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674A - Integrated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of pet - Google Patents

Integrated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of p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674A
KR20200056674A KR1020180140624A KR20180140624A KR20200056674A KR 20200056674 A KR20200056674 A KR 20200056674A KR 1020180140624 A KR1020180140624 A KR 1020180140624A KR 20180140624 A KR20180140624 A KR 20180140624A KR 20200056674 A KR20200056674 A KR 20200056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data
chronic disease
companion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6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승익
최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메오
Priority to KR1020180140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6674A/en
Publication of KR20200056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6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chronic disease of a pet which diagnoses and manages a chronic disease for a pet in an integrated manner, a server thereof and a method thereof. A pet measuring device is worn on the pet to detect the bio data of the pet. A pet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rver receives and monitors the pet′s biological data, in real-time, detected by the pet measuring device to manage the pet′s chronic disease. A database receives and registers the pet′s biometric data that is monitored in real time from the pet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rver. A network connects the pet measuring device and the pet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by communication so tha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pet measuring device and the pet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is performed.

Description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Integrated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of pet}Integrated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of pet}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려동물에 대한 만성질환을 진단하고 반려동물의 만성질환에 대해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chronic diseases of companion animals, a server, and a method. In particular, a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s implemented to diagnose chronic diseases for companion animals and to comprehensively manage chronic diseases of companion animals. It relates to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server and method.

반려동물 운동 시의 운동량이나 건강상태 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운동량을 반려인이 직접 측정하거나 동물 병원에 직접 방문해야 하나, 반려인 입장에서는 이를 매번 측정하거나 동물 병원에 방문하게 되면 번거로운 등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의 건강을 외부에서도 관리 가능한 방법이 요구된다.In order to measure the amount of exercise or health during companion animal exercise, it is difficult for the companion to measure the exercise amount or visit the animal hospital directly, but it is difficult for the companion to measure it every time or visit the animal hospital. . Accordingly, a method capable of managing the health of the companion animal from the outside is required.

한국등록특허 제10-1817241호(2018.01.04 등록)는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반려동물의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 단말기; 반려동물의 신체에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 및 운동량을 측정하는 건강 상태 및 운동량 측정기; 및 반려동물에게 놀이나 운동을 유도하도록 하거나 놀이나 운동을 관찰하기 위한 유도 관찰기를 포함하며, 보호자 단말기, 건강 상태 및 운동량 측정기, 및 유도 관찰기는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보호자 단말기에는 서버에서 제공된 "펫뷰" 앱이 설치되되, "펫뷰" 앱은 유도 관찰기를 직접 무선 조정하거나, 유도 관찰기에 놀이나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반려동물에게 놀이나 운동을 유도하도록 하고, 유도 관찰기를 통해 관찰된 데이터, 건강 상태 및 운동량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건강 상태 및 운동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분석하며, 동물 병원에서 측정된 건강 상태 및 운동량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면서 상태 체크 및 건강관리 상담 자료로 활용하도록 동물 병원과 연동되어 동물 병원으로 측정된 건강 상태 및 운동량 데이터를 전송하고, "펫뷰" 앱은 동물 병원과 연동되어 반려동물에 대한 동물 병원의 건강 관련 서비스를 기록하는 동물 수첩 뷰 기능을 제공하며, 동물 수첩 뷰를 통해 사전 예약, 문진 서비스, 건강 상태의 기록 서비스, 병원 방문 기록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예방 접종 기록에 대해 열람하거나 예방 접종일을 알리는 디데이 표시 기능을 제공하며, "펫뷰" 앱은 보호자가 반려동물에 대한 다이어리를 작성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다이어리 기능을 제공하되, 다이어리 기능은 텍스트 작성과 이미지(혹은 동영상) 업로드를 할 수 있으며, 이미지를 최대 4장까지 게시 가능하며, 다이어리 작성 중에도 즉시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며, 다이어리 관련 이벤트 발생 시 참여 기능으로 해당 글을 제보 가능하고, 현재 다이어리에서 해당 수첩의 동물뿐만 아니라 반려동물 목록을 통해 별도의 이동 없이 즉시 다른 동물에 대한 다이어리 작성을 가능케 하며, 다이어리 이미지 업로드 및 쓰기는 회전/크롭(crop)/효과 적용이 가능하고, 여러 장 또는 개별 적용 가능하고, 다이어리에 대한 디스플레이 설정은 상태 메시지의 함께 지낸 날짜/디데이 표기 기능을 포함하고, 함께 지낸 날짜 수 보기는 날짜 선택 픽커 팝업이 출력되고, 디데이 보기는 생일이 등록되었을 시 자동으로 출력되고, 생일 미등록 시 입력 요청 문구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놀이를 통한 반려동물의 운동 효과를 유도하며, 반려동물의 건강을 외부에서도 관리 가능하며, 보호자의 직접 컨트롤이 힘든 경우에도 놀이나 운동 프로그램 설정이 가능하며, 보호자가 직접 컨트롤하여 놀이나 운동 시 교감 기능을 가진다.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817241 (registration on 01.04.2018) discloses a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a companion animal, a guardian terminal carried by a guardian of the companion animal; A health state and a momentum measuring device attached to the body of a companion animal to measure the health condition and the momentum of the companion animal in real time; And an induction observer for inducing a companion animal to play or exercise, or for observing play or exercise, wherein the guardian terminal, health condition and momentum meter, and the induction observer ar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guardia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erver. The "Pet View" app is installed, but the "Pet View" app wirelessly controls the guided observer directly or provides a play or exercise program to the guided observer to induce play or exercise to a companion animal, and the data observed through the guided observer, It receives and stores and analyzes the health status and momentum data measured through the health status and momentum meter, and monitors the health status and momentum data measured in the veterinary hospital, and is linked with the veterinary hospital to use it as a health check and health care consultation The pet health app transmits the measured health status and momentum data to the animal hospital, and the "Pet View" app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animal hospital to provide the animal handbook view function that records the health related services of the animal hospital for the companion animal. It provides advance reservations, paperweight service, medical record service, hospital visit record service, and a D-Day display function to view vaccination records or notify the date of vaccination. It provides a diary function that allows you to write or check the diary, but the diary function can write texts and upload images (or videos), post up to 4 images, and add a function that allows you to shoot immediately while writing a diary In the event of a diary related event, it is possible to report the article with the participation function.In the current diary, it is possible to create a diary for other animals immediately without moving through the list of companion animals as well as companion animals. Writing can be rotated / crop / effect applied, multiple or individually applied, display settings for diary include date / dedate notation of status messages, and number of days spent together is dateThe selected picker pop-up is output, and the D-Day view is automatically output when the birthday is registered, and an input request phrase is output when the birthday is not registered.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movement effect of a companion animal through play, the health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managed externally, and even if the direct control of the guardian is difficult, a play or exercise program can be set, and the guardian directly controls It has a sympathetic function when playing or exercising.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0384호(2018.04.20 공개)는 반려동물에 대한 건강관리뿐 아니라 반려동물의 행동 양태를 파악하며, 동물병원 및 보호자와의 직접 연계가 가능한 반려동물 종합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반려동물 종합 관리 시스템으로서, 반려동물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반려동물의 생체정보를 저장한 동물단말밴드; 반려동물의 우리 및 먹이그릇 및 배변기 및 놀이기구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감지물체의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센서부를 포함하여 감지센서부 및 동물단말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생체정보를 입력받는 감지모듈; 비콘으로 이루어져 생체정보를 메인관리서버로 전달하는 통신모듈;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반려동물의 감지물체에 대한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이용판단모듈 및 생체정보를 반려동물의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단말 및 동물병원에 구비된 동물병원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발송하는 생체정보발송모듈을 포함하는 메인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40384 (published on April 20, 2018) identifies not only the health management of companion animals, but also the behavioral patterns of companion animals, and provides a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for companion animals tha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animal hospitals and guardians. Disclosed.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a companion animal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n animal terminal band that is mounted on a companion animal and stores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 plurality of sensing objects including a companion animal cage, a food bowl, a toilet and a play equipment,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nsing sensor unit and an animal terminal band including a sensing sensor unit including a pressure sensor. A sensing module that receives biometric information; A communication module consisting of beacons and transmitting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main management server; A living body that receives biometric information and sends a usage determination module and a biometric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sensing objec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at least one of the guardian terminal possessed by the guardian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provided in the animal hospita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in management server including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한편, 반려동물의 노령화 추세와, 이에 따른 반려동물의 만성질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데, 만성질환군의 범위로는 알레르기, 만성신부전증, 인지기능장애, 쿠신증후군, 만성신부전증, 당뇨병, 비만, 골관절염, 퇴행성 심막 판막 질환, 인지 기능 장애, 췌장염, 치주질환 등이 있다. 그리고 질환 보유 반려동물의 75(%)가 노령견(9세 이상)이며, 그 중 77.6(%)이 지속적인 만성질환 치료를 받아야 하며, 반려동물의 노령화 추세가 이어짐에 따른 반려동물 만성질환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다.Meanwhile, the aging trend of companion animals and, accordingly,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in companion animals are increasing. The range of chronic disease groups includes allergies, chronic renal failure, cognitive dysfunction, kusin syndrome, chronic renal failure, diabetes, obesity, osteoarthritis, Degenerative pericardial valve disease, cognitive dysfunction, pancreatitis, periodontal disease, and the like. In addition, 75% of companion animals with disease are elderly dogs (9 years old or older), 77.6% of them must receive continuous chronic disease treatment, and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is essential as the companion animal's aging trend continues. It is emphasized that it is necessary.

대표적 반려동물 만성질환인 만성신장병(Chronic Kidney Disease)과 쿠싱증후군(부신피질 기능항진증)은, 외적으로 드러나는 증세가 없어 초기 발견률이 매우 낮으며, 또한 면역력이 약화된 노령견의 경우 2차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다. 그리고 만성질환 대부분은 체중, 체온, 혈압, 심전도 등의 대사증후군의 지속적 관리로 사전 예방이 가능하나, 종래 기술에서는 만성질환 진단을 위한 무선 형태의 주요 데이터 수집 사례가 없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서, 종래 기술에서는 만성질환의 낮은 조기 발견율과, 합병증 동반위험 증가 및 이에 따른 대처방안이 미흡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Chronic Kidney Disease (Chronic Kidney Disease) and Cushing's Syndrome (adrenal cortical hyperactivity), which are representativ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s, have very low initial detection rate due to no external manifestations, and are also secondary complications in the case of elderly dogs with weakened immunity. The resulting mortality rate is high. In addition, most of chronic disease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continuous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such as weight,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and electrocardiogram, but in the prior art, there is no case of collecting key data in a wireless form for diagnosing chronic diseases. In other words, the prior art has the disadvantages of low early detection rate of chronic disease, increased risk of complications, and insufficient coping measures.

