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744A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 Google Patents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744A
KR20200056744A KR1020180140792A KR20180140792A KR20200056744A KR 20200056744 A KR20200056744 A KR 20200056744A KR 1020180140792 A KR1020180140792 A KR 1020180140792A KR 20180140792 A KR20180140792 A KR 20180140792A KR 20200056744 A KR20200056744 A KR 20200056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magnetic
present
ea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7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1566B1 (en
Inventor
강혁
임경수
오예린
박송화
송지민
Original Assignee
링크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링크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링크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566B1/en
Publication of KR2020005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7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5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A61B5/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urality of modules for collecting biosignals with a stabl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device worn on an ear of a user comprises: an ear tip which is made of a second material at least partially conductive based on a first material with elasticity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are integrally formed and thus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contains a third material with magnetism, is tightly attached to the user′s skin through the first material, collects an electrical biosignal through the second material, and uses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material to be bound to a main body; and the main body including a circuit to acquire an electrical biosignal and a first coupling unit allowing the ear tip to be physically bound thereto and containing a fourth material forming a magnetic attractive force with the third material, wherein the circu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aterial when the ear tip is bound to the first coupling unit.

Description

생체 신호 측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본 발명은 헬스 케어 서비스와 관련된 생체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전극, 그리고 수집된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for collecting a bio-signal related to a health care service, and a devic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monitoring a user's bio-condition and improving a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collected bio-signal.

의료 서비스의 패러다임이 치료, 병원 중심에서 예방,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스마트 헬스 케어가 부상하고 있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 클라우드 컴퓨팅 등 디지털 기술이 의료 분야에 접목되고 있는 것이다. Smart healthcare is emerging as the paradigm of medical services changes from treatment, hospital-centered to prevention, and consumer-centered.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wearable devices, smartphones, and cloud computing are grafting into the medical field.

한국 공개 특허 10-2013-0022542 (공개일 2013.03.07)Korean Open Patent 10-2013-0022542 (Public Date 2013.03.07)

본 발명은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착용감이 우수하고 양질의 생체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전극을 제공하고, 생체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에 안정된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that collects bio signals, an electrode having excellent fit and high quality bio signals, and to provide a stable coupling structure to a plurality of modules for collecting bio signals.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탄성력 있는 제 1 재료를 바탕으로 적어도 일부는 전도성이 있는 제 2 재료 - 상기 제 1 재료 및 상기 제 2 재료는 일체로 형성되어 분리되지 않으며- 로 형성되며, 나아가 자성이 있는 제 3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재료를 통해 사용자 피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 2 재료를 통해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집하며, 상기 제 1 재료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본체에 결착되는 이어팁; 전기적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회로 및 상기 이어팁이 물리적으로 결착되며, 상기 제 3 재료와 자기적 인력을 형성하는 제 4 재료를 포함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는, 상기 제 1 결합부에 상기 이어팁이 결착되면 상기 제 2 재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earable device mounted on the user's 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 material that is at least partially conductive based on the elastic first material-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are integrally formed and are not separated -It is formed of, and further includes a magnetic third materia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through the first material, collects electrical bio signals through the second material, and uses the elasticity of the first material Ear tips attached to the body; A circuit for acquiring an electrical biosignal and the ear tip are physically attached,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including a fourth material forming a magnetic attraction with the third material, wherein the circuit includes the first coupling portion When the ear tip is attach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dy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착용감이 우수한 전극을 이용하여 신뢰도 높은 생체 신호를 간편하게 수집할 수 있으며, 생체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llect a high-reliability biosignal using an electrode with excellent wearing comfort, and has an effect that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odules for collecting the bio-signal can be stably main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수면 유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이어팁과 본체가 분리 및 결합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이어팁과 본체가 분리 및 결합되는 추가적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윙팁과 본체가 분리 및 결합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윙팁과 본체가 분리 및 결합되는 추가적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이어플러그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넥밴드 디바이스가 분리 및 결합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이어플러그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넥밴드 디바이스가 분리 및 결합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이어플러그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넥밴드 디바이스가 분리 및 결합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이어플러그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넥밴드 디바이스가 분리 및 결합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leep gu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ear tip and the body are separated and combined in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dditional example in which the ear tip and the body are separated and combined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wing tip and the body are separated and combined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dditional example in which the wing tip and the body are separated and combined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earplug-type wearable device and the neckband device are separated and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earplug-type wearable device and the neckband device are separated and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earplug-type wearable device and the neckband device are separated and combi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earplug type wearable device and the neckband device are separated and combi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chnical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현된다. 그리고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함이다. Meanwhil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This is to clearly describ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s not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간의 수면은 단순히 수동적으로 쉬는 것이 아니라 생존에 필요한 기능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능동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수면하는 동안 다양한 신경들이 복잡하고 유기적으로 상호 작용을 하게 된다. 사람에게 필요한 수면 시간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적절한 수면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피로를 쉽게 느끼며, 집중력이 감퇴하고 감정도 날카로워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심혈관계 질환이나 정신 질환 등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양질의 수면을 취하는 것은 건강 관리의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Human sleep is not just passive rest, but an active process that systematically performs the functions necessary for survival. During sleep, humans interact with various nerves in a complex and organic way. The sleep time required for a person vari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and if proper sleep is not achieved, fatigue is easily felt, concentration is reduced, and emotions can be sharpened. If this condition persists for a long time, there is an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or mental illness. Therefore, getting good quality sleep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health care.

따라서 사람들은 숙면을 취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이와 관련하여 인간의 생체 신호를 수집하여 수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자극을 통해 숙면을 유도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생체 신호는 인간의 근육 세포들이나 신경 세포들에서 발생되는 전위 또는 전류 형태의 신호로, 인간의 신체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검출된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수집, 분석하여 획득될 수 있다. Therefore, people put a lot of effort into getting a good night's sleep. In this regard,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method of collecting a human biological signal to monitor a sleep state and induce sound sleep through appropriate stimulation. The biosignal is a signal in the form of electric potential or current generated from muscle cells or nerve cells of a human, and can be obtain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changes in electrical signals detected through electrodes attached to the human body.

종래 생체 신호 측정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습식 전극을 부착하여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방식을 취했다. 습식 전극은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전극을 하이드로젤을 통하여 사용자의 피부와 전기적으로 인터페이싱하는 전극을 의미한다. 하이드로젤은 전해질 성분의 젤로, 하이드로젤을 통해서 전극과 피부가 접촉하는 경우,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전극이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것과 비교하여 전극과 피부 사이의 전기적 저항인 접촉 임피던스를 낮추게 된다. 즉, 하이드로젤을 이용하면 전극과 피부와의 접촉 임피던스를 상대적으로 낮추어 미세한 크기의 생체 신호에 대한 접촉 임피던스의 영향을 줄이므로, 생체 신호 측정에 유리하다. 이와 같이 습식 전극을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균일하고 안정된 생체 신호를 얻을 수 있다. Conventional biosignal measurement devices have a method of detecting a biosignal by attaching a wet electrode to a user's body. The wet electrode refers to an electrode that electrically interfaces an electrode made of a conductive metal with a user's skin through a hydrogel. The hydrogel is an electrolyte-based gel, and when the electrode and the skin make contact with the skin through the hydrogel, the contact impedance, which is an electrical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kin, is lowered when the electrode made of a conductive metal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That is, the use of a hydrogel lowers the contact imped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kin, thereby reducing the effect of the contact impedance on the micro-signal biosignal, which is advantageous for biosignal measurement. When a wet electrode is used as described above, a relatively uniform and stable biosignal can be obtained.

