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023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023A
KR20200067023A KR1020180153878A KR20180153878A KR20200067023A KR 20200067023 A KR20200067023 A KR 20200067023A KR 1020180153878 A KR1020180153878 A KR 1020180153878A KR 20180153878 A KR20180153878 A KR 20180153878A KR 20200067023 A KR20200067023 A KR 20200067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lay panel
sliding member
slid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8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7174B1 (en
Inventor
정연재
송혜선
손혜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174B1/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5387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7174B1/en
Publication of KR2020006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0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1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comprises: a display panel having a folding area in which a display area is folded or unfolded; a sliding member moving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panel is folded or unfolded in at least part of the display panel; and a housing member having a structure for minimizing occurrence of flection in the folding area by fixing or pulling the slid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panel is unfolded.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rease flatness of the display device when the display device is unfolded.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used by folding or unfolding a display panel.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wireless terminal),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수첩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위하여 크기가 소형화되는 추세이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wireless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 electronic notebook, etc. have a trend of miniaturization in size for portability.

하지만,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문자 정보, 동영상, 정지영상, MP3, 게임 등과 같은 각종 컨텐츠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에 대해서는 대형화 또는 와이드(Wide) 화를 요구하고 있다.However, since the user wants to receive information from various contents such as text information, moving images, still images, MP3, games, etc. through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is required to be enlarged or widened. Doing.

그러나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 축소를 불러오기 때문에, 두 가지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since the miniaturization of a portable terminal causes a reduction in the size of a display screen, there is a limit in meeting both requirements.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는 벤더블(Bendable)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As a method for overcoming such limitations, development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such as a bendable display device or a foldable display device has been recently developed.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접었을 때 휴대를 간편하게 하고 펼쳤을 때 큰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폰, 울트라 모바일 피씨(Ultra-mobile PC), 전자책, 전자 신문과 같은 모바일 장비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모니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device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mobile phones, ultra-mobile PCs, e-books, and e-newspapers, as well as televisions and monitors, because it can be easily carried when folded and a large screen when unfolded. Can be.

플렉서블 표시 장치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힘과 펼침이 가능해야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능을 향상 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여러 부재들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롯해 모두 매우 얇은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랜 시간 접힘시 폴딩 영역으로 압축응력(compressive stress)과 인장응력(tensile stress)이 축적되게 된다.When a foldable display device is used as a flexible display device, the foldable display device should be able to be folded and unfolded. In order to support the display panel or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display panel, various members attached to or coupled to the display panel are all made of a very thin film form including the display panel. For this reason, when folded for a long time, the foldable display device accumulates compressive stress and tensile stress in the folding region.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적되는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은 점점 강해져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기판의 손상을 야기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Over time, the compressive stress and tensile stress that accumulate become stronger and stronger, causing damage to the display panel or the substrate and deteriorating the display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거나 펼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되는 기구물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wear of a device coupled to the display panel by moving the display panel in the process of folding or unfolding the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펼치는 과정에서 접힌 디스플레이 패널이 원 상태로 빠르게 회복하며 완전히 평면으로 펴짐을 유지하여 지속적인 폴딩과 언폴딩에 대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표시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folded display panel is quickly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in the unfolding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and can be fully flattened to maintain sufficient durability against continuous folding and unfolding, and display image It provides a display device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본 발명은 표시 영역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폴딩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또는 언폴딩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부재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를 고정시키거나 끌어 당겨 폴딩 영역의 굴곡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구조물을 구비하는 하우징 부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panel having a folding area in which a display area is folded or unfolded, and in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panel, a sliding member for moving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folding or u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panel and an u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panel And a housing member having a structure that fixes or pulls the sliding member to minimize bending of the folding area.

하우징 부재의 구조물과 슬라이딩 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 상태 시 서로 맞물려 체결되거나 서로 끼워져 결합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탄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housing member and the sliding member may maintain the flatness of the display panel in a form in which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during the u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panel or are fitt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제2 표시 영역 및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제3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제3 표시 영역에서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플렉서블 기판과,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며 플렉서블 기판의 폴딩 또는 언폴딩 상태에 따라 플렉서블 기판을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부재 및 플렉서블 기판의 언폴딩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의 일단과 서로 맞물려 체결되거나 서로 끼워져 결합되며 슬라이딩 부재를 바라보는 일단의 안쪽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자석을 가지는 하우징 부재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a second display area, and a third display area between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and folding or unfolding in the third display area, and 1 Slid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and moving the flexible substrate according to the folding or unfolding state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unfolding state of the flexible substrate or fastened or fitted with each other to see the sliding member It includes a housing member having a magnet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이를 위해 하우징 부재의 일단은 교대로 배치되는 제1 돌출부와 제1 내측부를 구비하고 슬라이딩 부재의 일단은 교대로 배치되는 제2 돌출부와 제2 내측부를 포함하며,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 시 제1 돌출부는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내측부에 수용되고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돌출부는 하우징의 제1 내측부에 수용되며 슬라이딩 부재는 자석에 의해 하우징에 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 시 디스플레이 패널이 평면으로 완전히 펴질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탄도를 개선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표시하는 이미지의 품질이 주름에 의해 왜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o this end, one end of the housing member is provided with alternately disposed first protrusions and first inner portions, and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includes alternately disposed second protrusions and second inner portions, and is provided when the foldable display panel is unfolded. One protrusion is received in the second inner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sliding member is received in the first inn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slid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housing by a magne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flatness of the display panel and suppress the quality of the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panel from being distorted by wrinkles because the display panel can be completely flat when unfolded.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결합된 슬라이딩 부재가 하우징 부재 내에서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폴딩되는 과정에서 기구물들의 마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liding member coupled with the display panel is coupled to be capable of sliding transport within the housing membe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wear of fixtures during the folding of the display panel, thereby improving product durability. Can b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결합된 슬라이딩 부재와 하우징의 일단 사이에 구조물과 체결부를 구비하여 언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평면으로 빠르게 회복될 뿐만 아니라 완전히 펴지도록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and a fastening portion between the sliding member coupled to the display panel and one end of the housing to provide a tensile force so that the display panel not only quickly recovers to a flat surface in an unfolded state but also fully unfold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 시 디스플레이 패널이 평면으로 완전히 펴질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탄도를 개선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표시하는 이미지의 품질이 주름에 의해 왜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flatness of the display panel and suppress the quality of the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panel from being distorted by wrinkles, because the display panel can be completely flat when unfolded.

본 발명은 원활한 폴딩이 이루어지면서도 언폴딩 시 디스플레이 장치가 완전히 펴지고 이를 유지할 수 있는 견고한 구조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속적인 폴딩과 언폴딩에 대하여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을 안정적으로 부드럽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urdy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fully unfolded and maintained during unfolding while smooth folding is performed.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used semi-permanently for continuous folding and unfolding, and has an effect of stably and smoothly improving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of th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folding) 시 디스플레이 패널과 기구물들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unfolding) 시 디스플레이 패널과 기구물들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물들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폴딩(in-folding) 및 아웃폴딩(out-folding)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언폴딩(unfolding)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비교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참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panel and devices are combined when folding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ion A of FIG. 2 when viewed from different angles.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lan view and part B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panel and the devices are combined when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is unfolded.
5A to 5C are views for explaining Embodiments 1 to 3 of fix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in-folding and out-folding operation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n unfolding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ed to describe a comparative example.
9 is another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 상이할 수 있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when possible to indicate the same configuration in other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known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component name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may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product part names.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와 "하/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each layer (membrane), region, pattern or structure is a substrate, each layer (membrane), region, pad or pattern "on/on" or "under/under" of the patterns. In the case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top/on" and "bottom/under" include both "directly" or "indirectly" formed through another layer. do.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When'include','have','consist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man'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as a singular number, the plural number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시 디스플레이 패널과 기구물들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 시 디스플레이 패널과 기구물들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panel and devices are combined when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is folded, and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 FIG. 4 is a plan view and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panel and devices are combined when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is unfold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나타내는 표시 영역(12)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접었다 폈다를 물리적으로 용이하게 해주는 힌지(50)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 및 수납하는 기구물들과, 디스플레이 패널(1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다양한 구성 및 기구물들을 수납 및 보호하는 케이스(9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hysically facilitates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display panel 10 and the display panel 10 having a display area 12 representing an image. Includes a hinge 90, mechanisms for supporting and storing the display panel 10, and a case 90 for storing and protecting various components and structures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10 or the display device 100 do.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폴딩된 상태에서 내측과 외측에 모두 위치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세로 폭이 가로 폭보다 큰 모바일 폰의 스크린 화면과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PC 나 TV의 스크린 화면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형상은 사각형 이외에 원형이나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폴딩 및 언폴딩 과정을 통하여 타원, 삼각형, 마름모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display panel 10 may be positioned both inside and outside in a folded state, and the display panel 10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creen screen of a mobile phone having a vertical width greater than a horizontal width. . The form of the display panel 1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in the form of a screen screen of a PC or TV. The shape of the display panel 10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in addition to a squar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ellipse, triangle, rhombus, etc. through folding and unfolding processes.

