, a push message, a missed call related message, a text message (SMS, MMS, etc.), a messenger application related message,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related message, etc.,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40 It may include, and the absence information may be the external reception information itself or may include the external reception information or may be composed of proces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ther appl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recep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40)의 저장부에는 상기 타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other application related data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of the user terminal 40.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부(41)는 상기 사용자 단말(40)이 단말 관리 장치(20)의 커넥터부(21)에 연결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40)에서 부재중 정보 생성시마다 상기 부재중 정보에 대응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 특성상 해당 정보를 커넥터부(21)를 통해서 단말 관리 장치(20)에 전송할 수 없을 때 각종 외부 수신 정보 발생 화면 자체를 캡쳐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부(45)를 통해 키오스크 장치(60)의 통신 연결부(62)에 제공할 수 있다. 만일 해당 외부 수신 정보에 대한 내용을 문자 정보 상태로 파악할 수 있다면 이러한 파악된 문자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5)를 통해 키오스크 장치(60)의 통신 연결부(62)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림 정보는 상기 부재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unit 41, when the user terminal 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21 of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issed information whenever the user terminal 40 generates absence information By generating the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 due to the nature of the operating system when the information cannot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through the connector 21, various external reception information The generated screen itself may be captured and provided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62 of the kiosk device 60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5. If the content of the external reception information can be understood as a text information state, the identified tex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62 of the kiosk device 60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5.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absence information.

또한,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는 상기 사용자 단말(40)이 상기 커넥터부(21)에 연결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40)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만 식별 가능한 연결 정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21,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may transmit connection information that can be identified only by the application to the user terminal 4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부(41)는 상기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40)의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에 대한 연결 여부(특정 정보를 주고 받거나 충전 전원 공급 상태를 통해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여부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40)이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의 커넥터부(21)에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만 상기 부재중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pplication unit 41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4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either through sending or receiving specific information or through a charging power supply state). The user terminal 40 may collect the missed information and generat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only when the connection to the connector unit 21 of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is maintained based on the connection status. .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40)이 보관함의 단말 관리 장치(20)에 연결 중인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부(41)에서 상기 알림 정보를 생성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40)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user terminal 40 is not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of the storage box, the application unit 41 does not generat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so that unnecessary power of the user terminal 40 is prevented. It can prevent consumption.

한편,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의 장치 제어부(22)는 상기 커넥터부(21)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40)의 어플리케이션부(41)로부터 알림 정보 수신시 상기 제 1 통신부(24)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로 상기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이를 통해 알림 정보를 전달할 수 없는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부(45)를 통해 키오스크 장치(60)의 통신 연결부(62)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vice control unit 22 of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receiv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application unit 41 of the user terminal 40 through the connector unit 21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4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kiosk device 60. Of course, if it is not possible to transmi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i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5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62 of the kiosk device 60.

또한,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61),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의 제 1 통신부(24)와 연결되어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나 사용자 단말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45)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 연결부(6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 통신하는 제 2 통신부(64),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 상기 보관함별 보관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65) 및 상기 키오스크 장치(6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키오스크 제어부(6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osk device 60 is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61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4 of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and the short-range wireless of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or the user terminal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62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unit 45, a second communication unit 64 communicating with the service server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user interface unit 63 for receiving user input, and storage for each storage box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emory unit 65 for storing information and a kiosk control unit 66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functions of the kiosk device 60.

또한, 상기 메모리부(65)는 RAM, ROM,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memory unit 65 may include various storage means such as RAM, ROM,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rive (SSD), and the like.

또한, 상기 통신 연결부(62)는 상기 잠금 장치(30)의 인터페이스부와도 연결되어 상기 잠금 장치(30)와 상호 인터페이스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상기 잠금 장치(30)와 상호 통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62 is also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of the locking device 30 to interface with the locking device 30, through which the kiosk device 60 is the locking device 30 And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 및 출력부(6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성하는 구성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unit 63 and the output unit 61 may be configured as a configuration unit that configures a touch screen that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while receiving a user's touch input.