그러나 이와 같은 습식 전극은 반복된 사용이 어렵고, 보관도 쉽지 않아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나아가 착용감도 좋지 않기 때문에 수면 신호 수집에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 편의를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건식 전극은 보관은 용이하나 금속 특유의 차가움과 딱딱함으로 인하여 사용자 착용감이 좋지 않고, 전극과 피부 사이의 전기적 저항인 접촉 임피던스가 높아 양질의 신호가 수집되기 어렵다. However, such a wet electrode is difficult to be repeatedly used and storage is not easy, so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use it for home use. Furthermore, because it is not comfortable to wear, it is not desirable to use it for collecting sleep signals when considering user convenience. On the other hand, dry electrodes are easy to store, but due to the unique coldness and hardness of the metal, the user is not comfortable to wear, and high electrical contact resistance, which is the electrical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kin, makes it difficult to collect high-quality signal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실리콘 재질의 전극을 형성하여 생체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실리콘 재질의 전극은 실리콘 폴리머에 전기전도성, 열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및/또는 비금속 물질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건식 전극으로 사용과 보관이 편리하고, 사용자 착용감과 피부 밀착성이 높은 장점을 가진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such a problem, a bio-signal may be collected by forming an electrode made of silicon on a wearable device. The electrode made of silicon may be formed by mixing a metal and / or non-metallic material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eat conductivity with the silicone polymer, and is easy to use and store as a dry electrode, and has a user comfort and high skin adhesion.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인간의 외이에 장착되어 생체 신호를 수집하고, 수면 유도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실리콘 재질의 이어팁을 구비하며, 상기 이어팁 일부에 실리콘 전극을 형성하여 생체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신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에 구비된 회로로 전달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human outer ear to collect a biosignal and apply a sleep guidance signal. To this end,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ar tip made of silicon, and a silicon electrode is formed on a part of the ear tip to collect a bio signal, and the collected signal is transmitted to a circuit provided in the body of the wearable device. Can be.

이를 위해서는, 이어팁과 본체의 결합 구조가 안정적일 필요가 있다. 이어팁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느슨해지면, 이어팁 전극이 본체의 회로와 연결되는 부분의 결합이 약해지게 되어 전기전도성과 열전도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hat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ear tip and the body is stable. This is because when the shape of the ear tip is deformed or loosened, the coupling between the portion where the ear tip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circuit of the main body is weakened, and thu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rmal conductivity may be deteriora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외이에 장착되는 이어플러그 형태의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 전후 생체 신호가 수집될 수 있으며, 상기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이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물리적, 자기적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io-signal before and after the user's sleep may be collected through an earplug-type device mounted on the outer ear, and a physical and magnetic structure for stably coupling a plurality of modules constituting the device Can provid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물리적으로 분리 및 결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이 결합되어 수면 유도 장치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모듈은 재료의 탄성력, 구조의 결착력과 함께 자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된다.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module that can be physically separated and combined can be combined to form a sleep inducing device, and each module uses magnetic attraction along with elasticity of the material and binding force of the structure. Can be combined.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수면 유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leep gu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수면 유도 장치는,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수면 전후의 생체 신호를 수집하고, 수면 유도 신호를 제공하는 한쌍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도 1a의 110),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확장 안테나 및/또는 확장 배터리를 제공하는 넥밴드 형태의 디바이스 (도 1a의 120) 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한 쌍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및 넥밴드 형태의 디바이스 (120)는 물리적으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및 넥밴드 형태의 디바이스 (120)가 분리 및 결합되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된다. Sleep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wearable devices (110 in FIG. 1A), which is mounted on a user to collect biological signals before and after sleep, and provides a sleep guidance signal, is extended antenna coupled to the wearable device And / or a device in the form of a neckband that provides an extended battery (120 in FIG. 1A).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wearable devices 110 and the neckband type device 120 may be physically separated and combined, and the wearable device 110 and the neckband type device 120 More specific embodiments are separated and combined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라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장착시 인간의 외이에 완전히 밀착하여 장착되는 이어플러그 형상으로, 외이도에 배치되는 이어팁 형태의 제 1 영역(10), 외이도 인근의 귓바퀴 내측에 밀착하여 배치되며 회로를 포함하는 제 2 영역(20) 및 상기 제 2 영역 (20)과 연결되고 귓바퀴에 내측에 배치되는 돌출된 윙팁 형태의 제 3 영역 (30)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earable device 110 for collecting a bio-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b, is placed in the ear canal, the earplug shape is moun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human outer ear when the user is mounted The first area 10 in the form of an ear tip,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auricle near the ear ca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area 20 including the circuit and the second area 20, and a protruding wing tip disposed inside the auricle It may include a third region 30 of the form.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제 1 영역 (10), 제 2 영역 (20) 및 제 3 영역 (30)은 생체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영역은 물리적으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각 영역이 결합되는 경우, 각 영역에 포함된 전극은 제 2 영역(20)에 포함된 생체 신호 수집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영역이 분리 및 결합되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된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gion 10, the second region 20, and the third region 30 may include one or more electrodes for collecting bio signals, each region being physically And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When each region is combined, the electrode included in each regi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io-signal collection circuit included in the second region 20. Mor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each region is separated and combined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생체 신호 수집 디바이스는 도 1의 예시와 달리, 인간의 외이에 삽입되지 않고 인간의 귓바퀴와 결합하기 위한 착용부재를 포함하여, 인간의 귀를 중심으로 하는 영역에서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이어폰 형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생체 신호 수집 디바이스는 외이에서 생체 신호를 수집하지 않고, 인간의 눈을 중심으로 하는 얼굴 영역에서 생체 신호를 수집하기 위해 안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구현에 따라 손목에 장착되는 밴드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생체 신호가 수집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signal collection device, unlike the example of FIG. 1, includes a wearing member for engaging the human ear wheel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human outer ear, in an area centered on the human ear. It may be in the form of an earphone that collects bio signals. Furthermore, the bio-signa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eye patch to collect bio-signals in the face region centered on the human eye, without collecting bio-signals in the outer ear. Furthermor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bio-signal may be collected through a band-type wearable device mounted on the wrist.

한편 도면에 별도로 도시된 것은 아니지만, 제 3 영역 (30)은 윙팁 형태로 패턴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를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사용자 장착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영역은 착용감을 고려하여 연성, 탄력성을 가지는 실리콘 등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lthough not separately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third region 30 may include a pattern antenna in the form of a wing tip. Furthermo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earable device 110 is mounted by a user,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in the wearable device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e having softness and elasticity in consideration of wearing comfort. Do.

한편, 제 1 영역 (10)과 제 2 영역(2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인간에게 장착된 경우, 외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는 범위의 각도를 형성하며,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전극을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영역(10)에 포함되는 제 1 전극은 타겟 전극으로 동작하며, 제 2 영역(20)에 포함되는 제 2 전극은 기준 전극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 3 영역 (30)은 적어도 일부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어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신하는 제 3 전극 (35)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wearable device is mounted on a human, the first region 10 and the second region 20 form an angle within a range that can be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ear, and each of the electrodes capable of receiving electrical bio signal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he first electrode included in the first region 10 acts as a targe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region 20 acts as a reference electrode. On the other hand, the third region 30 may include a third electrode 35 at least partially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o receive electrical bio signals.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은 인간의 외이라는 매우 제한된 공간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으며, 왼쪽 귀에 장착되는 디바이스 및 오른쪽 귀에 장착되는 디바이스를 통해 각각 수집된 생체 신호를 동기화하기 위한 기준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disposed as far apart as possible in a very limited space of the human ear, and input a reference signal for synchronizing the collected bio signals through a device mounted on the left ear and a device mounted on the right ear, respectively. You can also perform the function.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제 3 전극은 사용자의 전기적 생체 신호 (Bioelectrical signal)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신호는 근전도(Electromyogram, EMG), 안전도(Electrooculogram, EOG),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 및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외이도에 배치된 전극이 하나의 채널이 되어 근전도, 안전도, 뇌전도 및 심전도 신호가 결합된 형태의 생체 신호가 수집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may serve to collect a user's bioelectrical signal. The biosignal may include electromyogram (EMG), safety (Electrooculogram, EOG), electroencephalogram (EGG), and electrocardiogram (ECG).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de disposed in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becomes a single channel, and a biosignal in a form in which EMG, safety, EEG and ECG signals are combined can be collected.

