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706A - Display module with quasi-static and dynamic impact resistance - Google Patents

Display module with quasi-static and dynamic impact resist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706A
KR20200068706A KR1020207013337A KR20207013337A KR20200068706A KR 20200068706 A KR20200068706 A KR 20200068706A KR 1020207013337 A KR1020207013337 A KR 1020207013337A KR 20207013337 A KR20207013337 A KR 20207013337A KR 20200068706 A KR20200068706 A KR 20200068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lement
gpa
display module
mpa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3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쉬누 베이비
티모시 마이클 그로스
유세프 카예드 콰로쉬
샘 세이머 주비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6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7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32B17/1004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layer consisting of a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82Properties of the bulk of a glass sheet
    • B32B17/10119Properties of the bulk of a glass sheet having a composition deviating from the basic composition of soda-lime glass, e.g. borosilic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128Treatment of at least one glass sheet
    • B32B17/10137Chemical strength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모듈은: 약 25 ㎛ 내지 약 200 ㎛의 두께, 약 20 내지 140 GPa의 탄성률, 및 제1 및 제2 주된 표면을 갖는 유리-함유 커버 요소; 및 스택을 포함하며, 상기 스택은: (a) 약 100 ㎛ 내지 1500 ㎛의 두께 및 유리 조성물을 갖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기판, 및 (b)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 상기 스택을 연결시키고, 약 0.001 GPa 내지 약 10 GPa의 탄성률 및 약 5 ㎛ 내지 50 ㎛의 두께를 포함하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준-정적 압입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37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포함한다.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 glass-containing cover elemen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to about 200 μm, an elastic modulus of about 20 to 140 GPa, and first and second major surfaces; And a stack, the stack comprising: (a) a substrate comprising a componen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0 μm to 1500 μm and a glass composition, and (b) connecting the stack to a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And a first adhesive comprising an elastic modulus of about 0.001 GPa to about 10 GPa and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50 μm. Moreover, the display module includes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3700 MPa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semi-static indentation test.

Description

준-정적 및 동적 내충격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 Display module with quasi-static and dynamic impact resistance

본 출원은, 2017년 10월 11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71,017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여기에 병합된다. This application claims the priority of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2/571,017, filed on October 11, 2017,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굽힘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 (display modules) 및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함유 커버를 포함하는 굽힘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generally to display modules and articles that are bend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bendable display modules that include a glass-containing cover.

사실상 전통적으로 견고한 제품 및 구성요소의 플랙시블 버전들 (Flexible versions)은, 새로운 적용을 위해 개념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플랙시블 전자 장치는, 만곡된 디스플레이 및 웨어러블 장치 (wearable devices)를 포함하는 새로운 적용들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는 얇은, 경량 및 플랙시블 특성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랙시블 전자 장치 중 다수는, 이들 장치들의 전자 구성요소를 보유 및 장착하기 위해 플랙시블 기판을 포함한다. 금속 포일 (Metal foils)은, 열안정성 및 내약품성을 포함하는 몇몇 장점들을 갖지만, 고비용 및 광학 투명성의 부족을 겪고 있다. 고분자 포일은, 저비용 및 내충격성을 포함하는 몇몇 장점을 갖지만, 한계 광학 투명성 (marginal optical transparency), 열안정성의 부족, 제한된 기밀성 및 주기적 피로 성능 (fatigue performance)을 겪고 있다. In fact, flexible versions of traditionally robust products and components are being conceptualized for new applications. For example, a flexible electronic device can provide thin, lightweight and flexible properties that provide opportunities for new applications, including curved displays and wearable devices. Many of these flexible electronic devices include flexible substrates for holding and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s of these devices. Metal foils have several advantages, including thermal st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but suffer from high cost and lack of optical transparency. Polymer foils have several advantages, including low cost and impact resistance, but suffer from marginal optical transparency, lack of thermal stability, limited tightness and cyclic fatigue performance.

이들 전자 장치 중 일부는 또한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의 사용을 만들 수 있다. 광학 투명성 및 열안정성은 종종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적용들에 바람직한 특성이다. 부가적으로,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는, 특히 터치 스크린 기능성을 갖거나 및/또는 접혀질 수 있는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작은 굽힘 반경에서 파손에 대한 저항성을 포함하여, 높은 피로 및 천공 저항성을 가져야 한다. 더욱이,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에 대해 의도된 적용에 의존하여, 소비자에 의해 쉽게 굽혀지고 접혀질 수 있어야 한다. Some of these electronic devices can also make use of flexible displays. Optical transparency and thermal stability are often desirable properties for flexible display applications. Additionally, flexible displays should have high fatigue and puncture resistance, including resistance to breakage at small bending radii, particularly for flexible displays that have touch screen functionality and/or can be folded. Moreover, the flexible display should be able to be easily bent and folded by the consumer, depending on the intended application for the display.

몇몇 플랙시블 유리 및 유리-함유 물질은, 플랙시블 및 폴더블 기판 (foldable substrate) 및 디스플레이 적용들을 위한 많은 바람직한 특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적용들을 위한 유리 물질을 이용하려는 노력은 현재까지 어려웠다. 일반적으로, 유리 기판은, 점점 작아지는 굽힘 반경을 달성하기 위해 매우 낮은 두께 수준 (< 25 ㎛)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얇은" 유리 기판은 제한된 내천공성 (puncture resistance)을 겪는다. 동시에, 더 두꺼운 유리 기판 (> 150 ㎛)은, 더 우수한 내천공성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이들 기판은 굽힘시 적절한 피로 저항성 및 기계적 신뢰성이 부족하다. Some flexible glass and glass-containing materials provide many desirable properties for flexible and foldable substrate and display applications. However, efforts to use glass materials for these applications have been difficult to date. In general, glass substrates can be fabricated at very low thickness levels (<25 μm) to achieve increasingly smaller bending radii. These “thin” glass substrates suffer from limited puncture resistance. At the same time, thicker glass substrates (>150 μm) can be made with better puncture resistance, but these substrates lack adequate fatigue resistance and mechanical reliability when bending.

더욱이, 이러한 플랙시블 유리 물질이 전자 구성요소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 ("TFT"), 터치 센서, 등), 부가적인 층들 (예를 들어, 고분자 전자 장치 패널) 및 접착제 (예를 들어, 에폭시, 광학 투명 접착제 ("OCAs"))를 또한 포함하는 모듈에서 커버 요소 (cover elements)로서 사용됨에 따라, 이들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은, 최종 제품, 예를 들어,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모듈의 사용 동안 존재하는 점점 더 복합 응력 상태 (complex stress states)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복합 응력 상태는, 커버 요소에 의해 경험되는 증가된 응력 수준 및/또는 응력 집중 계수 (stress concentration factors)로 이어질 수 있다. 이로써, 이러한 커버 요소는, 모듈 내에 응집 및/또는 박리 파손 모드 (cohesive and/or delamination failure modes)에 취약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복합 상호작용은, 소비자가 커버 요소를 굽히고 접는데 증가된 굽힘력 (bending forces)으로 이어질 수 있다. Moreover, such flexible glass materials can be used for electronic components (eg, thin film transistors (“TFT”), touch sensors, etc.), additional layers (eg, polymer electronic device panels) and adhesives (eg, As used as cover elements in modules that also include epoxy, optically clear adhesives (“OCAs”),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various components and elements can result in a final product, eg, electronic It may lead to increasingly complex stress states present during use of the module in the display device. This complex stress state can lead to increased stress levels and/or stress concentration factors experienced by the cover element. As such, these cover elements may be vulnerable to cohesive and/or delamination failure modes in the module. Moreover, this complex interaction can lead to increased bending forces for the consumer to bend and fold the cover element.

따라서, 다양한 전자 장치 적용들, 특히 플랙시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 적용들, 특히 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적용들에 사용을 위해, 이들 물질을 이용하는 플랙시블, 유리-함유 물질 및 모듈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flexible, glass-containing material and module design using these materials for use in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particularly flexible electronic display device applications, particularly more, folda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

본 개시의 제1 관점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약 25 ㎛ 내지 약 200 ㎛의 두께 및 약 20 GPa 내지 약 140 GPa의 커버 요소 탄성률을 가지며, 유리 조성물, 제1 주된 표면, 및 제2 주된 표면을 갖는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하는, 커버 요소; 및 스택을 포함하고, 상기 스택은: (a) 약 100 ㎛ 내지 1500 ㎛의 두께 및 유리 조성물을 갖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기판, 및 (b)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 상기 스택을 연결시키고, 약 0.001 GPa 내지 약 10 GPa의 탄성률 및 약 5 ㎛ 내지 50 ㎛의 두께를 포함하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준-정적 압입 시험 (Quasi-Static Indentation Test)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47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isplay module is provided, the display modul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to about 200 μm and a cover element modulus of about 20 GPa to about 140 GPa, glass composition, first major A cover element further comprising a surface, and a component having a second major surface; And a stack, the stack comprising: (a) a substrate comprising a component having a thickness and a glass composition of about 100 μm to 1500 μm, and (b) connecting the stack to a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And a first adhesive comprising an elastic modulus of about 0.001 GPa to about 10 GPa and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50 μm. Moreover, the display module includes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700 MPa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

본 개시의 제2 관점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약 25 ㎛ 내지 약 200 ㎛의 두께 및 약 20 GPa 내지 약 140 GPa의 커버 요소 탄성률을 가지며, 유리 조성물, 제1 주된 표면, 및 제2 주된 표면을 갖는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하는, 커버 요소; 및 스택을 포함하고, 상기 스택은: (a) 약 100 ㎛ 내지 1500 ㎛의 두께 및 유리 조성물을 갖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기판, 및 (b)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 상기 스택을 연결시키고, 약 0.001 GPa 내지 약 10 GPa의 탄성률 및 약 5 ㎛ 내지 50 ㎛의 두께를 포함하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펜-낙하 시험 (Pen-Drop Test)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커버 요소의 제1 주된 표면에서 약 4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 및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12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isplay module is provided, the display modul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to about 200 μm and a cover element elastic modulus of about 20 GPa to about 140 GPa, glass composition, first major A cover element further comprising a surface, and a component having a second major surface; And a stack, the stack comprising: (a) a substrate comprising a component having a thickness and a glass composition of about 100 μm to 1500 μm, and (b) connecting the stack to a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And a first adhesive comprising an elastic modulus of about 0.001 GPa to about 10 GPa and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50 μm. Moreover, the display module has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000 MPa at the first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and about 12000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the Pen-Drop Test.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tensile stress less than MPa.

본 개시의 제3 관점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약 25 ㎛ 내지 약 200 ㎛의 두께 및 약 20 GPa 내지 약 140 GPa의 커버 요소 탄성률을 가지며, 유리 조성물, 제1 주된 표면, 및 제2 주된 표면을 갖는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하는, 커버 요소; 및 스택을 포함하고; 상기 스택은: (a) 약 100 ㎛ 내지 1500 ㎛의 두께 및 유리 조성물을 갖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기판, 및 (b)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 상기 스택을 연결시키고, 약 0.001 GPa 내지 약 10 GPa의 탄성률 및 약 5 ㎛ 내지 50 ㎛의 두께를 포함하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준-정적 압입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47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포함한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모듈은, 준-정적 압입 시험 동안 측정된 것으로, 약 750 N/㎜ 이상의 강성 (stiffness)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isplay module is provided, the display modul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to about 200 μm and a cover element elastic modulus of about 20 GPa to about 140 GPa, glass composition, first major A cover element further comprising a surface, and a component having a second major surface; And a stack; The stack comprises: (a) a substrate comprising a componen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0 μm to 1500 μm and a glass composition, and (b) connecting the stack to a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and from about 0.001 GPa to A first adhesive comprising an elastic modulus of about 10 GPa and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50 μm. The display module includes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700 MPa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Moreover, the display module, as measured during the semi-static indentation test, contains a stiffness of about 750 N/mm or greater.

부가적인 특색 및 장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서술될 것이고, 부분적으로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하거나, 또는 하기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첨부된 도면을 포함하는, 여기에 기재된 구체 예를 실행시켜 용이하게 인지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하 구체 예들에 따라 다양한 특색들은 조합될 수 있다. 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and in par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or to the specific examples described herein, including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s well as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easily recognized by implementation. For example, various features can be comb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specific examples.

구체 예 1. 디스플레이 모듈은: Specific Example 1. Display module:

약 25 ㎛ 내지 약 200 ㎛의 두께 및 약 20 GPa 내지 약 140 GPa의 커버 요소 탄성률을 가지며, 유리 조성물, 제1 주된 표면, 및 제2 주된 표면을 갖는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하는, 커버 요소; 및 스택을 포함하고, A cover elemen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to about 200 μm and a cover element elastic modulus of about 20 GPa to about 140 GPa, further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a glass composition, a first major surface, and a second major surface; And a stack,

상기 스택은: The stack is:

(a) 약 100 ㎛ 내지 1500 ㎛의 두께 및 유리 조성물을 갖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기판, 및 (a) a substrate comprising a componen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0 μm to 1500 μm and a glass composition, and

(b)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 상기 스택을 연결시키고, 약 0.001 GPa 내지 약 10 GPa의 탄성률 및 약 5 ㎛ 내지 50 ㎛의 두께를 포함하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며, (b) connecting the stack to a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the first adhesive comprising a modulus of elasticity of about 0.001 GPa to about 10 GPa and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50 μm,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준-정적 압입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47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포함한다. Here, the display module includes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700 MPa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구체 예 2. 구체 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준-정적 압입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32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포함한다. Embodiment 2. I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 1, the display module is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3200 MPa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semi-static indentation test. Includes impact properties.

구체 예 3. 구체 예 2 또는 구체 예 3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제1 접착제는 약 5 ㎛ 내지 약 25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커버 요소는 약 50 ㎛ 내지 약 150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한다. Embodiment 3. I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 2 or embodiment 3, the first adhesive further comprises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about 25 μm, and the cover element has a thickness of about 50 μm to about 150 μm. Including more.

구체 예 4. 구체 예 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제1 접착제는,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비닐 부티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소듐 실리케이트, 광학 투명 접착제 (OCA), 감압 접착제 (PSA), 고분자 발포체, 천연 수지, 또는 합성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Embodiment 4 I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1-3, the first adhesive is epoxy, urethane, acrylate, acrylic, styrene copolymer, polyisobutylene, polyvinyl butyral, ethylene vinyl acetate , Sodium silicate,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polymer foam, natural resin, or synthetic resin.

구체 예 5. 구체 예 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스택은: Embodiment 5 I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1-4, the stack comprises:

(c) 약 25 ㎛ 내지 약 200 ㎛의 두께 및 약 20 GPa 내지 약 140 GPa의 중간층 탄성률을 가지며, 유리 조성물을 갖는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하는 중간층; 및 (c) an intermediat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to about 200 μm and an interlayer elastic modulus of about 20 GPa to about 140 GPa, further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a glass composition; And

(d) 상기 중간층을 기판에 연결시키고, 약 0.001 GPa 내지 약 10 GPa의 탄성률 및 약 5 ㎛ 내지 약 50 ㎛의 두께를 포함하는, 제2 접착제를 더욱 포함한다. (d) connecting the intermediate layer to a substrate,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dhesive comprising an elastic modulus of about 0.001 GPa to about 10 GPa and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about 50 μm.

구체 예 6. 구체 예 5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준-정적 압입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42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포함한다. Embodiment 6 I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 5, the display module is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200 MPa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semi-static indentation test. Includes impact properties.

구체 예 7. 구체 예 6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착제 각각은, 약 5 ㎛ 내지 약 25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커버 요소 및 중간층 각각은, 약 75 ㎛ 내지 약 150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한다. Embodiment 7. I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 6,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further comprises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about 25 μm, and each of the cover element and the intermediate layer is about 75 μm to about It further includes a thickness of 150 μm.

구체 예 8. 구체 예 5-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착제 각각은,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비닐 부티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소듐 실리케이트, 광학 투명 접착제 (OCA), 감압 접착제 (PSA), 고분자 발포체, 천연 수지, 또는 합성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Embodiment 8. I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5-7,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is an epoxy, urethane, acrylate, acrylic, styrene copolymer, polyisobutylene, polyvinyl butyral , Ethylene vinyl acetate, sodium silicate,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polymer foam, natural resin, or synthetic resin.

구체 예 9. 디스플레이 모듈은: Specific Example 9. Display module:

약 25 ㎛ 내지 약 200 ㎛의 두께 및 약 20 GPa 내지 약 140 GPa의 커버 요소 탄성률을 가지며, 유리 조성물, 제1 주된 표면, 및 제2 주된 표면을 갖는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하는, 커버 요소; 및 스택을 포함하고, A cover elemen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to about 200 μm and a cover element elastic modulus of about 20 GPa to about 140 GPa, further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a glass composition, a first major surface, and a second major surface; And a stack,

상기 스택은: The stack is:

(a) 약 100 ㎛ 내지 1500 ㎛의 두께 및 유리 조성물을 갖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기판, 및 (a) a substrate comprising a componen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0 μm to 1500 μm and a glass composition, and

(b)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 상기 스택을 연결시키고, 약 0.001 GPa 내지 약 10 GPa의 탄성률 및 약 5 ㎛ 내지 50 ㎛의 두께를 포함하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며, (b) connecting the stack to a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the first adhesive comprising a modulus of elasticity of about 0.001 GPa to about 10 GPa and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50 μm,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펜 낙하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상기 커버 요소의 제1 주된 표면에서 약 4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 및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11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포함한다. Here, the display module, in the pen drop test,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000 MPa on the first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and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11000 MPa on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the pen drop test. It includes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구체 예 10. 구체 예 9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펜 낙하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상기 커버 요소의 제1 주된 표면에서 약 4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 및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9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포함한다. Embodiment 10. I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 9, the display module comprises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000 MPa on the first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on the cover element in a pen drop test and a preparation of the cover element. 2 Includes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9000 MPa at the main surface.

구체 예 11. 구체 예 10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제1 접착제는 약 5 ㎛ 내지 약 25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커버 요소는, 약 50 ㎛ 내지 약 150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한다. Embodiment 11. I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 10, the first adhesive further comprises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about 25 μm, and the cover element further comprises a thickness of about 50 μm to about 150 μm. .