또한, 상기 키오스크 장치(60)의 상기 키오스크 제어부(66)는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로부터 상기 통신 연결부(62)를 통해 상기 알림 정보 수신시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 통신하는 상기 제 2 통신부(64)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osk control unit 66 of the kiosk device 60 receiv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62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service server 100 )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64 communicating with.

이때, 상기 키오스크 장치(60)의 키오스크 제어부(66)는 상기 통신 연결부(62)를 통해 상기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특정 단말 관리 장치(20)를 식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kiosk control unit 66 of the kiosk device 60 may identify a specific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that transmit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62.

이에 따라, 상기 키오스크 제어부(66)는 상기 알림 정보 수신시 상기 알림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특정 단말 관리 장치(20)와 매칭되는 특정 휴대 장치(50)의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메모리부(65)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특정 휴대 장치(50)의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알림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kiosk control unit 66 receiv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mobile device 50 matching the specific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identifi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memory unit 65. It can be extracted from,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ortable device 50 is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100.

이때, 상기 키오스크 제어부(66)는 상기 알림 정보를 미리 설정된 암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kiosk control unit 66 may encryp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set encryption method and transmit it to the service server 100.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로부터 상기 알림 정보 수신시 상기 알림 정보에 포함된 특정 휴대 장치(50)의 고유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알림 정보를 생성한 사용자 단말(40)의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특정 휴대 장치(50)를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kiosk device 60, the service server 100 generates a user terminal 40 that generat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portable device 50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 Can identify a specific portable device 50 possessed by a user.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알림 정보가 암호화된 경우 상기 암호화 방식에 따라 상기 알림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encrypted, the service server 100 may decryp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ncryption method.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특정 휴대 장치(50)로 상기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100 may transmi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pecific portable device 50.

이에 따라, 상기 특정 휴대 장치(50)의 제어 모듈(55)은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 통신망을 통해 광역 통신하는 상기 통신 모듈(52)을 통해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표시 모듈(54)을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보관함에 보관 중인 상기 사용자 단말(40)에 수신된 외부 수신 정보 관련 부재중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55 of the specific portable device 50 may receiv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52 that performs wide area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54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abse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ternal recep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40 stored in the storage box.

이때, 상기 휴대 장치(50)는 상기 알림 정보 수신시 상기 알림 정보에 대응되어 진동이나 발광, 음향 형태로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어 모듈(55)은 상기 알림 정보 수신시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알림 정보에 대응되는 진동, 발광 및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rtable device 50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module that outputs in the form of vibration, light emission, or sound in response to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he control module 55 includ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Upon reception, at least one of vibration, light emission, and sound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module.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부재중 정보를 상기 휴대 장치(50)를 통해 확인하여 상기 알림 정보가 긴급한 사안인 경우 상기 락커(1)로 이동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중인 특정 보관함의 잠금 장치(30)에 상기 휴대 장치(50)를 근접시켜 상기 잠금 장치(30)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기 특정 보관함의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40)에 수신된 상기 알림 정보에 대응되는 부재중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checks the missed information through the portable device 50 to move to the locker 1 whe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an urgent matter, and to the locking device 30 of the specific storage box being used by the user. The mobile device 50 is brought close to unlock the locking device 30, thereby opening the door of the specific storage box to receive the miss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40. Can be confirmed.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관함의 사용 종료에 따라 상기 휴대 장치(50)를 상기 잠금 장치(30)의 거치부(34)에 거치하는 경우 상기 잠금 장치(30)의 잠금 제어부(33)는 상기 휴대 장치(50)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 장치(50)에 대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잠금부(32)를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6, when the user mounts the portable device 50 on the mounting portion 34 of the locking device 30 according to the end of use of the storage box, the locking control unit of the locking device 30 33, when the authentication with respect to the portable device 50 is successful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device 50, the lock unit 32 may be unlocked.