종래 기술에서는, 피부표면으로 측정하는 혈압, 심박, 호흡, 활동량 등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체크하고 있으나, 이러한 외부 온도, 감정상태, 활동량 등의 데이터 경우에, 일상 활동과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일시적 변동폭이 크기 때문에, 수의학적 측면에서 질환 추측 및 진료 데이터 또는 객관적인 건강 현황 진단을 위한 진단 데이터로서 부적절한 단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수집한 생체데이터 기반 활동량, 수면량, 체온 등은, 반려동물의 일상생활에 따른 생체 변화 데이터(즉, 단일정보)만 제시할 뿐,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근거데이터로서는 신뢰도가 낮으며, 데이터 활용을 통한 만성질환 예방과 같은 특정 질환 예후 예측과 같은 유의미한 데이터 활용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In the prior art, the health cond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is checked using blood pressure, heart rate, breathing, and activity, etc. measured by the skin surface. However, in the case of data such as external temperature, emotion, and activity, daily activities and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Because of the large temporal fluctuations, it also has an inadequate disadvantage in terms of veterinary medicine as disease diagnosis and medical data or diagnostic data for objective health status diagnosis. In addition, the biological data-based activity amount, sleep volume, body temperature, etc. collected in the prior art only provide bio-change data (ie, sing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aily lif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have low reliability as evidence for preventing chronic diseases. In addition, it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not providing meaningful data utilization services, such as predicting the prognosis of certain diseases, such as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through data utilization.

한국등록특허 제10-1817241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817241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038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4038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 내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려동물에 대한 만성질환을 진단하고 반려동물의 만성질환에 대해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necessities or disadvantages as described above, and is a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mplemented to diagnose a chronic disease for a companion animal and to manage the chronic disease of the companion animal in an integrated manner. It provides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server and metho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반려동물에 착용시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감지하기 위한 반려동물 측정기;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에서 감지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수신받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는 반려동물 생체데이터를 전달받아 등록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와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 사이를 통신으로 연결시켜, 서로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for sensing a companion animal's biological data by wearing it on a companion animal;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s by receiving and receiving real-time monitoring of the companion animal's biological data detected by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A database for receiving and registering companion animal biometric data monitored in real time from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d a network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and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each oth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반려동물의 피부 표면을 측정하여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얻기 위한 비침습형 IoT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on-invasive IoT sensor for measuring the skin surface of the companion animal to obtain bio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체온, 체중, 심박, 심전도, 혈압, 맥박, 호흡, 운동량의 생체데이터로, 반려동물의 생명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by sensing a biosignal generated in the life activity process of the companion animal as bio data of body temperature, weight, heart rate,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pulse, breathing, and exercise amoun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만성질환 및 건강상태를 추측할 수 있는 근거 데이터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sed as basis data for estimating a chronic disease and a health condition based on a biosign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반려동물의 산소포화도를 센싱하여 기 설정된 수치만큼의 변동 시에 반려동물의 이상상태임을 확인하도록 하기 위한 산소포화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oxygen saturation sensor for sensing the companion animal's oxygen saturation and confirming that the companion animal is in an abnormal state upon fluctuation by a predetermined valu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반려동물의 목 부위를 감싸 착용하도록 한 넥밴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neckband shape to be worn around the neck of the companion anim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넥밴드 센서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기록하여 건강 현황을 체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ords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real time using a neckband sensor to check the health statu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광 신호를 이용하여 광학적 산소포화도를 검출하는 광 검출기; 상기 광 검출기에서 검출된 광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상기 광 검출기에서 검출된 광 신호에서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는 데이터 수집 필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comprises: an optical detector that detects optical oxygen saturation using an optical signal;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ptical signal detected by the photo detector; And a data collection filter for removing unnecessary signals from the optical signal detected by the photo detecto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체온감지센서, 심박동감지센서, 자이로센서, 적외선센서, 체중센서, 심전도센서, 혈압감지센서, 맥박감지센서, 호흡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body temperature sensor, a heart rate sensor, a gyro sensor, an infrared sensor, a weight sensor, an electrocardiogram sensor, a blood pressure sensor, a pulse sensor, and a breath senso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넥밴드 구조의 상단 양측에 실리콘 온도센서를 돌출 형성시켜 반려동물과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silicon temperature sensors are protruded on both sides of the neckband structure to contact the companion anim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넥밴드 구조에서 반려동물의 기도를 감싸는 하단 양측에 심박동감지센서를 구비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eckband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heart rate sensor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surrounding the airway of the companion anim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넥밴드 구조의 하단 양측에 산소포화도 센서를 위치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by placing oxygen saturation sensors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neckband structur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심박동감지센서를 넥밴드 구조의 좌우에 부착하여 피부에 접촉하도록 형성하며, 자이로센서의 정지 시에 측정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진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rt rate sensor i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neckband structure to make contact with the skin, and diagnoses based on the measured data when the gyro sensor is stopp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데이터 보정 루틴을 적용시켜, 센싱되는 1(khz) 초과의 주파수 신호를 배제하고, 10 ~ 1000(hz)의 주파수 신호만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a data correction routine is applied to exclude a sensed frequency signal exceeding 1 (khz) and to control only a frequency signal of 10 to 1000 (hz).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반려동물 종별 개체 특징을 보정하기 위한 추가 주파수 밴드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dditional frequency band filter for correct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ion animal speci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저전력 ADC 컨버터 정전류 회로 및 전류 보정치 개선을 위한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low-power ADC converter constant current circuit and a filter for improving the current correction valu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저전력 소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using a low power consumption algorithm.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최소단위 소비전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출력 제어모듈별 순차 시퀀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quential sequence for each input / output control module is performed using a minimum unit power consumption algorithm.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CPU 내부 클록을 이용하여 슬립모드를 적용시키고 기 설정된 시간마다 주기적 통신을 수행하며, 배터리 상태가 기 설정된 양보다 낮을 경우에 통신 간격 또는 센싱 수집 간격을 기 설정된 시간만큼 길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applies a sleep mode using a CPU internal clock and performs periodic communic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and determines a communication interval or sensing collection interval when the battery status is lower than a preset amount.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for a long time as a set tim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위치감지수단을 구비하여 활동량 또는 위치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location detecting means to detect the activity amount or movement of the location and notify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 정보를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by detecting motion using a gyro sensor and notifying motion information to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rv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는, 반려동물 만성질환에 대한 건강 위험 관리를 위한 VSTS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STS for managing the health risk for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VSTS를 이용하여 모니터링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통해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nages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through the bio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monitored using the VST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반려동물의 진료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동물병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nimal hospital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companion animal's medical data to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VSTS를 이용하여,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로부터 수신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와, 상기 동물병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진료데이터 중 통증 및 스트레스 또는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로부터 통보되는 활동량을 결합시켜, 결합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using the VSTS, the pain and stress or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receiv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and the medical data received from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or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ivity amount notifi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combined and the combined data is databas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결합데이터 기반에 상관관계 패턴을 도출하여, 이상증후 예후 예측 화면을 운용자나 관리자 또는 상기 동물병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rives a correlation pattern based on the combined data base, and provides an abnormal symptom prognosis prediction screen to an operator, an administrator, or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는, 위기상황 발생 시에 위기상황 발생을 알리는 푸시 메시지를 운용자나 관리자 또는 상기 동물병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push message informing the occurrence of the crisis in the event of a crisis situation to the operator or manager or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VSTS를 이용하여,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로부터 수신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 및 모션 정보와, 상기 동물병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진료데이터 중 통증 및 스트레스 또는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로부터 통보되는 활동량에 대한 분석으로 테이블별 데이터를 집계한 후에, 탐색적 분석으로 데이터 상관관계에 대한 패턴을 도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둔 기준 데이터 패턴과 비교해서 만성질환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using the VSTS, the biological data and motion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receiv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and the pain among the medical data received from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and After data is aggregated for each table by analyzing the stress or activity amount notifi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ter, exploratory analysis derives a pattern for data correlation and compares the chronic disease with the reference data pattern registered in the database. It is characterized by predict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VSTS를 이용하여,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로부터 수신되는 반려동물의 혈중 내 실시간 산소포화도의 데이터 입력 값을 출력 값에 맵핑하여, 데이터 배열을 통해 산소포화도 데이터 값 출력을 위한 논리 회로를, 배열 인덱싱 동작으로 대체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using the VSTS, maps the data input value of the real-time oxygen saturation in the blood of the companion animal receiv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to an output value, and arranges the data array. It is characterized by substituting the logic circuit for outputting the oxygen saturation data value with an array indexing opera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VSTS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 패턴을 미리 설정해서 등록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database is characterized by registering and setting a reference data pattern for predicting or diagnosing chronic diseases of companion animals in the VST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네트워크는, 가정에 설치되거나, 반려동물 용품 내부에 게이트웨이 장착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의 생체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IoT 게이트웨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network is installed in a home or a gateway-mounted type inside a companion animal article, and a plurality of IoT for allowing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to integrally manage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meter.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gatewa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IoT 게이트웨이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로부터 전송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oT gatewa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llects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transmit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via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rv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IoT 게이트웨이는,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의 데이터 프로세스를 대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oT gatewa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presents the data process of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IoT 게이트웨이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적용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로부터 수집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에 대한 정형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oT gateway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standardization on the bio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collec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using an algorithm applied with a data mining techniqu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IoT 게이트웨이는, 데이터 마이닝 기술의 예측, 연관 순차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로부터 수집되는 비정형의 생체데이터를 정형의 생체데이터로 변환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oT gateway is characterized by converting atypical biometric data collec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nto atypical biometric data by applying prediction and association sequential techniques of data mining technolog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IoT 게이트웨이는,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로부터 수집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체크해서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oT gateway is characterized by displaying in real time by checking whether or no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bio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collec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IoT 게이트웨이는, 만성질환 예후 예측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반 생체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oT gateway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data mining-based biodata analysis algorithm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chronic diseas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IoT 게이트웨이는, 생체데이터의 수집 조건을 비교 신호에서 미리 설정해 두고, 선형, 트리, 군집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교 신호에서 수집 조건이 충족된 생체데이터만을 수집하며, 표본 추출 처리를 위한 클러스터링 및 클래시픽 기법을 사용하여 표본 추출 군집도를 정리하고, 데이터 클린징 후 기존 데이터와 비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oT gateway sets the collection conditions of the biometric data in advance in the comparison signal, and collects only the biometric data that satisfies the collection condition in the comparison signal using a linear, tree, or cluster algorithm, and extracts the sample It is characterized by arranging sampling clusters using clustering and classical techniques for processing, and cleaning data and comparing it with existing data.

