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156A - 어댑터 및 이를 갖는 전자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댑터 및 이를 갖는 전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156A
KR20200052156A KR1020180135392A KR20180135392A KR20200052156A KR 20200052156 A KR20200052156 A KR 20200052156A KR 1020180135392 A KR1020180135392 A KR 1020180135392A KR 20180135392 A KR20180135392 A KR 20180135392A KR 20200052156 A KR20200052156 A KR 20200052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adapter
adapter termina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준
주성용
박성호
이상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5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2156A/ko
Priority to PCT/KR2019/014155 priority patent/WO2020096245A1/en
Priority to CN201980073012.8A priority patent/CN112970154B/zh
Priority to EP19881177.0A priority patent/EP3841640A4/en
Priority to US16/675,627 priority patent/US11075492B2/en
Publication of KR20200052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01R13/6456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comprising keying elements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어댑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어댑터는 전원 케이블, 상기 전원 케이블의 일 단에 배치되는 변환장치, 및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 단에 배치되며, 전자장치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중공이 형성되는 커넥터 바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제1 어댑터 단자, 및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어댑터 단자와 상이한 전력 용량을 갖는 제2 어댑터 단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댑터 및 이를 갖는 전자시스템{ADAPTER AND ELECTRONIC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어댑터 및 이를 갖는 전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적 연결 구조가 개선된 어댑터 및 이를 갖는 전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장치들은 전자장치의 종류 및 사용처에 따라 사용되는 전압이 서로 다르며, 전원을 제공받는 입력 잭의 모양 또한 각 제품에 따라 서로 상이하다.
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그 입력 잭에 적합한 모양을 가진 커넥터를 통해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적절한 전압의 전원을 제공해야 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전원 변환 공급장치인 전원 어댑터이다.
특히, 전원 어댑터는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노트북, PC(Personal Computer), 디스플레이 모니터, 휴대폰 등의 각종 전자장치에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해주는 장치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전자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해주는 장치로 입력 전원으로부터 필요한 출력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원 어댑터는 교류/직류 변환 및 변압 회로가 내장된 케이스에 전원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전자장치에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되어 콘센트를 통해 입력된 고전압의 교류 전원을 적정 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자장치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자장치에 부적합한 어댑터가 연결될 때, 전기적 연결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전자장치에 어댑터가 연결된 때,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 전자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재고 관리가 용이한 전자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어댑터는 전원 케이블, 상기 전원 케이블의 일 단에 배치되는 변환장치, 및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 단에 배치되며, 전자장치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중공이 형성되는 커넥터 바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제1 어댑터 단자, 및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어댑터 단자와 상이한 전력 용량을 갖는 제2 어댑터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바디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어댑터 단자는 제1 양의 어댑터 단자 및 제1 음의 어댑터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양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음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어댑터 단자는 제2 양의 어댑터 단자 및 제2 음의 어댑터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양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음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음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제2 양의 어댑터 단자보다 상기 전자장치에 먼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제2 양의 어댑터 단자의 길이는 상기 제2 음의 어댑터 단자의 길이보다 짧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자장치에 삽입될 때, 상기 제2 어댑터 단자의 일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단자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어댑터 단자는 상기 제1 어댑터 단자보다 큰 전력 용량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자시스템은 제1 입력단자 및 상기 제1 입력단자와 상이한 용량을 갖는 제2 입력단자를 갖는 입력 잭이 마련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 어댑터 단자 및 상기 제2 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어댑터 단자와 상이한 전력 용량을 갖는 제2 어댑터 단자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어댑터;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장치가 제1 전력 용량을 요구할 때,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제1 입력단자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상기 전자장치가 제2 전력 용량을 요구할 때,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제2 입력단자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잭은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 홈 및 상기 삽입 홈의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 폴(center pol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입력단자는 상기 센터 폴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입력단자는 상기 삽입 홈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입력 잭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중공을 갖는 커넥터 바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바디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어댑터 단자는 제1 양의 어댑터 단자 및 제1 음의 어댑터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양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며, 상기 제1 음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어댑터 단자는 제2 양의 어댑터 단자 및 제2 음의 어댑터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양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음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단자는 상기 제1 입력단자보다 큰 전력 용량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잭은, 상기 커넥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 홈, 및 상기 커넥터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커넥터가 상기 입력 잭과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커넥터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단자는 상기 삽입 홈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홈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입력단자는 상기 삽입 홈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홈의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전자시스템은 전자장치에 부적합한 어댑터가 연결되더라도 전기적 연결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부적절한 사용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전자시스템은 어댑터가 전자장치에 연결된 때, 어댑터의 커넥터가 전자장치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전자시스템은 하나의 입력 잭이 상대적으로 저 전력 용량 전원부 및 저 전력 용량 어댑터와도 호환이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고 전력 용량 전원부 및 고 전력 용량 어댑터와도 호환이 가능하므로, 재고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전자시스템은 고 전력 용량 어댑터의 커넥터가 저 전력 용량 전원부와도 호환될 수 있으므로, 재고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입력 잭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입력 잭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저 전력 용량 및 고 전력 용량 전자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제1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커넥터의 입력 잭에 삽입되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저 전력 용량 전자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제2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2 커넥터의 입력 잭에 삽입되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제1 커넥터가 도 4에 도시된 입력 잭에 삽입되어 A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 커넥터가 B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잭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입력 잭과 호환되도록 마련된 제1 커넥터의 입력 잭에 삽입되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입력 잭과 호환되도록 마련된 제2 커넥터의 입력 잭에 삽입되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잭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입력 잭과 호환되도록 마련된 제1 커넥터의 입력 잭에 삽입되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는 도 16에 도시된 입력 잭과 호환되도록 마련된 제2 커넥터의 입력 잭에 삽입되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의 단자 커버가 단자를 커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의 단자 커버가 단자를 노출시키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좌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시스템(1)은 전자장치(10)와 어댑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어댑터(2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자장치(10)의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잭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한되지 않고, 전원 공급이 필요한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 노트북과 같은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에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전자장치(10)는 하우징(11)과, 디스플레이 유닛(12)과, 스탠드(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내부에 전장품들을 수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2)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탠드(13)는 전자장치(10)를 지지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구동을 위한 전원을 입력 받도록 마련되는 입력 잭(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입력 잭(110)을 통해 데이터, 제어신호, 또는 파워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잭(11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1에서 입력 잭(110)은 전자장치(10)의 배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입력 잭(110)은 전자장치(10)의 상면, 하면, 또는 좌우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어댑터(20)는 전자장치(10)로 전원 전압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어댑터(20)는 전원 케이블(21)과, 플러그(22)와, 변환장치(23)와, 커넥터(120, 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장치(23)는 콘센트(미도시)와 연결되는 플러그(22)를 통해 전원 전압을 전달받고, 이를 전자장치(10)에 적합하게 변환하여 전원 케이블(21)을 통해 커넥터(120, 130)로 전달할 수 있다.