또한, 상기 키오스크 장치(60)의 키오스크 제어부(66)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특정 보관함에 대한 사용 종료 관련 종료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종료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보관함의 보관함 정보에 설정된 사용 상태를 가변하여 미사용 상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종료 요청 정보 이후 제공되는 보관함 리스트 정보에서 상기 특정 보관함의 보관함 정보가 미사용 상태로 설정된 보관함 리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osk control unit 66 of the kiosk device 60 may use the termination request information when receiving termination request information related to termination of use for a specific library used by the user based on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63. The usage state set in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pecific storage box may be changed to an unused state, and in the storage list information provided after the termination request information, the storage list information in which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storage box is set to an unused state may be provided. have.

이때, 상기 키오스크 제어부(66)는 상기 종료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단말 관리 장치(20)를 통해 상기 특정 보관함의 잠금 장치(30)에 상기 잠금 장치(30)에 의해 인증된 휴대 장치(50)의 이상 여부를 체크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잠금 장치(30)에 직접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kiosk control unit 66, when receiving the termination request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50 authenticated by the locking device 30 to the locking device 30 of the specific storage through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It is possible to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to check for abnormality, or to transmit the control information directly to the locking device 30.

이에 따라, 상기 특정 보관함에 구성된 잠금 장치(30)의 잠금 제어부(33)는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인증된 휴대 장치(50)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된 휴대 장치(50)의 제어 모듈(55)은 상기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증된 휴대 장치(50)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 여부에 대한 점검 결과 정보를 상기 잠금 장치(30)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키오스크 장치(60)에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ck control unit 33 of the lock device 30 configured in the specific storage box transmits the control information to the authenticated portable device 50, and the control module 55 of the authenticated portable device 50 May check whether the authenticated portable device 50 is abnormal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check result information on the abnormality to the kiosk device 6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locking device 30. .

또한, 상기 키오스크 장치(60)의 키오스크 제어부(66)는 상기 점검 결과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증된 휴대 장치(50)에 이상이 없는 경우 사용자의 상기 특정 보관함 이용에 따른 결제 요금 관련 결제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부(61)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 수단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결제 수단 정보 및 결제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생성한 후 미리 설정된 결제 서버와의 통신에 따라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osk control unit 66 of the kiosk device 60 may provide payment request information related to payment fees due to the user's use of the specific storage box when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authenticated portable device 50 based on the check result information. Generates a payment interface including and displays it through the output unit 61, receives payment method information through the payment interface based on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63, and receives the payment method information and payment request After generating paymen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payment according to the payment information may be processed according to communication with a preset payment server.

이때, 상기 키오스크 제어부(66)는 상기 점검 결과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점검 결과 정보에 대응되는 휴대 장치(50)에 이상 발생시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kiosk control unit 66 may generate an abnormality occurrence informa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portable device 50 corresponding to the inspection result information based on the inspection result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of a preset administrator.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키오스크 장치(60)의 키오스크 제어부(66)는 상기 종료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특정 보관함과 관련된 상기 인증된 휴대 장치(50)의 상기 잠금 장치(30)에 대한 거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거치 확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특정 보관함의 잠금 장치(3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장치(30)의 잠금 제어부(33)는 상기 거치 확인 요청정보 수신시 상기 고정부(35)의 스위칭 신호를 기초로 상기 휴대 장치(50)의 상기 잠금 장치(30)에 구성된 거치부(34)에 대한 거치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거치 여부에 대한 거치 확인 정보를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로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kiosk control unit 66 of the kiosk device 60 is mounted on the lock device 30 of the authenticated portable device 50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storage box when receiving the termination request information. Generation confirmation request information for checking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locking device 30 of the specific storage box, and the locking control unit 33 of the locking device 30 may receive the mounting confirmation request information when the fixing unit 35 ) Based on the switching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50 to determine whether the mounting portion 34 configured in the locking device 30 is mounted, and whether the mounting information for the mounting whether the kiosk device 60 Can be transferred to.