일 실시 예에서, 상기 IoT 게이트웨이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혈액 내 옥시헤모글로빈과 디옥시헤모글로빈의 적색광 영역 내 흡수계수 비의 옥시헤모글로빈의 변화량을 추출하기 위해서, 비어 램버트 법칙을 이용한 평가 알고리즘 기반 조직 투과 빛 농도에 따른 전기출력신호의 선형성을 확보하며, 전 처리 알고리즘으로 광 필터를 사용하여 광 노이즈를 감소시켜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oT gateway is a data mining technique, in order to extract a change in the ratio of oxyhemoglobin in the absorption coefficient ratio in the red light region of oxyhemoglobin and deoxyhemoglobin in the blood, tissue penetration based on the evaluation algorithm using Beer Lambert's Law It is characterized by securing the linearity of the electrical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light concentration, and measuring the oxygen saturation by reducing the optical noise using an optical filter as a pre-processing algorithm.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는, 반려동물 만성질환의 진료, 진단, 처방에 대한 수의사의 의사결정 지원과 반려동물 만성질환 예측을 수행하도록 AI 기반 만성질환 임상가이드나 생체데이터 또는 문진데이터 기반 진료 및 처방 가이드를 위한 CDSS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is an AI-based chronic disease clinical guide or bio data to perform veterinary decision support and prediction of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for the treatment, diagnosis, and prescription of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Or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CDSS for medical data-based treatment and prescription guid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CDSS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의료진의 진료, 처방, 진단, 최근 임상자료 검색의 의료 활동의 의사결정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by using the CDSS to assist the decision-making of medical activities for medical treatment, prescription, diagnosis, and recent clinical data search of the companion anim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CDSS를 이용하여, 기 설정해 둔 만성질환 분야의 진료, 진단, 처방 프로세스와,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로부터 수신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 상기 동물병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반려동물의 진료데이터를 기반으로 임상가이드 의사결정트리 알고리즘 화면 및 룰셋 관리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by using the CDSS, the predetermined treatment, diagnosis, prescription process in the field of chronic disease, and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receiv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ter, the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clinical guide decision tree algorithm screen and a ruleset management screen based on the companion animal's medical data received from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CDSS를 이용하여, 반려동물 진료 문서의 전자화를 지식관리시스템 기반 진료지식으로 사용한 사례, 임상가이드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by using the CDSS, the electronic use of the companion animal medical document as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based treatment knowledge, clinical guide database to store the database It is characterized b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CDSS를 이용하여, 진료, 진단, 처방을 위한 의사결정트리를 정형화한 후에 최인접분류기 알고리즘 기반으로 군집화하고, 상관관계 도출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임상 의사결정 룰셋을 확보하며, 확보된 임상 의사결정 룰셋 중 질환별 증상 완치율이 가장 높았던 이력을 추적 조사하여 증상별 최적합한 임상 예측 룰을 고도화시켜 만성질환 예후 예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uses the CDSS to form a decision tree for medical treatment, diagnosis, and prescription, and then clusters it based on the closest classifier algorithm, derives correlations, and performs logistic regression. It is characterized by securing clinical decision-making ruleset by analysis, and tracking the history of the highest symptom cure rate among disease among the secured clinical decision-making rulesets to advance the optimal clinical prediction rule for each symptom to provide prediction of chronic disease prognosis.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CDSS를 이용하여, 시각화 툴을 이용하여 임상데이터를 실증하도록 하며, 반려동물 만성질환 임상가이드의 진료, 진단, 처방 프로세스 룰셋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uses the CDSS to demonstrate clinical data using a visualization tool, and provides a rule set for treatment, diagnosis, and prescription of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clinical guides. It is characterized b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동물병원 단말기의 진료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IoT 게이트웨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networ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IoT gateways for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to manage the management data of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IoT 게이트웨이는, 상기 동물병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반려동물의 진료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oT gatewa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llects the med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transmitted from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rv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IoT 게이트웨이는, 기 설정해 둔 RGB 컬러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집된 생체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된 감정, 신체 상태의 반려동물 상태에 따라 조명색을 변화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oT gateway is characterized by changing the lighting color according to the companion animal state of emotion and body state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biometric data using a preset RGB color control algorithm.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반려동물 측정기 각각을 식별하며,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에서 감지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수신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받은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를 제공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face for identifying each of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s communicative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receiving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detected by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part; And it provides a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s by monitoring the bio data of the companion animals received in real time in the interface uni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반려동물 측정기가 반려동물에 착용시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감지하는 단계; 및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에서 감지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받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s worn on the companion animal to detect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receiv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detected by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through a network and monitoring in real time to manage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to provide.

본 발명의 효과로는, 반려동물에 대한 만성질환을 진단하고 반려동물의 만성질환에 대해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변동성이 적고 일시적 환경 변화에도 항상성을 지니고 있는 산소포화도 등과 같은 생체데이터를 수집하여 만성질환 관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수의학적 측면에서 질환 추측 및 진료 데이터 또는 객관적인 건강 현황 진단을 위한 진단 데이터로서 매우 적절하며,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근거데이터로서 신뢰도가 높으며, 데이터 활용을 통한 만성질환 예방과 같은 특정 질환 예후 예측과 같은 유의미한 데이터 활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As a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system, server, and method implemented to diagnose a chronic disease for a companion animal and to manage the companion animal's chronic disease integrally, there is little volatility and temporary Biological data, such as oxygen saturation, which has homeostasis despite environmental changes, can be collected and used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purposes, making it very suitable as a diagnostic data for disease estimation and treatment data or objective health status diagnosis from a veterinary perspective. It is highly reliable as evidence data for prevention,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meaningful data utilization services such as prediction of specific disease prognosis such as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through data utiliz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IoT를 이용하여 만성질환 진단을 위한 무선 형태의 주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만성질환의 조기 발견과, 이에 따른 합병증 동반위험을 감소시키고 대처방안을 즉시 적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key data in a wireless form for diagnosis of chronic diseases using IoT, which measures the oxygen saturation of companion animals, and reduces and copes with the risk of early detection of chronic diseases and the accompanying complications. It also has the effect of applying the plan immediate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의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비스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반려동물 측정기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의 VSTS(Vital Sign Tracking care System)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의 CDSS(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네트워크의 IoT 게이트웨이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ice of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 FIG. 1.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n FIG. 1 as an example.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reen provided by the VSTS (Vital Sign Tracking care System) of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in FIG. 1 as an example.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DSS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of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in FIG. 1 as an exampl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oT gateway of the network in FIG. 1 as an example.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In addition,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an effec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although they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include the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ponents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pre-excluding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The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server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의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비스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있는 반려동물 측정기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있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의 VSTS(Vital Sign Tracking care System)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있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의 CDSS(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1에 있는 네트워크의 IoT 게이트웨이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ice of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 FIG. 1 as an exampl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n FIG. 1 as an example,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reen provided by a VSTS (Vital Sign Tracking Care System) of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in FIG. 1 as an example.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DSS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of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in FIG. 1 as an example,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oT gateway of the network in FIG. 1 as an example.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반려동물 측정기(110),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 데이터베이스(130), 네트워크(140)를 포함한다.1 to 6,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s 110, a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a database 130, and a network 140. It includes.

