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204A -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 Google Patents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204A
KR20200070204A KR1020200070983A KR20200070983A KR20200070204A KR 20200070204 A KR20200070204 A KR 20200070204A KR 1020200070983 A KR1020200070983 A KR 1020200070983A KR 20200070983 A KR20200070983 A KR 20200070983A KR 20200070204 A KR20200070204 A KR 20200070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frame
ppdu
symbol
bp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9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5236B1 (en
Inventor
이일구
이희수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00070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204A/en
Priority to KR1020210040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3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2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generation WLAN frame may comprise the steps of: modulating a first symbol of a 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with a first modulation method; modulating a second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with a second modulation method; and modulating a short training field (STF) signal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corresponding to a next-generation WLAN mode.

Description

다중 모드 무선 통신 전송 방식 및 장치{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아래의 설명은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다중 모드 무선 통신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relates to a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WLAN 기술의 표준화 기구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가 1980년 2월에 설립된 이래, 많은 표준화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mong them, wireless LAN (WLAN) use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laptop computer, o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based on radio frequency technology. It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wireless access to the Internet in a specific service area. Since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 a standardization body for WLAN technology, was established in February 1980, a lot of standardization work has been performed.

무선 통신 시스템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종류로는 와이브로(Wibro) 무선 통신 시스템, 3GPP의 LTE 시스템 및 WLAN의 Very High Throughput(VHT) 시스템 등이 있다. 이에 따라, 차세대 무선랜 표준인 NGW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프레임 전송을 위해 기존의 IEEE 802.11a/n/ac와 호환성 유지함과 동시에 고효율/고성능을 위한 전송 방법이 요구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re developing in a direction to transmit large amounts of data at high speed. Examples of such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clude a Wibr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3GPP LTE system, and a WLAN Very High Throughput (VHT) system.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ransmission method for high efficiency/high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compatibility with the existing IEEE 802.11a/n/ac for NGW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transmission, which is a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standard.

일 실시예는 기존의 무선랜 표준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고성능의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provides a high-performance fram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while maintaining compatibility with an existing wireless LAN standard.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은,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의 첫 번째 심볼을 제1 변조 방식으로 변조(modulate)하는 단계;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두 번째 심볼을 제2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는 단계; 및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TF 신호를 차세대 무선랜 모드에 대응하여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generation WLAN frame includes: modulating a first symbol of 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by a first modulation method; Modulating a second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with a second modulation method; And modulating the STF signal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corresponding to the next-generation WLAN mode.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의 첫 번째 심볼을 제1 변조 방식으로 변조(modulate)하는 단계는,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의 상기 첫 번째 심볼을 BPSK로 변조(modulate)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두 번째 심볼을 제2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는 단계는,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상기 두 번째 심볼을 Q-BPSK로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TF 신호를 차세대 무선랜 모드에 대응하여 변조하는 단계는,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TF 신호를 VHT-STF와 90도의 위상 차이를 갖도록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step of modulating (modulate) the first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with a first modulation method, modulating the first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with BPSK ( modulating), and modulating the second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with a second modulation scheme comprises: Q of the second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nd modulating with BPSK, and modulating the STF signal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corresponding to the next-generation WLAN mode modulates the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the VHT-STF of the STF signal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It may include the step of modulating to have.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의 첫 번째 심볼을 제1 변조 방식으로 변조(modulate)하는 단계는,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상기 첫 번째 심볼을 BPSK로 변조(modulate)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두 번째 심볼을 제2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는 단계는,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상기 두 번째 심볼을 BPSK로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TF 신호를 차세대 무선랜 모드에 대응하여 변조하는 단계는,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TF 신호를 Q-BPSK로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tep of modulating (modulate) the first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with a first modulation method may include: BPSK the first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And modulating the second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with a second modulation method, the second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The step of modulating a symbol with a BPSK, and modulating the STF signal of the next-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corresponding to the next-generation wireless LAN mode, modulating the STF signal of the next-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with Q-BPSK. It can contain.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은, 상기 STF 신호는 (-1, 1) 및 (1, -1)의 위치에 BPSK 신호가 매핑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the STF signal may be mapped with a BPSK signal at positions (-1, 1) and (1, -1).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은,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신호의 SIG-A의 첫 번째 심볼 및 두 번째 심볼을 확인(verify)하는 단계; 상기 첫 번째 심볼이 BPSK 신호이고, 상기 두 번째 심볼이 Q-BPSK 신호인 경우, 상기 통신 신호의 STF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STF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모드를 식별(identify)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receiving a communication signal; Verifying the first and second symbols of SIG-A of the communication signal; Checking the STF signal of the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first symbol is a BPSK signal and the second symbol is a Q-BPSK signal; And identifying a communication mode of the WLAN frame according to the STF signal.

일측에 따르면, 상기 STF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모드를 식별(identify)하는 단계는, 상기 STF 신호가 VHT-STF와 90도의 위상 차이를 가지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드를 차세대 무선랜 모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step of identifyin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WLAN frame according to the STF signal, if the STF signal has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with the VHT-STF, the communication mode to the next-generation WLAN mode And determining.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은,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신호의 SIG-A의 첫 번째 심볼 및 두 번째 심볼을 확인(verify)하는 단계; 상기 첫 번째 심볼이 BPSK 신호이고, 상기 두 번째 심볼이 BPSK 신호인 경우, 상기 통신 신호의 STF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STF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모드를 식별(identify)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receiving a communication signal; Verifying the first and second symbols of SIG-A of the communication signal; Checking the STF signal of the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first symbol is a BPSK signal and the second symbol is a BPSK signal; And identifying a communication mode of the WLAN frame according to the STF signal.

일측에 따르면, 상기 STF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모드를 식별(identify)하는 단계는, 상기 STF 신호가 Q-BPSK 신호인 경우, 상기 통신 모드를 차세대 무선랜 모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identifying a communication mode of the WLAN frame according to the STF signal includes determining, when the STF signal is a Q-BPSK signal, the communication mode as a next-generation wireless LAN mode. can do.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의 첫 번째 심볼을 제1 변조 방식으로 변조(modulate)하는 단계;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두 번째 심볼을 제2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는 단계; 및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세 번째 심볼을 차세대 무선랜 모드에 대응하여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generation W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rising: modulating a first symbol of 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in a first modulation scheme; Modulating a second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with a second modulation method; And modulating the third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corresponding to the next-generation WLAN mode.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의 첫 번째 심볼을 제1 변조 방식으로 변조(modulate)하는 단계는,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상기 첫 번째 심볼을 BPSK로 변조(modulate)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두 번째 심볼을 제2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는 단계는,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상기 두 번째 심볼을 Q-BPSK로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세 번째 심볼을 차세대 무선랜 모드에 대응하여 변조하는 단계는,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상기 세 번째 심볼을 VHT-STF와 90도의 위상 차이를 갖도록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step of modulating (modulate) the first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with a first modulation method, modulating the first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with BPSK and modulating the second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by a second modulation method, wherein the second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is modulated. The step of modulating with Q-BPSK, and modulating the third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corresponding to the next-generation WLAN mode include: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And modulating the third symbol to have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the VHT-STF.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의 첫 번째 심볼을 제1 변조 방식으로 변조(modulate)하는 단계는,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상기 첫 번째 심볼을 BPSK로 변조(modulate)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두 번째 심볼을 제2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는 단계는,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상기 두 번째 심볼을 BPSK로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세 번째 심볼을 차세대 무선랜 모드에 대응하여 변조하는 단계는,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상기 세 번째 심볼을 Q-BPSK로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tep of modulating (modulate) the first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with a first modulation method may include: BPSK the first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And modulating the second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with a second modulation method, the second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nd modulating a symbol with a BPSK, and modulating the third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in correspondence with a next-generation WLAN mode comprises: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And modulating the third symbol with Q-BPSK.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은,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신호의 SIG-A의 첫 번째 심볼 및 두 번째 심볼을 확인(verify)하는 단계; 상기 첫 번째 심볼이 BPSK 신호이고, 상기 두 번째 심볼이 Q-BPSK 신호인 경우, SIG-A의 세 번째 심볼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세 번째 심볼에 따라 상기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모드를 식별(identify)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receiving a communication signal; Verifying the first and second symbols of SIG-A of the communication signal; Identifying the third symbol of SIG-A when the first symbol is a BPSK signal and the second symbol is a Q-BPSK signal; And identifying a communication mode of the WLAN frame according to the third symbol.

일측에 따르면, 상기 세 번째 심볼에 따라 상기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모드를 식별(identify)하는 단계는, 상기 세 번째 심볼이 VHT-STF와 90도의 위상 차이를 가지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드를 차세대 무선랜 모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step of identifyin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WLAN frame according to the third symbol, if the third symbol has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with the VHT-STF, the communication mode to the next-generation wireless LAN It may include determining the mode.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은,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신호의 SIG-A의 첫 번째 심볼 및 두 번째 심볼을 확인(verify)하는 단계; 상기 첫 번째 심볼이 BPSK 신호이고, 상기 두 번째 심볼이 BPSK 신호인 경우, 상기 SIG-A의 세 번째 심볼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SIG-A의 상기 세 번째 심볼에 따라 상기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모드를 식별(identify)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receiving a communication signal; Verifying the first and second symbols of SIG-A of the communication signal; If the first symbol is a BPSK signal and the second symbol is a BPSK signal, identifying a third symbol of the SIG-A; And identifying a communication mode of the WLAN frame according to the third symbol of the SIG-A.