커넥터(120, 130)는 어댑터(20)의 일 단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120, 130)는 전자장치(10)의 입력 잭(110)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120, 130)는 전원 케이블(21)을 통해 전달된 전원 전압을 입력 잭(1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커넥터(120, 13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전자시스템(1')을 설명함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시스템(1')은 전자장치(10')와, 어댑터(20)와, 원 커넥트 박스(30, one connect box)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전자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전자시스템(1)과 달리 원 커넥트 박스(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하우징(11')과, 디스플레이 유닛(12')과, 스탠드(13')와, 연결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과, 디스플레이 유닛(12')과, 스탠드(13')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11)과, 디스플레이 유닛(12)과 스탠드(13)의 구성과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부(14')는 연결 케이블(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4')를 통해 전자장치(10')는 원 커넥트 박스(30)로부터 신호 및/또는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원 커넥트 박스(30)는 연결 케이블(31)을 통해 전자장치(10')와 연결될 수 있다. 원 커넥트 박스(30)에는 전자장치(10')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자장치(10')는 원 커넥트 박스(30)를 매개체로 외부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어댑터(20)는 원 커넥트 박스(30)에 연결될 수 있다. 어댑터(20)는 원 커넥트 박스(3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원 커넥트 박스(30)에는 입력 잭(11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어댑터(20)는 입력 잭(110)에 삽입되어 원 커넥트 박스(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입력 잭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입력 잭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는 메인보드(15)와, 디스플레이 패널(12a)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보드(15)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자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보드(15)는 전원부(16)와, 영상 처리부(17)와, BLU(backlight unit) 드라이버(18)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6)는 전원 컨버터(16a)와, 입력 잭(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컨버터(16a)는 입력 잭(110)으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전자장치(10)에 적합하게 변환시킬 수 있다.
영상 처리부(17)는 전원 컨버터(16a)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전자장치(10)에 표시될 영상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BLU 드라이버(18)는 입력 잭(110)으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통해 백 라이트 유닛(19b, BLU)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전자장치(10)에는 요구되는 전력 용량에 따라, 제1 입력단자(116)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거나, 제2 입력단자(117)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가 상대적으로 작은 전력 용량을 필요로 하는 때, 전자장치(10)는 제1 입력단자(116)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입력단자(116)는 전원 컨버터(16a)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컨버터(16a)는 제2 입력단자(117)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입력단자(116)는 상대적으로 작은 전력 용량인 제1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제1 입력단자(116)는 제2 입력단자(117)보다 작은 전력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전자장치(10)에는 어댑터(20)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전원 컨버터(16a)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 잭(110)이 마련될 수 있다.
반면, 전자장치(10)가 상대적으로 큰 전력 용량을 필요로 하는 때, 전자장치(10)는 제2 입력단자(117)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2 입력단자(117)는 전원 컨버터(16a)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컨버터(16a)는 제1 입력단자(116)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입력단자(117)는 상대적으로 큰 전력 용량인 제2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제2 용량은 제1 용량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입력단자(117)는 제1 입력단자(116)보다 큰 전력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전자장치(10)에는 어댑터(20)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전원 컨버터(16a)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 잭(110)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구성의 입력 잭(110)을 저 전력 용량 전자장치(10) 및 고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액정 컨트롤러(19a)는 전원 컨버터(16a)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유닛(12)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12a)을 제어할 수 있다. 액정 컨트롤러(19a)는 디스플레이 패널(12a)을 구동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a)에는 백 라이트 유닛(19b)이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a)은 백 라이트 유닛(19b)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입력 잭(110)은 전자장치(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잭(110)은 잭 바디(111)와, 삽입 홈(112)과, 센터 폴(113)과, 제1 입력단자(116)과, 제2 입력단자(117)를 포함할 수 있다.
