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692A - Fog detection device using coordin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og detection device using coordin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692A
KR20200075692A KR1020180164621A KR20180164621A KR20200075692A KR 20200075692 A KR20200075692 A KR 20200075692A KR 1020180164621 A KR1020180164621 A KR 1020180164621A KR 20180164621 A KR20180164621 A KR 20180164621A KR 20200075692 A KR20200075692 A KR 20200075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g
image
interest
region
abs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6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7078B1 (en
Inventor
허병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텍
Priority to KR1020180164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078B1/en
Priority to NO20210870A priority patent/NO20210870A1/en
Priority to PCT/KR2019/017827 priority patent/WO2020130545A1/en
Publication of KR20200075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6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0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fog detection apparatus using a coordinat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g detection device using a coordinate system sets two or more regions of interest (ROI) to measu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on a road and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and a visual range using an image of the relevant ROI. The fog detection device comprises: a moving means having a camera unit mounted thereon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set ROI in real time, while traveling on the corresponding road; a fog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and the visual range in the ROI by extracting the image of the ROI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of the moving means; and a control server, which receiv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g and the visual range detected by the fog measurement unit, so as to display the same on electronic road signs of the corresponding road or a situation room or transmit the same thereto as weather informa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provide, in real time,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and the visual range in the corresponding area as fog analysis information.

Description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장치 및 그 방법{FOG DETECTION DEVICE USING COORDINATE SYSTEM AND METHOD THEREOF}Fog detection device and method using coordinate system{FOG DETECTION DEVICE USING COORDIN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개 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수단에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안개탐지기술을 적용하여 안개의 유무와 강도를 측정하여 표시하는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g dete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 fog detection device using a coordinate system that measures and displays the presence and intensity of fog by applying fog detection technology based on an image taken with a camera mounted on a vehicle. It's about the way.

기상 정보는 일상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날씨에 대한 정보이다. Weath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weather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daily life.

최근 기상청은 기상예보를 민간 기상예보 사업자도 할 수 있도록 개방하였고,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날씨의 변동이 심해지면서, 기상 정보에 대한 관심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Recentl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as opened weather forecasting so that private weather forecasters can do it. As weather fluctuations intensify due to climate change, interest in weather information is increasing.

정확한 기상 정보의 모니터링 및 예측을 위해서는, 기상 장비의 설치를 통해 기상 데이터를 획득하여야 한다.For accurate monitoring and forecasting of weather information, weather data must be acquired through the installation of weather equipment.

기상상태(안개, 비, 눈)는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교통사고를 야기 시키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안개에 대비한 안전시설은 안전표지판, 안개 차단망, LED시선 유도등, 안개등, 과속단속장비 등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Weather conditions (mist, rain, snow) are the main factors causing traffic accidents by interfering with the driver's vision, and to date, safety facilities against fog are safety signs, fog shielding networks, LED gaze guidance lights, fog lights, and speeding It has installed and operated intermittent equipment.

이러한 안전 시설물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안개지역에 국한되어 설치/운영되고 있어 시공간적으로 불특정하게 발생하는 안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Since these safety facilities are installed/operated only in a fog region that occurs continuously, they are not effectively responding to fog occurring in spatio-temporally unspecified fog.

특히 안개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도로 설계 시 안개 발생에 대비한 안전 위험 표시 시설물의 설치 사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안개 발생 및 시정 상태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안개 경보 시스템이 개발 및 설치되고 있으나 보조 시설물을 이용하여 시정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은 별도의 목표물을 설치가 필요함에 따라 별도의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시정거리 측정방법은 새벽과 같이 주야간 구분이 애매한 경우 시정 계산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넓은 영역에 대한 시정 거리 측정이 가능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시정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In particular, as the danger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fog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the installation of safety hazard indication facilities in preparation for fog during the road design has been actively conducted. As one method for this, a fog warn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installed to measure fog occurrence and visibility and alert the driver through this.However, a method for measuring visibility distance using auxiliary facilities requires installation of a separate targe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cost is generat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ethod of measuring the visibility distanc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visibility when the division between day and night, such as dawn, is ambiguou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capable of measuring a correction distance over a relatively large area and measuring the correction distance at a low cost.

KR 등록특허공보 제10-0946749호(2010.03.11)KR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46749 (2010.03.11)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 상에 설정된 관심영역을 촬영한 영상에서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검출할 수 있는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is problem is to provide a fog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coordinate system capable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and visibility of fog in an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set on a road.

또한, 본 발명은 해당 도로를 상시 주행하는 이동수단에 카메라를 부착하여 운행하면서 설정된 관심영역의 영상을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검출할 수 있는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g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coordinate system capable of detecting the presence and visibility of fog in real time by taking an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while driving the camera by attaching a camera to a moving means constantly driving the road.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그리고 본 발명은 하나의 관심영역을 거리별로 촬영한 각각의 영상에서 복수 개의 안개탐지방법을 사용하여 안개 탐지 기능을 향상시킨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g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coordinate system that improves a fog detection function by using a plurality of fog detection methods in each image photographing one region of interest by distanc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로상에서 안개 유무를 측정할 영역을 관심영역(ROI)으로 둘 이상 설정하고 해당 관심영역의 영상을 이용하여 안개의 유무 및 시정거리를 탐지하는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장치는, 해당 도로를 주행하면서 설정된 관심영역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장착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관심영역(ROI)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해당 관심영역의 안개 유무와 시정거리를 측정하는 안개측정부, 및 상기 안개측정부에서 탐지된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수신하여 해당 도로의 전광판 또는 상황실에 표시하거나 기상정보로 전송하는 기상정보제공서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wo or more areas to measu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on the roa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t as a region of interest (ROI), and fog using a coordinate system that detects the presence and visibility of fog using the image of the region of interest The detection device extracts an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ROI) from a moving means equipped with a camera unit that photographs an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set in real time while driving the corresponding road and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of the moving unit. It includes a fog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the presence and visibility of the fog, and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at receives the presence and visibility of the fog detected by the fog measurement unit and displays it on the electric signboard or situation room of the corresponding road or transmits it as weather information. Can be achieved by configuring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수단에 장착된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안개의 유무와 강도를 탐지하는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방법은, (a)도로 상에 하나 이상의 관심영역(ROI)과 상기 이동수단이 해당 관심영역을 향하여 진행하는 방향에서 영상을 취득할 영상취득GPS좌표를 둘 이상 설정하는 단계와, (b)상기 영상취득GPS좌표와 현재 이동수단이 수신한 GPS좌표가 일치하면,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취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c)상기 취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관심영역의 안개 유무와 시정거리를 탐지하고 탐지된 결과를 기상정보제공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기상정보제공서버는 상기 (c)단계에서 탐지된 안개 유무와 시정거리를 각 도로별 전광판 또는 상황실에 표시하거나 기상정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og detection method using a coordinate system for acquiring an image from a camera mounted on a mo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detecting the presence and intensity of fog from the acquired image is (a) on the road. Setting two or mor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to acquire an image in at least one region of interest (ROI)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means proceeds toward the region of interest, and (b) th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and the current moving means If the received GPS coordinates match, controlling to acquire an image using the camera, (c) analyzing the acquired image to detect the presence and absence of fog in the region of interest and providing the detected result with weather information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server and (d)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s achieved by inclu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g detected in step (c) and the visibility distance to each billboard or situation room or transmitting the weather information. Can be.