일측에 따르면, 상기 SIG-A의 상기 세 번째 심볼에 따라 상기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모드를 식별(identify)하는 단계는, 상기 SIG-A의 상기 세 번째 심볼이 Q-BPSK 신호인 경우, 상기 통신 모드를 차세대 무선랜 모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step of identifyin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WLAN frame according to the third symbol of the SIG-A, if the third symbol of the SIG-A is a Q-BPSK signal, the communication And determining the mode as a next-generation wireless LAN mode.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은, VHT(very high throughput)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와 동일한 길이로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VHT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 구조의 예약 비트(reserved bits) 중 미리 정해진 예약 비트를 제1 값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generation W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generating a signal field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with a length equal to a signal field of a very high throughput (VHT) frame; And inputting a predetermined reserved bit as a first value among reserved bits of the signal field structure of the VHT frame.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의 첫 번째 심볼을 BPSK로 변조(modulate)하는 단계; 및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상기 SIG-A의 두 번째 심볼을 Q-BPSK로 변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modulating (modulate) the first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with BPSK; And modulating the second symbol of the SIG-A of the next-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with Q-BPSK.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VHT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 구조의 예약 비트(reserved bits) 중 미리 정해진 예약 비트를 제1 값으로 입력하는 단계는, 차세대 무선랜 모드인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예약 비트를 상기 제1 값으로 입력하는 단계; 및 VHT 모드인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예약 비트를 제2 값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tep of inputting a predetermined reserved bit from among reserved bits of a signal field structure of the VHT frame as a first value may include the predetermined reserved bit in the first generation WLAN mode. Inputting a value; And in the VHT mode, inputting the predetermined reserved bit as a second value.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은, 무선랜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랜 프레임 중 VHT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 구조의 예약 비트(reserved bits) 중 미리 정해진 예약 비트를 확인(verify)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예약 비트에 따라 상기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모드를 식별(identify)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receiving a wireless LAN frame; Verifying a predetermined reserved bit among reserved bits of a signal field structure of a VHT frame among the WLAN frames; And identifying a communication mode of the WLAN fram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reservation bit.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식별된 예약 비트에 따라 상기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예약 비트가 제1 값인 경우, 상기 통신 모드를 차세대 무선랜 모드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예약 비트가 제2 값인 경우, 상기 통신 모드를 VHT 모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step of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WLAN fram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reservation bit, if the identified reservation bit is the first value, determining the communication mode as the next generation WLAN mode; And when the identified reservation bit is a second value, determining the communication mode as a VHT mode.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은, HT(high throughput)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와 동일한 길이로 상기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차세대 무선랜 모드인 경우, 상기 HT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 구조의 예약 비트(reserved bit)를 제1 값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generating a signal field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with a length equal to a signal field of a high throughput (HT) frame; And in a next-generation wireless LAN mode, inputting a reserved bit of a signal field structure of the HT frame as a first value.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은, 무선랜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랜 프레임 중 HT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 구조의 예약 비트를 확인(verify)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예약 비트에 따라 상기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모드를 식별(identify)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receiving a wireless LAN frame; Verifying a reserved bit of a signal field structure of an HT frame among the WLAN frames; And identifying a communication mode of the WLAN fram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reservation bit.

일 실시예는 IEEE 802.11a/n/ac와 호환성 유지 및 고성능 판별이 가능한 NGW 프레임 전송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NGW frame transmission capable of maintaining compatibility and high performance discrimination with IEEE 802.11a/n/ac is possible.

도 1은 종래의 무선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무선랜 프레임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전송 방법을 나타낸 다른 예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그널 필드에 프레임 종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VHT 프레임을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전송 방법을 나타낸 또다른 예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HT 프레임을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2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IEEE 802.11의 물리계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LAN frame struct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xt-generation WLAN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ireless LAN frame transmission method.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transmitting a next generation W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frame type information in a signal f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a VHT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transmitting a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an HT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to 21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2 is a diagram showing a physical layer structure of IEEE 802.11.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device of a next generation W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무선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LAN frame structure.

기존의 무선랜은 IEEE 802.11 그룹에서 레거시(Legacy) 표준인 11a/b/g와 HT(High throughput) 표준인 11n 및 VHT(Very high throughput)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PPDU (PLCP protocol data unit) 프레임 구조는 도 1과 나타낼 수 있다.Existing WLANs may include legacy standards 11a/b/g and high throughput (HT) standards 11n and very high throughput (VHT) in the IEEE 802.11 group. The wireless LAN PPDU (PLCP protocol data unit) frame structure may be illustrated in FIG. 1.

무선랜은 Legacy, HT (High Throughput) 및 VHT (Very High Throughput) 모드의 전송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IEEE 802.11a/g의 경우는 Legacy 타입으로 구분하고, IEEE 802.11n은 HT 모드, IEEE 802.11ac는 VHT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The wireless LAN can support the transmission methods of Legacy, High Throughput (HT) and Very High Throughput (VHT) modes. In the case of IEEE 802.11a/g, it can be classified into a legacy type, IEEE 802.11n can be classified into a HT mode, and IEEE 802.11ac can be classified into a VHT mode.

무선랜 시스템은 PPDU를 전송할 때 수신단이 PPDU를 올바로 복원하기 위한 시그널 정보를 헤더 필드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시그널 정보는 PPDU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므로 채널 변화와 노이즈에 강할 수 있도록 가장 낮은 MCS로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Legacy PPDU(110)는 L-STF, L-LTF, L-SIG 및 데이터(DATA)로 구분될 수 있다. HT PPDU(120)는 L-STF, L-LTF, L-SIG, HT-SIG, HT-STF, HT-LTF 및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고, VHT PPDU(130)는 L-STF, L-LTF, L-SIG, VHT-SIGA, VHT-STF, VHT-LTF, VHT-SIGB 및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When transmitting a PPDU, the wireless LAN system may transmit signal information for the receiver to properly restore the PPDU in a header field. Since this signal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for restoring PPDU data, it is intended to be transmitted to the lowest MCS to be resistant to channel changes and noise. Legacy PPDU 110 may be divided into L-STF, L-LTF, L-SIG and data (DATA). HT PPDU 120 may be divided into L-STF, L-LTF, L-SIG, HT-SIG, HT-STF, HT-LTF, and data, and VHT PPDU 130 may be L-STF, L-LTF , L-SIG, VHT-SIGA, VHT-STF, VHT-LTF, VHT-SIGB and data.

L-STF (Legacy short training field)는 신호가 현재 사용하는 채널에 존재한다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케리어 센싱 (Carrier sensing), 안테나에 입력되는 무선 신호를 아날로그 회로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nalog-to-Digital converter)의 동작 영역에 맞추기 위한 자동 이득 제어 (Automatic gain control)와 대략적인 주파수 옵셋 (Coarse carrier frequency offset) 보정에 활용될 수 있다.L-STF (Legacy short training field) is a carrier sensing to detect that the signal exists in the current channel, and the analog signal and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 Can be used for automatic gain control and coarse carrier frequency offset correction to match the operating area.

L-LTF (Legacy long training field)는 섬세한 주파수 옵셋 (Fine carrier frequency offset) 보정과 심볼 동기에 사용될 수 있으며, L-SIG 필드 및 HT-SIG 필드 혹은 VHT-SIG 필드의 복조를 위한 채널 응답 추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두 심볼이 반복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신호대 잡음비를 추정할 수 있다.L-LTF (Legacy long training field) can be used for fine frequency offset (Fine carrier frequency offset) correction and symbol synchronization, and the channel response estimation for demodulation of the L-SIG field and the HT-SIG field or VHT-SIG field Can be used for In addition, the signal-to-noise ratio can be estimated using the principle in which two symbols are repeated.

L-STF와 L-LTF와 같은 반복적인 시퀀스를 이용하면, 간섭, 도플러, 딜레이 스프레드 등의 채널의 다양한 특성을 추정할 수 있다.By using repetitive sequences such as L-STF and L-LTF, various characteristics of channels such as interference, Doppler, and delay spread can be estimated.

L-SIG (Legacy signal field), HT-SIG (HT signal field), 및 VHT-SIG (VHT signal field) 등의 시그널 필드는 PPDU를 수신하는 단말 혹은 AP가 수신한 PPDU를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킷 길이, MCS, 대역폭 및 채널 인코딩 방식, 빔포밍, STBC, 스무딩, MU-MIMO, 쇼트 가드인터벌 모드 등의 지원하는 전송 기술 등이 있다. VHT-SIG의 경우에는 공용 제어 정보와 특정 MU 그룹에게 필요한 전용 정보로 구분하여 VHT-SIGA 필드와 VHT-SIGB 필드로 나누어 전송한다. 그룹 아이디와 부분결합 아이디 (Partial association ID, PAID)와 같은 ID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Signal fields such as a legacy signal field (L-SIG), a HT signal field (HT-SIG), and a VHT signal field (VHT-SIG) include control information required to demodulate a PPDU received by a terminal or AP receiving a PPDU. It may include. Examples include packet length, MCS, bandwidth and channel encoding, beamforming, STBC, smoothing, MU-MIMO, and short guard interval modes. In the case of VHT-SIG, it is divided into common control information and dedic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a specific MU group, and is divided into a VHT-SIGA field and a VHT-SIGB field for transmission. ID information such as a group ID and a partial association ID (PAID) may also be included.

그리고 L-SIG, HT-SIG, VHT-SIG는 프레임 종류를 알려주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L-SIG, HT-SIG, VHT-SIG의 전송 심볼을 BPSK 혹은 Q-BPSK (Quadrature BPSK)로 전송하여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말이 어떤 종류의 프레임을 수신했는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Q-BPSK는 BPSK 신호를 90도 위상 회전한 신호로서, BPSK와 비교할 때 최대의 직교성(orthogonality)을 보장하는 변조 방식이다. And L-SIG, HT-SIG, VHT-SIG can be used as a means to inform the frame type. The L-SIG, HT-SIG, and VHT-SIG transmission symbols are transmitted to BPSK or Q-BPSK (Quadrature BPSK) to provide a terminal that receives a frame to know what kind of frame it has received. Q-BPSK is a signal that rotates the BPSK signal by 90 degrees, and is a modulation method that guarantees maximum orthogonality when compared to the BPSK.

802.11n 프레임의 경우 HT-SIG 두 심볼을 모두 Q-BPSK로 전송하여 Legacy 프레임의 BPSK 대비 90도 위상 회전된 두 심볼을 검출하여 802.11n 프레임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802.11n 프레임을 전송할 때 L-SIG의 rate은 6Mbps로 설정하고, length는 프레임이 채널을 점유하는 시간이 되도록 기재하여 전송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rate의 6Mbps 여부를 파악한 후 6Mbps이면 HT 프레임 검출은 BPSK와 Q-BPSK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n 802.11n frame, both symbols of HT-SIG can be transmitted to Q-BPSK to detect two symbols rotated by 90 degrees from the BPSK of the legacy frame to be recognized as an 802.11n frame. When transmitting an 802.11n frame, the rate of L-SIG is set to 6 Mbps, and the length is set to be the time that the frame occupies the channel. Therefore, if the rate is 6 Mbps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rate is 6 Mbps, HT frame detection is performed with BPSK.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of Q-BPSK.

802.11ac 프레임의 경우 VHT-SIG의 첫 번째 심볼은 BPSK로 전송하고, 두 번째 심볼은 Q-BPSK로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첫 번째 심볼이 BPSK이므로 11n 장치는 Legacy 프레임으로 인식하고, 11ac 장치는 두 번째 심볼의 Q-BPSK를 인식하여 VHT 프레임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case of 802.11ac frame, the first symbol of VHT-SIG is transmitted to BPSK, and the second symbol is transmitted to Q-BPSK. Since the first symbol is BPSK, the 11n device can be recognized as a Legacy frame, and the 11ac device can recognize the Q-BPSK of the second symbol as a VHT frame.

HT-STF (HT short training field) 혹은 VHT-STF (VHT short training field)는 AGC의 이득 제어 성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추가적인 이득 제어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The HT short training field (HT-STF) or VHT short training field (VHT-STF) is used to increase the gain control performance of the AGC, and in particular, when using a beamforming technique, additional gain control is necessary.

