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777A -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가지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가지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777A
KR20200072777A KR1020180160742A KR20180160742A KR20200072777A KR 20200072777 A KR20200072777 A KR 20200072777A KR 1020180160742 A KR1020180160742 A KR 1020180160742A KR 20180160742 A KR20180160742 A KR 20180160742A KR 20200072777 A KR20200072777 A KR 20200072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il
weight
parts
cl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인
Original Assignee
(사) 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 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 filed Critical (사) 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
Priority to KR1020180160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2777A/ko
Publication of KR20200072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4Lauraceae [Laurel family], e.g. laurel, avocado, sassafras, cinnamon or camph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6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mahogany, langsat or ne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에 대한 살비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정향 추출물, 님(Neem, Azadirachta indica) 오일, 계피 오일, 고삼 추출물, 및 시트로넬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거나, 제충국 추출물, 정향 추출물, 님 오일, 및 계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에 대한 살비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유기화합물을 배제하고 인체에 무해한 천연식물유래 살비제 조성물을 제공하고, 살비 활성을 최대한 높게 되도록 천연식물 추출물의 종류와 혼합비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가지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Red mite acaricidal Composition having Natural Plant Extracts}
본 발명은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에 대한 살비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정향 추출물, 님(Neem, Azadirachta indica) 오일, 계피 오일, 고삼 추출물, 및 시트로넬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거나, 제충국 추출물, 정향 추출물, 님 오일, 및 계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에 대한 살비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닭진드기(Red-mite, 일명 와구모)는 곤충이 아닌 거미과 생물로, 산란계 케이지 농장의 경우 닭 진드기 침투율이 23%에서 최대 90%까지 높은 상황으로 닭의 산란율을 10~15% 떨어뜨리고, 계란 중량을 2.2%, 사료효율을 5.7%까지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닭에게 가려움증과 스트레스 유발시킴과 동시에 살모넬라 등 질병 매개체 역할을 하는 2017년도에 살충제 계란 파동을 야기한 바 있는 무서운 해충이다. 약충에서 흡혈을 시작해 성충까지 일주일 이상 흡혈을 하며 흡혈시에만 축체에 기생 보통 30~60분간 흡혈하고 흡혈후 산란, 소화, 번식을 위해 계사에 숨어 버리는데, 닭 진드기의 산란 적정온도는 25 ~ 30℃, 성장 적정온도는 25 ~ 37℃이다.
최근 시스템화 된 계사구조의 도입에 따라 일상관리가 기계화되었고 또한, 계사내부의 온도 및 습도 환경은 연간 일정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의 증식이 계절에 상관없이 증식하거나 닭진드기 기생에 의한 산란계의 피해가 증대하여, 문제 되고 있으나 예방이나 구제방법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실정으로, 국내에서는 현재 국내에서는 닭진드기의 방제에 사용되는 약제로는 비펜쓰린, 싸이퍼메트린 등 피레스로이드(pyrethroid)계, 비피엠씨 등 카바메이트(carbamate)계, 유기인계 농약(organophosphorus) 및 포름산(formic acid)이 대표적이다. 또한 허가 안된 페닐피라조에(phenylpyrazoe)계의 피프로닐(fipronil)이 사용되어 최근 문제된 바 있다.
이처럼 방제 효과를 빠르게 얻기 위해 화학 살충제를 사용하고 있지만, 화학 살충제는 비용이 많이 들고 토양을 오염시키며 생태계의 균형을 파괴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살포하는 경우 이들 살충제농약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닭진드기 출현이 빠르게 일어나서 더욱 방제를 어렵게 하고 있다.
지금까지 닭 진드기에 대한 물리적, 생물학적 다양한 연구가 진행중이나, 천연물을 이용한 친환경 약제에 의한 닭진드기 방제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특허 제10-0777258호(발명의 명칭: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살비제 및 제조방법)은 삽주, 무화과, 담배풀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살비제를 개시하고 있고, 특허 제10-1787831호(발명의 명칭: 진드기용 천연 살비제 및 진드기용 식별 표지자)는 멜리사(Melissa officinalis, 레몬밤) 정유로부터 분획 정제한 화합물을 진드기용 천연 살비제로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 제10-1827982호(천연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은 님 오일 및 은행잎 냉수 추출물의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주로 단일 성분 내지 2~3개의 성분을 혼합하여 개발한 발명들이다.