반려동물 측정기(110)는, 반려동물에 착용시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Vital Sign)를 감지하여 네트워크(140)를 통해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로 전송해 준다.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is worn on the companion animal and detects the vit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ransmits it to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rver 120 through the network 140.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측정기(110)는, 반려동물의 피부 표면을 측정하여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얻도록 하는 비침습형 IoT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데이터는, 체온, 체중, 심박, 심전도, 혈압, 맥박, 호흡, 운동량 등과 같이, 반려동물의 생명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체신호를 의미하며,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만성질환 및 건강상태를 추측할 수 있는 근거 데이터로 활용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may include a non-invasive IoT sensor that measures the skin surface of the companion animal to obtain bio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Here, the bio-data refers to bio-signals that occur in the life activity process of a companion animal, such as body temperature, weight, heart rate,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pulse, respiration, and momentum, and indicates chronic diseases and health conditions based on the bio-signals. Use it as the basis data that can be guessed.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측정기(110)는, 산소포화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생체데이터 중에서 특히 변동성이 적고 일시적 환경 변화에도 항상성을 지니고 있는 산소포화도(Spo2)를 산소포화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산소포화도는 적혈구 중 헤모글로빈의 산소결합능력 가운데 산소가 실제로 결합하고 있는 비율을 %로 표시한 것을 의미하며, 반려동물이 짖거나 흥분해도 변동성이 적으며, 품종, 사이즈에 상관없이 포유류의 경우에는 동일한 수치를 나타내어, 타 생체데이터는 여러 생체데이터를 상호 비교분석해야 하는 것과는 달리, 기 설정된 수치만큼의 변동 시에 이상상태임을 바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may be equipped with an oxygen saturation sensor, and may measure oxygen saturation (Spo2), which is particularly volatile and has homeostasis even in temporary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bio data by an oxygen saturation sensor. Can be. Here, oxygen saturation refers to the percentage of hemoglobin's oxygen binding capacity among red blood cells that is actually bound to oxygen, and is less volatile even when pets bark or get excited, and in mammals regardless of breed or size In the figure, the same numerical value is displayed, and unlike other biological data that needs to be compared and analyzed with multiple biological data, it can be immediately confirmed that an abnormality occurs when the amount is changed by a predetermined value.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측정기(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의 목 부위를 감싸 착용하도록 한 넥밴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넥밴드 센서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기록하여 건강 현황을 체크하도록 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as shown in Figure 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neckband to be worn around the neck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using a neckband sensor Data can be recorded in real time to check health status.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측정기(110)는, 산화헤모글로빈(HBO2)과 환원헤모글로빈(Hb)에서는 파장에 따라서 흡광계수가 다르고 파장 805㎚ 부근에서 산화헤모글로빈(HBO2)과 환원헤모글로빈(Hb)의 흡관계수는 거의 같으며, 605㎚ 부근에서는 두드러지게 다르다는 원리를 이용해서 비관혈적(非觀血的)으로 산소포화도를 정밀하게 조사하는 방식으로, 광학적 산소포화도를 구할 수 있으며, 이때 산소포화도(Spo2)의 농도 측정 정밀도의 향상을 위해서, 광 신호를 이용하여 광학적 산소포화도를 검출하는 광 검출기(photodetector), 검출된 광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amplifier), 검출된 광 신호에서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filter) 및 데이터 수집 필터기를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absorbs the absorption coefficients of the hemoglobin oxide (HBO2) and the reduced hemoglobin (Hb) in the vicinity of the wavelength 805 nm, depending on the wavelength in the hemoglobin oxide (HBO2) and the reduced hemoglobin (Hb). The number of relations is almost the same, and the optical oxygen saturation can be obtained by precisely examining the oxygen saturation by non-invasively using the principle that it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vicinity of 605 nm. To improve the accuracy of measurement of concentration of), a photodetector that detects optical oxygen saturation using an optical signal, an amplifier that amplifies the detected optical signal, and a filter that removes unnecessary signals from the detected optical signal (filter) and a data collection filter.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측정기(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온감지센서, 심박동감지센서, 자이로센서, 적외선센서 외에도, 체중센서, 심전도센서, 혈압감지센서, 맥박감지센서, 호흡감지센서 등등을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in addition to the body temperature sensor, heart rate sensor, gyro sensor, infrared sensor, as shown in Figure 3, weight sensor, electrocardiogram sensor, blood pressure sensor, pulse sensor, breathing It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or the like.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측정기(110)는, 센서에 의해 수집하는 센싱 값의 충실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밴드 구조의 상단 양측에 실리콘 온도센서를 돌출 형성시켜 반려동물과 접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생체의 기도를 감싸는 하단 양측에 심박동감지센서를 구비시켜 안정적으로 신호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며, 넥밴드 구조의 하단 양측에 산소포화도 센서를 위치시켜 기능 충실도를 보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by improving the fidelity of the sensing value collected by the sensor, as shown in Figure 3, the silicon temperature sensor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neckband structure is projected and rejected It is possible to make contact with animals, and it is possible to stably collect signals by equipping the heartbeat sensor on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surrounding the airway of the living body, and to position the oxygen saturation sensors on both sides of the neckband structure to correct the function fidelity. You can.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측정기(110)는, 심박 감지 데이터의 감도를 향상하기 위해서, 심박동감지센서를 넥밴드 좌우에 부착하여 항상 피부에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심박의 정확성을 위해서 자이로센서의 정지 시에 측정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진단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may be formed to always contact the skin by attaching a heart rate sensor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neckband to improve the sensitivity of the heart rate detection data, and for the accuracy of the heart rate, the gyro sensor It can be diagnosed based on the measured data at the time of stopping.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측정기(110)는, 생체데이터 수집 및 처리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데이터 보정 루틴을 적용시켜,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1(khz) 초과의 주파수 신호를 배제하고, 필요한 신호만 처리할 수 있도록 10 ~ 1000(hz)의 주파수 신호만을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 종별 개체 특징을 보정할 수 있는 추가 주파수 밴드 필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applies a data correction routin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biological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excluding frequency signals greater than 1 (khz) sensed by the sensor, and necessary It can be controlled to process only the 10 ~ 1000 (hz) frequency signal so that only the signal can be processed, it may be provided with an additional frequency band filter that can corr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pets.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측정기(110)는, 저전력 ADC 컨버터 정전류 회로 및 전류 보정치 개선을 위한 필터를 구비하고 저전력 소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최소단위 소비전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출력 제어모듈별 순차 시퀀스를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includes a low-power ADC converter constant current circuit and a filter for improving the current correction value, and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using a low power consumption algorithm, and also uses a minimum unit power consumption algorithm.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equential sequence for each input / output control module.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측정기(110)는, CPU 내부 클록(clock)을 이용하여 슬립모드를 적용시키고 기 설정된 시간마다 주기적 통신을 수행하여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상태가 기 설정된 양보다 낮을 경우에 통신 간격 또는 센싱 수집 간격을 기 설정된 시간만큼 길게 제어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may apply a sleep mode by using a CPU internal clock and perform periodic communication every predetermined time to reduce battery consumption, and the battery state is a predetermined amount. If it is lower, the communication interval or sensing collection interval can be controlled as long as a preset time.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측정기(110)는, GPS 등과 같은 위치감지수단을 구비하여 활동량(위치이동)을 감지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로 통보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자이로센서 등을 이용하여 모션(예로, 눕기, 앉기, 서기)을 감지하여 모션 정보를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로 통보해 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may be provided with a location detecting means such as GPS to detect the activity amount (location movement) and notify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and also a gyro sensor. Motion (eg, lying down, sitting, standing) may be detected by using the like, and motion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rver 120.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는,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전송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네트워크(14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반려동물 생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해 준다.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receives the companion animal's biological data transmit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through the network 140 and monitors the received companion animal's biological data in real time. It manages chronic diseases.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는, 반려동물 만성질환에 대한 건강 위험 관리를 위한 VSTS(Vital Sign Tracking care System)를 구비할 수 있으며, VSTS를 이용하여 모니터링된 반려동물의 산소포화도, 체온, 체중, 심박, 심전도, 혈압, 맥박, 호흡, 운동량 등의 생체데이터를 통해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may include a VSTS (Vital Sign Tracking Care System) for managing health risks for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s, and companion animals monitored using VSTS It can manage chronic diseases of companion animals through biological data such as oxygen saturation, body temperature, weight, heart rate,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pulse, breathing, and exercise.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는, VSTS를 이용하여,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수신받은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와, 동물병원 단말기(150)로부터 수신받은 진료데이터 중 HRV(통증, 스트레스) 또는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통보받은 활동량(위치이동)을 결합시켜 해당 결합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줄 수 있으며, 해당 결합데이터 기반에 상관관계 패턴을 도출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상증후 예후 예측 화면 기능을 운용자나 관리자(또는, 동물병원 단말기(150))로 제공하고, 위기상황 발생 시에 위기상황 발생을 알리는 푸시 메시지 등의 기능도 제공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using VSTS, among the companion animal biometric data receiv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and the medical data received from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HRV (pain, stress) or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combines the amount of activity (movement of location) to combine the data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130, the database, and the correlation data based on the correlation pattern Derived from, and provides an abnormal symptoms prognosis prediction screen function as shown in Figure 4 to the operator or administrator (or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a function such as a push message to inform the occurrence of a crisis in the event of a crisis Can also provide.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는, VSTS를 이용하여,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수신받은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예로, 맥박, 호흡, 체중, 체온 등) 및 모션 정보와, 동물병원 단말기(150)로부터 수신받은 진료데이터 중 HRV(통증, 스트레스) 또는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통보받은 활동량(위치이동)에 대한 분석으로 테이블별 데이터를 집계한 후에, 탐색적 분석(Exploratory analysis)으로 데이터 상관관계에 대한 패턴을 도출하여 기준 데이터 패턴과 비교해서 만성질환을 예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using VSTS, the companion animal biological data (eg, pulse, respiration, weight, body temperature, etc.) and motion receiv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and motion After analyzing the information and the amount of activity (location movement) notified from the HRV (pain, stress) or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among the medical data received from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the data for each table is aggregated, and then searched Exploratory analysis can be used to derive patterns for data correlation and predict chronic diseases by comparing them with reference data patterns.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는, VSTS를 이용하여,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수신받은 반려동물의 혈중 내 실시간 산소포화도(Spo2) 데이터 입력 값을 출력 값에 맵핑하여, 데이터 배열을 통해 산소포화도 데이터 값 출력을 위한 논리 회로(Logic circuit)를, 간단한 배열 인덱싱 동작으로 대체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런타임 계산량을 감소시키고 화면 출력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maps the real-time oxygen saturation (Spo2) data input value in the blood of the companion animal receiv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ter 110 to the output value using VSTS. Thus, a logic circuit for outputting oxygen saturation data values through a data array can be replaced with a simple array indexing operation, thereby reducing runtime computation and minimizing screen output delay.

데이터베이스(130)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트래킹(Tracking)하여 케어(Care)할 수 있도록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는 반려동물 생체데이터를 전달받아 등록해 준다.The database 130 receives and registers the companion animal biometric data monitored in real time from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rver 120 so as to track and care for the companion animal's biological data.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VSTS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예측(또는, 진단)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 패턴을 미리 설정해서 등록해 둘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atabase 130 may set and register a reference data pattern for predicting (or diagnosing) a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 VSTS in advance.

네트워크(140)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반려동물 측정기(110)(또는, 복수 개의 동물병원 단말기(150))와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 사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시켜, 서로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network 140 include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s between the plurality of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s 110 (or a plurality of animal hospital terminals 150) and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By connecting by wireless communicatio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each other is performed.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140)는, 가정 등에 설치되거나, 반려동물 용품(펫볼) 내부 게이트웨이 장착형으로 설치되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가 반려동물 측정기(110)의 생체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IoT 게이트웨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전송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수집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etwork 140 is installed in a home, or the like, and is installed as a companion animal article (petball) internal gateway, and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receives the bio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meter 110. A plurality of IoT gateways may be provided to enable integrated management, and thus,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transmit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is collected, and then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is collected. I can send it.

일 실시 예에서, IoT 게이트웨이는, 각기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기(즉, 복수 개의 반려동물 측정기(110)(또는, 복수 개의 동물병원 단말기(150))와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 사이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블루투스 무선 반려동물 케어 IoT 디바이스인 반려동물 측정기(110)의 데이터 프로세스를 대행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the IoT gateway includes devices using different protocols (ie, a plurality of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s 110 (or a plurality of animal hospital terminals 150)) and a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 And may perform a data process of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which is a Bluetooth wireless companion animal IoT device.

일 실시 예에서, IoT 게이트웨이는,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수집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에 대한 정형화를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적용한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데이터 마이닝 기술의 예측(Forecasting), 연관 순차(Association sequencing) 기법을 적용하여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수집되는 비정형의 생체데이터를 정형의 생체데이터로 변환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oT gateway may use an algorithm that applies a data mining technique for normalization of the bio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collec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and at this time, prediction of data mining technology (Forecasting), association By applying an association sequencing technique, atypical biological data collec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may be converted into stereoscopic biological data.

일 실시 예에서, IoT 게이트웨이는,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수집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기 전에,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수집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체크해서 디스플레이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oT gateway, before transmit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collec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to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the companion animal collec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It is possible to check and displa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of the bio data in real time.

