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501A - 전자 장치 및 그의 와이파이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의 와이파이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501A
KR20200057501A KR1020180141991A KR20180141991A KR20200057501A KR 20200057501 A KR20200057501 A KR 20200057501A KR 1020180141991 A KR1020180141991 A KR 1020180141991A KR 20180141991 A KR20180141991 A KR 20180141991A KR 20200057501 A KR20200057501 A KR 20200057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nnection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9948B1 (ko
Inventor
앙킷 다누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1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948B1/ko
Priority to PCT/KR2019/013212 priority patent/WO2020101178A1/en
Priority to CN201980075353.9A priority patent/CN113016212A/zh
Priority to EP19202947.8A priority patent/EP3654170B1/en
Priority to US16/654,693 priority patent/US10952075B2/en
Publication of KR20200057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G10L17/24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the user being prompted to utter a password or a predefined phr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04W12/55Secure pairing of devices involving three or more devices, e.g. group pai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음성 비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통신부 및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면, 외부 전자 장치의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면, 전자 장치에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와이파이 연결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WiFi CONNECTING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와이파이 연결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 비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와이파이 연결 방법에 대한 것이다.
근래에는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인공 지능 시스템이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인공 지능 시스템은 기존의 룰(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똑똑해지는 시스템이다. 인공 지능 시스템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룰 기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딥러닝 기반 인공 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인공 지능 기술은 기계학습(예로, 딥러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기계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기술은 딥러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
현재 인공지능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근래에는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특히,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는 음성 비서(voice assistant)(또는, 음성 비서 서비스(voice assistant service))가 제공되고 있다.
한편, 전자 장치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의 연결을 위해,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전자 장치에 입력하는 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기억하고 있지 못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이 제한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가령, 대형 TV와 같이 큰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의 경우, 패스워드 입력에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보다 손쉬운 방식으로 전자 장치를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 음성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와이파이 연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비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는 통신부 및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획득된 사용자 음성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특정 영역의 비트 값이 제1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된 상기 인증 정보를 발화할 것을 요청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된 상기 인증 정보를 발화할 것을 요청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특정 영역의 비트 값이 제2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획득된 사용자 음성이 인증 정보를 발화한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인증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된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는 핀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 패스워드 및 시큐리티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비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연결 방법은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획득된 사용자 음성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수신되면,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특정 영역의 비트 값이 제1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파이 연결 방법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된 상기 인증 정보를 발화할 것을 요청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수신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된 상기 인증 정보를 발화할 것을 요청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특정 영역의 비트 값이 제2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획득된 사용자 음성이 인증 정보를 발화한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인증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된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는 핀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 패스워드 및 시큐리티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음성을 통해 전자 장치를 보다 손쉽게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비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파이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부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비서(voice assistant)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서는 전자 장치(100)를 스피커(또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스피커)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고,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TV,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 게임 콘솔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및 웨어러블 장치 등과 같이 다양한 타입의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음성 비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음성은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미도시)를 구비한 다른 전자 장치 가령,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미도시) 등에서 획득한 사용자 음성을 해당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사용자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음성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음성의 의도(intent) 및 엔티티(entity)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자연어 이해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음성의 응답으로서 자연어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날씨를 문의하는 의도를 갖는 사용자 음성에 대해, 현재 날씨를 웹 서버를 통해 검색하고, 사용자 음성에 대한 답변으로 현재 날씨를 안내하는 자연어를 획득하고, 획득된 자연어를 TTS(Text to Speech)를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여 전자 장치(100)의 스피커 또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대화 시스템은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응답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와 대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100)는 자동 음성 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모듈,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NLU) 모듈, 대화 관리(Dialogue Management, DM) 모듈, 자연어 생성(Natural Language Generation, NLG)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대화 시스템을 동작하기 위한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응답으로 자연어를 생성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인공지능 에이전트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의 서비스(예를 들어, 음성 인식 서비스, 비서 서비스, 번역 서비스, 검색 서비스 등)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으로서,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를 들어, CPU) 또는 별도의 AI 전용 프로세서(예를 들어, GPU 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특히, 인공지능 에이전트는 다양한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자연어를 생성(또는 획득)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은 인식 모델의 적용 분야 또는 장치의 컴퓨터 성능 등을 고려하여 구축될 수 있다. 