HT-LTF (HT long training field) 혹은 VHT-LTF (VHT long training field)는 단말 혹은 AP가 채널을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레거시 표준과 다르게 11n 혹은 11ac 표준에서는 사용하는 서브케리어 수를 늘려서 스루풋을 높였으므로, L-LTF 이외에도 데이터 복원을 위해 새로운 LTF를 정의한 것이다. VHT-LTF의 경우에는 옵셋 보정을 위한 파일럿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HT long training field (HT-LTF) or VHT long training field (VHT-LTF) may be used by the UE or the AP to estimate the channel. Unlike the legacy standard, the 11n or 11ac standard increases the throughput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ubcarriers used, so in addition to the L-LTF, a new LTF is defined for data recovery. In the case of VHT-LTF, a pilot signal for offset correction may also be included.

데이터 필드에는 전송할 대상인 데이터 정보를 포함한다. 이 필드는 MAC 계층의 MPDU를 PSDU로 변환하여 서비스 필드와 테일 비트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The data field includes data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his field may convert the MPDU of the MAC layer to PSDU and transmit the service field and tail bits.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Next Generation Wireless LAN)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10을 참고하면, 차세대 무선랜 전송 표준인 NGW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기존의 무선랜 표준 전송 방식과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유지하기 위해 L-STF, L-LTF, L-SIG을 포함하고, NGW 시그널 필드와 프리엠블을 포함하여 NGW DATA를 복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시그널 필드와 프리엠블 이 후에는 가변 길이의 DATA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210, a frame structure of NGW, which is a next-generation wireless LAN transmission standard, is shown, and includes L-STF, L-LTF, and L-SIG to maintain backward compatibility with the existing wireless LAN standard transmission method. , Signaling information for restoring NGW DATA, including the NGW signal field and the preamble, can be transmitted. After the signal field and preamble, variable length data information may be included.

상기 NGW 프레임의 DATA에는 데이터 톤과 파일럿 톤이 포함될 수 있으며, 파일럿은 Traveling pilot을 사용하여 심볼마다 그 위치를 바꾸며 전송하여 도플러에 강인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는 NGW-LTF 구조의 미드엠블이 주기적으로 데이터 심볼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미드엠블을 사용하면 무선 단말이 채널 변화와 위상 변화에 보다 빠르게 적응할 수 있기 때문에 아웃도어에서 성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DATA 프레임의 가드 인터벌 (Guard interval)의 길이는 가변적이어서, 시그널 필드의 인자 (Indicator)에 의해 가드 인터벌의 길이를 채널 환경의 조건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딜레이 스프레드에 강인하도록 할 수 있다.The data of the NGW frame may include a data tone and a pilot tone, and the pilot can maintain robust performance in Doppler by transmitting and changing its location for each symbol using a traveling pilot. Alternatively, a midamble of the NGW-LTF structure may be periodically included between data symbols. When using the midamble, the wireless terminal can adapt to channel change and phase change more quickly, so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erformance in the outdoor. In addition, since the guard interval of the DATA frame is variable, the length of the guard interval can be varia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channel environment by the signal field indicator to be robust to the delay spread.

220을 참고하면, NGW 프레임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L-STF, L-LTF, L-SIG 이후에 NGW-SIG-A, NGW-STF, NGW-LTF, NGW-SIG-B 및 DATA가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220, another example of the NGW frame structure is shown, NGW-SIG-A, NGW-STF, NGW-LTF, NGW-SIG-B and DATA after L-STF, L-LTF, and L-SIG May be included.

NGW-SIG-A는 싱글 유저에게 패킷을 디코딩할 수 있는 패킷 길이, MCS, 대역폭 및 채널 인코딩 방식, 빔포밍, STBC, 스무딩, MU-MIMO, 쇼트 가드인터벌 모드, 딜레이 스프레드 상태, 채널 품질, 그룹 아이디 (Group identification), 부분적 결합 아이디 (Partial association identification)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NGW-SIG-A is a packet length, MCS, bandwidth and channel encoding method capable of decoding packets to a single user, beamforming, STBC, smoothing, MU-MIMO, short guard interval mode, delay spread status, channel quality, group Information such as a group identification or a partial association identification may be provided.

NGW-STF는 빔포밍 전송이나 다중 안테나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이득 제어를 섬세하게 (fine gain control) 할 수 있도록 한다. NGW-LTF는 NGW 데이터 프레임 복원을 위한 채널 추정 및 위상 보정 (phase tracking)에 사용될 수 있다. NGW-STF enables fine gain control when using beamforming transmission or multi-antenna transmission. NGW-LTF can be used for channel estimation and phase tracking for NGW data frame reconstruction.

DATA는 상기 시그널 정보에 맞는 방식으로 전송된 데이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DATA 필드에는 시그널 필드에 기재된 정보대로 전송된 데이터를 복원함에 있어 위상, 신호 크기, 잔여 주파수 옵셋 등을 추적 및 보상하기 위한 레퍼런스 신호로 주기적인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일럿 시퀀스는 시그널 필드에 기재된 파일럿 시퀀스 모드 정보에 따라 트레블링 파일럿 (Traveling pilot) 모드 혹은 픽스드 파일럿 (Fixed point)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픽스드 파일럿 모드는 파일럿의 위치가 고정되어 매 데이터 심볼 마다 동일한 위치에 파일럿이 존재하는 반면에, 트레블링 파일럿 모드에서는 매 심볼마다 파일럿의 위치가 주기적으로 로테이션되어 일정 심볼 이후에는 원래의 위치로 회복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트레블링 파일럿을 사용하는 경우 채널 상태가 도플러 쉬프트 혹은 딜레이 스프레드에 따라 심하게 변해도 채널의 변화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다.DATA may include data values transmitted in a manner suitable for the signal information. The DATA field may include a periodic pilot sequence as a reference signal for tracking and compensating for phase, signal size, and residual frequency offset in restoring data transmitted according to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signal field. The pilot sequence may operate in a traveling pilot mode or a fixed point mode according to the pilot sequence mode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signal field. In the fixed pilot mode, the pilot position is fixed, so that the pilot exists at the same position for each data symbol, whereas in the traveling pilot mode, the pilot position is periodically rotated for each symbol, and after a certain symbol, the original position is restored. It has a structure. When using a traveling pilot, it can help to overcome a change in the channel even if the channel condition changes severely according to Doppler shift or delay spread.

도 3은 종래의 무선랜 프레임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ireless LAN frame transmission method.

Legacy(310) 프레임 전송 방법은 시그널 필드의 첫 번째 심볼을 QPSK, 두 번째 심볼을 QPSK 변조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Legacy 310 frame transmission method may transmit the first symbol of the signal field in QPSK and the second symbol in QPSK modulation.

HT(320) 프레임 전송 방법은 시그널 필드의 첫 번째 심볼을 Q-BPSK, 두 번째 심볼을 Q-BPSK 변조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e HT 320 frame transmission method, the first symbol of the signal field may be transmitted by Q-BPSK and the second symbol by Q-BPSK modulation.

VHT(330) 프레임 전송 방법은 시그널 필드의 첫 번째 심볼을 BPSK, 두 번째 심볼을 Q-BPSK 변조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VHT 330 frame transmission method, the first symbol of the signal field may be transmitted using BPSK and the second symbol using Q-BPSK modulation.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NGW(Type-1a)(410)프레임 전송 방법을 참고하면, NGW-SIG-A의 첫 번째 심볼을 BPSK, 두 번째 심볼을 Q-BPSK로 변조할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VHT-SIG-A와 동일한 변조 방식이기 때문에 NGW-SIG-A의 정보를 VHT 장치와 호환되도록 하여 VHT 장치의 스푸핑이나 파워세이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스푸핑 (Spoofing)은 기존의 표준을 사용하는 단말들이 기존의 프레임을 받았다고 인식하여 시그널 필드에 기재된 rate과 length 정보로 계산되는 시간만큼 채널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파워세이브는 시그널 필드의 ID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 단말이 받아야하는 프레임이 아니라면 이후의 프로세싱을 멈추고 파워세이브 모드로 들어가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 프레임을 수신하면 NGW-STF를 X축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135도 회전한 BPSK로 전송하여 기존의 VHT-STF와 90도 차이 나도록 하여 수신단이 패킷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VHT-STF는 (1, 1)과 (-1, -1) 위치에 BPSK 신호가 매핑되어 전송되는 반면에 NGW-STF는 (-1, 1)과 (1, -1) 위치에 BPSK 신호가 매핑되어 전송되어 상기 두 신호는 90도의 위상 차이를 갖게 된다. VHT-STF 혹은 NGW-STF 앞의 시그널 필드에서 BPSK와 Q-BPSK 신호에 기반하여 VHT 혹은 NGW 프레임이라고 인식하고, 그 다음에 오는 STF 신호의 위상을 인식하여 프레임 모드를 인식하게 된다. VHT 장치는 L-SIG와 VHT-SIG-A라고 인식한 시그널 필드 정보를 기반으로 스푸핑을 하게 되고, NGW 장치는 NGW-STF에서 프레임 종류 검출과 자동 이득 제어를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NGW (Type-1a) 410 frame transmission method, the first symbol of NGW-SIG-A can be modulated with BPSK and the second symbol with Q-BPSK.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since it is the same modulation method as VHT-SIG-A, information of NGW-SIG-A can be made compatible with VHT devices, thereby enabling spoofing or power saving of VHT devices. Spoofing refers to a function that prevents a terminal using an existing standard from accessing a channel for a time calculated by the rate and length information written in the signal field by recognizing that the existing frame has been received. Power save refers to a function that stops subsequent processing and enters a power save mode if it is not a frame that the receiving terminal should receive based on the ID information of the signal field. When this frame is received, the NGW-STF is transmitted to the BPSK rotated 135 degrees counterclockwise on the X-axis to make it 90 degree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VHT-STF so that the receiver can determine the packet type. In VHT-STF, BPSK signals are mapped and transmitted at (1, 1) and (-1, -1) positions, while NGW-STF has BPSK signals at (-1, 1) and (1, -1) positions. The signals are mapped and transmitted so that the two signals have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In the signal field before VHT-STF or NGW-STF, it is recognized as a VHT or NGW frame based on the BPSK and Q-BPSK signals, and the phase of the next STF signal is recognized to recognize the frame mode. The VHT device performs spoofing based on the signal field information recognized as L-SIG and VHT-SIG-A, and the NGW device simultaneously performs frame type detection and automatic gain control in the NGW-STF.