이에 따라, 상기 키오스크 제어부(66)는 상기 거치 확인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보관함과 관련된 휴대 장치(50)가 상기 특정 보관함의 잠금 장치(30)에 구성된 거치부(34)에 거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력부(61)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휴대 장치(50)를 거치부(34)에 거치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거치 요청 안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kiosk control unit 66 is not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34 configured in the locking device 30 of the specific storage box, the portable device 50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storage box is based on the mounting confirm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61,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mounting request guide information for requesting the user to mount the portable device 50 on the mounting unit 3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안시설이나 산업시설 또는 세미나, 전시회, 공연장, 헬스클럽, 찜질방, 놀이공원 등과 같이 보안 상 사용자 단말의 휴대가 제한되거나 사용자 단말의 휴대가 불편한 특수한 환경에 마련된 락커의 보관함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보관하여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는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운 사용자의 부재중인 상태에서도 상기 보관함에 보관된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는 정보를 상기 보관함의 잠금 제어(잠금 상태 가변)에 사용되며 상기 특수한 환경에서 이용 가능하면서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한 휴대 장치(50)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부재중에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실시간 확인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정보의 경중을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의 사용이 필요한 정보에 대해 사용자의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urity facility or industrial facility or seminar, exhibition, performance hall, health club, jjimjilbang, amusement park, etc. For security reasons, the portability of the user terminal is restricted or the user terminal is difficult to carry. The user receives the user terminal stored in the library even when the user is in the absence of a user who is difficult to check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by storing the user terminal in the storage box. It can be used in the special environment and transmitted to the portable device 50 that can be carri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user terminal in the absence of the user. It supports the user's real-time confirm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hrough this, determines the weight of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respond to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used by the user terminal.

한편,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 상태의 사용자 단말을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휴대 장치(50)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 장치(50)를 이용하여 주변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른 이용 요금을 추후 정산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 user terminal in a storag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portable device 50 but also use the portable device 5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the surrounding facilities and support the settlement of the usage fee accordingly,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장치(50)는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주변의 하나 이상의 통신 단말(70)과 미리 설정된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휴대 장치(50)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휴대 장치(50)에 미리 설정된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안내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7, the portable device 50 communicates with the service server 100 in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communication terminals 70 in the vicinity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of 50) may be generated, and guid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set in the portable device 5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100.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통신 방식은 NFC, BLE, LoRa, 5G, CDM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단말(70)은 비콘(beacon), IoT(Internet of Things) 단말, POS(Point Of Sale)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et communication method may include NFC, BLE, LoRa, 5G, CDMA, etc., the communication terminal 70 is a beacon (beacon), IoT (Internet of Things) terminal, Point of Sale (POS) Devices and the like.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휴대 장치(50)로부터 수신된 상기 안내 요청 정보에 따른 위치 정보와 관련된 긴급 상황 정보 및 주변 시설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안내 정보를 상기 휴대 장치(50)로 전송하여 상기 휴대 장치(50)에서 상기 안내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100 transmits guide information including emergency information and surrounding facility information related to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uide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device 50 to the portable device 50 By doing so, the guid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portable device 50.