나아가 상기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또는 제 3 전극은 사용자에게 전기적 자극을 인가하는 인터페이스로 기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양질의 패턴으로 견인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전기적, 청각적 자극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전극들은 사용자에게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채널로 기능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 or the third electrode may function as an interface for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user.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electrical and auditory stimulation to the user in order to pull the user's sleep state in a high quality pattern, and the electrodes may function as a channel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user. have.

특히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를 따르면,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제 3 전극은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은 인체에 무해하고, 금속 특유의 차가운 느낌이 없어 착용감이 우수하며, 탄성력과 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이드로젤 없이도 피부에 완전히 밀착되어 양질의 생체 신호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may be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This is because silicone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has no cold feeling peculiar to metal, has excellent wearing comfort, and has elasticity and softness, so that it is possible to collect high-quality biosignals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without a hydrogel.

그러나 실리콘은 전기전도성이 없기 때문에, 전극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극은 실리콘 폴리머에 전기전도성, 열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파우더를 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 폴리머에 금속 파우더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배합하면, 실리콘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금속 수준의 전기전도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각각의 영역(10, 20, 30)은 전도성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비전도성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However, since silicon has no electrical conductivity, it is not suitable as an electrode. Therefore, the electr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by blending a metal powder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rmal conductivity to the silicone polymer. This is because when the metal powder is blended 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silicone polymer, it can have metal-level electrical conductivity while maintaining the properties of silicon. In this case, each of the regions 10, 20, and 30 may be formed of conductive silicon and the remaining portions may be formed of non-conductive silicon.

상기 금속 파우더는 예를 들어,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크로뮴, 티타늄과 그라파이트, 그래핀, 글래스, 세라믹 소재와의 복수의 물질의 조합이며 원형 (sphere), 비정형 조각 (flake), 나뭇잎 (dendrite) 형태일 수 있다. The metal powder is a combination of, for example, silver, copper, nickel, aluminum, chromium, titanium and a plurality of materials with graphite, graphene, glass, and ceramic materials, and includes spheres, irregular flakes, leaves ( dendrite).

나아가 각각의 영역이 결합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자성 영역은 자성 물질을 배합한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비전도성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팁 영역은 실리콘 폴리머를 바탕으로, 전극 영역은 상기 실리콘 폴리머에 전도성 파우더를 배합하여 형성하고, 자성 영역은 상기 실리콘 폴리머에 자성 파우더를 배합하여 형성하여 각각의 영역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성 영역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된다. Furthermore, the magnetic region formed to combine each region may be formed of silicon containing a magnetic material, and the remaining portions may be formed of non-conductive silicone. For example, the eartip region is formed by blending a conductive powder with the silicone polymer, and the electrode region is formed by blending a magnetic powder with the silicone polymer, and each region is integrally formed. Can be. A more specific description of the magnetic region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제 3 전극은 이와 같이 전도성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여 해석될 수 없다. 즉,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제 3 전극은 생체신호 측정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은 (Ag) , 염화은 (AgCl)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구리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전극은 실리콘과 카본이 혼합된 전도성 재료 또는 그래핀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silicon material as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hereto. That is,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silver (Ag), silver chloride (AgCl), or stainless steel or copper, which is generally used for biosignal measurement. Furthermore, the electrode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or a graphene material in which silicon and carbon are mix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이어팁과 본체가 분리 및 결합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ear tip and the body are separated and combined in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인간의 외이에 장착되는 이어팁(10), 상기 이어팁과 연결되고 회로를 포함하는 본체 (20)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어팁 (10)과 본체 (20)는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이어팁 (10)은 적어도 일부가 전도성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a,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an ear tip 10 mounted on the human outer ear, a body 20 connected to the ear tip and including a circuit, Figure 2b As shown in the ear tip 10 and the body 20 may be physically separated. In particular, the ear tip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conductivity.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팁 (10)이 돔형상의 하우징 (11) 및 본체 (20)와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 (12)를 구비하고, 본체 (20)가 이어팁과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 (22) 및 회로를 내장하는 바디 (21)를 구비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이어팁 (10)의 하우징 (11) 및 연결부 (12)는 일체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연결부 (12)는 물리적 결합력 및 실리콘 재질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본체 (20)의 연결부 (22)에 결합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2b, the ear tip 10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12 for engaging the dome-shaped housing 11 and the main body 20, the main body 20 is a connecting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ear tip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case where the body 22 is provided with 22 and a circuit. At this time, the housing 11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 of the ear tip 10 are formed of an integral silicone material,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2 of the body 20 using physical bonding force and elasticity of silicone material. Can be combined.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이어팁의 연결부 (12) 및 본체의 연결부 (22)는 자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c는 각 연결부에 포함된 자성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12 of the ear tip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 of the main body may include a magnetic region. 2C shows a magnetic region included in each connection.

예를 들어 이어팁의 연결부 (12)는 실리콘 재질의 자성체 (1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연결부 (12)은 실리콘 폴리머에 전기전도성과 자성을 가지는 금속 파우더를 배합하여 자성 영역 (13)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폴리머에 은으로 코팅된 니켈 파우더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배합하면, 실리콘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해당 부분에 소정의 전기전도성과 자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금속 파우더는 예를 들어,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크로뮴, 티타늄과 그라파이트, 그래핀, 글래스, 세라믹 소재와 자성을 가지는 복수의 물질의 조합을 예시할 수 있으며, 원형 (sphere), 비정형 조각 (flake), 나뭇잎 (dendrite) 형태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nection portion 12 of the ear tip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13 made of silicon.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ortion 1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a magnetic region 13 by blending a metal powder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agnetism with a silicone polymer. For example, when a nickel powder coated with silver is mixed with a silicone polymer 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possible to have a predetermine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agnetism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licone. The metal powder may be, for example, silver, copper, nickel, aluminum, chromium, titanium and graphite, graphene, glass, ceramic materials, and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aterials having magnetic properties, and may be exemplified as a circle (sphere), amorphous It may be in the form of flakes or leaves.

한편, 본체의 연결부 (22)는 강자성체, 즉 자석 (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어팁의 연결부와 본체의 연결부가 물리적으로 결합하면, 자성 영역 (13, 23) 사이에 인력이 형성되어 이어팁과 본체 사이의 전기전도성, 열전도성이 향상되며, 디바이스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결합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Meanwhile, the connection portion 22 of the main body may include a ferromagnetic material, that is, a magnet 23. In this case, whe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ar tip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ody are physically coupled, an attractive force is formed between the magnetic regions 13 and 23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rmal conductivity between the ear tip and the body, and stable coupling even when the device moves It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shap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이어팁과 본체가 분리 및 결합되는 추가적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dditional example in which the ear tip and the body are separated and combined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이어팁과 본체는 물리적인 결합력, 실리콘의 탄성력, 및 자성체의 인력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ar tip and the body may be coupled using physical bonding force, elastic force of silicone, and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ic body.

도 3a는 이어팁 (10)의 연결부 (12)가 원통 형상이고, 원통의 안쪽 면에 자성 영역 (13)이 3차원 면으로 형성되고, 이어팁 (10)의 연결부 (12)에 결착되는 본체 (20)의 연결부 (22)의 바깥쪽 면에 자성 영역 (23)이 3차원 면으로 형성되는 예시이다. 이 경우, 자성 영역은 연결부 (12, 23)가 형성된 뒤, 해당 영역에 자성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3A, the body portion 20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12 of the ear tip 10 is cylindrical, the magnetic region 13 is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plan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and is attach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2 of the ear tip 10 ) Is an example in which the magnetic region 23 is formed as a three-dimensional surfa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22. In this case, the magnetic region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magnetic material to the corresponding region after the connecting portions 12 and 23 are formed.