NGW(Type-1b)(420) 프레임 전송 방법은 NGW-SIG-A의 두 심볼 모두 BPSK 변조 방식으로 전송하고, NGW-STF를 Q-BPSK로 전송하여 legacy 프레임 포맷과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L-SIG 이후에 오는 두 심볼이 모두 BPSK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legacy 단말, HT 단말과 VHT 단말은 이 프레임을 legacy 프레임으로 인식할 수 있다. NGW 단말은 이 프레임이 Legacy 프레임인지 아니면 NGW 프레임인지를 NGW-STF 위치에서 BPSK와 Q-BPSK를 구분하여 패킷 종류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NGW 프레임인 경우에는 NGW-STF를 Q-BPSK로 전송하게 되고, Legacy 프레임인 경우에는 BPSK 신호로 전송되므로 상기 신호의 90도 위상차에 의하여 프레임 모드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Legacy 프레임의 경우 BPSK 신호만 고려하면 되는 이유는 NGW 프레임인 경우에는 rate이 6Mbps로 설정되어 전송되기 때문이다.In the NGW (Type-1b) 420 frame transmission method, both symbols of the NGW-SIG-A are transmitted using a BPSK modulation method, and the NGW-STF is transmitted through the Q-BPSK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legacy frame format. As described above, when both symbols coming from the L-SIG are transmitted to the BPSK, the legacy terminal, the HT terminal, and the VHT terminal can recognize this frame as a legacy frame. The NGW terminal can determine whether the frame is a legacy frame or an NGW frame by distinguishing the BPSK and Q-BPSK from the NGW-STF position to determine the packet type. In the case of an NGW frame, NGW-STF is transmitted to Q-BPSK, and in the case of a legacy frame, it is transmitted as a BPSK signal, so that the frame mode can be distinguished by a 90 degree phase difference of the signal. In the case of a legacy frame, only the BPSK signal needs to be considered because in the case of an NGW frame, the rate is set and transmitted at 6Mbps.

NGW(Type 2) 프레임 전송 방법은 NGW-SIG-A의 심볼을 세 심볼 길이로 전송하여 시그널 필드 정보를 NGW(Type 1) 방식보다 더 많이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The NGW (Type 2) frame transmission method shows a method of transmitting NGW-SIG-A symbols in three symbol lengths and including more signal field information than the NGW (Type 1) method.

NGW(Type-2a)(430) 프레임 전송 방법은 NGW-SIG-A의 첫 번째 심볼을BPSK로 전송하고, 두 번째 심볼을 Q-BPSK로 전송하여 VHT 단말과 NGW 단말 모두 해당 시그널 필드를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세 번째 심볼을 X축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135도 회전하여 전송함으로써 VHT 프레임과 NGW 프레임을 판별할 수 있다. NGW 프레임의 NGW-SIG-A의 세 번째 심볼은 VHT 프레임의 VHT-STF와 90도 위상 차이를 갖게 되어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VHT 프레임 및 NGW 프레임을 판별할 수 있다. The NGW (Type-2a) (430) frame transmission method transmits the first symbol of NGW-SIG-A to BPSK and the second symbol to Q-BPSK to utilize the corresponding signal fields for both VHT and NGW terminals. VHT frame and NGW frame can be discriminated by transmitting the third symbol by rotating it 135 degrees counterclockwise on the X axis. The third symbol of the NGW-SIG-A of the NGW frame has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the VHT-STF of the VHT frame, so that the VHT frame and the NGW frame can be discriminated from the received frame.

NGW(Type-2b)(440) 프레임 전송 방법은 NGW-SIG-A의 첫 번째 심볼과 두 번째 심볼을 BPSK로 전송하고 세 번째 심볼을 Q-BPSK로 전송하여 Legacy 프레임과 NGW 프레임을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하는 경우 NGW-SIG-A의 첫 번째 심볼과 두 번째 심볼이 BPSK이므로 legacy 단말과 HT 단말, VHT 단말은 이 프레임이 legacy 프레임이라고 판단하게 되어 시그널 필드의 rate과 length 정보를 기반으로 스푸핑을 하게 된다. 반면에 NGW 단말은 첫 번째 심볼과 두 번째 심볼이 BPSK이고 세 번째 심볼이 Q-BPSK인 것을 감지하여 NGW 프레임이라고 판별하게 된다. NGW 단말은 rate이 6Mbps인 경우 legacy 프레임인지 NGW 프레임인지 판별하면 되므로 NGW-SIG-A의 세 번째 심볼 위치에서 BPSK와 Q-BPSK 여부만 판별하면 된다.The NGW (Type-2b) (440) frame transmission method can determine the Legacy frame and the NGW frame by transmitting the first and second symbols of the NGW-SIG-A to the BPSK and the third symbol to the Q-BPSK. have.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symbol and the second symbol of the NGW-SIG-A are BPSK, the legacy terminal, the HT terminal, and the VHT terminal determine that this frame is a legacy frame, and spoofing based on the rate and length information of the signal field. Will do. On the other hand, the NGW terminal detects that the first symbol and the second symbol are BPSK and the third symbol is Q-BPSK and determines that it is an NGW frame. When the rate is 6Mbps, the NGW terminal needs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legacy frame or an NGW frame, and only needs to determine whether BPSK and Q-BPSK are in the third symbol position of NGW-SIG-A.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은 심볼을 변조하여 전송함으로써 프레임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시그널 필드에 프레임 종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법은 도 5 및 도 7을 참고하기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may determine a frame type by modulating and transmitting a symbol. In addition, in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 method of transmitting frame type information in a signal fiel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7.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전송 방법을 나타낸 다른 예이다.5 is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transmitting a next generation W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는 시그널 필드에 프레임 종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시그널 필드의 변조 방식은 VHT 모드 프레임과 동일하게 유지하되 Reserved 비트를 이용하여 NGW 장치가 NGW 프레임 모드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IG. 5 shows a method of transmitting the signal field by including frame type information. The modulation method of the signal field remains the same as that of the VHT mode frame, but allows the NGW device to recognize that it is in the NGW frame mode using reserved bits. Can be.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Legacy(510) 프레임 전송 방법은 시그널 필드의 첫 번째 심볼을 QPSK, 두 번째 심볼을 QPSK 변조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HT(520) 프레임 전송 방법은 시그널 필드의 첫 번째 심볼을 Q-BPSK, 두 번째 심볼을 Q-BPSK 변조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VHT(530) 프레임 전송 방법은 시그널 필드의 첫 번째 심볼을 BPSK, 두 번째 심볼을 Q-BPSK 변조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Legacy 510 frame transmission method may transmit the first symbol in the signal field in QPSK and the second symbol in QPSK modulation. In the HT 520 frame transmission method, the first symbol of the signal field may be transmitted by Q-BPSK and the second symbol by Q-BPSK modulation. In the VHT 530 frame transmission method, the first symbol in the signal field may be transmitted using BPSK and the second symbol in Q-BPSK modulation.

NGW(Type-3)(540)프레임 전송 방법에 있어서, 시그널 필드의 변조 방식은 53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VHT 모드 프레임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Reserved 비트를 이용하여 VHT 프레임을 구분할 수 있다. Reserved 비트를 이용하여 VHT 모드와 NGW를 구분하는 방법은 도 6및 도 7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NGW (Type-3) 540 frame transmission method, the modulation method of the signal field may be mainta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VHT mode frame, as described in 530. At this time, the VHT frame can be classified using the reserved bit.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the VHT mode from the NGW using the reserved b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S. 6 and 7.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그널 필드에 프레임 종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frame type information in a signal f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a는 NGW(Type-3a) 프레임 전송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NGW(Type-3a)의 NGW 프레임은 VHT 프레임 포맷과 동일한 시그널 필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VHT 프레임에는 Reserved 비트가 3 비트 있는데, 이 중 적어도 하나의 Reserved 비트를 이용함으로써 NGW 모드와 VHT 모드를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 포맷 정보는 Reserved 비트(611, 612, 6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트 값을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Reserved 비트가 0이면 NGW 모드, Reserved 비트가 1이면 VHT 모드로 정의할 수 있고, 또는 Reserved 비트가 1이면 NGW모드, Reserved 비트가 0이면 VHT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6A illustrates a method of transmitting an NGW (Type-3a) frame, and the NGW frame of the NGW (Type-3a) may have the same signal field structure as the VHT frame format. In the VHT frame, there are 3 bits in the Reserved bit.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Reserved bits, the NGW mode and the VHT mode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ly, the frame format information may be defined using at least one bit value of the reserved bits 611, 612, and 613. For example, if the Reserved bit is 0, it can be defined as NGW mode, if the Reserved bit is 1, VHT mode, or if the Reserved bit is 1, it can be defined as NGW mode, and if the Reserved bit is 0, it can be defined as VHT mode.

NGW(Type-3a) 프레임 전송 방법은 NGW-SIG-A의 첫 번째 심볼을 BPSK로 변조하고, 두 번째 심볼을 Q-BPSK로 변조하여 전송될 수 있으므로, Legacy 단말과 HT 단말은 Legacy 모드로 인식될 수 있고, VHT 단말은 VHT 모드로 인식될 수 있다. NGW 은 Reserved 비트를 이용해 NGW모드를 판별할 수 있다. Since the NGW (Type-3a) frame transmission method can be transmitted by modulating the first symbol of NGW-SIG-A with BPSK and modulating the second symbol with Q-BPSK, the Legacy terminal and the HT terminal are recognized as Legacy modes. VHT terminal may be recognized as a VHT mode. NGW can determine the NGW mode using the Reserved bit.

도 6b는 NGW(Type-3b) 프레임 전송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NGW(Type-3b)는 프레임은Reserved 비트(651, 652, 653) 위치를 제외한 다른 시그널 정보 (signal information 1,2,3,4)를 새롭게 정의한 프레임 포맷이다.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장치는 NGW(Type-3a)과 같이 Reserved 비트(651, 652, 65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트 값을 이용하여 프레임 모드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eserved 비트가 0이면 NGW 모드, Reserved 비트가 1이면 VHT 모드로 정의할 수 있고, 또는 Reserved 비트가 1이면 NGW모드, Reserved 비트가 0이면 VHT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FIG. 6b shows a method of transmitting an NGW (Type-3b) frame, and in the NGW (Type-3b) frame, other signal information (signal information 1,2,3,4) except for the location of the reserved bits 651, 652, and 653. ) Is a newly defined frame format. The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frame can classify the frame mode using at least one bit value of the reserved bits 651, 652, and 653, such as NGW (Type-3a). For example, if the Reserved bit is 0, it can be defined as NGW mode, if the Reserved bit is 1, VHT mode, or if the Reserved bit is 1, it can be defined as NGW mode, and if the Reserved bit is 0, it can be defined as VHT mode.

NGW(Type-3b) 프레임 전송 방법은 NGW-SIG-A의 첫 번째 심볼을 BPSK로 변조하고, 두 번째 심볼을 Q-BPSK로 변조하여 전송하므로, Legacy 단말과 HT 단말에게는 Legacy 모드로 인식되고, VHT 단말에게는 VHT 모드로 인식될 것이며, NGW의 경우는 Reserved 비트를 이용해 NGW 모드를 판별할 수 있다. The NGW (Type-3b) frame transmission method modulates and transmits the first symbol of NGW-SIG-A with BPSK and modulates the second symbol with Q-BPSK, so it is recognized as Legacy mode for Legacy terminals and HT terminals. The VHT terminal will be recognized as a VHT mode, and in the case of NGW, the NGW mode can be determined using the Reserved bit.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VHT 프레임을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a VHT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은 프레임 모드를 검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NGW(Type-3b) 프레임의 NGW-SIG-A을 표현한 도면이다. NGW(Type-3b) 프레임은 Reserved 비트 위치를 제외한 다른 시그널 정보 (signal information 1,2,3,4)는 NGW를 위해 새롭게 정의한 프레임 포맷이다.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장치는 NGW(Type-3a)과 같이 프레임 포맷 정보를 Reserved 비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트 값을 이용하여 프레임 모드를 구분할 수 있다.7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cting a frame mode and expressing NGW-SIG-A of an NGW (Type-3b) frame. The NGW (Type-3b) frame is a newly defined frame format for NGW for signal information other than reserved bit positions (signal information 1,2,3,4). The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frame may classify the frame mode using frame format information, such as NGW (Type-3a), using at least one bit value among reserved bits.

