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243A -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243A
KR20200076243A KR1020180165160A KR20180165160A KR20200076243A KR 20200076243 A KR20200076243 A KR 20200076243A KR 1020180165160 A KR1020180165160 A KR 1020180165160A KR 20180165160 A KR20180165160 A KR 20180165160A KR 20200076243 A KR20200076243 A KR 20200076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ng
bluetooth module
terminal
information
dement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익수
구자휘
신동석
Original Assignee
강익수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익수,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익수
Priority to KR1020180165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6243A/ko
Publication of KR20200076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47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signal streng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33System arrangements with pre-alarms, e.g. when a first distance is exceed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노인의 실종 및 미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아, 장애인 및 치매노인 등 실종방지 대상인 관찰 대상자의 착용품에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가진 모듈을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관찰 대상자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치매노인의 실종 및 미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MISSING DOTARD AND CHILD}
본 발명은 치매노인의 실종 및 미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아, 장애인 및 치매노인 등 실종방지 대상인 관찰 대상자의 착용품에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가진 모듈을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관찰 대상자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치매노인의 실종 및 미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65세 이상의 고령자는 하기의 그림 1[치매노인의 증가 추이 및 전망] 및 그림 2[치매유병률]을 참조하면, 2012년 50만명이었으나, 2025년에는 102만명으로 두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에는 빠른 속도로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65세 이상 고령자의 치매 유병률 또한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자가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림 1]
Figure pat00001
[그림 2]
Figure pat00002
이러한 치매 환자들은 본인의 의지와 다르게 이동 중 방향을 잃고 맴돌거나 해당 위치를 인지하지 못하며, 이러한 상황에서 의사결정능력이 없어 신속히 대처하기가 어렵다.
또한, 가정, 유치원, 학교 또는 학원에서 소풍 또는 체험학습 등을 통해 아동들이 야외에서 학습하는 시간이 많아지는 등의 이유로, 유아들의 실종 가능성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즉, 치매 환자, 지적장애인 및 유아 등과 같이 보호를 필요로 하는 보호대상자들은 길을 잃거나 유괴, 납치 등의 범죄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아동 범죄나 치매노인의 실종 방지를 위해 위치 추적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팔찌나, 목걸이 형태 등으로 신체에 착용하는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단말기와 같이 직접 소지하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형태의 추적 제품은 잃어 버리기 쉬울 뿐만 아니라, 소지나 착용을 위해 항상 챙겨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가 있으며, 외부로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범죄시 고의적으로 제거하여 위치 추적 기능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하므로 범죄예방 및 실종 방지효과에 한계가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외출시에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의복, 또는 신발에 추적 장치를 부착하여 실수로 인한 분실과 고의적 제거를 방지하여, 범죄예방 및 실종 방지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한다.
또한, 관찰 대상자에 대한 실시간 추적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치매노인의 실종 및 미아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관찰 대상자의 신발 및 의복을 포함한 착용품에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연속 근거리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블루투스모듈과,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수신된 근거리 무선신호 강도를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모듈과의 이격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격거리 정보에 따라 알림 경보를 출력하는 보호자 단말기와, 상기 블루투스모듈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고,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과 상기 보호자 단말기 간 이격거리가 무선통신 최대 가능거리 이상 이탈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무선신호가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수신되지 않는 실종 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자동 수신하는 주변인 단말기 및 상기 실종 상황 발생 시, 실종 상황 발생 여부를 알리기 위한 실종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주변인 단말기에 상기 실종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격거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격거리 정보에 따라 경고 신호 및 알림 신호를 포함한 알림 경보를 출력하는 신호출력기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출력기는, 상기 이격거리 정보가 기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관찰 대상자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며, 또한, 상기 이격거리 정보가 무선통신 최대 가능거리 이상인 경우, 기저장된 상기 관찰 대상자 및 보호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림 신호는, 실종자의 관찰 대상자 지정 여부, 실종 상황 발생 여부, 치매 및 장애 여부를 포함한 관찰 대상자 특이사항 정보 및 보호자 연락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출력기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알림 경보의 출력이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연속 근거리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관찰 대상자의 신발 및 의복을 포함한 착용품에 구비하여, 외부 노출을 최소화함에 따라 실수로 인한 분실과 고의적 제거를 방지하여, 범죄예방 및 실종 방지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한다.
