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289A - Built-In PlugHub System - Google Patents

Built-In PlugHub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289A
KR20200074289A KR1020180160008A KR20180160008A KR20200074289A KR 20200074289 A KR20200074289 A KR 20200074289A KR 1020180160008 A KR1020180160008 A KR 1020180160008A KR 20180160008 A KR20180160008 A KR 20180160008A KR 20200074289 A KR20200074289 A KR 20200074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ub
built
wireless
wireless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0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33571B1 (en
Inventor
성원영
박민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허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허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허브
Priority to KR1020180160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571B1/en
Publication of KR20200074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2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5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plug hub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related to a built-in plug hub system which can support remote device control, wireless security service, intelligent control service, and collective building management service without the need for residents to purchase a separate hub by mounting an Internet of things (IoT) hub solution on an embedded built-in electric device which is basically installed in a home or a collective building.

Description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Built-In PlugHub System}Built-in PlugHub System

본 발명은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또는 집합건물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매립형 빌트인 전기기기에 사물인터넷 허브 솔루션을 탑재하여 입주민이 별도의 허브를 구매할 필요 없이 원격기기 제어, 무선경비서비스, 지능형관제서비스, 집합건물관리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plug-hub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a built-in built-in electric device that is basically installed in a home or collective building is equipped with an IoT hub solution to control remote devices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hub to be purchased by residents. It is a technology about a built-in plug hub system that can support security service, intelligent control service, and collective building management service.

집안의 전자 기기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사용할 수 있는 리모콘 역시 그에 비례해서 증가를 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전자기기는 TV나 DVD 플레이어를 포함해서 에어콘과 A/V 시스템 등을 모두 아우르는 것이다.As th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in the house increases, the remote control that can use them also increases proportionally. The electronics used here encompass both air-conditioners and A/V systems, including TVs and DVD players.

리모트 컨트롤러의 줄임말인 리모콘은 상당히 편리한 발명품이다. 특정 주파수를 적외선에 담아서 송신부와 수신부를 분리하여 각각의 전자 기기의 특정 또는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이용자의 움직임을 최소로 해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리모콘의 수가 하나씩 증가를 하게 되면 관리하는 것도 귀찮아지기 마련으로, 이로 인해 등장한 것이 통합 리모콘이다. 하나의 리모콘으로 여러가지 가전기기를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편리한 물건이지만 이것 역시 한계가 있기는 마련이다. 한정된 버튼으로 다수의 전자기기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제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필수적인 기능 만을 제어할 수 있을 뿐이고 나머지는 본체에서 직접 제어를 해야 한다. 이어서 등장한 2세대 통합 리모콘은 학습 기능이라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학습 기능은 소스가 되는 리모콘의 적외선에 실린 주파수를 읽어서 복사하는 기능이다. 그러면 통합 리모콘에서 그것을 그대로 다시 적외선에 실어서 보내는 원리이다. 그리고 다시 한 번 진화해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통합 리모콘이 등장하였다. 이 리모콘은 자체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별도의 운영체제를 탑재하고 터치 스크린까지 내장하고 있다. Remote control, which is short for remote controller, is a very conveni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the user's movement is minimized by storing a specific frequency in infrared rays and separating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to control specific or all functions of each electronic device. However, if the number of remote controllers increases one by one, it becomes cumbersome to manage them. It is a convenient item that allows you to control all kinds of household appliances with a single remote control, but this also has its limitations. Since it is impossible to control all functions included in multiple electronic devices with limited buttons, only essential functions can be controlled, and the rest must be controlled directly from the main body. Subsequently, the second-generation integrated remote control that appeared was included as a learning function. The learning function is a function of reading and copying the frequencies carried in the infrared rays of the source remote control. Then, it is the principle to send it back to the infrared ray from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Then, once again, an integrated programmable remote controller appeared. The remote control itself is a system, with a separate operating system and a touch screen.