도 3b는 이어팁 (10)의 연결부 (12)가 원통 형상이고, 원통이 자성 영역 (13)으로 형성되고, 이어팁 (10)의 연결부 (12)에 결착되는 본체 (20)의 연결부 (22) 역시 자성 영역 (23)으로 형성되는 예시이다. 이 경우, 자성 영역은 연결부 (12, 23)에 해당하는 실리콘 폴리머에 자성 물질을 배합하여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3B, the connecting portion 12 of the ear tip 10 has a cylindrical shape, the cylindrical portion is formed of a magnetic region 13,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 of the main body 20 is also attach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2 of the ear tip 10. It is an example formed by the magnetic region 23. In this case, the magnetic reg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portion by mixing a magnetic material with the silicone polymer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portions 12 and 23.

도 3c는 이어팁 (10)의 연결부 (12)가 원통 형상이고, 파이프 형태의 자성체를 연결부에 끼우는 방식으로 자성 영역 (13)이 형성되고, 본체 (20)의 연결부 (22) 역시 파이프 형태의 자성체가 끼워져 자성 영역 (23)이 형성되는 예시이다. 이 경우, 자성 영역은 실리콘 폴리머에 자성 물질을 배합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제조되어, 이어팁 및 본체에 실리콘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3c, the connection portion 12 of the ear tip 10 is a cylindrical shape, and a magnetic region 13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a magnetic body in the form of a pipe is fit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22 of the body 20 is also a pipe-shaped magnetic body Is an example in which the magnetic region 23 is interposed. In this case, the magnetic region may be manufactured in a pipe shape by mixing a magnetic material with a silicone polymer, and then coupled to the ear tip and the body using the elastic force of silicone.

도 3d는 이어팁 (10)의 연결부 (12)에 자성체가 돌출되어 자성 영역 (13)이 형성되고, 본체 (20)의 연결부 (22)는 자성체가 음각되어 자성 영역 (23)이 형성되어, 자성 영역의 인력 그리고 자성체의 음각 양각의 물리적인 결합으로 이어팁과 본체가 연결되는 예시이다. 3d, a magnetic region 13 is formed by protruding a magnetic body at a connection portion 12 of the ear tip 10, and a magnetic region 23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22 of the main body 20 by engraving a magnetic body, thereby forming a magnetic field. This is an example in which the ear tip and the body are connected by physical coupling of the attraction of the area and the embossment of the magnetic body.

도 3e는 이어팁 (10)의 연결부 (12)가 원통 형상이고, 원통의 안쪽 면에 자성 영역 (13)이 2차원 선으로 형성되고, 이어팁 (10)의 연결부 (12)에 결착되는 본체 (20)의 연결부 (22)의 바깥쪽 면에 자성 영역 (23)이 2차원 선으로 형성되는 예시이다. 3e, the body portion 20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12 of the ear tip 10 has a cylindrical shape, a magnetic region 13 is formed as a two-dimensional lin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and is attach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2 of the ear tip 10 ) Is an example in which the magnetic region 23 is formed as a two-dimensional lin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22.

도 3f는 이어팁 (10)의 연결부 (12)가 원통 형상이고, 원통의 안쪽 면의 일부에 자성 영역 (13)이 형성되고, 이어팁 (10)의 연결부 (12)에 결착되는 본체 (20)의 연결부 (22)의 바깥쪽 면의 일부에 자성 영역 (23)이 형성되는 예시이다.FIG. 3f shows the body portion 20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12 of the ear tip 10 is cylindrical, a magnetic region 13 is formed on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and is attach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2 of the ear tip 10. This is an example in which the magnetic region 23 is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22.

도 3g는 이어팁 (10)의 연결부 (12)와 본체 (20)의 연결부 (22)가 나사 구조를 형성하며, 각각의 나사홈에 자성 영역 (13, 23)이 형성되는 예시이다. 이 경우, 자성 영역의 인력, 그리고 자성체의 나사 구조의 결합으로 이어팁과 본체가 연결될 수 있다.3G is an exampl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12 of the ear tip 1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 of the main body 20 form a screw structure, and magnetic regions 13 and 23 are formed in each screw groove. In this case, the ear tip and the main body may be connected by the attraction of the magnetic region and the combination of the screw structure of the magnetic body.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라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본체 (20)는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장착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 전극을 통해 감지된 생체 전기 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 증폭 모듈,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모듈,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 모듈 및 상기 신호 증폭 모듈, 필터 모듈, 신호 변환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집된 데이터 및 수면 유도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체(20)는 다른 디바이스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칩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윙팁(30)에 안테나가 형성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20 of the wearable device 110 for collecting a bio-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cted through a sensor, an electrod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wearer or the mounting of the wearable device A signal amplification module for amplifying the bioelectric signal, a filter module for removing noise, a signal conversion module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to a digital signal, and a microprocessor for processing signals by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signal amplification module, filter module, and signal conversion module It may include a processor, a memory for storing the collected data and sleep-inducing content. Furthermore, the main body 20 may include a chip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other devices, and an antenna may be formed on the wing tip 30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윙팁 (30)과 본체가 분리 및 결합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wing tip 30 and the body are separated and combined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인간의 외이에 장착되는 이어팁(10), 회로를 포함하는 본체 (20) 및 윙팁 (3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어팁 (10), 본체 (20) 및 윙팁 (30)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A,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an ear tip 10 mounted on a human outer ear, a body 20 including a circuit, and a wing tip 30, and the ear tip ( 10), the body 20 and the wing tip 30 may be physically separated.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윙팁 (30)은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고리 형상의 안테나부 (35) 및 상기 본체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센터홀을 형성하는 링 연결부 (34)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체 (20)는 윙팁과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 (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윙팁의 연결부 (34)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물리적 결합력 및 실리콘 재질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본체 (20)의 연결부 (24)에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안테나부 (35)는 적어도 일부가 전도성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wing tip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ng-shaped antenna unit 35 including an electrode for collecting electrical bio signals, and a ring connection unit 34 forming a center hole to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It may include. Furthermore, the main body 20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24 for coupling with the wing tip.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34 of the wing tip is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and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4 of the body 20 using physical bonding force and elastic force of silicone material. Furthermore The antenna unit 35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silicone material to collect electrical bio signals.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윙팁의 연결부 (34) 및 본체의 연결부 (24)는 자성 영역을 포함하고, 양쪽 연결부의 물리적 결합력, 실리콘 재질의 탄성력, 자성체의 인력을 이용하여 도 4b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34 of the wing tip and the connecting portion 24 of the main body include a magnetic region, and physical coupling force of both connecting portions, elastic force of silicone material, and attraction of the magnetic body are used as shown in FIG. 4B. Can be combined.

예를 들어 윙팁의 연결부 (34)는 실리콘 재질의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연결부 (34)은 실리콘 폴리머에 전기전도성과 자성을 가지는 금속 파우더를 배합하여 자성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폴리머에 은으로 코팅된 니켈 파우더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배합하면, 실리콘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해당 부분에 소정의 전기전도성과 자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금속 파우더는 예를 들어,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크로뮴, 티타늄과 그라파이트, 그래핀, 글래스, 세라믹 소재와 자성을 가지는 복수의 물질의 조합을 예시할 수 있으며, 원형 (sphere), 비정형 조각 (flake), 나뭇잎 (dendrite) 형태일 수 있다. 도 4a의 자성 영역은 센터홀이 형성되는 일면에 위치하는 예시이다. For example, the connection portion 34 of the wing tip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made of silicon.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ortion 3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a magnetic region by blending a metal powder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agnetism with a silicone polymer. For example, when a nickel powder coated with silver is mixed with a silicone polymer 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possible to have a predetermine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agnetism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licone. The metal powder may be, for example, silver, copper, nickel, aluminum, chromium, titanium and graphite, graphene, glass, ceramic materials, and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aterials having magnetic properties, and may be exemplified as a circle (sphere), amorphous It may be in the form of flakes or leaves. The magnetic region of FIG. 4A is an example located on one surface where the center hole is formed.