본 발명자들은 산란계 농가에서 보다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닭진드기를 방제하기 위한 살비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삼(Sophoraflavescens), 정향(Eugenia caryophyllata), 님(Neem, Azadirachta indica), 계피(Cinnamomum verum) 및 시트로넬라(C.nardus) 추출물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제화할 경우 단일 성분 내지 2~3개의 성분 추출물보다 닭진드기에 대한 살비 활성을 높게 나타냄을 시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여기에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유기농에 사용가능 계면활성제를 추가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화합물을 배제하고 천연 식물 유래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식물유래 살비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식물추출물 유래의 살비제 조성물로서 살비 활성을 최대한 높게 되도록 천연식물 추출물의 종류와 혼합비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인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에 대한 살비제 조성물은 정향 추출물, 님(Neem, Azadirachta indica) 오일, 계피 오일, 고삼 추출물, 및 시트로넬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향 추출물은 10.0 ~ 20.0 중량부, 상기 님 오일(Neem oil)은 25.0 ~ 50.0 중량부, 상기 계피오일은 10.0 ~ 20.0 중량부, 상기 고삼 추출물은 10.0 ~ 30.0 중량부, 상기 시트로넬라 추출물은 2.0 ~ 6.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충국 추출물, 정향 추출물, 님 오일, 및 계피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향 추출물은 10.0 ~ 20.0 중량부, 상기 님 오일(Neem oil)은 25.0 ~ 50.0 중량부, 상기 계피오일은 10.0 ~ 20.0 중량부, 상기 제충국 추출물은 10.0 ~ 3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유기화합물을 배제하고 인체에 무해한 천연식물유래 살비제 조성물을 제공하고, 살비 활성을 최대한 높게 되도록 천연식물 추출물의 종류와 혼합비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살비제 조성물이 담긴 용기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살비제 조성물의 닭진드기 방제효과 시험과정을 촬영한 사진.
도3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살비제 조성물(실시예 1의 조성물)의 방제효과를 확인하는 사진.
출원인은 이하에서 앞서 본 과제의 해결수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에 대한 살비제 조성물은 정향 추출물, 님(Neem, Azadirachta indica) 오일, 계피 오일, 고삼 추출물, 및 시트로넬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향 추출물은 10.0 ~ 20.0 중량부, 상기 님 오일(Neem oil)은 25.0 ~ 50.0 중량부, 상기 계피오일은 10.0 ~ 20.0 중량부, 상기 고삼 추출물은 10.0 ~ 30.0 중량부, 상기 시트로넬라 추출물은 2.0 ~ 6.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충국 추출물, 정향 추출물, 님 오일, 및 계피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향 추출물은 10.0 ~ 20.0 중량부, 상기 님 오일(Neem oil)은 25.0 ~ 50.0 중량부, 상기 계피오일은 10.0 ~ 20.0 중량부, 상기 제충국 추출물은 10.0 ~ 3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향유는 도금양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인 정향나무(Eugenia caryophyllata)로부터 얻은 기름성분을 의미한다. 인도네시아 원산으로, 말린 꽃봉오리가 마치 못과 닮았다고 해서 정향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정향유는 정향나무의 꽃눈(bud) 또는 잎으로부터 얻은 것으로 수율은 봉오리(clove bud oil)는 17~20%, 꽃자루(clove stem oil)는 약 6%, 잎(clove leaf oil)는 2~3%이다. 정향유는 유게놀(Eugenol)이 주성분이며 그밖에 이소-유게놀 및 카리오필렌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정향은 향기가 좋을 뿐 아니라, 향료 가운데 부패방지와 살균력과 살충력이 굉장히 좋다. 정향은 우리나라에서도 귀한 약재로써 오래전부터 알약이나 달임약 등 다양하게 이용되는데, 동의보감에도 그 처방이 나와 비위가 허하고 배가 차고 아프며 게우거나 설사하고 입맛이 없을 때, 무릎과 허리가 시리고 아픈 데, 회충 등에 쓴다.