통합 리모콘에 대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3162호와 같이, 스마트기기와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어 약정된 특정 코드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어댑터 혹은 컴퓨터의 USB포트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컴퓨터 단말기 혹은 인터넷 망과 접속되어 펌웨어 및 통합 리모콘 제어코드의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USB포트; 통합 리모콘 제어코드가 지정된 영역에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제공되는 약정된 특정 코드를 인식하여 제품모델별 제어코드를 매칭시킨 다음 IR신호로 송출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코드를 IR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대상장치에 송출시키는 IR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중계장치가 개시되었다.Looking at the conventional technology for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s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23162,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pecified code is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mart device; A USB port connected to an adapter or a USB port of a computer to supply power, and connected to a computer terminal or an Internet network to upgrade firmware and integrated remote control code; A memory unit in which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code is stored in a designated area; A control unit that recognizes a specific code that is provid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tches control codes for each product model, and transmits the signal as an IR signal; Disclosed is a wireless relay device including; an IR transmitting unit that converts a control code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into an IR signal and transmits it to a control target device.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와 같은 통합 리모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상가나 오피스텔, 아파트 등에 입주하면 다양한 스마트기기에서 사용하는 저전력 무선통신을 와이파이통신 등을 통해서 인터넷으로 전송하거나, 인터넷으로 이러한 제폼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허브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게이트웨이 허브장치의 경우, 기존의 무선 스마트 기기보다 오히려 더 높은 가격이다.However, in order to use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as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echnology, when moving into a new shopping mall, officetel, apartment, etc.,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sed in various smart devices is transmitted to the Internet through Wi-Fi communication, or remotely controlled these products through the Internet. A gateway hub device for relaying must be provided separately. In the case of such a gateway hub device, the price is higher than the existing wireless smart device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3162호 (2016.05.16.)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23162 (2016.05.1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월패드와 같은 별도의 허브 게이트웨이가 필요 없이, 벽부 콘센트 외 허브 게이트웨이 기능을 하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which is to provide a built-in plug hub system that functions as a hub gateway other than a wall outlet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hub gateway such as a wall pad. have.

또한, 본 발명은 가정 및 사무실/매장 내에 각종 가전기기와 방범 및 전기기기를 자동으로 제어하고 전기에너지를 절감하며 관리현황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object to provide a built-in plug-hub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control various home appliances and crime prevention and electric appliances in the home and office/store, save electric energy, and receive management status information service. .

또한, 본 발명은 국내의 건물규격과 전기인증 규격에 부합하면서 사물인터넷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규격에도 모두 부합하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ilt-in plug hub system that satisfies all of the communication standards supporting the Internet of Things function while meeting domestic building standards and electrical certification standard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herein are from those described below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can be clearly understood.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저전력 무선통신 기반의 무선스마트기기;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인터넷 상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플러그허브; 사용자가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플러그허브와 상기 스마트폰 사이에 와이파이통신을 지원하는 공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허브는, 무선스마트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매립형 콘센트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위한 허브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uilt-in plug hub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based wireless smart device; A plug hub relaying the wireless smart device so that it can be remotely controlled over the Internet; A smartphone that provides an interface for a user to remotely control the wireless smart device or to monitor an operating state; And a router supporting Wi-Fi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g hub and the smartphone, wherein the plug hub comprises a buried outlet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a wireless smart device, so that a user is a hub for the wireless smart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to perform the function toge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허브는 상기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전기료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의 소비전력을 측정하며,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built-in plug hub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hub remotely controls the wireless smart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of the smart phone, and consumes power of the wireless smart device to provide electricity data to the us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function to cut off the standby power of the wireless smart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는 개폐 또는 동작을 감지하는 스마트홈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허브는 상기 스마트홈장비의 상태를 상기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무인경비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built-in plug-hub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smart device includes a smart home device that detects an opening or closing operation, and the plug hub shows the state of the smart home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of the smart phone. It is characterized by supporting unmanned security service provided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다수 개의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와 연동된 플러그허브와 무선연결 가능한 지능형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능형서버는, 머신러닝기법이나 사용자 입력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통해 내외부환경을 파악한 후 상기 내외부환경에 따라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제어하는 지능형관제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ilt-in plug-hub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lug-in hub and a wireless server capable of wireless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smart devices, wherein the intelligent server, by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or a user input program, the After identify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the wireless smart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an intelligent control service that controls the wireless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다수 개의 플러그허브와 무선연결 가능한 외부클라우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클라우드는, 상기 다수 개의 플러그허브와 각각 연동된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일괄적으로 제어하거나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의 사용패턴을 분석하는 집합건물관리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ilt-in plug hub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lug hubs and an external cloud that can be wirelessly connected, and the external cloud collectively controls the wireless smart devices interlocked with the plurality of plug hubs, respectively. Or it supports a collective building management service that analyzes the usage pattern of the wireless smart device.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빌트인 전기기기에 허브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고가의 월패드나 허브 게이트웨이가 필요하지 않은 효과가 있다.By means of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built-in plug hub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hub function, so that an expensive wall pad or a hub gateway is not required.