도 7a를 참고하면, 예를 들면, NGW(Type-3b1)(700)은 Reserved 비트(710, 711, 712) 중 제1 Reserved 비트(710)의 값을 이용하여 프레임 모드(710)를 검출할 수 있다. 도 7b를 참고하면, 예를 들면, NGW(Type-3b2)(720)은 Reserved 비트(730, 731, 732) 중 제2 Reserved 비트(731)의 비트 값을 이용하여 프레임 모드(731)를 검출할 수 있다. 도 7c을 참고하면, 예를 들면, NGW(Type-3b3)(740)은 Reserved 비트(750, 751, 752) 중 제3 Reserved 비트(752)의 비트 값을 이용하여 프레임 모드(752)를 검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A, for example, the NGW (Type-3b1) 700 detects the frame mode 710 by using the value of the first reserved bit 710 among the reserved bits 710, 711, and 712. Can be. Referring to FIG. 7B, for example, the NGW (Type-3b2) 720 detects the frame mode 731 by using the bit value of the second reserved bit 731 among the reserved bits 730, 731, and 732. can do. Referring to FIG. 7C, for example, the NGW (Type-3b3) 740 detects the frame mode 752 using the bit value of the third reserved bit 752 among the reserved bits 750, 751, and 752. can do.

상기 NGW(Type-3a) 및 NGW(Type-3b) 시그널 필드의 변조 방식은 VHT 모드 프레임과 동일하게 유지하되 Reserved 비트를 이용해 NGW 장치가 NGW 프레임 모드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Legacy 시그널 필드의 경우는 parity bit의 에러 유무 판별 성능이 떨어지고, 이미 reserved bit이 다른 용도로 사용되고 있어서, 프레임 모드 검출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지만 HT-SIG 혹은 VHT-SIG의 경우는 CRC 필드를 가지고 있어서 매우 우수한 에러 검출 성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프레임 모드 검출에 사용할 수 있다.The modulation methods of the NGW (Type-3a) and NGW (Type-3b) signal fields remain the same as the VHT mode frame, but use the Reserved bit to recognize that the NGW device is in the NGW frame mode. In the case of the Legacy signal field, the performance of discrimination of parity bit errors is poor, and the reserved bit is already used for other purposes, making it difficult to use for frame mode detection, but the HT-SIG or VHT-SIG has a CRC field. Since it has excellent error detection performance, it can be used for frame mode detection.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전송 방법을 나타낸 또다른 예이다. 8 is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transmitting a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Legacy(810) 프레임은 시그널 필드의 첫 번째 심볼을 QPSK, 두 번째 심볼을 QPSK 변조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HT(820) 프레임은 시그널 필드의 첫 번째 심볼을 Q-BPSK, 두 번째 심볼을 Q-BPSK 변조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VHT(830) 프레임은 시그널 필드의 첫 번째 심볼을 BPSK, 두 번째 심볼을 Q-BPSK 변조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Legacy 810 frame may transmit the first symbol of the signal field in QPSK and the second symbol in QPSK modulation. The HT 820 frame may transmit the first symbol of the signal field in Q-BPSK and the second symbol in Q-BPSK modulation. The VHT 830 frame may transmit the first symbol of the signal field in BPSK and the second symbol in Q-BPSK modulation.

NGW(Type-4)(840) 프레임 전송 방법은 HT-SIG와 동일하게 두 심볼 모두 Q-BPSK 변조 방식으로 전송하여, HT 장치와 VHT 장치는 이 프레임을 HT 프레임으로 인식할 수 있고, Legacy 장치는 Legacy 프레임으로 인식할 수 있다. NGW 장치는 Reserved 비트를 이용함으로써 NGW 프레임인지 아닌지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Reserved 비트가 0 이면 NGW 프레임이고, Reserved 비트가 1이면 HT 프레임으로 인식할 수 있다.The NGW (Type-4) 840 frame transmission method transmits both symbols in a Q-BPSK modulation method in the same way as the HT-SIG, so that the HT device and the VHT device can recognize the frame as an HT frame, and the Legacy device. Can be recognized as a Legacy frame. The NGW device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an NGW frame by using the Reserved bit. For example, if the Reserved bit is 0, it is an NGW frame, and if the Reserved bit is 1, it can be recognized as an HT frame.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HT 프레임을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an HT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a에서 NGW(Type-4a)(910) 프레임 전송 방법은 Reserved 비트(911)를 이용하여 NGW 프레임을 판별할 수 있다. NGW(Type-4a)는 HT-SIG와 동일하게 두 심볼 모두 Q-BPSK 변조 방식으로 전송하여, HT 장치와 VHT 장치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HT 프레임으로 인식하게 하고, Legacy 장치는 상기 프레임을 Legacy 프레임으로 인식할 수 있다. NGW(Type-4a) 장치는 Reserved 비트(911)를 이용함으로써 NGW 프레임인지 아닌지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Reserved 비트(911)가 0 이면 NGW 프레임이고, Reserved 비트(911)가 1이면 HT 프레임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FIG. 9A, a method for transmitting an NGW (Type-4a) 910 frame may use the Reserved bit 911 to determine the NGW frame. NGW (Type-4a) transmits both symbols in the same way as HT-SIG in Q-BPSK modulation, so that the HT device and the VHT device recognize the frame as an HT frame, and the Legacy device converts the frame into a Legacy frame. Can be recognized. The NGW (Type-4a) device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an NGW frame by using the Reserved bit 911. For example, if the Reserved bit 911 is 0, it is an NGW frame, and if the Reserved bit 911 is 1, it can be recognized as an HT frame.

도 9b에서 NGW(Type-4b)(950)는 Reserved 비트 위치를 제외한 다른 시그널 정보 (signal information 1,2,3)는 NGW를 위해 새롭게 정의한 프레임 포맷이다. 도 9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NGW(Type-4b)(950) 프레임 전송 방법은 HT-SIG와 동일하게 두 심볼 모두 Q-BPSK 변조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HT 장치와 VHT 장치는 상기 프레임을 HT 프레임으로 인식할 수 있고, Legacy 장치는 Legacy 프레임으로 인식할 수 있다. NGW(Type-4b) 장치는 Reserved 비트(951)를 이용함으로써 NGW 프레임인지 아닌지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Reserved 비트(951)가 0 이면 NGW 프레임이고, Reserved 비트(951)가 1이면 HT 프레임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FIG. 9B, NGW (Type-4b) 950 is a frame format newly defined for NGW for other signal information (signal information 1,2,3) except for the reserved bit position. As illustrated in FIG. 9A, the HTW (Type-4b) 950 frame transmission method transmits both symbols in a Q-BPSK modulation method in the same manner as the HT-SIG, so that the HT device and the VHT device recognize the frame as an HT frame. And Legacy devices can be recognized as Legacy frames. The NGW (Type-4b) device makes i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an NGW frame by using the Reserved bit 951. For example, if the Reserved bit 951 is 0, it is an NGW frame, and if the Reserved bit 951 is 1, it can be recognized as an HT frame.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은 NGW(Type-1a)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은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장치의 송신부에 의하여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고, 수신부에 의하여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10 shows a method of transmitting an NGW (Type-1a) frame,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a next generation WLAN frame may be performed by a communication device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The next-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can be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of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next-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nd the next-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can be received by the receiver, and can be appli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단계(1010)에서 송신부는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의 첫 번째 심볼을 BPSK로 변조할 수 있다.In step 1010, the transmitter may modulate the first symbol of SIG-A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with BPSK.

단계(1020)에서 송신부는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의 두 번째 심볼을 Q-BPSK로 변조할 수 있다.In step 1020, the transmitter may modulate the second symbol of SIG-A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with Q-BPSK.

단계(1030)에서 송신부는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TF 신호를 VHT-STF와 90도의 위상 차이를 갖도록 변조할 수 있다. NGW-STF 신호는 (-1, 1), (1, -1) 위치에 BPSK 신호가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고, VHT-STF는 (1, 1), (-1, -1)위치에 BPSK 신호가 매핑되어 전송되므로, NGW-STF 및 VHT-STF 신호는 90도의 위상 차이를 갖도록 변조될 수 있다. In step 1030, the transmitter may modulate the STF signal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to have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the VHT-STF. The NGW-STF signal can be transmitted by mapping the BPSK signal at the (-1, 1), (1, -1) position, and the VHT-STF is the BPSK at the (1, 1), (-1, -1) position. Since the signals are mapped and transmitted, the NGW-STF and VHT-STF signals can be modulated to have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장치는 시그널 필드에서 BPSK와 Q-BPSK 신호에 기반하여 VHT 혹은 NGW 프레임이라고 인식한 후, STF 신호의 위상을 인식하여 프레임 모드를 인식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ognize the frame mode by recognizing the phase of the STF signal after recognizing the VHT or NGW frame based on the BPSK and Q-BPSK signals in the signal field.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은 NGW(Type-1a) 프레임을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을 수신하는 방법은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11 illustrates a method of receiving a NGW (Type-1a) frame, and a method of receiving a next generation WLAN frame may be performed by a communication device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단계(1110)에서 수신부는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1110, the receiver may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단계(1120)에서 수신부는 통신 신호의 SIG-A의 첫 번째 심볼 및 두 번째 심볼을 확인(Verify)할 수 있다. In step 1120, the reception unit may verify (Verify) the first symbol and the second symbol of the SIG-A of the communication signal.

단계(1130)에서 수신부는 첫 번째 심볼이 BPSK이고, 두 번째 심볼이 Q-BPSK 신호인 경우, 통신 신호의 STF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1130, when the first symbol is a BPSK and the second symbol is a Q-BPSK signal, the receiver may check the STF signal of the communication signal.

단계(1140)에서 수신부는 STF 신호에 따라 무선 랜 프레임의 통신 모드를 식별(Identify)할 수 있다. 이때, 수신부는 NGW-STF 신호가 VHT-STF와 90도의 위상 차이를 가지는 경우, 통신 모드를 차세대 무선랜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STF 신호가 VHT-STF와 위상 차이가 없는 경우, 통신 모드를 VHT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1140, the receiver may identify (Identify)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wireless LAN frame according to the STF signal. In this case, when the NGW-STF signal has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the VHT-STF, the reception unit may determine the communication mode as the next generation WLAN mode. When the STF signal has no phase difference from the VHT-STF, the communication mode may be determined as the VHT mode.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또 다른 예이다.12 is another example of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2는 NGW(Type-1b)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단계(1210)에서 송신부는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의 첫 번째 심볼을 BPSK로 변조(modulate)할 수 있다.FIG. 12 shows a method of transmitting an NGW (Type-1b) frame. In step 1210, the transmitter may modulate the first symbol of SIG-A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with BPSK.