힌지(5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설정된 형상이나 폴딩된 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접히는 영역에 배치되며, 케이스(9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보호하기 위해 힌지(50)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옆면 및 배면 전체를 감싸는 구조로 일체의 형태를 가지거나 여러 형태가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hinge 50 is disposed in an area where the display panel 10 is folded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r a folded angle of the display panel 10, and the case 90 is a hinge 50 to protect the display panel 10 ) Combined with a structure surrounding the entire side and back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 10, or may be arranged in a single form or in a combination of several forms.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폴딩 각도로 폴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각도로 폴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완전히 접히거나 펼쳐질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폴딩(in-folding)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내측에 배치되도록 폴딩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웃폴딩(out-folding)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외측에 배치되도록 폴딩될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folded at various folding angles.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folded at a specific angle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Also,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completely folded or unfolde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folded to be in-folded so that the display panel 10 is disposed inside. Conversely,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folded so that the display panel 10 is disposed outside by being out-folded.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들 중 디스플레이 패널(10)과 결합되는 기구물들을 슬라이딩 부재(20) 및 하우징 부재(30)로 간략하게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부품들을 더 포함하여 다양한 구성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In FIGS. 2 to 4,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tructures coupled to the display panel 10 among the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100 are briefly illustrated as the sliding member 20 and the housing member 30, but in practice Various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by further including components for driving the display apparatus 100.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12)과 표시 영역(12)의 외곽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14)을 가지며, 폴딩축(FA)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진다. 2 and 3, the display panel 10 has a display area 12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 non-display area 14 located on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10 outside the display area 12. , It has a flexible characteristic that can bend flexibly around the folding axis (FA).

표시 영역(12)은 제1 표시 영역(121), 제2 표시 영역(122) 및 제1 표시 영역(121)과 제2 표시 영역(122) 사이의 폴딩축(FA)에 대응하여 폴딩이 가능한 영역인 제3 표시 영역(123)으로 구분 지을 수 있다. 폴딩축(FA)은 폴딩으로 인하여 설정 곡률을 가지고 폴딩 영역인 제3 표시 영역(123)의 중심을 가상의 선으로 표시한다.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폴딩됨에 있어 설정된 폴딩 축(FA)에서 정확하게 어떠한 각도를 갖도록 접히는 것이 아니라, 설정된 곡률을 가지고 폴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폴딩축(FA)을 기준으로 폴딩 영역은 제3 표시 영역(123)과 같이 일정한 영역으로 위치할 수 있다. The display area 12 can be folded in response to the first display area 121, the second display area 122, and the folding axis FA between the first display area 121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22. It may be divided into a third display area 123 which is an area. The folding axis FA displays a center of the third display area 123 as a virtual line with a set curvature due to folding. Since the display panel 10 is not folded to have a certain angle at the folding axis FA set when the display panel 10 is folded, folding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folding axis FA because folding may be performed with a set curvature. The display area 123 may be positioned as a constant area.

제1 표시 영역(121)과 제2 표시 영역(122)은 서로 동일할 크기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하나가 넓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접힘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갖는 표시 영역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며, 외부로 노출된 표시 영역의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프시에도 날짜, 시간, 배터리 잔량, 알림 등이 계속 표시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region 121 and the second display region 122 may have the same size as each oth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ny one of them may have a wide size. In this case, in the folded state of the display panel 10, a part of the display area having a relatively wide siz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part of the display area exposed to the outside is date and time even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turned off. , Battery level, notifications, etc. may be continuously displayed.

본 발명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중간 부분에서 접을 수 있는 구조인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전 부분이 자유롭게 폴딩될 수 있는 구조일 수도 있다. 제1 표시 영역(121), 제2 표시 영역(122) 및 제3 표시 영역(123)에서는 화상이 끊김 없이 구현된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display panel 10 is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in the middle part is exemplified, but the display panel 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ll parts can be folded freely. In the first display area 121, the second display area 122, and the third display area 123, images are seamlessly implemented.

비표시 영역(14)에는 신호선의 연장선과, 연장선과 회로부재(80)가 연결되는 본딩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회로부재(8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회로 패턴이 구비된 회로 기판과 회로 기판에 실장된 집적회로 칩(IC 칩; 미도시)을 포함한다. In the non-display area 14, an extension line of the signal line and a bonding area to which the extension line and the circuit member 80 are connected may be provided. The circuit member 80 is for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10, and includes a circuit board provided with a circuit pattern and an integrated circuit chip (IC chip; not shown)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

회로 기판은 집적회로가 실장되는 메인 기판과, 메인 기판과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연결하는 연결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기판은 그 자체가 휘거나 접히기 어려운 형태인 경질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이 적용되거나 가요성을 가지는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이 적용될 수 있다. 연결 기판은 배선 패턴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마련된 것으로, 그 자체로 휘거나 접힐 수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기판으로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가 적용될 수 있으며, 필름에 칩이 실장된 COF(Chip On Film)가 적용될 수도 있다. 집적회로 칩은 디스플레이 패널(10) 위에 COP (Chip On Panel) 방식으로 실장 될 수도 있다.The circuit board may include a main board on which an integrated circuit is mounted, and a connecting board connecting the main board and the display panel 10. The main board may be a rigid printed circuit board (PCB), which itself is difficult to bend or fold,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having flexibility. The connection substrate is provided in a single layer or multi-layer wiring pattern, and is preferably in a form that can be bent or folded by itself.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may be applied as a connection substrate, and a chip-on-film (COF) chip may be mounted on the film. The integrated circuit chip may be mounted on the display panel 10 in a COP (Chip On Panel) method.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플렉서블 기판(102), 백 플레이트(104) 및 지지 부재(106)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폴딩을 용이하게 하거나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부재들(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10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102, a back plate 104 and a support member 106. The display panel 1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members (not shown) for facilitating or supporting and fixing the folding of the display panel 10.

플렉서블 기판(102)은 표시 영역(12)이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접히는 베이스층 상에 영상을 나타내기 위한 소자층들로 TFT 소자층과 발광 소자층들을 가지며 터치 센싱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터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베이스층은 기초 소재(base film)에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이 양면으로 처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기초 소재의 경우, PI(Polyimide), PC(Polycarboni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의 다양한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 코팅은 기초 소재에서 서로 대향하는 면에 수행되며,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기막 또는 무기막이 이용될 수 있다.The flexible substrate 102 is a device layer for displaying an image on a base layer in which the display area 12 is folded inward or outward. The flexible substrate 102 includes a TFT device layer and a light emitting device layer, and includes a touch assembly for enabling touch sensing. do. The base lay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barrier coating is treated on both sides of a base film. In the case of the base material, it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aterials such as PI (Polyimide), PC (Polycarbonite), PET (Polyethyleneterephtalate), PES (Polyethersulfone), PEN (Polythylenenaphthalate), FRP (Fiber Reinforced Plastic). In addition, the barrier coating is performed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the base material, and an organic film or an inorganic film may be used to maintain flexibility.

발광 소자층의 일 예로서 액정표시 소자(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 소자(PlasmaDisplay Panel), 전계방출표시 소자(Field Emission Display), 전기발광표시 소자(Electroluminescence Display), 일렉트로 크로믹 디스플레이 소자(electrochromic display) 유기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중의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로 설명한다. OLED는 자발광 소자로서,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OLED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층과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된 TFT 소자층은 인캡슐레이션층에 의해 밀봉된다. 인캡슐레이션층은 외부 산소 및 수분이 소자층들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층을 적층하여 사용하고 내충격성을 보완하기 위한 유기층을 개재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layer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panel,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an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display) One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at can maintain display performance even if it is curved like paper. OLED is a self-luminous element, and since it does not require a backlight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form a light and thin body. The light emitting element layer made of such an OLED and the TFT element layer on which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s formed are sealed by an encapsulation layer. In order to prevent external oxygen and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device layers, the encapsulation layer may be used by laminating an inorganic layer and interposing an organic layer to compensate for impact resistance.

제1 표시 영역(121), 제2 표시 영역(122) 및 제3 표시 영역(123)은 플렉서블 기판(102)의 폴딩 상태 시 바깥쪽 폴딩 또는 안쪽 폴딩에 대응하여 바깥측 또는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area 121, the second display area 122, and the third display area 123 may be positioned outside or inside corresponding to the outer or inner folding in the folding state of the flexible substrate 102. have.