또한, 본 발명의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아파트나 빌딩 전체를 저렴하게 사물인터넷 관제 기술을 적용할 수 있어 에너지가 절감되며 기본적으로 입주민에게 방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uilt-in plug-hub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ly the Internet of Things control technology inexpensively to the entire apartment or building, energy savings and basically has the effect of providing various services such as crime prevention to residents.

또한, 본 발명의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저전력 무선통신 기반의 다른 제조사의 스마트 기기와도 손쉽게 연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uilt-in plug hub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interlocked with other manufacturers of smart devices based on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에 있어서 개인관리용 스마트폰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에 있어서 기업관리용 스마트폰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built-in plug hub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built-in plug hub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mart phone interface for personal management in the built-in plug hub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martphone interface for enterprise management in the built-in plug hub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built-in plug hub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and specific matters including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력 무선통신 기반의 무선스마트기기(10),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를 인터넷 상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플러그허브(20), 사용자가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30) 및 상기 플러그허브(20)와 상기 스마트폰(30) 사이에 와이파이통신을 지원하는 공유기(40)를 포함한다.Built-in plug hub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based wireless smart device 10, the wireless smart device 10 to the remote control over the Internet to control the plug hub ( 20), between the smart phone 30 and the plug hub 20 and the smart phone 30, which provides an interface through which a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wireless smart device 10 or monitor the operation status. And a router 40 supporting communication.

여기서, 상기 플러그허브(20)는,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매립형 콘센트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를 위한 허브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신축단계에서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도입하려면 게이트웨이 기능을 하는 월패드를 설치하거나, 허브 게이트웨이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데, 상기 플러그허브는 이러한 허브 기능을 빌트인 전기기기에 내장하여,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도록 마련되었다.Here, the plug hub 20 is composed of a buried outlet that can supply power to the wireless smart device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provided to perform a hub function for the wireless smart device 10 together Should be In general, in the new construction phase, in order to introduce the IoT system, a wall pad serving as a gateway or a hub gateway must be provided separately, and the plug hub incorporates such a hub function into a built-in electric device, thereby eliminating this hassle. Was prepared to.

상기 플러그허브는, 기본적으로 가전기기 등의 무선스마트기기에 대한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외에도 무선경비서비스, 지능형관제서비스, 집합건물관리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plug hub is basically provided to provide control services for wireless smart devices such as home appliances, and is also provided to support wireless security services, intelligent control services, and collective building management services.

먼저, 상기 플러그허브(20)는 상기 스마트폰(3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는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의 가전제품 뿐 아니라 무선 도어락, 무선 조명일 수 있으며, 또는 IR 리모콘을 상기 플러그허브(20)와 먼저 연결한 후 상기 IR 리모콘에 다수 개의 무선스마트기기를 연결한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플러그허브(20)는 사물인터넷 서비스로써 무선통신 제품을 제어하는 허브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여 스마트폰 인터페이스인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First, the plug hub 20 is provided with a function to remotely control the wireless smart device 10 through the interface of the smartphone 30. At this time, the wireless smart device 10 may be a wireless door lock, wireless lighting, as well as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air conditioners and air purifiers, or an IR remote controller may be connected to the plug hub 20 first, followed by multiple wireless connections to the IR remote controller. It may be in the form of connecting smart devices. That is, the plug hub 20 serves as a hub gateway for controlling a wireless communication product as an IoT service and can be controlled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that is a smartphone interface.