상기 (C)단계에서의 안개유무와 시정거리의 판단은 둘 이상의 영상취득GPS좌표에서 수신한 영상 모두에서 안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최종 해당 관심영역에 안개가 있는 것으로 판정을 하되, 상기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의 판단은 안개농도측정법에 의한 분석과 윤곽선추출법에 의한 결과, 그리고 명도분석법에서 분석한 결과가 모두 일치할 때를 안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안개가 있다고 최종 판단된 경우에, 안개농도측정법에 의한 분석과 윤곽선추출법에 의한 분석 시 추출된 시정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and the visibility distance in step (C) determines that there is fog in the final area of interes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fog in both images received from two or mor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Judging whether there is fog and when the result of the analysis by the fog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and the contour extraction method, and the results analyzed by the brightness analysis method are consistent, the fog is determined. The extracted correction distance can be calculated during the analysis by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and the analysis by the contour extraction method.

따라서 본 발명의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해당 도로를 상시 주행하는 다수의 차량으로부터 해당 관심영역의 영상을 측정하여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분석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안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fog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provides real-time fog information because it analyzes the presence and visibility distance of the fog by measuring the image of the region of interest from a number of vehicles driving on the road at all times. It has the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관심영역에 대한 거리별 영상을 분석하거나 및/또는 안개측정부에서 둘 이상의 방법으로 안개의 유무를 판단하기 때문에 인식율을 높여 신뢰성 있는 안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og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rate is increased because the image of each region of interest is analyzed and/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is determined by two or more methods in the fog measurement unit.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reliable fog inform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안개의 유무에 대한 정보와 함께 시정거리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도로를 주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og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visibility and the visibility of the fog, so it is effective in driving the road more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개 탐지 장치의 주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개 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관심영역의 설정과 안개유무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
도 5는 거리별 측정 영상에서 안개의 유무를 판정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안개농도측정 방법과 윤곽선 추출방법에 의한 안개의 유무를 판정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명도에 의한 안개의 유무를 판정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fog detection using a coordina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main configuration of the fog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fog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tting a region of interest and identifying whether fog is present,
5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in a measurement image for each distance,
6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by the fog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and the contour extraction method,
And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by brightnes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lexical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terms can be properly defined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 sense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group”, “module”, and “devic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or software. Can be.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o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cludes all combinations that can be presented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first item, second item, and/or third item" will be presented from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 as well as two or more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It means a combination of all possible items.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identification numbers (for example, a, b, c, ...) in each step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s do not limit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order specified unless a specific order has been explicitly stated in the context.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First,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as follows.

"이동수단"은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 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도로를 주행하면서 설정된 영역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차량과 같이 도로상을 움직이는 영상촬영수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Moving means" is a high-speed national highway, a general national highway, a metropolitan road, a metropolitan road, a provincial road, an island, an island, and an image of a moving image such as a vehicle that can take an image of a set area while driving on one or more roads It shall mean.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개 탐지 장치의 주요 구성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fog detection using a coordina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main configuration diagram of a fog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장치 및 방법은 안개의 유무를 확인하고자 하는 도로 상에 관심영역(ROI)을 설정하고, 해당 관심영역을 향하여 진행하는 이동수단에서 접근 거리별로 해당 관심영역을 촬영한 둘 이상의 영상을 분석하여 관심영역(ROI)의 안개 유무를 판단하도록 한다.The fog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region of interest (ROI) on a road to check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and photographs the region of interest for each approach distance in a moving means proceeding toward the region of interest Analyze two or more images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in the ROI.

도 1을 참고하면, 도로(400) 상에 이동수단(100)이 주행하면서 전방에 설정된 관심영역(ROI;Region of interest)(200)을 접근 거리별로 설정된 영상취득구간(210)에서 영상을 촬영하여 분석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1, as the moving means 100 travels on the road 400, an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ROI) 200 set in front is taken in an image acquisition section 210 set for each access distance. To analyze.

관심영역(ROI;200)은 안개의 유무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중요도가 높은 영역이며, 영상취득구간(210)을 통과하는 이동수단에 장착된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영역속에 포함되게 설정한다.The region of interest (ROI) 200 is an area of high importance for easil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and is set to be included in an area in which a camera mounted on a moving means passing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section 210 can shoot.

예를 들면 블랙박스와 같이 고정된 카메라가 상시 촬영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 판별이 용이한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다.For example, it is to set an area in which a fixed camera such as a black box can easily photograph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and a visible distance from among areas that can be photographed at all times.

도 4를 참고하면 터널의 상부 일측에 ROI를 설정해 둔 상태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ROI is set on the upper side of the tunnel.

영상취득구간(210)은 이동수단이 해당 지역을 통과할 때 관심영역(ROI;200)을 촬영할 위치로, GPS좌표로 설정하고, 이를 이동수단(100)이 감지하도록 하여 해당 GPS좌표를 통과할 때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기 위하여 관심영역(ROI) 전 거리별로 둘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mage acquisition section 210 is a location to photograph the region of interest (ROI) 200 when the moving means passes through the corresponding area, is set as a GPS coordinate, and the moving means 100 detects it to pass the corresponding GPS coordinat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more than one for each distance of the ROI in order to take an image.

도 1을 참고하면 영상취득구간(210)을 설정하고, 영상취득구간(210) 내에서 제1영상취득지점을 설정하고 해당 지점의 GPS좌표를 제1 영상취득GPS좌표로 x1포인트(211)를, 제2 영상취득GPS좌표로 x2포인트(212)를, 제3 영상취득GPS좌표로 x3포인트(213)를, 그리고 N번째 영상취득GPS좌표로 N포인트(N)를 표시하였다.Referring to FIG. 1, an image acquisition section 210 is set, a first image acquisition point is set within the image acquisition section 210, and a GPS coordinate of the corresponding point is assigned as the first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 x1 point 211. , X2 points 212 as the second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x3 points 213 as the third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and N points (N) as the Nth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예를 들면 영상취득구간(210)을 관심영역(ROI) 전 100m정도로 설정하고, 영상취득GPS좌표는 관신영역(ROI)전 150m, 100m, 50m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age acquisition section 210 may be set to about 100 m before the region of interest (ROI), and th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 may be set as 150 m, 100 m, 50 m before the region of interest (ROI).

또한, 관심영역(ROI;200)은 차량과 같이 카메라를 장착하여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 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도로에 설정하되, 해당 도로도 구간별로 나누어 복수 개 설정하여 도로 전반에 걸쳐 안개를 탐지하고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gion of interest (ROI) 200 is set on any one or more roads of a high-speed national road, a general national road, a metropolitan road, a metropolitan road, a provincial road, a city, a road, and a road where a camera can be used to photograph surrounding images by mounting a camera like a vehicle.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divide the corresponding roads into sections and set a plurality to detect fog and provide information across the roads.

또한, 안개다발지역, 안개잦은 지역들은 특별히 관리할 수 있도록 관심영역에 포함되어야 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fog areas and fog areas should be included in the area of interest for special management.