구체 예 12. 구체 예 9-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제1 접착제는,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비닐 부티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소듐 실리케이트, 광학 투명 접착제 (OCA), 감압 접착제 (PSA), 고분자 발포체, 천연 수지, 또는 합성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Embodiment 12. I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9-11, the first adhesive is epoxy, urethane, acrylate, acrylic, styrene copolymer, polyisobutylene, polyvinyl butyral, ethylene vinyl acetate , Sodium silicate,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polymer foam, natural resin, or synthetic resin.

구체 예 13. 구체 예 9-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스택은: Embodiment 13. I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y of embodiments 9-12, the stack comprises:

(c) 약 25 ㎛ 내지 약 200 ㎛의 두께 및 약 20 GPa 내지 약 140 GPa의 중간층 탄성률을 가지며, 유리 조성물을 갖는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하는 중간층; 및 (c) an intermediat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to about 200 μm and an interlayer elastic modulus of about 20 GPa to about 140 GPa, further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a glass composition; And

(d) 상기 중간층을 기판에 연결시키고, 약 0.001 GPa 내지 약 10 GPa의 탄성률 및 약 5 ㎛ 내지 약 50 ㎛의 두께를 포함하는, 제2 접착제를 더욱 포함한다. (d) connecting the intermediate layer to a substrate,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dhesive comprising an elastic modulus of about 0.001 GPa to about 10 GPa and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about 50 μm.

구체 예 14. 구체 예 13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펜 낙하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상기 커버 요소의 제1 주된 표면에서 약 4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 및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11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포함한다. Embodiment 14. I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 13, the display module comprises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000 MPa on the first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on the cover element in a pen drop test and a preparation of the cover element. 2 Includes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11000 MPa at the main surface.

구체 예 15. 구체 예 14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착제 각각은, 약 5 ㎛ 내지 약 25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커버 요소 및 상기 중간층 각각은, 약 50 ㎛ 내지 약 150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한다. Embodiment 15. I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 14,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further comprises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about 25 μm, and each of the cover element and the intermediate layer is about 50 μm to It further comprises a thickness of about 150 μm.

구체 예 16. 구체 예 13-1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제1 및 제2 접착제 각각은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비닐 부티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소듐 실리케이트, 광학 투명 접착제 (OCA), 감압 접착제 (PSA), 고분자 발포체, 천연 수지, 또는 합성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Embodiment 16. I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13-15,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is an epoxy, urethane, acrylate, acrylic, styrene copolymer, polyisobutylene, polyvinyl butyral, Ethylene vinyl acetate, sodium silicate,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polymeric foam, natural resin, or synthetic resin.

구체 예 17. 디스플레이 모듈은: Embodiment 17. The display module is:

약 25 ㎛ 내지 약 200 ㎛의 두께 및 약 20 GPa 내지 약 140 GPa의 커버 요소 탄성률을 가지며, 유리 조성물, 제1 주된 표면, 및 제2 주된 표면을 갖는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하는, 커버 요소; 및 스택을 포함하고, A cover elemen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to about 200 μm and a cover element elastic modulus of about 20 GPa to about 140 GPa, further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a glass composition, a first major surface, and a second major surface; And a stack,

상기 스택은: The stack is:

(a) 약 100 ㎛ 내지 1500 ㎛의 두께 및 유리 조성물을 갖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기판, 및 (a) a substrate comprising a componen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0 μm to 1500 μm and a glass composition, and

(b)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 상기 스택을 연결시키고, 약 0.001 GPa 내지 약 10 GPa의 탄성률 및 약 5 ㎛ 내지 50 ㎛의 두께를 포함하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며, (b) connecting the stack to a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the first adhesive comprising a modulus of elasticity of about 0.001 GPa to about 10 GPa and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50 μm,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준-정적 압입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47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포함하고, Here, the display module includes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700 MPa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준-정적 압입 시험 동안 측정된 것으로, 약 750 N/㎜ 이상의 강성을 포함한다. The display module was measured during a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and includes a stiffness of at least about 750 N/mm.

구체 예 18. 구체 예 17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준-정적 압입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32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준-정적 압입 시험 동안 측정된 것으로, 약 1000 N/㎜ 이상의 강성을 포함한다. Embodiment 18. I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 17, the display module is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3200 MPa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semi-static indentation test. It includes impact resistance, and the display module is measured during a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and includes a stiffness of about 1000 N/mm or more.

구체 예 19. 구체 예 18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제1 접착제는, 약 5 ㎛ 내지 약 25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커버 요소는, 약 50 ㎛ 내지 약 150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한다. Embodiment 19. I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 18, the first adhesive further comprises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about 25 μm, and the cover element further comprises a thickness of about 50 μm to about 150 μm. do.

구체 예 20. 구체 예 19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제1 접착제는,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비닐 부티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소듐 실리케이트, 광학 투명 접착제 (OCA), 감압 접착제 (PSA), 고분자 발포체, 천연 수지, 또는 합성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Embodiment 20. I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 19, the first adhesive is epoxy, urethane, acrylate, acrylic, styrene copolymer, polyisobutylene, polyvinyl butyral, ethylene vinyl acetate, sodium silicate,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OC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polymer foam, natural resin, or synthetic resin.

구체 예 21. 디스플레이 모듈은: Specific Example 21. The display module is:

약 25 ㎛ 내지 약 200 ㎛의 두께 및 약 20 GPa 내지 약 140 GPa의 커버 요소 탄성률을 가지며, 유리 조성물, 제1 주된 표면, 및 제2 주된 표면을 갖는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하는, 커버 요소; 및 스택을 포함하고, A cover elemen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to about 200 μm and a cover element elastic modulus of about 20 GPa to about 140 GPa, further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a glass composition, a first major surface, and a second major surface; And a stack,

상기 스택은: The stack is:

(a) 약 100 ㎛ 내지 1500 ㎛의 두께를 포함하는 기판, 및 (a) a substrate comprising a thickness of about 100 μm to 1500 μm, and

(b)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 스택을 연결시키고, 약 0.001 GPa 내지 약 10 GPa의 탄성률 및 약 5 ㎛ 내지 50 ㎛의 두께를 포함하는, 제1 접착제, 및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b) connecting the stack to a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the first adhesive comprising a modulus of about 0.001 GPa to about 10 GPa and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50 μm, and wherein the display module is :

준-정적 압입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47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700 MPa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semi-static indentation test;

펜 낙하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충격시 상기 커버 요소의 제1 주된 표면에서 약 4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 및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12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000 MPa on the first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and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12000 MPa on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pen drop test; And

준-정적 압입 시험 동안 측정된 것으로, 약 750 N/mm 이상의 강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욱 포함한다. Stiffness of at least about 750 N/mm as measured during the semi-static indentation test; 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전술한 배경기술 및 하기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대표적인 것이고, 청구범위의 본질 및 특징을 이해하기 위한 개요 또는 틀거리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수반되는 도면은 또 다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고, 본 명세서에 병합되며,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면은 하나 이상의 구체 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구체 예의 원리 및 작동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방향 용어 - 예를 들어, 위, 아래, 우측, 좌측, 앞, 뒤, 상부, 하부 -는 오직 도시된 대로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만들어진 것이고, 절대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It is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background art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onl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an overview or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features of the claim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cluded to provide further understanding, are incorporated here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The drawings serve to illustrate one or more embodiments, and to explain the principles and operation of various embodiments with detailed description. Directional terms as used herein-for example, top, bottom, right, left, front, back, top, bottom-are only mad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shown and are not intended to mean absolute directions. Does not.

도 1a는, 본 개시의 몇몇 관점에 따른 3-층 디스플레이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몇몇 관점에 따른 5-층 디스플레이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관점에 따른, 준-정적 및 동적 내충격성을 측정하기 위한 펜 낙하 시험 장치 내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다.
도 3a는, 본 개시의 몇몇 관점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최대 주응력 (maximum principal stress) 대 60N의 하중까지 모델링된 준-정적 압입 시험에서 모듈에 가해지는 하중의 플롯 (plot)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몇몇 관점에 따른, 60N의 피크 하중 (peak load)까지 모델링된 준-정적 압입 시험을 받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변형 대 하중의 플롯이다.
도 4는, 준-정적 압입 시험에 시험되고, 도 3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모듈의 일부에 대한 최대 파손 하중의 플롯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몇몇 관점에 따라, 25㎝의 펜 낙하 높이로 펜 낙하 시험에서 모델링된 바와 같은, 충격 위치로부터의 거리 대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최대 주응력의 플롯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몇몇 관점에 따라, 25㎝의 펜 낙하 높이로 펜 낙하 시험에서 모델링된 바와 같은, 충격 위치로부터의 거리 대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버 요소의 제1 주된 표면에서의 최대 주응력의 플롯이다.
도 6a 및 6b는, 본 개시의 몇몇 관점에 따라, 25㎝의 펜 낙하 높이로 펜 낙하 시험에서 모델링된 바와 같은, 충격으로부터의 시간 대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최대 주응력 및 변형 각각의 플롯이다.
도 7은, 샘플에서 관찰된 가장 낮은 최대 주응력에 대한 각각의 응력 값의 증가 퍼센트와 함께, 도 3a-6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최대 주응력의 막대 차트이다.
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ree-layer display module in accordance with som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5-layer display module in accordance with som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 shows a display module in a pen drop test device for measuring quasi-static and dynamic impact resistance, in accordance with som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3A is a plot of the load applied to a module in a semi-static indentation test modeled to a maximum principal stress versus a load of 60 N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of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som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lot).
3B is a plot of strain versus load for a display module subjected to a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modeled to a peak load of 60N, according to som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 is a plot of the maximum failure load for a portion of the module tested in the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and schematically shown in FIG. 3A.
5A is a plot of the maximum principal stress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of the display module versus the distance from the impact location, as modeled in the pen drop test with a pen drop height of 25 cm, according to som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5B is a plot of the maximum principal stress at the first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of the display module versus the distance from the impact position, as modeled in the pen drop test with a pen drop height of 25 cm, according to som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be.
6A and 6B show the maximum principal stress and strain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of the display module versus time versus impact, as modeled in the pen drop test with a pen drop height of 25 cm, according to som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Each plot.
FIG. 7 is a bar chart of maximum principal stress at the second principal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of the display module shown in FIGS. 3A-6B, with the percentage increase in each stress value relative to the lowest maximum principal stress observed in the sample.

이하, 언급은 청구범위에 따른 구체 예에 대해 매우 상세하게 이루어질 것이고, 이의 실시 예는 수반되는 도면에 예시된다.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 전반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범위는 "약" 하나의 특정 값으로부터, 및/또는 "약" 다른 특정 값으로 여기에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가 표현된 경우, 또 다른 구체 예는 하나의 특정 값으로부터 및/또는 다른 특정 값까지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선행사 "약"의 사용에 의해, 값이 근사치로 표현된 경우, 특정 값이 또 다른 구체 예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범위의 수치 값 또는 말단-점이 "약"을 언급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범위의 수치 값 또는 말단-점은 2개의 구체예들: "약"에 의해 변경되는 하나, 및 "약"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각각의 범위의 말단점은, 다른 말단점과 관련하여 및 다른 말단점과 무관하게, 의미있는 것으로 더욱 이해될 것이다. In the following, reference will be made in detail to specific examples according to the claims,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ver possibl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parts and will b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Ranges can be expressed herein as from “about” one particular value, and/or to “about” another particular value. When such a range is expressed, another embodiment includes from one specific value and/or to another specific value. Similarly, by the use of the predecessor “about,” 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values are expressed as approximations, certain values form another embodiment. Regardless of whether a numerical value or end-point of a range is referred to herein as “about”, a numerical value or end-point of a range is one modified by two embodiments: “about” and “about” It is intended to include the other, which is not changed by ". It will be further understood that the endpoints of each range are meaningful, in relation to and other endpoints.

용어 "실질적인", "실질적으로" 및 이들의 변형은, 기재된 특색이 값 또는 설명과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평면인" 표면은, 평면 또는 거의 평면인 표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게다가, "실질적으로"는, 2개의 값이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몇몇 구체 예에서, "실질적으로"는, 서로 약 10% 이내, 예컨대, 서로 약 5% 이내, 또는 서로 약 2% 이내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The terms “substantial”, “substantially” and variations thereof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s are the same or nearly identical to the values or descriptions. For example, a “substantially planar” surface is intended to represent a planar or nearly planar surface. Moreover, "substantially"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 two values are the same or nearly identical. In some embodiments, “substantially” can represent values within about 10% of each other, such as within about 5% of each other, or within about 2% of each other.

다른 특색 및 이점들 중에서,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물품은, 예상하지 못한 높은 준-정적 및 동적 내충격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모듈은, 모듈 내에 층의 수와 함께, 접착제 및 커버 요소의 두께의 설계를 통해 이러한 내충격성 수준을 달성한다. 더욱이, 이러한 모듈과 관련된 내충격 속성의 향상은 또한 기계적 신뢰성 및 내천공성에 기여할 수 있다. 기계적 신뢰성과 관련하여,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모듈에 대한 휨 (flexing), 굽힘 또는 기타 변형시 이들의 유리-함유 커버 요소에 손상을 피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은, 폴더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대면 부분 상에 커버, 내천공성이 특히 바람직한 위치; 장치 자체 내에 내부에 배치되고, 전자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기판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어떤 다른 곳 중 하나 이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를 갖지 않지만, 유리 또는 유리-함유 층이 이의 유익한 특성을 위해 사용되고, 타이트한 굽힘 반경으로, 폴더블 디스플레이에서와 같이 유사한 방식으로, 접혀지거나 굽혀지는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이, 사용자가 상호작용할 위치에서, 장치의 외부에 사용된 경우, 내천공성은 특히 이롭다. Among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the display modules and artic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 unexpectedly high quasi-static and dynamic impact resistance. These modules achieve this level of impact through the design of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and cover elements, along with the number of layers in the module. Moreover, the improvement of the impact resistance properties associated with these modules can also contribute to mechanical reliability and puncture resistance. With regard to mechanical reliability, the display modu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configured to avoid damage to their glass-containing cover elements upon flexing, bending or other deformations to the modules. For example, the display module may include a cover on the user-facing portion of the foldable electronic display device, a position where puncture resistance is particularly desirable; A substrate module disposed inside the device itself and having electronic components disposed thereon; Or it can be used as one or more of any other place in the display device. Optionally, the display module of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have a display, but a glass or glass-containing layer is used for its beneficial properties, and with a tight bending radius, in a similar manner as in a foldable display, the device is folded or bent. Can be used. Perforation resistance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when the display module is used outside of the device, at a location where the user will interact.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물품은, 모듈 내에 사용된 커버 요소, 접착제 및 중간층의 물질 특성 및 두께의 제어를 통해 전술한 장점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중간층의 증가된 두께, 중간층의 증가된 탄성률 및/또는 제1 접착제의 증가된 탄성률을 통해, 모델링된 또는 실제 준-정적 압입 또는 동적 펜 낙하 시험에서 측정된 커버 요소의 주된 표면에서 감소된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준-정적 및 동적 하중과 관련된 이러한 낮은 인장 응력은, 특히, 모듈이 적용-상황 충격 진화 (application-driven impact evolutions)를 받음에 따라, 커버 요소의 내파손성의 측면에서 개선된 모듈 신뢰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게다가, 본 개시의 구체 예들 및 개념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커버 요소의 주된 표면에서 인장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을 설계하기 위한 틀거리를 제공하며, 이는 다른 정도 및 양의 굽힘 및 접힘 진화 (folding evolutions)를 포함하는 다양한 적용들에 사용하기 위한 이들 모듈의 신뢰성, 제조가능성 및 적합성에 기여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display modules and artic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obtain some or all of the above-mentioned advantages through control of the material properties and thickness of the cover elements, adhesives and interlayers used in the modules. For example, such a display module can be measured in a modeled or actual semi-static indentation or dynamic pen drop test, through increased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layer, increased elasticity of the intermediate layer and/or increased elasticity of the first adhesive. It can exhibit improved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reduced tensile stress at the major surface of the element. These low tensile stresses associated with quasi-static and dynamic loads can lead to improved module reliability in terms of damage resistance of the cover element, especially as the modules undergo application-driven impact evolutions. have. In addition, embodiment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 the skilled worker with a framework for designing a display module to reduce tensile stress at the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which is a different degree and amount of bending and folding evolution. evolutions) can contribute to the reliability, manufacturability and suitability of these modules for use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도 1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은, 본 개시의 몇몇 관점에 따른, 3-층 모듈로서 대표적인 형태로 도시된다. 모듈 (100a)은, 커버 요소 (50), 제1 접착제 (10a), 및 기판 (60)을 포함한다. 더욱이, 참조된 스택 (90a)은 접착제 (10a) 및 기판 (60)을 포함한다. 더욱이, 커버 요소 (50)는, 두께 (52), 제1 주된 표면 (54) 및 제2 주된 표면 (56)을 갖는다. 두께 (52)는, 약 25 ㎛ 내지 약 200 ㎛, 예를 들어, 약 25 ㎛ 내지 약 175 ㎛, 약 25 ㎛ 내지 약 150 ㎛, 약 25 ㎛ 내지 약 125 ㎛, 약 25 ㎛ 내지 약 100 ㎛, 약 25 ㎛ 내지 약 75 ㎛, 약 25 ㎛ 내지 약 50 ㎛, 약 50 ㎛ 내지 약 175 ㎛, 약 50 ㎛ 내지 약 150 ㎛, 약 50 ㎛ 내지 약 125 ㎛, 약 50 ㎛ 내지 약 100 ㎛, 약 50 ㎛ 내지 약 75 ㎛, 약 75 ㎛ 내지 약 175 ㎛, 약 75 ㎛ 내지 약 150 ㎛, 약 75 ㎛ 내지 약 125 ㎛, 약 75 ㎛ 내지 약 100 ㎛, 약 100 ㎛ 내지 약 175 ㎛, 약 100 ㎛ 내지 약 150 ㎛, 약 100 ㎛ 내지 약 125 ㎛, 약 125 ㎛ 내지 약 175 ㎛, 약 125 ㎛ 내지 약 150 ㎛, 및 약 150 ㎛ 내지 약 175 ㎛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관점들에서, 두께 (52)는, 약 25 ㎛ 내지 150 ㎛, 약 50 ㎛ 내지 100 ㎛, 또는 약 60 ㎛ 내지 80 ㎛의 범위일 수 있다. 커버 요소 (50)의 두께 (52)는 또한 전술한 범위들 사이에서 다른 두께 또는 두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의 몇몇 관점들은, 이러한 전자 장치 적용들에 사용되는 다른 유리 커버 요소의 두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 예를 들어, 약 75 ㎛ 내지 약 125 ㎛의 커버 요소 (50)를 포함한다. 상대적으로 더 얇은 두께 값을 갖는 이러한 커버 요소 (50)의 사용은, 준-정적 압입 또는 펜 낙하 시험에서 충격시 커버 요소 (50)의 제1 및 제2 주된 표면 (54, 56)에서 관찰된 감소된 인장 응력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예상하지 못한 준-정적 및 동적 충격에 대한 향상된 저항성을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1A, the display module 100a is shown in a representative form as a three-layer module, according to som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dule 100a includes a cover element 50, a first adhesive 10a, and a substrate 60. Moreover, the referenced stack 90a includes an adhesive 10a and a substrate 60. Moreover, the cover element 50 has a thickness 52, a first major surface 54 and a second major surface 56. The thickness 52 is about 25 μm to about 200 μm, for example about 25 μm to about 175 μm, about 25 μm to about 150 μm, about 25 μm to about 125 μm, about 25 μm to about 100 μm, About 25 μm to about 75 μm, about 25 μm to about 50 μm, about 50 μm to about 175 μm, about 50 μm to about 150 μm, about 50 μm to about 125 μm, about 50 μm to about 100 μm, about 50 Μm to about 75 μm, about 75 μm to about 175 μm, about 75 μm to about 150 μm, about 75 μm to about 125 μm, about 75 μm to about 100 μm, about 100 μm to about 175 μm, about 100 μm to About 150 μm, about 100 μm to about 125 μm, about 125 μm to about 175 μm, about 125 μm to about 150 μm, and about 150 μm to about 175 μm. In other aspects, the thickness 52 can range from about 25 μm to 150 μm, from about 50 μm to 100 μm, or from about 60 μm to 80 μm. The thickness 52 of the cover element 50 can also be set to a different thickness or thickness range between the aforementioned ranges. Some aspects of the display module 100a,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other glass cover elements used in such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over elements 50 of a relatively thin thickness, for example from about 75 μm to about 125 μm. It includes. The use of these cover elements 50 with relatively thinner thickness values was observed in the first and second major surfaces 54, 56 of the cover elements 50 upon impact in a semi-static indentation or pen drop test. As shown in reduced tensile stress, it provides improved resistance to unexpected quasi-static and dynamic impacts.