또한, 상기 플러그허브(20)는 사용자에게 전기료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의 소비전력을 측정할 수 있는 에너지미터 기능이 구비된다. 즉, 상기 플러그허브(2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모든 무선스마트기기(10)의 소비전력을 측정하여, 스마트폰 인터페이스인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실시간 전기료 데이터를 계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g hub 20 is provided with an energy meter function that can measur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less smart device 10 to provide electricity data to the user. That is, the power consumption of all the wireless smart devices 10 connected to the plug hub 20 by wireless communication is measured, transmitted to a dedicated application that is a smartphone interface, and the application can calculate real-time electricity bill data.

또한, 상기 플러그허브(20)는 릴레이 회로가 마련되어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30)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무선스마트기기의 전원 온오프에 대한 스케쥴을 기설정하여 상기 스케쥴에 따라 각각의 무선스마트기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할 수 있으며,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직접 차단하거나 켤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허브(20)는 자체적으로 발열이나 화재를 감지하는 수단이 더 마련되어, 발열이나 화재가 감지되면 모든 무선스마트기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는, 온도센서가 내장되어 발열이나 누전 상태에 따른 조기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g hub 20 is provided with a function to cut off the standby power of the wireless smart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relay circuit. At this time, by using the interface of the smart phone 30, a schedule for power on/off of the wireless smart devices can be preset to automatically turn on or off the power of each wireless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schedule. If it occurs, it can be manually blocked or turned on manually by the user. Here, the plug hub 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means for detecting heat or fire by itself, and when heat or fire is detected, all wireless smart devices can be automatically turned off. Alternatively, a built-in temperature sensor can provide an early warning according to a fever or short circuit condition.

다음으로, 상기 플러그허브(20)는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로써 최근 무인경비서비스를 위한 도어 개폐 센서나 동작 감지 센서 등과 같은 개폐 또는 동작을 감지하는 스마트홈장비의 상태를 상기 스마트폰(3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 센서의 경우 열림 감지 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거나 전기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경비 상태로 지정된 경우에는 문 열림 시 전등을 켜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또한, 동작 감지 센서의 경우 동작 감지 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거나 동작 감지 시 연동된 전기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허브(20)는 도어락 개폐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Next, the plug hub 20 is the wireless smart device 10, the state of the smart home device to detect the opening or closing operation, such as a door opening sensor or a motion detection sensor for the unmanned security service, the smart phone (30) ) To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n opening/closing sensor, a notification can be provided to a user when an open is detected, or an electric device can be controlled, and when it is designated as a guard state, it can be programmed to turn on a light when the door is opened. In additio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may be programmed to provide a notification to the user when the motion is sensed or to control the connected electric device when the motion is sensed. In addition, the plug hub 20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lock.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와 연동된 플러그허브(20)는 내외부환경에 따라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를 제어하는 지능형관제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지능형서버(5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ure 2, a plurality of the wireless smart device 10 and the plug hub 20 is interlocked to support the intelligent control service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smart device 10 according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ntelligent server 50; and can be connected wirelessly.

상기 지능형서버(50)는, 머신러닝기법이나 사용자 입력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를 통해 내외부환경을 파악한 후 상기 내외부환경에 따라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를 제어하는데, 이때 상술한 상기 플러그허브(10)의 기능들을 더 고도화시킬 수 있다. 즉, 무선통신이 가능한 센서를 통해 내외부환경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무선스마트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The intelligent server 50 controls the wireless smart device 10 according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after grasp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the wireless smart device 10 by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or a user input program. The functions of the plug hub 10 can be further enhanced. That is, it is provided to grasp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a sensor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to control the wireless smart device accordingly.