일 실시 예에서, IoT 게이트웨이는, 만성질환 예후 예측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반 생체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생체데이터의 수집 조건을 비교 신호(reference signal)에서 미리 설정해 두고, 선형, 트리, 군집 등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교 신호에서 수집 조건이 충족된 생체데이터만을 수집할 수 있으며, 표본 추출 처리를 위한 클러스터링 및 클래시픽 기법을 사용하여 표본 추출 군집도를 정리하고, 정확한 데이터 클린징 후 기존 데이터와 비교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혈액 내 옥시헤모글로빈(oxyhemoglobin)과 디옥시헤모글로빈(deoxyhemoglobin)의 적색광 영역(660mm) 내 흡수계수 비의 정확한 옥시헤모글로빈의 변화량을 추출하기 위해서, 비어 램버트 법칙(Beer-Lambert law)을 이용한 평가(Estimation) 알고리즘 기반 조직 투과 빛 농도에 따른 전기출력신호(Electrical output signal)의 선형성을 확보하고, 전 처리(Preprocessing) 알고리즘으로 광 필터를 사용하여 광 노이즈를 감소시켜 정밀한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oT gateway may include a data mining-based biological data analysis algorithm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chronic disease, wherein the collection conditions of the biological data are set in advance in a reference signal, linear, tree, Using algorithms such as clustering, it is possible to collect only biometric data that satisfies the collection conditions in the comparison signal, clean up the sampling clustering using clustering and classical techniques for sampling processing, and clean the data accurately It can be compared with existing data, and it is also a data mining technique, in order to extract the exact amount of oxyhemoglobin in the ratio of absorption coefficient in the red light region (660mm) of oxyhemoglobin and deoxyhemoglobin in the blood, Based on the evaluation algorithm based on the Beer-Lambert law, the linearity of the electrical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tissue transmission light concentration is secured, and the optical filter is used as a pre-processing algorithm. By reducing noise, precise oxygen saturation can be measur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긴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동물병원 단말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1,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 만성질환의 진료, 진단, 처방 등에 대한 수의사의 의사결정 지원과 반려동물 만성질환 예측을 수행하도록 AI 기반 만성질환 임상가이드(즉, 생체데이터(또는, 문진데이터) 기반 진료 및 처방 가이드)를 위한 CDSS(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를 구비하며, CDSS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의료진의 진료, 처방, 진단, 최근 임상자료 검색 등의 전반적인 의료 활동의 의사결정을 보조해 준다.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as shown in Figure 5,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treatment, diagnosis, prescription of veterinary decision support and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prediction AI-based chronic disease It is equipped with a CDSS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clinical guides (i.e., biodata (or questionnaire data) -based treatment and prescription guides), and by using CDSS, medical staff can treat, prescribe, diagnose, and clinical Assists decision making in general medical activities such as data retrieval.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는, CDSS를 이용하여, 기 설정해 둔 만성질환 분야의 진료, 진단, 처방 프로세스와,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수신받은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 동물병원 단말기(150)로부터 수신받은 반려동물의 진료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임상가이드 의사결정트리(Decision Tree) 알고리즘 화면 및 룰셋 관리(Rule Set Management) 화면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uses a CDSS, a preset treatment, diagnosis, and prescription process in the chronic disease field, and a living body of a companion animal receiv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ter 110 Based on data, med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received from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and the like, a clinical guide decision tree algorithm screen and a rule set management screen may be provided.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는, CDSS를 이용하여, 반려동물 진료 문서의 전자화를 지식관리시스템 기반 진료지식으로 사용한 사례, 임상가이드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둘 수 있으며, 진료, 진단, 처방을 위한 의사결정트리를 정형화한 후에 최인접분류기(Nearest-neighbor classifier) 알고리즘 기반으로 군집화하고, 상관관계 도출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신뢰성이 향상된 임상 의사결정 룰셋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확보된 임상 의사결정 룰셋 중 질환별 증상 완치율이 가장 높았던 이력을 추적 조사하여 증상별 최적합한 임상 예측 룰을 고도화하여 만성질환 예후 예측을 제공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uses CDSS to make a database of database 130 by using a CDSS to electronically convert a companion animal medical document into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based medical knowledge. It can be stored and grouped based on the nearest-neighbor classifier algorithm after shaping the decision tree for treatment, diagnosis, and prescription, and the clinical decision rule set with improved reliability through correlation deriv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can be secured, and it can provide the prediction of the prognosis of chronic disease by upgrading the optimal clinical prediction rule for each symptom by tracking the history of the highest symptom cure rate for each disease among the secured clinical decision ruleset.

일 실시 예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는, CDSS를 이용하여, 의료진의 진료 영역 업무에 대한 효율화를 위해서 시각화 툴을 이용하여 임상데이터를 실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 만성질환 임상가이드의 진료, 진단, 처방 프로세스 룰셋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may use CDSS to demonstrate clinical data using a visualization tool for efficiency of medical staff's treatment area work, and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Clinical guides can provide treatment, diagnosis, and prescription process rulesets.

네트워크(140)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가 동물병원 단말기(150)의 진료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IoT 게이트웨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동물병원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반려동물의 진료데이터를 수집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로 전송해 준다.The network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oT gateways to enable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to manage and manage the medical data of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and thus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 Collects medical data from the companion animal and transmits it to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동물병원 단말기(150)는, 반려동물의 진료데이터를 네트워크(140)를 통해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로 전송해 준다.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transmits the companion animal's medical data to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rver 120 through the network 14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반려동물에 대한 만성질환을 진단하고 반려동물의 만성질환에 대해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변동성이 적고 일시적 환경 변화에도 항상성을 지니고 있는 산소포화도 등과 같은 생체데이터를 수집하여 만성질환 관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수의학적 측면에서 질환 추측 및 진료 데이터 또는 객관적인 건강 현황 진단을 위한 진단 데이터로서 매우 적절하며,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근거데이터로서 신뢰도가 높으며, 데이터 활용을 통한 만성질환 예방과 같은 특정 질환 예후 예측과 같은 유의미한 데이터 활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implemented to diagnose a chronic disease for a companion animal and to manage the chronic disease of the companion animal in an integrated manner, resulting in less volatility and temporary environmental changes. Bio data such as oxygen saturation with Edo homeostasis can be collected and used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purposes, making it very suitable as a diagnostic data for disease guessing and medical data or objective health status diagnosis from a veterinary perspective. As a basis data for this, it has high reliability and can provide meaningful data utilization services such as prediction of specific disease prognosis, such as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through data utiliz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외부 온도, 활동량 상승에 따른 체온 상승, 심박수 증가 등의 일상적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객관적 데이터인 반려동물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무선 디바이스인 반려동물 측정기(110)를 이용하여 만성질환 진단을 위한 무선 형태의 주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만성질환의 조기 발견과, 이에 따른 합병증 동반위험을 감소시키고 대처방안을 즉시 적용할 수 있다.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easures the oxygen satur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which is objective data that is not affected by daily changes such as an increase in external temperature, an increase in body temperature due to an increase in activity, and an increase in heart rate. By using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which is a wireless device, it is possible to collect wireless data for diagnosis of chronic diseases, reduce the risk of early detection of chronic diseases, and accompanying complications, and immediately apply countermeasures. Can b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기 설정해 둔 RGB 컬러 제어(Color Contro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집된 생체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된 감정, 신체 상태 등의 반려동물 상태에 따라 IoT 게이트웨이의 조명색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시켜 줄 수 있다.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ompanion animals such as emotions and physical conditions analyzed based on biological data collected using a preset RGB color control algorithm According to the state, the illumination color of the IoT gateway may be changed as shown in FIG. 6.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만성질환 보유 시의 지속적 질환 경과 관찰, 약물투여 횟수 및 주기, 정기적 내원 등과 같은 체계적인 만성질환 관리를 통해서 반려인의 높은 치료 순응도를 유도할 수 있고, 반려동물에 대한 보건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만성질환 사전예방 및 사후관리를 활성화시켜 질환관리의 어려움, 진료비 부담 등으로 인한 유기행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igh treatment of companions through systematic chronic disease management such as continuous disease progression observation, frequency and frequency of drug administration, and regular visits to chronic diseases It can induce compliance, improve the health awareness of companion animals, and can also reduce chronic behavior caused by difficulties in disease management and burden of medical expenses by activating prevention and follow-up of chronic diseases.

도 7은 도 1에 있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rver in FIG. 1.

도 7을 참조하면,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는, 인터페이스부(121), 모니터링부(12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includes an interface unit 121 and a monitoring unit 122.

인터페이스부(121)는, 네트워크(140)를 통해 복수 개의 반려동물 측정기(110)와 통신 접속하며, 각기 자기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유 식별정보(예로, 반려동물아이디나 단말기식별자 등)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반려동물 측정기(110) 각각을 식별하며,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전송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수신받아 모니터링부(122)에 전달해 준다.The interface unit 121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s 110 through the network 140, and each uses its ow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companion animal ID or terminal identifier, etc.) to the network. Each of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s 110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communication is identified, and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transmit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is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unit 122.

일 실시 예에서, 인터페이스부(121)는, 네트워크(140)를 통해 복수 개의 동물병원 단말기(150)와 통신 접속하며, 각기 자기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유 식별정보(예로, 동물병원아이디나 단말기식별자 등)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동물병원 단말기(150) 각각을 식별할 수 있으며, 동물병원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진료데이터(HRV(통증, 스트레스)를 포함함)를 수신받아 모니터링부(122)에 전달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terface unit 121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animal hospital terminals 150 through the network 140, and each has its ow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animal hospital ID or terminal identifier, etc.) ) Can be used to identify each of the veterinary hospital terminals 150 that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receive monitoring data (including HRV (including pain and stress)) transmitted from the veterinary hospital terminal 150 to monitor. (122).

모니터링부(122)는, 인터페이스부(121)로부터 전달되는 반려동물 생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해 준다.The monitoring unit 122 manages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s by monitoring the companion animal biometric data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the interface unit 121.

일 실시 예에서, 모니터링부(122)는, 인터페이스부(121)로부터 전달되는 진료데이터(HRV(통증, 스트레스)를 포함함)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nitoring unit 122 may manage chronic diseases of companion animals by monitoring medical data (including HRV (pain, stress)) transmitted from the interface unit in real time.

일 실시 예에서, 모니터링부(122)는,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통보되는 활동량(위치이동)을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수신받아 모니터링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nitoring unit 122 may manage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by receiving and monitoring the activity amount (location movement) notifi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21.