또한, 블루투스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하되, 수신된 근거리 무선신호 강도를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모듈과의 이격거리를 산출하고, 이격거리 정보에 따라 알림 경보가 출력되도록 보호자 단말기를 구성하여, 관찰 대상자에 대한 실시간 추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치매노인의 실종 및 미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호자 단말기를 통한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서비스의 실행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변인 단말기를 통한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서비스의 실행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1000)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1000)은, 블루투스모듈(100), 보호자 단말기(200), 주변인 단말기(300) 및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블루투스모듈(100)과 보호자 단말기(200), 그리고 블루투스모듈(100)과 주변인 단말기(300)는 블루투스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상호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루투스를 대체하여, 필요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NFC 태크, RFID 및 WIFI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200)와 관리 서버(400), 그리고 주변인 단말기(300)와 관리 서버(400)는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아동, 장애인 및 치매노인 등 실종 가능성이 높아 보호자를 필요로 하는 관찰 대상자의 신발 및 의복을 포함한 착용품에 블루투스모듈(100)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블루투스모듈(100)을 소지한 관찰 대상자가 보호자 단말기(200)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어 실종 위험에 노출될 경우,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에 알림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여, 실종을 예방하고 위험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모듈(100)과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 간 이격거리가 점차 멀어짐에 따라, 상호 간 무선통신이 끊어져 결국 실종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실종된 관찰 대상자가 소지한 블루투스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주변인 단말기(300)에, 주변 실종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실종 상황 정보가 출력되도록 구성하여, 실종 상황 발생 시, 주변인들이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변인들에게 의한 신속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관리 서버(400)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이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 및 주변인 단말기(300)에 탑재된 상태를 토대로 이루어지며, 보호자 및 주변인은 상기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관찰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실종 위험 가능성 도래 시, 이를 알리는 알림 경보, 또는 실종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블루투스모듈(100)은, 관찰 대상자의 신발 및 의복을 포함한 착용품에 구비되며, 이는 외출시에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착용품에 장착하여, 미착용 위험 및 분실 위험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모듈(100)은, BLE(Bluetooth Low Energy)를 활용한 근거리 데이터 무선통신을 기술을 사용하는 기기로서, 사물 및 상황 인식, 콘텐츠 푸쉬 및 실내위치측위 등 다양한 응용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블루투스모듈(100)은, 실종 가능성이 높은 관찰 대상자가 소지하는 신호전송기기로 사용되어,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 또는 주변인 단말기(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간으로 연속 근거리 무선신호를 보호자 단말기(200), 또는 주변인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모듈(100)과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 또는 주변인 단말기(300)와의 정상통신이 가능한 이격 거리는 일반적으로 10~70m의 범위가 될 수 있으며, 이는 블루투스모듈(100)의 무선신호 전송가능거리로서, 블루투스모듈(100)의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모듈(100)은,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로부터 상호 간의 이격거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이격거리 정보에 따라 알림 경보를 출력하는 신호출력기를 구비하며, 상기 신호출력기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보호자 단말기는(200)는 상기 관찰 대상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기로서,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워치형 단말기,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종래의 단말기에 적용되는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는,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수신된 근거리 무선신호 강도를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모듈(100)과의 이격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격거리 정보에 따라 알림 경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는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호자 단말기를 통한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서비스의 실행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격거리 정보가 기설정된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는 경우, 알림경보가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알림경보는, 알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알림음이 울리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거리 정보가 무선통신 최대 가능 거리 이상 이탈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무선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실종 상황이 발생할 경우, 후술할 관리 서버(400)에 의해 실종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에 의해 산출된 이격거리 정보는 상기 블루투스모듈(100)로 전송되며, 이는 상기 블루투스모듈(100)의 신호출력기로부터 알림 경보 출력을 유발할 수 있으며, 상기 알림 경보는 경고 신호 및 알림 신호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신호 출력기는, 상기 수신한 이격거리 정보가 기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관찰 대상자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 신호가 출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고 신호는, 관찰 대상자가 현재 위치에서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경고하기 위한 경고메시지가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관찰 대상자가 보호자로부터 더욱 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출력기는, 상기 이격거리 정보가 무선통신 최대 가능거리 이상인 경우, 기저장된 상기 관찰 대상자 및 보호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림 신호는, 실종자의 관찰 대상자 지정 여부, 실종 상황 발생 여부, 치매 및 장애 여부를 포함한 관찰 대상자 특이사항 정보 및 보호자 연락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실종 상황 발생 시, 주변인들이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변인들에게 의한 신속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신호출력기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알림 경보의 출력이 제어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블루투스모듈(100)이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로부터 기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경우, 상술한 경고 신호가 출력되되, 추가적으로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른 경보음이 더 출력될 수 있다.
보호자는 상기 서비스 플랫폼 접속에 의하여 상기 신호출력기의 구동을 제어함에 따라, 상기 경보음의 출력 여부를 설정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경보음 출력 여부, 경보음 출력 음량 및 경보음 출력 주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보호자는, 상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경보음의 출력 위치를 감지하여, 관찰 대상자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다.