구체적으로, 기상청의 일출일몰 시간 서비스와 연동되어 해당 일출일몰 시간에 자동으로 스마트조명을 온오프할 수 있고, 기상청의 비 예보에 따라 현관의 스마트 전구의 색을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날씨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외출 모드 상태에서 스마트홈장비가 사람의 침입을 감지할 시 자동으로 전등이 켜지고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며 119신고 또는 경비출동으로 연동되도록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능형서버(50)를 포함하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시중의 인공지능 스피커로 음성인식이 연동될 수 있고, 독거노인의 생활을 보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it is linked with the sunrise sunset time servic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it can automatically turn on/off the smart lighting at the sunrise sunset time, and change the color of the smart bulb at the entrance according to the rain forecast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o provide weather information to the user. When the smart home device detects a person's intrusion in the outgoing mode, the light is automatically turned on and a notific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and a service may be supported to interwork with 119 reporting or dispatching expenses. In addition, the built-in plug-hub system including the intelligent server 50 may be linked to speech recognition through a commercially available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nd may be used to assist the elderly living alone.

상술한 본 발명의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가정과 같이 주거생활에 사용되는 개인관리용 서비스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는 모두 스마트폰(3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는데, 상기 스마트폰(30)의 인터페이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The built-in plug hub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for a personal management service used in residential life such as a home. This can all communicate with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of the smartphone 30, the interface of the smartphone 30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매장이나 기업에 적용되어 기업관리용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는 비콘으로 통신되는 결제시스템일 수 있고, 비콘 스캔 또는 발신 기능을 통해 용이한 결제를 지원하거나, VAN 서비스와 연동하여 위치정보를 통해 마케팅정보를 인근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발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경비서비스와 관련하여, 고용주가 피고용인의 근태 및 출석을 관리할 수 있으며, 실내 위치 측위와 함께 상품의 도난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모두 스마트폰(3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즉 매장이나 기업 관리자와 통신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스마트폰(30)의 인터페이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built-in plug hub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tore or a company to support a service for managing a company. At this time, the wireless smart device 10 may be a payment system that is communicated with a beacon, and supports easy payment through a beacon scan or transmission function, or people in the vicinity of marketing information through location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a VAN service. Can be sent to In addition, with regard to wireless security services, employers can manage employee attendance and attendance and support monitoring to prevent theft of goods along with indoor location positioning. In this case, all of them can communicate with a user, that is, a store or a company manager through the interface of the smartphone 30. At this time, the interface of the smartphone 30 may be provided as illustrated in FIG. 4.

본 발명의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플러그허브(20)와 무선연결 가능한 외부클라우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집합건물에 적용되는 것으로, 각 가정에 설치된 플러그허브(20)를 모두 관리할 수 있는 아파트 관리사무소나 각 사무실에 설치된 플러그허브(20)를 모두 관리할 수 있는 건물의 관리사무소와 같이 집합건물 관리에 유용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다.The built-in plug hub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lug hubs 20 and an external cloud 60 capable of wirelessly connecting as shown in FIG. 5. This applies to the collectiv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management office that can manage all the plug hubs 20 installed in each home or a management office in a building that can manage all of the plug hubs 20 installed in each office. It is to support useful services for management.