자연스로운 자연어를 생성하기 위해,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은, 예로, 신경망(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일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인간의 뇌 구조를 컴퓨터 상에서 모의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인간의 신경망의 뉴런(neuron)을 모의하는, 가중치를 가지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뉴런이 시냅스(synapse)를 통하여 신호를 주고 받는 뉴런의 시냅틱(synaptic) 활동을 모의하도록 각각 연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은, 일 예로, 신경망 모델, 또는 신경망 모델에서 발전한 딥 러닝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딥 러닝 모델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서로 다른 깊이(또는, 레이어)에 위치하면서 컨볼루션(convolution) 연결 관계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의 예에는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인식을 위해, 사용자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텍스트에서 의미 인식(가령, 의도 및 엔티티 파악 등) 등의 동작이 수행된다. 이에 대해, 전술한 예에서는 이들 동작이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도 1b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을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는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사용자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음성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음성의 의도 및 엔티티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는 자연어 이해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음성의 응답으로서 자연어를 획득하고, 획득된 자연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응답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c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을 서버(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1)는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사용자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텍스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서버(10-1)로부터 수신된 텍스트를 서버(10-2)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2)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텍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 음성의 의도 및 엔티티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2)는 자연어 이해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음성의 응답으로서 자연어를 획득하고, 획득된 자연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서버(10-2)로부터 수신된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서버(10-2)로부터 수신된 응답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는 일 예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와이파이 칩이 구비된 TV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는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등과 같이 등과 같이 다양한 타입의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를 인증하고,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가 인증되면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미도시)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음성을 통해 전자 장치(미도시)를 보다 손쉽게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와이파이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와이파이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와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통신부(110)를 통해 전자 장치(100)를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10)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패스워드 및 시큐리티 타입(security type) 등을 이용하여 와이파이 통신 방식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은 이미 공개된 바 있다는 점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가 음성 비서를 제공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음성 비서를 트리거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음성 비서를 트리거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웨이크업 단어(wakeup word)(또는, 웨이크업 커맨드(wakeup command))를 포함하는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이크업 단어는 음성 비서를 실행하거나, 음성 비서의 응답을 요청하기 위한 트리거 단어를 의미하며, 사용자는 음성 인식을 위해, 음성 호출 명령어에 해당하는 웨이크업 단어를 발화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웨이크업 단어를 발화한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면, 이후 획득되는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음성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음성에 대해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음성은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미도시)를 구비한 다른 전자 장치 가령,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등에서 획득한 사용자 음성을 해당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음성 비서를 트리거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기설정된 버튼의 선택에 의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버튼은 전자 장치(100)에 마련되거나, 다른 전자 장치 가령,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컨(미도시)은 기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면, 기설정된 버튼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리모컨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비서를 트리거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면, 외부 전자 장치의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증 정보는 핀코드(pin 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숫자,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핀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사용자 음성이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는 경우, 인증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음성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의도를 파악하여, 사용자 음성이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음성 인식이 서버에서 수행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사용자 음성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는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의도를 파악하고, 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음성이 사용자 음성이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사용자 음성이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이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면, 인증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이 획득된 이후,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면, 인증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특정 영역의 비트 값이 제1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외부 전자 장치에 입력하고,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음성을 발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위한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가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된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위한 오브젝트(또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위한 사용자 명령은 외부 전자 장치를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위한 사용자 음성이 외부 전자 장치에 입력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전자 장치는 와이파이 칩을 턴온하고,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전자 장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특정한 리저브 영역을 가령, 1 값을 나타내는 비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을 획득하고, 외부 전자 장치가 브로드캐스팅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20)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특정한 리저브 영역이 1을 나타내는 비트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가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인증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데, 이때, 프로세서(120)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인증 정보를 부가하여,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통해 인증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에 기초하여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유니캐스트(unicast)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소스(source) 맥 어드레스가 전자 장치(100)의 맥 어드레스로 설정되고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의 맥 어드레스가 외부 전자 장치의 맥 어드레스로 설정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통신부(12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된 인증 정보를 발화할 것을 요청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해당 음성을 전자 장치(100)의 스피커 