일 실시 예에서, 모니터링부(122)는,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전송되는 모션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전달받아 수신받아 모니터링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nitoring unit 122 may receive and monitor mo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21 to monitor and control chronic diseases of the companion animal.

일 실시 예에서, 모니터링부(122)는,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전송되는 반려동물의 혈중 내 실시간 산소포화도(Spo2) 데이터 입력 값을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전달받아 수신받아 모니터링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nitoring unit 122 receives the real-time oxygen saturation (Spo2) data input value in the blood of the companion animal transmit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21, monitors it, and returns it It can manage chronic animal disease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는, 반려동물 만성질환에 대한 건강 위험 관리를 위한 VSTS부(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further include a VSTS unit 123 for managing health risks for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s.

VSTS부(123)는, 모니터링부(122)에서 모니터링되는 반려동물의 산소포화도, 체온, 체중, 심박, 심전도, 혈압, 맥박, 호흡, 운동량 등의 생체데이터를 통해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해 준다.The VSTS unit 123 manages chronic diseases of companion animals through biological data such as oxygen saturation, body temperature, weight, heart rate,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pulse, respiration, and exercise amount of the companion animal monitored by the monitoring unit 122.

일 실시 예에서, VSTS부(123)는, 모니터링부(122)에서 모니터링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와, 진료데이터 중 HRV(통증, 스트레스) 또는 활동량(위치이동)을 결합시켜, 해당 결합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줄 수 있으며, 해당 결합데이터 기반에 상관관계 패턴을 도출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상증후 예후 예측 화면 기능을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운용자나 관리자(또는, 동물병원 단말기(15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위기상황 발생 시에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위기상황 발생을 알리는 푸시 메시지 등의 기능도 제공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STS unit 123 combines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monitored by the monitoring unit 122 with HRV (pain, stress) or activity (location shift) among the medical data, and the combined data It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130 by database, derives a correlation pattern on the basis of the combined data, the operator or administrator through the interface 121 to predict the prognosis of abnormal symptoms as shown in FIG. (Or, it can be provided to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it can also provide a function, such as a push message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 crisis through the interface unit 121 when a crisis occurs.

일 실시 예에서, VSTS부(123)는, 모니터링부(122)에서 모니터링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예로, 맥박, 호흡, 체중, 체온 등) 및 모션 정보와, 진료데이터 중 HRV(통증, 스트레스) 또는 활동량(위치이동)에 대한 분석으로 테이블별 데이터를 집계한 후에, 탐색적 분석(Exploratory analysis)으로 데이터 상관관계에 대한 패턴을 도출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해 둔 기준 데이터 패턴과 비교해서 만성질환을 예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STS unit 123 is a companion animal monitored by the monitoring unit 122, biological data (eg, pulse, respiration, weight, body temperature, etc.) and motion information, and HRV (pain, stress) among medical data ) Or after the data for each table is aggregated by analysis of activity (location movement), the pattern for data correlation is derived by exploratory analysis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data pattern registered in the database 130 Chronic diseases can be predicted.

일 실시 예에서, VSTS부(123)는, 모니터링부(122)에서 모니터링되는 반려동물의 혈중 내 실시간 산소포화도(Spo2) 데이터 입력 값을 출력 값에 맵핑하여, 데이터 배열을 통해 산소포화도 데이터 값 출력을 위한 논리 회로(Logic circuit)를, 간단한 배열 인덱싱 동작으로 대체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런타임 계산량을 감소시키고 화면 출력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STS unit 123 maps a real-time oxygen saturation (Spo2) data input value in the blood of a companion animal monitored by the monitoring unit 122 to an output value, and outputs the oxygen saturation data value through a data array. Logic circuits for can be replaced with simple array indexing operations, thereby reducing runtime computation and minimizing screen output dela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는, 반려동물 만성질환의 진료, 진단, 처방 등에 대한 수의사의 의사결정 지원과 반려동물 만성질환 예측을 수행하도록 AI 기반 만성질환 임상가이드(즉, 생체데이터(또는, 문진데이터) 기반 진료 및 처방 가이드)를 위한 CDSS부(1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I-based chronic disease clinical trial to support veterinary decision-making and prediction of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for treatment, diagnosis, and prescription of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A CDSS unit 124 may be further provided for a guide (ie, biodata (or questionnaire data) -based medical treatment and prescription guide).

CDSS부(124)는, 반려동물에 대한 의료진의 진료, 처방, 진단, 최근 임상자료 검색 등의 전반적인 의료 활동의 의사결정을 보조해 준다.The CDSS unit 124 assists in the decision-making of general medical activities such as medical treatment, prescription, diagnosis, and recent clinical data retrieval of companion animals.

일 실시 예에서, CDSS부(124)는, 기 설정해 둔 만성질환 분야의 진료, 진단, 처방 프로세스와, 모니터링부(122)에서 모니터링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 반려동물의 진료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임상가이드 의사결정트리(Decision Tree) 알고리즘 화면 및 룰셋 관리(Rule Set Management) 화면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DSS unit 124 is based on a predetermined treatment, diagnosis, and prescription process in the chronic disease field, and the companion animal's biological data monitored by the monitoring unit 122, the companion animal's medical data, and the like. A function such as a clinical guide decision tree algorithm screen and a rule set management screen can be provided.

일 실시 예에서, CDSS부(124)는, 반려동물 진료 문서의 전자화를 지식관리시스템 기반 진료지식으로 사용한 사례, 임상가이드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둘 수 있으며, 진료, 진단, 처방을 위한 의사결정트리를 정형화한 후에 최인접분류기(Nearest-neighbor classifier) 알고리즘 기반으로 군집화하고, 상관관계 도출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신뢰성이 향상된 임상 의사결정 룰셋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확보된 임상 의사결정 룰셋 중 질환별 증상 완치율이 가장 높았던 이력을 추적 조사하여 증상별 최적합한 임상 예측 룰을 고도화하여 만성질환 예후 예측을 제공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DSS unit 124 may store a case, a clinical guide database, and store it in the database 130 by using electronics of companion animal medical documents as knowledge management system-based medical knowledge, and treating, diagnosing, and prescribing After shaping the decision tree for a group, it can be clustered based on the nearest-neighbor classifier algorithm, and the correlation decis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linical decision rule set and secure clinical decision mak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ediction of the prognosis of chronic disease by upgrading the optimal clinical prediction rule for each symptom by tracking the history of the highest symptom cure rate for each disease among the ruleset.

일 실시 예에서, CDSS부(124)는, 의료진의 진료 영역 업무에 대한 효율화를 위해서 시각화 툴을 이용하여 임상데이터를 실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 만성질환 임상가이드의 진료, 진단, 처방 프로세스 룰셋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DSS unit 124 may allow the clinical data to be demonstrated by using a visualization tool for efficiency of medical staff's treatment area work, and rules, treatment, diagnosis, and prescription of clinical guidelines for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s Can provid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반려동물에 착용시킨 반려동물 측정기(110)에서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Vital Sign)를 감지하여 네트워크(140)를 통해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로 전송해 주게 된다(S801).Referring to FIG. 8,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worn on the companion animal detects the vital sign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ransmits it to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through the network 140. It is given (S801).

상술한 단계 S801에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반려동물의 피부 표면을 측정하여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얻도록 하는 비침습형 IoT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반려동물 측정기(110)에서는, 체온, 체중, 심박, 심전도, 혈압, 맥박, 호흡, 운동량 등과 같이, 반려동물의 생명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체신호를 의미하고,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만성질환 및 건강상태를 추측할 수 있는 근거 데이터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생체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In transmit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1,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equipped with a non-invasive IoT sensor to measure the companion animal's skin surface to obtain the companion animal's biological data, body temperature , Means weight, heart rate,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pulse, breathing, momentum, etc., means biosignals that occur in the life activity process of a companion animal, and is based on biosignals as evidence for predicting chronic diseases and health conditions Biometric data to be utilized can be sensed.

상술한 단계 S801에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산소포화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반려동물 측정기(110)에서는, 산소포화도 센서를 이용하여, 생체데이터 중에서 특히 변동성이 적고 일시적 환경 변화에도 항상성을 지니고 있는 산소포화도(Spo2)를 측정할 수 있다.In transmit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1,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equipped with an oxygen saturation sensor uses an oxygen saturation sensor, in particular, has little volatility among biological data and provides homeostasis to temporary environmental changes.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oxygen saturation (Spo2).

상술한 단계 S801에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반려동물의 목 부위를 감싸 착용하도록 한 넥밴드 형태로 형성된 반려동물 측정기(110)에서는, 넥밴드 센서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기록하여 건강 현황을 체크하도록 해 줄 수 있다.In transmit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1,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formed in the form of a neckband wrapped around the neck portion of the companion animal, uses the neckband sensor to receive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t can be recorded in real time to check health status.

상술한 단계 S801에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반려동물 측정기(110)는, 산화헤모글로빈(HBO2)과 환원헤모글로빈(Hb)에서는 파장에 따라서 흡광계수가 다르고 파장 805㎚ 부근에서 산화헤모글로빈(HBO2)과 환원헤모글로빈(Hb)의 흡관계수는 거의 같으며, 605㎚ 부근에서는 두드러지게 다르다는 원리를 이용해서 비관혈적(非觀血的)으로 산소포화도를 정밀하게 조사하는 방식으로, 광학적 산소포화도를 구할 수 있다.In transmit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step S801 described above,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has different absorption coefficients depending on the wavelength in the hemoglobin oxidized (HBO2) and the reduced hemoglobin (Hb), and the hemoglobin oxidized near the wavelength 805 nm ( HBO2) and the reduced hemoglobin (Hb) have almost the same number of adsorption coefficients, and by using the principle that they differ markedly around 605 nm, the oxygen saturation is precisely investigated in a non-invasive manner. Can be obtained.

상술한 단계 S801에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산소포화도(Spo2)의 농도 측정 정밀도의 향상을 위해서, 반려동물 측정기(110)에서는, 광 검출기가 광 신호를 이용하여 광학적 산소포화도를 검출하며, 증폭기가 광 검출기에서 검출된 광 신호를 증폭하며, 필터 및 데이터 수집 필터기가 광 검출기에서 검출된 광 신호에서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해 줄 수 있다.In transmit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1, in order to improve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accuracy of the oxygen saturation (Spo2), in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the photo detector detects optical oxygen saturation using an optical signal The amplifier amplifies the optical signal detected by the photo detector, and a filter and a data collection filter can remove unnecessary signals from the optical signal detected by the photo detector.