이때, 상기 주변 시설 정보는 주변 시설 관련 광고 정보, 이벤트 정보, 쿠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rrounding facility information may include advertisement information related to surrounding facilities, event information, coupon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상기 긴급 상황 정보는 상기 휴대 장치(50)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발생한 화재나 각종 사고 등에 따른 재난정보, 상기 휴대 장치(50)의 위치 기준 대피 경로 관련 대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information includes disaster information according to a fire or various accidents occurring within a preset rang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evacu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and the like. can do.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사용이 제한되는 환경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소지할 수 없더라도 사용자 단말을 보관하는 보관함의 잠금 제어에 사용되는 휴대 장치(50)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주변 시설 정보나 긴급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이 없더라도 사용자의 시설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긴급 상황 발생시 이를 휴대 장치(50)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s location through a mobile device 50 used to control the lock of a storage box storing a user terminal even when the user cannot carry the user terminal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 of the user terminal is restricte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for the user's use of the facility even if there is no user terminal by providing surrounding facility information or emergency situ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location. The user's safety can be guaranteed by notifying the user.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상기 사용자 단말(40)이 연결된 특정 단말 관리 장치(20)로부터 사용자 단말(40)의 단말 식별정보와 상기 특정 단말 관리 장치(20)에 미리 설정된 상기 휴대 장치(50)의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kiosk device 60 include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 and the specific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from the specific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to which the user terminal 40 is connected. ) May receive and store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set in advance.

즉, 보관함별 단말 관리 장치(20) 중 사용자 단말(40)이 연결된 특정 단말 관리 장치(20)는 상기 사용자 단말(40)의 어플리케이션부(41)로부터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 수신시 상기 단말 식별정보와 상기 특정 단말 관리 장치(20)에 미리 설정된 특정 휴대 장치(50)의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키오스크 장치(6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상기 설정정보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휴대 장치(50)는 상기 특정 단말 관리 장치(20)가 구성된 보관함에 대응되는 휴대 장치(50)일 수 있다.That is, among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s 20 for each storage box, the specific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to which the user terminal 40 is connected receive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application unit 41 of the user terminal 40, and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pon receiv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mobile device 50 preset in the specific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kiosk device 60, and the kiosk device 60 may temporarily store the setting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pecific portable device 50 may be a portable device 50 corresponding to a storage box configured with the specific terminal management device 20.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70) 중 특정 통신 단말(70)로부터 상기 특정 휴대 장치(50)와의 통신을 통해 획득한 상기 특정 휴대 장치(50)의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휴대 장치(50)를 소지한 사용자의 시설 이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100 receiv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ortable device 50 obtain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c portable device 50 from a specific communication terminal 70 among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70. It is possible to receive facility usage information of a user who has the specific portable device 50 included.

이때, 상기 시설 이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하여 상기 특정 통신 단말(70)이 설치된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 또는 상기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물품의 구매에 따른 결제 금액 및 결제 내용 등을 포함하는 결제 내역 정보를 포함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가맹점의 이용을 위해 대기가 필요한 경우 대기 순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is payment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payment amount and payment conten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ervice provided by the affiliated store where the specific communication terminal 70 is installed or purchase of goods sold by the affiliated store in relation to the user. Or, if the user needs to wait for the use of the merchant, i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waiting sequence number.

또한, 상기 시설 이용 정보는 상기 특정 통신 단말(70) 관련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fic communication terminal 70.

일례로, 특정 가맹점에 설치된 특정 통신 단말(70)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상기 휴대 장치(50)와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휴대 장치(50)로부터 휴대 장치(50)의 고유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내역 정보와 상기 휴대 장치(50)의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a specific communication terminal 70 installed in a specific affiliate store communicates with the portable device 50 in the preset manner when a user uses a service provided by the specific affiliate store, and the portable device 50 from the portable device 50 Receiv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d generates payment information including payment amoun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orresponding service and facility use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and the service server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시설 이용 정보 수신시 상기 시설 이용 정보에 결제 내역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시설 이용 정보를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로 전송하여 상기 키오스크 장치(60)에서 상기 시설 이용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이용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the service server 100 transmits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to the kiosk apparatus 60 when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includes payment history information, and the kiosk apparatus 60 transmits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Payment processing for a user's usage amount according to usage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일례로,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상기 시설 이용 정보 수신시 상기 시설 이용 정보에 포함된 휴대 장치(50)의 고유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시설 이용 정보와 매칭되는 미리 저장된 설정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시설 이용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설정정보와 상기 시설 이용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kiosk device 60 identifies pre-stored setting information matching the facility use information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included in the facility use information when the facility us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may be matched and stored.