한편, 본체의 연결부 (24)는 강자성체, 즉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윙팁의 연결부와 본체의 연결부가 물리적으로 결합하면, 자성 영역 사이에 인력이 형성되어 윙팁과 본체 사이의 전기전도성, 열전도성이 향상되며, 디바이스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결합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Meanwhile, the connecting portion 24 of the main body may include a ferromagnetic material, that is, a magnet. In this case, whe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wing tip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ody are physically coupled, an attractive force is formed between the magnetic regions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rmal conductivity between the wing tip and the body,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bonding form even when the device moves. It works.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윙팁과 본체가 분리 및 결합되는 추가적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dditional example in which the wing tip and the body are separated and combined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이어팁과 본체는 물리적인 결합력, 실리콘의 탄성력, 및 자성체의 인력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ar tip and the body may be coupled using physical bonding force, elastic force of silicone, and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ic body.

도 5a는 윙팁 (30)의 연결부 (34)가 링 형상이고, 센터홀의 안쪽 면에 자성 영역이 위치하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실리콘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본체의 연결부 (24)에 끼워지는 형태이다. 즉,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를 따르면, 이어팁 (10)과 본체 (20)가 결합한 뒤, 윙팁 (30)이 탄성력을 이용하여 결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윙팁의 연결부 형상과 본체의 연결부 형상은 양각, 음각의 형태로 매칭될 수 있다. FIG. 5A shows that the connection portion 34 of the wing tip 30 is a ring shape, and is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having a magnetic region on an inner surface of the center hole, and is fit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4 of the body using elastic force of silicone. .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4A, after the ear tip 10 and the body 20 are combined, the wing tip 30 may be attached using an elastic force.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wing tip and the shape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ain body may be matched in the form of embossed or intaglio.

도 5b는 본체의 연결부 (24)가 이어팁과 연결되기 위한 제 1 연결부와 윙팁과 연결되기 위한 제 2 연결부를 구비하고,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가 결착가능한 예시이다. 도 5b에 도시된 예를 따르면, 윙팁 (30)의 연결부 (34)가 자성체의 인력 및 물리적 결합력을 이용하여 본체의 제 2 연결부에 결착되고, 이어팁 (10)의 연결부 (14)가 자성체의 인력 및 물리적 결합력을 이용하여 본체의 제 1 연결부에 결학되고, 본체의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어팁, 본체의 제 1 연결부, 윙팁, 본체의 제 2 연결부가 순서대로 조립되는 형태이다. 5B is an exampl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24 of the main body has a first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with the ear tip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with the wing tip,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re attachable. According to the example shown in FIG. 5B, the connection portion 34 of the wing tip 30 is attach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of the body using the attraction force and physical coupling force of the magnetic body, and the connection portion 14 of the ear tip 10 is the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ic body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f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f the main body by using a physical coupling force,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of the main body are combined. Form.

도 5c는 윙팁(30)의 연결부 (34)가 아치 형상이고, 아치가 본체와 결착되는 일쪽 면에 자성영역이 위치하고, 본체 역시 아치와 결착되는 일쪽 면에 자성 영역이 위치하는 예시이다. 도 5c에 도시된 예를 따르면 윙팁(30)의 연결부 (34)가 본체 (20)의 연결부 (24)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어 윙팁과 본체가 연결될 수 있다. FIG. 5C is an exampl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34 of the wing tip 30 has an arch shape, a magnetic region is located on one side where the arch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a magnetic region is located on one side where the main body is also attached to the arch. According to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5C, the connecting portion 34 of the wing tip 3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ortion 24 of the main body 20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wing tip and the main body can be connected.

도 5d는 윙팁(30)의 고리 형상의 안테나부 (35) 양단에 연결부 (34)가 형성되고, 해당 영역이 자성 영역으로 형성되고, 본체의 연결부는 안테나부의 양단이 삽입되는 영역에 자성 영역이 위치하는 예시이다. 도 5d에 도시된 예를 따르면 안테나부의 양단이 본체 (20)의 연결부 (24)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어 윙팁과 본체가 연결될 수 있다. 5d is a connection portion 34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annular antenna portion 35 of the wing tip 30, the corresponding region is formed as a magnetic reg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ain body has a magnetic region at the region where both ends of the antenna portion are inserted. Here i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5D, both ends of the antenna unit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unit 24 of the main body 20 in a vertical direction to connect the wing tip and the main body.

도 5e는 윙팁 (30)의 고리 형상의 안테나부 (35) 양단애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연결부 (34)로 동작하며, 결합부재가 본체에 삽입되는 영역에 자성 영역이 형성되는 예시이다. 본체의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재가 산입되는 영역에 자성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e에 도시된 예를 따르면, 안테나부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 부재가 본체의 연결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윙팁과 본체가 연결될 수 있다. 5E is a coupling memb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ring-shaped antenna portion 35 of the wing tip 30, the coupling member operates as a connection portion 34, and a magnetic region is formed in an area where th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his is an example.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may be formed with a magnetic region in the region where the coupling member is introduced. According to the example shown in Figure 5e, the coupling memb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antenna unit is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can be connected to the wing tip.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이어플러그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넥밴드 디바이스가 분리 및 결합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earplug-type wearable device and the neckband device are separated and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본체 (20)의 일면에 이어팁 (10)이 결합되고, 다른 일면에 충전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충전 영역은 넥밴드 형태의 디바이스 (120)의 충전 모듈과 결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충전 영역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단자 (60) 및 자성 영역 (65)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 tip 10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nd a charging area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The charging area may perform a function of supplying power to the wearable device 110 by combining with a charging module of the neckband type device 120. To this end, the charging area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harging terminal 60 and a magnetic area 65 as shown in FIG. 6A.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충전 영역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가 인간에게 장착될 때, 인간의 피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직접 접촉하는 영역과 비교하여 높은 경도의 저렴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자성 영역 (65)는 철, 코발트, 니켈과 그 합금 등 자성체 (ferromagnetic substance) 성질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자성체 금속을 함유한 실리콘 링으로 형성되어 다른 디바이스의 충전 모듈과 자기적으로 결합하고, 충전 단자 (60)를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충전 단자 (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lling are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earable device 110 is mounted on a human, may use an inexpensive material having a high hardness compared to an area directly contacting the human skin because it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human skin. For example, the magnetic region 65 may be formed of a metal having a ferromagnetic substance property, such as iron, cobalt, nickel, and alloys thereof, or formed of a silicon ring containing a magnetic metal to magnetically charge the charging module of another device. It can be combined, and supply power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60. Furthermore, the charging terminal 60 may be formed in a logo shape as shown in FIG. 6A.

이 경우, 본체 (10)는 넥밴드 디바이스 (120)와 자성 영역의 인력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넥밴드 디바이스 (120)와 결합되면 충전 단자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ain body 10 may be combined with the neckband device 120 using the attractive force of the magnetic region, and when coupled with the neckband device 120, pow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이를 위해 넥밴드 형태의 디바이스 (120)는 도 6b와 같이, 케이블의 일단에 자성영역 (66)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b는 자성 영역(66)이 케이블 일단에 링 형태로 형성되는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넥밴드 디바이스의 자성 영역은 도 6c 및 도 6d와 같은 상태로 본체의 자성영역과 인력을 형성하여 인력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6e 및 도 6f와 같은 상태로 본체의 자성영역과 결합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neckband device 120 may form a magnetic region 66 at one end of the cable, as shown in FIG. 6B. 6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magnetic region 66 is formed in a ring shape at one end of the cable. In this case, the magnetic region of the neckband device may form an attractive force by forming a magnetic region and an attractive forc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as shown in FIGS. 6C and 6D, and combined with the magnetic region of the main body in a state as shown in FIGS. 6E and 6F. Can be.