잭 바디(111)는 내부에 삽입 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홈(112)은 커넥터(120, 130)의 커넥터 바디(122, 1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커넥터 바디(122, 132)에 대응되는 형상 및/또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삽입 홈(112)은 커넥터 바디(122, 132)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삽입 홈(112)에는 커넥터(120, 130)의 커넥터 바디(122, 13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센터 폴(113)은 삽입 홈(1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 폴(113)은 삽입 홈(112)의 대략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 홈(112)은 입력 잭(110)에 커넥터(120, 130)가 연결된 때, 커넥터(120, 130)의 중공(123, 133)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입력단자(116)은 입력 잭(110)이 저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 적용된 경우, 전원 컨버터(16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메인보드(15)는 제1 용량이 요구될 수 있다. 제1 입력단자(116)는 커넥터(120, 130)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입력단자(116)는 센터 폴(113)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입력단자(116)는 센터 폴(113)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입력단자(116)는 제1 양의 입력단자(116a)와 제1 음의 입력단자(11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양의 입력단자(116a)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음의 입력단자(116b)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입력단자(117)는 입력 잭(110)이 고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 적용된 경우, 전원 컨버터(16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메인보드(15)는 제1 용량보다 큰 제2 용량이 요구될 수 있다. 제2 입력단자(117)는 커넥터(120, 130)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입력단자(117)는 제1 입력단자(116)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2 입력단자(117)는 삽입 홈(112)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입력단자(117)는 삽입 홈(112)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입력단자(117)는 제2 양의 입력단자(117a)와 제2 음의 입력단자(11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양의 입력단자(117a)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음의 입력단자(117b)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입력 잭(110)은 가이드 홈(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114)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입력 잭(110)은 전자장치(10)의 용량 등급에 대응되는 입력단자(116, 117)를 전원 컨버터(16a)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바, 부적절한 커넥터가 연결되더라도 제품의 오작동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저 전력 용량 및 고 전력 용량 전자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넥터의 입력 잭에 삽입되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저 전력 용량 전자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커넥터의 입력 잭에 삽입되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시스템(1)은 전자장치(10)의 요구 전력의 용량에 따라 상이한 커넥터(120,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부터는 설명의 편의 상, 저 전력 용량 및 고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 모두 적용이 가능한 커넥터(120)를 제1 커넥터(120)라 칭하고, 저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만 적용이 가능한 커넥터(130)를 제2 커넥터(130)라고 칭한다. 하기에서 설명할 제1 어댑터 단자(126, 136)는 제1 커넥터(120)의 제1a 어댑터 단자(126)와 제2 커넥터(130)의 제1b 어댑터 단자(13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저 전력 용량 전자장치(10) 및 고 전력 용량 전자장치(10) 모두와 호환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커넥터(120)는 제1 용량의 전압과 제2 용량의 전압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20)는 어댑터(20)의 일 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20)는 전자장치(10)에 연결되어 전자장치(10)에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20)는 제1 커넥터 케이스(121)와, 제1 커넥터 바디(122)와, 제1 중공(123)과, 제1a 어댑터 단자(126)와, 제2 어댑터 단자(1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케이스(121)는 제1 커넥터(120)의 일 단에 배치되며, 전원 케이블(21)과 제1 커넥터 바디(122)의 연결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바디(122)는 센터 폴(113)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 중공(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공(123)에는 센터 폴(113)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바디(122)는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a 어댑터 단자(126)는 제1 커넥터(120)가 저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 연결된 때, 제1 입력단자(116)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a 어댑터 단자(126)는 상대적으로 저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 연결된 때, 제1 입력단자(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입력단자(116)는 전원 컨버터(16a)와 연결되어 제1a 어댑터 단자(126)로부터 전달받은 전원 전압을 전원 컨버터(16a)로 전달할 수 있다. 제1a 어댑터 단자(126)는 제1 커넥터 바디(122)의 반경 방향에 따른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a 어댑터 단자(126)는 제1a 양의 어댑터 단자(126a)와 제1a 음의 어댑터 단자(12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a 양의 어댑터 단자(126a)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a 음의 어댑터 단자(126b)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어댑터 단자(127)는 제2 입력단자(117)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자장치(10)가 제2 용량을 요구하도록 마련될 때, 전원 컨버터(16a)는 제2 입력단자(1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입력단자(117)는 제2 어댑터 단자(1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어댑터 단자(127)는 제1 커넥터 바디(122)의 반경 방향에 따른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어댑터 단자(127)는 제2 양의 어댑터 단자(127a)와 제2 음의 어댑터 단자(12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양의 어댑터 단자(127a)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음의 어댑터 단자(127b)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20)는 제1 가이드 돌기(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124)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커넥터(120)는 저 전력 용량 전자장치(10) 및 고 전력 용량 전자장치(10) 모두에 사용 가능하므로, 재고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손실되는 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전자장치(10)에만 적용 가능한 제2 커넥터(130)는 상대적으로 저 전력 용량인 제1 용량만을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커낵터(130)는 제1 커넥터(120)가 위치할 수 있는 어댑터(20)의 일 단베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넥터(130)는 전자장치(10)에 연결되어 전자장치(10)에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커넥터(130)는 제2 커넥터 케이스(131)와, 제2 커넥터 바디(132)와, 제2 센터 홈(133)과, 제1b 어댑터 단자(136)와, 차단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케이스(131)는 제2 커넥터(130)의 일 단에 배치되며, 전원 케이블(21)과 제2 커넥터 바디(132)의 연결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바디(132)는 센터 폴(113)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2 센터 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터 홈(133)에는 센터 폴(113)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바디(132)는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b 어댑터 단자(136)는 제2 커넥터(130)가 저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 연결된 때, 제1 입력단자(116)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b 어댑터 단자(136)는 상대적으로 저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 연결된 때, 제1 입력단자(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입력단자(116)는 전원 컨버터(16a) 와 연결되어 제1b 어댑터 단자(136)로부터 전달받은 전원 전압을 전원 컨버터(16a)로 전달할 수 있다. 