또한,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의 사용 대상 보관함인 특정 보관함에 대한 사용 종료 정보 수신시 상기 특정 보관함의 보관함 정보에 설정된 휴대 장치(50)의 고유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대 장치(50)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시설 이용 관련 시설 이용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시설 이용 정보를 기초로 시설 이용에 따른 결제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인터페이스를 상기 출력부(61)를 통해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osk device 60 is a mobile device 50 set in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storage box when receiving the end of use information for a specific storage box that is the target storage box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63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user's facility use-related facility use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is identified, and pay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acility use is included based on the identified facility use information. The payment interface to be outpu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output unit 61.

또한,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결제 수단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결제 요청 입력정보를 기초로 상기 결제 수단 정보와 시설 이용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결제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설 이용 정보에 따른 시설 이용 관련 요금을 정산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osk device 60 receives pay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payment means information and facility usage information based on the payment request input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ing payment means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payment interface according to the user input. Generate and communicate with the preset payment server to perform payment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ayment information and settle processing fees related to facility usage according to the user's facility usage information.

이때,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시설 이용 요금과 더불어 상기 보관함의 이용 요금을 함께 결제 처리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kiosk device 60 may also process the storage usage fee and the storage usage fee through the payment interface.

또는, 상기 시설 이용 정보가 대기열 등록(대기 순번 등록)과 관련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시설 이용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특정 통신 단말(70)로부터 사용자의 대기 순번 도래에 대한 상기 휴대 장치(50)의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대기 종료 정보 수신시 상기 대기 종료 정보와 상기 시설 이용 정보 각각에 포함된 특정 통신 단말(70) 관련 식별정보가 상호 일치할 때 상기 대기 종료 정보에 포함된 휴대 장치(50)의 고유 식별정보에 따라 식별된 상기 휴대 장치(50)로 상기 대기 종료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대기 종료 정보가 해당 휴대 장치(5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is related to queue registration (standby sequence number registration), the service server 100 stores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and then the mobile device for the arrival of a user's standby sequence number from the specific communication terminal 70 When the standby term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50) is received, when the standby termin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fic communication terminal 70 included in each of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portabl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andby termination information The standby termin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device 50 identified accor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50 so that the standby termin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portable device 50.