이는, 차량 스마트키 조작에 의한 경고등 및 경고음이 작동되는 원리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주변인 단말기(300)는, 상기 블루투스모듈(100)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고,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100)과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 간 이격거리가 무선통신 최대 가능거리 이상 이탈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무선신호가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로 수신되지 않는 실종 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자동 수신하며, 이는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의한 주변인 단말기를 통한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서비스의 실행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블루투스모듈(100)로부터 무선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단말기들은 모두 주변인 단말기(300)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주변인 단말기(300)는 상술한 서비스 플랫폼이 탑재된 상태를 전제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변인 단말기(300)는 실종 상황 발생 시, 상기 블루투스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자동 수신하며, 더불어, 상기 주변인 단말기(300)는, 상술한 실종 상황 발생에 따른 근거리 무선신호 자동 수신 내역을 알리는 알림메시지, 또는 알림음이 출력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주변인에 의한 관찰 대상자의 실종 상황 발생에 관한 인지가 가능하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주변인 단말기(300)는,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실종 상황 정보가 강제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 서버(400)는, 실종 상황 발생 시, 이를 알리기 위한 실종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 또는 주변인 단말기(300)에 상기 실종 상황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실종 상황 정보는, 실종자의 관찰 대상자 지정 여부, 실종 상황 발생 여부, 치매 및 장애 여부를 포함한 관찰 대상자 특이사항 정보 및 보호자 연락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보호자 연락정보는 필수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실종 상황 발생 시, 상기 실종 상황 정보를 수신한 주변인으로부터 실종된 관찰 대상자의 보호자로 직접 호 소통이 가능토록 하여, 치매노인의 실종 및 미아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변인과 보호자의 호 소통을 통해 실종 상황이 종료되는 경우, 보호자는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실종 상황 해제 신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보호자 단말기(200)와 블루투스모듈(100)이 무선 통신 가능한 일정거리 이내에서 상호 재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실종상황이 자동 해제되도록 서비스 플랫폼의 구동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을 마치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100 : 블루투스모듈
200 : 보호자 단말기
300 : 주변인 단말기
400 : 관리 서버

Claims (4)

  1. 관찰 대상자의 신발 및 의복을 포함한 착용품에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연속 근거리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블루투스모듈;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수신된 근거리 무선신호 강도를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모듈과의 이격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격거리 정보에 따라 알림 경보를 출력하는 보호자 단말기;
    상기 블루투스모듈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고,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과 상기 보호자 단말기 간 이격거리가 무선통신 최대 가능거리 이상 이탈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무선신호가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수신되지 않는 실종 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자동 수신하는 주변인 단말기;
    상기 실종 상황 발생 시, 실종 상황 발생 여부를 알리기 위한 실종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주변인 단말기에 상기 실종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격거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격거리 정보에 따라 경고 신호 및 알림 신호를 포함한 알림 경보를 출력하는 신호출력기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출력기는,
    상기 이격거리 정보가 기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관찰 대상자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며,
    또한, 상기 이격거리 정보가 무선통신 최대 가능거리 이상인 경우, 기저장된 상기 관찰 대상자 및 보호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신호는,
    실종자의 관찰 대상자 지정 여부, 실종 상황 발생 여부, 치매 및 장애 여부를 포함한 관찰 대상자 특이사항 정보 및 보호자 연락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기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알림 경보의 출력이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KR1020180165160A 2018-12-19 2018-12-19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KR20200076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160A KR20200076243A (ko) 2018-12-19 2018-12-19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160A KR20200076243A (ko) 2018-12-19 2018-12-19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243A true KR20200076243A (ko) 2020-06-29

Family

ID=7140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160A KR20200076243A (ko) 2018-12-19 2018-12-19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62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6252A1 (zh) * 2021-01-20 2022-07-28 南方科技大学 一种防走失监护系统
KR20230159104A (ko) 2022-05-13 2023-11-21 울산과학기술원 공공 협력을 통한 실종 치매환자 발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6252A1 (zh) * 2021-01-20 2022-07-28 南方科技大学 一种防走失监护系统
KR20230159104A (ko) 2022-05-13 2023-11-21 울산과학기술원 공공 협력을 통한 실종 치매환자 발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57887A1 (en) Wearable personal safety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KR101341555B1 (ko)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40073262A1 (en) Proximity tag for object tracking
US9533743B2 (en) Life saving apparatus
CN103325210A (zh) 模块化的移动健康和安全系统
KR101356557B1 (ko)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및 이를 이용한 실종방지 시스템
JP2017005694A (ja) グループのためのモバイルテザーシステム
US20090042534A1 (en) Personal security tracking system and method
KR20200076243A (ko)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KR20160122470A (ko)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404717B1 (ko) 유아 안전관리 시스템 및 유아 안전관리 방법
KR100926239B1 (ko) 지피에스 기능을 이용한 사용자 위치 추적장치
JP2017005668A (ja) 防犯及び防災システム
WO2014160372A1 (en) User interface for object tracking
US201803363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lert to Avoid Misplacement of a Device or Item
US11430316B2 (en) Wearable device and system for tracking
CN114078308A (zh) 情境感知安全警报
JP738415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50116207A (ko) 웨어러블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미아방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EP3440647B1 (en) Method for the remote monitoring of persons through smart mobile terminals and web services
KR101505849B1 (ko) 전자발찌 착용자 출현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90124400A (ko) 케이블 방송과 연계된 미아방지 시스템
Pandey et al. Smart patch: An IoT based anti child-trafficking solutio
US10229573B1 (en) Immediate alert for tracking movement via wireless tethered devices
KR20150120189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