님(Azadirachta indica)은 아프리카의 메뚜기 떼가 지나간 곳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나무가 님나무로서 예로부터 이 나무를 이용한 해충 방제가 인도, 네팔, 미얀마, 아프리카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다. 주요 성분은 아자디락틴(azadirachtin)으로 그 외 살라닌(Salannin), 멜란트리올(Meliantriol)과 님빈(Nimbin) 등이 알려져 있다. 꽃은 달콤한 향기를 풍기는 흰 꽃을 피우고 5장의 꽃잎을 가지고 있다. 과일은 올리브와 닮은 형태로 원형의 초록색이 감도는 황색이다. 특히, 님오일(Azadirachtin)은 진드기, 응애, 총채벌레, 가루이, 진딧물, 깍지벌레, 굴나방 등에 효과적이다. 곤충 유충의 탈피를 억제하여 유충 기간이 길어지고 섭식을 방해하는 살충 활성이 있어, 1985년 미국 EPA(환경보호청)가 생물농약으로 등록하였으며, 중국에서도 2010년에 식물농약으로 등록된 바 있다.
계피(桂皮, Cinnamon)는 계피나무의 줄기 및 가지의 껍질을 벗기고, 코르코층을 다소 제거하여 말린 것으로 빛깔은 황갈색이다. 계피는 스리랑카가 전세계 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있으며, 남인도, 수마트라, 보르네오 등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계피는 독특한 향기가 있고, 맛은 떫으나 달며 점액성이다. 우리나라산 계피는 중국에서 이식된 것이며 나무껍질을 건조한 것으로 과자, 음료 등의 향료로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계피는 여러가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계피정유(Essential oil)에 함유되어 있는 계피유 함량은 1~4%이며, 이 중 시남알데하이드(Cinnamaldehyde)가 주성분이다. 시남알데히드외에도 캄펜(Camphene), 시네올(Cineol), 리날로올(Linalool), 유게놀(Eugenol) 등을 포함한다. 계피유의 중요한 효과는 항균효과로 계피에 든 향기 성분이 해로운 세균과 곰팡이를 없애는 효과와 살충 효과도 있어 계피의 향기 성분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집먼지 진드기 등을 죽이는 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고삼은 주로 한국, 중국, 일본, 시베리아 등지에서 널리 분포하는 콩과의 다년초 식물로서 천연 살충성분인 마트린(Matrine), 옥시마트린, 소포라놀, 아나기린, 메틸시티진, 바프티폴린, 소포카르핀, 알로마트린 이라고 하는 알카로이드가 약 2%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삼에서 추출한 천연 살충성분 마트린은 살충 및 충 기피효과가 탁월하여 민간에서는 줄기나 잎을 달여서 살충제로 사용하였고, 한방에서는 맛이 쓰고 인삼의 효능이 있어 소화 불량, 신경통, 간염, 황달, 치질 등에 사용하고 있다.
시트로넬라는 외떡잎식물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베트남, 스리랑카, 미얀마, 과테말라, 남아메리카 등에 분포되어 있다. 크기 90㎝이며 잎은 가늘고 길고, 적응력이 강해 어느 곳에서나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시트로넬라 주성분은 citronella이며, 레몬향 허브식물로서 정유는 향수와 화장품 원료로 쓰이며, 또한 대표적 곤충 기피 물질로 모기나 진드기 퇴치효과가 탁월하다. 신경을 안정시켜주는 기능도 있다.
제충국은 케냐, 남아공, 탄자니아, 에콰도르 및 중국 등 산간지역에서 재배되는 국화과의 다년초 식물로서 천연 살충성분인 피레스린(Pyrethrin)을 1~2% 함유하고 있다. 제충국에서 추출한 천연 살충성분 피레스린은 원예작물, 삼림 등에 있는 대부분의 해충을 살충하는 효과가 뛰어나 국내에서는 유기농 허용물질로 고시되어 충해관리용 유기농업자재 및 모기약 등에 이용되고 있다. 사람과 가축에게는 무자극, 무독성으로 안전하며, 살포후 2~3일만에 완전히 분해되어 잔류 독성을 남기지 않는 특성을 지닌 물질이다.