단계(1220)에서 송신부는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의 두 번째 심볼을 BPSK로 변조할 수 있다. In step 1220, the transmitter may modulate the second symbol of SIG-A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with BPSK.

단계(1230)에서 송신부는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TF 신호를 Q-BPSK로 변조할 수 있다. In step 1230, the transmitter may modulate the STF signal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to Q-BPSK.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또 다른 예이다.13 is another example of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3은 NGW(Type-1b) 프레임을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단계(1310)에서 수신부는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13 illustrates a method for receiving an NGW (Type-1b) frame, and in step 1310, the receiver may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단계(1320)에서 수신부는 통신 신호의 SIG-A의 첫 번째 심볼 및 두 번째 심볼을 확인할 수 있다. In step 1320, the receiver may identify the first and second symbols of SIG-A of the communication signal.

단계(1330)에서 수신부는 첫 번째 심볼이 BPSK 신호이고, 두 번째 심볼이 BPSK 신호인 경우, 통신 신호의 STF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In step 1330, when the first symbol is a BPSK signal and the second symbol is a BPSK signal, the receiver may check the STF signal of the communication signal.

단계(1340)에서 STF 신호에 따라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STF 신호가 Q-BPSK 신호인 경우, 통신 모드를 차세대 무선랜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STF 신호가 BPSK 신호인 경우, 통신 모드를 레거시(Legacy)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1340,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WLAN frame may b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STF signal. At this time, if the STF signal is a Q-BPSK signal, the communication mode may be determined as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mode. When the STF signal is a BPSK signal, the communication mode may be determined as a legacy mode.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또 다른 예이다.14 is another example of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4는 NGW(Type-2a)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단계(1410)에서 송신부는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의 첫 번째 심볼을 BPSK로 변조할 수 있다. 14 shows a method of transmitting an NGW (Type-2a) frame. In step 1410, the transmitter may modulate the first symbol of SIG-A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with BPSK.

단계(1420)에서 송신부는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의 두 번째 심볼을 Q-BPSK로 변조할 수 있다. In step 1420, the transmitter may modulate the second symbol of SIG-A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with Q-BPSK.

단계(1430)에서 송신부는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의 세 번째 심볼을 VHT-STF와 90도 위상 차이를 갖도록 변조할 수 있다. 이때, STF 신호는 (-1, 1), (1, -1)의 위치에 BPSK 신호가 매핑될 수 있다. In step 1430, the transmitter may modulate the third symbol of SIG-A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to have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VHT-STF. At this time, the BPSK signal may be mapped to positions (-1, 1), (1, -1) of the STF signal.

도 15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또 다른 예이다.15 is another example of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5는 NGW(Type-2a) 프레임을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단계(1510)에서 수신부는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15 illustrates a method of receiving an NGW (Type-2a) frame, and in step 1510, the receiver may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단계(1520)에서 수신부는 통신 신호의 SIG-A의 첫 번째 심볼 및 두 번째 심볼을 확인할 수 있다. In step 1520, the receiver may identify the first and second symbols of SIG-A of the communication signal.

단계(1530)에서 수신부는 첫 번째 심볼이 BPSK 신호이고, 두 번째 심볼이 Q-BPSK 신호인 경우, SIG-A의 세 번째 심볼을 확인할 수 있다.In step 1530, the receiver may identify the third symbol of SIG-A when the first symbol is a BPSK signal and the second symbol is a Q-BPSK signal.

단계(1540)에서 수신부는 세 번째 심볼에 따라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세 번째 심볼이 VHT-STF와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는 경우, 통신 모드를 차세대 무선랜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세 번째 심볼이 VHT와 위상 차이가 없는 경우, 통신 모드를 VHT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1540, the receiver may identify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WLAN frame according to the third symbol. When the third symbol has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the VHT-STF, the communication mode may be determined as the next generation WLAN mode. In addition, when the third symbol has no phase difference with VHT, the communication mode may be determined as a VHT mode.

도 16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또 다른 예이다.16 is another example of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6은 NGW(Type-2b)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단계(1610)에서 송신부는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 의 첫 번째 심볼을 BPSK로 변조할 수 있다. 16 illustrates a method of transmitting an NGW (Type-2b) frame, and in step 1610, the transmitter may modulate the first symbol of SIG-A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with BPSK.

단계(1620)에서 송신부는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의 두 번째 심볼을 BPSK로 변조할 수 있다. In step 1620, the transmitter may modulate the second symbol of SIG-A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with BPSK.

단계(1630)에서 송신부는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SIG-A의 세 번째 심볼을 Q-BPSK로 변조할 수 있다.In step 1630, the transmitter may modulate the third symbol of SIG-A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with Q-BPSK.

도 17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또 다른 예이다.17 is another example of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7은 NGW(Type-2b) 프레임을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단계(1710)에서 수신부는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17 illustrates a method of receiving an NGW (Type-2b) frame, and in step 1710, the receiving unit may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단계(1720)에서 수신부는 통신 신호의 SIG-A의 첫 번째 심볼 및 두 번째 심볼을 확인할 수 있다. In step 1720, the receiver may identify the first and second symbols of SIG-A of the communication signal.

단계(1730)에서 수신부는 첫 번째 심볼이 BPSK 신호이고, 두 번째 심볼이 BPSK 신호인 경우, SIG-A의 세 번째 심볼을 확인할 수 있다. In step 1730, when the first symbol is a BPSK signal and the second symbol is a BPSK signal, the receiver may identify the third symbol of SIG-A.

단계(1740)에서 수신부는 SIG-A 의 세 번째 심볼에 따라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SIG-A의 세 번째 심볼이 Q-BPSK 신호인 경우, 통신 모드를 차세대 무선랜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SIG-A의 세 번째 심볼이 BPSK 신호인 경우, 통신 모드를 레거시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In step 1740, the receiver may identify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WLAN frame according to the third symbol of SIG-A. When the third symbol of SIG-A is a Q-BPSK signal, the communication mode may be determined as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mode. When the third symbol of SIG-A is a BPSK signal, the communication mode can be determined as a legacy mode.

도 18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또 다른 예이다.18 is another example of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8은 NGW(Type-3a) 및 NGW(Type-3b)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18 illustrates a method of transmitting NGW (Type-3a) and NGW (Type-3b) frames.

단계(1810)에서 송신부는 VHT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와 동일한 길이로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VHT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 구조와 동일하게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를 생성할 수 있고, VHT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 구조와 다르게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In step 1810, the transmitter may generate a signal field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with the same length as the signal field of the VHT frame. At this time, the signal field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may be gen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ignal field structure of the VHT frame, and the signal field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may be generated differently from the signal field structure of the VHT frame.

단계(1820)에서 송신부는 VHT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 구조의 예약 비트 중 한 예약 비트를 제1 값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VHT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 구조의 예약 비트 중 미리 정해진 예약 비트를 제1 값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차세대 무선랜 모드인 경우 미리 정해진 예약 비트를 제1 값으로 입력할 수 있고, VHT 모드인 경우 미리 정해진 예약 비트를 제2 값으로 입력할 수 있다. In step 1820, the transmitter may input one reserved bit of the reserved bits of the signal field structure of the VHT frame as a first value. For example, a predetermined reserved bit of the reserved bits of the signal field structure of the VHT frame may be input as a first value.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mode, a predetermined reservation bit can be input as a first value, and in the case of a VHT mode, a predetermined reservation bit can be input as a second value.

단계(1830)에서 송신부는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NGW-SIG-A의 첫 번째 심볼을 BPSK로 변조할 수 있고, 단계(1840)에서 송신부는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NGW-SIG-A의 두 번째 심볼을 Q-BPSK로 변조할 수 있다. In step 1830, the transmitter may modulate the first symbol of NGW-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into BPSK, and in step 1840, the transmitter may transmit the second symbol of NGW-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Can be modulated with Q-BPSK.

도 19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또 다른 예이다.19 is another example of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9는 NGW(Type-3a) 및 NGW(Type-3b) 프레임을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단계(1910)에서 수신부는 무선랜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19 illustrates a method of receiving NGW (Type-3a) and NGW (Type-3b) frames, and in step 1910, the receiver may receive a WLAN frame.

단계(1920)에서 수신부는 무선랜 프레임 중 VHT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 구조의 예약 비트 중 미리 정해진 예약 비트를 확인할 수 있다. In step 1920, the receiver may check a predetermined reserved bit among reserved bits of the signal field structure of the VHT frame among WLAN frames.

단계(1930)에서 수신부는 식별된 예약 비트에 따라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식별된 예약 비트가 제1 값인 경우, 통신 모드를 차세대 무선랜 모드로 판단할 수 있고, 식별된 예약 비트가 제2 값인 경우, 통신 모드를 VHT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별된 예약 비트가 0이면, 차세대 무선랜 모드로 판단할 수 있고, 식별된 예약 비트가 1이면, VHT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In step 1930, the receiver may identify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WLAN fram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reservation bit. At this time, when the identified reservation bit is the first value, the communication mode may be determined as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mode, and when the identified reservation bit is the second value, the communication mode may be determined as the VHT mode. For example, if the identified reservation bit is 0, it can be determined as a next-generation wireless LAN mode, and if the identified reservation bit is 1, it can be determined as a VHT mode.

도 20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또 다른 예이다.20 is another example of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0은 NGW(Type-4a) 및 NGW(Type-4b)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20 illustrates a method of transmitting NGW (Type-4a) and NGW (Type-4b) frames.

단계(2010)에서 송신부는 HT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와 동일한 길이로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차세대 무선랜 모드인 경우 미리 정해진 예약 비트를 제1 값으로 입력할 수 있고, HT 모드인 경우 미리 정해진 예약 비트를 제2 값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HT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 구조와 다르게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In step 2010, the transmitter may generate a signal field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with the same length as the signal field of the HT frame. In the next generation WLAN mode, a predetermined reservation bit may be input as a first value, and in the HT mode, a predetermined reservation bit may be input as a second value. In addition, unlike the signal field structure of the HT frame, a signal field of the next generation WLAN frame can be generated.

단계(2020)에서 송신부는 HT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 구조의 예약 비트를 제1 값으로 입력할 수 있다. In step 2020, the transmitter may input the reserved bit of the signal field structure of the HT frame as the first value.