한편, 상기 키오스크 장치(60)는 사용자가 시설 이용에 대한 요금을 결제하지 않거나 보관함 이용료를 결제하지 않거나 휴대 장치(50)를 훔친 경우 상기 설정정보를 유지하여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40)의 단말 식별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를 추적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 식별정보는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kiosk device 60 maintains the setting information when the user does not pay for the use of the facility, does not pay the storage fee, or steals the mobile device 50, and the user terminal 40 included in the setting information ) Based o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an be supported. At this time,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MDN (Mobile Directory Number), mobile IP, mobile MAC,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ard unique information, serial number, and the like.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가 복수의 서로 다른 키오스크 장치(60)와 통신하여 복수의 서로 다른 키오스크 장치(60)를 관리하는 경우 상기 휴대 장치(50)에는 상기 휴대 장치(50)에 대응되는 특정 키오스크 장치(60) 관련 키오스크 식별 정보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통신 단말(70)은 상기 휴대 장치(50)로부터 상기 키오스크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 장치(50)의 고유 식별정보와 함께 수신하여 상기 키오스크 식별 정보를 상기 시설 이용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rvice server 100 manages a plurality of different kiosk devices 60 by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kiosk devices 60, the portable device 50 corresponds to the portable device 50. Kiosk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kiosk device 60 may be set in advance, and the specific communication terminal 70 receives the kiosk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50 together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The kiosk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100.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시설 이용 정보에 포함된 키오스크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대 장치(50)에 대응되는 특정 키오스크 장치(60)를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키오스크 장치(60)로 상기 시설 이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rvice server 100 may identify a specific kiosk device 60 corresponding to the portable device 50 based on the kiosk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kiosk device 60 ) Can transmit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관함의 잠금 제어에 사용되는 휴대 장치(50)를 이용하여 주변 시설에서 판매하는 서비스나 상품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특정 시설의 이용을 위한 대기 번호를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아울러 추후 대기 종료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 없이도 사용자에게 시설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convenient purchase of a service or a product sold in a nearby facility by using a portable device 50 used to control the lock of a storage box or registers a waiting number for use of a specific facility. In addition, by providing support for future standby termination, it is possible to guarantee convenience for users to use the facility without a user terminal.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모듈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devices, modules, and components described herein can be implemented by hardware circuitry (eg, CMOS based logic circuitry), firmware, software, or combinations thereof.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transistors, logic gates, and electronic circuits in the form of various electrical structures.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contents may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락커 10: 보관함
20: 단말 관리 장치 21: 커넥터부
22: 장치 제어부 23: 제 1 충전부
24: 제 1 통신부 31: 근거리 통신부
32: 잠금부 33: 잠금 제어부
40: 사용자 단말 41: 어플리케이션부
45: 근거리 통신부 50: 휴대 장치
51: 근거리 통신 모듈 52: 통신 모듈
53: 입력 모듈 54: 표시 모듈
55: 제어 모듈 56: 전원 모듈
60: 키오스크 장치 61: 출력부
62: 통신 연결부 63: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64: 제 2 통신부 65: 메모리부
66: 키오스크 제어부 70: 통신 단말
1: Locker 10: Locker
20: terminal management device 21: connector unit
22: device control unit 23: first charging unit
24: first communication unit 31: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32: lock 33: lock control
40: user terminal 41: application unit
45: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50: mobile device
51: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52: communication module
53: input module 54: display module
55: control module 56: power module
60: kiosk device 61: output unit
62: communication connection 63: user interface
64: second communication unit 65: memory unit
66: kiosk control unit 70: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1)