한편, 넥밴드 디바이스 (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와 결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배터리 및 안테나의 기능을 확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인간의 귀에 장착되는 이어플러그 형태의 매우 작은 장치이다. 따라서 충분한 배터리, 안테나, 센서를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는 인간의 수면 전후로 9시간의 연속 동작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효율적인 제어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Meanwhile, the neckband device 120 may perform a function of expanding the functions of the battery and the antenna of the wearable device in combination with the wearable device 110.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small device in the form of an earplug mounted on a human ea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for sufficient batteries, antennas and sensors. In particular, since the wearable device 110 must be able to continuously operate for 9 hours before and after human sleep, efficient control of the battery is a very important problem.

즉,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는 인간의 외이에 장착되는 형태를 고려하기 때문에 인간의 외이라는 매우 작은 공간에서 상기 구성요소가 구현되어야 하는 제약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센서, 대용량의 배터리, 통신 모듈을 형성하지 않고, 최소한의 공간에 최적화된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since the wearable device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a form mounted on the human outer ea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above component must be implemented in a very small space called the human outer ear.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chipsets optimized for a minimum space without forming various types of sensors, large-capacity batteries, and communication modules.

상기 넥밴드 디바이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로, 확장 안테나, 확장 배터리, 확장 센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넥밴드 디바이스 (120)는 결합부, 확장 안테나 및/또는 확장 배터리부 및 확장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eckband device is an apparatus for solving this problem, and may perform functions of an extension antenna, an extension battery, and an extension sensor. More specifically, the neckband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upling part, an extension antenna and / or an extension battery part and an extension sensor part.

결합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와 자기적으로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부는 급전 단자 및 자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급전 단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의 충전 단자 (60)와 일치되는 로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넥밴드 디바이스의 마그네틱 영역 (6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자성 영역 (65)과 자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양자가 결합되면, 급전 단자를 통해 확장 배터리부의 전력을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coupling unit may perform a function of magnetically coupling with the wearable device 110. To this end, th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power supply terminal and a magnetic region,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may be formed in a logo shape that matches the charging terminal 60 of the wearable device 110. Further, the magnetic region 66 of the neckband device may magnetically couple with the magnetic region 65 of the wearable device, and when both are combined, provide power of the extended battery unit to the wearable device 110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Can be.

한편, 확장 센서부는 수면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체에 접촉하여 생체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실리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센서부는 인간의 피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의 전극 (15, 25, 35)와 비교하여 높은 경도의 저렴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extended sensor unit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for collecting data on the sleeping environment, and may also include a silicon sensor for collecting bio signals by contacting a user's body.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nsor unit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human skin, it may be possible to use an inexpensive material having a high hardness compared to the electrodes 15, 25, 35 of the wearable device 110.

한편, 넥밴드 디바이스 (12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가 결합되면, 넥밴드 디바이스 (120)의 안테나 모듈 (80)을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에서 사용할 수 있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의 통신 커버리지가 확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neckband device 120 and the wearable device 110 are combined, the antenna module 80 of the neckband device 120 can be used in the wearable device 110, so that the communication coverage of the wearable device 110 is improved. Can be extended.

도 7은 도 6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즉, 본체(20)의 일면에 자성영역(65)이 형성되고, 케이블의 일단에 자성영역 (66)이 형성된 넥밴드 디바이스 (120)가 자성 영역 사이의 인력을 이용하여 결합된 형태의 예시도면이다. 7 is a wearable device 110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FIG. 6, that is, a magnetic region 65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nd a neckband device 120 having a magnetic region 66 formed at one end of the cable 120 ) Is an exemplary drawing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using an attractive force between magnetic regions.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와 넥밴드 디바이스 (120)에 자성영역이 형성되고, 자성 영역의 인력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와 넥밴드 디바이스 (120)가 결합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 shows that a magnetic region is formed in the wearable device 110 and the neckband device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earable device 110 and the neckband device 120 are formed by using the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ic region.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to be combin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의 본체(20)는 이어팁 (10)과 결착되는 측면에 도 8a의 65와 같이 자성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넥밴드 디바이스 (120)는 케이블의 끝 단을 이루는 일면에 도8a의 66과 같이 자성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8b와 같은 각도이면 양쪽의 자성 영역 사이에 인력이 형성되어 도 8c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넥밴드 디바이스가 결합될 수 있다. 도 8d는 도 8a내지 도 8c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즉, 본체(20)의 측면에 자성영역(65)이 형성되고, 케이블의 끝단을 이루는 일면에 자성영역 (66)이 형성된 넥밴드 디바이스 (120)가 자성 영역 사이의 인력을 이용하여 결합된 형태의 예시도면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20 of the wearable device 110 may be formed with a magnetic region as shown in FIG. 8A 65 on a side of the ear tip 10. Furthermore, the neckband device 120 may be formed with a magnetic region as shown in FIG. 8A 66 on one surface forming the end of the cable. In this case, when the angle is the same as in FIG. 8B, an attractive force is formed between the magnetic regions on both sides, so that the wearable device and the neckband device can be combined as shown in FIG. 8C. 8D is a wearable device 11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8A to 8C, that is, a magnetic region 65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nd a magnetic region 66 is formed on one surface forming the end of the cable. The formed neckband device 120 is an exemplary view in a form in which a magnetic force between magnetic regions is combined.

도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와 넥밴드 디바이스 (120)에 자성영역이 형성되고, 자성 영역의 인력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와 넥밴드 디바이스 (120)가 결합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is a magnetic area is formed on the wearable device 110 and the neckband device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earable device 110 and the neckband device 120 are formed using the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ic area.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to be combin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의 본체(20)는 도 9a의 65과 같이 이어팁 (10)과 결착되는 측면에 결합 영역을 음각으로 형성하고, 결합 영역은 노출되는 면에 자성 영역을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넥밴드 디바이스 (120)는 케이블의 끝 단을 이루는 일면에 도9b의 66과 같이 자성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9c와 같은 각도에서 자성 영역은 각각 65, 66에 위치할 것이며, 도 9d와 같은 각도이면 양쪽의 자성 영역 사이에 인력이 형성되어 도 9e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넥밴드 디바이스가 결합될 수 있다. 도 9e는 도 8a내지 도 8d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즉, 본체(20)의 측면에 자성영역(65)이 음각으로 형성되고, 케이블의 끝단을 이루는 일면에 자성영역 (66)이 형성된 넥밴드 디바이스 (120)가 자성 영역 사이의 인력을 이용하여 결합된 형태의 예시도면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20 of the wearable device 110 is formed with a concave region on the side that is attached to the ear tip 10, as shown in Figure 9a 65, the coupling region is exposed on the surface A magnetic region can be formed. Furthermore, the neckband device 120 may have a magnetic region as shown in FIG. 9B 66 on one surface forming the end of the cable. In this case, the magnetic regions will be located at 65 and 66, respectively, at an angle as shown in FIG. 9C, and if the angles are as illustrated in FIG. 9D, an attractive force is formed between both magnetic regions, so that the wearable device and the neckband device are combined as shown in FIG. 9E. Can be. 9E is a wearable device 11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8A to 8D, that is, a magnetic region 65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s an intaglio, and a magnetic region 66 on one surface forming an end of the cable. )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the neckband device 120 is formed by using an attractive force between magnetic regions.