백플레이트(104)는 플렉서블 기판(102)의 크기에 대응하며 플렉서블 기판(102)의 배면에 배치되어 플렉서블 기판(102)을 지지한다. 백플레이트 (104)의 전체 크기는 플렉서블 기판(102)의 폴딩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인 제3 표시 영역(123)에서 이격 또는 분리되는 제1 백플레이트 및 제2 백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ack plate 104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flexible substrate 102 and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102 to support the flexible substrate 102. The overall size of the back plate 104 may be formed of a first back plate and a second back plate that are separated from or separated from the third display region 123 which 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reg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102.

지지 부재(106)는 플렉서블 기판(102) 및 백플레이트(104)의 배면에 위치하여 접착층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 부재(106)는 플렉서블 기판(102)을 지지함과 동시에 플렉서블 기판(102)의 접힘과 펼침이 용이해지도록 한다. 지지 부재(30)는 미드 프레임으로 명명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는 플렉서블 기판(10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는 강성을 유지하고 플렉서블 기판(102)의 지지를 위한 금속 박판과, 플렉서블 기판(102)의 폴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금속 패턴층 및 금속 패턴층의 패턴들 사이를 충진하는 유기물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106 is loc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102 and the back plate 104 and can be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 through an adhesive layer. The support member 106 supports the flexible substrate 102 and facilitates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flexible substrate 102. The support member 30 may be referred to as a mid frame. The support member 30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lexible substrate 102. The support member 30 maintains rigidity and a thin metal plate for supporting the flexible substrate 102 and an organic material layer filling between the metal pattern layer and the patterns of the metal pattern layer to facilitate folding of the flexible substrate 102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제1 표시 영역(121)의 배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하고 이동을 가능케 하는 슬라이딩 부재(20)가 하우징 부재(30)의 제1 하우징(31)에 수납된 형태로 배치된다. A form in which the sliding member 20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10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121 of the display panel 10 and allowing movement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31 of the housing member 30 Is placed as

슬라이딩 부재(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폴딩 시 폴딩축(FA)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제1 하우징(31)의 일단에서 멀어지고 연결부재(35)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언폴딩 시 제1 하우징(31)의 일단과 가까워지고 연결부재(3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언폴딩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20)는 제1 하우징(31)과 체결된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 부재(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제1 표시 영역(121)을 지지하는 바디부(22)와, 슬라이딩 부재(20)의 슬라이딩이 가능케 하도록 바디부(22)의 양 측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부(24) 및 하우징 부재와 체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고정시키는 체결부(21)를 포함한다. When the display member 100 is folded, the sliding member 20 moves away from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31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lding axis FA, and move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connection member 35 and the display device When unfolding (100), it moves closer to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31) and moves away from the connecting member (35). In the u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sliding member 20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using 31 is fastened. To this end, the sliding member 20 includes body parts 22 supporting the first display area 121 of the display panel 10 and both side parts of the body part 22 to allow sliding of the sliding member 20. It includes a sliding portion 24 and a fastening portion 21 that is fastened to the housing member to fix the display panel 10.

슬라이딩 부재(20)의 바디부(22)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제1 표시 영역(121)의 배면에서 판 형상으로 배치된다. 바디부(22)의 양 측부에는 슬라이딩부(24)가 슬라이딩 부재(20)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한다. 슬라이딩부(24)는 슬라이딩 부재(20)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제1 하우징(31)의 내부에 수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폴딩 또는 언폴딩 상태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20)가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부재(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폴딩 또는 언폴딩 상태로의 변화에 따라 연결부재(35)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변하는 길이에 대응하여 이동한다.The body portion 22 of the sliding member 20 is disposed in a plate shape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121 of the display panel 10.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22, the sliding portion 24 is loc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member 20 or the display panel 10. The sliding part 24 is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housing 3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member 20 so that the sliding member 20 reciprocates according to the folding or u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panel 10. Can move. At this time, the sliding member 20 moves in response to a changing lengt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5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folding or u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panel 10.

슬라이딩 부재(20)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제1 하우징(31)의 일단을 바라보는 바디부(22)의 일단면에는 제1 하우징(31)과 체결되는 체결부(21)가 위치한다. 체결부(21)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A fastening part fastened to the first housing 31 on one end surface of the body part 22 facing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3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member 20 or the display panel 10 21 is located. The fastening portion 21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체결부(21)는 제1 하우징(31)의 일단을 바라보는 바디부(22)의 일측면에 제2 돌출부(216) 및 제2 내측부(218)로 이루어진다.The fastening portion 21 is made of a second protrusion 216 and a second inner portion 218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22 looking at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31.

제2 돌출부(216)와 제2 내측부(218)는 제1 하우징(31)의 양쪽 가이드부(314) 사이에서 제1 하우징(31)의 일단부분에 맞물려 체결되거나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배치된다. 제2 돌출부(216)와 제2 내측부(218)는 제1 하우징(31)의 일단 안쪽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일단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2 돌출부(216)는 복수개이고 제2 내측부(218)도 복수개가 배치된다.The second protrusion 216 and the second inner portion 218 are arrang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engaged or fastened by engaging one end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31 between both guide portions 314 of the first housing 31. do. The second protrusion 216 and the second inner portion 218 are dispos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display panel 10 from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31. The second protrusion 216 is plural and the second inner portion 218 is plural.

제2 돌출부(216)는 제2 내측부(218)로부터 소정의 폭을 가지고 제1 하우징(31)의 일단을 향하여 제2 내측부(218)보다 더 돌출되는 형태이다. 제2 돌출부(216)를 기준으로 제2 내측부(218)는 제1 돌출부(316)보다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일단 방향으로 더 들어가는 형태이다. 제2 돌출부(216)는 제2 내측부(218)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제2 내측부(218)는 제2 돌출부(216)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제2 돌출부(216)와 제2 내측부(218)는 교대로 배치된다. The second protrusion 216 has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second inner portion 218 and protrudes more than the second inner portion 218 toward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31. The second inner portion 218 based on the second protrusion 216 has a predetermined depth than the first protrusion 316 and enters more in one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10. The second protrusion 216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with the second inner portion 218 therebetween, and the second inner portion 218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rotrusion 216 with the second protrusion 216 therebetween. The inner portions 218 are alternately arranged.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언폴딩 시 하우징 부재(31)의 구조물과 슬라이딩 부재(20)의 제2 돌출부(216)와 제2 내츨부(318)가 서로 맞물려 체결되거나 서로 끼워져 결합되므로 폴딩 반복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발생할 수 있는 굴곡을 방지할 수 있고 장시간이 지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폴딩 및 언폴딩 시 슬라이딩 부재(20)의 이동에 의한 마찰 생성으로 슬라이딩 스트레스가 인가되고 슬라이딩으로 인해 장시간 사용시 기구물들의 마모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기구물들이 서로 맞물려 체결되거나 서로 끼워지므로 스트레스가 적어 기구물의 마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When the display panel 10 is unfolded,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member 31 and the second protrusion 216 and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318 of the sliding member 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fastened or fitt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bending that may occur in the display panel 10 and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display panel 10 even after a long time passes. During folding and unfolding, sliding stress is applied due to friction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sliding member 20, and wear of the instruments may occur during long periods of use due to sliding. Wear can be reduced to a minimum.

하우징 부재(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폴딩 및 언폴딩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슬라이드 부재(20)를 지지 및 수납하며, 한 쌍의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 및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 사이에서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과 결합되는 연결부재(35)를 포함한다. The housing member 30 supports and accommodates the display panel 10 and the slide member 20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10 according to the folding and u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panel 10, and a pair of agents The first housing 31 and the second housing 32 and the connecting member 35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31 and the second housing 32 between the first housing 31 and the second housing 32 Includes.

하우징 부재(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 및 수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 일부, 상면의 비표시 영역(14) 일부 및 배면을 커버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과 결합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배면의 연결부재(35)가 위치하는 부분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접히는 방향을 따라서 하우징 부재(30)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과 하면을 커버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접히는 과정에서 하우징 부재(30)가 연결부재(35)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폴딩 영역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housing member 30 is coupled with the display panel 10 to cover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 a portion of the non-display area 14 of the upper surface, and a back surface to support and receive the display panel 10.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ing member 35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 is positioned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housing member 30 does not cover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 10 along the folding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10. have. This is to prevent the housing member 30 from interfering with the connecting member 35 or the folding area of the display panel 10 in the process of folding the display panel 10.