이를 위하여 이동수단(100)은 촬영된 영상으로 자체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고, 이를 기상정보제공서버(300)로 전송하여 분석하게 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moving means 100 may measure the presence or absence and visibility of the fog itself with the captured image, or transmit it to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for analysis.

즉 본 발명의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장치는 먼저 도로상에서 안개 유무를 측정할 영역을 관심영역(ROI)으로 둘 이상 설정하고 해당 관심영역의 영상을 이용하여 안개의 유무 및 시정거리를 탐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해당 도로를 주행하면서 설정된 관심영역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부(110)가 장착된 이동수단(100)과 이동수단(100)의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관심영역(ROI)(200)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해당 관심영역의 안개 유무와 시정거리를 측정하는 안개측정부(150,360)와 안개측정부(150,360)에서 탐지된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수신하여 해당 도로의 전광판 또는 상황실에 표시하거나 기상정보로 전송하는 기상정보제공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hat is, the fog detection apparatus using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sets two or more regions to measu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on the road as a region of interest (ROI) and uses the image of the region of interest to detect the presence and visibility of fog. , The region of interest (ROI) from the image taken by the moving unit 100 equipped with the camera unit 110 and the camera unit 120 of the moving unit 100 to photograph the image of the region of interest set in real time while driving the corresponding road ) (200) by extracting the image of the fog area and the visibility of the relevant area of interest to measure the presence and visibility of the fog detection unit (150,360) and the fog detection unit (150,360) detects the presence and visibility of the fog received by the billboard Or it comprises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to be displayed in the situation room or transmitted as weather information.

안개측정부(150,360)는 관심영역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이동수단(100)에서 직접 제1 안개측정부(150)를 구성하여 자체 분석하는 방법과 이동수단(100)에서 촬영한 영상을 전송하여 기상정보제공서버(300)에서 분석하는 제2 안개측정부(360)로 나누어서 설명하기로 한다.Fog measuring unit (150,360) is a configuration that receives the image of the region of interest and measur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g and the visibility distance. The method of self-analysis by configuring the first fog measuring unit 150 directly in the moving means 100 And it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a second fog measurement unit 360 that analyzes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by transmitting the image taken by the mobile means (100).

먼저 이동수단(100)은 카메라부(120)를 장착하고, 도로를 주행하면서 관심영역(ROI;200)을 촬영하고, 제1 안개측정부(150)에서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탐지하여 통신부(110)를 통하여 분석 정보를 안개 정보로 하여 기상정보제공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제1 안개측정부(150)가 없는 경우에는 기상정보제공서버(300)로 영상을 전송하여 기상정보제공서버(300)에서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First, the moving means 100 mounts the camera unit 120, photographs an area of interest (ROI) 200 while driving on the road, and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g and the visibility distance from the first fog measurement unit 150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unit. The analysi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using the fog information through the 110 or, if there is no first fog measuring unit 150, the image is transmitted to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to provide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can be analyzed.

카메라부(120)는 고정되어 제어부(140)로부터 영상을 촬영하라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시 영상을 촬영하고 있다가 제어부(140)가 영상취득GPS좌표라고 판단되면 해당 영상을 제1 안개측정부(150)로 전송하게 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120 is fixed to receive a signal to shoot an image from the control unit 140, or if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at it is an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 while taking a regular image, the first fog measurement unit ( 150).

바람직하게는 카메라부(120)는 상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저장부(170)에 촬영시간별로 저장하여 필요한 경우 블랙박스처럼 영상을 판독하게 하다가 제어부(140)가 영상취득GPS좌표(210)라고 판단된 경우의 영상을 별도로 영상저장부(170)에 촬영한 GPS좌표 및 이동수단의 고유 식별번호를 함께 저장하고, 해당 영상을 제1안개측정부(150)에서 분석하여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amera unit 120 photographs an image at all times and stores it in the image storage unit 170 for each shooting time, reads the image like a black box when necessary, and then determines that the controller 140 is th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 210. In the case of the image, the GPS coordinates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moving means are separately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170, and the image is analyzed by the first fog measurement unit 150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fog and the visibility distance. You can make it measurable.

특히 카메라부(120)는 여러 대의 이동수단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할 경우에는 카메라부(120)가 장착된 이동 수단의 소유주나 고유 식별 코드와 함께 전송하여 어느 이동수단에서 전송된 것인지 구별할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camera unit 120 may be mounted on a plurality of moving means, when an image is captured and transmitted, the camera unit 120 is transmitted along with the owner or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moving means equipped with the camera unit 120 and transmitted from any moving means. Needs to be distinguished.

IP카메라인 경우에는 IP주소만 전송하면 되고 일반 카메라인 경우에는 소유자의 식별코드를 포함한 고유 식별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n IP camera, only the IP address needs to be transmitted. In the case of a normal camera,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the owner's identification code can be transmitted.

본 발명에서는 특정 이동 수단이 카메라를 장착하고 도로를 주기적으로 운행하면서 영상을 촬영하게 할 수도 있으나, 해당 도로를 주기적으로 운행하는 고속버스나, 순찰차, 업무차량, 출근차량 등에 고유식별코드와 함께 카메라부를 장착시켜 실시간으로 영상을 수집할 수도 있기 때문에 영상 전송자에 대한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소정의 댓가를 지급하여 실시간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vehicle may be equipped with a camera and may take an image while periodically driving the road, but a camera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such as a high-speed bus, a patrol car, a work vehicle, a work vehicle, etc. Since it is also possible to collect images in real time by attaching a wealth,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by receiving an identification code for the image sender and paying a predetermined price to obtain a real time image.

카메라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설정된 영상취득GPS좌표에 도달하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동작한다.When the camera unit 120 reaches th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 set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the camera unit 120 operates to photograph an image in front.

이를 위하여 이동수단(100)은 이동 수단의 현재 GPS위치를 수신하여 좌표를 추출하는 GPS수신부(130)와 카메라부(120)를 이용하여 주변의 영상을 촬영할 영상취득GPS좌표를 둘 이상 저장한 측정좌표부(160)를 포함하고, GPS수신부(130)를 통하여 수신한 GPS좌표와 측정좌표부(160)에 등록된 영상취득GPS좌표와 일치하면 카메라부(120)가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o this end, the moving means 100 receives two or mor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for capturing the surrounding image using the GPS receiving unit 130 and the camera unit 120 that receive the current GPS position of the moving means and extracts the coordinates. A control unit including a coordinate unit 160 and controlling the camera unit 120 to capture an image when the GPS coordinates received through the GPS receiver 130 and th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registered in the measurement coordinate unit 160 match Includes 140.

또한, 영상저장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블랙박스와 같이 촬영한 영상을 시간별로 구분하여 영상을 저장하고, 영상취득GPS좌표에서 취득한 영상도 고유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하도록 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storage unit 170 stores the images captured by the time, such as a black box, by time, and stores the images acquir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together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제1 안개측정부(150)는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거나 수신하여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탐지하게 된다.The first fog measurement unit 150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g and the visibility distance by receiving or receiv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2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 수단이 제1 안개측정부(150)를 구비한 경우로 설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as a case where the moving means is provided with the first fog measuring unit 150.

제1 안개측정부(150)는 이동수단(100)의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판단한다.The first fog measurement unit 150 analyze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20 of the moving means 100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and visibility of the fog.