한편, 도면에 별도로 도시된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연결되지 않고 자체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 스마트폰과 연동하지 않고, 사용자 생체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수면 상태를 추정하며, 추정된 수면 상태에 따라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수면 유도 및 각성이라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한 별도의 조작을 할 필요없이,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식이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Meanwhile, although not separately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wearable devic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and a processor, and is capable of operating itself without being connected to other devices. That is, the wearable device may collect a user's bio-signal without interworking with the user's smartphone, estimate the sleep state based on the collected bio-signals, and provide a stimulus according to the estimated sleep state. This is because the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state is most suitable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sleep induction and awakening, without the user having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through a smartphone.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는 사용자 장착이 감지되면 생체 신호 수집을 시작하고, 장착 후 일정 시간이 지나도 수면 상태로 진입하지 않으면 수면 유도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수면 전, 얇은 잠, 깊은 잠, 수면 후 등으로 분리하여 판단하고, 수면 상태에 따라 핑크 노이즈, 화이트 노이즈,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ASMR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오디오 컨텐츠, 또는 수면 각성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earable device 110 may start collecting bio-signals when a user is detected, and apply a sleep-inducing stimulus if it does not enter a sleep state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mounting. Furthermore, ASMR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audio content that can determine the user's sleep state by pre-sleep, thin sleep, deep sleep, and after sleep, and give pink noise, white noise,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sleep state, Alternatively, content for sleeping awakening may be provided.

보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는 센서 모듈, 자극출력부, 안테나, 결합부, 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 신호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LED를 예시할 수 있으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장착된 상태, 생체 신호 수집 상태, 충전 상태, 다른 디바이스와 결합된 상태,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상태를 구별하기 위해 각각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wearable device 110 may include a sensor module, a stimulus output unit, an antenna, a coupling unit, a memory, and a control unit, and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a signal processing module, an interface,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status. have. The display may exemplify an LED, and each of the wearable device is distinguished from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mounted, a state in which a bio-signal is collected, a state of charge,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another device, or a stat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or from another device. The function of displaying in different colors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센서부는 착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 소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모듈로 구현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모션 센싱 데이터는 사용자가 누워서 움직임이 거의 없어지는 수면 준비 상태로 진입했는지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tion sensor that senses the movement of the wearer. The motion sen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and it is appropriate to implement a module with relatively low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ion sensing data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entered a sleep ready state in which motion is almost eliminated by lying down.

나아가 센서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접촉 센서, 체온 센서, 조도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contact sensor, a body temperature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that senses whether the wearable device is mounted on the user.

한편 센서부는 착용자의 생체 전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전기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 피부에 밀착되는 부위에서 획득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 electrode for receiving a bioelectrical signal of the wearer. As described above, the bioelectrical signal may be obtained at a portion where the wearable devi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인간의 생체 전기 신호는 신경, 근육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전기 화학적인 작용에 의해 발생하며, 전극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신호는 근전도, 안전도, 뇌전도 및 심전도를 포함하며, 상기 근전도, 안전도, 뇌전도 및 심전도 신호가 결합된 형태로 수집될 수 있다. The human bioelectric signal is generated by the electrochemical action of cells constituting nerve and muscle tissue, and can be measured using a sensor such as an electrode. For example, the bio-signals include electromyography, safety, electroencephalogram and electrocardiogram, and the electromyography, safety, electroencephalogram and electrocardiogram signals may be collected in a combined form.

예를 들어, 근전도는 근육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신호로서, 사용자의 얼굴의 근육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신호이다. 근전도는 근섬유막에서 발생하는 생리적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 신호가 측정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사용자가 수면 중 어금니를 깨무는 이갈이 증상이 있는지, 코콜이 증상, 잠꼬대 증상이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가중치 또는 파라미터로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EMG is a signal showing muscle movement, and is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muscle movement of a user's face. Electromyography is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a physiological change occurring in the muscle fiber membrane,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of the us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molar symptom biting a molar during sleep, a cocoil symptom, or a drool symptom Or it can be used as a parameter.

예를 들어 안전도는 눈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신호로서, 눈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의 각막 사이의 전압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이다. 눈의 각막(+)과 망막(-) 간에는 일정한 전위가 존재하여 쌍극자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정면을 응시할 때는 제로(0), 사용자가 왼쪽을 응시하면 + 성분이, 우측을 응시하면 - 성분이 출력되며, 전극의 극성과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 - 성분은 바뀔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안전도는 눈동자 움직임 등을 측정하여 렘수면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가중치 또는 파라미터로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afety level is a signal showing the movement of the eye, and is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due to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corneas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eye. There is a constant potential between the cornea (+) of the eye and the retina (-), which acts as a dipole. When the user gazes in front, it is zero (0), and when the user gazes to the left, the + component, when gazing to the right,-component It is output and the + and-components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polarity of the electrode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level may be used as a weight or parameter for analyzing REM sleep state by measuring pupil movement and the like.

나아가 뇌전도는 뇌의 활동 상황을 보여주는 신호로서, 인간의 신경계에서 뇌신경 사이로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 신호이다. 본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뇌전도는 뇌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수면 패턴을 추정하기 위한 가중치 또는 파라미터로 사용될 수 있Furthermore, an electroencephalogram is a signal that shows the activity state of the brain and is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human nervous system to the brain ner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EG may be used as a weight or parameter for estimating sleep patterns by measuring brain activity.

다.All.

나아가 심전도는 심장의 수축과 이완시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이며 체표면에서 쉽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생체신호이다. 심장의 운동은 분당 박동수(bpm)으로 표시되며, heart rate의 변화를 통하여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알 수 있다. Furthermore, an electrocardiogram is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during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heart and is the most representative biosignal that can be easily and quickly measured on the body surface. The movement of the heart is expressed in beats per minute (bpm), and changes i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can be seen through changes in the heart rate.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심전도는 왼쪽과 오른쪽 귀에서 각각 수집된 한쌍의 생체 신호를 동기화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심전도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호흡 패턴이 추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렘수면 시에는 호흡수와 호흡량이 줄어들며, 렘수면 기간에는 호흡 패턴이 매우 불규칙한 특징을 나타나는데 심전도 및 심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추정된 호흡 패턴을 이용하여 수면의 단계를 추정할 수 있다. 나아가 수면 무호흡증을 분석하는 가중치 또는 파라미터로 사용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cardiogram may be used as a reference for synchronizing a pair of biological signals collected from the left and right ears, respectively. Furtherm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s breathing pattern may be estimated from an ECG signal. For example, the respiratory rate and the respiratory rate decrease during non-remed sleep, and during the REM sleep period, the respiratory pattern exhibits very irregular characteristics. The stage of sleep can be estimated using the respiratory pattern estimated using the electrocardiogram and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Furthermore, it may be used as a weight or parameter for analyzing sleep apnea.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자극출력부는 예를 들어, 오디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부는, 사용자 수면 상태에 따라 수면 유도 음악, 사운드 자극은 물론 각성 유도 음악, 진동 및 사운드 자극을 출력할 수 있다.In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mulus output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n audio unit. The audio unit may output awakening-inducing music, sound stimulation as well as awakening-inducing music, vibration, and sound stimulation according to a user's sleep state.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다른 디바이스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수집된 생체 신호 데이터, 센싱 데이터 및/또는 수면 유도 및/또는 각성을 유도하기 위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것은 아니지만, 전극을 통해 감지된 생체 전기 신호를 증폭시키고, 노이즈를 제거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 모듈,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another device, and a coupling unit for coupling with another device. Furthermore, it may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collected biosignal data, sensing data, and / or content for inducing sleep and / or awakening. Furthermore, although not illustrated in FIG. 5, a signal processing module that amplifies the bioelectric signal sensed through an electrode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to remove noise and convert it into a digital signal, data stored in a battery and a memory supplying power It may include an interface for transmission to another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인간의 외이에 장착되는 형태를 고려하기 때문에 인간의 외이라는 매우 작은 공간에서 상기 구성요소가 구현되어야 하는 제약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센서, 대용량의 배터리, 통신 모듈을 형성하지 않고, 최소한의 공간에 최적화된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a form mounted on the human outer ea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above component must be implemented in a very small space called the human outer ear.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chipsets optimized for a minimum space without forming various types of sensors, large-capacity batteries, and communication module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다른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센서 모듈을 통해 입력된 생체 전기 신호를 증폭, 노이즈 제거, 디지털 신호로 변화하도록 신호 처리 모듈을 제어하고, 신호 처리된 생체 신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미리 저장된 사용자 수면 패턴과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비교하여 적절한 자극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rve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to amplify, remove noise, and change the bio-electrical signal input through the sensor module into a digital signal, stores the signal-processed bio-signal data in a memory, and stores previously stored user sleep patterns It can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an appropriate stimulus by comparing the user's sleep state with.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입력되는 생체 신호를 드랍(drop) 또는 저장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최소한의 공간에 구성요소들이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메모리 용량 역시 최적화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입력되는 모든 신호를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가 수면 준비 상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생체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o drop or store the input bio signal. 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device needs to be optimized because the components must be formed in a minimum spac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store the bio-signal in the memory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entered the sleep ready state, rather than storing all input signals.