하우징 부재(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제1 표시 영역(121) 및 제1 표시 영역(121)에 대응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거나 내측에 수용하는 제1 하우징(31)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제2 표시 영역(122) 및 제2 표시 영역(122)에 대응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제2 하우징(32)을 포함한다.The housing member 30 includes a first housing 31 and a display panel 10 that support or accommodate various par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121 and the first display area 121 of the display panel 10. ) And a second housing 32 supporting or accommodating various part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122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22.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폴딩과 언폴딩이 이루어지는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에 배치되며 폴딩과 언폴딩이 이루어지는 영역인 제3 표시 영역(123)에는 연결부재(35)가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폴딩과 언폴딩이 가능해진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가하는 외부 힘에 의하여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의 경계에 위치하는 연결부재(35)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펴짐으로써, 폴딩(folding)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우징(31)의 타단은 연결부재(35)와 결합되며 제2 하우징(32)의 일단은 연결부재(35)와 결합되어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이 가능해진다. The first housing 31 and the second housing 32 are disposed in one area and the other area wher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display panel 10 are performed, and the third display area 123 which is an area where folding and unfolding is performed is provided. The connecting member 35 is disposed to enabl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display panel 10. The display device 100 is folded or unfolded based on a connecting member 35 position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housing 31 and the second housing 32 by an external force exerted by the user, thereby folding operation It can be done. The other end of the first housing 31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35 and one end of the second housing 32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35 to enable in-folding or out-folding.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폴딩축(FA)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31)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제1 표시 영역(121)을 지지 및 수납하도록 결합되며, 제2 하우징(32)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표시 영역(122)을 지지 및 고정하도록 결합되므로 제1 하우징(31)과 다른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 부재(30)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제2 하우징(32)과 제1 하우징(31)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하우징 부재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이 좌우 또는 상하 이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이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31 and the second housing 32 may be arrang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olding axis FA of the display panel 10. The first housing 31 is coupled to support and receive at least the first display area 121 of the display panel 10 so that the display panel 10 can be moved, and the second housing 32 comprises 2 It is combined to support and fix the display area 122, so it has a different shape from the first housing 3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ousing 32 and the first housing 31 are described as having different shapes by allow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10 to move relative to the housing member 30, but the housing member is displayed. The first housing 31 and the second housing 32 may have the same shape to enable the panel to be horizontally or vertically.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은 연결부재(35)의 폴딩 또는 언폴딩 동작에 따라서 폴딩 회전 각도만큼 움직이면서, 언폴딩시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받치고, 폴딩시에는 제1 하우징(31)에 공간을 형성하여 슬라이딩 부재(20)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폴딩 또는 언폴딩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 또는 슬라이딩 부재(20)와 하우징 부재(30)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대적 길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하우징(31)의 타단은 연결부재(35)를 중심에 두고 제2 하우징(32)의 일단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31 and the second housing 32 move by a folding rotation angle according to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5, while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10 when unfolding, and the first housing when folding. A space is formed in the housing 31 so that the sliding member 20 and the display panel 10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folding or u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panel 10, the display panel 10 or the sliding member 20 and the housing member 30 may correspond to a change in relative length, which causes the display panel 10 to be damaged. Can be prevented. The other end of the first housing 31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connecting member 35 is centered and one end of the second housing 32 faces each other.

도 3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31)은 상면이 편평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형태와 유사한 형상의 플레이트부(312)와 슬라이딩 부재(20)의 수납 및 슬라이딩 부재(20)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부(314)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31)은 플레이트부(312)의 일단부 및 상면에서 슬라이딩 부재(20)와 체결되는 구조의 제1 돌출부 및 제1 내측부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housing 31 has a flat upper surface and storage of the plate portion 312 and the sliding member 20 having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display panel 10 and the sliding member 20 and the display panel It includes a guide portion 314 to enable the movement of (10). The first housing 31 further includes a first protruding portion and a first inner portion having a structure that engages with the sliding member 20 at one end and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312.

플레이트부(312)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폴딩축(FA)과 수직인 방향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장변 방향으로 긴 플레이트 형상이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제1 표시 영역(121)에 대응하도록 연결부재(35)의 일측에 위치한다. 플레이트부(312)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적어도 제1 표시 영역(121)과 슬라이딩 부재(20)를 지지한다.The plate portion 312 has a long plate shap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lding axis FA of the display panel 10 or a long side of the display panel 10 and corresponds to the first display area 121 of the display panel 10. So that i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35). The plate portion 312 supports at least the first display area 121 and the sliding member 20 of the display panel 10.

가이드부(314)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폴딩축(FA)과 수직인 방향의 플레이트부(312)의 양 옆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 방향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슬라이딩 부재(20)의 수납이 가능한 형태를 갖는다. 가이드부(314)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슬라이딩 부재(20)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폴딩축(FA)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31)의 양 측면에 위치한다. 폴딩축(FA)과 수직인 방향은 슬라이딩 부재(2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과 동일하다.The guide portion 314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10 or at both sides of the plate portion 31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lding axis FA of the display panel 10. The display panel 10 and the sliding member 20 has a form that can be stored. The guide portion 314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ousing 31 so that the display panel 10 and the sliding member 20 ar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lding axis FA of the display panel 10.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lding axis FA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ing member 20 slides.

가이드부(314)는 슬라이딩 부재(10)의 적어도 양 측부가 수납되도록 또는 슬라이딩 부재(10)의 적어도 양 측부를 커버 가능하도록 또는 슬라이딩 부재(10)의 양 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제1 하우징(31)의 내부에 위치하며 슬라이딩 부재(20)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가이드부(314)는 슬라이딩 부재(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가이드부(314)는 제1 하우징(31) 내에서 슬라이딩 부재(20)가 충분히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부재(20)의 슬라이딩 방향의 길이보다 크다. 가이드부(314)는 제1 하우징(31)의 제1 돌출부(316)로부터 시작하여 연결부재(35)의 일단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314 is the first housing 31 so as to cover at least both sides of the sliding member 10, or to cover at least both sides of the sliding member 10, or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sliding member 10 ) And is disposed at the edge of the sliding member 20. The guide portions 314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a sliding member 20 therebetween. The guide portion 314 i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sliding member 20 in the sliding direction so that the sliding member 20 is sufficiently movable within the first housing 31. The guide portion 314 may be disposed starting from the first protrusion 316 of the first housing 31 and extending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5.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부재(20)와 체결되는 제1 하우징(31)의 구조물에서 제1 하우징(31)의 구조물의 에지에 제1 돌출부(316)가 배치되는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제1 하우징(31)의 구조물 에지에 제1 내측부(318)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314)는 제1 하우징(31)의 제1 내측부(318)로부터 시작하여 연결부재(35)의 일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using 31 is described as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protrusion 316 is disposed at the edge of the structure of the first housing 31 in the structure of the first housing 31 that is fastened to the sliding member 20. ), the first inner portion 318 may be disposed at the edge of the structure. At this time, the guide portion 314 may start from the first inner portion 318 of the first housing 31 and exten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5.

가이드부(314)는 제1 하우징(31)의 구조물부터 연결부재(35)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위치까지 이어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31)의 일단에 인접한 가이드부(314)의 일단은 제1 하우징(31)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제1 돌출부(316)의 돌출면 또는 제1 내측부(318)의 측면과 단차 없이 일치할 수 있다.The guide part 314 may be disposed in a form extending from the structure of the first housing 31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ng member 35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314 adjacent to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31 has a step difference with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316 or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inner portion 318 dispos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31. Can match without.

제1 돌출부(316)와 제1 내측부(318)는 제1 하우징(31)의 양쪽 가이드부(314) 사이에서 슬라이딩 부재(20)의 일측면과 맞물려 체결되거나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배치된다. 제1 돌출부(316)와 제1 내측부(318)는 연결부재(35)측의 반대측 플레이트부(312)의 일측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거나 별도의 기구물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제1 돌출부(316)와 제1 내측부(318)는 제1 하우징(31)의 일단 안쪽에 슬라이딩 부재(20)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바라보는 형태로 슬라이딩 부재(20)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일단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1 돌출부(316)는 복수개이고 제1 내측부(318)도 복수개가 배치된다.The first protruding portion 316 and the first inner portion 318 are dispos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engaged or engaged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20 between both guide portions 314 of the first housing 31. . The first protrusion 316 and the first inner portion 318 are integrally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plate portion 31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35 in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or a separate mechanism is coupled. The first protrusion 316 and the first inner portion 318 have a sliding member 20 and a display panel 10 in a form of looking at the sliding member 20 and the display panel 10 inside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31. ).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316 and a plurality of first inner portions 318 are also disposed.