일례로 도 4의 관심영역의 설정과 안개유무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을 보면, 상단 그림은 수신한 영상에서 칼러를 제거하였을 경우 관심영역(ROI)에 윤곽선이 보이는 경우는 안개가 없어 양호한 상태를 의미하는 그림이고, 하단 그림과 같이 칼러(color)제거시 윤곽선이 보이지 않으면 안개가 있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ferring to the reference drawing for setting the region of interest in FIG. 4 and the method for identif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the top figure shows good outline when the outline is displayed in the region of interest (ROI) when the color is removed from the received image. It is a picture that means the state, and if the outline is not visible when the color is removed as shown in the figure below,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fog.

다른 방법으로 해당 관심영역의 안개가 있는 경우의 영상과 안개가 없는 경우의 영상 또는 안개의 강도에 따른 시정거리별 영상을 GPS좌표별로 제1안개측정부(150)에 저장을 해두고 촬영한 영상과 저장된 영상을 비교하여 안개의 유무와 함께 시정거리까지 비교하여 탐지하게 할 수도 있다.As another method, the image in the case of fog in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 image in the absence of fog or the image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fog are stored in the first fog measurement unit 150 for each GPS coordinate and taken. It is also possible to compare and detect the stored image and compare the visibility with and without fog.

또한, 안개는 도로의 사정에 따라 기상조건에 따라 급격하게 변할 수 있으므로, 제1안개측정부(150)는 거리별로 측정한 영상에서 안개의 유무를 측정하되, 복수의 안개 탐지 방법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In addition, since fog may rapidly change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s according to road conditions, the first fog measurement unit 150 measur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in the image measured by distance, but accurately uses a plurality of fog detection methods. It works to detect.

또한, 안개는 발생빈도뿐만이 아니라 시작시간과 소산시각에 다라 도로 안전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상당하므로, 시간별로 계절별로 지역별로 특성을 고려하여 안개 탐지 시간과 주기를 달리하여 진행하여야 신속하고 정확한 안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fog is not only the frequency of occurrence, but also the degree of influence on road safety depending on the start time and dissipation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different fog detection times and cycl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for each seas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통상 안개의 시작시간은 시정 500m이하의 안개는 5시에 201%, 6시에 237%이상이 발생하며, 오전 1시부터 9시까지 안개의 96.7%가 시작되는 것을 알 수 있다.10시경부터 24시까지 안개가 시작되는 빈도는 3.3%로 매우 낮고, 소산시각은 대부분 6시~7시 사이에 안개가 소산하는 빈도가 가장 높고 전반적으로 일출후에 안개가 소산되기 시작하여 오전 10시경에 대부분의 안개가 소산되는 것으로 나타난다(출처:대한지리학회지 제38권 제4호 2003(478~489))Normally, the start time of the fog is 201% at 5 o'clock and 237% at 6 o'clock, and it can be seen that 96.7% of the fog starts from 1 AM to 9 AM. The frequency of fog starts until 24 hours is very low, 3.3%, and the dissipation time is most frequent between 6 and 7 hours, and the fog starts to dissipate after sunrise. Fog appears to dissipate (Source: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38, No. 4 2003 (478~489))

즉, 동일 관심영역(ROI)에 대한 거리별 둘 이상의 영상취득구간(210)에서 수신한 영상 모두에서 안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안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어느 한 위치에서도 안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영역에서는 안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fog in all images received in two or more image acquisition sections 210 for each distance for the same region of interest (ROI),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fog,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fog at any one location. If there is, there is no fog in the area.

또한, 안개의 유무측정은 한 위치에서의 영상을 3가지 방법 즉 안개농도측정법과 윤곽선추출법 그리고 명도분석법에 의하여 모두 동일한 결과가 나온 경우로 안개의 유무를 판단한다. 즉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한 분석결과가 다른 분석결과와 상이한 경우는 안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ce/absence measurement of the fog is the case where the same result is obtained by three methods of the image at a location, that is, the fog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the contour extraction method, and the brightness analysis method. That is, when the analysis result by one method is different from the other analysis result,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fog.

구체적으로 안개농도측정법에 의한 분석에서도 안개가 있고, 윤곽선추출법에서도 안개가 있고, 그리고 명도분석법에서도 안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최종 해당 관심영역에 안개가 있는 것으로 판정을 하고, 안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안개농도측정법과 상기 윤곽선추출법에서 분석된 시정거리별 안개의 유무를 이요하여 시정거리를 산출하도록 한다.Specific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fog in the analysis by the fog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there is fog in the contour extraction method, and there is fog in the brightness analysis metho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fog in the final area of interest,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fog. In the case, the visibility distance is calculated by u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for each visibility distance analyzed in the fog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and the contour extraction method.

안개농도측정법은 도 6의 안개농도측정법과 윤곽선 추출법에 의한 안개의 유무를 판정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에서 상단 그림을 보면, 촬영된 영상에서 하부 영상의 가까운 거리부터 상부 영상의 먼 거리까지 구간을 대략 10구간으로 구분하고, 구간별 검출된 안개의 농도를 수치화하여 그래프로 표시하고 있다.The fog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shows the case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by the fog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and the contour extraction method of FIG. 6, and looking at the upper figure, the section from the close distance of the lower image to the far distance of the upper image in the captured image It is roughly divided into 10 sections, and the concentration of fog detected per section is numerically displayed.

상단 그림에서 양호한 경우를 보면 각 구간의 수치가 비슷하게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으나, 안개의 경우는 안개의 농도가 화면의 가까운 지역은 농도가 낮으나 점차 누적되어 거리가 멀어질수록 수치가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If you look at the good case in the upper figure, the figure of each section is similarly shown in the graph, but in the case of fog, the concentration of the fog is low in the area near the screen, but gradually accumulated so that the value increases as the distance increases. have.

안개의 농도측정법은 분석이 필요한 관심영역(ROI) 별로 분석을 하게 되며 각 픽셀의 색상값을 분산(variance) 수식을 이용하여 측정값을 계산하는 것이다.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of fog is analyzed for each region of interest (ROI) that requires analysis, and the color value of each pixel is calculated using a variance formula.

안개의 특징이 없는 경우 측정된 분산의 값은 200이상을 나타내며 안개의 특징이 있는 경우 농도에 따라 그값은 낮게 나타나게 된다. If there is no characteristic of fog, the measured dispersion value is more than 200, and if there is characteristic of fog, the value is low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특히 안개가 짙은 경우는 2이하의 값을 보이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fog is thick, a value of 2 or less is displayed.

안개 농도측정법에 사용되는 분산수식은 수학식 1과 같다.The dispersion equation used in the fog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is shown in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분산,
Figure pat00003
는 평균,
Figure pat00004
는 가중치이다.here
Figure pat00002
Is distributed,
Figure pat00003
Mean,
Figure pat00004
Is the weight.

윤곽선추출법은 분석이 필요한 관심영역(ROI)에 대하여 분석을 하게 되며 일반적인 Edge 추출기법을 사용한다. 에지는 영상안에 있는 객체의 경계(Boundary)를 가리키는 것으로 edge는 영상의 명암도를 기준으로 명암의 변화가 큰 지점으로, 명암, 밝기 변화율 즉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하여 미분방식을 이용하는 것이다.The contour extraction method analyzes the region of interest (ROI) that requires analysis, and uses a general edge extraction technique. The edge refers to the boundary of an object in the image. The edge is a point where the change in contrast is large based on the contrast of the image, and the differential method is used to detect the contrast, brightness change rate, or slope.