제1b 어댑터 단자(136)는 제2 커넥터 바디(132)의 반경 방향에 따른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b 어댑터 단자(136)는 제1b 양의 어댑터 단자(136a)와 제1b 음의 어댑터 단자(13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b 양의 어댑터 단자(136a)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b 음의 어댑터 단자(136b)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차단부(137)는 입력 잭(110)의 제2 입력단자(117)와 제2 커넥터(130)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차단부(137)는 제2 커넥터 바디(132)의 반경 방향에 따른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137)는 제2 커넥터 바디(132)의 외주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차단부(137)는 고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 연결되더라도, 상대적으로 고 전력 용량인 전원 컨버터(16a)와 제2 커넥터(1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차단부(137)는 부도체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커넥터(130)는 제2 가이드 돌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기(134)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는 입력 잭(110)은 단일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생산의 효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의 필요 용량에 따라 제1 커넥터(120) 또는 제2 커넥터(130)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전자장치(10)와 대응되지 않는 용량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은 차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 특히, 저 전력 용량의 전자장치(10)에 고 전력 용량이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커넥터가 도 4에 도시된 입력 잭에 삽입되어 A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커넥터가 B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며, 입력 잭(11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커넥터(120) 및 제2 커넥터(130)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도 10 및 도 11에서는 제2 커넥터(120)만을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입력 잭(110)에는 제2 커넥터(130)가 삽입될 수도 있으며, 제1 커넥터(120)와 동일한 동작을 할 수 있다.
가이드 홈(114)은 삽입 홈(112)의 일 부분이 삽입 홈(112)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홈(114)은 제1 커넥터(12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홈(114)은 제1 커넥터(120)가 입력 잭(110)과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제1 커넥터(120)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124)는 제1 커넥터(120)의 제1 커넥터 바디(12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124)는 가이드 홈(114)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124)는 가이드 홈(114)의 내부에서 센터 폴(113)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기(134)는 제2 커넥터(130)의 제2 커넥터 바디(13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기(134)는 가이드 홈(114)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기(134)는 가이드 홈(114)의 내부에서 센터 폴(113)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커넥터(120) 또는 제2 커넥터(130)는 입력 잭(110)에 삽입된 상태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10)의 입력 잭(110)에 제1 커넥터(120) 또는 제2 커넥터(130)가 연결되더라도, 다른 케이블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10)는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제1 커넥터(220)를 설명함에 있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제1 커넥터(2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1 커넥터(120)와 같이 저 전력 용량의 전자장치(10) 뿐만 아니라, 고 전력 용량의 전자장치(10) 와도 호환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220)는 제1 커넥터(12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어댑터 단자(227)를 가질 수 있다.
제1 커넥터(220)가 삽입 홈(112)에 삽입될 때, 제2 음의 어댑터 단자(227b)는 제2 양의 어댑터 단자(227a)보다 제2 입력단자(117)에 먼저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220)는 상기 제2 양의 어댑터 단자(226a)가 배치된 외주면 상에서 삽입 홈(112)에 삽입되는 방향에 따른 선단에 배치되는 부도체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부도체부(228)는 제2 양의 어댑터 단자(227a)의 일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부도체부(228)는 제2 양의 어댑터 단자(226a)의 일 부분을 덮어 제2 입력단자(117)와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부도체부(228)는 제1 커넥터 바디(122)의 외주면의 일 부분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잭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입력 잭과 호환되도록 마련된 커넥터의 입력 잭에 삽입되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입력 잭과 호환되도록 마련된 커넥터의 입력 잭에 삽입되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입력 잭(310)과, 제1 커넥터(320)와, 제2 커넥터(330)를 설명함에 있어,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입력 잭(310)의 제1 입력단자(316)는 삽입 홈(1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14)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입력단자(316)는 삽입 홈(112)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제1 양의 입력단자(316a)와, 센터 폴(113)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 음의 입력단자(316b)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잭(310)의 제2 입력단자(317)는 삽입 홈(1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14)의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입력단자(317)는 삽입 홈(112)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제2 양의 입력단자(317a)와, 센터 폴(113)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2 음의 입력단자(317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되도록,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320)의 제1 어댑터 단자(326)는 제1 커넥터 바디(12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 돌기(124)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a 어댑터 단자(326)의 제1a 양의 어댑터 단자(326a)는 제1 커넥터 바디(122)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a 어댑터 단자(326)의 제1a 음의 어댑터 단자(326b)는 제1 커넥터 바디(122)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320)의 제2 어댑터 단자(327)는 제1 커넥터 바디(12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 돌기(124)의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어댑터 단자(327)의 제2 양의 어댑터 단자(327a)는 제1 커넥터 바디(122)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어댑터 단자(327)의 제2 음의 어댑터 단자(327b)는 제1 커넥터 바디(122)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와 접촉이 가능한 커넥터 바디(122)의 외주면에 제1a 양의 어댑터 단자(326a)와 제2 양의 어댑터 단자(327a)가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제1 커넥터(320)와 접촉하더라도 전류가 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입력 잭(310)이 저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 마련되는 경우, 전원 컨버터(16a)는 제1 입력단자(3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커넥터(320)는 제1 입력단자(3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어댑터 단자(326)를 통해 전원을 전자장치(10)에 공급할 수 있다.