제1 돌출부(316)는 제1 내측부(318)로부터 소정의 폭을 가지고 슬라이딩 부재(20)를 향하여 제1 내측부(318)보다 더 돌출되는 형태이다. 제1 돌출부(316)를 기준으로 제1 내측부(318)는 제1 하우징(31)의 측부 안쪽에서 제1 돌출부(316)보다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제1 하우징(31)의 일단 방향으로 더 들어가는 형태이다. 제1 돌출부(316)는 제1 내측부(318)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제1 내측부(318)는 제1 돌출부(316)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제1 돌출부(316) 각각과 제1 내측부(318) 각각은 서로 교번하도록 배치된다. The first protrusion 316 has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first inner portion 318 and protrudes more toward the sliding member 20 than the first inner portion 318. The first inner portion 318 based on the first protrusion 316 has a predetermined depth than the first protrusion 316 from the inside of the side of the first housing 31 and further enters one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31. Form. The first protrusion 316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ner portion 318, and the first inner portion 318 is spaced from each of the first protrusions 316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316. Each of the inner portions 318 is arranged to alternate with each other.

제1 돌출부(316)는 슬라이딩 부재(20)의 제2 내측부(218)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제1 하우징(31)의 제1 내측부(318)는 슬라이딩 부재(20)의 제2 돌출부(216)에 대응되도록 위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언폴딩 시 하우징 부재(30)의 제1 돌출부(316)는 슬라이딩 부재(20)의 제2 내측부(218)에 수용되고 슬라이딩 부재(20)의 제2 돌출부(216)는 하우징 부재(30)의 제1 내측부(318)에 수용되어 하우징 부재(30)와 슬라이딩 부재(20)가 서로 맞물려 체결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평탄한 상태로 고정된다. The first protrusion 316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inner portion 218 of the sliding member 20, and the first inner portion 318 of the first housing 31 is the second protrusion 216 of the sliding member 20. It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As shown in FIG. 4, when the display panel 10 is unfolded, the first protrusion 316 of the housing member 30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inner portion 218 of the sliding member 20 and the sliding member 20 is The second protrusion 216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inner portion 318 of the housing member 30 so that the housing member 30 and the sliding member 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fasten the display panel 10 in a flat state.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언폴딩 시 하우징 부재(30)의 구조물인 제1 돌출부(316)와 제1 내측부(318)와 슬라이딩 부재(20)의 제2 돌출부(216)과 제2 내츨부(318)가 서로 맞물려 체결되거나 서로 끼워져 결합되므로 폴딩 반복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발생할 수 있는 굴곡을 방지할 수 있고 장시간이 지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폴딩 및 언폴딩 시 슬라이딩 부재(20)의 이동에 의한 마찰 생성으로 슬라이딩 스트레스가 인가될 수 있고 슬라이딩으로 인해 장시간 사용시 기구물들의 마모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기구물들이 서로 맞물려 체결되거나 서로 끼워지므로 스트레스가 적어 기구물의 마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When the display panel 10 is unfolded, the first protrusion 316 which is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member 30, the first inner portion 318, and the second protrusion 216 and the second protrusion 318 of the sliding member 20 )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fastened or fitted with each other to prevent bending of the display panel 10 due to folding, and deformation of the display panel 10 even after a long period of time. When folding and unfolding, sliding stress may be applied due to friction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sliding member 20, and wear of the instruments may occur during long-term use due to sliding. It can reduce the wear of the equipment to a minimum.

제1 하우징(31)의 일단 안쪽에서 슬라이딩 부재(20)와 체결되는 구조는 자성체(70)를 가진다. 자성체(70)로는 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자석은 영구자석일 수 있다. 자성체(70)는 슬라이딩 부재(20)의 일단에 대향하여 슬라이딩 부재(20)를 끌어당기는 인력이 작용하도록 제1 하우징(31)의 제1 내측부(318)에 배치된다. 제1 돌출부(316)와 제1 내측부(318)는 메탈로 이루어진다.The structure that is fastened with the sliding member 20 at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31 has a magnetic body 70. A magnet may be used as the magnetic body 70. The magnet can be a permanent magnet. The magnetic body 70 is disposed on the first inner portion 318 of the first housing 31 so that an attractive force pulling the sliding member 20 opposite to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20 acts. The first protrusion 316 and the first inner portion 318 are made of metal.

제1 하우징(31)의 자성체(70)의 인력은 폴딩 상태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언폴딩 상태로 복원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20)를 잡아당김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평탄도를 빠르게 회복 또는 확보하거나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제1 하우징(31)의 자성체(70)는 슬라이딩 부재(20)가 제1 하우징(31)의 제1 돌출부(316) 및 제1 내측부(318)와 체결될 때 미세한 움직임을 없애고 그 체결된 상태를 고정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폴딩 영역에서의 굴곡 발생을 최소화하고 수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평탄도가 확보된다. When the display panel 10 in the folded state is restored to the unfolded state, the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ic body 70 of the first housing 31 is as shown in FIG. 4 by pulling the sliding member 20 as shown in FIG. 4. ) To quickly recover or secure the flatness or to keep it flat. In addition, the magnetic body 70 of the first housing 31 eliminates minute movements when the sliding member 20 is engaged with the first protrusion 316 and the first inner portion 318 of the first housing 31 and the fastened member The state can be kept fix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bending in the folding area of the display panel 10 and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thereby securing the flatness of the display panel 10.

또한, 하우징 부재(30)와 슬라이딩 부재(20)의 체결 구조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자성체(70)는 움직임에 따른 마찰 발생을 방지하므로 서로 맞닿는 부분의 마모 및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평탄화 제어가 용이해진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장시간 사용에도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평탄도를 빠르게 회복 및 유지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시인성도 확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housing member 30 and the sliding member 20 and the magnetic body 70 disposed therebetween prevents friction due to movement, thereby minimizing abrasion and stress in part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isplay panel ( The flattening control of 10) becomes easy. In this way,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recover and maintain the flatness of the display panel 10 even after a long period of use, thereby ensuring visibility of the display panel 10.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70)는 슬라이딩 부재(20)의 제2 돌출부(216)를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 부재(30)의 제1 내측부(318)에 배치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로부터 이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자성체(7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의 강도가 약할 경우 하우징 부재(30)의 제1 내측부(318) 및 제1 돌출부(316)에 배치될 수 있다. 반대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70)는 하우징 부재(30)의 제1 돌출부(316)를 수용할 수 있는 슬라이딩 부재(20)의 제2 내측부(218)에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A, when the magnetic body 70 is disposed on the first inner portion 318 of the housing member 30 that can accommodate the second protrusion 216 of the sliding member 20, the display panel 10 )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the display panel 10. The magnetic body 7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inner portion 318 and the first protrusion 316 of the housing member 30 when the strength of the magnet is weak, as shown in FIG. 5B. Conversely, as shown in FIG. 5C, the magnetic body 7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inner portion 218 of the sliding member 20 that can accommodate the first protrusion 316 of the housing member 30.

자성체(70)는 하우징 부재(30)의 구조물이나 슬라이딩 부재(2)의 체결부의 구조에 따라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크기 또는 슬라이딩 부재(20)의 가로와 세로 비율 및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성체(70)의 강도는 단위면적 당 강도 조절 또는 크기 조절로 제어가 가능한데, 본 발명에서의 자성체(7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폴딩은 유연하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언폴딩 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평탄도가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다. 자성체(70)의 강도 또는 개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내의 재료, 예를 들어 필름이나 접착층 등을 고려하여 제어될 수 있다.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70 may be dispos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member 30 or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2, the size of the display panel 10 or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atio and size of the sliding member 20 It may vary.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body 70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intensity or size per unit area.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body 70 is flexible in folding of the display panel 10, but is flexible when the display panel 10 is unfolded. The flatness of (10) has a strength that can be quickly recovered. The strength or number of the magnetic body 70 may be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a material in the display panel 10, for example, a film or an adhesive layer.

한편, 사용자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해지는 외부 힘은 자성체(70)와 슬라이딩 부재(20) 또는 자성체(70)와 하우징 부재(30) 사이의 인력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자성체(70)와 슬라이딩 부재(20) 또는 자성체(70)와 하우징 부재(30)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여도 사용자는 원하는 각도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접거나 펼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100 by the user may be greater than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magnetic body 70 and the sliding member 20 or the magnetic body 70 and the housing member 30. Accordingly, even when an attraction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magnetic body 70 and the sliding member 20 or the magnetic body 70 and the housing member 30, the user can fold or unfold the display device 100 at a desired angle.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하우징(32)은 연결부재(35)의 타측에 배치되는데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배면에 배치된다. 제2 하우징(32)은 제1 하우징(31)과 달리 슬라이딩 부재(20)와 같은 기구물을 수납하는 형태가 아닌 판 형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제2 표시 영역(122)을 고정 및 지지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언폴딩 시 제2 하우징(32)의 일단은 연결부재(35)를 사이에 두고 제1 하우징(31)의 타단을 마주보도록 배치된다.2 and 4, the second housing 32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35 and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 to support the display panel 10. Unlike the first housing 31, the second housing 32 secures and supports the second display area 122 of the display panel 10 in a plate shape, not in a form for accommodating a mechanism such as a sliding member 20. . When the display panel 10 is unfolded, one end of the second housing 32 is disposed to face the other end of the first housing 31 with the connecting member 35 therebetween.