Edge 추출을 위한 임계값(Threshold value)은 10으로 사용한다.The threshold value for edge extraction is 10.

그리고 영상을 에지로 표현하게 되면 영상 속의 물체의 형태에 관한 정보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에지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로버트(roberts), 프리위트(prewitt), 소벨(sobel)등의 연산자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연산자들은 영상 미분에 기울기(gradient)연산자를 이용한 개념으로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mage is expressed as an edge, information on the shape of an object in the image can be maintained. To detect such an edge, operators such as roberts, prewitt, and sobel are used. These operators can be performed with the concept of using gradient operators in image differentiation.

이러한 윤곽선추출법은 공개되어 있는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outline extraction method can use a variety of publicly disclosed method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즉, 본 발명은 안개의 유무를 측정하는 방법의 하나로 윤곽선 추출법을 이용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ontour extraction method as one of methods for measur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도 6의 안개농도측정법과 윤곽선 추출법에 의한 안개의 유무를 판정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에서 하단 그림을 보면, 촬영된 영상에서 하부 영상의 가까운 거리부터 상부 영상의 먼 거리까지 구간을 대략 10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별 윤곽선을 추출한 우측화면을 보면 안개가 없고 양호한 날씨의 경우에는 붉은 선으로 윤곽이 추출되어 있고, 안개가 끼어있는 경우에는 윤곽선이 식별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figure exemplifying the case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by the fog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and the contour extraction method of FIG. 6, in the lower figure, the section from the close distance of the lower image to the far distance of the upper image is approximately 10 sections in the captured image. If you look at the screen on the right that separates the contours for each section and there is no fog, you can see that the contours are extracted with red lines in good weather, and the contours are indistinguishable in case of fog.

또한, 윤곽선 추출법을 이용하면 단계별 윤곽선의 추출정도에 따라 시정거리도 추정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contour extraction method is used, the visibility distance can be estimated according to the extraction degree of the contours at each stage.

예를 들어 우측 상단의 붉은 그림에 좌측의 단계별 박스를 축소하여 해당 위치에 대응시키면, 붉은 색으로 표시된 윤곽선이 보이는 위치의 시작점이 영상에서 시정거리로 환산하면 된다.For example, if the step-by-step box on the left side is reduced to the red figure on the upper right to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the starting point of the location where the outlined in red color is visible can be converted into the viewing distance in the image.

즉, 좌측화면의 10 구간에서 각 구간의 거리를 산정가능하므로 해당 거리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윤곽선이 추출되는 구간을 탐지하여 거리로 환산할 수가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distance of each section can be calculated from the 10 sections on the left screen, the corresponding distance information is stored and the section from which the contour is extracted can be detected and converted into a distance.

명도분석법은 색상에 대한 도수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말하며 도 7의 명도에 의한 안개의 유무를 판정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양호한 경우의 hue histogram을 보면 해당 관심영역(ROI)에 대한 색상값(pixel value)이 수치화되어 표시되는 반면, 안개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관심영역(ROI)에 대한 색상값(pixel value)이 "0"으로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brightness analysis method refers to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for color. Referring to the drawing exemplifying the case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by the brightness of FIG. 7, the color for the region of interest (ROI) is viewed by looking at the hue histogram in good case. It can be seen that, while the pixel value is displayed numerically, when there is fog, the pixel value for the ROI is displayed as "0".

이러한 명도분석법은 분석이 필요한 관심영역(ROI)에 대하여 분석을 하게 되며 HSL 추출기법을 사용한다.This brightness analysis method analyzes the region of interest (ROI) that requires analysis and uses the HSL extraction technique.

우선적으로 관심영역의 RGB컬러를 HSL(Hue Satruation Lightness)로 변환하고 이후 H(Hue)컬러만을 추출해낸다. 이후 추출된 H(Hue)컬러를 히스토그램으로 변환하는 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안개가 없는 일반적인 경우 100~150의 위치에 측정값이 나타나고, 안개가 있는 경우는 0의 위치에만 분포하게 된다.First, the RGB color of the region of interest is converted into HSL (Hue Satruation Lightness), and then only the H (Hue) color is extracted. Thereafter, a process of converting the extracted H(Hue) color into a histogram is performed. In the general case where there is no fog, the measured value appears at the position of 100 to 150, and when there is fog, it is distributed only at the 0 position.

안개의 분석은 신속한 데이터의 제공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각 이동수단에서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분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카메라부(120)의 촬영한 영상을 기상정보제공서버(300)에서 입력받아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판별하게 할 수도 있다.The analysis of the fog has been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alyz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g and the visibility distance in each mobile device to provide rapid data, but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20 is input from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and the visibility distance.

따라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어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기상정보제공서버(300)로 촬영한 영상이나 안개분석정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기상정보제공서버(300)로부터 영상전송을 의뢰받으면 해당 데이터를 기상정보제공서버(300)로 전송하도록 동작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set conditions, the control unit 140 transmits the image or fog analysis information captured by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requests image transmission from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operate to transmit the data to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즉, 기상정보제공서버(300)에서 식별코드를 지정하고 촬영한 영상이나 분석한 결과를 요청하면 해당 식별코드로 각 이동수단의 제어부는 촬영된 영상이나 안개분석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designates an identification code and requests a photographed image or an analysis result, the control unit of each mobile means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or fog analysis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code.

또한, 제어부(140)는 자체 메모리에 날짜별 시간별 촬영 영상이나 안개분석정보를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기상정보제공서버(300)로 전송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store the captured image or fog analysis information for each time in the memory of its own and transmit it to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if necessary.

또한, 제어부(140)는 기상정보제공서버(300)로 안개분석정보나 촬영 영상을 전송할 때는 식별코드가 전송되어 영상을 표시할 때 해당 영상의 지역명이 표시되어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ransmitting the fog analysis information or the captured image to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the control unit 140 transmits an identification code so that when displaying the image, the region name of the corresponding image is displayed so that it can be easily distinguished.

기상정보제공서버(300)는 기상 관계자나 관제센터나 기상센터 또는 도로교통센터에 설치된 단말기일 수 있으며, 본 발명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각 카메라로부터 해당 관심영역 또는 해당 도로의 촬영영상이나 안개 분석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meteorological person, a control center, a meteorological center, or a terminal installed in a road traffic center, and installs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nalyze a video of interest or fog of the road of interest from each camera. Information and the like.

특히, 설정된 지역의 긴급 문자 알림을 신청한 경우에는 기상정보제공서버(300)에서 해당 지역의 안개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한 경우 기상정보제공서버(300)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하면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되게 하여 단말기 관리자나 소지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when an emergency text notification in a set area is requested, when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suddenly changes in the fog of the area, receiv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automatically starts the stored application.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received information is displayed so that a terminal manager or a holder can confirm it.

기상정보제공서버(300)는 이동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촬영 영상과 안개분석정보 그리고 식별코드 등을 수신하고 이를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한 경우 해당 정보를 표시하거나 전송하도록 동작한다.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operates to receive and store the captured image, fog analysis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mobile means, and then display or transmi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when necessary.