도 1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은, 약 20 GPa 내지 약 140 GPa, 예를 들어, 약 20 GPa 내지 약 120 GPa, 약 20 GPa 내지 약 100 GPa, 약 20 GPa 내지 약 80 GPa, 약 20 GPa 내지 약 60 GPa, 약 20 GPa 내지 약 40 GPa, 약 40 GPa 내지 약 120 GPa, 약 40 GPa 내지 약 100 GPa, 약 40 GPa 내지 약 80 GPa, 약 40 GPa 내지 약 60 GPa, 약 60 GPa 내지 약 120 GPa, 약 60 GPa 내지 약 100 GPa, 약 60 GPa 내지 약 80 GPa, 약 80 GPa 내지 약 120 GPa, 약 80 GPa 내지 약 100 GPa, 및 약 100 GPa 내지 약 120 GPa의 커버 요소 탄성률을 갖는 커버 요소 (50)를 포함한다. 커버 요소 (50)는, 유리 조성물을 갖는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또는 유리 조성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커버 요소 (50)는, 유리-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커버 요소 (50)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제2 상 유리 입자 (second phase glass particles)로 구성된 고분자/유리 복합체일 수 있다. 몇몇 관점들에서, 커버 요소 (50)는, 약 50 GPa 내지 약 100 GPa의 탄성률, 또는 이들 한도 사이에 임의의 탄성률 값 또는 값들의 범위를 특징으로 하는 유리 요소이다. 다른 관점들에서, 커버 요소 탄성률은, 약 20 GPa, 30 GPa, 40 GPa, 50 GPa, 60 GPa, 70 GPa, 80 GPa, 90 GPa, 100 GPa, 110 GPa, 120 GPa, 130 GPa, 140 GPa, 또는 이들 값들 사이에 임의의 탄성률 값 또는 값들의 범위이다. The display module 100a shown in FIG. 1A may be about 20 GPa to about 140 GPa, for example, about 20 GPa to about 120 GPa, about 20 GPa to about 100 GPa, about 20 GPa to about 80 GPa, about 20 GPa to about 60 GPa, about 20 GPa to about 40 GPa, about 40 GPa to about 120 GPa, about 40 GPa to about 100 GPa, about 40 GPa to about 80 GPa, about 40 GPa to about 60 GPa, about 60 GPa to Having a cover element modulus of about 120 GPa, about 60 GPa to about 100 GPa, about 60 GPa to about 80 GPa, about 80 GPa to about 120 GPa, about 80 GPa to about 100 GPa, and about 100 GPa to about 120 GPa It includes a cover element 50. The cover element 50 can be a component having a glass composition or can include at least one component having a glass composition. In the latter case, the cover element 50 can include one or more layers comprising a glass-containing material, for example, the cover element 50 is a second phase glass particles in a polymer matrix. It may be a polymer / glass composite consisting of). In some aspects, cover element 50 is a glass element characterized by an elastic modulus of about 50 GPa to about 100 GPa, or any modulus value or range of values between these limits. In other aspects, the cover element modulus is about 20 GPa, 30 GPa, 40 GPa, 50 GPa, 60 GPa, 70 GPa, 80 GPa, 90 GPa, 100 GPa, 110 GPa, 120 GPa, 130 GPa, 140 GPa, Or any modulus value or range of values between these values.

도 1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의 특정 관점들에서, 커버 요소 (50)는 유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관점들에서, 커버 요소 (50)는 둘 이상의 유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두께 (52)는 커버 요소 (50)를 구성하는 개별 유리층의 두께의 합을 반영한다. 커버 요소 (50)가 둘 이상의 개별 유리층을 포함하는 관점에서, 개별 유리층 각각의 두께는 1 ㎛ 이상이다. 예를 들어, 모듈 (100a)에 사용된 커버 요소 (50)는, 약 8㎛의 두께를 각각 갖는, 3개의 유리층을 포함할 수 있어서, 커버 요소 (50)의 두께 (52)는 약 24 ㎛이다. 그러나, 커버 요소 (50)는, 다수의 유리층 사이에 개재된 다른 비-유리층 (예를 들어, 컴플라이언트 고분자층 (compliant polymer layers))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모듈 (100a)의 다른 실행에서, 커버 요소 (50)는, 유리-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커버 요소 (50)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제2 상 유리 입자로 구성된 고분자/유리 복합체일 수 있다. In particular aspects of the display module 100a shown in FIG. 1A, the cover element 50 can include a glass layer. In other aspects, the cover element 50 can include two or more glass layers. Thereby, the thickness 52 reflects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individual glass layers that make up the cover element 50. From the viewpoint that the cover element 50 includes two or more individual glass layers,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individual glass layers is 1 µm or more. For example, the cover element 50 used in module 100a can include three glass layers, each having a thickness of about 8 μm, so that the thickness 52 of cover element 50 is about 24 Μm. However,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cover element 50 may include other non-glass layers (eg, compliant polymer layers) interposed between multiple glass layers. In another implementation of module 100a, cover element 50 may include one or more layers comprising a glass-containing material, for example, cover element 50 may include second phase glass particles in a polymer matrix. It may be a polymer / glass composite consisting of.

도 1a에서, 유리 물질을 포함하는 커버 요소 (5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은, 무-알칼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보로실리케이트, 보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및 실리케이트 유리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커버 요소 (50)는 또한 알칼리-함유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보로실리케이트, 보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및 실리케이트 유리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특정 관점들에서, 알칼리토 개질제는, 커버 요소 (50)용 전술한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첨가될 수 있다. 몇몇 관점들에서, 다음에 따른 유리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유리층을 갖는 커버 요소 (50)에 적합하다: 50 내지 75% (mol%)의 SiO2; 5 내지 20%의 Al2O3; 8 내지 23%의 B2O3; 0.5 내지 9%의 MgO; 1 내지 9%의 CaO; 0 내지 5%의 SrO; 0 내지 5%의 BaO; 0.1 내지 0.4%의 Sn02; O 내지 0.1%의 Zr02; 및 0 내지 10%의 Na20, 0 내지 5%의 K20, 및 0 내지 10%의 Li2O. 몇몇 관점들에서, 다음에 따른 유리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유리층을 갖는 커버 요소 (50)에 적합하다: 64 내지 69% (mol%)의 SiO2; 5 내지 12%의 Al2O3; 8 내지 23%의 B2O3; 0.5 내지 2.5%의 MgO; 1 내지 9%의 CaO; 0 내지 5%의 SrO; 0 내지 5%의 BaO; 0.1 내지 0.4%의 Sn02; 0 내지 0.1%의 Zr02; 및 0 내지 1%의 Na20. 다른 관점들에서, 다음 조성물은 커버 요소 (50)에 적합하다: ~67.4% (mol%)의 SiO2; ~12.7%의 Al2O3; ~3.7%의 B2O3; ~2.4%의 MgO; 0%의 CaO; 0%의 SrO; ~0.1%의 Sn02; 및 ~13.7%의 Na20. 또 다른 관점들에서, 다음의 조성물은 또한 커버 요소 (50)에 사용되는 유리층에 적합하다: 68.9% (mol%)의 SiO2; 10.3%의 Al2O3; 15.2%의 Na20; 5.4%의 MgO; 및 0.2%의 Sn02. 다른 관점들에서, 커버 요소 (50)는 다음의 유리 조성물 ("유리 1")을 사용할 수 있다: ~65% (mol%)의 SiO2; ~5%의 B2O3; ~14%의 Al2O3; ~14%의 Na20; 및 ~2mol%의 MgO. 또 다른 관점들에서, 다음의 조성물은 또한 커버 요소 (50)에 사용되는 유리층에 적합하다: 68.9% (mol%)의 SiO2; 10.3%의 Al2O3; 15.2%의 Na20; 5.4%의 MgO; 및 0.2%의 Sn02. 결함의 혼입을 최소화하면서 낮은 두께 수준으로 제조의 용이성; 굽힘 동안 발생된 인장 응력을 상쇄하기 위한 압축 응력 영역의 발생의 용이성; 광학 투명도; 및 내식성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유리 물질을 포함하는 커버 요소 (50)를 위한 조성물을 선택하기 위해 다양한 기준은 사용될 수 있다. In FIG. 1A, a display module 100a comprising a cover element 50 comprising a glass material can be made from alkali-free aluminosilicates, borosilicates, boroaluminosilicates, and silicate glass compositions. Cover element 50 can also be made from alkali-containing aluminosilicates, borosilicates, boroaluminosilicates, and silicate glass compositions. In certain aspects, alkaline earth modifiers can be added to any of the aforementioned compositions for cover element 50. In some respects, the glass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is suitable for a cover element 50 having at least one glass layer: 50 to 75% (mol%) SiO 2 ; 5 to 20% Al 2 O 3 ; 8 to 23% B 2 O 3 ; 0.5 to 9% MgO; CaO from 1 to 9%; 0-5% SrO; 0-5% BaO; 0.1 to 0.4% Sn0 2 ; O to 0.1% Zr0 2 ; And 0 to 10% Na 2 0, 0 to 5% K 2 0, and 0 to 10% Li 2 O. In some aspects, a glass composition according to a cover element having one or more glass layers ( 50): 64 to 69% (mol%) SiO 2 ; 5 to 12% Al 2 O 3 ; 8 to 23% B 2 O 3 ; 0.5 to 2.5% MgO; CaO from 1 to 9%; 0-5% SrO; 0-5% BaO; 0.1 to 0.4% Sn0 2 ; 0 to 0.1% Zr0 2 ; And 0 to 1% Na 2 0. In other respects, the following composition is suitable for cover element 50: ~67.4% (mol%) SiO 2 ; ˜12.7% Al 2 O 3 ; ˜3.7% B 2 O 3 ; ˜2.4% MgO; 0% CaO; 0% SrO; -0.1% Sn0 2 ; And ~13.7% Na 2 0. In further aspects, the following composition is also suitable for the glass layer used in the cover element 50: 68.9% (mol%) SiO 2 ; 10.3% Al 2 O 3 ; 15.2% Na 2 0; 5.4% MgO; And 0.2% Sn0 2 . In other respects, the cover element 50 can use the following glass composition (“Glass 1”): ~65% (mol%) SiO 2 ; ˜5% B 2 O 3 ; ~ 14% Al 2 O 3 ; ˜14% Na 2 0; And ~2 mol% MgO. In still other aspects, the following composition is also suitable for the glass layer used in the cover element 50: 68.9% (mol%) SiO 2 ; 10.3% Al 2 O 3 ; 15.2% Na 2 0; 5.4% MgO; And 0.2% Sn0 2 . Ease of manufacture at low thickness levels while minimizing the incorporation of defects; Ease of occurrence of a compressive stress region to compensate for tensile stress generated during bending; Optical transparency; And a variety of criteria can be used to select a composition for a cover element 50 comprising a glass material,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corrosion resistance.

폴더블 모듈 (100a)에 사용되는 커버 요소 (50)는, 다양한 물리적 형태 및 형상을 채택할 수 있다. 단-면 투시도로부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서, 요소 (50)는 평평하거나 또는 평면일 수 있다. 몇몇 관점들에서, 요소 (50)는 최종 적용에 의존하여 비-직사형의, 시트-형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로서, 타원형 디스플레이 및 베젤을 갖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타원형의, 시트-형 형태를 갖는 커버 요소 (50)를 사용할 수 있다. The cover element 50 used in the foldable module 100a can adopt various physical shapes and shapes. From a single-sided perspective view, as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element 50 may be flat or planar. In some respects, element 50 may be manufactured in a non-rectangular, sheet-shaped form depending on the final application. By way of example, a mobile display device having an oval display and a bezel may use a cover element 50 having a generally oval, sheet-shaped shape.

도 1a를 다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은: 약 100 ㎛ 내지 1600 ㎛의 두께 (92a)를 갖는 스택 (90a); 및 상기 스택 (90a)을 커버 요소 (50)의 제2 주된 표면 (56)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1 접착제 (10a)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제 (10a)는, 두께 (12a) 및 약 0.001 GPa 내지 약 10 GPa, 예를 들어, 약 0.001 GPa 내지 약 8 GPa, 약 0.001 GPa 내지 약 6 GPa, 약 0.001 GPa 내지 약 4 GPa, 약 0.001 GPa 내지 약 2 GPa, 약 0.001 GPa 내지 약 1 GPa, 약 0.01 GPa 내지 약 8 GPa, 약 0.01 GPa 내지 약 6 GPa, 약 0.01 GPa 내지 약 4 GPa, 약 0.01 GPa 내지 약 2 GPa, 약 0.1 GPa 내지 약 8 GPa, 약 0.1 GPa 내지 약 6 GPa, 약 0.1 GPa 내지 약 4 GPa, 약 0.2 GPa 내지 약 8 GPa, 약 0.2 GPa 내지 약 6 GPa, 및 약 0.5 GPa 내지 약 8 GPa약 10GPa의 탄성률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의 제1 관점의 몇몇 실행에 따르면, 제1 접착제 (10a)는, 약 0.001 GPa, 0.002 GPa, 0.003 GPa, 0.004 GPa, 0.005 GPa, 0.006 GPa, 0.007 GPa, 0.008 GPa, 0.009 GPa, 0.01 GPa, 0.02 GPa, 0.03 GPa, 0.04 GPa, 0.05 GPa, 0.1 GPa, 0.2 GPa, 0.3 GPa, 0.4 GPa, 0.5 GPa, 0.6 GPa, 0.7 GPa, 0.8 GPa, 0.9 GPa, 1 GPa, 2 GPa, 3 GPa, 4 GPa, 5 GPa, 6 GPa, 7 GPa, 8 GPa, 9 GPa, 10 GPa, 또는 이들 탄성률 값들 사이에 임의의 양 또는 양들의 범위의 탄성률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1A, the display module 100a includes: a stack 90a having a thickness 92a of about 100 μm to 1600 μm; And a first adhesive 10a configured to connect the stack 90a to the second major surface 56 of the cover element 50, wherein the first adhesive 10a comprises a thickness 12a and about 0.001 GPa to about 10 GPa, for example, about 0.001 GPa to about 8 GPa, about 0.001 GPa to about 6 GPa, about 0.001 GPa to about 4 GPa, about 0.001 GPa to about 2 GPa, about 0.001 GPa to about 1 GPa , About 0.01 GPa to about 8 GPa, about 0.01 GPa to about 6 GPa, about 0.01 GPa to about 4 GPa, about 0.01 GPa to about 2 GPa, about 0.1 GPa to about 8 GPa, about 0.1 GPa to about 6 GPa, about It is characterized by an elastic modulus of 0.1 GPa to about 4 GPa, about 0.2 GPa to about 8 GPa, about 0.2 GPa to about 6 GPa, and about 0.5 GPa to about 8 GPa about 10 GPa. According to some implementations of the first aspect of the display module 100a, the first adhesive 10a is about 0.001 GPa, 0.002 GPa, 0.003 GPa, 0.004 GPa, 0.005 GPa, 0.006 GPa, 0.007 GPa, 0.008 GPa, 0.009 GPa , 0.01 GPa, 0.02 GPa, 0.03 GPa, 0.04 GPa, 0.05 GPa, 0.1 GPa, 0.2 GPa, 0.3 GPa, 0.4 GPa, 0.5 GPa, 0.6 GPa, 0.7 GPa, 0.8 GPa, 0.9 GPa, 1 GPa, 2 GPa, 3 It is characterized by an elastic modulus of any amount or range of amounts between GPa, 4 GPa, 5 GPa, 6 GPa, 7 GPa, 8 GPa, 9 GPa, 10 GPa, or these modulus values.