연결부재(35)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힌지(50)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폴딩 및 언폴딩을 가능하게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재(3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폴딩 및 언폴딩을 제어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폴딩과 언폴딩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배치된다. 연결부재(35)는 제3 표시 영역(123)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배면에 배치된다. 연결부재(35)는 제1 하우징(31)의 타단과 제2 하우징(32)의 일단과 결합하여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을 기구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결부재(35)에는 연결부재(35)의 구성품을 고정 또는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품들이 결합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35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hinge 50 of the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1 to enabl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Referring to FIG. 2, the connecting member 35 is disposed at a portion wher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display panel 10 is performed so as to control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display panel 10. The connecting member 35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 in correspondence to the third display area 123. The connection member 35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ousing 31 and one end of the second housing 32 to mechanically connect the first housing 31 and the second housing 32. Although not shown, parts that serve to fix or couple the components of the connecting member 35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35.

연결부재(35)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폴딩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슬라이딩 부재(20)는 함께 움직인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제2 표시 영역(122)이 제2 하우징(32)에 의해 고정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제1 표시 영역(121)과 제3 표시 영역(123)이 움직인다. When the display panel 10 is folded by the connecting member 35, the display panel 10 and the sliding member 20 move together.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display area 122 of the display panel 10 is fixed by the second housing 32, the first display area 121 and the third display area 123 of the display panel 10 move.

이하에서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언폴딩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folding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and an unfolding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do.

한편, 도 6a 내지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및 언폴딩 시 슬라이딩 부재(20)와 제1 하우징의 체결되는 부분의 단면을 간략히 도시하였으나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in FIGS. 6A to 7,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ross-section of a fastening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20 and the first housing during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display device is briefly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인폴딩 및 아웃폴딩 시 연결부재(35)의 폴딩으로 인해 변화된 길이만큼 슬라이딩 부재(20)와 슬라이딩 부재(20)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딩 부재(20)는 하우징 부재(30)의 자석(70)으로부터 떨어져 하우징 부재(30)의 일단에서 멀어지고 연결부재(35)의 일단에 가까워지도록 이동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시 슬라이딩 부재(20)는 하우징 부재(30)의 변형되는 전체 길이의 변화에 대응하여 연결부재(35)를 향하여 이동된다.6A and 6B, a display panel fixed to the sliding member 20 and the sliding member 20 by a changed length due to folding of the connecting member 35 during in-folding and out-folding of the display panel 10 ( 10) This moves. At this time, the sliding member 20 is moved away from the magnet 70 of the housing member 30 away from one end of the housing member 30 and closer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5. During folding of the display panel, the sliding member 20 is moved toward the connecting member 35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entire length of the housing member 30 that is deformed.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인폴딩 시 슬라이딩 부재(20)는 거리 d1만큼 이동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아웃폴딩 시 슬라이딩 부재(20)는 거리 d2만큼 이동된다. 거리 d1과 거리 d2는 다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슬라이딩 부재(20)의 타단이 연결부재(35)의 일단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슬라이딩 부재(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폴딩 각도에 따라 연결부재(35)의 일단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완전히 폴딩된 상태라도 설계 변경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20)는 연결부재(35)의 일단까지 이동되거나 연결부재(35)의 일단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When infolding the display panel 10, the sliding member 20 moves by a distance d1, and when outfolding the display panel 10, the sliding member 20 moves by a distance d2. Distance d1 and distance d2 may be different. In the drawing,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member 20 is shown to move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5, but the sliding member 20 has a predetermined one and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5 according to the folding angle of the display panel 10. It can be moved to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distance. In addition, even when the display panel 10 is completely folded, the sliding member 20 may be mov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5 or mov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5 according to a design change. .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언폴딩 시 연결부재(35)의 언폴딩으로 인해 변화된 길이만큼 슬라이딩 부재(20)와 슬라이딩 부재(20)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딩 부재(20)는 하우징 부재(30)의 자석(70)에 접착되도록 연결부재(35)의 일단에서 멀어져 이동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언폴딩 시 슬라이딩 부재(20)는 하우징 부재(30)의 변형되는 전체 길이의 변화에 대응하여 자석(70)를 향하여 이동된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display panel 10 is unfolded, the sliding member 20 and the display panel 10 fixed to the sliding member 20 move by a length changed due to unfolding of the connecting member 35. . At this time, the sliding member 20 is moved away from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5 to be adhered to the magnet 70 of the housing member 30. When the display panel 10 is unfolded, the sliding member 20 moves toward the magnet 70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entire length of the housing member 30 that is deformed.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언폴딩 시 슬라이딩 부재(20)의 타단은 연결부재(35)로부터 거리 d3만큼 이격되며 자석(70)에 접착된다. 거리 d3은 슬라이딩 부재(20)의 타단과 연결부재(35)의 일단 사이의 이격된 거리이므로 슬라이딩 부재(20)가 폴딩 시 이동하는 거리인 d1 또는 거리 d2와 다를 수 있다.When the display panel 10 is unfolded,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member 20 is spaced a distance d3 from the connecting member 35 and is adhered to the magnet 70. Since the distance d3 is a spaced distance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member 20 and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5, the sliding member 20 may be different from the distance d1 or distance d2 that is moved when folding.

도 8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언폴딩 시 슬라이딩 기구(2)가 케이스(3)와 체결되어 고정되지 못하므로 폴딩 부분(5)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7)에 주름(waviness)이 발생되어 이미지 품질을 저하시킨다. Referring to FIG. 8, in the general foldable display device 1, when the foldable display device 1 is unfolded, the sliding mechanism 2 cannot be fixed by being fastened to the case 3, so that the folder of the folding part 5 The waviness is generated in the blank display panel 7 to degrade image quality.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슬라이딩 부재(20)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배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마주 바라보는 곳의 자석(70)에 의해 빠른 탄성 복원력을 가진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언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 주변의 기구물들의 마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sliding member 20 is suppor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 a fast elastic restoring force by the magnet 70 facing each other Have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slidable in the unfolding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10,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wear of objects around the display panel 10,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석(70)의 인력에 의하여 영구적인 홀딩 포스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 부재(20)의 일단과 하우징 부재(30)의 일단이 서로 맞물려 체결되고 자석에 의해 고정 홀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판면이 굴곡과 같은 주름 없이 플랫하게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표시하는 이미지의 품질이 주름에 의해 왜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permanent holding force by the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20 and one end of the housing member 3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fixed and held by a magnet, so that the plat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 is formed flat without wrinkles such as bending, and thus the display panel 10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quality of the image indicated by) from being distorted by wrinkle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원활한 폴딩이 이루어지면서도 언폴딩 시 디스플레이 장치가 완전히 펴지고 이를 유지할 수 있는 견고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폴딩과 언폴딩에 대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표시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 folding and unfolding durability can be secured by providing a sturdy structure capable of fully unfolding and maintaining the display device during unfolding while smooth folding is performed, and a display image can be secured. To improve the quality.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 PC, TV,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전자 장비에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a tablet PC, a TV, and a smartphon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영역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폴딩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또는 언폴딩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부재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를 고정시키거나 끌어 당겨 폴딩 영역의 굴곡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구조물을 구비하는 하우징 부재를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having a folding area in which a display area is folded or unfolded, and a sliding member that moves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folding or u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panel in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panel And a housing member having a structure that fixes or pulls the sliding member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display panel to minimize bending of the folding area.

하우징 부재의 구조물과 슬라이딩 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 상태 시 서로 맞물려 체결되거나 서로 끼워져 결합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탄도를 유지시킨다.The structure of the housing member and the sliding member maintain the flatness of the display panel in a form in which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during the u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panel or are fitted with each other.

하우징 부재의 구조물은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면을 마주보는 안쪽 측부에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복수의 제1 내측부를 가지며 복수의 제1 돌출부와 복수의 제1 내측부는 각각이 교대로 배치되고, 슬라이딩 부재는 하우징 부재의 구조물을 마주보는 일측면에 복수의 제2 돌출부 및 복수의 제2 내측부를 가지며 복수의 제2 돌출부와 복수의 제2 내측부는 각각이 교대로 배치되며, 하우징 부재의 제1 돌출부는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내측부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하우징 부재의 제1 내측부는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 시 하우징 부재의 구조물과 슬라이딩 부재가 서로 맞물려 체결된다.The structure of the hous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first inner parts on an inner side facing one side of the sliding member, and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first inner part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the slid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second inner parts on one side facing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member,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inner part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the first protrusion of the housing member It is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ner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and the first inner portion of the housing member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sliding member,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member and the sliding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display panel is unfolded.