도 2를 참고하면, 기상정보제공서버(300)는 멀티스크린(2350)으로 설정된 순서에 따라 식별코드가 서로 다른 지역의 영상을 도로명과 함께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는 지역은 타 스크린대비 점멸을 시키거나 경고음을 발생시켜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sequentially displays images of regions with different identification codes along with road names according to the order set with the multi-screen 2350, and other regions where rapid changes are expected are other. You can make special attention by blinking the screen or generating a warning sound.

이 경우 기상정보제공서버(300)는 지역의 관제센터나 기상센터 또는 도로교통센터와 같은 관리기관에 긴급 알림을 발송하고, 해당 지역 즉 식별코드별로 정보를 요청한 단말기들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각 단말기로 전송하여 단말기 소지자들이 긴급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sends an emergency notification to a management agency such as a regional control center or a weather center or a road traffic center, and if there are terminals requesting information for each region, that is, identification code, the weather information is provided to each server. I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o that terminal holders can share emergency information.

이를 위하여 기상정보제공서버(300)는 정보 수신을 요청한 단말기 소지자의 앱 설치에 대한 인증을 관리하고, 관리자의 서버접근에 대한 인증을 관리하는 사용자 인증부(320)와, 전광판이나 관리자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제공부(330), 그리고 각 이동수단(100)의 식별코드와 영상취득 GPS좌표 그리고 관심영역(ROI)영역의 GPS좌표를 저장하고 있는 카메라DB(340), 식별코드별 촬영영상과 안개분석정보 그리고 각 영상취득GPS좌표별 안개의 유무에 따른 영상과 시정거리를 나타내는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380), 수신한 영상을 분석하여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탐지하는 제2안개측정부(360)와 이동수단과 단말기와 각각 통신하는 서버통신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manages authentication for app installation of the terminal holder requesting information reception, and manages authentication for the administrator's server access, and a user authentication unit 320 and information through an electronic signboard or an administrator terminal. The data providing unit 330 for transmitting the data, the identification code and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of each moving means 100, and the camera DB 340 that stores the GPS coordinates of the region of interest (ROI), the captured image by identification code And fog storage information and a storage unit 380 for storing images indicating the presence and absence of fog for each GPS acquisition coordinates, and a second fog to detect the presence and visibility of fog by analyzing the received images. It may include a server communication unit 370 for communicating with the measurement unit 360 and the mobile means and the terminal, respectively.

데이터 제공부(330)는 저장부(380)에 저장된 데이터나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도로별 전광판 또는 상황실에 표시하거나 기상정보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data providing unit 330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380 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and the visibility distance on a billboard or situation room for each road or to transmit weather information.

서버제어부(310)는 급격한 안개의 변화가 감지된 경우는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해당 지역에 대한 긴급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지역을 통행하는 차량들에게 주의 경보를 발하도록 동작한다.The server control unit 310 operates to generate a warning sound and provide emergency information about a corresponding area when an abrupt change of fog is detected, and to issue a warning alert to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area.

또한, 서버제어부(31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기로부터 관심영역의 식별코드에 대한 영상이나 데이터를 요청하면, 해당 카메라의 현장 영상이나 안개분석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In addition, when the server controller 310 requests an image or data for an identification code of a region of interest from a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server controller 310 operates to extract and transmit the field image or fog analysi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amera.

제2 안개측정부(360)는 이동수단의 제1안개측정부(150)와 동일한 구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측정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fog measurement unit 360 measures the presence and visibility of the fog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fog measurement unit 150 of the moving means,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 본 발명의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fog detection method using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개 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개 탐지 방법은 이동수단에 장착된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안개의 유무와 시정서리를 탐지하게 된다.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fog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fog det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an image from a camera mounted on a moving means, and the fog from the acquired image Presence and visibility of frost will be detected.

본 발명의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방법은 영상을 촬영할 GPS좌표를 설정하여 영상취득GPS좌표로 저장하는 단계(S100)와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110), 그리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S120)와 분석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판단하는 단계(S130), 그리고 필요한 경우 외부로 안개분석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g detection method using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setting a GPS coordinate for capturing an image and storing it as an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 (S100) and capturing an image (S110), and analyzing the captured image (S120). And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g and the visibility distance based on the analyzed data (S130), and transmitting the fog analysis information to the outside if necessary (S140).

단계 S100에서의 영상취득GPS좌표는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이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산출하기 위하여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장소를 GPS좌표로 설정하고 저장한다.In step S100, th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 is set and stored as a GPS coordinate in a place where a vehicle driving a road wants to take an image in order to calculate the presence or absence and visibility of fog.

바람직하게는 먼저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관심영역 전방을 영상취득구간으로 설정하되, 해당 관심영역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지역을 설정하여야 한다.Preferably, the region of interest is first set, and the region in front of the region of interest is set as an image acquisition section, but the region capable of accurately photographing the region of interest should be set.

영상취득구간이 설정되면 해당 지역의 여건을 고려하여 둘 이상의 영상취득지점을 설정하고 해당 지점의 GPS좌표를 영상취득GPS좌표로 설정하는 것이다.When the image acquisition section is set, two or more image acquisition points ar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conditions, and the GPS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point are set as th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도로상에 복수 개의 관심영역(ROI)을 설정할 수 있고, 영상취득GPS좌표는 하나의 관심영역(ROI)의 전방에 둘 이상 설정하여 거리별 영상을 취득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regions of interest (ROI) may be set on the corresponding road, and th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may be set in front of one region of interest (ROI) to acquire an image for each distance.

둘 이상의 영상취득GPS좌표가 설정되면 해당 GPS좌표는 이동수단(100)의 측정좌표부(160)와 기상정보제공서버(300)의 카메라DB(340)에 각각 저장된다.When two or mor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are set, the corresponding GPS coordinates are stored in the measurement coordinate unit 160 of the mobile means 100 and the camera DB 340 of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respectively.

이러한 영상취득GPS좌표(210)는 기상정보제공서버(300)에서 관리자가 해당 좌표를 입력하고 입력된 좌표를 통신을 통하여 이동수단(100)으로 전송하여 측정좌표부(160)의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추가 삭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 210, the administrator inputs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from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and transmits the input coordinates to the mobile means 100 through communication to change the data of the measurement coordinates 160 or Of course, it can be deleted.

즉, 이동수단(100)의 통신부(110)와 기상정보제공서버(300)의 서버통신부(370)는 상호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mobile means 100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70 of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can exchange information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단계 S110에서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단계 S100에서 설정한 영상취득GPS좌표에 이동수단이 도달하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다.The step of taking the image in step S110 is to take an image using a camera when the moving means reaches th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 set in step S100.

이를 위하여 이동수단(100)은 도로를 운행하다가 제어부(140)는 GPS수신부(130)로 수신되는 GPS좌표와 측정좌표부(160)에 등록되어 있는 영상취득GPS좌표(210)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111), 카메라부(120)를 제어하여 관심영역(ROI)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고(S112), 촬영된 영상은 자체 분석을 진행하거나 또는 기상정보제공서버(300)로 전송하여 분석을 진행하게 할 수 있다(S113).To this end, while the vehicle 100 is driving the road,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GPS coordinates received by the GPS receiver 130 and th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210 registered in the measurement coordinate unit 160 are matched. When (S111), the camera unit 120 is controlled to take an image including the region of interest (ROI) (S112), and the captured image is analyzed by itself or by transmitting it to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It can be made to proceed (S113).