또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한 이후,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면,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된 인증 정보를 발화할 것을 요청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특정 영역의 비트 값이 제2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 경우, 프로브 응답 프레임으로부터 인증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인증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전자 장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특정한 리저브 영역을 가령, 2 값을 나타내는 비트 값으로 설정하고,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포함된 전자 장치(100)의 맥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자 장치(100)로 유니캐스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특정한 리저브 영역이 2를 나타내는 비트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가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연결 정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인증 정보를 발화하는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아직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인증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라는 점에서,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의 인증을 위해,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된 인증 정보를 발화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20)는 인증 정보를 발화하는 사용자 음성이 수신된 경우에는,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된 인증 정보를 발화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음성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20)는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면,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사용자 음성이 인증 정보를 발화한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고,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인증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된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음성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이 인증 정보를 발화한 의도를 갖는 경우, 사용자 음성으로부터 숫자,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음성 인식이 서버에서 수행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사용자 음성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는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사용자 음성이 인증 정보를 발화한 의도를 갖는 경우, 사용자 음성으로부터 숫자,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인증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한 인증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인증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한 인증 정보와 매칭(또는, 일치)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정보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의 SSID, 패스워드 및 시큐리티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와이파이 통신을 위해 외부 전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전자 장치(100)를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액세스 포인트의 SSID, 패스워드 및 시큐리티 타입 등에 대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데, 이때, 프로세서(120)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부가하여,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통해 연결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의 맥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유니캐스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100)가 전송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프로브 응답 프레임로부터 연결 정보를 획득하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인증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한 인증 정보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지 않는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인증 정보가 매칭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한 음성을 전자 장치(100)의 스피커 또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매칭되지 않는 인증 정보를 발화하였음을 나타내는 음성, 전자 장치(100)에 표시된 인증 정보의 재차 발화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음성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지 않거나, 인증 정보를 발화한 의도를 갖지 않는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100)에 표시된 인증 정보를 발화할 것을 요청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마이크(130) 및 스피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는 도 2a에 도시된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마이크(130)는 사용자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130)는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고, 이를 음성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140)는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40)는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된 인증 정보를 발화할 것을 요청하는 음성, 사용자가 매칭되지 않는 인증 정보를 발화하였음을 나타내는 음성, 전자 장치(100)에 표시된 인증 정보의 재차 발화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음성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마이크(130), 스피커(140), 메모리(150), 인터페이스(160), 제2 통신부(170) 및 사용자 입력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1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마이크(130) 및 스피커(140)는 도 2a 및 도 2b에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마이크(130) 및 스피커(14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메모리(150)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3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50), 프로세서(12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에는 디스플레이(16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본 문서의 다양한 인공지능 모델 가령, 대화 시스템을 동작하기 위한인공지능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6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패널(191)과 결합하여 레이어 구조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170)는 다양한 외부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170)는 HDMI 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한 포트 등 다양한 유형의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8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80)는 블루투스 칩(181), 무선 통신 칩(182), NFC 칩(183) 및 이더넷 칩(18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2 통신부(180)를 통해 서버 또는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무선 통신 칩(182) 또는 이더넷 칩(184)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버 및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블루투스 칩(181)을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 및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9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9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191), 또는 키(19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91)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91)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191)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키(192)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부(19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각종 기능을 실행하도록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자 장치(100)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컨 신호 수신부(미도시)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에서 전송되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R 수신부(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20)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미도시)를 통해 수신된 리모컨 신호에 대응되는 각종 기능을 실행하도록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RAM(121), ROM(122), 그래픽 처리부(124), 메인 CPU(123),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125-n), 버스(126)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121), ROM(122), 그래픽 처리부(124), 메인 CPU(123),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125-n) 등은 버스(12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통신부(210), 디스플레이(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와이파이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10)는 와이파이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22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통신부(210) 및 디스플레이(220)와 연결되어, 