도 1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을 다시 참조하면, 제1 접착제 (10a)는, 약 5 ㎛ 내지 약 60 ㎛, 예를 들어, 약 5 ㎛ 내지 약 50 ㎛, 약 5 ㎛ 내지 약 40 ㎛, 약 5 ㎛ 내지 약 30 ㎛, 약 5 ㎛ 내지 약 20 ㎛, 약 5 ㎛ 내지 약 15 ㎛, 약 5 ㎛ 내지 약 10 ㎛, 약 10 ㎛ 내지 약 60 ㎛, 약 15 ㎛ 내지 약 60 ㎛, 약 20 ㎛ 내지 약 60 ㎛, 약 30 ㎛ 내지 약 60 ㎛, 약 40 ㎛ 내지 약 60 ㎛, 약 50 ㎛ 내지 약 60 ㎛, 약 55 ㎛ 내지 약 60 ㎛, 약 10 ㎛ 내지 약 50 ㎛, 약 10 ㎛ 내지 약 40 ㎛, 약 10 ㎛ 내지 약 30 ㎛, 약 10 ㎛ 내지 약 20 ㎛, 약 10 ㎛ 내지 약 15 ㎛, 약 20 ㎛ 내지 약 50 ㎛, 약 30 ㎛ 내지 약 50 ㎛, 약 40 ㎛ 내지 약 50 ㎛, 약 20 ㎛ 내지 약 40 ㎛, 및 약 20 ㎛ 내지 약 30 ㎛의 두께 (12a)를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 예는, 약 5 ㎛, 10 ㎛, 15 ㎛, 20 ㎛, 25 ㎛, 30 ㎛, 35 ㎛, 40 ㎛, 45 ㎛, 50 ㎛, 55 ㎛, 60 ㎛, 또는 이들 두께 값들 사이에 임의의 두께 또는 두께들의 범위의 두께 (12a)를 특징으로 하는 제1 접착제 (10a)를 갖는다. 몇몇 관점들에서, 제1 접착제 (10a)의 두께 (12a)는 약 5 ㎛ 내지 50 ㎛이다.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의 몇몇 관점들은, 이러한 전자 장치 적용들에 사용되는 종래의 접착제의 두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얇은 두께, 예를 들어, 약 5 ㎛ 내지 약 25 ㎛의 접착제 (10a)를 포함한다. 상대적으로 더 얇은 두께 값들을 갖는 이러한 접착제 (10a)의 사용은, 준-정적 압입 또는 펜 낙하 시험에서 충격시 커버 요소 (50)의 제1 및 제2 주된 표면 (54, 56)에서 관찰된 감소된 인장 응력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준-정적 및 동적 충격에 대하여 예상하지 못한 향상된 정도의 저항성을 제공한다. Referring back to the display module 100a shown in FIG. 1A, the first adhesive 10a is about 5 μm to about 60 μm, for example, about 5 μm to about 50 μm, about 5 μm to about 40 μm , About 5 μm to about 30 μm, about 5 μm to about 20 μm, about 5 μm to about 15 μm, about 5 μm to about 10 μm, about 10 μm to about 60 μm, about 15 μm to about 60 μm, about 20 μm to about 60 μm, about 30 μm to about 60 μm, about 40 μm to about 60 μm, about 50 μm to about 60 μm, about 55 μm to about 60 μm, about 10 μm to about 50 μm, about 10 μm To about 40 μm, about 10 μm to about 30 μm, about 10 μm to about 20 μm, about 10 μm to about 15 μm, about 20 μm to about 50 μm, about 30 μm to about 50 μm, about 40 μm to about It is characterized by a thickness 12a of 50 μm, about 20 μm to about 40 μm, and about 20 μm to about 30 μm. Other embodiments are about 5 μm, 10 μm, 15 μm, 20 μm, 25 μm, 30 μm, 35 μm, 40 μm, 45 μm, 50 μm, 55 μm, 60 μm, or any of these thickness values. It has a first adhesive (10a) characterized by a thickness (12a) of a thickness or a range of thicknesses. In some aspects, the thickness 12a of the first adhesive 10a is between about 5 μm and 50 μm. Some aspects of the display module 100a provide a relatively thinner thickness, for example, an adhesive 10a of about 5 μm to about 25 μm,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a conventional adhesive used in such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Includes. The use of this adhesive 10a with relatively thinner thickness values reduces the observed observed on the first and second major surfaces 54, 56 of the cover element 50 upon impact in a semi-static indentation or pen drop test. As shown in the tensile stress obtained, it provides an unexpectedly improved degree of resistance to quasi-static and dynamic impacts.

도 1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의 몇몇 구체 예에서, 제1 접착제 (10a)는, 약 0.1 내지 약 0.5, 예를 들어, 약 0.1 내지 약 0.45, 약 0.1 내지 약 0.4, 약 0.1 내지 약 0.35, 약 0.1 내지 약 0.3, 약 0.1 내지 약 0.25, 약 0.1 내지 약 0.2, 약 0.1 내지 약 0.15, 약 0.2 내지 약 0.45, 약 0.2 내지 약 0.4, 약 0.2 내지 약 0.35, 약 0.2 내지 약 0.3, 약 0.2 내지 약 0.25, 약 0.25 내지 약 0.45, 약 0.25 내지 약 0.4, 약 0.25 내지 약 0.35, 약 0.25 내지 약 0.3, 약 0.3 내지 약 0.45, 약 0.3 내지 약 0.4, 약 0.3 내지 약 0.35, 약 0.35 내지 약 0.45, 약 0.35 내지 약 0.4, 및 약 0.4 내지 약 0.45의 푸아송의 비 (Poisson's ratio)를 더욱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 예들은, 약 0.1, 0.15, 0.2, 0.25, 0.3, 0.35, 0.4, 0.45, 0.5, 또는 이들 값들 사이에 임의의 푸아송의 비 또는 푸아송의 비들의 범위를 특징으로 하는 제1 접착제 (10a)를 포함한다. 몇몇 관점들에서, 제1 접착제 (10a)의 푸아송의 비는, 약 0.1 내지 약 0.25이다. In some embodiments of the display module 100a shown in FIG. 1A, the first adhesive 10a is about 0.1 to about 0.5, for example about 0.1 to about 0.45, about 0.1 to about 0.4, about 0.1 to about 0.35, about 0.1 to about 0.3, about 0.1 to about 0.25, about 0.1 to about 0.2, about 0.1 to about 0.15, about 0.2 to about 0.45, about 0.2 to about 0.4, about 0.2 to about 0.35, about 0.2 to about 0.3, About 0.2 to about 0.25, about 0.25 to about 0.45, about 0.25 to about 0.4, about 0.25 to about 0.35, about 0.25 to about 0.3, about 0.3 to about 0.45, about 0.3 to about 0.4, about 0.3 to about 0.35, about 0.35 To about 0.45, about 0.35 to about 0.4, and about 0.4 to about 0.45 Poisson's ratio. Other embodiments include a first adhesive characterized by a ratio of Poisson or a ratio of any Poisson between about 0.1, 0.15, 0.2, 0.25, 0.3, 0.35, 0.4, 0.45, 0.5, or these values ( 10a). In some aspects, the ratio of the Poisson of the first adhesive 10a is from about 0.1 to about 0.25.

위에서 개요가 서술된 바와 같이, 도 1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은, 특정 물질 특성 (예를 들어, 약 0.001 GPa 내지 10 GPa의 탄성률)을 갖는 접착제 (10a)를 포함한다. 모듈 (100a)에서 접착제 (10a)로서 사용될 수 있는 대표 접착제는, 광학 투명 접착제 ("OCAs") (예를 들어, Henkel Corporation LOCTITE® 액체 OCAs), 에폭시, 및 스택 (90a) (예를 들어, 기판 (60))을 커버 요소 (50)의 제2 주된 표면 (56)에 연결하기에 적합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다른 연결 물질을 포함한다. 모듈 (100a)에서 접착제 (10a)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대표 접착제는,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비닐 부티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소듐 실리케이트, 광학 투명 접착제 (OCA), 감압 접착제 (PSA), 고분자 발포체, 천연 수지, 및 합성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As outlined above, the display module 100a shown in FIG. 1A includes an adhesive 10a having specific material properties (eg, an elastic modulus of about 0.001 GPa to 10 GPa). In the module (100a) representative of an adhesive which can be used as an adhesive (10a) is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 "OCAs") (for example, Henkel Corporation LOCTITE ® liquid OCAs), for epoxy, and the stack (90a) (e.g., Other connecting material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itable for connecting the substrate 60) to the second major surface 56 of the cover element 50. Other representative adhesives that can be used as the adhesive 10a in the module 100a are epoxy, urethane, acrylate, acrylic, styrene copolymer, polyisobutylene, polyvinyl butyral, ethylene vinyl acetate, sodium silicate, optically clear Adhesives (OCA),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SA), polymeric foams, natural resins, and synthetic resins.

도 1a를 다시 참조하면, 폴더블 모듈 (100a)의 스택 (90a)은, 유리 조성물을 갖는 구성요소, 제1 및 제2 주된 표면 (64, 66), 및 두께 (62)를 포함하는 기판 (60)을 더욱 포함한다. 유리 조성물을 갖는 구성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기판 (60)은, 몇몇 구체 예에서, 약 20 GPa 내지 140 GPa, 예를 들어, 약 20 GPa 내지 약 120 GPa, 약 20 GPa 내지 약 100 GPa, 약 20 GPa 내지 약 80 GPa, 약 20 GPa 내지 약 60 GPa, 약 20 GPa 내지 약 40 GPa, 약 40 GPa 내지 약 120 GPa, 약 40 GPa 내지 약 100 GPa, 약 40 GPa 내지 약 80 GPa, 약 40 GPa 내지 약 60 GPa, 약 60 GPa 내지 약 120 GPa, 약 60 GPa 내지 약 100 GPa, 약 60 GPa 내지 약 80 GPa, 약 80 GPa 내지 약 120 GPa, 약 80 GPa 내지 약 100 GPa, 및 약 100 GPa 내지 약 120 GPa의 탄성률을 가질 수 있다. 기판 (60)은 유리 조성물을 갖는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또는 유리 조성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기판 (60)은 유리-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기판 (60)은, 고분자 매트릭스에 제2 상 유리 입자로 구성된 고분자/유리 복합체일 수 있다. 몇몇 관점들에서, 기판은 약 50 GPa 내지 약 100 GPa의 탄성률, 또는 이들 한도 사이에 임의의 탄성률 값 또는 값들의 범위를 특징으로 하는 유리 요소이다. 다른 관점들에서, 기판 (60)의 탄성률은, 약 20 GPa, 30 GPa, 40 GPa, 50 GPa, 60 GPa, 70 GPa, 80 GPa, 90 GPa, 100 GPa, 110 GPa, 120 GPa, 130 GPa, 140 GPa, 또는 이들 값들 사이에 임의의 탄성률 값 또는 값들의 범위이다. 더욱이, 몇몇 구체 예에서, 기판 (60)은 유리 조성물의 측면에서 커버 요소 (5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하다. Referring back to FIG. 1A, stack 90a of foldable module 100a includes a substrate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a glass composition, first and second major surfaces 64, 66, and thickness 62 ( 60). Since it includes components having a glass composition, the substrate 60, in some embodiments, is about 20 GPa to 140 GPa, such as about 20 GPa to about 120 GPa, about 20 GPa to about 100 GPa, about 20 GPa to about 80 GPa, about 20 GPa to about 60 GPa, about 20 GPa to about 40 GPa, about 40 GPa to about 120 GPa, about 40 GPa to about 100 GPa, about 40 GPa to about 80 GPa, about 40 GPa To about 60 GPa, about 60 GPa to about 120 GPa, about 60 GPa to about 100 GPa, about 60 GPa to about 80 GPa, about 80 GPa to about 120 GPa, about 80 GPa to about 100 GPa, and about 100 GPa to It may have an elastic modulus of about 120 GPa. The substrate 60 can be a component having a glass composition or can include at least one component having a glass composition. In the latter case, the substrate 60 can include one or more layers comprising a glass-containing material, for example, the substrate 60 is a polymer/glass composite composed of second phase glass particles in a polymer matrix. Can be In some aspects, the substrate is a glass element characterized by an elastic modulus of about 50 GPa to about 100 GPa, or any modulus value or range of values between these limits. In other aspects,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substrate 60 is about 20 GPa, 30 GPa, 40 GPa, 50 GPa, 60 GPa, 70 GPa, 80 GPa, 90 GPa, 100 GPa, 110 GPa, 120 GPa, 130 GPa, 140 GPa, or any modulus value or range of values between these values. Moreover, in some embodiments, the substrate 60 is substantially similar or identical to the cover element 50 in terms of the glass composition.

도 1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의 구체 예에서, 기판 (60)은, 약 100 ㎛ 내지 약 1500 ㎛, 예를 들어, 약 100 ㎛ 내지 약 1250 ㎛, 약 100 ㎛ 내지 약 1000 ㎛, 약 100 ㎛ 내지 약 750 ㎛, 약 100 ㎛ 내지 약 500 ㎛, 약 100 ㎛ 내지 약 400 ㎛, 약 100 ㎛ 내지 약 300 ㎛, 약 100 ㎛ 내지 약 200 ㎛, 500 ㎛ 내지 약 1500 ㎛, 예를 들어, 약 500 ㎛ 내지 약 1250 ㎛, 약 500 ㎛ 내지 약 1000 ㎛, 약 500 ㎛ 내지 약 750 ㎛, 약 750 ㎛ 내지 약 1500 ㎛, 약 750 ㎛ 내지 약 1250 ㎛, 약 750 ㎛ 내지 약 1000 ㎛, 약 1000 ㎛ 내지 약 1500 ㎛, 약 1000 ㎛ 내지 약 1250 ㎛, 또는 이들 두께 값들 사이에 임의의 두께 또는 두께의 범위의 두께 (62)를 갖는다. 더욱이, 기판 (60)의 두께 (62)가 주어지면,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은, 어느 정도로, 특정 구체 예에서, 예를 들어, 약 10 ㎜ 이상, 또는 5 ㎜ 이상의 굽힘 반경으로 굽혀지거나, 휘어지거나 또는 기계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In the specific example of the display module 100a shown in FIG. 1A, the substrate 60 may be about 100 μm to about 1500 μm, for example, about 100 μm to about 1250 μm, about 100 μm to about 1000 μm, about 100 μm to about 750 μm, about 100 μm to about 500 μm, about 100 μm to about 400 μm, about 100 μm to about 300 μm, about 100 μm to about 200 μm, 500 μm to about 1500 μm, for example About 500 μm to about 1250 μm, about 500 μm to about 1000 μm, about 500 μm to about 750 μm, about 750 μm to about 1500 μm, about 750 μm to about 1250 μm, about 750 μm to about 1000 μm, about 1000 A thickness 62 in the range of μm to about 1500 μm, about 1000 μm to about 1250 μm, or any thickness or thickness between these thickness values. Moreover, given the thickness 62 of the substrate 60, the display module 100a is, to some extent, bent or bent at a bending radius of, for example, about 10 mm or more, or 5 mm or more, in certain embodiments. It can be built or mechanically deformed.

몇몇 실행에서, 모듈 (100a)에서 기판 (60)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물질은, 전자 장치 (102)를 장착하고, 폴더블 전자 장치 모듈 (100a)과 연관된 굽힘을 받을 경우 높은 기계적 무결성 및 유연성을 보유하는데 적합한, 다양한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 물질,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판 (6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기판 (60)용으로 선택된 물질은 또한 모듈 (100a)의 적용 환경 및/또는 이의 공정 조건들과 관련된 물질 특성 변화 및/또는 열화에 저항하기 위해 높은 열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In some implementations, a suitable material that can be used as the substrate 60 in the module 100a mounts the electronic device 102 and has high mechanical integrity and flexibility when subjected to bending associated with the foldable electronic device module 100a. Suitable for retention include various thermoset and thermoplastic materials, such as polyimide. For example, the substrate 60 can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panel. The material selected for the substrate 60 may also exhibit high thermal stability to resist material property changes and/or degradation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environment of the module 100a and/or its processing conditions.

도 1a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의 스택 (90a)은 또한 기판 (6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전자 장치는 종래의 OLED-함유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종래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택 (90a)의 기판 (60)은, 터치 센서, 편광기, 등의 형태 및 구조의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 및 기타 전자 장치들과 함께, 이러한 장치들을 기판에 연결시키기 위한 접착제 또는 기타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전자 장치는, 기판 (60) 내에 및/또는 이의 주된 표면 (64, 66)의 하나 이상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tack 90a of the display module 100a shown in FIG. 1A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s (not shown) connected to the substrate 60. These electronic devices can be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s used in conventional OLED-containing display devices. For example, the substrate 60 of the stack 90a, along with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s in the form and structure of touch sensors, polarizers, and the like,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is an adhesive or other for connecting these devices to the substrate. Compounds. Moreover,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located within the substrate 60 and/or on one or more of its major surfaces 64, 66.