기본적으로, 상기 외부클라우드(60)는, 상기 다수 개의 플러그허브(20)와 각각 연동된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를 일괄적으로 제어하거나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의 사용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Basically, the external cloud 60 may collectively control the wireless smart devices 10 interlocked with the plurality of plug hubs 20 or analyze usage patterns of the wireless smart devices.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클라우드(60)는, 퇴근 이후 공공기관이나 사무실 내의 저기제품의 대기전력을 파악하고 자동으로 차단하여, 심야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클라우드(60)는, 상술한 지능형서버(50)와 유사하게 머신러닝기법이 적용되어, 각 구역 별 전기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에너지사용패턴을 제안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xternal cloud 60 can detect the standby power of the appliances in the public institution or office after work and automatically cut them off to reduce late-night energy. In addition, the external cloud 60,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is applied similarly to the intelligent server 50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electric energy consumption for each zone to propose an efficient energy use pattern.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대기전력 차단, 원격/지능형 전기 제어, 에너지 사용량/전기료 알림, 전기 누전 화재 예방 알림, 열림&동작 감지를 통한 방범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며, 무인경비 출동, API를 통한 타사 제품 연동, 근태 관리/부재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지능형 부가서비스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built-in plug hub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provides a security service through standby power cutoff, remote/intelligent electric control, energy usage/electricity notification, electric leakage fire prevention notification, open & motion detection, unmanned security dispatch, API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provide intelligent additional services for interlocking other companies' products and monitoring attendance/absence statu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별로 이용방법을 서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usage method for each service that can be supported using the built-in plug hub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첫째, 입주민은 입주시 빌트인된 사물인터넷 무선스마트기기를, 본인 소유의 공유기(40)에 등록하고, 스마트폰(30)을 통해 센서기기 및 무선통신 기기를 등록하여, 다양한 무선스마트기기(10)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First, residents move into the built-in IoT wireless smart device when they move in, and register the sensor devic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smartphone 30, and various wireless smart devices (10) Can be remotely controlled.

둘째, 상기 플러그허브(20)나 무선조명 스위치를 상기 공유기(40)에 연결하여, 자체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거나 지능형서버(50)에 연동하여 원격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관제 서비스에 연동하여 유료출동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허브(20)는 자체 대기전력 차단 회로로 인터넷 연결 없이도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에 있어서 스마트폰(30)을 통해 규칙, 스케쥴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온오프될 때마다 스마트폰(30)에 푸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Second, by connecting the plug hub 20 or the wireless lighting switch to the router 40, it can block its own standby power or can be opened and closed remotely by interlocking with the intelligent server 50, and further linked to the control service You can apply for a paid dispatch service. Here, the plug hub 20 is a self-standby power cut-off circuit can operate the standby power cut-off function without an Internet connection. In addition, in remote control, a rule, a schedule, and the like can be set through the smartphone 30, and a push notification can be provided to the smartphone 30 whenever it is turned off.

셋째, 호텔/모텔/리조트에 적용되면, 창문에 마그네틱 비콘센서를 부착하여 창문이 장시간 열려있는 경우에는 냉난방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30)을 이용하여 각 방의 여러 장비를 동시에 설정할 수 있으며, 룸 청소원이나 매니저의 스마트폰으로 각 방의 장치 작동상태를 점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hird, when applied to a hotel/motel/resort, a magnetic beacon sensor may be attached to the window to automatically cut off the power of the air conditioner when the window is open for a long time. In addition, by using the smart phone 30, it is possible to set up multiple devices in each room at the same time, and it can be used to check the operation status of the devices in each room with the smart phone of the room cleaner or manager.

넷째, 상기 플러그허브(20)의 허브 기능에 연동하여 열림감지센서와 동작센서가 활용되어, 시큐리티 모드 시 침입자를 탐지하면 푸쉬알림이나 출동서비스가 자동으로 신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연기/화재/온도/습도와 같은 센서를 연동시킬 수 있으며, API플랫폼을 제공하여 유아 체온계, 스마트 도어락, 스마트 적외선 리모콘과 같은 블루투스 기반의 타사 제품과도 연동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Fourth, an open detection sensor and a motion sensor are utilized in conjunction with the hub function of the plug hub 20, and when an intruder is detected in the security mode, a push notification or dispatch service may be automatically applied. In addition, sensors such as existing smoke/fire/temperature/humidity can be interlocked, and an API platform is provided to provide services to interoperate with other Bluetooth-based products such as infant thermometers, smart door locks, and smart infrared remote controls. Can be.