하우징 부재의 구조물은 자성을 가진다.The structure of the housing member is magnetic.

구조물의 자성을 가진 영역은 하우징 부재의 제1 내측부 또는 제1 돌출부에 위치한다. The magnetic region of the structure is located in the first inner portion or the first protrusion of the housing member.

슬라이딩 부재와 하우징 부재의 구조물은 메탈로 이루어지며, 구조물의 적어도 제1 내측부에는 자석이 부착된다.The structures of the sliding member and the housing member are made of metal, and a magnet is attached to at least the first inner portion of the structure.

하우징 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또는 언폴딩으로의 상태 변화 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단부가 하우징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부재를 수납하며 구조물을 가지는 제1 하우징, 및 연결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제1 하우징과 이격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타단부를 지지 또는 고정시키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한다.The housing member accommodates the sliding member so that at least one end of the display panel is movable relative to the housing member when the display panel changes to folding or unfolding, the first housing having a structure, and the first housing with a connecting member therebetween. And a second housing spaced apart from and supporting or fixing at least the other end of the display panel.

하우징 부재의 구조물은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하우징 부재의 일단 안쪽 측면에 위치하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또는 언폴딩 상태로의 변화에 따라 연결 부재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변하는 길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부재가 이동한다.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member is located on one inner side of the housing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liding member, and corresponds to a changing lengt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folding or u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panel. The sliding member mov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제2 표시 영역 및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제3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제3 표시 영역에서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플렉서블 기판과,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며 플렉서블 기판의 폴딩 또는 언폴딩 상태에 따라 플렉서블 기판을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부재 및 플렉서블 기판의 언폴딩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의 일단과 서로 맞물려 체결되거나 서로 끼워져 결합되며 슬라이딩 부재를 바라보는 일단의 안쪽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자석을 가지는 하우징 부재를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area, a second display area, and a third display area between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and is folded or unfolded in the third display area. The flexible substrate, the slid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nd moving the flexible substrate according to the folding or unfolding state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the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in the unfolding state of the flexible substrat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fastened or fitted to each other and sliding. And a housing member having a magnet on at least a portion of one end of the inner side facing the member.

플렉서블 기판의 제1, 제2 및 제3 표시 영역은 플렉서블 기판의 폴딩 상태 시 아웃폴딩 또는 인폴딩에 대응하여 바깥측 또는 안쪽에 위치한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play areas of the flexible substrate are positioned outside or inside corresponding to outfolding or infolding in the folding state of the flexible substrate.

플렉서블 기판의 폴딩 또는 언폴딩 시 하우징 부재의 변형되는 전체 길이의 변화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부재가 플렉서블 기판의 폴딩 축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하다.When folding or unfolding the flexible substrate, the sliding member moves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lding axis of the flexible substrate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overall length of the housing member.

슬라이딩 부재는, 제1 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바디부와,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바디부의 양 측부의 슬라이딩부, 및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의 자석 근처의 바디부의 일측면의 체결부를 포함하며, 체결부는 금속일 수 있다.The sliding member includes a body part supporting the first display area, sliding parts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member, and on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near the magne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It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the fastening portion may be a metal.

하우징 부재는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부재를 수납하는 제1 하우징과, 제3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연결 부재, 및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2 표시 영역의 플렉서블 기판을 고정 또는 지지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플렉서블 기판의 언폴딩 상태에서 연결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제1 하우징과 수평으로 이격되며, 플렉서블 기판의 폴딩 상태에서는 서로 마주본다. The housing member includes a first housing that accommodates the sliding member so that the sliding member is slidable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 connect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third display area, and a second member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A second housing for fixing or supporting the flexible substrate of the display area,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being horizontally spaced from the first housing with a connecting member therebetween in an unfolded state of the flexible substrate, In the folded state, they face each other.

제1 하우징은, 슬라이딩 부재를 지지하는 플레이트부와,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플레이트부의 양 옆면에서 슬라이딩 부재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딩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인 플레이트의 일측면에서 슬라이딩 부재쪽 방향으로 연장되며 슬라이딩 부재의 체결부를 바라보는 안쪽 일측면에 제1 돌출부와 제1 내측부를 포함하며, 제1 돌출부와 제1 내측부는 제1 하우징의 일단의 안쪽 일측면에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The first housing includes a plate portion supporting a sliding member, a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plate portion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toward the sliding member to guide the sliding portion, and sliding on one side of the plate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It extend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member and includes a first protrusion and a first inner portion on one inner side facing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and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irst inner portion are alternately arranged on one inner side of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do.

슬라이드 부재의 체결부는 하우징 부재의 안쪽 일측면을 바라보는 일단부에 교대로 배치되는 제2 돌출부 및 제2 내측부를 포함하며, 하우징 부재의 제1 돌출부는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내측부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하우징 부재의 제1 내측부는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위치한다.The fastening part of the slide member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and a second inner part which are alternately arranged at one end facing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member, and the first protrusion of the housing member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inner part of the sliding member, The first inner portion of the housing member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sliding member.

자석은 제1 내측부 또는 제2 내측부에 배치되거나, 자석은 제1 돌출부 및 제1 내측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다.The magnet is disposed on the first inner portion or the second inner portion, or the magnet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irst inner portion.

제1 하우징의 가이드부는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부 및 슬라이딩부와 연결되는 바디부의 상면 일부가 삽입되는 구조이며, 최외곽에 위치하는 제1 돌출부의 돌출면은 제1 돌출부 근처의 가이드부의 일단과 단차 없이 일치하고, 가이드부는 제1 돌출부의 돌출면에서 연결 부재까지 계속 이어지거나 제1 돌출부의 돌출면에서 연결 부재와 소정의 거리를 두는 위치까지 이어질 수 있다.The guide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is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and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sliding portion is inserted, and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located at the outermost portion is without a step with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near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Matching, the guide portion may continue from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to the connecting member or may extend from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to a posi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necting member.

플렉서블 기판의 언폴딩 시 제1 돌출부는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내측부에 수용되고 제2 돌출부는 제1 하우징의 제1 내측부에 수용된다.When the flexible substrate is unfolded, the first protrusion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inner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received in the first inn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플렉서블 기판의 폴딩을 용이하게 되도록 플렉서블 기판과 슬라이딩 부재 또는 하우징 부재 사이의 플렉서블 기판의 배면에 배치되는 미드 프레임 및 제2 표시 영역에 연결되어 플렉서블 기판의 소자들을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 부재를 더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mid frame and a second display area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between the flexible substrate and the sliding member or the housing member so as to facilitate folding of the flexible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flexible substrate. A driving circuit member for driving the elements of the flexible substrate is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접힌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를 구성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펼쳐진 상태에서 비평탄화 표면을 최소화하도록 마그네틱(magnetic) 힘을 통해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를 끌어 당기거나 풀도록 구성되고 하우징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Th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ldable display panel constituting a folded or unfolded state, a housing accommodating the foldable display panel, and a magnetic force to minimize an uneven surface in the unfolded state. It is configured to pull or release the edge of the foldable display panel and includes a slideable mechanism within the housing.

하우징은, 일단의 안쪽 측면에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와 제1 돌출부보다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내측으로 들어간 제1 내측부를 포함하며, 제1 돌출부와 제1 내측부는 하우징의 일단의 안쪽 일측면에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facing the foldable display panel on one inner side of the one end, and a first inner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ward than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and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and the first inner portion They are alternately arranged on one inner side of one end of the housing.

슬라이드는 슬라이드 부재와 하우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슬라이드 부재는 하우징의 안쪽 측면을 바라보는 일단부에 교대로 배치되는 제2 돌출부 및 제2 내측부를 포함하며, 하우징의 제1 돌출부는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내측부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하우징의 제1 내측부는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위치한다.The slide is made through the slide member and the housing. The slide member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and a second inner part which are alternately disposed at one end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first protrusion of the housing is the second inner part of the sliding member. The first inner portion of the housing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sliding member.