도 1b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 (100b)은, (c) 약 25 ㎛ 내지 약 200 ㎛의 두께 (72) 및 약 20 GPa 내지 약 140 GPa의 중간층 탄성률을 가지며, 유리 조성물을 갖는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하는 중간층 (70); 및 (d) 상기 중간층 (70)을 기판 (60)에 연결시키고, 약 0.001 GPa 내지 약 10 GPa의 탄성률 및 약 5 ㎛ 내지 약 50 ㎛의 두께 (12b)를 포함하는, 제2 접착제 (10b)를 더욱 포함하는 (즉, 제1 접착제 (10a) 및 기판 (60)에 부가하여) 스택 (90a)을 갖는 5-층 모듈로서 대표적인 형태로 나타낸다.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중간층 (70)은, 커버 요소 (50)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조성물, 두께 및 탄성률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제2 접착제 (10b)는 제1 접착제 (10a)의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조성물, 두께 및 탄성률로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의 구성은, 임의의 수의 층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본 개시의 원리에 따라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s also shown in FIG. 1B, the display module 100b has (c) a thickness 72 of about 25 μm to about 200 μm, and an interlayer elastic modulus of about 20 GPa to about 140 GPa, with a glass composition An intermediate layer 70 further comprising urea; And (d) connecting the intermediate layer 70 to the substrate 60, and comprising an elastic modulus of about 0.001 GPa to about 10 GPa and a thickness 12b of about 5 μm to about 50 μm (12b). It is represented in a representative form as a 5-layer module having a stack 90a further comprising (ie, in addition to the first adhesive 10a and the substrate 60). Unless otherwise stated, the intermediate layer 70 may be composed of the same or similar composition, thickness and modulus of elasticity as the cover element 50. Moreover, unless stated otherwise, the second adhesive 10b may be composed of the same or similar composition, thickness and modulus of elasticity as that of the first adhesive 10a. More gener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modules 100a, 100b shows that display modules having any number of layers can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도 2를 참조하면, 펜 낙하 시험 장치 (200)는 도시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펜 낙하 시험"은, 펜 낙하 장치 (200)로 수행되어, 커버 요소의 주된 표면 (54, 56)에서 관찰된 응력 상태를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 (도 1a 및 1b, 참조)의 내충격성을 평가한다. 여기에서 기재되고 언급된 바와 같이, 펜 낙하 시험은,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 샘플이 커버 요소 (50)의 노출된 표면, 즉, 주된 표면 (54)에 전해진 하중 (즉, 25㎝의 고정 높이에서 낙하하는 펜으로부터 하중)으로 시험되는 것으로 수행되는 동적 시험이다.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의 대향 면, 예를 들어, 주된 표면 (66) (도 1a 및 1b, 참조)은 알루미늄 플레이트 (400 그릿 페이퍼 (grit paper)를 이용한 표면 거칠기로 연마된 바와 같은, 6063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지지된다. 하나의 튜브는 펜 낙하 시험에 따라 사용되어 펜을 샘플로 안내하고, 상기 튜브의 세로 축이 샘플의 상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상기 튜브는 샘플의 상부 표면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각 튜브는, 2.54㎝ (1 인치)의 외경, 1.4㎝ (9/16 인치)의 내경 및 90㎝의 길이를 갖는다.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ABS") 심 (shim)은, 각 시험에 대해 25㎝의 원하는 높이 (기판 표면 위의 볼의 높이)에서 펜을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각 낙하 후에, 튜브는 샘플에 대해 재위치되어 펜을 샘플 상에 다른 충격 위치로 안내한다. 펜 낙하 시험에 사용된 펜은, 직경이 0.35 ㎜인 볼 포인트 팁 (212) 및 캡을 포함하여 5.7 그램의 중량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펜 낙하 시험에 따르면, 볼 포인트 (212)가 시험 샘플, 즉,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캡이 상단 (즉, 팁의 반대쪽 단부)에 부착된 채로 펜은 낙하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2, the pen drop test apparatus 200 is illustrated. "Pen drop test", as used herein, is performed with the pen drop device 200 to characterize the stress states observed at the major surfaces 54, 56 of the cover element, display modules 100a, 100b ) (FIGS. 1A and 1B, see) Impact resistance was evaluated. As described and mentioned herein, the pen drop test is a method in which the load of the display module 100a, 100b is transferr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50, i.e., the main surface 54 (i.e., fixed at 25 cm). It is a dynamic test that is performed as being tested with a load from a pen dropping at height. The opposite side of the display module 100a, 100b, e.g., the main surface 66 (see FIGS. 1A and 1B, see FIG. 1 ), is 6063, as polished to an aluminum plate (surface roughness using 400 grit paper). Aluminum alloy). One tube is used according to the pen drop test to guide the pen to the sample, and the tube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ample such tha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ube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op surface of the sample. Each tube has an outer diameter of 2.54 cm (1 inch), an inner diameter of 1.4 cm (9/16 inch), and a length of 90 cm. Acrylonitrile butadiene ("ABS") shims are used to hold the pen at a desired height of 25 cm (height of the ball on the substrate surface) for each test. After each drop, the tube is repositioned relative to the sample to direct the pen to a different impact location on the sample. The pen used in the pen drop test had a weight of 5.7 grams, including a ball point tip 212 and cap with a diameter of 0.35 mm. According to the pen drop test shown in FIG. 2, with the cap attached to the top (i.e. the opposite end of the tip), the ball point 212 can interact with the test sample, i.e., the display modules 100a, 100b. The pen falls.

유리하게는, 도 2에 도시된 펜 낙하 시험 장치로 수행된 바와 같은, 펜 낙하 시험은, 25㎝의 고정된 펜 낙하 높이에 기초하여 커버 요소 (50)의 주된 표면 (54, 56)에서 발생된 인장 응력을 추정하기 위해 FEA 기술을 사용하여 모델링된다. 본 개시의 분야에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더욱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모델링을 수행하는데 특정 가정들은 만들어지는데, 특히, 커버 요소 (50) 및 기판 (60)은 71 GPa의 탄성률 및 0.22의 푸아송의 비를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더욱이, 통상적인 광학 접착제는, 제1 및 제2 접착제에 대해 0.3 GPa의 탄성률 및 0.49의 푸아송의 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된다. 펜 낙하 시험 모델링과 더욱 관련하여, 다음의 부가적인 가정들은 만들어진다: 펜 팁 (212)은 펜 팁 변형이 없는 강체 (rigid body)로 모델링되고; 모듈 (100a)의 1/4 대칭 슬라이스는 사용되며; 모듈 (100a)에서 모든 인터페이스 (interfaces)는 분석 동안, 박리 없이, 완벽하게 결합된 것으로 가정되고; 펜 낙하 시험 장치 (200)와 관련하여 언급된 알루미늄 지지판은, 강체 알루미늄판으로서 모델링되며; 모듈 (100a)과 알루미늄 지지판 사이에 마찰이 없는 접촉은 가정되며; 펜 팁 (212)이 모듈 (100a)의 커버 요소 (50)를 관통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되고; 모듈 (100a)의 요소들에 대한 선형-탄성 또는 초-탄성 물질 특성을 사용하며; 큰 변형 접근법을 사용하고; 및 시뮬레이션된 시험 동안 모듈 (100a)은 실온에 있다. Advantageously, the pen drop test, as performed with the pen drop test apparatus shown in FIG. 2, occurs at the major surfaces 54, 56 of the cover element 50 based on a fixed pen drop height of 25 cm. It is modeled using FEA technique to estimate the tensile stress. As further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disclosure, certain assumptions are made in performing this modeling, in particular, the cover element 50 and the substrate 60 have a modulus of elasticity of 71 GPa and a Poisson of 0.22. It is assumed to have a rain. Moreover, it is assumed that conventional optical adhesives exhibit an elastic modulus of 0.3 GPa and a Poisson's ratio of 0.49 for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Further in connection with pen drop test modeling, the following additional assumptions are made: pen tip 212 is modeled as a rigid body without pen tip deformation; A quarter symmetric slice of module 100a is used; All interfaces in module 100a are assumed to be perfectly coupled during analysis, without delamination; The aluminum support plate mentioned in connection with the pen drop test apparatus 200 is modeled as a rigid aluminum plate; A frictionless contact between the module 100a and the aluminum support plate is assumed; It is assumed that the pen tip 212 does not penetrate the cover element 50 of the module 100a; Use linear-elastic or super-elastic material properties for the elements of module 100a; Using a large variant approach; And during the simulated test, module 100a is at room temperature.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 (도 1a 및 1b, 참조)의 특정 실행에서, 모듈은, 25㎝의 펜 낙하 높이로 모델링된 바와 같은 (도 2 참조), 펜 낙하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커버 요소 (50)의 제1 주된 표면 (54)에서 약 4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 및 커버 요소 (50)의 제2 주된 표면 (56)에서 약 12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상치 못하게, 펜 낙하 시험의 이러한 모델링을 통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접착제 (10a, 10b)의 두께 (12a, 12b) 및 커버 요소 (50)의 두께 (52)는, 펜 낙하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커버 요소 (50)의 제1 주된 표면 (54)에서 인장 응력이 약 4000 MPa 미만 및 커버 요소 (50)의 제2 주된 표면 (56)에서 인장 응력이 약 9000 MPa 미만이도록, 모듈 (100a)의 내충격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의 관점들은 또한 이러한 전자 장치 적용들에 사용되는 종래의 접착제의 두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얇은 두께 (12a), 예를 들어, 약 5 ㎛ 내지 약 25 ㎛로 제1 접착제 (10a)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은 또한, 이러한 전자 장치 적용들에 사용되는 다른 유리-함유 커버 요소의 두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얇은 두께 (52), 예를 들어, 약 75 ㎛ 내지 약 150 ㎛, 또는 약 50 ㎛ 내지 약 150 ㎛로 커버 요소 (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제 (10a) 및 커버 요소 (50)의 이러한 모델링 및 설계에 의해, 커버 요소 (50)의 제1 주된 표면 (54)에서 인장 응력은, 약 4000 MPa 미만, 3900 MPa, 3800 MPa, 3700 MPa, 3600 MPa, 3500 MPa, 3400 MPa, 3300 MPa, 3200 MPa, 3100 MPa, 3000 MPa 이하로 감소될 수 있다. 유사하게, 커버 요소 (50)의 제2 주된 표면 (56)에서 인장 응력은, 약 12000 MPa 미만, 11000 MPa, 10000 MPa, 9000 MPa, 8000 MPa, 7500 MPa, 7000 MPa, 6500 MPa, 6000 MPa, 5500 MPa, 5000 MPa, 4500 MPa, 4000 MPa, 3500 MPa, 3000 MPa 이하로 감소될 수 있다. In a specific implementation of the display modules 100a, 100b (see FIGS. 1 a and 1 b, see), the module, upon modeling a pen drop height of 25 cm (see FIG. 2 ),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pen drop test. ,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000 MPa on the first major surface 54 of the cover element 50 and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12000 MPa on the second major surface 56 of the cover element 50 Can represent Unexpectedly, as understood through this modeling of the pen drop test, the thickness (12a, 12b) of the adhesive (10a, 10b) and the thickness (52) of the cover element (50), for the cover element in the pen drop test, Module 100a such that upon impact, the tensile stress at the first major surface 54 of the cover element 50 is less than about 4000 MPa and the tensile stress at the second major surface 56 of the cover element 50 is less than about 9000 MPa. ) Can be adjusted to further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The perspectives of the display module 100a are also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a conventional adhesive used in such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the first adhesive to a relatively thinner thickness 12a, for example from about 5 μm to about 25 μm. It may include (10a). Similarly, the display module 100a may also have a relatively thinner thickness 52, for example from about 75 μm to about 150,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other glass-containing cover elements used in such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The cover element 50 can be comprised from about 50 μm to about 150 μm. By this modeling and design of the first adhesive 10a and the cover element 50, the tensile stress at the first major surface 54 of the cover element 50 is less than about 4000 MPa, 3900 MPa, 3800 MPa, 3700 MPa, 3600 MPa, 3500 MPa, 3400 MPa, 3300 MPa, 3200 MPa, 3100 MPa, 3000 MPa or less. Similarly, the tensile stress at the second major surface 56 of the cover element 50 is less than about 12000 MPa, 11000 MPa, 10000 MPa, 9000 MPa, 8000 MPa, 7500 MPa, 7000 MPa, 6500 MPa, 6000 MPa, It can be reduced to 5500 MPa, 5000 MPa, 4500 MPa, 4000 MPa, 3500 MPa, or 3000 MPa or less.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펜 낙하 시험 장치 (200)는 도시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준-정적 압입 시험"은, 커버 요소의 주된 표면 (54, 56)에서 관찰된 응력 상태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 (도 1a 및 1b, 참조)의 내충격성을 평가하기 위해 펜 낙하 장치 (200)로 수행된다. 여기에 기재되고 언급된 바와 같은, 준-정적 압입 시험은,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 샘플이 커버 요소 (50)의 노출된 표면, 즉, 주된 표면 (54)에 전해진 60N의 일정한 하중으로 시험되도록 수행되는 준-정적 시험이다.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의 대향 면, 예를 들어, 주된 표면 (66) (도 1a 및 1b, 참조)은 알루미늄 플레이트 (400 그릿 페이퍼를 이용한 표면 거칠기로 연마된 바와 같은, 6063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지지된다. 준-정적 압입 시험에 사용된 펜은, 직경이 0.5 ㎜인 볼 포인트 팁 (212) 및 캡을 포함하여 5.7 그램의 중량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준-정적 압입 시험에 따르면, 펜은 60N의 일정한 하중으로 또는 5N에서 시작하여 파손까지 연속적으로 더 높은 하중으로, 커버 요소 (50)의 노출된 표면에 직접 적용된다. Referring again to FIG. 2, the pen drop test apparatus 200 is shown. As used herein, “semi-static indentation test” is characterized by the stress states observed at the major surfaces 54, 56 of the cover element, display modules 100a, 100b (see FIGS. 1A and 1B). It is performed with a pen dropping device 200 to evaluate the impact resistance. The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as described and mentioned herein, is tested with a constant load of 60 N pass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50, ie the main surface 54, of the display module 100a, 100b sample. It is a quasi-static test performed as much as possible. The opposing faces of the display modules 100a, 100b, e.g., the main surface 66 (see FIGS. 1A and 1B,) are attached to an aluminum plate (6063 aluminum alloy, polished to a surface roughness using 400 grit paper). Is supported by. The pen used for the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weighed 5.7 grams, including a ball point tip 212 and cap, 0.5 mm in diameter. According to the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shown in FIG. 2, the pen is applied directly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50 with a constant load of 60 N or with a continuously higher load starting at 5 N and breaking up.

유리하게는, 도 2에 도시된 펜 낙하 시험 장치로 수행된 바와 같은, 준-정적 압입 시험은, 60N의 적용된 하중에 기초하여 커버 요소 (50)의 주된 표면 (54, 56)에서 발생된 인장 응력을 평가하기 위해 FEA 기술을 사용하여 모델링된다. 본 개시의 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해 더욱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모델링을 수행하는데 특정 가정들은 만들어진다. 특히, 커버 요소 (50) 및 기판 (60)은, 71 GPa의 탄성률 및 0.22의 푸아송의 비를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더욱이, 통상적인 광학 접착제는, 제1 및 제2 접착제에 대해, 0.3GPa의 탄성률 및 0.49의 푸아송의 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된다. 준-정적 시험 모델링과 더욱 관련하여, 다음의 부가적인 가정들은 만들어진다: 펜 팁 (212)은 펜 팁 변형이 없는 강체로 모델링되고; 모듈 (100a, 100b)의 1/4 대칭 슬라이스는 사용되며; 모듈 (100a, 100b)에서 모든 인터페이스는 분석 동안, 박리 없이, 완벽하게 결합된 것으로 가정되고; 펜 낙하 시험 장치 (200)와 관련하여 언급된 알루미늄 지지판은, 강체 알루미늄판으로서 모델링되며; 모듈 (100a, 100b)과 알루미늄 지지판 사이에 마찰이 없는 접촉은 가정되며; 펜 팁 (212)이 모듈 (100a, 100b)의 커버 요소 (50)를 관통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되고; 모듈 (100a, 100b)의 요소들에 대한 선형-탄성 또는 초-탄성 물질 특성을 사용하며; 큰 변형 접근법을 사용하고; 및 시뮬레이션된 시험 동안 모듈 (100a, 100b)은 실온에 있다. Advantageously, the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as performed with the pen drop test apparatus shown in FIG. 2, is the tensile generated at the major surfaces 54, 56 of the cover element 50 based on the applied load of 60N. It is modeled using FEA technology to evaluate stress. As further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of the present disclosure, certain assumptions are made in performing this modeling. In particular, it is assumed that the cover element 50 and the substrate 60 have an elastic modulus of 71 GPa and a Poisson's ratio of 0.22. Moreover, it is assumed that the conventional optical adhesive exhibits an elastic modulus of 0.3 GPa and a Poisson's ratio of 0.49 for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In further regard to quasi-static test modeling, the following additional assumptions are made: The pen tip 212 is modeled as a rigid body without pen tip deformation; 1/4 symmetrical slices of modules 100a, 100b are used; All interfaces in modules 100a, 100b are assumed to be fully coupled during analysis, without delamination; The aluminum support plate mentioned in connection with the pen drop test apparatus 200 is modeled as a rigid aluminum plate; Friction-free contact between the modules 100a, 100b and the aluminum support plate is assumed; It is assumed that the pen tip 212 does not penetrate the cover elements 50 of the modules 100a, 100b; Use linear-elastic or super-elastic material properties for the elements of modules 100a, 100b; Using a large variant approach; And during the simulated test the modules 100a, 100b are at room temperature.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의 특정 실행들 (도 1a 및 1b, 참조)에서, 모듈은, 60N의 고정 하중으로 모델링된 것으로 (도 2 참조), 준-정적 압입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충격시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 (56)에서 약 47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상치 못하게, 준-정적 압입 시험의 이러한 모델링을 통해 이해된 바와 같이, 접착제 (10a, 10b)의 두께 (12a, 12b) 및 커버 요소 (50)의 두께 (52)는, 준-정적 압입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충격시 커버 요소 (50)의 제2 주된 표면 (56)에서 인장 응력이 약 3200 MPa 미만이도록, 모듈 (100a, 100b)의 내충격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의 관점들은 또한 이러한 전자 장치 적용들에 사용되는 종래의 접착제의 두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얇은 두께 (12a), 예를 들어, 약 5 ㎛ 내지 약 25 ㎛로 제1 접착제 (10a)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모듈 (100a)은 또한, 이러한 전자 장치 적용들에 사용되는 다른 유리-함유 커버 요소의 두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얇은 두께 (52), 예를 들어, 약 75 ㎛ 내지 약 150 ㎛, 또는 약 50 ㎛ 내지 약 150 ㎛로 커버 요소 (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제 (10a) 및 커버 요소 (50)의 이러한 모델링 및 설계에 의해, 커버 요소 (50)의 제2 주된 표면 (56)에서 인장 응력은, 약 4700 MPa 미만, 4600 MPa, 4500 MPa, 4400 MPa, 4300 MPa, 4200 MPa, 4100 MPa, 4000 MPa, 3900 MPa, 3800 MPa, 3700 MPa, 3600 MPa, 3500 MPa, 3400 MPa, 3300 MPa, 3200 MPa, 3100 MPa, 3000 MPa 이하로 감소될 수 있다. In certain implementations of the display module 100a, 100b (see FIGS. 1A and 1B, see FIG. 1 ), the module is modeled with a fixed load of 60 N (see FIG. 2 ), which covers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semi-static indentation test. It can exhibit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700 MPa at the second major surface 56 of the element. Unexpectedly, as understood through this modeling of the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the thicknesses 12a, 12b of the adhesives 10a, 10b and the thickness 52 of the cover element 50 are in the semi-static indentation test. It can be adjusted to further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modules 100a, 100b such that the tensile stress at the second major surface 56 of the cover element 50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s less than about 3200 MPa. The perspectives of the display module 100a are also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a conventional adhesive used in such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the first adhesive to a relatively thinner thickness 12a, for example from about 5 μm to about 25 μm. It may include (10a). Similarly, the display module 100a may also have a relatively thinner thickness 52, for example from about 75 μm to about 150,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other glass-containing cover elements used in such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The cover element 50 can be comprised from about 50 μm to about 150 μm. By this modeling and design of the first adhesive 10a and cover element 50, the tensile stress at the second major surface 56 of the cover element 50 is less than about 4700 MPa, 4600 MPa, 4500 MPa, 4400 MPa, 4300 MPa, 4200 MPa, 4100 MPa, 4000 MPa, 3900 MPa, 3800 MPa, 3700 MPa, 3600 MPa, 3500 MPa, 3400 MPa, 3300 MPa, 3200 MPa, 3100 MPa, 3000 MPa or less.