<성분 제조예 1> 정향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꽃봉오리, 꽃자루, 잎을 수증기로 증류해서 얻어진다. 정향유는 50g의 정향의 눈(bud) 또는 잎을 이용하고, 눈과 잎을 건조한 후 절단하여 500ml 플라스크에 가한 후 증류수를 넣고 다른 플라스크에는 50ml의 헥산을 넣어 두 개의 플라스크를 냉각수로 연결한 후 가열하여 5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환류 후에 다시 서서히 냉각시켜 헥산이 담긴 플라스크를 분리하여 탈수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25℃에서 증발시켜 무색의 용액상태인 정향 추출유를 제조하였다.
<성분 제조예 2> 님 오일의 제조
님오일 추출법은 용매추출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여기서는 님 씨앗을 세척후 껍질제거한 온도 100 ~120℃ 정도로 가열 물리적 압착후 여과하는 비정제유 압착추출법을 이용 님오일을 회수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추출된 님오일은 물에 녹지 않으므로 유기농에 사용가능한 Tween80 계면활성제를 님오일 10 : 1의 비율로 첨가하여 님추출액을 수용성으로 조제 하였다.
<성분 제조예 3> 계피오일의 제조
계피오일의 추출은 열수추출법, 가압추출물, 용매추출법이 있으나, 에탄올을 이용한 용매추출법이 수율이 가장 높다. 여기서는 계피 250g을 극성용매인 70% 에탄올750ml 비율로 혼합 수조에서 48시간 동안 처리 용출시켜 걸러낸 다음 감압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계피성분을 추출하였다. 1) 식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로 구분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성분 제조예 4> 고삼추출물의 제조
채취한 고삼뿌리를 건조기에서 수분함량 10% 이하로 건조하여 80 mesh정도로 분쇄한 고삼분말에 중량비 1:3으로 주정을 투입하고 12시간 정도 침지하여 활성 성분을 용출한 다음 환류증류로 농축하여 고삼추출물을 조제하였다.
<성분 제조예 5> 시트로넬라 오일의 제조
시트로넬라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압착법, 냉침법, 용매 추출법, 수분 확산법과 이산화탄소 추출법이 있으나, 수증기 증류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건조기에서 수분함량 10 % 이하로 건조시킨 시트로넬라 잎(전초)을 격자 위에 올려 놓고밑에서부터 증기를 불어넣어 증기가 원료를 통과하면서 식물 세포벽을 파괴하여향성분은 증기의 형태로 방출되는 것을 파이프를 통해 냉각관을 지나면서 증기는 증류액과 정유상태로 되는데 정유는 윗부분에 모이고 증류액은 아래쪽으로 분리되어지는 원리인 통상의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하였다.
<성분 제조예 6 > 제충국의 제조
제충국 추출방법은 알콜 추출법, 파라핀 추출법, 물 추출법 등이 있으나 알콜추출은 최종산물이 매우 빨리 증발되는 단점이 있어, 여기서는 석유계 유기용매인 케로젠(kerosene)으로 추출하였다. 케로젠은 48시간 동안 73%의 피레스린을 용출해 낼 수 있다. 케로젠 4리터에 수분함량 10%정도로 건조된 달마시안종 제충국의 꽃 500그램을 24시간 이상 침지한 후 천으로 걸러 주어 사용 하였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정향 추출물(Eugennol) 10.0 ~ 20.0, 님 오일(Neem oil) 25.0 ~ 50.0, 시트로넬라 추출물(Citronella) 2.0 ~ 6.0, 계피오일(cinnamom) 10.0 ~ 20.0, 고삼 추출물 10.0 ~ 30.0, 계면활성제(Tween80) 4.0 ~ 8.0, 물 5.0 ~ 20.0 중량부의 조성비 범위내에서,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 표와 같은 조성비로 본 발명의 살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성분명 조성비
고삼 추출물(Matrine) 20
정향 추출물(Eugennol) 15
님 오일 40
계피 정유 10
시트로넬라 정유 4
산화방지제(에톡시퀸) 0.01
계면활성제(Tween80) 5
5.99
합계 100
※ 상기 [표1]의 실시예 조성물은 제조 후 2개월이 경과하여도 분산된 조성물의 층이 분리되지 않아 경시변화가 없었으며, 닭진드기에 대한 살비활성은 500배의 희석배율로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정향 추출물은 10.0 ~ 20.0 중량부, 님 오일(Neem oil) 25.0 ~ 50.0 중량부, 계피오일은 10.0 ~ 20.0 중량부, 제충국 추출물은 10.0 ~ 30.0 중량부 , 계면활성제(Tween80) 4.0 ~ 8.0, 물 5.0 ~ 20.0 중량부의 조성비 범위내에서,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 표와 같은 조성비로 본 발명의 살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성분명 조성비