반면, 입력 잭(310)이 고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 마련되는 경우, 전원 컨버터(16a)는 제2 입력단자(3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커넥터(320)는 제2 입력단자(3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어댑터 단자(327)를 통해 전원을 전자장치(10)에 공급할 수 있다.
반면, 도 15를 참조하면, 제2 커넥터(330)의 제1 어댑터 단자(336)는 제2 커넥터 바디(33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 돌기(134)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b 어댑터 단자(336)의 제1b 양의 어댑터 단자(336a)는 제2 커넥터 바디(332)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b 어댑터 단자(336)의 제1b 음의 어댑터 단자(336b)는 제2 커넥터 바디(332)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넥터(330)의 차단부(337)는 제2 커넥터 바디(33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 돌기(134)의 제1b 어댑터 단자(336)가 배치되는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337)는 입력 잭(310)의 제2 입력단자(317)와 제2 커넥터(330)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차단부(337)는 제2 커넥터 바디(332)의 반경 방향에 따른 외주면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337)는 제2 커넥터 바디(332)의 외주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입력 잭(310)이 저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 마련되는 경우, 전원 컨버터(16a)는 제1 입력단자(3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커넥터(330)는 제1 입력단자(3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b 어댑터 단자(336)를 통해 전원을 전자장치(10)에 공급할 수 있다.
반면, 입력 잭(310)이 고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 마련되는 경우, 전원 컨버터(16a)는 제2 입력단자(3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커넥터(330)는 상대적으로 고 전력 용량인 전자장치(10)와 제2 커넥터(3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차단부(337)는 부도체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잭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입력 잭과 호환되도록 마련된 제1 커넥터의 입력 잭에 삽입되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는 도 16에 도시된 입력 잭과 호환되도록 마련된 제2 커넥터의 입력 잭에 삽입되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입력 잭(410)과, 제1 커넥터(420)와, 제2 커넥터(430)를 설명함에 있어,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입력 잭(410)의 제1 입력단자(416)는 삽입 홈(1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14)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입력단자(416)는 삽입 홈(112)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제1 음의 입력단자(416b)와, 센터 폴(113)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 양의 입력단자(416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입력단자(416)의 극의 배치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와 반대가 될 수 있다.
입력 잭(410)의 제2 입력단자(417)는 삽입 홈(1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14)의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입력단자(417)는 삽입 홈(112)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제2 음의 입력단자(417b)와, 센터 폴(113)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2 양의 입력단자(417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되도록,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420)의 제1 어댑터 단자(426)는 제1 커넥터 바디(12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 돌기(124)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a 어댑터 단자(426)의 제1a 양의 어댑터 단자(426a)는 제1 커넥터 바디(122)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a 어댑터 단자(426)의 제1a 음의 어댑터 단자(426b)는 제1 커넥터 바디(122)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어댑터 단자(426)의 극의 배치는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와 반대가 될 수 있다.
제1 커넥터(420)의 제2 어댑터 단자(427)는 제1 커넥터 바디(12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 돌기(124)의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어댑터 단자(427)의 제4 양의 어댑터 단자(427a)는 제1 커넥터 바디(122)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어댑터 단자(427)의 제2 음의 어댑터 단자(427b)는 제1 커넥터 바디(122)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어댑터 단자(427)의 극의 배치는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와 반대가 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와 접촉이 가능한 커넥터 바디(122)의 외주면에 제1a 음의 어댑터 단자(426b)와 제2 음의 어댑터 단자(427b)가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제1 커넥터(420)와 접촉하더라도 전류가 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입력 잭(410)이 저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 마련되는 경우, 전원 컨버터(16a)는 제1 입력단자(4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커넥터(420)는 제1 입력단자(4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어댑터 단자(426)을 통해 전원을 전자장치(10)에 공급할 수 있다.
반면, 입력 잭(410)이 고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 마련되는 경우, 전원 컨버터(16a)는 제2 입력단자(4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커넥터(420)는 제2 입력단자(4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어댑터 단자(427)를 통해 전원을 전자장치(10)에 공급할 수 있다.
반면, 도 18을 참조하면, 제2 커넥터(430)의 제1b 어댑터 단자(436)는 제2 커넥터 바디(43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 돌기(134)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b 어댑터 단자(436)의 제1b 양의 어댑터 단자(436a)는 제2 커넥터 바디(432)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b 어댑터 단자(436)의 제1b 음의 어댑터 단자(436b)는 제2 커넥터 바디(432)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넥터(430)의 차단부(437)는 제2 커넥터 바디(43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 돌기(134)의 제1b 어댑터 단자(436)가 배치되는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437)는 입력 잭(410)의 제2 입력단자(417)와 제2 커넥터(430)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차단부(437)는 제2 커넥터 바디(432)의 반경 방향에 따른 외주면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437)는 제2 커넥터 바디(432)의 외주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입력 잭(410)이 저 젼력 용량 전자장치(10)에 마련되는 경우, 전원 컨버터(16a)는 제1 입력단자(4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커넥터(430)는 제1 입력단자(4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b 어댑터 단자(436)를 통해 전원을 전자장치(10)에 공급할 수 있다.