도 1a 및 1b를 여전히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의 커버 요소 (50)는, 본 개시의 특정 관점들에서, 제1 및/또는 제2 주된 표면 (54, 56)으로부터 커버 요소 (50)에 선택된 깊이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압축 응력 영역 (도시되지 않음)을 갖는 유리층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모듈 (100a, 100b)의 특정 관점에서, 요소 (50)의 에지들 (예를 들어, 주된 표면 (54, 56)에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로부터 선택된 깊이까지 연장되는 에지 압축 응력 영역들 (도시되지 않음)은 또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커버 요소 (50)에 함유된 압축 응력 영역 또는 영역들 (및/또는 에지 압축 응력 영역들)은, 이온-교환 ("IOX")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유리 커버 요소 (50)는, 층들 및/또는 영역들과 관련된 열팽창계수 ("CTE")의 불일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이러한 압축 응력 영역들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조정된 유리층들 및/또는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still to FIGS. 1A and 1B, the cover element 50 of the display module 100a, 100b may, from certain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over elements from the first and/or second major surface 54, 56 ( 50) may include a glass layer or component having one or more compressive stress regions (not shown) extending to a selected depth. Moreover, from a particular point of view of the modules 100a, 100b, edge compressive stress regions extending from the edges of the element 50 (eg, perpendicular or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surfaces 54, 56) to a selected depth. (Not shown) may also occur. For example, the compressive stress region or regions (and/or edge compressive stress regions) contained in the glass cover element 50 can be formed by an ion-exchange (“IOX”) process. As another embodiment, the glass cover element 50 can be used to generate one or more of these compressive stress regions through mismatches in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 associated with the layers and/or regions. And/or regions.

IOX 공정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압축 응력 영역들을 갖는 커버 요소 (50)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의 이러한 관점들에서, 압축 응력 영역(들)은, 복수의 이온-교환 가능한 금속 이온 및 다수의 이온-교환 금속 이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온-교환 금속 이온은 압축 응력 영역(들)에서 압축 응력을 생성하도록 선택된다. 압축 응력 영역(들)을 함유하는 모듈 (100a)의 몇몇 관점들에서, 이온-교환된 금속 이온은, 이온-교환 가능한 금속 이온의 원자 반경보다 큰 원자 반경을 갖는다. 이온-교환 가능한 이온 (예를 들어, Na+ 이온)은, 이온 교환 공정에 적용되기 전에, 유리 커버 요소 (50)에 존재한다. 이온-교환 이온 (예를 들어, K+ 이온)은 유리 커버 요소 (50) 내로 혼입되어 궁극적으로 압축 응력 영역(들)이 되는 요소 (50) 내에 영역(들) 내에 이온-교환 가능한 이온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다. 커버 요소 (50) 내로 이온-교환 이온, 예를 들어, K+ 이온의 혼입은, 이온-교환 이온을 함유하는 용융염 욕조 (예를 들어, 용융된 KNO3 염)에 (예를 들어, 완전한 모듈 (100a)의 형성 전에) 요소 (50)를 침지시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K+ 이온은 Na+ 이온보다 큰 원자 반경을 가지며, 예를 들어, 압축 응력 영역(들)에 어디든지 존재하는, 유리 커버 요소 (50)에 국소 압축 응력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In view of these aspects of the display module 100a, 100b with a cover element 50 having one or more compressive stress regions formed by an IOX process, the compressive stress region(s) comprises a plurality of ion-exchangeable metal ions and multiple Ion-exchange metal ions of the ion-exchange metal ions are selected to generate compressive stress in the compressive stress region(s). In some aspects of module 100a containing compressive stress region(s), the ion-exchanged metal ion has an atomic radius greater than the atomic radius of the ion-exchangeable metal ion. Ion-exchangeable ions (eg, Na + ions) are present in the glass cover element 50 before being applied to the ion exchange process. Ion-exchange ions (e.g., K + ions) are part of the ion-exchangeable ions within the region(s) within the element 50 that are incorporated into the glass cover element 50 and ultimately become compressive stress region(s) Can replace The incorporation of ion-exchange ions, e.g., K + ions, into the cover element 50 is performed in a molten salt bath (e.g., molten KNO 3 salt) containing ion-exchange ions (e.g. This can be accomplished by immersing the element 50) prior to formation of the module 100a. In this embodiment, the K + ions have a larger atomic radius than the Na + ions, and tend to generate local compressive stress in the glass cover element 50, for example, wherever present in the compressive stress region(s). have.

도 1a 및 1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에 사용된 커버 요소 (50)에 대해 사용된 이온-교환 공정 조건에 의존하여, 이온-교환 이온은, 커버 요소 (50)의 제1 주된 표면 (54)으로부터 제1 이온 교환 깊이 (도시되지 않음, "DOL")까지 전해져 이온 교환 압축의 깊이 ("DOC")를 확립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DOC는 여기에 기재된 화학적으로 강화된 알칼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물품에서 응력이 압축에서 인장으로 변화하는 깊이를 의미한다. DOC는, 이온 교환 처리에 의존하여 표면 응력계 (FSM - Orihara Industrial Co., Ltd. (일본)에서 제작된, FSM-6000과 같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기구) 또는 산란된 편광 편광기 (SCALP)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유리 물품 내로 칼륨 이온을 교환하여 유리 물품에 응력이 발생되는 경우, FSM은 DOC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나트륨 이온을 유리 물품 내로 교환하여 응력이 발생되는 경우, SCALP는 DOC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칼륨 및 나트륨 이온 모두를 유리 내로 교환하여 유리 물품에 응력이 발생되는 경우, DOC는 SCALP에 의해 측정되는데, 이는 나트륨의 교환 깊이가 DOC를 나타내고, 칼륨 이온의 교환 깊이가 압축 응력의 크기에서 변화 (그러나 압축으로부터 인장으로 응력의 변화는 아님)를 나타내는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이며; 이러한 유리 물품에서 칼륨 이온의 교환 깊이는 FSM에 의해 측정된다. (표면 CS를 포함하는) 압축 응력은 FSM에 의해 측정된다. 표면 응력 측정은, 유리의 복굴절과 관련된, 응력 광학 계수 (SOC)의 정확한 측정에 의존한다. SOC는, 결국, 명칭이 "Standard Test Method for Measurement of Glass Stress-Optical Coefficient"이고, 이의 전체적인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 병합되는, ASTM 표준 C770-16에 기재된 절차 C (Glass Disc Method)에 따라 측정된다. 유사하게, 제2 압축 응력 영역은, 제2 주된 표면 (56)으로부터 제2 이온 교환 깊이까지 요소 (50)에서 발생될 수 있다. DOL 내에 100 MPa를 훨씬 초과하는 압축 응력 수준은, 이러한 IOX 공정으로 최대 2000 MPa까지 달성될 수 있다. 커버 요소 (50) 내에 압축 응력 영역(들)에서 압축 응력 수준은, 폴더블 전자 장치 모듈 (100a)의 굽힘시 커버 요소 (50)에서 발생된 인장 응력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ion-exchange process conditions used for the cover elements 50 used in the display modules 100a, 100b shown in FIGS. 1A and 1B, the ion-exchange ions are the first major component of the cover element 50. It can be passed from surface 54 to a first ion exchange depth (not shown, “DOL”) to establish the depth of ion exchange compression (“DOC”). DOC, as used herein, refers to the depth at which stress changes from compression to tensile in the chemically strengthened alkali aluminosilicate glass article described herein. DOC relies on ion exchange treatment to a surface stressometer (a commercially available instrument, such as FSM-6000, manufactured by FSM-Orihara Industrial Co., Ltd. (Japan)) or a scattered polarizing polarizer (SCALP). It can be measured by. When stress is generated in the glass article by exchanging potassium ions into the glass article, FSM is used to measure the DOC. When stress is generated by exchanging sodium ions into a glass article, SCALP is used to measure DOC. When stress is generated in the glass article by exchanging both potassium and sodium ions into the glass, DOC is measured by SCALP, where the exchange depth of sodium represents DOC, and the exchange depth of potassium ions changes in the magnitude of compressive stress ( However, it is believed that the stress does not change from compression to tension); The depth of exchange of potassium ions in these glass articles is measured by FSM. Compressive stress (including surface CS) is measured by FSM. Surface stress measurement relies on accurate measurement of the stress optical coefficient (SOC) associated with birefringence of glass. SOC is eventually measu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C (Glass Disc Method) described in ASTM standard C770-16, the name of which is "Standard Test Method for Measurement of Glass Stress-Optical Coefficient",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do. Similarly, a second zone of compressive stress can occur in the element 50 from the second major surface 56 to the second ion exchange depth. Compressive stress levels far exceeding 100 MPa in DOL can be achieved up to 2000 MPa with this IOX process. The compressive stress level in the compressive stress region(s) in the cover element 50 may serve to counteract the tensile stress generated in the cover element 50 upon bending of the foldable electronic device module 100a.

도 1a 및 1b를 다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은, 몇몇 실행에서, 100 MPa 이상의 압축 응력에 의해 각각 한정된, 제1 및 제2 주된 표면 (54, 56)에 수직인 에지에서 커버 요소 (50)에 하나 이상의 에지 압축 응력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에지 압축 응력 영역들은, 요소 (50)의 형상 또는 형태에 의존하여, 커버 요소 (50)에서 이의 주된 표면과 별개의 이의 에지 또는 표면들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타원-형 커버 요소 (50)를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의 몇몇 실행에서, 에지 압축 응력 영역들은, 요소의 주된 표면들로부터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요소의 외부 에지로부터 내측으로 발생될 수 있다. 주된 표면 (54, 56)에 근접한 압축 응력 영역(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 것과 사실상 유사한 IOX 공정은, 이러한 에지 압축 응력 영역들을 생성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커버 요소 (50)에 임의의 이러한 에지 압축 응력 영역들은, 예를 들어, 이의 주된 표면 (54, 56)에서 커버 요소 (50)의 불-균일 굽힘 및/또는 이의 에지들 중 어느 하나를 가로지르는 커버 요소 (50) (및 모듈 (100a, 100b))에 대한 준-정적 또는 동적 충격을 통해 요소의 에지에서 발생된 인장 응력을 상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이에 부가하여,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커버 요소 (50)에 사용된 임의의 이러한 에지 압축 응력 영역들은, 모듈 (100a, 100b) 내에 요소 (50)에 또는 에지에 충격 또는 마모 사건으로부터의 악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ures 1A and 1B, display modules 100a and 100b, in some implementations, cover at edges perpendicular to first and second major surfaces 54 and 56, respectively, defined by compressive stress of 100 MPa or more, respectively. Element 50 may include one or more edge compressive stress region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se edge compressive stress regions may occur at any one of its edge or surfaces separate from its main surface in the cover element 50, depending on the shape or shape of the element 50. For example, in some implementations of display module 100a, 100b with elliptic-shaped cover element 50, the edge compressive stress regions are the outer edge of the element that is perpendicular (or substantially vertical) from the main surfaces of the element. Can be generated inwards. An IOX process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used to generate the compressive stress region(s) close to the major surfaces 54, 56 can be deployed to create these edge compressive stress regions. More specifically, any such edge compressive stress regions in the cover element 50 are, for example, non-uniform bending of the cover element 50 and/or its edges at its major surface 54, 56. It can be used to counteract the tensile stress generated at the edge of the element through quasi-static or dynamic impact on the cover element 50 (and modules 100a, 100b) across either. Optionally, or in addition, without being bound by theory, any such edge compressive stress regions used in the cover element 50 may have an impact or wear event on the element 50 or on the edge within the modules 100a, 100b. Can counteract adverse effects from

도 1a 및 1b를 다시 참조하면, 요소 (50) 내에 영역들 또는 층들의 CTE의 불일치를 통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압축 응력 영역들을 갖는 커버 요소 (50)를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의 관점들에서, 이들 압축 응력 영역은 요소 (50)의 구조에 맞추어 발생된다. 예를 들어, 요소 (50) 내에 CTE 차이는, 요소 내에 하나 이상의 압축 응력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 요소 (50)는, 요소의 주된 표면 (54, 56)에 각각 실질적으로 평행한, 클래드 영역들 또는 층들에 의해 샌드위치된 코어 영역 또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코어층은 (예를 들어, 코어 및 클래드층 또는 영역의 조성적 제어에 의해) 클래드 영역들 또는 층들의 CTE보다 큰 CTE로 조정된다. 커버 요소 (50)가 이의 제조 공정으로부터 냉각된 후, 코어 영역 또는 층과 클래드 영역들 또는 층들 사이에 CTE 차이는, 냉각시 불균일한 부피 수축 (volumetric contraction)을 일으켜서, 클래드 영역들 또는 층들 내에 주된 표면 (54, 56) 아래에 압축 응력 영역들의 발생에서 나타난 커버 요소 (50)에 잔류 응력의 발생으로 이어진다. 달리 말하면, 코어 영역 또는 층 및 클래드 영역들 또는 층들은, 고온에서 서로 밀접하게 접촉을 일으키고; 이들 층들 또는 영역들은 그 다음 낮은 CTE 클래드 영역들 (또는 층들)에 비해 높은 CTE 코어 영역 (또는 층)의 큰 부피 변화가 커버 요소 (50) 내에 클래드 영역들 또는 층들에 압축 응력 영역들을 생성하도록 저온으로 냉각된다. Referring back to FIGS. 1A and 1B, from the perspectives of display module 100a, 100b with cover element 50 having one or more compressive stress regions formed through mismatch of CTEs of regions or layers within element 50. , These compressive stress regions are created to match the structure of element 50. For example, a CTE difference in element 50 can create one or more areas of compressive stress within the element. In one embodiment, the cover element 50 may include a core region or layer sandwiched by clad regions or layers, each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main surface 54, 56 of the element. Moreover, the core layer is adjusted to a CTE greater than the CTE of the clad regions or layers (eg, by compositional control of the core and clad layer or region). After the cover element 50 has cooled from its manufacturing process, the CTE difference between the core region or layer and the clad regions or layers causes uneven volumetric contraction upon cooling, predominantly within the clad regions or layers. The occurrence of residual stresses in the cover element 50 which appeared in the occurrence of compressive stress regions under the surfaces 54, 56. In other words, the core region or layer and clad regions or lay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high temperature; These layers or regions are then cold so that a large volume change in the high CTE core region (or layer) compared to the low CTE clad regions (or layers) creates compressive stress regions in the clad regions or layers within the cover element 50. Is cooled.

CTE-발생 압축 응력 영역을 갖는 도 1a 및 1b에 도시된, 모듈 (100a, 100b)의 커버 요소 (50)를 여전히 참조하면, CTE-관련 압축 응력 영역들은, 각각, 제1 주된 표면 (54)으로부터 제1 CTE 영역 깊이까지, 제2 주된 표면 (56)으로부터 제2 CTE 영역 깊이까지 도달하고, 따라서 클래드층 또는 영역들 내에 및 각각의 주된 표면 (54, 56)과 관련된 압축 응력 영역들 각각에 대한 CTE-관련 DOLs를 확립한다. 몇몇 관점들에서, 이들 압축 응력 영역들에서 압축 응력 수준은, 150 MPa를 초과할 수 있다. 코어 영역 (또는 층)과 클래드 영역 (또는 층) 사이에 CTE 값에서 차이를 최대화하는 것은, 제조 후 요소 (50)의 냉각시 압축 응력 영역들에서 발생된 압축 응력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CTE-관련 압축 응력 영역들을 갖는 커버 요소 (50)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의 특정 실행에서, 커버 요소 (50)는, 코어 영역 두께를 클래드 영역 두께의 합으로 나눈 3 이상의 두께 비로 코어 영역 및 클래드 영역을 사용한다. 이로써, 클래드 영역의 크기 및/또는 CTE에 비해 코어 영역의 크기 및/또는 이의 CTE를 최대화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의 압축 응력 영역들에서 관찰되는 압축 응력 수준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Referring still to the cover elements 50 of the modules 100a, 100b, shown in FIGS. 1A and 1B with CTE-generated compressive stress regions, the CTE-related compressive stress regions, respectively, are the first major surface 54 From to the first CTE region depth, from the second major surface 56 to the second CTE region depth, and thus within the clad layer or regions and to each of the compressive stress regions associated with each major surface 54, 56. CTE-related DOLs are established. In some aspects, the compressive stress level in these compressive stress regions may exceed 150 MPa. Maximizing the difference in CTE value between the core region (or layer) and the clad region (or layer) can increase the magnitude of the compressive stress generated in the compressive stress regions upon cooling of the element 50 after manufacture. In certain implementations of display modules 100a, 100b with cover elements 50 having such CTE-related compressive stress regions, the cover elements 50 have a thickness of 3 or more divided by the sum of the clad region thicknesses divided by the core region thickness. The core area and the clad area are used as the ratio. Thus, maximizing the size of the clad region and/or the core region compared to the CTE and/or its CTE serves to increase the magnitude of the compressive stress level observed in the compressive stress regions of the display module 100a, 100b. can do.