정향 추출물(Eugennol) 15
님 오일 40
계피 정유 10
제충국 추출물 20
산화방지제(에톡시퀸) 0.01
계면활성제(Tween80) 5
5.99
[닭진드기 방제시험 성적]
닭 진드기 공시충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8월 9일 진주 산란계 농가 및 8월 11일 김제 산란계 농가에서 채집한 야외충(성충, 유충 혼서)을 분양받아 시험에 사용하였다. 약제처리 방법은 ¢9.0cm x 2.0cm, 플라스틱 제품의 시험용기에 여과지를 깔고 증류수를 넣은 후 처리구별 반복당 30마리씩을 접종한 다음, 공시 시제품을 100배, 250배, 500배, 1000배 4 농도별로 희석하여 분무처리하였다. 무처리구는 반복당 30마리씩을 접종하여 생충수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은 닭진드기 생육조건인 30~35℃ 범위의 고온조건에서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아래 <표 3> 참조).
시험약제 주요성분 희석배수 및 사용량(ml/20L) 처리시기
및 방법
처리 1
(100배)
처리 2
(250배)
처리 3
(500배)
처리 4
(1000배)
실시예 1
(시제품 KEPAMA-SM 1)
Eugennol(정향추출물) +
Neem oil +
Matrine(고삼추출물) +
cinnamom(계피오일) +
Citronella(시트로넬라 추출물)
100배
(200ml)
250배
(80ml)
500배
(40ml)
1,000배
(20ml)
공시충 접종후
약제 살포
(스프레이)
SM1(8/09)
SM2(8/11)
실시예 2
(시제품KEPAMA-SM 2)
Pyrethrum(제충국추출물) +
Eugennol(정향추출물) +
Neem oil +
cinnamom(계피오일)
100배
(200ml)
250배
(80ml)
500배
(40ml)
1,000배
(20ml)
무처리 -
약효조사방법은 각 시험구당 30마리씩을 접종한 후 12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에서 생사충수를 육안으로 조사하여 생충율을 구하였다. 약제 처리후 12, 24, 48, 72, 96시간에서 경시적으로 생사충율을 조사한 결과 무처리 생충율이 12~120시간 경과후 96.7%~63.3%가 생존하여 약효를 검토하기에 충분하였다. 닭진드기에 대한 친환경방제 약효조사결과 실시예 1의 100배 처리구는 24시간 경과후, 250배 처리구는 48시간 경과후, 500배 처리구는 72시간후, 1000배 처리구는 96시간후 100%가 사멸하여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2의 100배 처리구는 12시간후, 250배 처리구는 24시간 후, 500배 처리구는 72시간후, 1000배 처리구는 96시간후 100%가 사멸하여 실시예 1과 유사하게 100% 의 완전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닭진드기에 대한 이들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모두 96시간 경과후 100%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어 친환경 살비제로서 활용가치가 충분하다고 평가되었다(아래 <표 4> 참조). 친환경 무제외에도 연막제 또는 연무제 등으로 다양하게 제형화하여 보급할 경우 양계농가의 골칫거리인 닭진드기 화학적방제 대체 친환경방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약제 처리별 생충율(%)>
시험약제
(처리일자)
반복당평균
접종마리수
생충율(%)
12hr 24hr 48hr 72hr 96hr 120hr
실시예1
(8/9)
처리1 30 8.3 0
처리2 30 16.7 3.3 0
처리3 30 84.4 28.9 5.0 0
처리4 30 85.0 65.0 18.3 6.7 0
실시예2
(8/11)
처리1 30 0
처리2 30 28.9 0
처리3 30 80.0 35.6 6.7 0
처리4 30 93.3 55.5 35.5 8.9 0
무처리 30 96.7 92.2 84.4 76.7 68.9 63.3

Claims (4)

  1. 정향 추출물, 님(Neem, Azadirachta indica) 오일, 계피 오일, 고삼 추출물, 및 시트로넬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에 대한 살비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향 추출물은 10.0 ~ 20.0 중량부,
    상기 님 오일(Neem oil)은 25.0 ~ 50.0 중량부,
    상기 계피오일은 10.0 ~ 20.0 중량부,
    상기 고삼 추출물은 10.0 ~ 30.0 중량부,
    상기 시트로넬라 추출물은 2.0 ~ 6.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에 대한 살비제 조성물.