단계(2030)에서 송신부는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NGW-SIG-A의 첫 번째 심볼을 Q-BPSK로 변조할 수 있고, 단계(2040)에서 송신부는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NGW-SIG-A의 두 번째 심볼을 Q-BPSK로 변조할 수 있다.In step 2030, the transmitter may modulate the first symbol of NGW-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into Q-BPSK, and in step 2040, the transmitter may include two of NGW-SIG-A of the next-generation WLAN frame. The first symbol can be modulated with Q-BPSK.

도 2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of a next generation W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1은 NGW(Type-4a) 및 NGW(Type-4b) 프레임을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단계(2110)에서 수신부는 무선랜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21 illustrates a method of receiving NGW (Type-4a) and NGW (Type-4b) frames, and in step 2110, the receiver may receive a WLAN frame.

단계(2120)에서 수신부는 무선랜 프레임 중 HT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 구조의 예약 비트를 확인할 수 있다. In step 2120, the receiver may check the reserved bit of the signal field structure of the HT frame among the WLAN frames.

단계(2130)에서 수신부는 식별된 예약 비트에 따라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된 예약 비트가 제1 값인 경우, 통신 모드를 차세대 무선랜 모드로 판단할 수 있고, 식별된 예약 비트가 제2 값인 경우, 통신 모드를 HT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In step 2130, the receiver may identify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WLAN fram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reservation bit. When the identified reservation bit is the first value, the communication mode may be determined as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mode, and when the identified reservation bit is the second value, the communication mode may be determined as the HT mode.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장치는 IEEE 802.11a/n/ac와 호환성 유지하고, 고효율 및 고성능 판별이 가능한 NGW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maintain compatibility with IEEE 802.11a/n/ac and transmit a NGW frame capable of high efficiency and high performance discrimination.

도 22는 IEEE 802.11의 물리계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22 is a diagram showing a physical layer structure of IEEE 802.11.

IEEE 802.11의 물리계층 구조는 PLME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PLCP (Physical Layer Convergence Entity) 부계층 및 PMD (Physical Medium Dependent) 부계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PLME는 MLME (MAC Layer Management Entity)와 물리계층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여 물리계층의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PLCP 부계층은 MAC 부계층과 PMD 부계층 사이에서 MAC 계층의 제어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따라 MAC 부계층으로부터 받은 MPDU (MAC Protocol Data Unit)을 전달하거나 PMD 부계층으로부터 오는 프레임을 MAC 부계층에 전달할 수 있다. PMD 부계층은 PLCP 하위 계층으로서 무선 매체를 통한 두 단말간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물리 계층을 지원할 수 있다. MAC 부계층이 전달한 MPDU는 PLCP 부계층에서 PSDU (Physical Service Data Unit)이라고 부른다. 이때, 복수의 MPDU를 어그리게이션한 A-MPDU가 전달될 수 있다.The physical layer structure of IEEE 802.11 may be composed of a PLME (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 a PLCP (Physical Layer Convergence Entity) sublayer, and a PMD (Physical Medium Dependent) sublayer. PLME can serve as an interface between the MLME (MAC Layer Management Entity) and the physical layer to provide the management function of the physical layer. The PLCP sublayer delivers MPDU (MAC Protocol Data Unit) received from the MAC sublayer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by control of the MAC layer between the MAC sublayer and the PMD sublayer, or sends a frame from the PMD sublayer to the MAC sublayer. Can deliver. The PMD sub-layer is a PLCP lower layer and may support a physical layer to ena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wo terminals through a wireless medium. The MPDU delivered by the MAC sublayer is called a Physical Service Data Unit (PSDU) in the PLCP sublayer. At this time, an A-MPDU that aggregates a plurality of MPDUs may be delivered.

PLCP 부계층은 PSDU를 MAC 부계층으로부터 받아 PMD 부계층으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물리계층 송수신기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를 덧붙일 수 있다. 이때, 추가되는 필드는 PSDU에 PLCP 프리엠블, PLCP 헤더, 컨볼루션 인코더를 초기 상태로 만들기 위한 테일 비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LCP 프리엠블은 수신기가 PSDU를 성공적으로 복원하기 위해 동기를 맞추고 이득을 제어하거나 채널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시퀀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PLCP 헤더에는 PSDU를 복원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LCP 헤더는 패킷 길이, 대역폭, MCS 및 전송에 사용된 기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필드는 스크램블러를 초기화 하기 위한 초기화 시퀀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필드와 테일 비트들이 붙여져서 인코딩된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필드는 PLCP 헤더에 포함된 전송 타입대로 변조되고 인코딩되어 전송될 수 있다. 송신하는 쪽의 PLCP 부계층에서는 PPDU를 생성하여 PMD 부계층을 거쳐 전송하고, 수신하는 쪽은 PPDU를 수신하여 PLCP 프리엠블로 동기화 및 이득제어를 수행하고, 채널 상태 정보를 얻으며, PLCP 헤더를 통해 패킷 복원에 필요한 정보를 얻어서 복원할 수 있다.The PLCP sublayer may add a field including information required by the physical layer transceiver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PSDU from the MAC sublayer and delivering it to the PMD sublayer. At this time, the field to be added may include a PLCP preamble, a PLCP header, and a tail bit for making the convolutional encoder an initial state in the PSDU. The PLCP preamble may consist of a periodic and repetitive sequence to allow the receiver to synchronize, control gain, or know the channel condition to successfully restore the PSDU. The PLCP header may include information necessary for restoring the PSDU. For example, the PLCP header may include packet length, bandwidth, MCS, and techniques used for transmission. The data field may include a service field including an initialization sequence for initializing a scrambler and a sequence encoded with tail bits attached. The data field may be modulated and encod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type included in the PLCP header, and then transmitted. The PLCP sublayer of the transmitting side generates a PPDU and transmits it through the PMD sublayer, and the receiving side receives the PPDU to perform synchronization and gain control with the PLCP preamble, obtain channel status information, and through the PLCP header. Information necessary for packet restoration can be obtained and restored.

IEEE 802.11ac 표준에서는 IEEE 802.11n 표준에서 지원하는 20MHz 혹은 40MHz 대역폭 모드를 지원함과 동시에 80MHz 대역폭을 지원한다. 그리고 불연속적인 (non-contiguous) 두 개의 80MHz를 동시에 사용하여 전송하거나 (Non-contiguous 160MHz) 연속적인 160MHz 대역폭 신호 전송이 (Contiguous 160MHz) 가능하다. IEEE 802.11ac 표준을 지원하는 AP는 MU-MIMO (Multi user MIMO) 전송 기술을 이용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동시에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랜의 기본 서비스 셋(Basic Service Set)에서 AP는 자신과 연결(Association) 되어 있는 여러 개의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을 포함하는 그룹들에게 서로 다른 공간적 스트림 (Spatial stream)으로 구분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AP는 SU-MIMO (Single user MIMO) 방식으로 한 단말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에 속한 AP와 단말 간에 빔포밍 기술을 지원한다면 특정 대상의 단일 단말 혹은 단말 그룹에 신호 이득이 높도록 전송할 수 있다. MU-MIMO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단말 그룹에 대한 그룹 식별자 (Group ID)를 할당하며 AP는 그룹 ID 관리 프레임을 전송하여 그룹 ID를 할당하고 분배한다. 하나의 단말은 복수개의 그룹 ID를 할당 받을 수 있다. 무선랜 단말 혹은 AP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칩을 제조하는 벤더에 따라 지원하는 기능이 다를 수 있다. 표준에서는 의무적인 구현 사항 외에도 선택적으로 구현해야 하는 사항들을 규정하고 있으며, 구현한 표준의 버전에 따라 지원하는 기능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볼루션널 인코딩 기술은 의무적인 구현 사항이지만, LDPC (Low Density Parity Check) 기술은 선택적인 구현 사항이고, 빔포밍과 MU-MIMO, 160MHz 대역폭 지원은 선택적인 구현 사항이다.The IEEE 802.11ac standard supports a 20 MHz or 40 MHz bandwidth mode supported by the IEEE 802.11n standard and 80 MHz bandwidth.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two non-contiguous (80-MHz) signals simultaneously (Non-contiguous 160 MHz) or to transmit a continuous 160 MHz bandwidth signal (Contiguous 160 MHz). APs supporting the IEEE 802.11ac standard may simultaneously transmit packets to at least one or more terminals using MU-MIMO (Multi user MIMO) transmission technology. In a basic service set of a wireless LAN, the AP transmits data classified as different spatial streams to groups including at least one terminal among several terminals associated with itself. It can be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AP may transmit data to only one UE in a single user MIMO (SU-MIMO) method. If beamforming technology is supported between an AP and a terminal belonging to a network, it can be transmitted to a single target terminal or a group of terminals with a high signal gain. To support MU-MIMO transmission, a group ID for a terminal group is assigned, and the AP allocates and distributes a group ID by transmitting a group ID management frame. A single terminal may be assigned a plurality of group IDs. A wireless LAN terminal or AP may support different functions depending on the vendor implementing the system and manufacturing the chip. The standard stipulates items to be selectively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mandatory implementation items, and the supported function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version of the implemented standard. For example, convolutional encoding technology is a mandatory implementation, but LDPC (Low Density Parity Check) technology is an optional implementation, and beamforming, MU-MIMO, and 160 MHz bandwidth support are optional implementations.

도 2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랜 프레임의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23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system of a next-generation wireless LA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는 송수신 안테나, 프론트엔드 모듈 (Front end module, FEM), 송신부 (Transmitter), 수신부 (Receiver),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ADC),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DAC),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Baseband processor), 호스트 인터페이스 (Host interface), 라디오 인터페이스 (Radio interface), 프로세서 (Processor), 메모리 (Memory), 입출력 인터페이스 (input/output interface)로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될 수 있다. 송수신 안테나와 RF 송수신부와의 인터페이스는 프론트엔드 모듈이 담당한다. 프론트엔드 모듈에는 RF 송수신부에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외장형 소자들 혹은 성능 향상 및 기능 확장을 위한 소자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형 송신 파워엠프 혹은 외장형 수신 저잡음 증폭기, 스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송신부는 전송할 패킷을 변조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하고, 수신부는 수신한 패킷을 복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간에 신호 형태를 변환한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는 송신 프레임 포맷에 맞춰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수신 프레임으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과 인코딩 및 디코딩, 채널이나 아날로그 소자에 의해 왜곡된 신호를 보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라디오 인터페이스는 무선 통신 모뎀과 호스트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프로세서는 PPDU 포맷을 생성하고 이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전송된 PPDU를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에서 각각의 필드 정보를 해석하여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해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 혹은 트랜시버는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논리 회로 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 (Read Only Memory), RAM (Read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키보드, 키패드,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이 될 수 있으며,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수단, 스피커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상술한 실시 예가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기능은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모듈은 칩 혹은 논리 회로, 데이터 처리 장치, 혹은 프로세서 형태로 구현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receive antenna, a front end module (FEM), a transmitter, a receiver,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and a baseband processor (Baseband). It consists of a processor, a host interface, a radio interface, a processor, a memory, and an input/output interface.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one or more antennas. The front-end module is responsible for the interface between the transceiver antenna and the RF transceiver. The front end module may include various external devices not included in the RF transceiver or devices for improving performance and extending functions. For example, an external transmission power amplifier or an external reception low noise amplifier, a switch,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The transmitting unit performs a function of modulating and transmitting a packet to be transmitted, and the receiving unit performs a function of demodulating the received packet. Analog-to-digital converters and digital-to-analog converters convert the signal shape between analog and digital signals. The baseband processor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frame according to a transmission frame format or extracting information from a received frame, encoding and decoding, and compensating for a signal distorted by a channel or analog device. The radio interface serves as an interface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em and the host.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PPDU format and transmit it, and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transmitted PPDU and interpret each field information in the received packet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and restore data using the same. The processor or transceiver may include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 logic circuit, or a data processing device. The memory may include a read only memory (ROM), a read access memory (RAM), a flash memory, a memory card, and a storage device. The input device can be a keyboard, a keypad, a microphone, a camera, etc., and the output device can be a display means, a speaker, and the like. Whe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software or hardware, a process and functions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in modules.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hip or logic circuit, data processing device, or processor.