다른 장점들 중에서, (예를 들어, 전술한 단락에 개요가 서술된 IOX- 또는 CTE-관련 접근법을 통해 발생된 바와 같은) 압축 응력 영역들은,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 (도 1a 및 1b, 참조)에 대한 준-정적 또는 동적 충격시 요소에 발생된 인장 응력, 특히 충격의 성질에 의존하여, 주된 표면 (54, 56) 중 하나에서 최대에 도달하는 인장 응력을 상쇄시키기 위해 커버 요소 (50) 내에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관점들에서, 압축 응력 영역은, 커버 요소 (50)의 주된 표면 (54, 56)에서 약 100 MPa 이상의 압축 응력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관점들에서, 주된 표면에서 압축 응력은, 약 600 MPa 내지 약 1000 MPa이다. 다른 관점들에서, 압축 응력은, 커버 요소 (50)에서 압축 응력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공정에 의존하여, 2000 MPa까지, 주된 표면에서 1000 MPa를 초과할 수 있다. 압축 응력은 또한 본 개시의 다른 관점들에서 요소 (50)의 주된 표면에서 약 100 MPa 내지 약 600 MPa의 범위일 수 있다. 부가적인 관점에서, 모듈 (100a, 100b)의 커버 요소 (50) 내에 압축 응력 영역 (또는 영역들)은, 약 100 MPa 내지 약 2000 MPa, 예를 들어, 약 100 MPa 내지 약 1500 MPa, 약 100 MPa 내지 약 1000 MPa, 약 100 MPa 내지 약 800 MPa, 약 100 MPa 내지 약 600 MPa, 약 100 MPa 내지 약 400 MPa, 약 100 MPa 내지 약 200 MPa, 약 200 MPa 내지 약 1500 MPa, 약 200 MPa 내지 약 1000 MPa, 약 200 MPa 내지 약 800 MPa, 약 200 MPa 내지 약 600 MPa, 약 200 MPa 내지 약 400 MPa, 약 400 MPa 내지 약 1500 MPa, 약 400 MPa 내지 약 1000 MPa, 약 400 MPa 내지 약 800 MPa, 약 400 MPa 내지 약 600 MPa, 약 600 MPa 내지 약 1500 MPa, 약 600 MPa 내지 약 1000 MPa, 약 600 MPa 내지 약 800 MPa, 약 800 MPa 내지 약 1500 MPa, 약 800 MPa 내지 약 1000 MPa, 및 약 1000 MPa 내지 약 1500 MPa의 압축 응력을 나타낼 수 있다. Among other advantages, compressive stress regions (eg, as generated through an IOX- or CTE-related approach outlin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display modules 100a, 100b (FIGS. 1A and 1B, Cover element (50) to compensate for the tensile stress reaching the maximum at one of the major surfaces (54, 56),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impact, in particular the nature of the impact upon the element upon quasi-static or dynamic impact. ). In certain aspects, the compressive stress region can include a compressive stress of at least about 100 MPa at the major surfaces 54, 56 of the cover element 50. In some aspects, the compressive stress at the main surface is between about 600 MPa and about 1000 MPa. In other respects, the compressive stress can exceed 1000 MPa at the main surface, up to 2000 MPa, depending on the process used to create compressive stress in the cover element 50. Compressive stress can also range from about 100 MPa to about 600 MPa at the major surface of element 50 in other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n additional aspect, the compressive stress region (or regions) within the cover element 50 of the modules 100a, 100b is about 100 MPa to about 2000 MPa, for example about 100 MPa to about 1500 MPa, about 100 MPa to about 1000 MPa, about 100 MPa to about 800 MPa, about 100 MPa to about 600 MPa, about 100 MPa to about 400 MPa, about 100 MPa to about 200 MPa, about 200 MPa to about 1500 MPa, about 200 MPa to About 1000 MPa, about 200 MPa to about 800 MPa, about 200 MPa to about 600 MPa, about 200 MPa to about 400 MPa, about 400 MPa to about 1500 MPa, about 400 MPa to about 1000 MPa, about 400 MPa to about 800 MPa, about 400 MPa to about 600 MPa, about 600 MPa to about 1500 MPa, about 600 MPa to about 1000 MPa, about 600 MPa to about 800 MPa, about 800 MPa to about 1500 MPa, about 800 MPa to about 1000 MPa, And about 1000 MPa to about 1500 MPa.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 (도 1a 및 1b, 참조)의 커버 요소 (50)에 사용된 이러한 압축 응력 영역 내에서, 압축 응력은, 주된 표면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선택된 깊이까지 깊이의 함수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 감소 또는 증가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압축 응력 프로파일은 압축 응력 영역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압축 응력 영역의 깊이는, 커버 요소 (50)의 주된 표면 (54, 56)으로부터 대략 15 ㎛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관점들에서, 압축 응력 영역(들)의 깊이는, 이들이 제1 및/또는 제2 주된 표면 (54, 56)으로부터 커버 요소 (50)의 두께 (52)의 대략 1/3 이하, 또는 커버 요소 (50)의 두께 (52)의 대략 20%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Within this compressive stress region used in the cover element 50 of the display modules 100a, 100b (see FIGS. 1A and 1B, see), the compressive stress is constant as a function of depth from the main surface to one or more selected depths. It can be maintained, reduced or increased. As such, various compressive stress profiles can be used in the compressive stress region. Moreover, the depth of each compressive stress region can be set to approximately 15 μm or less from the major surfaces 54 and 56 of the cover element 50. In other aspects, the depth of the compressive stress region(s) is approximately one third or less of the thickness 52 of the cover element 50 from the first and/or second major surfaces 54, 56, or It can be set to approximately 20% or less of the thickness 52 of the element 50.

도 1a 및 1b를 다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은, 제1 및/또는 제2 주된 표면 (54, 56)에서 최대 흠의 크기가 5 ㎛ 이하인 하나 이상의 압축 응력 영역들을 갖는 유리 물질을 포함하는 커버 요소 (50)를 포함할 수 있다. 최대 흠의 크기는 또한 약 2.5 ㎛ 이하, 2 ㎛ 이하, 1.5 ㎛ 이하, 0.5 ㎛ 이하, 0.4 ㎛ 이하, 또는 심지어 더 작은 흠 크기의 범위로 유지될 수 있다. 유리 커버 요소 (50)의 압축 응력 영역에서 흠 크기의 감소는,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 (도 1a, 1b 및 2, 참조)에 충격-관련 힘에 의해 인장 응력의 적용시 균열 전파에 의한 요소 (50)의 파손 경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모듈 (100a, 100b)의 몇몇 관점들은, 하나 이상의 압축 응력 영역들 사용 없이 제어된 흠 크기 분포 (예를 들어, 제1 및/또는 제2 주된 표면 (54, 56)에서 0.5 ㎛ 이하의 흠 크기)를 갖는 표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S. 1A and 1B, the display modules 100a and 100b are glass materials having one or more compressive stress areas having a maximum blemish size of 5 μm or less at the first and/or second major surfaces 54 and 56 It may include a cover element 50 comprising a. The maximum flaw size may also be maintained in a range of about 2.5 μm or less, 2 μm or less, 1.5 μm or less, 0.5 μm or less, 0.4 μm or less, or even a smaller flaw size. The reduction of the blemish size in the compressive stress region of the glass cover element 50 is due to crack propagation upon application of tensile stress by impact-related forces to the display modules 100a, 100b (see FIGS. 1a, 1b and 2,). The tendency to break the element 50 can be further reduced. Additionally, some aspects of the modules 100a, 100b may have a controlled defect size distribution (eg, 0.5 μm at the first and/or second major surface 54, 56) without the use of one or more compressive stress regions. Surface area having the following defect size).

도 1a 및 1b를 다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의 다른 실행은, 요소 (50) 내에 흠 분포를 개선하고 및/또는 흠 크기가 감소하도록 조정된 다양한 에칭 공정에 적용되는 유리 물질을 포함하는 커버 요소 (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에칭 공정은, 커버 요소 (50) 내에서 이의 주된 표면 (54, 56)에 근접하고 및/또는 이의 에지 (도시되지 않음)를 따라 흠 분포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조성물을 갖는 커버 요소 (50)의 표면을 약하게 에칭하기 위해, 약 15 부피% HF 및 15 부피% HCl을 함유하는 에칭 용액은 사용될 수 있다. 광 에칭 (light etching)의 시간 및 온도는, 커버 요소 (50)의 표면으로부터의 원하는 물질 제거의 수준 및 요소 (50)의 조성물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요소 (50)의 일부 표면은, 에칭 절차 동안 이러한 표면에 마스킹 층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 에칭되지 않은 상태로 남을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러한 광 에칭은, 커버 요소 (50)의 강도를 유리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커버 요소 (50)로서 궁극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구조물을 구획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단 또는 개별화 공정 (singulating processes)은, 요소 (50)의 표면 내에 흠들 및 기타 결함들을 남길 수 있다. 이러한 흠 및 결함들은, 적용 환경 및 용도로부터 요소 (50)를 함유하는 모듈 (100a, 100b)에 응력의 적용 동안 전파될 수 있고, 유리 파괴를 유발할 수 있다. 선택적 에칭 공정은, 요소 (50)의 하나 이상의 에지를 약간 에칭하여, 흠 및 결함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약간-에칭된 표면의 강도 및/또는 내파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광 에칭 단계는, 커버 요소 (50)의 화학적 템퍼링 (예를 들어, 이온 교환) 후에 수행될 수 있다. 화학적 템퍼링 후에 이러한 광 에칭은, 화학 템퍼링 공정 자체에 의해 도입된 임의의 흠들을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커버 요소의 강도 및/또는 내파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S. 1A and 1B, other implementations of the display modules 100a, 100b allow the glass material to be applied to various etching processes adjusted to improve defect distribution within the element 50 and/or reduce defect size. It may include a cover element 50 comprising. This etch process can be used to control the defect distribution within the cover element 50 near its main surface 54, 56 and/or along its edges (not shown). For example, to weakly etch the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50 with the glass composition, an etching solution containing about 15% by volume HF and 15% by volume HCl can be used. The time and temperature of light etching can be set, a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depending on the level of material removal from the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50 and the composition of the element 50. Some surfaces of element 50 may remain unetched using a masking layer or the like on these surfaces during the etching procedure. More specifically, such light etching can advantageously improve the strength of the cover element 50. In particular, cutting or singulating processes used to partition glass structures ultimately used as cover elements 50 may leave blemishes and other defects within the surface of the element 50. These blemishes and defects can propagate during the application of stress to the modules 100a, 100b containing the element 50 from the application environment and use, and can cause glass breakage. The selective etching process can increase the strength and/or fracture resistance of the slightly-etched surface by slightly etching one or more edges of element 50 to remove at least some of the flaws and defects.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a photo etch step can be performed after chemical tempering (eg, ion exchange) of cover element 50. This chemical etching after chemical tempering can reduce any blemishes introduced by the chemical tempering process itself, thus increasing the strength and/or fracture resistance of the cover element.

또한, 도 1a 및 1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에 사용된 커버 요소 (50)는, 전술한 강도-향상 특색들 (strength-enhancing features): (a) IOX-관련 압축 응력 영역들; (b) CTE-관련 압축 응력 영역들; 및 (c) 더 작은 결함 크기를 갖는 에칭된 표면;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강도-향상 특색들은,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의 적용 환경, 용도 및 처리와 관련된 커버 요소 (50)의 표면에서 발생된 인장 응력을 상쇄시키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상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ver element 50 used in the display modules 100a, 100b shown in FIGS. 1A and 1B includes the aforementioned strength-enhancing features: (a) IOX-related compressive stress regions. ; (b) CTE-related compressive stress regions; And (c) an etched surface with a smaller defect siz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These strength-enhancing features can be used to offset or partially offset the tensile stress generated at the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50 related to the application environment, use and processing of the display modules 100a, 100b.

몇몇 실행들에서, 도 1a 및 1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은, 최종 제품 전자 장치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인쇄회로기판, 하우징 또는 기타 특색들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은, 수많은 박막 트랜지스터 ("TFTs")를 함유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저-온 폴리실리콘 ("LTPS") 백플레인을 함유하는 LCD 또는 OLED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이 디스플레이에 사용된 경우, 예를 들어, 모듈 (100a, 100b)은, 실질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더욱이, 모듈 (100a, 100b)은,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준-정적 및 동적 충격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내충격성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행들에서, 디스플레이 모듈 (100a, 100b)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시계, 지갑 또는 팔찌에 사용된다. 여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폴더블"은, 완전한 폴딩, 부분 폴딩, 굽힘, 휨, 불연속 굽힘, 및 다중-폴딩 성능을 포함하고; 더욱이, 디스플레이가 폴딩시 장치의 외부에 있거나 또는 폴딩시 장치의 내부에 있어도, 장치는 폴딩될 수 있다. In some implementations, the display modules 100a, 100b shown in FIGS. 1A and 1B can be used in displays, printed circuit boards, housings, or other features related to the final product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display modules 100a, 100b can be used in electronic display devices containing numerous thin film transistors (“TFTs”) or LCD or OLED devices containing low-on polysilicon (“LTPS”) backplanes. . When the display modules 100a, 100b are used in a display, for example, the modules 100a, 100b may be substantially transparent. Moreover, the modules 100a, 100b can have desirable impact resistance with respect to quasi-static and dynamic impacts, as describ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In some implementations, the display modules 100a, 100b are used i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watches, wallets, or bracelets. “Foldable”, as defined herein, includes full folding, partial folding, bending, bending, discontinuous bending, and multi-folding performance; Moreover, even if the display is outside of the device when folded or inside the device when folded, the device can be folded.

실시 예 Example

본 실시 예에서, 비교 디스플레이 모듈 (비.실. 1) 및 본 개시의 관점들과 일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예를 들어, 실. 1-1 내지 1-4, 2-1 및 2-2)은, 각각의 준-정적 압입 시험 및 펜 낙하 시험에 따른 모의실험된 준-정적 및 동적 충격에 적용되는 것으로 모델링된다. 부가적으로, 실제 준-정적 압입 시험은, 샘플 중 몇몇에 대해 피크 하중 대 파손 값들을 얻기 위해 수행되어, 파손까지 실제 압입 하중의 변화를 알아본다. 이들 모델링 및 실험 측정의 결과는, 도 3a-7에 도시된다. 더욱이, 이들 차트에서 범례는, 모델링된 및/또는 시험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성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비.실. 1은, 100 ㎛의 두께를 갖는 유리 커버 요소, 100 ㎛의 두께를 갖는 PSA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접착제 및 1.1㎜의 두께를 갖는 유리 1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판으로 구성된다. 비록 기판이 1.1 ㎜의 두께로 모델링되었지만, 이는 스택에 대한 접착층의 영향을 나타내기 위해 수행된다. 기판은 1.1 ㎜의 두께를 가질 필요가 없고; 대신에, 다른 곳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기판은 1.1 ㎜ 미만의 두께, 예를 들어, 기판 (62)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경향은 여전히 1.1 ㎜ 두께의 유리 기판에서 관찰된 것과 유사할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a comparative display module (B.S. 1) and a display module (eg, S. 1-1 to 1-4, 2-1 and 2-2) consistent with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 Simulated quasi-static and dynamic impact according to each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and pen drop test. Additionally, an actual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was performed to obtain peak load versus failure values for some of the samples, looking for changes in the actual indentation load up to failure. The results of these modeling and experimental measurements are shown in Figures 3A-7. Moreover, the legend in these charts describes the configuration of the modeled and/or tested display modules. For example, B.S. 1 is composed of a glass cover element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a first adhesive comprising a PSA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and a substrate containing a glass 1 composition having a thickness of 1.1 mm. Although the substrate was modeled with a thickness of 1.1 mm, this was done to show the effect of the adhesive layer on the stack. The substrate need not have a thickness of 1.1 mm; Instead, as mentioned elsewhere, the substrate may have a thickness of less than 1.1 mm,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62, and the trend is still on a 1.1 mm thick glass substrate. It will be similar to that observed.

도 3a를 참조하면, 모델링된 준-정적 압입 시험에서 모듈에 가해지는 하중 대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의 최대 주응력의 플롯은, 본 개시의 몇몇 관점들에 따라, 60N의 피크 하중까지 제공된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약 100 ㎛의 더 큰 제1 접착제 두께를 갖는 모듈 (비.실. 1)과 비교하여, 약 15 ㎛ 내지 약 50 ㎛의 더 작은 두께를 갖는 제1 접착제를 구비한 3-층 디스플레이 모듈 (실. 1-1 내지 1-4)은,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가장 낮은 최대 주응력 수준을 보여준다. 더욱이, 3-층 디스플레이 모듈 (실. 1-1 내지 1-4)은, 5-층 디스플레이 모듈 (실. 2-1 및 2-2)에 비해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더 낮은 최대 주응력 수준을 보여준다. 부가적으로, 약간 더 두꺼운 커버 요소를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 (실. 1-4, 커버 요소 두께 = 130 ㎛)은, 약간 더 얇은 커버 요소를 갖는 비슷하게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 (실. 1-2, 커버 요소 두께 = 100 ㎛)에 비해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더 낮은 최대 주응력 수준을 보여준다. Referring to FIG. 3A, a plot of the load applied to the module in the modeled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versus the maximum principal stress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of the display module is a peak of 60N, according to som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Loads are provided. As is apparent from the figure, 3 with a first adhesive having a smaller thickness of about 15 μm to about 50 μm, compared to a module having a greater first adhesive thickness of about 100 μm (B. S. 1) -The layer display module (sil. 1-1 to 1-4) shows the lowest maximum principal stress level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Moreover, the three-layer display modules (sil. 1-1 to 1-4) have lower maximum principal stresses on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compared to the five-layer display modules (sil. 2-1 and 2-2). Shows the level Additionally, a display module with a slightly thicker cover element (sil. 1-4, cover element thickness = 130 μm), a similarly configured display module with a slightly thinner cover element (sil. 1-2, cover element thickness) = 100 μm), showing a lower maximum principal stress level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이론에 구속됨에 없이, 도 3a에 나타낸 결과를 고려하여, 감압 접착제 (PSA) 물질을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더 연질의 제1 접착제 물질은, 시험 장치의 천공 팁 아래에서 디스플레이 유리의 국소화된 굽힘을 용이하게 한다. 작은 반경의 팁 (도 2 참조, 반경 = 0.5 ㎜)은, 커버 요소의 주된 표면에 높은 인장 응력을 생성시키는 매우 국소화된 굽힘을 결과하는 경향이 있다. 굽힘 응력이 모듈의 전체 강성과 관련이 있음에 따라, 모듈의 강성을 높이면 개선된 충격 성능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민어진다. Without being bound by theory, taking into account the results shown in FIG. 3A, a relatively softer first adhesive material compris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material facilitates localized bending of the display glass under the puncture tip of the testing device. To do. Small radius tips (see FIG. 2, radius = 0.5 mm) tend to result in highly localized bending that creates high tensile stress on the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As the bending stress is related to the overall stiffness of the module, it is pushed that increasing the stiffness of the module can lead to improved impact performance.