예를 들어, 제어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장착이 감지되고, 모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 데이터의 변위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하로 일정 기간 유지되는 경우에 생체 신호를 저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장착이 감지되고, 모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누운 자세의 패턴을 따르는 경우, 생체 신호를 저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process to store the bio-signal when the user's wearing of the wearable device is sensed and the displacement of the user's movement data measured through the motion sensor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below a preset range.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may process to store a biosignal when a user's wearing of the wearable device is detected and the user's motion data measured through the motion sensor follows a preset lying posture pattern.

한편 제어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탈착한 것이 감지되면 생체 신호 저장을 중단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된 생체 신호 데이터가 통신 모듈을 통해 다른 장치로 전송된 경우, 해당 데이터는 삭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베이스 스테이션 (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또는 넥밴드 디바이스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환경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부, 수면 및/또는 각성을 유도하기 위한 자극 출력부 및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신호처리 모듈 및 메모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detects that the wearable device is detached, the controller may stop storing the bio-signal, and when the bio-signal data stored in the memory is transmitted to another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orresponding data may be deleted. On the other hand, the base station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is a wearable device and / or a coupling unit for coupling with a neckband device, a display that displays the statu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 A sensor unit for collec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a stimulus output unit for inducing sleep and / or wakefulness, and a processor. Furthermore, a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a memory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센서부는 수면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조도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사운드 센서 및/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performs a function of collecting sleep environment information, and may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sound sensor, and / or an infrared sensor.

상기 자극 출력부는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후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디퓨저, 수면 상태에 따라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조명, 수면 상태에 따라 청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오디오 및 촉각적 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imulus output unit includes a diffuser that provides olfactory stimulation that provides psychological stability, lighting that provides visual stimulation according to sleep state, and audio that provides auditory stimulus according to sleep state, and an electric unit for providing tactile stimulation can do.

본 명세서와 도면에 게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게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to provide a specific exampl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Claims (5)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탄성력 있는 제 1 재료를 바탕으로 적어도 일부는 전도성이 있는 제 2 재료 - 상기 제 1 재료 및 상기 제 2 재료는 일체로 형성되어 분리되지 않으며- 로 형성되며, 나아가 자성이 있는 제 3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재료를 통해 사용자 피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 2 재료를 통해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집하며, 상기 제 1 재료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본체에 결착되는 이어팁;
전기적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회로 및 상기 이어팁이 물리적으로 결착되며, 상기 제 3 재료와 자기적 인력을 형성하는 제 4 재료를 포함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는, 상기 제 1 결합부에 상기 이어팁이 결착되면 상기 제 2 재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In the wearable device mounted on the user's ear,
On the basis of the elastic first material, at least a part is formed of a conductive second material-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are integrally formed and are not separated-further comprising a third magnetic material , Ear tips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through the first material, collect electrical bio signals through the second material, and are attached to the bod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material;
A circuit for acquiring an electrical biosignal and the ear tip are physically attached,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including a fourth material forming a magnetic attraction with the third material, wherein the circuit includes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bod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aterial when the ear tip is attached.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고리 형상의 안테나부 및 상기 본체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자성이 있는 제 5 재료를 포함하는 윙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윙팁이 물리적으로 결착되며, 상기 제 5 재료와 인력을 형성하는 제 6재료를 포함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는 상기 제 2 결합부에 상기 윙팁이 결착되면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ing-shaped antenna unit including an electrode for collecting electrical bio-signals and a wing tip comprising a fifth magnetic material that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e main body,
The wing tip is physically attached, and includes a second coupling portion comprising a fifth material and a sixth material forming an attractive force, and the circu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when the wing tip is attach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윙팁은, 상기 고리 형상의 안테나부의 양단에 결합되며, 센터홀을 형성하는 링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 연결부는, 상기 센터홀이 형성되는 일면에 상기 제 6 재료가 위치하고, 상기 제 2 결합부에 상기 센터홀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2,
The wing tip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annular antenna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ring connection portion forming a center hole,
The ring connection portion, the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xth material is located on one surface where the center hole is formed, and the center ho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윙팁은, 상기 고리 형상의 안테나부의 양단이 상기 본체의 상기 제 2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안테나부의 양단에 상기 제 6 재료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2,
The wing tip,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annular antenna por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sixth material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antenna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안테나 모듈 및 배터리를 제공하는 다른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제 3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결합부는, 상기 제 1 결합부가 형성된 일면의 반대쪽 면에 자성이 있는 제 5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결합부가 형성된 면에 상기 제 5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2,
The main body includes a third coupling unit for connecting to the antenna module and other devices providing a battery,
The third coupling portion is formed by including a fifth material having a magnetic force on a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on which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or by including the fifth material on a surface wher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Wearable device.
KR1020180140792A 2018-11-15 2018-11-15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KR1021715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792A KR102171566B1 (en) 2018-11-15 2018-11-15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792A KR102171566B1 (en) 2018-11-15 2018-11-15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744A true KR20200056744A (en) 2020-05-25
KR102171566B1 KR102171566B1 (en) 2020-10-29

Family

ID=70914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792A KR102171566B1 (en) 2018-11-15 2018-11-15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56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524A (en) * 2020-05-27 2021-12-06 링크페이스 주식회사 Conductive silicon devices and manufaturing methods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CN113949958A (en) * 2021-10-08 2022-01-18 日月光半导体制造股份有限公司 Earplu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542A (en) 2011-08-25 201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electic signals
KR20160061711A (en) * 2014-11-24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Earphone
EP3181041A1 (en) * 2015-12-18 2017-06-21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in ear eeg sensing and audio delivery for sleep enhanc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542A (en) 2011-08-25 201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electic signals
KR20160061711A (en) * 2014-11-24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Earphone
EP3181041A1 (en) * 2015-12-18 2017-06-21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in ear eeg sensing and audio delivery for sleep enhance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524A (en) * 2020-05-27 2021-12-06 링크페이스 주식회사 Conductive silicon devices and manufaturing methods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CN113949958A (en) * 2021-10-08 2022-01-18 日月光半导体制造股份有限公司 Earplu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13949958B (en) * 2021-10-08 2024-04-16 日月光半导体制造股份有限公司 Earplu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566B1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0469B2 (en) Systems and methods to gather and analyze electroencephalographic data
US20220192513A1 (en) Remote Physiological Monitor
US20200085331A1 (en) Wearable electrocardiographic measurement device
JP6889941B2 (en)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US103350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analyzing biosignals
KR102100120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onitoring of bio signals
KR102101809B1 (en) Sleep and arousal inducing device
CN115209936A (en) Wearable device
EP2698099B1 (en) Systems and methods to gather and analyze electroencephalographic data
Leonhardt Personal healthcare devices
KR20160060535A (en) Bioelectr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US20220218280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KR20210065536A (en) Depression self-diagnosis system using brainwave signal
KR102171566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JP2022059147A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TW202226847A (en) Ear-type smart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increasing the use convenience in regulating the state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of a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