상술한 단계 S801에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심박동감지센서의 경우에, 반려동물 측정기(110)에서는, 심박의 정확성을 위해서 자이로센서의 정지 시에 측정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진단하도록 할 수 있다.In transmit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step S801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heart rate sensor,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is configured to diagnose based on the data measured when the gyro sensor is stopped for accuracy of the heart rate. Can be.

상술한 단계 S801에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생체데이터 수집 및 처리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반려동물 측정기(110)에서는, 데이터 보정 루틴을 적용시켜,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1(khz) 초과의 주파수 신호를 배제하고, 필요한 신호만 처리할 수 있도록 10 ~ 1000(hz)의 주파수 신호만을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추가 주파수 밴드 필터를 이용하여 반려동물 종별 개체 특징을 보정할 수도 있다.In transmit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1,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biological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applies a data correction routine to sense 1 (khz) sensed by the sensor. ) Excluding the frequency signal, it can be controlled to process only the frequency signal of 10 ~ 1000 (hz) so that only the necessary signal can be processed, and additional frequency band filters can be used to correc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ets have.

상술한 단계 S801에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반려동물 측정기(110)에서는, 저전력 ADC 컨버터 정전류 회로를 사용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전류 보정치를 개선할 수 있으며, 저전력 소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최소단위 소비전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출력 제어모듈별 순차 시퀀스를 수행할 수 있다.In transmit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step S801 described above,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can use a low-power ADC converter constant current circuit and improve the current correction value using a filter, and consume it using a low-power consumption algorithm. The power can be reduced and a sequential sequence for each input / output control module can be performed using a minimum unit power consumption algorithm.

상술한 단계 S801에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반려동물 측정기(110)에서는, CPU 내부 클록(clock)을 이용하여 슬립모드를 적용시키고 기 설정된 시간마다 주기적 통신을 수행하여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상태가 기 설정된 양보다 낮을 경우에 통신 간격 또는 센싱 수집 간격을 기 설정된 시간만큼 길게 제어해 줄 수 있다.In transmit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1,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applies a sleep mode using a CPU internal clock and performs periodic communication every predetermined time to reduce battery consumption. When the battery status is lower than a preset amount, the communication interval or sensing collection interval can be controlled to be long as a preset time.

상술한 단계 S801에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GPS 등과 같은 위치감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반려동물 측정기(110)에서는, 활동량(위치이동)을 감지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로 통보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자이로센서 등을 이용하여 모션(예로, 눕기, 앉기, 서기)을 감지하여 모션 정보를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로 통보해 줄 수도 있다.In transmit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1,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equipped with a location detecting means such as GPS, detects the activity amount (movement of the location), and manages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 And also detect motion (eg, lying down, sitting, standing) using a gyro sensor, etc., and notify motion information to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rver 120.

상술한 단계 S801에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140)에서는, 복수 개의 반려동물 측정기(110)(또는, 복수 개의 동물병원 단말기(150))와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 사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시켜, 서로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transmit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step S801 described above, in the network 140 including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plurality of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s 110 (or a plurality of animal hospital terminals 150)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each other.

상술한 단계 S801에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가정 등에 설치되거나, 반려동물 용품(펫볼) 내부 게이트웨이 장착형으로 설치되는 네트워크(140)에서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가 반려동물 측정기(110)의 생체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IoT 게이트웨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전송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수집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In transmit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1,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is rejected in the network 140 installed in a home, etc., or installed in a companion animal pet (petball) internal gateway mounting type. A plurality of IoT gateways may be provided to enable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biological data of the animal measuring device 110, and thus, the companion animal is collected by collec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transmit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상술한 단계 S801에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각기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기(즉, 복수 개의 반려동물 측정기(110)(또는, 복수 개의 동물병원 단말기(150))와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 사이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펫 IoT 게이트웨이에서는, 블루투스 무선 반려동물 케어 IoT 디바이스인 반려동물 측정기(110)의 데이터 프로세스를 대행할 수도 있다.In transmit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step S801 described above, a device using different protocols (ie, a plurality of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s 110 (or a plurality of animal hospital terminals 150)) and a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 the pet IoT gateway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a data process of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that is a Bluetooth wireless companion animal care IoT device may be performed.

상술한 단계 S801에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IoT 게이트웨이에서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적용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수집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에 대한 정형화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데이터 마이닝 기술의 예측(Forecasting), 연관 순차(Association sequencing) 기법을 적용하여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수집되는 비정형의 생체데이터를 정형의 생체데이터로 변환시켜 줄 수 있다.In transmit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1, the IoT gateway can perform the normalization of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collec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using an algorithm to which the data mining technique is applied. At this time, the prediction of data mining technology (Forecasting), by applying the association sequencing (Association sequencing) technique can be converted from the atypical biological data collec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110 to the standard biological data.

상술한 단계 S801에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IoT 게이트웨이에서는,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수집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기 전에,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수집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체크해서 디스플레이시켜 줄 수 있다.In transmit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step S801 described above, before the IoT gateway transmits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collec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to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the companion animal is reject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in the bio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collected from the animal measuring device 110 may be checked and displayed in real time.

상술한 단계 S801에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만성질환 예후 예측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반 생체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을 구비하고 있는 IoT 게이트웨이에서는, 생체데이터의 수집 조건을 비교 신호(reference signal)에서 미리 설정해 두고, 선형, 트리, 군집 등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교 신호에서 수집 조건이 충족된 생체데이터만을 수집할 수 있으며, 표본 추출 처리를 위한 클러스터링 및 클래시픽 기법을 사용하여 표본 추출 군집도를 정리하고, 정확한 데이터 클린징 후 기존 데이터와 비교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혈액 내 옥시헤모글로빈(oxyhemoglobin)과 디옥시헤모글로빈(deoxyhemoglobin)의 적색광 영역(660mm) 내 흡수계수 비의 정확한 옥시헤모글로빈의 변화량을 추출하기 위해서, 비어 램버트 법칙(Beer-Lambert law)을 이용한 평가(Estimation) 알고리즘 기반 조직 투과 빛 농도에 따른 전기출력신호(Electrical output signal)의 선형성을 확보하고, 전 처리(Preprocessing) 알고리즘으로 광 필터를 사용하여 광 노이즈를 감소시켜 정밀한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다.In transmitt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1, in the IoT gateway equipped with a data mining-based biological data analysis algorithm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chronic disease, the collection condition of the biological data is previously set in a reference signal. After setting, it is possible to collect only the biometric data that satisfies the collection conditions in the comparison signal using algorithms such as linear, tree, and cluster, and use the clustering and classical techniques for sampling processing to collect the sampling cluster. It is possible to clean up, clean data, and compare it with existing data. Also, as a data mining technique, oxyhemoglobin in the ratio of absorption coefficient in the red light region (660mm) of oxyhemoglobin and deoxyhemoglobin in the blood In order to extract the amount of change, the linearity of the electrical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tissue transmission light concentration based on the evaluation algorithm using the Beer-Lambert law is secured, and the preprocessing algorithm By using the optical filter,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oxygen saturation by reducing the optical noise.

상술한 단계 S801에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에서는,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전송되는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네트워크(14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반려동물 생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해 주게 된다(S802).When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s transmitt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1,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receives the companion animal's biological data transmit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through the network 140. , It monitors the received bio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n real time to manage chronic diseases of the companion animal (S802).

상술한 단계 S802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함에 있어서,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에서는,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산소포화도(Spo2)가 기 설정된 수치만큼의 변동 시에 반려동물이 이상상태임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In managing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 step S802, in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rver 120, the oxygen saturation (Spo2) receiv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is rejected when it fluctuates by a preset value. It can be confirmed immediately that the animal is in an abnormal state.

상술한 단계 S802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함에 있어서, 반려동물 만성질환에 대한 건강 위험 관리를 위한 VSTS를 구비하고 있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에서는, VSTS를 이용하여 모니터링된 반려동물의 산소포화도, 체온, 체중, 심박, 심전도, 혈압, 맥박, 호흡, 운동량 등의 생체데이터를 기반으로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해 줄 수 있다.In managing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2,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equipped with a VSTS for managing health risks for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the companion animal monitored using the VSTS It can manage chronic diseases of companion animals based on biological data such as oxygen saturation, body temperature, weight, heart rate,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pulse, breathing, and exercise.

상술한 단계 S802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함에 있어서, 동물병원 단말기(150)에서는, 반려동물의 진료데이터를 네트워크(140)를 통해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때,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가 동물병원 단말기(150)의 진료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IoT 게이트웨이를 구비하고 있는 네트워크(140)에서는, 동물병원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반려동물의 진료데이터를 수집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120)에서는, VSTS를 이용하여,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수신받은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와, 동물병원 단말기(150)로부터 수신받은 진료데이터 중 HRV(통증, 스트레스) 또는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통보받은 활동량(위치이동)을 결합시켜 해당 결합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줄 수 있으며, 해당 결합데이터 기반에 상관관계 패턴을 도출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상증후 예후 예측 화면 기능을 운용자나 관리자(또는, 동물병원 단말기(150))로 제공하고, 위기상황 발생 시에 위기상황 발생을 알리는 푸시 메시지 등의 기능도 제공해 줄 수 있다.In managing the chronic diseases of the companion animal in step S802 described above,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may transmit the companion animal's medical data to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rver 120 through the network 140. . In this case, in the network 140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IoT gateways to enable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to manage and manage the medical data of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It can collect the med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is transmit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can be transmitted. Thus,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0 uses the VSTS, HRV (pain) among the companion animal's biological data receiv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ter 110 and the medical data received from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 Stress) or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to combine the amount of activity (movement of location) that is notified to database the stored data and store it in the database 130, derive a correlation pattern based on the combined data base , Providing an abnormal symptom prognosis prediction screen function as shown in FIG. 4 to an operator or a manager (or an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and also providing a function such as a push message informing the occurrence of a crisis in the event of a crisis. Can be.

상술한 단계 S802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함에 있어서, 동물병원 단말기(150)에서는, VSTS를 이용하여,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수신받은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예로, 맥박, 호흡, 체중, 체온 등) 및 모션 정보와, 동물병원 단말기(150)로부터 수신받은 진료데이터 중 HRV(통증, 스트레스) 또는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통보받은 활동량(위치이동)에 대한 분석으로 테이블별 데이터를 집계한 후에, 탐색적 분석(Exploratory analysis)으로 데이터 상관관계에 대한 패턴을 도출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해 둔 기준 데이터 패턴과 비교해서 만성질환을 예측할 수 있다.In managing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2,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uses the VSTS, and the bio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receiv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eg, pulse, respiration, weight, Body temperature, etc.) and motion information, and table-specific data is aggregated by analyzing the activity amount (location movement) notified from HRV (pain, stress) or companion animal meter 110 among the medical data received from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After that, a pattern for data correlation can be derived by exploratory analysis, and chronic disease can be predicted by comparing it with a reference data pattern registered in the database 130.