단계 S120은 수신한 영상을 이용하여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검출하기 위하여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로 4단계로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 있다.Step S120 is a step of analyzing the image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g and the visibility distance using the received imag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performed in four steps.

먼저 둘 이상의 영상취득GPS좌표에서 수신한 영상 모두에서 안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S121).First, it should be determined that there is fog in all images received from two or mor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S121).

상술한 바와 같이 안개는 시간과 주변의 기후조건에 따라 변화무상하므로 하나의 관심영역(ROI)의 전방에서 거리별로 촬영한 영상이 모두 안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다음 단계의 안개 유무 분석방법으로 이행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og is free to change depending on the time and surrounding climatic conditions, so it is determined that all the images taken by distance from the front of one region of interest (ROI) are fogged before moving to the next method for analyz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

예를 들면, 관심영역(ROI) 전 150m, 100m, 50m에 영상취득GPS좌표가 설정되어 있다면 해당 지점에서 촬영한 3개의 영상으로브터 추출한 관심영역(ROI)에 안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are set at 150m, 100m, and 50m before the region of interest (ROI), it should be determined that there is fog in the region of interest (ROI) extracted from the three images captured at the corresponding point.

물론 단계 S121에서 거리별 영상으로부터 어느 하나라도 안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지역은 안개가 없음으로 판정하면 된다(S132).Of cours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1 that there is no fog in any of the distance-specific images, the region may be determined to have no fog (S132).

이대 안개의 유무는 안개농도측정법, 윤곽선추출법, 또는 명도분석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다.The presence or absence of this generation of fog may be performed by any one of a fog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a contour extraction method, or a brightness analysis method.

다시 설명하면, 거리별 영상 각각에 대하여 상기 3가지 안개분석법(안개농도측정법, 윤곽선추출법, 명도분석법)으로 분석하였을 경우 모두 동일하게 안개가 있는 것으로 분석결과가 나오는 경우 해당 거리에서 안개가 있는 것으로, 어느 하나라도 안개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면 해당 거리에서는 안개가 없는 것으로 판정을 한다.In other words, when analyzing the images for each distance by the three types of fog analysis methods (fog concentration measurement, contour extraction, and brightness analysis), all have the same fog. If any one is analyzed to be free of fog,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fog at that distance.

이런 과정을 반복하여 거리별 안개의 유무를 판정하고, 거리별 분석결과가 동일하게 안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안개가 있는 것으로, 어느 하나의 거리별 영상이 안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관심영역에서는 안개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이다.By repeating this proces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fog by distance, and if the analysis result by distance is determined to have the same fog, there is fog.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단계 S122에서의 안개농도측정법에 의한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 산출, 단계 S123에서의 윤곽선추출법에 의한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 산출 그리고 단계 S124에서의 명도측정법에 의한 안개의 유무 판정방법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상술한 안개 탐지 장치에서 설명한 안개측정부의 판정방법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Calcul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and visibility of the fog by the fog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in step S122, the calculation of the presence and visibility of the fog by the contour extraction method in step S123,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by the brightness measurement method in step S124 Is the same as th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fog measurement unit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fog detection apparatus, and will be omitted.

단계 S120에서 해당 관심영역(ROI)에 대한 안개의 유무가 검출되면 이동수단(100)의 제어부(140)는 안개있음이나 안개없음으로 판정한다(S130).Wh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for the region of interest ROI is detected in step S120, the control unit 140 of the moving means 1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fog or no fog (S130).

단계 S130에서 안개 있음으로 판정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40)는 제1안개측정부(150)에서 안개 분석시 단계 S122에서의 안개농도측정법에 의하여 안개의 유무 분석시 분석된 시정거리와 단계 S123에서의 윤곽선추출법에 의한 안개의 유무 분석시 분석된 시정거리를 산출하여 공통된 산출거리를 시정거리로 판정하여, 안개있음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시정거리도 안개데이터로 전송하도록 한다(S14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30 that the fog is present,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e visibility at the time of analyz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by the fog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in step S122 when analyzing the fog in the first fog measurement unit 150 and the step S123. When analyz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by the contour extraction method, the analyzed correction distance i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common calculated distance as the correction distanc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fog, the correction distance is also transmitted as fog data (S140).

단계 S140에서는 이동수단에서 분석한 경우에는 기상정보제공서버(300)로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포함하는 안개데이터로 전송하면, 기상정보제공서버(300)는 안개 유무와 시정거리를 각 도로별 전광판 또는 상황실에 표시하거나 기상정보로 전송하는 것이다.In step S140, when analyzed by the means of transportation, when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as fog data including the presence and visibility of the fog,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fog is present and the visibility distance for each road. It is displayed on the electric signboard or in the situation room or transmitted as weather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오류없이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측정하여 안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안개 정보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og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transmit fog information since it can guide by measur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g and the viewing distance without error in real time.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100 : 이동수단 120 : 카메라부
130 : GPS수신부 150 : 제1안개측정부
160 : 측정좌표부 200 : 관심영역(ROI)
210 : 영상취득GPS좌표 300 : 기상정보제공서버
360 : 제2안개측정부 400 : 도로
100: means of transportation 120: camera unit
130: GPS receiver 150: first fog measuring unit
160: measuring coordinate 200: region of interest (ROI)
210: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 300: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60: second fog measuring unit 400: road

Claims (5)