마그네틱은 제1 돌출부 및 제1 내측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다.The magnetic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irst inner por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 시 제1 돌출부는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내측부에 수용되고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돌출부는 하우징의 제1 내측부에 수용되며 슬라이딩 부재는 자석에 의해 하우징에 부착된다.When the foldable display panel is unfolded, the first protrusion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inner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sliding member is received in the first inn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slid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housing by a magnet.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0 : 디스플레이 패널 12 : 표시 영역
20 : 슬라이딩 부재 30 : 하우징 부재
31: 제1 하우징 32: 제2 하우징
35: 연결부재 70: 자성체
216 : 제2 돌출부 218 : 제2 내측부
316 : 제1 돌출부 318: 제1 내측부
100: display device
10: display panel 12: display area
20: sliding member 30: housing member
31: first housing 32: second housing
35: connecting member 70: magnetic material
216: second protrusion 218: second inner portion
316: first protrusion 318: first inner portion

Claims (20)

표시 영역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폴딩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또는 언폴딩 상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고정시키거나 끌어 당겨 상기 폴딩 영역의 굴곡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구조물을 구비하는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panel having a folding area in which the display area is folded or unfolded;
A sliding member that moves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folding or u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panel in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panel;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housing member having a structure that fixes or pulls the sliding member in an unfolded state of the display panel to minimize bending of the folding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의 구조물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 상태 시 서로 맞물려 체결되거나 서로 끼워져 결합되는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탄도를 유지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device that maintains the flatness of the display panel in a form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member and the sliding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during the u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panel or are fitted with each oth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의 구조물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면을 마주보는 안쪽 측부에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복수의 제1 내측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1 내측부는 각각이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구조물을 마주보는 상기 일측면에 복수의 제2 돌출부 및 복수의 제2 내측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내측부는 각각이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부재의 제1 돌출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내측부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 부재의 제1 내측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 시 상기 하우징 부재의 구조물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서로 맞물려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first inner parts on an inner side facing one side of the sliding member, and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first inner parts are alternately arranged. Become,
The slid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second inner parts on one side facing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member,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inner parts are alternately arranged,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of the housing member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inner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and the first inner portion of the housing member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so that the housing member when unfolding the display panel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sliding member is engaged with each other and fasten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의 구조물은 자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member has a magnetic display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자성을 가진 영역은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제1 내측부 또는 상기 제1 돌출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 display device having a magnetic region of the structure is located in the first inner portion or the first protrusion of the housing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하우징 부재의 구조물은 메탈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조물의 적어도 제1 내측부에는 자석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tructure of the sliding member and the housing member is made of metal,
A display device with a magnet attached to at least a first inner portion of th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또는 언폴딩으로의 상태 변화 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수납하며 상기 구조물을 가지는 제1 하우징, 및
연결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이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타단부를 지지 또는 고정시키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member includes a first housing having the structure and receiving the sliding member so that at least one end of the display panel is movable relative to the housing member when a state changes to folding or unfolding of the display panel,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hous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using with a connecting member therebetween and supporting or fixing at least the other end of the display pane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의 구조물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부재의 일단 안쪽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또는 언폴딩 상태로의 변화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변하는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member is located on one inner side of the housing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ing member,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sliding member moves in response to a changing lengt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folding or u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panel.
제1 표시 영역,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제3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표시 영역에서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폴딩 또는 언폴딩 상태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언폴딩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단과 서로 맞물려 체결되거나 서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바라보는 일단의 안쪽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자석을 가지는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a second display area, and a third display area between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and being folded or unfolded in the third display area;
A slid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nd moving the flexible substrate according to a folding or unfolding state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housing member having a magnet on at least a portion of an inner side surface of one end of the flexible member that is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fastened or interleaved with each other and facing the sliding memb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상기 제1, 제2 및 제3 표시 영역은 플렉서블 기판의 폴딩 상태 시 아웃폴딩 또는 인폴딩에 대응하여 바깥측 또는 안쪽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display devic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play areas of the flexible substrate is positioned outside or inside in response to outfolding or infolding when the flexible substrate is fold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폴딩 또는 언폴딩 시 상기 하우징 부재의 변형되는 전체 길이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폴딩 축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sliding member moves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lding axis of the flexible substrate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entire length of the housing member that is deformed when folding or unfolding the flexible substra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바디부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상기 바디부의 양 측부의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의 상기 자석 근처의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의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금속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liding member,
A body part supporting the first display area,
Slid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member, and
It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of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near the magne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The fastening portion is a metal display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수납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3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고정 또는 지지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언폴딩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수평으로 이격되며,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폴딩 상태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housing member
A first housing accommodating the sliding member so that the sliding member is slidable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 connect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third display area, and
And a second housing fixing or supporting the flexible substrate of the second display area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horizontally spaced from the first housing with the connecting member therebetween in the unfolding state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display devices facing each other in the folding state of the flexible substrat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지지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상기 플레이트부의 양 옆면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인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쪽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체결부를 바라보는 안쪽 일측면에 제1 돌출부와 제1 내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내측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의 안쪽 일측면에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housing,
A plate part supporting the sliding member,
A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plate portion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toward the sliding member to guide the sliding portion, and
It includes a first protrusion and a first inner portion on an inner side surfac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plate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toward the sliding member and facing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irst inner portion are alternately disposed on one inner side of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체결부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안쪽 일측면을 바라보는 일단부에 교대로 배치되는 제2 돌출부 및 제2 내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부재의 제1 돌출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내측부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 부재의 제1 내측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slide member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and a second inner portion which are alternately arranged at one end facing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member,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of the housing member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inner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and the first inner portion of the housing member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sliding memb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제1 내측부 또는 상기 제2 내측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magnet is a display device disposed on the first inner portion or the second inner portion.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내측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magnet is a display devic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irst inner por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가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와 연결되는 상기 바디부의 상면 일부가 삽입되는 구조이며,
최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돌출부의 돌출면은 상기 제1 돌출부 근처의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과 단차 없이 일치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상기 돌출면에서 상기 연결 부재까지 계속 이어지거나 상기 제1 돌출부의 상기 돌출면에서 상기 연결 부재와 소정의 거리를 두는 위치까지 이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guide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is a structure in which a sliding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and a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sliding portion are inserted,
The protrusion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coincides without a step with one end of the guide part near the first protrusion,
The guide unit continues to extend from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to the connecting member, or a display device extending from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to a posi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necting memb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언폴딩 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내측부에 수용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내측부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When unfolding the flexible substrate, the first protrusion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inner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and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sliding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inn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폴딩을 용이하게 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 또는 하우징 부재 사이의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배면에 배치되는 미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소자들을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flexible substrate;
A mid fram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between the flexible substrate and the sliding member or the housing member to facilitate folding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And a driving circuit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display area to drive elements of the flexible substrate.
KR1020180153878A 2018-12-03 Display Device KR1026671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878A KR102667174B1 (en) 2018-12-03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878A KR102667174B1 (en) 2018-12-03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023A true KR20200067023A (en) 2020-06-11
KR102667174B1 KR102667174B1 (en) 2024-05-17

Family

I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7757A (en) * 2020-12-14 2022-06-14 乐金显示有限公司 Foldable display device
KR20220154040A (en) 2021-05-12 2022-11-21 한국과학기술원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ing variable adhesive layer
WO2022255725A1 (en) * 2021-06-03 2022-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agnets
KR102492937B1 (en) * 2022-02-06 2023-01-30 주식회사 아이피엘랩스 Hinge apparatus for foldable device
KR20230075774A (en) 2021-11-23 2023-05-31 한국과학기술원 Wrinkle removal apparatus for flexible display
KR20230122301A (en) 2022-02-14 2023-08-22 한국과학기술원 Wrinkle reduction apparatus for flexible display by using layer structur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7757A (en) * 2020-12-14 2022-06-14 乐金显示有限公司 Foldable display device
CN114627757B (en) * 2020-12-14 2024-03-08 乐金显示有限公司 Foldable display device
KR20220154040A (en) 2021-05-12 2022-11-21 한국과학기술원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ing variable adhesive layer
WO2022255725A1 (en) * 2021-06-03 2022-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agnets
KR20230075774A (en) 2021-11-23 2023-05-31 한국과학기술원 Wrinkle removal apparatus for flexible display
KR102492937B1 (en) * 2022-02-06 2023-01-30 주식회사 아이피엘랩스 Hinge apparatus for foldable device
KR20230122301A (en) 2022-02-14 2023-08-22 한국과학기술원 Wrinkle reduction apparatus for flexible display by using layer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515B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10485116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0558242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9173287B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9164547B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9348450B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102587879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1119534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9285835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2185249B (en) Display device
KR20150105138A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JP6937876B2 (en) Display device
EP3128507B1 (en) Dual-display device and wearable equipment
KR20200062568A (en) Display device
CN114596775A (en) Display device
CN114495708A (en) Display device
KR102667174B1 (en) Display Device
KR20200067023A (en) Display Device
US20230403924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40042315A (en) Display device
CN115482723A (en) Display device
GB2621228A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14203030A (en) Display device
KR20200059586A (en) Foldabl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