  3. 제충국 추출물, 정향 추출물, 님 오일, 및 계피 오일을 포함하는, 닭 진드기에 대한 살비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향 추출물은 10.0 ~ 20.0 중량부,
    상기 님 오일(Neem oil)은 25.0 ~ 50.0 중량부,
    상기 계피오일은 10.0 ~ 20.0 중량부,
    상기 제충국 추출물은 10.0 ~ 3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에 대한 살비제 조성물.


KR1020180160742A 2018-12-13 2018-12-13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가지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KR20200072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742A KR20200072777A (ko) 2018-12-13 2018-12-13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가지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742A KR20200072777A (ko) 2018-12-13 2018-12-13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가지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777A true KR20200072777A (ko) 2020-06-23

Family

ID=7113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742A KR20200072777A (ko) 2018-12-13 2018-12-13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가지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27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888B1 (ko) 2021-03-19 2022-02-24 권예주 음용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계 사육방법
KR20220132240A (ko) 2021-03-23 2022-09-30 유종철 닭진드기 충란 제거제
KR20220143303A (ko) 2021-04-16 2022-10-25 한국친환경농식품자재수출마케팅협동조합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닭진드기 방제용 연막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의 방제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888B1 (ko) 2021-03-19 2022-02-24 권예주 음용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계 사육방법
KR20220132240A (ko) 2021-03-23 2022-09-30 유종철 닭진드기 충란 제거제
KR20220143303A (ko) 2021-04-16 2022-10-25 한국친환경농식품자재수출마케팅협동조합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닭진드기 방제용 연막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의 방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194B1 (ko) 스프레이형 살충제
Ukeh et al. Insecticidal effect of fruit extracts from Xylopia aethiopica and Dennettia tripetala (Annonaceae) against Sitophilus oryzae (Coleoptera: Curculionidae)
KR20190052979A (ko) 4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KR20200072777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가지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Lonare et al. Lantana camara: overview on toxic to potent medicinal properties
CN105831183A (zh) 一种复合植物源农药及制备方法
KR100852398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유해동물 방제용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식물유해동물 방제방법
Kamatenesi-Mugisha et al. Oral acute toxicity study of selected botanical pesticide plants used by subsistence farmers around the Lake Victoria Basin
KR101590545B1 (ko) 식물성 천연 병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90052978A (ko) 3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Mouna et al. Insecticidal effect of two aqueous extracts from the leaves of Salvia officinalis and Eucalyptus camaldulensis against Aphis fabae
KR20110006400A (ko) 족도리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WO2014126411A1 (ko) 천연 살충제 조성물
KR101632246B1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21700B1 (ko) 천연 해충 퇴치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천연 해충 퇴치제
KR20130080667A (ko) 후추 속 식물과 라반듈라 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살충용 조성물
CN103444794A (zh) 一种植物提取液制备的杀菌剂
KR20110114514A (ko)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KR20130026742A (ko) 모기 등 해충의 퇴치를 위해 은행나무에서 추출하는 천연살충성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01133B1 (ko)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닭진드기 방제용 연막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의 방제방법
KR100644750B1 (ko) 살충, 살균 및 해충기피 작용을 갖는 천연 추출물의제조방법.
KR20120060585A (ko) 꽃매미 방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KR102540101B1 (ko) 수면처리와 토양처리가 가능한 작물해충에 대한 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0270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살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40069082A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이용한 매미나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매미나방의 방제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