하나 이상의 보관함이 구성된 락커의 보관함별로 보관함의 내부에 구성되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구성되어 상기 커넥터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 연결시 상기 커넥터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충전하는 단말 관리 장치;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성되어 상기 단말 관리장치의 커넥터 연결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부재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는 외부 수신 정보 관련 부재중 정보에 대해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부;
상기 하나 이상의 보관함과 각각 대응되어 상기 보관함별로 구성되어 상기 보관함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하나 이상의 잠금 장치 중 특정 잠금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시 상기 특정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광역 통신을 통해 상기 알림 정보 수신시 상기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 장치;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알람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부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단말 관리 장치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상기 휴대 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알림 정보에 포함시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키오스크 장치; 및
상기 키오스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알림 정보에 포함된 상기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장치로 상기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키오스크 장치는 사용자 단말이 커넥터를 통해 신규 연결된 단말 관리 장치로부터 단말 연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단말 관리 장치를 통해 전원 연결 패턴을 제공하도록 하고, 해당 전원 연결 패턴을 검출한 어플리케이션부의 정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부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단말 관리 장치를 특정하고,
상기 보관함별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 장치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휴대 장치로 충전 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휴대 장치와 근거리 통신 두절시 상기 보관함을 잠금하고, 상기 휴대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된 인증 정보를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휴대 장치 인증시 상기 보관함을 잠금 해제시켜 상기 보관함이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관함과 각각 대응되는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보관함 정보를 포함하는 보관함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키오스크 장치에 구성된 출력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키오스크 장치에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선택된 특정 보관함에 대응되는 보관함 정보에서 사용 상태를 가변하며, 상기 특정 보관함의 사용 상태 가변 이후 상기 보관함 리스트 정보 요청시 상기 사용 상태가 가변된 상기 특정 보관함의 보관함 정보를 포함하는 보관함 리스트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위한 원격 정보 처리 시스템.
A terminal management device configured to be inside the storage box for each storage box of a locker in which one or more storage boxes are configured, and a connector unit for connection with a user terminal of a user is configured to charge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nnector unit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
Application unit that is configured in the user terminal to check the connector connection of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and generates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xter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ternal information received in the user terminal in the absence of the user and transmits it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Each of the one or more lockers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lockers is configured for each locker to unlock or unlock the specific lock during close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lock among one or more locks that lock or unlock the locker, and through wide area communication A portable device that display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Receiving alarm information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pplication unit and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device preset in correspondence to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to which the user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unit is installed is connected to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pecific terminal management device A kiosk device to include and transmi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ervice server that transmit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ortabl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kiosk device
Including,
The kiosk device receiv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from a newly connected terminal management device through a connector, and when a short-range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unit, provides a power connection pattern through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corresponding The terminal management device to which the user terminal installed with the application unit is connected is identified through the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unit detecting the power connection pattern,
It is configured for each storage box, and includes a mounting unit on which the portable device is mounted, provides charging power to the portable device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locks the storage box when short-distance communication is lost with the portable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device for unlocking the storage box by unlocking the storage box when authenticating the portable device by compar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with the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kiosk device generates library list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pre-stored storage box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storage boxes and displays it through an output unit configured in the kiosk device, and inputs a user through a user interface unit configured in the kiosk device. The stor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torage box selected based on the variable is used, and when the storage list information is requested after the storage status of the specific storage is changed, the storage list information including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storage box in which the storage status is changed is displayed. Remot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through the output.
KR1020190076203A 2019-06-26 2019-06-26 Remot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user apparatus in stroage KR202000773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03A KR20200077378A (en) 2019-06-26 2019-06-26 Remot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user apparatus in stro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03A KR20200077378A (en) 2019-06-26 2019-06-26 Remot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user apparatus in stroag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729A Division KR101996258B1 (en) 2018-12-20 2018-12-20 Remot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user apparatus in stro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378A true KR20200077378A (en) 2020-06-30

Family

ID=7112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203A KR20200077378A (en) 2019-06-26 2019-06-26 Remot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user apparatus in stro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737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919A (en) 2015-08-13 2017-02-22 주식회사 새누 Unmanned thing storage system and method using user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919A (en) 2015-08-13 2017-02-22 주식회사 새누 Unmanned thing storage system and method using user portab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308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 credential provisioning
US10148135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device using a wireless charger
US10158968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1500858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Network Access Parameter Sharing
US201501729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Access Parameter Sharing
KR20210122882A (en) Express credential transaction system
KR20110092516A (en) Cloud printing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EP2833330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GB2533675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N103582169A (en) Multilayer network connection communication system, intelligent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JP2023500019A (en) mobile digital lock technology
KR1013687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rt and shipping container using smart phone
EP3171621B1 (en) Authenticating of a communication target device
US20200304977A1 (en) Early Activation of Mobile Device to Enable Use at Service Terminal
KR101996258B1 (en) Remot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user apparatus in stroage
KR20200070979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user apparatus in stroage and mobile devie
KR10199625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user apparatus in stroage
KR20200077378A (en) Remot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user apparatus in stroage
KR20110127565A (en) Generating and managing summarized information applicable to mobile off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authenticating using the summarized information
KR101487349B1 (en) Terminal Authentication Method in Wireless Access Point and Wireless LAN System using the same
KR20110127566A (en) Payment method in mobile device using information recognizing and transmitting apparatus
EP3948599A1 (en) A computing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accessibility of data
KR20160139141A (en) Electronic equipme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Services How to Use
KR20190055529A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based on beacon
CN116828461A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outputting terminal equipment mes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