이하, 도 3b를 참조하면, 모델링된 준-정적 압입 시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하중 대 변형의 플롯은, 도 3a의 결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이전에 사용된, 60 N의 피크 하중까지 제공된다. 더욱이, 도 3b의 하중 대 변형 곡선의 기울기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강성의 측정이다. 도 3a에서 앞서 나타낸 결과를 고려하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 높은 강성 값을 갖는 모듈은,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감소된 최대 주응력의 측면에서 더 잘 수행되는 경향이 있음이 명백하다. 달리 말하면, 준-정적 압입 시험으로부터 관찰된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최대 인장 응력은, 모듈의 강성에 반비례한다. Referring now to FIG. 3B, a plot of load versus strain for a display module applied to a modeled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is provided up to a peak load of 60 N, previously used to generate the results of FIG. 3A. . Moreover, the slope of the load versus strain curve in FIG. 3B is a measure of the stiffness of the display module. Considering the results shown above in FIG. 3A, it is clear that, as shown in FIG. 3B, modules with higher stiffness values tend to perform better in terms of reduced maximum principal stress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Do. In other words, the maximum tensile stress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observed from the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tiffness of the module.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준-정적 압입 시험으로 모델링되고, 도 3a 및 3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모듈의 일부에 대해 실험적으로-결정된 피크 파손 하중의 플롯은 제공된다. 특히, 2개의 3-층 모듈 (실. 1-2 및 1-3) 및 2개의 5-층 모듈 (실. 2-1 및 2-2)은, 파손에 대한 평균 하중을 발생시키기 위해 증가하는 적용 하중 (60 N의 일정 하중이 아님)으로 실제 준-정적 압입 시험에 적용된다. 이들 샘플들에 대해 수행된 현미경 관찰 분석 (Fractography analyses)은, 모두 이축 파손 메커니즘을 경험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도 4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3-층 디스플레이 모듈은, 5-층 디스플레이 모듈에 비해 파손에 대해 상당히 더 높은 피크 하중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이들 설계에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더 적은 양의 접착제 (즉, 3-층 모듈에 대해 하나의 접착제 및 5-층 모듈에 대해 2개의 접착제)를 고려할 때, 3-층 디스플레이 모듈이 이들의 5-층 대응 모듈보다 더 견고하다는 사실에 기인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Referring now to FIG. 4, a plot of experimentally-determined peak failure loads for some of the modules modeled in the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and schematically shown in FIGS. 3A and 3B is provided. In particular, two three-layer modules (rooms 1-2 and 1-3) and two five-layer modules (rooms 2-1 and 2-2) are increasing to generate an average load for breakage. The applied load (not a constant load of 60 N) is applied to the actual semi-static indentation test. Microscopic analysis performed on these samples (Fractography analyses), all turned out to have experienced a biaxial failure mechanism. Moreover, as is evident from the results shown in FIG. 4, the three-layer display module exhibits a significantly higher peak load for breakage than the five-layer display module. These results, given the relatively small amount of adhesive present in these designs (i.e., one adhesive for a three-layer module and two adhesives for a five-layer module), allow the three-layer display modules to It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it is more robust than its 5-layer counterpart module.

이제,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25㎝의 펜 낙하 높이를 갖는 펜 낙하 시험에서 모델링된 것으로, 충격 위치로부터의 거리 대 도 3a 및 3b에 도시된 동일한 그룹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각각의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 및 제1 주된 표면에서 최대 주응력의 플롯은 제공된다. 도 5a 및 5b로부터 일반적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인장 응력은, 25㎝의 동일한 펜 낙하 높이에 대해 제1 주된 표면에서 관찰된 인장 응력에 비해 정도가 상당히 더 크다. 이론에 구속됨이 없이,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관찰되는 더 높은 인장 응력은, 커버 요소의 국소화된 이-축 굽힘에 기인하고, 제1 주된 표면에서의 다소 낮은 인장 응력은, 펜 낙하 시험에서 펜 팁과의 헤르츠 접촉 (Hertzian contact)과 관련되는 것으로 민어진다 (도 2, 참조). Referring now to FIGS. 5A and 5B, modeled in a pen drop test with a pen drop height of 25 cm, the distance from the impact position versus the respective cover elements of each display element of the same group of display modules shown in FIGS. 3A and 3B. Plots of maximum principal stresses on the second major surface and the first major surface are provided. As generally evident from Figures 5A and 5B, the tensile stress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tensile stress observed at the first major surface for the same pen drop height of 25 cm. Without being bound by theory, the higher tensile stress observed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is due to the localized bi-axial bending of the cover element, and the somewhat lower tensile stress at the first major surface is the pen drop. The test is pushed to be related to Hertzian contact with the pen tip (see FIG. 2,).

도 5a 및 5b를 다시 참조하면, 25 cm 펜 낙하 높이로 모의실험된 펜 낙하 시험으로부터 결과한 바와 같은, 커버 요소의 제2 및 제1 주된 표면에서 인장 응력의 공간적 변화 (spatial variation)는 도시된다. 특히, 더 얇은 제1 접착제 두께 수준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 (예를 들어, 실. 1-1 내지 1-3, 약 15 내지 50 ㎛의 두께)은, 더 큰 제1 접착제 두께를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 (즉, 비.실. 1, 두께 = 100 ㎛)과 비교하여 주된 표면 모두에서 더 낮은 인장 응력을 경험한다. 더욱이, 3-층 디스플레이 모듈 (실. 1-1 내지 1-4)은, 펜 낙하 시험으로부터 결과하는 바와 같이, 5-층 디스플레이 모듈 (실. 2-1 및 2-2)과 비교하여 커버 요소의 주된 표면 모두에서 더 낮은 최대 주응력 수준을 보여준다. 부가적으로, 약간 더 두꺼운 커버 요소를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 (실. 1-4, 커버 요소 두께 = 130 ㎛)은, 약간 더 얇은 커버 요소를 갖는 비슷하게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 (실. 1-2, 커버 요소 두께 = 100 ㎛)에 비해 커버 요소의 주된 표면 모두에서 더 낮은 최대 주응력 수준을 보여준다. Referring again to Figures 5A and 5B, the spatial variation of tensile stress at the second and first major surfaces of the cover element is shown, as resulted from the pen drop test simulated with a 25 cm pen drop height. . In particular, display modules having a thinner first adhesive thickness level (e.g., yarns 1-1 to 1-3, thicknesses of about 15-50 μm) can be used for display modules having a larger first adhesive thickness (i.e. , B. sil. 1, thickness = 100 μm) experience lower tensile stress on all major surfaces. Moreover, the three-layer display modules (s. 1-1 to 1-4), as result from the pen drop test, cover elements compared to the five-layer display modules (s. 2-1 and 2-2). Shows a lower maximum principal stress level on all of the main surfaces. Additionally, a display module with a slightly thicker cover element (sil. 1-4, cover element thickness = 130 μm), a similarly configured display module with a slightly thinner cover element (sil. 1-2, cover element thickness) = 100 μm), showing a lower maximum principal stress level on all major surfaces of the cover element.

이제,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25㎝의 펜 낙하 높이로 펜 낙하 시험에서 모델링된 것으로, 충격으로부터의 시간 대 도 3a 및 3b에 도시된 동일한 그룹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각각, 최대 주응력 및 변형에 대한 플롯은 제공된다. 특히, 도 6a 및 6b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25㎝에서 펜 낙하와 관련된 이의 최대 변형을 경험할 때, 제2 주된 표면에서 관찰된 최대 인장 응력이 발생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관찰된 최대 인장 응력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체 강성의 함수이다. Referring now to Figures 6A and 6B, the second major of the cover elements for the display module of the same group shown in Figures 3A and 3B versus time from impact as modeled in a pen drop test with a pen drop height of 25 cm. On the surface, plots for maximum principal stress and strain, respectively, are provided. In particular, FIGS. 6A and 6B show that when the display module experiences its maximum deformation associated with pen drop at 25 cm, the maximum tensile stress observed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ccurs. Thus, the maximum tensile stress observed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is a function of the overall stiffness of the display module.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샘플에서 관찰된 가장 낮은 최대 주응력에 대한 각각의 이들 응력 값의 퍼센트 증가와 함께, 도 3a-3b에 도시된 동일한 그룹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최대 주응력의 막대 차트는 제공된다. 즉, 최고 성능 (즉,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가장 낮게 관찰된 최대 주응력, ~7700 MPa)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인, 실. 1-1은, 이 차트의 기준으로 역할을 한다. 특히, PSA 및 15 ㎛의 두께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최고 성능을 나타낸다. 도 7의 차트는, 접착제의 두께의 증가 (예를 들어, 비.실. 1, 두께 ~100 ㎛)가 기준 조건보다 약 59%의 인장 응력의 증가를 결과한다는 것을 더욱 보여준다. 도 7의 차트는, 또한 3-층 디스플레이 모듈 (실. 1-1 내지 1-4)이 5-층 디스플레이 모듈 (실. 2-1 및 2-2)에 비해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더 낮은 최대 주응력 수준을 나타낸다는 것을 더욱 보여준다. Referring now to FIG. 7,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of the display module of the same group shown in FIGS. 3A-3B, with a percentage increase in each of these stress values relative to the lowest maximum principal stress observed in the sample. A bar chart of maximum principal stress is provided. That is, the seal, which is a display module with the highest performance (ie, the lowest observed main stress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7700 MPa). 1-1 serves as a standard for this chart. In particular, display modules with adhesives comprising PSA and a thickness of 15 μm show the best performance. The chart of FIG. 7 further shows that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eg, B. 1, thickness ~100 μm) results in an increase in tensile stress of about 59% over the reference condition. The chart of FIG. 7 also shows that the three-layer display modules (sil. 1-1 to 1-4) are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compared to the five-layer display modules (sil. 2-1 and 2-2). It further shows that it shows a lower maximum principal stress level.

청구범위의 사상 또는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개시의 폴더블 전자 장치 모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foldable electronic device module of the present disclosur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claims.

Claims (15)

약 25 ㎛ 내지 약 200 ㎛의 두께 및 약 20 GPa 내지 약 140 GPa의 커버 요소 탄성률을 가지며, 유리 조성물, 제1 주된 표면, 및 제2 주된 표면을 갖는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하는, 커버 요소; 및
스택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상기 스택은:
(a) 약 100 ㎛ 내지 1500 ㎛의 두께 및 유리 조성물을 갖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기판, 및
(b)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 상기 스택을 연결시키고, 약 0.001 GPa 내지 약 10 GPa의 탄성률 및 약 5 ㎛ 내지 50 ㎛의 두께를 포함하는, 제1 접착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준-정적 압입 시험에서 상기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47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또는
펜 낙하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충격시 상기 커버 요소의 제1 주된 표면에서 약 4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 및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12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A cover elemen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to about 200 μm and a cover element elastic modulus of about 20 GPa to about 140 GPa, further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a glass composition, a first major surface, and a second major surface; And
A display module comprising a stack,
The stack is:
(a) a substrate comprising a componen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0 μm to 1500 μm and a glass composition, and
(b) connecting the stack to a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the first adhesive comprising a modulus of elasticity of about 0.001 GPa to about 10 GPa and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50 μm,
Here, the display module: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700 MPa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semi-static indentation test; or
One of the impact resistances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000 MPa on the first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and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12000 MPa on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pen drop test. The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ab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준-정적 압입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32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module comprises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3200 MPa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semi-static indentation tes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는, 약 5 ㎛ 내지 약 25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커버 요소는 약 50 ㎛ 내지 약 150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adhesive further comprises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about 25 μm, and the cover element further comprises a thickness of about 50 μm to about 150 μm.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는,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비닐 부티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소듐 실리케이트, 광학 투명 접착제 (OCA), 감압 접착제 (PSA), 고분자 발포체, 천연 수지, 또는 합성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he first adhesive is epoxy, urethane, acrylate, acrylic, styrene copolymer, polyisobutylene, polyvinyl butyral, ethylene vinyl acetate, sodium silicate,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polymer A display module comprising one or more of a foam, natural resin, or synthetic resin.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은:
(c) 약 25 ㎛ 내지 약 200 ㎛의 두께 및 약 20 GPa 내지 약 140 GPa의 중간층 탄성률을 가지며, 유리 조성물을 갖는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하는 중간층; 및
(d) 상기 중간층을 기판에 연결시키고, 약 0.001 GPa 내지 약 10 GPa의 탄성률 및 약 5 ㎛ 내지 약 50 ㎛의 두께를 포함하는, 제2 접착제를 더욱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he stack is:
(c) an intermediat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to about 200 μm and an interlayer elastic modulus of about 20 GPa to about 140 GPa, further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a glass composition; And
(d) a display modul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dhesive connecting the intermediate layer to the substrate and comprising a modulus of elasticity of about 0.001 GPa to about 10 GPa and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about 50 μ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준-정적 압입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42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display module comprises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200 MPa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semi-static indentation tes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착제 각각은, 약 5 ㎛ 내지 약 25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커버 요소 및 중간층 각각은, 약 75 ㎛ 내지 약 150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further includes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about 25 μm, and each of the cover element and the intermediate layer further includes a thickness of about 75 μm to about 150 μm.
청구항 5-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착제 각각은,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비닐 부티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소듐 실리케이트, 광학 투명 접착제 (OCA), 감압 접착제 (PSA), 고분자 발포체, 천연 수지, 또는 합성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7,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includes epoxy, urethane, acrylate, acrylic, styrene copolymer, polyisobutylene, polyvinyl butyral, ethylene vinyl acetate, sodium silicate,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a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 PSA), a polymer foam, a natural resin, or a synthetic resin.
청구항 5-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펜 낙하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상기 커버 요소의 제1 주된 표면에서 약 4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 및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11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8,
The display module features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000 MPa on the first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and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11000 MPa on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pen drop test. A display module including impact resistan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착제 각각은, 약 5 ㎛ 내지 약 25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커버 요소 및 중간층 각각은, 약 50 ㎛ 내지 약 150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further comprises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about 25 μm, and each of the cover element and the intermediate layer further comprises a thickness of about 50 μm to about 150 μm.
청구항 1-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펜 낙하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상기 커버 요소의 제1 주된 표면에서 약 4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 및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90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0,
The display module features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4000 MPa on the first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and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9000 MPa on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pen drop test. A display module including impact resistance.
청구항 1-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준-정적 압입 시험 동안 측정된 것으로, 약 750 N/㎜ 이상의 강성을 더욱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1,
A display module, measured during a semi-static indentation test, further comprising a stiffness of at least about 750 N/mm.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준-정적 압입 시험에서 커버 요소에 대한 충격시 상기 커버 요소의 제2 주된 표면에서 약 3200 MPa 미만의 인장 응력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준-정적 압입 시험 동안 측정된 것으로, 약 1000 N/㎜ 이상의 강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The display module includes impact resistance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ss of less than about 3200 MPa at the second major surface of the cover element upon impact to the cover element in a quasi-static indentation test, wherein the display module is quasi-static A display module, measured during an indentation test, comprising a stiffness of at least about 1000 N/mm.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는, 약 5 ㎛ 내지 약 25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커버 요소는, 약 50 ㎛ 내지 약 150 ㎛의 두께를 더욱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first adhesive further comprises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about 25 μm, and the cover element further comprises a thickness of about 50 μm to about 150 μm.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는,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비닐 부티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소듐 실리케이트, 광학 투명 접착제 (OCA), 감압 접착제 (PSA), 고분자 발포체, 천연 수지, 또는 합성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The first adhesive is epoxy, urethane, acrylate, acrylic, styrene copolymer, polyisobutylene, polyvinyl butyral, ethylene vinyl acetate, sodium silicate,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polymer A display module comprising one or more of a foam, natural resin, or synthetic resin.
KR1020207013337A 2017-10-11 2018-10-09 Display module with quasi-static and dynamic impact resistance KR2020006870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71017P 2017-10-11 2017-10-11
US62/571,017 2017-10-11
PCT/US2018/055030 WO2019074935A1 (en) 2017-10-11 2018-10-09 Display modules with quasi-static and dynamic impact resist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706A true KR20200068706A (en) 2020-06-15

Family

ID=6405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337A KR20200068706A (en) 2017-10-11 2018-10-09 Display module with quasi-static and dynamic impact resistanc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694708A1 (en)
JP (1) JP7208986B2 (en)
KR (1) KR20200068706A (en)
CN (1) CN111295282A (en)
TW (1) TWI779112B (en)
WO (1) WO201907493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3604A (en) * 2019-05-27 2019-09-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A kind of flexible cover plate of display pan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EP4020071A4 (en) 2019-08-19 2022-09-07 BOE Technology Group Co., Ltd. Foldable display screen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CN110473475B (en) * 2019-08-30 2022-0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ptical adhesive layer, stretching display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of optical adhesive layer
CN113744630B (en) * 2020-05-28 2023-06-2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Display module,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KR20230069964A (en) * 2020-09-15 2023-05-1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oldab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64471B (en) * 2001-07-16 2003-12-01 Semiconductor Energy Lab Semiconductor device and peeling off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2007171399A (en) * 2005-12-20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KR101405570B1 (en) * 2008-07-10 2014-06-10 젠텍스 코포레이션 Rearview mirror assemblies with anisotropic polymer laminates
US20130114219A1 (en) * 2011-11-08 2013-05-09 Sean Matthew Garner Opto-electronic frontplane substrate
US9785299B2 (en) * 2012-01-03 2017-10-10 Synaptics Incorporated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glass covered electronic devices
CN103474580A (en) * 2013-09-09 2013-12-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Flexible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packaging structure, method and flexible displaying device
KR102292101B1 (en) * 2014-03-18 2021-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180009197A1 (en) * 2014-11-04 2018-01-11 Corning Incorporated Bendable glass articles with alkali-free glass elements
JP6618168B2 (en) * 2015-02-13 2019-12-11 新科實業有限公司SAE Magnetics(H.K.)Ltd. Thin film piezoelectric substrate, thin film piezoelectric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746465B (en) * 2015-10-13 2021-11-21 美商康寧公司 Bendable electronic device modules,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3429970B1 (en) * 2016-03-17 2022-11-23 Corning Incorporated Bendable electronic device modules, articles and bonding methods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4935A1 (en) 2019-04-18
CN111295282A (en) 2020-06-16
JP7208986B2 (en) 2023-01-19
TW201923427A (en) 2019-06-16
EP3694708A1 (en) 2020-08-19
TWI779112B (en) 2022-10-01
JP2020536773A (en)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1828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modules with impact and bend resistance
KR102233720B1 (en) Bendable electronic device modules, articles, and bonding methods to form the same
KR20200068706A (en) Display module with quasi-static and dynamic impact resistance
KR102438786B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modules,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210206145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ssemblies and cover elements for the same
KR102470918B1 (en) Stack assembly
US20180326704A1 (en) Laminated glass article with determined modulus contrast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EP3429974A1 (en) Pre-compressed glass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