다섯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을 제어하는 스마트폰 인터페이스에는 다수 개의 모드를 설정하고 변경될 수 있으며, 일부 등록된 시나리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등록된 시나리오는 생활모드, 외출모드, 취침모드, 휴가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활모드에서는, 대기전략 차단, 원격 제어, 에너지사용량 모니터링과 함께 누전이나 발열감지를 실시간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스케쥴에 따라 다수 개의 기기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출모드에서는, 생활모드 기능은 그대로 사용하는 데, 더 나아가서 도어센서나 동작센서를 이용한 무선경비서비스가 더 지원되며 복귀시 자동으로 조명이나 전자기기가 켜지도록 지능형 서비스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취침모드에서는, 상기 외출모드와 동일하게 무선경비서비스가 지원되며, 전원 소등이나 타이머 후 전기 차단 기능으로 심야 에너지를 절감시키는 서비스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휴가모드에서는, 무선경비서비스에 사용자에게 푸쉬알림을 제공하고, 경비출동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으며, 정해진 시간에 전원을 점등하고 소등하는 원격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Fifth, a plurality of modes may be set and changed in a smartphone interface controlling a built-in plug-hub system, and some registered scenarios may be provided. The registered scenario may include a living mode, a going out mode, a sleep mode, and a vacation mode. In the living mode, a short circuit or remote control and energy consumption monitoring can be activated in real time to detect a short circuit or heat, and a service for simultaneously operating multiple devices according to a schedule may be provided. In the outgoing mode, the life mode function is used as it is, and furthermore, a wireless security service using a door sensor or a motion sensor is further supported, and an intelligent service can be set to automatically turn on lighting or electronic devices when returning. In the sleep mode, the wireless security service is supported in the same way as the outing mode, and a service that reduces late-night energy by turning off the power or turning off the electricity after a timer may be activated. In the vacation mod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ush notification to a user for a wireless security service, support a security dispatch service, and provide a remote control service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at a predetermined tim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러그허브(20)는 허브 기능이 매립형 전기기기인 콘센트로 서술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빌트인 콘센트 대신 매립형 전기조명스위치, 외장콘센트나 멀티탭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lug hub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ub function is described as a receptacle that is a buried electric device,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applied to a buried electric lighting switch, an external outlet, or a multi-tap instead of a built-in receptacle.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ny altered or modified form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무선스마트기기
20 : 플러그허브
30 : 스마트폰
40 : 공유기
50 : 지능형서버
60 : 외부클라우드
100 : 단위별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
10: wireless smart device
20: plug hub
30: smartphone
40: router
50: intelligent server
60: external cloud
100: built-in plug hub system for each unit

Claims (5)

저전력 무선통신 기반의 무선스마트기기;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인터넷 상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플러그허브;
사용자가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플러그허브와 상기 스마트폰 사이에 와이파이통신을 지원하는 공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허브는,
무선스마트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매립형 콘센트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위한 허브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
Wireless smart devices based on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A plug hub relaying the wireless smart device so that it can be remotely controlled over the Internet;
A smartphone that provides an interface for a user to remotely control the wireless smart device or to monitor an operating state; And
Includes; a router that supports Wi-Fi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g hub and the smart phone,
The plug hub,
Built-in outlet that can supply power to the wireless smart device, the built-in plug hub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provided to perform a hub function for the wireless smart device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허브는 상기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전기료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의 소비전력을 측정하며,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lug hub remotely controls the wireless smart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of the smartphone,
Measur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less smart device to provide electricity data to the user,
Built-in plug hub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function to cut off the standby power of the wireless smar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는 개폐 또는 동작을 감지하는 스마트홈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허브는 상기 스마트홈장비의 상태를 상기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무인경비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smart device includes a smart home device that detects opening or closing;
The plug-in hub is a built-in plug-hub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an unmanned security service that provides the user with the state of the smart home equipment through the interface of the smartphone.
제1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와 연동된 플러그허브와 무선연결 가능한 지능형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능형서버는,
머신러닝기법이나 사용자 입력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통해 내외부환경을 파악한 후 상기 내외부환경에 따라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제어하는 지능형관제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mart server capable of wireless connection with a plug hub interlocked with a plurality of the wireless smart devices,
The intelligent server,
Built-in plug-hub system characterized by supporting an intelligent control service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after grasp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the wireless smart device through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or a user input program.
제1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플러그허브와 무선연결 가능한 외부클라우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클라우드는,
상기 다수 개의 플러그허브와 각각 연동된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일괄적으로 제어하거나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의 사용패턴을 분석하는 집합건물관리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lug hubs and an external cloud that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he outer cloud,
A built-in plug hub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collective building management services that collectively control the wireless smart devices interlocked with the plurality of plug hubs or analyze usage patterns of the wireless smart devices.
KR1020180160008A 2018-12-12 2018-12-12 Built-In PlugHub System KR1021335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008A KR102133571B1 (en) 2018-12-12 2018-12-12 Built-In PlugHub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008A KR102133571B1 (en) 2018-12-12 2018-12-12 Built-In PlugHub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289A true KR20200074289A (en) 2020-06-25
KR102133571B1 KR102133571B1 (en) 2020-07-14