전자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통신부(110) 및 디스플레이(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230)는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통신부(110)를 턴온하고 즉, 와이파이 칩을 턴온하고, 통신부(210)를 통해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디스플레이(220)에 표시된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위한 오브젝트가 선택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된 경우, 와이파이 칩을 턴온하고, 와이파이 칩을 통해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230)는 전자 장치(200)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와이파이 칩을 턴온하고, 와이파이 칩을 통해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음성은 전자 장치(200)에 구비된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00)는 마이크(미도시)를 구비한 다른 전자 장치 가령, 전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미도시) 등에서 획득한 사용자 음성을 해당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면, 획득된 사용자 음성이 전자 장치(200)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의도를 갖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200)에는 음성 인식을 위한 다양한 모듈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 전송 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특정 영역의 비트 값을 제1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특정한 리버브 영역을 가령, 1 값을 나타내는 비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전자 장치(200)의 맥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전송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0)가 전송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이 수신되면, 프로브 응답 프레임으로부터 인증 정보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인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증 정보는 핀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특정 영역의 비트 값이 제2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특정한 리저브 영역을 가령, 2 값을 나타내는 비트 값으로 설정하고,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포함된 전자 장치(100)의 맥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자 장치(100)로 유니캐스트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전송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0)가 전송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프로브 응답 프레임으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 패스워드 및 시큐리티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획득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수행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200)는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TV(200)에 와이파이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TV에 와이파이 연결해줘"(510)와 같이 발화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500)와 연결된 상태에 있는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510)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b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520)이 TV(200)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음성에 해당하는 경우, 인증 정보 즉, 핀코드(520)를 TV(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V(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핀코드(520)를 TV(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와 같이, TV(200)는 "핀코드는 XXXX입니다"(53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5c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TV에 표시된 핀코드를 말씀해주세요"(540)와 같이, TV에 표시된 핀코드의 발화를 요청하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핀코드는 XXXX 입니다"(550)와 같이 발화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 음성을 마이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핀코드가 TV(200)로 전송한 핀코드와 매칭되는지를 판단하고, 이들이 매칭되는 경우, 도 5d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5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560) 가령, 액세스 포인트(500)의 SSID, 패스워드 및 시큐리티 타입에 대한 정보를 TV(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d와 같이, TV(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570).
이상과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해 외부 전자 장치를 인증을 수행하고, 외부 전자 장치가 인증되면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위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파이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면, 외부 전자 장치의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S610).
이후,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면, 전자 장치에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S620).
구체적으로, S610 단계는 획득된 사용자 음성이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는 경우, 인증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이 수신되면, 인증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특정 영역의 비트 값이 제1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S610 단계는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파이 연결 방법은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된 인증 정보를 발화할 것을 요청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한 이후,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수신되면,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된 인증 정보를 발화할 것을 요청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특정 영역의 비트 값이 제2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S620 단계는 획득된 사용자 음성이 인증 정보를 발화한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고,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인증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된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인증 정보는 핀코드(pin code)를 포함하고, 연결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패스워드 및 시큐리티 타입 중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100 : 전자 장치 110 : 통신부
120 : 프로세서

Claims (20)

  1. 음성 비서(voice assistant)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및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획득된 사용자 음성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특정 영역의 비트 값이 제1 값으로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된 상기 인증 정보를 발화할 것을 요청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된 상기 인증 정보를 발화할 것을 요청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특정 영역의 비트 값이 제2 값으로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획득된 사용자 음성이 인증 정보를 발화한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인증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된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핀코드(pin code)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패스워드 및 시큐리티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음성 비서(voice assistant)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연결 방법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음성이 획득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이파이 연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획득된 사용자 음성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와이파이 연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이 수신되면,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와이파이 연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특정 영역의 비트 값이 제1 값으로 설정된, 와이파이 연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와이파이 연결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된 상기 인증 정보를 발화할 것을 요청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와이파이 연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수신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된 상기 인증 정보를 발화할 것을 요청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와이파이 연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특정 영역의 비트 값이 제2 값으로 설정된, 와이파이 연결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획득된 사용자 음성이 인증 정보를 발화한 사용자 음성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인증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된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와이파이 연결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핀코드(pin code)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패스워드 및 시큐리티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와이파이 연결 방법.