상술한 단계 S802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함에 있어서, 동물병원 단말기(150)에서는, VSTS를 이용하여,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수신받은 반려동물의 혈중 내 실시간 산소포화도(Spo2) 데이터 입력 값을 출력 값에 맵핑하여, 데이터 배열을 통해 산소포화도 데이터 값 출력을 위한 논리 회로(Logic circuit)를, 간단한 배열 인덱싱 동작으로 대체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런타임 계산량을 감소시키고 화면 출력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managing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2,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uses VSTS to input real-time oxygen saturation (Spo2) data in the blood of the companion animal received from the companion animal meter 110. By mapping to the output value, the logic circuit for outputting the oxygen saturation data value through the data array can be replaced with a simple array indexing operation, thereby reducing the runtime calculation amount and minimizing the screen output delay. have.

상술한 단계 S802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함에 있어서, 반려동물 만성질환의 진료, 진단, 처방 등에 대한 수의사의 의사결정 지원과 반려동물 만성질환 예측을 수행하도록 AI 기반 만성질환 임상가이드(즉, 생체데이터(또는, 문진데이터) 기반 진료 및 처방 가이드)를 위한 CDSS를 구비하고 있는 동물병원 단말기(150)에서는, CDSS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의료진의 진료, 처방, 진단, 최근 임상자료 검색 등의 전반적인 의료 활동의 의사결정을 보조해 줄 수 있다.In managing the chronic diseases of companion animals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2, the AI-based chronic disease clinical guide (i.e., the living body) to perform veterinary decision support and prediction of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s in the management, diagnosis, and prescription of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s. In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equipped with CDSS for data (or questionnaire data-based medical treatment and prescription guide), the medical treatment, prescription, diagnosis, and recent clinical data search of companion animals by using the CDSS It can assist in the decision making of overall medical activities.

상술한 단계 S802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함에 있어서, 동물병원 단말기(150)에서는, CDSS를 이용하여, 기 설정해 둔 만성질환 분야의 진료, 진단, 처방 프로세스와, 반려동물 측정기(110)로부터 수신받은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 동물병원 단말기(150)로부터 수신받은 반려동물의 진료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임상가이드 의사결정트리(Decision Tree) 알고리즘 화면 및 룰셋 관리(Rule Set Management) 화면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managing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2,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uses the CDSS to receive the treatment, diagnosis, and prescription process of the predetermined chronic disease field and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110 Provides functions such as the clinical guide decision tree algorithm screen and the rule set management screen based on the received bio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med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received from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can do.

상술한 단계 S802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함에 있어서, 동물병원 단말기(150)에서는, CDSS를 이용하여, 반려동물 진료 문서의 전자화를 지식관리시스템 기반 진료지식으로 사용한 사례, 임상가이드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둘 수 있으며, 진료, 진단, 처방을 위한 의사결정트리를 정형화한 후에 최인접분류기(Nearest-neighbor classifier) 알고리즘 기반으로 군집화하고, 상관관계 도출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신뢰성이 향상된 임상 의사결정 룰셋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확보된 임상 의사결정 룰셋 중 질환별 증상 완치율이 가장 높았던 이력을 추적 조사하여 증상별 최적합한 임상 예측 룰을 고도화하여 만성질환 예후 예측을 제공해 줄 수 있다.In managing chronic diseases of companion animals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2,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uses CDSS to make a database of cases and clinical guides using electronic knowledge of companion animal medical documents as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based medical knowledge. It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130, and after the decision tree for medical treatment, diagnosis, and prescription is formalized, it is clustered based on the nearest-neighbor classifier algorithm, and the reliability is improved through correlation deriv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 clinical decision-making rule set can be secured, and a history of the highest symptom cure rate among diseases among the secured clinical decision-making rule sets can be traced to improve the optimal clinical prediction rule for each symptom to provide prediction of chronic disease prognosis.

상술한 단계 S802에서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함에 있어서, 동물병원 단말기(150)에서는, CDSS를 이용하여, 의료진의 진료 영역 업무에 대한 효율화를 위해서, 시각화 툴을 이용하여 임상데이터를 실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 만성질환 임상가이드의 진료, 진단, 처방 프로세스 룰셋을 제공할 수 있다.In managing the chronic diseases of companion animals in the above-described step S802, the animal hospital terminal 150 can use CDSS to demonstrate clinical data using a visualization tool for efficiency in medical field work of medical staff. In addition, it can provide a ruleset for treatment, diagnosis, and prescription of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clinical guides.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 or operating method, and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etc. It may be implemented, such an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00: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
110: 반려동물 측정기
120: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
121: 인터페이스부
122: 모니터링부
123: VSTS부
124: CDSS부
130: 데이터베이스
140: 네트워크
150: 동물병원 단말기
100: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10: companion animal meter
120: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21: interface
122: monitoring unit
123: VSTS section
124: CDSS unit
130: database
140: network
150: animal hospital terminal

Claims (5)

반려동물에 착용시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감지하기 위한 반려동물 측정기;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에서 감지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수신받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는 반려동물 생체데이터를 전달받아 등록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와 상기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 사이를 통신으로 연결시켜, 서로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
A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for wearing on a companion animal and detecting bio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by receiving and receiving the bio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detected by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in real time;
A database for receiving and registering companion animal biometric data that is monitored in real time from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d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network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and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반려동물의 피부 표면을 측정하여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얻기 위한 비침습형 IoT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for chronic diseases of companion animals, comprising a non-invasive IoT sensor for measuring the skin surface of a companion animal and obtaining bio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는,
체온, 체중, 심박, 심전도, 혈압, 맥박, 호흡, 운동량의 생체데이터로, 반려동물의 생명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characterized by sensing bio signals generated during the life activity process of a companion animal as biological data of body temperature, weight, heart rate,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pulse, respiration, and momentum.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반려동물 측정기 각각을 식별하며,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에서 감지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수신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받은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
An interface unit for identifying each of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s communicative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receiving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detected by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And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 monitoring unit for managing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by monitoring the bio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received in real time in the interface unit.
반려동물 측정기가 반려동물에 착용시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감지하는 단계; 및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반려동물 측정기에서 감지한 반려동물의 생체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받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반려동물 만성질환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방법.
A step in which a companion animal measuring instrument is worn on the companion animal to detect the bio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And
Comprehensive animal chronic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managing the companion animal chronic disease by receiving the biological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detected by the companion animal measuring device through the network and monitoring in real time.
KR1020180140624A 2018-11-15 2018-11-15 Integrated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of pet KR202000566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624A KR20200056674A (en) 2018-11-15 2018-11-15 Integrated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of p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624A KR20200056674A (en) 2018-11-15 2018-11-15 Integrated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of p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674A true KR20200056674A (en) 2020-05-25

Family

ID=7091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624A KR20200056674A (en) 2018-11-15 2018-11-15 Integrated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of p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6674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483B1 (en) 2020-10-16 2021-05-24 한수연 Method for diagnosis of articular phtholog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220098869A (en) * 2021-01-05 2022-07-12 주식회사 오션라이트에이아이 Companion animal skin lesion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clinical and image information
KR102539342B1 (en) * 2022-10-28 2023-06-01 이승곤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record service for animal with heart disease
WO2023136388A1 (en) * 2022-01-17 2023-07-20 주식회사 에이아이포펫 Service providing system capable of predicting and diagnosing state of joints, and method theref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241B1 (en) 2016-04-25 2018-02-21 주식회사 티엔드티굳텀스 Health car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KR20180040384A (en) 2016-10-12 2018-04-20 장승우 A Total Care System Of Companian Anim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241B1 (en) 2016-04-25 2018-02-21 주식회사 티엔드티굳텀스 Health car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KR20180040384A (en) 2016-10-12 2018-04-20 장승우 A Total Care System Of Companian Anima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483B1 (en) 2020-10-16 2021-05-24 한수연 Method for diagnosis of articular phtholog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220098869A (en) * 2021-01-05 2022-07-12 주식회사 오션라이트에이아이 Companion animal skin lesion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clinical and image information
WO2023136388A1 (en) * 2022-01-17 2023-07-20 주식회사 에이아이포펫 Service providing system capable of predicting and diagnosing state of joints, and method therefor
KR102539342B1 (en) * 2022-10-28 2023-06-01 이승곤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record service for animal with heart dise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8838B2 (en) Automated detection of breathing disturbances
KR20200056674A (en) Integrated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of pet
JP5669787B2 (en) Residue-based management of human health
JP2008011865A (en) Healthcare apparatus and program for driving the same to function
CN105411554A (en) Wireless non-invasive human physiological parameter collection, detection and intelligent diagnosis system
KR102266857B1 (en) System, sever and method for preventing metabolic syndrome of pet using smart neck-band based on cloud
CN113520395A (en) Real-time mental state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US11854699B1 (en) Predicting respiratory distress
JP2023520573A (en) EEG recording and analysis
CN114883006A (en) Health monitoring and dynamic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d application
CN116580858A (en) AI-based remote medical care reminding method, AI-based remote medical care remind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JP7361784B2 (en) Behavioral task evaluation system and behavioral task evaluation method
Bellos et al. An intelligent system for classification of patients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Panagiotou et al. A multi: modal decision making system for an ambient assisted living environment
US2022025450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 non-contact monitoring of health racterstic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van den Broek et al. Automated sleep staging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heart rate and respiration variability
Tan et al. Remote patient monitoring system
Chen et al. Biovitals™: a personalized multivariate physiology analytics using continuous mobile biosensors
US201602280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monitoring of patient vital signs
CN109640819B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sthma attack or asthma in a subject
Jones et al. Developing the accuracy of vital sign measurements using the Lifelight software application in comparison to standard of care methods: observational study protocol
Wong et al. Identifying vital sign abnormality in acutely-ill patients
Cabri¹ et al. Check for Remote Healthcare System Based on AIOT
Vignesh et al. An Efficient and Intelligent Systems for Internet of Things Based Health Observance System for Covid 19 Patients
WO2023214956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biomarker detection and tr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