Family

ID=71400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008A KR102133571B1 (en) 2018-12-12 2018-12-12 Built-In PlugHub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57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352B1 (en) * 2023-05-30 2024-01-05 박우석 Internet of things integrated remote control device, method and system embedded in displa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558A (en) * 2005-03-02 200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in home network system
KR20150124070A (en) * 2014-04-25 2015-11-05 전자부품연구원 Home Appliance Standby Power Learning Method based on Power Consumption Analysis
KR101623162B1 (en) 2013-05-16 2016-05-20 주식회사 서비전자 Wireless extender with universal remote code and employment method thereof
KR20160063666A (en) * 2014-11-27 2016-06-07 (주)메이딧 Method for Certification and Registration of Smart Plug and System thereof
KR20160072006A (en) * 2015-09-04 2016-06-22 주식회사 서비전자 Smart concent system
KR20170078226A (en) * 2015-12-29 2017-07-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lush mounted socket apparatus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and th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558A (en) * 2005-03-02 200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in home network system
KR101623162B1 (en) 2013-05-16 2016-05-20 주식회사 서비전자 Wireless extender with universal remote code and employment method thereof
KR20150124070A (en) * 2014-04-25 2015-11-05 전자부품연구원 Home Appliance Standby Power Learning Method based on Power Consumption Analysis
KR20160063666A (en) * 2014-11-27 2016-06-07 (주)메이딧 Method for Certification and Registration of Smart Plug and System thereof
KR20160072006A (en) * 2015-09-04 2016-06-22 주식회사 서비전자 Smart concent system
KR20170078226A (en) * 2015-12-29 2017-07-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lush mounted socket apparatus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and the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352B1 (en) * 2023-05-30 2024-01-05 박우석 Internet of things integrated remote control device, method and system embedded in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571B1 (en)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5893B2 (en) User friendly systems and devices facilitating water conservation in the smart home
US10102507B2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ate replacement of depleted batteries
JP6524143B2 (en) Device, method, and 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for a home equipped with a smart sensor
US9747769B2 (en) Entry point opening sensor
US10339773B2 (en) Home security system with automatic context-sensitive transition to different modes
AU2013204671B2 (en) Wireless Power, Light and Automation Control With Ambient Light and Proximity Detection
US952615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ight sources according to location
US20150198938A1 (en) Systems,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20160189527A1 (en) Intelligent Object-Based Alarm System
US2016018952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ed arming and disarming of a security system
US20120310415A1 (en) Control panel for a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system
CN107765565A (en) A kind of intelligent domestic system of automatically starting
US10748362B2 (en)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unattended services
KR102133571B1 (en) Built-In PlugHub System
WO2021039658A1 (en) Control system, alarm system, alarm devic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21039655A1 (en) Control system, disaster prevention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uly A Survey on Novel Services in Smart Home (Optimized for Smart Electricity Grid)
AU2015204325B2 (en) Method for Setting an Ambient Light Threshold in a Power Controller
KR20160036728A (en) Interactive environment home network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KR20160005387A (en) Shop management system
KR20220122181A (en) Home IOT-based service system
Nagaraju Smart Home Using IOT Integrated with Cloud
DiBenedetto Home automation and power conservation using ZigBee®
KR20180100970A (en) Power control system using low-power open detection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