반면, 입력 잭(410)이 고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 마련되는 경우, 전원 컨버터(16a)는 제2 입력단자(4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커넥터(430)는 상대적으로 고 전력 용량인 전자장치(10)와 제2 커넥터(4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차단부(437)는 부도체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의 단자 커버가 단자를 커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의 단자 커버가 단자를 노출시키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제1 커넥터(520)를 설명함에 있어, 도 6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520)는 제1 용량의 전압과 제2 용량의 전압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넥터(520)는 제1 커넥터 케이스(521)와, 제1 커넥터 바디(522)와, 제1 센터 홈(523)과, 제1a 어댑터 단자(526)와, 제2 어댑터 단자(5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a 어댑터 단자(526)는 제1 커넥터(520)가 저 전력 용량 전자장치(10)에 연결된 때, 제1 입력단자(116)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a 어댑터 단자(526)는 상대적으로 저 전력 용량의 전자장치(10)에 연결된 때, 제1 입력단자(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입력단자(116)는 전원 컨버터(16a)와 연결되어 제1a 어댑터 단자(526)로부터 전달받은 전원 전압을 전원 컨버터(16a)로 전달할 수 있다. 제1a 어댑터 단자(526)는 제1 커넥터 바디(522)의 반경 방향에 따른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a 어댑터 단자(526)는 제1a 양의 어댑터 단자(526a)와 제1a 음의 어댑터 단자(52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a 양의 어댑터 단자(526a)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a 음의 어댑터 단자(526b)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어댑터 단자(527)는 제2 입력단자(117)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자장치가(10)에 제2 용량을 요구하도록 마련될 때, 전원 컨버터(16a)는 제2 입력단자(1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입력단자(117)는 제2 어댑터 단자(5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어댑터 단자(527)는 제1 커넥터 바디(522)의 반경 방향에 따른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어댑터 단자(527)는 제2 양의 어댑터 단자(527a)와 제2 음의 어댑터 단자(52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양의 어댑터 단자(527a)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음의 어댑터 단자(527b)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넥터(520)는 제1 가이드 돌기(5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커넥터(520)는 저 전력 용량 전자장치(10) 및 고 전력 용량 전자장치(10) 모두에 사용 가능하므로, 재고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손실되는 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커넥터(520)는 제2 양의 어댑터 단자(527a)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단자 커버(528)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커버(528)는 제1 커넥터 케이스(521)의 내부에 형성되는 커버 홈(521a)에 인입되거나 커버 홈(521a)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단자 커버(528)는 탄성 부재(529)에 의해 커버 홈(521a)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될 수 있다. 탄성 부재(529)는 단자 커버(528)의 후면 양 단부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단자 커버(528)는 제1 커넥터(520)가 입력 잭(110)에 결합되지 않은 때, 탄성 부재(529)에 의해 제2 양의 어댑터 단자(527a)를 커버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단자 커버(528)는 제1 커넥터(520)가 입력 잭(110)에 결합된 때, 제2 양의 어댑터 단자(527a)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커넥터(520)가 입력 잭(110)에 결합될 때, 단자 커버(528)는 잭 바디(111)에 의해 커버 홈(521a)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단자 커버(528)가 커버 홈(521a)에 인입됨에 따라, 탄성 부재(529)는 수축되며, 제2 양의 어댑터 단자(527a)는 외부로 노출되어 제2 양의 입력단자(117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후, 제1 커넥터(520)가 입력 잭(110)으로부터 분리될 때, 단자 커버(528)는 탄성 부재(529)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제2 양의 어댑터 단자(527a)를 커버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커넥터(520)는 사용자가 제2 어댑터 단자(527)와 접촉하여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1'; 전자시스템
10; 전자장치
20; 어댑터
110, 310; 입력 잭
114; 가이드 홈
116, 316; 제1 입력단자
117, 317; 제2 입력단자
120, 220, 320, 420, 520; 제1 커넥터
124, 524; 제1 가이드 돌기
126, 326, 526; 제1a 어댑터 단자
127, 227, 327, 527; 제2 어댑터 단자
130, 330; 제2 커넥터
134; 제2 가이드 돌기
136, 336; 제1b 어댑터 단자
137, 337; 차단부
528; 단자 커버

Claims (20)

  1. 전원 케이블;
    상기 전원 케이블의 일 단에 배치되는 변환장치; 및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 단에 배치되며, 전자장치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중공이 형성되는 커넥터 바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제1 어댑터 단자; 및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어댑터 단자와 상이한 전력 용량을 갖는 제2 어댑터 단자;를 포함하는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바디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댑터 단자는 제1 양의 어댑터 단자 및 제1 음의 어댑터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양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음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타 측에 배치되는 어댑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댑터 단자는 제2 양의 어댑터 단자 및 제2 음의 어댑터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양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음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타 측에 배치되는 어댑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제2 양의 어댑터 단자보다 상기 전자장치에 먼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어댑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제2 양의 어댑터 단자의 길이는 상기 제2 음의 어댑터 단자의 길이보다 짧도록 형성되는 어댑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자장치에 삽입될 때, 상기 제2 어댑터 단자의 일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단자 커버를 더 포함하는 어댑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댑터 단자는 상기 제1 어댑터 단자보다 큰 전력 용량을 갖도록 마련되는 어댑터.