도로상에서 안개 유무를 측정할 영역을 관심영역(ROI)으로 둘 이상 설정하고 해당 관심영역의 영상을 이용하여 안개의 유무 및 시정거리를 탐지하는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장치에 있어서,
해당 도로를 주행하면서 설정된 관심영역의 주변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장착된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의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관심영역(ROI)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해당 관심영역의 안개 유무와 시정거리를 측정하는 안개측정부;및
상기 안개측정부에서 탐지된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를 수신하여 해당 도로의 전광판 또는 상황실에 표시하거나 기상정보로 전송하는 기상정보제공서버;
를 포함하는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장치.
In the fog detection apparatus using a coordinate system to set the two or more areas to measu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on the road as a region of interest (ROI) and detect the presence and visibility of fog using the image of the region of interest,
A moving unit equipped with a camera unit for real-time photographing a surrounding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set while driving the corresponding road;
A fog measurement unit that extracts an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ROI) from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of the moving means and measur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g and the visibility distance of the region of interest;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at receives the presence or absence and visibility of the fog detected by the fog measurement unit and displays it on a billboard or situation room of the corresponding road or transmits it as weather information;
Fog detection device using a coordinate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설정된 관심영역(ROI)을 포함하는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이동 수단의 현재 GPS위치를 수신하여 좌표를 추출하는 GPS수신부;
상기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주변의 영상을 촬영할 영상취득GPS좌표를 둘 이상 저장한 측정좌표부;
상기 GPS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GPS좌표와 상기 측정좌표부에 등록된 영상취득GPS좌표와 일치하면 상기 카메라부가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means
A camera unit that photographs a surrounding image including a set region of interest (ROI);
A GPS receiver that extracts coordinates by receiving the current GPS position of the mobile means;
A measurement coordinate unit storing two or mor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for capturing surrounding images using the camera unit;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camera unit to take an image when the GPS coordinates received through the GPS receiver and th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registered in the measurement coordinate unit match;
Fog detection device using a coordinate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정좌표부는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 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도로별로 해당 도로에 하나 이상의 관심영역(ROI)을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전에 이동수단의 진행방향에 따라 둘 이상의 영상취득GPS좌표를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measurement coordinate part
By setting at least one region of interest (ROI) on the relevant road for each one or more roads of express highways, general highways, metropolitan roads, metropolitan roads, provincial roads, cities, islands, and old road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before the areas of interest A fog detection device using a coordinate system that sequentially sets two or mor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이동수단에 장착된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안개의 유무와 강도를 탐지하는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방법에 있어서,
(a)도로 상에 하나 이상의 관심영역(ROI)과 상기 이동수단이 해당 관심영역을 향하여 진행하는 방향에서 영상을 취득할 영상취득GPS좌표를 둘 이상 설정하는 단계;
(b)상기 영상취득GPS좌표와 현재 이동수단이 수신한 GPS좌표가 일치하면,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취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c)상기 취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관심영역의 안개 유무와 시정거리를 탐지하고 탐지된 결과를 기상정보제공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및
(d)기상정보제공서버는 상기 (c)단계에서 탐지된 안개 유무와 시정거리를 각 도로별 전광판 또는 상황실에 표시하거나 기상정보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방법.
In the fog detection method using a coordinate system for obtaining an image from a camera mounted on a vehicle, and detecting the presence and intensity of fog from the acquired image,
(a) setting at least one region of interest (ROI) on the road and two or mor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to acquire an imag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means proceeds toward the region of interest;
(b) if the GPS coordinates received by th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and the current mobile means match, controlling to acquire an image using the camera;
(c) analyzing the acquired image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and the visibility distance of the region of interest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result to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d)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displa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g and the visibility distance detected in step (c) on a billboard or situation room for each road or transmitting the weather information;
Fog detection method using a coordinate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의 안개유무와 시정거리의 판단은 둘 이상의 영상취득GPS좌표에서 수신한 영상 모두에서 안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최종 해당 관심영역에 안개가 있는 것으로 판정을 하되, 상기 안개의 유무와 시정거리의 판단은 안개농도측정법에 의한 분석과 윤곽선추출법에 의한 분석, 그리고 명도분석법에 의한 분석한 결과가 모두 일치할 때를 안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안개가 있다고 최종 판단된 경우에, 안개농도측정법과 윤곽선추출법에 의해 분석된 시정거리를 산출하는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determin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g and the visibility distance in step (C) determines that there is fog in the final area of interes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fog in both images received from two or more image acquisition GPS coordinates. Whe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fog or not, whe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the fog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the analysis by the contour extraction method, and the analysis by the brightness analysis method are consistent, it is judged that there is fog, and when it is finally determined that there is fog, A fog detection method using a coordinate system that calculates the visibility distance analyzed by the fog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and the contour extraction method.




KR1020180164621A 2018-12-18 2018-12-18 Fog detection device using coordin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2570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621A KR102257078B1 (en) 2018-12-18 2018-12-18 Fog detection device using coordin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NO20210870A NO20210870A1 (en) 2018-12-18 2019-12-16 Fog detection device using coordinate system, and method therefor
PCT/KR2019/017827 WO2020130545A1 (en) 2018-12-18 2019-12-16 Fog detection device using coordinate system,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621A KR102257078B1 (en) 2018-12-18 2018-12-18 Fog detection device using coordin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692A true KR20200075692A (en) 2020-06-26
KR102257078B1 KR102257078B1 (en) 2021-05-27

Family

ID=7110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621A KR102257078B1 (en) 2018-12-18 2018-12-18 Fog detection device using coordin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57078B1 (en)
NO (1) NO20210870A1 (en)
WO (1) WO202013054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2694B (en) * 2021-03-31 2022-07-01 中南大学 H8/AHI-based method, device, medium and equipment for rapidly extracting morning and evening terrestrial fog
JP2023071272A (en) * 2021-11-11 2023-05-23 古野電気株式会社 Field of view determining system, field of view determining method, and progra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9637A (en) * 2005-06-20 2006-12-28 Denso Corp On-vehicle foggy state determination device, and automatic fog lamp system
JP2006349492A (en) * 2005-06-15 2006-12-28 Denso Corp On-vehicle fog determination device
JP2007265277A (en) * 2006-03-29 2007-10-11 Denso Corp Visibility range measurement device for vehicle, and driving support device
KR100946749B1 (en) 2008-03-19 2010-03-11 정양권 The Methord and the System of the fog detection using the Image recognition and image learning methord
KR20150059023A (en) * 2013-11-21 2015-05-29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Mobile system for gathering and transmitting road weather information and the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15807B1 (en) * 2014-11-06 2020-04-15 Gente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visibility range dete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9492A (en) * 2005-06-15 2006-12-28 Denso Corp On-vehicle fog determination device
JP2006349637A (en) * 2005-06-20 2006-12-28 Denso Corp On-vehicle foggy state determination device, and automatic fog lamp system
JP2007265277A (en) * 2006-03-29 2007-10-11 Denso Corp Visibility range measurement device for vehicle, and driving support device
KR100946749B1 (en) 2008-03-19 2010-03-11 정양권 The Methord and the System of the fog detection using the Image recognition and image learning methord
KR20150059023A (en) * 2013-11-21 2015-05-29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Mobile system for gathering and transmitting road weather information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210870A1 (en) 2021-07-06
WO2020130545A1 (en) 2020-06-25
KR102257078B1 (en)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5804B2 (en) Method for generating a digital record and roadside unit of a road toll system implementing the method
CN107506760B (en) Traffic signal dete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GPS positioning and visual image processing
KR1013647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og using the processing of pictured image
US2018006098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road structure management system, and road structure management method
US20100172543A1 (en) Multiple object speed tracking system
WO2014125248A1 (en) A road marking analyser and a method of analysis of road markings an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vehicle weave
KR102005713B1 (en) Intelligent tunnel management system
EP3361412B1 (en) Black ice detection system, program, and method
KR101461184B1 (en) Wether condition data extraction system using cctv image
KR102033858B1 (en) Prediction system for traffic accident
KR102349016B1 (en) Management system for analysis of road
US109964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of vehicle, and recording medium
KR1021190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marking information using image data and vibration
KR102267517B1 (en) Road fog detecting appartus and method using thereof
EP3530521A1 (en) Driver assistance method and apparatus
CN105021528A (en) Road weather detection device based on videos
KR102257078B1 (en) Fog detection device using coordin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859581B1 (en) System for display traffic information of intelligent
CN111523368B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erver, and traffic management system
US9979934B1 (en) Automated weather sensing system and method using cameras
CN110706491B (en) Traffic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for expressway
KR20160069762A (en) Nighttime Visibility Assessment Solution for Road System Method Thereof
CN105021573A (en) Method and device for tracking-based visibility range estimation
KR20210044127A (en) Visual range measurement and alarm system based on video analysis and method thereof
KR20120105966A (en) Apparatus for measuring of visibility and method for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