210, 220: NGW 프레임210, 220: NGW frame

Claims (18)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에서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PDU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PPDU는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필드 및 상기 제 1 필드 다음의 상기 제 2 필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 1 필드 및 상기 확인된 제 2 필드에 기초하여 상기 PPDU의 버전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PDU 수신 방법.
In a method for receiving a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PPDU)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Receiving the PPDU, wherein the PPDU includes a first field and a second field;
Identifying the first field and the second field after the first field; And
And checking the version of the PPDU based on the identified first field and the identified second fiel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드는 L-SIG (Legacy-Signal)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필드는 NGW-SIG((Next Generation Wireless LAN-Signal field)를 포함하는, PPDU 수신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eld includes an L-SIG (Legacy-Signal) field, and the second field includes a Next Generation Wireless LAN-Signal Field (NGW-SI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드는 상기 PPDU의 버전을 지시하는 버전 지시자(version indicator)를 포함하는, PPDU 수신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ield includes a version indicator indicating a version of the PPDU.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통 심볼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통 심볼들은 상기 버전 지시자로서 상기 PPDU의 버전을 지시하는, PPDU 수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field includes at least one common symbol, and the at least one common symbol indicates the version of the PPDU as the version indicat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PPDU는 제 3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필드는 버전-독립적인(version independent) 필드이고, 상기 제 3 필드는 버전-종속적인(version dependent) 필드인, PPDU 수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PPDU includes a third field,
The second field is a version-independent (version independent) field, the third field is a version-dependent (version dependent) field, PPDU receiv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드 및 상기 제 2 필드에 대한 모듈레이션 방식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필드의 모듈레이션 방식, 상기 제 2 필드에 포함된 제 1 심볼의 모듈레이션 방식 및 상기 제 2 필드에 포함된 제 2 심볼의 모듈레이션 방식은 제 1 모듈레이션 방식이고,
상기 PPDU가 제 1 버전인 경우, 상기 제 2 필드에 포함된 상기 제 2 심볼 다음의 제 3 심볼은 상기 제 1 모듈레이션 방식에 기초하여 모듈레이트되고,
상기 PPDU가 제 2 버전인 경우, 상기 제 2 필드에 포함된 상기 제 2 심볼 다음의 상기 제 3 심볼은 제 2 모듈레이션 방식에 기초하여 모듈레이트되는, PPDU 수신 방법.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checking the modulation scheme for the first field and the second field;
The modulation scheme of the first field, the modulation scheme of the first symbol included in the second field, and the modulation scheme of the second symbol included in the second field are the first modulation scheme,
When the PPDU is the first version, the third symbol after the second symbol included in the second field is modulated based on the first modulation scheme,
When the PPDU is in the second version, the third symbol after the second symbol included in the second field is modulated based on a second modulation schem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레이션 방식은 BPSK(binary phase-shift keying) 방식인, PPDU 수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modulation method is a BPSK (binary phase-shift keying) method, PPDU receiving metho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레이션 방식은 Q-BPSK(quadrature BPSK) 방식인, PPDU 수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modulation method is a Q-BPSK (quadrature BPSK) method, PPDU receiving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PDU는 L-STF(a Legacy-Short Training) 필드, L-LTF(a Legacy-Long Training) 필드,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를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PPDU 수신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PDU includes a L-STF (a Legacy-Short Training) field, an L-LTF (a Legacy-Long Training) field, and a first field and a second field in sequence.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에서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트랜시버;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PPDU를 수신하되, 상기 PPDU는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필드 및 상기 제 1 필드 다음의 상기 제 2 필드를 확인하고, 및
상기 확인된 제 1 필드 및 상기 확인된 제 2 필드에 기초하여 상기 PPDU의 버전을 확인하는, PPDU 수신하는 단말.
In the apparatus for receiving a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PPDU)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Transceiver; and
A processor;
The processor,
The PPDU is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and the PPDU includes a first field and a second field,
Identify the first field and the second field after the first field, and
A terminal receiving a PPDU that checks a version of the PPDU based on the identified first field and the identified second fiel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드는 L-SIG (Legacy-Signal)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필드는 NGW-SIG((Next Generation Wireless LAN-Signal field)를 포함하는, PPDU 수신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field includes a L-SIG (Legacy-Signal) field, and the second field comprises a Next Generation Wireless LAN-Signal field (NGW-SIG), a terminal receiving a PPDU.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드는 상기 PPDU의 버전을 지시하는 버전 지시자를 포함하는, PPDU 수신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field includes a version indicator indicating the version of the PPDU, the terminal receiving the PPDU.
제 12 힝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통 심볼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통 심볼들은 상기 버전 지시자로서 상기 PPDU의 버전을 지시하는, PPDU 수신하는 단말.
In the twelfth hin,
The second field includes at least one common symbol, and the at least one common symbol indicates the version of the PPDU as the version indicato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PPDU는 제 3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필드는 버전-독립적인(version independent) 필드이고, 상기 제 3 필드는 버전-종속적인(version dependent) 필드인, PPDU 수신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13,
The PPDU includes a third field,
The second field is a version-independent field, and the third field is a version-dependent fiel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필드 및 상기 제 2 필드에 대한 모듈레이션 방식을 확인하되,
상기 제 1 필드의 모듈레이션 방식, 상기 제 2 필드에 포함된 제 1 심볼의 모듈레이션 방식 및 상기 제 2 필드에 포함된 제 2 심볼의 모듈레이션 방식은 제 1 모듈레이션 방식이고,
상기 PPDU가 제 1 버전인 경우, 상기 제 2 필드에 포함된 상기 제 2 심볼 다음의 제 3 심볼은 상기 제 1 모듈레이션 방식에 기초하여 모듈레이트되고,
상기 PPDU가 제 2 버전인 경우, 상기 제 2 필드에 포함된 상기 제 2 심볼 다음의 상기 제 3 심볼은 제 2 모듈레이션 방식에 기초하여 모듈레이트되는, PPDU 수신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cessor,
Check the modulation scheme for the first field and the second field,
The modulation scheme of the first field, the modulation scheme of the first symbol included in the second field, and the modulation scheme of the second symbol included in the second field are the first modulation scheme,
When the PPDU is the first version, the third symbol after the second symbol included in the second field is modulated based on the first modulation scheme,
When the PPDU is the second version, the third symbol after the second symbol included in the second field is modulated based on the second modulation scheme, the terminal receiving the PPDU.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레이션 방식은 BPSK(binary phase-shift keying) 방식인, PPDU 수신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modulation method is a BPSK (binary phase-shift keying) method, a terminal receiving a PPDU.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레이션 방식은 Q-BPSK(quadrature BPSK) 방식인, PPDU 수신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15,
The second modulation method is a Q-BPSK (quadrature BPSK) method, a terminal receiving a PPDU.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PPDU는 L-STF(a Legacy-Short Training) 필드, L-LTF(a Legacy-Long Training) 필드,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를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PPDU 수신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10,
The PPDU includes a Legacy-Short Training (L-STF) field, a Legacy-Long Training (L-LTF) field, and a first field and a second field in sequence, to receive a PPDU.
KR1020200070983A 2013-10-28 2020-06-11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2352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125A KR102384343B1 (en) 2013-10-28 2021-03-29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672 2013-10-28
KR20130128672 2013-10-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562A Division KR20150048606A (en) 2013-10-28 2014-01-14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125A Division KR102384343B1 (en) 2013-10-28 2021-03-29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204A true KR20200070204A (en) 2020-06-17
KR102235236B1 KR102235236B1 (en) 2021-04-02

Family

ID=53387068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562A KR20150048606A (en) 2013-10-28 2014-01-14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0200070983A KR102235236B1 (en) 2013-10-28 2020-06-11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0210040125A KR102384343B1 (en) 2013-10-28 2021-03-29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0220041815A KR102566906B1 (en) 2013-10-28 2022-04-04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0230104031A KR20230128239A (en) 2013-10-28 2023-08-09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562A KR20150048606A (en) 2013-10-28 2014-01-14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125A KR102384343B1 (en) 2013-10-28 2021-03-29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0220041815A KR102566906B1 (en) 2013-10-28 2022-04-04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0230104031A KR20230128239A (en) 2013-10-28 2023-08-09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150048606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1129A (en) * 2009-11-09 2011-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configuring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plcp) frame in very high throughput(vht) 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 system
US20110206156A1 (en) * 2010-02-23 2011-08-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107912A1 (en) * 2010-07-09 2013-05-02 Vishakan Ponnampalam WLAN Device and Method Thereof
WO2013152111A1 (en) * 2012-04-03 2013-10-10 Marvell World Trade Ltd. Physical layer frame format for wla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1129A (en) * 2009-11-09 2011-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configuring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plcp) frame in very high throughput(vht) 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 system
US20110206156A1 (en) * 2010-02-23 2011-08-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107912A1 (en) * 2010-07-09 2013-05-02 Vishakan Ponnampalam WLAN Device and Method Thereof
WO2013152111A1 (en) * 2012-04-03 2013-10-10 Marvell World Trade Ltd. Physical layer frame format for wl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906B1 (en) 2023-08-14
KR102384343B1 (en) 2022-04-08
KR20220047736A (en) 2022-04-19
KR20150048606A (en) 2015-05-07
KR20230128239A (en) 2023-09-04
KR102235236B1 (en) 2021-04-02
KR20210038510A (en)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63146A1 (en)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11966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LCP fra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CN1930825B (en) Method for signaling information by modifying modulation constellations
KR101759011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field and apparatus therefor
KR1018845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unit
US9379863B2 (en) Method for signaling information by modifying modulation constellations
US876127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100275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multiple antenna system
US8774222B2 (en) Method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fram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same
KR101541555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figuring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PLCP) frame in Very High Throughput(VHT) 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 system
US119020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LCP fra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KR102235236B1 (en) Multi-mod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401372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LCP Fra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KR101984918B1 (en) Method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fram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