  9. 제1 입력단자 및 상기 제1 입력단자와 상이한 용량을 갖는 제2 입력단자를 갖는 입력 잭이 마련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 어댑터 단자 및 상기 제2 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어댑터 단자와 상이한 전력 용량을 갖는 제2 어댑터 단자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전자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가 제1 전력 용량을 요구할 때,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제1 입력단자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전자장치가 제2 전력 용량을 요구할 때,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제2 입력단자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전자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잭은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 홈 및 상기 삽입 홈의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 폴(center pole)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입력단자는 상기 센터 폴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입력단자는 상기 삽입 홈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전자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입력 잭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중공을 갖는 커넥터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전자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바디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전자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댑터 단자는 제1 양의 어댑터 단자 및 제1 음의 어댑터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양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음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전자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댑터 단자는 제2 양의 어댑터 단자 및 제2 음의 어댑터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양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음의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전자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어댑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전자시스템.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단자는 상기 제1 입력단자보다 큰 전력 용량을 갖도록 마련되는 전자시스템.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잭은,
    상기 커넥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 홈; 및
    상기 커넥터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전자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커넥터가 상기 입력 잭과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커넥터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마련되는 전자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단자는 상기 삽입 홈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홈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입력단자는 상기 삽입 홈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홈의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에 배치되는 전자시스템.
KR1020180135392A 2018-11-06 2018-11-06 어댑터 및 이를 갖는 전자시스템 KR20200052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392A KR20200052156A (ko) 2018-11-06 2018-11-06 어댑터 및 이를 갖는 전자시스템
PCT/KR2019/014155 WO2020096245A1 (en) 2018-11-06 2019-10-25 Adapter and electronic system having the same
CN201980073012.8A CN112970154B (zh) 2018-11-06 2019-10-25 适配器和具有该适配器的电子系统
EP19881177.0A EP3841640A4 (en) 2018-11-06 2019-10-25 ADAPTER AND ELECTRONIC SYSTEM EQUIPPED WITH IT
US16/675,627 US11075492B2 (en) 2018-11-06 2019-11-06 Adapter and electronic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392A KR20200052156A (ko) 2018-11-06 2018-11-06 어댑터 및 이를 갖는 전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156A true KR20200052156A (ko) 2020-05-14

Family

ID=7045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392A KR20200052156A (ko) 2018-11-06 2018-11-06 어댑터 및 이를 갖는 전자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75492B2 (ko)
EP (1) EP3841640A4 (ko)
KR (1) KR20200052156A (ko)
CN (1) CN112970154B (ko)
WO (1) WO2020096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156A (ko) * 2018-11-06 2020-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댑터 및 이를 갖는 전자시스템
CN214625474U (zh) * 2021-03-19 2021-11-0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和连接器组件
WO2023133631A1 (en) * 2022-01-12 2023-07-20 Convergence Medical Sciences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310849U1 (de) * 1983-04-13 1983-09-29 Kernforschungsanlage Jülich GmbH, 5170 Jülic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S5593323A (en) * 1995-01-13 1997-01-14 Operating Technical Electronics, Inc. Reversible polarity accessory cable
US6305963B1 (en) * 1996-08-16 2001-10-23 Agilent Technologies, Inc. Push-lock BNC connector
JPH10208813A (ja) 1997-01-28 1998-08-07 Yamaha Corp 電源アダプタ装置
US5885109A (en) * 1997-10-16 1999-03-23 Lee; Chiu-Shan Electrical adapters
KR100265704B1 (ko) * 1997-10-17 2000-09-15 윤종용 케이블 매니저 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하는 컴퓨터
US6152778A (en) * 1998-02-26 2000-11-28 Hewlett-Packard Company Electronic connector adapter with power input
US6386906B1 (en) * 1998-03-16 2002-05-14 Telefonix Inc Cord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6530085B1 (en) * 1998-09-16 2003-03-04 Webtv Networks, Inc. Configuration for enhanced entertainment system control
US6623294B2 (en) * 1999-04-27 2003-09-23 Astec International Limited Adapter with manually retractable cable assembly and electrical plug assembly
JP4135266B2 (ja) * 1999-08-27 2008-08-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回路の接続装置
US6283789B1 (en) * 2000-03-16 2001-09-04 Shui Chuan Tsai Data and power transmitting cable system
JP2001273957A (ja) * 2000-03-28 2001-10-05 Mitsumi Electric Co Ltd 電源アダプタ装置
US6402549B1 (en) * 2000-03-31 2002-06-11 Tektronix, Inc. Adapter usable with an electronic interconnect for high speed signal and data transmission
US7976337B1 (en) * 2001-03-07 2011-07-12 Palm, Inc. Palmtop computer docking system with USB cable assembly