KR1020180141991A 2018-11-16 2018-11-16 전자 장치 및 그의 와이파이 연결 방법 KR102599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991A KR102599948B1 (ko) 2018-11-16 2018-11-16 전자 장치 및 그의 와이파이 연결 방법
PCT/KR2019/013212 WO2020101178A1 (en) 2018-11-16 2019-10-08 Electronic apparatus and wifi connecting method thereof
CN201980075353.9A CN113016212A (zh) 2018-11-16 2019-10-08 电子装置及其WiFi连接方法
EP19202947.8A EP3654170B1 (en) 2018-11-16 2019-10-14 Electronic apparatus and wifi connecting method thereof
US16/654,693 US10952075B2 (en) 2018-11-16 2019-10-16 Electronic apparatus and WiFi connec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991A KR102599948B1 (ko) 2018-11-16 2018-11-16 전자 장치 및 그의 와이파이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501A true KR20200057501A (ko) 2020-05-26
KR102599948B1 KR102599948B1 (ko) 2023-11-09

Family

ID=68280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991A KR102599948B1 (ko) 2018-11-16 2018-11-16 전자 장치 및 그의 와이파이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52075B2 (ko)
EP (1) EP3654170B1 (ko)
KR (1) KR102599948B1 (ko)
CN (1) CN113016212A (ko)
WO (1) WO20201011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0846B2 (en) * 2018-12-20 2022-02-15 Arris Enterprises Llc Voice enabled searching for wireless devices associated with a wireless network and voice enabled configuration thereof
CN112015852A (zh) * 2019-05-31 2020-12-01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在关于事件的会话中提供响应
CN112637846B (zh) * 2020-12-24 2022-12-30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一种热点连接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2690A (ko) * 2012-10-25 201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70037304A (ko) * 2015-09-25 2017-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연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0732B2 (en) * 2007-01-19 2011-05-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tomatic wireless network device configuration
KR100986619B1 (ko) 2010-03-12 2010-10-08 이상훈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멀티입출력장치 및 방법
KR20140049365A (ko) 2012-10-17 2014-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24304A (ko) 2013-04-16 2014-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296162B1 (ko) 2013-08-30 2021-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45364B1 (ko) * 2014-07-17 2021-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26733A1 (en) * 2015-02-02 2016-08-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stablishing a relationship and connection between two devices
CN105096121B (zh) * 2015-06-25 2017-07-2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声纹认证方法和装置
KR102381369B1 (ko) * 2015-09-23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오디오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오디오 장치 네트워크 설정 방법
KR20170086814A (ko) * 2016-01-19 201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524225B1 (en) * 2016-08-08 2019-12-31 A9.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2458789B1 (ko) 2016-11-08 2022-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8195271A (ja) * 2017-05-22 2018-12-06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848392B2 (en) * 2018-02-15 2020-11-24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to use digital assistant to join network
US11250114B2 (en) * 2018-10-25 2022-02-15 Massachusetts Mutual Life Insurance Company Authentication device for virtual assistant syste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2690A (ko) * 2012-10-25 201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70037304A (ko) * 2015-09-25 2017-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연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16212A (zh) 2021-06-22
EP3654170A1 (en) 2020-05-20
US20200162911A1 (en) 2020-05-21
US10952075B2 (en) 2021-03-16
EP3654170B1 (en) 2022-08-17
WO2020101178A1 (en) 2020-05-22
KR102599948B1 (ko)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297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US20210012775A1 (en) Electronic device and voice recognition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11790912B2 (en) Phoneme recognizer customizable keyword spotting system with keyword adaptation
US11430438B2 (e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response corresponding to user conversation style and emotion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590914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10274001A1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recording medium supporting task execution using external device
KR102508863B1 (ko)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
US11514890B2 (en) Method for user voice input processing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EP3654170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wifi connecting method thereof
KR20200074690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01082A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와 그 동작 방법
KR20210066651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81709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assistant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US2020035741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0004897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20137A (ko) 전자 장치 및 음성 인식 방법
KR20230018833A (ko) 전자 장치 및 무선 오디오 장치의 연결 전환을 제공하는 방법
KR20230109046A (ko) 전자 장치 및 음성 인식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방법
KR20230059307A (ko) 발화 기반 목적 장치의 식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16635933A (zh) 包括个性化文本到语音模块的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