US7508163B2 (en) * 2001-05-17 2009-03-24 Carolyn Batts-Gowins Portable AC power supply with multiple uses
JP2005529354A (ja) * 2002-05-02 2005-09-29 ライヒレ・ウント・デ−マサリ・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ハイブリッドプラグコネクタ
WO2004084421A2 (en) * 2003-03-14 2004-09-30 Molex Incorporated Grouped element transmission channel link with pedestal aspects
IL157787A (en) * 2003-09-07 2010-12-30 Mosaid Technologies Inc Modular outlet for data communications network
US6830483B1 (en) * 2003-09-23 2004-12-1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assembly with power adapter
US7354301B2 (en) 2004-05-19 2008-04-08 Sony Corporation DC adapt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7465901B2 (en) * 2004-12-02 2008-12-16 Illinois Tool Works Inc. Power cord system for welding-type devices
US7585182B2 (en) * 2005-09-15 2009-09-08 Dell Product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cable
KR200411212Y1 (ko) * 2005-12-26 2006-03-15 이상욱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TWM293185U (en) * 2006-01-17 2006-07-01 Jr-Shian Wu Power-connecting structure of LED lamp transformation used in cars
TWI309489B (en) * 2006-09-26 2009-05-01 Delta Electronics Inc Foldable electrical connector and power supply apparatus using the same
TW200830648A (en) * 2007-01-03 2008-07-16 Powertech Ind Ltd Travel outlet device
US7789523B2 (en) * 2007-06-27 2010-09-07 Arnold Iii Vaughn R Receptacle positioned rechargeable flashlight
US7841776B2 (en) * 2008-09-30 2010-11-30 Apple Inc. Magnetic connector with optical signal path
US8079878B2 (en) * 2008-10-01 2011-12-20 I Sheng Electric Wire & Cable Co. Ltd. Combination electric plug assembly
US8831257B2 (en) * 2009-02-10 2014-09-09 Chum Lee Exterior power supply for hearing aid
US8282410B2 (en) * 2009-10-20 2012-10-09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Adaptor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
CN102064444B (zh) * 2009-11-12 2013-06-12 宏碁股份有限公司 插座模块及插座模块与插头的组合
CN102377322B (zh) * 2010-08-25 2014-12-10 世派电子株式会社 通用电源供应装置用端部组件和键槽
TW201225444A (en) * 2010-12-09 2012-06-16 Delta Electronics Inc Plug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351302B2 (en) * 2011-02-09 2013-01-08 Jeremy Laurence Fischer Power supply for clock
US20130017703A1 (en) * 2011-07-14 2013-01-17 Jeffrey N. Gamelsky Releasable Connector System
CN103378524B (zh) * 2012-04-26 2018-11-30 恩智浦美国有限公司 电源适配器和电源适配器的电连接器
US8821199B2 (en) * 2012-07-25 2014-09-02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Multi-prong power tip adaptor
CN203562542U (zh) * 2013-08-08 2014-04-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插头、一种插座及一种连接系统
CN203967337U (zh) * 2014-06-04 2014-11-26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插头及插座
CN204045810U (zh) * 2014-08-19 2014-12-24 浙江大学城市学院 旋转控制通断电接插件
KR102383119B1 (ko) * 2014-12-02 2022-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소켓, 파워코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US20160172808A1 (en) * 2014-12-16 2016-06-16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Combined audio/video and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module
TWI567538B (zh) * 2015-05-22 2017-01-2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電源適配器
US10153581B2 (en) * 2016-03-02 2018-12-11 Vincent Mitchell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marine shore power
TWM551769U (zh) * 2017-07-28 2017-11-11 Amphenol Fiber Optic Tech (Shenzhen) 電源適配裝置
US9985384B1 (en) * 2017-10-13 2018-05-29 Onanon, Inc. Magnetic latching connector
US11510741B2 (en) * 2017-10-30 2022-11-29 Cilag Gmbh International Method for producing a surgical instrument comprising a smart electrical system
KR20200052156A (ko) * 2018-11-06 2020-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댑터 및 이를 갖는 전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70154A (zh) 2021-06-15
CN112970154B (zh) 2023-08-15
WO2020096245A1 (en) 2020-05-14
US11075492B2 (en) 2021-07-27
US20200144775A1 (en) 2020-05-07
EP3841640A1 (en) 2021-06-30
EP3841640A4 (en)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70154B (zh) 适配器和具有该适配器的电子系统
US10468842B2 (en) Expandable audio visual adapter module with multi-port voltage and power management circuitry
US5573425A (en) Communication cable used in a computer system
CN108351677B (zh) 具有供电合约协商能力的端口控制器
US6614206B1 (en) Universal USB charging accessory
US20070054550A1 (en) Multi-device power charger and data communication device
US7591673B2 (en) Combined power and control signal cable
US6669513B2 (en) Multipurpose combination USB hub and power adapter assembly
KR19990072832A (ko) 어댑터와,전자장치에전력을공급하는방법
US20070015401A1 (en) Compound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CN112671084A (zh) Usb设备及其操作方法
US20160308315A1 (en) Electrical Connecting Module and Electrical Connecting Assembly for a Jacket of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WO2005003983A1 (en) Mobile telephone adapter
US6840813B2 (en) Connecting apparatus for three phase induction motor of electric vehicle
US8845366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mposite and symmetrical hybrid electronic connectors
WO2020117204A1 (en) Connector cables to transmit data and power
US20220397950A1 (en) Smartphone and add-on device power delivery system
US20180191117A1 (en) Power adaptor
US9307664B2 (en) Zero power consumption connector for power adapter and power connector
US20130024703A1 (en) Power docking station and universal transmission interface
US20090300389A1 (en) Power supply having multiple sets of output power
US20070268634A1 (en) Power supply system
CN112003097B (zh) 电源插头、电源供应器及电源连接器
CN114629328A (zh) 智能调配输出电压的强化电源供应装置及电源供应方法
JPH04342005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